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세니아 (친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세니아는 고대 그리스 사회에서 손님과 주인의 관계를 규정하는 중요한 관습으로, 상호 존중과 호혜성을 강조한다. 이 관습은 종교적 의미를 가지며, 정치, 외교, 건축,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난다. 플라톤은 손님 접대의 의무를 강조하며, 외교 관계에서 선물 교환은 동맹의 중요한 수단이었다. 건축에서는 주택과 공공 공간의 배치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리스 문학, 특히 호메로스의 작품에서 크세니아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구 - 태양이 지지 않는 나라
광대한 영토를 지배하여 영토 내에 항상 해가 떠 있는 국가를 지칭하는 "태양이 지지 않는 나라"는 역사적으로 여러 제국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특히 합스부르크 제국, 스페인 제국, 대영 제국을 상징하는 문구로 알려졌다. - 어구 - 구 (언어학)
구는 언어학에서 핵과 수식 요소로 구성되어 명사구, 동사구 등으로 나뉘며, 문장 구조 분석에 사용되는 문법 단위이다. - 그리스어 낱말 - 에피스테메
에피스테메는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하여 증명되고 확립된 지식을 의미하는 철학적 개념으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중요하게 다루어졌으며, 미셸 푸코는 이를 특정 시대의 지식 가능성을 규정하는 역사적 선험적 지식으로 재해석했지만, 지식 체계 단순화 및 사회적 불평등 간과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그리스어 낱말 - 원로 (정교회)
원로(정교회)는 정교회에서 영적으로 성숙하고 지혜로운 지도자를 지칭하며, 주로 수도원 공동체에서 영적 지도자 역할을 수행하고 사회적 약자를 위해 헌신하는 인물로 여겨진다. - 고대 그리스 -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부터 로마에 의한 합병까지의 시기로, 그리스인들의 시야 확장과 새로운 헬레니즘 도시로의 이주, 도시 국가들의 연합 노력, 마케도니아와 후계 왕국들의 패권 다툼, 그리고 로마의 개입과 지배로 특징지어진다. - 고대 그리스 - 고대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는 기원전 1200년경 인도유럽어족에서 분기되어 기원전 8세기부터 그리스 문자로 기록된 언어로, 도리아어, 아이올리아어, 이오니아어, 아티카어 등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현대 그리스어의 기원이자 그리스 문학과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교육 및 학술 분야에서 활용된다.
크세니아 (친절) | |
---|---|
어원 | |
그리스어 | ξενία (크세니아) |
의미 | '손님-주인 관계', '환대', '넉넉함' |
기본 정보 | |
정의 | 고대 그리스의 환대 개념 |
중요성 | 사회적, 종교적 중요성을 지님 |
특징 | 손님과 주인의 상호 의무를 포함 제우스 크세니오스의 보호 아래 있었음 |
역할 및 의무 | |
손님의 의무 | 주인의 호의에 감사 주인을 존중 머무는 동안 분쟁을 일으키지 않음 떠날 때 선물 교환 |
주인의 의무 | 손님에게 음식, 숙소 제공 손님의 안전 보장 손님의 질문에 답변 손님에게 선물 제공 |
신화 속 사례 | |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 | 텔레마코스가 네스토르와 메넬라오스에게 환대를 받음 |
구약성경 | 아브라함과 롯이 천사에게 환대를 베품 |
사회적 영향 | |
중요성 | 고대 그리스 사회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데 기여 |
영향 | 현대 사회의 환대 문화에 영향 |
종교적 중요성 | |
제우스 | '크세니오스'라는 이름으로 환대의 신으로 숭배됨 |
신성한 의무 | 환대는 신에게 바치는 헌신의 표현으로 여겨짐 |
현대적 의미 | |
환대 산업 | 호텔, 레스토랑 등 환대를 제공하는 산업 |
문화 교류 |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촉진 |
참고 문헌 | |
서적 | Rolf Strootman, "Social Dynamics in Courts and Elites in the Hellenistic Empires" Anton Powell, The Greek World Daniel Ogden, A Companion to Greek Religion |
2. 크세니아의 규칙과 의미
크세니아는 고대 시대에 특히 중요하게 여겨졌다. 사람들은 신들이 인간 세상에 함께 어울린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낯선 사람에게 제대로 호의를 베풀지 않으면 낯선 사람으로 위장한 신의 분노를 살 위험이 있었다. 그중에서도 그리스 신 제우스는 낯선 사람의 보호자로서의 역할에서 제우스 크세니오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는 '''테옥세니''' 또는 '''''테오크세니아''', 즉 인간이 겸손한 낯선 사람 ''(크세노스)''에게 환대를 베풀어 자신의 미덕을 보여주는 것을 정규화했는데, 이 낯선 사람은 변장한 신 ''(테오스)''으로 밝혀지기도 한다.[5]
이러한 이야기들은 필멸자들에게 신은 그들의 행동에 대한 처벌이나 보상을 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고, 관대함과 낯선 사람에 대한 환영하는 태도를 높이 평가하기 때문에 어떤 손님이라도 잠재적으로 변장한 신으로 대해야 한다고 경고한다.[1]
'''테오크세니아'''라는 용어는 신들 사이의 환대와 접대를 포괄하기도 했는데, 이는 고전 미술의 인기 있는 주제였으며, 르네상스 시대에 신들의 향연을 묘사하는 작품에서 부활했다. 신들은 탁월함의 상징으로 존경받았으며, 종종 그들 사이에서 '''테오크세니아'''를 수행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크세니아''를 기본적인 그리스 관습으로 강화했다.[6][7] 크세니아는 인간과 인간의 상호 작용뿐만 아니라 인간과 신의 상호 작용에 있어서도 그리스 전역에서 표준 관행이 되었으며, 이는 신들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문화적으로 강화되었다.
2. 1. 주인-손님 관계의 상호 존중
크세니아는 두 가지 기본 규칙으로 구성된다.- '''손님에 대한 주인의 존중''': 주인은 손님에게 호의를 베풀어야 한다. 목욕, 음식, 음료, 선물을 제공하고 다음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호송해야 한다. 식사를 마치기 전에 손님에게 질문하거나 심지어 누구인지 묻는 것은 무례한 것으로 간주된다.
- '''주인에 대한 손님의 존중''': 손님은 주인에게 예의를 갖추고 위협이나 부담이 되어서는 안 된다. 손님은 외부 세계의 이야기와 소식을 제공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주인이 집에 도움을 요청할 경우 손님은 답례해야 한다.[5]

2. 2. 종교적 의미: 테오크세니아
고대 그리스인들은 신들이 낯선 사람으로 변장하여 인간 세상에 나타날 수 있다고 믿었다. 낯선 사람을 잘 대접하는 것은 신의 분노를 피하고 축복을 받는 방법으로 여겨졌다. 제우스는 '제우스 크세니오스'라는 칭호로 낯선 사람의 보호자로 여겨졌다.[5] '''테오크세니아'''는 변장한 신에게 환대를 베푸는 것을 의미하며, 고전 미술과 르네상스 시대 신들의 향연을 묘사하는 작품 등에서 주요 주제로 다뤄졌다.[5]이러한 이야기들은 필멸자들에게 신은 그들의 행동에 대한 처벌이나 보상을 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고, 관대함과 낯선 사람에 대한 환영하는 태도를 높이 평가하기 때문에 어떤 손님이라도 잠재적으로 변장한 신으로 대해야 한다고 경고한다.[1]
'''테오크세니아'''라는 용어는 신들 사이의 환대와 접대를 포괄하기도 했는데, 그리스인들은 크세니아를 신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인간 사이의 상호 작용에서 표준 관행으로 여겼으며, 이는 신들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문화적으로 강화되었다.[6][7]
3. 정치에서의 크세니아
크세니아는 정치적 동맹을 맺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가브리엘 허먼은 근동에서 정치적 동맹을 맺을 때 크세니아가 사용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서, 크세르크세스 1세와 리디아의 피티오스 사이의 크세니아 교환을 예로 들었다. 이 과정에서 크세르크세스는 피티오스의 크세노스가 되었으며, 이러한 교환은 두 인물 사이에 더 평화로운 정치적 관계를 맺을 수 있게 했고, 관대함과 형제애의 분위기를 조성했다.[1] 이러한 유형의 교환은 메신저를 통해 직접 만나지 않고도 이루어질 수 있었다.[10][11]
허먼은 정치적, 사회적 관계에서 크세니아를 분석하며, "동맹을 맺는 데 있어서 덜 중요하지 않은 요소는, 자료에서 크세니아(관계 자체를 의미하는 xenía와 구별됨) 또는 도라로 지정된, 고도로 전문화된 범주의 선물 교환이었다. 선물을 주는 행위는 받는 행위만큼 중요했으며, 답례를 거부하는 것은 적대 행위를 선언하는 것과 다름없었다. 반면에 선물을 상호 수락하는 것은 우정의 시작을 분명히 나타냈다."라고 설명한다.[10]
그는 오디세우스가 이피토스에게 강력한 활을 받은 후 칼과 창을 주면서 "사랑스러운 손님-우정의 첫 번째 징표"라고 말한 것이나, 헤로도토스가 "동맹 체결과 선물 교환은 두 가지의 불가분한 행위로 나타났다: 폴리크라테스는 사모스에서 정부를 장악한 후, 이집트 왕 아마시스 2세와 크세니아 조약을 체결하고 그에게서 선물을 주고받았다(도라)"라고 기록한 것을 근거로 제시했다.[10]
의례 내에서 선물은 가치를 서로 능가하려는 시도보다는 선물을 받은 직후에 즉시 제공하는 것이 중요했다.[1] 초기 선물은 상징적이지만 쓸모없는 것과 높은 사용 가치를 지니지만 특별한 상징적 의미가 없는 것 사이에서 어느 정도 겹쳤다.[10] 초기 선물은 물건이자 상징의 역할을 했다. 허먼은 이러한 물건들이 무역이나 물물 교환으로 간주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교환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다른 목적을 위한 수단이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무역은 교환으로 끝나지만, 의례적 교환은 "이상적으로 영원히 지속될 의무의 설립을 상징하기 위한 것"이었다.[10]
3. 1. 플라톤 철학과 크세니아
플라톤은 그의 저서 ''법률''에서 손님(호스트)의 도움이 필요한 네 가지 유형의 ''크세노이''(낯선 사람)와 그 대우 방식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8]유형 | 설명 | 대우 방식 |
---|---|---|
첫 번째 | 정기적으로 여름에 방문하는 상인 | 철새처럼 무역을 위해 바다를 건너 외국 도시로 온다. 시장, 항구, 도시 외부 공공 건물에서 관리들이 맞이하고, 새로운 것을 도입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정의를 베풀고 최소한의 교류만 한다. |
두 번째 | 음악 전시회 등을 관람하러 온 사람 | 사찰에 숙소를 제공하고, 사제와 사찰 관리자는 이들이 보고 들을 것을 다 마칠 때까지 돌본다. 떠날 때는 해를 끼치거나 당하지 않도록 한다. 피해를 입힌 경우, 50 드라크마 이하 청구는 사제가, 그 이상은 시장 관리가 재판한다. |
세 번째 | 공적인 업무로 다른 나라에서 온 사절단 | 장군, 히파르코스, 택시알크만이 맞이해야 하며, 프뤼타네이스와 숙박 담당 관리가 돌본다. |
네 번째 | 드물게 오는, 다른 나라의 훌륭한 것을 보거나 보여주기 위해 오는 50세 이상의 검사관 | 부유하고 현명한 사람의 집이나 교육 총감독관의 거처, 덕으로 상을 받은 사람의 집에 초대받지 않은 손님으로 간다. 서로 정보를 주고받은 후, 친구로서 적절한 선물과 칭찬을 받고 떠난다. |
플라톤은 제우스 크세니오스의 영역을 보호하기 위해 이러한 낯선 사람(크세노이) 목록과 법적 책임을 명시했다.[1][8] 그는 일곱 번째 편지에서 시라쿠사의 디온을 만나기 위한 여정을 언급하며 제우스 크세니오스와 그 영역의 중요성을 언급하기도 했다.[9]
3. 2. 외교에서의 역할
가브리엘 허먼은 근동에서 정치적 동맹을 맺을 때 ''크세니아''가 사용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그는 크세르크세스 1세와 리디아의 피티오스 사이의 크세니아 교환을 분석하는데, 이 과정에서 크세르크세스는 피티오스의 ''크세노스''가 된다.[10] 이러한 교환은 두 인물 사이에 더 평화로운 정치적 관계를 맺을 수 있게 했으며, 관대함과 형제애의 분위기를 조성했다.[1] 이러한 유형의 교환은 메신저를 통해 직접 만나지 않고도 이루어질 수 있었다.[10][11]허먼은 정치적, 사회적 관계에서 크세니아의 사례를 분석하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동맹을 맺는 데 있어서 덜 중요하지 않은 요소는, 우리의 자료에서 ''크세니아''(관계 자체를 의미하는 ''xenía''와 구별됨) 또는 ''도라''로 지정된, 고도로 전문화된 범주의 선물 교환이었다. 선물을 주는 행위는 받는 행위만큼 중요했으며, 답례를 거부하는 것은 적대 행위를 선언하는 것과 다름없었다. 반면에 선물을 상호 수락하는 것은 우정의 시작을 분명히 나타냈다."[10]
허먼은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문학에서 크세니아가 사용된 여러 사례를 언급한다. 그는 오디세우스가 이피토스에게 강력한 활을 받은 후 칼과 창을 주면서 "사랑스러운 손님-우정의 첫 번째 징표"라고 말한 것을 언급한다.[10] 또한 허먼은 헤로도토스의 기록을 인용하는데, "동맹 체결과 선물 교환은 두 가지의 불가분한 행위로 나타났다: 폴리크라테스는 사모스에서 정부를 장악한 후, 이집트 왕 아마시스 2세와 ''크세니아'' 조약을 체결하고 그에게서 선물을 주고받았다(''도라'')"라고 설명한다.[10] 의례 내에서 선물은 가치를 서로 능가하려는 시도보다는 선물을 받은 직후에 즉시 제공하는 것이 중요했다.[1] 이러한 교환에서 초기의 선물은 상징적이지만 쓸모없는 것과 높은 사용 가치를 지니지만 특별한 상징적 의미가 없는 것 사이에서 어느 정도 겹쳤다.[10] 초기 선물은 물건이자 상징의 역할을 했다. 허먼은 이러한 물건들이 무역이나 물물 교환으로 간주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교환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다른 목적을 위한 수단이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무역은 교환으로 끝나지만, 의례적 교환은 "이상적으로 영원히 지속될 의무의 설립을 상징하기 위한 것"이었다.[10]
4. 건축에서의 크세니아
크세니아는 고대 그리스 주택과 공공 건물 배치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13] 로마 건축가 비트루비우스는 자신의 저서 ''건축 십서''에서 고대 그리스 주택 배치와 장식에서 크세니아가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언급하면서, 그리스 가정의 객실에 있는 음식 그림을 '크세니아'라고 불렀다고 강조했다.[13]
비트루비우스 이전에도 크세니아는 초기 고대 그리스 건축가들의 작품에 널리 나타났는데, 이들의 작품은 개인 주택보다는 공공 건물과 손님 접대에 주로 관련되었다.[15] 건축 역사가 리사 랜드럼은 그리스 극장에서 무대 안팎에서 크세니아의 존재를 확인했다.[16][17]
4. 1. 주거 공간의 배치
고대 그리스 주택에는 손님을 위한 별도의 공간(객실, 식당)이 마련되었다. 로마 건축가 비트루비우스는 고전 작품인 《건축 십서》에서 그리스 가정의 객실에 있는 음식 그림을 '크세니아'라고 언급했다.[13]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그리스인들이 더욱 사치스러워지고 그들의 환경이 더 풍요로워지자, 그들은 외국에서 온 손님들을 위해 식당, 방, 식량 창고를 마련하기 시작했고, 첫날 그들을 저녁 식사에 초대하고 다음 날에는 닭, 계란, 채소, 과일 및 기타 시골 농산물을 보냈습니다. 이것이 예술가들이 손님에게 보내는 물건을 묘사한 그림을 '크세니아'라고 부르는 이유입니다."[13]
낯선 사람들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은 손님을 수용하는 것이 미덕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경건함과 풍요로움과 관련된 운동으로 나타난다.[1] 장식과 손님에게 주는 선물에 부를 과시하는 것은 마찬가지로 지위의 상징이자 크세니아의 시연 역할을 한다.[13]

건축 이론가 사이먼 웨어는 비트루비우스가 《건축 십서》 6권의 시작 부분에서 아리스티푸스가 난파되어 로도스인들로부터 환대를 받는 일화를 통해 '크세니아'를 어떻게 언급하는지 설명했다.[14] 그는 비브루비우스의 크세니아에 대한 이해가 집을 넘어 낯선 사람들 사이의 일반적인 환영 교환을 포함한다고 설명했다.[14] 비트루비우스 이전에도 크세니아는 가장 초기의 고대 그리스 건축가들의 작품에서 널리 나타났는데, 그들의 작품은 개인 주택의 설계보다는 공공 건물과 손님 접대에 항상 관련되어 있었다.[15]
4. 2. 공공 건물의 크세니아
크세니아는 관습으로서 주택 및 공용 공간의 배치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었다.[13] 로마 건축가 비트루비우스는 자신의 고전 작품인 ''건축 십서''에서 고대 그리스 주택 배치와 장식에서 크세니아가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언급한다. 특히 그는 그리스 가정의 객실에 있는 음식 그림을 강조한다."...when the Greeks became more luxurious, and their circumstances more opulent, they began to provide dining rooms, chambers, and store-rooms of provisions for their guests from abroad, and on the first day they invited them to dinner, sending them on the next chickens, eggs, vegetables, fruits, and other country produce. This is the reason why artists call pictures representing the things which were sent to guests ‘xenia’."|"...그리스인들이 더욱 사치스러워지고 그들의 환경이 더 풍요로워지자, 그들은 외국에서 온 손님들을 위해 식당, 방, 식량 창고를 마련하기 시작했고, 첫날 그들을 저녁 식사에 초대하고 다음 날에는 닭, 계란, 채소, 과일 및 기타 시골 농산물을 보냈습니다. 이것이 예술가들이 손님에게 보내는 물건을 묘사한 그림을 '크세니아'라고 부르는 이유입니다."영어[13]
낯선 사람들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은 손님을 수용하는 것이 미덕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경건함과 풍요로움과 관련된 운동으로 나타난다.[1] 장식과 손님에게 주는 선물에 부를 과시하는 것은 지위의 상징이자 크세니아의 시연 역할을 했다.[13]
건축 이론가 사이먼 웨어는 비트루비우스가 ''건축 십서'' 6권의 시작 부분에서 아리스티푸스가 난파되어 로도스인들로부터 환대를 받는 일화를 통해 ''크세니아''를 어떻게 언급하는지 설명했다.[14] 그는 비브루비우스의 크세니아에 대한 이해가 집을 넘어 낯선 사람들 사이의 일반적인 환영 교환을 포함한다고 설명했다.[14] 비트루비우스 이전에도 크세니아는 초기 고대 그리스 건축가들의 작품에서 널리 나타났는데, 그들의 작품은 개인 주택의 설계보다는 공공 건물과 손님 접대에 항상 관련되어 있었다.[15] 특히 건축 역사가 리사 랜드럼은 그리스 극장에서 무대 안팎에서 크세니아의 존재를 밝혀냈다.[16][17]
5. 그리스 문학에서의 크세니아
크세니아의 문화적 강화를 보여주는 테오크세니아와 크세니아의 시연은 그리스 문학의 주요 작품들을 통해 나타났다.
5. 1. 《일리아스》에서의 크세니아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묘사된 트로이 전쟁은 크세니아 위반으로 인해 발생했다. 트로이의 프리아모스 가문의 파리스는 미케네 그리스의 스파르타 왕인 메넬라오스의 손님이었지만, 자신의 주인의 아내인 헬레네를 납치하여 크세니아의 경계를 심각하게 위반했다. 따라서 아카이오이는 제우스에 대한 의무로서 이 위반을 복수해야 했는데, 이는 크세니아 위반으로서 제우스의 권위에 대한 모욕이었다.[18]디오메데스와 글라우코스는 무인지대에서 만난다. 하지만 디오메데스는 신의 후손과 싸우고 싶지 않아서 글라우코스에게 그의 혈통에 대해 묻는다. 글라우코스는 자신이 영웅 벨레로폰의 손자라고 밝혔는데, 벨레로폰은 한때 디오메데스의 할아버지인 오이네우스의 손님이었다. 그것을 밝히자 디오메데스는 그들의 아버지들이 서로 크세니아를 실천했고, 그들이 손님 친구라는 것을 깨닫는다. 그래서 그들은 싸우지 않고 갑옷을 교환하여 그들의 세습적인 손님 친구 관계를 이어가기로 결정한다.[18]
헥토르는 아이아스에게 증여물을 교환하여 사람들이 그들의 증오를 버리고 친구가 된 것을 기억하게 하자고 말한다.[19] 이것은 크세니아의 전통적인 예는 아니지만, 그리스 문화에서 우정의 힘을 보여준다.
9권에서 아킬레우스는 오디세우스를 자신의 집으로 초대하고 파트로클로스에게 그들이 마실 가장 강한 포도주를 만들라고 요청한다. 파트로클로스는 또한 포도주와 함께 고기를 가져온다. 남자들은 먹고 가벼운 잡담을 나누다가 오디세우스는 아가멤논이 아킬레우스에게 제안한 내용을 전달한다.[19]
18권에서 헤파이스토스는 자신의 집에서 테티스를 맞이한다. 테티스를 편안하게 해 주기 위해 헤파이스토스는 오락을 준비하고 도구를 치운다.[19]
24권에서 프리아모스는 아들 헥토르를 되찾기 위해 아킬레우스에게 간청한다. 아킬레우스는 그를 적으로 내쫓는 대신 크세니아의 규칙을 준수하고 그가 머물도록 허락한다.
5. 2. 《오디세이아》에서의 크세니아
오디세이아에서 크세니아는 중요한 주제이다.- 모든 가구는 크세니아와 함께 묘사된다.
- 오디세우스의 집은 크세니아의 범위를 넘어선 요구를 하는 구혼자들에게 점령된다.
- 메넬라오스와 넬레우스의 집은 텔레마코스가 방문할 때 묘사된다.
- 키르케, 칼립소, 파이아케스를 포함하여 서사시에서 관찰되는 다른 많은 가구들이 있다.
- 파이아케스, 특히 나우시카는 완벽한 크세니아를 보여주었는데, 공주와 그녀의 하녀들이 오디세우스에게 목욕을 제공한 후 그를 궁전으로 데려가 먹이고 즐겁게 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오디세우스에게 그의 이야기를 들은 후 오디세우스를 그의 고향으로 데려다주기로 동의한다. 새로운 규칙에 따르면, 상대방에게 무례하고 관계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경쟁에서 주최자를 이기면 안 된다.[20]
- 아름다운 여신 칼립소는 오디세우스를 자신의 남편으로 동굴에 두고 싶어했지만, 그는 거절했다. 키르케 역시 오디세우스를 자신의 집에서 짝으로 붙잡는 데 실패했다. 비록 이 두 여성이 그에게 훌륭한 집과 훌륭한 것을 제공했지만, 그들의 환대는 오디세우스에게 너무 과했다. 그는 대신 이타카로 돌아가 가족과 집을 되찾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각자 떠났다. 때로는 환대가 원치 않거나[21] 마지못해 제공되기도 했다.
- 돼지치기 에우마이오스는 변장한 오디세우스에게 크세니아를 보여주며 손님은 제우스의 보호를 받는다고 주장한다. 구혼자 중 한 명인 크테시포스는 변장한 오디세우스를 조롱하며 황소의 발굽을 "선물"로 던져 크세니아를 조롱하지만, 오디세우스는 이를 피한다. 텔레마코스는 만약 그가 손님을 맞혔다면 창으로 크테시포스를 꿰뚫었을 것이라고 말한다.[22] 다른 구혼자들은 크테시포스가 낯선 사람이 변장한 신이라면 "멸망"할 것이라고 말하며 걱정한다. 이뿐만 아니라 호메로스는 "크세니아"의 세부 사항을 설명할 때마다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하녀가 금잔에 포도주를 붓는 것 등이다.
- 구혼자들 또한 나쁜 크세니아를 보여준다. 그들은 페넬로페와 텔레마코스의 집을 계속 파멸시키고, 서로뿐만 아니라 텔레마코스와 변장한 아테나와 오디세우스와 같은 손님에게도 무례하게 굴었다.
- 나쁜 크세니아의 또 다른 훌륭한 예는 외눈박이 거인 폴리페모스이다. 이 거인은 오디세우스와 처음 만나는 순간 그에게 어디에서 왔는지, 이름이 무엇인지 묻는 것으로 관습을 깨뜨린다(주최자는 먼저 손님에게 음식을 제공한 다음 질문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런 다음 거인은 오디세우스의 선원들에게 음식을 제공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들을 잡아먹고 그들을 떠나도록 허락하지 않는다.
5. 3. 《아르고나우티카》에서의 크세니아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가 쓴 ''아르고나우티카''는 ''일리아스''와 ''오디세이''보다 앞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이 이야기는 그리스 시대에 벌어지기 때문에 크세니아의 주제가 이야기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아르고호는 돌리오네스의 퀴지코스 왕으로부터 따뜻한 환대를 받는데, 그는 아르고호에게 안전한 항구와 아폴로 신에게 바치는 제물을 제공하여 아르고호가 새로운 제단을 봉헌하는 데 도움을 준다.[23] 반대편 항구에서는 괴물 같은 땅에서 태어난 자들이 아르고호를 공격하여 크세니아를 위반한다.[23]
- 베브리키아의 왕 아미코스는 아르고호가 떠나기 위해 싸우도록 한다. 폴리데우케스는 복싱 시합에 자원한다.[23] 이것은 크세니아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며, 아르고호는 제우스가 일으킨 폭풍으로 인해 섬에 도착한 2권 후반부에서 다음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 걱정한다. 아르고호는 소리쳐 낯선 이들에게 친절을 베풀고 공정하게 대우해 달라고 요청한다. 그들은 이아손과 섬에 있는 사람들이 이아손의 아버지 쪽 혈족임을 깨닫는다. 그들은 옷을 제공하고, 함께 희생하고, 아침에 아르고호가 섬을 떠나기 전에 식사를 나눈다.[23]
- 이아손은 아이에테스의 궁전에 갈 것을 이야기하면서 따뜻한 환영을 받을 것이며, 크세니아의 규칙을 따를 것이라고 말한다.[23]
- 아르고호가 아이에테스의 궁전에 처음 도착했을 때, 또한 에로스 때문에 메데이아가 이아손과 사랑에 빠진 모습이 처음으로 묘사되었을 때, 아이에테스는 잔치를 준비했다. 아르고호에게 음식이 제공되고, 식사 후 아이에테스는 아르고호의 목적과 그의 왕국으로의 항해에 대해 질문하기 시작한다.[23]
참조
[1]
서적
"Social Dynamics" Courts and Elites in the Hellenistic Empires: The Near East in the Achaemenids, c 330 to 30 BC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4
[2]
서적
The Greek world
Routledge
1995
[3]
웹사이트
Plato, Laws, Book 12 Page 952-953
https://www.perseus.[...]
2024-06-10
[4]
서적
A companion to Greek religion
Blackwell Pub
2007
[5]
문서
The Stranger's Welcome: Oral Theory and the Aesthetics of the Homeric Hospitality Scen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3
[6]
문서
Homer's Odyssey and the Near Ea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7]
문서
Plots of Epiphany: Prison-Escape in Acts of the Apostles
Walter de Gruyter
2004
[8]
웹사이트
Plato, Laws, Book 12 Page 952-953
https://www.perseus.[...]
2024-06-10
[9]
웹사이트
The Internet Classics Archive | the Seventh Letter by Plato
http://classics.mit.[...]
[10]
서적
Ritualised Friendship and the Greek C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North Meets South: Theoretical Aspects on the Northern and Southern Rock Art Traditions in Scandinavia
Oxbow Books
2017-11-21
[12]
서적
BLOOD BROTHERS: an ethno-sociological study of the institutions of blood-brotherhood with special reference to Africa.
NY: Philosophical Library, Inc.
1952
[13]
웹사이트
Vitruvius Pollio, The Ten Books on Architecture, BOOK VI, CHAPTER VII: THE GREEK HOUSE, section 4
https://www.perseus.[...]
2020-04-16
[14]
간행물
Xenia in Vitruvius' Greek house: andron, ξείνία and xenia from Homer to Augustus
https://doi.org/10.1[...]
2015
[15]
간행물
On the origin of the architect: Architects and xenía in the ancient Greek theatre
https://interstices.[...]
2016
[16]
간행물
On the origin of the architect: Architects and xenía in the ancient Greek theatre
https://interstices.[...]
2016-12-25
[17]
서적
Architecture and justice: Judicial meanings in the public realm.
Routledge
[18]
서적
Iliad
Penguin
[19]
서적
The Iliad of Hom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
문서
Odyssey VIII: 204–211
[21]
웹사이트
The Value of Hospitality
http://www1.union.ed[...]
Union College
2014-07-12
[22]
문서
Odyssey I, Murray, A. T., trans. 1919
https://www.perseus.[...]
Harva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Argonautica
University of California
[24]
웹인용
"[신문과 놀자!/영어로 익히는 고전]오디세이② 크세니아의 법칙"
https://www.donga.co[...]
2022-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