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수교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수교통은 2020년 9월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마을버스 회사인 신수동마을버스의 계열사로 설립된 서울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2020년 10월 서울운수의 모든 노선, 차량 및 임직원을 양도받아 운행을 시작했다. 현재 간선버스 4개, 지선버스 3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순환버스, 지선버스, 간선버스, 광역버스 및 광역급행버스 노선을 운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평택버스
    평택버스는 2020년 설립되어 대원고속 노선 인수를 시작으로, 현재 광역급행 및 직행좌석 버스를 포함한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며 평택 시민의 교통 편의를 제공하는 평택시의 버스 운송 업체이다.
  • 202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이천시내버스 (기업)
    이천시내버스는 2020년 설립된 KD 운송그룹 계열의 버스 운송 기업으로, 이천시를 중심으로 일반 시내버스와 직행좌석버스를 운행하며, 2020년 8월부터 경기고속으로부터 일부 이천시 공영버스 노선을 이관받아 운행하고 있다.
  • 2017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동부고속
    동부고속은 2017년 동부익스프레스에서 분할 설립된 고속버스 운송 기업으로, 강원도 중심 노선과 주요 노선에서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하며 2022년 코리아와이드에 인수되어 코리아와이드 계열에 속해 현대 유니버스와 기아 그랜버드 차량을 운용한다.
  • 2017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세종도시교통공사
    세종도시교통공사는 2016년 설립되어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 운영을 담당하며, 시영버스 인수 및 노선 확장을 통해 조치원읍 순환버스, BRT 노선, 광역 BRT 노선을 운행한다.
  • 1965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대성운수 (서울)
    대성운수는 1965년에 설립되어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업체로, 333번, 343번, 345번, 440번, 3313번 등의 노선을 운영하며 하이거 버스와 현대자동차 차종의 차량을 운용한다.
  • 1965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현대교통 (서울)
    현대교통은 1965년 설립되어 서울특별시 은평구를 기반으로 지선버스 노선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며, 본사는 홍은동, 영업소는 수색동에 위치하고 다양한 차종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신수교통 - [회사]에 관한 문서
신수교통 주식회사
산업여객자동차운송사업
창립2020년 9월
이전 회사신성교통 (1965~2017)
서울운수 (2017~2020)
국가대한민국
장소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1190 (진관동)
인물서미화 (대표이사)
서비스시내버스, 광고업
대표 제품시내버스
자본금6,000,000,000원 (2020.9)
주주서미화: 93.33%
김지영: 3.33%
김수영: 3.33%
모기업신수동마을버스

2. 신성교통

신성교통은 1965년 11월 16일 설립 이후 여러 변화를 겪었다.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까지 신성교통은 여러 계열사를 설립하고 인수합병을 진행했다. 1970년 범양여객(훗날 선진여객)을 설립했고, 1971년 역촌동영업소를 선진운수로 분사시켰다. 1979년 신진운수(현 진화운수)에서 도시형버스 75번을 인수했다. 1984년 버스 안내양을 해고하고 자동문으로 개조했으며, 1996년 경기도 파주시 시내버스 사업에 진출하며 신성교통 경기법인을 설립했다. 2000년 자본금을 증액하고, 2001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지점을 폐지했으며, 2003년 본점을 서울특별시 은평구 대조동으로 이전했다.

2004년 버스 개편 이후, 신성교통은 간선버스광역버스 노선을 운영했으며, 일부 노선은 국토해양부 주관 광역급행버스로 신설되기도 했다. 노선 변경, 신설, 폐선, 양도 등의 과정을 거쳤으며, 2014년 경기도 시내버스 법인을 신성여객으로 분사시키고, 제일여객과 지선버스 공동 배차에 참여하기도 했다.

2017년 4월 30일, 서현운수의 계열사인 서울운수가 신성교통의 모든 노선을 인수하면서 신성교통은 서울 시내버스 사업에서 철수했다.

2. 1.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


  • 1965년 11월 16일: '''신수교통'''이 설립되었다.
  • 1970년: 계열사인 범양여객(훗날 선진여객)을 설립하였다.
  • 1971년 5월 1일: 역촌동영업소를 당시 방계회사인 선진운수로 분사시켰다.
  • 1979년: 신진운수(현 진화운수)에서 도시형버스 75번을 인수받았다.
  • 1984년 11월 1일: 교통부의 버스요금 선불 정책에 따라 사내 버스 안내양 해고 명령을 내려 내구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차량을 제외하고 전 차장을 해고시켰으며, 버스 안내양 사양 차량은 자동문으로 개조되었다.
  • 1996년 6월 29일: 당시 방계회사인 서부여객 문산영업소를 인수받아 경기도 파주시를 연고로 한 경기도 시내버스 사업에 진출했으며, 동시에 신성교통 경기법인을 설립하였다.
  • 2000년 6월 2일: 자본금을 9억으로 증액하였다.
  • 2001년 4월 16일: 경기도 고양군 원당읍 식사리(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856-2에 위치한 지점을 폐지하였다.
  • 2003년 3월 11일: 본점을 서울특별시 은평구 대조동 2-9 서부시외버스터미널로 이전하였다.

2. 2.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개편으로 신수교통은 지선버스 3개, 간선버스 2개, 광역버스 6개 노선 운행을 시작했다. 동시에 방계회사인 한국비알티자동차 컨소시엄에 지분을 출자하였다.[1]

2004년 8월 24일, 범일운수간선버스 570번 공동 배차에서 철수하면서 해당 노선은 영등포역으로 단축되었고, 신수교통 단독 운행의 간선버스 760번으로 변경되었다.[1]

2005년 9월 5일, 9711번 광역버스 (탄현지구 - 양재시민의숲역) 노선이 개통되었다.[1]

2005년 9월 26일, 서울시내버스 7735번과 760번이 통합되어 760번이 금촌동에서 영등포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1]

2006년 4월 7일, 교하지구 진출을 위해 방계회사인 경기법인(현 신성여객)으로 9704번을 양도하고 경기도 파주시 면허로 이관하여 2000번으로 전환했다.[1]

2008년 2월 14일, 7731번 노선이 폐선되고, 경기법인 소속 330번(현 790번)이 대체 노선으로 신설되었다.[1]

2008년 12월 20일, 9702번 광역버스 (탄현 - 숭례문) 노선이 폐선되고, 급행광역버스 9714번(교하동 - 숭례문)이 경기법인 소속 광역급행버스 8880번과 함께 개통되어 공동 배차로 운행을 시작하였다.[1]

2009년 8월 10일, 국토해양부 주관 M7106번 광역급행버스를 신설하여 운행을 시작했으며, 전 차량 유니버스로 운영하였다.[1]

2009년 11월 25일, 본점을 대조동에서 진관공영차고지로 이전하였다.[1]

2011년 1월 29일, 국토해양부 주관 M7111번 광역급행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1]

2011년 5월 20일, M7111번 광역급행버스 노선이 환승 할인 손실금 지원 및 증차 문제로 경기도 파주시 면허로 이관되고 신성여객으로 양도되었다.[1]

2011년 8월 28일, 간선버스 703번의 기점이 광탄면 신산리에서 파주읍 향양리로 연장되었다.[1]

2012년 6월 8일, 간선버스 703번이 파주읍 항양리에서 문산읍 선유리 옛 자이언트부대로 연장되었다.[1]

2012년 8월 28일, 광역버스 9710번 조계사 구간 단축 및 광화문, 종각역, 명동롯데, 숭례문 구간 회차지점이 변경되었다.[1]

2012년 9월 16일, 국토해양부 주관 M7106번 광역급행버스 노선이 경기도 고양시로 면허 이관과 동시에 방계회사인 신성운수로 양도되었다.[1]

2013년 5월 16일, 문산터미널 ~ 명동입구 ~ 숭례문을 운행했던 9710번 광역버스가 705번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됨과 동시에 구파발 ~ 명동입구 ~ 숭례문 구간으로 단축 운행되었다. 또한, 9710번 광역버스는 서울법인 소속에서 형간전환되어 신성여객 9710번으로 대체 운행하게 되었다. 단, 경기법인 소속 9710번은 광화문역에서 종로1가/명동롯데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서울시청으로 운행한다.[1]

2013년 6월 13일, 간선버스 705번 삼송지구 연장 및 구파발역 3,4번 출구로 변경되었다.[1]

2014년 1월 8일, 경기도 시내버스(신성교통 경기법인)를 방계회사인 신성여객으로 분사시켰다.[1]

2014년 8월 9일, 제일여객에서 단독 운행하던 지선버스 7733번에 공동 배차로 참여하였다.[2]

2017년 4월 30일, 서현운수의 계열사로 신설된 법인 '''서울운수'''가 '''신성교통'''의 전 노선을 인수함에 따라 서울 시내버스 사업에서 철수하였다.[1]

3. 서울운수

4. 신수교통

2020년 9월 21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소재 마을버스 회사인 신수동마을버스의 계열사로 설립되었다.[3]

2020년 10월 22일: 서울운수의 모든 노선, 차량 및 임직원 양도양수가 완료되었다.[3]

2021년 3월 27일: 간선버스 705번이 구파발역 환승센터를 경유하지 않도록 노선이 변경되었고, 차고지 입고 경로가 변경되었다. 지선버스 7734번의 차고지 입출고 경로도 기존 한국지역난방공사 삼송지사 - 은평지문교 구간에서 동축로 이용으로 변경되었다.

2021년 5월 1일: 서울매일버스에 광역버스 9703번, 9711번 노선을 양도하였다.

2024년 8월 30일: 지선버스 7211번 공동배차에서 철수할 예정이다.

5. 운행 노선

(분)인가
대수비고705번 | 진관공영차고지 | ↔ | 회현역 | 12~17 | 13 | 구 9710번 광역버스 단축 및 형간전환706번 | 진관공영차고지 | ↔ | 시청역 | 5~15 | 10 | 구 8701번 형간전환, 2024년 10월 18일 개통761번 | 진관공영차고지 | ↔ | 영등포역 | 8~12 | 20 | 구 570번 단축 및 7735번 통합. 760번 서울 구간 노선 분리774번 | 진관공영차고지[4] | ↔ | 파주읍 파주리 | 18~37 | 10 | 구 158-1번 연장, 구 703번 단축7722번 | 진관공영차고지 | ↔ | 녹번역 | 9~15 | 12 | 구 155-1번. 구 제일여객에서 양도받은 노선.7723번 | 진관공영차고지 | ↔ | 진관중고교.약수사앞 | 10~14 | 9 | 구 454-1번 변경. 구 제일여객에서 양도받은 노선.7734번 | 진관공영차고지 | ↔ | 홍대입구역 | 7~12 | 26 | 2017년 10월 25일 신설.


5. 1. 간선버스

(분)인가
대수비고705번진관공영차고지↔회현역12~1713구 9710번 광역버스 단축 및 형간전환706번시청역5~1510구 8701번 형간전환, 2024년 10월 18일 개통761번영등포역8~1220구 570번 단축 및 7735번 통합. 760번 서울 구간 노선 분리774번진관공영차고지[4]파주읍 파주리18~3710구 158-1번 연장, 구 703번 단축


5. 2. 지선버스

(분)인가
대수비고7722번진관공영차고지↔녹번역9~1512구 155-1번. 구 제일여객에서 양도받은 노선.7723번↔진관중고교.약수사앞10~149구 454-1번 변경. 구 제일여객에서 양도받은 노선.7734번홍대입구역7~12262017년 10월 25일 신설.


6. 과거 운행 노선

6. 1. 순환버스

6. 2. 지선버스

6. 3. 간선버스

6. 4. 맞춤버스

신수교통 8703번(광탄~불광동) 출근 전용 버스는 2008년 7월 1일부터 2009년 7월 11일까지 운행되었다.

6. 5. 광역버스

6. 6. 광역급행버스

M7106영어번: 대화역 - 강선마을 - 수색로 버스 중앙차로 - 연대앞 - 성산로 - 광화문 - 삼성프라자 - 서울시청 - 숭례문 (경기도 면허로 전환하여 신성운수에서 운행하다가, 현재 가온누리엠에서 운행 중)

M7111영어번: 운정신도시 - 가재울공원 - 현대1차A - 한라비발디A - 경기인력개발원 - 새암공원 - <제2자유로, 수색로 ~ 성산로 무정차> - 연세대학교 앞 - 광화문역 - 삼성프라자 (시청역) - 숭례문 - (환승할인 손실금 지원 문제, 증차 문제로 인해 경기도 파주시 면허로 전환 및 노선 이관, 증차 운행하다가 현재 신성교통 주식회사에서 운행 중)

7. 보유 차량

8. 본점 및 지점 현황

참조

[1] 문서 이 노선은 2차 노선이며, 전 차량 현대 유니버스|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로 운행되고 있었으나 후에 신성여객 (경기)|신성여객]]에 양도된다.
[2] 문서 당시 지선버스]] 7733번이 일산차고지 ↔ 구파발역]] 구간을 폐선하고, 진관공영차고지 ↔ 원흥지구 ↔ 홍대입구역]]으로 대폭 변경하였다.
[3] 웹사이트 서울특별시 공문 https://opengov.seou[...]
[4] 문서 실제 기점은 은평뉴타운10단지 정류장이다.
[5] 문서 진관공영차고지~DMC첨단산업센터 구간은 승, 하차 불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