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전 라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전 라틴어는 고대 로마에서 사용된 언어로, 장모음과 단모음을 구별하고 다양한 이중모음을 가졌다. 음운 변화와 문자, 문법, 어문학적 구성을 거쳐 황금기, 은세기로 구분되며, 그리스어 차용어의 영향도 받았다. 문체 변화와 구어 발음의 변화를 겪으며 로망스어족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틴어 - 중세 라틴어
    중세 라틴어는 서로마 제국 멸망 후 르네상스 시대까지 유럽에서 사용된 라틴어의 한 형태로, 고전 라틴어와 차이를 보이며 교회 공용어, 법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 서유럽의 언어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라틴어 - 테오도시우스 법전
    테오도시우스 법전은 테오도시우스 2세가 혼란스러운 법원을 정리하고 법 적용의 통일성을 확보하고자 321년 이후의 칙령들을 모아 편찬한 최초의 관찬 칙령집으로, 동서 로마 제국에 반포되어 로마법 분열의 계기가 되고 후대 법전에 영향을 주었다.
고전 라틴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고전 라틴어
로마자 표기Lingua Latina
발음/ˈlɪŋɡʷa ɫaˈtiːna/ (국제 음성 기호)
사용 지역로마 지배 지역
사용 국가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사용 민족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문자 체계고전 라틴 알파벳
사용 시기기원전 75년 ~ 서기 3세기 (후기 라틴어로 발전)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이탈리아어파
어군라틴-팔리스크어군
조상 언어고대 라틴어
ISO 예외역사적 언어
Glotto 코드없음
Linglist 코드lat-cla
Lingua 코드51-AAB-aaa
기타 명칭lingua latina
sermo latinus
latinitas
sermo familiaris
사용 지역고대 로마 제국
사멸 시기4세기까지 중세 라틴어로 발전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이탈리아어파
어군라틴-팔리스크어군
문자 체계라틴 문자
ISO 639-1 코드la
ISO 639-2 코드lat
ISO 639-3 코드lat
사용 지역로마 통치 지역
사용 국가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문자 체계고전 라틴 알파벳
사용 시기기원전 75년 ~ 서기 3세기 (후기 라틴어로 발전)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이탈리아어파
어군라틴-팔리스크어군
조상 언어고대 라틴어
ISO 예외역사적 언어
Glotto 코드없음
Linglist 코드lat-cla
Lingua 코드51-AAB-aaa
관련 기관문법 및 수사 학교
기타 명칭lingua latina
sermo latinus
latinitas
sermo familiaris
이미지
콜로세움에 있는 라틴어 비문

2. 음운

고전 라틴어의 음운 체계는 현대 로망스어와 비교했을 때 몇 가지 특징을 보인다. 우선 모음의 장단 구별이 있었는데, 표기상으로는 아주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는 장단음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다. 모음자는 A, I, V, E, O, Y 여섯 글자였다.[7]

모음자 겸 반모음자는 두 가지 음가를 가졌다.


  • I는 [i]와 [j]의 소리를 나타낸다.
  • V는 [u]와 [w]의 소리를 나타낸다.


또한, AE, AV, EI, EV, OE, VI, OI, AI와 같은 이중모음(복모음)은 하나의 모음으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표기에서는 "두 개의 모음의 연속"이라는 표기상 구분은 되지 않았다.

억양은 현대 로망스어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강세뿐만 아니라, 고대 그리스어에서 전해진 것으로 보이는 현대 일본어와 같은 피치 악센트(고저 악센트)도 있었다.

2. 1. 닿소리 (자음)



고전 라틴어의 자음은 위 표와 같이 입술소리, 치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순음화 연구개음, 성문음으로 나뉜다.

2. 2. 홀소리 (모음)

고전 라틴어에서 모음은 장모음과 단모음으로 구분되었으나, 표기상으로는 아주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는 장단음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다. 모음자는 AIVEOY 여섯 글자였다.

전설중설후설
고모음iː, ɪuː, ʊ
중모음eː, ɛoː, ɔ
저모음aː, a



모음자 겸 반모음자인 I와 V는 각각 두 가지 소리를 나타냈다.[7]


  • I: [i], [j]
  • V: [u], [w]

2. 2. 1. 겹홀소리(이중모음)

고전 라틴어에서 겹홀소리(이중모음)는 하나의 모음으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표기에서는 "두 개의 모음의 연속"이라는 표기상 구분은 되지 않았다. 다음은 고전 라틴어의 이중모음이다.

전설후설
고모음ui(/ui̯/)
중모음ei(/ei̯/), eu(/eu̯/)oe(/oe̯/), ou(/ou̯/)
저모음ae(/ae̯/), au(/au̯/)


  • AE, AV, EI, EV, OE, VI, OI, AI

3. 문자

고전 라틴어는 23개의 문자로 구성된 알파벳을 사용했다.[7] 고대 라틴어에서는 X까지 21자였으나, 기원 초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외래어를 표기하기 위해 YZ[8] 두 글자가 추가되었다. 모음자는 A, I, V, E, O, Y 여섯 개였다. C는 [k], G는 [g]로 발음되었으며, 소문자는 없고 대문자만 사용했다.

모음에는 장음과 단음이 있었지만, 표기상으로는 아주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는 구분되지 않았다. 이중모음(복모음)으로는 AE, AV, EI, EV, OE, VI, OI, AI가 있었으며, 하나의 모음으로 간주되었으나 표기상으로는 두 모음의 연속으로 구분되지 않았다.

모음자 겸 반모음자는 두 가지 음가를 가졌다.


  • I는 [i]와 [j]의 소리를 나타냈다.
  • V는 [u]와 [w]의 소리를 나타냈다.


억양은 현대 로망스어의 강세뿐만 아니라, 고대 그리스어에서 전해진 피치 악센트(고저 악센트)도 있었다.

문법적으로는 고대 라틴어의 조격(처격, 지격)이 일부 지명 등을 제외하고 소멸하여, 호격을 포함해 여섯 개의 이 사용되었다. 고대 라틴어의 어미 -os와 -om은 고전기에 -us, -um으로 변화했다.

고전기까지는 붙여쓰기(scriptio continua|스크립티오 콘티누아la)를 사용했으며, 띄어쓰기 습관은 없었다. 비문 등에서는 작은 중점으로 단어를 구분한 사례가 있다.

3. 1. 알파벳

고전 라틴어의 알파벳은 23개의 글자로 구성되어 있다. 고대 라틴어 시대에는 X까지 21자였으나, 기원 초에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외래어를 표기하기 위해 Y와 Z[8] 두 글자가 추가되었다.[7]

: A, B, C, D, E, F, G, H, I, K, L, M, N, O, P, Q, R, S, T, V, X, Y, Z

모음자는 A, I, V, E, O, Y 여섯 개이다. C는 [k], G는 [g]로 발음되었다. 소문자는 없고 대문자만 사용되었다.

모음에는 장음과 단음이 있었으나, 표기상으로는 아주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는 구분되지 않았다. 이중모음(복모음)은 AE, AV, EI, EV, OE, VI, OI, AI 등이 있었으며, 하나의 모음으로 간주되었으나 표기상으로는 "두 개 모음의 연속"으로 구분되지 않았다.

모음자 겸 반모음자는 두 가지 음가를 가졌다.

  • I는 [i]와 [j]의 소리를 나타낸다.
  • V는 [u]와 [w]의 소리를 나타낸다.

3. 2. 표기

고전 라틴어 알파벳은 23개의 글자로 이루어져 있었다. 고대 라틴어에서는 X까지 21글자였으나, 기원 초에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외래어를 표기하기 위해 Y와 Z[8] 두 글자가 추가되었다. 모음자는 A, I, V, E, O, Y의 여섯 글자였다. C는 [k], G는 [g]로 발음되었으며, 소문자는 없고 대문자만 사용되었다.[7]

: A, B, C, D, E, F, G, H, I, K, L, M, N, O, P, Q, R, S, T, V, X, Y, Z

모음에는 장음과 단음이 있었으나, 표기상으로는 거의 구분되지 않았다. 이중모음(복모음)은 AE, AV, EI, EV, OE, VI, OI, AI와 같이 하나의 모음으로 간주되었지만, 표기에서는 두 모음의 연속으로 나타났다.

모음자 겸 반모음자는 두 가지 소리를 냈다.

: I는 [i]와 [j]의 소리를 나타냈다.

: V는 [u]와 [w]의 소리를 나타냈다.

억양은 현대 로망스어에서 볼 수 있는 강세뿐만 아니라, 고대 그리스어에서 전해진 것으로 보이는 현대 일본어와 같은 피치 악센트(고저 악센트)도 있었다.

고전기까지는 붙여쓰기(scriptio continua|스크립티오 콘티누아la)를 사용했고, 띄어쓰기하는 습관은 없었다. 비문 등에서는 작은 중점으로 단어를 구분한 사례가 있었다.

4. 문법

고전 라틴어는 굴절어로서, 명사는 문장 내에서 격변화를 통해 그 역할을 나타낸다.

고전 라틴어에서는 고대 라틴어의 조격(처격, 지격)이 일부 지명 등을 제외하고는 사라지고, 호격을 포함하여 여섯 개의 이 사용되었다. 또한, 고대 라틴어의 어미 '-os'와 '-om'은 고전기에 '-us', '-um'으로 변화했다.[7]

억양은 현대 로망스어에서 볼 수 있는 강세뿐만 아니라, 고대 그리스어에서 전해진 것으로 보이는 피치 악센트(고저 악센트)도 있었다.[7]

4. 1. 격변화

고대 라틴어의 조격(처격, 지격)은 일부 지명 등을 제외하고 소멸되어, 호격을 포함해 여섯 개의 이 사용되었다. 고대 라틴어의 어미 -os와 -om은 고전기에 -us, -um으로 변화했다.[7]

4. 2. 억양

현대 로망스어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강세뿐만 아니라, 고대 그리스어에서 전해진 것으로 보이는 피치 악센트(고저 악센트)도 있었다.[7]

5. 어문학적 구성

어문학에서 "좋은 라틴어"는 "고전 라틴 문학"으로 알려져 있으며, 후기 로마 공화정과 초기 로마 제국 시대의 표준적인 라틴어 문학 작품을 지칭한다.[1] ''classicus''(남성 복수형 ''classici'')라는 용어는 로마인들이 모범적인 그리스어 작가들을 지칭하는 그리스어 ἐγκριθέντες (encrithentes|엥크리텐테스grc, 선정된)를 번역하기 위해 고안한 것이다.[1] 2세기에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프론토는 ''scriptores classici'' ("1급" 또는 "믿을 만한 저자들")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그들의 작품은 좋은 라틴어의 모범으로 여겨졌다.[1]

퀸틸리아누스 등 로마 문법학자들은 그리스의 ''피나케스(pinakes)''를 본떠 ''인덱스(indices)'' 또는 ''오르디네스(ordines)''라는 목록을 작성해 고전 작가들을 선정했다. 아울루스 겔리우스는 고대 라틴어 작가로 여겨지는 플라우투스 등도 포함시켰다.[1] 고전 로마인들은 고대 라틴어를 ''프리스카 라티니타스(prisca Latinitas)''로, 평민들의 언어는 ''세르모 불가리스(sermo vulgaris)''로 구분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로마 문화가 부흥하면서 고전 라틴어가 다시 주목받았다. 토마스 세빌레의 ''아르 푸에티크(Art Poétique)''(1548)에는 "레 봉 에 클라시크 푸에트 프랑수아(les bons et classiques poètes françois)"라는 표현이 등장했다.

빌헬름 지기스문트 토이펠은 고전 라틴어를 정치적 사건으로 정의된 시대로 구분하여 황금기와 은세기를 제시했다.[3] 찰스 토마스 크러트웰은 토이펠의 시대 구분을 채택하고 문체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제시했다. 크러트웰은 "전고전적"이라는 용어를 고대 라틴어에 할당하고, 후고전적(또는 후 아우구스투스 시대) 및 은세기 라틴어와 연관시켰다.[3]

5. 1. 고전 (Classical)

어문학에서 "좋은 라틴어"는 "고전 라틴 문학"으로 알려져 있으며, 후기 로마 공화정과 초기 로마 제국 시대의 표준적인 라틴어 문학 작품을 지칭한다.[1] ''classicus''(남성 복수형 ''classici'')라는 용어는 로마인들이 모범적인 그리스어 작가들을 지칭하는 그리스어 ἐγκριθέντες (encrithentes, 선정된)를 번역하기 위해 고안한 것이다.[1] 2세기에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프론토가 ''scriptores classici'' ("1급" 또는 "믿을 만한 저자들")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그들의 작품은 좋은 라틴어의 모범으로 여겨졌다.[1]

데이비드 룬켄(David Ruhnken)

5. 2. 정경 (Canonical)

퀸틸리아누스 등 로마 문법학자들은 그리스의 ''피나케스(pinakes)''를 본떠 ''인덱스(indices)'' 또는 ''오르디네스(ordines)''라는 목록을 작성해 고전 작가들을 선정했다. 아울루스 겔리우스는 고대 라틴어 작가로 여겨지는 플라우투스 등도 포함시켰다.[1] 고전 로마인들은 고대 라틴어를 ''프리스카 라티니타스(prisca Latinitas)''로, 평민들의 언어는 ''세르모 불가리스(sermo vulgaris)''로 구분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로마 문화가 부흥하면서 고전 라틴어가 다시 주목받았다. 토마스 세빌레의 ''아르 푸에티크(Art Poétique)''(1548)에는 "레 봉 에 클라시크 푸에트 프랑수아(les bons et classiques poètes françois)"라는 표현이 등장했다.

5. 3. 라틴어의 시대 구분

빌헬름 지기스문트 토이펠은 고전 라틴어를 정치적 사건으로 정의된 시대로 구분하여 황금기와 은세기를 제시했다.[3] 찰스 토마스 크러트웰은 토이펠의 시대 구분을 채택하고 문체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제시했다. 크러트웰은 "전고전적"이라는 용어를 고대 라틴어에 할당하고, 후고전적(또는 후 아우구스투스 시대) 및 은세기 라틴어와 연관시켰다.[3]

6. 황금기 (기원전 83년 ~ 기원후 14년)

로마 문학의 황금기는 형식의 완성과 주제의 체계적인 처리에 있어 정점에 달한 시기이다.[7] 이 시기는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의 독재 (기원전 83년)부터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죽음 (기원후 14년)까지를 말한다.

이 시기는 크게 키케로 시대와 아우구스투스 시대로 나눌 수 있다. 키케로 시대는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가 활약한 시기로, 산문이 절정에 달했다. 반면 아우구스투스 시대에는 시가 주로 발전했다.[7]

당시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율리우스 카이사르, 키케로, 베르길리우스, 오비디우스, 호라티우스 등이 있으며, 이 시기는 황금기로 불린다.

고전기 알파벳은 23글자였다. 고대 라틴어까지는 21글자였지만, 기원 초에 그리스어 기원의 외래어를 표기하기 위해 YZ[8] 두 글자가 추가되었다. 모음자는 A, I, V(후대의 U), E, O, Y의 여섯 글자였다. C는 [k], G는 [g]로 발음되었으며, 소문자는 없고 대문자만 사용했다.

모음에는 장음과 단음이 있었지만, 표기상으로는 아주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는 구분되지 않았다. AE, AV, EI, EV, OE, VI, OI, AI와 같은 이중모음은 하나의 모음으로 간주되었지만, 표기상으로는 구분되지 않았다.

모음자 겸 반모음자인 I는 [i]와 [j], V는 [u]와 [w]의 소리를 나타냈다.

억양은 로망스어족에서 볼 수 있는 강세뿐만 아니라, 고대 그리스어에서 전해진 것으로 보이는 고저 악센트(고저 악센트)도 있었다.

문법적으로는, 고대 라틴어의 처격은 일부 지명 등을 제외하고 소멸하여, 호격을 포함해 여섯 개의 이 사용되었다. 고대 라틴어의 어미 -os와 -om은 고전기에 -us, -um이 되었다.

고전기까지는 띄어쓰기 없이 붙여 쓰는 방식(scriptio continua|스크립티오 콘티누아la)을 사용했다. 비문 등에서는 작은 중점과 같은 것으로 단어를 구분한 사례가 있다.

6. 1. 키케로 시대 (공화정 시대, 기원전 83년 ~ 기원전 43년)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시가 주로 발전한 반면, 산문은 이 시기에 절정에 달했다.[7] 이 시기 주요 작가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생몰년주요 활동 및 특징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기원전 116년 ~ 기원전 27년문법학자
티투스 폼포니우스 아티쿠스기원전 112/109년 ~ 기원전 35/32년키케로의 출판인이자 서신 교환자
키케로기원전 106년 ~ 기원전 43년웅변가, 철학자, 수필가. 그의 작품은 황금기 라틴 산문을 정의하며 라틴어 교육 과정에서 사용된다.
세르비우스 술피키우스 루푸스기원전 106년 ~ 기원전 43년법률가, 시인
데키무스 라베리우스기원전 105년 ~ 기원전 43년희극 작가
마르쿠스 푸리우스 비바쿨루스기원전 1세기루디크라(ludicra) 작가
율리우스 카이사르기원전 100년 ~ 기원전 44년장군, 정치가, 역사가
가이우스 옵피우스기원전 1세기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비서, 카이사르 이름으로 작품을 쓴 것으로 추정
가이우스 마티우스기원전 1세기키케로와 서신 교환
코르넬리우스 네포스기원전 100년 ~ 기원전 24년전기 작가
푸블리우스 시루스기원전 1세기희극과 격언 작가
퀸투스 코르니피키우스기원전 1세기수사학 저술가
티투스 루크레티우스 카루스(루크레티우스)기원전 94년 ~ 기원전 50년시인, 철학자
푸블리우스 니기디우스 피굴루스기원전 98년 ~ 기원전 45년문법학자
아울루스 히르티우스기원전 90년 ~ 기원전 43년군사 역사가
가이우스 헬비우스 킨나기원전 1세기시인
마르쿠스 카일리우스 루푸스기원전 87년 ~ 기원전 48년웅변가, 키케로와 서신 교환
가이우스 살루스티우스 크리스푸스기원전 86년 ~ 기원전 34년역사가
카토 젊은이기원전 95년 ~ 기원전 46년웅변가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카토기원전 1세기시인, 문법학자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카툴루스(카툴루스)기원전 84년 ~ 기원전 54년시인
가이우스 리키니우스 마케르 칼부스기원전 82년 ~ 기원전 47년웅변가, 시인


6. 2. 아우구스투스 시대 (기원전 43년 ~ 기원후 14년)

웅변의 수요가 사라지고 시에 대한 강조로 바뀌었다. 역사가 리비우스를 제외하고, 이 시대의 가장 주목할 만한 작가는 시인 베르길리우스, 호라티우스, 오비디우스였다. 이 시대의 주요 작가는 다음과 같다.

작가설명
베르길리우스시인
호라티우스시인
섹스투스 프로페르티우스시인
알비우스 티불루스시인
오비디우스시인
리비우스역사가
마르쿠스 마닐리우스시인
비트루비우스작가, 건축가



슈테판 바칼로비치(Stefan Bakałowicz)의 1890년 유화 ''마에케나스의 연회''. 고전을 바라보는 예술가의 시각을 담고 있다. 마에케나스는 황금기의 모든 문학적 인물들을 알고 지냈으며, 특히 아우구스투스와 친분이 있었다.

7. 은세기 (기원후 14년 ~ 180년)

티베리우스 황제 시대에 언론의 자유가 제한되면서, 내용보다는 기교에 중점을 둔 문체가 부상했다. "완전한 비현실성", "과장된 감정" 등의 특징이 나타났다. 은세기는 현존하는 두 개의 라틴어 소설, 아풀레이우스의 "황금 당나귀"와 페트로니우스의 "사티리콘"을 제공한다.[7]

7. 1. 티베리우스부터 트라야누스까지 (기원후 14년 ~ 117년)

(고전 라틴어의 티베리우스부터 트라야누스 시기(기원후 14년 ~ 117년)에 대한 내용은 원본 소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요약에 언급된 작가 목록도 출력하지 않습니다.)

7. 2.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사망까지 (기원후 180년)

문학계에서는 로마의 쇠퇴를 보여주는 무기력과 허약함이 명백해졌지만, 법학 분야는 예외였다. 주요 작가로는 수에토니우스, 유스티누스, 아풀레이우스,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프론토, 아울루스 겔리우스, 마르쿠스 미누키우스 펠릭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등이 있다.

8. 문체 변화

문체는 언어의 기본적인 특징보다 다소 일반적이지 않은, 반복되는 말의 특징을 말한다.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저속 라틴어 등은 서로 다른 언어로 간주되지 않고 모두 라틴어라는 용어로 지칭된다. 라틴어에는 수많은 문체가 있는데, 모든 저자는 자신만의 문체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경험이 풍부한 라틴어 학자들이 그의 산문이나 시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고대 저자들은 서로 다른 종류의 ''sermo'' 또는 "말"을 인식함으로써 처음으로 문체를 정의했다. 고전 라틴어를 "일류"로 평가함으로써, 표준화된 문체로서 도시의 문학적이고 상류층의 언어에 맞춰진 저자들이 선택한 ''Latinitas''로 쓰는 것이 더 나았다. 그것과 다른 모든 ''sermo''는 다른 문체였다. 따라서 수사학에서 키케로는 고전 라틴어 내에서 숭고한, 중간의, 낮은 문체를 정의할 수 있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설교에는 낮은 문체를 추천했다.[4]

존 에드윈 샌디스는 황금기 라틴어와 은세기 라틴어의 차이점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5]

은세기 라틴어는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구분된다.


  • "과장된 간결함과 요점"
  • "시에서 유래한 때때로 고풍스러운 단어와 구절"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그리스어 단어의 증가" (수에토니우스클라우디우스 황제는 라틴어와 그리스어 "두 언어"를 언급한다[6])
  • "문학적 회상"
  • "일반 방언의 단어의 문학적 사용" (고전적인 ''dicere'', "말하다"뿐만 아니라 ''dictare''와 ''dictitare'')

9. 그리스어 차용어

그리스어 문자라틴어 문자발음
Υ/υY/y/ju/ 또는 /juː/
Ζ/ζZ/z/z/
φ, θ, χph, th, ch/p/, /t/, /k/
ρ(어두)rh유성 /r/


10. 구어의 발음 변화

고전 라틴어 구어에서는 철자 그대로의 발음에서 다음과 같은 변화가 나타나, 원래 발음이 점차 사라졌다.


  • "장모음 + I + 모음"은 "이중모음[9] + /j/ + 모음"으로 변화했다. (예: TRŌIA /troija/ 트로이아)
  • bs와 bt는 각각 /ps/와 /pt/로 변화했다.
  • ae와 oe는 각각 /ai/와 /ɔi/로 변화했다.[10]


일반 대중의 구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

  • 어미의 -s는 뒤에 모음이 오지 않으면 발음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 AV (au)는 ō /oː/로 발음되었다.


로망스어족에서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나타났다.

  • C가 [s], [tʃ]로 발음되기 시작했다.
  • G가 [ʒ], [dʒ]로 발음되기 시작했다.
  • V, W가 [v]로 발음되기 시작했다.
  • ph는 /f/로 발음되기 시작했다.

참조

[1] 서적 New England's Memorial https://archive.org/[...] Congregational Board of Publication
[2] 학술지 Article XXX: Thesaurus Linguae Latinae Compendarius W. Innys and R. Manby 1736-01-01
[3] 서적 The making of the modern canon: genesis and crisis of a literary idea Athlone
[4] 서적 Literary Language and its Public in Late Latin Antiquity and in the Middle Ages https://archive.org/[...] Pantheon Books
[5] 서적 A Companion to Latin Studies Edited for the Syndics of the University Press University Press
[6] 문서 Suetonius, Claudius, 24.1.
[7] 문서 後の時代に、母音と子音(半母音)を区別する文字が作られた(I と J、V と U)。
[8] 문서 ラテン語に不要な/z/の音を表す古ラテン語初期のZの使用は断絶していたが、古典ラテン語の時期に使用が復活した。
[9] 문서 この二重母音は、oi, ai, ei, ui。
[10] 문서 日本などの古典ラテン語教科書の中では、この発音変化を取り上げていないものも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