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수교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수교통은 2020년 9월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마을버스 회사인 신수동마을버스의 계열사로 설립된 서울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2020년 10월 서울운수의 모든 노선, 차량 및 임직원을 양도받아 운행을 시작했다. 현재 간선버스 4개, 지선버스 3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순환버스, 지선버스, 간선버스, 광역버스 및 광역급행버스 노선을 운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평택버스
평택버스는 2020년 설립되어 대원고속 노선 인수를 시작으로, 현재 광역급행 및 직행좌석 버스를 포함한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며 평택 시민의 교통 편의를 제공하는 평택시의 버스 운송 업체이다. - 202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이천시내버스 (기업)
이천시내버스는 2020년 설립된 KD 운송그룹 계열의 버스 운송 기업으로, 이천시를 중심으로 일반 시내버스와 직행좌석버스를 운행하며, 2020년 8월부터 경기고속으로부터 일부 이천시 공영버스 노선을 이관받아 운행하고 있다. - 2017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동부고속
동부고속은 2017년 동부익스프레스에서 분할 설립된 고속버스 운송 기업으로, 강원도 중심 노선과 주요 노선에서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하며 2022년 코리아와이드에 인수되어 코리아와이드 계열에 속해 현대 유니버스와 기아 그랜버드 차량을 운용한다. - 2017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세종도시교통공사
세종도시교통공사는 2016년 설립되어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 운영을 담당하며, 시영버스 인수 및 노선 확장을 통해 조치원읍 순환버스, BRT 노선, 광역 BRT 노선을 운행한다. - 1965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대성운수 (서울)
대성운수는 1965년에 설립되어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업체로, 333번, 343번, 345번, 440번, 3313번 등의 노선을 운영하며 하이거 버스와 현대자동차 차종의 차량을 운용한다. - 1965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현대교통 (서울)
현대교통은 1965년 설립되어 서울특별시 은평구를 기반으로 지선버스 노선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며, 본사는 홍은동, 영업소는 수색동에 위치하고 다양한 차종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 신수교통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신수교통 주식회사 | |
| 산업 | 여객자동차운송사업 | 
| 창립 | 2020년 9월 | 
| 이전 회사 | 신성교통 (1965~2017) 서울운수 (2017~2020)  | 
| 국가 | 대한민국 | 
| 장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1190 (진관동) | 
| 인물 | 서미화 (대표이사) | 
| 서비스 | 시내버스, 광고업 | 
| 대표 제품 | 시내버스 | 
| 자본금 | 6,000,000,000원 (2020.9) | 
| 주주 | 서미화: 93.33% 김지영: 3.33% 김수영: 3.33%  | 
| 모기업 | 신수동마을버스 | 
2. 신성교통
신성교통은 1965년 11월 16일 설립 이후 여러 변화를 겪었다.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까지 신성교통은 여러 계열사를 설립하고 인수합병을 진행했다. 1970년 범양여객(훗날 선진여객)을 설립했고, 1971년 역촌동영업소를 선진운수로 분사시켰다. 1979년 신진운수(현 진화운수)에서 도시형버스 75번을 인수했다. 1984년 버스 안내양을 해고하고 자동문으로 개조했으며, 1996년 경기도 파주시 시내버스 사업에 진출하며 신성교통 경기법인을 설립했다. 2000년 자본금을 증액하고, 2001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지점을 폐지했으며, 2003년 본점을 서울특별시 은평구 대조동으로 이전했다.
2004년 버스 개편 이후, 신성교통은 간선버스와 광역버스 노선을 운영했으며, 일부 노선은 국토해양부 주관 광역급행버스로 신설되기도 했다. 노선 변경, 신설, 폐선, 양도 등의 과정을 거쳤으며, 2014년 경기도 시내버스 법인을 신성여객으로 분사시키고, 제일여객과 지선버스 공동 배차에 참여하기도 했다.
2017년 4월 30일, 서현운수의 계열사인 서울운수가 신성교통의 모든 노선을 인수하면서 신성교통은 서울 시내버스 사업에서 철수했다.
2. 1.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
- 1965년 11월 16일: '''신수교통'''이 설립되었다.
 - 1970년: 계열사인 범양여객(훗날 선진여객)을 설립하였다.
 - 1971년 5월 1일: 역촌동영업소를 당시 방계회사인 선진운수로 분사시켰다.
 - 1979년: 신진운수(현 진화운수)에서 도시형버스 75번을 인수받았다.
 - 1984년 11월 1일: 교통부의 버스요금 선불 정책에 따라 사내 버스 안내양 해고 명령을 내려 내구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차량을 제외하고 전 차장을 해고시켰으며, 버스 안내양 사양 차량은 자동문으로 개조되었다.
 - 1996년 6월 29일: 당시 방계회사인 서부여객 문산영업소를 인수받아 경기도 파주시를 연고로 한 경기도 시내버스 사업에 진출했으며, 동시에 신성교통 경기법인을 설립하였다.
 - 2000년 6월 2일: 자본금을 9억원으로 증액하였다.
 - 2001년 4월 16일: 경기도 고양군 원당읍 식사리(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856-2에 위치한 지점을 폐지하였다.
 - 2003년 3월 11일: 본점을 서울특별시 은평구 대조동 2-9 서부시외버스터미널로 이전하였다.
 
2. 2.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개편으로 신수교통은 지선버스 3개, 간선버스 2개, 광역버스 6개 노선 운행을 시작했다. 동시에 방계회사인 한국비알티자동차 컨소시엄에 지분을 출자하였다.[1]2004년 8월 24일, 범일운수가 간선버스 570번 공동 배차에서 철수하면서 해당 노선은 영등포역으로 단축되었고, 신수교통 단독 운행의 간선버스 760번으로 변경되었다.[1]
2005년 9월 5일, 9711번 광역버스 (탄현지구 - 양재시민의숲역) 노선이 개통되었다.[1]
2005년 9월 26일, 서울시내버스 7735번과 760번이 통합되어 760번이 금촌동에서 영등포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1]
2006년 4월 7일, 교하지구 진출을 위해 방계회사인 경기법인(현 신성여객)으로 9704번을 양도하고 경기도 파주시 면허로 이관하여 2000번으로 전환했다.[1]
2008년 2월 14일, 7731번 노선이 폐선되고, 경기법인 소속 330번(현 790번)이 대체 노선으로 신설되었다.[1]
2008년 12월 20일, 9702번 광역버스 (탄현 - 숭례문) 노선이 폐선되고, 급행광역버스 9714번(교하동 - 숭례문)이 경기법인 소속 광역급행버스 8880번과 함께 개통되어 공동 배차로 운행을 시작하였다.[1]
2009년 8월 10일, 국토해양부 주관 M7106번 광역급행버스를 신설하여 운행을 시작했으며, 전 차량 유니버스로 운영하였다.[1]
2009년 11월 25일, 본점을 대조동에서 진관공영차고지로 이전하였다.[1]
2011년 1월 29일, 국토해양부 주관 M7111번 광역급행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1]
2011년 5월 20일, M7111번 광역급행버스 노선이 환승 할인 손실금 지원 및 증차 문제로 경기도 파주시 면허로 이관되고 신성여객으로 양도되었다.[1]
2011년 8월 28일, 간선버스 703번의 기점이 광탄면 신산리에서 파주읍 향양리로 연장되었다.[1]
2012년 6월 8일, 간선버스 703번이 파주읍 항양리에서 문산읍 선유리 옛 자이언트부대로 연장되었다.[1]
2012년 8월 28일, 광역버스 9710번 조계사 구간 단축 및 광화문, 종각역, 명동롯데, 숭례문 구간 회차지점이 변경되었다.[1]
2012년 9월 16일, 국토해양부 주관 M7106번 광역급행버스 노선이 경기도 고양시로 면허 이관과 동시에 방계회사인 신성운수로 양도되었다.[1]
2013년 5월 16일, 문산터미널 ~ 명동입구 ~ 숭례문을 운행했던 9710번 광역버스가 705번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됨과 동시에 구파발 ~ 명동입구 ~ 숭례문 구간으로 단축 운행되었다. 또한, 9710번 광역버스는 서울법인 소속에서 형간전환되어 신성여객 9710번으로 대체 운행하게 되었다. 단, 경기법인 소속 9710번은 광화문역에서 종로1가/명동롯데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서울시청으로 운행한다.[1]
2013년 6월 13일, 간선버스 705번 삼송지구 연장 및 구파발역 3,4번 출구로 변경되었다.[1]
2014년 1월 8일, 경기도 시내버스(신성교통 경기법인)를 방계회사인 신성여객으로 분사시켰다.[1]
2014년 8월 9일, 제일여객에서 단독 운행하던 지선버스 7733번에 공동 배차로 참여하였다.[2]
2017년 4월 30일, 서현운수의 계열사로 신설된 법인 '''서울운수'''가 '''신성교통'''의 전 노선을 인수함에 따라 서울 시내버스 사업에서 철수하였다.[1]
3. 서울운수
- 2013년 9월 9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40길에서 자본금 5000만원으로 제일버스 주식회사로 설립. 배경석, 김득연 대표이사 취임.
 - 2015년 9월 22일: 김득연 대표이사 사임(배경석 단독이사 체제).
 - 2016년 4월 21일: 제일버스 주식회사에서 서울웨스턴버스 주식회사로 상호 변경.
 - 2016년 10월 4일: 본점을 서울특별시 은평구 서오릉로로 이전.
 - 2016년 10월 20일: 배경석 대표이사 취임.
 - 2016년 10월 28일: 자본금을 20억원으로 증자.
 - 2017년 3월 28일: 서울웨스턴버스 주식회사에서 현 상호명인 서울운수 주식회사로 상호 변경.
 - 2017년 4월 3일: 본점을 현 위치인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으로 이전. 배경석, 심정환 공동대표이사 취임.
 - 2017년 5월 1일: 7권역을 거점으로 하는 서울 시내버스 운송사업 개시
 - 2017년 9월 14일: 급행광역버스 9714번 1개 노선을 제일교통으로 양도 및 지선버스 7722번, 7723번, 7733번 3개 노선, 광역버스 9703번 1개 노선을 양도받음.
 - 2017년 10월 25일: 지선버스 7733번 폐선 및 동 노선을 서현운수 733번으로 대체. 7734번 신설.
 - 2017년 12월 22일: 자본금 40억원으로 증자.
 - 2018년 1월 13일 : 맥금동영업소를 아동동영업소로 통폐합
 - 2018년 8월 1일: 일산영업소 폐지 및 기종점 킨텍스 이전과 함께 광역버스 9703번, 9711A번을 킨텍스제2전시장으로 노선 변경 및 연장
 - 2019년 8월 5일: 문산영업소 폐지에 따라 774번 노선의 기종점을 진관동으로 변경. 동시에 문산읍 선유리에서 파주읍 파주리(주내삼거리)로 단축.
 - 2020년 5월 1일: 광역버스 9709번 폐선 연기와 동시에 신일여객과 공동 배차 개시
 - 2020년 8월 1일: 서울면허 광역버스 9709번 폐선
 
4. 신수교통
2020년 9월 21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소재 마을버스 회사인 신수동마을버스의 계열사로 설립되었다.[3]
2020년 10월 22일: 서울운수의 모든 노선, 차량 및 임직원 양도양수가 완료되었다.[3]
2021년 3월 27일: 간선버스 705번이 구파발역 환승센터를 경유하지 않도록 노선이 변경되었고, 차고지 입고 경로가 변경되었다. 지선버스 7734번의 차고지 입출고 경로도 기존 한국지역난방공사 삼송지사 - 은평지문교 구간에서 동축로 이용으로 변경되었다.
2021년 5월 1일: 서울매일버스에 광역버스 9703번, 9711번 노선을 양도하였다.
2024년 8월 30일: 지선버스 7211번 공동배차에서 철수할 예정이다.
5. 운행 노선
(분)
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