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위안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이위안시는 2500년 역사를 가진 중국 산시성의 성도로, 베이징과 뤄양 사이의 교통 요충지였다. 춘추 시대에 건설되어 전국 시대에는 조나라의 수도였으며, 진나라 통일 이후에는 태원군이 설치되었다. 이후 수·당 시대에는 중요한 도시로 발전했으며, 오대십국 시대에는 후당, 후진, 후한의 발원지였다. 명·청 시대에는 상업과 수공업의 중심지로, 근현대에는 옌시산의 근거지였다. 현재는 중국 북부의 교통 요충지이며, 타이위안 우수 국제공항과 타이위안 역을 통해 국내외로 연결된다. 경제적으로는 석탄 산업이 중심이며, 다양한 교육 기관과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도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도 - 우한시
우한은 후베이성 중부에 위치한 장강과 한수 합류 지점의 대도시이자 경제·문화 중심지로, 무창, 한커우, 한양이 통합되어 형성되었으며 오랜 역사와 신해혁명 발상지, 코로나19 팬데믹 진원지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중국 중부 부흥 계획의 중심 도시로서 경제 성장과 발달된 교통망, 산업 시설, 연구 기관을 갖추고 있다. - 국가역사문화명성 - 베이징시
베이징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직할시로, 정치, 문화, 교육의 중심지이며, 3,000년의 역사를 지닌 북부의 교통 요충지이다. - 국가역사문화명성 - 우한시
우한은 후베이성 중부에 위치한 장강과 한수 합류 지점의 대도시이자 경제·문화 중심지로, 무창, 한커우, 한양이 통합되어 형성되었으며 오랜 역사와 신해혁명 발상지, 코로나19 팬데믹 진원지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중국 중부 부흥 계획의 중심 도시로서 경제 성장과 발달된 교통망, 산업 시설, 연구 기관을 갖추고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타이위안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 | |
공식 명칭 | 타이위안시 |
별칭 | 빙저우 (병주) 진양 (진양) 룽청 (용성, 龙城) |
유형 | 지급시 |
행정 | |
국가 | 중국 |
성 | 산시 성 |
중심지 | 싱화링 구 |
행정 구역 | 10개 현급 행정 구역 |
촌급 행정 구역 | 83개 향급 행정 구역 |
정부 형태 | 지급시 |
인민대표대회 | 타이위안시 인민대표대회 |
중국 공산당 서기 | 뤄칭위 |
인민대표대회 주임 | 웨이민 |
시장 | 판자오선 (대행) |
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 | 차오쉐청 |
지리 | |
해발고도 | 800m |
최대 해발고도 | 2670m |
최소 해발고도 | 760m |
총 면적 | 6959km² |
도시 면적 | 1460km² |
도시권 면적 | 2787km² |
인구 | |
인구 (2020년) | 5,305,061명 |
도시 인구 | 4,529,141명 |
도시권 인구 | 5,433,659명 |
도시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도시권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경제 | |
GDP (지급시) | CN¥ 4150억 US$ 653억 |
1인당 GDP | CN¥ 78,284 US$ 12,570 |
기타 정보 |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UTC+08:00) |
지역 번호 | 351 |
GaWC 글로벌 도시 순위 | 감마 - |
주요 민족 | 한족 |
행정 구역 코드 | 140100 |
우편 번호 | 030000 |
차량 번호판 | 진A |
ISO 3166-2 | CN-SX-01 |
웹사이트 | 타이위안시 정부 웹사이트 |
2. 역사
오대십국시대에는 후당, 후진, 후한 등이 타이위안에서 발원했다. 송나라 때 태종(1218~1277)이 양곡현(陽曲縣)을 이곳으로 옮겨 병주(幷州)라고 하였다. 명․청시대에 진상(晉商)의 출현으로 타이위안은 북방의 상업과 수공업의 중심이자, 중국 초기의 공업도시가 되었다.
진 시대 동안 타이위안시는 다시 제후국으로 변경되었다. 진나라가 멸망한 후, 오호는 중국 북부에 일련의 단명한 주권 국가를 세웠으며, 이를 일반적으로 십육국 시대라고 부른다. 타이위안시는 전조, 후조, 전진, 전연, 전진 (다시), 서연, 후연의 순서로 편입되었다.
304년, 유연은 흉노족 국가인 전조를 건국했고, 그 군대는 수년간 타이위안 주변 지역을 약탈했으며, 결국 316년에 타이위안을 점령했다. 319년, 타이위안은 석륵이 건국한 후조에 편입되었다. 이후 타이위안은 358년에 전연에, 370년에 전진에 속하게 되었다.
384년 부견이 사망했다. 그의 아들 부비는 385년에 진양(타이위안의 중심 도시)을 수도로 삼아 스스로 황제를 칭했다. 그러나 이듬해 부비는 서연의 왕자 모용영에게 386년에 패배했고, 타이위안은 서연에 속하게 되었다. 386년, 탁발규가 북위를 건국했다. 396년, 북위는 타이위안까지 영토를 확장했다.
543년, 고환에 의해 동위가 건국되었고 수도는 예였으며, 타이위안은 별도로 지정되어 "대승상부"가 위치했다. 577년, 타이위안은 정복되어 북주의 일부가 되었다.
오대 십국 시대에는 후당이 국가를 일으키는 거점, 그리고 별도가 되었다. 당시 이 지역은 철과 석탄을 모두 생산했기 때문에, 이후 후진, 후한, 후주 그리고 송으로 이어지는 오대의 사타계 정권의 대륙 통일을 지탱하는 주요 경제 기반 중 하나가 되었다. 오대 십국 시대 후기, 후한의 붕괴 후 한때 북한이 태원을 수도로 성립했다. "용성"이라는 별칭은 이 시대에 유래되었지만, 979년에 송나라 태종의 친정 군대 앞에서 영무제 유계원은 항복하고, 철저하게 항전했던 양업 ("양가장"의 제1대)도 항복한다. 태종은 화공과 수공으로 황폐화된 태원을 부하 대장 반미에게 재건하게 했다. 이때, 도시의 위치는 분하를 따라 현재 위치에서 서쪽으로 수 km 이동했다.
명 및 청대, 산서 상인 (진상)이 정치와 강한 유착 관계를 맺고 부상하면서 태원부는 화북뿐만 아니라 중국의 상업·금융·광업·공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청나라 말기에는 타이위안에는 기독교 선교사 및 많은 기독교도가 거주했는데, 1900년의 의화단의 난 당시 의화단에 의한 학살이 일어났다(타이위안 교안). 특히 당시 산시순무였던 위셴은 가혹한 배외주의자였고 의화단을 이용하여 교회와 병원을 불태우는 등의 행위를 했다. 1907년에 베이징과 우한을 잇는 간선 철도(현재의 징광선)상의 스자좡에서 분기한 지선이 타이위안부에 도달했지만, 한편으로 중국에 근대적인 은행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산시 상인들은 큰 타격을 입었고, 기존 금융 중심지였던 타이위안의 경제는 침체되었다.
2. 1. 고대
타이위안은 25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중국의 옛 도시로, 베이징과 뤄양 사이의 교통 요지였다. 기원전 497년 춘추 시대 조간자(?~BC 476년)가 진양이라는 이름으로 건설했다.[6][12]기원전 12세기, 타이위안은 진(晉)나라에 속했다. 기원전 497년 무렵 한, 위, 조 삼진으로 분리될 때 조나라에 속하게 되었다. 전국 시대 초기 조(趙)나라의 수도였으며, 진(秦)나라 때는 전국 36군(郡) 중 하나인 타이위안군을 두었고 전한, 후한 때까지 유지되었다. 당(唐)나라 때에는 타이위안부(太原府)를 설치하여 돌궐족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오대십국시대에는 후당, 후진, 후한 등의 발원지였다. 송나라 태종(1218~1277)이 양곡현(陽曲縣)을 이곳으로 옮겨 병주(幷州)라고 하였다.
기원전 859년경부터 현대 타이위안 시 주변 지역은 융족이 점유했고, 기원전 662년에는 적에 의해 쫓겨났다.[11]
기원전 453년 진양 전투에서 지요는 펀 강의 흐름을 돌려 진양시를 침수시켜 조나라에 큰 피해를 입혔다. 이후 조상자는 위나라와 한나라에 경고했고, 이들은 조나라와 동맹을 맺었다. 기원전 453년 5월 8일 밤, 조나라 군대는 펀 강의 둑을 무너뜨려 강물이 지나라 군대를 침수하게 했으며, 위나라와 한나라의 도움으로 지나라 군대를 전멸시켰다.[13]
진나라 분열은 기원전 403년에 일어났는데, 당시 중국 북부 강대국 진나라는 한, 조, 위 세 국가로 분열되었다. 이는 춘추 시대와 전국 시대 사이의 분수령이다.
타이위안은 산시 고원을 남북으로 관통하여 황하로 흘러드는 분하 중류에 위치한다. 분하 유역에는 황하 문명 유적이 많아 오래전부터 문명이 번영했다. 뤄양과 베이징을 잇는 중요한 가도가 분하를 따라 흐르는 분지를 지나기 때문에, 타이위안은 교통 요충지였다. 북방 유목 민족에게 타이위안은 중원 공격 거점이었고, 한민족에게는 북방 방어 요충지였다.
타이위안은 옛날 '''진양'''으로 불렸으며, 춘추 시대 강대국 진의 도읍(주요 도시) 중 하나였다. 조씨 당주 조앙(조간자)이 기원전 497년에 진양을 건설한 것이 타이위안 역사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기원전 455년 (주 정정왕 14년), 지씨의 지요(지양자)는 조씨를 공격하여 분하의 물로 조무휼(조양자)가 있는 진양성을 물공격했지만(진양 전투), 조양자는 지씨 군대에 따라온 위씨 당주 위구(위환자)와 한씨 당주 한호(한강자)에게 배신 공작을 펼쳤다. 한, 위 양씨 군대는 막았던 물을 지씨 군영으로 보내 지씨 군대를 격파하고 지요를 살해했다. 이로 인해 진은 사실상 조, 한, 위 삼씨에 의해 분할 통치되면서 전국 시대가 시작되었다. 진 멸망 후 조는 얼마 동안 진양에 국도를 두었다.
2. 2. 진나라 통일 이후
기원전 221년,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면서 공식적으로 중국 최초의 제국 왕조가 시작되었다.[14] 진나라는 영토를 36개의 군으로 나누었고, 태원군(太原郡)도 그 중 하나였다.[14] 태원군(太原郡)의 군청 소재지는 진양이었다.[14]진(秦) 시황제가 중국을 통일하자 천하는 36군으로 나뉘었고, 그 중 '''태원군'''의 치소가 진양에 설치되었다. 한(漢)은 전국을 13주로 나누었고, 그 중 병주 (중원의 정북을 관할)의 주부가 진양에 설치되었다. 이것이 태원의 약칭 "병"의 유래이다.
2. 3. 수·당 시대

581년, 수 문제(수나라 황제)는 수나라를 건국했다. 진양은 처음에는 병주()의 행정 중심지였으며, 이후 태원군으로 변경되었다.[15]
617년, 이연은 태원을 근거지로 반란을 일으켜 빠르게 세력을 확장했다.[15]
618년, 이연은 당나라를 건국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중국 문명의 황금기로 여겨진다.[15] 태원시는 당나라 시대에 크게 확장되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태원시가 당나라를 건국한 황제인 이연과 이세민의 군사 기지였기 때문이다.[15] 이세민은 619년에 "태원은 왕업의 기반이자 국가의 근본이다." (太原,王业所基,国之根本|태원은 왕업의 기반이자 국가의 근본이다중국어)라고 썼다.[15]
690년, 측천무후는 태원시를 북경(北都|북도중국어)으로 지정하여 장안과 낙양과 함께 삼경 중 하나로 삼았는데, 이는 이백의 시 "천왕에게 삼경이 있는데, 북경이 그 중 하나이다." (天王三京,北都居一|천왕삼경,북도거일중국어)에 묘사되어 있다.[10] 742년, 당 현종은 태원시의 이름을 다시 '북경'(北京|북경중국어)으로 변경했다. 당나라 시대에 태원시에 부여된 '북경'이라는 명칭은 여러 차례 부여되거나 폐지되었다.[14]
수나라 시대에는 장안, 낙양에 이어 황하 유역의 세 번째 도시가 되었으며, 당의 이연은 이곳에서 기병하여 당을 세웠다. 이 유래로 당나라 시대에 태원부는 배도로 "북도", "북경"으로 불리며, 경사 (서도) 장안, 동도 낙양에 이은 수도가 되어, 이 세 개의 대도시가 삼도라고 칭해졌다.
2. 4. 오대십국 및 송나라
오대십국 때에 타이위안은 후당(後唐), 후진(後晉), 후한(後漢) 등의 발원지이기도 하다.[16] 923년, 이존욱은 이극용의 아들로 후당을 건국하고 대명현에 수도를 두었으며, 곧 화북 대부분을 정복하여 후량을 멸망시켰다. 그 후 이존욱은 수도를 대명현에서 낙양으로 옮겼고, 타이위안은 임시 수도로 지정되어 "북도"(北都, 북쪽 수도)로 불렸다. 936년, 석경당은 거란 요나라의 도움을 받아 타이위안에서 후진을 건국했다. 다음 해 석경당은 수도를 타이위안에서 낙양으로 옮긴 다음 개봉으로 옮겼고, 타이위안은 다시 임시 북경(北京)이 되었다.송 태조 조광윤은 송나라를 건국하고 중국 재통일 운동을 시작했다. 북한 조정의 권력 투쟁을 이용하여 송 태조는 968년 말에 북한을 공격했다.[17] 969년 초, 그의 군대는 타이위안을 포위하고 거란족이 보낸 증원군을 격파했다. 그러나 도시를 물에 잠기게 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 포위군은 3개월 만에 철수했는데, 그 이유는 폭우로 인해 포위군의 질병이 발생하고, 보급품이 부족해졌으며, 또 다른 거란족 구원군이 도시로 진격해 왔기 때문이다.[17]
송 태조는 969년 9월에 북한에 대한 두 번째 침략을 시작했지만, 그의 사망(969년 11월 14일) 후 군대는 철수했다.[17]
태조의 동생 송 태종은 978년까지 중국 남부의 마지막 독립 왕국을 복속시켰고, 979년에는 북한과 그 지배국인 요나라에 대한 세 번째 원정을 시작했다. 송 태종의 군대는 이전 원정에서 사용했던 남쪽 대신 북서쪽 경로를 사용하여, 주요 요나라 군대를 격파했다. 고립된 북한은 15일 만에 항복하기 전까지 저항했다. 형의 온건한 정책과는 대조적으로, 태종은 도시에 가혹하게 대했다. 그는 분하의 물을 방류하여 타이위안을 물에 잠기게 하고 도시에 불을 질렀다.[17] 이전 수도는 현(縣)으로 강등되었다.
982년에 분하 강둑에 새로운 도시가 건설되었다. 오늘날 타이위안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건물은 진사 단지 내의 여신 사당(聖母殿|성모전중국어)이다. 이 사당은 원래 1023년에 지어졌고 1102년에 재건되었다.
1027년부터 탕구트족 상품, 특히 소금을 위한 두 개의 사설 시장 중 하나가 타이위안에서 운영되었다.[18] 송나라 시대에 왕안석 재상의 가족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남쪽으로 이주했다.[19]
2. 5. 원·명·청 시대
송(宋)나라 때 태종(太宗 1218-1277)이 양곡현(陽曲縣)을 이곳으로 옮겨 병주(幷州)라고 하였다. 금나라는 1115년에 건국되었고, 1125년에 타이위안시는 금나라에 의해 정복되었다.1206년, 칭기즈 칸의 지도하에 몽골 제국이 등장하여 빠르게 팽창했다. 1218년, 타이위안은 장군 무칼리가 이끄는 몽골 군대에 의해 정복되었다. 1271년, 쿠빌라이 칸은 원나라를 건국했고, 타이위안로(太原路)의 행정 구역이 확장되었다.
원나라 초기에 도교 승려 송덕방(宋德芳)에 의해 도교의 용산 석굴이 건설되었다. 1368년, 홍무제는 명나라를 건국했고, 장군 서달에 의해 태원은 원나라로부터 획득되었다.
명나라는 홍치제 치세 동안 북부 영토를 방어하기 위해 9개의 군진을 설치했는데, 여기에는 태원진(}}}})이 포함되었다.
산서 상인들은 명나라 초부터 중국 상업사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는데, 이는 명나라가 몽골 잔당 북원에 대항하기 위해 산서 북부 국경 지역의 군사적 요구 사항 때문이었다. 1644년, 순치는 청나라를 건국하고 같은 해 타이위안에서 대순군을 격파했다.
청나라 시대 동안 러시아와의 국제 무역, 특히 차 무역과 소위 환전소, 즉 ''표호''(Piaohao)의 창설과 발전은 산시성 중앙 분지를 청나라의 금융 중심지로 만들었다. 이러한 표호의 대부분은 치현, 타이구, 위츠의 인근 현에 기반을 두었지만, 타이위안은 산시성의 정치적, 경제적 지위로 인해 중요한 무역 중심지가 되었다.[20][21]
1900년에는 타이위안 학살이 발생하여 다수의 서방 선교사들이 살해되었다.[22]

2. 6. 근현대
중화민국 시기 타이위안은 산시 군벌인 옌시산(閻錫山)의 근거지였으며, 제2차 중일 전쟁 때는 일본군에 점령당했다.[23] 국공내전 시기에는 인민해방군이 옌시산의 군대와 싸워 이겨 타이위안을 점령하였다.
옌시산은 1911년 신해혁명부터 1949년 국공 내전이 끝날 때까지 산시성을 장악했다. 타이위안시는 비교적 진보적인 그의 성의 중심지로서 번성했으며 광범위한 산업 발전을 경험했다. 그는 산시성의 멀리 남서쪽과 북쪽의 다퉁을 철도로 연결했다. 1949년 국공 내전이 끝날 때까지 타이위안에 있던 옌시산의 무기고는 중국에서 야포를 생산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발전된 유일한 공장이었다. 옌시산은 1910년대와 1920년대에 중국에서 발생한 라이벌 군벌 간의 주요 전투 대부분에 산시성을 연루시키지 않는 데 성공했기 때문에, 1937년 일본군이 점령하기 전까지 타이위안은 침략군에 의해 옌시산으로부터 빼앗긴 적이 없었다.[23]
옌시산은 일본의 위협을 알고, 산시성에 대한 임박한 일본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1936년 11월 공산당과 비밀 "통일 전선" 협정을 맺었다. 공산당과의 동맹을 맺은 후, 그는 저우언라이 휘하의 요원들이 타이위안에 비밀 본부를 설립하도록 허락했다.[24] 옌시산은 "적에 대한 저항과 토지 방어"라는 슬로건 아래 젊은 애국적 지식인들을 중국 전역에서 자신의 정부로 모집하려 했다. 1936년까지 타이위안은 베이징, 톈진, 중국 동북 지역에서 도망쳐 온 반일 지식인들의 집결지가 되었다.[25] 일본군의 대표는 타이위안의 최종 방어에 대해 "중국에서 이렇게 완강하게 싸운 적은 없다"고 말했다.[26]
일본의 타이위안 점령에서 1945년 일본 항복까지, 일본은 일본군에 공급하기 위해 타이위안의 산업과 자원을 계속해서 착취했다. 산시성의 일본군이 옌시산에게 항복한 후, 사병과 장교를 포함한 10,000~15,000명의 일본군 병사들은 일본으로 돌아가는 대신 옌시산을 위해 싸우기로 결정했다. 옌시산은 또한 타이위안 주변에 개발한 산업 단지를 운영하기 위해 일본이 타이위안으로 데려온 경험이 풍부하고 외국에서 교육받은 일본 기술자와 전문 직원의 서비스를 유지했다.[27]

타이위안은 국공 내전의 마지막 단계에서 공산당의 통제에 저항한 산시성의 마지막 지역이었다. 1949년 4월 22일, 공산당이 타이위안을 포위하고 모든 육상 및 항공 보급 수단을 차단한 후 도시를 점령했으며, 도시를 점령하는 데 1,300문의 포병 지원이 필요했다.[28] 도시가 공산군에게 함락되자 많은 국민당 장교들이 자살했다.[29]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타이위안 시는 풍부한 지하 자원을 바탕으로 중공업 및 석탄 산업으로 국가를 지원했다. 경제 개방 이후, 노후화된 국영 공장이 많고 해외 물류도 불편했던 타이위안 시는 해안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위가 하락했다. 게다가 지역에서 생산되는 석탄을 연료로 하는 산업 구조로 인해 심각한 대기 오염 등 공해에도 시달렸지만, 환경 개선과 산업 고도화, 교통 기반 정비에 힘쓰고 있다.
3. 지리
타이위안은 펀강 상류의 비옥한 분지 북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도시의 동서 길이는 144km, 남북 길이는 107km이다.[5][30] 타이위안은 산시성을 통과하는 남북 노선과 동쪽의 허베이성, 서쪽의 북부 산시성으로 가는 타이항산을 통과하는 중요한 자연 교통로를 관할한다.
타이위안의 지형, 기후, 천연 자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지형
황투고원의 동쪽, 타이위안 분지 북단에 위치해 있다. 북, 서, 동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중부와 남부에는 펀허와 하곡 평원이 광활하게 펼쳐져 있다. 펀허는 북에서 남으로 도시 전체를 관통하며, 타이위안을 통과하는 구간은 약 100km이다. 전체적으로 북고남저 지형으로, 대부분 해발 800m 정도이며, 최고 지점은 2670m, 최저 지점은 760m이다. 주로 산지와 구릉이 많으나 지세가 평탄하고 토양이 비옥하여 농업이 발달하였다. 평야는 전체 면적의 5분의 1 정도를 차지한다.현재 경작지 면적은 210km2, 임지는 83km2, 초지는 187km2이다. 주요 농작물은 밀, 옥수수, 조, 수수, 콩류, 감자, 고구마 등이며, 채소, 목화, 식용유, 사탕무, 약재 등도 재배한다.
산시 성 최대 하천인 펀허는 징러 지구에서 타이위안 시역으로 들어와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다 상란촌에서 남쪽으로 꺾여 타이위안 시가지를 남북으로 관통한다. 펀허의 지류로는 샤오허, 툰란허, 다촨허, 류린허, 링징허, 양싱허 등이 있다. 시역 중부와 남부는 펀허가 형성한 하곡 평원으로,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은 키 모양을 하고 있다.
분지 내 지형은 평탄하고 토양이 비옥하여 예로부터 농업이 발달하였다. 산기슭에서는 샘이 솟아 물이 풍부하며, 시역 내에는 큰 연못이 6개 있고, 그중 진양호가 가장 크다. 펀허 양안에는 공업용수와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용수로가 펼쳐져 있다.
3. 2. 기후
타이위안은 북온대 대륙성 기후에 속하며,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스텝 기후(BSk)이다.[32] 햇빛이 비치는 시간이 길고 일조량이 많아 태양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다. 연평균 기온은 9°C에서 11°C 사이이며, 서리가 내리지 않는 기간은 140~190일, 얼음이 어는 기간은 대략 120일 정도이다. 평균 강수량은 약 456mm이며, 계절 변화가 뚜렷하다. 봄에는 바람이 많이 불고 건조하며, 여름에는 비가 많이 오지만 더위가 심하지 않다. 가을에는 온화하고 하늘이 맑으며, 겨울에는 눈이 오지만 춥지 않다.[33]봄은 건조하고 가끔 황사가 발생하며, 초여름에는 폭염이 나타난다. 여름은 따뜻하거나 더운 편이며, 연중 강수량의 대부분이 7월과 8월에 집중된다. 겨울은 길고 춥지만 건조하고 맑다. 여름을 제외하고는 건조함 때문에 상당한 일교차가 나타난다.
월평균 기온은 1월 -4.7°C에서 7월 24.3°C 사이이며, 연평균 기온은 10.9°C이다. 월간 일조율은 7월 51%에서 5월 61% 사이이며, 연간 일조 시간은 2,493시간이다. 1951년 이후 최저 기온은 -25.5°C, 최고 기온은 39.4°C를 기록했지만, 1930년 1월 7일에는 비공식 최저 기온 -29.5°C가 기록되었다.[33]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C) | 14.3°C | 19.8°C | 28.3°C | 37.5°C | 37.7°C | 38.7°C | 39.4°C | 36.6°C | 34.9°C | 28.7°C | 23.2°C | 19.6°C | - |
평균 최고 기온 (°C) | 2.3°C | 6.7°C | 13.3°C | 20.7°C | 26.3°C | 29.5°C | 30.3°C | 28.6°C | 24.2°C | 18.1°C | 10.1°C | 3.5°C | - |
평균 기온 (°C) | -4.7°C | -0.7°C | 5.9°C | 13.2°C | 19°C | 22.7°C | 24.3°C | 22.6°C | 17.4°C | 10.8°C | 3.2°C | -3.1°C | - |
평균 최저 기온 (°C) | -10.2°C | -6.5°C | -0.5°C | 6°C | 11.7°C | 16.2°C | 19.1°C | 17.8°C | 12.1°C | 5.1°C | -2°C | -8.1°C | - |
최저 기온 (°C) | -25.5°C | -24.6°C | -18°C | -9.7°C | -0.7°C | 4.4°C | 7.2°C | 7.4°C | -2°C | -13.9°C | -21.2°C | -23.3°C | - |
강수량 (mm) | 3.2mm | 4.7mm | 10.1mm | 22.1mm | 30.6mm | 47.9mm | 104.3mm | 102.5mm | 59.8mm | 29.6mm | 13.1mm | 2.6mm | - |
평균 상대 습도 (%) | 51 | 47 | 44 | 45 | 46 | 57 | 69 | 73 | 71 | 66 | 59 | 52 | - |
평균 일조 시간 | 164.9 | 173.4 | 216.1 | 242.7 | 268.0 | 241.4 | 228.8 | 221.9 | 199.9 | 199.6 | 172.0 | 163.9 | - |
3. 3. 천연 자원
황투고원의 동쪽, 타이위안 분지(太原盆地) 북단(北端)에 위치해있다. 북, 서, 동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중부와 남부에는 펀허 강(汾河)과 허구 평원(河谷平原)이 광활하게 펼쳐져있다. 펀허 강은 북에서 남으로 전시(全市)를 관통해 흐르며, 타이위안을 통해서 흐르는 펀허 강의 길이는 약 100km가량 된다. 전체적으로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은 형세이다. 대부분 해발 800m 정도이며, 가장 높은 지점은 2,670m이고, 가장 낮은 지점은 760m이다. 주로 산지와 구릉이 많으나 지세가 평탄한 편이고 토양이 비옥하여 농업이 발달하였다. 평야는 전체 면적의 5분의 1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현재 경작지(耕作地) 면적은 210km2이고 임지(林地)의 면적은 83km2, 초지(草地)의 면적은 187km2이다. 주요 농작물로는 밀, 옥수수, 조, 수수, 콩류, 감자, 고구마 등이 있다. 주요 경제작물로는 채소, 목화, 식용유(油料), 사탕무, 약재 등이 있다.
타이위안은 석탄, 철, 대리석, 실리카, 보크사이트, 석회암, 흑연, 석영, 인, 석고, 운모, 구리, 금과 같은 풍부한 천연 자원을 가지고 있다. 석탄, 철, 실리카, 대리석의 생산량이 높다. 구자오시는 타이위안 서쪽에 위치한 위성 도시로, 중국에서 가장 큰 제철용 석탄 생산지이다. 타이위안의 수목은 침엽수, 소나무, 백송, 가문비나무, 측백나무가 주를 이룬다.[31]
4. 환경
타이위안시의 면적은 6988km2이다. 타이위안의 삼림 면적은 146,700헥타르이며, 2007년 총 초원 면적은 422.5km2이다.[38] 2015년 6개 도시 구역의 삼림 면적률은 21.69%로 증가했다.[39]
타이위안시는 심각한 대기 오염으로 고통받았으며, 특히 1990년대와 21세기 첫 10년 동안 문제가 심각했다.[40] 한때는 세계에서 대기 오염이 가장 심한 10개 도시 중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41] 최근에는 대기 질 관리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높아지고, 오염 방지를 위한 보다 엄격하고 세부적인 규정이 적용되면서 공기 질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국가통계국에서 발행한 2014년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타이위안시는 더 이상 중국 내 최악의 오염 도시에는 속하지 않지만, 다른 주요 중국 도시들에 비해 여전히 평균 이하의 대기 질을 보이고 있다.[42] 2019년 연구에 따르면 2016년 타이위안시에는 22만 8천 가구가 석탄을 사용했으며, 그해에만 총 1096000ton의 석탄을 태웠다.[43] 연구 저자들은 지역 정부가 석탄 에너지에서 가스 에너지로의 전환을 더욱 추진하고, 더 많은 전기 난방 기반 시설을 제공하며, 더 많은 재생 에너지원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43]
최근 몇 년 동안, 타이위안시는 대기 오염 방지를 위해 추가 조치를 취했으며, 2017년에는 1460km2 규모의 "무연탄 구역"을 만들었다.[44] 이 구역은 대부분의 개인과 단체가 석탄을 구매, 판매, 저장, 운송, 연소 또는 사용하는 것을 금지한다.[44] 2019년 타이위안시 정부는 이 구역의 규모를 약간 확대하여 총 1574km2가 되었다.[44]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타이위안 시는 풍부한 지하 자원을 바탕으로 중공업 및 석탄 산업으로 국가를 지원했다. 경제 개방 이후, 노후화된 국영 공장이 많고 해외 물류도 불편했던 타이위안 시는 해안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위가 하락했다. 게다가 지역에서 생산되는 석탄을 연료로 하는 산업 구조로 인해 심각한 대기 오염 등 공해에도 시달렸지만, 환경 개선과 산업 고도화, 교통 기반 정비에 힘쓰고 있다.
5. 행정 구역
타이위안시는 6개의 시할구, 1개의 현급시와 3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 | 이름 | 간자 |
---|---|---|
시할구 | ||
1 | 잉쩌구 | 迎泽区 |
2 | 싱화링구 | 杏花岭区 |
3 | 젠차오핑구 | 尖草坪区 |
4 | 완바이린구 | 万柏林区 |
5 | 진위안구 | 晋源区 |
6 | 샤오뎬구 | 小店区 |
현급시 | ||
7 | 구자오시 | 古交市 |
현 | ||
8 | 뤄판현 | 娄烦县 |
9 | 양취현 | 阳曲县 |
10 | 칭쉬현 | 清徐县 |
이름 | 중국어 간체 | 한어 병음 | 인구 (2010년) | 면적 (km2) | 인구 밀도 (/km2) |
---|---|---|---|---|---|
시 관할 구역 | |||||
샤오뎬구 | 804,537 | 290km2 | 2,774 | ||
잉쩌구 | 592,007 | 105km2 | 5,638 | ||
싱화링구 | 643,584 | 146km2 | 4,408 | ||
완바이린구 | 749,255 | 289km2 | 2,592 | ||
교외 및 위성 도시 | |||||
젠차오핑구 | 415,705 | 296km2 | 1,404 | ||
진위안구 | 221,431 | 290km2 | 763 | ||
구자오시 | 205,143 | 1512km2 | 135 | ||
농촌 | |||||
칭쉬현 | 343,861 | 608km2 | 565 | ||
양취현 | 120,228 | 2084km2 | 57 | ||
러우판현 | 105,841 | 1289km2 | 82 |
6.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타이위안시의 총 인구는 6959km2 면적에 5,304,061명이며, 이 중 4,529,141명이 1460km2 면적의 6개 도시 구에 거주하고 있다.[45]
7. 경제
2008년 타이위안의 명목 GDP는 1468억위안이었고 예년에 비해 8.1% 성장하였다. 2007년에 타이위안의 1차, 2차, 3차 산업은 각각 20억위안, 639억위안, 596억위안이었다. 타이위안은 중국 석탄 산업의 중심지이며, 아시아에서 가장 큰 스테인리스 철강 공장을 가진 타이위안 철강 회사(TISCO)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산시 중공업과 펀시 기계는 인민 해방군과 해군을 위한 잠수함 미사일을 생산하는 주요 제조사이다.
2010년대 중국의 경제 성장과 함께 타이위안의 경제는 최근 몇 년 동안 꾸준한 성장을 보였다. 2018년 타이위안의 GDP는 3884.5억위안으로 2010년의 두 배 이상이었다.[46] 1인당 가처분 소득은 2018년 31031CNY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는 2017년보다 7.2% 증가한 수치이다.[47] 2015년 타이위안은 40.8513억달러 상당의 상품을 수입했고,[48] 65.9225억달러 상당을 수출했다.[49] 2007년에 타이위안의 1차, 2차 및 3차 산업은 각각 39억위안, 1052억위안, 1322억위안의 가치를 기록했다.[50] 산시성은 중국 석탄의 4분의 1을 생산하며, 타이위안에는 2012년에 거래를 시작한 '중국 타이위안 석탄 거래 센터'가 있다.[51]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타이위안 시는 풍부한 지하 자원을 바탕으로 중공업 및 석탄 산업으로 국가를 지원했다. 경제 개방 이후, 노후화된 국영 공장이 많고 해외 물류도 불편했던 타이위안 시는 해안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위가 하락했다. 게다가 지역에서 생산되는 석탄을 연료로 하는 산업 구조로 인해 심각한 대기 오염 등 공해에도 시달렸지만, 환경 개선과 산업 고도화, 교통 기반 정비에 힘쓰고 있다.
산시성의 중심지로서 상업 활동 또한 활발하다. 1998년 산시 화위 그룹에 의해 백화점 화위 쇼핑센터가 개업했다. 2000년에는 외자계 기업으로는 KFC가 처음으로 번화가인 류샹에 개업했다. 이어서 맥도날드 등도 시내에 다수 점포를 열었다. 화위 슈퍼마켓, 춘차오신 슈퍼마켓, 메이테하오 등 슈퍼마켓 체인이 시내에 산재해 있다. 2005년에는 월마트도 개업했다. 또한 구자오 시의 툰란 탄광 등에서 산출되는 석탄을 에너지원으로 한 공업도 활발하다.
8. 교통
타이위안시는 중화인민공화국 북부 교통의 요충지 중 하나로, 주변 성의 성도를 연결하는 고속도로가 있으며, 중국 주요 도시 및 일부 국제 도시로 운항하는 항공 노선이 있다. G5, G20(스타이 고속도로 포함), G55, G2001(타이위안 순환 고속도로), G307, G108, G208 등 여러 주요 도로가 있다.
8. 1. 개요
타이위안은 베이징과 뤄양 사이에 있어 교통의 요충지이다. 최근 고속도로 정비로 성내 자동차 교통이 편리해졌으며, 타이위안은 그 중심지이다.[1]
교통 | 내용 |
---|---|
항공 | 샤오뎬 구에 타이위안 우수 국제공항이 있으며, 베이징 등 국내 각지와 연결된다.[1] |
철도 | 타이위안 역은 성내 중심 역으로, 국내 각지로 가는 직통 열차가 운행된다. 스자좡에서 타이위안을 잇는 고속철도 노선이 건설되었으며, 베이징에서 우타이산을 경유하는 직행 노선도 계획 중이다. 도시 재개발 계획에 따라 타이위안 난 역이 새로운 터미널로 건설 중이다.[1] |
지하철 | 타이위안 지하철이 개통되었으며, 최종적으로 10개 노선이 개통될 예정이다.[1] |
고속 열차 | 베이징 서~스자좡~타이위안을 잇는 스 타이 여객 전용선이 운행 중이며, 타이위안~선양 북, 타이위안~정저우 고속 열차도 운행된다.[1] |
고속버스 | 타이위안 역 근처 또는 잉저 공원 옆의 버스 터미널에서 국내 각지로 연결되는 도시 간 고속 버스가 운행된다.[1] |
장거리 버스 | 시내 여러 곳에 버스 터미널이 설치되어 있으며, 주로 성내 각지와 연결된다.[1] |
버스 | 타이위안 역을 중심으로 시내 각지에 버스와 트롤리 버스망이 정비되어 있으며, 택시도 많이 운행된다. 1999년부터 비접촉 IC 카드 운임 시스템이 도입되었다.[1] |
국도 | G108 국도, G208 국도, G307 국도가 지나간다.[1] |
8. 2. 대중교통
타이위안 지하철은 2020년에 개통되었다. 1호선은 2024년에 개통될 예정이며, 2호선은 2020년 12월 26일부터 운행 중이다.[1]2016년 초에 시는 8000대 전체 택시 차량을 순수 전기차로 전환하기 시작했으며, 초기에 BYD 오토의 E6 모델을 사용했다.[1]

- '''항공''' - 샤오뎬 구 샤오뎬진 우수촌(시가지에서 약 15km 떨어진 곳)에 타이위안 우수 국제공항이 있으며, 베이징 등 국내 각지와 항공로가 있다.[1]
- '''철도''' - 타이위안 역은 국내 각지로 가는 직통 열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고속철도 계획에서도 스자좡에서 타이위안까지의 노선 건설이 결정되었다. 고속철도는 베이징에서 우타이산을 경유하여 타이위안에 이르는 직행 노선도 계획 중이다. 소요 시간은 3시간 정도를 예정하고 있다. 현재 시내 중심부에서 약 8km 동쪽에 위치한 산시 대학 부근의 북영역 동쪽에 새로운 터미널인 타이위안 난 역으로 도시 재개발을 포함한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베이징까지는 512km이다.[1]
- '''지하철''' - 타이위안 지하철이 개통되었으며, 최종적으로 10개 노선이 개통될 예정이다.[1]
- '''고속 열차''' - 2009년 4월 시간표 개정부터 베이징 서~스자좡~타이위안의 고속 열차인 스 타이 여객 전용선 (신칸센 클래스)이 운행을 시작했다. 소요 시간은 약 3시간 반이다. 타이위안~선양 북, 타이위안~정저우의 고속 열차도 있다.[1]
- '''고속버스''' - 타이위안 역 근처 또는 잉저 공원 옆의 버스 터미널에서 국내 각지로 연결되는 도시 간 고속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수도 베이징을 연결하는 노선은 야간을 제외하고 15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소요 시간은 6시간이다.[1]
- '''장거리 버스''' - 시내 여러 곳에 버스 터미널이 설치되어 있으며, 주로 성내 각지와 운행되고 있다.[1]
- '''버스''' - 타이위안 역을 중심으로 시내 각지에 버스와 트롤리 버스망이 정비되어 있으며, 많은 택시가 운행되고 있다. 비접촉 IC 카드에 의한 운임 시스템은 1999년부터 사용이 시작되었다.[1]
- '''국도''' - G108 국도, G208 국도, G307 국도 3개의 국도가 지나간다.[1]
8. 3. 항공
타이위안 우수 국제공항은 샤오뎬 구 샤오뎬진 우수촌(시가지에서 약 15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베이징 등 국내 각지로 가는 항공편을 운항한다.[53] 타이베이와 다낭으로 가는 국제선 항공편도 이용 가능하다.[54][55] 이 공항은 에어버스 A380의 착륙을 위해 확장되었다.8. 4. 도로
타이위안에는 여러 주요 도로가 있으며, G5, G20(스타이 고속도로 포함), G55, G2001(타이위안 순환 고속도로), G307, G108, G208 등이 있다.- 타이위안 대도시를 순환하는 45km의 중환선 고속도로가 있다.
- 펀강 양쪽 강변에 두 개의 고속도로가 도시 중심부를 통과한다.
- 남사하, 북사하 등을 포함하여 펀강의 아홉 갈래를 따라 건설된 9개의 강변 고속도로가 고속도로 시스템을 구성하며, 타이위안 도심의 주변 지역과 중앙 펀강 강변을 연결한다.
- 타이위안 남부에는 세 개의 "동서" 방향 고속도로(남중환로, 화장가, 잉빈로)와 다섯 개의 "남북" 방향 고속도로(서중환로, 빈허서로, 빈허동로, 다윈로, 건설로 & 타이위로)가 있다.
- 서부 S56 타이위안-구자오 고속도로는 타이위안과 서부 위성 도시 구자오를 연결하며, 루판까지 더 연결된다.
- 북부 양싱 고속도로는 타이위안 시내와 북부 교외 양취현을 연결한다.
- G108 국도, G208 국도, G307 국도 3개의 국도가 지나간다.
8. 5. 철도
타이위안은 중국 북부 고속철도 시스템의 주요 국가 허브 중 하나이다. 스자좡-타이위안 고속철도 및 다퉁-시안 고속철도를 포함하여 타이위안을 통과하는 주요 고속철도가 있다. 고속 열차를 이용하면 타이위안과 베이징 간의 이동 시간이 600km 거리에서 3시간 미만이다.[56]주요 고속철도역은 타이위안 남역이다. 2011년에 개통된 일반 속도 타이위안-중웨이-인촨 철도는 산시성 서부, 산시, 닝샤 및 서쪽으로 더 먼 곳까지 직접 연결된다.

타이위안 역은 성내 여객 및 화물 운송의 중심지로, 30년 전에는 우이 광장 부근에 있었다. 타이위안 역 북쪽에는 거대한 화물 터미널이 있으며, 국내 각지로 가는 직통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스자좡에서 타이위안까지의 고속철도 노선 건설이 결정되었으며, 베이징에서 우타이산을 경유하여 타이위안에 이르는 직행 노선도 계획 중이다. 소요 시간은 3시간 정도로 예정되어 있다. 현재 시내 중심부에서 약 8km 동쪽에 위치한 산시 대학 부근의 북영역 동쪽에 새로운 터미널인 타이위안 남역으로 도시 재개발을 포함한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베이징까지는 512km로, 야간 열차로 하룻밤, 고속버스로 6시간이 걸린다. 교외에는 최근까지 증기 기관차가 운행했던 로컬선이 있으나, 대부분 여객 운송은 하지 않고 공장 인입선으로 사용된다.
2009년 4월 시간표 개정으로 베이징 서~스자좡~타이위안 간 스 타이 여객 전용선(신칸센급) 고속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소요 시간은 약 3시간 반으로, 이전보다 속달성이 뛰어나며 양 시의 중심부를 직접 연결하여 항공기나 고속버스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타이위안~선양 북, 타이위안~정저우 간 고속 열차도 운행되고 있다.
9. 음식
타이위안의 지역 특산물은 다음과 같다.
- 토마토 계란 면(西红柿炒鸡蛋面, xīhóngshì chǎo jīdàn miàn)
- 티젠(剔尖, tī jiān): 긁어 만든 면이다.
- 다오 샤오 면(刀削面, dāo xiāo miàn)
- 토우나오(头脑, tóu nǎo): 양고기, 쌀술과 채소를 넣은 수프이다. 이 요리는 원래 중국의 박식가인 푸 산이, 의술에 능했던 그가 노쇠하고 병든 어머니를 위해 고대 의학인 팔진탕(八珍湯, literally "Soup of Eight Treasures")의 대체 음식으로 만들었는데, 지역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만 사용하면서도 팔진탕과 비슷한 효능을 내도록 했다.[57]
- 라오 천 추 숙성 식초(老陈醋, lǎo chén cù)
- 위츠 밀가루 소시지(榆次灌肠, Yú Cì guàn cháng)
- 채소를 곁들인 돼지고기 튀김(过油肉, guò yóu ròu)
- 양고기 수프(羊肉汤, yángròu tāng)
10. 스포츠
중국 농구 협회 소속의 산시 브레이브 드래곤스는 리버사이드 스포츠 아레나에서 경기를 치른다. 중국 갑급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축구 클럽 산시 메트로폴리스는 산시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에서 경기를 한다.
11. 관광
타이위안은 현대적인 도시이며, 도심에는 역사적인 건물이 몇 채 남아 있지 않다. 오래된 타이위안의 잔재는 중앙역 서쪽, 푸동 거리 북쪽, 우이 로드 근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타이위안 시내 빈허 로드 서쪽에 위치한 산시 박물관이 있으며, 중국에서 가장 큰 박물관 중 하나이다.
도시 문장에 등장하는 용조 사원의 쌍둥이 탑은 오랫동안 타이위안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용조 사원은 도시 중심부 남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모란 정원과 순교자 묘지로도 유명하다.
시내 중심부에 있는 총산 사원, 롱탄 공원, 그리고 잉저 공원(잉저 거리 바로 옆)은 인기 있는 관광지이다.[58]
진사 사원(탕슈위 사원)은 타이위안 남부 진위안 구에 위치해 있으며, 주나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진사에는 난라오 샘, 미인상, 여왕상이 있다. 물고기 연못을 가로지르는 비행교는 송나라 때 지어졌으며, 십자형 구조로 유명하다.[59]
타이위안 서쪽 서산 산맥을 따라가면 북제 시대부터 수 세기에 걸쳐 점차 건설된 톈룽산 석굴을 찾을 수 있으며, 수천 개의 불상과 예술 작품이 있다. 석굴은 현재 손상된 상태이며, 많은 조각상이 사라져 방문객들은 과거의 모습을 상상하기 어렵다. 석굴의 많은 조각상은 현재 전 세계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그러나 조각상들이 보존되고 전시될 수는 있지만, 박물관 방문객들은 원래의 역사적, 공간적, 종교적 맥락에서 그것들을 이해할 수 없다. 시카고 대학교의 연구원들은 2013년에 톈룽산 석굴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석굴과 조각상의 연구 및 디지털 이미징을 추구했다.[60]
톈룽산 석굴에서 멀지 않은 곳에 중국에서 유일한 도교 석굴 유적인 롱산 석굴이 있다. 주요 8개의 석굴은 위안 시대인 1234~1239년에 조각되었다.
- 진사: 시내에서 남서쪽으로 25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북위 시대에 최초의 진공 당숙우를 모신 사당이다. 중국 전통 정원과 당나라, 송나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많은 전각과 누각이 있다.
- 쌍탑사: 엽서에도 등장하는 타이위안의 상징이다.
- 톈룽산 석굴
- 석비 공원: 석비를 모아놓은 공원이다. 시내 서부에 위치한다.
- 오일 광장: 타이위안역에서 서쪽 방향의 시내 중심부에 있다. 주변에는 영화관, 백화점, 상점, 음식점, 호텔, 은행 등이 모여 있다. 광장 지하에는 거대한 방공호가 있으며, 일부는 지하 상가로 개방되기도 한다.
- 류샹가: 시내 최고의 번화가이다. 주요 백화점 등이 모여 있다. 야시장이 유명하며, 매일 밤 많은 노점이 늘어선다. KFC 타이위안 1호점도 이곳에 있다(원래는 이즈모 슈퍼마켓이라는 야오한 관련 슈퍼마켓).
- 영택공원: 시내 최대의 공원이다. 큰 호수를 중심으로 유원지, 수족관, 호텔 등이 있다.
- 아동공원: 번화가 류샹과 오일 광장을 잇는 하이쯔변 거리에 있다. 수맥상 영택공원과 같은 호수가 있다.
- 와호산 공원: 시내 북동부에 위치한다. 1998년 이와테현 단체에서 기증한 2000그루의 벚나무가 심어져 있지만, 대부분 고사하여 80그루 정도밖에 남지 않았다. 오래된 저택 터에 이 지역에서는 드문 왕벚나무 고목이 있으며, 전쟁 중 및 전후 시기에 심어졌다는 설이 있다.
- 동물원: 과거에는 시내 중심부에서 약간 떨어진 북서부에 있었다. 와호산에는 현재 시내에서 이전한 동물원이 있다.
- 중국 석탄 박물관
- 산시 박물원
12. 교육 및 연구
타이위안시는 2022년 현재 네이처 인덱스(Nature Index)[61]가 추적한 과학 연구 생산량 기준 세계 200대 도시 중 하나로 연구의 중심지이다. 타이위안 이공대학, 산시 대학, 중베이 대학, 산시 의과대학, 타이위안 과학기술대학, 타이위안 사범대학, 산시 재경대학, 산시 중의학원 등 중국 국가 중점 대학교 및 국립 대학교가 이곳에 위치해 있다.
12. 1. 대학교
- 타이위안 이공대학
- 산시 대학
- 중베이 대학
- 산시 의과대학
- 타이위안 과학기술대학
- 타이위안 사범대학
- 산시 재경대학
- 산시 중의학원
- 산서 대학은 중국 초기에 설립된 대학 중 하나로, 릿쿄 대학과 교류하고 있다.
- 산서 의과 대학은 사이타마 의과대학과 관계를 맺고 있다.
- 산서외경학원은 일본어 교육에 힘쓰고 있다.
- 산서 재경 대학은 간토가쿠엔 대학과 교류하고 있다.
- 산서 대학 상무 학원 일본어과는 릿쿄 대학 외 3개 학교와 교류하고 있다.
12. 2. 주요 고등학교
- 산서대학 부속 중학교()
- 타이위안 제5중학교(太原五中|타이위안 제5중학교중국어)
- 산시성 실험 중학교()
- 타이위안 외국어 학교()
- 산시 현대 이중 언어 학교()
- 타이위안 청청 중학교()
- 타이위안 제12 중학교(太原十二中|타이위안 제12중학교중국어)
13. 자매 도시
타이위안시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62][63][64]
국가 | 도시 | 주/현/지역 | 관계 수립일 |
---|---|---|---|
姫路|히메지일본어 | 히메지시 | 효고현 | 1987년 5월 19일 |
Newcastle upon Tyne|뉴캐슬어폰타인영어 | 뉴캐슬어폰타인 | 잉글랜드 | |
Chemnitz|켐니츠de | 켐니츠 | 작센주 | 1995년 5월 17일 |
Launceston|론서스턴영어 | 론서스턴 | 태즈메이니아주 | 1995년 11월 28일 |
Nashville|내슈빌영어 | 내슈빌 | 테네시주 | 2007년 4월 18일[67] |
Сыктывкар|식팁카르ru | 식팁카르 | 코미 공화국 | 1994년 9월 1일 |
Саратов|사라토프ru | 사라토프 | 사라토프주 | 1995년 12월 8일 |
Saint-Denis|생드니프랑스어 | 생드니 | 레위니옹 | 2012년 3월 2일 |
Douala|두알라cm | 두알라 | 1999년 10월 12일 | |
Донецьк|도네츠크uk | 도네츠크 | 2012년 8월 25일 | |
Хуҷанд|후잔트tg | 후잔트 | 2017년 8월 31일[66] |
참조
[1]
서적
"《山西统计年鉴-2021》"
中国统计出版社
2021-12
[2]
웹사이트
The World According to GaWC 2020
https://www.lboro.ac[...]
Globalization and World Cities
2020-08-31
[3]
사전
Taiyuan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4]
Merriam-Webster
Taiyuan
[5]
웹사이트
太原市
http://www.shanxigov[...]
Shanxi People's Government
2012-10-26
[6]
웹사이트
역사연혁
http://www.taiyuan.g[...]
Taiyuan People's Government
[7]
웹사이트
China: Shānxī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s://www.citypopu[...]
[8]
웹사이트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https://country.eiu.[...]
2019-06-13
[9]
학술지
太原别称溯源
https://www.sohu.com[...]
2021-12-16
[10]
웹사이트
汉典-三京
http://www.zdic.net/[...]
2015-08-26
[11]
웹사이트
先秦史籍中的"太原"
http://www.tydao.com[...]
2010-04-22
[12]
서적
太原指南汉
https://books.google[...]
"[[zh:五洲传播出版社|China Intercontinental Press]]"
2020-10-18
[13]
문서
Sima Qian vol. 43 司马迁 史记 卷43
[14]
웹사이트
역사연혁
http://www.taiyuan.g[...]
2015-08-26
[15]
문서
资治通鉴 唐纪三 司马光
[16]
문서
Zizhi Tongjian
[17]
서적
The Reigns of Hui-tsung (1100–1126) and Ch’in-tsung (1126–1127) and the Fall of the Northern Su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8]
서적
The Hia H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9]
서적
Shen-tsung's Reign and the New Policies of Wang An-shih, 1067–108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20]
서적
山西票号史料
Shanxi Economics Publishing Press
[21]
문서
History of banking in China
[22]
서적
The Boxers, China, and the World
Rowman & Littlefield
2016-02-13
[23]
학술지
"Portrait of a Warlord: Yen Hsi-shan in Shansi Province, 1911–1930."
https://www.jstor.or[...]
1960-05
[24]
서적
Warlord: Yen Hsi-shan in Shansi Province 1911–1949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서적
"North China at War: The Social Ecology of Revolution, 1937–1945"
https://books.google[...]
Rowman and Littlefield
2012-06-03
[26]
서적
Warlord: Yen Hsi-shan in Shansi Province 1911–1949
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학술지
"Staying On: Japanese Soldiers and Civilians in China, 1945–1949."
https://www.jstor.or[...]
1983-05
[28]
서적
Warlord: Yen Hsi-shan in Shansi Province 1911–1949
Princeton University Press
[29]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W.W. Norton and Company
[30]
웹사이트
City of Taiyuan
http://www.shanxigov[...]
2015-07-23
[31]
서적
Water Pollution and Water Quality Control of Selected Chinese Reservoir Basins
https://www.springer[...]
Springer
2018-01-29
[32]
웹사이트
山西太原天气特点介绍(山西太原天气特点)_产业观察网
https://house.51repo[...]
2023-03-10
[33]
웹사이트
中国各地城市的历史最低气温
https://weibo.com/tt[...]
2024-09-13
[34]
웹사이트
中国地面国际交换站气候标准值月值数据集(1971-2000年)
http://old-cdc.cma.g[...]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09-03-17
[35]
웹사이트
Index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8-11-09
[36]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4-11
[37]
웹사이트
Météo Climat stats for Taiyuan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9-11-01
[38]
논문
Health benefits of improving air quality in Taiyuan, China
[39]
웹사이트
http://www.taiyuan.g[...]
Taiyuan People's Government
[40]
웹사이트
Ambient Air Quality in Main Cities (2004) in China Statistics 2005
http://www.allcountr[...]
2016-04-14
[41]
뉴스
WEATHER & EXTREME EVENTS 7 of 10 Most Air-Polluted Cities Are in China
http://news.discover[...]
Imaginechina/Corbis
2013-01-16
[42]
웹사이트
Ambient Air Quality in Main Cities (2013) in China Statistics 2014
http://www.stats.gov[...]
2015-11-29
[43]
웹사이트
http://www.hjkxyj.or[...]
2019
[44]
뉴스
http://www.xinhuanet[...]
[45]
웹사이트
http://www.sx.xinhua[...]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15-06-02
[46]
웹사이트
https://www.ceicdata[...]
[47]
웹사이트
http://m.xinhuanet.c[...]
[48]
웹사이트
https://www.ceicdata[...]
[49]
웹사이트
https://www.ceicdata[...]
[50]
웹사이트
http://www.stats-sx.[...]
Shanxi Bureau of Statistics
2014-04-09
[51]
웹사이트
China Taiyuan coal transaction center put into operation
http://www.china.org[...]
China.org.cn
2012-02-23
[52]
간행물
Electric taxis on the roads in Taiyuan
http://www.chinadail[...]
2016-03-16
[53]
웹사이트
http://www.chengduai[...]
Chengdu Airlines Co., Ltd.
[54]
웹사이트
EVA Air/UNI Air Adds New Routes to China from July 2014
http://airlineroute.[...]
2014-05-14
[55]
웹사이트
EVA Air/UNI Air Adds New Routes to China from July 2014
http://airlineroute.[...]
2014-05-18
[56]
뉴스
High-speed rails to slash travel time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09-03-25
[57]
웹사이트
http://www.sx.chinan[...]
[58]
웹사이트
Taiyuan Attractions
http://www.travelchi[...]
[59]
웹사이트
Visit Jinci Temple
http://www.tour-beij[...]
2017-10-16
[60]
웹사이트
Center for the Art of East Asia in the Department of Art History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https://tls.uchicago[...]
2017-12-30
[61]
웹사이트
Leading 200 science cities
https://www.nature.c[...]
2022-11-27
[62]
웹사이트
Foreign Exchanges
http://www.china.org[...]
China.org.cn
[63]
웹사이트
http://wsb.shanxi.go[...]
Shanxi People's Government
2022-01-17
[64]
웹사이트
http://www.sxrb.com/[...]
Shanxi Evening News
2017-11-17
[65]
웹사이트
Jumelage entre Taiyuan et St-Denis : La Chine se rapproche un peu plus de la Réunion
http://www.zinfos974[...]
Zinfos974
2017-11-17
[66]
웹사이트
http://tyrb.tynews.c[...]
2017-11-17
[67]
웹사이트
Sister Cities of Nashville
http://www.scnashvil[...]
[68]
문서
山西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69]
웹인용
http://old-cdc.cma.g[...]
중국기상국
2009-03-17
[70]
웹인용
Index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18-11-09
[71]
웹인용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0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