왈레이시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왈레이시아는 순다 육붕과 사훌 육붕 사이에 위치하며 필리핀을 제외한 여러 섬을 지칭하는 지역이다. 이 지역은 월리스선과 리데커선으로 경계가 뚜렷하며,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동식물 분포가 거의 일치하는 웨버선이 중앙에 위치한다. 왈레이시아는 독특한 생물상을 지니고 있으며,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뉴기니에서 기원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한다. 특히 많은 고유종이 존재하며, 숲 면적 감소와 같은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왈레이시아는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 건조 활엽수림 등 다양한 생태 지역을 포함하며,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동물군의 전이지대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양구 - 순다랜드
순다랜드는 빙하기에 동남아시아 대륙붕이 노출되어 형성된 순다 대륙 지역으로, 말레이반도, 보르네오섬, 자와섬, 수마트라섬 등을 포함하며, 지질학적으로 안정되고 기후 현상에 영향을 받으며 다양한 생태지역과 인류 이동 연구의 중요한 지역이다. - 아시아의 생태지역 - 폰토스-카스피 스텝
폰토스-카스피 스텝은 흑해 북쪽에서 카스피해 북서부에 이르는 동유럽과 중앙아시아의 광대한 초원 지대로, 기마 민족의 활동 무대이자 말의 가축화가 처음 이루어진 곳으로 추정되며, 인도유럽어족의 기원지로 여겨지고 세계적인 곡창 지대이다. - 오스트레일리아구 - 오스트랄라시아
오스트랄라시아는 오세아니아의 한 지역으로, 정의에 따라 범위가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뉴기니섬 및 인근 태평양 섬들을 포함하며, 과거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스포츠 혼성팀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 오스트레일리아구 - 멜라네시아
멜라네시아는 인도네시아 동부에서 피지까지 이르는 태평양의 섬들을 지칭하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파푸아 제어 사용자들이 거주하고, 열대 기후와 다양한 지형을 가지며 1,300개 이상의 언어가 사용된다.
| 왈레이시아 | |
|---|---|
| 개요 | |
| 위치 | 인도네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사이의 해역에 위치 |
| 면적 | 약 347,000 km² |
| 특징 | 생물 다양성이 높아 보존 가치가 높은 지역 |
| 정의 | 왈리스 선, 리데커 선, 웨버 선으로 둘러싸인 인도네시아의 섬들을 지칭 |
| 지리 | |
| 주요 섬 | 술라웨시 섬 롬복 섬 숨바와 섬 플로레스 섬 숨바 섬 티모르 섬 말루쿠 제도 기타 섬들 |
| 생물 지리학적 경계 | |
| 서쪽 경계 | 왈리스 선 |
| 동쪽 경계 | 리데커 선 |
| 동물상 | |
| 특징 | 오스트레일리아 동물군과 아시아 동물군의 혼합 고유종 다수 존재 |
| 대표 동물 | 코모도왕도마뱀 말레오 쿠스쿠스 아노아 바비루사 |
| 식물상 | |
| 특징 |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식물상의 혼합 다양한 열대 우림 식생 |
| 인간 | |
| 고고학적 증거 |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로 이주한 초기 인류의 경로 니아 근처 오세아니아 지역과의 연관성 |
| 문화적 다양성 | 다양한 언어와 문화 존재 |
| 중요 지점 | |
| 설명 | 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주요 지역으로 지정 |
2. 지리

왈레이시아는 순다와 사훌 사이의 섬들을 연결하는 지역이지만, 필리핀은 제외된다. 왈레이시아 섬들은 대륙 기원의 육상 포유류, 육상 조류 또는 민물고기가 거의 없으며, 이는 해양 분산을 통해 광활한 해양을 건너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많은 종류의 조류, 파충류, 곤충은 해협을 더 잘 건널 수 있었고, 호주와 아시아 기원의 많은 종들이 그곳에서 발견된다. 왈레이시아의 식물은 주로 아시아 기원이며, 식물학자들은 순다랜드, 왈레이시아, 뉴기니를 식물 지리 구역인 말레이시아에 포함시킨다.
동쪽에 있는 호주와 뉴기니는 얕은 대륙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빙하기 동안 육교로 연결되어 과학자들이 호주-뉴기니, 메가네시아, 파푸아랜드 또는 사훌이라고 부르는 단일 대륙을 형성했다. 결과적으로 호주, 뉴기니 및 아루 제도는 왈레이시아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많은 유대류 포유류, 육상 조류 및 민물고기를 공유한다.[3]
| 술라웨시섬 (북술라웨시 주, 고론탈로 주, 중술라웨시 주, 남동술라웨시 주, 남술라웨시 주, 서술라웨시 주) | 할마헤라섬을 포함하는 북말루쿠 주 |
| 아루 제도를 제외한 말루쿠 주 | |
| 서누사틍가라 주 (롬복섬, 숨바와섬) | 동누사틍가라 주 (코모도섬, 플로레스섬, 숨바섬, 서티모르) 동티모르 (독립국) |
2. 1. 월리스 선, 웨버 선, 리데커 선
왈레이시아의 서쪽 경계는 월리스선이며,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월리스 선은 포유류와 조류의 종 차이를 기준으로 구분된다.[22][23] 월리스 선 서쪽의 수마트라섬, 자와섬, 발리섬, 보르네오섬 등 순다랜드에서는 호랑이, 코뿔소, 유인원 등 동아시아의 포유류와 유사한 포유류군이 서식하는 반면, 롬복섬부터 해서 선 동쪽의 섬들에서는 대부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서식하는 유대류와 조류가 대부분이다. 술라웨시섬에서는 두 종류 모두가 서식한다.[24]
왈레이시아의 동쪽 경계는 리데커선이라고 부르는 동물지리학적 경계선이다.[22][23]
웨버선은 왈레이시아의 중간을 가르는 선으로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의 동식물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는 중간선이다. 이 선은 인도네시아 군도를 가르는 가장 깊은 해협을 따라간다.
2. 2. 빙하기의 영향
빙하기 때는 해수면이 현재보다 훨씬 낮아서 순다랜드와 아시아 사이를 잇는 순다 육붕이 뭍으로 드러났고 아시아의 육상 생물이 순다랜드 지역 섬에 서식할 수 있었다.[25] 마찬가지로 동쪽의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를 비롯한 지역은 얕은 대륙붕으로 이어져 있어 사훌 육붕이라 부르는 일종의 하나의 대륙으로 섬이 전부 이어져 있었다. 따라서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섬, 아루 제도와 같은 곳은 같은 동물상을 공유한다.[23]빙하기 동안 해수면이 낮아지면서 순다 대륙붕이 노출되어 왈라세아 섬과 아시아가 연결되었고,[16] 그 사이 아시아 육상 동물들이 이 섬들로 이주할 수 있게 되었다.
3. 생물상 및 보존 문제

왈레이시아는 멸종 위기 IA류, 멸종 위기 IB류, 멸종 위기 II류로 분류되는 82종과 멸종 위기 IA류로 분류되는 6종의 육상 척추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3. 1. 고유종 및 생물 다양성
왈레이시아는 아시아나 오스트레일리아-뉴기니에서 기원한 동식물이 서식하지만, 많은 고유 종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광범위한 자생 종분화가 이루어져 고유종 수가 상대적으로 많으며, 인도네시아 군도의 전체적인 생물 다양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6]동물군에는 저지대 및 산 아노아 (난쟁이 물소, ''Bubalus'' sp.)와 바비루사 ("사슴돼지", ''Babyrousa'' sp.)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술라웨시를 비롯한 여러 섬에서 발견된다. 사향고양이를 포함한 일부 식육류, 쿠스쿠스를 포함한 유대류, 영장류 및 설치류를 포함한 작은 포유류가 이 지역 전체에서 흔하다.
술라웨시와 말루쿠의 동물상 및 식물상은 다음과 같다.
| 구분 | 술라웨시 | 말루쿠 |
|---|---|---|
| 육상 식물 및 동물 종 | 최소 4,000종[7] | 1,000종 이상 |
| 무척추동물 | 2,000종 이상 (900종 가까운 나비 제외, 1,000종 이상의 절지동물) | 550종 이상 |
| 파충류 및 양서류 | 100종 | 약 70종 |
| 조류 | 288종 | 250종 |
세람 섬은 특히 나비와 몰루카 왕앵무를 포함한 조류로 유명하다.
왈레이시아 주변 수역의 상당 부분은 산호 삼각지대의 일부로,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산호초 및 해양 생태계를 가지고 있으며, 가장 많은 종이 서식하여 이 지역의 전체 생물 다양성에 기여한다.
왈레이시아는 원래 거의 숲으로 덮여 있었으며, 대부분 열대 습윤 활엽수림이었고, 일부 지역은 열대 건조 활엽수림이었다. 고산지대에는 산림과 아고산 숲이 있으며, 해안 지역에는 맹그로브가 흔하다. 컨서베이션 인터내셔널(Conservation International)에 따르면 왈레이시아에는 10,000종 이상의 식물이 서식하며, 그 중 약 1,500종 (15%)이 고유종이다.[1]
육상 척추동물 종의 고유성은 더 높으며, 1,142종 중 거의 절반 (529종)이 고유종이다. 이 지역의 45%가 어떤 종류의 삼림 피복을 유지하고 있지만, 52017km2 (15%)만이 자연 상태로 남아 있다. 왈레이시아의 총 면적 347000km2 중 약 20000km2가 보호 구역이다.[1]
3. 2. 보존 노력
컨서베이션 인터내셔널(Conservation International) 등 국제기구와 인도네시아 정부는 왈라시아의 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1] 왈라시아는 많은 고유종이 서식하는 독특한 지역으로, 인도네시아 제도의 생물 다양성에 기여하고 있다.[19] 컨서베이션 인터내셔널은 왈라시아를 생물 다양성 핫스팟으로 지정하였다.왈라시아는 원래 거의 숲으로 덮여 있었으며, 대부분 열대 습윤 활엽수림이었고, 일부 지역은 열대 건조 활엽수림이었다. 고산지대에는 산림과 아고산 숲이 있으며, 해안 지역에는 맹그로브가 있다. 왈라시아에 서식하는 1만 종의 식물 중 약 1500종(15%)이 고유종이다.[1] 육상 척추동물의 경우 1142종 중 약 절반인 529종이 고유종이다.
왈라시아의 대부분의 영역은 산림이었으나, 현재 45%의 영역만이 산림 피복을 유지하고 있으며, 52,017 (15%)만이 자연 상태로 남아 있다. 왈라시아의 총 면적 347,000 중 약 20,000가 보호 구역이다.[1]
4. 생태 지역
왈레이시아는 다양한 열대 및 아열대 생태 지역으로 구성된다. 크게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과 열대 및 아열대 건조 활엽수림으로 나뉜다.
4. 1.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
- 반다해 섬 낙엽성림 (카이 제도, 타님바르 제도, 바바르 제도, 레티 제도, 동부 바라트 다야 제도)
- 부루 우림 (부루)
- 할마헤라 우림 (할마헤라, 모로타이, 오비 제도, 바칸 섬)
- 세람 우림 (세람, 반다 제도, 암본 섬, 사파루아, 고롱 열도)
- 술라웨시 저지대 우림 (술라웨시, 방가이 제도, 술라 제도, 상기헤 제도, 탈라우드 제도)
- 술라웨시 산지 우림 (술라웨시)
4. 2. 열대 및 아열대 건조 활엽수림
5.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사이의 분포
왈레이시아는 순다 육붕과 사훌 육붕 사이에 있는 여러 섬을 이르는 말이지만 필리핀은 제외된다. 왈레이시아와 사훌 육붕을 구분하는 왈레이시아 동쪽 경계는 리데커선이라고 부르는 동물지리학적 경계선이며, 왈레이시아와 순다 육붕을 구분하는 왈레이시아 서쪽 경계는 월리스선이다.[22][23]
웨버선은 왈레이시아의 중간을 가르는 선으로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의 동식물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는 중간선이다. 이 선은 인도네시아 군도를 가르는 가장 깊은 해협을 따라간다.
월리스선은 웨일스의 자연학자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의 이름을 딴 선으로, 월리스는 양쪽 섬의 포유류와 조류의 종 차이를 기록했다. 선 서쪽의 순다랜드 (수마트라섬, 자와섬, 발리섬, 보르네오섬 등)에서는 호랑이, 코뿔소, 유인원 등 동아시아의 포유류와 유사한 포유류군이 서식하는 반면, 롬복섬부터 해서 선 동쪽의 섬들에서는 대부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서식하는 유대류와 조류가 대부분이었다. 술라웨시섬에서는 두 종류 모두가 서식했다.[24]
빙하기 때는 해수면이 현재보다 훨씬 낮아서 순다랜드와 아시아 사이를 잇는 순다 육붕이 뭍으로 드러났고 아시아의 육상 생물이 순다랜드 지역 섬에 서식할 수 있었다.[25] 마찬가지로 동쪽의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섬을 비롯한 지역은 얕은 대륙붕으로 이어져 있어 사훌 육붕이라 부르는 일종의 하나의 대륙으로 섬이 전부 이어져 있었다. 따라서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섬, 아루 제도와 같은 곳은 같은 동물상을 공유한다.[23]
육상 달팽이의 경우 왈레이시아와 왈레이시아 선은 분산의 장벽을 형성하지 않는다.[12]
5. 1. 설치류 및 유대류
호주는 바다로 고립되어 있을 수 있지만, 왈레이시아를 통해 동물학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호주 초기-중기 플라이오세 설치류 화석이 퀸즐랜드의 친칠라 샌즈와 블러프 다운에서 발견되었지만, 조상과 파생된 특성이 혼합되어 있어 쥐류 설치류가 아마도 미오세에 숲이 우거진 군도, 즉 왈라시아를 통해 더 일찍 호주에 도달하여 고립된 호주에서 진화했음을 시사한다.[8]호주의 설치류는 대륙의 유태반류 동물군을 상당 부분 차지하며, 나뭇가지 둥지 쥐에서 캥거루 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을 포함한다. 다른 포유류는 동쪽에서 침입했다. 쿠스쿠스의 두 종, 술라웨시곰쿠스쿠스와 술라웨시난쟁이쿠스쿠스는 오스트랄라시아 유대류의 최서단 대표자이다.[9]
5. 2. 조류
호주와 아시아의 충돌로 인한 왈레이시아의 구조 융기는 약 2300만 년 전에 호주에서 인도네시아 섬으로 참새목 조류의 세계적인 분산을 허용했다.[10] 뜸부기와 닭목은 어떻게든 호주에 정착했을 것이다. 호주와 유사한 유황앵무는 왈라시아의 코모도 섬에 서식한다. 까마귀와 찌르레기는 남쪽으로 침입하여 뉴기니에 들어갔으며, 일부는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으로 침입하기도 했다.5. 3. 식물
유칼립투스는 호주에서 지배적인 수목 속으로, 왈레이시아에서도 몇몇 종이 발견된다. 술라웨시에는 ''Eucalyptus deglupta''가, 동누사텡가라에는 ''E. urophylla''와 ''E. alba''가 발견된다.[11][20]참조
[1]
논문
Biodiversity hotspots for conservation priorities
http://wedocs.unep.o[...]
2019-09-15
[2]
논문
Islands under the sea: a review of early modern human dispersal routes and migration hypotheses through Wallacea
https://www.research[...]
[3]
논문
Neuroptera of Wallacea: a transitional fauna between major geographical regions
http://actazool.nhmu[...]
[4]
서적
The Malay Archipelago
Harper & Brothers
[5]
웹사이트
Pleistocene Sea Level Maps
http://www.fieldmuse[...]
The Field Museum
2011-01-12
[6]
간행물
Report on Biodiversity and Tropical Forests in Indonesia
https://pdf.usaid.go[...]
[7]
웹인용
Observations - iNaturalist
https://www.inatural[...]
2024-03-20
[8]
서적
History of the Australian Vegetation: Cretaceous to Recent
University of Adelaide Press
2019-09-15
[9]
논문
Pliocene colonization and adaptive radiations in Australia and New Guinea (Sahul): multilocus systematics of the old endemic rodents (Muroidea: Murinae)
https://www.bio.fsu.[...]
2019-04-19
[10]
논문
Tectonic collision and uplift of Wallacea triggered the global songbird radiation
[11]
간행물
Reports submitted to the regional expert consultation on eucalyptu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Asia and the Pacific, Bangladesh
[12]
논문
Beyond Wallace's line – dispersal of Oriental and Australo-Papuan land-snails across the Indo-Australian Archipelago
[13]
Kotobank
2021-08-30
[14]
웹사이트
ホット・スポット 最後の楽園第3シリーズ 第3回 進化の魔法 息づく島々 ~東南アジア ウォーレシア~ 総合テレビ/BS4K 2020年3月29日(日)午後9時00分
https://web.archive.[...]
日本放送協会
2021-08-30
[15]
Kotobank
2021-08-30
[16]
웹사이트
Pleistocene Sea Level Maps
http://www.fieldmuse[...]
[17]
문서
マレシア(Malesia)はしばしば国名のマレーシア(Malaysia)と混同されるが、植物地理学上の呼称である。マレシア植物区、マレシア植物区系区とも訳される。
[18]
URL
http://actazool.nhmu[...]
[19]
URL
http://www.irgltd.co[...]
[20]
간행물
Research Experiences on Eucalyptus in Indonesia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Asia and the Pacific, Bangladesh.
1996
[21]
논문
Biodiversity hotspots for conservation priorities
http://wedocs.unep.o[...]
2019-09-15
[22]
논문
Islands under the sea: a review of early modern human dispersal routes and migration hypotheses through Wallacea
https://www.research[...]
[23]
논문
Neuroptera of Wallacea: a transitional fauna between major geographical regions
http://actazool.nhmu[...]
[24]
서적
The Malay Archipelago
Harper & Brothers
[25]
웹인용
Pleistocene Sea Level Maps
http://www.fieldmuse[...]
The Field Museum
2011-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