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술라웨시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술라웨시주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남부에 위치한 주로, 14세기부터 상업 발전과 농업 확장을 겪으며 여러 왕국이 흥망성쇠를 거듭했다. 17세기에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식민 지배를 받았으며, 인도네시아 독립 이전까지 부기스족, 마카사르족, 토라자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는 독립 왕국 영토로 존재했다. 현재는 21개의 군과 3개의 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구는 2023년 기준 약 936만 명이다. 주요 산업은 농업, 광업, 어업이며, 이슬람교가 다수를 차지한다. 부기스-마카사르 사회의 중요한 문화 철학인 시리 나 파체와 바주 보도, 피니시, 통코난과 같은 전통 문화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술라웨시주 - 파레파레
    파레파레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슬라탄주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왕국들의 중심지였으며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 남술라웨시 중부의 핵심 도시로 기능했고 현재는 4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행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열대 몬순 기후를 띠는 말레이시아 타와우와의 자매 도시이다.
  • 남술라웨시주 - 팔로포
    팔로포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루우 왕국 시대에 무역 중심지로 설립되었으며 역사 유적지를 보유하고 9개의 구역으로 나뉘고 연중 강우량이 많은 열대 우림 기후를 나타낸다.
  • 인도네시아의 주 - 자카르타
    자카르타는 인도네시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아시안 게임을 개최하고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며, 동남아시아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시이다.
  • 인도네시아의 주 - 서파푸아주
    서파푸아주는 뉴기니섬 서쪽 지역에 위치한 인도네시아의 주로, 4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하며 다양한 문화와 언어가 발달했고 역사적으로 여러 제국과 술탄국의 지배를 거쳐 네덜란드 식민 지배를 받았으며, 인도네시아에 편입되었지만 분리 독립 운동이 이어지고 있다.
남술라웨시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인도네시아에서 남 술라웨시의 위치
중앙에 #C41E3A 남 술라웨시와 #FFFDD0 인도네시아가 표시됨.
기본 정보
공식 명칭남 술라웨시 주
현지 명칭술라웨시 슬라탄
남 술라웨시 문장
남 술라웨시 문장
남 술라웨시 깃발
남 술라웨시 깃발
표어토도풀리 (부기스어-마카사르어)
표어 (로마자)Toddopuli
표어 (의미)신념을 지켜라
수도마카사르 (최대 도시)
설립일1960년 12월 13일
정부남 술라웨시 지방 정부
면적45,330.55 km²
면적 순위16위
해발고도알 수 없음
최고 지점라티모종 산 (3,478 m)
시간대인도네시아 중부 표준시 (UTC+08)
ISO 코드ID-SN
웹사이트남 술라웨시 주 공식 웹사이트
인구 통계
총 인구 (2023년 추정치)9,362,290명
민족 구성45.12% 부기스족
29.68% 마카사르족
7.34% 토라자족
4.93% 루우족
2.86% 자바족
2.8% 두리족
6.3% 기타
종교89.78% 이슬람교
7.64% 개신교
1.55% 천주교
0.73% 힌두교
0.25% 불교
0.06% 유교 및 기타
언어인도네시아어 (공식어)
마카사르 말레이어 (링구아 프랑카, 일상어)
부기스어, 마카사르어, 타에어, 토라자-사단어 (지역어)
정부 및 정치
주지사주단 아리프 파크룰로 (대행)
부지사공석
경제
총액Rp 605조 2천억 (9위)
US$ 408억
Int$ 1,243억 (PPP)
1인당Rp 6,560만 (12위)
US$ 4,417
Int$ 13,784 (PPP)
성장률5.09%
인간 개발 지수 (2024년)0.752 (높음)

2. 역사

남술라웨시 지역은 약 3만 년 전 인류가 처음 거주하기 시작한 곳으로, 마로스 인근 동굴 유적과 페타케레 동굴의 고대 손바닥 그림 등이 이를 증명한다.[8][9]

14세기 이후 농업 발달과 교역 증가는 보네, 와조, 고와 등 여러 왕국의 성장을 이끌었다. 이들 왕국은 남술라웨시 지역의 패권을 두고 경쟁과 협력을 반복했다. 17세기 초, 이슬람교를 받아들이고 국제 무역으로 세력을 키운 고와가 부기스족 왕국들을 통합하며 지역의 주도권을 잡았다.

17세기부터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가 향신료 무역을 위해 진출하여 고와 왕국과 대립했다. VOC는 부기스족 왕자 아룬 팔라카와 연합하여 고와를 약화시키고, 점차 남술라웨시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다. 네덜란드의 식민 지배에 대한 저항은 1905년 타나 토라자 지역이 완전히 정복될 때까지 이어졌다.

인도네시아 공화국 독립 이전까지 남술라웨시는 여러 왕국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부기스족, 마카사르족, 만다레족, 토라자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다. 현대에는 2022년 6월 토네이도 피해를 겪는 등 자연재해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10]

2. 1. 초기 역사

1929년 남술라웨시의 한 마을


1905년 셀레베스 지도


술라웨시섬에는 약 3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하기 시작했다. 가장 오래된 거주 흔적은 마로스에서 북동쪽으로 약 30km 떨어진 석회암 언덕 근처 동굴에서 발견되었다. 왈라네 계곡의 강변 테라스에서는 자갈과 조각돌 도구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소펭과 센캉에서도 확인되었다. 이 유적지에서는 현재는 멸종된 거대한 돼지와 코끼리 종의 뼈도 함께 발견되었다. 페타케레 동굴에서는 약 3만 5천 년에서 4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손바닥 그림이 발견되었다.[8] 이 동굴은 마로스 마을에서 12km, 마카사르에서 3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9]

14세기 초, 남술라웨시 지역 쌀에 대한 외부 수요가 증가하면서 상업이 발달했고, 이는 주요한 농업 확장과 정치적 중앙 집권화를 촉진했다. 화전 방식은 점차 집약적인 논농사로 대체되었고, 인구 밀도가 증가했다. 원시림이 개간되면서 반도 내륙에는 새로운 정착촌들이 건설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보네와 와조의 부기스 족장국과 고와의 마카사르 정치 세력이 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마로스의 통치자, 마카사르, 술라웨시


16세기 초, 보네는 반도 동부에서 가장 중요한 세력으로 자리 잡았고, 고와와 탈로의 마카사르 연합 왕국은 서부 지역으로 영향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남술라웨시의 패권을 둘러싼 경쟁 속에서 고와-탈로와 보네는 1560년대에 충돌했다.

1582년, 보네, 소펭, 그리고 와조는 '티무룬 조약'으로 알려진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했다. ''텔룸포코''("삼국", 문자 그대로 "세 봉우리")라고도 불리는 이 동맹은 고와의 팽창을 막고, 고와에 종속되었던 부기스 정치 세력들의 자치권을 회복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1582년, 1585년, 1588년에 고와가 동맹을 공격했지만 모두 성공적으로 격퇴되었고, 1590년에는 고와 통치자의 사망으로 또 다른 공격이 중단되었다. 그러나 17세기 초, 고와와 탈로는 국제 무역을 활발히 하고 이슬람을 받아들이면서 남술라웨시의 지배적인 세력으로 부상했다. 고와는 부기스 왕국들을 성공적으로 공격하여 1609년 소펭, 1610년 와조, 1611년 보네를 차례로 정복했다.

17세기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가 이 지역에서 활동을 시작하면서, 고와 왕국을 향신료 무역 장악의 장애물로 여겼다. VOC는 고와의 몰락 이후 망명 중이던 부기스 왕자 아룬 팔라카와 동맹을 맺었다. 1년간의 전투 끝에 VOC와 아룬 팔라카 연합군은 고와 왕국을 물리쳤다. 고와의 왕 술탄 하산우딘은 결국 붕가야 조약에 서명할 수밖에 없었고, 이 조약으로 고와의 힘은 크게 약화되었다. 이후 아룬 팔라카는 남술라웨시의 통치자가 되었다.

고와 왕인 망기망기 카라엥 본토놈포, 셀레베스 및 속령의 임시 총독 보셀라르 씨 취임식 연설을 듣고 있는 군중과 고위 관리들, 1937년


이후 유럽에서 나폴레옹 전쟁으로 네덜란드가 혼란스러운 틈을 타 한 부기스 여왕이 저항을 이끌었지만, 전쟁이 끝난 후 네덜란드는 남술라웨시로 돌아와 반란을 진압했다. 그러나 부기스 사람들의 식민 통치에 대한 저항은 1905년까지 끈질기게 계속되었다. 1905년에 네덜란드는 타나 토라자까지 정복했다.

인도네시아 공화국이 선포되기 전까지 남술라웨시는 여러 독립 왕국의 영토로 나뉘어 있었으며, 부기스족, 마카사르족, 만다레족, 토라자족의 네 주요 민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2. 2. 중세 시대



14세기 초, 남술라웨시 지역에서는 쌀에 대한 외부 수요 증가로 상업이 발달하면서 주요한 농업 확장과 정치적 중앙 집중화가 이루어졌다. 기존의 화전 방식은 점차 집약적인 논농사로 대체되었고 인구 밀도가 증가했다. 원시림이 개간되면서 반도 내륙에 새로운 정착촌이 건설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보네와 와조의 부기스 족장국, 그리고 고와의 마카사르 정치 세력의 부상으로 이어졌다.

16세기 초, 보네는 반도 동부에서 중요한 세력으로 자리 잡았고, 고와와 탈로의 마카사르 연합 왕국은 서부 지역으로 영향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남술라웨시의 패권을 둘러싼 경쟁 속에서 고와-탈로 연합과 보네는 1560년대에 충돌했다.

1582년, 보네, 소펭, 와조는 고와의 팽창주의에 맞서기 위해 티무룬 조약으로 알려진 상호 방위 동맹을 체결했다. ''텔룸포코''("삼국")라고도 불린 이 동맹은 고와에 종속된 부기스 정치 세력의 자치권 회복을 목표로 했다. 고와는 1582년, 1585년, 1588년에 동맹을 공격했으나 모두 격퇴되었고, 1590년의 공격은 고와 통치자의 사망으로 중단되었다. 그러나 17세기 초, 고와와 탈로는 국제 무역을 발판 삼아 이슬람을 받아들이면서 남술라웨시의 지배적인 세력으로 부상했다. 고와는 부기스 왕국들에 대한 공세를 성공시켜 1609년 소펭, 1610년 와조, 1611년 보네를 차례로 정복했다.

17세기에 들어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가 이 지역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VOC는 향신료 무역 장악에 방해가 되는 고와 왕국을 적대시했다. VOC는 고와의 몰락 이후 망명 중이던 부기스 왕자 아룬 팔라카와 동맹을 맺고 1년간의 전투 끝에 고와 왕국을 굴복시켰다. 고와의 술탄 하산우딘은 왕국의 힘을 크게 약화시키는 붕가야 조약에 강제로 서명해야 했으며, 이후 아룬 팔라카가 남술라웨시의 통치자가 되었다.

이후 한 부기스 여왕이 유럽의 나폴레옹 전쟁으로 네덜란드의 영향력이 약화된 틈을 타 저항을 이끌었으나, 전쟁이 끝난 후 돌아온 네덜란드에 의해 반란은 진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기스 사람들의 식민 통치에 대한 저항은 1905년까지 끈질기게 이어졌다. 1905년 네덜란드는 타나 토라자 지역까지 정복했다.

인도네시아 공화국 선포 이전까지 남술라웨시는 여러 독립 왕국의 영토로 나뉘어 있었으며, 부기스족, 마카사르족, 만다레족, 토라자족의 네 주요 민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2. 3. 네덜란드 식민 시대



17세기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는 남술라웨시 지역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VOC는 이 지역의 향신료 무역을 독점하려 했으며, 당시 강력한 세력이었던 고와 왕국을 주요 장애물로 간주했다. VOC는 고와 왕국에 의해 권력을 잃고 망명 중이던 부기스족 왕자 아룬 팔라카와 손을 잡았다.

VOC와 아룬 팔라카의 연합군은 1년간의 치열한 전투 끝에 고와 왕국을 패배시켰다. 결국 고와 왕국의 통치자 술탄 하산우딘은 붕가야 조약(Treaty of Bongaja)에 강제로 서명해야 했으며, 이 조약으로 고와 왕국의 힘은 크게 약화되었다. 이후 아룬 팔라카는 네덜란드의 지원 하에 남술라웨시의 실질적인 통치자로 부상했다.

그러나 네덜란드의 지배에 대한 저항은 계속되었다. 유럽에서 나폴레옹 전쟁으로 네덜란드의 영향력이 약화된 틈을 타, 한 부기스 여왕이 중심이 되어 저항 운동을 이끌기도 했다. 하지만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고 네덜란드가 돌아오자 이 반란은 진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기스족을 중심으로 한 식민 통치에 대한 저항은 1905년까지 끈질기게 이어졌다. 1905년, 네덜란드는 최종적으로 타나 토라자 지역까지 정복하며 남술라웨시 전역에 대한 식민 지배를 확립했다.

2. 4. 현대



부기스족 사람들의 네덜란드 식민 통치에 대한 저항은 1905년까지 계속되었다. 같은 해 네덜란드는 타나 토라자 지역까지 정복하며 지배력을 강화했다.

인도네시아 공화국이 선포되기 전, 남술라웨시는 여러 독립적인 왕국의 영토로 나뉘어 있었으며, 부기스족, 마카사르족, 만다레족, 토라자족 등 네 주요 민족 집단이 거주하고 있었다.

2022년 6월 16일에는 토네이도가 남술라웨시 지역을 강타하여 63채의 가옥이 파손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이 재해로 인해 직접적인 사망자는 없었으나, 토네이도로 인한 스트레스 관련 질환으로 한 명이 사망했다.[10]

3. 지리

남술라웨시주는 남위 4°20′, 동경 120°15′에 위치하며, 면적은 45330.55km2이다. 이 주는 북쪽으로 중앙술라웨시주서술라웨시주와 접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보네만과 남동술라웨시주, 서쪽으로는 마카사르 해협, 남쪽으로는 플로레스해와 접한다.

4. 행정 구역

인도네시아 독립 이후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남술라웨시 주가 형성되었다. 1950년 술라웨시 주가 법적으로 설립되었고, 1960년에는 남/동남 술라웨시 주가 승인되었다. 1964년 남술라웨시 주와 동남 술라웨시 주가 분리되었으며, 2004년에는 일부 군이 서술라웨시 주로 분리되어 나가면서 현재의 행정 구역 경계가 확정되었다.

현재 남술라웨시 주는 여러 군(카부파텐, Kabupaten)과 시(코타, Kota)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한 군과 시의 목록, 그리고 인민대표평의회 선거를 위한 선거구 구분은 하위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11] 동부 인도네시아의 주요 도시권인 마카사르 대도시권 역시 남술라웨시 주에 속해 있다.

4. 1. 군 (Kabupaten)

1950년 술라웨시 주가 법적으로 설립된 이후 몇 차례의 행정 구역 개편이 있었다. 1960년 남/동남 술라웨시 주가 설립되었고, 1964년에는 남술라웨시 주와 동남 술라웨시 주로 분리되었다. 2004년 10월 5일에는 마제네, 마마사, 마무주, 파상카유, 폴레왈리 만다르 군이 새로운 서술라웨시 주로 분리되어 나가면서 현재의 행정 구역이 형성되었다.

현재 남술라웨시 주는 21개의 군(Kabupaten)과 3개의 자치시(Kota)로 구성되어 있다.

군 (Kabupaten)영어 명칭행정 중심지
반탕Bantaeng Regency반탕 (Bantaeng)
바루Barru Regency바루 (Barru)
보네Bone Regency와탐포네 (Watampone)
불루쿰바Bulukumba Regency불루쿰바 (Bulukumba)
엔레캉Enrekang Regency엔레캉 (Enrekang)
고와Gowa Regency숭구미나사 (Sungguminasa)
제네폰토Jeneponto Regency제네폰토 (Jeneponto)
루우Luwu Regency팔로포 (Palopo)
동루우East Luwu Regency말릴리 (Malili)
북루우North Luwu Regency마삼바 (Masamba)
마로스Maros Regency마로스 (Maros)
팡카제네 제도Pangkajene Islands Regency팡카제네 (Pangkajene)
핀랑Pinrang Regency핀랑 (Pinrang)
셀라야르Selayar Regency벤텡 (Benteng)
신자이Sinjai Regency신자이 (Sinjai)
시덴렝 라팡Sidenreng Rappang Regency시덴렝 (Sidenreng)
소펭Soppeng Regency와탄소펭 (Watansoppeng)
타칼라르Takalar Regency타칼라르 (Takalar)
타나 토라자Tana Toraja Regency마칼레 (Makale)
와조Wajo Regency센캉 (Sengkang)



이들 군과 시는 인민대표평의회 의원을 선출하는 3개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나뉜다.[11]


  • '''남술라웨시 제1선거구''': 반타엥, 제네폰토, 타칼라르, 고와, 셀라야르 제도 등 5개 군과 마카사르 시 (의원 8명)
  • '''남술라웨시 제2선거구''': 불루쿰바, 신자이, 마로스, 팡카제네 제도, 바루, 보네, 소펭, 와조 등 8개 군과 파레파레 시 (의원 9명)
  • '''남술라웨시 제3선거구''': 시덴렝 라팡, 핀랑, 엔레캉, 루우, 타나 토라자, 북토라자, 북루우, 동루우 등 8개 군과 팔로포 시 (의원 7명)

4. 2. 시 (Kota)

4. 3. 마카사르 대도시권

'''마카사르 대도시권'''은 마카사르 시(Kota Makassar|코타 마카사르id), 마로스군(Kabupaten Maros|카부파텐 마로스id), 고와군(Kabupaten Gowa|카부파텐 고와id), 타칼라르군(Kabupaten Takalar|카부파텐 타칼라르id)의 1개 시와 3개 군으로 구성된다. 인구는 약 200만 명으로, 동부 인도네시아 최대의 도시권이다.

5. 인구

남술라웨시 주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남술라웨시 주 연도별 인구 변화
연도인구 수
19715,180,576
19806,062,212
19906,981,646
19957,558,368
20007,159,170
20108,034,776
20209,073,500



출처: Badan Pusat Statistik 2011년 및 2021년 자료. 1995년과 2000년 사이의 인구 감소는 서술라웨시주가 남술라웨시 주에서 분리되었기 때문이다.

5. 1. 민족

남술라웨시 주에는 다양한 민족 집단이 있다. 2010년 인구조사에 따른 주요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12]

2010년 인구조사 기준 남술라웨시 주 민족 구성
민족비율 (%)
부기스인41.9
마카사르인25.43
토라자인9.02
만다르인6.1
자바인3.0
중국인1.4
기타13.15



주요 세 민족 집단은 다음과 같다.


  • '''부기스족''' (''Suku Bugis''): 남술라웨시 주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으로, 인구는 약 400만 명에 달한다. 주로 남술라웨시 주 남부 반도 중앙에 거주하며, 많은 이들이 술라웨시 주변의 외딴 섬들이나 말레이시아까지 이주하기도 했다.
  • '''마카사르족''' (''Suku Makassar''): 두 번째로 큰 민족 집단으로, 마카사르어를 사용한다. 제네폰토, 타칼라르, 불루쿰바, 반타엥, 고와, 마로스 현, 팡카제네 섬과 섬들, 그리고 마카사르시를 포함한 남술라웨시 주 남부 반도 남쪽에 거주한다. 총 인구는 200만 명이 넘는다.
  • '''토라자족''' (''Suku Toraja''): 타나 토라자 현과 북토라자 현을 포함하는 산악 북부 지역에 거주하는 토착 민족 집단이다.

5. 2. 언어

남술라웨시주에서는 다양한 언어와 방언이 사용되며, 이들 대부분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에 속한다. 주요 언어는 다음과 같다.

  • '''마카사르어''': 마카사르시를 포함한 주 남서부에서 사용되며, 총 210만 명의 화자가 있다.
  • '''부기스어''': 북서쪽의 핀랑군에서 남동쪽의 불루쿰바군까지 넓은 지역에서 사용된다. 약 500만 명의 모어 화자와 약 50만 명의 제2언어 화자를 보유하여 남술라웨시와 술라웨시섬 전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 중 하나이다.
  • '''타에어''': 주 북동부의 타나 루우 지역(루우군, 루우우타라군, 루우티무르군, 팔로포시)에서 주로 사용된다. 2020년 기준으로 약 40만 명의 모어 화자가 있다.
  • '''토라자어''': 타나토라자군과 토라자우타라군으로 이루어진 타나 토라자 지역의 고유 언어로, 총 80만 명 이상의 화자가 있다.
  • '''만다르어''', '''마무주어''', '''파타에어''': 주로 서술라웨시주의 마무주, 폴레왈리만다르, 마제네, 파상카유군 등에서 만다르족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만다르족은 부족 지역을 중심으로 남술라웨시의 해안 지역에도 흩어져 살고 있으며, 이들 언어의 총 사용자는 약 40만 명이다.
  • '''두리어''': 엔레캉군의 밤바푸앙산 북쪽과 타나 토라자 경계 지역에서 사용되며, 약 13만 명의 모어 화자가 있다. 이 언어는 마센렘풀루어의 표준 방언으로 간주된다.
  • '''콘조어''': 해안 콘조어와 고지 콘조어 두 방언 그룹으로 나뉜다. 해안 콘조족은 술라웨시섬 남부 남동쪽 끝, 특히 불루쿰바군의 해안 지역에 거주하며, 고지 콘조족은 바와카라엥 주변의 술라웨시 남동부 산악 지역에 거주한다. 두 방언 그룹을 합쳐 총 약 30만 명의 모어 화자가 있다.

5. 3. 종교

남술라웨시 주의 주요 종교는 이슬람교이며, 인구의 89.62%(7,200,938명)를 차지한다. 다른 주요 종교로는 개신교 7.62%(612,751명), 로마 가톨릭교 1.54%(124,255명), 불교 0.24%(19,867명), 힌두교 0.72%(58,393명), 그리고 유교 0.004%(367명)가 있다.[15]

6. 경제

남술라웨시의 경제는 꾸준히 성장하는 추세를 보여왔다. 2008년에는 7.78%의 성장률을 기록했고, 2009년에는 6.20% 성장했다. 2010년 1분기 경제 성장률은 7.77%에 달했다. 2009년 기준 GDP(ADHK)는 47.31조인도네시아 루피아이었으며, (ADHB) 기준으로는 99.9조인도네시아 루피아이었다.

2022년 기준 남술라웨시의 GDP 구성은 다음과 같다.[16]

남술라웨시 GDP 부문별 비중 (2022)[16]
부문비중 (%)
서비스업45.73
농업22.10
기타 산업19.27
제조업12.90



서비스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농업제조업 등이 그 뒤를 잇는다. 농업과 광업은 남술라웨시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6. 1. 농업

남술라웨시주 제네폰토의 소금 증발지


인도네시아의 주요 미곡 창고 중 하나인 남술라웨시주는 매년 2305469ton의 을 생산한다. 이 중 약 884375ton은 지역 내 소비용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1421094ton은 비축되어 다른 동부 지역으로 배분된다. 생산된 쌀은 말레이시아, 필리핀, 파푸아뉴기니 등지로 수출되기도 한다. 주요 쌀 생산 지역은 보네 군구, 쏘펭, 와조, 시드랍, 핀랑, 루우 등 이른바 '보도와시필루(Bodowasipilu)' 지역이다.

패션프루트


쌀 외에도 옥수수, 카사바, 고구마, 강낭콩, 땅콩, 등을 생산한다. 또한 하이브리드 코코넛, 코코아, 커피, 후추, 바닐라, , 캐슈너트, 목화와 같은 고부가가치 작물도 재배된다. 2004년 발효된 타타 구나 호란 협정(TGHK)에 따라 많은 삼림 지역이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목재 관련 제품의 생산량은 제한적이다.

수산업 분야에서는 참치와 스내퍼-그루퍼 어획량이 많으며, 해조류를 양식하여 식용으로 사용한다. 축산업 분야에서는 , , 돼지, 염소 등 일반적인 가축을 사육한다.

6. 2. 광업

남술라웨시주의 높은 GRDP에 기여하는 요인 중 하나는 광업 부문이다. 주요 채굴 품목은 다음과 같다.

주요 채굴 품목
품목
니켈[17]
마그네슘
화강암
석재 제품



남술라웨시의 산맥 (Gunung Nona)

7. 교통

남술라웨시주는 항공, 해상, 철도 등 다양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주요 공항과 항구가 운영 중이며, 술라웨시 횡단 철도 건설도 진행되고 있다.

7. 1. 항공

술탄 하산우딘 국제공항(Sultan Hasanuddin International Airport)


남술라웨시주의 주요 공항은 다음과 같다.

공항 이름위치
술탄 하산우딘 국제공항(Sultan Hasanuddin International Airport)마카사르(Makassar)
팔로포 라갈리고 공항(Palopo Lagaligo Airport)팔로포(Palopo)
퐁티쿠 공항(Pongtiku Airport)타나 토라자(Tana Toraja)
하지 아로에팔라 공항(Haji Aroepala Airport)셀라야르(Selayar)
안디 젬마 공항(Andi Jemma Airport)마삼바(Masamba)
소로아코 공항(Soroako Airport)소로아코(Soroako)


7. 2. 해상

항구 이름위치
수카르노-핫타마카사르
탄중 링깃팔로포
누산타라파레파레
파툼부캉셀라야르


7. 3. 철도

술라웨시 횡단 철도 건설이 진행 중이다. 이 철도는 마카사르파레파레를 연결할 예정이다. 바루에서 팔란로까지 44km 구간은 2018년 말 운영을 목표로 했다.[18] 마카사르-파레파레 철도 전체 구간(150km)은 2019년에 완공될 예정이었다.[19]

8. 문화

남술라웨시주의 문화는 부기스족, 마카사르족, 토라자족 등 다양한 민족 집단의 전통과 생활 방식이 어우러져 독특하고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준다. 이 지역의 문화는 공동체의 가치관을 반영하는 철학, 고유한 아름다움을 지닌 전통 의상, 역동적인 춤사위, 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배 건조 기술, 독특한 건축 양식, 풍부한 식재료를 활용한 음식, 전통 놀이, 그리고 고유한 형태의 무기 등 여러 측면에서 나타난다.

특히 부기스-마카사르 사회의 핵심 가치인 '시리 나 파체' 철학은 주민들의 삶과 정체성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여성의 전통 의상인 '바주 보도'는 그 색깔로 착용자의 신분을 나타내기도 했으며, 다양한 전통춤은 공동체의 역사와 이야기를 생생하게 전달한다. 인도네시아의 상징적인 전통 범선피니시는 이 지역 사람들의 뛰어난 항해술과 조선 기술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건축 양식에서는 부기스-마카사르인의 '루마 팡궁'과 토라자족의 배 모양 지붕을 가진 '통코난'이 유명하다. 또한, 풍부한 농수산물을 바탕으로 발달한 팔루바사와 같은 전통 음식코코넛 껍질을 이용하는 '말라고' 같은 전통 놀이, 독특한 형태의 칼인 '바딕' 등도 남술라웨시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이룬다.

8. 1. 철학


  • 시리 나 파체(Siri Na Pacce|시리 나 파체bug, ᨔᨗᨑᨗ ᨊ ᨄᨌᨙ)는 부기스-마카사르 사회의 중요한 문화 철학으로, 반드시 지켜야 할 가치이다. 시리 나 파체를 갖추지 못한 사람은 수치심, 자존감, 사회적 책임감이 없어 동물과 다를 바 없다고 여겨진다. 부기스-마카사르 사람들은 예의범절, 금기, 그리고 인간 행동을 지배하는 권리와 의무에 대한 조언을 통해 도덕성을 가르치며, 자신과 자신의 명예를 보존하고 방어하기 위해 노력한다. 그들은 영성 측면에서 이슬람적 관점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강인한 정신이 육체를 정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시리 나 파체의 핵심 개념은 공동체 생활의 모든 측면을 포괄하며 부기스-마카사르인의 정체성을 구성한다.
  • 시리 니파카시리(Siri Nipakasiri|시리 니파카시리bug, ᨔᨗᨑᨗ ᨊᨗᨄᨀᨔᨗᨑᨗ)는 누군가가 이유 없이 모욕하거나 부당하게 대우받았을 때 발생한다. 그러면 그 사람이나 그의 가족은 빼앗긴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시리(Siri|시리bug, ᨔᨗᨑᨗ)를 행사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마테 시리(Mate siri'|마테 시리bug, ᨆᨈᨙ ᨔᨗᨑᨗ)" 즉,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지위를 상실한 것으로 간주된다. 부기스-마카사르 사람들은 시리 없이 사느니 차라리 죽는 것을 선택한다.
  • 시리 마시리(Siri Masiri|시리 마시리bug, ᨔᨗᨑᨗ ᨆᨔᨗᨑᨗ)는 성실하고 힘든 노력을 통해 업적을 유지, 향상 또는 달성하고자 하는 삶의 방식이다.

8. 2. 전통 의상

'''바주 보도'''(ᨅᨍᨘ ᨅᨚᨉᨚ|바주 보도mak, 마카사르어) 또는 '''와주 토코'''(ᨓᨍᨘ ᨈᨚᨀᨚ|와주 토코bug, 부기스어)는 남술라웨시주 여성의 전통 의상이다. 바주 보도는 직사각형 모양이며 일반적으로 소매가 짧다. 전통적으로 여성이 입는 옷의 색깔은 착용자의 나이나 신분을 나타냈다. 주로 결혼식과 같은 의례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무용 경연대회나 손님맞이 행사 등 다양한 경우에 착용된다.

8. 3. 전통춤

파라가 춤 공연


남술라웨시주의 전통춤은 춤 동작, 음악, 조명, 의상 등의 요소들이 결합된 형태로, 춤추는 사람들이 이를 통해 과거 공동체의 습관이나 이야기를 전달한다. 주로 전쟁 이야기, 공동체의 흥겨움, 손님맞이 등을 표현하는 춤들이 있다.

남술라웨시의 춤 스타일은 수적으로 우세한 부기스족-마카사르족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토라자족 역시 많은 의례적인 전통춤을 보유하고 있다. 이 지역에 거주하는 만다르족도 예술에서 독자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 외에도 두리족, 파틴조족, 마이와족, 엔데칸족, 파타에족, 아마토아 카장 부족 등 여러 부족들이 남술라웨시의 독특한 예술을 보여주는 춤을 가지고 있다.

8. 4. 전통 배

피니시(Pinisi, ᨄᨗᨊᨗᨔᨗbug)는 인도네시아 전통의 2개 돛대를 가진 범선이다. 주로 콩조족(Konjo tribe)이라는 소수 민족에 의해 건조되었지만, 부기스족과 마카사르족이 섬 간 운송, 화물 운송, 어업 등 인도네시아 군도 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했으며, 현재도 사용하고 있다.

선체는 도우(dhow)와 비슷하지만, 전후 돛대 장비는 서구식 쇼너(schooner)와 유사하다. 하지만 앞쪽 돛대가 더 크기 때문에 케치(ketch)와 더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큰 메인세일(mainsail)은 서구식 가프 돛대(gaff rig)와는 다르다. 붐(boom)이 없는 경우가 많고, 가프(gaff)를 이용해 돛을 내리지 않는다. 대신 커튼처럼 돛대 쪽으로 돛을 말아 올린다. 이 때문에 가프를 항구에서 데크 크레인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돛대 하단은 삼각대 모양이거나 두 개의 기둥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피니시의 길이는 20m에서 35m 사이이며, 무게는 최대 350ton에 달할 수 있다. 돛대의 높이는 갑판 위로 30m에 이를 수 있다.

8. 5. 전통 가옥

남술라웨시주에는 세 종류의 전통 가옥이 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부기스-마카사르인의 '루마 팡궁'(Ballamak ᨅᨒ / Bolabug ᨅᨚᨒ)과 토라자족의 통코난이다.

고와 술탄국의 타말라테 궁전


케테 케수, 토라자 군

  • '''루마 팡궁''' (Ballamak ᨅᨒ 마카사르어 / Bolabug ᨅᨚᨒ 부기스어)

집을 지을 때는 해돋이 방향, 고원을 내려다보는 방향, 또는 주요 방향을 고려하여 위치를 정한다. 집을 짓기 좋은 날이나 달은 보통 관련 지식을 가진 사람들이 결정하며, 집을 짓는 과정은 의식 행사로 시작된다.

  • '''통코난'''

토라자족 사람들의 전통적인 조상 가옥 또는 전통 가옥이다. 통코난은 독특한 배 모양의 과장된 안장 지붕을 가지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의 대부분의 오스트로네시아족계 전통 건축 양식처럼 기둥 위에 세워진다. 통코난 건설은 힘든 작업이어서 보통 모든 가족 구성원이 함께 짓는다. 원래 토라자 사회에서는 귀족만이 통코난을 지을 권리가 있었고, 일반인들은 '바누아'라고 불리는 더 작고 장식이 덜 된 집에 살았다.

8. 6. 전통 음식



팔루바사


남술라웨시주는 옥수수 외에도 카사바, 고구마, 강낭콩, 땅콩, 등 다양한 작물을 생산한다. 또한 코코넛, 코코아, 커피, 후추, 바닐라, , 캐슈너트와 같은 환금 작물도 재배된다. 풍부한 바나나는 여러 요리의 주재료로 사용되며, 특히 부기스-마카사르 지역의 케이크처럼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수산업에서는 참치와 스내퍼-그루퍼(snapper-grouper)가 대량으로 어획되며, 해조류도 재배하여 식용으로 사용한다. 해안 지역에서는 볼루(뱅어돔), 새우, 수누(자바도다리), 등을 즐겨 먹는다. 농장에서는 , , 돼지, 염소 등 일반적인 가축도 사육한다.

이처럼 풍부한 식재료를 바탕으로 남술라웨시주의 전통 음식은 팔루바사(Pallubasa)와 같은 수프부터 다양한 전통 케이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채롭다.

8. 7. 전통 놀이

말라고(Mallogoind)는 코코넛 껍질과 대나무를 사용하여 하는 골프와 비슷한 전통 게임이다.[20]

8. 8. 전통 무기

부기스족과 마카사르족이 개발한 바딕 또는 바덱은 칼이나 단검이다.

  • '''바딕''' (ᨅᨉᨗmak) 또는 '''카왈리''' (ᨀᨓᨒᨗbug)는 부기스족과 마카사르족이 개발한 독특한 형태의 칼이다. 바딕은 날카로우며, 양날 또는 한쪽 날을 가지고 있고 길이는 약 0.5m이다. 크리스와 마찬가지로 칼날 모양은 비대칭적이며 종종 장식이 되어 있다. 그러나 크리스와 다른 점은 바딕에는 '간자'(완충 스트립)가 없다는 점이다. 술라웨시산 일부 버전은 '예코'라고 불리는 상감 세공된 금으로 장식되기도 한다. 손잡이는 나무, 뿔 또는 상아로 만들어지며 45°~90° 각도로 권총 손잡이 모양을 하고 있으며 종종 조각으로 장식된다. 술라웨시에서 바딕은 자바, 보르네오, 수마트라와 같은 인근 섬과 말레이 반도까지 퍼져나가 각 지역과 민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바딕이 만들어졌다.


말레이 제도의 다른 칼날 무기처럼 전통적으로 만들어진 바딕은 제련 과정에서 초자연적인 힘이 깃든다고 여겨진다. 특히 '파모르'라고 불리는 문양은 소유주에게 영향을 미쳐 행복과 번영 또는 불행과 빈곤을 가져온다고 믿어진다. 무기나 사냥 도구로 사용되는 것 외에도 바딕은 술라웨시의 문화적 정체성을 상징한다. 부기스족과 마카사르족은 여전히 일상복의 일부로 바딕을 휴대하며, 오른쪽에 차고 손잡이 끝부분이 뒤쪽을 향하도록 한다.

참조

[1] 간행물 Provinsi Sulawesi Selatan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2] 웹사이트 Produk Domestik Regional Bruto (Milyar Rupiah), 2020–2022 https://www.bps.go.i[...] Badan Pusat Statistik 2023-09-03
[3] 웹사이트 Capaian Indikator Utama Pembangunan https://simreg.bappe[...] Badan Pembangunan Nasional 2023-09-03
[4] 웹사이트 Indeks Pembangunan Manusia 2024 https://www.bps.go.i[...] Statistics Indonesia 2024-11-15
[5] 간행물 Biro Pusat Statistik 2011
[6] 간행물 Badan Pusat Statistik 2021
[7] 간행물 Provinsi Sulawesi Selatan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8] 웹사이트 Indonesian cave paintings 'revolutionized our idea of human art' http://www.dw.de/ind[...] Deutsche Welle 2014-10-09
[9] 서적 Sulawesi: Island crossroads of Indonesia https://books.google[...] Passport Books
[10] 웹사이트 Maros whirlwind: BPBD readies evacuation site for affected residents https://en.antaranew[...] Antara (news agency) 2022-06-17
[11] 법률 Law No. 7/2017
[12] 문서 Indonesia's Population
[13] 웹사이트 Jumlah Penduduk Menurut Agama https://satudata.kem[...] Ministry of Religious Affairs (Indonesia) 2022-08-31
[14] 웹사이트 PENDUDUK SULAWESI SELATAN BERJUMLAH 8 JUTA LEBIH https://www.katailmu[...]
[15] 웹사이트 Indonesian Religion http://sp2010.bps.go[...]
[16] 웹사이트 Provinsi Sulawesi Selatan Dalam Angka 2023 https://sulsel.bps.g[...] Statistics Indonesia
[17] 서적 Relentless Change: A Casebook for the Study of Canadian Business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9
[18] 뉴스 Menhub: Akhir 2018, Kereta Api Trans Sulawesi Capai 44 KM http://dephub.go.id/[...] Ministry of Transportation 2017-10-28
[19] 뉴스 Gubernur Sulsel: 150 Km Rel KA Trans Sulawesi Akan Beroperasi 2019 https://kumparan.com[...] Kumparan.com 2018-03-09
[20] 웹사이트 The amazing culture, cross culture, tradition and identity of South Sulawesi https://jayschoolblo[...] Jay School Blog
[21] 웹사이트 Statistical Yearbook of Indonesia 2022 https://www.bps.go.i[...] 中央統計庁 2022-02-25
[22] 웹사이트 Indonesia: Provinces & Cities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20-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