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타이트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타이트 신화는 히타이트 제국에서 숭배된 신들과 관련된 신화 체계이다. 히타이트인들은 다양한 신들을 숭배했으며, 메소포타미아, 아나톨리아, 그리스 등 주변 문화의 신들을 수용하여 판테온을 구성했다. 주요 신으로는 폭풍의 신 타르훈나, 태양 여신 아린나, 농업 신 텔리피누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다양한 신화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히타이트 신화는 인간과 신의 상호 작용,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텔리피누 신화와 일루얀카 신화와 같은 주요 신화는 농업의 중요성을 반영한다. 히타이트인들은 신전을 짓고 의례를 거행하며 신들과 소통했으며, 왕은 신과 인간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타이트 신화 - 자바바
    자바바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도시 키시의 수호신이자 전쟁의 신이며, 독수리를 상징으로 하고 왕의 원정을 수호하며 맹세의 신으로 숭배받았고, 메소포타미아 외부에도 영향을 미쳤다.
히타이트 신화
개요
기원전 2천년대 초 히타이트 제국의 영토
기원전 2천년대 초 히타이트 제국의 영토
종교 유형고대 근동 종교, 다신교, 민족 종교
지역고대 아나톨리아
시기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180년 경
관련 문화히타이트
주요 출처점토판 기록
신화
주요 신테슙
아린나의 태양 여신
사우슈카
쿠마르비
일루얀카
기타 신다양한 신과 여신 존재
신화적 이야기쿠마르비 순환
일루얀카 신화
종교적 관습
의례다양한 의례와 제사
신전여러 신전 존재
제사장종교적 의례 주관
문화적 영향
후대 종교고대 그리스 종교에 일부 영향
기타
특징자연 숭배, 왕 숭배, 다양한 신화
관련 유물후와시 석

2. 역사적 배경

히타이트는 청동기 시대 아나톨리아 지역에 세워진 제국으로,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했다. 히타이트 제국은 기원전 17세기경 하투실리 1세가 여러 도시 국가들을 통합하면서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후 히타이트는 주변 지역으로 영토를 확장하며 강력한 제국으로 성장했다.

2. 1. 주변 문화와의 교류

히타이트 신화는 메소포타미아, 후르리, 하티 등 주변 지역 문화와 활발하게 교류하며 발전했다.

메소포타미아의 신 아아스는 히타이트에서 지혜의 신으로, 엔키에서 파생되었다. 이슈타르 여신 역시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하여 히타이트에서 샤우슈카와 동일시되었다.

후르리 문화는 히타이트 신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후르리의 신 쿠마르비는 히타이트에서 타르훈트의 아버지로 등장한다. 하늘, 날씨, 폭풍의 신인 테슈브 역시 후르리에서 기원했다. 샤우슈카는 풍요, 전쟁, 치유의 여신으로 후르리에서 왔다.

하티 문화는 히타이트 원주민 문화로, 신화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하티의 날씨 신 타루는 히타이트 신화에 흡수되었고, 경작의 신 텔리피누, 금속 가공과 장인의 신 하사멜리 등도 하티에서 유래했다. 이스타누는 태양 및 심판의 신으로 하티의 에슈탄에서 기원했다. 이 밖에도 이나라, 이스투스타야와 파파야, 우르카테 등의 신들이 하티에서 기원했다.

3. 주요 신과 신화

히타이트 신화의 주요 신들은 하티인, 후르리인, 히타이트의 영향을 받아 다양하게 나타난다. 특히 메소포타미아가나안의 영향은 후르 신화를 통해 히타이트 신화에 들어왔다.

하투사의 성소인 야즐르카야의 부조로, 열두 명의 저승 신들을 묘사


히타이트인들은 '천 개의 신'을 언급할 정도로 많은 신을 숭배했으며, 그 수는 비문에 등장하지만 오늘날에는 이름만 남아있다.[11][12] 벡맨은 "많은 히타이트 도시들이 개별 폭풍 신을 유지했으며, 지역 신을 단일 국가적 인물의 현현으로 동일시하는 것을 거부했다"라고 언급했다.[6] 이는 히타이트 사회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13세기에 푸두헤파 여왕은 종교를 조직하고 합리화하려 노력했다.[13] 그녀는 비문에서 아린나의 태양 여신에게 "하티 땅에서는 아린나의 태양 여신이라는 이름을 취하셨지만, 삼나무 땅에서는 헤바트라는 이름을 취하셨습니다"라고 간청했다.[6]

200px

히타이트 신화는 하티어, 후르리, 히타이트, 메소포타미아, 가나안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후르리 신화는 히타이트 신화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는 히타이트와 후르리 신화를 "히타이트-후르리"로 분류하기도 한다.[26] 히타이트 신화에 대한 지식은 대부분 텍스트가 아닌 예술적 자료에서 얻어지기 때문에, 세부 사항을 확인하기 어렵다.[27]

히타이트 고왕국 시대의 석판은 신화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후 시대의 자료는 상대적으로 적다.[23] 발견된 히타이트어 문서군은 "컬트 목록"이라고 불리며, 히타이트 신화와 의례가 일상생활에 어떻게 포함되었는지 보여준다.[28]

히타이트인들은 다른 왕국과 마찬가지로, 접촉한 다른 신전의 신들을 받아들이는 습관이 있었다. 예를 들어, 메소포타미아 여신 이슈타르는 아인 다르의 사원에서 숭배되었다.[34]

쿠마르비는 타르훈나의 아버지이며, '쿠마르비의 노래'에서 그의 역할은 헤시오도스신통기에 나오는 크로노스와 유사하다. 울리쿰미는 헤시오도스의 티폰을 연상시키는 쿠마르비의 아들인 돌 괴물이다.

루위의 날씨와 번개의 신인 피하사사는 그리스 신화의 페가수스의 기원일 가능성이 있다. 혼합 동물(히포그리프, 키마이라 등)의 묘사는 이 시대 아나톨리아 예술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원래 히타이트 신이 아니었던 신들에 관한 신화는 종종 각색되고 동화되었다. 메소포타미아 여신 이슈타르는 비슷한 신들과의 관계 및 신화의 조정을 통해 히타이트 판테온에 동화된 많은 신들 중 하나였다. 신화는 히타이트 컬트 의식의 대부분이었으므로, 이슈타르의 힘과 역사를 이해하는 것은 그녀를 소환하는 의식과 주문의 발전에 필수적이었다.[31]

주요 신화로는 폭풍의 신과 뱀(또는 용)의 싸움을 다룬 일루얀카 신화, 농업과 풍요의 신 텔리피누의 실종과 귀환을 다룬 텔리피누 신화, 쿠마르비와 타르훈트 간의 권력 투쟁을 다룬 쿠마르비 신화 등이 있다. 이 신화들은 모두 등장인물이 많고, 이야기의 핵심 문제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만 해결책을 찾을 수 있으며, 이는 건전한 도덕적 이야기라기보다는 앙상블 캐스트를 가진 액션 기반 서사시에 가깝다.

3. 1. 판테온의 구성

히타이트인들은 '천 개의 신'을 언급할 정도로 다양한 신들을 숭배했으며, 그들의 신화는 하티인, 후르리인, 히타이트의 영향을 혼합한 것이다. 메소포타미아가나안의 영향은 후르 신화를 통해 아나톨리아 신화에 들어왔다.[11][12]

히타이트 판테온은 혼합주의적인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기원전 13세기에 여왕이자 여사제인 푸두헤파의 노력으로 더욱 뚜렷해졌다. 푸두헤파는 백성의 종교를 조직하고 합리화하고자 했으며, 비문에서 다음과 같이 간청했다.[13]

> 아린나의 태양 여신, 나의 여주인이여, 당신은 모든 땅의 여왕이십니다! 하티 땅에서는 아린나의 태양 여신이라는 이름을 취하셨지만, 당신이 삼나무로 만드신 땅에 관해서는 헤바트라는 이름을 취하셨습니다.[6]

히타이트 판테온의 주요 신으로는 폭풍 신 타르훈나, 아린나의 태양 여신, 농업 신 텔리피누 등이 있다. 타르훈나와 아린나의 태양 여신은 부부 관계로, 하투사의 가장 큰 사원에서 함께 숭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6]

히타이트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18][19][20]

이름설명
아아스지혜의 신, 메소포타미아의 신 엔키에서 파생됨
아둔타리점술가, 원시 신(후르)
알랄루원시 신(후르)
아무키원시 신(후르)
아누원시 하늘의 신(후르-메소포타미아)
안질리/엔질리날씨 신의 배우자, 출산을 돕기 위해 소환됨
아팔리우나스도시 윌루사수호신
아피지하의 신
아란자/아란자하스티그리스 강의 의인화(후르)
아리나의 태양 여신태양 여신이자 타르훈트의 배우자
아린니티태양 여신, 아리나의 태양 여신의 또 다른 이름일 수 있음. 기원전 14세기 후반, 무르실리 2세는 아린니티에게 특히 헌신했다.[21]
아르마달의 신(루위안)
아루나바다의 신이자 카무르세파의 아들
아세르두스엘쿠니르사의 아내, 우가리트의 아시라트에서 파생됨
엘쿠니르사창조신이자 아세르두스의 남편, 우가리트의 엘에서 파생됨
엘렐하늘의 신, 신 엘릴에서 파생됨. 국가 조약에서 맹세의 보호자로서 소환된다.[22]
굴 세스운명의 여신
Ḫ아ḫḫima신들의 적, 물, 정원, 목초지, 가축을 얼리는 서리의 악마. 아버지인 하사멜리의 형제들은 살려두었다. 할머니의 주문에 굴복했고, 떠나야 했다.(하트)
할키곡물의 신
한나한나어머니 여신(히타이트)
한와수이트주권의 여신(하트)
하판탈리목축 여신(루위안)
하사멜리금속 노동자와 장인의 신(하티)
Ḫ아테푸나바다의 딸(하티)
하찌산과 날씨의 신(후르)
후테나와 후텔루라운명, 탄생 및 산파 여신들의 집합(후르)
이나라대초원의 야생 동물 여신(하티)
이르피티가땅의 지배자, 지하의 신
이르시르라산파 여신들의 집합
이슈하라맹세와 사랑의 여신(후르)
이슈타르샤우슈카와 유사한 여신(메소포타미아)
이스타누태양과 심판의 신(하티어 에슈탄에서 유래)
이수스타야와 파파야운명의 여신, 생명의 실을 잣는다(하티)
이야리역병과 전염병의 신, "활의 군주"(루위안)
카무르세파치유, 의학 및 마법의 여신
카슈쿠달의 신(하티)
쿨리위슈나의 폭풍 신
쿠마르비타르훈트의 아버지(후르)
쿠룬타야생 동물과 사냥의 신, 수사슴으로 상징됨(루위안)
렐와니지하 세계의 신, 원래 남성이었으나, 나중에는 여성(하티)
메줄라아리나의 태양 여신의 딸(하티)
밍키지하의 신
미야탄지파텔리피누의 귀환을 기다리며 산사나무 아래에 앉아 있던 신들 중 하나
남사라지하의 신
나라지하의 신
네리크의 날씨 신
피하사사날씨와 번개의 신(루위안)
피르와/페루와말과 관련된 불확실한 성격의 신
산다스전사의 신(루위안)
샤리샤의 날씨 신날씨 신
사르루마산의 신, 테슈브와 헤바트의 아들, 표범과 관련됨(후르)
사우슈카사랑, 전쟁 및 치유의 여신(후르)
하늘의 태양 신태양신
지구의 태양 여신지하 세계의 여신, 지구상의 모든 악, 불순함 및 질병을 정화하는 자
수테크날씨 신, 테슈브의 또 다른 이름일 수 있음
수와리야트
타라와보육 여신들의 집합
타르훈나날씨 신(히타이트)
타르훈트천둥의 신(루위안)
타루날씨 신(하티)
타슈미슈전사의 신, 테슈브의 형제(후르)
텔리피누농업의 신(하티)
테시미/타심메트"궁궐의 여인", 날씨 신의 아내
테슈브하늘, 날씨 및 폭풍의 신(후르)
틸라황소 신, 날씨 신 테슈브의 시종이자 탈것(후르)
울릴리야시스무능력을 제거하는 작은 신
우벨루리스어깨에 하늘의 서쪽 가장자리를 지고 있는 산의 신(후르)
우루카테전쟁의 신(하티어 우룬카테)
자바바/자마마전쟁의 신, 우루카테의 또 다른 이름일 수 있음
자리야누산 자리야누의 신격화된 의인화
자쉬푸나도시 카슈타마의 수호신
진투히메줄라의 딸(하티)
지파르와날씨 및 식생의 신(팔라)
지팔란다의 날씨 신
주키출산을 돕고, 안질리와 관련됨
줄키꿈 해몽가, 지하


3. 1. 1. 타르훈나 (폭풍 신)



타르훈나는 히타이트 판테온의 최고신으로, 날씨와 전쟁을 관장한다.[6] 그의 배우자는 하티인의 아리나의 태양 여신(Arinniti 또는 Wuru(n)šemu)이다.[6] 이 신성한 부부는 아마도 하투사에서 가장 큰 사원의 쌍둥이 켈라에서 숭배되었을 것이다.[6]

타르훈트는 아들 텔리피누와 딸 이나라를 두었다.[6] 이나라는 푸룰리 봄 축제와 관련된 보호 여신(dLAMMA)이다.[6]

쿠마르비는 타르훈트의 아버지이며, 그의 역할은 《쿠마르비의 노래》에서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나오는 크로노스의 역할과 유사하다. 울리쿰미는 쿠마르비가 낳은 돌 괴물로, 헤시오도스의 티폰을 다소 연상시킨다.

3. 1. 2. 아린나의 태양 여신

하티인의 아린나의 태양 여신(''Arinniti'' 또는 ''Wuru(n)šemu'')은 타르훈트의 배우자이자 텔리피누의 어머니이다. 이 신성한 부부는 하투사에서 가장 큰 사원의 쌍둥이 켈라에서 숭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6]

3. 1. 3. 텔리피누 (농업 신)

텔리피누는 농업과 비옥함을 관장하는 신으로, 그의 실종과 귀환은 계절의 변화와 농업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신화로 해석된다.[16]

텔리피누 신화에 따르면, 텔리피누가 사라지자 식물과 동물을 포함한 모든 비옥함이 사라졌고, 이는 신과 인간 모두에게 파괴와 절망을 초래했다. 신들은 텔리피누를 찾으려 했지만 실패했다. 여신 한나한나가 보낸 벌만이 텔리피누를 찾아 쏘아 깨웠다. 하지만 텔리피누는 더욱 격분하여 강의 흐름을 바꾸고 집들을 부수는 등 난폭한 행동을 했다.[16]

결국 여신 캄루세파가 치유와 마법으로 텔리피누를 진정시켰고, 텔리피누는 집으로 돌아와 초목과 비옥함을 회복시켰다. 다른 판본에서는 한 인간 제사장이 텔리피누의 분노를 저승의 청동 용기에 가두어 아무것도 빠져나가지 못하게 했다고 전해진다.[16]

텔리피누는 히타이트 신화의 주요 신 타르훈트의 아들이며, 그의 어머니는 하티인의 아리나의 태양 여신이다.[6]

3. 1. 4. 기타 주요 신들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의 영향을 받았지만, 히타이트와 루위인의 종교는 인도유럽조어 종교의 요소를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천둥신 타르훈나와 뱀 일루얀카의 갈등은 베다 신화의 인드라브리트라, 노르드 신화토르요르문간드의 갈등과 유사하다.

히타이트 신화는 후르리인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는 히타이트와 후르리 신화를 "히타이트-후르리"로 분류하기도 했다.[4] 히타이트에 대한 지식은 대부분 텍스트가 아닌 예술 자료에서 비롯되어 세부 사항을 확인하기 어렵다.[5] 히타이트 점토판은 히타이트 고왕국 말기에 거슬러 올라가며, 이후 자료는 적다.[6] 히타이트 문서군 "제사 목록"은 히타이트 신화와 관행이 일상생활에 어떻게 포함되었는지 보여준다.[7]

히타이트 신화는 하티인, 후르족, 히타이트의 영향을 혼합한 것이다. 메소포타미아와 가나안의 영향은 후르 신화를 통해 아나톨리아 신화에 들어왔다. 히타이트 창조 신화신석기 시대 유적 차탈회위크의 "위대한 여신" 개념과 관련이 있다고 추정된다. 하티안의 어머니 여신은 토르, 인드라, 제우스와 같은 신들과 관련된 아나톨리아 폭풍 신의 배우자였을 것으로 추측된다.[8]

히타이트인들은 "천 개의 신"을 언급했는데, 그 수는 비문에 등장하지만 오늘날에는 이름만 남아있다.[11][12] 이러한 다신교는 히타이트의 혼합주의에 대한 저항으로 여겨진다. 벡맨은 "많은 히타이트 도시들이 개별 폭풍 신을 유지했으며, 지역 신을 단일 국가적 인물의 현현으로 동일시하는 것을 거부했다"라고 언급했다.[6] 다양성은 히타이트 제국 내 사회 정치적 지역화의 산물로 보인다.

기원전 13세기에 혼합주의 경향이 나타난다. 여왕이자 여사제인 푸두헤파는 종교를 조직하고 합리화하려 했다.[13] 그녀는 비문에서 다음과 같이 간청했다.

> 아린나의 태양 여신, 나의 여주인이여, 당신은 모든 땅의 여왕이십니다! 하티 땅에서는 아린나의 태양 여신이라는 이름을 취하셨지만, 당신이 삼나무로 만드신 땅에 관해서는 헤바트라는 이름을 취하셨습니다.[6]

쿠마르비는 타르훈트의 아버지이며, 《쿠마르비의 노래》에서 크로노스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 울리쿰미는 쿠마르비가 낳은 돌 괴물로, 티폰과 비슷하다.

텔리피누와 그의 누이 이나라는 주목할 만한 신이다. 이나라는 푸룰리 봄 축제와 관련된 보호 여신이다. 타르훈트의 배우자이자 텔리피누의 어머니는 아리나의 태양 여신이다. 이 신성한 부부는 하투사의 가장 큰 사원에서 숭배되었을 것이다.[6]

히타이트인들은 메소포타미아 여신 이슈타르를 숭배했다. 히타이트/아나톨리아 신들의 흔적은 아이올리스와 도리스로 퍼져나갔다.

히포그리프, 키메라 등 혼혈 동물 묘사는 당시 아나톨리아 예술의 전형이다.

원래 히타이트 신이 아닌 신들에 관한 신화는 종종 각색되고 동화되었다.

메소포타미아 여신 이슈타르는 히타이트 판테온에 동화된 신들 중 하나였다. 신화는 히타이트 숭배 관습의 큰 부분을 차지했기에, 이슈타르의 힘과 역사를 이해하는 것은 의식과 주문 개발에 필수적이었다.[9]

이슈타르는 안질리, 샤우슈카, 게스틴안나와 흡수되거나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이슈타르의 힘은 그녀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했다. 그녀가 활용된 혁신적인 방법은 정화 의식으로, 저승에 대한 그녀의 친화력이 이용되었다. 이슈타르는 저승과의 관계를 통해 전쟁, 성, 마법에 대한 친화성을 고려할 때 가치 있는 지하 신이 되었다. 이러한 특징들의 조합은 그녀의 영향력을 크게 증가시켰는데, 땅의 비옥함은 히타이트인들에게 가장 기본적인 우선순위 중 하나였다.[19][9] 히타이트인들은 그녀가 다른 문화에서 상당히 두드러진다는 것을 인지하고 "그녀를 국제적인 여신으로 대우하는" 의식을 만들었다.[9] 이슈타르와 같은 외부 신들 사이의 차이점은 존중되었다.

히타이트 신화의 신 목록은 다음과 같다.[18][19][20]

이름설명
아아스지혜의 신, 메소포타미아의 신 엔키에서 파생됨
아둔타리점술가, 원시 신(후르)
알랄루원시 신(후르)
아무키원시 신(후르)
아누원시 하늘의 신(후르-메소포타미아)
안질리/엔질리날씨 신의 배우자, 출산을 돕기 위해 소환됨
아팔리우나스도시 윌루사수호신
아피지하의 신
아란자/아란자하스티그리스 강의 의인화(후르)
아리나의 태양 여신태양 여신이자 타르훈트의 배우자
아린니티태양 여신, 아리나의 태양 여신의 또 다른 이름일 수 있음. 기원전 14세기 후반, 무르실리 2세는 아린니티에게 특히 헌신했다.[21]
아르마달의 신(루위안)
아루나바다의 신이자 카무르세파의 아들
아세르두스엘쿠니르사의 아내, 우가리트의 아시라트에서 파생됨
엘쿠니르사창조신이자 아세르두스의 남편, 우가리트의 엘에서 파생됨
엘렐하늘의 신, 신 엘릴에서 파생됨. 국가 조약에서 맹세의 보호자로서 소환된다.[22]
굴 세스운명의 여신
Ḫ아ḫḫima신들의 적, 물, 정원, 목초지, 가축을 얼리는 서리의 악마. 아버지인 하사멜리의 형제들은 살려두었다. 할머니의 주문에 굴복했고, 떠나야 했다.(하트)
할키곡물의 신
한나한나어머니 여신(히타이트)
한와수이트주권의 여신(하트)
하판탈리목축 여신(루위안)
하사멜리금속 노동자와 장인의 신(하티)
Ḫ아테푸나바다의 딸(하티)
하찌산과 날씨의 신(후르)
후테나와 후텔루라운명, 탄생 및 산파 여신들의 집합(후르)
이나라대초원의 야생 동물 여신(하티)
이르피티가땅의 지배자, 지하의 신
이르시르라산파 여신들의 집합
이슈하라맹세와 사랑의 여신(후르)
이슈타르샤우슈카와 유사한 여신(메소포타미아)
이스타누태양과 심판의 신(하티어 에슈탄에서 유래)
이수스타야와 파파야운명의 여신, 생명의 실을 잣는다(하티)
이야리역병과 전염병의 신, "활의 군주"(루위안)
카무르세파치유, 의학 및 마법의 여신
카슈쿠달의 신(하티)
쿨리위슈나의 폭풍 신
쿠마르비타르훈트의 아버지(후르)
쿠룬타야생 동물과 사냥의 신, 수사슴으로 상징됨(루위안)
렐와니지하 세계의 신, 원래 남성이었으나, 나중에는 여성(하티)
메줄라아리나의 태양 여신의 딸(하티)
밍키지하의 신
미야탄지파텔리피누의 귀환을 기다리며 산사나무 아래에 앉아 있던 신들 중 하나
남사라지하의 신
나라지하의 신
네리크의 날씨 신
피하사사날씨와 번개의 신(루위안)
피르와/페루와말과 관련된 불확실한 성격의 신
산다스전사의 신(루위안)
샤리샤의 날씨 신날씨 신
사르루마산의 신, 테슈브와 헤바트의 아들, 표범과 관련됨(후르)
사우슈카사랑, 전쟁 및 치유의 여신(후르)
하늘의 태양 신태양신
지구의 태양 여신지하 세계의 여신, 지구상의 모든 악, 불순함 및 질병을 정화하는 자
수테크날씨 신, 테슈브의 또 다른 이름일 수 있음
수와리야트
타라와보육 여신들의 집합
타르훈나날씨 신(히타이트)
타르훈트천둥의 신(루위안)
타루날씨 신(하티)
타슈미슈전사의 신, 테슈브의 형제(후르)
텔리피누농업의 신(하티)
테시미/타심메트"궁궐의 여인", 날씨 신의 아내
테슈브하늘, 날씨 및 폭풍의 신(후르)
틸라황소 신, 날씨 신 테슈브의 시종이자 탈것(후르)
울릴리야시스무능력을 제거하는 작은 신
우벨루리스어깨에 하늘의 서쪽 가장자리를 지고 있는 산의 신(후르)
우루카테전쟁의 신(하티어 우룬카테)
자바바/자마마전쟁의 신, 우루카테의 또 다른 이름일 수 있음
자리야누산 자리야누의 신격화된 의인화
자쉬푸나도시 카슈타마의 수호신
진투히메줄라의 딸(하티)
지파르와날씨 및 식생의 신(팔라)
지팔란다의 날씨 신
주키출산을 돕고, 안질리와 관련됨
줄키꿈 해몽가, 지하


3. 2. 주요 신화

히타이트인들은 "천 개의 신"을 언급했는데, 그중 많은 수가 비문에 등장하지만 오늘날에는 이름 외에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11][12] 벡맨은 "많은 히타이트 도시들이 개별 폭풍의 신들을 유지했으며, 지역 신들을 단일 국가적 인물의 현현으로 동일시하는 것을 거부했다"라고 언급했다.[6] 이는 히타이트 사회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13세기에 푸두헤파 여왕은 백성의 종교를 조직하고 합리화하려 노력했다.[13] 그녀는 비문에서 아린나의 태양 여신에게 "하티 땅에서는 아린나의 태양 여신이라는 이름을 취하셨지만, 삼나무 땅에서는 헤바트라는 이름을 취하셨습니다"라고 간청했다.[6]

200px

히타이트 신화는 하티어, 후르리, 히타이트, 메소포타미아, 가나안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후르리 신화는 히타이트 신화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는 히타이트와 후르리 신화를 "히타이트-후르리"로 분류하기도 한다.[26] 히타이트 신화에 대한 지식은 대부분 텍스트가 아닌 예술적 자료에서 얻어지기 때문에, 세부 사항을 확인하기 어렵다.[27]

히타이트 고왕국 시대의 석판은 신화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후 시대의 자료는 상대적으로 적다.[23] 발견된 히타이트어 문서군은 "컬트 목록"이라고 불리며, 히타이트 신화와 의례가 일상생활에 어떻게 포함되었는지 보여준다.[28]

히타이트인들은 다른 왕국과 마찬가지로, 접촉한 다른 신전의 신들을 받아들이는 습관이 있었다. 예를 들어, 메소포타미아 여신 이슈타르는 아인 다르의 사원에서 숭배되었다. 히타이트인들은 "천 개의 신들"을 언급했으며, 그 수가 비문에 기록되어 있지만, 오늘날에는 이름만 남아 있을 뿐이다.[34]

쿠마르비는 타르훈나의 아버지이며, '쿠마르비의 노래'에서 그의 역할은 헤시오도스신통기에 나오는 크로노스와 유사하다. 울리쿰미는 헤시오도스의 티폰을 연상시키는 쿠마르비의 아들인 돌 괴물이다.

루위의 날씨와 번개의 신인 피하사사는 그리스 신화의 페가수스의 기원일 가능성이 있다. 혼합 동물(히포그리프, 키마이라 등)의 묘사는 이 시대 아나톨리아 예술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원래 히타이트 신이 아니었던 신들에 관한 신화는 종종 각색되고 동화되었다. 메소포타미아 여신 이슈타르는 비슷한 신들과의 관계 및 신화의 조정을 통해 히타이트 판테온에 동화된 많은 신들 중 하나였다. 신화는 히타이트 컬트 의식의 대부분이었으므로, 이슈타르의 힘과 역사를 이해하는 것은 그녀를 소환하는 의식과 주문의 발전에 필수적이었다.[31]

히타이트 신화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신화들이 있다.

  • '''일루얀카 신화''': 폭풍의 신과 뱀(또는 용)의 싸움을 다룬다.
  • '''텔리피누 신화''': 농업과 풍요의 신 텔리피누의 실종과 귀환을 다룬다.
  • '''쿠마르비 신화''': 쿠마르비와 타르훈트 간의 권력 투쟁을 다룬다.


이 신화들은 모두 등장인물이 많고, 이야기의 핵심 문제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만 해결책을 찾을 수 있으며, 이는 건전한 도덕적 이야기라기보다는 앙상블 캐스트를 가진 액션 기반 서사시에 가깝다.

3. 2. 1. 일루얀카 신화

히타이트 신화에는 등장인물이 많은 편이다. 이는 이야기의 핵심 문제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모든 사람이 해결해야 할 문제에 이해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만 해결책을 찾을 수 있지만, 이것은 건전한 도덕적 이야기라기보다는 앙상블 캐스트를 가진 액션 기반 서사시에 가깝다.[5]

''용 살해'' 신화는 새해 의례 동안 낭송되었으며, 이는 다가오는 해의 농업적 번영을 보장하기 위해 수행되었다.[5] 이 신화는 "악의 세력"을 나타내는 뱀(또는 용)을 중심으로 하며, 폭풍의 신을 전투에서 물리친다.

여신 이나라는 뱀을 속여 죽일 계획을 세우고, 인간인 후파샤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후파샤는 돕기를 꺼려했지만, 이나라와 잠자리를 갖는 조건으로 계획에 동참한다. 이나라는 뱀을 잔치에 초대하여 만취하게 만들고, 후파샤는 뱀을 묶는다. 그러자 폭풍의 신이 직접 뱀을 죽인다.

텔리피누 신화처럼, 인간은 신들의 음모를 돕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는 필멸자와 신성 간의 친숙한 관계를 강조한다. 필멸자는 이야기에서 큰 역할을 하지는 않지만, 그의 존재는 방해보다는 도움이 된다.

이 이야기는 또한 신화 내에서 여신들이 수행하는 역할을 보여준다. 강력한 신들은 싸움을 유발하거나 각 신화의 핵심 문제를 일으키지만, 여신들이 신중한 생각과 합리적인 판단으로 모든 것을 해결한다. 하지만 여신들의 도움에도 불구하고, 신이 깨어나 자신의 임무로 돌아가거나 짐승을 죽이는 등 자신의 권력이 역할에 더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행동을 할 때까지 자연은 현상 유지 상태로 돌아갈 수 없다.

3. 2. 2. 텔리피누 신화

농업과 비옥함의 신 텔리피누가 사라지자, 식물과 동물을 포함한 모든 생명이 말라 버렸다. 이는 신과 인간 모두에게 파괴와 절망을 가져왔다. 혼란과 파괴를 막기 위해 신들은 텔리피누를 찾았지만 실패했다. 여신 한나한나가 보낸 만이 텔리피누를 찾아 그를 깨우기 위해 쏘았다. 하지만 이는 텔리피누를 더욱 화나게 하여 그는 "강의 흐름을 바꾸고 집들을 부수었다".[16]

결국, 여신 캄루세파는 치유와 마법을 사용하여 텔리피누를 진정시켰고, 그는 집으로 돌아와 초목과 비옥함을 회복시켰다. 다른 이야기에서는 한 인간 제사장이 텔리피누의 분노가 저승의 청동 용기에 담겨 새어나가지 않도록 기도한다.[16]

3. 2. 3. 쿠마르비 신화

많은 히타이트 신화는 등장인물이 많다. 이는 이야기의 핵심 문제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모든 사람이 해결해야 할 문제에 이해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해결책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만 찾을 수 있지만, 이것은 건전한 도덕적 이야기라기보다는 앙상블 캐스트를 가진 액션 기반 서사시에 가깝다.

4. 신앙 의례와 숭배 장소

신과 인간의 관계에서 왕은 중요한 중재자이자 사제였다. 이는 히타이트 구왕국 시대 의식에서 비롯되었다.[6]

히타이트인들은 어려운 시기에 대응하거나 특별한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신을 달래는 의식을 거행했다.[6][19] 신화와 의례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많은 의례가 신화에 기초했으며 이야기를 재현하기도 했다.[9]

하투사에서 하루 거리인 아린나는 히타이트의 주요 숭배 중심지였으며, "아린나의 태양 여신"의 중심지였다.[10] 지역 숭배와 관습도 활발했는데, 의례에 대한 국가적 기준이 없어 지역마다 숭배 전통과 지위가 달랐다.[7] 왕은 모든 숭배지와 사원을 관찰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는데, 이는 신과 백성에 대한 의무였다. 왕은 백성을 섬기고 신을 숭배했기 때문에 죽은 후 신격화되었다.[6]

히타이트인들은 신과 비공식적으로 소통하고, 의례나 사제 없이 개인적으로 신에게 요청하기도 했다. 또한 고대 이집트처럼 신의 뜻을 통해 인간 행동을 정당화했다.[5]

4. 1. 종교 의례

히타이트인들은 어려운 시기에 대응하거나 특별한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의식을 거행했다.[6][19] 신화와 의례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는데, 많은 의례가 신화에 기초했으며, 종종 이야기를 재현하는 것을 포함했다.[9] 많은 의례는 구덩이에서 거행되었는데, 이 구덩이는 인간과 신, 특히 지하 세계와 관련된 신들 사이의 친밀함을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진 장소였다. 이러한 종류의 구덩이 의례는 "강신술"로 알려져 있다.[19] 이는 그들이 저승의 신들과 교류하고 그들을 살아있는 세상으로 소환하려 했기 때문이다.

히타이트 구왕국 시대부터 왕은 신과 인간의 관계를 중재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왕은 사제로서 종교 의례를 주관하고, 신에게 제물을 바치고 축제를 열어 신들을 기렸다.

현무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뼈 눈을 가진 히타이트 사제-왕의 조각상
히타이트 사제-왕의 조각상


신들, 태양신과 폭풍신은 나, 왕에게 땅과 가문을 맡기셨으니, 나, 왕은 나의 땅과 가문을 나 자신을 위해 보호해야 한다.[6]


아린나는 히타이트의 주요 숭배 중심지였으며, 태양 여신 숭배가 이루어졌다.[10] 국가적 기준은 없었지만, 왕은 자신의 땅에 있는 모든 숭배지와 사원을 관찰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6] 왕은 신과 백성에 대한 의무를 다하고, 죽은 후에는 신격화되었다.[6]

신들은 힘을 가지고 있었지만, 인간의 헌신과 의례 없이는 기능할 수 없었다. 무르실리 2세 왕은 농업 생계가 어려워지자 백성을 대신하여 신들에게 간청했다.

> "하티의 모든 땅이 죽어가고 있으니, 아무도 당신 [신들]을 위해 희생 제물과 헌주를 준비하지 않습니다. 신들의 밭에서 일하던 경작자들이 죽었으니, 아무도 더 이상 신들의 밭을 경작하거나 수확하지 않습니다. 신들의 희생 빵을 준비하던 맷돌 여인들이 죽었으니, 그들은 더 이상 희생 빵을 만들지 않습니다. 양과 소의 제물을 골라내던 우리와 양우리에서 - 소치기와 양치기가 죽었고, 우리와 양우리는 비어 있습니다. 그래서 희생 빵, 헌주, 동물 희생이 끊어졌습니다. 그리고 당신들은 우리에게 오시어, 신들이시여, 이 문제에 대해 우리를 비난하십니다!"[6]

히타이트인들은 자연과 농업에 관련된 신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었다. 존경과 비판 사이의 균형이 무너지면 신들의 노여움을 살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위험에도 불구하고, 히타이트인들은 신들에게 개인적으로 요청을 하기도 했다.[5]

4. 2. 주요 숭배 장소

히타이트 구왕국 시대부터 왕은 신과 인간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수행했다.[6]

히타이트인들은 신들을 달래기 위해 정기적인 의식을 치르기보다는 어려운 시기에 대응하거나 특별한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의식을 거행했다.[6][19] 많은 의례는 신화에 기초했으며, 종종 이야기를 재현하기도 했다.[9] 특히 지하 세계와 관련된 신들과의 친밀함을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진 구덩이에서 많은 의례가 거행되었는데, 이러한 의례는 "강신술"로 알려져 있다.[19]

아린나는 하투샤에서 하루 거리에 있었으며, 히타이트의 주요 숭배 중심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히타이트의 주요 태양 여신인 "아린나의 태양 여신"의 중심지였다.[10] 지역 숭배와 관습도 활발했는데, 의례에 대한 국가적 기준이 없었기 때문에 지역마다 숭배 전통과 지위가 달랐다.[7] 작은 축제나 숭배 시간에는 사제-왕의 참석이 항상 필요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역에서는 신을 숭배하는 데 더 많은 자율성이 있었다. 하지만 왕은 자신의 땅에 있는 모든 숭배지와 사원을 관찰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는데, 이는 신과 백성에 대한 의무였기 때문이다.[6] 왕이 죽으면 백성을 섬기고 신을 충실히 숭배했기 때문에 신격화되었다.[6]

무르실리 2세 왕은 농업 생계가 어려움을 겪을 때 백성을 대신하여 신들에게 다음과 같이 간청했다.

> "하티의 모든 땅이 죽어가고 있으니, 아무도 당신 [신들]을 위해 희생 제물과 헌주를 준비하지 않습니다. 신들의 밭에서 일하던 경작자들이 죽었으니, 아무도 더 이상 신들의 밭을 경작하거나 수확하지 않습니다. 신들의 희생 빵을 준비하던 맷돌 여인들이 죽었으니, 그들은 더 이상 희생 빵을 만들지 않습니다. 양과 소의 제물을 골라내던 우리와 양우리에서 - 소치기와 양치기가 죽었고, 우리와 양우리는 비어 있습니다. 그래서 희생 빵, 헌주, 동물 희생이 끊어졌습니다. 그리고 당신들은 우리에게 오시어, 신들이시여, 이 문제에 대해 우리를 비난하십니다!"[6]

이처럼 히타이트인들은 아린나와 같이 자연, 농업과 밀접하게 관련된 신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존경과 비판 사이의 균형이 크게 변화하면 신들의 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험에도 불구하고 히타이트인들은 대부분 신들과 비공식적인 방식으로 소통했으며, 특별한 경우 의례나 사제의 도움 없이 개인적으로 신들에게 요청을 하기도 했다.[5]

5. 히타이트 신화의 특징과 의의

히타이트 신화는 여러 신을 섬기는 다신교적 특징을 보이며, "천 개의 신"을 언급할 정도로 많은 신을 숭배했다.[11][12] 이는 히타이트 사회의 혼합주의적인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다. 기원전 13세기 푸두헤파 여왕은 종교를 조직하고 합리화하려는 노력을 통해 혼합주의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13]

히타이트 신화는 하티, 후르리인, 히타이트의 영향을 혼합한 것으로, 메소포타미아가나안의 영향은 후르 신화를 통해 아나톨리아 신화에 들어왔다.[8] 히타이트인들은 다른 왕국과 교류하며 메소포타미아의 여신 이슈타르와 같은 신들을 받아들였다.[34]

인도유럽 신화의 요소를 유지하고 있는 히타이트 신화는 천둥의 신 타르훈나와 뱀 일루얀카의 갈등이 베다 신화의 인드라브리트라, 노르드 신화토르요르문간드의 갈등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다른 신화와 비교된다.[4] 또한 아나톨리아와 가까운 인접 문명인 후르리인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다.

5. 1. 히타이트 신화의 특징

히타이트 신화는 여러 신을 섬기는 다신교적 특징을 보인다. 히타이트인들은 "천 개의 신"을 언급할 정도로 많은 신을 숭배했으며,[11][12] 이는 비문에 등장하는 수많은 신의 이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다신교는 히타이트 사회의 혼합주의적인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벡맨은 "많은 히타이트 도시들이 개별 폭풍의 신들을 유지했으며, 지역 신들을 단일 국가적 인물의 현현으로 동일시하는 것을 거부했다"라고 언급했다.[6]

기원전 13세기, 푸두헤파 여왕은 종교를 조직하고 합리화하려는 노력을 통해 혼합주의 경향을 보인다.[13] 그녀는 비문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아린나의 태양 여신, 나의 여주인이여, 당신은 모든 땅의 여왕이십니다! 하티 땅에서는 아린나의 태양 여신이라는 이름을 취하셨지만, 당신이 삼나무로 만드신 땅에 관해서는 헤바트라는 이름을 취하셨습니다.[6]

히타이트 신화는 하티, 후르리인, 히타이트의 영향을 혼합한 것이다. 메소포타미아가나안의 영향은 후르 신화를 통해 아나톨리아 신화에 들어왔다.[8] 히타이트인들은 다른 왕국과 교류하며 메소포타미아의 여신 이슈타르와 같은 신들을 받아들였다.[34]

히타이트 신화는 인도유럽 신화의 요소를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천둥의 신 타르훈나와 뱀 일루얀카의 갈등은 베다 신화의 인드라브리트라, 노르드 신화토르요르문간드의 갈등과 유사하다.[4]

히타이트 신화의 등장인물들은 대체로 많은 수가 함께 등장한다. 이는 이야기의 핵심 문제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등장인물 간의 협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5. 2. 다른 신화와의 비교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히타이트와 루위인의 종교는 재구성된 인도유럽조어 종교의 현저한 요소를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뇌우의 신인 Tarḫunna|타르훈나영어와 뱀 일루얀카쉬와의 대립은 베다 신화의 인드라와 우주의 뱀 브리트라, 또는 북유럽 신화의 토르와 뱀 요르문간드의 대립과 유사하다. 이 신화는 또한 이집트 신화와 뱀 아포피스 사이의 일상적인 투쟁과도 유사하다.[4]

히타이트 신화는 히타이트가 위치했던 아나톨리아와 가까운 인접 문명인 후르리인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다. 후르리 신화는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서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는 신화 가이드를 공개하며 히타이트와 후르리 신화를 "히타이트-후르리"로 분류했다.[26] 안타깝게도, 히타이트에 관한 지식의 대부분은 텍스트가 아닌 예술적 정보원에서 얻어진 것이며, 이 주제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확인하기는 어렵다.[27]

히타이트 신화에는 하티어와 후르리, 그리고 히타이트의 영향이 혼재되어 있다. 메소포타미아가나안의 영향은 후르리 신화를 통해 아나톨리아 신화로 들어왔다. 히타이트의 창조 신화가 어떠했는지 상세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신석기 시대 유적인 차탈회위크에서 알려진 "대여신"의 개념과 관련이 있다고 믿어진다. 학자들은 하티의 어머니 신이 아나톨리아의 폭풍의 신(토르, 인드라, 제우스 등 다른 전통의 동등한 신들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의 배우자였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29]

참조

[1] 서적 Catalogue des textes hittites
[2] 서적 Hattusa, the Capital of the Hittites
[3] 간행물 Hattian Mythology and Hittite Monarchy
[4] 서적 Hittite-Hurrian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Power of Narrative in Hittite Literatur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6] 학술지 The religion of the Hittites 1989-06-01
[7] 간행물 Hittite Cult Inventories — Part One: The Hittite Cult Inventories as Textual Genre
[8] 서적 Creation Myths of the World
[9] 서적 Beyond Hatti: A tribute to Gary Beckman Lockwood Press
[1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Hittite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1] 서적 Recherches sur les noms des dieux hittites
[12] 간행물 Some aspects of Hittite religion
[13] 서적 The Kingdom of the Hittit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Der Kult von Nerik
[15] 웹사이트 A Prayer Concerning the City of Nerik http://www.hittites.[...]
[16]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An anthology of texts and pictures Princeton U. Press
[17] 간행물 Le Panthéon des instruments hittites de droit public
[18] 서적 Die hethitische Literatur Walter de Gruyter
[19] 서적 Magic and Ritual in the Ancient World Brill
[20] 서적 Encyclopedia of Gods: Over 2,500 deitie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21] 간행물 An addition to the prayer of Muršili to the sun-goddess and its implications
[22]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Gods and Goddesses, Devils and Demons
[23] 간행물 The Religion of the Hittites
[24] 간행물 Hattian Mythology and Hittite Monarchy
[25] 간행물 Le zoomorphisme dans la religion hittite
[26] 서적 Hittite-Hurrian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e Power of Narrative in Hittite Literatur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28] 간행물 Hittite Cult Inventories — Part One: The Hittite Cult Inventories as Textual Genre
[29] 서적 Creation Myths of the World
[30] 문서 Quote from Beckman 1985
[31] 서적 Beyond Hatti: A Tribute to Gary Beckman Lockwood Press
[3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Hittite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33] 문서 Quote from KUB 24.3 ii 4'-17'
[34] 서적 Recherches sur les noms des dieux hittites and Some aspects of Hittite religion
[35] 문서 Quote from Beckman 1985
[36] 서적 Der Kult von Nerik 1970
[37] 웹사이트 Prayer of Great King Arnuwanda I and Great Queen Ašmu-Nikal Concerning the City of Nerik http://www.hittites.[...]
[38] 간행물 Le Panthéon des instruments hittites de droit public 1976
[39] 서적 The Kingdom of the Hittites https://books.google[...]
[40] 문서 Coastal Syria is intended.
[41] 인용 Beckman 1985:99f.
[42]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43] 인용 Bachvarova 2013: 27
[44] 서적 Die hethitische Literatur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06
[45] 논문 Necromancy, Fertility, and the Dark Earth: The Use of Ritual Pits in Hittite Cult Brill 2002
[46]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gods : over 2,500 deitie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New York : Facts on File 1993
[47] 논문 An Addition to the Prayer of Muršili to the Sungoddess and Its Implications 1980
[48]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Gods and Goddesses, Devils and Dem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