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콥터 모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헬리콥터 모함은 헬리콥터를 주력으로 운용하는 군함으로, 상륙전과 대잠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현재 여러 국가에서 운용 중이며, 과거에는 다양한 국가에서 헬리콥터 모함을 보유했었다. 헬리콥터 모함은 헬리콥터를 활용하여 병력과 장비를 신속하게 해안으로 투입하고, 대잠 작전을 수행한다. 대한민국 해군은 독도급 대형수송함을 운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헬리콥터 모함 - 타라와급 강습상륙함
타라와급 강습상륙함은 헬리콥터와 상륙정 운용 능력을 갖춘 미국의 강습상륙함으로, 수륙 양용 작전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5척이 건조되어 상륙 부대와 장비를 수송하고 헬리콥터 및 상륙정을 통해 상륙 작전을 수행했으며, 2005년부터 퇴역하여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으로 대체되었다. - 헬리콥터 모함 - HMS 오션 (L12)
HMS 오션 (L12)은 영국 해군 헬리콥터 상륙함으로, 왕립 해병대 대대를 배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2018년 퇴역 후 브라질 해군에 매각되어 현재 기함으로 운용되고 있다. - 항공모함 - 항공모함 캐터펄트
항공모함 캐터펄트는 함재기를 짧은 활주로에서 이륙시키는 장치로, 초기에는 화약, 추 등을 이용했으나 유압식을 거쳐 증기식을 사용했으며, 최근에는 항공기 부담을 줄이는 전자기식 발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 항공모함 - STOBAR
STOBAR는 항공모함에서 단거리 이륙 후 어레스팅 와이어를 이용해 착륙하는 방식으로, CATOBAR 방식보다 비용이 적게 들지만 운용 가능 기종과 이륙 중량에 제약이 있어 과도기적 기술로 평가받는다.
헬리콥터 모함 | |
---|---|
개요 | |
유형 | 항공모함 |
역할 | 헬리콥터 운용 |
다른 이름 | 헬기모함, 헬기 항공모함, 대잠수함 항공모함 (CVS) |
설명 | 헬리콥터를 주력으로 운용하는 항공모함이다. 일부 헬리콥터 모함은 수직 이착륙기와 같은 다른 항공기도 운용할 수 있다. |
특징 | |
외형 | 헬리콥터 모함은 일반적으로 고정익기를 운용하는 항공모함보다 크기가 작다. |
운용 목적 | 대잠전 상륙 작전 지원 수색 및 구조 인도적 지원 |
항공기 구성 | 헬리콥터 모함은 다양한 종류의 헬리콥터를 운용할 수 있다. |
역사 | |
기원 | 헬리콥터 모함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기에 잠수함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했다. |
초기 헬리콥터 모함 | 미국 해군과 영국 해군은 기존의 항공모함을 헬리콥터 모함으로 개조했다. |
현대 헬리콥터 모함 | 오늘날 헬리콥터 모함은 여러 국가의 해군에서 운용되고 있으며, 상륙 강습함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
예시 | |
모스크바급 헬리콥터 순양함 | 소련 해군에서 건조한 헬리콥터 순양함으로, 대잠전에 특화되었다. title=Overview Moskva Class Collections Research National Cold War Exhibition |
HMS 오션 (L12) | 영국 해군의 헬리콥터 모함으로, 상륙 작전 및 인도적 지원에 사용되었다. url=http://www.naval-technology.com/projects/ocean/ |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 미국 해군의 강습상륙함으로, 헬리콥터와 수직 이착륙기를 운용할 수 있다. title=LHD Wasp Class Amphibious Assault Ships |
HMAS 캔버라 (L02) | 호주 해군의 캔버라급 강습상륙함으로, 헬리콥터 운용 능력을 갖추고 있다. |
추가 정보 | |
대잠전 | 헬리콥터 모함은 대잠 헬리콥터를 운용하여 잠수함을 탐지하고 공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date=2022-10-12 |
HMS 헤르메스 (R12) | 영국 해군의 센타우르급 항공모함으로, 후에 헬리콥터 모함으로 개조되었다. Hermes |
2. 운용 현황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본문 생략)
2. 1. 국가별 헬기 항공모함 목록
아래의 목록은 자음 순으로 나열되었다.국가 | 해군 | 현역 | 예비역 | 건조 중 |
---|---|---|---|---|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 해군 | 2 | 0 | 0 |
브라질 | 브라질 해군 | 1 | 0 | 0 |
중국 | 중국 해군 | 3 | 1 | 1 (4척 계획) |
이집트 | 이집트 해군 | 2 | 0 | 0 |
프랑스 | 프랑스 해군 | 3 | 0 | 0 |
인도 | 인도 해군 | 0 | 0 | 0 (총 4척 계획) |
이탈리아 | 이탈리아 해군 | 2 | 0 | 1 |
일본 | 해상자위대 | 4 | 0 | 0 |
포르투갈 | 포르투갈 해군 | 0 | 0 | 1 |
러시아 | 러시아 해군 | 0 | 0 | 2 (총 3척 계획) |
대한민국 | 대한민국 해군 | 2 | 0 | 0 |
스페인 | 스페인 해군 | 1 | 0 | 0 |
태국 | 태국 해군 | 1 | 0 | 0 |
튀르키예 | 튀르키예 해군 | 1 | 0 | 0 |
미국 | 미국 해군 | 9 | 3 | 2 (총 11척 계획) |
2. 2. 현역 헬기 항공모함 목록
아래 목록은 현재 운용 중인 헬기 항공모함의 목록이다.국가 | 함명 | 전장 | 배수량 (MT) | 함급 | 추진 방식 | 함종 | 분류 | 취역일 |
---|---|---|---|---|---|---|---|---|
호주 | 캔버라 | 230.82m | 27500MT | 캔버라급 강습상륙함 (개조 후안 카를로스 1세급 강습상륙함) | 재래식 | STOVL | 상륙 헬기 수송함 | 2014년 11월 28일 |
호주 | 애들레이드 | 230.82m | 27500MT | 캔버라급 강습상륙함 (개조 후안 카를로스 1세급 강습상륙함) | 재래식 | STOVL | 상륙 헬기 수송함 | 2015년 12월 4일 |
브라질 | 아틀란치쿠 | 203.4m | 21500MT | 오션급 | 재래식 | VTOL | 다목적 헬기 수송함 | 2018년 6월 29일[5] |
중국 | 하이난 | 232m | 36000MT | 075형 (NATO 보고명 Yushen급) | 재래식 | VTOL | 상륙 헬기 수송함 | 2021년 4월 23일[6] |
중국 | 광시 | 232m | 36000MT | 075형 (NATO 보고명 Yushen급) | 재래식 | VTOL | 상륙 헬기 수송함 | 2021년 12월 26일[7][8][9] |
중국 | 안후이 | 232m | 36000MT | 075형 (NATO 보고명 Yushen급) | 재래식 | VTOL | 상륙 헬기 수송함 | 2022년 10월 1일[10][11] |
중국 | 시창 | 125m | 9500MT | 0891A형 | 재래식 | VTOL | 훈련함 | 1997년 1월 |
이집트 | 가말 압델 나세르 | 199m | 21300MT |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 | 재래식 | VTOL | 상륙 헬기 수송함 | 2016년 6월 2일[12] |
이집트 | 안와르 사다트 | 199m | 21300MT |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 | 재래식 | VTOL | 상륙 헬기 수송함 | 2016년 9월 16일 |
프랑스 | 미스트랄 | 199m | 21300MT |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 | 재래식 | VTOL | 상륙 헬기 수송함 | 2005년 12월 |
프랑스 | 토네르 | 199m | 21300MT |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 | 재래식 | VTOL | 상륙 헬기 수송함 | 2006년 12월 |
프랑스 | 딕스뮈드 | 199m | 21300MT |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 | 재래식 | VTOL | 상륙 헬기 수송함 | 2011년 12월 |
일본 | 카가 | 248m | 27000MT | 이즈모형 호위함 | 재래식 | VTOL | 헬기 구축함 | 2017년 3월 22일 |
일본 | 이즈모 | 248m | 27000MT | 이즈모형 호위함 | 재래식 | VTOL | 헬기 구축함 | 2015년 3월 25일 |
일본 | 휴우가 | 197m[13] | 19000MT | 휴우가급 구축함 | 재래식 | VTOL | 헬기 구축함 | 2009년 3월 18일 |
일본 | 이세 | 197m[13] | 19000MT | 휴우가급 구축함 | 재래식 | VTOL | 헬기 구축함 | 2011년 3월 16일 |
대한민국 | 독도 | 199m | 18800MT | 독도급 대형수송함 | 재래식 | VTOL | 상륙 플랫폼 헬기 | 2007년 7월 3일 |
대한민국 | 마라도 | 199m | 18800MT | 독도급 대형수송함 | 재래식 | VTOL | 상륙 플랫폼 헬기 | 2021년 6월 28일 |
스페인 | 후안 카를로스 1세 | 230.82m | 27079MT | 후안 카를로스 1세급 강습상륙함 | 재래식 | STOVL | 상륙 헬기 수송함 | 2010년 9월 30일 |
태국 | 짜끄리 나르벳 | 182.65m | 11486MT |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급 항공모함 | 재래식 | STOVL | 헬기 수송함 (경항공모함) | 1997년 3월 27일 |
튀르키예 | 아나돌루 | 232m | 27079MT | 아나돌루급 | 재래식 | STOVL | 강습상륙함 | 2023년 4월 10일 |
미국 | 아메리카 | 257.3m | 45000MT |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14] | 재래식 | VTOL | 상륙 헬기 공격함 | 2014년 10월 11일[15] |
미국 | 트리폴리 | 257.3m | 45000MT |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 | 재래식 | VTOL | 상륙 헬기 공격함 | 2020년 7월 15일 |
미국 | 와스프 | 257m | 40532MT | 와스프급 강습상륙함[14] | 재래식 | VTOL | 상륙 헬기 수송함 | 1989년 7월 29일 |
미국 | 에식스 | 257m | 40650MT |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 재래식 | VTOL | 상륙 헬기 수송함 | 1992년 10월 17일 |
미국 | 키어사지 | 257m | 40500MT |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 재래식 | VTOL | 상륙 헬기 수송함 | 1993년 10월 16일 |
미국 | 복서 | 257m | 40722MT |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 재래식 | VTOL | 상륙 헬기 수송함 | 1995년 2월 11일 |
미국 | 바탄 | 257m | 40358MT |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 재래식 | VTOL | 상륙 헬기 수송함 | 1997년 9월 20일 |
미국 | 이오지마 | 257m | 40530MT |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 재래식 | VTOL | 상륙 헬기 수송함 | 2001년 6월 30일 |
미국 | 마킨 아일랜드 | 258m | 41649MT |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 재래식 | VTOL | 상륙 헬기 수송함 | 2009년 10월 24일 |
2. 3. 퇴역 헬기 항공모함 목록
아래 목록은 과거에 운용되었으나 현재는 퇴역한 헬리콥터 모함들을 국가별(가나다 순)로 정리한 것이다.- '''미국'''
- * 미국 해안경비대
- ** USCGC 콥: 세계 최초의 헬리콥터 모함으로, 1946년에 퇴역했다.
- * 미국 해군
- ** 이오지마급 강습상륙함: 총 7척이 건조되었으며, 196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까지 운용되었다.
USS 이오지마: 이오지마급 강습상륙함의 네임십이다.
- **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USS 본험 리처드: 상륙 헬리콥터 도크(LHD)로, 1998년부터 2020년까지 운용되었다.
모스크바: 모스크바급의 네임십으로, 1967년부터 1991년까지 운용되었다.
레닌그라드: 모스크바급의 두 번째 함선으로, 1969년부터 1991년까지 운용되었다.
- '''영국'''
- * 영국 해군
- ** HMS 알비온: 경항공모함을 개조하여 1962년부터 1973년까지 헬리콥터 모함으로 운용했다.
- ** HMS 불워크: 알비온과 마찬가지로 경항공모함에서 개조되었으며, 1960년부터 1981년까지 헬리콥터 모함으로 사용되었다.
- ** HMS 일러스트리어스: 인빈시블급 항공모함으로, 주로 경항공모함으로 운용되었으나 HMS 오션이 수리 중일 때 임시로 헬리콥터 모함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16]
- ** HMS 오션: 헬리콥터 모함으로 설계되어 1998년부터 2018년까지 운용되었다. 2018년 3월 퇴역 후 브라질에 판매되어 브라질 해군의 ''아틀란치쿠''로 개명되어 운용 중이다.
안드레아 도리아: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운용되었다.
카이오 두일리오: 1964년부터 1989년까지 운용되었다.
- ** 비토리오 베네토: 헬리콥터 순양함으로, 1969년부터 2003년까지 운용되었다.
3. 주요 임무 및 역할
헬리콥터 모함의 핵심적인 역할은 크게 상륙전 지원과 대잠전 수행으로 나눌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헬리콥터 기술의 발전은 해상 작전, 특히 선단 호위나 병력 투사와 같은 영역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초기에는 대잠전을 목적으로 기존 함선을 개조하거나 전용 함선을 건조하는 시도가 있었다. 미국 해군은 기존 호위 항공모함을 호위 헬리콥터 항공모함(CVHE)으로 재분류하여 유사시 초계 헬리콥터를 운용할 계획을 세웠고, 소련 해군 역시 대잠 능력 강화를 위해 헬리콥터 순양함을 건조했다. 영국 해군 또한 헬리콥터 순양함 개조와 대잠 항공모함(CVS) 건조를 통해 대잠 전력을 확보하고자 했다.
한편, 헬리콥터를 이용한 공중 강습 능력은 상륙 작전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 미국은 이오지마급과 같은 헬리콥터 강습 상륙함(LPH)을 시작으로, 이후 상륙정 운용 능력까지 통합한 타라와급, 와스프급과 같은 다목적 강습 상륙함(LHD/LHA)을 발전시켰다. 이러한 함선들은 대규모 병력과 장비를 신속하게 투사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F-35B와 같은 수직이착륙기 운용 능력을 갖춘 함선들이 등장하면서, 단순한 헬기 운용 플랫폼을 넘어 해상 통제함(SCS)이나 경항공모함의 역할까지 일부 수행하는 경향을 보인다. 미국의 아메리카급은 이러한 다목적성을 극대화한 사례로, "'''라이트닝 항공모함'''"으로서의 운용도 고려되고 있다.[17] 이처럼 헬리콥터 모함은 시대의 요구와 기술 발전에 따라 그 임무와 역할 범위를 확장해왔다.
3. 1. 상륙전
한편, 미국 해군은 이러한 헬리콥터 탑재 상륙함의 유용성을 높이 평가하여, 1971년부터는 함정을 더욱 대형화하고 상륙정 운용 능력까지 갖춘 다기능 강습 상륙함인 타라와급의 건조를 시작했다. 1989년부터는 이를 발전시킨 와스프급이 취역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프랑스의 미스트랄급과 같이 미국 외 다른 국가에서도 유사한 개념의 함정이 등장하고 있다.3. 2. 대잠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호위 항공모함은 대잠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전쟁 이후에는 CATOBAR 방식의 대잠 항공모함이 운용하는 함상 초계기가 넓은 범위의 대잠전을 담당하게 되었다. 특히 호송 선단을 보호하는 항공 지원 임무는 헬리콥터가 맡게 되었다. 이미 대전 중부터 함재 헬리콥터를 대잠전에 활용하는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1945년 2월에는 HOS-1 헬리콥터에 조하식 소나를 탑재하는 실험이 진행되기도 했다. 전후에도 연구는 계속되어, 미국 해군은 1955년 6월 12일, 기존의 호위 항공모함(CVE) 30척을 '''호위 헬리콥터 항공모함'''(CVHE)으로 재분류했다. 이는 전쟁 시 초계 헬리콥터를 탑재하여 선단 호위에 투입하기 위한 조치였으나, 이를 위해 특별한 개조가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한편, 스페인 해군은 1967년부터 미국 해군의 경항공모함 카보트를 대여(후에 구매)하여 "데달로"로 명명하고 헬기 항공모함으로 운용했다.소련 해군은 정치적인 제약으로 인해 항공모함 보유가 쉽지 않았기 때문에, 우선 수상 전투함에 함재 헬리콥터를 탑재하여 운용했다. 이러한 운용 경험을 통해 각 함선에 분산 배치하는 것보다 여러 대를 한 곳에 집중 배치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했고, 헬기 항공모함 보유를 추진하게 되었다. 먼저 헬리콥터 순양함으로 1123형 대잠 순양함(모스크바급)이 건조되어 1967년부터 취역했다. 이후 1975년부터는 Yak-38 함상 공격기 운용을 위해 전통적인 비행 갑판을 갖춘 1143형 항공 순양함(키예프급)이 취역하기 시작했다.
영국 해군에서는 1950년대부터 기존 항공모함을 보완할 헬기 항공모함으로 '호위 순양함' 계획을 추진했지만, 예산 문제로 신규 건조가 지연되었다. 대신 1965년부터 1972년까지 타이거급 순양함 2척을 헬리콥터 순양함으로 개조했으며, 상륙전 임무를 수행하는 코만도 모함도 대잠 항공모함 임무를 겸하게 되었다. 이후 정규 항공모함 퇴역에 따라 호위 순양함의 기능 강화가 추진되었고, 이는 시 해리어 함상 전투기 운용이 가능한 인빈시블급 항공모함(CVS)으로 이어져 1980년부터 취역했다.
미국 해군 역시 헬리콥터 강습 상륙함(LPH)인 이오지마급을 건조할 때 부차적으로 대잠전 투입을 고려하여 소노부이와 단어뢰 탑재 공간을 확보했다. 1969년부터는 대잠 헬리콥터 모함(DHK) 계획에 착수했는데, 이는 해리어 공격기를 탑재하는 '''해상 통제함'''(SCS) 계획으로 발전하여 1975년 예산부터 건조될 예정이었으나 최종적으로 실현되지는 못했다. 하지만 스페인 해군과 태국 해군을 위해 SCS와 유사한 함선 및 파생형(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 차크리 나루에벳)이 건조되었다. 또한, 강습 상륙함(LHD)인 와스프급 건조 시 부차적으로 해상 통제함 임무가 부여되었고, 후속 함급인 아메리카급에서는 항공 운용 능력이 더욱 강화되어 F-35B 전투기를 20기 탑재하는 "'''라이트닝 항공모함'''" 운용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17]
이탈리아 해군은 법률 및 예산 제약으로 항공모함 보유가 어려워, 먼저 헬리콥터 순양함(안드레아 도리아급 2척 및 발전형인 비토리오 베네토)을 통해 대잠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 이후 후계함인 주세페 가리발디는 스키 점프대를 갖춘 비행 갑판을 도입했지만, 법적 문제 해결 지연 등으로 초기에는 고정익 항공기 없이 순수한 헬기 항공모함으로 운용되었다.
일본 해상자위대는 제2차 방위력 정비 계획 당시 검토했던 헬기 항공모함(CVH) 계획이 무산된 후, 기존 호위함의 연장선상에서 헬리콥터 운용 능력을 강화한 헬리콥터 탑재 호위함(DDH)을 건조하여 운용했다. 이후 후계함에서는 전통적인 비행 갑판을 도입하여 2004년부터 휴가형, 2010년부터는 발전형인 이즈모형을 건조했다. 이들 함선은 제인 해군 연감 등 국제적인 군사 자료에서 헬기 항공모함으로 분류되고 있다.
4. 한국 해군의 헬기 항공모함
(내용 없음)
4. 1. 대한민국 헬기 항공모함 목록
아래의 목록은 자음 순으로 나열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HMS Ocean (LPH01) Helicopter Carrier
http://www.naval-tec[...]
Naval Technology
2011-06-15
[2]
웹사이트
Overview {{!}} Moskva Class {{!}} Collections {{!}} Research {{!}} National Cold War Exhibition
https://www.national[...]
2023-11-28
[3]
웹사이트
LHD Wasp Class Amphibious Assault Ships
https://www.naval-te[...]
2023-11-28
[4]
웹사이트
Depth from Above: Reinventing Carrier ASW {{!}} Center for International Maritime Security
https://cimsec.org/d[...]
2023-11-28
[5]
웹사이트
Brazil commissions helicopter carrier
http://www.janes.com[...]
2018-06-29
[6]
웹사이트
China Commissions a Type 055 DDG, a Type 075 LHD and a Type 094 SSBN in a Single Day
https://www.navalnew[...]
2021-04-25
[7]
Youtube
12月26日正式服役! 4萬噸"廣西艦"入列東部戰區,16個月創造奇蹟,預示關鍵時間點,針對台海詭譎,一錘定音!【一號哨所】
https://www.youtube.[...]
2021-12-26
[8]
웹사이트
New pictures released of Chinese Type 075 LHD Guangxi
https://www.navyreco[...]
2021-12-09
[9]
웹사이트
China's Third Type 075 LHD Starts Sea Trials
https://www.navalnew[...]
2021-11-28
[10]
웹사이트
China's 3rd Type 075 LHD Anhui 安徽 Commissioned With PLAN
https://www.navalnew[...]
2024-01-24
[11]
웹사이트
Chinese navy's new warship takes part in 'combat-oriented training'
https://www.scmp.com[...]
2024-01-24
[12]
뉴스
DCNS delivers the second Mistral-class helicopter carrier to the Egyptian Navy, the LHD Anwar El Sadat
http://en.dcnsgroup.[...]
2016-09-16
[13]
웹사이트
Hyuga Class
https://www.mod.go.j[...]
JMSDF
2015-02-27
[14]
문서
World Wide Aircraft Carriers
http://www.globalsec[...]
[15]
웹사이트
America 'Sails Away' for Maiden Transit to San Diego Homeport.
http://navylive.dodl[...]
United States Navy
2014-10-10
[16]
웹사이트
BBC News – Warship HMS Illustrious starts sea trials
https://www.bbc.co.u[...]
Bbc.co.uk
2014-04-20
[17]
뉴스
Marines Test ‘Lightning Carrier’ Concept, Control 13 F-35Bs from Multiple Amphibs
https://news.usni.or[...]
USNI news
2019-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