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완화치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화 치료는 1960년대 호스피스 운동에서 발전하여, 질병의 모든 단계에서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의료 서비스이다. 통증 및 증상 관리, 간병인 지원, 치료 조정을 통해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영적 고통을 완화하며, 응급실, 병원, 호스피스 시설, 가정 등 다양한 환경에서 제공된다. 완화 치료는 호스피스와 유사한 목표를 공유하지만, 미국에서는 메디케어 혜택을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호스피스와 달리, 질병의 초기 단계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임종 치료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료 - 의료사회학
    의료사회학은 의료와 건강의 사회적 측면을 연구하는 사회학 분야로, 사회 개혁 운동과 연관되어 발전 후 학문적 체계가 확립되었으며, 다양한 이론적 관점을 통해 여러 연구 주제를 다루고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의료 - 맞춤의학
    맞춤의학은 환자의 유전적, 분자 생물학적, 세포적 특징을 고려하여 개인에게 최적화된 치료법을 제공하는 의료 모델로, 더 나은 진단과 효율적인 약물 개발, 표적화된 치료법을 제공하지만 데이터 관련 문제와 규제 및 윤리적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완화치료

2. 역사

완화 치료는 1960년대 시실리 손더스와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등에 의해 시작된 호스피스 운동에서 발전했다.[155] 1967년 손더스는 런던에 세인트 크리스토퍼 호스피스를 설립하여 말기 환자 돌봄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21] 1969년 퀴블러 로스는 "On Death and Dying"을 출간하여 죽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켰다.[155]

1974년 발푸어 마운트는 시실리 손더스와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의 연구를 바탕으로 "완화 치료"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고,[155] 폴 헨텔레프는 위니펙의 세인트 보니페이스 병원에 새로운 "말기 치료" 부서의 책임자가 되었다.[22] 1987년 데클란 왈시(Declan Walsh)는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클리닉 암 센터에 완화 의학 서비스를 설립했다.[157] 이 프로그램은 세계보건기구(WHO)가 국제 시범 프로젝트로 지정하고 유럽 종양 내과 학회가 종양 및 완화 치료 통합 센터로 인증한 The Harry R. Horvitz 완화 의학 센터로 발전했다.[158]

국립암연구센터의 2017년 조사에 따르면, 이나 심장 질환 등으로 사망한 환자 유족 5만 명 중 40%가 사망 직전 1개월 동안 신체적 고통을 경험했으며, 그중 암 환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가장 큰 이유는 "의사가 대응했지만 불충분했다"는 것으로, 완화 치료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140]

3. 범위

완화 치료는 통증 및 증상 관리, 간병인 지원, 치료 조정을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147][148] 완화 치료는 응급실, 병원, 호스피스 시설, 가정 등 다양한 환경에서 제공될 수 있다.[149]

여러 의료 전문 기관들은 질병의 진단 시점 또는 치료가 효과가 없을 때 완화 치료를 시작할 것을 권장한다.[147] 예를 들어, 미국 임상 종양학회는 진행성 환자가 진단 후 8주 이내에 완화 치료를 받도록 권고한다.[147]

완화 치료는 증상 조절, 삶의 질, 가족 만족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전반적인 건강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150][151]

3. 1. 호스피스 치료와의 비교

완화 치료와 호스피스는 불쾌한 증상 완화, 통증 조절, 심리적 고통 해결이라는 비슷한 목표를 공유한다.[152] 호스피스 치료는 편안함과 심리적 지원에 중점을 두며, 치료 요법은 추구되지 않는다.

미국에서 "호스피스"는 1982년부터 연방 정부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구체적으로 지칭한다.[16] 메디케어 호스피스 혜택에 따라, 두 명의 의사로부터 6개월 미만의 생존 가능성을 진단받은 개인은 메디케어, 메디케이드, 대부분의 건강 유지 기구 및 사보험사를 통해 전문 호스피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환자가 6개월 이상 생존하더라도 호스피스 혜택은 철회되지 않는다.[16]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호스피스는 완화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기관을 의미한다.[152] 이러한 기관은 말기 환자와 완화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치료를 제공한다.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호스피스 치료와 완화 치료는 동의어이며, 자금 조달 방법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152]

한국에서는 임종 간호를 수행하는 시설을 호스피스라고 부르며, 완화 치료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 하지만, 최근 완화 치료가 발달하면서 암 진단 초기부터 적극적인 치료와 병행해야 한다고 여겨지며, 암 이외의 질환으로도 확대되고 있다.

4. 완화 치료의 실제

완화 치료는 환자와 가족의 고통을 완화하여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성직자 등 다양한 전문가로 구성된 완화 치료팀이 환자를 돌본다.[147]

완화 치료는 질병의 모든 단계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임종 치료에만 국한되지 않는다.[147][148] 응급실, 병원, 호스피스 시설, 가정 등 다양한 환경에서 시작할 수 있다.[149] 진행성 암 환자의 경우, 진단 후 8주 이내에 완화 치료팀에 의뢰하는 것이 권장된다.[147]

완화 치료는 전반적인 건강 관리 비용을 줄이면서 증상 조절, 삶의 질, 치료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150][151] 미국에서는 호스피스 서비스와 완화 치료 프로그램이 유사한 목표를 공유하지만, 호스피스 케어는 치료 요법을 추구하지 않고 6개월 미만의 생존 기간이 예상되는 환자에게 제공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는 호스피스와 완화 치료가 동의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152]

완화 치료에 사용되는 도구 중 하나는 ''Edmonton Symptom Assessment Scale''(ESAS)이다. 이 도구는 통증, 활동성, 메스꺼움, 우울증, 불안, 졸음, 식욕, 웰빙, 숨가쁨 등의 증상 정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166][167]

세계 보건 기구(WHO)는 2002년에 완화 치료를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으로 어려움을 겪는 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고통을 예방하고 완화함으로써 삶의 질(QOL)을 개선하는 행위"로 정의했다. 여기에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영적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하게 평가하며 처치하는 것이 포함된다.[137]

과거에는 의료 현장에서 완화 치료가 부족했지만, 현재는 말기 치료뿐만 아니라 진단 초기부터 완화 치료를 중시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암 대책 기본법).

2017년 국립암연구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사망 직전 1개월 동안 신체적 고통을 느낀 환자는 전체의 40%였으며, 암 환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는 완화 치료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140]

4. 1. 주요 처치


  • 환자와 가족에게 질병 및 예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 결정을 지원한다.[137]
  • 통증 관리를 포함하여 통증, 호흡곤란, 메스꺼움, 구토, 변비 등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관리한다.[177]
  • 청결 유지, 욕창 예방 등 환자의 기본적인 간호를 제공한다.[137]
  • 흉수, 복수 등 합병증을 관리한다.[137]
  • 경구 섭취가 어려운 환자에게 적절한 영양을 공급한다.[137]
  • 소생술 거부(DNR) 확인 등 임종 과정에서 환자와 가족의 의사를 존중하며, 편안한 임종을 맞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137][138]
  • 임종 후 가족의 슬픔을 덜어주기 위한 지원을 제공한다.[137]
  • 환자와 가족의 심리적, 사회적, 영적 고통을 완화하기 위한 지원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정신건강 전문가, 사회복지사, 치료팀 등이 포함될 수 있다.[174]
  • 완화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일반적인 약물일 수 있지만, 다양한 증거와 함께 확립된 관행에 따라 다른 적응증(어떤 약제나 수술에 의하여 치료 효과가 기대되는 병이나 증세)에 사용될 수 있다.[31] 예를 들어 메스꺼움을 치료하기 위한 항정신병 약물,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항경련제, 호흡곤란을 치료하기 위한 모르핀이 있다.[169]
  • 완화 치료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삼키는 능력을 잃기 때문에 투여 경로는 급성 또는 만성 치료와 다를 수 있다.[169] 일반적인 대체 투여 경로는 정맥 주사 약물보다 외상이 덜하고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피하 주사이다. 다른 투여 경로에는 설하, 근육 내 및 경피 투여가 있다.[169]

4. 2. 통증 관리

세계 보건 기구(WHO) 방식의 통증 관리는 완화 치료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통증 정도에 따라 비마약성 진통제, 약한 마약성 진통제, 강한 마약성 진통제를 단계적으로 사용한다.[39] 진통제는 규칙적으로 투여하며, 통증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투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춰 진통제의 종류와 용량을 조절한다. 변비, 구역 등 진통제의 부작용을 예방하고 관리한다.[32]

  • 진통제 투여 원칙
  • 주야간 지속적인 통증 관리를 한다.
  • 원칙적으로 경구 투여하거나 튜브 없이 실시한다. 가능한 간단한 경로(경구 투여)가 가장 좋지만, 불가능할 경우 직장 내 투여 또는 주사로 투여한다.
  • 시간을 정해 규칙적으로 투여한다. 진통 효과가 떨어지기 1시간 전에 다음 투여분을 투여하며, 필요시 투여 지시는 하지 않는다.
  • 통증 정도에 따라 단계를 밟아 진통제를 선택한다.

1. 비오피오이드계 진통제 (아세틸살리실산, 아세트아미노펜)를 사용한다.

2. 충분한 효과가 없을 경우, 약한 오피오이드계 진통제 (인산 코데인)을 추가 처방한다.

3. 효과가 불충분할 때, 강한 오피오이드계 진통제 (모르핀)으로 전환한다.

4. 약물 외 방법 (신경 블록 등)을 고려한다.

  • 환자 개인에 맞춘다. 통증에 필요한 적정량은 환자에 따라 다르므로 소량으로 투여를 시작하여 효과에 따라 점차 증량한다. 모르핀 사용은 예측되는 생존 기간이 아니라 통증 강도로 결정한다.
  • 변비와 같은 모르핀 부작용과,말기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하는 변비에 대해서, 미리 하제 등을 사용하여 부작용 대책을 미리 세운다. 효과에 대한 전망과 예상되는 부작용에 대해서는 미리 설명해 둔다.

  • 진통제 종류
  • 비마약성 진통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NSAID·NSAIDs) - 록소프로펜(록소닌), 디클로페낙(볼타렌), 아세틸살리실산(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 약한 마약성 진통제: 인산 코데인 내복 또는 부프레노르핀(레페탄) 좌약
  • 강한 마약성 진통제:
  • 모르핀 제제: MS 컨틴, 카디안 내복, 암펙 좌약, 염산 모르핀 정, 옵소 내복액 등
  • 옥시코돈 제제: 옥시콘틴 정, 옥시놈 산
  • 펜타닐 제제: 듀로테프 패치(첩부약), 펜타네스트(주사제)

  • 보조 요법: 항전간제(카르바마제핀), 정신과 약물,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등

4. 3. 영적 돌봄 (Spiritual Care)

영성은 완화 치료의 근본적인 요소이다.[45] 질 좋은 완화 치료를 위한 임상 진료 지침에 따르면, 영성은 "인간성의 역동적이고 내재적인 측면"이며, 특히 만성적이고 진행성인 불치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만성적이고 심각한 질병을 가진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과 관련이 있다.[186][181][182] 영적 신념과 실천은 진행성 암 환자의 삶의 질뿐만 아니라 고통과 고통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183]

영적 욕구는 사랑/사랑받는 것, 용서, 삶의 의미 해독을 포함하는 것으로 문헌에서 종종 설명된다.[184][187] 세계 보건 기구(WHO)는 "완화 치료는 모든 인간의 복지에 관계되기 때문에, 완화 치료를 실시함에 있어서 인간으로서 살아가는 것이 갖는 spiritual한 측면을 인식하고 중시해야 한다"라고 언급하며, 환자가 겪는 영적 고통(영적 측면, 실제적 측면, 인생의 의미)과 관련된 고통에도 배려해야 하며, '''영적 돌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48][49]

대부분의 영적 개입은 주관적이고 복잡하다.[185][186] 많은 영적 개입이 그 효과에 대해 잘 평가되지 않았지만, 효과적인 영적 돌봄을 측정하고 실행하는 데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186][187][188]

5. 소아 완화 치료

소아 완화 치료는 심각한 질병을 가진 어린이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194] 소아 완화 치료팀은 의사소통 및 의사 결정 과정에서 가족 중심적이고, 발달 및 연령에 적합한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194]

소아 완화 치료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194]


  • 통증 및 기타 고통스러운 증상을 평가하고 관리한다.
  • 다학제 팀과의 협력을 통해 치료를 조정한다.
  • 환자와 가족이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을 연결해 준다.
  • 질병과 사별을 경험하는 아동과 가족을 심리적으로 지원한다.[194]


성인 완화 치료와 마찬가지로, 소아 완화 치료에서도 증상 평가 및 관리는 삶의 질을 높이고, 아동과 가족에게 통제감을 주며, 때로는 생명을 연장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다.[18] 완화 치료팀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아동의 고통스러운 증상을 평가하고 관리한다.[18]

  • 병력 청취를 통해 증상을 확인하고 평가한다. 특히 소아의 경우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아동과 보호자 모두의 병력을 듣는 것이 중요하다. 4세 미만의 아동도 시각적 도구나 비유를 통해 통증의 위치와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60]
  • 아동의 신체 검사를 철저히 실시한다. 미숙아나 신생아도 통증을 느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므로,[61][62] 이들의 행동 반응에 주의해야 한다. 심한 통증을 겪는 아동은 지나치게 얌전하거나 우울해 보일 수 있으며, 모르핀 투여 시 통증 완화와 일치하는 행동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63]
  • 치료 장소(3차 병원, 지역 병원, 중환자실, 가정, 호스피스 등)를 확인한다.
  • 가설 진단에 따라 예상되는 증상을 예측한다.
  • 각 치료 환경에서 이용 가능한 치료 옵션과 자원을 가족에게 제시한다. 완화 치료 환경의 전환을 예상하여 의료, 교육, 사회 복지 환경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돕는다.
  • 약물 치료와 함께 비약물 치료(교육, 정신 건강 지원, 온열/냉찜질, 마사지, 놀이 치료, 주의 분산 치료, 최면 치료, 물리 치료, 작업 치료, 보완 치료)를 고려한다. 단기 보호 치료를 통해 가족에게 휴식과 재충전의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64]
  • 아동의 증상 인식을 평가하여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세운다.
  • 치료 후 증상 재평가에 아동과 가족을 참여시킨다.[18]


소아 완화 치료 상담이 필요한 만성 질환 아동의 흔한 증상은 다음과 같다: 쇠약, 피로, 통증, 식욕 부진, 체중 감소, 초조, 이동성 부족, 숨가쁨, 메스꺼움/구토, 변비, 슬픔/우울, 졸음, 언어 장애, 두통, 과도한 분비물, 빈혈, 압박 부위 문제, 불안, 발열, 구내염.[65][66] 임종 시 흔한 증상은 숨가쁨, 기침, 피로, 통증, 메스꺼움/구토, 초조/불안, 집중력 저하, 피부 병변, 사지 부종, 발작, 식욕 부진, 수유 곤란, 설사이다.[67][68] 신경학적/신경근육 질환이 있는 아동은 질병 진행, 장애 증가, 간병인 의존도 증가로 인해 높은 수준의 불안과 우울증을 겪을 수 있다.[69]

소아 완화 치료팀은 아동 및 가족과의 소통을 촉진하고, 다학제적 소아 진료 의료팀과의 소통을 통해 조정된 의료 관리와 아동의 삶의 질 향상을 돕는다.[77] 소아 완화 치료 전문가는 여러 의료팀 간의 합의를 이끌어내고, 환자와 가족에게 복잡한 질병 및 치료 선택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을 지원하며, 질병으로 인한 정서적 고통과 의사 결정 과정을 지원한다.

소아 완화 치료 환경에서 사용되는 소통 전략은 다음과 같다.[59]

  • 환자와 가족과의 지지적 관계 형성: 아동과 가족의 선호도, 특성, 삶의 목표, 영적/종교적 신념 등을 깊이 이해하고, 개별화된 완화 치료를 제공한다.[59]
  • 환자와 가족과 아동의 상태에 대한 공통된 이해 형성: 의료 제공자, 환자, 가족 간의 지식 공유를 통해 소아 환자의 완화 치료 목표를 결정한다. '묻고, 말하고, 묻기'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환자와 가족의 이해 수준을 파악하고, 전문 지식을 제공하며, 이해도를 반복적으로 확인한다.[78][79]
  • 아동의 질병과 관련하여 의미와 존엄성 확립: 질병에 대한 아동과 가족의 상징적, 정서적 관계를 평가하고, 질병을 아동의 삶의 더 넓은 틀 안에서 맥락화하여 의미와 존엄성을 확립한다. 존엄성 치료와 의미 중심 심리 치료에서 파생된 질문들을 활용할 수 있다.[80][81]
  • 의사 결정에 대한 선호도 평가: 소아 환경에서는 법적 보호자가 의료 결정을 내리지만, 완화 치료에서는 아동의 선호도를 치료 목표에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가족마다 의사 결정 참여 정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가족의 선호도를 명확히 하고 지원한다.[82]
  • 예후 및 치료 목표에 대한 효과적인 대화 환경 조성: 가족 회의를 통해 가족과 아동의 다학제적 의료팀 간의 공식적인 회의를 진행한다. 완화 치료 제공자는 회의를 촉진하고 결과를 종합하며, 조용하고 제약 없는 공간에서 가족 회의를 개최한다. 청소년의 경우 가족 회의에서 제외되면 의료 제공자를 신뢰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어려운 정보 공개 여부는 아동의 의견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77][82][87]
  • 정서적 고통 지원: 질병의 정서적 스트레스를 겪는 아동, 가족, 간병팀을 지원한다. 허가 요청, 감정 명명, 적극적 경청, 침묵 허용 등의 소통 전략을 사용하고, 정서적 반응과 요구를 반복적으로 평가한다.[88]
  • SPIKE 프레임워크: 나쁜 소식을 전달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로, 설정(setting), 인식(perception), 초대(invitation), 지식(knowledge), 공감(empathy), 요약/전략(summarize/strategy)으로 구성된다.[79] 환경, 환자의 정보 이해도, 추가 정보 공개 전 환자 초대, 환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지식 전달, 공감, 정보 요약 및 미래 계획 등을 고려한다.[91][92][93][94]

6. 노인 완화 치료

전 세계적으로 영아 사망률 및 일반 사망률 감소로 인해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이러한 인구 변화가 사회 보장 및 의료비 지출 증가로 이어져 국가 재정에 부담을 주고 있다. 고령화 인구로 인해 기존 자원에 대한 압박이 커지면서, 비전염성 만성 질환 환자를 위한 장기 완화 치료가 중요해지고 있다. 완화 치료는 예방과 완화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접근 방식이다. 이는 고통의 근원뿐만 아니라 정신 사회적, 영적 문제들을 파악하고 평가하며 치료함으로써 이루어진다.[95]

7. 종교와 완화 치료

가톨릭 교리의 전통적인 참고 자료는 완화 치료의 사용을 인정하고 지지한다.[96] 세계 주요 종교(신자 수 기준) 대부분도 이러한 관점에 동의한다.[97][98]

8. 사회와 완화 치료

호스피스와 완화 치료는 비슷한 철학을 가지고 있지만, 제공되는 서비스나 환경, 국가별로 차이가 있다.

1990년대 이후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완화 치료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수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병상 100개 이상의 병원 중 55%가 완화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109] 지역 사회 병원의 약 20%가 완화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10] 그러나 많은 국가에서 완화 치료는 여전히 공중 보건 문제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공중 보건 의제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3]

자원 부족과 문화적 태도는 의료 의제에서 완화 치료의 수용과 실행에 큰 영향을 미친다.[3] 특히 심각한 정신 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정신 건강 및 임종 간호 서비스 자원 부족으로 인해 시기적절하고 적절한 완화 치료를 받기 어렵다.[112][113]

완화 치료 의뢰는 환자가 사망에 대한 확정적인 시한을 가질 때만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종종 부정확하며 환자가 임종 간호에 접근하거나 의료 전문가로부터 시한을 받지 못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14][115]

만성 통증 환자들은 낙인이 찍히거나 마약 중독자로 취급받는 경우가 있다. 환자는 약물에 대한 내성을 키워 통증 관리를 위해 더 많은 양을 복용해야 할 수 있으며, 이들의 증상은 스캔에 나타나지 않아 의사는 신뢰에 의존해야 한다. 이 때문에 일부 환자들은 의사와 상담하기를 기다리며 도움을 구하기 전에 수년간 고통을 견디기도 한다.[116]

국립암연구센터가 2017년 이나 심장 질환 등으로 사망한 환자 유족 5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사망 직전 1개월 동안 신체적 고통이나 괴로움을 느낀 환자는 40%였으며, 암 환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가장 큰 이유는 "의사가 대응했지만 불충분했다"로, 완화 치료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현실을 보여준다. 환자와 의사 사이에 말기 치료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 경우는 20%에 불과했으며, 국립암연구센터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밝혔다.[140]

8. 1. 서비스 인증 및 교육

대부분의 국가에서 호스피스 완화 치료는 의사, 임상 약사, 간호사, 간호 보조원, 사회복지사, 호스피스 목사, 간병인으로 구성된 다학제 팀에 의해 제공된다.[147]

영국에서는 완화 의학 전문의 훈련이 내과 훈련과 함께 진행된다. 완화 의학 훈련은 재단 프로그램과 핵심 훈련 프로그램을 모두 성공적으로 마친 후에 가능하다. 핵심 훈련 프로그램에는 내과 훈련(IMT)과 급성 치료 공통 줄기 - 내과(ACCS-IM)의 두 가지가 있다.[147]

미국에서는 2006년 호스피스 완화 의학 의사 하위 전문 분야가 설립되었다. 이는 생명을 제한하는 진행성 질환 및 재앙적인 부상을 겪는 사람들을 돌보고, 고통스러운 증상을 완화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다학제 치료를 조정하고, 호스피스를 포함한 전문화된 치료 시스템을 사용하며, 임박한 사망 환자를 관리하고, 생애 말기 치료에서 법적 및 윤리적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전문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147] 완화 치료 분야의 의사 자격증은 미국 호스피스 완화 의학 위원회를 통해 이루어졌지만, 최근에는 미국 의학 전문 위원회가 승인한 절차를 통해 11개의 다른 전문 위원회를 통해 수행하도록 변경되었다. 미국 골수 요법 (골수 요법 의사) 의사는 미국 골수 요법 전문가 협회가 승인한 절차를 통해 4개의 의학 전문 위원회를 통해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50개 이상의 펠로우십 프로그램이 1~2년의 1차 레지던시 이후 전문 훈련을 제공한다.[147] 영국에서는 1989년부터 완화 치료가 완전한 의학 전문 분야였으며, 왕립 의사 협회를 통해 다른 모든 의학 전문 분야와 동일한 규정에 따라 훈련이 이루어진다.[147]

뭄바이에 있는 타타 기념 센터는 2012년부터 완화 의학 의사 과정을 제공해 왔으며, 이는 이 나라에서 최초의 과정이다.[147]

8. 2. 지역별 서비스 차이

미국에서 호스피스와 완화 치료는 비슷한 철학을 가지고 있지만, 서로 다른 지불 시스템과 서비스 제공 장소를 가진다. 완화 치료 서비스는 급성 환자 완화 치료 병동 유무와 관계없이 학제 간 상담 서비스를 중심으로 조직된 급성 치료 병원에서 주로 제공된다. 또한, 완화 치료는 임종을 앞둔 사람의 집이나 장기 요양 시설에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전통적인 미국 가정 간호 서비스와 호스피스 치료 사이의 "가교" 프로그램 역할을 한다.[106] 반면, 미국 호스피스 치료의 80% 이상은 자택에서 제공되며, 나머지는 장기 요양 시설이나 독립형 호스피스 주거 시설에서 제공된다.

영국에서 호스피스는 완화 치료의 전문 분야로 간주되며, '호스피스'와 '완화 치료' 사이에 구분이 없다. 영국의 완화 치료 서비스는 입원 치료, 가정 간호, 주간 치료, 외래 환자 서비스를 제공하며, 주요 의료 서비스와 긴밀하게 협력한다. 호스피스는 종종 어린이와 성인을 위한 모든 범위의 서비스와 전문가를 포함한다. 2015년 영국의 완화 치료는 "포괄적인 국가 정책, ''국민 보건 서비스''에 대한 완화 치료의 광범위한 통합, 강력한 호스피스 운동, 그리고 이 문제에 대한 깊은 지역 사회 참여" 덕분에 세계 최고로 평가받았다.[107]

8. 3. 수용과 접근성

1990년대 이후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완화 치료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수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병상 100개 이상의 병원 중 55%가 완화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109] 지역 사회 병원의 약 20%가 완화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10] 그러나 많은 국가에서 완화 치료는 여전히 공중 보건 문제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공중 보건 의제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3]

자원 부족과 문화적 태도는 의료 의제에서 완화 치료의 수용과 실행에 큰 영향을 미친다.[3] 특히 심각한 정신 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정신 건강 및 임종 간호 서비스 자원 부족으로 인해 시기적절하고 적절한 완화 치료를 받기 어렵다.[112][113] 이들을 위해서는 다학제 팀 접근 방식과 함께 개인에 대한 적절한 지원을 조정하는 담당자가 필요하다.[112] 또한, 임종 간호 및 정신 건강 관리는 전문가 교육에 포함되어야 한다.[112][113]

완화 치료 의뢰는 환자가 사망에 대한 확정적인 시한을 가질 때만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종종 부정확하며 환자가 임종 간호에 접근하거나 의료 전문가로부터 시한을 받지 못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14][115] 따라서 환자를 더 잘 지원하고 남은 삶의 질을 개선하며 보다 전체적인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완화 치료 서비스에 대한 의뢰에 덜 경직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114][115]

만성 통증 환자들은 낙인이 찍히거나 마약 중독자로 취급받는 경우가 있다. 환자는 약물에 대한 내성을 키워 통증 관리를 위해 더 많은 양을 복용해야 할 수 있으며, 이들의 증상은 스캔에 나타나지 않아 의사는 신뢰에 의존해야 한다. 이 때문에 일부 환자들은 의사와 상담하기를 기다리며 도움을 구하기 전에 수년간 고통을 견디기도 한다.[116]

국립암연구센터가 2017년 이나 심장 질환 등으로 사망한 환자 유족 5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사망 직전 1개월 동안 신체적 고통이나 괴로움을 느낀 환자는 40%였으며, 암 환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가장 큰 이유는 "의사가 대응했지만 불충분했다"로, 완화 치료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현실을 보여준다. 환자와 의사 사이에 말기 치료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 경우는 20%에 불과했으며, 국립암연구센터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밝혔다.[140]

9. 미디어 속 완화 치료

완화 치료는 여러 미디어를 통해 대중에게 소개되고 있다. 2018년 넷플릭스 단편 다큐멘터리인 롭 엡스타인과 제프리 프리드먼 감독의 ''엔드 게임''은 샌프란시스코 병원의 말기 환자들과 완화 치료 의사 BJ 밀러의 활동을 다루었다.[117] 총괄 프로듀서는 스티븐 언거레이더, 데이비드 C. 울리히, 쇼샤나 R. 언거레이더였다.[118]

2016년, 완화 치료 의사 마크 토버트 교수가 가수 데이비드 보위에게 보낸 공개 서한[119]은 훌륭한 완화 치료의 중요성과 마지막 순간에 대한 소망을 표현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 서한은 데이비드 보위의 아들 던칸 존스가 공유하면서 널리 알려졌다.[120] 이후 배우 베네딕트 컴버배치와 가수 자비스 코커가 공개 행사에서 낭독했다.[121]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완화 치료를 다루고 있다.


  • '''텔레비전 드라마''': 바람의 정원
  • '''만화''': 블랙잭에게 부탁해, 작별 호스피털
  • '''ADV''': 나르키소스 (게임)

참조

[1] 서적 Primer of Palliative Care American Associa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2] 웹사이트 WHO Definition of Palliative Care https://web.archive.[...] 2019-12-04
[3] 논문 Palliative Car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global perspective 2002-08
[4] 논문 Palliative care in India: current progress and future needs 2012-09
[5] 논문 Association Between Palliative Care and Patient and Caregiver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11
[6] 논문 Impact of Interdisciplinary Outpatient Specialty Palliative Care on Survival and Quality of Life in Adults With Advanced Cancer: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9-06
[7] 웹사이트 What is Palliative Care? {{!}} Definition of Palliative Care {{!}} Get Palliative Care https://getpalliativ[...] 2020-05-12
[8] 웹사이트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Quality Palliative Care, 4th edition https://www.national[...] 2019-12-18
[9] 논문 A Systematic Review in Support of the National Consensus Project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Quality Palliative Care, Fourth Edition 2018-12
[10] 웹사이트 Heart failure – palliative care: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medlineplus.[...] 2020-04-30
[11] 논문 Lesley's story: a case report, and discussion of challenges faced in end-of-life care for progressive neurological disease 2012-08
[12] 논문 Integration of primary palliative care into geriatric care from the Indian perspective 2022-09
[13] 웹사이트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Specialty Description https://www.ama-assn[...]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20-10-22
[14] 논문 Continuity, coordination, and transitions of care for patients with serious and advanced illness: a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s 2013-04
[15]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communication quality improvement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advanced and serious illness 2013-04
[16] 웹사이트 History of Hospice https://www.nhpco.or[...] 2023-01-12
[17] 웹사이트 Medicare Care Choices Model (MCCM): The First Two Years {{!}} CMS https://www.cms.gov/[...] 2023-01-12
[18] 서적 Handbook of Palliative Care Blackwell Publishing Ltd
[19] 뉴스 Hospice Facts & Figures https://www.nhpco.or[...] 2020-05-12
[20] 논문 Communicating About Health: Current Issues and Perspectives, by Athena du Pre 2011-01-31
[21] 논문 From margins to centre: a review of the history of palliative care in cancer 2007-05
[22] 웹사이트 Why Quality of Life Matters, Even in Your Final Hours https://thewalrus.ca[...] 2021-06-29
[23] 논문 A syllabus for fellowship education in palliative medicine 2003-07
[24] 논문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Harry R. Horvitz Palliative Care Center 1996-09
[25] 논문 Cost savings associated with US hospital palliative care consultation programs 2008-09
[26] 논문 Hospice enrollment saves money for Medicare and improves care quality across a number of different lengths-of-stay 2013-03
[27] 논문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home palliative care services for adults with advanced illness and their caregivers 2013-06
[28] 논문 Early palliative care for patients with metastatic non-small-cell lung cancer 2010-08
[29] 간행물 America's Care of Serious Illness: A State-by-State Report Card on Access to Palliative Care in Our Nation's Hospitals Center to Advance Palliative Care and the National Palliative Care Research Center 2019-09
[30] 문서 Advanced Certification for Palliative Care Programs Joint Commission 2014-04-30
[31] 논문 Tackling the Challenges of Clinical Trials in Palliative Care http://adisonline.co[...] 2011-06-01
[32] 웹사이트 Palliative Medications http://www.caresearc[...] 2010-10-28
[33] 논문 Interventions for improving palliative care for older people living in nursing care homes 2011-03
[34] 논문 The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hospital-based specialist palliative care for adults with advanced illness and their caregivers 2020-09
[35] 논문 Hospital at home: home-based end-of-life care 2021-03
[36] 논문 Existential pain—an entity, a provocation, or a challenge? 2004-03
[37] 서적 "The Effect of a Therapy Dog on Socialization and Physiological Indicators of Stress in Persons Diagnosed with Alzheimer's Disease" in 'Companion Animals in Human Health' Sage Publications 1998
[38] 논문 Care of patients suffering from terminal illness at St Joseph's Hospice, Hackney, London 1964-02-14
[39] 논문 The role of palliative care at the end of life 2011
[40] 웹사이트 Palliative care – shortness of breath: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medlineplus.[...] 2020-04-30
[41] 논문 Comfort Care for Patients Dying in the Hospital 2015-12
[42] 논문 30-day mortality following palliative radiotherapy 2020-08
[43] 논문 Palliative Care for the Seriously Ill 2015-08
[44] 논문 Drug therapy for symptoms associated with anxiety in adult palliative care patients 2017-05
[45] 논문 Forgiveness facilitation in palliative care: a scoping review 2020-11
[46] 논문 Improving the spiritual dimension of whole person care: reach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sensus 2014-06
[47] 논문 Do religious/spiritual coping strategies affect illness adjustment in patients with cancer?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2006-07
[48] 문서 Spiritual ca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49] 논문 Evaluation of spiritual needs of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in a palliative care unit 2014-05
[50] 논문 Concept Analysis of Spirituality: An Evolutionary Approach 2016-04
[51] 논문 Spiritual and religious interventions for well-being of adults in the terminal phase of disease 2012-05
[52] 논문 Levomepromazine for nausea and vomiting in palliative care 2015-11
[53] 논문 Haloperidol for the treatment of nausea and vomiting in palliative care patients 2015-11
[54] 논문 Droperidol for treatment of nausea and vomiting in palliative care patients 2014-11
[55] 논문 Medically assisted hydration for adults receiving palliative care 2023-12
[56] 논문 Medically assisted nutrition for adult palliative care patients 2014-04
[57] 웹사이트 Edmonton Symptom Assessment System (ESAS) https://www.cancerca[...] Cancer Care Ontario 2005-02
[58] 논문 The Edmonton Symptom Assessment System (ESAS): a simple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palliative care patients 1991
[59] 서적 Handbook of palliative care Blackwell Pub 2005
[60] 논문 Pain loca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of body outline markings by hospitalized children and adolescents 1989-10
[61] 논문 Pain and its effects in the human neonate and fetus 1987-11
[62] 서적 Pain in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3
[63] 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DEGR(R): A scale to assess pain in young children with cancer 1999-06
[64] 논문 Palliative Care for Children 2000-08
[65] 논문 Symptoms and suffering at the end of life in children with cancer 2000-02
[66] 서적 The selection and use of essential medicines : report of the WHO Expert Committee, March 2011 (including the 17th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and the 3rd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for children) World Health Organization
[67] 논문 Symptoms Affecting Children With Malignancies During the Last Month of Life: A Nationwide Follow-up 2008-01
[68] 논문 The symptoms of dying children 2003-07
[69] 논문 End of life care in Duchenne muscular dystrophy 1993-05
[70] 논문 Cancer-related symptoms most concerning to parents during the last week and last day of their child's life 2008-05
[71] 논문 A different perspective to approaching cancer symptoms in children 2003-09
[72] 논문 Measuring symptom distress in adolescents with cancer 1992-04
[73] 논문 The measurement of symptoms in children with cancer 2000-05
[74] 논문 Development of two instruments examining stress and adjustment in children with cancer 1997-07
[75] 논문 The Pediatric Cancer Quality of Life Inventory (PCQL). I. Instrument development,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informant variance 1998-04
[76] 간행물 Pediatric Quality of Life Inventory 4.0 Generic Core Scales 2001
[77] 논문 Communicating with children and families: from everyday interactions to skill in conveying distressing information 2008-05
[78] 논문 Breaking the news. How families first learn about their child's chronic condition 1995-09
[79] 논문 SPIKES-A six-step protocol for delivering bad news: application to the patient with cancer 2000-03-02
[80] 서적 Dignity therapy : final words for final days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81] 서적 The nature of suffering and the goals of medic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82] 논문 The hopes and wishes of adolescents with cancer and the nursing care that helps 2004-09
[83] 논문 Parents are meaningfully involved in decisions on the care of their critically ill baby when they are given options not recommendations https://evidence.nih[...]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Research 2021-03-09
[84] 논문 End-of-life decisions in neonatal care: a conversation analytical study http://www.open-acce[...] 2021-03
[85] 논문 The Day One Talk 2004-02
[86] 논문 Parent and physician perspectives on quality of care at the end of life in children with cancer 2005-12
[87] 논문 Family patterns of decision-making in pediatric clinical trials 2006-06
[88] 논문 Compassionate silence in the patient-clinician encounter: a contemplative approach 2009-12
[89] 논문 Associations between end-of-life discussions, patient mental health, medical care near death, and caregiver bereavement adjustment 2008-10
[90] 논문 Communicating about prognosis: ethical responsibilities of pediatricians and parents 2014-02
[91] 웹사이트 John Hausdorff, MD https://pub.hematolo[...] 2017-07-01
[92] 서적 Communicating About Health: Current Issues and Perspectives Oxford University Press
[93] 논문 End-of-life planning and its relevance for patients' and oncologists' decisions in choosing cancer therapy 2008-12
[94] 논문 Hospitalized patients' understanding of their plan of care 2010-01
[95] 논문 Palliative care in India: Situation assessment and future scope 2015
[96] 웹사이트 Magisterial teaching on end-of-life issues - Texas Catholic Conference https://txcatholic.o[...] 2024-07-12
[97] 논문 Perspectives of Major World Religions regarding Euthanasia and Assisted Suicide: A Comparative Analysis https://web.archive.[...] 2022
[98] 논문 Jewish medical ethics and end-of-life care https://web.archive.[...] 2004
[99] 웹사이트 Specialist Training in Palliative Medicine UK https://www.jrcptb.o[...]
[100] 웹사이트 ABMS Establishes New Subspecialty Certificate in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http://www.abms.org/[...] 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ties 2006-10-06
[101] 웹사이트 ABMS Guide to Physician Specialties http://www.boardcert[...] 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ties 2011
[102] 논문 Assessment of status of patients receiving palliative home care and services provided in a rural area-kerala, India 2012-09
[103] 웹사이트 Specialties & Subspecialties http://www.osteopath[...] American Osteopathic Association 2012-09-23
[104] 웹사이트 American Academy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http://www.aahpm.org[...] Aahpm.org 2014-11-21
[105] 논문 Evaluation of the End-of-Life Nursing Education Consortium undergraduate faculty training program 2005-02
[106] 웹사이트 In-Home Palliative Care Allows More Patients to Die at Home, Leading to Higher Satisfaction and Lower Acute Care Utilization and Costs https://innovations.[...]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3-04-03
[107] 뉴스 Quality of Death Index 2015: Ranking palliative care across the world http://www.economist[...] 2015-10-06
[107] 뉴스 UK end-of-life care 'best in world' https://www.bbc.co.u[...] 2015-10-06
[108] 웹사이트 Ambitions for Palliative and End of Life Care: A national framework for local action 2021-2026 https://www.england.[...] 2021-05
[109] 웹사이트 Center to Advance Palliative Care www.capc.org
[110] 서적 Sick to death and not going to take it anymore!: reforming health care for the last years of lif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
[111] 논문 Prevalence of formal accusations of murder and euthanasia against physicians 2012-03
[112] 논문 How to improve end-of-life care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https://evidence.nih[...] 2022-02-28
[113] 논문 End of life care for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Mixed methods systematic review and thematic synthesis (the MENLOC study) 2021-12
[114] 논문 Timely community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a realist synthesis 2021-12
[115] 논문 End of life care should not wait for prediction of death https://evidence.nih[...] 2022-04-26
[116] 논문 Acknowledging stigma: Its presence in patient care and medical education 2017-12
[117] 뉴스 Stream It Or Skip It: 'End Game' On Netflix, A Short Documentary About Dying Gracefully https://decider.com/[...] 2018-05-07
[118] 뉴스 How This Doctor Is Bringing Human Connection Back to End-of-Life Care https://www.forbes.c[...] 2018-08-29
[119] 웹사이트 Thank you letter to David Bowie from a palliative care doctor https://blogs.bmj.co[...] 2016-01-16
[120] 뉴스 David Bowie's son shares powerful letter https://edition.cnn.[...] 2016-01-18
[121] 뉴스 Benedict Cumberbatch read out a letter to Bowie by a palliative care doctor https://www.walesonl[...] 2016-06-06
[122] 논문 End of life care: researc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versations and need for equal access https://evidence.nih[...]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Research 2022-03-31
[123] 논문 Team work and proactive healthcare could help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receive good end-of-life care https://evidence.nih[...]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Research 2022-02-28
[124] 논문 End of life care for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Mixed methods systematic review and thematic synthesis (the MENLOC study) 2021-12
[125] 논문 A highly personalised approach to end of life care is needed to help Gypsy, Traveller and Roma communities https://evidence.nih[...]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Research 2021-12-17
[126] 논문 Gypsy, Traveller and Roma experiences, views and needs in palliative and end of life car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narrative synthesis 2021-02
[127] 논문 Estimating the prevalence of chronic conditions in children who die in England, Scotland and Wales: a data linkage cohort study 2014-08
[127] 웹사이트 Most children with life-limiting conditions still die in hospital, not home or hospice https://evidence.nih[...] 2021-07-20
[128] 논문 Place of death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with a life-limiting condition in Englan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2020-12
[129] 논문 Nurses and pharmacists are key to improving access to end of life medicines for people being cared for at home https://evidence.nih[...]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Research 2021-06-15
[130] 논문 Supporting patient access to medicines in community palliative care: on-line survey of health professionals' practice, perceived effectiveness and influencing factors 2020-09
[131] 논문 Terminally ill patients and their families may need more help to manage their medicines https://evidence.nih[...]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Research 2020-09-16
[132] 논문 An exploration of the experiences of professionals supporting patients approaching the end of life in medicines management at home. A qualitative study 2020-05
[133] 논문 End of life care should not wait for prediction of death https://evidence.nih[...]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Research 2022-04-26
[134] 논문 Timely community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a realist synthesis 2021-12
[135] 웹사이트 緩和ケア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null
[136]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緩和ケア」の意味・わかりやすい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 null
[137] 간행물 照林社 2007-08
[138] 서적 생명윤리사전 太陽出版
[139] 문서 이노치노쿠시미와키에루 쇼가쿠칸
[140] Youtube 암환자라 망가루 직전 1개월에 체의 고통이나 괴로움(2020년10월31일) https://www.youtube.[...] ANNnewsCH 2020-10-31
[141] 서적 Primer of Palliative Care American Associa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142] 웹인용 "WHO {{!}} WHO Definition of Palliative Care" https://web.archive.[...] 2019-12-04
[143] 저널 Palliative Car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global perspective 2002-08
[144] 저널 Association Between Palliative Care and Patient and Caregiver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11
[145] 저널 Impact of Interdisciplinary Outpatient Specialty Palliative Care on Survival and Quality of Life in Adults With Advanced Cancer: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9-06
[146] 웹인용 "What is Palliative Care? {{!}} Definition of Palliative Care {{!}} Get Palliative Care" https://getpalliativ[...] 2020-05-12
[147] 웹인용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Quality Palliative Care, 4th edition https://www.national[...] 2019-12-18
[148] 저널 A Systematic Review in Support of the National Consensus Project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Quality Palliative Care, Fourth Edition 2018-12
[149] 웹인용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Specialty Description https://www.ama-assn[...]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20-10-22
[150] 저널 Continuity, coordination, and transitions of care for patients with serious and advanced illness: a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s 2013-04
[151] 저널 A systematic review of communication quality improvement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advanced and serious illness 2013-04
[152] 서적 Handbook of Palliative Care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Ltd
[153] 웹인용 Hospice Facts & Figures 2020-05-12
[154] 저널 Communicating About Health: Current Issues and Perspectives, by Athena du Pre 2011-01-31
[155] 저널 From margins to centre: a review of the history of palliative care in cancer 2007-05
[156] 웹인용 "Why Quality of Life Matters, Even in Your Final Hours {{!}} The Walrus" https://thewalrus.ca[...] 2021-06-29
[157] 저널 A syllabus for fellowship education in palliative medicine 2003-07
[158] 저널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Harry R. Horvitz Palliative Care Center 1996-09
[159] 저널 Cost savings associated with US hospital palliative care consultation programs 2008-09
[160] 저널 Hospice enrollment saves money for Medicare and improves care quality across a number of different lengths-of-stay 2013-03
[161] 저널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home palliative care services for adults with advanced illness and their caregivers 2013-06
[162] 저널 Early palliative care for patients with metastatic non-small-cell lung cancer 2010-08
[163] 저널 Impact of Interdisciplinary Outpatient Specialty Palliative Care on Survival and Quality of Life in Adults With Advanced Cancer: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9-06
[164] 간행물 America's Care of Serious Illness: A State-by-State Report Card on Access to Palliative Care in Our Nation's Hospitals. Center to Advance Palliative Care and the National Palliative Care Research Center. 2019-09
[165] 문서 "Advanced Certification for Palliative Care Programs" Joint Commission 2014-04-30
[166] 저널 The Edmonton Symptom Assessment System (ESAS): a simple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palliative care patients 1991
[167] 웹사이트 Edmonton Symptom Assessment System (ESAS) https://www.cancerca[...] Cancer Care Ontario 2005-02
[168] 저널 Tackling the Challenges of Clinical Trials in Palliative Care http://adisonline.co[...] 2022-07-07
[169] 웹인용 Palliative Medications http://www.caresearc[...] 2010-10-28
[170] 저널 Interventions for improving palliative care for older people living in nursing care homes 2011-03
[171] 저널 The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hospital-based specialist palliative care for adults with advanced illness and their caregivers 2020-09
[172] 저널 Hospital at home: home-based end-of-life care 2016-02
[173] 저널 Existential pain--an entity, a provocation, or a challenge? 2004-03
[174] 서적 "The Effect of a Therapy Dog on Socialization and Physiological Indicators of Stress in Persons Diagnosed with Alzheimer's Disease" Sage Publications
[175] 저널 Care of patients suffering from terminal illness at St Joseph's Hospice, Hackney, London 1964-02-14
[176] 웹인용 Palliative care - shortness of breath: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medlineplus.[...] 2020-04-30
[177] 저널 Comfort Care for Patients Dying in the Hospital 2015-12
[178] 저널 30-day mortality following palliative radiotherapy 2020-08
[179] 저널 The role of palliative care at the end of life 2011
[180] 저널 Drug therapy for symptoms associated with anxiety in adult palliative care patients 2017-05
[181] 저널 Improving the spiritual dimension of whole person care: reach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sensus 2014-06
[182] 저널 Do religious/spiritual coping strategies affect illness adjustment in patients with cancer?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2006-07
[183] 저널 Palliative Care for the Seriously Ill 2015-08
[184] 간행물 Spiritual ca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85] 저널 Concept Analysis of Spirituality: An Evolutionary Approach 2016-04
[186] 저널 Forgiveness facilitation in palliative care: a scoping review 2020-11
[187] 저널 Evaluation of spiritual needs of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in a palliative care unit 2014-05
[188] 저널 Spiritual and religious interventions for well-being of adults in the terminal phase of disease 2012-05
[189] 저널 Levomepromazine for nausea and vomiting in palliative care 2015-11
[190] 저널 Haloperidol for the treatment of nausea and vomiting in palliative care patients 2015-11
[191] 저널 Droperidol for treatment of nausea and vomiting in palliative care patients 2014-11
[192] 저널 Medically assisted hydration for adult palliative care patients 2014-04
[193] 저널 Medically assisted nutrition for adult palliative care patients 2014-04
[194] 서적 Handbook of palliative care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