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엔 수단 임무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수단 임무단(UNMIS)은 2005년 3월부터 2011년 7월까지 수단에서 활동한 유엔 평화 유지 임무단이다. 포괄적 평화 협정(CPA)의 이행을 지원하고, 안보 및 안정을 유지하며, 정치적 지원과 개발 및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임무로 했다. 최대 10,000명의 군 병력, 715명의 민간 경찰, 1,018명의 국제 민간 직원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6개 구역으로 나뉘어 임무를 수행했다. 대한민국은 군사 및 경찰 인력을 파견하여 UNMIS에 기여했으며, 일본도 자위관을 사령부에 파견했다. UNMIS는 남수단의 독립을 지원했으나, 다르푸르 분쟁에 대한 대응 미흡과 민간인 보호의 제한 등 한계도 지적받았다. UNMIS는 남수단이 독립하면서 임무를 종료했고, 유엔 남수단 임무단(UNMISS)이 그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단의 역사 - 파쇼다 사건
    파쇼다 사건은 1898년 아프리카 분할 시기, 수단의 파쇼다에서 영국과 프랑스가 제국주의적 야망으로 충돌한 사건으로, 프랑스군의 파쇼다 점령 후 영국군의 도착으로 군사적 충돌 위기가 있었으나 프랑스의 철수로 종결되었고, 이후 영불 협약의 계기가 되어 유럽 열강의 식민지 경쟁과 국제 정세에 영향을 미쳤다.
  • 수단의 역사 - 2011년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
    2011년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는 수단 내전 종식의 일환으로 실시되어 남수단의 독립을 결정했으며, 압도적인 지지로 독립이 가결되어 2011년 7월 9일 남수단 공화국이 독립했다.
  • 유엔 평화 유지 활동 - 유엔 키프로스 완충 지대
    유엔 키프로스 완충 지대는 1963년 종교 간 폭력 사태로 설정된 "녹색 선"을 기반으로 1974년 튀르키예의 침공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키프로스 섬을 남북으로 분단하여 설립되었으며, 유엔 키프로스군이 관리하고 긴장이 지속되는 지역이다.
  • 유엔 평화 유지 활동 - 유엔 키프로스 평화유지군
    유엔 키프로스 평화유지군(UNFICYP)은 키프로스 내 폭력 사태 종식 및 평화 회복을 위해 1964년 설립되어, 1974년 키프로스 분단 이후 완충지대 감시 및 군사적 현상 유지 임무를 수행하며 평화적 해결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나, 중립성 논란과 철수 요구 등 과제에 직면하고 있는 유엔 평화유지군이다.
유엔 수단 임무단
개요
명칭국제 연합 수단 임무단
원어 명칭United Nations Mission in Sudan
약칭UNMIS
유형평화 유지 활동
상태종료
결의안안보리 결의 1590
설립일2005년 3월 24일
종료일2011년 9월 30일
본부북부 수단
웹사이트un.org/unmis
모기관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지도부
수장하일레 멘케리오스
임무
목표수단 내 평화 유지
시각 자료
국제 연합 문장
국제 연합 문장
수단 엘 파셰르에서 C-130에 탑승 준비 중인 르완다 UNMIS 부대
수단 엘 파셰르에서 C-130에 탑승 준비 중인 르완다 UNMIS 부대

2. 설립 배경

2. 1. 포괄적 평화 협정(CPA) 체결

2. 2.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3. 주요 임무

3. 1. 평화 협정 이행 지원

3. 2. 안보 및 안정 유지

3. 3. 정치적 지원

3. 4. 개발 및 인도적 지원

4. 구성 및 규모

유엔 수단 임무단은 2005년 3월부터 2011년 7월까지 임무를 수행했다. 사무총장 특별 대표 및 임무단장은 하이레 멩케리오스였다. 사무총장 특별 부대표(정치)는 자스비르 싱 리더였고, 사무총장 부대표(상주 조정관 및 인도주의 조정관)는 게오르그 샤르팡티에였다. 군 사령관은 모세 비송 오비 (나이지리아)였으며, 경찰청장은 공석이었다.

최대 10,000명의 병력, 약 750명의 군사 관측 요원, 715명의 민간 경찰, 1,018명의 국제 민간 직원, 2,623명의 현지 직원 및 214명의 유엔 자원봉사자로 구성되었다. 현장에는 소규모 아프리카 연합군이 있었으며, 이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엔군에 통합될 예정이었다.

병력은 6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배치되었으며, 군사 관측 요원이 휴전 감시를 담당했다. 병력 보호는 다양한 국가에서 제공했다.

구역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


  • 제2구역: 바르 엘 가잘; 구역 본부 와우; 병력 제공 국가 케냐중국. 서바르 엘 가잘, 북바르 엘 가잘, 와랍 및 알 부하이랏 주 포함.
  • 제3구역: 상백나일; 구역 본부 말라칼; 병력 제공 국가 인도. 종글레이, 유니티 및 상나일 주 포함.
  • 제4구역: 누바 산맥; 구역 본부 카두글리; 병력 제공 국가 이집트. 대 코르도판이 두 주로 분할되었을 때 이전 남코르도판 주의 경계와 동일.
  • 제5구역: 남부 청나일; 구역 본부 다마진; 병력 제공 국가 파키스탄. 청나일 주로 구성.
  • 제6구역: 아비에이; 구역 본부 아비에이; 병력 제공 국가 잠비아. 아비에이 마을을 둘러싸고 북쪽으로 뻗어 있는 분쟁 지역인 유전 지역 포함.

4. 1. 군사 부문

유엔 수단 임무단(UNMIS)의 군사 부문은 최대 10,000명의 군 병력과 약 750명의 군사 감시 요원으로 구성되었다.[5][6] 군 사령관은 모세 비송 오비(나이지리아)였다. 병력은 6개 구역으로 나뉘어 배치되었으며, 각 구역은 휴전 감시를 담당했다.

  • 제2구역: 바르 엘 가잘; 구역 본부 와우, 케냐중국군 파견. 서바르 엘 가잘, 북바르 엘 가잘, 와랍 및 알 부하이랏 주 포함.
  • 제3구역: 상백나일; 구역 본부 말라칼, 인도군 파견. 종글레이, 유니티 및 상나일 주 포함.
  • 제4구역: 누바 산맥; 구역 본부 카두글리, 이집트군 파견. 대 코르도판이 두 주로 분할되었을 때 이전 남코르도판 주의 경계와 동일.
  • 제5구역: 남부 청나일; 구역 본부 다마진, 파키스탄군 파견. 청나일 주로 구성.
  • 제6구역: 아비에이; 구역 본부 아비에이, 잠비아군 파견. 아비에이 마을을 둘러싸고 북쪽으로 뻗어 있는 분쟁 지역인 유전 지역 포함.


병력은 케냐, 중국, 인도, 이집트, 파키스탄, 잠비아 등 다양한 국가에서 제공했다.[5][6] 이 외에도 알제리,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방글라데시, 보츠와나, 브라질, 캄보디아, 캐나다, 콜롬비아, 크로아티아, 덴마크, 지부티, 에콰도르, 피지, 핀란드, 독일, 그리스, 과테말라, 헝가리, 인도네시아, 이탈리아, 일본, 몽골, 요르단, 말라위, 나미비아, 네팔, 네덜란드, 뉴질랜드, 나이지리아, 노르웨이, 오만, 파라과이, 페루, 폴란드, 루마니아, 러시아, 르완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한민국, 스페인, 스웨덴, 태국, 토고, 영국, 미국, 우크라이나, 우루과이, 베트남, 예멘, 짐바브웨 등 여러 국가에서 병력을 파견하였다.

4. 2. 경찰 부문

유엔 수단 임무단의 경찰 부문은 715명의 민간 경찰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은 대한민국,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방글라데시 등 다양한 국가에서 파견되었다.

4. 3. 민간 부문

유엔 수단 임무단(UNMIS)의 민간 부문은 1,018명의 국제 민간 직원, 2,623명의 현지 직원 및 214명의 유엔 자원봉사자로 구성되어 있다.

5. 대한민국 기여

대한민국은 유엔 수단 임무단(UNMIS)에 군사 및 경찰 인력을 파견하여 평화 유지 활동에 기여했다.[8][9][10][12]

2008년 6월 30일, 후쿠다 야스오 총리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의 회담에서 UNMIS 사령부에 자위대원을 파견할 방침을 전달했다. 이는 일본의 국제 평화 유지 활동 참여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당시 일본 내에서도 자위대의 해외 파병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같은 해 7월 1일, 이시바 시게루 방위대신은 통합막료감부 및 3자위대에 UNMIS 파견 준비 지시를 내렸다. 7월 27일부터 8월 5일까지 방위성, 외무성, 내각부 평화협력본부 사무국 직원 11명으로 구성된 조사단이 UNMIS 사령부에 파견되었다. 10월 3일, 각의 결정에 따라 2명의 자위관을 UNMIS 사령부에 파견하기로 결정, 파견 기간은 2008년 10월 8일부터 2009년 6월 30일까지였다.

2009년 4월 14일, 제2차 사령부 요원 2명이 일본을 출국했다.[8] 6월 22일, 각의 결정으로 파견 기간이 2010년 6월 30일까지 연장되었다. 9월 18일, 민주당으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수단 국내에 자위대 부대 파견이 검토되기 시작했다. 이는 일본의 정치 지형 변화와 함께 자위대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논의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10월 13일에는 제3차 사령부 요원 2명이 일본을 출국했다.[9]

2010년 4월 19일, 제4차 사령부 요원 2명이 출국했다.[10] 5월 8일, 육상자위대 헬리콥터 부대 파견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내각부, 외무성, 방위성 직원으로 구성된 조사단이 파견되었으나, 6월 18일 조사 결과 파견은 어렵다는 결론이 내려졌다.[11] 6월 22일, 각의 결정에 따라 자위관 파견은 2011년 6월 30일까지 1년 연장되었다. 11월 6일, 제5차 사령부 요원이 일본을 출국했다.

2011년 4월 19일, 제6차 사령부 요원 2명이 출국했다.[12] 6월 24일, 파견 기간을 2011년 9월 30일까지 3개월 연장하는 것이 각의에서 결정되었다. 7월 8일,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남수단 PKO 파견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13] 7월 9일, 남수단 공화국이 성립되었다. 7월 11일, UNMIS의 활동 종료에 관한 유엔 안보리 결의 1997이 만장일치로 채택되었고, 9월 30일 파견 자위관의 임무가 종료되었다.

5. 1. 군사 및 경찰 인력 파견

대한민국은 유엔 수단 임무단(UNMIS)에 군사 및 경찰 인력을 파견하여 평화 유지 활동에 기여했다.[8][9][10][12]

2008년 6월 30일, 후쿠다 야스오 총리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의 회담에서 UNMIS 사령부에 자위대원을 파견할 방침을 전달했다. 같은 해 7월 1일, 이시바 시게루 방위대신은 통합막료감부 및 3자위대에 UNMIS 파견 준비 지시를 내렸다. 7월 27일부터 8월 5일까지 방위성, 외무성, 내각부 평화협력본부 사무국 직원 11명으로 구성된 조사단이 UNMIS 사령부에 파견되었다. 10월 3일, 각의 결정에 따라 2명의 자위관을 UNMIS 사령부에 파견하기로 결정, 파견 기간은 2008년 10월 8일부터 2009년 6월 30일까지였다.

2009년 4월 14일, 제2차 사령부 요원 2명이 일본을 출국했다.[8] 6월 22일, 각의 결정으로 파견 기간이 2010년 6월 30일까지 연장되었다. 9월 18일, 민주당으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수단 국내에 자위대 부대 파견이 검토되기 시작했다. 10월 13일에는 제3차 사령부 요원 2명이 일본을 출국했다.[9]

2010년 4월 19일, 제4차 사령부 요원 2명이 출국했다.[10] 5월 8일, 육상자위대 헬리콥터 부대 파견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내각부, 외무성, 방위성 직원으로 구성된 조사단이 파견되었으나, 6월 18일 조사 결과 파견은 어렵다는 결론이 내려졌다.[11] 6월 22일, 각의 결정에 따라 자위관 파견은 2011년 6월 30일까지 1년 연장되었다. 11월 6일, 제5차 사령부 요원이 일본을 출국했다.

2011년 4월 19일, 제6차 사령부 요원 2명이 출국했다.[12] 6월 24일, 파견 기간을 2011년 9월 30일까지 3개월 연장하는 것이 각의에서 결정되었다. 7월 8일,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남수단 PKO 파견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13] 7월 9일, 남수단 공화국이 성립되었다. 7월 11일, UNMIS의 활동 종료에 관한 유엔 안보리 결의 1997이 만장일치로 채택되었고, 9월 30일 파견 자위관의 임무가 종료되었다.

5. 2. 사령부 요원 파견

2008년 6월 30일, 후쿠다 야스오 총리는 총리 관저에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회담을 갖고 유엔 수단 임무단(UNMIS) 사령부에 자위관을 파견하는 방침을 전달했다.[8][9][10][11][12][13] 이시바 시게루 방위대신은 통합막료감부 및 3자위대에 UNMIS 파견 준비에 관한 지시를 발령했다.[8] 같은 해 10월 3일, 각의 결정에 따라 UNMIS 사령부에 자위관 2명을 파견하기로 결정되었으며, 파견 기간은 2008년 10월 8일부터 2009년 6월 30일까지였다.[8]

2009년 4월 14일, 제2차 사령부 요원 2명이 일본을 출국했다.[8] 6월 22일, 각의 결정에 따라 파견 기간이 2010년 6월 30일까지 연장되었다.[8] 9월 18일, 민주당으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수단 국내에 자위대 부대 파견이 검토되기 시작했다.[8] 10월 13일에는 제3차 사령부 요원 2명이 일본을 출국했다.[9]

2010년 4월 19일, 제4차 사령부 요원 2명이 일본을 출국했다.[10] 5월 8일, 육상자위대 헬리콥터 부대 파견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내각부와 외무성, 방위성 직원으로 구성된 조사단이 파견되었으나, 6월 18일 조사 결과 헬기 부대 파견은 어렵다는 결론이 내려졌다.[11] 6월 22일, 각의 결정에 따라 자위관 파견은 2011년 6월 30일까지 1년 연장되었다.[11] 11월 6일, 제5차 사령부 요원이 일본을 출국했다.

2011년 4월 19일, 제6차 사령부 요원 2명이 출국했다.[12] 6월 24일, 파견 기간을 2011년 9월 30일까지 3개월 연장하는 각의 결정이 있었다. 7월 8일,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남수단 PKO 파견을 만장일치로 채택했고,[13] 7월 9일 남수단 공화국이 성립되었다. 7월 11일, UNMIS의 활동 종료에 관한 유엔 안보리 결의 1997이 만장일치로 채택되면서, 9월 30일 파견 자위관의 임무가 종료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대한민국의 UNMIS 파견을 통해 국제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고,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협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한다.

6. 활동 경과

6. 1. 휴전 감시 및 평화 협정 이행 지원

로버트 졸릭 미국 국무부 부장관(오른쪽)과 얀 프롱크 유엔 수단 특별 대표(왼쪽). 2005년 4월 12일 오슬로에서 열린 수단 공여국 회의에서 촬영.


휴전 협정은 포괄적 평화 협정(CPA) 서명일에 발효되었다. 모든 교전 단체가 평화 협상에 참여한 것은 아니며, 많은 단체가 직접 참여하지 못했거나 자국의 이익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불만을 표명하며 수단 정부와 SPLM/A가 협상한 CPA에 자동적으로 구속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신의 저항군과 같이 국경을 넘어 활동하는 단체를 포함하여, 유엔을 수익성 있는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무장 범죄 세력의 증가도 있었다.

전략적 최종 상태는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 남수단과 아비에이에서 임무 수행 후 6년 6개월 이내에 평화로운 국민 투표를 실시할 수 있는 안정적인 수단.
  • 남수단이 수단의 통일 또는 평화적인 분리 독립을 결정할 수 있는 능력.
  • 아비에이가 바르 엘 가잘과의 통일 또는 북수단 내 별도 지위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
  • 남코르도판/누바 산맥 및 청나일 주에서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해당 주의 사람들이 협의를 통해 해당 주의 정치적 갈등을 최종적으로 해결할 합의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파키스탄 육군의 모이누딘 아흐메드 준장은 수단 유엔 평화 유지 임무 부사령관이었으며, 2009년 10월 22일 파키스탄 방문 중 암살되었다.[7]

6. 2. 남수단 독립 지원



휴전 협정은 포괄적 평화 협정(CPA) 서명일에 발효되었다.[7] 모든 교전 단체가 평화 협상에 참여한 것은 아니었으며, 많은 단체가 직접 참여하지 못했거나 자국의 이익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불만을 표명했다.[7] 이들은 수단 정부와 SPLM/A가 협상한 CPA에 자동적으로 구속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7] 신의 저항군과 같이 국경을 넘어 활동하는 단체를 포함하여, 유엔을 수익성 있는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무장 범죄 세력의 증가도 있었다.[7]

전략적 최종 상태는 다음과 같았다.[7]

  • 남수단과 아비에이에서 임무 수행 후 6년 6개월 이내에 평화로운 국민 투표를 실시할 수 있는 안정적인 수단.[7]
  • 남수단이 수단의 통일 또는 평화적인 분리 독립을 결정할 수 있는 능력.[7]
  • 아비에이가 바르 엘 가잘과의 통일 또는 북수단 내 별도 지위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7]
  • 남코르도판/누바 산맥 및 청나일 주에서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해당 주의 사람들이 협의를 통해 해당 주의 정치적 갈등을 최종적으로 해결할 합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지원.[7]


파키스탄 육군의 모이누딘 아흐메드 준장은 수단 유엔 평화 유지 임무 부사령관이었으며, 2009년 10월 22일 파키스탄 방문 중 암살되었다.[7]

6. 3. 다르푸르 분쟁 대응 미흡

얀 프롱크 유엔 수단 특별 대표는 2005년 4월 12일 오슬로에서 열린 수단 공여국 회의에서 로버트 졸릭 미국 국무부 부장관과 만남을 가졌다.

포괄적 평화 협정(CPA) 서명일에 휴전 협정이 발효되었으나, 모든 교전 단체가 평화 협상에 참여하지는 않았다.[7] 많은 단체가 직접 참여하지 못했거나 자국의 이익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불만을 표명하며 수단 정부와 SPLM/A가 협상한 CPA에 자동적으로 구속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신의 저항군과 같이 국경을 넘어 활동하는 단체를 포함하여, 유엔을 수익성 있는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무장 범죄 세력의 증가도 있었다.

UNMIS는 남수단과 아비에이에서 임무 수행 후 6년 6개월 이내에 평화로운 국민 투표를 실시하고, 남수단이 수단의 통일 또는 평화적인 분리 독립을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전략적 최종 상태로 설정했다. 아비에이가 바르 엘 가잘과의 통일 또는 북수단 내 별도 지위를 결정하고, 남코르도판/누바 산맥 및 청나일 주에서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 역시 목표였다.

하지만 UNMIS가 다르푸르 분쟁의 악화를 막지 못했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보수 진영에서는 UNMIS의 한계를 지적하며, 보다 강력한 국제적 개입 필요성을 주장하기도 한다.

6. 4. 제한적인 민간인 보호

2005년 4월 12일 오슬로에서 열린 수단 공여국 회의에서 로버트 졸릭 미국 국무부 부장관(오른쪽)과 얀 프롱크 유엔 수단 특별 대표가 만났다.[7] 휴전 협정은 포괄적 평화 협정 (CPA) 서명일에 발효되었으나, 모든 교전 단체가 평화 협상에 참여한 것은 아니었다.[7] 많은 단체가 직접 참여하지 못했거나 자국의 이익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불만을 표명하며 수단 정부와 SPLM/A가 협상한 CPA에 자동적으로 구속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7] 또한, 신의 저항군과 같이 국경을 넘어 활동하는 단체를 포함하여, 유엔을 수익성 있는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무장 범죄 세력의 증가도 있었다.[7]

전략적 최종 상태는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7]

a. 남수단과 아비에이에서 임무 수행 후 6년 6개월 이내에 평화로운 국민 투표를 실시할 수 있는 안정적인 수단.[7]

b. 남수단이 수단의 통일 또는 평화적인 분리 독립을 결정할 수 있는 능력.[7]

c. 아비에이가 바르 엘 가잘과의 통일 또는 북수단 내 별도 지위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7]

d. 남코르도판/누바 산맥 및 청나일 주에서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해당 주의 사람들이 협의를 통해 해당 주의 정치적 갈등을 최종적으로 해결할 합의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7]

파키스탄 육군의 모이누딘 아흐메드 준장은 수단 유엔 평화 유지 임무 부사령관이었으며, 2009년 10월 22일 파키스탄 방문 중 암살되었다.[7]

7. 종결 및 후속 조치

7. 1. UNMIS 임무 종료

7. 2. 유엔 남수단 임무단(UNMISS) 설립

8. 평가 및 의의

8. 1. 수단 평화 정착 기여

8. 2. 국제 평화 유지 활동의 중요성

참조

[1] 간행물 Resolution 2008-09-06
[2] 웹사이트 Sudan & South Sudan https://www.un.org/a[...]
[3] 웹사이트 UN Security Council votes to withdraw peacekeeping force in Sudan - People's Daily Online http://english.peopl[...]
[4] 문서 http://www.unclef.co[...]
[5] 문서 Dispatch of SDF personnel to Sudan based on the International Peace Cooperation Law. https://www.mod.go.j[...] 2008-10-26
[6] 웹 아카이브 Japan's first PKO mission in Africa in 13 years. http://www.nhk.or.jp[...] 2008-10-26
[7] 웹사이트 Army loses another brigadier to terror http://www.dawn.com/[...] 2009-10-22
[8] 간행물 防衛省報道資料 2009-04-10
[9] 간행물 防衛省報道資料 2009-10-09
[10] 간행물 防衛省報道資料 2010-04-16
[11] 뉴스 陸自ヘリ部隊の派遣は困難 スーダンPKOで防衛省 http://www.47news.jp[...] 共同通信/47NEWS 2010-06-18
[12] 간행물 スーダン国際平和協力隊(第6次要員)の派遣について https://web.archive.[...] 防衛省報道資料 2011-04-18
[13] 뉴스 南スーダンPKOを承認、国連安保理8000人規模 https://web.archive.[...] MSN産経 2011-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