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방교회는 워치만 니에 의해 1920년대 중국에서 시작된 기독교의 한 분파이다. 니는 각 도시에 하나의 교회만 있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플리머스 형제단의 영향을 받아 복음주의적 기독교인들을 이끌었다. 그의 동역자 위트니스 리를 통해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며,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전 중국에 700개 이상의 교회를 세웠다. 지방교회는 삼위일체,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 등 근본주의적 기독교 신앙을 따르며, 성경을 유일한 계시로 믿는다. 한편, 1970년대에는 이단 논쟁에 휩싸이기도 했으나, 2000년대 이후 풀러 신학교와 크리스천 리서치 인스티튜트 등에서 긍정적인 재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근본주의 - 킹 제임스 성경
킹 제임스 성경(KJV)은 1611년 제임스 1세의 명령으로 47명의 학자들이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원전을 바탕으로 번역하여 영국 성공회의 공식 성경이 되었으며, 고풍스러운 문체와 웅장한 어휘로 영어 문학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원문 선택과 번역 정확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1769년 옥스퍼드판이 표준 본문으로 자리 잡았다. - 기독교 근본주의 - 전광훈
전광훈은 사랑제일교회 담임목사이자 기독교 우파 성향의 정치 운동가로,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대표회장과 기독사랑실천당 대통령 후보를 역임했으며 현재 자유통일당 대표를 맡고 있다. - 기독교계 신흥 종교 -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은 이만희를 교주로, 요한계시록을 중심으로 한 종말론적, 메시아적 성격의 종교 단체로, 공격적인 전도 방식과 코로나19 집단 감염 등으로 사회적 논란을 야기하며 주류 기독교계에서 이단으로 간주된다. - 기독교계 신흥 종교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1954년 문선명이 설립한 국제적인 신흥 종교 단체로, '원리강론'을 경전으로 하며 문선명을 '참부모'로 믿고, 다양한 논란과 분파 속에서 현재는 문선진이 세계회장직을 맡고 있다.
| 지방교회 | |
|---|---|
| 개요 | |
| 주요 분류 | 기독교 |
| 성향 | 비교파 |
| 정치 체제 | 회중주의 |
| 창립자 | 니더쭤성 |
| 창립 연도 | 1920년대 |
| 창립 장소 | 중국 |
| 관련 단체 | 리빙 스트림 미니스트리 |
| 역사 | |
| 설립 | 니더쭤성에 의해 1920년대 중국에서 시작됨. |
| 발전 |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의 사역을 통해 발전함. |
| 특징 | 지방 교회는 비정통적인 특성으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음. |
| 신학 | |
| 특징 | 기독교 신앙을 공유하나, 독특한 해석과 실천을 강조함. 특히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의 가르침을 따름. |
| 강조점 | 성경, 그리스도, 영, 생명, 교회 |
| 논쟁 | 일부 기독교 단체로부터 이단이라는 비판을 받음. 삼위일체, 기독론에 대한 독특한 해석이 논쟁의 중심에 있음. |
| 조직 및 운영 | |
| 정치 형태 | 회중주의 |
| 특징 | 각 지방 교회가 자율적으로 운영됨. 중앙 통제 기구나 조직이 없음. |
| 운영 방식 | 성도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헌금으로 운영됨. 정기적인 예배, 성경 공부, 기도 모임 등을 통해 신앙생활을 유지함. |
| 논란 및 비판 | |
| 비판의 주요 내용 | 이단 논쟁: 삼위일체, 기독론에 대한 독특한 해석으로 인해 일부 기독교 단체로부터 이단이라는 비판을 받음. 폐쇄성: 외부와의 교류를 제한하고, 내부 결속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이 있음. 맹목적인 추종: 지도자에 대한 맹목적인 추종을 강요한다는 비판이 있음. |
| 옹호론 | 신앙의 자유: 종교의 자유는 보장되어야 하며, 지방 교회의 신앙을 존중해야 한다는 주장. 오해: 지방 교회에 대한 비판은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며, 실제로는 건전한 신앙 공동체라는 주장. 사회 공헌: 지방 교회는 사회 봉사 활동을 통해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는 주장. |
| 관련 인물 | |
| 주요 인물 | 니더쭤성 위트니스 리 |
| 관련 단체 | |
| 관련 단체 | 리빙 스트림 미니스트리 |
2. 역사

'''지방교회'''(Local Church)는 1920년대 중국에서 워치만 니(1903-1972)에 의해 시작되었다.[72] 그는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나 푸저우의 트리니티 대학에서 공부했으며, 자신의 이름을 니 수추(헨리 니)에서 워치만 니로 바꾸었다.[73]
니는 한국에서도 활동한 감리교 복음전도자 도라 유(위츠두, 1873-1931)에 의해 회심한 후, 영국 선교사 마가렛 바버(허소우언, 1866-1930)와 함께 일하며 세대주의자인 존 넬슨 다비와 플리머스 형제단의 저술들을 접했다. 그는 다비의 반교파적 교회조직을 채택했고, 소규모 복음주의 그리스도인 무리의 인도자로 부상했다. 1933년 영국을 방문했으나, 오스틴 스팍스가 관장하는 비형제회 모임(HOCF)과 교류했다는 이유로 관계가 단절되었다.
1922년부터 1952년 사이, 니의 운동을 통해 중국 전역에 200개 이상의 지방교회들이 세워졌다. 그는 《기독도보》(1925년 창간, 1927년 폐간), 《부흥보》(1928년 창간), 《통문휘간》(1933년 창간), 《주제별 진리 연구 기록》(1930년 창간) 등을 발간하고, '작은 무리의 찬송가'를 출판했다.[74] 또한 50권 이상의 책을 저술했는데, 대표적으로 '정상적인 그리스도인의 교회생활', '영에 속한 사람' 등이 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워치만 니는 미국과 중화민국 정부를 위한 간첩 혐의로 1952년 투옥되었고, 1972년 감옥에서 순교했다.[73]
1930년대 워치만 니는 위트니스 리를 동역자로 얻었다. 위트니스 리는 1948년 타이완으로 파견되었고, 그곳에서 지방교회는 태평양 연안으로 확산되었다.[75] 위트니스 리의 사역으로 대만에서는 65개 교회에서 2만 명이 넘는 신도가 생겨났다.[28]
1950년 한국 전쟁 참전 후 1951년 시작된 비난 운동은 중국 내 기독교 단체들을 외국 세력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외국 선교사들을 추방했다. 이 운동은 삼자애국운동에 참여하지 않은 중국 기독교 지도자들을 겨냥했다. 워치만 니는 오반 운동 기간인 1952년 투옥되어 20년 후 노동 수용소에서 사망했다.[26][27]
1958년 위트니스 리는 미국을 방문했고, 1962년 로스앤젤레스에 정착했다. 현재 미국에는 약 3만 명의 신도가 있는 250개의 지역 교회가 있으며, 지역 교회는 6개 대륙에 걸쳐 분포한다.[29][30]
개신교 직제와 성찬에 관한 내용은 대부분 플리머스 형제단에서 유래했다. 1930년부터 1935년까지 "지방 교회"는 플리머스 형제단과 관계를 유지했지만, 니와 몇몇 중국인 지도자가 다른 교회에서의 성찬 참여를 인정하지 않아 1935년에 관계가 해소되었다.[43]
2. 1. 중국에서의 기원
'''지방교회'''(Local Church)는 워치만 니(1903-1972)에 의해 1920년대 중국에서 시작되었다.[72] 니는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할아버지는 회중교회 목사였고 부모님은 감리교 신자였다. 푸저우의 트리니티 대학에서 공부했으며, 자신의 이름을 니 수추(헨리 니)에서 워치만 니로 바꾸었다.[73]
니는 한국에서도 활동한 감리교 복음전도자 도라 유(위츠두, 1873-1931)에 의해 회심한 후, 영국 선교사 마가렛 바버(허소우언, 1866-1930)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 그녀를 통해 세대주의자인 존 넬슨 다비와 플리머스 형제단의 저술들을 접하게 되었다. 그는 교회조직에 있어서 다비의 반교파적 접근을 채택했고, 곧이어 소규모 복음주의 그리스도인 무리의 인도자로 부상했다. 1933년 영국을 방문했으나, 오스틴 스팍스가 관장하는 비형제회 모임인 HOCF(Honor Oak Christian Fellowship)과 허가받지 않은 교류를 하였다는 이유로 관계가 단절되었다.
니의 운동은 중국 전역에 확산되었다. 1922년부터 1952년 사이에 200개 이상의 지방교회들이 그의 사역을 통해 일어났다. 니는 《기독도보》(1925년 창간, 1927년 폐간), 《부흥보》(1928년 1월 창간), 《통문휘간》(1933년 창간) 등을 발간했다. 1930년 4월부터는 《주제별 진리 연구 기록》이라는 기독교 월간 잡지를 발간했으며, '작은 무리의 찬송가'라는 찬송가집은 1930년에 130곡이 수록되어 출판되었다.[74] 니는 또한 50권 이상의 책을 썼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정상적인 그리스도인의 교회생활'(사역의 재고), '영에 속한 사람' 등이 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은 니를 미국과 중화민국 정부를 위해 간첩행위를 했다고 고소하여 투옥했다. 그는 1972년 감옥에서 순교하였다.
"지방 교회"는 푸젠성 출신 워치만 니의 전도에서 시작되었다. 니는 1922년 교파를 초월하여 소수의 신자들과 함께 모임을 시작했다.[7] 그는 상하이로 이주한 후 기독교 신앙과 교회 실천에 관한 저서를 집필했다. 워치만 니가 위트니스 리를 처음 만난 것은 1932년이었다. 그로부터 2년 후, 리는 니와 함께 활동하기 위해 상하이로 이주했다. 리는 니의 저작물 발행을 담당했다.[41] 니는 많은 저서를 발표하고, 교회 관계자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강습회를 열었다. 니와 리, 그리고 그 외 협력자들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설립까지 중국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에 이르기까지 600개가 넘는 "지방 교회"를 설립했다.[42]
2. 2. 국제적 확산
워치만 니에 의해 시작된 지방교회는 중국을 넘어 국제적으로 확산되었다. 1924년 워치만 니가 말레이시아 시티아완을 방문하면서 동남아시아로 확산되기 시작했다.[75] 1931년부터 1933년 사이에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및 인도네시아의 여러 도시로 퍼져나갔다.[75] 1950년에는 필리핀 마닐라, 1957년 일본, 1958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1959년 브라질, 1963년 캐나다, 1965년 한국, 1970년 뉴질랜드와 호주, 1972년에는 독일과 나이지리아, 그리고 가나로 확산되었다.[75]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 본토를 점령하면서, 1947년에 약 350명에서 500명의 성도들이 대만 섬으로 이주했다.[75] 6년 만에 성도 수는 약 500명에서 약 2만 명으로 증가했다.[75] 1973년 기준으로 당시 대북의 교회는 성도 수가 21,000여 명이고 집회 장소는 열네 곳이었다.[75]
미국으로 이주한 성도들은 그 움직임을 서부 해안으로 가져왔다. 위트니스 리는 1962년에 미국으로 이주해서 리빙스트림 미니스트리(LSM)를 설립했다.[75] 그는 지방교회들 가운데 인도적 지위에 있는 전시간 사역자로 인정받아온 이래, 지방교회의 확산을 위해 전반적인 방향을 제시해 왔다. 그는 또한 "기도로 말씀먹기", "주의 이름을 부름"과 같은 몇 가지 실행들처럼 워치만 니의 저술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몇 가지 신학적 강조점들을 소개함으로 그 운동 안에서 혁신을 위한 근원이 되었다.[75]
2. 3. 1949년 이후의 발전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워치만 니는 미국과 중화민국 정부를 위한 간첩 혐의로 고소당했다. 그는 상하이에서 추방된 후 1952년에 투옥되었고, 1972년 감옥에서 순교했다.[73] 공산당이 중국 본토를 점령한 1949년 당시, 중국 전체 33개 성과 모든 주요 도시에는 수백 개의 지방 교회들이 있었다. 1947년에는 약 350명에서 500명의 성도들이 중국 본토에서 대만 섬으로 이주했고, 6년 만에 성도 수는 약 500명에서 약 2만 명으로 증가했다.[75]1950년 한국 전쟁에 중국이 참전한 후 1951년에 시작된 비난 운동은 중국 내 기독교 단체들을 외국 세력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모든 외국 선교사를 추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운동은 삼자애국운동에 참여하지 않은 중국의 지도적인 기독교인들을 향했다. 워치만 니는 오반 운동 기간인 1952년에 투옥되어 20년 후 노동 수용소에서 사망했다.[26][27]
1930년대에 워치만 니는 위트니스 리를 동역자로 얻었다. 위트니스 리는 1932년 7월에 니의 사역에 동참했고, 2년 뒤 전시간 사역자로서 니의 가장 소중한 동역자가 되었다. 위트니스 리는 1948년에 타이완으로 파견되었고, 그곳의 교회들은 태평양 연안으로 확산되었다.[75] 위트니스 리가 이끌던 대만의 사역은 65개 교회에서 2만 명이 넘는 신도로 성장했다.[28]
1958년 위트니스 리는 미국을 방문했고, 1962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로스앤젤레스에 정착했다. 현재 미국에는 약 3만 명의 신도가 있는 250개의 지역 교회가 있으며, 지역 교회는 사람이 거주하는 6개 대륙 모두에서 찾아볼 수 있다.[29][30] 위트니스 리는 1962년에 미국으로 이주해서 리빙스트림 미니스트리(LSM)를 설립했다. 그는 "기도로 말씀 먹기", "주의 이름을 부름"과 같은 몇 가지 실행들을 소개했다.[75]
동남 아시아에서의 확산은 워치만 니가 1924년 21세 때 말레이시아의 시티아완이라는 도시를 방문하면서 시작되었다. 1931년부터 1933년에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및 인도네시아의 몇몇 도시들로 확산되었으며, 1950년에는 필리핀 마닐라, 1957년 일본, 1958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1959년 브라질, 1963년 캐나다, 1965년 한국, 1970년 뉴질랜드와 호주, 1972년에는 독일과 나이지리아, 1972년에는 가나로 확산되었다.[75]
2. 4. 다른 교파들과의 관계
워치만 니는 존 넬슨 다비의 플리머스 형제단의 가르침을 높이 평가했으며,[9] 이름을 사용하지 않음, 복수 장로직, 성직자와 평신도의 구별을 거부, 주의 만찬을 중심으로 하는 예배 등 니의 많은 가르침은 그 근원과 유사하다.[10] 1930년부터 1935년까지 지방 교회와 제임스 테일러 시니어와 관련된 플리머스 형제단 기독교 교회 지부 사이에 국제적인 소통이 있었다. 테일러 그룹의 익스클루시브 형제단은 중국의 교회들을 하나님의 병행적인 사역으로 보았다.[11] 그러나 니와 다른 중국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모임 외의 기독교인들과 주의 만찬을 기념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았다. 익스클루시브 형제단 지도자들이 니가 1933년 영국과 북미 방문 중에 런던에서 T. 오스틴-스파크스, 하트퍼드에서 손턴 스턴스와 같은 비-형제단 기독교인들과 함께 떡을 뗐다는 사실을 발견하면서 상황이 악화되었다. 2년에 걸쳐 뉴욕, 런던, 상하이의 지도자들 사이에 일련의 서신 교환이 있은 후, 1935년 8월 31일 런던의 익스클루시브 형제단은 상하이에 교제를 단절한다는 내용의 서신을 보냈다.[12][13]니는 모든 도시에 단 하나의 교회만 있어야 하며, 기독교인들은 교리나 관행의 차이에 상관없이 같은 도시에 사는 신자로서 함께 모여야 한다고 가르쳤다. 니는 이것이 기독교인들 간의 분열을 없애고 모든 신자들이 만날 수 있는 가장 광범위한 기반을 제공할 것이라고 믿었다.[17]
개신교의 직제와 성찬에 관해, 그 대부분이 플리머스 형제단에서 유래했다. 1930년부터 1935년까지 "지방 교회"는 플리머스 형제단과 관계를 유지했지만, 니와 몇몇 중국인 지도자는 다른 교회에서의 성찬 참여를 인정하지 않아 1935년에 관계가 해소되었다.[43] 교파나 신앙의 실천 형태가 달라도, 모든 도시에 모든 기독교 신도가 모이는 교회가 하나만 있으면 된다는 것이 니의 주장이었다. 니는 그것이 기독교 신도의 분열을 배제하고, 모든 기독교 신도가 만날 수 있는 더 큰 기반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
3. 신앙
지방교회는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의 저술에 나타난 가르침을 따르며, 이는 '지방교회의 신앙과 생활'이라는 소책자에 요약되어 있다.[76] 이 가르침은 근본주의적인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한다.
고린도전서 14장 26절 등의 성경 구절에 근거하여, 지방교회는 집회에서 상호성을 실천한다. 참석자들은 자유롭게 찬송을 부르거나, 짧은 의견을 나누고, 기도나 찬양을 할 수 있다.[31] 특히 "예언 집회"에서는 성도들이 자신의 최근 학습 내용과 기독교 생활 경험, 그리고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의 해설서를 참고하여 성경을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발언하며, 생명강의사역에서 발행하는 ''아침 부흥을 위한 거룩한 말씀''도 참고한다.[32][33]
지방교회는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에 의해 중국에서 발전했으며, 교파의 본부를 두지 않고 각 신도가 거주하는 도시에서 "어느 지방에 있는 교회"라는 명칭으로 개별적으로 운영된다. 총회나 구역회 등은 존재하지 않으며, 단체명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교회명은 편의상의 명칭으로 여겨진다.[38] 또한, 지방교회는 성직자 계급 제도를 두지 않으며, 개별 교회에 목사, 신부 등의 성직자는 존재하지 않는다.[39] 세례에 있어서는 "관수례"를 성경적이지 않다고 비판하고 "침례"를 채택한다.[38]
일본에서는 "교회"라는 단어의 그리스어 원문 ''ekklesia''가 "에서"를 의미하는 ''ek''과, "부르심을 받은"을 의미하는 ''kaleo''의 파생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아, "소집회"라고 하는 편이 그리스어 원문에 충실하다고 하여 "지방소집회"라고도 칭한다.[40] 기독교 연감에는 "지역에 있으며 하나됨의 입장에 서는 교회"라는 명칭으로 게재되어 있다. 지방교회는 각 지방, 하나의 도시에 교회가 하나여야 한다는 주장에 따라, 이 단체는 편의상 이상의 명칭을 가지고 있지 않다.[38] "지방 교회"에 속하는 신도들은 그리스도의 주관적인 경험[67], 지방 연합의 입장, 그리스도의 몸의 하나됨을 중요시한다.[59][68] 또한, 교회의 출판 부서인 리빙 스트림 미니스트리에서는 "회복역 성경"을 출판하고 있다.
2007년, 복음주의 기독교 학자 및 선교 지도자들은 "지방 교회"에 대한 교리적, 법적 공격을 포기할 것을 촉구하는 공개 서한을 발표했다.
3. 1. 주요 신조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의 가르침을 따르는 지방교회는 근본주의적인 기독교 신앙을 고백하며, 삼위일체, 그리스도의 신성, 처녀 탄생, 대속적인 구속, 그리스도의 부활 및 재림, 성경의 축자영감 등을 믿는다.[76]특히,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하나됨을 강조하며, 종파주의, 교파주의, 범교파주의를 모두 거부하고 각 지방 안에 있는 모든 믿는 이들의 하나됨을 주장한다.[76]
지방교회는 자신들을 성경적인 교회의 회복(또는 복구)의 역사라고 생각한다. 사도 시대 이후 완전한 교회 생활과 그 하나됨이 상실되었지만, 마르틴 루터와 종교 개혁으로 회복이 시작되었고, 진젠돌프 백작과 모라비안(Moravians), 요한 웨슬리와 감리교도들, 더 최근에는 플리머스 형제회의 경건주의 회복을 통해 계속되었다고 본다. 지방교회를 통해 그리스도의 풍성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체험(예를 들면, 생명이신 그리스도를 누림)과 성경에 근거한 교회 생활의 실행이 회복되고 있다고 믿는다.[76]
지방교회의 실행 중 하나인 "기도로 (말씀)읽기"는 기도의 말로서 성경 말씀을 사용하는 경건한 실행이다. 기도하는 중에 개인이나 단체들은 성경으로부터 단어나 구절들을 반복해서 말하면서 찬양이나 감사의 말을 자주 삽입하는데, 이는 하나님의 임재에 대한 체험이 성경 말씀을 통해 기도하는 사람 안으로 들어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주의 상 집회" 또는 "만찬 집회"를 매 주일마다 실행하고 있다.[76][https://www.localchurch.kr/defense/46926]
지방교회의 주요 신조는 다음과 같다:[77][34]
| 번호 | 신조 내용 |
|---|---|
| 1 | 성경은 성령의 감동으로 쓰여진 완전하고 신성한 계시이다.(딤후 3:16, 벧후 1:20-21, 요 5:39, 계 22:18-19) |
| 2 | 하나님은 유일한 삼일 하나님이시며, 성부, 성자, 성령은 영원부터 영원까지 함께 동등하게 존재한다.(딤전 1:17, 엡 4:6, 마 28:19, 고후 13:13, 사 9:6, 요 14:10, 11, 16, 17, 20, 히 9:14) |
| 3 | 하나님의 아들, 바로 하나님 자신이 우리의 구속주와 구주가 되시기 위하여 예수라는 이름의 사람으로 성육신되셨고, 처녀 마리아에게서 나셨다.(마 1:16, 18, 21, 23) |
| 4 | 참 사람이신 예수께서 아버지 하나님을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하여 삼십삼 년 반 동안 이 땅에서 사셨다.(4복음서) |
| 5 | 예수님이 하나님에 의해 성령으로 기름 부음 받은 그리스도이시며(마 1:16, 마 3:16-17), 우리의 죄를 위해 십자가에서 죽으시고, 우리의 구속을 성취하기 위해 피를 흘리셨다.(롬 3:23-25) |
| 6 | 예수 그리스도께서 장사된 지 사흘 만에 죽은 자 가운데서 영적으로만이 아니라 육신적으로도 부활하셨고, 부활하여 생명 주는 영이 되셔서 우리의 생명과 모든 것으로 그분 자신을 우리 안에 넣어 주심을 믿는다.(벧전 3:18, 1:3, 고전 15:45) |
| 7 | 주께서 부활하신 후에 하늘로 승천하셨고, 하나님께서 그분을 만유의 주로 삼으셨다.(엡 4:8, 2:6, 행 1:1-12, 2:33, 36) |
| 8 | 그리스도께서 승천하신 후 그분의 택하신 지체들에게 하나님의 영을 부어 몸 안으로 침례받게 하셨고,(행 2:1-4, 고전 12:13) 또한 그리스도의 영이신 하나님의 영이 오늘날 이 땅 위에 운행하시면서 죄인들을 회개케 하고,(요 16:7-13) 하나님의 택하신 백성을 거듭나게 하며,(요 3:3-6) 그리스도의 지체들 안에 거하면서 생명을 자라게 하고,(빌 1:21, 엡 4:13-16) 그분의 충만한 표현을 위해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심을 믿는다.(엡 1:21) |
| 9 | 마지막 때에 그리스도께서 그분의 지체들을 맞이하고, 세상을 심판하시고, 이 땅을 얻으시며, 그분의 영원한 왕국을 세우시기 위하여 재림하실 것을 믿는다.(살전 4:16, 17, 마 25:31, 32, 계 19장, 20장) |
| 10 | 이기는 성도들이 천년왕국에서 그리스도와 함께 왕 노릇 할 것을 믿고, 그리스도 안의 모든 믿는 자들이 새 하늘과 새 땅에 있을 새 예루살렘에서 영원히 하나님의 복에 참예할 것을 믿는다.(계 20:4, 6, 계 21장, 22장) |
-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그분의 영감 아래 한 단어 한 단어 기록되었으며(디모데후서 3:16), 사람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완전하고 유일한 기록된 계시이다.(신명기 4:2; 12:32; 잠언 30:5-6; 요한계시록 22:18-19)
- 한 분 하나님(신명기 6:4; 고린도전서 8:4b; 이사야 45:5a)이 계시며, 삼위일체이시니—성부, 성자, 성령(마태복음 28:19)—세 위격(person) 안에 공존하시고(마태복음 3:16-17; 고린도후서 13:14) 상호 내재하시며(요한복음 14:10-11), 각 위격은 구별되지만 결코 분리되지 않고 영원부터 영원까지 존재하신다.
-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독생자(요한복음 1:18; 3:16), 곧 하나님 자신이시며(요한복음 1:1), 성육신을 통해 참된 사람이 되셨다.(요한복음 1:14) 그분은 신성과 인성을 모두 지니셨으며(로마서 9:5; 디모데전서 2:5), 두 본성은 하나의 인격 안에서 결합되어 혼동이나 변화 없이, 그리고 제3의 본성을 형성하지 않고 뚜렷하게 보존된다.
- 그리스도는 우리의 죄를 위해 죽으셨고 죽은 자 가운데서 육체로 부활하셨으며(고린도전서 15:3-4; 사도행전 4:10; 로마서 8:34), 만유의 주로서 하나님의 오른편으로 높여지셨고(사도행전 5:31; 10:36), 신부인 교회(요한복음 3:29; 요한계시록 19:7)를 맞이하러, 그리고 열방을 다스릴 만왕의 왕으로 다시 오실 것이다.(요한계시록 11:15; 19:16)
- 구원은 오직 은혜로, 오직 믿음을 통해, 오직 그리스도 안에 있으며(에베소서 2:5, 8), 그분의 완성된 사역으로 말미암아 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됨(로마서 3:24, 28; 갈라디아서 2:16)과 하나님의 자녀가 되기 위해 하나님에게서 태어나는 것(요한복음 1:12-13)을 가져온다.
- 교회는 그리스도의 유일한 몸으로서, 그리스도의 사역의 결과이며(에베소서 1:22-23),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참된 신자들로 구성된다.(로마서 12:5; 고린도전서 12:12) 신약 성경의 계시에 따르면, 교회는 시간과 공간 속에서 지방 교회들로 나타나며, 각 지방 교회는 특정 도시 안의 모든 신자들을 포함한다. 그들이 어디에서 모이든, 어떻게 스스로를 인식하든 상관없이.(고린도전서 1:2; 데살로니가전서 1:1; 요한계시록 1:11)
-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신자들은 영원토록 새 하늘과 새 땅의 새 예루살렘에서 하나님의 복에 참여할 것이다.(요한계시록 21:1—22:5)
2007년, 복음주의 기독교 학자 및 선교 지도자들은 "지방 교회"에 대해 교리적, 법적 공격을 포기할 것을 촉구하는 공개 서한을 발표했다. 이 서한에서 지적된 위트니스 리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 아들은 아버지라고 불린다. 그러므로 아들은 아버지여야 한다. (디모데전서 6:16)
- 하나님 전체, 삼위일체의 하나님이 육신이 되셨다.
- 그리스도는 인간의 본성과 신의 본성, 두 가지 본성을 모두 가지고 계시며, 우리도 마찬가지이다. 그분(그리스도)은 신인(神人)이시고, 우리도 신인입니다.
- 신은 신자들에게 "나는 신이요 인간이다"라고 말할 수 있으며, 신의 신자는 "주님, 당신을 찬양합니다. 당신은 신이요 인간이시며, 우리는 인간이요 신입니다"라고 말할 수 있다.
- 주님은 기독교 세계에 그분의 교회를 세우지 않았으며, 그것은 배교자들의 로마 가톨릭 교회와 프로테스탄트 종파로 구성되어 있다.
- 배교 교회는 주님의 말씀에서 벗어나 이단이 되었다. 개혁교회는 어느 정도 주님의 말씀에 회복되었지만, 루터파, 감리교파, 성공회, 장로교, 침례교 등, 다른 많은 이름을 취하여 자신의 이름을 내세우며 주님의 이름을 부정했다.
- 하나님을 아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그리스도를 아는 것도 적절하지 않습니다. 교회를 아는 것조차 적절하지 않습니다. "지방 교회"를 알아야 합니다.
4. 조직
지방교회는 한 도시에 하나씩 있는 독립적인 회중들의 교통으로 조직된다. 각 회중은 회중이 인정하는 인도자들 중에서 선출된 2~5명의 소규모 장로 그룹이 가르치고, 복음을 전하며, 일반적인 행정일을 담당한다.[38] 또한, 사도적 기능을 가진 교사 및 리더십 훈련가들이 지방교회들을 순회하며, 지방교회가 없는 도시에 새로운 모임을 시작하기도 한다. 지정된 사역자들은 대체로 자신의 사역을 독립적인 사역으로 조직한다. 예를 들어, 위트니스 리의 사역은 리빙스트림 미니스트리로 통합되었으며, 이는 현재 지방교회들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사도적 활동이다.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에 의해 중국에서 발전한 지방교회는 교파 본부를 두지 않고, 각 신자가 거주하는 도시에서 "어느 지방에 있는 교회"라는 명칭으로 개별 교회를 운영하며, 총회나 구역회 등은 존재하지 않는다.[38] 단체명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이며, 교회명은 편의상의 명칭으로 간주된다.[38] 지방교회는 성직자 계급 제도를 두지 않으며, 개별 교회에 목사, 신부 등의 성직자는 존재하지 않는다.[39]
지방교회는 교인이 새로운 도시에 회중을 조직하려는 자발적인 운동이나 사도적 사역자들에 의해 확산되어 왔다. 미국의 교회들은 처음에 타이완에서 이주해 온 성도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후 위트니스 리의 권고로 지방교회는 "예루살렘의 원칙"이라 불리는 새로운 전략을 채택했는데, 이는 새로운 모임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소규모 교인 그룹이 새로운 지방으로 이주하는 것이다.
5. 집회
지방교회는 고린도전서 14장 26절 ("그런즉 형제들아 어찌할꼬 너희가 모일 때에 각각 찬송시도 있으며 가르치는 말씀도 있으며 계시도 있으며 방언도 있으며 통역함도 있나니 모든 것을 덕을 세우기 위하여 하라.")과 같은 성경 구절에 근거하여 집회에서 상호성을 실천한다. 참석자들은 자유롭게 찬송을 요청하고, 짧은 코멘트를 하거나, 기도나 찬양을 드릴 수 있다.[31] 특히 "예언 집회"에서 두드러지는데, 이 집회에서 성도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최근 학습과 기독교 생활에서의 경험, 그리고 지난 한 주 동안 워치만 니와 이수자의 해설서를 참고하여 성경을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번갈아 가며 발언한다. 여기에는 생명강의사역에서 발행하는 정기 간행물인 ''아침 부흥을 위한 거룩한 말씀''도 포함된다.[32][33] 「지방 교회」에서는 고린도전서 14장 26절[69]을 바탕으로 집회 시 「상호성」을 실천한다. 참회자에게는 신앙 고백이나, 찬송가 참여, 또는 자유롭게 기도하는 것이 권장된다.[70][71]
6. 논쟁과 평가
지방교회는 1970년대부터 복음주의 기독교 단체들과 논쟁을 겪었고, 1980년대에는 법적 조치로 이어졌다. 일부 저술가들은 지방교회를 이단으로 공격했으나, 지방교회는 여러 소송을 통해 비난 책자 회수 및 사과문을 받아냈다. 사이비이단연구소(the Spiritual Counterfiets Project)와의 소송은 법정 판결까지 갔고, 1985년에 명예 훼손으로 1100만달러의 손해배상 판결을 받았다.[35]
2000년대 초, 풀러 신학교와 기독교 연구소(Christian Research Institute)는 지방교회를 평가했다. 풀러 신학교는 2년간의 연구 끝에 지방교회의 가르침과 관행이 성경적인 기독교 신앙을 따른다고 발표했고,[35] 기독교 연구소는 6년간의 연구 후 2009년 12월 저널 특별호를 통해 이전의 비판을 철회했다.[36]
위트니스 리와 지방교회에 대해서는 전통적인 기독교 교회 등에서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1976년, 지방교회는 『The Mindbenders』와 『The God-Men』이라는 비판 서적에 대해 소송을 제기하여 명예 훼손 판결을 받았다.[60][61] 2001년, 『Encyclopedia of Cults and New Religions』를 출판한 Harvest House Publishers에 대한 소송에서는 지방교회의 주장이 기각되었다.[62] 이 소송에서 출판사 변호인인 샤프 텍사스 법과대학 교수는 종교적 견해 표명만으로 명예 훼손이 성립하면 종교 논쟁이 불가능하다는 견해를 밝혔다.[63]
현재, 도쿄에 있는 교회에 따르면, 지방교회의 실행은 미국, 극동, 유럽, 러시아,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그리고 중동 등 전 세계로 퍼져 있다.[59]
2007년 1월 9일, 7개국 60명 이상의 복음주의 기독교 학자와 선교 지도자들은 지방교회에게 다른 교회나 조직에 대한 교리적, 법적 공격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공개 서한을 발표하기도 했다.
6. 1. 논쟁
1970년대에 지방교회는 복음주의적인 그리스도인 단체들과 논쟁을 겪었고, 이는 1980년대에 법적 조치로 이어졌다. 일부 저술가들은 지방교회를 이단으로 공격했으나, 지방교회는 여러 소송을 통해 사과를 받아냈다. 사이비이단연구소(the Spiritual Counterfiets Project)와의 소송은 법정 판결까지 이어졌으며, 1985년에 사이비이단연구소는 명예 훼손으로 1100만달러의 손해배상 판결을 받았다.[35]2000년대 초, 풀러 신학교와 기독교 연구소(Christian Research Institute)는 지방교회를 평가했다. 풀러 신학교는 2년간의 연구 끝에 지방교회의 가르침과 관행이 성경적인 기독교 신앙을 따른다고 발표했다.[35] 기독교 연구소는 6년간의 연구 후 2009년 12월 저널 특별호를 통해 이전의 비판을 철회했다.[36]
위트니스 리와 "지방 교회"에 대해 전통적인 기독교 교회 등에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1976년, "지방 교회"는 『The Mindbenders』와 『The God-Men』이라는 비판 서적에 대해 소송을 제기하여 명예 훼손 판결을 받았다.[60][61] 2001년, "지방 교회"를 다룬 『Encyclopedia of Cults and New Religions』를 출판한 Harvest House Publishers에 대한 소송에서는 "지방 교회"의 주장이 기각되었다.[62] 이 소송에서 출판사 변호인인 샤프 텍사스 법과대학 교수는 종교적 견해 표명만으로 명예 훼손이 성립하면 종교 논쟁이 불가능하다는 견해를 밝혔다.[63]
2007년 1월 9일, 7개국 60명 이상의 복음주의 기독교 학자와 선교 지도자들은 "지방 교회"에게 다른 교회나 조직에 대한 교리적, 법적 공격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공개 서한을 발표했다.
6. 2. 긍정적 재평가
대한민국에도 다수의 목회자들이 수학한 바 있는 풀러신학대학은 지방교회와의 2년 간의 광범위한 대화를 마친 후에 "지방교회들과 그 구성원들의 가르침들과 실행들이 본질적인 모든 방면에서 진실하고 역사적이고 성경적인 그리스도인 신앙을 대표한다"고 선언했으며[78][79], 크리스천 리서치 인트티튜트(CRI)의 대표인 행크 해네그래프는 지방교회에 대한 기존의 입장을 뒤집고 "우리가 틀렸었다.[80]"고 발표, 한기총 앞으로 서신을 보내 지방교회에 대해 재평가해줄 것을 요청했다.[81][82] 2012년에 DCP Korea 출판사에서 풀러신학대학과 CRI에서 발표한 것을 근거로 "재평가 된 지방교회" 책자를 출간한 바 있다.[83][84]2000년대 초반, 지방교회는 풀러 신학교와 기독교 연구소(Christian Research Institute)에서 광범위한 평가를 받았다. 풀러 신학교는 2년간의 연구 후, "지방교회와 그 구성원의 가르침과 관행은 모든 필수적인 측면에서 진실하고 역사적이며 성경적인 기독교 신앙을 나타낸다"라고 발표했다.[35] 기독교 연구소(Christian Research Institute)는 6년간의 연구 끝에, 2009년 12월 저널 특별호 표지에 "우리가 틀렸다"라는 문구를 실었다. 행크 하네그라프, 엘리엇 밀러, 그레첸 파산티노는 자신들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고, 이는 이전의 비판을 완전히 뒤집는 결과를 가져왔다.[36]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에 걸쳐 "지방 교회"는 미국의 Christian Research Institute, Answers In Action 등의 단체로부터 격렬한 반대에 직면했으나, 이후 일부 단체와는 화해했다. 2008년에는 Christian Research Institute의 대표인 행크 하네그래프, Answers In Action의 이사인 그레첸 파산티노로부터 과거의 오해 경위, "지방 교회"의 정통성 등을 보여주는 성명문이 발표되었다.[54] 풀러 신학교는 "지방 교회" 실행자와의 장기적인 대화와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의 저서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검토를 통해 "지방 교회"의 실행과 그들이 가진 신학의 정통성을 인정하고, 동시에 "지방 교회" 실행의 컬트성을 완전히 부정하는 성명문을 발표했다.[55][56][57]
Christian Research Institute는 2009년에 "Christian Research Journal"에서 『We Were Wrong (우리는 틀렸다)』를 발행했다. 과거 반대 활동으로 인해 "지방 교회" 실행이 컬트 시 되어 큰 피해를 입힌 것에 대해 사과하고, "지방 교회"의 정통성을 62페이지 분량의 지면 중 50페이지 이상을 할애하여 상세히 논했다.[58]
6. 3. 한국에서의 비판적 견해
2000년대 초반, 지방교회는 두 차례의 광범위한 평가를 받았다. 이는 수십 년간의 논란(지방교회 논란 참조)을 배경으로 이루어졌다. 풀러 신학교 교수진 패널은 2년간의 연구 후, "지방교회와 그 구성원의 가르침과 관행은 모든 필수적인 측면에서 진실하고 역사적이며 성경적인 기독교 신앙을 나타낸다"라고 발표했다.[35] 기독교 연구소(Christian Research Institute)는 6년간의 연구 끝에 2009년 12월 저널 특별호를 발행하여 표지에 "우리가 틀렸다"라는 문구를 실었다. 이 특별호에서 행크 하네그라프, 엘리엇 밀러, 그레첸 파산티노는 이전의 비판을 완전히 뒤집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36]7. 최근 동향
미국 기독교계 내에서는 지방 교회에 대한 긍정적인 재평가가 잇따르고 있다. 대한민국에도 다수의 목회자들이 수학한 바 있는 풀러신학대학은 지방 교회와의 2년간의 광범위한 대화를 마친 후에 "지방 교회들과 그 구성원들의 가르침들과 실행들이 본질적인 모든 방면에서 진실하고 역사적이고 성경적인 그리스도인 신앙을 대표한다"고 선언했으며[78][79], 크리스천 리서치 인트티튜트(이하 CRI)의 대표인 행크 해네그래프는 지방 교회에 대한 기존의 입장을 뒤집고 "우리가 틀렸었다.[80]"고 발표, 한기총 앞으로 서신을 보내 지방 교회에 대해 재평가해줄 것을 요청했다.[81][82] 2012년에 DCP Korea 출판사에서 풀러신학대학과 CRI에서 발표한 것을 근거로 "재평가 된 지방 교회" 책자를 출간한 바 있다.[83][84]
참조
[1]
서적
Handbook of Denominations in the United States
Abingdon Press
2018
[2]
간행물
The Things Which You Have Seen
1926-02
[3]
간행물
The Dawn of Revival
1928
[4]
간행물
The "Local Church" as Movement and Source of Controversy
https://www.equip.or[...]
[5]
논문
Globalization of Chinese Christianity: A Study of Watchman Nee and Witness Lee's Ministry
2016
[6]
논문
Watchman Nee and Witness Lee
https://www.congress[...]
2014-04-29
[7]
문서
Liu 2016, p. 99
[8]
논문
Watchman Nee and the Little Flock Movement in Maoist China
[9]
서적
Missionary Primitivism and Chinese Modernity: The Brethren in Twentieth-Century China
Brill
2019
[10]
문서
Miller 2009, p. 10
[11]
서적
The Recovery and Maintenance of the Truth
Stow Hill Bible and Tract Society
1951
[12]
문서
Woodbridge 2019, pp. 49-75
[13]
논문
The Exclusive Brethren, Watchman Nee, and the Local Churches in China
2019
[14]
서적
The Assembly Life
Living Stream Ministry
1995
[15]
서적
Concerning Our Missions
Witness and Testimony Publishers
1939
[16]
문서
Buntain 2019, pp. 60, 68
[17]
문서
Lee 2005, p. 75
[18]
문서
Nee 1939, pp. 112-113, 128-129; 1980, pp. 97-98, 111
[19]
문서
Profiles in Belief
Harper & Row
[20]
PhD
Watchman Nee's Doctrine of the Church 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Contribution to the Local Church Movement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1992
[21]
문서
Pitts 2014, p. E621
[22]
문서
Liu 2016, p. 101
[23]
서적
The Church in Communist China: A Protestant Appraisal
Friendship Press
1962
[24]
문서
Liu 2016, 102
[25]
서적
Christianity in Communist China
Word Books
1969
[26]
문서
Lee 2005, 87-88
[27]
논문
Política y fe: patrones de las relaciones iglesia-estado en la China Maoísta (1949-1976)
https://www.historia[...]
2008-10
[28]
문서
Miller 2009, p. 10
[29]
문서
Olson 2018, p. 328
[30]
문서
Liu 2016, p. 110
[31]
서적
The Proper Way for Believers to Meet and to Serve
Living Stream Ministry
2012
[32]
간행물
Ask Hank: Are the Local Churches, Founded by Watchman Nee and His Protégé Witness Lee, a Pseudo-Christian Cult?
https://www.equip.or[...]
[33]
서적
The Practice of the Church Life according to the God-ordained Way
Living Stream Ministry
[34]
서적
Our Faith, Testimony, and History: A Brief Introduction to the Local Churches and the Ministry of Watchman Nee and Witness Lee
https://an-open-lett[...]
DCP Press
2019
[35]
문서
Statement
https://an-open-lett[...]
Fuller Theological Seminary
2006-01-05
[36]
간행물
We Were Wrong
https://www.equip.or[...]
[37]
서적
The Experts Speak-The Testimony of J. Gordon Melton, John A. Saliba, Eugene Van Ness Goetchius, Rodney Stark, H. Newton Malony, and Edwin S. Gaustad Concerning Witness Lee and the Local Churches
Living Stream Ministry
[38]
문서
藤野 (2008)
[39]
웹사이트
法人としての「東京に在る教会」について
https://church-in-to[...]
東京に在る教会
2019-05-17
[40]
웹사이트
使徒5:11#1
http://recoveryversi[...]
JGW日本福音書房
2019-05-17
[41]
서적
A Memorial Biography of Brother Witness Lee
Living Stream Ministry
[42]
간행물
Cultic, Aberrant, or (Unconventionally) Orthodox? A Reassessment of the "Local Church" Movement
[43]
웹사이트
Watchman Nee Rejected the Exclusive Way
http://www.concerned[...]
The Fellowship Journal
2015-05-31
[44]
웹사이트
09.召会、エクレシア、キリストのからだ
http://church-in-fuk[...]
"福岡に在る召会"
2019-05-18
[45]
문서
藤野 (2008)
[46]
서적
China: Christian Students Face the Revolution
[48]
서적
Voices of Confirmation Concerning Watchman Nee, Witness Lee and the Local Churches
DCP Press
1986
[49]
서적
"Watchman Nee: A Seer of the Divine Revelation in the Present Age."
Living Stream Ministry
[50]
문서
藤野 (2008)
[51]
문서
パートリッジ (2009)
[52]
문서
パートリッジ (2009)
[53]
뉴스
【中国】中国が邪教取締を強化、「未成年勧誘」など厳罰方針
https://jp.reuters.c[...]
2017-01-29
[54]
웹사이트
The Local Churches: “Genuine Believers and Fellow Members of the Body of Christ” — Contending for the Faith
https://contendingfo[...]
2019-05-17
[55]
웹사이트
Fuller Theological Seminary
http://www.fuller.ed[...]
2019-05-17
[56]
웹사이트
Fuller Theological Seminary (PDF)
http://lctestimony.o[...]
2019-05-17
[57]
웹사이트
フラー神学大学の声明文
https://localchurch-[...]
2019-05-17
[58]
웹사이트
We Were Wrong - Christian Research Institute
https://www.equip.or[...]
2019-05-17
[59]
웹사이트
東京に在る教会
https://church-in-to[...]
東京に在る教会
2019-05-17
[60]
웹사이트
“The Mindbenders” – History
https://contendingfo[...]
Contending for the Faith
2019-08-01
[61]
웹사이트
“The God-Men” by Neil T. Duddy and SCP—Judge’s Decision—Index
https://contendingfo[...]
Contending for the Faith
2019-08-01
[62]
웹사이트
Progress of Local Church et al v. Harvest House et al
https://contendingfo[...]
Contending for the Faith
2019-08-01
[63]
간행물
破産覚悟の「カルト」批判と脱会者のリハビリ・センター : アメリカの「カルト」事情2006
https://hdl.handle.n[...]
中外日報社
[64]
웹사이트
Open Letter to the Leadership of Living Stream Ministry and the "Local Churches"
http://www.open-lett[...]
2019-08-12
[65]
문서
『JMR調査レポート(2017年4月)』
http://www.tci.ac.jp[...]
[66]
서적
クリスチャンライフテキストブック
神戸キリスト栄光教会
[67]
웹사이트
事実、信仰、経験
https://church-in-to[...]
東京に在る教会
2019-05-17
[68]
웹사이트
"「地方合一の立場に立つ教会」、「地方教会」について"
https://church-in-to[...]
東京に在る教会
2019-05-17
[69]
문서
新共同訳『新約聖書』より抜粋。
[70]
서적
The Conclusion of the New Testament Msgs
Living Stream Ministry
[71]
서적
The Church—The Vision and Building Up of the Church
Living Stream Ministry
[72]
서적
Encyclopedia of American Religions(미국종교백과사전), 5th Edition
J. Gordon Melton
[73]
서적
금세기 신성한 계시의 선견자, 워치만 니
한국복음서원
[74]
서적
역사와 계시
한국복음서원
[75]
서적
교회의 역사와 지방 교회들
한국복음서원
1999
[76]
웹인용
지방교회 교회자료
http://www.localchur[...]
[77]
웹인용
믿음을 위한 싸움
https://contendingfo[...]
2020-09-20
[78]
웹인용
믿음을 위한 싸움
https://web.archive.[...]
2015-12-02
[79]
웹인용
풀러신학 성명서
https://www.youtube.[...]
YouTube
[80]
웹사이트
We Were Wrong - CRI
http://www.equip.org[...]
[81]
웹사이트
현대종교
http://www.hdjongkyo[...]
[82]
웹사이트
크리스천 리서치 인트티튜트
http://www.equip.org[...]
[83]
뉴스
지방 교회 최초 비판했던 CRI “우리가 틀렸었다”
https://www.christia[...]
크리스천투데이
2010-02-27
[84]
웹인용
저명한 세 크리스찬 단체들의 증언
https://contendingf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