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발현의 조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전자 발현의 조절은 신호 전달에서 전사, 번역 후 변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단계에서 이루어지며, 특히 전사 개시 단계가 가장 널리 조절에 이용된다. 유전자 발현은 DNA 수준, 전사 조절, 전사 후 조절, 번역 조절 등 다양한 단계에서 일어난다. DNA 메틸화와 히스톤 변형과 같은 염색질 구조의 변화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며, 이러한 변화는 후성 유전적 조절로 이어진다. 전사 조절에는 특이성 인자, 억제자, 활성 인자, 인핸서, 사일렌서와 같은 전사 인자들이 관여한다. 전사 후 조절은 mRNA의 캡핑, 스플라이싱, 폴리아데닐화, 수송 및 분해를 통해 이루어지며, miRNA와 RNA 결합 단백질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번역은 mRNA의 이차 구조, 안티센스 RNA 결합, 단백질 결합에 의해 조절된다. 유전자 발현 조절 이상은 암, 중독, 학습 및 기억과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과 질병에 관여하며, 유전자 조절 회로는 상향 조절, 하향 조절, 억제자/유도자, 음성 및 양성 피드백을 통해 작동한다.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에는 다양한 분석 방법이 사용되며, 전사 수준, 염색질 구조, RNA-단백질 상호작용, 단백질 수준 등을 분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화발생생물학 - 전사인자
전사 인자는 DNA 특정 서열에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로서, RNA 중합효소와 함께 전사를 조절하여 유전 정보 전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발생, 신호 전달, 환경 반응, 세포 주기 조절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한다. - 진화발생생물학 - 서열 정렬
서열 정렬은 유전체 연구 및 생명과학에서 서열 간 진화적 관계를 밝히는 방법으로, 전역, 지역, 쌍별 정렬 등의 방법을 통해 계통수 분석, 유의성 및 신뢰도 평가 등에 활용되며, ClustalW2, BLAST, FASTA3x 등의 소프트웨어 도구로 수행된다. - 번역 후 변형 - 단백질 카보닐화
- 번역 후 변형 - 메틸화
메틸화는 메틸기를 분자에 첨가하는 과정으로, 생물학에서 유전자 발현 조절 등 생명현상에 관여하고 유기화학에서 유기 합성에 활용되며, 다양한 생물종에 존재하는 중요한 생리적 과정이다. - RNA - RNA 간섭
RNA 간섭은 이중가닥 RNA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는 과정으로, 다이서 효소에 의해 생성된 작은 간섭 RNA가 RNA 유도 침묵 복합체와 결합하여 표적 mRNA를 분해하거나 번역을 억제하며, 바이러스 방어, 발생 조절, 유전체 안정성 유지 등 다양한 기능과 응용 분야를 가진다. - RNA - 방향성 (분자생물학)
DNA 또는 RNA 가닥의 방향성은 5' 말단(5번 탄소에 인산기)과 3' 말단(3번 탄소에 수산기)로 구별되며, 이는 유전자 발현 조절, 폴리아데닐화, DNA 염기서열 분석 등 DNA와 RNA의 합성, 안정성, 번역 과정에 필수적이다.
| 유전자 발현의 조절 | |
|---|---|
| 개요 | |
![]() | |
| 정의 | 세포에 의한 특정 유전자 산물의 생산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메커니즘 수정 |
| 관련 용어 | 유전자 발현 |
| 메커니즘 | |
| 주요 조절 단계 | 전사 번역 |
| 조절 인자 | 전사 인자 리보스위치 miRNA 단백질 호르몬 |
| 조절 부위 | 프로모터 인핸서 사일렌서 |
| 세부 메커니즘 | |
| 전사 조절 | 크로마틴 구조 변경 DNA 메틸화 히스톤 변형 전사 인자에 의한 조절 |
| 번역 조절 | mRNA 안정성 조절 리보솜 결합 조절 miRNA에 의한 조절 |
| 응용 | |
| 연구 분야 | 발달 생물학 질병 연구 약물 개발 |
| 기술 | 유전자 치료 합성 생물학 |
| 참고 자료 | |
| 참고 문헌 | 유전자는 세포 내에서 켜고 끌 수 있는가? |
2. 조절 단계
유전자 발현은 신호 전달부터 전사, 단백질의 번역 후 변형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조절될 수 있다. 그중 가장 널리 조절에 이용되는 것은 전사의 시작 단계이다. 유전자 발현이 조절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 크로마틴 도메인 형성
- 전사
- 전사 후 변형
- mRNA 수송
- 번역
- mRNA 분해[46]
2. 1. DNA 수준의 조절
진핵생물에서 DNA는 히스톤 단백질과 결합하여 염색질을 형성하며, 이 염색질 구조는 DNA 접근성에 영향을 미쳐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DNA 수준의 조절은 크게 염색질 구조 조절과 후성유전학적 조절로 나눌 수 있다.
DNA 전사 수준은 그 구조에 의해 규정된다. 일반적으로 DNA 포장 밀도는 전사 빈도의 지표가 된다. 뉴클레오솜은 히스톤 8량체로 구성된 단백질 복합체로 DNA의 슈퍼코일 구조 형성에 관여한다. 뉴클레오솜 구조는 히스톤의 인산화와 같은 수정에 의해 일시적으로, 메틸화와 같은 수정에 의해 보다 영구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유전자 발현 수준의 영구적인 변화를 유도한다.[46]
DNA 메틸화와 히스톤 변형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주요 기작이다. DNA 메틸화는 주로 CpG 섬에서 시토신 잔기에 메틸기를 추가하는 반응으로, 유전자 발현을 억제한다. 히스톤 변형은 히스톤 꼬리의 아세틸화, 메틸화, 인산화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염색질 구조를 변화시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히스톤 아세틸화는 DNA와 히스톤의 결합을 약화시켜 전사를 촉진하는 반면, 히스톤 탈아세틸화는 DNA를 더 조밀하게 포장하여 유전자 발현을 저하시킨다.
2. 1. 1. 염색질 구조 조절
진핵생물에서 DNA의 넓은 영역에 대한 접근성은 염색질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DNA 메틸화, ncRNA 또는 DNA 결합 단백질에 의해 유도되는 히스톤 변형의 결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은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이러한 변형 중 일부는 상속 가능하며 후생 유전체 조절이라고 한다.[46]DNA의 전사는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DNA 포장의 밀도는 전사 빈도를 나타낸다. 히스톤이라 불리는 8량체 단백질 복합체는 8개의 히스톤 단백질 주위에 감긴 DNA 분절(이들을 통틀어 뉴클레오솜이라고 함)과 함께 DNA의 초나선 정도를 조절하며, 이러한 복합체는 인산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일시적으로 변형되거나 메틸화와 같은 과정에 의해 더 영구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유전자 발현 수준의 다소 영구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여겨진다.[46]
DNA의 메틸화는 유전자 침묵의 흔한 방법이다. DNA는 일반적으로 메틸기전이효소에 의해 CpG 이중가닥 서열(밀집되어 있을 때는 "CpG 섬"이라고도 함)의 시토신 뉴클레오티드에서 메틸화된다. DNA의 특정 영역(프로모터가 될 수 있음)에서 메틸화 패턴을 분석하는 것은 바이설파이트 매핑이라는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메틸화된 시토신 잔기는 처리에 의해 변하지 않지만, 비메틸화된 시토신 잔기는 우라실로 변경된다. 이러한 차이는 DNA 염기서열 분석 또는 파이로시퀀싱(바이오티지), MassArray (시퀀놈)과 같이 SNP를 정량화하기 위해 개발된 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CG 이중 뉴클레오티드에서 C/T의 상대적인 양을 측정한다. 비정상적인 메틸화 패턴은 종양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47]
히스톤 아세틸화 또한 전사 과정에서 중요한 과정이다. CREB 결합 단백질과 같은 히스톤 아세틸전이효소(HAT) 효소는 DNA를 히스톤 복합체에서 분리하여 전사가 진행되도록 한다. 종종 DNA 메틸화와 히스톤 탈아세틸화는 유전자 침묵에서 함께 작용한다. 이 둘의 조합은 DNA가 더 조밀하게 뭉쳐 유전자 발현을 낮추는 신호가 되는 것으로 보인다.
2. 1. 2. 후성유전학적 조절

후성유전학은 DNA나 RNA 서열을 변경하지 않고 유전자를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후성유전학적 변형은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이다. 후성유전학적 변형은 유전체 DNA와 히스톤에서 발생하며, 이들의 화학적 변형은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포유류 세포에서는 DNA의 여러 변형(대개 메틸화)과 100개 이상의 RNA 변형이 존재한다. 이러한 변형은 DNA에 대한 단백질 결합의 변화와 RNA 안정성 및 번역 효율의 변화를 초래한다.[6]
진핵생물에서 DNA의 접근성은 해당 영역의 크로마틴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 크로마틴 구조는 DNA 메틸화, 비암호화 RNA, 또는 DNA 결합 단백질에 의한 히스톤 변형에 의해 변화한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상승하거나 감소한다. 이러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변형 중 일부는 유전되며, 이를 후성유전학적 조절이라고 한다.
DNA 메틸화는 유전자 침묵의 일반적인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DNA는 메틸기전이효소에 의해 CpG 이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시토신 잔기가 메틸화된다. CpG 서열이 밀집된 영역은 CpG 섬이라고도 불린다. DNA의 특정 영역의 메틸화 패턴 분석은 Bisulfite sequencing|바이설파이트 시퀀싱영어이라고 불리는 기법으로 이루어진다. 바이설파이트 처리에 의해 메틸화되지 않은 시토신 잔기는 우라실 잔기로 변환되지만, 메틸화된 시토신 잔기는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차이는 DNA 시퀀싱이나, Pyrosequencing|파이로시퀀싱영어 및 MassArray와 같은 SNP 정량을 위한 기법을 사용하여 CG 이뉴클레오티드의 C/T 비율을 측정하여 분석된다. 메틸화 패턴의 이상은 발암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47]
히스톤의 아세틸화 또한 전사에 중요한 과정이다. CREB 결합 단백질과 같은 히스톤 아세틸기 전이효소는 DNA를 히스톤 복합체로부터 해리시켜 전사를 진행시킨다. 종종 DNA 메틸화와 히스톤 탈아세틸화는 유전자 침묵에서 협력적으로 작용한다. 이것들은 DNA를 더 조밀하게 패킹하여 유전자 발현을 저하시키기 위한 신호가 된다.
2. 2. 전사 조절
유전자 발현은 신호 전달부터 전사, 단백질의 번역 후 변형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조절될 수 있다. 그 중 전사 개시는 가장 광범위하게 조절되는 단계이다. 전사 조절은 전사가 언제, 얼마나 많이 일어나는지를 제어한다.척추동물에서 대부분의 유전자 프로모터는 다수의 CpG 섬을 포함한다.[7] 유전자의 많은 프로모터 CpG 부위가 메틸화되면 해당 유전자는 침묵하게 된다.[8] 대장암은 일반적으로 3~6개의 드라이버 돌연변이와 33~66개의 히치하이커 또는 동승자 돌연변이를 갖는다.[9] 그러나, 전사 침묵은 암 진행을 유발하는 데 있어서 돌연변이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장암에서 약 600~800개의 유전자가 CpG 섬 메틸화에 의해 전사적으로 침묵된다(암에서의 전사 조절 참조). 암에서의 전사 억제는 후성유전학적 기전, 예를 들어 마이크로 RNA의 발현 변화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10] 유방암에서, BRCA1의 전사 억제는 BRCA1 프로모터의 과메틸화보다는 과발현된 마이크로 RNA-182에 의해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다(유방 및 난소암에서의 낮은 BRCA1 발현 참조).
- 효소 유도는 분자(약물 등)가 효소의 발현을 유도(시작 또는 향상)하는 과정이다.
- 초파리의 열 충격 단백질 유도.
- lac 오페론은 유전자 발현이 어떻게 조절되는지 보여주는 흥미로운 예이다.
- 바이러스는 적은 수의 유전자만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전자 발현은 초기와 후기로 나뉘며, 안티터미네이터 (λ phage|람다 파지영어) 및 스플라이싱 조절자 (HIV)에 의해 조절된다.
- '''Gal4'''는 효모에서 GAL1, GAL7, GAL10 (모두 갈락토스 대사에 관여)의 발현을 제어하는 전사 활성 인자이다. GAL4/UAS 시스템은 유전자 발현 연구를 위해 문을 넘어 광범위한 생물 종에서 사용된다.[74]
2. 2. 1. 전사 인자의 역할
RNA 중합 효소에 의한 유전자 전사는 여러 메커니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특이성 인자는 주어진 프로모터 또는 프로모터 집합에 대한 RNA 중합 효소의 특이성을 변경하여 결합 가능성을 높이거나 낮춘다(예: 세균 전사에 사용되는 시그마 인자).
억제자는 DNA 가닥의 오퍼레이터, 즉 프로모터 영역과 가깝거나 겹치는 코딩 서열에 결합하여 RNA 중합 효소의 가닥 진행을 방해하여 유전자 발현을 방해한다.
일반 전사 인자는 RNA 중합 효소를 단백질 코딩 서열의 시작점에 위치시키고, mRNA를 전사하기 위해 중합 효소를 방출한다.
활성제는 RNA 중합 효소와 특정 프로모터 간의 상호 작용을 강화하여 유전자 발현을 촉진한다. 활성제는 RNA 중합 효소의 소단위체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또는 DNA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프로모터에 대한 RNA 중합 효소의 인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이를 수행한다.
향상자는 활성제가 결합하여 DNA를 루프하여 특정 프로모터를 개시 복합체로 가져오는 DNA 나선의 부위이다. 향상자는 소수의 예만 존재하는 원핵생물보다 진핵생물에서 훨씬 더 흔하다.[4]
억제자는 특정 전사 인자에 의해 결합될 때 유전자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DNA 서열의 영역이다.
2. 2. 2. 조절 DNA 서열
RNA 중합 효소가 결합하는 DNA 서열인 프로모터는 유전자 전사의 시작을 결정한다. 활성제가 결합하는 DNA 서열인 인핸서는 유전자 발현을 증폭시킨다. 억제자가 결합하는 DNA 서열인 사일렌서는 유전자 발현을 억제한다.[4]* '''상''': 유전자가 꺼진 상태. 억제자를 억제하는 젖당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억제자는 오퍼레이터에 결합한다. 그로 인해, RNA 중합 효소가 프로모터에 결합하여 젖당분해효소 합성이 시작되는 것을 방해한다.
- '''하''': 유전자가 켜진 상태. 젖당은 억제자를 억제하고, RNA 중합 효소가 프로모터에 결합하여 유전자가 발현되어 젖당분해효소 합성이 시작된다. 결국, 젖당분해효소는 억제자에 결합할 것이 없어질 때까지 젖당을 모두 소화한다. 그러면 억제자는 다시 오퍼레이터에 결합하여 젖당분해효소 합성을 멈춘다.]]
전사 조절은 언제 전사가 일어나는지, 얼마나 많은 RNA가 만들어지는지를 제어하는 것이다. RNA 중합 효소에 의한 유전자 전사는 몇 가지 메커니즘에 의해 조절된다.
특이성 인자(원핵생물의 전사에서의 σ 인자 등)는 특정 프로모터 또는 프로모터 세트에 대해 RNA 중합 효소의 특이성을 변화시켜 결합을 용이하게 하거나 어렵게 한다.
억제자는 오퍼레이터라고 불리는, 프로모터와 인접하거나 중복되는 서열에 결합한다. 억제자의 결합은 RNA 중합 효소가 DNA 가닥을 따라 진행하는 것을 방해하여 유전자 발현을 방해한다. 오른쪽 그림은 lac 오페론의 억제자에 의한 조절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기본 전사 인자는 RNA 중합 효소를 단백질 코딩 영역의 시작 위치에 배치하고, 그 후 RNA 중합 효소를 해제하여 mRNA를 전사한다.
활성 인자는 RNA 중합 효소와 특정 프로모터 간의 상호 작용을 강화하여 유전자 발현을 촉진한다. 활성 인자는 RNA 중합 효소의 서브유닛과의 직접적인 상호 작용 또는 DNA 구조의 변화와 같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RNA 중합 효소의 프로모터로의 유인을 강화한다.
인핸서는 활성 인자가 결합하는 DNA 상의 영역이며, 활성 인자는 DNA를 루프시켜 특정 프로모터를 전사 개시 복합체로 가져온다. 인핸서는 원핵생물보다 진핵생물에서 훨씬 더 흔하며, 원핵생물에서는 현재까지 몇 가지 예만 발견되었다.[48]
사일렌서는 특정 전사 인자가 결합할 때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는 DNA 서열의 영역이다.
2. 3. 전사 후 조절
DNA가 전사되어 mRNA가 형성된 후에는 mRNA가 얼마나 많은 단백질로 번역되는지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진다. 세포는 캡핑, 스플라이싱, 폴리(A) 꼬리 부착, 서열 특이적 핵 수출 속도 조절, 그리고 여러 상황에서 RNA 전사체를 격리함으로써 이를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은 진핵생물에서 발생하지만 원핵생물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2. 3. 1. RNA 결합 단백질의 역할
DNA가 전사되어 mRNA가 형성된 후, mRNA가 단백질로 번역되는 과정은 여러 단계에서 조절된다. 세포는 캡핑, 스플라이싱, 폴리(A) 꼬리 부착, 서열 특이적 핵 수출 속도 조절, 그리고 RNA 전사체 격리 등을 통해 이 과정을 조절한다. 이러한 조절 과정은 진핵생물에서만 일어나며, RNA 결합 단백질이나 전사체가 특정 서열에 결합하여 조절에 관여한다.[63]mRNA의 3'-UTR은 전사 후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 서열을 포함하고 있다.[28] 3'-UTR에는 마이크로 RNA(miRNA)와 조절 단백질의 결합 부위가 존재한다. miRNA는 3'-UTR 내 특정 부위 (miRNA 반응 요소, MRE)에 결합하여 번역을 억제하거나 전사체를 분해하여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킨다.[63] 억제 단백질은 3'-UTR 내 억제 영역에 결합하여 mRNA 발현을 억제하기도 한다.
2014년 기준, miRBase 웹사이트[29]에는 233종의 생물 종에서 28,645개의 miRNA 항목이 등재되어 있으며, 그 중 1,881개는 인간 miRNA 유전자 좌에 해당한다. miRNA는 평균적으로 약 400개의 표적 mRNA를 가지며, 수백 개의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된다.[30] 인간 단백질 코딩 유전자의 60% 이상이 miRNA와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해 선택적 압력을 받고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30]
단일 miRNA가 수백 개의 mRNA 안정성을 감소시키거나[31] 단백질 생산을 억제할 수 있지만,[32][33] 그 억제 효과는 비교적 미미한 경우도 있다.[67][68]
miRNA의 유전자 발현 조절 이상은 암,[34] 특히 위장관 암에서 DNA 복구 효소 발현을 억제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35] 또한 조현병, 양극성 장애, 우울증,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같은 신경정신과 질환에서도 miRNA의 유전자 발현 조절 이상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36][37][38]
2. 4. 번역 조절
mRNA의 번역은 주로 개시 단계에서 여러 메커니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작은 리보솜 소단위체의 모집은 mRNA의 이차 구조, 안티센스 RNA 결합 또는 단백질 결합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세균과 진핵생물 모두에서, 다수의 RNA 결합 단백질이 존재하며, 이들은 종종 전사체의 이차 구조에 의해 표적 서열로 향한다. 이차 구조는 온도나 리간드(앱타머)의 존재와 같은 특정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전사체는 리보자임으로 작용하며 자체적으로 발현을 조절한다.[1]3. 인간 생물학 및 질병에서의 유전자 발현 조절
유전자 발현 조절은 암, 중독, 학습, 기억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 및 질병과 관련되어 있다.
3. 1. 암에서의 전사 조절
DNA 메틸화, 히스톤 변형, 마이크로 RNA(miRNA) 발현 이상 등 다양한 기작을 통해 암세포에서 유전자 발현 조절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10] 이러한 이상은 종양 억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암 유전자를 과발현시켜 암 발생 및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척추동물에서 대부분의 유전자 프로모터는 다수의 CpG 섬을 포함하며,[7] 유전자의 프로모터 CpG 부위가 많이 메틸화되면 해당 유전자는 침묵하게 된다.[8] 대장암의 경우, 약 600~800개의 유전자가 CpG 섬 메틸화에 의해 전사적으로 침묵된다.[9]
후성유전학적 기전, 예를 들어 마이크로 RNA 발현 변화 등도 암에서의 전사 억제에 영향을 미친다.[10] BRCA1의 경우, 유방 및 난소암에서의 낮은 BRCA1 발현은 BRCA1 프로모터의 과메틸화보다는 과발현된 miRNA-182에 의해 더 자주 발생한다.
3. 2. 중독에서의 전사 조절
약물 남용은 뇌의 특정 영역에서 후성유전적 변화를 일으켜 유전자 발현을 변화시키고, 이는 중독의 지속성에 기여한다.[11] 이러한 변화에는 히스톤 아세틸화 및 히스톤 메틸화, CpG 부위에서의 DNA 메틸화, 마이크로RNA의 발현 조절 등이 있다.[11][12]생쥐 실험에서 만성적인 니코틴 섭취는 히스톤 아세틸화를 통해 뇌 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중독에 중요한 단백질인 FosB의 발현을 증가시켰다.[13] 흡연자, 비흡연자, 금연 후 최대 30년이 지난 사람을 포함한 약 16,0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흡연자의 혈액 세포에서 18,000개 이상의 CpG 부위 (게놈에서 분석된 약 450,000개의 CpG 부위 중)에서 메틸화가 빈번하게 변경된 것을 확인했다. 이 CpG 부위는 알려진 인간 유전자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7,000개 이상의 유전자에서 발생했다. 대부분의 메틸화 변화는 금연 후 5년 이내에 비흡연자 수준으로 돌아왔지만, 942개 유전자에서 2,568개의 CpG는 과거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에 차등적으로 메틸화된 상태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잔류 후성유전적 변화는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분자적 흉터"로 간주될 수 있다.[12]
설치류 모델에서 코카인,[15] 메스암페타민,[16][17] 알코올,[18] 담배 연기 제품[19]을 포함한 남용 약물은 모두 뇌에서 DNA 손상을 일으킨다. DNA 손상 복구 과정에서 DNA 메틸화 및/또는 손상 부위에서 히스톤의 아세틸화 또는 메틸화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염색질에 후성유전적 흉터를 남기는 데 기여할 수 있다.[20] 이러한 후성유전적 흉터는 중독에서 발견되는 지속적인 후성유전적 변화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3. 3. 학습 및 기억에서의 전사 조절
DNA 메틸화와 히스톤 변형과 같은 후성유전학적 변화는 학습 및 기억 형성 과정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쥐를 이용한 공포 조건화 실험에서, 훈련 후 쥐의 해마 뉴런 DNA에서 시토신 메틸화가 변화하는 것이 확인되었다.[24] 해마는 새로운 기억이 처음 저장되는 곳으로, 이 영역에서 유전자 프로모터 영역의 CpG 메틸화는 전사를 억제하고, 유전자 본체의 CpG 메틸화는 발현을 증가시킨다.[25][26] TET 효소는 메틸화된 시토신의 탈메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유전자 프로모터의 CpG 탈메틸화를 통해 해당 유전자의 전사를 증가시킨다.[27]맥락적 공포 조건화 훈련 후 1시간 및 24시간 뒤에 쥐 해마 신경 게놈에서 5,000개 이상의 차등 메틸화 영역(DMR)이 발생하는데,[24] 이는 약 500개의 유전자가 상향 조절되고 약 1,000개의 유전자가 하향 조절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유전자 발현 패턴의 변화는 쥐 뇌의 해마에서 초기 기억 형성에 필요한 분자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24]
중독은 뇌의 특정 영역에서 일어나는 후성 유전적 변화에 의한 장기적인 유전자 발현 변화로 인해 지속성이 나타난다.[53] 약물 남용은 뇌에 히스톤 아세틸화 및 메틸화, DNA CpG 부위 메틸화, miRNA 발현 조절 등 세 가지 후성 유전적 변화를 일으킨다.[53][54]
예를 들어, 생쥐에서 만성적인 니코틴 섭취는 히스톤 아세틸화를 통해 유전자 발현을 변화시켜 중독에 중요한 FosB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킨다.[55] 담배 의존성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흡연자의 혈액 세포에서 7,000개 이상의 유전자에 걸쳐 18,000개 이상의 CpG 부위에서 메틸화 변화가 나타났다.[56] 금연 후 5년이 지나면 대부분의 CpG 부위 메틸화는 비흡연자 수준으로 돌아왔지만, 일부 유전자에서는 여전히 차이가 남아 "molecular scars"로 작용할 수 있다.[54]
코카인,[57] 메스암페타민,[58][59] 알코올,[60] 담배 흡연[61] 등은 뇌의 DNA 손상을 유발하며, DNA 복구 과정에서 DNA 메틸화 및 히스톤 변형 패턴이 변경되어 크로마틴에 후성 유전적 상처를 남긴다.[62] 이러한 상처는 중독에서 보이는 지속적인 후성 유전적 변화의 원인으로 생각된다.
mRNA의 3' 비번역 부위(3'-UTR)는 miRNA 결합 부위 (MRE)를 포함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63] miRNA는 3'-UTR의 특정 부위에 결합하여 번역을 억제하거나 전사체 분해를 유발하여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킨다. miRNA에 의한 유전자 발현 조절 이상은 암[69] 뿐만 아니라 조현병, 양극성 장애, 우울증,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자폐증과 같은 정신 및 신경 질환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71][72][73]
4. 유전자 조절 회로
유전자 조절 회로는 억제자/유도자, 음성 피드백, 양성 피드백 등의 메커니즘을 통해 작동한다.
- 억제자/유도자: 센서가 활성화되면 유전자 발현이 변화한다. 특정 신호에 반응하여 유전자 발현이 켜지거나 꺼진다.
- 음성 피드백: 유전자 산물(단백질 등)이 직·간접적으로 자체 생산을 줄인다. 전사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양성 피드백과 결합하여 반응을 억제하거나, 전사와 번역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주기적인 발현을 만든다.
- 양성 피드백: 유전자 산물이 직·간접적으로 자체 생산을 늘린다. 신호를 증폭시키거나, 쌍안정 스위치를 만들거나, 특정 패턴을 형성한다.
이러한 조절 회로들은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유전자 발현을 정교하게 조절한다.
4. 1. 조절 시스템

유전자 조절은 각 시스템의 반응에 따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유도 시스템 - 유도 시스템은 유전자 발현을 가능하게 하는 분자(유도체)가 존재하지 않는 한 꺼져 있다. 이 분자의 존재는 "발현을 유도한다"라고 표현된다. 유도 시스템의 작동 방식은 조절 메커니즘과 원핵세포, 진핵세포의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 억제 시스템 - 억제 시스템은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분자(코억제체)가 존재하지 않는 한 켜져 있다. 이 분자의 존재는 "발현을 억제한다"라고 표현된다. 억제 시스템의 작동 방식은 조절 메커니즘과 원핵 세포, 진핵 세포의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GAL4/UAS 시스템은 유도 시스템과 억제 시스템 모두의 예시이다. Gal4는 상류 활성 염기 서열(UAS)에 결합하여 GAL1, GAL7, GAL10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한다. 반면에, 포도당이 존재할 때 MIG1은 Gal4를 억제하여 GAL1, GAL7, GAL10 유전자의 발현을 중단시킨다.[42]
4. 2. 피드백 조절
유전자 산물이 자신의 생성을 촉진하는 양성 피드백과, 유전자 산물이 자신의 생성을 억제하는 음성 피드백으로 유전자 발현이 조절된다.- 음성 피드백: 유전자 산물이 직, 간접적으로 자체 생산을 감소시킨다.
- * 전사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어떤 요인에 비례하게 유지한다.
- * 양성 피드백 루프와 결합될 때, 걷잡을 수 없는 반응을 억제한다.
- * mRNA와 단백질의 반감기가 짧다는 점을 감안하여 전사와 번역의 시간 지연을 이용하여 발진기를 생성한다.
- 양성 피드백: 유전자 산물은 직, 간접적으로 자체 생산을 증가시킨다.
- * 신호 증폭을 일으킨다.
- * 두 개의 유전자가 서로를 억제하고 둘 다 양성 피드백을 가질 때 쌍안정 스위치가 만들어진다.
- * 패턴 생성을 일으킨다.
상향 조절은 세포 내외의 신호에 의해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과정으로, 하나 이상의 유전자 발현이 상승하고 해당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단백질이 증가하는 과정이다. 반대로, 하향 조절은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고 해당 단백질이 감소하는 과정이다.
5.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 방법
유전자 발현 조절을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 방법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차등 발현을 연구하는 대부분의 실험은 어떤 유전자가 얼마나 변화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정상 상태의 전체 세포 추출 RNA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조절이 어디에서 발생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상충되는 조절 과정을 가릴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량적 PCR 및 DNA 마이크로어레이와 같은 방법들이 여전히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유전자 발현 연구에는 다양한 단계를 살펴볼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진핵생물의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 해당 영역의 국소적인 염색질 환경은 RNA 중합효소 II, 히스톤 H3 변형, Trithorax군 단백질, Polycomb군 단백질 또는 좋은 항체를 사용할 수 있는 다른 DNA 결합 요소들을 풀다운하여 ChIP-칩 분석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 상호작용은 합성 유전자 배열 분석을 통해 조사할 수 있다.
- 전사후 조절로 인해, 전사율과 총 RNA 수준은 상당히 다를 수 있다. 전사율을 측정하기 위해 핵 런온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방사성 동위원소 대신 티올 표지를 사용하는 새로운 고처리량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43]
- 핵에서 중합된 RNA의 5%만이 빠져나가며,[44] 인트론, 유지적 개시, 비의미적 전사체뿐만 아니라 분해된다. 따라서, 두 부분을 부드럽게 용해시켜 분리함으로써 핵과 세포질 수준의 차이를 볼 수 있다.[45]
- 선택적 스플라이싱은 스플라이싱 어레이 또는 타일링 어레이로 분석할 수 있다(''DNA 마이크로어레이 참조'').
- 모든 생체 내 RNA는 리보핵단백질 입자로 복합화된다. 특정 단백질에 결합된 전사체의 양은 RIP-칩으로 분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CP2는 격리된 단백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리보솜에 결합된 전사체는 전사 과정에서 활성화된 전사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단백질 수준은 질량 분석법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가 상대적이고 절대적이지 않으므로 정량적 PCR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 RNA 및 단백질 분해율은 각각 전사 억제제(악티노마이신 D 또는 α-아마니틴) 또는 번역 억제제(사이클로헥시미드)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5. 1. 유전자 발현 분석
일반적으로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조사하는 실험에서는 정상 상태의 전체 세포로부터 추출한 RNA를 사용하며, 어떤 유전자가 어느 정도 변화했는지를 결정한다. 이 방법으로는 조절이 어디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으며, 경쟁하는 조절 과정을 가릴 가능성이 있지만, 현재에도 정량 PCR (qPCR)이나 DNA 마이크로어레이 등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유전자 발현 연구에는 다양한 단계를 관찰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진핵생물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된다.
- RNA 중합효소 II, 히스톤 H3의 변형, Trithorax군 단백질, Polycomb군 단백질 및 기타 DNA 결합 요소를 사용한 풀다운(pulldown)에 의해, 특정 영역의 국소적인 염색질 환경을 결정할 수 있다.
- 상호작용은 synthetic genetic array 분석을 통해 조사할 수 있다.
- 전사후 조절로 인해 전사율과 총 RNA 양은 크게 다를 수 있다. 전사율을 측정하기 위해 핵 런온 분석 (Nuclear run-on assay)을 수행할 수 있다. 방사성 동위원소 대신 티올기를 사용한 표지법도 개발되었다.[78]
- 핵 내에서 합성되는 RNA 중 5%만이 핵 밖으로 나오며,[79] 인트론뿐만 아니라, abortive initiation (전사 시작 실패)에 의한 산물, 넌센스 전사체는 분해된다. 핵 내와 세포질의 RNA 양 차이는 완만한 세포 용해를 통해 두 분획을 분리함으로써 관찰할 수 있다.[80]
- 선택적 스플라이싱은 스플라이싱 어레이나 타일링 어레이를 통해 분석할 수 있다. (DNA 마이크로어레이 참조)
- 생체 내 RNA는 단백질과 결합하여 리보핵단백질 복합체를 형성한다. 특정 단백질에 결합하는 전사체의 양은 RIP-Chip으로 분석할 수 있다. 디캡핑 효소 DCP2에 결합하는 RNA는 격리된 전사체의 지표가 되며, 리보솜에 결합하는 RNA는 활발하게 번역되는 전사체의 지표가 된다.
- 단백질의 양은 질량 분석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질량 분석 데이터는 정량 PCR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는 상대적인 값이며 절대적인 값이 아니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 RNA와 단백질의 분해율은 각각 전사 억제제 (악티노마이신 D 또는 α-아마니틴)와 번역 억제제 (사이클로헥시미드)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5. 2. 염색질 구조 및 후성유전학적 변형 분석
ChIP-chip이나 ChIP-seq과 같은 실험 방법은 특정 DNA 서열에 결합하는 단백질(예: 히스톤, 전사 인자 등)을 찾아내고, 염색질 구조를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DNA 메틸화 패턴을 분석하는 데에는 Bisulfite sequencing영어 (바이설파이트 시퀀싱)이 사용된다.[46]DNA의 전사 수준은 그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DNA의 빽빽한 정도는 전사 빈도의 지표가 된다. 뉴클레오솜은 히스톤 8량체로 구성된 단백질 복합체인데, DNA의 초나선 구조를 형성한다. 이 구조는 히스톤의 인산화와 같은 변형에 의해 일시적으로, 메틸화와 같은 변형에 의해 영구적으로 바뀔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유전자 발현 수준의 영구적인 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DNA 메틸화는 유전자 침묵을 유발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DNA는 메틸기전이효소에 의해 CpG 이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시토신 잔기가 메틸화된다. CpG 서열이 밀집된 영역은 CpG 섬이라고 불린다. DNA의 특정 영역의 메틸화 패턴 분석은 바이설파이트 시퀀싱이라는 기법으로 이루어진다. 바이설파이트 처리를 하면 메틸화되지 않은 시토신 잔기는 우라실 잔기로 변환되지만, 메틸화된 시토신 잔기는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차이는 DNA 시퀀싱이나 Pyrosequencing영어 및 MassArray와 같은 SNP 정량을 위한 기법을 사용하여 CG 이뉴클레오티드의 C/T 비율을 측정하여 분석한다. 메틸화 패턴의 이상은 발암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7]
히스톤의 아세틸화 또한 전사에 중요한 과정이다. CREB 결합 단백질과 같은 히스톤 아세틸기 전이효소는 DNA를 히스톤 복합체로부터 분리시켜 전사를 진행시킨다. DNA 메틸화와 히스톤 탈아세틸화는 유전자 침묵에서 협력적으로 작용하여 DNA를 더 조밀하게 만들어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신호로 작용한다.
5. 3. RNA-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RIP-칩은 특정 단백질에 결합된 전사체의 양을 분석하는 방법이다.[45] 예를 들어, DCP2는 격리된 단백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리보솜에 결합된 전사체는 번역 과정에서 활성화된 전사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45]5. 4. 단백질 수준 분석
세포 내 단백질의 종류와 양은 질량 분석법으로 분석할 수 있다.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는 상대적이고 절대적이지 않으므로 정량적 PCR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43]참조
[1]
웹사이트
Can genes be turned on and off in cells?
https://ghr.nlm.nih.[...]
[2]
논문
DNA methylation patterns associate with genetic and gene expression variation in HapMap cell lines
[3]
논문
Altered chromosomal methylation patterns accompany oncogene-induced transformation of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http://cancerres.aac[...]
1993-04
[4]
논문
The prokaryotic enhancer binding protein NTRC has an ATPase activity which is phosphorylation and DNA dependent
1992-06
[5]
논문
Gene regulation by long non-coding RNAs and its biological functions
2021-02
[6]
논문
Crosstalk between epitranscriptomic and epigenetic mechanisms in gene regulation
2021-07
[7]
논문
A genome-wide analysis of CpG dinucleotides in the human genome distinguishes two distinct classes of promoters
2006-01
[8]
논문
DNA methylation patterns and epigenetic memory
2002-01
[9]
논문
Cancer genome landscapes
2013-03
[10]
논문
MicroRNAs in the DNA Damage/Repair Network and Cancer
[11]
논문
Epigenetic mechanisms of drug addiction
2014-01
[12]
논문
Transcriptional and epigenetic mechanisms of addiction
2011-10
[13]
논문
Molecular mechanism for a gateway drug: epigenetic changes initiated by nicotine prime gene expression by cocaine
2011-11
[14]
논문
Epigenetic Signatures of Cigarette Smoking
2016-10
[15]
논문
Cocaine induces DNA damage in distinct brain areas of female rats under different hormonal conditions
2014-04
[16]
논문
Methamphetamine induces DNA damage in specific regions of the female rat brain
2015-06
[17]
논문
The peroxidative DNA damage and apoptosis in methamphetamine-treated rat brain
2008-08
[18]
논문
Alcohol induces DNA damage and the Fanconi anemia D2 protein implicating FANCD2 in the DNA damage response pathways in brain
2008-07
[19]
논문
Biomarkers of disease can be detected in mice as early as 4 weeks after initiation of exposure to third-hand smoke levels equivalent to those found in homes of smokers
2017-10
[20]
논문
Epigenome Maintenance in Response to DNA Damage
2016-06
[21]
논문
DNA methylation in human epigenomes depends on local topology of CpG sites
2016-06
[22]
논문
Cytosine methylation and CpG, TpG (CpA) and TpA frequencies
2004-05
[23]
논문
Neural circuits and mechanisms involved in Pavlovian fear conditioning: a critical review
2006
[24]
논문
Experience-dependent epigenomic reorganization in the hippocampus
2017-07
[25]
논문
Distribution, silencing potential and evolutionary impact of promoter DNA methylation in the human genome
2007-04
[26]
논문
Gene body methylation can alter gene expression and is a therapeutic target in cancer
2014-10
[27]
논문
Targeted DNA demethylation and activation of endogenous genes using programmable TALE-TET1 fusion proteins
2013-12
[28]
논문
Processing and transcriptome expansion at the mRNA 3' end in health and disease: finding the right end
2016-06
[29]
문서
miRBase.org
[30]
논문
Most mammalian mRNAs are conserved targets of microRNAs
2009-01
[31]
논문
Microarray analysis shows that some microRNAs downregulate large numbers of target mRNAs
2005-02
[32]
논문
Widespread changes in protein synthesis induced by microRNAs
2008-09
[33]
논문
The impact of microRNAs on protein output
2008-09
[34]
논문
Mechanisms and role of microRNA deregulation in cancer onset and progression
2011-07
[35]
논문
Epigenetic reduction of DNA repair in progression to gastrointestinal cancer
2015-05
[36]
논문
Micro spies from the brain to the periphery: new clues from studies on microRNAs in neuropsychiatric disorders
[37]
논문
The Emerging Role of microRNAs in Schizophrenia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38]
논문
MicroRNA and Posttranscriptional Dysregulation in Psychiatry
2015-08
[39]
논문
A history of research on yeasts 7: enzymic adaptation and regulation
2004-07
[40]
논문
Segmental patterning of the vertebrate embryonic axis
2008-05
[41]
서적
Developmental biology, 7th ed.
Sinauer Associates
[42]
논문
Control of yeast GAL genes by MIG1 repressor: a transcriptional cascade in the glucose response
1991-11
[43]
논문
Control of gene expression during T cell activation: alternate regulation of mRNA transcription and mRNA stability
2005-05
[44]
논문
The balance sheet for transcription: an analysis of nuclear RNA metabolism in mammalian cells
2000-02
[45]
논문
Genome-wide analyses show that nuclear and cytoplasmic RNA levels are differentially affected by dioxin
[46]
논문
DNA methylation patterns associate with genetic and gene expression variation in HapMap cell lines
[47]
논문
Altered chromosomal methylation patterns accompany oncogene-induced transformation of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http://cancerres.aac[...]
1993-04
[48]
논문
The prokaryotic enhancer binding protein NTRC has an ATPase activity which is phosphorylation and DNA dependent
1992-06
[49]
논문
A genome-wide analysis of CpG dinucleotides in the human genome distinguishes two distinct classes of promoters
[50]
논문
DNA methylation patterns and epigenetic memory
[51]
논문
Cancer genome landscapes
[52]
논문
MicroRNAs in the DNA Damage/Repair Network and Cancer
[53]
논문
Epigenetic mechanisms of drug addiction
2014-01
[54]
논문
Transcriptional and epigenetic mechanisms of addiction
2011-10
[55]
논문
Molecular mechanism for a gateway drug: epigenetic changes initiated by nicotine prime gene expression by cocaine
2011-11
[56]
논문
Epigenetic Signatures of Cigarette Smoking
2016-10
[57]
논문
Cocaine induces DNA damage in distinct brain areas of female rats under different hormonal conditions
2014-04
[58]
논문
Methamphetamine induces DNA damage in specific regions of the female rat brain
2015-06
[59]
논문
The peroxidative DNA damage and apoptosis in methamphetamine-treated rat brain
2008-08
[60]
논문
Alcohol induces DNA damage and the Fanconi anemia D2 protein implicating FANCD2 in the DNA damage response pathways in brain
2008-07
[61]
논문
Biomarkers of disease can be detected in mice as early as 4 weeks after initiation of exposure to third-hand smoke levels equivalent to those found in homes of smokers
2017-10
[62]
논문
Epigenome Maintenance in Response to DNA Damage
2016-06
[63]
논문
Processing and transcriptome expansion at the mRNA 3′ end in health and disease: finding the right end
https://link.springe[...]
[64]
웹사이트
miRBase
miRBase.org
[65]
논문
Most mammalian mRNAs are conserved targets of microRNAs
2009-01
[66]
논문
Microarray analysis shows that some microRNAs downregulate large numbers of target mRNAs
2005-02
[67]
논문
Widespread changes in protein synthesis induced by microRNAs
2008-09
[68]
논문
The impact of microRNAs on protein output
2008-09
[69]
논문
Mechanisms and role of microRNA deregulation in cancer onset and progression
2011-07
[70]
논문
Epigenetic reduction of DNA repair in progression to gastrointestinal cancer
2015-05
[71]
논문
Micro spies from the brain to the periphery: new clues from studies on microRNAs in neuropsychiatric disorders
[72]
논문
The Emerging Role of microRNAs in Schizophrenia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73]
논문
MicroRNA and Posttranscriptional Dysregulation in Psychiatry
2015-08
[74]
논문
A history of research on yeasts 7: enzymic adaptation and regulation
[75]
논문
Segmental patterning of the vertebrate embryonic axis
2008-05
[76]
서적
Developmental biology
Sinauer Associates
[77]
논문
Control of yeast GAL genes by MIG1 repressor: a transcriptional cascade in the glucose response
[78]
논문
Control of gene expression during T cell activation: alternate regulation of mRNA transcription and mRNA stability
[79]
논문
The balance sheet for transcription: an analysis of nuclear RNA metabolism in mammalian cells
http://www.fasebj.or[...]
2000-02
[80]
논문
Genome-wide analyses show that nuclear and cytoplasmic RNA levels are differentially affected by dioxin
[81]
웹인용
Can genes be turned on and off in cells?
https://ghr.nlm.ni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