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에라폴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에라폴리스는 현재 터키의 파묵칼레에 위치했던 고대 도시로, 뤼쿠스 강 계곡의 석회화 단구와 인접해 있다. 셀레우코스 제국 시대에 건설되었고, 로마 시대에 번성했으며, 온천과 플루토니온(저승으로 통하는 문)으로 유명했다. 주요 구조물로는 극장, 아폴론 신전, 네크로폴리스, 순교자 기념 건축물 등이 있으며, 1887년 발굴이 시작되어 현재는 관광 명소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히에라폴리스 | |
---|---|
개요 | |
이름 | 히에라폴리스 |
로마자 표기 | Hierapolis |
다른 이름 | 히에라폴리스-파묵칼레 |
그리스어 표기 | Ἱεράπολις |
지리 | |
위치 | 파묵칼레, 데니즐리 주, 튀르키예 |
지역 | 프리기아 |
좌표 | 37°55′30″N 29°07′33″E |
역사 | |
유형 | 정착지 |
건설 시기 | 기원전 2세기 초 |
폐쇄 시기 | 14세기 (마지막) |
시대 | 로마 공화정 ~ 중세 |
문화 | 해당 정보 없음 |
관련 사건 | 해당 정보 없음 |
발굴 | 1887년, 1957년–2008년 |
고고학자 | 칼 후만, 파올로 베르초네 |
건축 | |
건축가 | 해당 정보 없음 |
재료 | 해당 정보 없음 |
면적 | 해당 정보 없음 |
관리 | |
소유주 | 해당 정보 없음 |
관리자 | 해당 정보 없음 |
접근성 | 해당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해당 정보 없음 |
세계유산 | |
명칭 | 히에라폴리스-파묵칼레 |
등재 연도 | 1988년 (제12차 세계유산위원회) |
종류 | 복합 유산 |
기준 | iii, iv, vii |
등재 번호 | 485 |
유네스코 지역 | 유럽 및 북아메리카 |
이미지 | |
![]() | |
![]() | |
![]() |
2. 지리
히에라폴리스는 뤼쿠스 강(Çürüksu|튀뤼크수 강tr)에서 91m 높이의 계단식 지형에 위치하며, 뷔위크멘데레스 강(Büyük Menderes River, 고대 메안데르 강)의 지류에 있다. 고대 라오디케이아와 현대 데니즐리와는 계곡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다.[1] 히에라폴리스는 터키어로 "목화 성"이라는 뜻의 파묵칼레라는 지질 형성지와 인접해 있으며, 온천에서 침전된 석회화 단구로 유명하다.[1][4] 이코니움에서 에페소스로 가는 주요 도로변에 위치하여 에게 해 지역과의 무역을 용이하게 했다.[1]
히에라폴리스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쿠스 1세 소테르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기원전 197~160년 페르가몬의 에우메네스에 의해 '폴리스'(polis) 지위를 부여받았다. 이 도시는 고품질의 모직물과 염색 제품으로 유명했다. 계곡의 프뤼기아인들은 점차 헬레니즘화되었지만, 히에라폴리스는 처음부터 그리스 식민지였다.[1]
파묵칼레는 Türkçe|터키어tr로 "목화의 궁전"이라는 뜻이다.[46] "목화"라고 불리는 것은 예부터 이 지역이 양질의 목화의 주요 생산지였기 때문이다.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약산성의 빗물이 고원을 이루는 석회암에 스며들어 탄산칼슘을 녹인 지하수가 된다. 그 지하수가 지열로 데워져 지표면으로 솟아나 온천이 되고, 그 온천수에서 탄산칼슘(석회)이 침전되어 순백색의 논밭과 같은 경관을 만들어낸 것이다.
논밭의 둑 부분에는 흘러온 식물 조각 등이 걸리면서, 거기에 석회 성분이 침착되어 점차 둑처럼 성장한다. 온수가 둑을 넘칠 때 석회 성분의 침전이 화학적으로 가속화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경관은 약 200m 높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규모는 훨씬 작지만, 같은 종류의 미세 지형이 종유동 내에서도 볼 수 있으며, 이를 畦石池이라고 한다.
3. 역사
안티오쿠스 3세는 바빌로니아와 메소포타미아에서 2,000가구의 유대인 가족들을 리디아와 프뤼기아로 이주시켰고, 이후 유대에서 더 많은 이들이 합류했다. 히에라폴리스의 유대인 공동체는 성장하여 기원전 62년에는 5만 명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10] 기원전 190년 마그네시아 전투에서 안티오쿠스 3세가 로마 공화국의 동맹국인 에우메네스 2세에게 패배하면서 얻은 전리품으로 도시가 확장되었다. 아파메아 조약으로 로마-시리아 전쟁이 끝난 후, 에우메네스는 히에라폴리스를 포함한 소아시아의 많은 지역을 합병했다.
히에라폴리스는 치유의 중심지가 되었고, 고대 그리스 의학의 의사들이 온천을 환자 치료에 사용했다. 기원전 2세기에 청동 주화를 주조하기 시작했는데, '히에라폴리스(Hierapolis)'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 이 이름이 원래 사원(ἱερόν, hieron)을 가리키는 것인지, 페르가몬의 아탈로스 왕조 시조인 헤라클레스와 무시아 공주 아우게의 아들 텔레푸스의 아내 히에라(Hiera)를 기리는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이 이름은 결국 비잔티움의 지리학자 스테파누스에 따르면 많은 수의 사원 때문에 히에라폴리스("성스러운 도시")로 변했다.[11]
기원전 133년, 아탈로스 3세가 사망하자 그의 왕국은 로마에 유증되었다. 이에 따라 히에라폴리스는 아시아 속주의 일부가 되었다. 이 지역의 다른 도시들과는 달리 로마 식민지로 재편성되지는 않았지만, 어느 정도 로마화는 진행되었다.[1] 기원후 17년, 티베리우스 황제 통치 시기에 발생한 대지진으로 도시가 파괴되었다.
기독교 사도 바울의 영향으로, 그가 에베소에 있을 당시 이곳에 교회가 설립되었다.[12] 기독교 사도 빌립은 생애의 마지막 몇 년을 이곳에서 보냈으며,[13] 서기 80년 십자가에 못 박힌 곳 위에 그의 순교 기념지가 세워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딸들 또한 이 지역에서 여예언자로 활동했다고 전해진다.[14][15]
서기 60년, 네로 황제 통치 시기에 더욱 심각한 지진으로 도시는 완전히 폐허가 되었다. 그 후, 제국의 재정적 지원으로 로마 양식으로 도시가 재건되었다. 카라칼라가 215년 이 도시를 방문했을 때, 그는 도시에 '네오코로스'(neocoros)라는 칭호를 수여하여 특권과 신성 불가침의 권리를 부여했다. 이는 히에라폴리스의 황금기였다.
4세기 동안, 기독교인들은 플루톤의 문(플루토니온)을 돌로 채웠다.[16] 비잔티움 황제 유스티니아누스는 531년에 히에라폴리스 주교를 메트로폴리탄의 지위로 격상시켰다. 비잔티움 시대 동안, 도시는 계속 번영했고 기독교의 중요한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
1354년 대지진으로 히에라폴리스는 완전히 폐허가 되었다.
히에라폴리스는 1887년 독일 고고학자 카를 후만에 의해 처음 발굴되었다.[17] 1957년부터 파올로 베르조네가 이끄는 이탈리아 과학자들이 현장에서 작업을 시작하면서 본격적인 발굴이 시작되었다.
3. 1. 철기 시대
2016년 데니즐리 히에라폴리스 고고학 박물관 소속 고고학자들이 히에라폴리스 고고학 공원 입구 북쪽 묘지 지역에서 발굴 작업을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히에라폴리스 최초의 철기 시대 정착 구조물이 발굴되었다. 리코스 강 넓은 평야가 내려다보이는 촤켈레즈 산 기슭에 걸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대규모 정착지에 속한 원형 오두막들이 발견되었다.[5] 그리스 식민지 건설 이전에는 동굴과 그 주변 바위를 중심으로 키벨레에게 봉헌된 예배 공간이 초기 정착지의 중심이었다.[5]
3. 2. 프리지아 신전
프리지아인들은 기원전 7세기 전반기에 이곳에 어머니 여신 키벨레를 위한 신전을 건립했다.[6] 리쿠스 계곡에 거주하던 원주민 공동체가 원래 사용했던 이 신전은 나중에 히에라폴리스의 중심이 되었다. 그리스 식민지 개척민들이 도착하여 기존 정착지 위에 도시를 건설했을 때, 키벨레의 고대 종교는 점차 그리스 종교에 동화되었다.[7]
그리스 식민지 개척 이전부터 이 지역은 동굴 안의 온천에서 나오는 유독 가스 때문에 저승으로 가는 관문이자 저승 신들과 소통하는 장소로 여겨졌다.[9] 스트라본과 다마스키우스에 따르면 동굴 위에 지어진 신전은 어머니 여신 키벨레와 관련이 있었다.[8] 어머니 여신의 거세된 사제들만이 동굴의 가스에 질식하지 않을 수 있었다.[1] 온천은 도시의 주요 명소였다.[1] 그리스 문화에 동화된 후, 키벨레 대신 하데스(플루톤)와 페르세포네와 관련되었고, 신전은 플루토니움이라고 불리게 되었다.[9]
3. 3. 헬레니즘 도시
히에라폴리스는 안티오쿠스 1세 소테르(기원전 281~261년) 시대 셀레우코스 제국에 의해 건설되었고, 기원전 197~160년 페르가몬의 에우메네스에 의해 '폴리스'(polis) 지위를 부여받았다. 이 도시는 고품질의 모직물과 염색 제품으로 유명했다. 계곡의 프뤼기아인들은 점차 헬레니즘화되었지만, 히에라폴리스는 처음부터 그리스 식민지였다.[1]
안티오쿠스 3세는 바빌로니아와 메소포타미아에서 2,000가구의 유대인 가족들을 리디아와 프뤼기아로 이주시켰고, 이후 유대에서 더 많은 이들이 합류했다. 히에라폴리스의 유대인 공동체는 성장하여 기원전 62년에는 5만 명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10] 기원전 190년 마그네시아 전투에서 안티오쿠스 3세가 로마 공화국의 동맹국인 에우메네스 2세에게 패배하면서 얻은 전리품으로 도시가 확장되었다. 아파메아 조약으로 로마-시리아 전쟁이 끝난 후, 에우메네스는 히에라폴리스를 포함한 소아시아의 많은 지역을 합병했다.
히에라폴리스는 치유의 중심지가 되었고, 고대 그리스 의학의 의사들이 온천을 환자 치료에 사용했다. 이 도시는 기원전 2세기에 청동 주화를 주조하기 시작했다. 이 주화에는 '히에라폴리스(Hierapolis)'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다. 이 이름이 원래 사원(ἱερόν, hieron)을 가리키는 것인지, 혹은 페르가몬의 아탈로스 왕조의 시조로 여겨지는 헤라클레스와 무시아 공주 아우게의 아들 텔레푸스의 아내 히에라(Hiera)를 기리는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이 이름은 결국 비잔티움의 지리학자 스테파누스에 따르면 많은 수의 사원 때문에 히에라폴리스("성스러운 도시")로 변했다.[11]
3. 4. 로마 시대의 히에라폴리스
기원전 133년, 아탈로스 3세가 사망하자 그의 왕국은 로마에 유증되었다. 이에 따라 히에라폴리스는 아시아 속주의 일부가 되었다. 이 지역의 다른 도시들과는 달리 로마 식민지로 재편성되지는 않았지만, 어느 정도 로마화는 진행되었다.[1] 기원후 17년, 티베리우스 황제 통치 시기에 발생한 대지진으로 도시가 파괴되었다. 철학자 에픽테토스는 서기 50년 이 도시에서 노예로 태어났다.
기독교 사도 바울의 영향으로, 그가 에베소에 있을 당시 이곳에 교회가 설립되었다.[12] 기독교 사도 빌립은 생애의 마지막 몇 년을 이곳에서 보냈다.[13] 이 도시의 순교자 기념지는 빌립이 서기 80년 십자가에 못 박힌 곳 위에 세워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딸들 또한 이 지역에서 여예언자로 활동했다고 전해진다.[14][15]
서기 60년, 네로 황제 통치 시기에 더욱 심각한 지진으로 도시는 완전히 폐허가 되었다. 그 후, 제국의 재정적 지원으로 로마 양식으로 도시가 재건되었다. 바로 이 시기에 도시는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극장은 129년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방문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193~211) 치세에 개보수되었다. 카라칼라가 215년 이 도시를 방문했을 때, 그는 도시에 '네오코로스'(neocoros)라는 칭호를 수여하여 특권과 신성 불가침의 권리를 부여했다. 이는 히에라폴리스의 황금기였다. 수많은 사람들이 온천의 약효를 얻기 위해 이곳으로 몰려들었다. 두 개의 로마식 목욕탕, 체육관, 여러 개의 신전, 주랑이 있는 중앙가, 그리고 온천에 있는 분수대 등 새로운 건설 사업이 시작되었다. 히에라폴리스는 예술, 철학, 무역 분야에서 로마 제국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도시는 10만 명의 주민으로 성장하여 부유해졌다. 370년 사산 왕조의 샤푸르 2세에 대한 원정 중에 발렌스 황제가 마지막으로 이 도시를 방문했다.
3. 5. 교회 역사
4세기 동안, 기독교인들은 플루톤의 문(플루토니온)을 돌로 채웠는데, 이는 기독교가 우세한 종교가 되어 그 지역의 다른 종교들을 대체하기 시작했음을 시사한다.[16] 원래 파키아티아나 프리고아의 주교좌였던 비잔티움 황제 유스티니아누스는 531년에 히에라폴리스 주교를 메트로폴리탄의 지위로 격상시켰다. 로마식 목욕탕은 기독교 바실리카로 개조되었다. 비잔티움 시대 동안, 도시는 계속 번영했고 기독교의 중요한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
3. 6. 중세 시대의 히에라폴리스
파묵칼레 석회화 단구 꼭대기에 위치한 히에라폴리스 유적은 로마 제국의 온천 휴양지로 번성하였다. 로마 제국 시대에도 지진으로 파괴되었지만, 이후 재건되었다. 그러나 1354년 대지진으로 완전히 폐허가 되었다. 로마 극장, 로마 목욕탕 등이 남아 있다.
3. 7. 현대의 발굴
히에라폴리스는 1887년 6월과 7월에 독일 고고학자 카를 후만에 의해 처음 발굴되었다. 그의 발굴 기록은 1889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Altertümer von Hierapolis''에 실렸다.[17] 그는 페르가몬 제단을 발견하여 명성을 얻었다.
20세기에 온천의 큰 흰색 석회암 지대가 다시 유명해지면서 "목화 성"(파묵칼레)이라는 이름의 관광 명소로 바뀌었다. 고대 도시는 여행객들에 의해 재발견되었지만, 새로 지어진 호텔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파괴되기도 했다.
1957년 파올로 베르조네가 이끄는 이탈리아 과학자들이 현장에서 작업을 시작하면서 본격적인 발굴이 시작되었다. 이 연구는 2008년 현장 복원이 시작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도미티아누스의 이름을 딴 문 근처의 중앙 거리에 있는 많은 기둥들이 다시 세워졌다. 11세기 안뜰집을 포함하여 비잔틴 시대의 많은 주택들도 발굴되었다.
4. 주요 구조물
히에라폴리스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구조물들이 남아있다.
- 극장: 기원후 60년 지진 이후 하드리아누스 황제 통치 시기에 건설되었으며,[19]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시대에 더욱 화려하게 개보수되었다. 7세기 지진으로 파괴되기 전까지 수렵극과 검투사 경기 등이 열렸던 곳이다.
- 아폴론 신전: 헬레니즘 시대 후기에 도시의 주요 신이었던 아폴론에게 바쳐진 신전이다.[22] 퀴벨레, 아르테미스 등 다른 신들을 위한 공간도 있었다. 4세기에 기독교가 우위를 점하면서 훼손되었다.
- 플루토니온: 플루토의 신전으로, 유독 가스가 나오는 동굴 위에 지어졌다.[29] 스트라보(Strabo) 등 고대 저술가들이 묘사했으며, 기독교 시대에 입구가 막혔다가 최근에 발굴되었다.[31][32][33][34][35]
- 님페이온: 2세기에 건설된 님프(nymph)들의 신전이자 도시의 가옥들에 물을 공급하는 기념비적인 분수였다. 5세기에 비잔틴 시대에 보수되었는데, 아폴론 신전의 담장 일부를 사용하여 보강벽이 세워졌다. 이 과정에서 초기 기독교인들은 이교 신전의 시야를 차단했다.
- 네크로폴리스: 도시 성벽 밖에 위치한 공동묘지로, 석관, 고분 등 다양한 형태의 무덤들이 있다.
- 성 필립 순교자 기념 건축물: 사도 필립의 순교를 기념하기 위해 5세기에 지어진 건축물이다.
- 대온천: 파묵칼레의 온천을 중심으로 건설되었으며, 히에라폴리스에서 가장 큰 건물 중 하나였다.
- 바실리카 온천: 3세기 초 도시 북문 밖에 건설되었으며, 초기 기독교 시대에 교회로 개조되었다.[1]
4. 1. 주요 도로와 문
헬레니즘 시대 도시는 주요 간선도로와 평행하거나 수직으로 달리는 도로를 갖춘 격자 형태로 건설되었다. 주요 도로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석회화 단구 계단 근처 절벽을 따라 약 1500m 길이에 13.5m 너비로 이어졌으며, 양쪽으로 아케이드가 있었다. 주요 도로 양 끝에는 거대한 돌덩이로 지어진 네모난 탑으로 둘러싸인 기념비적인 문이 있었다. 측면 도로는 약 3m 너비였다.
도미티아누스 문은 북쪽 시문 근처에 있는 또 다른 문이다. 원형 탑으로 둘러싸인 이 개선문은 세 개의 아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독 율리우스 프론티누스(84~86년)에 의해 건설되었다.[18]
4. 1. 1. 프론티누스 문

프론티누스 문은 로마 도시의 기념비적인 입구로, 정착지 전체를 가로지르는 폭 14m의 큰 플라테이아로 이어진다.[18] 이 문을 통해 반대편으로 나가면 리코스 강변의 라오디케이아(Laodicea on the Lykos)와 콜로사이(Colossae)로 가는 길과 연결된다.[18] 이 문은 신중하게 다듬어진 트라베르틴 블록으로 만들어졌으며, 세 개의 개구부, 우아한 아치, 단순한 코니스 몰딩으로 장식되어 있다. 또한 안탈리아 근처 팜필리아 도시 페르게(Perge)의 문과 같이 헬레니즘 도시 문을 연상시키는 두 개의 원형 탑이 잘 보존되어 있다.[18]
4. 1. 2. 북쪽 비잔틴 문
북문은 테오도시우스 시대(4세기 후반) 히에라폴리스에 건설된 방어 시스템의 일부로, 도시 남쪽의 대칭적인 문과 마찬가지로 기념비적인 입구이다. 아고라 철거 당시 재활용 건축 자재(Spolia)로 건설되었으며, 블라운두스(Blaundus)와 같은 인근 도시들처럼 두 개의 정사각형 탑이 측면에 있다. 사자, 표범, 고르곤의 머리가 새겨진 네 개의 큰 대리석 브래킷이 문 앞에서 무너진 채 발견되었다. 이들은 매우 표현력이 풍부하며, 고대 건물에 속하는 것이지만, 악영향을 막기 위해 문 양쪽에 부적으로 재사용되었던 것이 분명하다.4. 2. 극장
히에라폴리스의 극장은 기원후 60년 지진 이후 하드리아누스 황제 통치 시기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된다.[19] 정면의 길이는 약 91m이며, 상당 부분이 현재까지 남아 있다. 관객석은 50열의 좌석이 8개의 중간 계단으로 7개 구역으로 나뉘어 있고, 중앙 통로(diazoma)는 두 개의 아치형 통로(vomitoria)를 통해 출입할 수 있었다. 관객석 중앙에는 황제석(Imperial loge)이 있고, 오케스트라 주위에는 높이 1.83m의 벽이 있다.
3세기 초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통치 시대에 기존의 무대배경(scaenae frons)은 3층으로 구성되고 인상적인 측면 출입 건물 두 개가 측면에 있는 새로운, 보다 기념비적인 것으로 대체되었다. 각 층에는 신화적인 주제를 보여주는 조각 부조가 배치되었고, 건물 상인방(entablature)을 따라 헌정 비문이 새겨져 있었다. 건축물의 규모, 고품질의 제작 기술 및 사용된 재료는 이 변형이 매우 뛰어났음을 보여준다.[20]
관객석(auditorium)은 고대 석회암 좌석을 대리석 좌석으로 교체하고 오케스트라 위에 높은 단상을 만들어 수렵극(venationes)과 검투사 학교의 구성에 맞추는 방식으로 재건되었다.
7세기 히에라폴리스 지진으로 건물 전체가 붕괴되었고, 결국 도시는 버려졌다. 18세기 이후 이 기념비적인 유적은 유럽 여행객들의 묘사와 판화에서 반복되는 주제가 되었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는 그의 아내 줄리아 돔나, 두 아들 카라칼라와 게타, 그리고 주피터 신과 함께 부조에 묘사되어 있다. 기원후 352년에는 오케스트라가 당시 유행하던 수상 쇼를 위한 경기장으로 개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높이 3.66m의 무대에는 다섯 개의 문과 여섯 개의 벽감이 있었고, 그 앞에는 직선과 곡선이 번갈아 가며 장식된 열 개의 대리석 기둥이 있었다. 무대 뒤쪽 벽은 서로 뒤에 있는 세 줄의 기둥으로 장식되어 있었다. 앞줄 기둥에는 홈이 없고 팔각형 받침대 위에 서 있다.
관객석은 1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계단식 좌석으로 구성되었으며, 중앙 통로로 이등분되었다. 황제석(box)도 있었다. 원래 하단에는 20열, 상단에는 25열이 있었지만, 현재는 총 30열만 남아 있다. 관객석은 8개의 수직 통로와 계단을 통해 9개의 통로로 구분되어 있다. 프로스케니엄(proscenium)은 2층으로 구성되었으며, 양쪽에 화려하게 장식된 벽감이 있었다. 이탈리아 고고학팀이 발굴한 여러 조각상, 부조(아폴론, 디오니소스, 디아나의 묘사 포함), 장식 요소들은 현지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극장은 2004년부터 2014년까지 중요한 복원 작업이 진행되었다.[21]
4. 3. 아폴론 신전
헬레니즘 시대 후기에 도시의 주요 신인 아폴론 라이르베노스를 위한 신전이 세워졌다.[22] 이 아폴론은 고대 아나톨리아의 태양신 라이르베노스와 신탁의 신 카레이오스와 관련이 있었다. 이곳에는 퀴벨레, 아르테미스, 플루토, 포세이돈을 위한 신전이나 사당도 있었다. 현재는 헬레니즘 시대 신전의 기초만 남아 있다. 이 신전은 도리아 양식의 페리볼로스 안에 있었다.
신전 구조물은 후대의 것이지만, 박물관에 있는 두 개의 이오니아 양식의 주두와 서기 1세기의 코린트 양식 주두 및 기타 건축 파편들을 통해 고고학자들은 이곳에 더 이전의 신전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대리석 계단이 있는 이 신전은 약 70m 길이의 신성한 지역 안에 있다. 신전은 담장(''테메노스'')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신전의 뒷부분은 언덕에 기대어 지어졌고, 페리볼로스는 남쪽, 서쪽, 북쪽의 나머지 부분을 대리석 포르티코로 둘러싸였는데, 이 부분은 부분적으로 발굴되었다. 이 포르티코에는 홈이 파인 도리아식 반주를 지탱하는 필라스터가 있으며, 주두 아래에는 일렬로 아스트라갈과 구슬이 장식되어 있고, 에키누스에는 일련의 오볼로가 새겨져 있다.
새로운 신전은 3세기에 로마식으로 재건되었는데, 이전 신전의 돌 블록을 재활용하였다. 재건된 신전은 면적이 더 작았고, 현재는 대리석 바닥만 남아 있다.
1998년 현장에서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이탈리아 국립 연구위원회의 지질학자는 아폴론 신전과 인근의 플루토니온의 기원이 지진 단층의 지표면 흔적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는데, 두 신전 모두 이 단층 위에 의도적으로 지어졌고, 이 단층은 하데스의 관문으로 숭배되었다.[23][24] 플루토니온은 원주민 공동체의 가장 오래된 종교 중심지였으며, 아폴론이 퀴벨레를 만난 곳이었다. 유독한 지하 증기에 압도되지 않고 동굴에 들어갈 수 있는 사람은 대모신의 사제뿐이라고 전해진다. 아폴론에게 봉헌된 신전은 종종 지질학적으로 활동적인 장소에 지어졌는데, 가장 유명한 예로 델포이의 신전이 있다.[25][26][27]
4세기에 기독교가 공식적으로 우위를 점하게 되자, 이 신전은 여러 차례 훼손을 당했다. 큰 님페이온을 만들기 위해 페리볼로스의 일부도 해체되었다.
4. 4. 플루토니온
고대 도시 히에라폴리스에는 "플루토니온(Ploutonion)"으로 확인되는 구조물이 최소 두 곳 이상 있었다.[28] 하나는 아폴론 신전 옆에 있었고,[28] 다른 하나는 동쪽으로 약 200미터 떨어진 곳에 있었는데,[28] 역사적 자료에 언급된 "플루토니움"으로 확인되었다. 관례적으로 "새로운 플루토니움"이라고 불리는 두 번째 구조물은 고대 저자들이 언급한 비문도 가지고 있다.[28]아폴론 신전 옆과 신성한 지역 안에는 가장 오래된 현지 신전인 플루톤의 문(Pluto's Gate)이 있다. 이곳은 플루토니온(ploutonion)(Πλουτώνειονgrc) 또는 플루토니움(plutonium)이라고 불렸는데, 여기서는 그리스 신 플루토(Pluto)의 신전을 의미한다. 이 플루토니온은 스트라보(Strabo), 카시우스 디오(Cassius Dio), 다마스키우스(Damascius)를 포함한 여러 고대 저술가들이 묘사했다. 이곳은 사람 한 명이 울타리가 쳐진 입구를 통해 들어갈 수 있을 만큼 작은 동굴이며, 그 너머로 계단이 내려가고 지하 지질 활동으로 인해 질식시키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나온다. 3m2 크기의 지붕이 있는 방 뒤에는 깊은 바위 틈이 있으며, 그 틈으로 뜨거운 물이 빠르게 흘러가면서 매캐한 냄새의 가스를 방출한다.[29]
도시 초기에는 큐벨레(Cybele)의 거세된 사제들이 플루토니온으로 내려가 산소가 있는 곳으로 기어가거나 숨을 참았다. 이산화탄소는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움푹 들어간 곳에 가라앉는 경향이 있다. 그런 다음 사제들은 기적적으로 가스에 면역이 되어 신의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나왔다.[30]
입구 앞에는 2000m2 규모의 울타리가 쳐진 지역이 있었다. 이곳은 질식시키는 가스로 가득 차 있어 감히 들어가는 사람은 누구든 죽었다. 사제들은 방문객들에게 새와 다른 동물을 팔아 이 울타리가 쳐진 지역이 얼마나 치명적인지 시험해볼 수 있도록 했다. 방문객들은 (요금을 지불하고) 플루토의 신탁(oracle)에 질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신전에 상당한 수입원을 제공했다. 플루토니온의 입구는 기독교 시대에 막혔으며,[31][32][33][34] 최근에 발굴되었다.[35]
4. 5. 님페이온
님페이온은 아폴론 신전 앞의 신성한 구역 안에 있다. 2세기경에 건설된 이 건물은 님프(nymph)들의 신전이자, 정교한 배관망을 통해 도시의 가옥들에 물을 공급하는 기념비적인 분수였다. 5세기에 비잔틴 시대에 보수되었는데, 아폴론 신전의 담장(peribolos) 일부를 사용하여 보강벽이 세워졌다. 이 과정에서 초기 기독교인들은 이교 신전의 시야를 차단했다. 6세기에 비잔틴 시대의 문이 건설되었다. 현재는 뒷벽과 측벽 두 개만 남아 있다. 벽과 벽감에는 조각상들이 장식되어 있었으며, 이탈리아 고고학팀은 여사제 조각상 두 점을 발굴하여 현재 현지 박물관에 전시하고 있다.님페이온은 U자형 평면을 가지고 있으며, 주요 기둥이 있는 도로의 연장선상에 자리 잡고 있다. 돌 포장, 기둥, 그리고 다른 건축 유적들은 도시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기둥이 있는 도로의 상당 부분을 보여준다. 님페이온 주변에는 조각상과 상점들이 있었고, 그 아래로 운하가 지나갔다. 이 도로는 돌 블록으로 덮인 기초를 가지고 있었는데, 현재는 사설 행정부 건물의 수영장 아래에 있다. 1세기 말에 건설되어 도시 성벽 밖에 남겨진 거대한 문 두 개가 있다.
4. 6. 네크로폴리스
도시 성벽과 초원 너머, 주요 기둥이 있는 도로를 따라 외곽 온천 (''thermae extra muros'')을 지나면, 네크로폴리스가 고대 프리기아 트리폴리스와 사르디스로 이어지는 옛길 양쪽으로 2km 이상 펼쳐져 있다. 또 다른 길은 라오디케이아에서 남쪽으로 클로사이까지 이어진다. 네크로폴리스는 고대 도시의 북쪽, 동쪽, 남쪽 지역까지 확장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무덤은 발굴되었다.
이 네크로폴리스는 터키에서 가장 잘 보존된 곳 중 하나이다. 약 1,200기의 무덤 대부분은 현지에서 나는 다양한 종류의 석회암으로 건설되었지만, 대리석이 사용된 경우도 있다. 대부분의 무덤은 후기 헬레니즘 시대의 것이지만, 로마 시대와 초기 기독교 시대의 무덤도 상당수 있다. 고대에 히에라폴리스에서 치료를 받으러 온 사람들과 도시 원주민들은 그들의 전통과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여러 유형의 무덤에 시신을 매장했다.
무덤과 장례 기념물은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유형 | 설명 |
---|---|
서민 무덤 | 간단한 형태 |
석관 | 기단 위에 놓이거나 바위에서 파낸 형태. 이중 경사 지붕이 많고, 대부분 대리석. 사망자 정보와 선행을 새긴 부조와 비문이 있지만, 대부분 약탈됨. |
원형 고분 | 둥근 천장이 있는 방으로 이어지는 좁은 통로. |
대가족 무덤 | 기념비적이며 작은 사원과 유사. |
4. 6. 1. 북쪽 네크로폴리스
히에라폴리스의 북쪽 묘지는 광대한 지역에 걸쳐 있으며, 많은 트라베르틴 라히드와 함께 그리스어로 '소로스(Soros)'라는 접미사가 새겨져 있다. 이 묘지에는 다양한 건축 기법을 보여주는 많은 묘비들이 있다.가장 오래된 무덤은 헬레니즘 시대(기원전 1세기와 2세기)의 것으로, 언덕 기슭 동쪽에 위치한 봉분 무덤이다. 돌은 매장실 상단을 연결하는 드럼 실린더 형태로 잘라져 있으며, 매장실은 복도 드라모스(dramos)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부유한 가정의 무덤은 이러한 형태였고, 가난한 가정의 무덤은 바위에 새겨져 단순한 형태였다. 도시 북쪽에 있는 2번째와 3번째 무덤은 일반적으로 담으로 둘러싸여 있고 꽃과 나무(특히 사이프러스)로 장식된 정원을 가지고 있었다. 트라베르틴으로 만들어진 묘비는 간단한 라히드와 그 위에 두 개 이상의 라히드가 있는 가옥 형태 등 다양한 유형을 보인다. 라히드를 담고 있는 석관에는 그리스어로 "보마스"(bomas, "제단")라는 비문이 새겨져 있었다. "보마스"는 고위층 사망자의 시신과의 연결을 통해 그 또는 그녀의 기억이 칭송될 것임을 강조하는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영웅 숭배소(heroon)와 같은 기능을 했다.
4. 6. 2. 남쪽 네크로폴리스
도시 성벽과 초원 너머, 주요 기둥이 있는 도로를 따라 외곽 온천 (''thermae extra muros'')을 지나면, 네크로폴리스가 고대 프리기아 트리폴리스와 사르디스로 이어지는 옛길 양쪽으로 2km 이상 펼쳐져 있다. 또 다른 길은 라오디케이아에서 남쪽으로 클로사이까지 이어진다. 네크로폴리스는 고대 도시의 남쪽 지역까지 확장되어 있다.
이 네크로폴리스는 터키에서 가장 잘 보존된 곳 중 하나이다. 약 1,200기의 무덤 대부분은 현지에서 나는 다양한 종류의 석회암으로 건설되었지만, 대리석이 사용된 경우도 있다. 대부분의 무덤은 후기 헬레니즘 시대의 것이지만, 로마 시대와 초기 기독교 시대의 무덤도 상당수 있다. 고대에 히에라폴리스에서 치료를 받으러 온 사람들과 도시 원주민들은 그들의 전통과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여러 유형의 무덤에 시신을 매장했다.
무덤과 장례 기념물은 다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서민들을 위한 간단한 무덤
- 석관들. 일부는 기단 위에 놓여 있고, 다른 일부는 바위에서 파낸 것이다. 많은 석관은 이중 경사 지붕으로 덮여 있다. 대부분 대리석으로 만들어졌으며, 사망자의 이름과 직업을 보여주고 선행을 칭찬하는 부조와 비문으로 장식되어 있다. 이러한 비문들은 인구에 대해 많은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대부분은 수년 동안 약탈당했다.
- 원형 고분들. 때로는 구별하기 어렵다. 이러한 봉분들은 각각 안쪽의 둥근 천장이 있는 방으로 이어지는 좁은 통로를 가지고 있다.
- 대가족 무덤들. 때로는 기념비적이며 작은 사원과 닮았다.
4. 7. 순교자 기념 건축물
성 필립 순교자 기념 건축물(Martyrium)은 도시 성벽 북동쪽 외곽 언덕 위에 있다. 5세기에 건설되었으며, 건물 중앙에 필립이 매장되었다고 전해진다.[38] 5세기 말이나 6세기 초에 화재로 소실되었는데, 기둥에 남은 화재 흔적이 이를 증명한다. 필립은 히에라폴리스에서 거꾸로 십자가에 못 박혀 순교했다거나,[39] 또는 나무에 거꾸로 매달려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일반적으로 순교자 기념 건축물은 기독교 사도 필립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고 여겨지지만, 초기부터 "히에라폴리스의 필립"의 실제 신원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40] 이러한 혼란은 에페소의 폴리크라테스가 2세기 말 빅토르(로마)에게 보낸 편지와 유세비우스의 교회사[41]에 기록된 보고서에서 시작되었다. 편지에서 그는 "열두 사도 중 한 명인" 필립과 그의 두 늙은 처녀 딸들의 무덤이 (프리기아) 히에라폴리스에 있으며, "성령 안에 살았던" 세 번째 딸은 에페소에 묻혔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와 비교할 수 있는 것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의 증언으로, 그는 우연히 "사도 필립"이 자녀를 낳고 딸들을 시집보냈다고 말하고 있다.
반면, 프로클루스는 폴리크라테스의 편지보다 다소 후대의 저술인 "카이우스의 대화"에 나오는 대화 상대자 중 한 명인데, 그는 "아시아 히에라폴리스에 있는 필립의 네 명의 여예언자 딸들의 무덤과 그들의 아버지의 무덤이 거기에 있다"고 언급하는데, 여기서 딸들이 예언했다는 언급은 그가 의미하는 인물을 사도행전의 필립과 동일시한다.[42] 초기 전승에 따르면 이 필립은 프리기아에서 교수형에 처해 순교했으며,[43] "사도 필립"으로도 알려져 있었다.
복음 전파자로서의 신원을 제외하고 히에라폴리스에 살았던 필립이 사도였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라이트풋(Lightfoot)의 골로새서(2)에 나와 있다.[44] 그의 견해는 히에라폴리스에서 발견된 비문으로 새롭게 확인되었는데, 그 비문은 그곳 교회가 "거룩하고 영광스러운 사도이자 신학자 필립"의 기념을 위해 봉헌되었음을 보여준다. 초기 전승에 따르면 이 필립은 프리기아에서 교수형에 처해 순교했으며,[43] "사도 필립"으로도 알려져 있었다.
순교자 기념 건축물은 특별한 설계를 가지고 있는데, 아마 비잔티움 황제의 건축가가 설계했을 것이다. 납으로 덮인 나무 돔 아래에 지름 20m의 중앙 팔각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구조는 세 개의 아치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여덟 개의 직사각형 방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그중 네 개는 교회 입구로, 나머지 네 개는 예배당으로 사용되었다. 여덟 개 방 사이의 공간에는 삼각형 압시스가 있는 칠각형 예배당들이 채워져 있었고, 압시스 위의 돔은 모자이크로 장식되었다. 전체 구조는 대리석 기둥으로 된 아케이드로 둘러싸여 있었고, 모든 벽은 대리석 패널로 덮여 있었다.
2011년, 순교자 기념 건축물에서 약 40m 떨어진 곳에서 필립의 묘가 발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되었다.
4. 8. 대온천
대온천은 파묵칼레의 자연 온천을 중심으로 건설되었으며, 히에라폴리스에서 가장 큰 건물 중 하나였다.4. 8. 1. 고대 풀
7세기 지진으로 이오니아식 대리석 현관이 무너져 샘이 되면서 오늘날의 고대 풀(Antique Pool)이 형성되었다.[46]4. 8. 2. 클레오파트라의 풀
히에라폴리스의 온천은 Pamukkaletr(파묵칼레, "목화 성")라는 지질 형성지에 있으며, 온천에서 침전된 석회화 단구(travertine)로 유명하다.[1][4] 파묵칼레는 터키어로 "목화의 궁전"이라는 뜻인데,[46] 예부터 이 지역이 양질의 목화 주요 생산지였기 때문에 "목화"라고 불린다.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약산성의 빗물이 고원을 이루는 석회암에 스며들어 탄산칼슘을 녹인 지하수가 된다. 그 지하수가 지열로 데워져 지표면으로 솟아나 온천이 되고, 그 온천수에서 탄산칼슘(석회)이 침전되어 순백색의 논밭과 같은 경관을 만들어낸 것이다. 온천의 물 온도는 36~57 °C이며, 중탄산염, 황산염,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철과 방사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4. 9. 바실리카 온천
3세기 초, 도시 북문 밖에 바실리카 양식의 온천이 건설되었으며, 초기 기독교 시대에 교회로 개조되었다.[1]5. 박물관
히에라폴리스 고고학 박물관은 1984년부터 대온천(great baths) 건물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박물관에는 라오디케이아, 콜로사이, 트리폴리스, 아투다(Attuda) 및 리코스(Çürüksu) 계곡의 다른 도시들에서 출토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17] 또한 베이체술탄 휘위크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 공예품과 카리아(Caria), 피시디아(Pisidia), 리디아(Lydia) 지역에서 출토된 유물들도 볼 수 있다. 박물관 전시 공간은 히에라폴리스 온천의 세 개의 폐쇄 구역과 동쪽에 있는 개방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곳은 도서관과 체육관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방된 전시 공간의 유물은 대부분 대리석과 돌로 만들어졌다.
5. 1. 무덤과 조각상 갤러리
이 방에는 히에라폴리스와 라오디케이아 발굴에서 출토된 석관, 조각상, 묘비, 받침대, 기둥 및 비문 등이 전시되어 있다. 이러한 유물 중에는 티케, 디오니소스, 판, 아스클레피오스, 이시스, 데메테르 및 트리톤의 조각상이 있는데, 로마 시대에 제작되었지만 헬레니즘 전통의 영향을 받았다. 가족 무덤에 새겨진 지역 관습의 표현은 특히 흥미롭다.[17]가장 아름다운 구운 점토 석관은 이 지역의 특징이다. 이 방에서 가장 귀중한 예술 작품 중 하나는 '시데마레'식의 아르홈(Arhom)이라는 사람의 석관이다. 여기에는 막시밀리안(Maximilian)을 위한 비문이 새겨져 있으며, 라디와 라오디케이아 고대 도시에서 출토된 가장 훌륭한 작품이다.[17]

5. 2. 작은 유물 갤러리
히에라폴리스 고고학 박물관에는 지난 4,000년 동안 여러 문명에서 출토된 소형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베이체술탄 휘위크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 공예품은 이 박물관의 중요한 소장품 중 하나이다. 이 외에도 라오디케이아(Laodiceia), 콜로사이(Colossae), 트리폴리스(Tripolis), 아투다(Attuda) 및 리코스(Çürüksu) 계곡의 다른 도시들과 카리아(Caria), 피시디아(Pisidia), 리디아(Lydia) 지역에서 출토된 유물들도 전시되어 있다.5. 3. 극장 갤러리
히에라폴리스 극장에는 아폴론과 아르테미스 신화, 디오니소스의 향락, 로마 황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대관식을 묘사한 부조를 비롯한 여러 장식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6. 주목할 만한 거주민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히에라폴리스의 주목할 만한 거주민에 대한 정보가 없다. 제공된 이미지는 히에라폴리스의 거리와 유적지를 보여줄 뿐, 특정 거주민을 언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참조
[1]
서적
The Epistles to the Colossians, to Philemon, and to the Ephesians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1984-10-23
[2]
서적
Phrygia in Antiquity: From the Bronze Age to the Byzantine Period
https://www.jstor.or[...]
Peeters
[3]
웹사이트
https://italiana.est[...]
[4]
서적
Natural Wonders of the World
Reader's Digest Association, Inc
[5]
학술지
Hades ve Kybele Arasında Hierapolis Ploutonion'unda Yeni Arkeolojik Buluntular
https://dergipark.or[...]
2017
[6]
MSc
The Solitary Obelisk-The Significance of Cult in Hierapolis of Phrygia
https://www.academia[...]
Universitetet i Oslo
[7]
서적
Phrygia in Antiquity: From the Bronze Age to the Byzantine Period
https://www.jstor.or[...]
Peeters
[8]
서적
Severan Cul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Myth and Geology
https://books.google[...]
The Geological Society
[10]
웹사이트
Jewish Congregation in Hierapolis
http://www.padfield.[...]
[11]
학술지
Apollo Lairbenos
1985-07
[12]
문서
Colossians 4:13
[13]
웹사이트
Early Christian Writings
http://www.earlychri[...]
[14]
웹사이트
NPNF2-01. Eusebius Pamphilius: Church History, Life of Constantine, Oration in Praise of Constantine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www.ccel.org/[...]
2018-05-04
[15]
웹사이트
NPNF2-01. Eusebius Pamphilius: Church History, Life of Constantine, Oration in Praise of Constantine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www.ccel.org/[...]
2018-05-04
[16]
간행물
Cities and Bishoprics of Phrygia
Oxford
[17]
서적
Altertümer von Hierapolis
Jahrbuch des kaiserlich deutschen Archäologischen Instituts
[18]
웹사이트
Gates - Pamukkale Turkey. Pamukkale, Hierapolis information, pictures, attractions.
http://www.pamukkale[...]
2018-05-04
[19]
웹사이트
Hierapolis Theatre History
http://www.whitman.e[...]
2018-05-04
[20]
서적
La frontescena severiana del Teatro di Hierapolis di Frigia. Architettura decorazione e maestranze
[21]
서적
Projects for presentation and use of the theatre in Hierapolis
[22]
웹사이트
Coins of Hierapolis
http://www.asiaminor[...]
[23]
학술지
The AD 60 Denizli Basin earthquake and the apparition of Archangel Michael at Colossae (Aegean Turkey)
2007
[24]
학술지
Geophysical investigation of the Temple of Apollo (Hierapolis, Turkey)
2006-11
[25]
학술지
Active faulting at Delphi, Greece: Seismotectonic remarks and a hypothesis for the geologic environment of a myth
2000
[26]
웹사이트
Questioning the Delphic Oracle; Scientific American, August 2003
http://www.sciam.com[...]
2018-05-04
[27]
학술지
Scent of a myth: tectonics, geochemistry and geomythology at Delphi (Greece).
2008
[28]
웹사이트
Ploutonion at Hierapolis
https://madainprojec[...]
2023-03-27
[29]
웹사이트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Classical Sites, HABITANCUM (Risingham) Northumberland, England, HIERAPOLIS (Pamukkale) Turkey
https://www.perseus.[...]
2018-05-04
[30]
서적
Naturalis Historia Book II, Ch. 95
https://www.perseus.[...]
[31]
웹사이트
Ataman Hotel - Hieropolis / Pamukkale
http://www.atamanhot[...]
2007-09-28
[32]
웹사이트
Turkey Travel Guide
https://web.archive.[...]
[33]
웹사이트
Turkey Travel Guide
https://web.archive.[...]
[34]
웹사이트
Peten Travels....ABOUT TURKEY
http://www.petentour[...]
2007-09-28
[35]
뉴스
'Gate to Hell' found in Turkey
https://www.foxnews.[...]
2018-05-04
[36]
논문
[37]
논문
[38]
뉴스
Tomb of St. Philip the Apostle Discovered in Turkey
http://www.foxnews.c[...]
2011-07-27
[39]
웹사이트
Acts of Philip
http://www.gnosis.or[...]
Oxford: Clarendon Press
2007-09-29
[40]
웹사이트
Philip the Evangelist
http://www.ccel.org/[...]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2007-09-29
[41]
웹사이트
Chapter XXXI.—The Death of John and Philip.
http://www.ccel.org/[...]
2007-09-29
[42]
성경
Acts 6:1–7; 21:8–9
[43]
웹사이트
Acts 21:8–9 Philip the evangelist
http://www.gospeldoc[...]
2007-09-29
[44]
문서
note 3, p. 45 seq
[45]
사전
Webster's dictionary
[46]
간행물
ニュートン
ニュートンプレス
201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