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콩 밀크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 밀크티는 우유가 들어가지 않은 중국 차와 구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으로, 버블티와는 구별하여 '홍콩식 밀크티'라고도 불린다. 영국 식민 통치 시대에 애프터눈 티 문화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었으며, 연유를 사용하여 맛을 더해 대중적인 음료로 자리 잡았다. 다양한 홍차를 혼합하여 만들며, 얇은 면 가방에 찻잎을 걸러내 부드러운 맛을 낸다. 오리지널 스타일은 증발 우유를 사용하고, 아이스 밀크티, 커피와 혼합한 위엔양 등 다양한 형태로 즐길 수 있다. 홍콩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2017년에는 홍콩의 무형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맛, 향, 부드러운 질감, 에바 밀크의 종류와 양 등을 기준으로 평가하며, 관련 상품도 출시되고 있다.

2. 명칭

홍콩식 밀크티는 우유 없이 제공되는 일반적인 중국 차(茶|chá중국어)와 구별하기 위해 '밀크티'라는 뜻의 '''나이차'''(奶茶|náaihchà중국어)라고 불린다.[20] 홍콩 이외의 지역에서는 대만버블티 등 다른 종류의 밀크티와 구별하기 위해 '''홍콩식 밀크티'''(港式奶茶|Gǎng shì nǎichá중국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음료는 차를 거르는 데 사용되는 천 가방이 여성의 스타킹과 비슷하게 생겼다고 해서 '''실크 스타킹 밀크티'''(絲襪奶茶|sī maht náaihchà중국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별명은 1950년대와 1960년대 홍콩 밀크티의 주요 고객이었던 노동자들이 차를 거르는 굵은 베옷 필터백이 팬티스타킹처럼 보인다고 생각한 데서 유래했다는 이야기가 있다.[24]

3. 역사

영국의 홍콩 식민지배 시기에 영국인들이 즐겨 마시던 애프터눈 티 문화가 홍콩에 전파되면서 홍콩 밀크티의 역사가 시작되었다.[4][2][3][20] 영국식 밀크티홍차에 신선한 우유설탕을 넣어 마시는 것이었지만, 당시 홍콩에서는 신선한 우유를 구하기 어려웠다. 초기에는 광둥성처럼 농업에 이용되던 물소의 젖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보관이 용이한 통조림 형태로 1856년에 발명된 가당 연유1885년에 발명된 무가당 연유(에바 밀크)가 신선한 우유 대신 사용되기 시작했다.[4][5][6]

처음 밀크티는 주로 호텔이나 고급 서양식 레스토랑에서 비싼 가격에 제공되었기 때문에, 일반 홍콩 시민들이 쉽게 접하기는 어려웠다.[4] 그러나 20세기에 들어 서양 음식이 대중화되면서 빙슉( 冰室|빙슉중국어 )이나 차찬텡(茶餐廳)과 같은 현지 식당들이 생겨났고, 이들은 비싼 우유 대신 저렴한 연유를 사용하여 홍콩 사람들의 입맛에 맞춘 밀크티를 만들어 팔기 시작했다.[4][5][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大牌檔|다이파이동중국어이라 불리는 길거리 음식점에서도 밀크티를 판매하면서 더욱 대중적인 음료가 되었다.

홍콩 섬 센트럴에 있는 蘭芳園|란퐁유엔중국어이라는 다이 파이 동 식당[21]은 1952년, 창업주 란 목호(林木河) 씨가[1][7][8] 독특한 방식으로 밀크티를 만든 '실크 스타킹 밀크티'와 커피와 밀크티를 섞은 위엔양(鴛鴦)을 처음 개발했다고 주장한다.[22] 위엔양의 기원에 대해서는 검증되지 않았지만,[9][8][10] '실크 스타킹 밀크티'의 경우 란퐁유엔에서 시작되었다는 주장이 2007년 홍콩 입법회 공식 회의록에도 기록되는 등[23] 널리 인정받고 있다. '실크 스타킹'이라는 별명은 차를 거르는 데 사용하는 으로 만든 필터 주머니가 커피색으로 물든 모습이 마치 팬티스타킹처럼 보였기 때문에 붙여졌다.[24] 란퐁유엔의 진한 밀크티는 큰 인기를 끌었고, 다른 가게들도 이 방식을 따라 하면서 홍콩 특유의 밀크티 스타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초창기 홍콩 밀크티는 매우 진한 찻잎을 사용하여 맛이 강하고 카페인 함량이 높았다. 이는 1940년대 당시 홍콩의 노동자들이 피로를 풀고 활력을 얻기 위해 강한 맛을 선호했기 때문이다.[4] 그러나 1960년대 이후 차찬텡이 늘어나고 사무직 종사자들도 밀크티를 즐겨 찾게 되면서, 좀 더 부드러운 맛을 선호하는 경향에 따라 덜 강한 찻잎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 과정을 거치면서 홍콩 밀크티는 영국식 밀크티보다는 여전히 진하고 풍부하지만, 초기보다는 덜 강렬한 현재의 맛으로 변화했다.[4][6] 시간이 흐르면서 가당 연유 대신 무가당 연유(에바 밀크)를 사용하는 곳이 많아졌고, 손님이 직접 설탕을 넣어 단맛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정착되었다.

홍콩에서는 보통 우유를 넣지 않은 茶|차중국어와 구분하여 밀크티를 奶茶|나이차중국어라고 부른다.

4. 제조법

'실크 스타킹'이라 불리는 면 주머니로 차를 거르는 모습


홍콩 밀크티는 여러 종류의 홍차(서구적 의미의 실론티 포함)를 섞어서 만들며, 때로는 보이차도 사용된다.[25] 정확한 배합 비율은 차찬텡마다 다르며 영업 비밀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25]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차 배합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4][6]

  • 향을 위한 브로큰 오렌지 페코(BOP, 중간 등급 찻잎): 30%
  • 색을 위한 브로큰 오렌지 패닝스(BOF, 찻잎의 작은 조각): 30%
  • 맛을 위한 더스트(찻잎 가루): 30%
  • 향과 질감 향상을 위한 립톤(BOP와 실론 홍차): 10%


홍콩 밀크티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얇은 면으로 만든 주머니에 찻잎을 넣고 걸러내는 방식이다.[26] 이 면 주머니는 찻잎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걸러내고 차의 떫은 맛을 줄여 부드러운 식감을 만든다.[4][2] 오랫동안 사용하면 차에 의해 주머니가 갈색으로 물드는데, 그 모양과 색깔이 실크 스타킹과 비슷하다고 하여 '''실크 스타킹 밀크티'''(絲襪奶茶|시맛나이차중국어)라는 별명이 붙었다.[9][11][27] 이 별명은 주로 홍콩 현지에서 통용된다.[27]

차를 우려낼 때는 먼저 96°C에서 98°C 사이의 뜨거운 물을 찻잎 블렌드에 붓는다. 약 60cm 높이에서 물을 부으면 찻잎에 적절한 압력이 가해져 맛과 향이 더 잘 우러난다고 한다.[4] 찻잎을 약 12분간 우려낸 후,[4] 차 장인은 면 주머니에 담긴 차를 다른 주전자로 여러 번(보통 4번) 빠르게 옮겨 붓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를 '당기기'라고 부른다.[4][6][11] 이 과정을 통해 차의 농도를 조절하고 공기와 접촉시켜 맛을 부드럽게 만든다. 완성된 차는 제공되기 전까지 약 94°C 정도로 따뜻하게 보관한다.[4]

밀크티를 만들 때는 우려낸 차에 증발 우유를 첨가하는 것이 기본이다. 보통 차와 증발 우유의 비율은 7:3 정도이다.[4][6] 증발 우유는 신선한 우유보다 농축되어 있어 적은 양으로도 진하고 부드러운 맛을 내면서 차 본연의 강한 맛을 희석시키지 않는다.[5] 많은 가게에서 네덜란드 브랜드인 '블랙&화이트(Black&White)' 증발 우유를 선호하는데, 가장 부드러운 맛을 낸다고 평가받는다.[4][5] 설탕은 보통 손님이 취향에 맞게 직접 넣어 마시지만, 테이크아웃의 경우에는 미리 설탕을 넣어 제공하기도 한다.

차를 붓기 전에 우유를 먼저 넣어야 하는지, 아니면 차를 먼저 넣고 우유를 넣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기도 하다.[20] 실제 차찬텡에서는 우유를 먼저 컵에 넣고 뜨거운 차를 붓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뜨거운 차에 의해 컵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고 우유와 차가 잘 섞이도록 돕는다고 알려져 있다.

증발 우유 대신 연유를 사용하는 변형도 있는데, 이를 '''차저우'''(茶走|차자우중국어)라고 부른다.[4] 연유는 자체적으로 단맛을 가지고 있어 설탕을 따로 넣을 필요가 없다. 이 방식은 과거 보존성이 좋은 연유를 사용하던 것에서 유래했으며, 베트남 커피와 유사하다. 일부 카페에서는 탈지유콩기름을 섞은 충전 우유를 사용하기도 한다.

홍콩식 밀크티에 커피를 섞으면 '''위엔양'''(鴛鴦|윈영중국어)이라는 또 다른 인기 음료가 된다.

5. 품종

얼음 목욕 밀크티는 밀크티 잔을 얼음물에 담가, 녹는 얼음으로 인해 맛이 묽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차갑게 유지하는 방식이다.


아열대 기후인 홍콩에서는 아이스 밀크티도 인기가 높다. 일반적으로 얼음 조각을 넣어 만들지만, 얼음이 녹으면서 밀크티의 맛이 묽어지는 단점이 있다.[12][13] 이 때문에 일부 식당에서는 얼음을 넣지 않고 밀크티를 차갑게 만드는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타이 힝과 같은 체인점에서는 밀크티 컵을 얼음 그릇에 담가 제공하는 '얼음 목욕 밀크티'(冰鎮奶茶|빙전내차zho)를 판매하는데, 이는 맥주를 차갑게 유지하는 아이스 버킷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한다.[13] 다른 방식으로는 밀크티 자체를 얼려 만든 얼음을 사용하거나, 단순히 냉장고에 넣어 차갑게 식힌 밀크티를 제공하기도 한다.

과거 제빙기가 흔하지 않던 시절에는 뜨거운 밀크티를 비타소이코카콜라 유리병에 담아 냉장고에서 식혀 판매하기도 했으나, 현재 이러한 방식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대신 세븐일레븐이나 서클 K 같은 편의점에서 캔이나 플라스틱 병에 담긴 아이스 밀크티를 쉽게 구매할 수 있다. 아이스 밀크티는 일반적으로 뜨거운 밀크티보다 2~3 홍콩 달러 정도 비싸다.

홍콩식 밀크티에는 몇 가지 변형이 있다.

  • '''차저우'''(茶走|차저우zho): 일반적인 무가당 에바 밀크와 설탕 대신 연유를 넣어 만든다.[4] 연유는 자연스러운 단맛을 내며, 보존성이 좋아 과거에 선호되었다. 일반 밀크티보다 더 달콤한 맛이 특징이며, 과거의 맛을 기억하는 노년층이 즐겨 찾기도 한다.
  • '''위안양'''(鴛鴦|위안양zho): 홍콩식 밀크티에 커피를 섞어 만든 음료로, 홍콩 특유의 맛을 느낄 수 있다.
  • '''실크 스타킹 커피'''(絲襪咖啡|쓰와카페zho): '실크 스타킹' 방식, 즉 면으로 된 여과 주머니를 사용하여 커피를 내리는 방식이다.


다른 지역의 유사한 음료는 다음과 같다.

  • '''테 C'''(Teh Ceng): 싱가포르에서 마시는 에바 밀크를 넣은 밀크티이다. '테(Teh)'는 (茶)의 푸젠어 또는 차오저우어 발음이며, 'C'는 네슬레의 카네이션(Carnation) 브랜드 에바 밀크를 의미하는 약자이다. 홍콩에서는 같은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이 명칭을 쓰지 않는다.
  • '''타피오카 펄 밀크티'''(珍珠奶茶|전주나이차zho 또는 波霸奶茶|보바나이차zho): 대만에서 유래한 음료로, 타피오카 펄을 넣어 만든다. 일반 우유 대신 에바 밀크를 사용하여 만들기도 한다.

6. 인기 및 문화

차찬텡의 아침 식사와 함께 제공되는 홍콩식 밀크티


홍콩식 밀크티는 많은 홍콩 사람들의 일상에서 인기 있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오후의 차 시간에 제공되지만 아침 식사나 저녁 식사에도 흔히 등장한다.[20] 이는 서양에서 커피가 차지하는 것과 거의 같은 보편적인 지위를 누리고 있다. 밀크티는 전통적인 광둥식 레스토랑이나 딤섬 찻집에서는 찾아보기 어렵지만, 홍콩 스타일의 서양식 레스토랑과 차찬텡, 그리고 역사적인 노점인 다이파이동에서는 표준 메뉴로 제공된다.[20] 가격은 대략 20HKD (2.66USD) 정도이며, 업계 추산에 따르면 홍콩 사람들은 하루 평균 250만 잔의 밀크티를 소비한다.[14]

홍콩식 밀크티는 홍콩 도시에서 문화적으로 중요한 위상을 가지며, 현지인들 사이에서 자부심의 상징으로 여겨진다.[6][15] 이러한 문화적 중요성은 1990년대에 처음 부각되었는데, 당시 홍콩은 1997년 영국에서 중국으로의 홍콩 반환을 앞두고 있었다. 이 시기 홍콩 사람들은 현지 유산을 바탕으로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했으며, 영국인이나 중국 본토인들과는 구별되는 독자성을 추구했다. 그 결과 홍콩식 밀크티는 차찬텡과 같은 다른 문화적 요소들과 함께 홍콩 정체성의 중요한 일부가 되었다.[6] 이러한 경향은 2007년 홍콩 정부가 식민지 시대를 상징하는 지역 랜드마크였던 퀸스 부두를 철거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이 사건은 많은 젊은 홍콩인들이 현지 정체성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만들었고, 점증하는 홍콩의 지방주의 정서와 맞물려 홍콩식 밀크티의 문화적 중요성을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15]

이러한 상징적인 지위 때문에 홍콩식 밀크티는 일부 해외 거주 홍콩인들에게 향수병을 달래주는 위안이 되기도 하며, 어린 시절과 홍콩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떠올리게 한다.[15] 특히 2020년을 전후하여 시작된 정치적 이유의 이민자들에게 이 음료는 일종의 정치적 표현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들에게 홍콩식 밀크티를 마시는 행위는 홍콩 문화를 보존하고, 문화적 정체성이 위협받는 상황 속에서 "침묵의 저항"을 이어가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이민자들이 많이 정착한 영국에서는 홍콩식 밀크티 브랜드와 카페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15]

2017년, 홍콩 정부의 레저 및 문화 서비스부는 "홍콩식 밀크티 제조 기술"을 홍콩의 무형 문화 유산(ICH) 중 하나로 공식 지정했다. 이는 유네스코의 무형 문화 유산 보호 협약에서 정의하는 "전통 공예" 분야에 해당한다.[6][16][17]

7. 평가 기준

홍콩인이 홍콩식 밀크티를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중요한 기준은 맛보다 향과 부드러움이다. 실제로 香滑|훵와트중국어이라는 형용사가 맛있는 밀크티라는 의미로 자주 사용된다. 이 중 특히 부드러움이 중시되는 경향이 있으며, 홍콩인이 만족하는 홍콩식 밀크티는 크리미해야 한다.

밀크티의 부드러움은 주로 에바 밀크에서 비롯되므로, 에바 밀크 자체의 맛과 첨가하는 양이 홍콩식 밀크티 평가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어떤 브랜드의 에바 밀크를 사용하는지에 신경 쓰는 사람도 많다.

밀크티를 잘 만들었는지 판단하는 구체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부드러움: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밀크티의 크리미한 질감을 의미한다.
  • 컵 안쪽의 잔여물: 음료를 마신 후 컵 안쪽에 남는 흰 거품 형태의 잔여물이다. 이 하얀 거품은 사용된 연유나 에바 밀크의 유지방 농도가 충분히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유지방이 많이 남을수록 좋은 평가를 받는다.
  • 음료 표면의 기름기: 제대로 우려낸 밀크티 표면에 뜨는 기름기는 차를 로스팅하는 과정에서 남은 것으로, 이를 통해 고급 밀크티를 구분하기도 한다.

8. 관련 상품

2006년 11월 도요샤에서 발매한 香港茶餐廳|홍콩 차찬탱중국어 미니어처 식품 모형 컬렉션(총 10종) 중 하나로, 홍콩식 밀크티 추출에 사용하는 망이 달린 주전자 모형이 포함되었다.

참조

[1] 뉴스 Hong Kongers crave their iconic pantyhose tea https://www.reuters.[...] 2007-12-27
[2] 웹사이트 Best milk teas in Hong Kong (Page 1) http://www.cnngo.com[...] 2011-06-07
[3] 웹사이트 40 Hong Kong foods we can't live without http://www.cnngo.com[...] 2010-07-13
[4] 웹사이트 How Hong Kong-style milk tea became part of local culture https://www.scmp.com[...] 2017-11-09
[5] 웹사이트 Why Is Evaporated Milk So Popular in Hong Kong? https://www.scmp.com[...] HK Magazine 2015-12-10
[6] 웹사이트 Hong Kong's milk tea: how it went from a beverage inherited from another culture, to a symbol of the city's identity https://www.scmp.com[...] 2019-09-25
[7] 웹사이트 BRAND STORY https://www.hklanfon[...]
[8] 웹사이트 Maker of iconic milk tea may leave https://www.scmp.com[...] 2007-09-12
[9] 웹사이트 'Silk stocking' really a cotton filter https://www.scmp.com[...] 2007-09-12
[10] 웹사이트 OFFICIAL RECORD OF PROCEEDINGS https://www.legco.go[...] 2007-12-19
[11] 웹사이트 Making the perfect HK-style milk tea - the silent witness to our city's East-meets-West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https://www.scmp.com[...] 2017-04-14
[12] 웹사이트 傳說中的「冰鎮奶茶」始祖來了!香港必吃「太興燒味茶餐廳」登台,特搜叉燒、五星級燒肉、自家製菠蘿包也是必嚐美味 https://www.vogue.co[...] 2019-05-01
[13] 웹사이트 Hong Kong's Iconic Milk Tea https://www.scmp.com[...] 2014-08-07
[14] 웹사이트 Milk tea time: how Hongkongers are taking the drink to new heights to preserve tradition https://www.scmp.com[...] 2024-08-10
[15] 웹사이트 'It's like reminding myself I am a Hongkonger': drinking Hong Kong-style milk tea in the UK offers émigrés a taste of home https://www.scmp.com[...] 2022-11-25
[16] 웹사이트 Fir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ventory of Hong Kong https://www.lcsd.gov[...]
[17] 웹사이트 Hong Kong-style Milk Tea Making Technique https://www.lcsd.gov[...]
[18] 웹인용 First HKICH inventory https://www.lcsd.gov[...]
[19] 웹인용 Hong Kong-style Milk Tea Making Technique https://www.lcsd.gov[...] 2021-01-18
[20] 웹인용 Hong Kong Style Milk Tea https://www.ibiblio.[...] ibiblio 2013-03-21
[21] 웹인용 Lan Fong Yuen (Central) https://www.openrice[...] 2021-03-31
[22] 웹인용 Brand Story_LAN Fong Yuen milk tea https://www.hklanfon[...] 2021-03-31
[23] 뉴스 Official Record of Proceedings https://www.legco.go[...] 2007-12-19
[24] 뉴스 Hong-kongers crave their iconic pantyhose tea https://www.reuters.[...] Reuters 2021-01-18
[25] 웹인용 《飲食男女—大廚秘技》第廿四回 奶茶 (Cantonese) https://www.youtube.[...] 2012-10-29
[26] 웹인용 Best milk teas in Hong Kong (Page 1) http://www.cnngo.com[...] 2012-10-29
[27] 웹사이트 40 Hong Kong foods we can't live without http://www.cnngo.com[...] 2011-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