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기애적 인격장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기애성 인격장애는 과대성, 칭찬에 대한 과도한 욕구, 공감 능력 부족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질환이다. 이들은 타인에게 특별 대우를 받기를 기대하고, 권력, 성공, 매력에 대한 환상에 집착하며, 타인을 이용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DSM-5에서는 9가지 진단 기준 중 5가지 이상을 충족하면 진단하며, ICD-11에서는 '성격 장애'라는 단일 범주로 분류된다. 원인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보이며, 뇌 구조의 차이와 어린 시절의 양육 방식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기애성 인격장애는 과대성, 취약성, 고기능의 하위 유형으로 나뉘기도 한다. 치료는 주로 정신 요법을 통해 이루어지며, 약물 치료는 동반되는 증상 완화에 사용될 수 있다. 예후는 만성적이며, 다른 정신 질환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격장애 - 의존성 인격장애
    의존성 인격장애는 정서적, 신체적 욕구 충족을 위해 타인에게 과도하게 의존하는 정신 질환으로, 수동성, 관계 종료 시 파괴적인 행동, 책임 회피, 복종 등의 증상을 보이며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과 ICD-10에 진단 기준이 제시되어 있고 정신 요법을 통해 치료한다.
  • 인격장애 - 연극성 인격장애
    연극성 인격장애는 과도한 감정 표현, 타인의 관심에 대한 갈망, 피상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며, 심리 치료, 인지 치료,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정신 질환이다.
  • 정신분석학 용어 - 합리화
    합리화는 심리학에서 개인이 자신의 행동 동기를 숨기기 위해 상황을 단순화하거나 미화하여 해석하는 방어 기제이며, 자기 방어적인 설명으로 정의되고, 정신분석학에서 긍정적 및 부정적 관점으로 연구되었으며, 사회적으로 불평등과 차별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도 작용한다.
  • 정신분석학 용어 - 에로스 (개념)
    에로스는 사랑, 욕망, 갈망을 아우르는 철학적, 심리학적 개념으로 플라톤은 이상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갈망으로, 융은 여성적 원리로, 프로이트는 삶의 의지로 해석했으며, 다양한 성적 지향과 젠더 관련 사회적 이슈와도 관련된다.
자기애적 인격장애
자기애성 인격장애
카라바조의 나르시스 (1597–99); 자신의 반영에 사랑에 빠진 남자
카라바조의 나르시스 (1597–99); 자신의 반영에 사랑에 빠진 남자
분야정신의학, 임상심리학
증상과장된 자기 중요감, 과도한 칭찬 갈망, 낮은 수준의 공감 능력
발병 시기성인 초기
지속 기간장기적
원인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조합. 자기애성 인격장애의 사회적 이론은 미약하며 인과 관계는 불분명함.
진단증상에 기반
감별 진단양극성 장애, 조증 및 경조증, 반사회성 인격장애, 물질 남용, 경계선 인격장애, 히스테리성 인격장애, 과대망상
치료정신 치료, 공존 질환에 대한 약물 치료
빈도6.2%
성격 장애 사이드바
A군 (이상하거나 엉뚱한 장애)망상성
분열성
분열형
B군 (감정적이거나 변덕스러운 장애)반사회성
경계선
히스테리성
자기애성
C군 (불안하거나 두려움을 느끼는 장애)회피성
의존성
강박성
기타수동-공격성
피학성
가학성
정신병질
할트로제
미성숙
외상 후 기질성
참고 문헌

2. 증상 및 특징

자기애성 인격장애는 다양한 증상과 특징을 보인다. 타인에게 특별대우를 받으려는 기대가 매우 크고, 개인의 이익을 위해 타인을 이용하는 경향이 있다.[243] 권력, 성공, 지능, 매력 등에 대한 환상에 집착하며, 자신이 특별하고 우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18] [19] [20] 타인으로부터 끊임없는 인정을 요구하고, 특별대우와 복종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12] [13] [14] 타인을 강렬하게 질투하며, 동시에 타인이 자신을 질투한다고 느낀다.

겉으로는 과대한 모습을 보이지만, 내면에는 수치심, 무가치함, 낮은 자기 연민, 자기 혐오 등의 감정을 겪는다.[10] [11] 이들은 비판에 매우 민감하며, 칭찬을 통해 자존감과 의미를 얻으려 한다.[15] [16] 완벽주의적인 성향을 보이기도 하며, 관계를 무시하거나 상황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5] [11]

자신의 기술, 성과, 고위층과의 친밀도를 과장하고,[18] [19] [20] 복수심에 찬 환상, 특권 의식을 가지거나, 겸손함을 가장하기도 한다.[19] [22] 성형 수술을 통해 외모를 가꾸려는 욕구를 보이기도 하며,[1] [23] [24] 대화를 독점하거나 타인을 무시하는 태도를 보일 수 있다.[1] [10]

자기애성 인격장애 환자는 표정 인식, 감정 모방 능력이 손상되어 정서적 공감 및 정서 지능이 낮다.[26] [27] 그러나 인지적 공감 능력은 손상되지 않아 타인의 감정을 이해할 수는 있다.[28] 친사회적 행동을 할 가능성은 적지만, 사회적 지위를 높이거나 지시를 받는 경우에는 이타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29] [30]

타인의 경계를 존중하지 않고, 이상화와 평가 절하를 반복하며, 심리적 투사, 부정,[36] 분열 등의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거부에 대해서는 분노와 적대감으로 반응하며,[3] [37] [38] 자신에게 동의하지 않는 사람을 비난, 모욕하는 경향이 있다.[39] [40] 자기 인식이 부족하고, 흑백 사고에 빠지기 쉽다.[41] [42] [43]

메이요 클리닉은 자기애성 인격 장애를 극적이고 감정적인 행동으로 특징지으며, 다음과 같은 증상을 포함한다고 설명한다.[145]

자기애성 인격장애는 높은 자존감, 자신감을 가진 사람과 유사해 보일 수 있지만, 심리 기제가 병리적인지 여부에 따라 구분된다.[145] 자기애성 인격장애 환자는 취약하고 쉽게 무너지는 자존감을 가지며, 비판을 견디지 못하고 타인을 폄하하여 내면의 취약성을 보완한다.

유년기의 높은 자기 의식과 과대망상은 정상적인 발달의 일부이지만, 8세 이후에도 비현실적인 자기 인식이 지속되면 자기애성 인격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148] 부모의 과도한 주의나 주의 부족, 불안정한 양육 환경 등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148] [149] [150]

2. 1. DSM-5 진단 기준

DSM-5영어에서는 다음 9가지 기준 중 5가지 이상을 충족하는 경우 자기애성 인격장애로 진단한다.[1]

번호내용
1과대한 자기 중요감 (예: 업적과 재능을 과장하고, 그에 상응하는 성취 없이 우월하다고 인정받기를 기대함)
2무한한 성공, 권력, 훌륭함, 아름다움 또는 이상적인 사랑에 대한 환상에 몰두함
3자신이 "특별"하고 독특하며 다른 특별하거나 지위가 높은 사람(또는 기관)에 의해서만 이해될 수 있거나 그들과 어울려야 한다고 믿음
4과도한 칭찬 요구
5특권 의식 (특히 유리한 대우 또는 자신의 기대에 대한 자동적인 복종에 대한 비합리적인 기대)
6대인 관계에서 착취적임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이용함)
7공감 부족 (다른 사람의 감정과 요구를 인식하거나 동일시하려 하지 않음)
8종종 다른 사람을 시기하거나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시기한다고 믿음
9거만하고 오만한 행동이나 태도를 보임


2. 2. ICD-11 진단 기준

세계 보건 기구(WHO)의 ''국제 질병 및 관련 건강 문제 통계 분류'' 제11차 개정판(ICD-11)에서는 모든 성격 장애를 "성격 장애"라는 단일 제목으로 진단한다. 진단 기준은 주로 기능 부전, 고통 및 부적응적 행동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일단 진단이 내려지면, 임상의는 잠재적인 치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기능 부전의 특정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다섯 가지 특성 영역을 활용할 수 있다.[47] 현재 개념화된 NPD는 자기 중심성(과대성, 관심 추구, 특권 의식 및 자기 중심성)과 공감 부족(냉담함, 무자비함, 조종성, 대인 관계적 착취성 및 적대감)을 포함하는 ICD-11의 Dissociality 특성과 거의 완전히 일치한다.[47][48]

이전 판인 ICD-10에서 자기애성 성격 장애(NPD)는 "기타 특정 성격 장애" 범주에 나열되어 있으며, 이는 DSM-5에서 NPD로 설명된 사례가 일반적인 진단 기준을 충족하기만 하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49] 세계 보건 기구(WHO)가 발표하는 ICD-10에서는 자기애성 성격 장애는 다른 특정 성격 장애(F60.8)로 분류되어 있으며, 개별적인 진단 기준을 가지고 있지 않다.[202] ICD-10은 또한, 어떠한 성격 장애의 진단에서도 성격 장애의 전반적인 진단 가이드라인을 충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203]

3. 원인

자기애성 인격장애(NPD)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7]


  • 유전적 요인: NPD는 유전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증거가 있다.[77][85][78][79] 일란성 쌍둥이 연구에 따르면, NPD의 발생에 유전자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공유 환경(부모의 양육 방식 등)의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85]
  • 환경적 요인: NPD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고 결과가 일관되지 않다.[77][82] 일부 연구에서는 과잉보호적이거나 허용적인 양육 방식이 NPD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했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가혹한 훈육, 방치, 학대 등이 관련이 있다고 보고했다.[77] 이러한 불일치는 유전적 요인을 통제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77][82]
  • 신경생물학적 요인: NPD 환자의 뇌를 연구한 결과, 특히 감정, 공감, 인지 기능과 관련된 뇌 영역(섬엽, 전전두피질)에서 구조적 이상이 발견되었다.[87][88] 이러한 뇌 구조의 변화는 NPD 환자의 감정 조절 및 공감 능력 저하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89]


몇몇 심리학자들은 유년기의 경험이 NPD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아놀드 쿠퍼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을 제시했다.[157]

  • 선천적으로 과도하게 민감한 기질
  • 현실에 기반하지 않은 과도한 칭찬
  • 좋은 행동에는 과도한 칭찬, 나쁜 행동에는 과도한 비판
  • 부모, 가족, 친구로부터의 과도한 애정과 과대평가
  • 특별한 외모나 능력에 대한 칭찬
  • 유년기의 심한 정서적 학대
  • 예측 불가능하고 신뢰할 수 없는 부모의 양육


프로이트 학파의 정신 치료가들은 발달 초기 유년기에 고착된 결과가 NPD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159]

자기애적 특징은 정상적인 발달 단계에서도 나타날 수 있지만, 이러한 특징이 심해져 성인기까지 지속되면 NPD로 진단될 수 있다.[158]

4. 하위 유형

자기애성 인격장애는 DSM-5에서 단일한 진단 기준으로 제시되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하위 유형이 존재한다.[97][52][53] 하위 유형의 수에 대한 합의는 부족하지만, 최소한 과대하거나 노골적인 자기애와 취약하거나 내밀한 자기애, 두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는 점은 널리 인정된다.[7][52] 그러나 이러한 하위 유형은 DSM-5나 ICD-11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글렌 가바드는 1989년에 자기애성 인격장애(NPD)의 두 가지 하위 유형을 설명했는데, 이는 이후 과대성 및 취약성 하위 유형과 같은 것으로 언급되었다.[58][59][60]


  • 무관심형 하위 유형 (과대성 하위 유형과 동일): 과대하고, 오만하며, 뻔뻔한 것으로 묘사된다. 동시에 무력감, 정서적 공허함, 낮은 자존감, 수치심과 같은 특징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징은 사회적으로 회피하는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사회적 승인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물러나는 결과를 초래한다.
  • 과민형 하위 유형 (취약성 하위 유형과 동일): 쉽게 상처받는 감정, 과민한 기질, 지속적인 수치심을 느끼는 것으로 묘사된다.


테오도어 밀론은 자기애성 인격장애의 5가지 하위 유형을 제시했다.[4]

자기애성 인격장애의 하위 유형 (밀론)
하위 유형특징
원칙 없는 자기애성 인격양심 결여, 부도덕, 비양심적, 불성실, 사기성, 속임수, 오만, 착취적, 사기꾼, 아첨꾼, 지배적, 경멸적, 앙심 품음.
색정적인 자기애성 인격성적 유혹, 매혹적, 꾐, 감질, 말솜씨 좋음, 영리함, 진정한 친밀감 꺼림, 쾌락적 욕구 충족, 타인 매료 및 꾐, 병적인 거짓말과 사기 행위, 이국적인 상대를 포함한 많은 관계.
보상적 자기애성 인격깊은 열등감과 자존감 부족을 상쇄, 우월하고 특별하며 칭찬할 만하고 주목할 만하다는 환상으로 결핍 상쇄, 자존감은 자기 향상에서 비롯됨.
엘리트주의적 자기애성 인격특별한 어린 시절 지위와 가짜 업적을 통한 특권과 권한, 현실과 거의 관련 없는 자격, 호의적인 삶 추구, 상향 이동, 연관성을 통한 특별한 지위와 이점 육성.
정상적인 자기애성 인격가장 심각하지 않고 대인 관계에 가장 관심, 공감, 권리 주장, 상호성 부족, 대담, 자신감, 경쟁적, 높은 목표 추구, 독특함, 리더십 위치에서의 재능, 타인의 인정 기대.



이 외에도 공동체적 자기애라는 네 번째 유형이 존재한다. 공동체적 자기애는 집단 환경에서 발생하는 자기애의 한 형태로, 과장된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타인으로부터의 칭찬에 대한 욕구로 특징지어진다. 과대성 자기애와 마찬가지로 오만하고 자기 동기 부여적이며, 특권 의식과 과대성을 공유하지만, 공동체적 영역에서 권력과 칭찬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들은 자신을 이타적이고, 성스럽고, 배려하며, 도움이 되고, 따뜻하다고 여긴다.[61][62]

4. 1. 엠피릭하게 검증된 하위 유형

일부 연구에서는 자기애성 인격장애(NPD)의 세 가지 하위 유형이 존재함을 시사했다.[54] 이러한 하위 유형은 증상 기준, 공병증 및 기타 임상적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 '''과대/노골적 자기애''': 과대성, 특권 의식, 대인 관계적 착취 및 조작, 권력 및 통제 추구, 공감 능력 부족 및 죄책감 부재, 현저한 과민성 및 적대감을 보인다.[55] 반사회적 및 편집성 성격 장애, 물질 남용, 외현화, 실업률이 높고 폭력 발생 가능성이 더 높다는 특징을 보인다.[54][56]

  • '''취약/은폐된 자기애''': 수치심, 질투, 분노, 열등감 (때로는 오만함으로 "가려짐"), 특권 의식, 자신이 오해받거나 인정받지 못한다는 믿음, 그리고 작은 모욕이나 비판에 대한 과도한 반응으로 정의된다. 신경증, 심리적 고통, 우울증 및 불안 수준이 높은 것과 관련이 있다.[57] 회피성, 경계성 및 의존성 성격 장애 진단과 공병하는 경우가 있다.[54][56]

  • '''고기능/과시적 자기애''': 정신과 의사 글렌 가바드에 의해 처음 이론화되었으며, 고기능 또는 과시적이라고 불린다.[60][54] "고기능 자기애자는 과대하고, 경쟁적이며, 관심을 추구하고, 성적으로 도발적이며, 적응적 기능을 보이고, 성공하기 위해 자기애적 특성을 활용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묘사되었다.[52] 비교적 적은 심리적 문제와 높은 강박성 성격 장애 발생률을 보이며, 과도한 완벽주의가 장애의 잠재적 원인으로 제시되었다.[54]

4. 2. 그 외의 하위 유형

DSM-5의 자기애성 인격 장애 진단 기준은 단일하게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하위 유형이 존재한다.[97][52][53] 하위 유형의 수에 대한 합의는 부족하지만, 최소한 과대하거나 노골적인 자기애와 취약하거나 내밀한 자기애, 두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는 점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7][52] 그러나 이러한 하위 유형은 DSM-5나 ICD-11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지는 않는다.

일부 연구에서는 자기애성 성격 장애(NPD)에 세 가지 하위 유형이 있다고 제시했다.[54]

유형특징관련 장애 및 문제
과대/노골적과대성, 특권 의식, 대인 관계 착취 및 조작, 권력 및 통제 추구, 공감 능력 부족, 죄책감 부재, 과민성, 적대감[55]반사회적, 편집성 성격 장애, 물질 남용, 외현화, 실업, 폭력 가능성[54][56] (부정적인 정서 상태에 취약하지 않음[56])
취약/은폐된수치심, 질투, 분노, 열등감 (때로는 오만함으로 가려짐), 특권 의식, 자신이 오해받거나 인정받지 못한다는 믿음, 작은 모욕이나 비판에 과민 반응신경증, 심리적 고통, 우울증, 불안[57], 회피성, 경계성, 의존성 성격 장애와 공병[54][56]
고기능/과시적과대, 경쟁적, 관심 추구, 성적 도발, 적응적 기능, 자기애적 특성을 활용하여 성공[52]심리적 문제 적음, 강박성 성격 장애 발생률 높음 (과도한 완벽주의가 원인일 수 있음)[54]


4. 3. 밀론의 하위 유형

테오도어 밀론은 자기애성 인격에 나타나는 특징을 묘사하고, 이를 5가지 하위 유형으로 분류했다.[195][196] 임상적으로는 어떤 하위 유형에서도 그 순수한 형태는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특징이 어느 정도 겹치는 것이 보통이다.[196]

자기애성 성격 장애의 5가지 분류
분류개요인격 특성
반도덕적 나르시스트반사회적 특징을 포함한다. 착취적이고, 불성실하며, 사람을 속이고, 무절조한 사기꾼이라는 인물상을 가진다.양심이 부족하다. 무절조하고, 도리에 무관심하며, 불성실하고, 사기적이며, 사람을 속이고, 오만하며, 사람을 물건처럼 취급한다. 지배적이고, 사람을 경멸하며, 집요한 사기꾼이다.
다정형(호색적) 나르시스트연극적 특징을 포함한다. 돈 후안 성격자(다정하고 유혹적)이며, 에로틱하고 매혹적인 자기 과시적 인물이다.성적으로 유혹적이고, 매혹적이며, 마음을 끌고, 짐짓 그런 척한다. 말솜씨가 뛰어나고 능숙한 인물이며, 쾌락주의적 욕망에 탐닉하지만, 진정한 친밀함에는 거의 무관심하다. 가난한 사람이나 순진한 사람을 매료시켜 마음대로 조종한다. 병적으로 거짓말을 하고, 사람을 속인다.
대리적 나르시스트수동 공격적인 특징을 포함한다. 또한, 과민하고 회피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자존감의 결여 및 열등감을 중화하거나 상쇄하는 데 힘쓴다. 즉, 자신은 뛰어나고, 특별하며, 칭찬받을 만하며, 주목할 가치가 있다는 환상을 만들어 자신의 결손을 균형을 잡으려 한다. 이러한 자기 가치관은 자신을 강조한 결과에서 비롯된 것이다.
엘리트주의적 나르시스트순수한 유형이다. 빌헬름 라이히의 남근기적 자기애성격을 상당한다.거짓된 업적이나 특별한 어린 시절의 경험 때문에, 자신은 특권적이고, 특별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훌륭한 외모와 현실 사이에는 관련이 거의 없다. 혜택받고, 상승 기류를 탄 양호한 사회생활을 추구하며, 사람과의 관계에서는 특별한 지위나 우월함이 얻어지는 관계를 구축하려 한다.
광신적 나르시스트편집적인 특징을 가진다.자존심은 심하게 유년 시절에 사로잡혀 있으며, 평소부터 과대망상적 경향을 보이며, 전능한 신이라는 환상을 품고 있는 인물이다. 자신은 중요하지 않고, 가치가 없다는 환상과 싸우고 있으며, 훌륭한 판타지를 꿈꾸는 것, 또는 자기 단련을 통해, 자존심을 재확립하려 시도하고 있다. 타인으로부터 승인이나 지지를 얻을 수 없을 때는, 웅대한 사명을 띤 영웅적이고 숭배받는 인물의 역할을 맡으려 한다.



: 테오도어 밀론(2003)[197]

4. 4. 마스터슨의 하위 유형

제임스 F. 마스터슨은 병적 자기애에 대한 두 가지 하위 유형, 즉 과시형(exhibitionist)과 은둔형(closet)을 제안했다.[7] [52]

5. 치료

자기애성 인격장애(NPD)의 치료는 주로 정신 요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246] 환자들이 심리치료나 정신의학 치료를 받는 경우는 드물지만, 우울장애, 약물사용장애 혹은 약물중독, 조울증, 거식증 • 반추장애 • 식욕이상항진증과 같은 식이장애 등 동반되는 정신건강 문제로 인해 치료를 찾게 된다.[244]

1960년대, 미국의 심리학자 하인츠 코헛(Heinz Kohut)과 오토 컨버그(Otto Kernberg)는 정신분석학적 치료법을 자기애성 인격장애 환자에게 적용하여, 이 방식이 장애를 효과적으로 치료한다고 주장했다. 그 외에도 메타인지치료, 도식치료, 전이중심치료 등이 자기애성 인격장애의 특정 하위유형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정신약물은 자기애성 인격장애 자체를 치료하는 데는 직접적인 효과가 없지만, 동반되는 우울, 불안, 충동성 등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47] 환자의 정신건강 회복은 이러한 동반장애 증상에 대한 향정신제 치료를 통해 가능해진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자기애성 성격 장애를 포함하는 자기애적 신경증 환자에게는 대상 전이가 발생하지 않고 자기애 전이만 발생하기 때문에 정신 분석으로는 치료할 수 없다고 결론 내렸다.[213] 마스터슨은 자기애성 성격 장애 환자들도 버려짐으로 인한 우울증을 겪으며, 분리 불안과 공감 실패가 전능감이나 가치절하와 같은 방어를 유발한다고 지적했다.[214] 로젠펠드는 자기애성 성격 장애 환자들에게서 변화를 거부하는 자기애 구조체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러한 악성 방어를 포기시키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라고 지적했다.[217][218]

컨버그와 코헛은 자기애성 성격 장애에서 보이는 전이를 적극적으로 직면시키고 해석하거나 공감적으로 대함으로써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고했다.[194] 두 사람의 치료 이론은 다음과 같이 대조적인 부분이 있다.

자기애성 성격 장애의 정신 역동적 이해와 치료
오토 컨버그하인츠 코헛
이해
원인
치료
분류과대하고 요구가 많은 자신감 과잉 타입 (개버드의 무관심형에 해당)자기 평가가 낮고 수치심 경향이 있으며, 종종 신체적 부전을 호소하는 타입 (개버드의 과민형에 해당)


6. 예후

자기애성 인격장애는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며, 치료 반응도 더딘 편이다. 다른 정신 질환 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자기애성 인격장애가 있으면, 치료가 더뎌지고 중도 포기할 확률이 높아진다.[244] 하지만 꾸준한 치료와 노력을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대인관계 및 사회 적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향정신제 치료와 약학적 개입의 효과는 아직 체계적, 실증적으로 조사되지 않았으며, 실제 임상 치료 지침도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247] 현재 추천되는 치료법은 임상 환경에서 장애의 이론적 정신역동 모델과 실제 환자 경험에 크게 의존한다.

7. 역사

"자기애(narcissism)"라는 용어는 서기 8년에 쓰인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의 책 변신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 변신 이야기 제3권은 나르키소스와 에코라는 두 주인공에 대한 신화이다. 나르키소스는 많은 잠재적인 연인들의 접근을 거부하는 잘생긴 젊은 남자였다. 나르키소스가 다른 사람들이 내는 소리만 따라하도록 저주받은 요정 에코를 거절하자, 신들은 그를 벌하기 위해 그가 물웅덩이에 비친 자신의 모습과 사랑에 빠지게 했다. 나르키소스는 자신의 사랑의 대상이 자신을 사랑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자 서서히 시름시름 앓다가 죽는다.[104]

과도한 이기심의 개념은 역사 전반에 걸쳐 인식되어 왔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그 개념을 오만으로 이해했다. 180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자기애가 심리학적 용어로 정의되었다:[105]


  • '''해블록 엘리스''' (1898)는 한 환자에게 이 신화를 적용하면서 이 용어를 사용한 최초의 심리학자였다.[105]
  • '''지그문트 프로이트''' (1905–1953)는 그의 저서 ''성욕에 관한 세 가지 에세이''에서 "자기애적 리비도"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06][105]
  • '''어니스트 존스''' (1913/1951)는 극심한 자기애를 성격적 결함으로 해석한 최초의 인물이다.
  • '''로버트 웰더''' (1925)는 자기애에 대한 최초의 사례 연구를 발표했다. 그의 환자는 우월감을 가진 성공한 과학자였으며, 자존감을 키우는 데 집착하고 정상적인 죄책감을 느끼지 못했다. 환자는 다른 사람들과 거리를 두고 독립적이었으며 다른 사람의 상황에 공감하는 능력이 없었고, 성적으로 이기적이었다. 웰더의 환자는 또한 지나치게 논리적이고 분석적이었으며 과학적 지식의 실질적인 적용보다 추상적인 지적 사고(사고를 위한 사고)를 더 중요하게 여겼다.


자기애적 성격은 1925년 정신분석가 로버트 웰더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107] "자기애성 성격 장애"(NPD)라는 용어는 1968년 하인츠 코후트에 의해 만들어졌다.[108][109] 웰더의 초기 연구는 오늘날 자기애와 임상 장애인 자기애성 성격 장애가 정의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110]

수선화 (학명: Narcissus)


극단적인 자만심과 자기중심성을 표현하기 위해 나르시시즘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현대 의학 분류인 자기애성 인격 장애보다 훨씬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리스 신화의 인물인 나르키소스라는 청년은 아름다운 용모를 갖추었지만, 그를 사랑한 요정 에코에게 냉담하게 대했던 탓에 여신 네메시스의 분노를 샀다. 자신의 모습에 반하여 사랑하는 벌을 받은 나르키소스는 연못에 비친 자신에게 반한 채 쇠약해져 죽고 말았다. 그가 죽은 후 물가에는 한 송이의 수선화 (Narcissus|나르키수스영어) 꽃이 남았다.[232]

나르시시즘(자기애)이라는 단어의 기원은 1895년 해블록 엘리스가 자기 몰두적인 환자를 보고하면서 나르키소스의 이야기를 인용한 데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1899년에는 파울 네케가 성도착을 정의하는 단어로 나르시시즘이라는 단어를 사용했고, 1909년에는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대상애의 전 단계라는, 더 넓은 심리 상태를 가리키는 단어로 나르시시즘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1933년에는 빌헬름 라이히가 처음으로 과대적인 인물상인 남근기적 자기애 성격을 인격의 병리로 기술했고,[233] 1946년에는 오토 페니켈이 자기애 인격 또는 돈 주앙 성격으로 기술했다.[234] 1953년에 애니 라이히는 극단적인 두 개의 자기상으로 나뉘어 현실적인 자기상을 갖지 못한 자기애 환자에 대해 보고했다.[235] 1967년 오토 컨버그에 의한 자기애성 인격 구조,[236] 1968년 하인츠 코후트에 의한 자기애성 인격 장애[237]의 제창으로, 과대적인 자기상을 품고 사회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군의 질환 단위가 제창되었다. 1980년에 발표된 DSM-III에 의해 자기애성 인격 장애 개념이 정의되었고, DSM-5로 이어져 현재에 이르고 있다.

8. 논란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DSM-5, 2013년)에서 자기애성 성격장애(NPD) 진단 기준을 삭제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임상계의 반발로 유지되었다. 특히 DSM-4판 성격 장애 위원회를 이끌었던 존 건더슨이 강하게 비판했다.[130]

미국 정신 의학 협회(APA)의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 텍스트 개정판(DSM-IV-TR, 2000)에 게재된 NPD의 정의는 내적 복잡성과 개인적 고통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자기애적 개인의 외부적, 증상적 또는 사회적 대인 관계 패턴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어 임상적 유용성을 감소시켰다는 비판을 받았다.[45]

DSM-5 개정 과정에서 "성격 및 성격 장애" 목록 실무 그룹은 NPD를 삭제하고 기능 부전적 성격 특성 영역의 심각성을 기반으로 하는 차원적 접근 방식을 제안했다.[131][132] 그러나 임상의들은 새로운 진단 시스템이 임상 실무에서 유용성이 제한적인 "행복하게 공존할 수 없는 이질적인 모델의 다루기 힘든 집합체"라고 비판했다.[133] NPD 항목은 다시 도입되었지만, 성격 특성에 기반한 차원적 관점으로 재정의되었다.

2011년 연구에서는 자기애를 별개의 진단 범주가 아닌 모든 성격 장애와 관련된 성격 차원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134] 2012년 문헌 검토에서는 NPD가 "병명의 불일치를 보이며, 이를 특성 영역으로 간주하고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135] 2018년 잠재 구조 분석에서는 DSM-5 NPD 기준이 NPD 및 아임상 자기애 진단과 관련된 자기애의 일부 측면을 구별하지 못한다는 결과가 나왔다.[136]

성격 장애의 진단은 성인기 초기에 특징이 명확해야 하며, 약물이나 스트레스 등 일시적인 상태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기능의 장애가 없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성격으로 간주된다.[200]

9. 관련 질환

자기애성 인격 장애는 다른 정신 질환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78] 주요 우울 장애 중 약 20%가 자기애성 인격 장애에 따른 우울 증상이라는 보고가 있다.[225]

주요 우울 장애, 물질 관련 장애, 양극성 장애와 같은 기분 장애 및 섭식 장애, 강박 장애, 공황 장애, 신체 변형 장애와도 관련이 깊다.[225]

특히, 자기애성 인격 장애는 모두 "B군" 장애인 경계선 성격장애(BPD), 반사회성 성격장애(ASPD), 히스테리성 성격장애(HPD)와 증상이 겹치는 부분이 많다.[125] B군 성격 장애는 충동성, 감정 조절의 어려움, 사회적 관계 유지의 어려움이 특징이다.[125]


  • 경계선 성격장애: 감정, 관계, 자아 이미지의 불안정성이 특징이며,[126] 과대성, 공감 부족, 칭찬 추구 행동 등 자기애성 인격 장애와 겹치는 부분이 많다.[127]
  • 반사회성 성격장애: 충동성과 공감 부족이 특징이며, 타인을 조종하려는 경향이 자기애성 인격 장애와 유사하다.[128]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 감정적이고 극적인 행동이 특징이다.
  • 편집성 성격장애: 의심이 많고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경향이 자기애성 인격 장애와 구별되지만, 자신의 불완전함이 드러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된 경우도 있다.[191]
  • 회피성 성격장애: 이상적인 자아와 무능력한 자아 사이의 분열이 자기애성 인격 장애와 유사하지만,[211] 회피성 성격 장애는 양쪽 모두를 인식하는 반면, 자기애성 인격 장애는 무능력한 자아를 강하게 부정한다.


섭식 장애 환자의 상당수는 적어도 하나의 성격 장애 진단 기준을 충족하며, 자기애성 성격 장애는 신경성 식욕 부진증(거식증)과 관련이 깊다.[191] 신경성 폭식증(폭식증)은 경계선 성격장애가 가장 많이 나타난다.[226]

10. 한국 사회와 자기애성 인격장애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체면과 위계질서를 중시하는 유교 문화의 영향을 받아왔다. 이러한 문화적 특성은 개인의 자기애적 성향을 강화하고, 자기애성 인격장애의 발병 및 증상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를 겪으면서 개인주의적 가치관이 확산되고 경쟁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자기애적 성향을 더욱 부추길 수 있다.

10. 1. 정치인과 자기애성 인격장애

정치인은 대중의 관심과 지지를 얻어야 하는 직업 특성상 자기애적 성향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일부 정치인들은 자신의 업적을 과장하고, 타인의 비판을 수용하지 않으며, 특권 의식을 보이는 등 자기애성 인격장애의 특징을 드러내기도 한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치인들은 대체로 공공의 이익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지만, 일부는 자기중심적인 언행으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들 중에는 권위주의적이고 자기 과시적인 성향을 보이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자기애성 인격장애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10. 2. 유명인과 자기애성 인격장애

미시마 유키오(1925 - 1970)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1908 - 1989)


자기애성 인격 장애를 겪었다고 여겨지는 유명인으로는 미시마 유키오, 살바도르 달리,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이 있다.

미시마 유키오는 대인 관계에 민감하고 귀족적인 선민 의식을 가졌으며, 타협을 용납하지 않는 완벽주의자였다. 할머니의 과잉 보호를 받고 어머니와의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기 어려웠던 미시마는 어린 시절 부상을 당하면 위험하다는 이유로 여자아이들만 놀이 상대로 선택받았다. 문단 데뷔 초기에 뜻대로 작품이 팔리지 않던 시기부터, 기저에 있는 자기 불확실감을 감추기 위해 복싱과 역도를 하며 육체 단련에 몰두했다. 아름다운 육체와는 대조적으로, 측근 없이는 식당에 들어가는 것조차 할 수 없는 과민성을 보였다.[238] 이후 수많은 걸작을 낳아 융성했지만, 40세가 되자 육체적인 노쇠를 느끼지 않을 수 없게 되었고, 쇠약해지는 것을 극도로 두려워했다. 국가주의적 사상에 자신의 모습을 투영한 미시마는 극적인 할복을 통해 미를 유지한 채 자신의 인생에 마침표를 찍었다.[239]

살바도르 달리는 다양한 정신 장애의 특징을 보였지만, 그 핵심에는 왜곡된 나르시시즘이 있었다. 스스로를 천재라고 서슴없이 말하는 자기 과시 성향과 기이한 행동의 배경에는,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인정받지 못하고 보낸 성장 배경이 관련되어 있다. 달리에게는 같은 이름의 형이 있었지만, 2세에 그 생을 마감했으며, 달리는 그 형의 사진을 보는 것을 극도로 두려워했다. 부모의 눈 속에서 자신 대신 죽은 아들에 대한 허무한 애정을 느꼈기 때문이다. 평생에 걸쳐 자기 선전의 충동에 사로잡힌 달리는 "나는 나 자신에게 증명하고 싶다. 나는 죽은 형이 아니라, 살아있는 것은 나다"라고 적었으며, 애정 면에서의 상처로부터 오는 섬세한 감성과 과대하다고 할 수 있는 자신감은 창조적인 활동의 원동력이 되었다.[240]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은 세계 최고의 지휘자로서 "제왕"이라는 칭호를 누렸지만, 그의 기질 때문에 수많은 문제를 일으켰다. 카라얀은 언론에 게재되는 자신의 사진을 모두 확인하고, 인정한 것만 공표를 허락하는 등, 자신이 가장 이상적인 모습으로 비춰지는 것을 요구했다.[241] 1975년에 기습적으로 사진을 찍혔을 때 카메라맨을 폭행하는 사건을 일으켰다. 또한 카라얀은 자신이 귀족 계급 출신임을 나타내는 "폰"을 붙여 이름을 썼지만, 여권에는 "헤르베르트 카라얀"이라고만 적혀 있었다고 한다. 여러 차례에 걸친 베를린 필하모닉과의 대립에서 나타나듯이, 카라얀은 조금이라도 의견을 말하거나 따르지 않는 사람에게 격분하며 철저하게 공격했다. 악기 연주자는 세상이 가진 "천재", "제왕"이라는 겉모습의 "예술가로서의 카라얀"과 "인간 카라얀"을 똑같이 평가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242]

11. 사례

다음은 자기애적 인격장애의 사례이다.

한국의 한 대기업 과장 K씨는 30대 중반으로, 자신을 주변 동료들보다 월등하게 유능하다고 생각했다.[243] 최근 인사발령에서 부장 승진을 확신했지만, 동료들로부터 인화력과 인간미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탈락했다.[243] K씨는 자신이 특출나게 우수한 존재이며 크게 성공해야 한다는 야망을 가지고 있었고, 주변 동료들을 열등하고 나태한 존재로 여겨 무시했다.[243]

K씨는 자신만만하게 상사에게 튀는 행동을 했지만, 동료들은 그를 건방지고 거만한 사람으로 평가했다.[243] K씨는 이러한 평가에 화를 냈지만, 무능한 사람들의 질투심 때문이라고 치부했다.[243] 승진 탈락은 K씨의 자존심에 큰 충격을 주었고, 회사와 동료들에 대한 분노를 느끼게 했다.[243]

12. 대중 문화


  • 영화 《투 다이 포》(1995)에서 니콜 키드먼이 연기한 수잔 스톤-마레토는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텔레비전에 출연하고 싶어하며, 심지어 남편을 살해하는 것까지도 불사한다. 그녀의 캐릭터에 대한 정신과 평가에서는 그녀가 "평가자에 의해 전형적인 자기애적 인물로 여겨졌으며, 평균적으로 자기애성 성격 장애의 9가지 기준 중 8가지를 충족했다... 만약 그녀가 성격 장애에 대해 평가를 받았다면, 자기애성 성격 장애 진단을 받았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137]
  •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1925)의 주인공인 제이 개츠비는 "상류층에 합류하려는 자수성가한 미국인들의 전형"으로 묘사되었으며, 영어 교수인 길스 미첼은 개츠비를 "병적인 자기애성 인물"로 묘사했다. 그는 "자아 이상"이 "팽창하고 파괴적"이며, 그의 "과장된 거짓말, 빈약한 현실 감각, 특권 의식, 타인에 대한 착취적인 태도"가 그의 몰락을 초래한다.[138][139]

13.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5. https://www.worldcat[...]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2]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https://books.googl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3] 간행물 European views on personality disorders: a conceptual history W.B. Saunders Ltd
[4] 서적 Disorders of Personality: DSM-IV and Beyond John Wiley & Sons, Inc.
[5]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2-05-01
[6] 간행물 A clinician's quick guide to evidence-based approaches: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ustralian Psychological Society 2020-03-01
[7] 간행물 Current understanding of narcissism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2018-07-05
[8] 간행물 Dos and Don'ts in Treatments of Patients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Guilford Press 2020-03
[9]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and Pathology: Integrating Clinical Assessment and Practice in the DSM-5 and ICD-11 Era https://www.jstor.or[...]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2
[10] 웹사이트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 Symptoms & causes https://www.mayoclin[...]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2018-06-28
[11] 간행물 The role of shame and self-compassion in psychotherapy for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n exploratory study https://serval.unil.[...] 2018-03
[12] 간행물 Fear and decision-making in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a link between psychoanalysis and neuroscience 2013-06
[13] 간행물 Narcissism dimensions differentially moderate selective attention to evaluative stimuli in incarcerated offenders 2015-01
[14] 간행물 When grandiosity and vulnerability collide: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in patients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2013-03
[15] 간행물 Pessimistic mood in decompensated narcissistic patient 2004-04
[16] 뉴스 "Perfectionism, Shame, and Aggression in Depressive Patients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https://guilfordjour[...] Jane Fjermestad-Noll, Elsa Ronningstam, Bo S. Bach, Bent Rosenbaum, and Erik Simonsen,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 2020
[17] 간행물 Shame in patients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2014-02
[18] 간행물 Narcissism and suicide risk 2022-01
[19] 간행물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nd suicidal behavior in mood disorders 2017-02
[20] 간행물 Emotion dysregulation a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suicidal ideation 2021-08
[21] 간행물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in Clinical Health Psychology Practice: Case Studies of Comorbid Psychological Distress and Life-Limiting Illness 2017
[22] 간행물 A systematic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social, borderline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diagnostic traits and risk of violence to others in a clinical and forensic sample 2016
[23] 간행물 Personality Disorders among Individuals Seeking Cosmetic Botulinum Toxin Type A (BoNTA) Injection, a Cross-Sectional Study 2018-10
[24] 간행물 New Insights into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http://www.psychiatr[...] MJH Associates 2018-08-17
[25] 간행물 Intersect between self-esteem and emotion regulation in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 implications for alliance building and treatment 2017-02-07
[26] 간행물 Internal Processing in Patients With Pathological Narcissism or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Implications for Alliance Building and Therapeutic Strategies 2020-03
[27] 간행물 Vulnerable and Grandiose Narcissism Are Differentially Associated With Ability and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2018
[28] 간행물 Self-serving social strategies: A systematic review of social cognition in narcissism 2021-05-01
[29] 간행물 Empathy in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from clin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2014-07
[30] 간행물 Reduced frontal cortical tracking of conflict between self-beneficial versus prosocial motives in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2021
[31] 간행물 Lack of empathy in patients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2011-05
[32] 간행물 Narcissism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from a Dyadic Perspective: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Aggression 2018-04
[33] 간행물 Narcissism through the ages: What happens when narcissists grow older? 2010-10
[34] 간행물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The role of narcissism https://linkinghub.e[...] 2013-10
[35] 간행물 Narcissism and Quality of Life: The Mediating Role of Relationship Pattern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20-08
[36] 논문 Grandiose and entitled, but still fragile: A network analysis of pathological narcissistic traits. 2019-04
[37] 논문 Narcissism and Quality of Life: The Mediating Role of Relationship Pattern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20-08
[38] 논문 Nonpathological and pathological narcissism: which self-reported characteristics are most problematic in adolescents? 2014
[39] 서적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40] 웹사이트 Understanding Relational Dysfunction in Borderline, Narcissistic,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s: Clinical Considerations, Presentation of Three Case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http://www.davidpubl[...] 2022-07-20
[41] 논문 Self- and informant-reported perspectives on symptom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2012-04
[42] 논문 The role of shame and self-compassion in psychotherapy for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n exploratory study https://serval.unil.[...] 2018-03
[43] 논문 Can neuroscience help to understand narcissism? A systematic review of an emerging field 2021
[44] 논문 Symptom severity and mindreading in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2018-08-15
[45] 논문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 current review 2010-02
[46] 서적 Trapped in the Mirror: Adult Children of Narcissists in Their Struggle For Self null W. W. Morrow 1992
[47] 논문 Application of the ICD-11 classification of personality disorders 2018-10
[48] 논문 The ICD-11 classification of personality disorders: a European perspective on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2022-04
[49] 간행물 ICD-10: Specific Personality Disorders http://apps.who.int/[...] WHO 2010
[50] 논문 Modernity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2014-04
[51] 웹사이트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https://medlineplus.[...]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8-07-08
[52] 논문 Subtypes, dimensions, levels, and mental states in narcissism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2012-08
[53] 논문 In Search of Narcissus https://eprints.soto[...] 2021-01
[54] 논문 Refining the construct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diagnostic criteria and subtypes 2008-11
[55] 논문 Grandiose and vulnerable narcissism: a nomological network analysis Wiley (publisher) 2011-10
[56] 논문 Clinician Emotional Responses and Therapeutic Alliance When Treating Adolescent Patients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Subtypes: A Clinically Meaningful Empirical Investigation 2020-03
[57] 논문 Vulnerable Narcissism Is (Mostly) a Disorder of Neuroticism https://onlinelibrar[...] 2018-04
[58] 논문 Two subtype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1989
[59] 논문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Developments in the Treatment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SLACK Incorporated 2009-03
[60] 논문 Narcissism and suicide risk BioMed Central Ltd. 2022-01
[61] 논문 Communal narcissism 2012-11
[62] 웹사이트 Know the Kind of Narcissist You're Dealing With and Symptoms https://www.psycholo[...] PsychologyToday.com 2021-03-06
[63] 서적 The Emerging Self: A Developmental Self & Object Relations Approach to the Treatment of the Closet Narcissistic Disorder of the Self Psychology Press 1993
[64] 논문 A systematic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social, borderline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diagnostic traits and risk of violence to others in a clinical and forensic sample BioMed Central 2016-10-13
[65] 서적 The Heart of Man: Its Genius for Good and Evil Harper & Row 1964
[66] 논문 Malignant Narcissism in Relation to Clinical Change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 Exploratory Study 2018
[67] 서적 The Handbook of Narcissism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Theoretical Approaches, Empirical Findings, and Treatments John Wiley & Sons, Inc. 2011
[68] 논문 Measures of Narcissism and Their Relations to DSM-5 Pathological Traits: A Critical Reappraisal 2016-02
[69] 논문 Rejoinder: A Construct Validity Approach to the Assessment of Narcissism 2016-02
[70] 논문 Initial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9-09
[71] 논문 The Five-Factor Narcissism Inventory (FFNI): a test of the convergent, discriminant, and incremental validity of FFNI scores in clinical and community samples 2013-09
[72] 논문 Clinical Correlates of Vulnerable and Grandiose Narcissism: A Personality Perspective 2020-02
[73] 논문 The relation between narcissism and aggression: A meta-analysis 2022-08
[74] 논문 Validation of two scales for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Taylor & Francis 1984-12
[75] 논문 Are there such things as 'Narcissists'? A taxometric analysis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Elsevier 2007-10
[76] 논문 Recollections of parenting styles in the development of narcissism: The role of gender https://napier-surfa[...] Elsevier 2020-12-01
[77] Citation Personality Disorders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78] 논문 The heritability of Cluster B personality disorders assessed both by personal interview and questionnaire Guilford Press 2012-12
[79] 논문 The genetic epidemiology of personality disorders Taylor & Francis 2010-03-01
[80] 서적 Gabbard's treatments of psychiatric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4
[81] 논문 Modernity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https://doi.apa.org/[...] 2014
[82] 논문 The nature (and nurture) of personality disorders 2009
[83] Citation Individual and Sex Differences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6-08
[84] 서적 Innate: how the wiring of our brains shapes who we a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
[85] Citation The Etiology of Narcissism: A Review of Behavioral Genetic Studies https://rdcu.be/dKf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4-06-08
[86] 논문 Can neuroscience help to understand narcissism? A systematic review of an emerging field 2021
[87] 논문 Gray matter abnormalities in patients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Elsevier 2013-10
[88] 논문 Brain structure in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 VBM and DTI pilot study Elsevier Ireland 2015-02
[89] 논문 Pathological Narcissism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Recent Research and Clinical Implications http://bostonneurops[...] 2016-01-19
[90] 웹사이트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 Diagnosis and treatment https://www.mayoclin[...] 2018-06-28
[91] 논문 Motive-Oriented Psychotherapeutic Relationship Facing a Patient Presenting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 Case Study https://boris.unibe.[...] 2014-06
[92] 논문 Further assessment of the construct validity of four measures of narcissism: replication and extension 2001-05
[93] 논문 Expanding the Nomological Net of the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 German Validation and Extension in a Clinical Inpatient Sample 2017-06
[94] 논문 The Dark Triad, happ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https://pureadmin.qu[...] 2014-09
[95] 논문 The burden of disease in personality disorders: diagnosis-specific quality of life 2008-06
[96] 논문 Narcissism and Quality of Life: The Mediating Role of Relationship Patterns 2020-08
[97] 논문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diagnostic and clinical challenges 2015-05
[98] 웹사이트 Can Narcissists Change? https://psychcentral[...] 2017-12-17
[99] 논문 Prevalence, Mortality, and Health Care Use among Patients with Cluster B Personality Disorders Clinically Diagnosed in Quebec: A Provincial Cohort Study, 2001-2012 2017-05
[100] 논문 Prevalence and treatment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in the community: a systematic review 2010-07
[101] 논문 Prevalence, correlates, disability, and comorbidity of DSM-IV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results from the wave 2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2008-07
[102]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narcissism: a meta-analytic review http://digitalcommon[...] 2015-03
[103] 서적 Blueprints Psychiatry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9
[104] 웹사이트 Narcissus Greek mythology https://www.britanni[...] Britanica 2021-09-14
[105]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in Modern Life http://leipper.org/m[...] Wiley 2004
[106] 간행물 Freud: On Narcissism http://www.english.h[...] University of Hawaii
[107] 학술지 The psychoses: Their mechanisms and accessibility to influence 1925
[108]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 toward the DSM-V https://www.worldcat[...] Sage Publications 2007
[109] 학술지 The psychoanalytic treatment of narcissisticppersonality disorders. Outline of a systematic approach Taylor & Francis 1968
[110] 서적 "Anatomy of Loving; Man's Quest to Know what Love'' I" Ballantine Books 1987
[111] 서적 Case Histories II https://www.worldcat[...] Penguin Books 1990
[112] 문서 Freud, p. 203.
[113] 서적 Comprehensive Dictionary of Psychoanalysis Routledge 2018
[114] 서적 The Psychology of Gambling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74
[115] 학술지 The Psychodynamics of Gambling 1950-05
[116] 서적 Psychoanalytic Theory of Neurosis https://www.worldcat[...] Taylor & Francis 2016
[117] 학술지 The Drive to Amass Wealth http://freudians.org[...] 2021-09-16
[118] 웹사이트 StackPath https://www.healthyp[...] 2019-10-10
[119] 서적 Homicide: A Psychiatric Perspectiv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20] 서적 Malignant Self Love: Narcissism Revisited Narcissus 2003
[121] 서적 From obstacle to ally: the evolution of psychoanalytic practice https://www.worldcat[...] Brunner-Routledge 2004
[122] 서적 From obstacle to ally: the evolution of psychoanalytic practice https://www.worldcat[...] Brunner-Routledge 2004
[123] 학술지 The effect of pathological narcissism on interpersonal and affective processes in social interactions 2017-10
[124] 학술지 Dyadic splitting in partner relational disorders 2006-09
[125] 웹사이트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https://dictionary.a[...] 2024-12-08
[126] 학술지 Comorbidity borderline-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https://pmc.ncbi.nlm[...] 2023
[127] 학술지 Comorbidity of Personality Disorders and Somatization Disorder: A Meta-analytic Review https://link.springe[...] 2008-06-01
[128] 웹사이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Often Overlooked and Untreated https://www.psychiat[...] 2024-12-08
[129] 학술지 Differential endophenotypic markers of narcissistic and antisocial personality features: A psychophysiological investigation https://www.scienced[...] 2008-10-01
[130] 뉴스 A Fate That Narcissists Will Hate: Being Ignored https://www.nytimes.[...] 2010-11-09
[131] 웹사이트 DSM-5: Proposed Revisions: Personality and Personality Disorders http://www.dsm5.or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0-02-13
[132] 학술지 Psychiatry. APA seeks to overhaul personality disorder diagnoses 2010-03
[133] 학술지 Personality disorders in DSM-5 2010-09
[134] 학술지 Validity aspects of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construct 2011-09
[135] 학술지 Debates on the narcissism conundrum: trait, domain, dimension, type, or disorder? 2012-01
[136] 학술지 Narcissist or narcissistic? Evaluation of the latent structure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2018-07
[137] 학술지 Rating of personality disorder features in popular movie characters 2005-12
[138] 학술지 The Great Narcissist: A Study of Fitzgerald’s Gatsby 1991
[139] 웹사이트 The Great Narcissist: A Study of Fitzgerald's Gatsby http://fitzgerald.na[...] 2017-10-22
[140] 문서 市橋秀夫 (2006)
[141]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5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3
[142] 논문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diagnostic and clinical challenges. 2015-05
[143] 서적 Blueprints psychiatry https://books.google[...]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44]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 toward the DSM-V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6-07-17
[145] 웹사이트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Symptoms http://www.mayoclini[...] MayoClinic.com. 2013-07-09
[146] 문서 岡田尊司 (2006) p. 96
[147] 간행물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 clinical perspective" Journal of Psychiatric Practice 2011
[148] 문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hildhood Narcissism Scale, SANDER THOMAES,1,2 HEDY STEGGE,1 BRAD J. BUSHMAN,3,4 TJEERT OLTHOF,1 AND JAAP DENISSEN. Department of Psychology, VU University, The Netherlands Department of Psychology, Utrecht University
[149] 문서 狩野力八郎 (2002) p. 80
[150] 문서 Kernberg, P.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in childhood. In : Psychiatry. Clin. North. Am., 12 ;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ed. Kernberg, O.F.), pp.671-694. Saunders, Philadelphia.1989
[151] 문서 L・サルズマン (1998) pp. 3 - 12, 73 - 76
[152] 문서 成田善弘 (2002) p. 33
[153] 서적 Shame: The Underside of Narcissism Analytic Press
[154] 문서 岡野憲一郎 (2014) pp. 5 - 9
[155] 문서 対人恐怖症や対人緊張に悩む人は、自分を恥ずかしく思うと同時に、人前で完璧に振る舞い羨望の眼差しを向けられたいという願望を有している。理想的な自己イメージと卑下された自己イメージの間を揺れ動き、その多くは自己愛の病理を抱えている(ただしすべての対人恐怖症が自己愛と結びつくわけではない)。( [[#岡野憲一郎 (1998)|岡野憲一郎 (1998)]] pp. 29 - 34. )
[156] 문서 岡野憲一郎 (1998) p. 14 - 35
[157] 웹사이트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http://www.health.am[...] Armenian Medical Network 2013-07-09
[158] 문서 Cooper AM: Narcissism in normal development, in Character Pathology. Edited by Zales M. New York, Brunner/Mazel, 1984, pp. 39–56
[159] 문서 Joseph Fernando, MPSY, M.D., The Etiology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1998).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ild, 53:141–158
[160] 문서 Golomb, Elan PhD (1992). Trapped in the Mirror. New York: Morrow, pp. 19–20
[161] 서적 Humanizing the narcissistic style W.W. Norton 2013-07-16
[162] 웹사이트 full list in DSM-IV-TR, p. 717 http://www.behavenet[...]
[163] 문서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Elsa F. Ronningstam. Oxfard University Press Inc
[164] 문서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p. 659
[165] 문서 Golomb, Elan PhD (1992). Trapped in the Mirror. New York: Morrow, p. 22
[166] 문서 Kernberg, O.F. (1970). Factors in the psychoanalytic treatment of narcissistic personalities.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18:51–85, p. 56
[167] 문서 Siegel, J.P. (2006). Dyadic splitting in partner relational disorder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0 (3), 418–422
[168] 문서 Kernberg, O.F. (1970). Factors in the psychoanalytic treatment of narcissistic personalities.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18:51–85
[169] 문서 成田善弘 (2004) pp. 15 - 16
[170] 문서 岡野憲一郎 (1998) p. 88
[171] 문서 松木邦裕 (2002) p. 305
[172] 문서 岩崎徹也 (2002) p. 194
[173] 문서 メラニー・クライン (1996) pp. 3 - 89
[174] 문서 オットー・F・カーンバーグ (2002) pp. 45
[175] 논문 自己愛性心的構造と精神療法
[176] 서적
[177] 서적
[178] 서적
[179] 서적
[180] 서적
[181] 서적
[182] 서적
[183] 간행물 Shame and its relationship to early narcissistic developments
[184] 간행물 Some narcissistic state of consciousness
[185] 간행물 Impasse and interpretation : Therapeuticand anti-therapeutic factors in the psychoanalytic treatment of psychotic, borderline, and neurotic patients
[186] 간행물 Two faces of narcissism
[187] 서적
[188] 문서
[189] 서적
[190] 서적
[191] 서적
[192] 서적
[193] 서적
[194] 간행물 自己心理学からみた自己愛とその病理
[195] 서적 Disorders of Personality: DSM-IV-TM and Beyond John Wiley and Sons
[196] 웹사이트 Millon, Theodore, Personality Subtypes http://millon.net/ta[...]
[197] 서적
[198] 서적
[199] 문서 Initial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
[200] 서적 精神疾患診断のエッセンス―DSM-5の上手な使い方 金剛出版 2014-03
[201] 서적
[202] 서적
[203] 서적 ICD‐10精神および行動の障害:臨床記述と診断ガイドライン 医学書院 2005
[204] 서적
[205] 서적
[206] 서적
[207] 서적
[208] 문서
[209] 서적
[210] 간행물 Differentiati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from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211] 서적 牛島定信 (2011)
[212] 서적 林直樹 (2005)
[213] 서적 ジークムント・フロイト (1977)
[214] 서적 ジェームス・F・マスターソン (2007)
[215] 서적 マーガレット・S・マーラー、アニー・バーグマン、フレッド・パイン (2001)
[216] 서적 ジェームス・F・マスターソン (1990)
[217] 서적 ハーバート・ロゼンフェルド (1993)
[218] 서적 松木邦裕 (1996)
[219] 서적 オットー・F・カーンバーグ (1996)
[220] 서적 オットー・F・カーンバーグ (1996)
[221] 서적 ハインツ・コフート (1994)
[222] 뉴스 Megalomaniacs abound in politics/medicine/finance http://www.businessd[...] Business Day 2011-01-07
[223] 서적 ジーン・M・トウェンギ、W・キース・キャンベル (2011)
[224] 서적 Twenge, Jean M. & Campbell, W. Keith The Narcissism Epidemic: Living in the Age of Entitlement (2009)
[225] 서적 岡田尊司 (2004)
[226] 서적 アメリカ精神医学会 (2014)
[227] 서적 ヒルデ・ブルック (1993)
[228] 서적 市橋秀夫 (1997)
[229] 서적 下坂幸三 (1999)
[230] 서적 市橋秀夫 (2006b)
[231] 서적 松木邦裕 (2008)
[232] 서적 狩野力八郎 (2007)
[233] 서적 ヴィルヘルム・ライヒ (1966)
[234] 서적 Fenichel, O. : The Psychoanalytic Theory of Neurosis Routledge & Kegan Paul, London 1946
[235] 논문 Reich A, Psthological forms of object choice in woman
[236] 서적 Kernberg O, Borderline Conditions and Pathological Narcissism 1967
[237] 서적 Kohut H, The Psychoanalytic Treatment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s: Outline of a Systematic Approach 1968
[238] 서적 岡野憲一郎 (1998)
[239] 간행물 三島由紀夫に関する病跡学的試論 http://www.shukugawa[...]
[240] 서적 岡田尊司 (2004)
[241] 서적 小此木啓吾 (1992)
[242] 간행물 ヘルベルト・フォン・カラヤンの病理における他者との関係 https://doi.org/10.2[...] 夙川学院短期大学
[243] 웹인용 서울대학교 임상ㆍ상담 심리학 연구실 http://hosting03.snu[...] 2020-08-03
[244] 뉴스 "New Insights Into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MJH Associates 2016
[245] 논문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Diagnostic and Clinical Challenge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5-05
[246] 웹사이트 Narcissistic personality diorder - Diagnosis and treatment mayoclinic.org 2017-11-18
[247] 웹사이트 Narcissistic personality diorder - Diagnosis and treatment mayoclinic.org 2017-11-18
[248] 서적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Edwards Brothers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