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튜샤 (노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튜샤"는 러시아 여성의 이름을 딴 러시아 민요이다. 이 노래는 가파른 강둑에 서서 사랑하는 군인에게 노래하는 여성을 묘사하며, 군인이 조국을 지키는 동안 사랑을 지키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 군인들이 전쟁터로 떠나면서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불렸다. 이탈리아에서는 파르티잔 저항가로, 중국, 일본 등에서도 널리 불리며 문화적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8년 노래 - 대륙행진곡
    대륙행진곡은 1938년 중일 전쟁 당시 일본의 대륙 침략을 정당화하고 전쟁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노래로, 토리고에 츠요시 작사, 중지나 파견군 군악대 작곡, 일본 정부의 애국가 선전으로 널리 보급되었다.
  • 1938년 노래 - New San Antonio Rose
    "New San Antonio Rose"는 밥 윌스 앤 히즈 텍사스 플레이보이스가 1938년에 녹음한 웨스턴 스윙 음악의 전형으로, 윌스의 대표곡이 되어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커버하고 영화에 삽입되었으며, 샌안토니오에는 이 곡의 제목을 딴 장소들도 있다.
  • 소련의 노래 - 항공행진곡
    항공행진곡은 러시아어로 작사되어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1990년대 한국 노동 운동, 2002년 한일 월드컵 응원가 등 다양한 형태로 불렸으나 스탈린 시대와의 연관성 및 군국주의 미화 논란을 겪기도 했다.
  • 소련의 노래 - 칼린카
    칼린카는 '작은 가막살나무'라는 뜻의 러시아어에서 비롯된 러시아 민요로, 이반 페트로비치 라리오노프가 만들었으며, 가막살나무, 산딸기, 휴식, 사랑에 대한 갈망을 담은 가사와 빠른 템포, 경쾌한 선율로 러시아를 대표하는 음악으로 알려졌다.
  • 군대를 소재로 한 노래 - 롤랑의 노래
    《롤랑의 노래》는 작자 미상의 프랑스 무훈시로, 롱스보 전투를 배경으로 롤랑과 프랑크 군대의 용맹함, 가넬론의 배신을 다루며, 기독교적 가치관과 기사도 정신을 반영한 중세 프랑스 문학의 대표작이다.
  • 군대를 소재로 한 노래 - 에리카 (노래)
    에리카는 헤름스 닐이 작사 및 작곡한 독일 행진곡으로, 군인의 연인을 꽃에 비유한 가사와 특징적인 멜로디를 가지고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에 의해 널리 불리며 선전 도구로 활용되기도 했고, 이후 여러 나라에서 번안되어 현대에도 다양한 매체에서 사용되고 있다.
카튜샤 (노래) - [음악]에 관한 문서
곡 정보
제목카튜샤
원어 제목Катюша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Katyusha
언어러시아어
발표 연도1938년
장르러시아 로망스
작곡가마트베이 이사코비치 블란테르
작사가미하일 이사코프스키
관련 정보
관련 노래카츄샤의 노래 (일본어)

2. 가사

이 노래는 카튜샤라는 러시아 여성이 가파른 강둑에 서서 멀리서 복무하고 있는 사랑하는 군인에게 보내는 노래이다. 노래의 주제는 군인이 조국과 그 국민을 보호하는 동안, 그의 여인이 그들의 사랑을 지키겠다는 것이다. 이 가사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많은 소련 남성들이 대조국 전쟁에 참전하면서 아내와 여자 친구를 떠나게 되면서 의미를 갖게 되었다.[13] 카튜샤는 예카테리나(Екатеринаru)의 애칭이다.

2. 1. 러시아어 원문 및 독음

;1절

:Расцветали яблони и груши,|라스쯔비딸리 야블라니 이 그루쉬,ru

:Поплыли туманы над рекой;|빠쁠릘리 뚜마늬 나드 리꼬이;ru

::Выходила на берег Катюша,|븨하디일라 나 볘롁 까쮸샤,ru

::На высокий берег, на крутой.|나 븨쏘끼 볘롁 나 끄루또이.ru

;2절

:Выходила, песню заводила|븨허딜라 뼤스뉴 자바딜라ru

:Про степного, сизого орла,|쁘라 스찝노바 시저버 아를라,ru

::Про того, которого любила,|쁘라 따보 까또로보 류빌라,ru

::Про того, чьи письма берегла.|쁘라 따보 츼 삐시마 비례글라.ru

;3절

:Ой, ты песня, песенка девичья,|오이 뜨이 뼤스냐 뼤센까 제비챠,ru

:Ты лети за ясным солнцем вслед,|뜨이 례찌 자 야스늼 쏜쩸 프슬롓,ru

::И бойцу на дальнем пограничье|이 바이쭈나 달녬 빠그라니치예ru

::От Катюши передай привет.|아뜨 까쮸쉬 삐레다이 쁘리볫.ru

;4절

:Пусть он вспомнит девушку простую,|뿌스찌 온 프스봄닛 제부슈꾸 쁘라스뚜유ru

:Пусть услышит, как она поёт,|뿌스찌 우슬릐쉿 까크 아나 빠욧ru

::Пусть он землю бережёт родную,|뿌스찌 온 짐류 스비리죳 랏누유ru

::А любовь Катюша сбережёт.|아 류보프 까쮸샤 스비리죳ru

;5절

:Расцветали яблони и груши,|라스쯔비딸리 야블라니 이 그루쉬,ru

:Поплыли туманы над рекой;|빠쁠릘리 뚜마늬 나드 리꼬이;ru

::Выходила на берег Катюша,|븨하디일라 나 볘롁 까쮸샤,ru

::На высокий берег, на крутой.|나 븨쏘끼 볘롁 나 끄루또이.ru

2. 2. 한국어 번역

Расцветали яблони и груши,|사과나무와 배나무에 꽃이 피고,ru

Поплыли туманы над рекой;|안개가 강 위로 떠올랐네.ru

Выходила на берег Катюша,|카튜샤는 강가로 나왔네,ru

На высокий берег, на крутой.|높고 가파른 강둑으로.ru

Выходила, песню заводила|카튜샤는 노래를 불렀네,ru

Про степного, сизого орла,|초원의 잿빛 독수리에 대한 노래,ru

Про того, которого любила,|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노래,ru

Про того, чьи письма берегла.|그의 편지를 소중히 간직하는 노래.ru

Ой, ты песня, песенка девичья,|오, 노래야, 소녀의 노래야,ru

Ты лети за ясным солнцем вслед,|밝은 해를 따라 날아가렴,ru

И бойцу на дальнем пограничье|머나먼 국경의 병사에게ru

От Катюши передай привет.|카튜샤의 인사를 전해주렴.ru

Пусть он вспомнит девушку простую,|그가 순박한 처녀를 떠올리게 하고,ru

Пусть услышит, как она поёт,|그녀의 노래를 듣게 하렴,ru

Пусть он землю бережёт родную,|그가 조국을 지키게 하고,ru

А любовь Катюша сбережёт.|카튜샤는 사랑을 지킬 것이네.ru

Расцветали яблони и груши,|사과나무와 배나무에 꽃이 피고,ru

Поплыли туманы над рекой;|안개가 강 위로 떠올랐네.ru

Выходила на берег Катюша,|카튜샤는 강가로 나왔네,ru

На высокий берег, на крутой.|높고 가파른 강둑으로.ru

3. 역사

이 노래의 인기는 독일소련을 상대로 바르바로사 작전을 시작하면서 더욱 높아졌다. 모스크바의 소련 산업 학교 여학생들이 나치 독일에 맞서 전선으로 떠나는 군인들에게 작별을 고하며 이 노래를 불렀다.[3] 1938년 가을 모스크바 노동조합 회관 기둥 홀에서 열린 소련 국립 재즈 오케스트라 콘서트에서 발렌티나 바티시체바가 공식적으로 처음 불렀고, 이후 리디아 루슬라노바, 타마라 시냐브스카야, 게오르기 비노그라도프 등 다른 유명 가수들도 불렀다. "카츄샤"는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의 레퍼토리 중 하나이다.[4]

3. 1. 노래의 탄생과 초기 역사

1938년 미하일 이사콥스키(Михаил Исаковский)가 가사를 쓰고, 마트베이 블란테르(Матвей Блантер)가 곡을 붙였다. 이사코프스키는 공산주의를 찬양하는 가사를 썼고, 블란테르는 노농 적군을 위한 곡과 스탈린 찬양 곡도 제작했다.[3] 군가인 이 곡은 1938년 이사코프스키와 블란테르가 출판사의 중개로 만나면서 제작이 시작되었다. 두 사람은 의뢰받은 신간 잡지용 곡을 완성하고 돌아가는 차 안에서 다음 작품을 구상했다. 블란테르가 자신이 이끄는 국립 재즈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 제작을 제안하자, 이사코프스키는 자신이 지은 시를 암송했다. 블란테르는 그 시를 받아 적었고, 당시 이미 리듬과 선율이 머릿속에 떠올랐다고 한다.

초기에는 2절까지만 있었고, 카츄샤의 연인이 병사로 징집되었다는 내용은 없었다. 그러나 당시 불안정한 세계 정세를 반영하여, 국경 경비에 나선 젊은 병사를 고향의 연인이 그리워하며 부르는 내용으로 3절과 4절이 추가되었다. "카츄샤"는 1938년 11월 27일 발렌티나 바티셰바(Валентина Батищеваru)가 빅토르 크누셰비츠키(Виктор Кнушевицкийru)가 이끄는 재즈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으로 초연했다. 초연은 호평을 받아 앙코르 요청에 3번이나 연주되었다.[4] 1938년 가을 모스크바 노동조합 회관 기둥 홀에서 열린 소련 국립 재즈 오케스트라 콘서트에서 발렌티나 바티시체바가 공식적으로 처음 불렀다. 이후 리디아 루슬라노바, 타마라 시냐브스카야, 게오르기 비노그라도프 등 다른 유명 가수들도 불렀다.

1941년 6월 독소전[14] 발발 후, 종군하는 병사를 칭송하는 곡으로 불리며 대표적인 전시 유행가가 되었다.

3. 2. 제2차 세계 대전과 카츄샤

제2차 세계 대전 중, 특히 러시아에서 대조국 전쟁으로 알려진 기간 동안 많은 소련 남성들이 소련군에 복무하기 위해 아내와 여자 친구를 떠나면서 이 노래의 가사는 큰 의미를 갖게 되었다.

1941년 6월 독소전[14]이 발발하자, 이 노래는 종군하는 병사를 칭송하며 널리 불려지는 전시 유행가가 되었다. "여성 병사 카츄샤", "간호병 카츄샤" 등 다양한 개사곡들이 생겨났다. 당시 붉은 군대가 사용한 연발 로켓포에 카츄샤라는 애칭이 붙은 것도 이 노래의 유행 때문이었다. 결국 이 노래는 붉은 군대의 로켓포를 칭송하는 노래가 되었다.[15]

3. 3. 전쟁 이후의 카츄샤

이 노래는 독일소련을 상대로 바르바로사 작전을 시작하면서 인기가 높아졌다. 모스크바의 소련 산업 학교 여학생들이 나치 독일에 맞서 전선으로 떠나는 군인들에게 작별을 고하며 이 노래를 불렀다. 1938년 가을 모스크바 노동조합 회관 기둥 홀에서 열린 소련 국립 재즈 오케스트라 콘서트에서 발렌티나 바티시체바가 처음으로 공식 공연을 했다.[3] 이후 리디아 루슬라노바, 타마라 시냐브스카야, 게오르기 비노그라도프, 에두아르트 힐, 안나 게르만, 이반 레브로프, 드미트리 흐보로스토프스키, 이오시프 코브존 등 다른 유명 가수들도 여러 차례 공연했다. "카츄샤"는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의 레퍼토리 중 하나이다.[4]

4. 다양한 언어로 불린 카츄샤

카츄샤는 러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언어로 불리며 사랑받았다.

1943년 이탈리아 왕국이 연합국에 가입한 후, 이탈리아 파르티잔들은 카츄샤 멜로디에 이탈리아어 가사를 붙여 ''Fischia il vento(바람이 분다)''라는 제목으로 불렀다. 그리스 내전 시기, 그리스 파르티잔들은 "카튜샤"를 그리스어 버전인 "Ο ύμνος του ΕΑΜ"(EAM의 찬가)으로 불렀다.[6]

20세기 후반 소련의 영향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서도 카츄샤는 인기 있는 노래가 되었으며, 2015년 모스크바 전승 기념일 퍼레이드에서 중국 의장대가 이 노래를 불러 화제가 되기도 했다.[9]

일본에서는 전후 "노래 운동"을 통해 널리 알려졌으며, 1955년 안도 마리코의 노래로 발매된 이후 여러 가수에 의해 불렸다.[16] 세키 간코가 번역한 일본어 가사는 원곡의 군사적 색채를 제거했다.[16]

이 외에도, 냇 킹 콜은 1945년에 "카튜샤"라는 제목의 번역 버전을 녹음했다. 동부 전선의 마지막 전투에서 청색 사단은 "카튜샤"의 멜로디를 사용하여 ''Primavera''(봄)를 만들었다.[5] 히브리어로 번역되어 1945년부터 불려졌으며, 이후 이스라엘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8] 인도네시아에서는 조코 위도도 대선 캠페인 노래 ''Goyang Jempol Jokowi Gaspol''이 이 멜로디를 사용한다.[11] 아이슬란드에서는 "Vertu til er vorið kallar á þigis" ("봄이 너를 부를 때 준비하라")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으며,[12] 핀란드에서는 "Sörkan sällit"라는 제목으로 학생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다.

4. 1. 이탈리아어 버전: Fischia il vento

1943년, 당시 추축국 중 하나였던 이탈리아 왕국은 연합국에 가입했다. 그 후 2년 동안 이탈리아의 파르티잔들은 이탈리아와 이탈리아 파시스트에 대항하여 독일군과 싸웠다. 펠리체 카쇼네(Felice Cascione)는 "카튜샤"에 이탈리아어 가사를 썼다. 그의 개작인 ''Fischia il vento(바람이 분다)''는 ''라 브리가타 가리발디''와 함께 가장 유명한 파르티잔 찬가 중 하나가 되었다.[5]

1943년 9월 연합국에 대한 무조건 항복 후, 이탈리아에서는 "카츄샤"의 멜로디에 독자적인 가사를 붙여 파르티잔 봉기를 촉구하는 노래로 불렸다. 이탈리아어 가사는 공산주의의사이자 파르티잔이었던 펠리체 카쇼네가 썼으며, 첫 구절에서 따와 "바람이 분다 'Fischia il vento'"라고 불렸다. 이 곡은 "안녕, 나의 사랑 'Bella ciao'"과 함께 가장 유명한 파르티잔 애창가가 되었으며, 이후 밀바, 반다 바소티 등이 자신의 앨범에 수록했다.

4. 2. 그리스어 버전: Ο ύμνος του ΕΑΜ

그리스 내전(1946–1949) 동안, 1941년 독일 침공에 맞서 싸운 그리스 파르티잔들은 "카튜샤"의 그리스어 버전을 "Ο ύμνος του ΕΑΜ"(EAM의 찬가)이라고 지었다.[6] 바실리스 로타스(Vassilis Rotas)가 이 멜로디에 맞춰 가사를 썼으며,[6] 훨씬 나중에 타노스 미크루치코스(Thanos Mikroutsikos)가 녹음하고 마리아 디미트리아디(Maria Dimitriadi)가 불렀다.[7]

4. 3. 중국어 버전

20세기 후반 소련의 영향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카츄샤는 인기 있는 노래가 되었으며 현재에도 널리 불리고 있다.[9] 2015년 모스크바 전승 기념일 퍼레이드에서, 중국 의장대 중대원들이 야간 리허설 중 숙소로 돌아가는 행진을 할 때 카츄샤를 부르자 수백 명의 현지인들이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9] 같은 퍼레이드에서 이 노래는 모스크바 수비대 연합 군악대가 외국 군대(특히 인도, 몽골, 세르비아, 중국)가 행진하는 동안 연주되었다.[10]

4. 4. 일본어 버전

일본에서는 전후에 이른바 러시아 민요를 대표하는 곡 중 하나로 "등불" 등과 함께 "노래 운동" 안에서 널리 불렸다.[16] 1955년 안도 마리코의 노래로 일본 콜롬비아에서 발매되었고,[16] 1956년 7월에는 다크 덕스가 싱글 "등불"의 B면으로, 1961년에는 쓰리 그레이시스가 싱글 "산의 로잘리아"의 B면으로 발매했다. 1959년 제10회 NHK 홍백가합전에서는 첫 출연한 모리시게 히사야가 이 노래를 불렀다. 현재 일본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일본어 가사는 세키 간코가 번역(1948년경)한 것이지만, 원곡의 군사적 색채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16]

5. 한국에서의 카츄샤

한국에서 카츄샤는 러시아 민요를 대표하는 곡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13] 한국전쟁 이후 소련 문화와 함께 유입되어 여러 가수들에 의해 번안되어 불리기도 했다.

1955년 안도 마리코가 부른 카츄샤가 일본 콜롬비아에서 발매되었다.[16] 1956년 7월에는 다크 덕스가 싱글 "등불"의 B면으로, 1961년에는 쓰리 그레이시스가 싱글 "산의 로잘리아"의 B면으로 발매했다. 1959년 제10회 NHK 홍백가합전에서는 모리시게 히사야가 이 노래를 불렀다.

현재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일본어 가사는 세키 간코가 1948년경에 번역한 것으로, 원곡의 군사적인 색채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16]

6. 문화적 영향

카튜샤는 소련에서 만들어진 후 전 세계적으로 퍼져나가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끼쳤다.

1941년 독소전 발발 이후 병사들을 격려하는 노래로 널리 불렸으며, 붉은 군대의 로켓포 이름도 이 노래에서 유래했다.[15]

전후 동서 냉전 시기에는 동구권 국가들에서 각국 언어로 번안되어 불렸다. 일본에서는 러시아 민요를 대표하는 곡 중 하나로[13] 노래 운동에서 널리 불렸으며, 일본어 가사는 군사적인 색채가 빠진 채 번역되었다.[16]

프랑스이탈리아에서는 "Casatschok"이라는 제목으로 편곡되어 발매되었고,[17] 미국에서는 폴 로브슨제퍼슨 에어플레인 등이 이 노래를 녹음하거나 연주했다.

일본에서는 스포츠 응원가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TV 애니메이션 『걸즈 & 판처』에서는 등장인물들이 부른 버전이 삽입되기도 했다.[18]

6. 1. 군사적 영향

1941년 독소전[14]이 발발하자, 이 노래는 종군하는 병사를 칭송하는 곡으로 불리며 대표적인 전시 유행가가 되었다. "여성 병사 카츄샤", "간호병 카츄샤" 등 개사된 노래와 다양한 아류작도 많이 불렸다. 당시 붉은 군대가 사용한 연발 로켓포가 카츄샤라는 애칭으로 불리게 된 것도 이 노래의 유행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 노래는 붉은 군대의 로켓포를 칭송하는 노래가 되었다.[15]

6. 2. 대중문화에서의 사용

소비에트 연방의 스탈린 시대인 1938년에 작곡된 군가이다.[3] 1941년 6월 독소전[14]이 발발하자, 종군하는 병사를 칭송하는 곡으로 불리게 되면서 대표적인 전시 유행가가 되었다. 당시 붉은 군대에 의해 사용된 연발 로켓포가 카츄샤라는 애칭으로 불리게 된 것도 이 노래의 유행에 의한 영향으로, 붉은 군대의 로켓포를 칭송하는 노래가 되었다.[15]

전후 동서 냉전 시기에는 동구권에도 퍼져 현지어로 번역된 독일어판, 중국어판, 베트남어판 등이 널리 불리고 있다. 일본에서도 러시아 민요를 대표하는 곡 중 하나로[13], 전후에는 "등불" 등과 함께 "노래 운동" 안에서 널리 불렸다. 1955년 안도 마리코의 노래로 일본 콜롬비아에서 발매되었고,[16] 1959년 제10회 NHK 홍백가합전에서는 모리시게 히사야가 이 노래를 불렀다. 현재 일본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일본어 가사는 세키 간코가 번역(1948년경)한 것이지만, 원시의 군사색은 생략되었다.[16]

1968년 프랑스에서 이스라엘 출신의 리카 자라이(Rika Zaraï)가, 이탈리아에서 도리 게치(Dori Ghezzi)가 카츄샤를 편곡한 "Casatschok"이라는 곡을 발표했고, 일본에서는 "사랑의 카자초크"라는 제목으로 1969년에 일본 빅터에서 발매되었다.[17]

미국에서는 흑인 영가 가수 폴 로브슨이 레코딩했고, 사이키델릭 록 밴드 제퍼슨 에어플레인이 앨범 『볼런티어스』에서 연주곡으로 발표했다.

지바 롯데 마린스의 마츠모토 나오키나 니시오카 츠요시의 응원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응원가로도 사용되고 있다.

TV 애니메이션 『걸즈 & 판처』 8화에서는 카츄샤 역의 카네모토 히사코와 논나 역의 우에사카 스미레가 부른 "카튜샤 Sung by 카튜샤 & 논나"가 삽입되었다.[18]

유로비트 아티스트 Mad Cow는 "Rasputin, Pasternak and Molotov"라는 리믹스 곡을 발표했으며, 컴필레이션 CD 『SUPER EUROBEAT VOL.147』에 수록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Mass Culture in Soviet Russia: Tales, Poems, Songs, Movies, Plays, and Folklore, 1917-1953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 서적 Soviet Tanks and Combat Vehicles of World War Two Arms and Armour Press
[3] 웹사이트 Золотой Блантер: "Катюша" и другие песни https://www.gazeta.r[...] 2018-02-10
[4] 웹사이트 Alexandrov Ensemble Coming with its Youngest Soloist http://www.praha.eu/[...] 2012-04-27
[5] Youtube Primavera - Song of the División Azul with Lyrics https://www.youtube.[...]
[6] 웹사이트 Rotas, Vasilis (1889-1977) https://www.gedenkor[...] 2021-02-14
[7] 웹사이트 Δημητριάδη – Ύμνος του ΕΑΜ https://www.youtube.[...] 2011-10-18
[8] 웹사이트 Russian WWII Song "Katusha" (Hebrew Version 1945) https://www.youtube.[...] 2009-12-23
[9] 웹사이트 Chinese Army's Name Card: Honor Guard - Xinhua | English.news.cn http://www.xinhuanet[...]
[10] 웹사이트 Foreign units marched at the military parade in step with the music of "Katusha" and "Podmoscovnye vechera" songs : Ministry of Defence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eng.mil.ru/en[...] 2020-08-15
[11] 웹사이트 GOYANG JEMPOL JOKOWI GASPOL https://www.youtube.[...] 2019-03-10
[12] 웹사이트 "Vertu til er vorið kallar á þig" gæti gert Volgograd að íslenskri gryfju https://www.visir.is[...] 2018-06-22
[13] 문서 ただし前述の通り作詞者、作曲者は明確に認知されており、本来の意味での[[民謡]]ではない。
[14] 문서 ロシア国内では[[大祖国戦争]]と呼ばれる。
[15] 문서 「ロシア・ソ連の超怖い話」p.95
[16] 간행물 『コピライト』1961年9月1日号、3頁。 "https://dl.ndl.go.j[...]
[17] 웹사이트 サンレモの歌手たち 284 https://plaza.rakute[...]
[18] 문서 2012年12月26日発売『ガールズ&パンツァー オリジナル・サウンド・トラック』Disc-2収録
[19] 서적 Mass Culture in Soviet Russia: Tales, Poems, Songs, Movies, Plays, and Folklore, 1917-1953 https://books.google[...] 1995
[20] 서적 Soviet Tanks and Combat Vehicles of World War Two 19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