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모스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모스섬은 에게해 동부에 위치한 그리스의 섬으로, 면적은 477.395km²이며 터키 해안에서 약 2km 떨어져 있다.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포도 재배가 활발하여 머스캣 와인 생산으로 유명하다. 주요 도시로는 바티, 카를로바시, 피타고레이오 등이 있다. 고대에는 이오니아 문화의 중심지로, 피타고라스, 이솝 등의 인물이 사모스섬 출신이며, 헤라 신전과 에우팔리노스 터널 등 고대 유적이 있다. 현재는 동사모스와 서사모스 두 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1992년 피타고레이온과 헤라이온이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최근에는 난민 수용 문제와 지진 피해를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모스섬 - 사모스 공국
    사모스 공국은 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 사모스 섬에 설치되어 오스만 제국의 지배 하에 자치를 누리다가,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을 거쳐 1913년 그리스에 공식적으로 통합되었다.
  • 사모스섬 - 바티
    바티는 그리스 정치인 테미스토클리스 소풀리스, 오스만 제국 관료 스테판 보고리디, 작가이자 학자인 윌리엄 로저 패튼을 의미한다.
  • 북에게주의 섬 - 레스보스섬
    레스보스섬은 에게해 북동부에 위치한 그리스의 세 번째로 큰 섬으로, 고대 그리스 신화와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시인 사포의 출생지이며, 올리브유 생산, 관광, 어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고, 여성 동성애자를 지칭하는 레즈비언이라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
  • 북에게주의 섬 - 림노스섬
    림노스섬은 에게해 북부의 그리스 섬으로, 헤파이스토스에게 신성한 곳이자 비옥한 토지와 지중해성 기후로 농업과 목축업이 발달했으며,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거쳐 현재 그리스의 주요 관광지이다.
사모스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북에게해 내의 사모스 위치
북에게해 내의 사모스 위치
일반 정보
지역 단위사모스
현지 이름Σάμου
유형지역 단위
위치북에게주
소재지사모스
면적477.4 km²
최대 고도1434 m
인구32642명 (2021년 기준)
인구 통계2021년
주민사미안, 사미오트
우편 번호831 xx
지역 번호2273
차량 번호판MO
웹사이트사모스 공식 웹사이트
지리
위치에게해 동부
최고봉케르케테우스산
기타
로마자 표기Samos
그리스어Σάμος
그리스어 발음Sámos
IPA (그리스어)/ˈsa.mos/
튀르키예어Sisam Adası

2. 지리

사모스섬은 터키 서쪽 해안에서 약 2km 떨어져 있으며, 면적은 472.5km2이다. 동서 폭은 약 43km, 남북 폭은 약 13km이다. 섬 중앙에는 사화산 케르키스산(케르케테아스산, 고도는 1433m)이 솟아 있다.

2. 1. 위치와 지리적 환경

사모스섬은 터키 서남쪽 해안에서 약 2km 떨어져 있으며, 에게해 동부에 위치한다. 아테네에서는 동쪽으로 약 250km, 레스보스섬에서는 남쪽으로 약 175km, 로도스섬에서는 북서쪽으로 약 190km, 이즈미르에서는 남서쪽으로 약 80km 거리에 있다. 미칼레 해협을 사이에 두고 아나톨리아와 분리되어 있으며, 해협의 폭은 가장 좁은 곳이 약 1km 정도이다.

섬의 면적은 477.395km2이며,[9] 동서 길이는 43km, 남북 길이는 13km이다. 섬의 중심부에는 사화산인 케르키스산(고대 그리스어로는 케르케테아스산)이 솟아 있으며, 최고 높이는 1434m이다. 섬의 지형은 대체로 산악 지형이지만, 비교적 크고 비옥한 평야도 여러 곳에 분포한다. 섬의 상당 부분은 포도밭으로 덮여 있으며, 이곳에서 머스캣 와인이 생산된다.

섬의 주요 도시로는 북동부의 수도 바티를 비롯하여, 북서쪽의 카를로바시, 남동쪽의 피타고레이오, 남서쪽의 마라토캄포스 등이 있다. 섬의 인구는 33,814명으로, 그리스 섬 중에서 9번째로 인구가 많다. 사모스섬의 기후는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로, 온화하고 비가 많이 오는 겨울과 덥고 비가 오지 않는 여름이 특징이다.

사모스섬의 지형은 두 개의 큰 산인 암펠로스와 케르키스 (고대 케르케테우스)가 지배한다. 암펠로스 산괴(통칭 "카르부니스")는 섬의 중앙부를 차지하고 있으며, 높이는 1095m에 달한다. 케르키스 산은 섬에서 가장 높은 지점인 1434m이다. 이 산들은 아나톨리아 본토의 미칼레 산맥의 연장선이다.

230x230px


230x230px


2001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인구 1,000명 이상인 주요 도시 및 마을은 다음과 같다.

도시/마을소속 지구인구
사모스바티6,236명
네오 칼로바시카를로바시5,740명
미틸리니피타고레이오2,340명
바티바티2,025명
호라피타고레이오1,448명
마라토캄포스마라토캄포스1,329명
피타고레이오피타고레이오1,327명


2. 2. 기후

사모스섬은 온화하고 비가 많은 겨울과 덥고 건조한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해성 기후 (쾨펜 기후 구분으로는 ''Csa'')를 보인다. 1978년부터 2010년까지 사모스 공항에서 관측된 기상 자료는 다음과 같다.[36][37][38]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C)20.421.625.030.036.439.643.041.437.236.027.223.0
평균 최고 기온 (°C)13.513.515.919.724.930.133.032.828.623.518.415.0
평균 기온 (°C)10.310.012.115.920.625.528.427.924.319.414.511.9
평균 최저 기온 (°C)7.26.98.411.114.919.522.822.819.215.511.38.8
최저 기온 (°C)-2.4-3.4-1.02.57.48.814.816.412.27.01.0-1.4
강수량 (mm)135.0105.576.440.219.81.60.50.516.035.8116.4156.8
평균 습도 (%)70.268.167.564.459.150.543.746.051.662.268.672.6
비 오는 날12.410.48.67.44.01.10.20.11.44.69.313.7


3. 역사

사모스섬은 고대 이오니아 문화의 중심지였다. 기원전 540년경에 세워진 헤라 신전인 헤라이온이 유명하다. 사모스섬과 관련된 인물로는 피타고라스아이소포스(이솝)이 있다.

3. 1. 고대

기원전 7세기경 사모스섬은 그리스의 주요 상업 중심지 중 하나였다. 사미아인들의 초기 번영은 섬이 무역로 근처에 위치하여 소아시아 내륙에서 섬유 제품을 수입하기 쉬웠기 때문으로 보인다. 사미아인들은 흑해 주변, 이집트, 키레네(리비아), 코린토스, 칼키스 등과 무역을 개척하며 광범위한 해외 상업을 발전시켰다.[14] 또한 지브롤터 해협에 도달한 최초의 그리스인으로 여겨진다.[15] 이러한 무역으로 인해 밀레토스와 격렬한 경쟁 관계에 있었다.

기원전 6세기, 참주 폴리크라테스의 통치 기간 동안 기술자 에우팔리노스의 지휘 아래 사모스섬의 고대 수도에 신선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도교인 에우팔리노스 터널이 건설되었다. 이는 방어상 매우 중요한 문제였는데, 지하에 있었기 때문에 적이 쉽게 찾아내어 물 공급을 차단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에우팔리노스의 터널은 역사상 두 번째로 양쪽 끝에서 체계적인 방식으로 굴착된 터널이라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16] 길이가 1km가 넘는 에우팔리노스의 지하 수도교는 오늘날 고대 공학의 걸작 중 하나로 여겨진다.

에우팔리노스 수도교 내부


폴리크라테스 사후, 사모스섬은 아케메네스 제국(페르시아 제국)에 정복당하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 기원전 499년, 이오니아 도시 국가들의 페르시아에 대한 반란에 가담하면서 상당한 권력을 되찾았지만, 라데 해전(기원전 494년)에서 배신 행위를 저질렀다. 기원전 479년, 사모스인들은 미칼레 해전에서 페르시아에 대항하는 반란을 주도했다.

델로스 동맹에서 특별한 특권을 누렸던 사모스섬은 기원전 440년 밀레투스와의 분쟁으로 인해 아테네에서 탈퇴했다. 끈질긴 포위 공격 끝에 항복한 사모스섬은 반란으로 인해 아테네가 입은 피해를 배상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7] 펠로폰네소스 전쟁(기원전 431년–404년) 동안 사모스섬은 아테네 편에 서서 스파르타에 대항하여 아테네 함대에 자국 항구를 제공했다.

기원전 394년, 스파르타 해군의 철수는 이 섬이 독립을 선언하고 민주주의를 재건하도록 유도했지만, 안탈키다스 평화조약(기원전 387년)에 의해 다시 페르시아의 지배 하에 놓이게 되었다. 11개월의 포위 끝에 기원전 366년 아테네인에 의해 회복되었다.

헬레니즘 시대에 사모스섬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이집트 함대의 기지로 사용되기도 했고, 셀레우코스 시리아의 지배권을 인정하기도 했다. 기원전 189년에는 로마인에 의해 소아시아의 아탈로스 왕조의 헬레니즘 왕국인 페르가몬에 이양되었다. 기원전 133년부터 로마의 소아시아 속주에 편입된 사모스는 지배 세력에 대항하여 아리스토니쿠스(기원전 132년) 및 미트라다테스(기원전 88년)를 지지했으며, 그 결과 자치권을 상실했다.

3. 2. 중세 및 근대

비잔틴 제국의 일부로서 사모스섬은 동명의 테마에 속하게 되었다. 13세기 이후에는 키오스섬과 마찬가지로 여러 차례 정부가 바뀌었으며, 제노바 공화국의 주스티니아니 가문의 소유가 되었다 (1346–1566; 1475년에는 오스만 제국에 의해 중단됨).[19] 1081년에서 1091년 사이에는 차차스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1574년 사모스 지도


사모스는 1475년[18] 또는 1479/80년에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는데,[19] 당시 해적과 전염병의 영향으로 섬은 거의 버려진 상태였다. 오스만 당국이 에게 해를 확실히 장악한 후 섬을 재정착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이기 전까지 거의 한 세기 동안 섬은 황폐한 상태로 남아 있었다.[19]

1572/3년에 이 섬은 클르츠 알리 파샤에게 개인 영지(hass)로 주어졌으며, 그는 카푸단 파샤(오스만 해군의 최고 제독)였다. 펠로폰네소스, 이오니아 제도에서 온 그리스인과 아르바니테스, 그리고 키오스로 도망간 원래 거주민의 후손들을 포함한 정착민들은 7년간의 면세, 45,000 피아스트르의 일괄 연간 지불을 대가로 한 십일조의 영구 면제, 그리고 지역 문제에 대한 상당한 자치권과 같은 특권을 제공받아 유치되었다.[19] 섬은 점차 회복되어 17세기에 약 10,000명의 인구에 도달했는데, 이는 여전히 대부분 내륙에 집중되어 있었다. 해안 지역이 조밀하게 정착되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중반이었다.[19]

오스만 통치하에서 사모스(오스만 터키어: سيسام ''Sisam'')는 로도스 산자크의 일부로서 제도 에야레트의 행정 구역에 속했다.[18] 현지에서 오스만 당국은 재정 행정을 담당하는 ''보에보다'', ''카디''(판사), 섬의 정교회 주교, 그리고 섬의 4개 구역(바티, 코라, 카를로바시 및 마라토캄포스)을 대표하는 4명의 유력 인사에 의해 대표되었다.[19] 오스만 통치는 1768년-1774년 러시아-터키 전쟁 동안 중단되었는데, 1771년-1774년에 섬은 러시아의 지배를 받았다.[19]

퀴추크 카이나르카 조약은 오스만 제국의 그리스 정교회 인구의 상업 활동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조항을 담고 있었다. 사모스 상인들도 이를 활용하여 상업과 해운을 기반으로 하는 도시 상업 계급이 성장하기 시작했다.[19] 사모스 상인들의 지중해 항해와 이오니아 제도에서 온 그리스인들의 정착(1797년에 베네치아에서 프랑스 제1 공화국으로 넘어감)은 계몽주의 시대와 프랑스 혁명의 진보적인 사상을 사모스에 도입했고, 진보 급진적인 ''카르마니올로이''(프랑스 혁명 노래 ''카르마뇰''에서 이름을 따옴)와 주로 전통적인 토지 소유 엘리트를 대표하는 반동적인 ''칼리칸차로이''(고블린)의 두 개의 경쟁적인 정치 정당을 형성하게 했다. 리쿠르고스 로고테티스의 지도하에 1807년 ''카르마니올로이''는 섬에서 권력을 잡고 자유주의적이고 민주적인 원칙을 도입했으며, 토지 소유 유력자들의 희생으로 지역 민중 의회를 강화했다. 그들의 통치는 1812년까지 지속되었고, 오스만 당국에 의해 전복되었으며 지도자들은 섬에서 추방되었다.[19]

그리스 독립 전쟁(1821–1830) 기간 동안 사모스섬의 행정부 깃발


사모스 혁명의 지도자 리쿠르고스 로고테티스


1821년 3월, 그리스 독립 전쟁이 발발했고, 4월 18일 리쿠르고스 로고테티스와 '카르마니올로이'의 지도 아래 사모스섬도 봉기에 참여했다. 5월에는 로고테티스의 영감을 받아 섬을 통치하기 위해 자체 헌법을 가진 혁명 정부가 수립되었다.[20]

사모스인들은 섬을 탈환하려는 세 번의 오스만 제국의 시도를 성공적으로 격퇴했다. 1821년 여름, 1824년 7월에는 사모스 해전과 게론타스 해전에서의 그리스 해군 승리로 침략의 위협을 피했으며, 1826년 여름에도 격퇴했다. 1828년, 섬은 이오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총독 하의 제1 헬레니즘 공화국에 정식으로 편입되었고, 동 스포라데스 주의 일부가 되었지만, 1830년 런던 조약은 사모스섬을 독립 그리스 국가의 경계에서 제외했다.[20]

사모스인들은 술탄에 대한 재종속을 거부했고, 로고테티스는 사모스섬을 1821년 헌법 조항에 따라 이전처럼 통치되는 독립 국가로 선언했다. 결국, 열강의 압력으로 사모스섬은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 하의 자치 공국으로 선언되었다. 사모스인들은 1834년 5월 오스만 함대가 이를 강요할 때까지 이 결정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혁명 지도부와 인구의 일부는 독립 그리스로 도망쳐 칼키스 근처에 정착했다.[20]

사모스 공국의 국기. 이는 현대 그리스 국기로,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을 상징하기 위해 두 개의 상단 사분면이 빨간색으로 칠해져 있다.


1834년, 사모스 섬은 오스만 제국에 조공을 바치는 반독립 국가인 사모스 공국의 영토가 되었으며, 연간 2700GBP을 지불했다. 이 나라는 오스만 제국에서 지명되었지만 그리스 출신의 기독교인이 통치했으며, "공작"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공작은 4명의 상원의원과 함께 행정부 수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섬의 4개 지역(바티, 코라, 마라토캄포스, 카를로바시)에서 지명된 8명의 후보 중에서 공작에 의해 선출되었다. 입법 권한은 그리스 정교회 대주교가 주재하는 36명의 대의원 회의에 속했다. 정부의 소재지는 바티 항구였다.

3. 3. 현대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1년 5월 사모스섬은 이탈리아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제6 보병 사단 "쿠네오"가 주둔했다. 1941-42년 겨울 동안 사모스는 2,000명의 주민을 사망시키고 수천 명을 중동으로 도망가게 한 대기근의 영향을 받았다.[21] 1942년 12월, 지역 공산주의자들은 ELAS 저항 조직의 지부를 설립했고, 다음 달에는 영국군과 접촉하여 물질적 지원을 받았다.[22] 1943년 봄, 쿠네오 사단은 카르보니에서 2개월간 실패한 대반란 작전을 시작했다. 같은 해 6월, ELAS는 쿠네오 사단 내의 반파시스트 조직과 접촉하여 양측 사이에 비공식적인 2개월간의 휴전이 이루어졌다. 7월 25일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권 붕괴 후, 피에트로 바돌리오는 사단 지휘관 마리오 솔다렐리를 피에롤라 중장으로 교체하고 1,500명의 검은 셔츠단을 사모스 수비대에 증원했다. 피에롤라는 이후 케르키스에서 또 다른 대반란 작전을 시작하여 저항군 40명이 사망했다.[23] 1943년 9월 이탈리아 항복 후, 쿠네오 사단은 ELAS와 힘을 합쳐 지역 협력자들을 체포하고 투옥된 저항군을 석방했다. 사모스는 잠시 성스러운 부대와 영국군에 의해 점령되었지만, 레로스 전투에서 연합군이 패배하고 바티와 티가니에 대한 격렬한 공습 이후, 대부분의 ELAS 구성원, 반파시스트 이탈리아인 및 연합군이 섬을 포기하고 독일군이 무혈 입성했다. 그 후 독일군은 카를로바소스와 오르모스 마라토캄포스의 항구를 폭발물로 파괴했다. 1944년 9월 15일, 연합군의 공습으로 독일 선박 "아슬란"과 세 척의 지원 선박이 바티 항구에서 파괴되었다. 독일군이 떠난 후, ELAS와 120명의 성스러운 부대 병력이 남은 1,000명의 검은 셔츠단을 항복하게 했고, 1944년 10월 5일 섬의 점령이 끝났다.[24]

섬이 독일군에 점령된 후 섬을 떠났던 많은 사미오트 ELAS 구성원들은 중동 그리스군에 입대하여 공산주의 주도의 1944년 그리스 해군 반란에 참여했고, 이후 영국 포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그들 중 약 4,500명이 전쟁이 끝난 후 섬으로 돌아왔다. 바르키자 조약 이후 발생한 반공 박해로 인해 많은 전직 ELAS 구성원들은 자위 민병대를 창설했고, 이는 점차 그리스 민주군(DSE)의 사모스 지부로 발전했다. 사미오트 DSE는 그리스 공산주의자들의 내부 유배의 주목할 만한 장소였던 인근 이카리아에서 병력을 충원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군이 버린 대량의 무기와 탄약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리스 내전 동안, 사모스는 그리스 본토 밖에서 DSE 저항의 가장 큰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마지막 DSE 부대는 1949년 8월 26일 케르키스에서 항복했고, 공산주의 저항 세력의 패배 후 그리스 왕가가 1949년 10월 15일에 방문하여 축하했다. 내전 기간 동안 총 197명의 사미오트 DSE 병사가 사망했다.

1989년 8월 3일, 숏 330 항공기가 사모스 공항 근처에서 추락하여 승객과 승무원 31명이 사망했다.[25]

섬과 터키 본토 사이의 해협을 건너는 이주민의 유입에 대처하기 위해 바티의 그리스 군사 기지 부지에 대규모 이주민 수용소가 개발되었다. 2020년 4월, 바티 수용소에는 원래 설계된 인원의 10배인 6,800명의 이주민이 수용된 것으로 추정된다.[26] 그리스 섬에 대규모 이주민이 존재하면서 섬 주민과 수용소에 갇힌 이주민 사이에 긴장과 일부 시민 소요가 발생했다.[27] 2020년, 그리스 정부는 2021년까지 현재 임시 개방형 수용소를 대체할 새로운 폐쇄형 수용소를 제르부 마을 근처에 건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8]

2020년 10월 30일, 규모 7.0의 지진이 섬 근처 해상에서 발생하여 쓰나미를 유발했다. 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사모스에서 2명이 사망하고 여러 명이 부상했으며, 터키에서는 117명이 사망하고 1,632명이 부상했다. 지진은 또한 바티, 카를로바시 및 그 주변의 많은 건물에 피해를 입혔으며, 여기에는 주거 건물, 공공 건물(학교, 강당 등), 종교 건물(교회), 리쿠르고스 로고테티스 탑, 일부 박물관의 도자기 컬렉션 및 조각품이 포함되었다.[29]

4. 경제

사모스섬의 경제는 주로 농업과 관광 산업에 의존한다. 관광 산업은 1980년대 초부터 꾸준히 성장하여 1990년대 말에 정점에 달했다.[33] 주요 농산물로는 포도, 꿀, 올리브, 올리브 오일, 감귤, 말린 무화과, 아몬드, 꽃 등이 있다. 머스캣 포도는 와인 생산에 사용되는 주요 작물이다. 사모스섬의 와인은 여러 명칭으로 수출된다.

4. 1. 주요 산업

사모스 섬의 ''머스캣''


사모스 섬의 와인


사모스섬의 주요 생산품은 담배, 사모스 포도주, 꿀, 올리브유, 감귤류, 말린 무화과, 아몬드 등이다. 특히 포도주에 사용되는 머스캣 포도가 생산된다. 사모스 포도주는 고대부터 명성을 얻었으며, 현재도 지중해 동부 연안에서 고급 포도주로 인정받고 있다.[33]

5. 인물

사모스섬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이름활동 분야생몰년비고
아에글레스운동선수
사모스의 아이스케리온시인
아에틀리우스 (작가)작가
아가타르코스화가
아가토클레스 (작가)작가
사모스의 아스클레피아데스격언 작가, 시인
사모스의 크레오필루스전설적인 가수
사모스의 두리스역사가기원전 4-3세기
사모스의 니카에네투스시인
필라이니스고급 창녀, 작가기원전 4-3세기
텔라우게스철학자
피타고라스 (조각가)조각가
사모스의 텔레사르쿠스귀족기원전 6세기
사모스의 테온화가


5. 1. 고대 인물



피타고라스의 출생지인 피타고레이온의 파노라마.


고대 사모스섬과 관련하여 가장 유명한 인물은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피타고라스와 우화 작가 이솝이다. 1955년, 티가니 마을은 피타고라스를 기리기 위해 피타고레이온으로 개명되었다.

다른 주목할 만한 인물로는 사모스 출신의 철학자 멜리소스와 에피쿠로스, 그리고 역사상 최초로 기록된 태양계의 지동설을 제시한 천문학자 아리스타르코스가 있다. 헤로도토스도 한동안 사모스에 거주했다.

헤라 신전 (올림피아)의 건축가인 로이코스와 위대한 조각가이자 발명가인 테오도로스는 로이코스와 함께 청동 조각으로 동상을 주조하는 기술을 발명했다고 전해진다.

5. 2. 현대 인물


  • 리쿠르고스 로고테티스 (1772–1850): 1821년 혁명 당시 사모스섬 지도자였다.
  • 이온 지카 (1816–1897): 루마니아 혁명가, 수학자, 외교관, 루마니아 총리, 루마니아 학술원 초대 원장, 사모스섬의 공작이었다.
  • 테미스토클리스 소풀리스 (1860–1949): 정치인이자 그리스 총리를 역임했다.
  • 코스타스 루쿠나스 (1903–1984): 레베티코 가수였다.
  • 니코스 스타브리디스 (1910–1987): 배우였다.
  • 네르세스 오나니안 (1924–1957): 아르메니아우루과이 조각가였다.
  • 니콜라오스 마르지오리스 (1913–1993): 그리스 밀교 철학자였다.
  • 안나 페리볼라리스 (1888년경–1963): 호주에서 그리스 문화 교사였다.

6. 행정 구역

사모스는 북에게해 지역의 지방 자치 단체이며, 2019년 이후 동사모스와 서사모스 두 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다.[30]

동사모스 지방 자치 단체는 다음 지방 자치 단위를 포함한다:


  • 피타고레이오
  • 바티


서사모스 지방 자치 단체는 다음 지방 자치 단위를 포함한다:

  • 카를로바시
  • 마라토캄포스


사모스는 이탈리아 칼라브리아에 위치한 사모라는 자매 도시를 가지고 있다.

7. 유네스코 세계유산

이 섬에는 1992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된 사모스의 헤라 이온과 피타고레이온이 있다.[34]

8. 현대의 문제점

2010년대 후반부터 시리아 내전 등으로 인해 발생한 난민들이 터키를 거쳐 그리스로 유입되면서, 사모스섬은 난민 수용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바티 지역의 난민 수용소는 과밀 상태로, 인도주의적 위기가 심각한 상황이다.[26]

8. 1. 난민 문제 및 해결 노력

사모스섬은 터키 본토와의 해협을 건너는 이주민 유입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바티에는 그리스 군사 기지 부지에 대규모 이주민 수용소가 설치되었는데, 2020년 4월에는 수용 인원이 원래 설계된 인원의 10배인 6,800명에 달했다.[26] 이러한 대규모 이주민 유입은 섬 주민과 수용소에 갇힌 이주민 사이에 긴장을 유발하고 시민 소요로 이어지기도 했다.[27]

2020년, 그리스 정부는 2021년까지 제르부 마을 근처에 새로운 폐쇄형 수용소를 건설하여 기존의 임시 개방형 수용소를 대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8]

참조

[1] 백과사전 Samos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 문서 Samos 2019-07-06
[3] 웹사이트 Samos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7-06
[4] 웹사이트 Samos 2019-07-06
[5] 문서 Geography https://www.perseus.[...]
[6] 서적 The Concise Dictionary of World Place Nam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7] 서적 The Way of Herodotus: Travels with the Man Who Invented History https://books.google[...] Hachette Books 2010-02-02
[8] 서적 Homer, the Ilia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9]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s://web.archive.[...]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10] 웹사이트 Conservation Action Plan for the golden jackal (Canis aureus) in Greece https://web.archive.[...] 2012-11-07
[11] 웹사이트 Samos Climate https://web.archive.[...] Hellenic National Meteorological Service 2012-10-15
[12] 웹사이트 Climate Data for Samos ftp://dossier.ogp.no[...]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2-10-15
[13] 웹사이트 Normales et records climatologiques 1981-2010 à Samos Airport - Infoclimat https://www.infoclim[...]
[14] 서적 Greek Colonisation. An account of Greek Colonies and Other Settlements Overseas. Vol. 1 Brill 2006
[15] 웹사이트 Samos (island, Greece)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2012-11-07
[16] 웹인용 The Siloam Tunnel was first https://web.archive.[...] 2011-03-22
[17] 문서 The Peloponnesian War https://www.perseus.[...]
[18] 서적 Die Provinzen des Osmanischen Reiches Reichert
[19] 웹사이트 Samos: 2.3. Ottoman rule https://web.archive.[...] Foundation of the Hellenic World 2005-07-10
[20] 웹사이트 Samos: 2.4.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1821. https://web.archive.[...] Foundation of the Hellenic World 2005-07-10
[21] 웹사이트 The Island of Samos https://www.pansamia[...]
[22] 서적 The Balkan Wars, 1912–1913: Prelude to the First World W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3] 서적 Defeat in Detail: The Ottoman Army in the Balkans, 1912–1913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4] 간행물 "H επίσκεψη του Βασιλέως Γεωργίου β΄ στη Σάμο το 1937 μέσα από τον σαμιακό τύπο της εποχής: η περίπτωση των εφημερίδων « Σ ά μ ο ς » και « Α ι γ α ί ο ν » Δελτίον Σαμιακών Σπουδών, τομ. 5 (2019-2020), σελ.113-126" https://www.academia[...]
[25]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Shorts 330-200 SX-BGE https://web.archive.[...] 2020-06-24
[26] 웹사이트 Greece to close Samos island migrant camp by year end https://www.infomigr[...] 2020-04-28
[27] 웹사이트 Greek islanders strike over crowded migrant camps https://www.bbc.co.u[...] 2020-01-22
[28] 웹사이트 Μετανάστες : "Πιλότος" η Σάμος για τις νέες δομές στα νησιά https://www.in.gr/20[...] 2020-12-16
[29] 논문 Assessment of Structural Damage Following the October 30, 2020 Aegean Sea Earthquake and Tsunami https://www.worldsci[...] 2021
[30] 웹사이트 Τροποποίηση του άρθρου 1 του ν. 3852/2010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31]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Programme law text http://www.et.gr/ido[...]
[32] 웹사이트 Detailed census results 1991 https://web.archive.[...]
[33] 웹사이트 Evaluating the tourism activity in a destination: the case of Samos Island http://etudescaribee[...] 2012
[34] 웹사이트 Pythagoreion and Heraion of Samos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 Whc.unesco.org 2009-09-18
[35] 웹사이트 Anna Perivolaris (1888–1963) https://adb.anu.edu.[...] National Centre of Biograph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4-02-17
[36] 웹인용 Samos Climate https://web.archive.[...] Hellenic National Meteorological Service 2012-10-15
[37] 웹인용 Climate Data for Samos ftp://dossier.ogp.no[...]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2-10-15
[38] 웹인용 Normales et records climatologiques 1981-2010 à Samos Airport - Infoclimat https://www.infocli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