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숙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숙주의는 17-18세기 유럽에서 나타난 종교적 사조로, 인간의 수동적인 관조를 통해 신과 합일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미겔 데 몰리노스의 《영적 안내서》를 통해 핵심 사상이 제시되었으나, 예수회 등으로부터 비판받아 교황청에 의해 단죄되었다. 정숙주의는 프랑스에서 세미콰이에티즘 형태로 확산되었으며, 스토아 철학의 무감정, 동방 정교회의 헤시카즘, 초기 기독교 이단 논쟁, 중세 자유정신파, 베긴회와 베가르,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신비주의, 16세기 스페인의 알룸브라도스, 퀘이커 교도, 베네딕트 캔필드의 "완전한 길" 등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아르투르 쇼펜하우어는 정숙주의를 삶의 의지 부정으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기독교 - 기리시탄 다이묘
    기리시탄 다이묘는 전국 시대에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세력을 확장하고 기독교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했으나, 불교 세력과의 갈등 및 기독교 탄압 정책으로 몰락한 다이묘들을 일컫는다.
  • 17세기 기독교 - 유럽 종교전쟁
    유럽 종교 전쟁은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까지 유럽에서 발생한 종교적, 정치적 분쟁으로, 종교 개혁의 영향, 국가 간 이해관계, 왕조 간 권력 다툼, 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으며, 유럽 각지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했고, 30년 전쟁의 종결은 근대 국제 질서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기독교 신비주의 - 그리스도를 본받아
    《그리스도를 본받아》는 토마스 아 켐피스가 저술한 기독교 영적 수련서로, 그리스도의 삶을 본받는 신앙적 실천을 강조하며 영적 성장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고,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지만, 신학적 관점과 여성관에 대한 비판도 있다.
  • 기독교 신비주의 - 독일 신비주의
    독일 신비주의는 부정 신학, 평신도 자각, 범신론적 신을 강조하며 이성 중시, 자기 수양, 독일어 사용을 선호하는 사상 경향으로, 종교 개혁과 독일 철학에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 이단 - 산타 무에르테
    산타 무에르테는 멕시코에서 "성스러운 죽음"을 의미하는 민간 신앙으로, 여성 해골 형상으로 묘사되며 순수, 보호, 정의 등 다양한 속성을 상징하며 멕시코, 미국, 중앙아메리카를 중심으로 빠르게 신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가톨릭 교회의 비판과 마약 밀매 연관성 논란도 있는 종교 운동이다.
  • 기독교 이단 - 보고밀파
    보고밀파는 10세기 초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발생한 영지주의적 사회 종교 운동으로, 불가리아의 사회적, 종교적 상황과 파울리키아노파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교회 제도와 물질주의에 반대하는 이원론적 우주론을 가지고 발칸 반도에 확산되어 후대 종교 운동과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정숙주의
개요
성녀 테레사의 환희
성녀 아빌라의 테레사의 환희
다른 이름몰리노스주의, 완전주의
분류기독교 신비주의, 이단
기원17세기
창시자미겔 데 몰리노스
영향 받은 것아빌라의 테레사
십자가의 성 요한
신플라톤주의
신학적 관점
주요 교리영혼의 완전한 수동성
신의 의지에 대한 완전한 복종
활동의 포기
모든 욕망과 생각의 포기
순수한 믿음
관련 개념헤시키아
관상기도
신비주의
신과의 합일
역사
전개17세기 유럽에서 발생
미겔 데 몰리노스의 저서 "영적 지도" (1675)를 통해 확산
비판과 탄압가톨릭 교회로부터 이단으로 정죄됨 (1687)
몰리노스는 종신형 선고
얀센주의자들의 공격
영향
영향 받은 사상일부 퀘이커 교도
가톨릭 신비주의 전통에 영향
관련 인물
주요 인물미겔 데 몰리노스
마담 기용
프랑수아 페늘롱
비판자보쉬에
같이 보기
관련 주제헤시키아
관상기도
신비주의
신과의 합일
영지주의
불교
힌두교
수피즘
외부 링크

2. 정숙주의 논쟁 (17세기-18세기)

17세기 후반, '정숙주의'는 가톨릭 교회 신학 내에서 이단으로 간주되는 특정 신학적 오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 로널드 녹스는 정숙주의를 이단이나 사상 학파라기보다는, 정통적인 개념을 과장하는 "인간 정신의 방향"이라고 보았다. 그는 정숙주의가 명확하게 정의된 신념 체계가 아니라, 정통적인 가르침에서 극단적인 이단적 신념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포함한다고 주장했다.[2]

미겔 데 몰리노스를 포함하여 정숙주의자로 분류된 다양한 신비주의자들 사이에는 강조점과 스타일, 심지어 본질적인 신념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었다. 몰리노스의 가르침은 라 콩브나 기용의 가르침과 반드시 같지 않았으며, 페넬롱의 가르침과는 더욱 달랐다.[2]

17세기 후반, 교황과 교회는 몰리노스와 다른 저자들의 가르침을 단죄했지만, 그들과 반대자들 모두 아빌라의 테레사, 십자가의 성 요한 등이 사용한 "정숙의 기도"에 헌신한 사람들을 언급했다. "정숙주의"라는 용어는 반대자들이 만들어낸 것으로, 교회적 단죄와 그에 대한 해설을 바탕으로 구성된 다소 인위적인 체계였다.[3]

고요함과 평온한 상태, 즉 아타락시아에피쿠로스, 스토아학파,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같은 고대 로마 철학자들에게 바람직한 마음 상태로 여겨졌다. 정숙주의는 불교열반과 비교되기도 한다. 죄 없는 상태와 신과의 합일 가능성은 로마 가톨릭 교회에 의해 부정되었다.

1311년-1312년 비엔나 공의회에서는 현세에서 인간이 완전히 죄 없는 상태에 도달할 수 있으며, "완벽"에 도달하면 단식이나 기도가 필요 없고, 어떤 인간 권위나 교회의 가르침에도 따를 필요가 없다는 주장을 비난했다.

1317년 교황 요한 22세는 프라티첼리의 개인 자율성에 대한 유사한 주장을 비난했고, 1329년에는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오류 중 빵이 그리스도의 육신으로 변한다는 성사 (→ "화체설" 참조)와 마찬가지로, 인간이 신으로 변용된다는 주장과 내면적 행동의 가치를 금지했다.

정숙주의는 16세기 스페인의 위대한 신비가들, 즉 아빌라의 테레사와 십자가의 요한 등의 흐름 속에서 더욱 발전했다. 이 흐름에서 정통 가톨릭을 옹호한 마지막 인물은 미겔 데 몰리노스였다. 17세기 프랑스에서 정숙주의 운동의 주창자는 몰리노스와 교류했고 많은 저작을 남긴 귀용 부인이었다. 그녀는 루이 14세 치하에서 망트농 부인과 페넬롱 대주교 등 가톨릭 지지자들을 개종시키며 큰 영향을 주었다.

몰리노스와 정숙주의 교리는 1687년 교황 인노첸시오 11세의 칙서 "체레스티스 파스토르(Coelestis Pastor)"에서 비난받았다. 프랑스 성직자 위원회는 귀용 부인의 작품 대부분을 용납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했고, 그녀는 수도원과 바스티유 감옥에 감금되었다.

1699년 교황 인노첸시오 12세보쉬에와의 논쟁에서 정숙주의를 옹호했던 페넬롱의 저서 ''Maxims of the Saints''를 금서로 지정했다. 이탈리아에 남아있던 정숙주의자들에 대한 종교 재판은 18세기까지 계속되었다.

2. 1. 미겔 데 몰리노스와 《영적 안내서》

미겔 데 몰리노스는 스페인의 사제로, 1675년에 출판한 《영적 안내서》를 통해 정숙주의 사상의 핵심을 제시했다.[4] 그는 영혼의 완전한 휴식 속에서 절대적인 수동성과 관조를 통해 신과 합일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몰리노스는 명상이 영적인 삶의 중요한 단계이지만, 관조의 상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명상적 실천을 뒤로해야 한다고 말했다.[4]

몰리노스의 주장은 로욜라의 이냐시오의 영성 수련 방식과 대립되는 것으로 여겨져 예수회 등으로부터 강한 비판을 받았다. 몰리노스의 작품은 부정확성과 모호함으로 인해 의도하지 않은 해석의 대상이 되었고,[5] 그의 교리는 결국 1687년 교황 인노첸시오 11세교황 칙서 《Coelestis Pastor》에서 단죄되었다.[5]

2. 2. 교황 인노첸시오 11세의 단죄

1687년, 교황 인노첸시오 11세교황 칙서 《Coelestis Pastor》를 통해 미겔 데 몰리노스의 가르침을 이단으로 단죄했다.[5] 그러나 현대 신학자 버나드 맥긴은 이 칙서에서 단죄된 내용이 몰리노스의 《영적 안내서》에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고 지적하며,[5] 몰리노스의 저작이 모호성과 부정확성으로 인해 오해를 불러일으켰다고 평가한다.[5]

2. 3. 프랑스에서의 정숙주의 확산과 논쟁

미겔 데 몰리노스의 사상은 프랑스에서 세미콰이에티즘(Semiquietism)이라는 형태로 발전했으며, 마담 기용과 프랑수아 페넬롱이 주요 옹호자로 등장했다.[9] 마담 기용은 자신의 저서 《간편 기도법》을 통해 정숙주의 사상을 전파했는데, 몰리노스의 가르침을 직접 알지는 못했지만 몰리노스의 지지자인 프랑수아 말라발과 교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담 기용은 루이 14세 궁정에서 마담 드 멩트농을 비롯한 영향력 있는 인물들을 개종시키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녀는 캉브레의 페넬롱 대주교의 영적 조언자이기도 했다. 그러나 프랑스 위원회는 마담 기용의 저작 대부분을 용납할 수 없다고 결론 내렸고, 그녀는 수녀원과 바스티유 감옥에 감금되었다가 결국 1703년 블루아로 추방되었다.[6]

보쉬에와의 논쟁을 통해 정숙주의를 옹호했던 페넬롱은 1699년 교황 인노첸시오 12세에 의해 자신의 저서 《성자들의 잠언》이 금서로 지정되자 즉시 이에 복종했다. 종교 재판은 18세기까지 이탈리아에 남아있는 정숙주의자들을 상대로 진행되었다.[7]

3. 정숙주의와 유사한 개념들

로널드 녹스는 정숙주의를 이단이나 사상 학파라기보다는, 다른 면에서는 정통으로 간주될 수 있는 개념을 과장하는 "인간 정신의 방향"이라는 "성향"으로 보았다. 그는 정숙주의 학파가 소위 정숙주의 이단의 모든 구성원이 옹호하는 잘 정리된 일련의 신념을 의미한다면, 이를 언급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보았다. 그는 정숙주의가 17세기 유럽에서 나타난 정숙주의는 거의 완전히 정통적인 가르침에서 극도로 이단적인 신념에 이르기까지 모든 스펙트럼을 아우른다고 하며, "당신은 정숙주의자가 될 수도 있고 덜 정숙주의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라고 결론짓는다. 따라서 정숙주의자로 분류된 다양한 신비주의자들 사이에는 스타일과 강조점에 많은 차이점이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녹스가 보여주듯이, 몰리노스의 가르침은 라 콩브나 기용의 가르침과 반드시 동일하지 않으며, 펠레롱의 가르침과는 더더욱 다르다.[2]

17세기 후반에 단죄된 몰리노스와 그의 반대자들 모두 정숙주의자(아빌라의 테레사, 십자가의 성 요한 등이 사용한 표현인 "정숙의 기도"에 헌신한 사람들)에 대해 언급했지만, "정숙주의"는 반대자들이 만들어낸 것으로, 교회적 단죄와 그에 대한 해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다소 인위적인 체계화였다. 몰리노스(일반적으로 정숙주의 사상의 주요 대표자로 여겨짐)를 포함하여 어떤 저자도 후기 가톨릭 교리 교과서에서 정숙주의를 형성하는 모든 입장을 옹호하지 않았다. 따라서 적어도 한 명의 저자는 기독교 역사를 통해 유사한 형태로 발견될 수 있는 정숙주의적 경향이나 지향성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더 낫다고 제안한다.[3]

카타르파는 사제 의례의 필요성을 부인했는데, 이는 정숙주의의 한 형태로, 프랑스 남부와 카탈루냐의 카타르파 또는 알비파가 어떤 인간의 권위에도 종속되지 않으며 교회의 계율에 구속되지 않는다는 것을 암묵적으로 언급하는 것일 수 있다. 프라티첼리의 개인적 자율성에 대한 유사한 주장은 1317년 교황 요한 22세에 의해 비난받았다. 1310년 파리에서 이단자로 화형당한 마가렛 포레트는 "단순한 영혼의 거울"이라는 저작물에서 완벽해진 영혼이 덕과 의무, 그리고 교회의 의무로부터 자유로워진다고 밝혔는데, 이는 그녀의 저작물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주제이다.[12]

고요하고 평온한 상태, 또는 아타락시아에피쿠로스나 스토아학파,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같은 고대 로마의 신봉자들에 의해 바람직한 마음의 상태로 여겨졌다.

비엔 공의회(1311-1312)는 현세에서의 인간의 삶은 완전히 죄 없는 상태가 될 수 있고, 단식 또는 기도는 필요하지 않지만, 무엇이든 갈망한다면 쉽게 "완벽"에 도달할 수 있으며, 어떤 인간의 권위에도 따르지 않고, 교회의 가르침에도 구속되지 않는다는 주장을 "오류"로 규정하고 비난했다.

1317년, 교황 요한 22세는 개인의 자율에 관한 주장을 격렬하게 규탄했다.

몰리노스와 정숙주의의 교리는 1687년 교황 인노첸시오 11세의 칙서 "체레스티스 파스토르(Coelestis Pastor)"에서 비난받았다. 프랑스 성직자 위원회는 귀용 부인의 작품을 조사하여 대부분을 용납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했고, 정부는 그녀를 수도원과 바스티유 감옥에 금고했다.

1699년, 교황 인노첸시오 12세는 페넬롱이 보쉬에와의 출판 논쟁에서 옹호한 ''Maxims of the Saints''를 금서 처분했다. 이탈리아의 정숙주의자들에 대한 종교 재판은 18세기까지 계속되었다.

3. 1. 스토아 철학의 아파테이아

스토아 철학에서 ''무감정''은 스토아주의자들에게 "평정심"을 의미하며, 이는 현자의 특징이었다. 스토아 철학자들은 덕스럽게 사는 것이 열정으로부터의 자유를 제공하여 ''무감정''을 낳는다고 생각했다.[8]

3. 2. 동방 정교회의 헤시카즘

동방 정교회에서 헤시카즘(Hesychasm)은 지속적인 기도와 묵상을 통해 하느님과의 합일을 추구하는 영성 수련법으로, 정숙주의와 유사한 면모를 보인다.[9] 그러나 칼리스토스 웨어 주교는 17세기 서방 정숙주의의 특징적인 교리가 그리스 헤시카즘의 특징은 아니라고 지적한다.[10]

3. 3. 초기 기독교 이단 논쟁

초기 기독교에서는 신비주의적 가르침에 대한 의심이 있었는데, 2~3세기의 영지주의 논쟁과 4~5세기의 메살리안 이단 논쟁이 대표적인 사례이다.[3] 이는 17세기의 정숙주의 논쟁과도 유사한 점이 있다.

3. 4. 중세 자유정신파, 베긴회와 베가르드

12세기와 13세기의 자유로운 정신의 형제단, 베귀네와 베가르는 정숙주의 논쟁에서 비난받은 신념과 유사한 신념을 가졌다는 비난을 받았다.[11] 비엔 공의회(1311–1312)는 이들이 현세에서 인간이 완전히 가 없는 경지에 도달할 수 있을 정도로 완전해질 수 있으며, "완전한" 자는 단식이나 기도가 필요 없고 몸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자유롭게 허용할 수 있다는 주장을 오류로 간주하여 비난했다.[9]

3. 5.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신비주의

1329년,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사상은 기독교 역사에서 정숙주의와 유사한 사례로 간주되어 비판받았다.[3] 에크하르트는 우리가 성찬례에서 빵이 그리스도의 몸으로 변하는 것(화체설 참조)처럼, 우리 안에 거하는 신성에 의해 완전히 하느님으로 변화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후기 정숙주의 이단과 연관되어 비판받기도 했다.

3. 6. 16세기 스페인의 알룸브라도스

16세기 초 스페인에서 ''알룸브라도스''라 불리는 이들의 신념은 정숙주의와 유사하여 우려를 낳았다.[1] 이러한 우려는 16세기 중반까지 지속되었으며 아빌라의 테레사와 십자가의 요한의 저술에서도 나타났다.[1] 이들은 묵상과 관상에 대해 "아무것도 생각하지 마라"(''no pensar nada'')는 식의 단순한 접근 방식을 경고했다. 그러나 로마 가톨릭 교회의 권위를 인정하고 관상 기도를 다루는 교회의 가르침에 따랐기에 이단으로 비난받지 않았다.[1] 다만, 십자가의 요한의 저작은 그의 사후 의심을 받았으며, 그가 1726년에야 성인으로 시성된 것은 17세기에 "정숙주의"라 불린 신념과 유사한 신념에 대한 의심이 컸기 때문이다.[1]

3. 7. 퀘이커 교도

조지 폭스는 침묵을 통해 성령(신성)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진정한 영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퀘이커 운동을 창시했는데, 이는 정숙주의 사상과 매우 유사했다.[3] 정숙주의적 사고는 19세기 후반 영국의 퀘이커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이때 팸플릿 "세 친구의 합리적인 믿음"(윌리엄 폴라드, 프랜시스 프리스, W. E. 터너, 1884년 및 1886년)은 퀘이커 사회 내 복음주의자들과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3]

3. 8. 베네딕트 캔필드의 "완전한 길"

카푸친회 수도사 베네딕트 캔필드(1562–1611)는 벨기에에 거주한 영국 가톨릭 신자로, "완전한 길"이라는 논문을 통해 깊은 기도와 묵상에 관한 정숙주의를 옹호했다.[13]

3. 9. 불교의 열반

정숙주의는 고요하고 평온한 상태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불교열반과 비교되기도 한다.

4. 정숙주의에 대한 평가와 영향

정숙주의는 현세에서 자신의 정신을 없애고 그 결과로 생겨나는 성스러운 것에 영혼이 몰두하는 상태를 인간의 가장 숭고한 완성으로 보았다. 이러한 정신은 세속적인 관심에서 벗어나 수동적이고 지속적으로 신을 바라보게 된다. 기용 부인은 "나는 를 범할 수 없다. 왜냐하면 죄란 자아이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하며 자아로부터의 탈피를 시도했다.[1]

이러한 정숙주의가 암시하는 개인의 자율성은 교회의 통일성, 동화, 규율을 흔드는 효과를 가졌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1]

독일의 철학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정숙주의를 삶의 의지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1] 그는 복종과 무아를 통해 세상의 고통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고 보았다.[1]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복종과 무아는 지성의 최종 단계를 구성한다.[1] 이는 정신이 세상을 파악하고, 그 결과 인간의 욕망이나 의지가 지속적으로 강한 충동에 시달리며 고통이나 아픔을 야기하기 때문이다.[1] 정숙주의자는 세상과 인간의 이기심으로부터 눈을 돌린다.[1]

4. 1. 신학적, 철학적 평가

정숙주의는 현세에서 자신의 정신을 없애고, 그 결과로 생겨나는 성스러운 것에 영혼이 몰두하는 상태를 인간의 가장 숭고한 완성으로 보았다. 이러한 정신은 세속적인 관심에서 벗어나 수동적이고 지속적으로 신을 바라보게 된다. 기용 부인은 "나는 를 범할 수 없다. 왜냐하면 죄란 자아이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하며 자아로부터의 탈피를 시도했다.[1]

이러한 정숙주의가 암시하는 개인의 자율성은 교회의 통일성, 동화, 규율을 흔드는 효과를 가졌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1]

4. 2. 쇼펜하우어의 철학

독일의 철학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정숙주의를 삶의 의지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1] 그는 복종과 무아를 통해 세상의 고통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고 보았다.[1]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복종과 무아는 지성의 최종 단계를 구성한다.[1] 이는 정신이 세상을 파악하고, 그 결과 인간의 욕망이나 의지가 지속적으로 강한 충동에 시달리며 고통이나 아픔을 야기하기 때문이다.[1] 정숙주의자는 세상과 인간의 이기심으로부터 눈을 돌린다.[1]

참조

[1] 서적 Radiating Austerity: Disproving Quietism in Francisco de Zurbaran's Penitential Images of Saint Francis of Assisi
[2] 서적 Fenélon: Selected Writings Paulist Press 2006-11-01
[3] 서적 The Spiritual Guide Paulist Press
[4] 서적 The Spiritual Guide Paulist Press
[5] 서적 The Spiritual Guide Paulist Press
[6] 간행물 Quietism The Cambridge Dictionary of Christian Theology
[7] 서적 Spirituality: A Brief History John Wiley & Sons
[8] 웹사이트 Stoicism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iep.utm.edu/[...]
[9] 간행물 Quietism
[10] 서적 The Westminster Dictionary of Christian Spiritualit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1] 서적
[12] 서적 The Mirror of Simple Souls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3] 서적 Believe Not Every Spirit: Possession, Mysticism, and Discernment in Early Modern Catholicism University of Chicago
[14] 뉴스 교회용어사전 : 교리 및 신앙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