후룬베이얼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룬베이얼시는 내몽골 자치구에 위치한 지급시로, 선비, 실위, 거란 등 여러 유목 민족이 흥망성쇠를 겪었던 곳이다. 몽골 제국 시기에는 칭기스칸의 막내 아우 테무게가 이 지역에서 유목하며 세력을 떨쳤으며, 청나라 시대에는 소론 팔기에 편입되어 지배를 받았다. 중화민국 시기에는 러시아의 영향 아래 있다가, 만주국의 일부가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내몽골 자치구에 편입되었으며, 현재는 하이라얼 구 등 14개의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산업은 임업, 목축업이며, 한족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하이라얼 공항, 만저우리 시자오 공항 등 여러 공항과 철도, 고속도로가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룬베이얼시 - 후룬호
후룬호는 중국 내몽골 자치구에 위치한 면적 약 2,339km²의 담수호이며, 어업과 관광이 이루어지고 다라이호 국가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생태 환경을 보호받고 있지만 기후 변화와 경제 활동으로 인해 생태 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 내몽골 자치구의 지급시 - 후허하오터시
후허하오터시는 내몽골 자치구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이며, 몽골족 알탄 칸에 의해 건설되어 중국과 몽골 고원을 잇는 교역 중심지로 발전해 유구한 역사와 다양한 문화를 지닌 "중국의 유제품 수도"이다. - 내몽골 자치구의 지급시 - 퉁랴오시
퉁랴오시는 내몽골 자치구에 위치한 지급시로, 철도, 도로, 항공 교통의 요충지이며 한족과 몽골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역사적으로 유목 민족의 지배를 받았으며 코르친 몽골족의 중심지였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자딩구
자딩구는 상하이시의 시할구로, 1218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면적은 약 463.9km²이며, 자동차 산업과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곳이다.
| 후룬베이얼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 |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후룬베이얼 |
| 몽골어 | |style=max-height:2.5em;text-align:left;word-break:normal}} |
| 종류 | 지급시 |
| 국가 | 중국 |
| 자치구 | 내몽골 자치구 |
| 정부 소재지 | 하이라얼 구 |
| 지리 | |
| 면적 (전체) | 263,953 제곱킬로미터 |
| 면적 (구) | 1518.9 제곱킬로미터 |
| 도시 면적 | 252.00 제곱킬로미터 |
| 인구 | |
| 인구 (총) | 2,549,278 명 (2010년)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도시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구 인구 | 356,000 명 |
| 도시 인구 | 349,400 명 (2017년) |
| 주요 민족 | 한족: 81.85% 몽골족: 8.6% 만주족: 4.13% |
| 행정 | |
| 경제 | |
| GDP (지급시) | 위안 1596억 (미화 256억 달러) |
| 1인당 GDP | 위안 63,133 (미화 10,136 달러) |
| 기타 정보 | |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
| UTC 오프셋 | +8 |
| 우편 번호 종류 | 중국 우편 번호 |
| 우편 번호 | 021000 |
| 지역 번호 | 0470 |
| ISO 코드 | CN-NM-07 |
| 웹사이트 | 후룬베이얼 시 정부 웹사이트 |
| 나무 | 장자송(樟子松) |
| 꽃 | 에조무라사키츠츠지 |
| 언어 정보 | |
| 중국어 병음 | Hūlúnbèi'ěr |
| 일본어 가타카나 | 후-룬베이아-루 |
2. 역사
후룬베이얼 지방은 유목에 적합한 초원 지역으로, 흉노, 선비, 실위, 키르기스, 거란, 타타르 등 고대로부터 다양한 유목민이 흥망성쇠를 반복했다. 또한, 동쪽의 산림 지대에서는 여진을 비롯한 퉁구스계 민족도 유입되어 현재의 오로촌, 에벤키의 선조가 되었다.
몽골 제국 시대에는 칭기스 칸의 막내 동생 테무게 옷치긴이 이 지방에서 유목하며, 몽골 고원 동부에서 요동에 이르기까지 막대한 권세를 떨쳤다. 원이 북쪽으로 도주한 후에도 북원에게 중요한 거점이었지만, 1388년에 이 땅에서 토구스 테무르 칸이 살해당하면서 북원은 붕괴되었다.
17세기에는 바르그(오늘날의 부랴트족과 가까운 몽골계 부족), 다구르 (몽골계 민족), 에벤키, 오로촌 등이 살고 있던 이 지방은 청나라의 지배하에 놓였다. 청나라는 영토의 북쪽에 해당하는 이 지방을 지배하기 위해 팔기에 준하여 여러 부족을 소론 팔기 (소론은 에벤키의 만주어 명칭)에 편입시키고, 청나라 황제의 예신으로 취급했다. 18세기에는 외몽골의 할하의 예속민이었던 바르그의 별파가 후룬베이얼로 이주하여 바르그 팔기로 편성되었고, 흑룡강 장군의 지배하에 놓였다.
청나라 말기에도 이 지방은 북쪽 변경이었기 때문에 한족의 유입이나 정착 농경화가 비교적 늦어졌고, 그 후에도 오랫동안 유목 생활이 유지되었다. 만주 사변이 일어나자 일본의 세력 하에 들어가 만주국에 편입되어 남쪽의 저림 맹과 합병하여 흥안총성이 설치되었다. 이후 흥안성이 분할되면서 후룬베이얼 중 령동 지구는 "흥안동성", 령서 지구는 "흥안북성"이 설치되었다. 만주국 붕괴 후, 1948년에 중국 공산당의 우란푸의 공작으로 후룬베이얼 맹이 설치되어 내몽골 자치구에 속하게 되었다.
1953년에는 하이럴, 만저우리, 우란호트가 자치구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1969년 맹의 대부분은 헤이룽장성에 편입되었지만, 1979년 내몽골 자치구로 복귀했다. 2001년 10월 10일, 후룬베이얼 맹을 폐지하고 후룬베이얼 시가 성립, 수부인 하이럴 시는 하이얼 구가 되었다.
2. 1. 고대 ~ 몽골 제국
후룬베이얼 지방은 유목에 매우 적합한 초원 지역으로, 선비, 실위, 거란 등 예부터 여러 유목민이 흥망했다. 또, 동방의 삼림 지대에서는 퉁구스계 민족도 유입되어 현재의 오로촌족, 예벤키족의 선조가 되었다. 고구려 광개토대왕 때 지두우를 분할했다.몽골 제국 하에서는 칭기스칸의 막내 아우 테무게가 이 지방에서 유목하며, 몽골 고원 동부에서 요동에 걸쳐 절대적인 권세를 자랑했다. 원나라가 북쪽으로 도망친 후에도 북원의 중요한 거점이었지만, 1388년에 이곳에서 토구스 테무르가 살해되어 북원은 붕괴했다.
2. 2. 청나라 시기
후룬베이르 지방은 유목에 매우 적합한 초원 지역으로, 선비, 실위, 거란 등 예부터 여러 유목민이 흥망했다. 또, 동방의 삼림 지대에서는 퉁구스계 민족도 유입되어 현재의 오로촌족, 예벤키족의 선조가 되었다.17세기에는 바르그(오늘날의 부랴트족 조상), 다우르(거란계 민족), 에벤키, 오로촌 등이 살고 있던 이 지방은 청나라의 지배하에 놓였다. 청은 영토의 북변에 해당하는 이 지방을 지배하기 위해 모든 부족을 소론 팔기(소론은 에벤키의 만주어명)에 편입하고, 청조 황제의 예신으로서 취급했다. 18세기에는 외몽골의 할하의 예속민인 바르그의 별파가 후룬부이르로 이주해 바르그 팔기에 편성되어 흑룡강 장군의 지배하에 놓였다.
청나라 시대에 후룬베이얼시는 헤이룽장성의 일부였다. 1858년 아이훈 조약은 오늘날의 대략적인 중-러 국경을 설정했는데, 이는 헤이룽장성의 영토를 크게 잃는 결과를 가져왔다.[3][4] 1901년, 중국 동청 철도가 후룬베이얼을 중국 동북부의 나머지 지역과 러시아 극동 지역과 연결했다.
2. 3. 중화민국 시기 ~ 현대
몽골 제국 시대에는 칭기스 칸의 막내 동생 테무게가 이 지방에서 유목 생활을 하였고, 몽골 고원 동부에서 요동에 걸쳐 막강한 권력을 누렸다. 원나라가 북쪽으로 이동한 후에도 북원의 중요한 거점이었으나, 1388년에 토구스 테무르가 이곳에서 살해되면서 북원은 붕괴하였다.17세기에는 바르그 (부랴트족의 조상), 다우르 (거란계 민족), 에벤키, 오로촌 등이 살고 있었으며, 이 지역은 청나라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청나라는 이 지역을 효과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모든 부족을 소론 팔기 (소론은 에벤키의 만주어 이름)에 편입시키고, 청나라 황제의 신하로 대우하였다. 18세기에는 외몽골 할하의 백성이었던 바르그의 일부가 후룬베이얼로 이주하여 바르그 팔기에 편입되었고, 흑룡강 장군의 지배를 받았다.
청나라 말기에도 이 지역은 북쪽 변경이었기 때문에 한족의 유입과 정착 농경이 비교적 늦게 이루어졌고, 그 후에도 오랫동안 유목 생활이 지속되었다. 1901년, 중국 동청 철도가 후룬베이얼을 중국 동북부의 나머지 지역과 러시아 극동 지역과 연결했다.[3] 1912년 겨울, 후룬베이얼의 바르가 몽골족은 중국군과 행정부를 몰아내고 바르가(후룬베이얼)의 독립을 선포했다. 그 후 몽골의 보그도 칸에게 충성을 맹세했다.[4] 1915년 10월 24일/11월 6일 러시아 제국과 중화민국 간의 협약에 따라 후룬베이얼은 중국 중앙 정부에 직속된 "특별" 지역으로 지정되었지만, 실제로는 러시아가 일상적인 행정과 경제에 대한 부분적인 통제권을 행사했다.[3][4] 1929년, 소련은 이 협정을 깨고 후룬베이얼을 침공했다.[5] 만주사변으로 일본의 영향권 아래 들어가 만주국에 편입되었고, 남쪽의 저리무 맹과 합병하여 싱안 성이 설치되었다. 이후 싱안 성이 분할되면서 후룬베이얼 중 산맥 동쪽에는 싱안둥 성(興安東省), 산맥 서쪽에는 싱안베이 성(興安北省)이 설치되었지만, 만주국 붕괴 후 1948년에 후룬베이르 맹이 설치되고, 내몽골 자치구에 속하게 되었다. 중국 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은 울란후와 같은 내몽골 지도자들의 지지를 얻었는데, 이는 미수복지구인 내몽골 자치구를 한족과 만주족이 다수인 지역으로 확장하겠다는 약속을 통해 이루어졌다.[6]
1953년에는 하이라얼, 만저우리, 우란하오터가 자치구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1969년 맹의 대부분은 헤이룽장성에 편입되었지만, 1979년 내몽골 자치구로 돌아왔다.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내몽골 내의 역사적인 만주 지역의 일부가 잠시 원래의 성으로 복원되었으며, 후룬베이얼은 1969년부터 1979년까지 헤이룽장성으로 다시 편입되었다.[7] 2001년 10월 10일, 후룬베이르 맹을 폐지하고 후룬베이르 시가 성립되었으며, 수도인 하이라얼 시는 하이라얼 구가 되었다.
3. 지리


후룬베이얼 자체(하이라얼)는 극심한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쾨펜 ''Dwb'', 트레와르타 ''Dcbd/Dcbc''). 겨울은 길고 매우 건조하며, 시베리아 고기압으로 인해 혹독하다. 여름은 짧지만 매우 덥고, 동아시아 몬순의 영향으로 다소 습하다. 하이라얼의 월간 24시간 평균 기온은 1월 -25.1°C에서 7월 20°C까지이며, 연평균 기온은 -0.96°C이다. 모든 달에 최소 55%의 일조량을 보이며 연간 총 일조량이 2,700시간 이상으로 햇볕이 연중 우세하다. 연간 강수량의 약 70%가 3개월의 여름 동안 발생한다.[8][9][10]
시역을 남북으로 다싱안링 산맥이 지나가며, 링시(嶺西) 지역과 링둥(嶺東) 지역으로 나뉜다. 링시 지역은 몽골 평원에 인접해 있다. 남부는 내몽골 자치구의 싱안맹(흥안맹, 싱안 아이마크), 동부는 눈강을 경계로 헤이룽장성과 접하며, 북부 및 북서부는 아르군 강을 경계로 러시아 연방, 서부 및 서남부는 몽골과 접한다.
4. 기후
후룬베이얼 자체(하이라얼)는 극심한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Dwb'', 트레와르타 ''Dcbd/Dcbc'')를 보인다. 겨울은 길고 매우 건조하며,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으로 혹독하다. 여름은 짧지만 매우 덥고, 동아시아 몬순의 영향으로 다소 습하다. 하이라얼의 월간 24시간 평균 기온은 1월 -25.1°C에서 7월 20°C까지이며, 연평균 기온은 -0.96°C이다. 모든 달에 최소 55%의 일조량을 보이며 연간 총 일조량이 2,700시간 이상으로 햇볕이 연중 우세하다. 연간 강수량의 약 70%가 3개월의 여름 동안 발생한다.[17][18][19]
내륙성 기후로 인해 겨울에는 혹독한 추위가 나타난다. 2014년 1월 10일에는 시내 관측 지점에서 -46.1°C를 기록했다.[12]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는 냉대 동계 소우 기후(Dwb)에 속한다.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 평균 최고 기온 (℃) | -19.8°C | -13.7°C | -3.2°C | 9.7°C | 18.9°C | 24.9°C | 26.7°C | 24.7°C | 18.2°C | 7.9°C | -6.2°C | -17.1°C | |
| 평균 최저 기온 (℃) | -29.2°C | -25.3°C | -15.5°C | -2.9°C | 4.9°C | 11.8°C | 15.4°C | 13.1°C | 5.5°C | -3.9°C | -16.3°C | -26.2°C | |
| 평균 강수량 (mm) | 3.9mm | 3.6mm | 5.9mm | 13.8mm | 24.9mm | 53.3mm | 96.5mm | 78.6mm | 35.7mm | 16.8mm | 6.7mm | 6.9mm | |
| 평균 상대 습도 (%) | 75 | 75 | 68 | 50 | 45 | 57 | 66 | 68 | 62 | 61 | 72 | 77 |
5. 행정 구역
(2010년)
(/km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