칵치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칵치켈어는 마야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과테말라를 중심으로 사용된다. 칵치켈어는 키체어, 츠'우투힐어, 아치어와 함께 키체-마야어에 속하며, 멕시코, 과테말라, 벨리즈, 온두라스 등지에서 사용된다. 16세기 스페인 정복 이후 칵치켈어 사용이 쇠퇴했으나, 20세기 이후 언어 부활 운동이 진행되어 교육 및 언어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칵치켈어는 능격-절대격 언어이며, VOS, SVO, OSV 등 다양한 어순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테말라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과테말라의 언어 - 가리푸나어
가리푸나어는 가리나구 민족의 언어로, 아라와크어, 카리브어, 프랑스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남녀 어휘 사용에 차이가 있고 중앙아메리카와 미국 이민 사회에서 사용된다. - 마야어족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마야어족 - 모판어
모판어는 과테말라 페텐 주 일부와 벨리즈 남부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유카테코어군과 유사한 음운 체계를 가지며 성을 나타내는 분류사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고, 라틴 문자로 표기되며 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에 의해 표준화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싱카어족
싱카어족은 중앙아메리카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여러 언어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마야어족 및 믹스-소케어족과의 언어적 접촉 흔적을 보였으나 현재는 모든 언어가 사멸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미헤소케어족
미헤소케어어족은 메소아메리카의 언어족으로, 올멕 및 테오티와칸 문명과의 연관성 주장이 있지만 고고학적 자료 부족으로 논쟁 중이며, 미헤어파와 소케어파로 나뉘고, 복잡한 동사 형태론과 단순한 명사 형태론, 능격-절대격 정렬을 특징으로 한다.
칵치켈어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카크치켈어 |
고유 이름 | Kaqchikel Chʼabʼäl |
사용 국가 | 과테말라 |
사용 지역 | 중앙 고지대 |
사용자 | 카크치켈족 |
언어 사용자 수 | 약 411,000명 (2019년 인구 조사) |
언어 분류 | |
어족 | 마야어족 |
어파 | 키체-맘어파 |
어군 | 키체어군 |
세부 분류 | 키체어 |
언어 코드 | |
ISO 639-3 | cak |
Glottolog | kaqc1270 |
2. 역사
칵치켈어는 마야어족에 속하며, 원시 마야어족에서 유래되었다. 마야어족은 서부, 동부, 유카텍, 와스테칸의 네 갈래로 나뉘며, 칵치켈어는 이 중 키체-마야어에 속한다. 키체-마야어는 다시 칵치켈어, 츠'우투힐어, 키체어, 아치어로 나뉜다. 츠'우투힐어는 칵치켈어와 가장 가까운 방언이다. 마야어는 멕시코, 과테말라, 벨리즈, 온두라스 전역에서 사용된다.[7] 칵치켈어는 키체어 지역 남쪽에 위치한다.
조셉 그린버그의 아메린드 언어 가설에서는 칵치켈어가 멕시코어족의 마야어 분파에 속하며, 이는 다시 페누티아어족에 속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 가설은 현대 언어학자들에게 널리 부정되고 있다. 그린버그의 가설은 1987년 처음 발표된 이후 많은 비판을 받았는데, 특히 칵치켈어 관련 자료에서 오류가 발견되어 가설의 신뢰성을 떨어뜨렸다.
2002년 과테말라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칵치켈족 전체 인구는 83만 명인 반면, 3세 이상 칵치켈어 화자 수는 44만 명이다.[8] 리차즈(2001년)는 화자 수를 약 48만 명으로 추산했으며, 과테말라에서 키체어, 케크치어, 맘어 다음으로 4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여겨진다.[9] 모든 칵치켈족이 칵치켈어를 구사하는 것은 아니다.
2. 1. 스페인 정복 이전
칵치켈어는 중앙 과테말라에 거주하는 토착 마야인들이 사용한다. 마야 문명은 BC 2000년부터 AD 300년까지의 고전기 이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지리적으로 마야는 멕시코, 벨리즈, 과테말라에 걸쳐 확장되었다. AD 900년경과 스페인 사람들이 도착했을 때 사이에 마야인들의 정착지는 서쪽으로 이동하여 과테말라 고원 지대로 들어갔다. 고고학적 증거는 현재 테크판 과테말라 근처에 위치한 이심체에 칵치켈인들이 살았다는 것을 보여준다.2. 2. 스페인 정복 이후
1523년, 페드로 데 알바라도가 이끄는 스페인 군대가 멕시코에서 과테말라로 향했다.[7] 칵치켈은 알바라도와 협력하여 츠투힐족을 정복하려 했으나, 알바라도는 이들을 배신하고 수도를 파괴하여 칵치켈 왕국을 멸망시켰다.[7] 이는 스페인의 원주민 대량 학살 계획의 일환이었으며, 칵치켈어 사용자 수는 감소했고, 칵치켈족은 스페인어를 사용하도록 강요받았다.[7]16세기 스페인의 과테말라 정복 당시, 칵치켈족은 처음에는 스페인과 협력했다.[10] 칵치켈족의 중심 도시 이심체는 과테말라의 첫 수도가 되었다.[10]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칵치켈 연대기』와 같은 칵치켈어 문헌이 기록되었지만, 이후 20세기 말까지 칵치켈어를 포함한 마야어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11][12]
2. 3. 현대
오늘날, 마야어인 칵치켈어는 부활하고 있으며, 여러 마야인들이 언어와 문화를 복원하는 방법으로 교육을 활용하고 있다. 1986년, 과테말라 마야 언어 아카데미(ALMG, Academy of the Mayan Languages of Guatemala)는 마야 언어에 대한 알파벳을 표준화했으며, 이는 언어 보존을 위한 새로운 운동을 시작했다.[2]16세기 스페인인들이 과테말라를 정복했을 때, 칵치켈족은 처음에는 스페인인과 협력했다. 칵치켈족의 중심 도시였던 이심체는 과테말라의 첫 번째 수도가 되었으며, 그 후에도 비원주민 인구의 중심지, 특히 안티구아 과테말라와 과테말라 시티 근처에 칵치켈족이 거주했다. 이 지역의 칵치켈족은 마야인으로서의 관습을 포기하라는 압력을 받았지만, 그와 반대로 변방에 사는 칵치켈족은 옛 관습을 유지했다. 이 때문에 칵치켈족의 풍습에는 마을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다.[10]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칵치켈 연대기』와 같은 칵치켈어 문헌이 남았지만, 그 후 20세기 말까지 칵치켈어를 포함한 마야 제어는 그다지 쓰이지 않게 되었다.[11][12] 최근까지 학교에서 마야어를 사용하는 것은 억압되었고, 그 결과 마야어 화자조차 마야어를 쓰는 것은 스페인어를 쓰는 것보다 어려웠다. 1990년대에 과테말라 마야 언어 아카데미가 설립되어, 마야어 교육과 언어 표준화가 추진되고 있다.[13] 그러나 표준화된 칵치켈어에서는 구어에서 보이는 전치사와 인칭 접두사+관계 명사가 융합된 형태를 '부정'으로 간주하고 역사적인 형태로 고치는 등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형태가 보인다.[14]
3. 분포
칵치켈어는 주로 과테말라 중부 고원 지대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 키체어 지역 남쪽에 위치하며,[7] 솔롤라주, 치말테낭고주, 사카테페케스주, 과테말라주에서 주로 사용된다.
모든 칵치켈족이 칵치켈어를 구사하는 것은 아니다. 2002년 과테말라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칵치켈족 전체 인구는 83만 명인 반면, 3세 이상 칵치켈어 화자는 44만 명이다.[8] 2001년 리차즈의 추산에 따르면 화자 수는 약 48만 명이며, 과테말라에서 키체어, 케크치어, 맘어 다음으로 4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이다.[9]
3. 1. 상세 분포 지역
주 | 시 |
---|---|
솔롤라주 | 솔롤라, 산마르코스라라구나, 산루카스톨리만, 산안토니오팔로포, 산타카타리나팔로포, 산안드레아스세메타바흐, 산호세차카야, 산타크루스라라구나 |
치말테낭고주 | 텍판, 파춘, 파치시아, 산호세포아킬, 산마르틴힐로테페케, 산안드레스이차파, 산미겔포추타, 산페드로예포카파, 산후안코말라파 |
사카테페케스주 | 산안토니오아구아스칼리엔테스, 산타마리아데헤수스, 산토도밍고셰나코흐, 산타마리아카우케 |
과테말라주 | 산후안사카테페케스, 산페드로사카테페케스, 산페드로추아란초 |
칵치켈어는 과테말라, 사카테페케스, 치말테낭고, 솔롤라, 수치테페케스, 에스쿠인틀라, 바하 베라파스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7] 키체어 지역 남쪽에 위치한다.
4. 음운론
칵치켈어는 방언에 따라 모음 체계에 차이가 있으며, 자음 체계는 평음, 성문음화 자음, 내파음 등으로 구성된다. 과테말라 마야어 아카데미 (ALMG)에서 개발하고 과테말라 정부가 승인한 표준 표기법으로 표기되며, 다른 표기가 있는 경우 국제 음성 기호 (IPA)의 해당 기호가 괄호 안에 나타난다.
파열음 /p, t, t͡s, t͡ʃ, k, q/는 단어 종결 위치에서 기음 [Cʰ]으로 방출된다.[5]
칵치켈어의 음절 유형은 CV(자음-모음)와 CVC(자음-모음-자음)가 가장 일반적이다. V(모음) 또는 VC(모음-자음) 음절은 허용되지 않으며, 모음으로 시작하는 것처럼 보이는 음절은 실제로는 성문 파열음으로 시작한다. 단일 음절 내에서 자음군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며, 나타날 때는 보통 단어의 처음이나 끝에 위치한다. 이때 자음군은 두 개의 지속음, 공명음과 파열음, 또는 마찰음과 파열음으로 구성되고, 파열음은 항상 다른 자음의 안쪽에 온다.
4. 1. 모음
칵치켈어의 모음 체계는 방언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각 방언은 5개에서 10개 사이의 모음을 가진다.[4] 일반적으로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으로 구분된다.colspan=2 | | 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긴장 | i|이quc | u|우quc ~ ɯ|우quc | |
이완 | ɪ|이quc | ə̞|어quc ~ ɨ̞|으quc | ʉ̞|우quc ~ ʊ|우quc | |
중모음 | 긴장 | e|에quc | ɤ|오quc ~ o|오quc | |
이완 | ɛ|에quc | ɵ̞|오quc ~ ɔ|오quc | ||
개 | 긴장 | a|아quc |
예를 들어 솔롤라 방언은 슈와를 제외한 모든 모음을 사용하여 10개의 모음 체계를 가지지만, 산 후안 사카테페케스 및 산 안드레스 세메타바흐 방언은 5개의 긴장 모음과 슈와만 사용한다.[4]
방언에 따라 이완 모음의 발음에도 차이가 있다. 어떤 방언에서는 모음을 낮추기도 하고, 어떤 방언에서는 모음을 중앙에 위치시키지만 낮추지는 않는다.
''o''와 ''u''로 표기된 모음은 [ɤ]와 [o] 사이, [ɯ]와 [u] 사이에서 발음이 변동한다. 이는 츠토질어, 맘어 등 많은 마야어족에서 발견되는 특징이다.
⟨ü⟩로 표현되는 모음은 [ʉ]와 [ʊ] 사이에서 발음된다. ⟨ö⟩로 표현되는 모음은 낮아진 [ɵ]나 중앙에 위치한 [ɔ]로 발음될 수 있다.
키체어와 달리 칵치켈어는 모음의 길이를 구별하지 않고, 단모음(a, e, i, o, u)이 이완 모음(ä, ë, ï, ö, ü)으로 변화했다. 구별되는 모음의 수는 방언에 따라 다르며, 5개에서 10개까지 있다. 예를 들어 사카테페케스주 산타 마리아 카우케 방언에서는 ë를 제외한 9개의 모음(a, e, i, o, u, ä, ï, ö, ü)이 있다.[15]
4. 2. 자음
칵치켈어의 자음 체계는 다른 마야어족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유성음과 무성 파열음 및 파찰음을 구별하지 않고, 대신 평음과 성문음화 자음(방출음, 내파음)을 구별한다.[5] 평음 파열음과 파찰음은 일반적으로 무성음이며 단어 끝에서는 기음화되고 그 외에서는 무기음화된다. 성문음화 파열음과 파찰음은 ''tʼ'', ''kʼ'', ''chʼ'', ''tzʼ''의 경우 일반적으로 방출음이고 ''bʼ''와 ''qʼ''의 경우에는 내파음이다.[5]아래 표는 과테말라 마야어 아카데미 (ALMG)에서 개발하고 과테말라 정부가 승인한 표준 표기법에 따른 칵치켈어 음소와 그에 해당하는 문자 또는 문자 집합을 나타낸다. 다른 표기가 있는 경우, 국제 음성 기호 (IPA)의 해당 기호가 괄호 안에 표시된다.
양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기본 | 성문음화 | 기본 | 성문음화 | 기본 | 성문음화 | 기본 | 성문음화 | 기본 | 성문음화 | 기본 | ||
파열음 | p | bʼ | t | tʼ | k | kʼ | q | qʼ | ʼ | |||
파찰음 | colspan=2| | tz | tzʼ | ch | chʼ | colspan=2| | colspan=2| | |||||
마찰음 | colspan=2 | | s | x | colspan=2 | | j | colspan=2 | | ||||||
비음 | m | n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
유음 | l r | |||||||||||
반모음 | y | w |
자음 중 비음을 제외한 공명음 (l, r, w, y)은 어말에서 무성음화한다.[19]
4. 3. 음절 구조
칵치켈어의 음절 유형은 몇 가지로 제한된다. 가장 흔한 유형은 CV(자음-모음)와 CVC(자음-모음-자음)이다. V(모음) 또는 VC(모음-자음) 음절은 허용되지 않는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것처럼 보이는 음절은 실제로는 성문 파열음으로 시작하지만, 이것이 항상 표기나 음운론적으로 반영되지는 않는다.두 개의 CVC 음절이 한 단어에서 나란히 나타나는 경우는 있지만, 단일 음절 내에서 자음군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자음군이 나타날 때는 보통 단어의 처음이나 끝에 위치하며, 두 개의 지속음, 공명음과 파열음, 또는 마찰음과 파열음으로 구성된다. 이때 파열음은 항상 다른 자음의 안쪽에 온다.
5. 문법
칵치켈어는 동사에 주어와 목적어가 일치하는 능격-절대격 언어이며, 어순은 비교적 자유롭지만 VOS 어순(동사-목적어-주어) 또는 VSO 어순(동사-주어-목적어)이 기본 어순으로 간주된다. 강조를 위해 단어를 반복하는 중첩 현상이 나타난다.[20][21] 칵치켈어는 합성적인 언어이며, 융합적 접사를 사용한다.
5. 1. 품사
칵치켈어는 접미사와 접두사를 포함하는 강력한 접사 체계를 가진 합성어이며, 융합어적 접사를 사용한다. 접두사는 굴절적이고, 접미사는 굴절적이거나 파생적일 수 있다.칵치켈어는 6개의 주요 품사와 여러 개의 부류로 나뉜다. 주요 품사는 명사, 형용사, 부사, 자동사, 타동사, 위치 형용사이다. 이 중 위치 형용사는 단독으로 단어의 역할을 할 수 없는 어근으로, 접사와 결합하여 위치와 장소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부류 또는 입자는 접사를 취하지 않는 단어이다. 주로 부사적 역할을 하며, 의문 입자, 긍정/부정 단어, 시간 및 위치 표시어, 접속사, 전치사 및 지시 대명사 등이 있다. 이 외에도 관사, 대명사, 숫자, 감정사,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단어 그룹이 있다.
5. 2. 일치
칵치켈어는 동사의 주어와 목적어, 명사의 소유주와 일치하는 접사가 발달해 있다. 칵치켈어의 일치 패턴은 능격-절대격 패턴을 따른다. 능격 일치는 타동사의 주어뿐만 아니라 명사의 소유주도 표시한다. 능격 일치 표지에는 두 가지 주요한 동질이형 집합이 있으며, 수정하려는 명사 또는 동사 앞에 접두사로 붙는다. 한 집합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근 앞에, 다른 집합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근 앞에 사용한다.단수 | 복수 | |
---|---|---|
1인칭 | nu- | qa- |
2인칭 | a- | i- |
3인칭 | ru- | ki- |
단수 | 복수 | |
---|---|---|
1인칭 | w- | q- |
2인칭 | aw- | iw- |
3인칭 | r- | k- |
능격 형태가 타동사의 주어를 나타낼 때 일부 형태가 달라진다. 자음 앞에서 1인칭 단수 'nu-'는 'in-'이 되고 3인칭 단수 'ru-'는 'u-'가 된다. 모음 앞에서 1인칭 단수 'w-'는 'inw-'가 되고, 3인칭 단수 'u-'는 'ur-'이 되고, 1인칭 복수 'qa-'는 'w-'가 되고, 3인칭 복수 'ki-'는 'kiw-'가 된다.
능격의 3인칭 단수는 음운론적으로 가변적이며, 초기 /r/은 종종 생략된다.
절대격 일치는 자동사의 주어, 비동사 술어의 주어, 타동사의 목적어를 표시한다. 능격 일치와 달리, 자음과 모음 앞에 모두 사용되는 단 하나의 형태 집합만을 가진다.
단수 | 복수 | |
---|---|---|
1인칭 | in- | oj- |
2인칭 | at- | ix- |
3인칭 | – | e- |
3인칭 단수는 표시되지 않는다. 일부 방언에서는 삽입 모음이 불완료 또는 잠재적 상태의 표지와 기저 사이에 삽입되어, 절대격 접두사가 차지할 공간을 채운다. 그러나 이것은 절대격 3인칭 단수 표지의 이형태가 아니라, 격 표시 체계와 관련이 없는 음성학적 추가이다.
주어와 목적어의 표시는 동사에만 나타나며, 이러한 역할을 구성 성분으로 채울 수 있는 명사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일치는 대명사를 대신할 수 있으므로 칵치켈어는 대명사 생략을 한다.
5. 3. 어순
칵치켈어는 VOS 어순 또는 VSO 어순이 기본 어순이지만, 주어가 주제화되어 SVO 어순(주어-동사-목적어)이 되거나 목적어가 강조되어 OSV 어순(목적어-주어-동사) 어순이 되기도 한다.[20][21]5. 4. 중첩
칵치켈어는 강조를 위해 단어를 반복하는 중첩 현상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칵치켈어로 '큰'은 /nim/이다. 어떤 것이 '매우 큰'이라고 말하려면 형용사 형태를 /nim nim/과 같이 반복한다. 이 형태는 단일 단어가 아니라 두 개의 별도 단어이며, 결합하면 기본 단어의 의미를 강화하는데, 이는 영어에서 "very"와 동일하다.6. 어휘
칵치켈어는 마야어족에 속하며, 마야어족은 다시 원시 마야어족에서 유래했다. 칵치켈어는 키체-마야어에 속하며, 키체-마야어는 칵치켈어, 츠'우투힐어, 키체어, 아치어로 나뉜다. 츠'우투힐어는 칵치켈어와 가장 가까운 방언이다. 마야어는 멕시코, 과테말라, 벨리즈, 온두라스 등지에서 사용된다.
조셉 그린버그는 아메린드 언어 가설을 통해 칵치켈어를 멕시코어족의 마야어 분파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페누티아어족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이 가설은 현대 언어학자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그린버그의 가설은 1987년 발표된 이후 많은 비판을 받았다. 그린버그의 아메린드 어원 사전에는 5개의 칵치켈어 단어가 실려 있는데, 이 중 "아들/자식/딸"을 의미하는 단어를 설명하면서 ''a-ĉin''과 ''iŝ-tan''을 제시했지만, ''a-ĉin''은 이미 "장로"를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된 오류가 있었다.
칵치켈어의 기본 어휘와 숫자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6. 1. 숫자
숫자 | 표기 |
---|---|
1 | jun |
2 | kaʼiʼ |
3 | oxiʼ |
4 | kajiʼ |
5 | woʼoʼ |
6 | waqiʼ |
7 | wuquʼ |
8 | waqxaqiʼ |
9 | bʼelejeʼ |
10 | lajuj |
11 | julajuj |
12 | kabʼlajuj |
13 | oxlajuj |
14 | kajlajuj |
15 | wolajuj |
16 | waqlajuj |
17 | wuqlajuj |
18 | waqxaqlajuj |
19 | bʼelejlajuj |
20 | jukʼal |
6. 2. 기본 어휘
다음은 칵치켈어의 기본 어휘이다.
7. 문자
칵치켈어는 20세기 초 윌리엄 캐머런 타운센드가 라틴 문자를 바탕으로 고안한 알파벳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과테말라 마야 언어 아카데미(ALMG)에 의해 표준화되었다.[2]
8. 현대 칵치켈어의 위상
과거 칵치켈어는 학교 교육에서 억압받았고, 마야어 화자조차 칵치켈어보다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쉬울 정도였다.[11][12] 그러나 1990년대 이후 과테말라 마야 언어 아카데미가 설립되면서 마야어 교육과 언어 표준화가 추진되고 있다.[13] 1986년 과테말라 마야 언어 아카데미(ALMG)는 마야 언어에 대한 알파벳을 표준화하여 언어 보존 운동을 시작했다.[2] 최근에는 상호 문화적 이중 언어 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과테말라 공립학교에서 칵치켈어를 가르치고 있으며,[7] 툴레인 대학교, 캔자스 대학교 등 미국 일부 대학교에서도 칵치켈어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Kaqchikel | Center for Latin American & Caribbean Studies
https://latamst.ku.e[...]
2017-05-13
[2]
서적
The Life of Our Language: Kaqchikel Maya Maintenance, Shift, and Revitalization
University of Texas Press
[3]
웹사이트
Kaqchikel {{!}} Center for Latin American & Caribbean Studies
https://latamst.ku.e[...]
2017-05-09
[4]
문서
[5]
문서
[6]
문서
ALMG에 의한 공식적인綴り。古くはCakchiquelとも書いた。
[7]
문서
[8]
서적
Censos Nacionales XI de Población y VI de Habitación 2002
https://www.ine.gob.[...]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Guatemala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간행물
カクチケル・マヤ語の統語的基本語順
http://www.ls-japan.[...]
[21]
문서
[22]
웹사이트
Kaqchikel
https://www.ethnolog[...]
[23]
문서
'Variación Dialectal en Kaqchikel,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