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랴오닝호 항공모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랴오닝호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항공모함으로, 구 소련 해군의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인 바랴크함을 개조하여 2012년 9월 25일 취역했다. 바랴크함은 우크라이나에서 건조되다 소련 붕괴로 중단된 후 중국이 구매하여 개조했다. 랴오닝함은 STOBAR 방식으로 J-15 함재기를 운용하며, 훈련 및 작전 운용을 통해 중국 해군의 전력 증강에 기여하고 있다. 랴오닝함은 동중국해, 남중국해, 서태평양 등에서 훈련을 실시하며, 일본은 랴오닝함의 활동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항공모함 - 산둥호 항공모함
    산둥호 항공모함은 중국이 건조한 두 번째 항공모함으로, 2013년 건조를 시작하여 2019년 취역했으며, 랴오닝함을 기반으로 설계되어 스키 점프대를 이용한 단거리 이륙 방식을 채택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항공모함 - 푸젠호 항공모함
    푸젠호 항공모함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세 번째 항공모함으로, 전자기식 사출기와 통합 전기 추진 시스템을 갖추고 다양한 항공기를 탑재하여 운용할 수 있으며, 2023년 5월 진수되어 2024년 5월 첫 해상 시험이 진행될 예정이다.
  • 소련의 항공모함 - 키예프급 항공모함
    키예프급 항공모함은 소련 해군이 건조한 최초의 수직 이착륙기 항공모함으로, 대잠전 능력 강화를 위해 개발되어 4척이 건조되었으며, 소련 해체 이후 각기 다른 용도로 사용되었다.
  • 소련의 항공모함 -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은 소련이 건조하려다 중단된 원자력 추진 방식의 항공모함으로, 8만 톤급에 68대의 항공기를 탑재할 예정이었으나 소련 붕괴로 인해 1번함만 40% 완성된 상태에서 해체되었다.
랴오닝호 항공모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개요
랴오닝함 (16)
랴오닝함 (16)
함종STOBAR 항공모함
모토((간체자:保卫祖国,勇争第一):조국을 수호하고, 1등을 쟁취하라.)
함 정보
함명랴오닝 (辽宁舰)
명명 유래랴오닝 성
이전 함명러시아명: 리가 (Riga, 1988년)
우크라이나명: 바랴크 (Varyag, 1990년)
이전 함명 유래리가: 라트비아, 리가 시의 이름
바랴크: 바랑인을 기리기 위해 명명, 이후 해당 이름은 다른 순양함이 사용
건조 정보
건조사다롄 선박 중공
원래 건조사미콜라이우 남부
설계국Nevskoye Planning and Design Bureau
발주1983년 (바랴크)
기공1985년 12월 6일 (바랴크)
진수1988년 12월 4일 (바랴크)
인수2002년, 중국 해군에 인도
취역2012년 9월 25일
상태현역
비용
초기 비용1억 2천만 미국 달러(구 우크라이나)
제원 (바랴크 원래 설계 기준)
함급001형,
배수량경하: 43,000톤
기준: 54,500톤
만재: 60,900톤
길이전장:
수선:
전폭:
수선:
동력증기
추진증기 TV12 터빈, 8 KVG-4 보일러, 4축,
4 × 터빈
9 × 터보 발전기
6 × 디젤 발전기
4 × 고정 피치 프로펠러
항속 거리(32노트에서)
항해 지속일45일
승조원1,960명 (승무원)
626명 (항공 그룹)
40명 (기함 요원)
센서346형 레이다 S-band AESA
382형 레이다 3차원 탐색
제원 (개장 후)
무장3 × 1130형 CIWS
2 × HHQ-10 (18연장 미사일 시스템)
탑재 항공기24 젠-15
6 창허 Z-18F
6 창허 Z-18J
2 하얼빈 Z-9
총 40대의 고정익 및 회전익 항공기
기타 정보
판매 계약1998년, 중국에 판매
용도훈련 및 전투 준비

2. 역사

랴오닝함의 전신은 소비에트 연방 시절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미콜라이우의 흑해 조선소에서 건조되던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 2번함 '바랴크'(Варяг|바랴크ru)였다.[14][15] 1985년 건조를 시작하여 1988년 진수되었으나, 1991년 소련의 붕괴로 약 68% 완성된 상태에서 건조가 중단되었다.[1][76]

이후 함선은 우크라이나 소유가 되었으나, 경제적 어려움으로 완성되지 못하고 방치되다가 결국 매물로 나왔다.[17] 1998년, 중국은 수상 호텔 및 카지노로 개조한다는 명목을 내세운 마카오의 유령 회사를 통해 바랴크함을 2000만달러에 구매했다.[18] 이는 실제로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이 항공모함 확보를 위해 진행한 작전이었다.[19][20]

CSIC 조선소에서 촬영된 ''랴오닝'' (2012년), 다롄


엔진과 조타 장치 없이 선체만 남은 바랴크함을 중국으로 옮기는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특히 터키 정부가 보스포루스 해협 통과를 거부하여 16개월 이상 흑해에 발이 묶이기도 했다.[17] 중국 정부의 외교적 노력과 경제적 지원 약속 끝에 해협 통과 허가를 받아냈고[21][22], 수에즈 운하 통과 불가로 아프리카 희망봉을 돌아가는 긴 항해 끝에 2002년 3월 3일 다롄 항에 도착했다.

2002년부터 다롄 조선소에서 대대적인 개조 및 현대화 작업이 진행되었다. 중국은 우크라이나로부터 확보한 설계도와 기술 자료를 바탕으로 함선을 항공모함으로 완성시켰으며, 내륙 우한시에는 실물 크기의 모형을 만들어 각종 시험과 훈련에 활용했다. 2011년 개조 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고, 여러 차례의 해상 시험을 거쳤다.[31][32][81]

2012년 9월 25일, 함선은 '랴오닝(辽宁)'으로 정식 명명되어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에 인도되었다.[82][83] 이로써 중국은 첫 항공모함을 보유하게 되었으며, 이는 동아시아 해양 안보 지형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2. 1. 소비에트 연방의 바랴크함

바랴크함(Варяг|바랴크ru)은 소비에트 연방이 건조하던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의 2번함이었다. '바랴크'는 러시아어로 바링기아인을 의미한다.

이 함선은 1985년 12월 6일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미콜라이우에 있는 흑해 조선소(444번 조선소, 현재 미콜라이우 남부 조선소)에서 '리가'(Рига|리가ru)라는 이름으로 기공되었다.[14][15] 설계는 네프스코예 설계국에서 맡았다.[16] 함명 '리가'는 태평양 함대에 배치될 예정이었기에, 1990년 6월 러시아 해군 총사령관의 지시에 따라 러일 전쟁 당시 활약한 방호순양함 바랴크의 이름을 계승하여 '바랴크'로 변경되었다. 1988년 11월 25일에 진수식을 가졌다. (다른 자료에서는 1988년 12월 4일로 기록됨[15])

그러나 1991년 소련의 붕괴가 일어나면서 함선은 약 68%[1](다른 자료에서는 66.7%[76]) 정도 완성된 상태에서 건조가 중단되었다. 엔진과 조타 장치 등 동력 계통 없이 함체의 기본 골격만 완성된 상태였다. 러시아 해군은 1991년 12월부터 건조 비용 지급을 중단했고, 1992년 2월 건조 작업이 공식적으로 멈췄다. 이후 러시아우크라이나 간의 협상을 거쳐 1995년 6월, 함선은 우크라이나 정부의 소유가 되었다.

하지만 경제 위기를 겪던 우크라이나는 바랴크함을 완성하여 운용할 여력이 없었고, 군사적 가치도 낮다고 판단했다. 공사가 중단된 함선을 유지하는 데만 연간 100만달러의 비용이 들었고, 조선소의 다른 작업에도 방해가 되었기 때문에 1995년 말 해외 매각 방침이 결정되었다. 우크라이나중국, 인도, 러시아 등 잠재 구매자에게 접근했지만[1], 구매자를 찾지 못하고 함선은 방치되었다.[17] 중국은 1992년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하여 함선 상태가 양호하다는 보고를 받았으나, 당시 국제 외교 상황을 고려하여 구매를 거절했었다.[19]

1998년, 녹슨 선체는 2000만달러마카오의 'Agencia Turistica E Diversões Chong Lot Limitada'(이하 Chong Lot)라는 회사에 경매로 판매되었다. Chong Lot은 이 함선을 2억달러 규모의 수상 호텔 및 카지노로 개조하겠다며 마카오로 예인할 것을 제안했다.[18] 그러나 서방 관측통들은 Chong Lot이 실제 사무실이나 연락처가 불분명하고 전직 중국 해군 장교들이 운영한다는 점에 의문을 제기했다.[15][17] 마카오 당국 역시 Chong Lot의 카지노 운영 신청을 거부했다.

이후 2015년 1월, 홍콩의 사업가 쉬쩡핑이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와의 인터뷰를 통해 자세한 내막을 밝혔다. 전직 군 농구 선수였던 그는 인민해방군 해군(PLAN)의 요청으로 함선 구매에 나섰으며, 수상 호텔 및 카지노 계획은 위장이었다고 말했다. 당시 중국 해군은 예산 부족, 중국 정부는 구매 반대 입장이었으나, 쉬쩡핑은 함선을 직접 보고 개인 자금으로 구매를 결심했다. 그는 홍콩 사업가 친구에게 2.3억홍콩 달러를 빌리고, 600만홍콩 달러를 들여 마카오에 페이퍼 컴퍼니인 Chong Lot을 설립했다. 키이우에서 뇌물과 술을 동원한 힘든 협상 끝에 경매에서 승리했으며, 함선의 설계도 40ton 분량을 8대의 트럭에 실어 육로로 중국으로 미리 운송했다고 밝혔다.[19][20]

'바랴크'라는 이름은 이후 1983년에 진수된 다른 순양함에 다시 사용되었다.

2. 2. 중국의 구입

이스탄불에서 예인되는 ''바랴크''(2001년)


1991년 소련의 붕괴우크라이나 소유가 된 미완성 항공모함 ''바랴크''는 건조가 중단된 채 매물로 나왔다.[1] 우크라이나는 중국, 인도, 러시아 등 잠재 구매자에게 접근했으나[1], 중국은 초기에는 구매를 거절했다.[19] 이후 우크라이나가 본격적으로 매각을 추진하자, 중국은 홍콩의 유령 회사를 내세워 구매에 나섰다.

1998년, ''바랴크''의 녹슨 선체는 경매를 통해 2000만달러에 마카오의 '아겐시아 투리스티카 에 디베르소이스 총롯 리미타다'(Agencia Turistica E Diversões Chong Lot Limitada)라는 회사에 판매되었다.[18] 이 회사는 해당 함선을 마카오로 예인하여 수상 호텔 및 카지노로 개조하겠다고 밝혔으나[18], 실제로는 전화번호도 없고 등록된 주소에도 존재하지 않는 페이퍼 컴퍼니였다.[15][17] 이 회사는 홍콩 무역회사인 '친룩 홀딩스'(Chong Lot Holdings Ltd.)가 소유한 자본금 190만홍콩 달러 규모의 명목상 회사였으며[19], 친룩 홀딩스 이사 중 일부는 중국 산둥성 해군 기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금력이 부족한 이 회사가 어떻게 2000만달러의 구매 대금과 1000만달러 이상으로 추정되는 운송비를 감당했는지에 대해 중국 정부의 개입 의혹이 제기되었다.

훗날 홍콩 사업가 쉬쩡핑(徐增平중국어)은 자신이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PLAN)의 의뢰를 받아 함선 구매를 대행했으며, 호텔과 카지노는 위장 명분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해군 예산 부족과 정부의 비지지 속에서 개인 자금과 차입금(2.3억홍콩 달러)으로 마카오에 페이퍼 컴퍼니(Chong Lot, 설립 비용 600만홍콩 달러)를 세우고, 뇌물과 접대를 동원한 협상 끝에 경매에서 낙찰받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함선의 설계도 40ton 분량을 육로로 중국에 미리 운송했다고 덧붙였다.[19][20]

함선 구매 후, 우크라이나에서 중국으로 이동하는 과정은 더욱 험난했다. ''바랴크''를 마카오로 옮기기 위해 터키 정부에 보스포루스 해협 통과 허가를 요청했으나, 터키는 1936년 체결된 몬트록스 협약과 안전 문제를 근거로 이를 거부했다. 엔진과 조타 장치가 없는 거대한 함선이 해협을 통과하다 사고가 날 경우 해협이 봉쇄될 위험이 있다는 이유였다.[17] 서방 국가들도 중국의 군함 활용 가능성을 우려하며 터키에 압력을 가했다.

이로 인해 ''바랴크''는 16개월 이상 흑해 주변을 표류했으며, 하루 8500USD의 예인 요금이 발생했다.[17] 결국 중국은 고위급 관료(교통부 부부장)를 파견하여 터키와 협상에 나섰다. 중국은 터키에 3.61억달러 상당의 무역 관련 특혜, 발전소 건설 지원, 터키를 중국인 관광 허가 대상국에 포함시키고 200만 명의 관광객을 보내주겠다는 약속 등을 제공한 끝에 2001년 11월 1일, 마침내 해협 통과 허가를 얻어냈다.[21][22]

보스포루스 해협다르다넬스 해협을 통과한 후에도 여정은 순탄치 않았다. 에게해에서 강풍으로 닻을 잃고 표류하다 예인선 연결 작업 중 선원 1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으며[23][24], 프랑스 해군 헬리콥터가 갑판에 착륙하는 소동도 있었다. 또한, 지중해에서 아라비아해로 가는 지름길인 수에즈 운하는 자체 동력이 없는 함선의 통과를 불허하여, 결국 ''바랴크''는 지브롤터 해협을 거쳐 아프리카 대륙 남단 희망봉을 도는 15200nmi의 장거리 항해를 해야 했다.

기나긴 여정 끝에 ''바랴크''는 2002년 2월 20일 중국 영해에 진입했고, 3월 3일 최종 목적지인 다롄 항에 도착하여 조선소 부두에 계류되었다. 이 과정에서 함선 구매 비용 2500만달러 외에 통과료 약 50만달러, 20개월간의 예인 비용 500만달러 등이 추가로 소요된 것으로 추정된다. 쉬쩡핑은 이 작전에 최소 1.2억달러의 개인 자금을 투입했으며, 중국 정부로부터 보상받지 못하고 부채를 갚기 위해 고군분투했다고 주장했다.[25] 그는 또한 구매 당시 함선의 엔진 4기가 모두 있었으며, 보존 처리가 되어 있어 2011년 개조를 통해 복구했다고 밝혔다.[26]

2. 3. 바랴크함 개조

마카오에서 카지노로 사용한다는 명목으로 구매되었으나, 실제로는 랴오닝성 다롄의 해군 조선소에서 항공모함으로 개조 작업이 진행되었다. 중국은 1998년 우크라이나로부터 미완성 상태의 바랴크함을 2000만달러에 사들였고, 2002년부터 다롄 조선소에서 개조를 시작하여 2011년 4월 완공 단계에 접어들었다.

개조가 가능했던 이유는 바랴크함의 엔진과 관련 장비, 전기 계통이 비교적 온전하게 남아 있었고, 절단된 케이블이나 파이프도 복원이 용이한 상태였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은 우크라이나의 니콜라예프 조선소로부터 바랴크함의 설계 자료와 기술 도면을 모두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중국은 2006년부터 비밀리에 우크라이나 해군 기지에서 항공모함 이착륙 훈련을 받았다는 보도도 있었다.[138]

개조 작업을 위해 중국은 내륙 후베이성의 성도 우한시에 콘크리트로 된 실물 크기의 바랴크 항공모함 모형을 만들었다. 이 모형에는 실제 바랴크함과 동일한 14도 경사의 스키점프대가 설치되었으며, 각종 기술 시험, 항모 운용 연구, 함재기 이착륙 훈련 기지로 활용되었다. 2009년 10월 19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이 모형 사진을 공개하며 중국의 항공모함 프로젝트가 상당히 진척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보도했다. 군사 전문가들은 이 모형이 실제 항모 건조에 앞서 레이더망 조정, 배선 설계 등 다양한 실험을 위해 제작된 것으로 분석했다.

개조 설계는 701 연구소가 맡았으며, 주잉푸(朱英富)와 우샤오광(吴晓光)이 각각 총설계사와 부총설계사를 담당했다. 왕즈궈(王治国)는 총 시스템 엔지니어, 양 레이(杨雷)는 총감독으로 임명되었다.[27] 개조 작업량은 신형 구축함 10척 건조에 맞먹는 규모였다고 평가된다.[27] 2005년 6월, 바랴크함은 다롄의 드라이 도크로 옮겨져 선체 샌드블라스트 처리, 비계 설치, 함교 프라이머 도색 등 본격적인 개조 작업에 들어갔다.[28] 이후 비행 갑판 미끄럼 방지 처리, 함체 방부 도료 도색, 추진기 및 안정기 수리, 소나 교체 등이 이루어졌다. 2008년 말부터는 외부 공사가 시작되어 비행 갑판 개구부 설치, 대함 미사일 발사대 철거 등이 진행되었다. 2009년 8월부터는 아일랜드(함교 구조물) 공사가 본격화되었다.

개조 과정에서 348형 능동 전자 주사 배열(AESA) 레이더와 해상 이글 레이더가 설치된 것이 확인되었다. 대공 방어 시스템으로는 1130형 근접방어무기체계(CIWS)와 HQ-10 미사일 시스템이 탑재되었다. 기존의 대함 미사일 발사관은 제거되어 내부 공간을 격납고나 저장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29]

랴오닝함의 함재기로는 선양 J-15가 선정되었다. 2009년 8월 31일 초도 비행에 성공한 J-15는 러시아 해군의 수호이 Su-33을 기반으로 개발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약 20대 탑재가 예정되었다.

개조 완료 후 함명은 초기 '스랑(施琅)'으로 알려지기도 했으나[83], 최종적으로 '랴오닝(辽宁)'으로 명명되었다.[139][84]

2011년 6월 8일, 천빙더 당시 인민해방군 총참모장은 바랴크함 개조 사실을 처음으로 공식 인정했다.[31] 같은 해 7월 27일, 중국 국방부는 이 함선을 "과학 연구, 실험 및 훈련" 목적으로 개조 중이라고 발표했다.[32] 2011년 8월 10일부터 15일까지 첫 해상 시험을 실시했으며[34], 이후 총 10차례의 해상 시험을 거쳤다.[81] 시험 중 엔진실에서 증기 폭발 사고가 발생하여 함선이 일시적으로 동력을 상실하는 일도 있었으나, 문제는 해결되었다.[40]

동중국해의 랴오닝(2020년)


총 10차례의 해상 시험[81]을 마친 후, 2012년 9월 25일 다롄항에서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에 정식 인도되었고, '랴오닝'으로 명명되었다.[82][83] 이로써 중국은 1940년대 국민당 정부 시절부터 추진해 온 항공모함 보유의 꿈을 약 70년 만에 실현하게 되었다. 증기 터빈 엔진을 사용하는 랴오닝함은 갑판 길이가 302m, 최대 속력 29노트이며, 약 2,000명의 승조원과 17여 대의 항공기를 탑재할 수 있다.

한편, 2018년 아시아 타임스는 중국선박공업집단공사의 총경리였던 쑨보가 랴오닝함의 기술 세부 사항을 중앙정보국(CIA)에 유출했다는 의혹을 보도하기도 했다.[33] 쑨보는 랴오닝함 개조가 이루어진 다롄 조선소의 총경리였다.

3. 분류

랴오닝호는 미국의 중형항공모함인 미드웨이급 항공모함과 비슷한 체급으로 분류된다. 항공모함은 일반적으로 경항모, 중형항모, 대형항모(슈퍼캐리어)로 나뉘는데, 랴오닝호의 자매함인 쿠즈네초프 항공모함은 슈퍼캐리어가 아닌 중형항모에 해당한다.

쿠즈네초프급 함선은 원래 소련 해군에 의해 "тяжёлый авианесущий крейсер|tyazholiy avianesushchiy kreyserru" (TAKR 또는 TAVKR)로 지정되었는데, 이는 '중(重) 항공기 탑재 순양함'을 의미한다. 이는 함선이 항공기 외에도 P-700 그라니트 대함 순항 미사일( 키로프급의 주요 무기이기도 함)을 탑재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설계와 분류는 함선이 항공모함으로 분류되는 것을 피하고, 흑해지중해 사이의 터키 해협을 통과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몽트뢰 협약에 따르면 15000ton 이상의 항공모함은 해협을 통과할 수 없지만, 흑해 연안 국가의 다른 종류의 주력함에는 톤수 제한이 없기 때문이다.[11][12]

반면,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은 랴오닝함을 항공모함으로 간주한다.[13] 중국은 흑해 연안 국가가 아니므로 몽트뢰 협약의 적용을 받지 않으며, 따라서 협약상의 톤수 제한을 피하기 위해 함선 분류를 달리할 필요가 없다. 랴오닝함은 항공모함으로 완성되면서 순항 미사일은 설치되지 않았고, 대공 방어 무기만 장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함 공격 임무는 탑재된 항공기를 통해 수행한다.

4. 설계

랴오닝함은 미완성 상태로 도입된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 2번함 바랴크를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요구에 맞게 재설계하고 개조한 항공모함이다. 701 연구소가 주잉푸(朱英富)와 우샤오광(吴晓光)을 각각 총설계 및 부총설계로 임명하여 재설계 임무를 맡았으며[27], 왕즈궈(王治国)가 총 시스템 엔지니어, 양 레이(杨雷)가 총감독으로 참여했다.[27] 이 개조 작업은 신형 구축함 10척을 건조하는 것에 버금가는 대규모 프로젝트였다.[27] 2005년 6월 대련의 드라이 도크에서 본격적인 개조 작업이 시작되었고, 선체 샌드블라스트 처리, 비계 설치, 함교 부식 방지 도색 등이 이루어졌다.[28]

주요 설계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무장 및 공간 활용: 원래 설계에 포함되었던 함수 갑판의 P-700 그라니트 대함 미사일 수직 발사관 12기는 제거되었다. 이 공간은 격납고를 확장하거나 저장 공간 등으로 활용되어 함재기 운용 능력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29] 러시아 해군 역시 자매함 아드미랄 쿠즈네초프에 대해 유사한 개조를 검토한 바 있다.[29]
  • 레이더 및 방어 시스템: 레이더 시스템은 중국 자체 개발품으로 교체되었다. 함교에는 348형 능동 전자 주사 배열(AESA) 레이더 4기와 해상 이글(Sea Eagle) 3차원 대공 레이더가 설치되었다. 근접 방어 시스템 역시 중국산 무기로 변경되어, 1130형 근접방어무기체계(CIWS)와 HQ-10(FL-3000N) 단거리 함대공 미사일 시스템을 탑재했다.[50][51]


랴오닝함의 기반이 된 '바랴크'는 1143.5형 "아드미랄 쿠즈네초프"의 발전형인 1143.6형으로 설계되었다. 전장과 기준 배수량은 '쿠즈네초프'와 동일하지만, 폭이 약간 넓어지고 함미 형태가 변경되어 격납고 면적이 늘고 만재 배수량도 증가했다. 다만, 어뢰 방어용 장갑은 '쿠즈네초프'의 다층식에서 단층식으로 간소화되었다. '바랴크'는 고위도 저온 해역 작전을 상정하여 모든 함재기를 함내에 격납하도록 설계되었으나, 이로 인해 함교 구조물(아일랜드)이 65m 길이로 대형화되어 갑판 운용에 제약이 있었다. 중국 해군은 중·저위도 해역 운용을 고려하여 함재기 일부를 노천에 계류시키는 것이 가능해졌고, 이는 이후 건조된 중국 항공모함에서 아일랜드 크기가 소형화되는 배경이 되었다.

2022년 ''랴오닝''함 후방에서 촬영한 항공 사진


기관 시스템은 '바랴크'와 동일한 구성(KVG-2형 보일러 8기, TV12-4형 증기 터빈 4기, 4축 기어드 터빈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중국으로 매각될 당시, 미국의 압력으로 우크라이나 측이 부품을 최대한 제거하여 수리를 어렵게 만들었다. 이 때문에 동력 시스템 복원은 랴오닝함 개조 과정에서 가장 큰 난관 중 하나였으며, 중국은 자체 기술로 연구 개발하여 해결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중국이 운용 중이던 소브레메니급 구축함의 증기 터빈 기술이 참고가 된 것으로 보인다. 초기에는 보일러 압력 문제로 제 성능을 내기 어려웠으나, 이후 개량을 통해 안전성을 높이고 시동 시간을 단축했으며, 증기 복수기의 설계 변경으로 해수 유입 위험을 줄이는 등 성능 개선이 이루어졌다.[85] 개량 결과, 랴오닝함은 최대 30노트(시속 약 56km)의 속력을 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88][89][90] 함내 전원은 출력 1500kW의 터빈 발전기 9기와 동일 출력의 디젤 발전기 6기로 구성되어 총 22500kW의 전력을 공급한다.

랴오닝함은 취역 이후에도 지속적인 개량을 거치고 있다. 2018년 8월부터 약 8개월간 1차 근대화 개장을 통해 함재기 시스템, 동력, 전기, 거주 구역 등 전반적인 성능 개선이 이루어졌다.[91] 2023년 2월부터 1년 이상 소요된 2차 근대화 개장에서는 산둥함과 유사하게 대형 휠 락(Wheel lock)으로 교체하고, 앵글드 데크에 어레스팅 와이어 충격 흡수 패드를 추가했으며, 함수 무장 엘리베이터를 대형 2기로 변경하는 등의 개수가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J-35 스텔스 함재기 모형이 탑재된 모습이 확인되기도 했다.

2011년 6월 천빙더 당시 인민해방군 총참모장이 함선의 개조 사실을 처음으로 공식 인정했으며[31], 같은 해 7월 중국 국방부는 이 함선을 "과학 연구, 실험 및 훈련용"으로 개조 중이라고 발표했다.[32]

4. 1. 함재기



2014년 8월 중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랴오닝함은 총 36대의 항공기를 탑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양 J-15 전투기 24대, 창허 Z-18F 대잠 작전(ASW) 헬리콥터 6대, 창허 Z-18J 공중 조기 경보 헬리콥터 4대, 하얼빈 Z-9C 구조 헬리콥터 2대로 구성된다. 이는 전투기와 지원 항공기를 균형 있게 배치했던 구 소련 항공모함의 운용 방식과 유사하다.

랴오닝함은 고정익기 운용을 위해 스키 점프 방식의 발함과 어레스팅 기어를 이용한 착함, 즉 STOBAR 방식을 사용한다. 이는 기반이 된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과 동일하지만, 세부적인 비행 갑판 마킹은 러시아 방식을 따르면서도 중국 고유의 색상을 사용하며, 헬리콥터 발착 지점은 기존 9곳에서 4곳으로 줄었다. 함수 부분의 스키 점프 경사각은 14도이다.

주력 함재기인 선양 J-15의 운용 능력은 발함 방식과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 대공 임무: 짧은 이륙 거리(105m)를 사용한다. 비행 갑판 위 바람이 없는 상태에서는 최대 이륙 중량 27ton(연료 75%, PL-8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4발, PL-12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4발 탑재)으로 발함할 수 있다. 갑판 위 바람이 10노트일 경우, 최대 이륙 중량은 28.5ton으로 증가하며 PL-8 4발과 PL-12 8발을 탑재할 수 있다.
  • 대지 공격 임무: 긴 이륙 거리(195m)를 사용한다. 갑판 위 바람이 15노트일 때, 연료 95% 상태에서 6ton의 무장을 탑재하고 발함할 수 있다.


착함을 위해서는 앵글드 데크에 4개의 어레스팅 와이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어레스팅 와이어는 러시아나 미국 등 소수 국가만 생산 가능하여 수입이 어려웠기 때문에 중국이 자체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92] 2018년부터 2019년 사이의 정기 유지보수 기간 동안 새로운 재질의 와이어로 교체되었으며, 제동 장치의 유압 장치도 함께 교체되었다고 한다. 또한 프레넬 렌즈 광학 착함 장치(Fresnel lens optical landing system)로 보이는 장비도 설치되었는데, 이는 러시아 항모의 것과는 다른 중국 자체 생산품일 가능성이 있다.

항공모함 운용 노하우는 협력 관계였던 브라질 해군으로부터 지원받았다. 당시 현역이던 상 파울루에 승무원을 파견하여 훈련받거나, 브라질 승무원을 중국으로 초청하여 기술을 전수받았다.[93] 이 영향으로 비행 갑판에서의 항공기 및 승무원 운용 방식은 미국 해군 등 서방 국가의 방식을 많이 따르고 있으며, 항공 요원의 복장 색상 구분이나 신호 동작 등도 유사하다.

하지만 운용 능력에는 한계가 있다. 하루 목표 소티(출격 횟수)는 60회지만 실제 운용에서는 40회 정도가 한계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미 해군 니미츠급 항공모함의 평균 160회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또한, 투폴레프 Tu-154 대잠초계기나 산시 Y-8 조기경보기 같은 장거리 레이더 및 대잠 임무용 고정익 항공기가 부족하여 육상 기지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미국 국방부는 스키 점프 이륙 방식의 한계로 인해 J-15가 항모에서 작전할 때 항속 거리와 무장 탑재량에서 제약을 받을 것이라고 평가했다.[52] 그루먼 C-2 그레이하운드와 같은 함재 수송기가 없어 보급 능력도 제한적이다. 따라서 미 해군 항모 타격단과 같은 강력한 전력을 상대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육상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베트남 인민 해군이나 필리핀 해군 등을 상대로는 상당한 전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단점들은 향후 건조될 중국의 차세대 항공모함에서 캐터펄트 발사 방식 도입, 고정익 조기경보기 및 대잠초계기 탑재 등을 통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53]

5. 대한민국

2016년 12월 16일, 랴오닝함은 서해와 인접한 보하이 만에서 대규모 실탄 훈련을 실시했다. 이 훈련에는 수십 척의 함정과 수십 대의 전투기가 동원되었으며, 특히 J-15 전투기가 항공모함에서 이륙하여 미사일을 발사하는 장면이 처음으로 공개되었다.[140] 이는 중국 항공모함 전력의 실전 능력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같은 날, 한국 해군사관학교 생도와 장병을 태운 충무공 이순신함과 천지함의 칭다오항 입항이 중국 정부에 의해 거부되었다. 이는 예정된 순방 일정의 마지막 기항지였으나 돌연 취소된 것이다.[141]

랴오닝함의 서해 훈련과 한국 해군 함정의 입항 거부는 당시 진행 중이던 한국의 사드 배치 결정에 대한 중국의 노골적인 불만 표출 및 무력 시위로 받아들여졌다.[144] 특히 12월 23일에는 吳勝利|우성리중국어 당시 해군사령관이 직접 랴오닝함에 승선하여 서해상 실탄 사격 훈련을 지휘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144]

일각에서는 중국이 랴오닝함을 주로 서해에서 운용하여, 북한의 도발 등에 대응해 미국의 항공모함이 출현하는 것을 견제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었다.[142]

이러한 군사적 움직임은 중국이 과거 핵 선제 불사용 원칙에서 벗어나려는 조짐을 보이는 시기와 맞물려[147] 한국에 대한 군사적 압박 강도를 높이는 신호로 해석될 여지를 남겼다. 중국은 1964년 핵 선제 불사용 정책을 선언했으나,[145] 2012년 국방백서에서 관련 문구를 삭제했다가 국제사회의 우려 속에 2013년 다시 해당 원칙 준수를 천명한 바 있다.[146]

5. 1. 훈련 및 작전 운용



랴오닝함은 2011년 8월 10일부터 15일까지 첫 해상 시험을 수행했다.[34] 이후 여러 차례의 해상 시험을 거쳤으며, 2012년 7월에는 25일간의 가장 긴 시험을 진행했다.[38] 2012년 8월 초 해상 시험을 완료하고 선양 J-15 함재기와 KJ-88, YJ-83K, YJ-91 미사일 등을 탑재하여 무기 체계 시험을 준비했다.[39] 해상 시험 중 엔진실에서 증기 폭발 사고가 발생하여 일부 구역을 대피하고 함선 동력을 상실하는 일이 있었으나, 문제는 해결되었다.[40]

2012년 9월 23일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에 인도되었고, 9월 25일 정식 취역하여 랴오닝성의 이름을 따 '랴오닝'으로 명명되었다.[41][42][43] 취역 초기에는 완전한 작전 능력을 갖추기까지 4~5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었으며,[44] 2018년까지는 특정 함대에 배속되지 않은 훈련함으로 운용되었다.[45] 2013년 2월 27일, 산둥성 칭다오시에 새로 건설된 유치 해군 기지로 이동하여 이곳을 모항으로 삼았다.[104][105][54][55]

2012년 11월 4일, 선양 J-15 함재기가 터치 앤 고 훈련을 수행했으며,[58][59][96] 같은 달 23일에는 어레스팅 기어를 이용한 착함 시험에 성공했다는 보도가 나왔고,[99] 25일 중국 신화통신과 해방군보는 이착함 시험 성공을 공식 발표했다.[60][61][100][101] 2013년 6월에는 브라질 해군 항공대 요원들의 지원을 받아 2차 비행 시험을 진행했다.[62][63] 이는 중국이 2009년부터 브라질로부터 항공모함 상파울루함에서의 훈련을 포함한 기술 지원을 받았다는 보도와 관련이 있다.[102][103] 2014년 8월, 서방 언론은 랴오닝함에서 운용될 제트기 시험 중 조종사 2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으나,[64][65] 중국 군 관계자는 해당 사망 사고가 항공모함 시험과는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다.[66][67][68]

남중국해 실사격 훈련에 참가한 랴오닝함 (2018년 4월)


랴오닝함은 취역 이후 항공모함 타격군을 구성하여 중국 대륙 연안뿐 아니라 제1열도선을 넘어 서태평양까지 활동 범위를 넓히고 있다.[132] 특히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지역에서 주변국에 대한 군사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미야코 해협과 같은 전략적 요충지를 통과하며 군사적 존재감을 과시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46]

2018년 8월부터 2019년 1월까지 다롄에서 첫 번째 정기 개장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함교 상부 구조물과 비행 갑판 등이 개선되었으며, 전자 장비도 업데이트되었다.[56][57] 개장 후 2019년 4월 23일 해군 창설 70주년 관함식에 참가했다.

랴오닝함의 주요 훈련 및 작전 활동은 다음과 같다.

연도주요 활동동반 함정 (예시)비고
201612첫 서태평양 진출, 미야코 해협 통과 후 남중국해로 이동루양 III급 구축함 1척, 루양 II급 구축함 2척, 장카이 II급 호위함 2척, 장다오급 소형 호위함 1척, 푸치급 보급함 1척 (총 8척)해상자위대가 중국 항모의 서태평양 진출을 처음 확인.[106][107]
20171남중국해에서 J-15 발착함 훈련 실시-중국 보도를 통해 J-15의 실전적 이착함 훈련 확인.[108] 하이난성 싼야시 군항으로 이동.[109]
20177홍콩 반환 20주년 기념 홍콩 입항 및 일반 공개-비행 갑판과 격납고 공개.
20184남중국해 대규모 실사격 훈련 참가, 요나구니섬 남쪽 해역 통과루양 III급 구축함 1척, 루양 II급 구축함 3척, 장카이 II급 호위함 2척 (총 7척)시진핑 주석 참관 하 대규모 군사 시위의 일환. 대만은 "군사적 위협" 비난.[49][110][111]
20196미야코 해협 통과 후 태평양 진출, 주변 경유 후 남중국해 진입루양 III급 구축함 1척, 장카이 II급 호위함 2척, 루저우급 구축함 1척, 푸유급 고속 전투 지원함 1척 등푸유급 보급함 합류 확인.[112][113]
20204난세이 제도 남서 해역 통과, 미야코 해협 통과 후 태평양 진출 및 복귀루양 III급 구축함 2척, 장카이 II급 호위함 2척, 푸유급 고속 전투 지원함 1척 (총 6척)일본 방위성, 중국군의 원거리 전개 능력 향상 주시.[114][115][116]
20214미야코 해협 통과 후 태평양 진출 및 복귀렌하이급 구축함 1척, 루양 III급 구축함 3척, 장카이 II급 호위함 1척, 푸유급 고속 전투 지원함 1척 (총 6척)렌하이급 구축함 항모 타격군 첫 동반 확인. 미국 해군 구축함 매스틴 및 해상자위대 호위함 추적 감시.[117][118][119][120][121] 함재 헬기 센카쿠 열도 인근 비행, 항공자위대 스크램블 대응.[121]
202112황해, 동중국해, 서태평양 전개, 미야코 해협 통과렌하이급 구축함 1척, 루양 III급 구축함 1척, 장카이 II급 호위함 2척, 푸유급 고속 전투 지원함 1척 등 (총 6척)기타다이토섬 동쪽 해역 등에서 함재기 발착함 훈련. 해상자위대 이즈모 등 감시.[70][122][123][124]
20225동중국해태평양에서 장기간 훈련 실시, 미야코 해협 통과렌하이급 구축함 1척, 루양 III급 구축함 3척, 루양 II급 구축함 1척, 장카이 II급 호위함 1척, 푸유급 고속 전투 지원함 1척 (총 8척)300회 이상의 함재기 발착함 실시. 높은 작전 템포로 운용 능력 성숙도 과시. 일본 측의 지속적인 감시에 중국 국방부 불쾌감 표명.[71][72][73][125][126][127][128]
2022-202312-1동중국해태평양에서 장기간 훈련 실시, 미야코 해협 통과, 오키노토리시마 동방 해역 진출렌하이급 구축함 1척 포함 총 6척17일간 320회 함재기 발착함. 일본의 안보 3문서 개정에 대응한 난세이 제도 공격 상정 훈련으로 분석됨.[129][130][131][132][133][134]
20249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 인근 해역 항행, 요나구니섬이리오모테섬 사이 통과 (일본 접속수역 진입)루양 III급 구축함 2척 (총 3척)중국 항모 최초로 일본 접속수역 항행. 이후 태평양에서 함재기 발착함 훈련.[135][136][137]
202410대만 주변 합동 군사 훈련 합동검-2024B 참가-중국 동부 전구 공식 확인.[74]


6. 일본

랴오닝함 취역 이후, 항공모함 타격군을 구성하여 중국 대륙 연안뿐만 아니라, 제1열도선을 넘어 서태평양까지 활동 범위를 넓히고 있다[132]。이에 따라 일본은 랴오닝함의 활동, 특히 미야코 해협 통과 및 오키나와 주변 해역에서의 움직임을 면밀히 주시하며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2016년

2016년 12월 24일, 중화인민해방군 해군(중국 해군)은 랴오닝함 항모 편대가 원양 훈련을 위해 서태평양으로 향하고 있다고 발표했다[106]。 다음 날인 25일 오전 10시경, 랴오닝함을 포함한 총 8척의 중국 해군 함정이 미야코지마 북동쪽 약 110km 지점의 미야코 해협을 통과하여 동중국해에서 태평양으로 남동진하는 것을 해상자위대의 호위함 토네와 초계기가 확인했다. 이는 해상자위대가 중국 항모의 서태평양 진출을 처음으로 확인한 사례였다[107]。 이후 랴오닝함은 남중국해에서 J-15 함재기의 발착함 훈련을 실시했으며[108], 하이난섬 싼야시로 향하는 모습이 일본, 미국, 대만의 P-3C 초계기에 의해 포착되기도 했다[109]

;2018년

2018년 4월 20일, 해상자위대의 호위함 사와기리, 아키즈키 및 제5항공군 소속 P-3C 초계기가 요나구니섬 남쪽 약 350km 해역을 동진하는 랴오닝함 등 총 7척의 함대를 확인했다[110]。 같은 날 태평양상에서 랴오닝함의 함재기가 비행하는 모습도 확인되었다[110][111]

;2019년

2019년 6월 10일, 랴오닝함 편대는 다시 미야코 해협을 통과하여 태평양으로 진출했으며, 주변을 경유하여 남중국해로 들어갔다. 초기 편성은 4척이었으나 이후 루저우급 미사일 구축함 1척과 푸유급 고속 전투 지원함 1척이 합류했다[112][113]

;2020년

2020년 4월 10일, 해상자위대의 호위함 "아키즈키"와 제1항공군 소속 P-1 초계기가 난녀군도(나가사키현) 남서쪽 약 420km 해역에서 남동진하는 랴오닝함 등 총 6척의 함대를 확인했다. 이 함대는 오키나와 본섬과 미야코지마 사이 해역을 통과하여 태평양으로 향했으며, 함대에는 보급함도 포함되어 있었다. 일본 방위성은 중국군의 원거리 전개 능력 향상에 주목하며 경계와 감시를 지속했다[114][115]。 4월 28일, 이 함대는 미야코지마 남동쪽 해역을 거쳐 다시 오키나와 본섬과 미야코지마 사이 해역을 북상하여 동중국해로 복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116]

;2021년

2021년 4월 3일, 해상자위대는 미야코 해협을 통과하는 랴오닝함 등 총 6척의 함대를 확인하고 정보 수집 및 경계 감시를 실시했다. 이 함대에는 최신예 렌하이급 미사일 구축함이 처음으로 포함되어 주목받았다. 렌하이급은 미국 국방부 등에서 미사일 순양함으로 분류할 만큼 대형 함정으로, 중국 해군의 외양 작전 능력 향상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되었다[117][118]。 이 시기 미 해군의 매스틴 구축함도 랴오닝함을 추적 감시했으며, 해상자위대 호위함도 동행했던 정황이 포착되었다[119][120]

4월 26일, 이 함대는 미야코지마 남쪽 해역을 북동진한 후 오키나와 본섬과 미야코지마 사이를 북상하여 동중국해로 향했다. 해상자위대는 호위함 아사히와 P-3C 초계기로 감시 활동을 이어갔다[121]。 다음 날인 27일에는 랴오닝함에서 발함한 Z-18 조기경보헬기가 다이쇼섬 주변 일본 영공 인근을 비행하여 항공자위대 전투기긴급 발진하여 대응했다[121]

12월 15일, 해상자위대는 난녀군도 서쪽 해역에서 남동진하는 랴오닝함 등 4척을 확인했으며[122], 16일에는 이 함대가 동중국해와 태평양에서 함재 헬기 발착함 훈련을 실시하는 것을 확인했다[122]。 19일에는 기타다이토섬 동쪽 해역에서 랴오닝함 등 6척이 항행하며 함재기 발착함 훈련을 실시했고, 해상자위대 호위함 이즈모가 이를 감시했다[123]。 25일에는 이 함대가 오키나와 본섬과 미야코지마 사이를 북서진하여 동중국해로 향하는 것을 "이즈모"가 확인했다[124]

;2022년~2023년 1월

2022년 5월 1일, 해상자위대는 난녀군도 서쪽 해역에서 남진하는 랴오닝함 등 총 8척의 함대를 확인했다. 이 함대는 오키나와 본섬과 미야코지마 사이를 통과하여 태평양으로 향했으며, 동중국해에서 함재 헬기 발착함 훈련을 실시했다. 해상자위대는 호위함 "이즈모"와 초계기들로 정보 수집 및 경계 감시를 수행했다[125]。 5월 3일에는 오키다이토섬 남서쪽 해역에서 랴오닝함 등 7척이 항행하며 함재기 발착함 훈련을 실시했고, "이즈모"가 이를 감시했다[126]。 일본 정부는 5월 18일, 이 기간 랴오닝함의 함재기 발착함 횟수가 300회를 넘었다고 발표했다[127]。 이에 대해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5월 31일, "일본 함정이나 전투기는 인터넷상에서 랴오닝의 '어용 사진사'라고 불린다. 촬영사는 필요 없다"고 언급하며 일본 자위대의 정보 수집 활동에 불쾌감을 드러냈다[128]

12월 15일, 랴오닝함 등 5척이 고토 열도 후쿠에섬 서쪽 해역에서 남진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후 렌하이급 미사일 구축함 1척이 합류하여 총 6척이 미야코 해협을 통과해 태평양으로 진출했다. 해상자위대는 호위함 키리사메와 초계기들로 감시 활동을 벌였다[129][130]。 17일부터 랴오닝함은 오키다이토섬 남서쪽 해역 등에서 함재기 발착함 훈련을 실시했으며[131], 이후 다이토 제도 동쪽, 아마미 제도 동쪽을 거쳐 오키노토리섬 동방 해역까지 진출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 호위함 "키리사메", "이즈모"가 감시하고 항공자위대 전투기가 스크램블 대응했다[133]。 랴오닝함 편대는 총 320회의 발착함 훈련을 실시한 후, 2023년 1월 2일 미야코 해협을 통과하여 동중국해로 복귀했다[134]

일본의 『요미우리 신문』은 중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하여, 이 함대 활동이 일본의 안전 보장·방위 전략 3문서 개정에 맞춰 난세이 제도 공격을 상정한 훈련이었으며, 시진핑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의 명령에 따른 것이라고 보도했다[132]

;2024년

2024년 9월 17일, 랴오닝함과 루양 III급 미사일 구축함 2척이 댜오위다오(오키나와현) 북서쪽 약 210km 해역에서 항행하는 것이 해상자위대에 의해 확인되었다[135][136]。 다음 날인 18일 새벽, 이들 함정은 댜오위다오 서쪽 약 70km 해역을 남하한 뒤, 요나구니섬이리오모테섬 사이를 통과하며 잠시 일본의 접속수역에 진입했다. 중국 항모가 일본 접속수역을 항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135][136]。 해상자위대는 호위함 타카나미, 센다이와 초계기들을 동원해 경계 감시 및 정보 수집을 실시했다[135]。 이후 랴오닝함 편대는 태평양상에서 활동하며 20일에는 미야코지마 남동쪽 약 1360km 해역에서 함재기 발착함 훈련을 실시했고, 해상자위대 호위함 "아사히"가 이를 감시했다[137]

참조

[1] 뉴스 Ukrainians Slice Up Carrier Ulyanovsk 1992-09-21
[2] 웹사이트 細看福建艦艦徽大有玄機,使命任務已經標註,寓意深遠 https://www.163.com/[...] 網易 2022-06-22
[3] 웹사이트 Admiral Flota Sovetskogo Soyuza Kuznetsov http://rusnavy.com/n[...] Rusnavy.com 2014-12-22
[4] 웹사이트 Kuznetsov Class: Project 1143.5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4-12-22
[5] 웹사이트 辽宁舰:我国第一艘航空母舰 http://m.news.cctv.c[...] 央视新闻客户端 2022-02-10
[6] 웹사이트 Source: New Russian-Made Boilers for Admiral Kuznetsov to Serve 25 Years http://mil.today/201[...]
[7] 웹사이트 Liaoning (Varyag) Aircraft Carrier – SinoDefence http://sinodefence.c[...] 2016-03-27
[8] 웹사이트 China's J-15 Carrierborne Fighter: Sizing up the Competition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22-06-18
[9] 웹사이트 Beijing says Liaoning is now a 'combat carrier' https://asiatimes.co[...] 2020-09-10
[10] 웹사이트 How does China's first aircraft carrier stack up? http://chinapower.cs[...] CSIS China Power 2016-08-25
[11] 논문 Kiev and the Montreux Convention: The Aircraft Carrier That Became a Cruiser to Squeeze through the Turkish Straits 1976-01-01
[12] 웹사이트 The Tbilisi and the Montreux Convention http://www.osaarchiv[...] Osaarchivum.org 2011-12-08
[13] 뉴스 Captain delegation of U.S. Navy visits Chinese Liaoning aircraft carrier http://eng.mod.gov.c[...] 2016-11-14
[14] 간행물 The Self-Designing High-Reliability Organization: Aircraft Carrier Flight Operations at Sea http://www.nwc.navy.[...] Naval War College 1987-09-01
[15] 간행물 China's Aircraft Carrier Ambitions: Seeking Truth from Rumors http://www.nwc.navy.[...] Naval War College 2004-01-01
[16] 웹사이트 Aircraft Carrier Varyag http://www.russiafil[...] Russiafile.com 2011-05-09
[17] 뉴스 Turks Keep Ship Going Round in Circles https://www.washingt[...] 2017-02-24
[18] 뉴스 Macau Company Denies Buying Carrier For China http://ww1.utusan.co[...] 2017-02-24
[19] 뉴스 The inside story of the Liaoning: how Xu Zengping sealed deal for China's first aircraft carrier http://www.scmp.com/[...] 2015-01-20
[20] 뉴스 'Unlucky guy' tasked with buying China's aircraft carrier: Xu Zengping https://www.scmp.com[...] 2015-04-29
[21] 뉴스 Giant vessel shuts the Bosphorus http://news.bbc.co.u[...] 2017-02-24
[22] 웹사이트 After 16 months, Turkey lets half-built aircraft carrier pass through Bosporus http://www.highbeam.[...] Associated Press 2014-12-17
[23] 웹사이트 UPI Insider http://www.highbeam.[...] Sun-Times Media Group 2014-12-17
[24] 뉴스 Varyag emerges from storm http://www.kyivpost.[...] 2014-12-17
[25] 뉴스 Mission impossible II: the battle to get China's aircraft carrier home http://www.scmp.com/[...] 2015-01-20
[26] 뉴스 Mission impossible: How one man bought China its first aircraft carrier http://www.scmp.com/[...] 2015-01-20
[27] 웹사이트 Designers http://www.360doc.co[...] 2017-03-14
[28] 웹사이트 The Rising Sea Dragon in Asia Varyag Transformation http://www.jeffhead.[...] Jeffhead.com 2011-05-09
[29] 웹사이트 Upgrading the Admiral: Russia's Kuznetsov http://www.defensein[...] 2014-12-17
[30] 뉴스 China Carrier Confirmed by General https://rp-online.de[...] 2023-04-05
[31] 뉴스 China Carrier Confirmed by General https://www.bbc.co.u[...] 2011-06-08
[32] 뉴스 China refitting aircraft carrier body for research, training http://eng.mod.gov.c[...] 2011-07-29
[33] 뉴스 Disgraced manager at shipbuilding juggernaut allegedly 'sold Chinese carrier intel to CIA' https://asiatimes.co[...] 2020-03-14
[34] 뉴스 China's first aircraft carrier completes sea trial http://news.xinhuane[...] 2011-08-15
[35] 웹사이트 China's first aircraft carrier starts second trial http://maritimesecur[...] MaritimeSecurity.Asia 2011-12-15
[36] 웹사이트 China's first aircraft carrier starts 2nd trial | World http://www.manilatim[...] Manilatimes.net 2011-11-30
[37] 뉴스 US satellite snaps China's first aircraft carrier at sea | World news | guardian.co.uk https://www.theguard[...] Guardian 2011-12-15
[38] 뉴스 J-15 jets on deck as carrier sets off on longest sea trials http://www.shanghaid[...] 2012-07-12
[39] 뉴스 China's first aircraft carrier ready to enter service: report http://www.wantchina[...] 2012-08-06
[40] 뉴스 China's Aircraft Carrier Trouble: Spewing Steam and Losing Power http://www.realclear[...] 2014-10-22
[41] 뉴스 China's first aircraft carrier enters service https://www.bbc.com/[...] 2012-09-25
[42] 웹사이트 Making Waves: Debates Behind China's First Aircraft Carrier http://www.fpri.org/[...] Foreign Policy Research Institute 2012-10-01
[43] 웹사이트 China to name its first aircraft carrier 'Liaoning' http://www.china.org[...] 2012-09-10
[44] 웹사이트 Liaoning aircraft carrier will reach full capacity in 4–5 years http://www.airforcew[...] 2012-12-26
[45] 웹사이트 Chinese officer hints at country's big aircraft carrier plans http://www.flightglo[...] 2013-04-24
[46] 논문 Chinese Naval Strategy in the South China Sea: An Abundance of Noise and Smoke, but Little Fir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1-12-01
[47] 뉴스 Come and have a look, China says as carrier skirts Japan http://in.reuters.co[...] Reuters 2016-12-29
[48] 뉴스 China's first aircraft carrier in Western Pacific drill https://www.bbc.co.u[...] 2016-12-25
[49] 웹사이트 China navy drills in Pacific as tension with Taiwan rises https://www.cnbc.com[...] 2018-04-21
[50] 웹사이트 Type 001 aircraft carrier Liaoning https://sinodefence.[...] 2017-01-14
[51] 웹사이트 Chinese Navy Liaoning Aircraft Carrier's H/PJ-14 (Type 1130) new generation CIWS http://www.navyrecog[...] 2013-03-21
[52] 간행물 Annual Report to Congress: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 http://www.defense.g[...]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53] 웹사이트 Chinese Carrier's Purported Air Wing Deemed Plausible but Limited http://www.defensene[...] 2014-09-07
[54] 웹사이트 Carrier Liaoning arrives at Qingdao home base https://www.scmp.com[...] 2013-02-28
[55] 웹사이트 Chuck Hagel becomes first foreigner to visit Chinese aircraft carrier https://edition.cnn.[...] 2014-04-07
[56] 웹사이트 China's Liaoning aircraft carrier gets brand new command centre https://www.scmp.com[...] 2018-08-28
[57] 웹사이트 Liaoning Aircraft Carrier Returns To Sea After Refit https://www.navalnew[...] 2019-01-24
[58] 뉴스 滑跃14°:中国海军起飞的仰角 http://www.chinamil.[...] 2012-11-04
[59] 뉴스 解放军报还原中国航母舰载机触舰复飞瞬间(图) http://www.chinanews[...] 2012-11-04
[60] 뉴스 J-15 successfully landed on China's carrier ''Liaoning'' http://english.sina.[...] 2012-11-25
[61] 뉴스 More photos of the two J-15s landing and taking off on ''Liaoning'' http://news.qq.com/a[...] 2012-11-25
[62] 웹사이트 China Carrier Starts Second Round of Jet Tests http://news.usni.org[...]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2013-06-19
[63] 웹사이트 China certifies first aircraft carrier pilots http://www.flightglo[...] 2013-07-04
[64] 웹사이트 Two PLA Pilots Have Died Testing Fighters for Chinese Carrier http://news.usni.org[...]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2014-09-08
[65] 웹사이트 China reveals two aircraft carrier test pilots killed - Yahoo!7 https://au.news.yaho[...]
[66] 웹사이트 China denies reports of pilots killed in J-15 tests http://www.janes.com[...]
[67] 웹사이트 军方否认2名殉职飞行员系在航母测试中牺牲 http://mil.news.sina[...] 2014-09-07
[68] 웹사이트 中央军委主席习近平签署命令 给1个单位、1名个人授予荣誉称号 http://news.xinhuane[...]
[69] 웹사이트 Chinese Type 055 destroyer joins aircraft carrier group for first time https://www.scmp.com[...] 2021-04-06
[70] 웹사이트 Chinese Carrier Strike Group Liaoning Returns From Deployment https://news.usni.or[...] 2021-12-31
[71] 웹사이트 Chinese Carrier Strike Group Now Operating in the East China Sea https://news.usni.or[...] 2022-05-23
[72] 웹사이트 China aircraft carrier stages 100-plus takeoffs near Okinawa islands https://asia.nikkei.[...] 2022-05-11
[73] 웹사이트 China Launches First Aircraft Carrier Which Rivals U.S. Navy's https://www.navalnew[...] 2022-06-17
[74] 뉴스 China's military encircles Taiwan in 'warning' drills https://www.france24[...] 2024-10-14
[75] 웹사이트 中国海軍艦艇の動向について https://www.mod.go.j[...] 防衛省・統合幕僚監部 2021-12-17
[76] 문서 “瓦良格之父”看辽宁舰:锅炉改造就远胜俄罗斯 凤凰卫视 凤凰网 http://news.ifeng.co[...]
[77] 문서 凤凰独家解析“中国航母”的最新进展 凤凰卫视 凤凰网 http://phtv.ifeng.co[...]
[78] 뉴스 中国訓練用空母で完成式典 共産党高官も視察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1-08-04
[79] 뉴스 中国初の空母ワリャークが大連港出港 試験航行を開始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1-08-10
[80] 뉴스 中国初の空母、海上で艦載機と合同訓練 https://web.archive.[...] 朝日新聞社 2011-12-12
[81] 웹사이트 Aircraft carrier protects peace http://europe.chinad[...] CHINADAILY 2012-09-25
[82] 뉴스 中国、初の空母を近く配備 軍に引き渡し「遼寧」と命名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2-09-25
[83] 뉴스 China's first aircraft carrier enters service] http://www.bbc.com/n[...] BBC 2012-09-25
[84] 문서 国台办否认“大陆新航母命名施琅号指向台湾” http://news.cn.yahoo[...]
[85] 문서 MDC軍武狂人夢「遼寧號(瓦良格號)航空母艦」
[86] 웹사이트 "中共遼寧號航母今(26)日0900時通過屏東鵝鑾鼻南方90海里續向西南航行,我均有預置海、空兵力全程警戒、監偵與應處,籲請國人安心。" http://www.mnd.gov.t[...] 中華民國國防部 2016-12-26
[87] 웹사이트 "「中共遼寧號航母今(26)日1400時經我東沙島東南海域續向西南航行,執行跨海區訓練任務,國防部將持續掌握其未來行動,請國人放心。」" http://www.mnd.gov.t[...] 中華民國國防部 2016-12-26
[88] 웹사이트 遼寧艦航母一路狂奔戰鬥群保持著30節的高航速 https://kknews.cc/mi[...] 2016-12-28
[89] 웹사이트 獨家》監控中國遼寧號航母動向 美日台P-3C反潛機首度接力「聯防」 http://www.storm.mg/[...] 2017-01-03
[90] 웹사이트 平成29年版防衛白書 http://www.clearing.[...] 2017-08-01
[91] 웹사이트 辽宁舰升级改造 崭新亮相(图) https://news.sina.co[...] 新浪首页 2019-04-23
[92] 웹사이트 航母编队投资或高达千亿 http://news.cnxianza[...] 现在网 2012-09-28
[93] 웹사이트 中国軍、空母の操縦をブラジルから学ぶか http://japanese.chin[...] 中国網日本語版(チャイナネット) 2013-02-10
[94] 뉴스 中国空母「遼寧」が出港 海軍配備後初めて 訓練や航行試験目的か http://sankei.jp.msn[...] 産経デジタル 2012-10-12
[95] 웹사이트 中国の航空母艦、就役後初の「軍事任務」終え大連に帰港 http://news.searchin[...] サーチナ 2012-10-31
[96] 웹사이트 中国空母:艦載機タッチ・アンド・ゴー…「戦闘力にはほど遠く」 https://web.archive.[...] サーチナ 2012-10-17
[97] 웹사이트 「空母・遼寧に艦載機で着艦した」…中国で“従軍記”報道 https://web.archive.[...] サーチナ 2012-11-05
[98] 웹사이트 滑跃14°:中国海军起飞的仰角 http://www.chinamil.[...] 解放軍報 2012-11-04
[99] 웹사이트 中国航母舰载机歼15成功着舰 http://newspaper.jfd[...] 新闻晚报 2012-11-24
[100] 웹사이트 我航空母舰顺利进行歼—15飞机起降飞行训练 http://news.xinhuane[...] 新华网 2012-11-25
[101] 웹사이트 歼-15在“辽宁舰”顺利起降 http://www.chinamil.[...] 解放軍報 2012-11-25
[102] 웹사이트 Brazil Shows China How It Is Done http://www.strategyp[...] Strategy Page 2013-02-01
[103] 웹사이트 中国軍、空母の操縦をブラジルから学ぶか http://japanese.chin[...] 中国網日本語版(チャイナネット) 2013-02-10
[104] 웹사이트 我国首艘航母辽宁舰27日上午首次靠泊新建航母军港 https://web.archive.[...] 中央政府门户网站 2013-02-27
[105] 웹사이트 中国海軍の空母・遼寧、南下して青島の“某軍港”に停泊 https://web.archive.[...] サーチナ 2013-02-27
[106] 웹사이트 中国海军辽宁舰编队赴西太平洋海域开展远海训练 http://www.81.cn/xwf[...] 中国军网 2016-12-24
[107] 웹사이트 12/25[公表]中国海軍艦艇の動向について https://www.mod.go.j[...] 防衛省統合幕僚監部 2016-12-25
[108] 뉴스 中国空母「遼寧」、南シナ海で訓練 戦闘機の発着艦など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109] 웹사이트 獨家》監控中國遼寧號航母動向 美日台P-3C反潛機首度接力「聯防」 https://www.storm.mg[...]
[110] 웹사이트 中国海軍艦艇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平成30年4月20日) https://www.mod.go.j[...]
[111] 뉴스 「中国空母が沖縄・宮古島間を通過 防衛省が確認」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4-22
[112] 웹사이트 中国海軍艦艇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元年6月11日) https://www.mod.go.j[...]
[113] 뉴스 中国空母が沖縄-宮古間通過=18年4月以来、最新補給艦と-防衛省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114] 웹사이트 中国海軍艦艇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2年4月11日) https://www.mod.go.j[...]
[115] 뉴스 中国の空母「遼寧」 沖縄本島と宮古島間を通過 領海侵入なし https://web.archive.[...] NHK
[116] 웹사이트 中国海軍艦艇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2年4月28日) https://www.mod.go.j[...]
[117] 웹사이트 中国海軍艦艇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3年4月4日) https://www.mod.go.j[...]
[118] 뉴스 中国海軍の空母がまたも日本近海へ「挑発行動」…わが国の防衛に「必要なもの」 着実に軍事力を強化してきている https://gendai.media[...] 講談社 2021-04-09
[119] 웹사이트 210404-N-YA628-2309:PHILIPPINE SEA (April 4, 2021) Cmdr. Robert J. Briggs and Cmdr. Richard D. Slye monitor surface contacts from the pilothouse of the Arleigh Burke-class guided-missile destroyer USS Mustin. Mustin is assigned to Task Force 71/Destroyer Squadron (DESRON) 15, the Navy’s largest DESRON and the U.S. 7th Fleet’s principal surface force. (U.S. Navy photo by Mass Communication Specialist 3rd Class Arthur Rosen) https://www.navy.mil[...] USNAVY Photo Gallery
[120] Twitter 日本護衛艦、中国空母と並走(JSF) - Y!ニュース https://twitter.com/[...]
[121] 웹사이트 中国海軍艦艇等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3年4月27日) https://www.mod.go.j[...]
[122] 웹사이트 中国海軍艦艇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3年12月17日) https://www.mod.go.j[...]
[123] 웹사이트 中国海軍艦艇等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3年12月21日) https://www.mod.go.j[...]
[124] 웹사이트 中国海軍艦艇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3年12月26日) https://www.mod.go.j[...]
[125] 웹사이트 中国海軍艦艇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4年5月2日) https://www.mod.go.j[...]
[126] 웹사이트 中国海軍艦艇等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4年5月4日) https://www.mod.go.j[...]
[127] 뉴스 中国空母「遼寧」発着艦が300回超に 官房長官「警戒監視に万全期す」 https://www.sankei.c[...] 産経新聞ニュース 2022-05-19
[128] 간행물 最新・中国航空・軍事トピック 空母を撮影 문림당 2022-08
[129] 웹사이트 中国海軍艦艇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4年12月16日) https://www.mod.go.j[...]
[130] 뉴스 中国空母、沖縄近海航行「遼寧」など6隻 異例規模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2-12-17
[131] 웹사이트 中国海軍艦艇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4年12月18日) https://www.mod.go.j[...]
[132] 뉴스 中国「南西諸島攻撃」訓練 習氏指示 安保3文書受け開始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2-12-22
[133] 뉴스 中国空母「遼寧」発着艦180回 沖縄東方の太平洋上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2-12-24
[134] 뉴스 中国空母「遼寧」、東シナ海に戻る 沖縄南方で発着艦320回確認―防衛省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23-01-02
[135] 웹사이트 中国海軍艦艇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6年9月18日) https://www.mod.go.j[...]
[136] 뉴스 中国海軍空母など3隻 一時 日本の接続水域に入る 空母航行は初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4-09-18
[137] 웹사이트 中国海軍艦艇の動向について 統合幕僚監部(令和6年9月20日) https://www.mod.go.j[...]
[138]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139] 웹사이트 중국, 첫 ‘항모’ 떴는데 날릴 비행기는 없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2-09-25
[140] 뉴스 중국 랴오닝호 첫 무기 실험…젠-15 실탄발사 장면 첫 공개 뉴시스 2016-12-16
[141] 뉴스 중국, 韓해군 훈련 전단 입항 거부에 "안전·이익 존중해야" 연합뉴스 2016-12-15
[142] 뉴스 中, 무력시위하나…서해 인접 보하이에서 항모 동원 실탄 훈련 SBS 2016-12-16
[143] 뉴스 중 해군 항모까지 동원해 서해 북방에서 실탄 훈련 아시아투데이 2016-12-18
[144] 뉴스 中랴오닝 항모편대, 서해 실탄훈련…잇단 反사드 무력시위(종합) 연합뉴스 2016-12-24
[145] 뉴스 中 국방백서, '핵 선제 불사용' 정책 삭제…정책 변화 논란 뉴시스 2013-04-23
[146] 뉴스 중국, '핵 선제 불사용' 정책 재천명 연합뉴스 2013-04-23
[147] 간행물 “시간이 걸리더라도 비핵무기 지대를” 시사IN 2016-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