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캠프 데이비드 회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0년 캠프 데이비드 회담은 2000년 7월,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의 주도로 이스라엘 총리 에후드 바라크와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수반 야세르 아라파트가 중동 평화 프로세스 협상을 위해 메릴랜드주 캠프 데이비드에서 가진 정상회담이다. 회담은 영토, 예루살렘, 난민 문제, 안보 합의 등 핵심 쟁점들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결렬되었다. 회담 이후, 실패의 책임 소재를 두고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미국 등 다양한 주체에 대한 논쟁이 벌어졌으며,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양측 모두 자국 내 여론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 국제 관계 - 2000년 서울 아시아·유럽 정상회의
2000년 서울 아시아·유럽 정상회의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된 아시아와 유럽 정상들의 다자회의로, 일부 국가에서는 정부 인사가 대표로 참석하여 양 대륙의 협력 관계를 논의했다.
2000년 캠프 데이비드 회담 | |
---|---|
배경 | |
날짜 | 2000년 7월 11일 ~ 7월 25일 |
장소 | 캠프 데이비드 |
목표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종식 시도 |
관련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
회담 참가자 | |
주최 | 빌 클린턴 (미국) |
이스라엘 대표 | 에후드 바라크 |
팔레스타인 대표 | 야세르 아라파트 |
2. 정상회담
2000년 7월 5일,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은 중동 평화 프로세스 협상을 지속하기 위해 이스라엘 총리 에후드 바라크와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수반 야세르 아라파트를 메릴랜드주 캠프 데이비드로 초청했다. 캠프 데이비드를 선택한 이유는 1978년 지미 카터 대통령이 이집트 대통령 안와르 사다트와 이스라엘 총리 메나헴 베긴을 중재하여 캠프 데이비드 협정을 성공적으로 체결한 긍정적인 선례가 있었기 때문이다. 1993년 이스라엘 총리 이츠하크 라빈과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 의장 야세르 아라파트 간에 체결된 오슬로 협정은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수립 후 5년 이내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모든 미해결 문제, 즉 최종 지위 협정에 대한 합의에 도달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그러나 오슬로 협정에 따른 잠정적 절차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양측 모두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다.
2000년 7월 5일,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중동 평화 프로세스 협상을 재개하기 위해 에후드 바라크 이스라엘 총리와 야세르 아라파트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수반을 메릴랜드주 캠프 데이비드로 초청했다. 이는 1978년 지미 카터 대통령이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대통령과 메나헴 베긴 이스라엘 총리 사이의 평화 협정을 중재하여 캠프 데이비드 협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긍정적인 선례를 따른 것이었다.
7월 11일, 캠프 데이비드 회담이 소집되었으나, 팔레스타인 측에서는 회담이 시기상조라고 생각했고,[7] 일부에서는 이스라엘의 요구에 동의하도록 압력을 받거나 회담 실패의 책임을 져야 하는 "함정"으로 간주하기도 했다.[8]
회담은 7월 25일 합의 없이 종료되었다. 회담 종료 시점에 향후 협상을 위한 합의된 원칙을 정의하는 삼자 성명이 발표되었다.[9]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에후드 바락 이스라엘 총리, 야세르 아라파트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수반은 2000년 7월 25일 성명에서 다음과 같은 원칙에 동의했다.[9]
# 양측은 협상의 목표가 수십 년간의 분쟁을 종식시키고 정의롭고 지속적인 평화를 달성하는 데 있음에 동의했다.
# 양측은 가능한 한 빨리 모든 영구 지위 문제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을 약속한다.
# 양측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42 및 338에 기초한 협상이 그러한 합의를 달성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임을 인정하며, 압력, 위협 및 폭력의 위협으로부터 자유로운 협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 양측은 협상 결과를 미리 판단하는 일방적인 행동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며, 차이점은 선의의 협상을 통해서만 해결될 것임을 이해한다.
# 양측은 미국이 평화 추구에 있어 중요한 파트너로 남을 것이며, 앞으로 클린턴 대통령 및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 장관과 긴밀히 협의할 것임에 동의한다.
3. 협상
1993년 오슬로 협정에서는 이츠하크 라빈 이스라엘 총리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의장 야세르 아라파트 간에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수립 후 5년 이내에 모든 미결 문제, 즉 최종 지위 합의에 도달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그러나 오슬로 협정에 따른 임시 절차는 양측 모두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다.
7월 11일, 캠프 데이비드 회담이 개최되었으나, 팔레스타인 측에서는 회담이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많았고,[7] 일부에서는 함정이라고 주장하기도 하였다.[8] 7월 25일 회담은 합의 없이 종료되었으며, 향후 협상을 위한 원칙을 담은 삼자 성명이 발표되었다.[9]
캠프 데이비드 회담은 '모 아니면 도' 방식으로 진행되어, 모든 쟁점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체 합의가 무효가 되는 방식이었다. 대부분의 제안은 구두로 이루어졌고, 최종 합의가 결렬되면서 공식적인 서면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각 당사자의 주장에 대한 세부 사항은 다소 불분명하다.[10]
회담에서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한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길르아드 셰르 등 여러 사람에 따르면, 팔레스타인 측은 협상 과정에서 자체적인 반대 제안을 했다.[33] 이스라엘 제안과 마찬가지로,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출처마다 차이가 있다.
영토 문제와 관련하여 팔레스타인 측은 이스라엘에 서안 지구의 2.5% (베이너트[33]) 또는 3.1% (에머슨과 토치[34])를 할양하는 제안을 했다. 이 제안은 이스라엘이 점령한 서안 지구의 모든 영토를 이스라엘 내부의 영토와 1:1로 교환할 것을 요구했으며,[35] 키르야트 아르바와 헤브론에서 철수해야 했다.[36] 사람과 물품의 이동을 위해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 사이에 이스라엘 영토의 좁은 구역을 경유하는 회랑을 제안했는데, 이 회랑은 이스라엘의 주권 하에 유지될 예정이었다.[34]
예루살렘과 관련하여, 팔레스타인 측은 동예루살렘의 유대인 거주 구역에 대한 이스라엘 주권과 아랍인 거주 구역에 대한 팔레스타인 주권을 제안했다.[33] 예루살렘 구시가지에서 이스라엘은 유대인 지구와 아르메니아 지구의 일부를, 팔레스타인은 무슬림 지구와 기독교 지구를 차지하게 된다.[36] 이스라엘은 통곡의 벽을, 팔레스타인은 성전산/알 아크사 사원을 차지하게 된다.[33] 팔레스타인 측은 예루살렘 내 국경 검문소 설치 대신 도시 주변에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이는 팔레스타인인이 자신의 수도에 들어가려면 국제 국경을 넘는 것으로 간주되고 (이스라엘인도 마찬가지) 도시 내에서는 시민과 교통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했다.[37] 이스라엘이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면, 팔레스타인 측은 예루살렘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부분을 분리하는 "단단한 국경"을 설치하는 대안을 제시했다.[37]
안보와 관련하여, 팔레스타인 측은 팔레스타인 국가의 요르단과의 국경 통제를 위해 미국인을 포함하되,[36] 이스라엘인은 제외하는[33] 국제 군사력 주둔을 허용했다. 또한 팔레스타인 국가는 이스라엘 공군이 팔레스타인 영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스라엘과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36]
난민 문제와 관련하여, 팔레스타인 측은 귀환권을 주장했지만, 로버트 말리에 따르면 이 제안은 "유대인과 아랍인 사이의 이스라엘의 인구 균형 유지"를 존중하는 것이었다.[38] 팔레스타인 제안에 따라 난민이 이스라엘 외 다른 지역에 정착하도록 유도하는 메커니즘이 마련될 예정이었다.[39] 에레카트는 레바논에서 팔레스타인 난민 귀환을 난민이 이스라엘로 돌아갈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범"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39][36] 이 시범 프로그램에서 이스라엘은 가족 재결합 틀 내에서 5~6년 동안 매년 2,000명의 난민을 받아들일 것이었다.[39]
3. 1. 영토
캠프 데이비드 회담은 '모 아니면 도' 방식으로 진행되어, 모든 쟁점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체 합의가 무효가 되는 방식이었다. 대부분의 제안은 구두로 이루어졌고, 최종 합의가 결렬되면서 공식적인 서면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각 당사자의 주장에 대한 세부 사항은 다소 불분명하다.[81]
회담에서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한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팔레스타인 측은 가자 지구와 서안 지구 전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지만, 이스라엘과의 1:1 영토 교환 가능성은 열어두었다. 팔레스타인 측은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의 역사적 영토 중 78%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이스라엘의 영유권을 인정했으므로 이미 영토 문제는 양보가 끝났다고 주장했다. 파이살 후세이니는 "어떻게 양보한 것을 더 양보하느냐"며 반발했다.[82] 팔레스타인은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42호를 제3차 중동 전쟁에서 이스라엘이 점령한 영토에서 즉각 철수하라는 의미로 해석해야 하며, 이를 최종 평화 협정에 명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93년 오슬로 협정에서 팔레스타인 측은 그린 라인에 따른 국경을 수용했지만, 이스라엘은 이 제안을 거부하고 결의 제242호에 대한 해석이 잘못되었다고 주장했다.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 내 여러 정착촌의 합병을 원했으며, 1949년 당시의 국경으로 돌아갈 경우 이스라엘의 안보가 위협받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이스라엘은 동예루살렘(71 km2), 사해의 영해(195 km2), 라트룬 주변 무인지대(50 km2)를 서안 지구의 일부로 인정하지 않아, 양측이 주장하는 서안 지구의 면적은 약 5%의 차이를 보였다.[81]
에후드 바라크는 이스라엘의 서안 지구 정의에 따라 초기 팔레스타인 국가의 영토를 서안 지구의 73%(그린 라인 국경보다 27% 적음)와 가자 지구의 100%로 하고, 10~25년에 걸쳐 영토 교환을 통해 서안 지구의 92%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했다.[81][83] 그러나 팔레스타인 측은 이를 서안 지구의 86%만을 주는 것으로 해석했다.[81]
로버트 라이트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인구가 많은 정착촌만 유지하고, 헤브론 근처 키랴트 아르바를 제외한 나머지 정착촌은 해체하되, 키랴트 아르바는 팔레스타인 속 월경지가 되어 우회로를 통해 이스라엘 본토와 연결할 계획이었다. 서안 지구는 예루살렘에서 사해를 잇는 이스라엘 통제 하의 도로로 양분되는데, 이 도로는 팔레스타인인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지만, 유사시 이스라엘은 도로 통행을 제한할 권한을 가진다. 이에 대한 보상으로, 이스라엘은 네게브에 있는 고속도로와 철도의 사용을 허가하여,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를 이을 수 있게 한다.[84]
이스라엘은 그린 라인 안쪽 영토의 1%를 주는 대신 서안 지구의 영토 9%를 요구했다. 이스라엘이 양보하는 영토는 알아크사 모스크 등 팔레스타인의 문화에서 중요한 땅이었으며, 이스라엘이 받는 땅은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았다. 여기에 더해 바라크는 팔레스타인의 영공을 이스라엘이 통제하는 방안을 제시했다.[84][85] 팔레스타인 측은 가자 지구 근처 할루차 지역(78 km2)을 받는 것을 거부했는데, 이는 서안 지구에서 양보하는 영토보다 상태가 좋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81]
3. 1. 1. 영토의 연속성
캠프 데이비드 회담에서 설립될 예정이었던 팔레스타인 국가는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가 서로 분리되어 지리적으로 연속성을 띄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서안 지구 자체의 불연속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노엄 촘스키는 회담에서 서안 지구가 3구획으로, 동예루살렘이 4구획으로 분할되며, 각 구획 사이는 이스라엘 영토가 위치해 구획 사이를 나누는 안이 제안되었다고 주장했다.[86] 다른 보고에서도 서안 지구가 3개로 나뉜다는 언급이 등장한다.[87][88][108] 이와 반대로 에후드 바라크는 마알레 아두밈에서 요르단강에 이르는 쐐기 형태의 이스라엘 영토를 제외하고는 서안 지구 전체가 연속성을 띈다고 밝혔다.[89]
이 제안에 따르면, 정착촌, 우회로, 합병 영토로 인해 나블루스-제닌과 라말라 사이에 장벽이 생기게 되며, 라말라 지역도 베들레헴과 헤브론으로 나뉘게 된다. 나머지 구획 하나에는 예리코가 포함된다. 또한, 서안 지구와 요르단 사이의 국경은 이스라엘의 통제로 남으며,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받는 동예루살렘의 영토는 서안 지구에서 이스라엘이 받는 영토로 인해 완벽히 둘러싸이게 된다.[90] 이러한 문제로 인해, 팔레스타인은 서안 지구를 3구획으로 나눈다는 방안에 강한 거부감을 드러냈으며, 팔레스타인 대표단은 이를 남아프리카의 반투스탄에 비유하기도 했다.[91]
팔레스타인 협상 대표는 요르단강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 전체에 대한 완전한 팔레스타인 주권을 원한다고 밝혔지만, 이스라엘과의 1:1 토지 교환은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들의 역사적 입장은 팔레스타인인들이 "역사적 팔레스타인"의 78%에 대한 이스라엘의 권리를 수용하고, 남은 22%의 땅에 자신들의 국가를 받아들임으로써 이미 이스라엘과 영토적 타협을 했다는 것이었다. 파이살 후세이니는 "타협에 대한 타협은 있을 수 없다"고 언급했다.[11] 그들은 제242호 결의안이 최종 평화 협정의 일부로 6일 전쟁에서 점령된 이 영토에서 이스라엘의 완전한 철수를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1993년 오슬로 협정에서 팔레스타인 협상 대표는 그린 라인 경계(1949년 휴전선)를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 대해 수용했지만 이스라엘은 이 제안을 거부하고 제242호 결의안에 대한 팔레스타인의 해석에 이의를 제기했다. 이스라엘은 그린 라인 팔레스타인 쪽에 있는 수많은 정착촌 블록을 합병하기를 원했으며, 1967년 국경으로의 완전한 복귀가 이스라엘의 안보에 위험하다고 우려했다.
로버트 라이트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인구가 많은 정착촌만 유지하고, 다른 모든 정착촌은 해체될 것이며, 헤브론의 성스러운 도시 인근에 있는 키르야트 아르바는 팔레스타인 국가 내 이스라엘 월경지로 남고 우회 도로로 이스라엘과 연결될 것이라고 언급한다. 요르단강 서안 지구는 이스라엘이 통제하는 예루살렘에서 사해로 이어지는 도로로 중간이 갈라지며, 팔레스타인인은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지만, 이스라엘은 비상시 도로 통행을 차단할 권리를 유보했다. 그 대가로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이 네게브의 고속도로를 사용하여 요르단강 서안 지구와 가자를 연결하도록 허용할 것이다. 라이트는 이스라엘의 제안에서 요르단강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는 네게브를 통과하는 고가 고속도로와 고가 철도로 연결되어 팔레스타인인의 안전하고 자유로운 통행을 보장할 것이라고 말한다. 이것들은 이스라엘의 주권 하에 있으며, 이스라엘은 비상시 통행을 차단할 권리를 유보했다.[13]
3. 2. 동예루살렘
예루살렘과 성전산의 지위에 대해서는 매우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는데, 정작 양측 모두 예루살렘 문제가 협상의 중심이 되리라고는 거의 예상하지 못했다.[92] 에후드 바라크는 이스라엘 대표단에게 예루살렘 문제를 "협상의 운명을 결정할 핵심적인 문제"로 취급하라고 지시하였으며, 야세르 아라파트는 팔레스타인 대표단에게 "이 한 가지는 양보하지 마라. 하람(성전산)은 나에게 그 어떤 것보다 더 소중하다"고 말하였다.[93] 캠프 데이비드 회담 개막식에서 바라크는 미국 대표단에게, 팔레스타인에게 동예루살렘의 상징적인 주권 이상을 주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경고하였다.[85]
팔레스타인은 동예루살렘과, 성전산에 있는 알아크사 모스크 및 바위의 돔 등 성지에 대한 완전한 영유권을 요구하였으며, 그린 라인 바깥에 건설된 이스라엘 정착촌을 해체할 것을 주장하였다. 당시 아라파트의 협상 대표였던 마흐무드 압바스는 동예루살렘 전체가 팔레스타인의 영유 하로 돌아와야 한다며, 유대인 거주 지역과 통곡의 벽은 이스라엘의 영유가 아닌 행정 하에 있어야 하고, 예루살렘 전체가 지방 자치 차원에서 서로 협력하는 개방적인 도시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94]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에게, 성전산과, 구시가의 이슬람교 및 기독교 거주 지역에 대해, 영유권 대신 '관리권'을 제안하였으며, 성전산을 둘러싸는 통곡의 벽과, 구시가의 유대인 및 아르메니아인 거주 지역에 대한 점유는 그대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94][95][96] 이스라엘의 제안에 따르면, 팔레스타인은 이슬람교 및 기독교 성지의 완전한 행정권을 가지며, 원할 경우 팔레스타인 국기를 게양할 수 있게 된다. 예루살렘 북부와 이슬람교/기독교 성지를 잇는 통로는 팔레스타인에 합병된다. 이스라엘 대표단은 그린 라인 바깥쪽에 있는 정착촌 일부를 예루살렘으로 합병하고, 베타니아나 알람 등 1967년 이후 예루살렘으로 합병된 작은 아랍 마을을 합쳐 알쿠드스라는 도시로 만들어, 이를 팔레스타인의 수도로 삼는 안을 제안하였다.[96] 근처의 셰이크자라, 실로암, 앗투르 등 일부 아랍 마을은 그대로 이스라엘에 남아, 민간 자치만 허가되며, 바깥쪽의 아랍 마을에서는 팔레스타인이 민간 및 행정 자치를 시행한다. 동예루살렘의 이스라엘 마을은 이스라엘의 통제 하에 남는다.[81][95] 구시가의 성지는 정치와 별도로, 종교 단체의 행정권을 적용받는다.[97] 팔레스타인 대표단은, 이스라엘 대표단이 이를 종합하여 동예루살렘의 팔레스타인 영토를, 위요지 6곳을 포함해, 8구획으로 줄일 것을 요구했다고 주장했다.[98]
팔레스타인 측은 동예루살렘의 유대인 거주 구역에 대한 이스라엘 주권과 아랍인 거주 구역에 대한 팔레스타인 주권을 제안했다.[33] 예루살렘 구시가지에서 이스라엘은 유대인 지구와 아르메니아 지구의 일부를 차지하고, 팔레스타인은 무슬림 지구와 기독교 지구를 차지하게 된다.[36] 이스라엘은 통곡의 벽을, 팔레스타인은 성전산/알 아크사 사원을 차지하게 된다.[33] 팔레스타인 측은 예루살렘 내에 국경 검문소를 설치하는 대신 도시 주변에 국경 검문소를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이는 팔레스타인인이 자신의 수도에 들어가려면 국제 국경을 넘는 것으로 간주되고 (이스라엘인이 자신의 수도에 들어갈 때도 마찬가지) 도시 내에서는 시민과 교통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했다.[37] 이스라엘이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면, 팔레스타인 측은 예루살렘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부분을 분리하는 "단단한 국경"을 설치하는 대안을 제시했다.[37]
팔레스타인은 주권 부족과 이스라엘이 동예루살렘 그린 라인 너머에 건설한 유대인 구역을 유지할 권리에 반대했다. 팔레스타인은 이 구역들이 동예루살렘의 아랍 구역의 연속성을 막는다고 주장했다.
3. 3. 난민과 귀환권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으로 인해, 현재 이스라엘 영토에 살던 팔레스타인 아랍인 다수가 탈출하거나 추방되었다. 당시 난민 수는 711,000~725,000명에 달했으며, 후손을 포함한 현재 난민 수는 약 400만 명으로, 전체 팔레스타인인의 절반을 차지한다.[99] 1948년 이후 팔레스타인인 다수는 귀환권을 완전히 적용해, 난민 모두가 기존에 살던 집으로 돌아가고, 재산 피해에 대한 보상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99]
이스라엘은 새로 만들어지는 팔레스타인 국가가 아닌 이스라엘 본토로의 귀환을 허락할 경우, 이스라엘의 인구 분포를 크게 바꿀 정도로 많은 팔레스타인인이 몰려와, 유대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의 존재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99]
캠프 데이비드 회담에서 팔레스타인 측은 귀환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하며, 이스라엘이 이스라엘 내에 정착하고자 하는 모든 난민의 권리를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인구 분포와 관련한 염려에 대해, 난민 다수가 귀환하지 않는 편을 선택하게끔 양측의 합의 하에 적절한 조치를 시행하자고 제안하였다.[99] 미국 국무장관 매들린 올브라이트에 따르면, 팔레스타인 측 일부는 비밀리에 이스라엘로의 귀환을 허가할 난민의 상한선을 협상하자는 의사를 드러내기도 했는데, 이에 따르면 이스라엘로 매년 15만 명 가량이 점진적으로 귀환할 예정이었다.[100]
이스라엘 측은 난민 문제에 책임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으며, 귀환권 적용 자체가 유대 국가로서의 이스라엘 정체성을 위협할 것이라고 보았다. 이스라엘 측은 가족 상봉 등 인도적인 이유에 한해서, 난민 최대 10만 명만 이스라엘로 돌아오게 허가할 것이며, 다른 난민들은 현재 거주지, 팔레스타인 국가, 제3국 중 하나를 골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스라엘 주도로 국제 기금 3000억달러를 모아 팔레스타인 난민의 재산 피해를 보상하는 데 사용하도록 돕겠다고 제안하였다.[101]
3. 4. 안보 합의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국가 내에 레이더 기지를 설치하고, 팔레스타인의 영공을 사용하며, 팔레스타인-요르단 국경의 15% 가량에 군대를 주둔시키기를 원했다. 또한 유사시를 대비해 팔레스타인 영토 내에 군대를 배치하고, 요르단계곡에는 국제 연합군을 배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스라엘은 자국이 감시한다는 조건 하에 국경검문소 관할권을 팔레스타인 정부에 완전히 넘기겠다고 제안했다.[102] 더불어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국가가 준군사 보안군을 제외하고는 비군사화되어야 하며, 이스라엘의 동의 없이는 외국 군대가 요르단강 서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고, 테러 단체를 해체해야 한다고 요구했다.[103]
팔레스타인 측은 팔레스타인 국가와 요르단 간 국경 통제를 위해 미국인을 포함하되,[36] 이스라엘인은 제외하는[33] 국제 군사력 주둔을 허용했다. 또한 팔레스타인 국가는 이스라엘 공군이 팔레스타인 영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스라엘과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36]
4. 회담 이후
2000년 7월 25일 캠프 데이비드 회담은 합의 없이 종료되었지만, 향후 협상을 위한 원칙을 담은 삼자 성명이 발표되었다.[80]
회담 이후, 10월 중순 빌 클린턴과 이스라엘 및 팔레스타인 대표단은 샤름엘셰이크에서 만나 폭력 행위 중단과 안보 협력을 위한 '샤름 각서'를 체결했다. 클린턴은 12월 18일부터 23일까지 이어진 협상에서 평화 협정을 체결하려 노력했으나, 2001년 1월 임기가 끝날 때까지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04] 양측은 공식적으로 일부 유보사항을 제외하고 클린턴이 제시한 조건을 받아들였지만,[105] 유보사항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주요 쟁점에서는 조건을 거부한 것과 다름없었다. 12월 28일 예정되었던 샤름엘셰이크 회담은 개최되지 않았으며, 2001년 1월 2일 팔레스타인 측이 근본적인 반대 사항 일부를 제외하고 조건을 수용하자, 에후드 바라크는 20장 분량의 유보사항을 첨부한 채 조건을 수용하였다.[106]
2001년 1월 타바 회담이 열렸고, 양측은 합의에 매우 근접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그러나 예루살렘, 가자 지구의 지위, 난민 문제 등 주요 쟁점은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었다. 이후 선거를 앞둔 바라크는 평화 협상을 중단했고,[107] 2001년 선거에서 아리엘 샤론에게 패배했다.
회담 종료 시 발표된 삼자 성명은 다음과 같다.[9]
5. 실패에 대한 책임론
2000년 캠프 데이비드 회담의 실패 원인에 대한 논쟁은 뜨겁다.[108] 회담 결렬의 책임은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미국 모두에게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52]
회담 이후 이스라엘과 미국의 주류는 야세르 아라파트를 비난하는 이스라엘 측 주장에 동조했다.[52] 이스라엘 지도자들은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가 협상 결렬의 주된 원인이며, 팔레스타인의 귀환권 요구는 유대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의 존립을 위협하므로 팔레스타인이 평화를 원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이스라엘 내 평화 운동의 쇠퇴를 가져왔다.[52]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의 91%에 팔레스타인 국가를 건설하는 "관대한" 제안을 제시했지만, 팔레스타인이 이를 거부했다고 주장했다.[52] 그러나 팔레스타인 측은 이 제안이 결의안 242에 위배된다고 보았다. 팔레스타인은 이미 역사적 팔레스타인의 78%를 이스라엘에 양보하고 22%의 땅에 팔레스타인 국가를 건설하는 데 동의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영토 양보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또한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의 영공, 국경, 천연자원을 통제하려는 것은 점령을 영구화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52]
회담에서 팔레스타인에게 제안된 내용은 서면이 아닌 구두로 전달되었으며,[40] 그 내용에 대해서도 여러 주장이 존재한다.[4] 다음 표는 여러 출처에서 제시된 팔레스타인에 대한 최종 제안을 요약한 것이다.
출처 | 지도 링크 | 성전산 (알 아크사 모스크 포함) | 구시가지 나머지 | 예루살렘 나머지 | 서안 지구 나머지 | 서안 지구의 인접성 | 가자 지구 | 비고 |
---|---|---|---|---|---|---|---|---|
PASSIA[41] | [http://passia.org/media/filer_public/25/1c/251c2075-2389-453f-8587-3d2d2561571b/pdfresizercom-pdf-crop_35-page-001.jpg] | 이스라엘 주권 하 | 이스라엘은 확장된 "대 예루살렘"을 얻고, 팔레스타인은 몇 개의 촌락을 얻는다. |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의 10~13.5%를 합병하고 특정 임시 기간 동안 8.5~12%를 통제한다. | 3개 구역으로 분할 | 대부분 팔레스타인 주권 하이지만, 이스라엘은 3개의 정착촌을 유지한다. | ||
에후드 바락[42] | 이스라엘 주권 하이지만, 팔레스타인에게 "관리권" 제안 | 2개 구역 (무슬림과 기독교)에 대한 팔레스타인 주권 | 일부 아랍 지역은 팔레스타인 주권 하에 있고, 다른 아랍 지역은 이스라엘 주권 하에 있지만 "기능적 자치" 부여 |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의 8%를 합병하며, 특정 토지 교환이 이루어진다. | 2개 구역으로 분할 (마알레 아두밈에서 요르단 강까지 이스라엘 영토 조각) | 팔레스타인 주권 하 | ||
로버트 말리[43] | 이스라엘 주권 하, 모호한 팔레스타인 "관리권" | 2개 구역 (무슬림과 기독교)에 대한 팔레스타인 주권 | 일부 지역은 팔레스타인 주권 하에 있고, 다른 지역은 "기능적 자치" 하 |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의 9%를 합병하고, 팔레스타인은 토지 교환으로 특정 이스라엘 영토의 1%를 받는다. | 제안에는 중요한 세부 사항이 부족했다. | |||
클레이턴 스와이셔[44] | rowspan=2 | | 이스라엘 주권 하이지만, 팔레스타인에게 알 아크사 모스크의 "관리권" 부여 | 첫 번째 옵션: 2개 구역 (무슬림과 기독교)에 대한 팔레스타인 주권 | 첫 번째 옵션: 팔레스타인은 지역의 주권을 얻지 못하고, "기능적 자치"만 부여받음 |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의 8.8%를 합병하고; 추가로 13.3%는 팔레스타인 주권 하이지만 이스라엘 점령 하 (군사 기지를 유지하는 곳) | 3개의 비인접 구역으로 분할 | rowspan=2 | |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영공과 라디오 및 이동 통신 신호를 통제 |
두 번째 옵션: 4개 구역 모두 이스라엘 주권 하이지만, 2개 구역 (무슬림과 기독교)에 팔레스타인 자치권 제안. | 두 번째 옵션: 팔레스타인은 일부 지역에서 주권을 얻음 | |||||||
샤울 아리엘리, ECF (이스라엘 싱크탱크) | [https://ecf.org.il/media_items/938] | 이스라엘 주권 하[45] | 이스라엘은 구시가지의 무슬림 지역을 얻음[46] | 팔레스타인은 구시가지 외부에 있는 동 예루살렘의 일부 무슬림 지역을 얻음[46] |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의 13%를 합병하고, 추가로 6%를 "장기 임대"로 가져간다. 토지 교환 없음. | 팔레스타인 주권 하 | [https://fes-org-il-pub.s3.amazonaws.com/NetanyaCollege/IsraeliPalestinianDiplomaticProcessEnglish.pdf] | |
데니스 로스 | [https://www.jewishvirtuallibrary.org/jsource/images/maps/ross2.gif] |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의 9%를 합병하고 서안 지구 국경의 15%를 통제 | ||||||
마아리브 기사[47] | [https://web.archive.org/web/20121008225733/http://www.jewishvirtuallibrary.org/jsource/Peace/jerdivide.html] | 이스라엘 주권 하이지만, 팔레스타인은 "종교적 자치"를 갖게 된다 | 4개 구역 모두 이스라엘 주권 하이지만, 2개 구역 (무슬림과 기독교)에 자치권 제안 | 일부 아랍 지역은 이스라엘에 합병되고, 다른 지역은 팔레스타인에 합병됨 | ||||
하워드 프리엘[35] | 이스라엘 주권 | 이스라엘은 일대일 토지 교환 없이 서안 지구의 13% 또는 9%를 합병 |
회담 종료 후,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에후드 바락 이스라엘 총리, 야세르 아라파트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수반은 향후 협상을 위한 원칙에 합의하는 3자 성명을 발표했다.[9]
5. 1. 팔레스타인 책임론
이스라엘과 미국에서는 2000년 캠프 데이비드 회담의 실패 원인이 주로 야세르 아라파트에게 있다고 본다.[109][110] 에후드 바락은 아라파트의 행동을 "분쟁 종식"에 대한 진지한 의도 없이 이스라엘의 양보를 최대한 얻어내기 위한 공연이었다고 묘사했다.[95]빌 클린턴은 회담 실패의 책임을 아라파트에게 돌리면서, 아라파트가 구체적인 반대 이유를 밝히지 않고 협상장을 떠났으며, 회담 직후 시작된 팔레스타인 폭동을 진압하는 데 거의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110][111][112] 클린턴은 자서전에서 아라파트의 칭찬에 "나는 위대한 사람이 아니다. 나는 실패작이며, 당신이 나를 실패작으로 만들었다"고 대답했다고 밝혔다.[113]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장관이었던 나빌 아므르도 아라파트가 고의로 회담을 무산시켰다고 주장했다.[114]
미국 중동 대사였던 데니스 로스는 오스트레일리아 강연에서 아라파트가 귀환권 등 팔레스타인의 요구 전체를 수용할 가능성을 열어두기 위해 최종 합의에 서명하지 않으려 했으며, 일국 방안을 원했던 것 같다고 주장했다.[115] 로스는 사우디 왕자 반다르 빈 술탄이 "만약 아라파트가 지금 가능한 것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이는 비극이 아니라 범죄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전했다.[116]
하버드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켄네스 레빈은 저서 ''The Oslo Syndrome영어''에서[117] 이스라엘의 큰 제안과 클린턴의 압박에도 아라파트는 머뭇거렸으며, 이스라엘의 양보와 관계없이 팔레스타인의 주장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최종 합의에 서명할 생각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서술했다. 레빈은 아라파트가 모든 팔레스타인의 '귀환권' 자체를 포기할 것이라고 생각한 것은 순진한 생각이었다고 주장했다.
하버드 대학교 법학 교수 앨런 더쇼비츠는 회담 실패 원인이 "팔레스타인과 아라파트가 귀환권을 포기하지 않은 것"이며, "예루살렘도, 국경도 아닌 귀환권이 문제였다"고 밝혔다. 더쇼비츠는 클린턴 대통령이 자신에게 직접 말했다고 주장했다.[118]
회담 실패에 대한 책임 논쟁은 뜨겁다. 헤리베르트 아담과 코길라 무들리는 2005년 저서에서 "상황을 잘 아는 관찰자들은 세 당사자, 즉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미국 모두의 협상 전략이 실패의 원인이라고 비난했다"고 언급했다.[52] 이스라엘과 미국의 기득권층은 아라파트를 악당으로 묘사한 이스라엘의 주장에 동조했다. 이스라엘 지도자들은 난민 문제가 협상 붕괴로 이어졌다고 주장하며, 팔레스타인의 귀환권이 유대 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의 종말을 의미하므로 평화를 원하지 않은 것은 팔레스타인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이스라엘 평화 운동의 쇠퇴로 이어졌다.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의 91%에 팔레스타인 국가를 세우는 "관대한" 제안을 팔레스타인이 수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팔레스타인 측은 결의안 242에 위배된다고 보았다. 팔레스타인은 역사적 팔레스타인의 78%를 이스라엘에 양보하고 22%의 땅에 팔레스타인 국가를 세우는 것을 받아들였으므로 더 많은 땅을 양보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팔레스타인인들은 팔레스타인 영공, 국경 및 천연 자원을 통제하려는 이스라엘의 제안을 점령을 무기한 유지하려는 시도로 간주했다.
5. 2. 이스라엘 및 미국 책임론
로버트 말리는 회담에 미국 대표단으로 참석하여 회담과 관련해 세 가지 '잘못된 믿음'이 있다고 주장했다. 첫째는 "캠프 데이비드 회담이 야세르 아라파트의 의도를 보여주는 이상적인 시험대였다"는 것인데, 아라파트는 회담 준비 과정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대표단이 쟁점을 충분히 좁혀 오지 못해 아라파트와 에후드 바락 사이 '관계의 저점'에서 회담이 이루어졌다고 보았다.[119] 둘째는, "이스라엘의 제안이 팔레스타인의 요구의 전부는 아니지만 대부분을 충족하였다"는 것이다. 말리는 아라파트 입장에서 예루살렘의 아랍 마을 일부와 하람 알샤리프를 이스라엘에 넘기라는 말을 들었으며, 9:1이라는 불리한 영토 교환 비율을 받아들이라고 강요받았다고 주장했다.[119] 셋째는, "팔레스타인은 스스로 양보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말리는 팔레스타인이 1967년 국경을 기준으로 동예루살렘 및 서안 지구에 있는 이스라엘 정착촌을 포기했으며, 이스라엘의 이익을 보장하는 범위에서 귀환권을 행사하겠다고 밝혔다고 말했다. 종합적으로, 말리는 후세인 1세나 안와르 사다트가 이스라엘과 협상할 때보다 아라파트가 양보한 것이 더 많다고 주장하였다.[119]클레이턴 스위셔는 저서 《캠프 데이비드의 진실》에서 빌 클린턴과 로스의 주장에 반박하며, 이스라엘과 미국도 팔레스타인만큼이나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였다.[120]
회담에 참여했던 당시 이스라엘 외교부 장관 쉴로모 벤아미는 팔레스타인인들은 서안 지구, 동예루살렘, 가자 지구에서 이스라엘의 즉각 철수를 원하며, 그 후에만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팔레스타인 기구를 해산할 것이라고 보고하였으며, 이에 대해 이스라엘은 "협상의 전제 조건으로서 1967년 6월 국경으로 회귀할 수는 없다"고 답변하였다.[121] 2006년 벤아미는 데모크라시 나우!에서 "캠프 데이비드는 팔레스타인이 놓친 기회가 아니며, 내가 팔레스타인인이었어도 캠프 데이비드를 거부했을 것이다"고 밝혔다.[122]
노먼 핀켈스타인은 팔레스타인 연구 학회지의 2007년 겨울호에 게제한 글에서, "국제법상,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캠프 데이비드에서 나온 모든 양보는 팔레스타인 쪽에서 나온 것이지 이스라엘 쪽에서 나온 것이 아니다"고 주장했다.[123]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정치과학 교수 론 하스너는 협상에 있어 종교 지도자들과 상의한 적이 없기 때문에, 예루살렘 문제에 있어 협상이 실패했다고 주장하며, 양 측 모두 분쟁의 종교적 측면을 무시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성전산 문제가 협상의 주요 쟁점으로 떠오를 가능성을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았다고 보았다.[92] 회담에 이스라엘 측 자문위원으로 참석한 정치과학자 메나헴 클레인은 "예루살렘을 충분히 종교 도시로서 취급하지 않았다... 도시의 종교적 신성성과 역사적 신성성 사이의 연관을 논의하는 것보다, 구시가의 유적 보존을 논의하는 것이 더 쉬웠다"고 밝혔다.[124]
6. 회담에 대한 여론
팔레스타인에서는 회담에 대한 지지 여론이 강했다. 회담 이후 아라파트의 지지율은 39%에서 46%로 증가했으며,[125] 캠프 데이비드 회담 결과에 대해 68%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였고, 14%는 너무 많이 양보했다고, 6%는 너무 적게 양보했다고 생각하였다.[125]
바라크는 여론의 지지를 별로 받지 못했다. 이스라엘 대중 중 25%만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였으며, 58%가 너무 많이 양보하였다고 생각하였다.[126] 또한, 과반수 이상은 회담에서 바라크가 제기한 의견 중, 안보를 제외한 모든 안건에서 반대 의사를 보였다.[127]
구분 | 팔레스타인 여론 | 이스라엘 여론 |
---|---|---|
아라파트/바라크 지지율 변화 | 39% → 46% (7%p 증가) | (자료 없음) |
회담 결과에 대한 평가 | 적당: 68%, 너무 많이 양보: 14%, 너무 적게 양보: 6% | 적당: 25%, 너무 많이 양보: 58% |
바라크 제안에 대한 평가 | (자료 없음) | 안보 제외 모든 안건 반대 |
참조
[1]
서적
Gaza: A History
[2]
서적
Peace process: American diplomacy and the Arab-Israeli conflict since 1967
Brookings Institution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3]
간행물
Rashomon in the Middle East: Clashing Narratives, Images, and Frames i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http://www.jstor.org[...]
2005
[4]
간행물
Camp David Rashomon: Contested Interpretations of the Israel/Palestine Peace Process
https://doi.org/10.1[...]
2009
[5]
문서
The Enigma of Camp David. The Camp David Summit-What Went Wrong: "...manifestation of the Rashomon syndrome..."
2005
[6]
서적
Inside the Clinton White House: An Oral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9-01
[7]
웹인용
The Camp David Papers
http://www.palestine[...]
2000-07-29
[8]
뉴스
A summit clouded by suspicion
http://www.haaretz.c[...]
Haaretz
2001-11-23
[9]
웹사이트
Trilateral Statement on the Middle East Peace Summit at Camp David
http://2001-2009.sta[...]
US Department of State
2000-07-25
[10]
간행물
Visions in Collision: What Happened at Camp David and Taba?
http://belfercenter.[...]
2003
[11]
서적
Ethnocracy: Land and Identity Politics in Israel/Palestin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006
[12]
서적
Arafat's War: The Man and His Battle for Israeli Conquest
Grove Press
[13]
뉴스
Was Arafat the Problem?
http://www.slate.com[...]
2011-12-27
[14]
뉴스
Camp David: The Tragedy of Errors
http://www.nybooks.c[...]
New York Review of Books
2001-08-09
[15]
뉴스
The solution is the problem
https://www.theguard[...]
[16]
웹사이트
Failed compromise at Camp David
https://mondediplo.c[...]
Le Monde Diplomatique
2000-12
[17]
웹사이트
The United States and the Breakdown of the Israeli-Palestinian Peace Process
https://mepc.org/jou[...]
2001-12
[18]
뉴스
Arafat didn't negotiate – he just kept saying no
https://www.theguard[...]
[19]
서적
Decoding the Conflict Between Israel and the Palestinians, Charles River Editors
https://books.google[...]
[20]
웹사이트
Camp David Projection, July 2000
http://www.passia.or[...]
Palestinian Academic Society for the Study of International Affairs
2011-12-27
[21]
서적
War on Sacred Grounds
http://www.waronsacr[...]
Cornell University Press
2009
[22]
서적
War on Sacred Grounds
http://www.waronsacr[...]
Cornell University Press
2009
[23]
웹인용
Abu Mazen's speech at the meeting of the PLO's Palestinian Central Council
https://unispal.un.o[...]
2000-09-09
[24]
잡지
Camp David and After: An Exchange (1. An Interview with Ehud Barak)
http://www.nybooks.c[...]
2002-06-13
[25]
웹사이트
The proposed division of Jerusalem
https://www.jewishvi[...]
Jewish Virtual Library
2000-07
[26]
웹사이트
Principles of Camp David's "American Plan"
http://www.fmep.org/[...]
Foundation for Middle East Peace (FMEP)
2000-09
[27]
웹사이트
Le compromis manqué de Camp David
http://www.monde-dip[...]
2000-12-01
[28]
문서
2006
[29]
문서
2003
[30]
문서
2006
[31]
웹사이트
"Actual Proposal Offered At Camp David"
https://www.jewishvi[...]
Dennis Ross
2004
[32]
문서
2006
[33]
서적
The Crisis of Zionism
Henry Holt and Company
[34]
서적
The Rubik Cube of the Wider Middle East
Centre for European Policy Studies
[35]
서적
Israel-Palestine on Record
Verso
[36]
서적
Israeli-Palestinian Peace Negotiations, 1999-2001
Taylor & Francis
2013
[37]
서적
Track Two Diplomacy and Jerusalem The Jerusalem Old City Initiative
Routledge
2017
[38]
서적
Image and Reality of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2016
[39]
서적
Palestinian Refugee Repatriation
Taylor & Francis
2006-09-27
[40]
뉴스
Robert Malley and Hussein Agha
https://www.theguard[...]
[41]
웹사이트
CAMP DAVID PROJECTION, JULY 2000
http://www.passia.or[...]
[42]
뉴스
Camp David and After: An Exchange (1. An Interview with Ehud Barak)
https://www.nybooks.[...]
[43]
간행물
The Palestinian-Israeli Camp David Negotiations and Beyon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4]
서적
The Truth About Camp David The Untold Story About the Collapse of the Middle East Peace Process
[45]
웹사이트
The writing on the wall
https://www.shaulari[...]
[46]
웹사이트
The writing on the wall
https://www.shaulari[...]
[47]
뉴스
Map of the Proposed Division of Jerusalem
http://www.jewishvir[...]
[48]
웹사이트
What were the 2000 Clinton parameters, and were they an acceptable solution?
http://israelipalest[...]
ProCon
2008-04-30
[49]
웹사이트
Excerpts: State Dept. spokesman on Mideast peace prospects (Both sides accept Clinton's parameters with reservations)
http://www.usembassy[...]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Israel
2001-01-03
[50]
뉴스
Continuation of Eyes wide shut
http://www.haaretz.c[...]
Haaretz
2002-09-04
[51]
웹사이트
The Taba Proposals and the Refugee Problem
http://www.mideastwe[...]
MidEastWeb
2013-07-06
[52]
서적
Seeking Mandela: Peacemaking Between Israelis and Palestinian
Temple University Press
[53]
뉴스
Lost Opportunities
http://www.bostonrev[...]
Boston Review
2004-12-01
[54]
문서
Arab-Israel Peacemaking
Continuum
2002
[55]
문서
Kenneth Levin (2005), p. 422.
[56]
웹사이트
"Ha'aretz – 1 October 2001."
http://www.peacelobb[...]
The Jewish Peace Lobby
2001-10-01
[57]
웹사이트
Legitimacy Demands Leadership
http://www.amin.org/[...]
Arabic Media Internet Network
2003-02-10
[58]
백과사전
Camp David 2000
https://www.jewishvi[...]
[59]
서적
The Volunteer
2007
[60]
서적
Arik: The Life of Ariel Sharon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61]
간행물
Review of The Oslo Syndrome: Delusions of a People Under Siege
Middle East Forum
2006
[62]
인터뷰
Noam Chomsky v. Alan Dershowitz: A Debate o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http://www.democracy[...]
Democracy Now!
2005-12-23
[63]
뉴스
Fictions About the Failure At Camp David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1-07-08
[64]
서적
The Truth About Camp David: The Untold Story About the Collapse of the Middle East Peace Process
https://www.amazon.c[...]
Nation Books
2004-09-21
[65]
뉴스
Bush Gets It Right
http://israelinsider[...]
Israel Policy Forum
[66]
서적
Shattered Dreams: The Failure of the Peace Process in the Middle East, 1995–2002
2003
[67]
인터뷰
Fmr. Israeli Foreign Minister Shlomo Ben Ami Debates Outspoken Professor Norman Finkelstein on Israel, the Palestinians, and the Peace Process
http://www.democracy[...]
Democracy Now!
2006-02-14
[68]
간행물
The Camp David II Negotiations: How Dennis Ross Proved the Palestinians Aborted the Peace Process
http://www.palestine[...]
Journal of Palestine Studies
2007
[69]
문서
Shattering a Taboo: The Contacts towards a Permanent Status Agreement in Jerusalem, 1994–2001
2001
[70]
웹사이트
Barak's generous offers
http://zope.gush-sha[...]
Gush Shalom
2015-12-19
[71]
웹사이트
Camp David Summit, Chances for Reconciliation and Lasting Peace, Violence and Confrontations, Hierarchies of Priorities, and Domestic Politics. Palestinian Center for Policy and Survey Research
http://www.pcpsr.org[...]
Palestinian Center for Policy and Survey Research
2000-07
[72]
간행물
Israeli Poll 1 27–31 July 2000
http://truman.huji.a[...]
Harry S. Truman Institute for the Advancement of Peace
2000
[73]
웹사이트
Truman.huji.ac.il
http://truman.huji.a[...]
[74]
논문
Rashomon in the Middle East: Clashing Narratives, Images, and Frames i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http://www.jstor.org[...]
2005
[75]
논문
Camp David Rashomon: Contested Interpretations of the Israel/Palestine Peace Process
2009
[76]
문서
The Enigma of Camp David
2005
[77]
서적
Inside the Clinton White House: An Oral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9-01
[78]
간행물
The Camp David Papers
http://www.palestine[...]
2000-07-29
[79]
뉴스
A summit clouded by suspicion
http://www.haaretz.c[...]
Haaretz
2001-11-23
[80]
웹인용
Trilateral Statement on the Middle East Peace Summit at Camp David
http://2001-2009.sta[...]
US Department of State
2000-07-25
[81]
논문
"Visions in Collision: What Happened at Camp David and Taba?"
http://belfercenter.[...]
2003
[82]
서적
Ethnocracy: Land and Identity Politics in Israel/Palestin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6
[83]
서적
Arafat's War: The Man and His Battle for Israeli Conquest
https://archive.org/[...]
Grove Press
[84]
뉴스
Was Arafat the Problem?
http://www.slate.com[...]
2002-04-18
[85]
뉴스
Camp David: The Tragedy of Errors
http://www.nybooks.c[...]
New York Review of Books
2001-08-09
[86]
뉴스
The solution is the problem
https://www.theguard[...]
[87]
웹인용
Failed compromise at Camp David
https://mondediplo.c[...]
Le Monde Diplomatique
2000-12
[88]
웹인용
The United States and the Breakdown of the Israeli-Palestinian Peace Process
https://mepc.org/jou[...]
[89]
뉴스
Arafat didn't negotiate - he just kept saying no
2002-05-23
[90]
웹인용
Camp David Projection, July 2000
http://www.passia.or[...]
Palestinian Academic Society for the Study of International Affairs
2011-12-27
[91]
서적
Decoding the Conflict Between Israel and the Palestinians, Charles River Editors
https://books.google[...]
[92]
서적
War on Sacred Grounds
http://www.waronsacr[...]
Cornell University Press
2009
[93]
서적
War on Sacred Grounds
http://www.waronsacr[...]
Cornell University Press
2009
[94]
웹사이트
Abu Mazen's speech at the meeting of the PLO's Palestinian Central Council
https://unispal.un.o[...]
2000-09-09
[95]
잡지
Camp David and After: An Exchange (1. An Interview with Ehud Barak)
http://www.nybooks.c[...]
2002-06-13
[96]
웹사이트
The proposed division of Jerusalem
https://www.jewishvi[...]
2000-07
[97]
웹사이트
Principles of Camp David's "American Plan"
http://www.fmep.org/[...]
2000-09
[98]
웹인용
Le compromis manqué de Camp David
http://www.monde-dip[...]
2000-12-01
[99]
문서
Gilead Sher (2006), p. 102
[100]
문서
Madeleine Albright (2003), p. 618
[101]
문서
Gilead Sher (2006), p. 101 and pp. 247–249.
[102]
웹사이트
"Actual Proposal Offered At Camp David"
https://www.jewishvi[...]
[103]
문서
Gilead Sher (2006), pp. 110–111
[104]
웹사이트
What were the 2000 Clinton parameters, and were they an acceptable solution?
http://israelipalest[...]
2008-04-30
[105]
웹사이트
Excerpts: State Dept. spokesman on Mideast peace prospects (Both sides accept Clinton's parameters with reservations)
http://www.usembassy[...]
2001-01-03
[106]
뉴스
"Continuation of Eyes wide shut'"
http://www.haaretz.c[...]
Haaretz
2002-09-04
[107]
웹사이트
"The Taba Proposals and the Refugee Problem'"
http://www.mideastwe[...]
2013-07-06
[108]
서적
Seeking Mandela: Peacemaking Between Israelis and Palestinian
Temple University Press
[109]
간행물
'Lost Opportunities'
http://www.bostonrev[...]
Boston Review
2004-12-01
[110]
백과사전
Arab-Israel Peacemaking
Continuum
[111]
문서
[112]
웹사이트
"Ha'aretz – 1 October 2001."
http://www.peacelobb[...]
2001-10-01
[113]
백과사전
Camp David 2000
https://www.jewishvi[...]
[114]
웹인용
Legitimacy Demands Leadership
http://www.amin.org/[...]
Arabic Media Internet Network
2003-02-10
[115]
문서
The Volunteer
[116]
서적
Arik: The Life of Ariel Sharon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117]
간행물
"Review of The Oslo Syndrome: Delusions of a People Under Siege."
http://www.meforum.o[...]
Middle East Forum
2006
[118]
인터뷰
"Noam Chomsky v. Alan Dershowitz: A Debate o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http://www.democracy[...]
2005-12-23
[119]
뉴스
"Fictions About the Failure At Camp David"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1-07-08
[120]
서적
The Truth About Camp David: The Untold Story About the Collapse of the Middle East Peace Process
https://www.amazon.c[...]
Nation Books
2004-09-21
[121]
서적
Shattered Dreams: The Failure of the Peace Process in the Middle East, 1995–2002
[122]
토론
"Fmr. Israeli Foreign Minister Shlomo Ben Ami Debates Outspoken Professor Norman Finkelstein on Israel, the Palestinians, and the Peace Process"
http://www.democracy[...]
2006-02-14
[123]
간행물
"The Camp David II Negotiations: How Dennis Ross Proved the Palestinians Aborted the Peace Process"
http://www.palestine[...]
2007
[124]
서적
Shattering a Taboo: The Contacts towards a Permanent Status Agreement in Jerusalem, 1994–2001
http://www.waronsacr[...]
Jerusalem Institute for Israeli Studies
[125]
웹인용
Camp David Summit, Chances for Reconciliation and Lasting Peace, Violence and Confrontations, Hierarchies of Priorities, and Domestic Politics. Palestinian Center for Policy and Survey Research
http://www.pcpsr.org[...]
Palestinian Center for Policy and Survey Research
2000-07
[126]
웹사이트
Israeli Poll 1 27–31 July 2000
http://truman.huji.a[...]
Harry S. Truman Institute for the Advancement of Peace
[127]
웹사이트
http://truman.huj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