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차 대만 해협 위기는 1995년과 1996년에 걸쳐 발생했으며, 당시 대만 총통 리덩후이의 미국 방문 시도에 중국이 반발하며 군사적 위협을 가한 사건이다. 1995년 리덩후이의 코넬 대학교 방문을 계기로 중국은 미사일 발사 및 군사 훈련을 실시하며 대만을 압박했다. 미국은 이에 대응하여 해군력을 증강하고 대만에 대한 지원을 강화했다. 이러한 갈등은 미국의 대만 방위 공약 강화와 중국의 군사력 증강을 초래했으며, 미중 관계를 악화시켰다. 1996년 대만 총통 선거에서 리덩후이가 재선에 성공하면서 위기는 완화되었으나, 동북아시아 안보 불안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5년 대만 - 제32회 금마장
    1995년 개최된 제32회 금마장에서는 허안화 감독의 《여생》이 최우수 작품상을, 허우샤오셴이 《좋은 남자, 좋은 여자》로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으며, 린양과 샤오팡팡이 각각 남녀 주연상을, 이연걸과 리싱이 각각 중국 본토 영화 제작자상과 평생 공로상을 수상했다.
  • 1996년 대만 - 제33회 금마장
    제33회 금마장은 1996년에 열린 영화제이며, 《햇빛 쏟아지던 날》이 최우수 극영화, 장원이 최우수 감독상, 하우가 남우주연상, 소방방이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1995년 중국 - 여성의 권리는 인권이다
    여성의 권리는 인권이라는 문구는 1830년대 후반 그림케 자매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1995년 힐러리 클린턴의 연설을 통해 국제적인 주목을 받아 여성 권리 운동의 중요한 슬로건으로 자리매김했다.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전쟁]에 관한 문서
분쟁 개요
분쟁명제3차 타이완 해협 위기 (第三次台灣海峽危機) 또는 1996년 타이완 위기라고도 불림
다른 명칭1995년-1996년 타이완 해협 위기, 1996년 타이완 위기
일부국공 내전
위기 발생 기간
기간1995년 7월 21일 – 1996년 3월 23일 (약 8개월)
위기 발생 장소
장소타이완 해협
타이완 해협
교전 세력
교전국 1중화민국
지원미국 (해군 지원)
교전국 2중화인민공화국
지휘관 (교전국 1)
타이완 총통리덩후이
타이완 행정원장롄잔
타이완 국방부장장중링
타이완 참모총장탕페이
타이완 해군사령우스원
타이완 공군사령탕야오밍
타이완 해군 제2함대 사령쿠중전
타이완 공군 작전사령부 사령황셴룽
타이완 공군 제499전술전투비행단 단장왕뤄위
미국 대통령빌 클린턴
미국 합참의장존 샬리카시빌리
미국 태평양 함대 사령관아치 클레민스
미국 제7함대 사령관라일 비엔
지휘관 (교전국 2)
중국 국가주석장쩌민
중국 국무원총리리펑
중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류화칭
중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장전
중국 해군사령장롄중
중국 국방부장츠하오톈
중국 인민해방군 총참모장장완녠
중국 인민해방군 총후근부 부장푸취안유
병력 규모 (교전국 1)
타이완MIM-104 패트리어트
MIM-23 호크
F-5 타이거
F-CK-1
F-104 스타파이터
녹스급 호위함 1척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 1척
미국USS 인디펜던스 (CV-62)
USS 니미츠 (CVN-68)
USS 벨로 우드 (LHA-3)
USS 벙커 힐 (CG-52)
병력 규모 (교전국 2)
중국DF-15
J-7 피쉬베드
J-8 핀백
결과
결과결론 없음
정전
참고 자료
참고 자료타이완 총통, 코넬 동창회 주말 연설

2. 리덩후이의 코넬 대학교 방문

1995년 대만 총통이던 리덩후이가 모교인 코넬 대학교로부터 대만의 민주화 경험에 대한 연설 초청을 받았다. 대만을 국제 외교에서 고립시키려던 중국은 리덩후이가 대만 독립운동을 추진하는 인물이며, 이는 중국의 안전에 위협이 된다고 주장하며 방해 공작을 펼쳤다.[1]

1년 전인 1994년, 리덩후이는 남아메리카 순방길에 호놀룰루에 들러 급유를 받으려 했으나, 미국 정부가 입국 비자를 발급해주지 않아 히캄 공군기지에서 기내에 갇힌 채 하룻밤을 보내는 굴욕을 겪었다. 당시 미국 국무부 관계자는 이 상황을 "귀찮은 상황"이라고 언급했고, 리덩후이는 자신이 2류 지도자로 취급받았다며 항의했다.[1]

리덩후이의 코넬 대학교 방문 추진에 워런 크리스토퍼 미국 국무장관은 첸치천 중국 외교부장에게 미국과 대만은 비공식적인 관계이므로 비자 발급은 모순이라고 언질을 주었다.[1] 그러나 미국 의회는 대만 지지자들의 지원을 받아 방미 요구 결의안을 미국 하원 396표 대 0표(기권 38표), 미국 상원 97표 대 1표(기권 2표)로 가결했다.[2] 1995년 5월 22일, 미국 국무부는 기존 입장을 완화했고, 중국은 미국의 태도가 미중 관계를 해친다고 비난했다.

결국 리덩후이는 1995년 6월 9일부터 이틀간 코넬 대학교 동창회에 참석하여 강연을 마치고 돌아갔다.[1] 이후 중국 관영 언론들은 리덩후이를 중국을 분열시키려는 반역자로 낙인찍었다.[35][36]

2. 1. 미국의 입장 변화

1995년 리덩후이 대만 총통이 모교인 코넬 대학교로부터 대만의 민주화 경험에 대한 연설 초청을 받자, 미국 정부와 의회는 입장 변화를 겪게 되었다.

당시 미국 국무부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리덩후이 총통의 방미에 소극적이었다. 워런 크리스토퍼 미국 국무장관은 첸치천 중국 외교부장에게 리덩후이 총통의 비자 발급이 미국과 대만의 비공식적 관계와 모순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34] 그러나 1994년 리덩후이 총통이 남아메리카 방문길에 호놀룰루에서 급유를 위해 잠시 머물렀을 때, 미국 정부가 비자 발급을 거부하여 기내에서 하룻밤을 보내야 했던 사건은 미국 내 대만 지지 여론을 자극했다.

이에 미국 의회는 리덩후이 총통의 방미를 지지하는 결의안을 압도적인 표차로 가결했다. 미국 하원에서는 396표 대 0표(기권 38표), 미국 상원에서는 97표 대 1표(기권 2표)로 가결되었다.[34] 결국 미국 국무부는 기존 입장을 완화했고, 1995년 5월 22일 리덩후이 총통의 방미를 허용했다.

이러한 미국의 입장 변화는 대만 지지 여론과 의회의 압력이 크게 작용한 결과였다. 당시 미국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악화를 감수하고 대만과의 관계 강화를 모색했던 것이다. 리덩후이 총통은 1995년 6월 9일부터 10일까지 코넬 대학교를 방문하여 연설을 성공적으로 마쳤다.[35][36]

2. 2. 중국의 반발

1995년 리덩후이 대만 총통이 모교인 코넬 대학교로부터 대만의 민주화 경험에 대한 연설 초청을 받자, 대만을 국제 외교에서 고립시키려던 중국은 이를 방해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리덩후이가 대만 독립운동을 추진하며 중국의 안전에 위협이 되는 인물이라고 주장했다.[1]

1994년 리덩후이가 남아메리카 순방길에 호놀룰루에서 급유를 위해 잠시 머물렀을 때, 미국 정부가 비자 발급을 거부하여 히캄 공군기지 기내에서 하룻밤을 갇혀 있어야 하는 굴욕을 겪었다. 당시 미국 국무부 관계자는 이 상황을 "귀찮은 상황"이라고 언급했고, 리덩후이는 자신이 2류 지도자로 취급받았다고 항의했다.[1]

리덩후이의 코넬 대학교 방문에 대해 워런 크리스토퍼 미국 국무장관은 첸치천 중국 외교부장에게 미국과 대만은 비공식적인 관계이므로 리덩후이에게 비자를 발급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언질을 주었다.[1] 그러나 대만 지지자들의 지원을 받은 미국 의회가 리덩후이의 미국 방문을 허용하도록 국무부에 요구하는 결의안을 미국 하원에서는 396표 대 0표(기권 38표), 미국 상원에서는 97표 대 1표(기권 2표)로 가결했다.[2] 1995년 5월 22일, 미국 국무부는 기존 태도에서 완화된 입장을 보였고, 중국은 미국의 이러한 태도가 미중 관계를 해친다고 비난했다.[1]

결국 1995년 6월 9일부터 이틀에 걸쳐 리덩후이는 코넬 대학교 동창회에 참석하여 강연까지 마치고 돌아갔다.[1] 이후 중국 관영 언론들은 리덩후이를 중국 분단을 꾀하는 반역자로 낙인찍었다.[35][36]

미국이 비자 발급으로 입장을 바꾸자 중국은 격분했다. 1995년 중국 인민해방군 부참모장 슝광카이 중장은 미국이 대만 문제에 개입한다면 중국은 핵무기로스앤젤레스를 파괴할 거라는 공개 발언을 했다.[1] 1995년 7월 7일 신화통신사는 군의 탄도미사일 시험을 보도했는데, 7월 21일부터 26일까지 대만 영토인 펑자섬 북쪽 60km 지점에서 시행될 예정이며, 대만과 인접한 푸젠성 군도 동원하기로 했다.[1] 이후에도 신화통신과 인민일보에서 리덩후이의 대만 해협 정책을 비난하는 논평이 많이 나왔다.[1] 8월 15일부터 25일까지는 실탄을 사용한 미사일 발사가 있었고, 11월에는 육해군 합동 훈련이 광범위하게 진행되었다.[1]

3. 중국의 군사적 반응

1995년과 1996년에 걸쳐 중국은 대만 총통 선거에 영향을 미치고 미국을 압박하기 위한 의도로 군사 훈련과 미사일 발사 실험을 감행했다. 이러한 무력 시위는 리덩후이 총통의 재선을 막고, 대만 독립 움직임을 억제하려는 목적이었다.

슝광카이 중국 인민해방군 부참모장은 미국이 대만 문제에 개입하면 핵무기로스앤젤레스를 파괴할 것이라고 위협하기도 했다.[37][38]

1995년과 1996년의 군사 훈련 및 미사일 발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결국 리덩후이가 재선에 성공하자, 중국은 군을 원대복귀하기 시작했고, 미국도 4월에 대만 해협에 배치한 군을 철수하면서 위기는 해소되었다.

3. 1. 1995년 군사 훈련 및 미사일 발사

1995년 미국이 리덩후이 총통에게 비자 발급을 하자, 중국은 이에 격분하였다. 슝광카이 중국 인민해방군 부참모장은 미국이 대만 문제에 개입하면 중국은 핵무기로스앤젤레스를 파괴할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발언하였다.[37][38] 7월 7일 신화통신사는 인민해방군의 탄도미사일 시험을 보도했는데, 7월 21일부터 26일까지 대만 영토인 펑자섬 북쪽 60km 지역에서 시행될 예정이며, 대만과 인접한 푸젠성의 군도 동원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후에도 신화통신과 인민일보는 리덩후이의 대만 해협 정책을 비난하는 논평을 쏟아냈다.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은 7월 21일부터 7월 28일까지 타이완 북쪽 36마일 지점에서 일련의 미사일 발사를 실시했다. 7월 21일, 타이완 해안에서 약 70해리 떨어진 곳에서 두 발의 DF-15 미사일을 발사했고, 7월 22일과 24일에는 타이완 북쪽 40마일 지점에서 각각 두 발의 미사일을 발사했다. 동시에 중화인민공화국은 해협 일대에 해군 및 상륙 부대를 집중시키고 군사 훈련을 실시했다.

8월 15일부터 25일까지는 실탄을 동반한 미사일 발사가 다시 이루어졌으며, 동해 함대는 59척의 해군 함정을 훈련에 배치했고, 그 기간 동안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은 192차례의 출격 훈련을 실시했다. 11월에는 육해군 합동 훈련이 광범위하게 진행되었다.

3. 2. 1996년 군사 훈련 및 미사일 발사

1996년 대만 총통 선거를 앞두고, 중국 인민해방군은 대만 독립 성향의 리덩후이 총통이 재선될 경우 전쟁도 불사하겠다는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대규모 군사 훈련 및 미사일 발사를 감행했다.[6] 1995년 7월 신화통신사는 인민해방군이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를 할 것이라고 보도했고, 7월 21일부터 26일까지 대만 영토인 펑자섬 북쪽 60km 해역에서 미사일 발사 훈련을 실시했다. 또한 푸젠성의 군대를 동원했다.[33] 8월 15일부터 25일까지는 실탄을 사용한 미사일 발사 훈련이 있었고, 11월에는 육해군 합동 훈련이 진행되었다.

1996년 1월과 2월, 중국은 타이완 해협에 10만 명의 병력을 집결시키고 대규모 훈련을 실시했다.[6] 3월 8일부터 15일까지는 지룽시가오슝시 항구에서 불과 25~35마일 떨어진 해역에 미사일을 발사했다. 이 두 항구는 대만 해협 선박 수송량의 70% 이상을 담당하는 주요 항구였기 때문에, 미사일 발사로 인해 큰 혼란이 발생했다.[8][9]

다음은 1996년 3월에 실시된 군사 훈련 및 미사일 발사 위치이다.

위치좌표기간비고
지룽시 앞바다23°13′N 122°20′E, 25°13′N 122°40′E, 24°57′N 122°40′E, 24°57′N 122°20′E[40]3월 8일-15일--
가오슝시 앞바다22°38′N 119°25′E, 22°38′N 119°45′E, 22°22′N 119°45′E, 22°22′N 119°25′E[40]3월 8일-15일--
핑탄섬 인근25°50′N 119°50′E, 25°32′N 120°24′E, 24°54′N 119°56′E, 25°12′N 119°26′E[42]3월 18일-25일15만 명 병력 동원, 상륙 및 산악 공격 훈련[6]
펑후현 인근23°57′N 118°06′E, 23°25′N 118°50′E, 22°30′N 117°30′E, 23°01′N 116°46′E[41]3월 12일-20일실사격 훈련[6]



3월 18일부터 25일까지는 핑탄섬에서 항공기, 유도 미사일 구축함, 잠수함, 15만 명의 병력을 동원한 대규모 군사 훈련이 실시되었다. 이 훈련에는 상륙 훈련, 산악 공격 훈련, 공수 훈련 등이 포함되었다.[6]

이러한 중국의 군사적 압박은 대만 유권자들에게 리덩후이에게 투표하지 말라는 압력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산케이 신문에 따르면, 리덩후이는 중국 관리로부터 "탄도 미사일이 발사될 예정이지만 걱정할 필요 없다"는 메시지를 받았고, 이는 사태 악화를 막기 위한 조치였다고 한다.[33]

4. 미국의 군사적 반응

1995년 중국 인민해방군 부참모장 슝광카이 중장은 미국이 대만 문제에 개입하면 중국이 핵무기로스앤젤레스를 파괴할 수 있다는 발언을 했다.[39] 이에 미국은 베트남 전쟁 이후 최대 규모의 군사력을 동원하며 대응했다. 1996년 3월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대만 해협에 함정 증강을 명령했고, 니미츠 항공모함대만 해협을 통과하며 중국에 경고했다.

1996년 대만 총통 선거를 앞두고, 중국은 리덩후이가 당선되면 전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위협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지룽시가오슝시 항구 인근에 미사일을 발사하고, 펑후현 인근에서 실탄 사격 훈련을 실시했다.[6] 또한 핑탄섬에서는 15만 명의 병력을 동원한 군사 훈련을 실시했다.[6]

1996년 3월 8일, 미국은 USS ''인디펜던스'' CV-62와 제5 타격단을 대만 인근 공해에 배치한다고 발표했다.[11] USS ''벙커 힐'' CG-52와 RC-135 정찰기는 중국의 CSS-6 (DF-15) 미사일 발사를 감시했다.[12] 3월 11일, 미국은 USS ''니미츠'' CVN-68와 제7 타격단을 파견했고, ''니미츠'' 전단과 ''벨로우 우드''는 타이완 해협을 통과했다.[13][6][14][15]

4. 1. 항공모함 전단 전개

1996년 3월,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대만 해협에 함정을 증강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니미츠 항공모함은 대만 해협을 통과하면서 중국의 군사적 대응에 굴하지 않겠다는 뜻을 확실히 했다.[39] 미국은 베트남 전쟁 이후 최대 규모의 군사력을 동원하여 중국의 무력 시위에 대응했다.

USS Independence CV-62 on 10 March 1996.
1996년 3월 10일 해상에서 기동 중인 USS ''Independence'' CV-62.


''니미츠'' (왼쪽)는 1997년 9월 동해에서 USS ''인디펜던스'' (CV-62) 및 USS ''포트 로열'' (CG-73)과 함께 순항 중


전단구성
제5 항공모함 전단 - 인디펜던스 CVBG (동중국해)
제7 항공모함 전단 - 니미츠 CVBG (대만 해협)
제11 상륙전대 - 벨로 우드 ARG[31][32] (대만 해협)


4. 2. 미국의 대만 지원

중국의 무력 시위에 미국은 베트남 전쟁 이후 최대 규모의 군사력을 동원해 응대했다.[39] 1996년 3월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대만 해협에 함정 증강을 명령했고, 니미츠 항공모함은 대만 해협을 통과하면서 중국의 군사적 대응에 굴하지 않겠다는 뜻을 확실히 했다. 당시 이 지역에는 니미츠와 인디펜던스(‘독립’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 2개의 항모 전단이 있었다. 1996년 중국 수뇌부는 이 위기에 대해 미국 군대가 타이완을 지원하기 위해 올 경우 이를 저지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4. 3. 중국의 선거 개입 시도

1996년 대만 총통 선거를 앞두고, 중국은 리덩후이가 당선되면 전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위협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1996년 3월 8일부터 15일까지 지룽시가오슝시 항구에서 불과 25~35마일 떨어진 해역에 미사일을 발사하는 무력 시위를 벌였다.[6] 이 두 항구는 대만 해협 선박 수송량의 70% 이상을 처리하는 주요 거점이었기 때문에, 미사일 발사로 인해 큰 혼란이 발생했다.[8][9]

중국은 3월 12일부터 20일까지 펑후현 인근에서 실탄 사격 훈련을 실시하고,[13][6] 3월 18일부터 25일까지는 핑탄섬에서 항공기, 유도 미사일 구축함, 잠수함, 15만 명의 병력을 동원한 군사 훈련을 실시했다.[6] 훈련에는 상륙 훈련, 산악 공격 훈련이 포함되었으며, 공수 훈련도 실시되었다.

4. 4. 미국의 선거 지원

1996년 대만 총통 선거를 앞두고 중국이 리덩후이의 당선을 전쟁으로 간주한다는 메시지를 보내자, 미국은 대만을 방어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1996년 3월 8일, 미국은 서태평양에 있던 인디펜던스 항공모함 전단을 대만 해협에 배치한다고 발표했다.[11] 3월 11일에는 니미츠 항공모함 전단이 페르시아만에서 대만 해협으로 급파되었다.[13][6]

2대의 항공모함을 대만 해협에 파견한 것은 미국의 단호한 태도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행동이었다. 대만 정부와 민주진보당은 이를 환영했지만, 통일파 총통 후보 린양강과 중국은 '외세 개입'이라며 비난했다.

미국의 군사력 전개는 대만 국민들에게 안보에 대한 확신을 주고 리덩후이 총통의 재선을 돕는 효과를 냈다. 미국의 단호한 태도는 대만 정부와 민주진보당의 지지를 얻었으며, 중국의 개입 시도를 억제하는 데 기여했다.

4. 5. 선거 결과와 그 의미

1996년 대만 총통 선거를 앞두고 중국은 리덩후이의 당선이 전쟁을 의미한다는 메시지를 보냈다. 그러나 미국의 단호한 태도에 중국은 당황했고, 결국 리덩후이는 30%p의 득표율 차이로 재선에 성공했다.

대만 정부와 야당인 민주진보당은 미국의 군사적 지원에 환영을 표했지만, 통일파 총통 후보 린양강과 중국은 이를 외세의 개입이라며 비난했다.

중국은 총통 선거 기간에 모의 상륙 훈련을 진행했지만, 이는 대만 유권자들이 리덩후이를 지지하도록 하는 역효과를 낳았다. 결국 전쟁을 원치 않았던 중국이 먼저 군을 원대복귀시켰고, 미국도 4월에 대만 해협에 배치한 군을 철수하면서 위기는 종료되었다.

5. 영향

제3차 대만 해협 위기로 인해 해상 운송 및 대만으로의 보험료가 급격히 증가했으며, 중국의 미사일 발사로 인해 해협이 모든 해상 및 항공 상업 활동에 대해 폐쇄되기도 했다.[4] 이 위기는 대만 내 여론에도 영향을 미쳐, 리덩후이(李登輝) 총통의 지지율이 5% 상승하여 과반수를 확보하게 되었고,[16] 1996년 3월 23일, 리덩후이는 대만 총통으로 선출되었다.[6]

한편, 대만에서는 중국이 대만이 통제하는 작은 섬들을 점령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어 많은 시민들이 공황 상태에 빠지기도 했다. 미국과 캐나다로 향하는 항공편이 만석이 되었으며, 특히 500명의 병력이 주둔하고 있던 우추와 같은 외딴 섬들은 최고 경계 태세에 돌입했다.[17] 당시 대만 국가안전회의 사무총장이었던 딩마오스는 뉴욕으로 건너가 새뮤얼 버거 미국 국가안보 부보좌관과 만나기도 했다.[18]

1999년에는 중국의 고위 군사 물류 장교였던 류롄쿤 소장과 그의 부하인 사오정중 상좌가 중국 정부의 주장과는 달리, 미사일 탄두가 비무장 상태였다는 정보를 대만에 누설한 혐의로 체포되어 군사 재판을 받고 사형에 처해졌다.[19]

장쩌민(江澤民)은 인민해방군에게 10개년 현대화 계획을 시작하도록 명령했다.[3]

5. 1. 미중 관계 악화

미국이 리덩후이 총통에게 비자 발급을 하자, 중국은 이에 격분했다. 1995년 중국 인민해방군 부참모장 슝광카이 중장은 미국이 대만 문제에 개입할 경우 중국은 핵무기로스앤젤레스를 파괴할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발언했다.[37][38] 신화통신사인민일보는 리덩후이의 대만 해협 정책을 비난하는 논평을 쏟아냈다.

이러한 중국의 무력 시위에 미국은 베트남 전쟁 이후 최대 규모의 군사력을 동원하며 대응했다. 1996년 3월,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니미츠 항공모함을 대만 해협에 파견하여 중국의 군사적 위협에 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하지만 중국이 대만을 공격할 수 있다는 신호는 미국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했고, 미국은 대만에 대량의 무기를 판매하여 대만을 지원했다. 또한 일본과의 군사 협력을 통해 대만 방어에 있어서 일본의 역할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한편, 미국 해군력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은 해군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다. 러시아로부터 소브레메니급 구축함과 공격형 잠수함, 전투기 등을 주문했다. 또한 건조가 중단되었던 우크라이나의 항공모함 바랴그를 인수하여 랴오닝호를 완성했다.

미국은 대만을 지키겠다는 의지를 확고히 하면서도, 현상 유지에 중점을 두는 모습을 보였다. 1997년 클린턴 대통령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재확인하며 여전히 대만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5. 2. 중국의 군사력 증강

중국은 미국의 해군력에 대응하기 위해 해군력 강화에 박차를 가했다. 러시아로부터 소브레메니급 구축함을 주문했으며, 공격형 잠수함과 전투기(Su-30MKK 76대, Su-30MK2 24대)도 추가로 주문했다.[37] 이는 리펑국무원 총리가 모스크바를 방문한 1996년 12월 중순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1998년에는 미완성 상태로 건조가 중단되었던 아드미랄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 "바랴그"를 우크라이나로부터 획득하여, 이를 001형 항공모함 "랴오닝"으로 완성 및 취역시켰다.[38]

5. 3. 미국의 대만 방위 공약 강화

미국은 중국이 대만을 공격할 가능성에 대비하여 대만에 대한 무기 판매를 확대했다.[1] 또한, 일본과의 군사 협력을 강화하여 대만 방위에 있어 일본의 역할을 강조했다.[1]

미국은 대만을 지키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보였지만, 동시에 현상 유지에 중점을 두는 모습도 보였다.[3] 위기가 진정된 후 1997년, 클린턴 대통령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재확인하고 대만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았다.[3]

이러한 군사적 실험 및 훈련의 결과로 미국은 대만에 대한 무기 판매 지지를 강화했으며, 미일 군사 협력이 강화되어 대만 방어에 있어 일본의 역할이 증대되었다.[4]

5. 4. 대한민국에 미친 영향

제3차 대만 해협 위기는 대한민국에게 동북아시아 안보의 취약성과 미중 간 갈등 심화 가능성을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중국의 군사력 증강은 한국의 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으로 작용하며, 한미동맹 강화와 국방력 강화의 필요성을 제기했다.[1] 위기는 한국에게 미국의 대중국 견제 정책에 대한 지지와 한미일 안보 협력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중국과의 관계 악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1]

중국은 미국의 해군력을 따라잡기 위해 해군 강화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다. 러시아로부터 소브레메니급 구축함을 주문했으며, 공격형 잠수함과 전투기를 추가로 주문했다. 또한 미완성 상태로 건조가 중단되었던 항공모함 바랴크우크라이나로부터 취득하여 랴오닝호 항공모함을 만들어냈다.[1]

참조

[1] 웹사이트 Taiwan's President Speaks at Cornell Reunion Weekend http://www.news.corn[...] Cornell University 2010-07-20
[2] USBill
[3] 서적 Living U.S.-China Relations: From Cold War to Cold War Rowman & Littlefield 2024
[4] 서적 The Taiwan Question in Xi Jinping's Era: Beijing's Evolving Taiwan Policy and Taiwan's Internal and External Dynamics Routledge
[5] 서적 Taiwan: A Political History. Cornell University Press 2003
[6] 서적 China under Xi Jinping: A New Assessment Leiden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U.S. aircraft carrier in Asia 'routine' https://www.upi.com/[...] 2022-01-08
[8] 서적 China at War: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5-03-28
[9] 뉴스 U.S. Navy ships to sail near Taiwan http://edition.cnn.c[...] CNN 2015-03-28
[10] 서적 USS Independence (CV-62) WestPac Cruise Book 1996 https://www.navysite[...] Walsworth Publishing Company
[11] Youtube USS Independence CV-62 1996 Cruise Book https://www.youtube.[...]
[12] 웹사이트 U.S. AND CHINA NEARLY CAME TO BLOWS IN '96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1998-06-21
[13] 서적 USS Nimitz CVN-68 WestPac Cruise Book 1994-96 https://www.navysite[...] United States Navy
[14] 서적 Taiwan Straits: Crisis in Asia and the Role of the U.S. Navy Rowman & Littlefield 2014
[15] 서적 Taiwan's Mid-1990s Elections: Taking the Final Steps to Democracy https://archive.org/[...] Greenwood 1998
[16] 웹사이트 The Glorious Contradictions of Lee Teng-hui https://thediplomat.[...] 2020-09-28
[17] 뉴스 Report: China expected to attack island https://archive.org/[...] 1996-02-25
[18] 간행물 迈向"准军事同盟":美台安全合作的深化与升级(1995~2008) http://ias.cass.cn/s[...] 2013-01-05
[19] 웹사이트 China executes two for spying for Taiwan https://www.washingt[...] 2021-09-26
[20] 웹사이트 http://www.cctv.com/[...] China Central Television 2019-07-26
[21] 웹사이트 http://www.china.com[...] 2014-12-17
[22] 웹사이트 zh:1996年3月18日 中国人民解放军在台湾海峡进行陆海空联合演习 http://www.china.com[...] 2014-12-17
[23] 서적 USS Bunker Hill CG-52 Command Operations Report 1996 https://www.history.[...] United States Navy
[24] 서적 USS Bunker Hill CG-52 Command Operations Report 1996 https://www.history.[...] United States Navy
[25] 서적 USS Bunker Hill CG-52 Command Operations Report 1996 https://www.history.[...] United States Navy
[26] 서적 USS McClusky FFG-41 Command Operations Report - 1996 https://www.history.[...] United States Navy
[27] 웹사이트 VF-211 Squadron History http://www.topedge.c[...] 2022-01-08
[28] 웹사이트 CNN - Ships of the U.S. Taiwan deployment - Mar. 13, 1996 http://edition.cnn.c[...] 2022-01-08
[29] 웹사이트 Callaghan II (DDG-994) https://www.history.[...] 2022-01-08
[30] 서적 USS Ford FFG-54 - Command Operations Report 1996 https://www.history.[...] United States Navy
[31] 서적 US Marines Corps Operational Summary February 1996 https://www.usmcu.ed[...] United States Marine Corps
[32] 서적 US Marines Corps Operational Summary April 1996 https://www.usmcu.ed[...] United States Marine Corps
[33] 문서 The series was later published as a book: 李登輝秘録 (Ri Touki Hiroku)
[34] USBill
[35] 웹사이트 Taiwan's President Speaks at Cornell Reunion Weekend http://www.news.corn[...] Cornell University 2010-07-20
[36] 웹사이트 Taiwan Strait: 21 July 1995 to 23 March 1996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0-07-20
[37] 뉴스 核武制美—朱成虎不是第一位 http://news.boxun.co[...] 2007-03-09
[38] 뉴스 中国軍部高官の核攻撃発言で、国際社会に波紋 https://www.epochtim[...] 2005-07-18
[39] 뉴스 BBC Report http://news.bbc.co.u[...]
[40] 웹사이트 http://www.cctv.com/[...]
[41] 웹사이트 http://www.people.co[...]
[42] 웹사이트 http://www.people.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