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르단계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지형
- 3. 역사
- 3.1. 오스만 제국의 통치 (1486년 ~ 1918년)
- 3.2. 제1차 세계 대전과 영국의 위임 통치 (1916년 ~ 1948년)
- 3.3.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제1차 중동 전쟁)
- 3.4. 수자원 전쟁 (1953년 ~ 1967년)
- 3.5. 제3차 중동 전쟁 (6일 전쟁, 1967년)
- 3.6. 1967년 팔레스타인 난민 탈출
- 3.7. 요르단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간의 충돌 (검은 9월, 1967년 ~ 1971년)
- 3.8. 욤키푸르 전쟁 (1973년)
- 3.9. 이스라엘의 정착촌 설치 (1967년 이후)
- 3.10. 오슬로 협정 (1994년)
- 3.11. 1994년 이스라엘-요르단 평화 조약
- 3.12. 1997년 평화의 섬 학살
- 3.13. 2000년대 제2차 인티파다
- 3.14. 서안 측의 이후 양상
- 4. 인구 분포
- 5. 이스라엘의 요르단계곡 지방 의회
- 6. 생물의 이주
- 7. 농업
- 8. 종교적 관점
- 참조
1. 개요
요르단계곡은 갈릴래아호 북부에서 사해에 이르는 요르단강 유역을 일컫는 지형으로, 요르단 지구대의 일부이다. 이스라엘과 요르단의 국경을 이루며, 아라바 계곡으로 이어진다. 오스만 제국 통치, 영국의 위임 통치, 아랍-이스라엘 전쟁 등 복잡한 역사를 거쳤으며, 현재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분쟁 지역으로 남아 있다. 요르단계곡은 농업, 조류 이동, 종교적 의미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특히, 철새의 주요 이동 경로이며, 기독교에서는 예수의 세례 장소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르단의 지형 - 요르단열곡
요르단열곡은 마이오세 시기에 아라비아판이 아프리카판에서 이동하면서 형성된 지구대로, 사해 변환단층을 따라 홍해열곡 및 동아나톨리아 단층과 연결되며 지진 활동이 활발하고 덥고 건조한 기후를 보인다. - 팔레스타인 (지역)의 지리 - 요르단열곡
요르단열곡은 마이오세 시기에 아라비아판이 아프리카판에서 이동하면서 형성된 지구대로, 사해 변환단층을 따라 홍해열곡 및 동아나톨리아 단층과 연결되며 지진 활동이 활발하고 덥고 건조한 기후를 보인다. - 요르단강 수계 - 요르단열곡
요르단열곡은 마이오세 시기에 아라비아판이 아프리카판에서 이동하면서 형성된 지구대로, 사해 변환단층을 따라 홍해열곡 및 동아나톨리아 단층과 연결되며 지진 활동이 활발하고 덥고 건조한 기후를 보인다. - 요르단강 수계 - 갈릴래아호
갈릴래아호는 이스라엘 북동부에 위치한 담수호로, 히브리어로 얌 키네레트라고 불리며, 어업, 농업, 관광 산업의 중심지이자 예수의 활동 무대였으며, 현재는 이스라엘의 주요 식수원 역할을 한다.
요르단계곡 |
---|
2. 지형
요르단강과 요르단계곡을 나타낸 위성 사진과 지도이다.
요르단계곡은 1486년 맘루크 술탄국과 오스만 제국 간의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이 승리하면서 1918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오스만 제국 내 행정 구역은 시대에 따라 변화가 있었으며, 요르단강이 경계로 쓰이기도 하고 쓰이지 않기도 했다. 요르단계곡은 오스만령 시리아 지역에 속했으며, 예루살렘 무타사리프령은 요르단강 양쪽을 모두 포함했다. 19세기 말 요르단계곡에는 여러 부족으로 나뉜 아랍인들이 주로 거주했고, 아르메니아 사도교도와 그리스 정교도도 일부 있었다.[89][19]
일반적으로 갈릴래아호 북부에서 흐르는 요르단강 지역, 즉 훌라계곡과 코라짐고원은 요르단계곡으로 보지 않지만, 간혹 요르단계곡 상부로 칭하기도 한다.
요르단계곡 남부는 아랍어로 고르(غور|고르ar)라고 하며, 갈릴래아호 남쪽부터 사해까지의 구간을 가리킨다. 고르 지역은 주변보다 평균 기온이 몇 도 가량 높고, 연중 내내 농사에 적합한 기후가 유지되며, 토양이 비옥하고, 농업용수 공급이 쉬워, 주요 농업 지역으로 자리잡았다.[76]
사해 남부는 요르단 열곡이 이어지는데, 기온이 높고 건조하며, 아랍어로는 와디 아라바(وادي عربة|와디 아라바ar), 성경에서는 아라바 사막 또는 '광야'라고 부른다.[76]
요르단강의 주요 발원지는 시리아와 레바논 사이에 있는 안티레바논산맥이다. 여기에서 흐르기 시작한 요르단강은 해발 -212m에 위치하는 갈릴래아호로 유입되며, 갈릴래아호에서 나간 물은 사해까지 흐른다.[76]
요르단 계곡은 요르단 지구대의 일부로, 북쪽은 갈릴리 호에서 남쪽은 사해에 이르는 약 120km, 폭 15km이다. 더 남쪽으로는 아라바 계곡으로 이어져 아카바까지 이어진다.
요르단 계곡은 북쪽에서는 이스라엘과 요르단의 국경이며, 남쪽은 요르단강 서안 지구와 요르단의 국경이 된다.
3. 역사
1916년 영국과 프랑스는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맺어 요르단계곡 전체가 영국의 지배 하에 놓이게 되었다. 1918년 영국은 예리코를 점령하고 요르단계곡을 장악하여 레반트 내 오스만군을 붕괴시켰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후세인-맥마흔 서한과 밸푸어 선언 등 상충되는 협약과 오스만 제국의 붕괴는 강대국들과 아랍 세력 간의 무력 충돌을 야기했다. 1921년 카이로 회담을 통해 요르단강 동편은 트란스요르단 토후국으로, 서편은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으로 분할되었고, 요르단강이 국경이 되었다.
제1차 중동 전쟁 발발 전 1947년 유엔 팔레스타인 분할안에 따르면 요르단계곡 서부의 북쪽은 유대인 국가, 남쪽은 아랍인 국가로 배정되었다. 그러나 분할안 직후 1947~1948년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내전이 발발하여 요르단계곡 내 유대인 정착촌과 아랍인 공동체 간 무력 분쟁이 시작되었다. 전쟁 기간 동안 이스라엘은 요르단계곡 북부의 유대인 정착촌을 방어하고 보급선을 확보했다.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발발 직전, 아랍 군단은 게셰르를 공격했으나 실패했고, 이스라엘은 요르단강 수심을 깊게 만들어 이라크 기갑대의 진격을 막았다. 키나로트 계곡 전투에서 시리아군은 갈릴래아호 동부와 남부를 공격했으나, 데가니아 알레프에서 패배 후 후퇴했다.
1949년 휴전 조약 체결 시를 기준으로 이스라엘은 요르단계곡 주변의 분할안에서 할양받은 영토를 거의 통제했다. 종전 후 서안 지구에는 팔레스타인 국가가 성립되지 않았고, 요르단의 서안 지구 합병으로 요르단이 요르단계곡 양쪽을 모두 통치했다.
1953년부터 1955년까지 요르단계곡 통합 물 계획이 제안되었으나 아랍 연맹은 거부했고, 이스라엘과 요르단은 각각 국가 수로와 고르 동부 운하를 건설했다. 이로 인해 요르단계곡을 흐르는 물의 양이 크게 감소했다. 1964년 아랍 연맹의 상류수 우회 계획은 제3차 중동 전쟁의 발발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제3차 중동 전쟁 발발 후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를 점령했고, 요르단군은 요르단강 동편으로 철수했다. 1967년 팔레스타인인 탈출로 요르단계곡의 인구는 크게 감소했다. 1967년 이후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는 요르단계곡을 거점으로 이스라엘에 대한 유격전을 강화했고, 검은 9월 사건으로 요르단에서 추방되었다. 욤키푸르 전쟁 기간 요르단계곡 전선은 비교적 조용했다.
1967년 이후 이스라엘은 요르단계곡 서부에 정착촌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오슬로 협정에 따라 요르단계곡 남부의 행정권이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에게 이관되었으나,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 내 구획 C의 통제권을 유지했다. 1994년 평화 조약을 통해 양국은 국경을 확정하고 물 분쟁을 종식시켰다.
제2차 인티파다 기간 예리코 지역에서 충돌이 있었지만, 요르단계곡은 주요 분쟁 지역이 아니었다. 이후 팔레스타인 정부는 요르단계곡으로 행정권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정책은 요르단계곡을 실질적으로 합병하려는 목적으로 비판받고 있다. 2019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요르단계곡 합병을 주장했다.[135]
3. 1. 오스만 제국의 통치 (1486년 ~ 1918년)
1486년 맘루크 술탄국과 오스만 제국 간의 전쟁에서 칸유니스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이 승리하며 요르단계곡은 1918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 내에서의 행정 구역은 시대에 따라 큰 변화를 겪었으며, 요르단강도 경계로 쓰이기도, 쓰이지 않기도 하였다. 요르단계곡은 대략적으로 오스만령 시리아라고 부르는 지역에 속했으며, 예루살렘 무타사리프령은 요르단강 양쪽을 모두 포함하였다.
1870년대 팔레스타인 탐험 재단이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19세기 말 요르단계곡에 살던 인구 거의 전부는 여러 부족으로 나뉜 아랍인이었으며, 유혹의 산 근처에 아르메니아 사도교도가 일부, 또 마르 사바 근처에 그리스 정교도 일부가 거주하였다.[89][19]
3. 2. 제1차 세계 대전과 영국의 위임 통치 (1916년 ~ 1948년)
1916년 영국과 프랑스는 오스만 제국령 레반트를 분할하는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맺어, 요르단계곡 전체가 영국의 지배 하에 놓이게 되었다.
1918년 2월, 시나이-팔레스타인 전역에서 영국 이집트 파견군이 예리코를 점령했으며, 영국의 요르단계곡 점령 기간 중 모압 언덕에서 오스만군과 대치하게끔 사막 군단이 배치되었다. 영국은 전략적 요충지인 요르단계곡을 점령함으로서, 암만과 다마스쿠스를 점령하여, 레반트 내 오스만군을 붕괴시켰다.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중 맺어진 후세인-맥마흔 서한과 밸푸어 선언 등 서로 상충되는 협약과, 오스만 제국의 붕괴로 인한 권력 공백은 강대국들과 아랍 반란을 주도한 아랍 세력 간의 무력 충돌을 야기했다. 마야살룬 전투 이후 요르단계곡 동편의 트란스요르단은 무인지대가 되었으며, 계곡 서편을 점령하고 있던 영국은 동쪽과 서쪽을 명확하게 연관하여 표현하지 않았다.[90] 1921년 카이로 회담과, 압둘라 1세와의 회담을 통해, 요르단강 동편은 트란스요르단 토후국으로서 압둘라 1세가 통치하고, 서편은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으로서 영국이 통치하며, 요르단강이 둘 사이의 국경이 되었다.
이 시점 이후부터 요르단강의 동편과 서편은 서로 다른 지역이라는 인식이 생겨났다. 대표적으로, 1929년 제에브 자보틴스키가 지은 시 '요르단강의 동안'(שמאל הירדן|샤말 하야르덴he)에서는 요르단강이 대이스라엘의 중심지가 되야 한다며, "요르단강의 양편 / 이는 우리 것이며, 저것도 우리 것이다"라는 후렴을 반복한다.[91]
3. 3.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제1차 중동 전쟁)
1926년 표트르 루텐베르크는 요르단강을 따라 수력 발전소를 건설하는 70년 짜리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건설된 제1 요르단 수력 발전소는 요르단강과 야르무크강이 합류하는 나하라임(평화의 섬)에 위치했다. 나하라임 발전소는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과 트란스요르단 토후국에 전기를 공급하였으며, 1948년 전쟁 전까지 가동되었다.[91]
제1차 중동 전쟁 발발 이전에 1947년 유엔 팔레스타인 분할안에 따르면 요르단계곡 서부의 북쪽은 유대인 국가로, 남쪽은 아랍인 국가로 배정되었다. 그러나 분할안이 나온 직후 1947~1948년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내전이 발발하여 유대인과 아랍인 간 무력 분쟁이 시작되었다. 요르단계곡에 있던 유대인 정착촌은 아랍인 공동체에 비해 수가 적고, 분산되어 있었으며, 나사렛에서 오는 적은 지원 물자에 의존하고 있었다. 1948년 3월 하가나가 요르단계곡 북쪽 끝에 위치한 티베리아스 사마크를 점령하였으며,[92] 티베리아스에 거주하던 아랍인 6,000명 가량은 이어진 충돌로 인해 4월 18일 영국의 군사 보호를 받기 위해 탈출하였다.[93] 1948년 4월 벌어진 미시마르 하에멕 전투에서, 유대 군단은 요르단계곡 요충지에 위치한 유대인 정착촌 방어에 성공하였으며, 포위하던 아랍 군단은 반격을 받고 생포되었다. 요르단계곡으로 들어가는 보급선은 갈릴래아에 거주하는 드루즈와 협정을 맺으며 확대되었고, 이프타흐 작전을 통해 제파트를 지나는 보급선도 새로 열렸다.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발발 직전인 1948년 4월 27일~29일, 아랍 군단은 나하라임, 텔오르, 게셰르를 폭격했으며, 요르단 신분증이 없는 발전소 직원들은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으로 대피하였다. 5월 15일에는 아랍 국가의 본격적인 공격이 시작되었으며, 이 중 이라크 군단은 게셰르를 점령하기 위해 나하라임을 침공했으나 실패하였다. 이스라엘은 이라크 기갑대가 요르단계곡 내의 유대인 정착촌을 파괴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데가니아댐을 개방하여 요르단강의 수심을 깊게 만들었다.[94] 1948년 5월 20일, 트란스요르단 군주 압둘라 1세와의 합의에 실패한 후, 아랍 공동체 사이에 갇혀 있는 사해 북부의 베이트 하아라바 및 칼야 정착촌은 버려졌으며, 해당 정착촌의 주민들은 배를 타고 사해를 건너 소돔에 있는 이스라엘 초소까지 대피하였다.[95]
이와 동시에, 1948년 5월 14일 시리아군은 키나로트 계곡 전투에서 시리아와 위임통치령 사이의 국경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시리아군은 갈릴래아호 동부와 남부를 점령했으며, 주변 정착촌과 요새 점령을 시도했다. 초기에는 저항에 막혔으나,[96] 5월 18일 기갑 차량과 전투기를 동원해 티베리아스 사마크를 점령하고,[97] 버려진 샤아르 하골란 정착촌에 입성하였다.[96] 5월 21일 시리아군은 요르단계곡 북부의 데가니아 알레프 키부츠에서 화염병, 수류탄, PIAT로 무장한 민병대를 만나 진격을 멈췄으며, 다음 날에는 나폴레옹치크 산포 4대의 공격을 받고 산지에서 후퇴하였다.[98] 며칠 후 데가니아 알레프에서 시리아군이 대규모 패배를 겪자, 베이트셰안에 거주하던 아랍인 다수는 요르단강을 건너 탈출하였다.[99]
1948년 7월 8일 제1차 휴전이 종료되고 1948년 7월 18일 제2차 휴전이 시작될 때까지, 이스라엘군은 데켈 작전을 통해 하이파만부터 갈릴래아호까지 이어지는 갈릴래아 남부를 전부 점령했으며, 이를 통해 요르단계곡 북부에 있는 유대인 정착촌에 보급품이 전달되었다.
전쟁 기간 동안 요르단 아랍 군단도 요르단강을 건너, 현재의 서안 지구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작전을 진행했다.
1948년 7월 18일 제2차 휴전이 개시된 후, 1949년 4월 3일 요르단과의 휴전 조약이 체결될 때까지, 요르단계곡에서의 대규모 군사 작전은 없었으며, 전선은 변동 없이 고착되어 있었다. 휴전 체결 시를 기준으로, 이스라엘이 통제하는 요르단계곡 주변 영토는 유대인 국가가 분할 계획에서 할양받은 영토와 거의 비슷했다. 요르단 측에 있던 이스라엘 정착촌은 버려졌으며, 1948년 팔레스타인인 탈출로 인해 아랍 인구 대다수가 아랍 정착촌을 탈출했다.
종전 후 서안 지구에는 팔레스타인 국가가 성립되지 않았으며, 요르단의 서안 지구 합병을 통해, 요르단이 요르단계곡 양 편을 모두 통치하였다.
3. 4. 수자원 전쟁 (1953년 ~ 1967년)
1953년부터 1955년까지, 에릭 존스턴 미국 대사의 주도로,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 구호 사업 기구의 초안을 바탕으로 요르단계곡 수자원을 합동으로 개발하자는 내용의 요르단계곡 통합 물 계획이 제안되었다. 이 계획은 하안지대 국가인 이스라엘,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가 승인하였다.[100] 아랍 연맹은 계획을 거부하였으나, 이스라엘과 요르단은 계획에 따른 개발을 진행했다. 미국은 통합 계획을 준수할 것이라는 확약을 받아낸 후, 이스라엘의 국가 수로와,[101] 요르단의 고르 동부 운하 건설비를 지원하였다.[102]
1964년 이스라엘 국가 수로가 완공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데가니아댐의 방류량을 줄여, 갈릴래아호에서 요르단계곡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대폭 감소하였다. 요르단 측에서도 1961년부터 1966년에 걸쳐 압둘라 왕 운하를 건설하였으며, 마찬가지로 요르단강의 흐름 상당수를 분산시켰다.
담수 활용을 통한 이점이 증가하였지만, 이러한 프로젝트의 건설 및 운영으로 인해 요르단계곡을 흐르는 물의 양이 크게 감소하였다. 요르단강을 통해 사해로 흘러들어가는 물의 양은 연간 130억 세제곱미터에서 2010년 기준 2000만 세제곱미터로 줄어들었다.[103]
이스라엘 국가 수로 건설을 거부했던 아랍 연맹은 1964년 자체적으로 요르단강 발원지 3개 중 2개의 흐름을 돌리는 상류수 우회 계획을 채택하였으며, 1967년 4월 이스라엘은 상류수 우회 계획 시설에 공습을 가했다. 이는 제3차 중동 전쟁의 발발 원인 중 하나이기도 하다.
3. 5. 제3차 중동 전쟁 (6일 전쟁, 1967년)
1967년 6월 5일 제3차 중동 전쟁이 발발했을 때, 이스라엘과 요르단 사이의 교전은 요르단계곡, 특히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치열한 전투 끝에 6월 7일 예루살렘 전체를 이스라엘이 점령하였으며, 이스라엘군은 공병을 동원해 계곡에 있는 알렌비 다리, 압둘라 국왕 다리, 다미아 다리를 폭파하였다.
요르단강 반대편으로의 보급이 어려워져 전선이 급속히 붕괴하자, 요르단군은 강 반대편으로 철수하였으며,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를 특별한 저항 없이 점령하였다. 철수한 요르단군은 요르단강 동편에서 참호를 파고 방어 체제를 취했으며, 이스라엘이 위임통치령 영토 바깥까지 진격하지 않고자 하는 의사와, 미국의 외교적 압력과, 다른 전선의 증원 요청으로 인해, 요르단강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상태에서 종전을 맞이했다.
3. 6. 1967년 팔레스타인 난민 탈출
1967년 팔레스타인인 탈출 당시, 요르단 시민권을 가진 팔레스타인인 대다수는 서안 지구에서 요르단으로 탈출했으며, 일부는 강제로 쫓겨나기도 했다. 아카바트 자베르(30,000명)[104]와 에인 아스술탄(20,000명)[105] 난민 수용소 주민들도 대피했다. 알지프리크에서는 이스라엘군이 주택 800여 채를 불태우고 주민 6천 명 가량에게 떠나라고 명령했지만, 대다수는 이후 마을로 돌아왔다.[106] 요르단계곡에서는 특히 인구 감소가 심했다. 일부 추정치에 따르면, 요르단계곡 예리코의 인구는 1967년 5월 79,407명에서 9월 10,800명으로 83%나 감소했는데, 이는 서안 지구 평균 감소율인 23%(850,343명에서 661,757명)에 비해 매우 큰 수치이다.[107]
3. 7. 요르단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간의 충돌 (검은 9월, 1967년 ~ 1971년)
1967년 6일 전쟁 이후,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와 파타는 요르단계곡의 카라메흐 마을을 거점으로 삼아 이스라엘에 대한 유격전을 강화했다.[108] 이에 이스라엘은 1968년 3월 카라메흐 전투를 통해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본부를 공격했다.
요르단 내 팔레스타인 난민 수용소에서는 요르단 경찰의 공권력이 약화되었고,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전투원들은 공개적으로 무기를 휴대하고 검문소를 설치하며 '세금'을 걷으려 했다. 1968년 11월, 후세인 1세와 팔레스타인 단체 간에 7개항 합의가 체결되었으나, 이는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고, 요르단 정규군과 팔레스타인 전투원 간의 갈등은 심화되었다.
1970년 2월 암만에서 전투가 발생하여 약 300명이 사망했고, 같은 해 2월부터 7월까지의 분쟁으로 수천 명이 사망했다. 9월에는 후세인 1세 암살 미수 사건과 도슨스 비행장 납치 사건이 발생하자, 후세인 1세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군에 팔레스타인 무장 단체를 공격하여 추방할 것을 명령했다. 시리아는 팔레스타인 해방군을 통해 병력을 파견했으나, 요르단의 공습을 받고 후퇴했다. 10개월 간의 작전 끝에 후세인 1세는 요르단을 다시 장악했고, 야세르 아라파트 등 남은 무장 단체는 레바논 남부로 이동했다.
요르단계곡은 팔레스타인인 인구가 많고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시설도 많았기 때문에, 검은 9월 사건의 영향이 컸다. 한 조사에 따르면 요르단 측 요르단계곡의 인구는 63,000명에서 5,000명으로 감소했다.[109]
3. 8. 욤키푸르 전쟁 (1973년)
요르단은 친서방 계열로 분류되며, 3년 전 시리아에 의해 침공당했었으나, 1973년 요르단 정부는 전쟁 발발 후 다마스쿠스 수비에 가담하기 위해 기갑 사단을 파견했다. 이후 공개된 기밀 자료에 의하면, 이는 아랍 국가 내에서 후세인 1세의 입지를 보존하기 위한 형식적인 참여로, 이스라엘의 암묵적인 이해를 구했었다.[110]
요르단계곡 등 이스라엘과 요르단 사이의 전선은 전쟁 기간 내내 특별한 일 없이 고요하게 유지되었지만, 이스라엘과 요르단 모두 수비대를 증원하였다.
3. 9. 이스라엘의 정착촌 설치 (1967년 이후)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이스라엘 정부 요인 다수는 요르단계곡 서부를 이스라엘과 요르단 사이의 국경으로 취급하며, 이스라엘군을 계속 배치하고, 1967년 알론 계획과 같이, 합병하려는 의사를 내보이기도 했다.[111][112][113] 이스라엘의 요르단계곡 합병 시도는, 이스라엘 해안 평야의 면적이 좁고, 요르단계곡 자체에 의해 자연적인 방벽이 만들어지며, 아랍인 인구가 적어 이스라엘 인구 비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인구학적 관점과 관련되어 있다.
이스라엘은 총 3단계에 걸쳐 서안 지구 내 요르단계곡에 정착촌을 건설하였다.
# 1967 ~ 1970: 계곡을 따라가는 공도 제90호선을 따라 정착촌 5곳 건설.
# 1971 ~ 1974: 도로 서부에 정착촌 6곳 건설.
# 1975 ~ 1999: 정착촌 18곳 건설 및 기존 정착촌의 보강.
이스라엘은 동시에 요르단계곡 전체에서 활동하는 베두인 유목민들을 예리코 근처에서 영구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80][114]
3. 10. 오슬로 협정 (1994년)
1994년 가자-예리코 합의에 따라, 가자 지구와 예리코를 포함한 요르단계곡 남부의 행정권이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에게 이관되었다. 특히 예리코는 서안 지구와 분리되어 있고 이스라엘 본토와의 거리가 멀어 팔레스타인의 자치를 시작하기 적합한 장소로 여겨졌다.
오슬로 협정 등 후속 합의에 따라 나머지 서안 지구 영토도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에 넘어갔으나,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 내 구획 C의 통제권은 넘기지 않았다.[81]
1998년 예리코에 1.5억달러를 투자해 카지노 호텔이 건설되었으나,[115] 제2차 인티파다 발발 이후 폐업하였다.
3. 11. 1994년 이스라엘-요르단 평화 조약
1994년, 오슬로 협정의 연장선으로 이스라엘과 요르단은 평화 조약을 체결하였다. 평화 조약에서는 기존의 휴전선을 기반으로, 강의 흐름 변화와 역사적 주장을 고려하여 영토를 일부 조정하였으며, 수자원 공동 사용을 약속하며 물 분쟁을 끝냈다.[116]
이 조약은 요르단강과 야르무크강을 따라 두 강 가운데의 경계선을 양국 간의 국제 경계로 정의했다. 서안 지구와 관련하여, 부속서 I (a)는 "이 선은 1967년 이스라엘 군정 통제 하에 들어간 영토와 요르단 간의 행정 경계선이다. 이 선의 처리는 해당 영토의 지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라고 규정한다.[116]
3. 12. 1997년 평화의 섬 학살
나하라임 발전소가 있던 장소는 이후 평화의 섬으로 불렸으며, 요르단이 주권을 가졌지만 이스라엘 농부에게 땅을 임대해주는 형식을 취하고 있었다.[116]
1997년 3월 13일, 요르단군 상등병 아흐메드 다카므세가 평화의 섬을 방문 중이던 여학생들을 공격해, 7명이 죽고 6명이 다쳤다. 다카므세는 자신이 기도를 드리던 중 학생들이 휘파람을 불고 박수를 쳐 화가 났고 모욕받았다고 생각해 공격을 저질렀다고 말했다.[117][118]
사건 며칠 후인 3월 16일, 요르단 군주 후세인 1세는 공격에 대해 개인적으로 사과하였으며, 직접 이스라엘로 가 살해된 7명의 유대교 장례식에 참석해 유가족에게 유감을 표했다. 후세인 1세의 유가족 방문은 이스라엘과 요르단 양국에 실시간으로 중계되었으며, 방문 도중 후세인 1세는 이스라엘 총리 베냐민 네타냐후와 같이 희생자의 부모와 만나, 요르단 왕국을 대표해 사과하며, "우리 모두에게 유감인 범죄이다. 내 자식을 잃은 것 같이 느낀다."고 말했다.[119][120]
요르단 의료진은 공격자를 반사회성 인격장애로 진단하였으며, 군사 재판에서는 징역 20년이 선고되었다. 다카므세는 자신의 행위에 대해 자부심을 드러냈으며, 요르단 정치인 일부는 다카므세를 '영웅'으로 칭하기도 하였다. 2013년 요르단 의회에서 다카므세의 가석방을 촉구하는 청원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지만,[117][121] 결국 20년을 전부 복역하고 2017년 3월 12일에 석방되었다.[122]
3. 13. 2000년대 제2차 인티파다
제2차 인티파다 기간 예리코 지역에서 일부 충돌이 있기는 했지만, 양측 모두 요르단계곡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예리코에 있던 카지노는 인티파다 발발 직후 휴업하였으며, 이후 영업을 재개하지 않았다.[123]
2005년 3월 14일, 이스라엘은 하마스가 레하밤 제비를 살해한 용의자들을 석방하겠다는 발표를 하자, 살해자를 생포하기 위해 예리코에 있는 팔레스타인 감옥을 습격했다. 재소자들은 10시간 동안 물리적으로 저항했으나, 결국 항복하고 체포되었다. 이 사건으로 팔레스타인 전역에서 폭동과 외국인 납치가 이어졌다.[124] 보도에 따르면 지프 50대, 전차 3대, 무장 불도저가 예리코로 진입했으며, 상공에서는 헬리콥터 2대가 호위하고 있었다.[125]
3. 14. 서안 측의 이후 양상
제2차 인티파다 이후 팔레스타인 정부는 구획 C 등 사해 북부 요르단계곡으로 행정권 확장을 시도하였다. 팔레스타인은 서안 지구 전체와 요르단계곡이 팔레스타인에 속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27]
이스라엘의 지역제 및 건축 허가제 적용, 자연보전지역 지정, 예루살렘 동부와 요르단계곡, 헤브론 언덕 남쪽의 사격장 설치 등은 여러 인권 운동가와 단체가 중요하게 다루는 문제이다. 이스라엘 인권 단체 베첼렘은 이러한 이스라엘 정책이 요르단계곡을 실질적으로 합병하려는 목적이라고 지적한다.[81][128] 이스라엘 건축 허가를 받지 못한 베두인은 적십자,[129][130] 유럽연합,[131] 유엔 OCHA에서 건축 자재를 지원받기도 하였다.[132][133] 일부 이스라엘 정착민은 유럽연합 대사가 전략적 요충지에 베두인 주택 건설을 장려하여 '테러 국가를 설립'하려 한다고 주장한다.[134]
2019년 9월 10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2019년 9월 이스라엘 총선 당시 "요르단계곡과 사해 북부에 이스라엘 주권을 적용"하기 위해 요르단계곡을 합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35]
4. 인구 분포
요르단계곡의 인구는 크게 요르단인, 팔레스타인인, 이스라엘인으로 구성된다.
- 요르단인: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전에는 약 6만 명이 거주하였으나, 전쟁과 검은 9월 사건을 거치며 5천 명 가량으로 감소하였다. 이후 요르단 정부의 투자로 1979년에는 8만 5천 명까지 증가하였다. 요르단계곡 내 요르단인 농장의 80% 이상은 가족 단위이며, 면적은 3ha를 넘지 않는다.[78]
- 팔레스타인인: 팔레스타인 해방기구는 1967년 이전에 요르단계곡 서쪽에 약 25만 명이 살았다고 추정하였으나,[79] 2009년에는 약 5만 8천 명으로 감소하였고, 대부분 예리코 주변에 밀집해 있다. 이스라엘 통치 하의 구획 C에는 약 1만 명의 팔레스타인인이 거주하며, 이 중 2,700명 가량은 베두인 공동체에서 생활한다.[80] 1994년 가자-예리코 협정에 따라 예리코와 남부 계곡 주변 지역, 가자 지구가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에 인도되었다. 1998년에는 야세르 아라파트의 지원을 받아 1.5억달러 규모의 카지노 호텔이 예리코에 건설되었으나,[45] 제2차 인티파다 동안 폐쇄되었다.
- 이스라엘인: 1967년 국경 안쪽에 약 4만 1천 명이 거주하고 있다. 베트셰안에는 약 1만 7천 명, 에메크 하마야노트 지방 의회 소속 공동체에는 1만 2천 명, 에메크 하야르덴 지방 의회 소속 공동체에는 1만 2천 명이 거주한다. 요르단강 서안 지구 내에는 마알레 에프라임에 약 1,200명, 비카트 하야르덴 지방 의회 소속 공동체에 약 4,200명이 거주하고 있다.[81][82]
4. 1. 요르단인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전 요르단계곡의 요르단 측에는 약 6만 명이 살았으며, 주로 농업이나 유목업에 종사하였다.[77] 1967년 전쟁과 요르단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사이의 전쟁인 검은 9월을 거치며 거주하는 요르단인은 5천 명 가량으로 감소하였으나,[77] 이후 요르단 정부의 투자로 1979년 8만 5천 명까지 다시 증가하였다.[77] 요르단계곡에 있는 요르단인 농장 중 80% 이상은 가족 단위로, 면적이 3ha를 넘지 않는다.[78]4. 2. 팔레스타인인
과거 팔레스타인인의 인구 규모는 정확하지 않다. 팔레스타인 해방기구는 1967년 이전에 요르단계곡 서쪽에 살았던 팔레스타인인의 수가 약 25만 명이었다고 추정하였으며,[79] 2009년 기준으로는 약 5만 8천 명으로 감소하였고, 이들 대부분은 예리코 주변에 밀집해 있다. 이스라엘 통치 하의 구획 C에 거주하는 팔레스타인인은 약 1만 명이며, 이 중 2,700명 가량은 작은 베두인 공동체에서 생활한다.[80]예리코와 남부 계곡 주변 지역, 그리고 가자 지구는 1994년 가자-예리코 협정에 따라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에 인도된 최초의 영토였다. 서안 지구의 나머지 지역과 단절되어 있고 이스라엘 내륙에서 멀리 떨어진 예리코는 초기 팔레스타인 자치 통치의 적절한 장소로 여겨졌다.
이후 오슬로 협정에서 추가적인 서안 지구 영토가 인도되었지만, 이스라엘은 예리코를 둘러싼 구역 A 앙클레이브와 일부 작은 팔레스타인 정착촌 주변의 매우 작은 구역 B를 제외하고 이스라엘이 관리하는 구역 C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했다.[11]
1998년에는 야세르 아라파트의 지원을 받아 1.5억달러 규모의 카지노 호텔이 예리코에 건설되었다.[45] 이 카지노는 제2차 인티파다 동안 폐쇄되었다.
4. 3. 이스라엘인
1967년 국경 안쪽에서는 약 1만 7천 명이 베트셰안에, 1만 2천 명이 계곡 북쪽 에메크 하마야노트 지방 의회에 소속된 공동체 24개에, 1만 2천 명이 계곡 남쪽 에메크 하야르덴 지방 의회에 소속된 공동체 24개에 거주하고 있다.요르단강 서안 지구 내에서는 약 1,200명이 마알레 에프라임에, 4,200명이 비카트 하야르덴 지방 의회에 소속된 공동체 24개에 거주하고 있다.[81][82]
1967년 이전 경계 내에는 17,332명의 이스라엘인이 베이트셰안의 독립 자치구에 거주하고 있으며, 12,000명이 계곡에 위치한 밸리 오브 스프링스 지역 위원회의 24개 지역 사회에 거주하고 있다. 추가로 12,400명이 남쪽 절반이 계곡에 있는 에메크 하야르덴 지역 위원회의 22개 지역 사회에 거주하고 있다.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서는 이스라엘의 비카트 하야르덴 지역 위원회에 2014년 기준 총 4,200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21개의 정착촌이 있으며, 독립 자치구인 마알레 에프라임에는 2015년 기준 1,206명이 거주하고 있다.
5. 이스라엘의 요르단계곡 지방 의회
1930년대 말 요르단계곡의 키부츠들은 영국 위임통치령 당국과의 연락을 담당하는 지역 자치 기구인 구시 의회를 결성했다. 1940년대에는 키부츠 간의 경제적, 문화적, 안보 협력이 지속되었고, 지역 학교 시스템이 설립되었다. 1949년, 요르단계곡 지방 의회가 설립되어 이스라엘 전역의 지방 의회의 모델이 되었다.[67] 이 의회는 에메크 하야르덴 지방 의회라고 불리며, 1967년 이후 건설된 이스라엘 정착촌으로 구성된 비카트 하야르덴 지방 의회(동일 번역)와는 다르다. 비카트 하야르덴 정착촌은 1967년 이전 경계와 남쪽의 예리코 사이의 요르단강 서안 지구에 위치해 있다. 사해 인근의 정착촌은 메길로트 지역 의회에 속한다.
6. 생물의 이주
요르단계곡은 지중해와 메소포타미아를 잇는 레반트 회랑 지대의 일부로, 동물의 이주에 이용된다.
6. 1. 조류
현재 요르단계곡은 세계적인 조류의 이동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요르단계곡은 철새의 동방 이동 경로를 이루며, 이를 통해 조류 200종의 개체 5억 마리가 봄에는 아프리카에서 아시아나 유럽으로, 가을에는 다시 레반트나 아프리카로, 한 해에 두 번씩 이스라엘 상공을 지나간다.[83][84][85]요르단계곡 북부는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이 지정한 중요조류지역 2개로 나뉘어 있는데, 둘 사이의 경계는 요르단강을 따라가는 국경선으로서의 의미만 있으며, 요르단 측 지역의 면적은 6000ha, 이스라엘 측 지역의 면적은 7000ha이다. 중요조류지역 지정 시 등록된 조류는 다음과 같다.[86][87]
6. 2. 인류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구석기 시대와 중석기 시대에 원시 인류가 아프리카 바깥으로 나올 때 요르단계곡을 이용하였다.[88]요르단 계곡은 레반트 회랑의 일부이며, 과거 인류의 발달을 포함하여 동물 이동의 경로를 구성한다.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구석기 시대와 중석기 시대 동안 요르단 계곡이 일부인 레반트 회랑은 아프리카 밖 초기 호미닌 확장에서 아프리카와 유라시아 사이의 양방향 인간 이주에 아프리카의 뿔보다 더 중요했다.[13]
7. 농업
요르단계곡은 주변 지역보다 평균 기온이 높고, 토양이 비옥하며, 물 공급이 쉽고, 연중 내내 농사에 적합한 기후가 유지되어 약 1만 년 전부터 농업이 이루어졌다. 기원전 3000년 경에는 요르단계곡의 농작물이 다른 지역으로 수출될 정도였다.[76] 요르단계곡의 비옥한 토지는 구약성경에 언급되어 있다.[76]
최신 농업 기술 보급으로 요르단계곡의 농업 생산량은 급증하였다. 1950년대 요르단계곡의 요르단강 동안을 따라 흐르는 압둘라 1세 운하 건설 후 농업용수가 닿는 면적이 늘어났으며, 이동식 온실 도입 후에는 생산량이 약 7배 가량 늘어 요르단이 연중 내내 농작물을 대량으로 수출할 수 있게 되었다.[76]
농업 컨설턴트 사미르 무아디는 이스라엘 민정청이 팔레스타인 농민들이 생산품을 이스라엘 내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품질을 보장해주고, 최신 농업법에 대한 세미나를 열어 농민들에게 국제적 발명품을 소개해주고 있다고 적었다.[137] 반면 기데온 레비는 이스라엘 정부가 '유물 보존'을 이유로 팔레스타인인의 수도 및 전기 접근 차단, 올리브 나무 벌목, 태양광판, 도로, 수로 철거 등을 행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138]
8. 종교적 관점
구약성경에는 여호수아가 이끄는 이스라엘 민족이 법궤와 함께 길갈에서 요르단강을 건널 때 강이 마르는 기적이 나타났다고 기록되어 있다.[139] 유대교에서는 이 날을 욤 하알리야(יום העלייה|욤 하알리야he)로 부르며 기린다.
기독교에서는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세례를 베푼 곳으로 요르단강을 신성시한다.[76]
8. 1. 순례 및 관광
예수는 세례를 받은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장소는 여러 시대에 걸쳐 많은 순례자들이 거쳐 갔다. 현재 예수의 세례와 관련한 유적은 3곳이 있다.요르단에 있는 알마그타스가 역사적으로 제일 오래되었으며, 고고학적으로 기독교 초기의 흔적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강 반대편 서안 지구에는 중세의 흔적이 남아 있는 카스르 알야후드 유적이 있다. 양쪽 모두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과 2000년대 제1차 및 제2차 인티파다로 인해 관광객이 접근할 수 없었지만, 알마그타스는 2000년, 카스르 알야후드는 2010년 다시 개방되었다. 1981년에는 더 북쪽 이스라엘 측에 야르데닛 지역이 새로 개방되었다.
참조
[1]
논문
The East Jordan Valley Survey, 1975
[2]
서적
The Jordan Valley during the Early Bronze Age
https://openaccess.l[...]
Leiden University Press
2015-03-19
[3]
간행물
Sources of water salinities in the Jordan Valley Area/Jordan
http://ocw.atica.um.[...]
[4]
뉴스
'Israel: Settlement Agriculture Harms Palestinian Children,'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5-04-13
[5]
뉴스
'Ripe for Abuse:Palestinian Child Labor in Israeli Agricultural Settlements in the West Bank,'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5-04-13
[6]
웹사이트
Touristic Sites: The Jordan Valley
https://web.archive.[...]
The Hashemite Kingdom of Jordan
2007-07-10
[7]
웹사이트
Jordan
http://www.country-d[...]
Country Data
2007-07-10
[8]
웹사이트
High tech may water Jordan Valley, but dry up family farming
https://web.archive.[...]
2000-08-31
[9]
문서
Settling area C: the Jordan Valley Exposed
https://www.alhaq.or[...]
Al haq
[10]
문서
Background on the Jordan Valley
B'Tselem
2011-05
[11]
웹사이트
Israel has de facto annexed the Jordan Valley
https://web.archive.[...]
2006-02-13
[12]
문서
Americans for Peace Now report on Jordan Valley settlements and related issues
http://peacenow.org/[...]
2008-08-07
[13]
논문
The Levant versus the Horn of Africa: Evidence for Bidirectional Corridors of Human Migrations
[14]
논문
Routes of migrating soaring birds
https://www.tau.ac.i[...]
2020-01-17
[15]
문서
The Jordan River Valley: A Vital Migratory Flyway
http://ecopeaceme.or[...]
Friends of the Earth Middle East
2020-01-17
[16]
웹사이트
Birds on the wing over Israel
https://mfa.gov.il/M[...]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1-01-30
[17]
웹사이트
Northern Jordan Valley (North Ghor)
http://datazone.bird[...]
BirdLife International
2021-02-24
[18]
웹사이트
Northern lower Jordan valley
http://datazone.bird[...]
BirdLife International
2021-02-24
[19]
서적
The Survey of Western Palestine: Memoirs of the Topography, Orography, Hydrography, and Archaeology
http://archive.org/d[...]
Committee of the Palestine Exploration Fund
1881–1883
[20]
서적
Empires of the Sand: The Struggle for Mastery in the Middle East, 1789–1923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01-01
[21]
문서
The East Bank of the Jordan
https://web.archive.[...]
ZFA website
[22]
웹사이트
Welcome to Samakh
http://www.palestine[...]
Palestine Remembered
2007-12-04
[23]
문서
Jerusalem Embattled – A diary of a city under siege.
Cassel
[24]
뉴스
The Power Plant on Two Rivers
http://www.mfa.gov.i[...]
2009-09-03
[25]
서적
Carta's Atlas of Israel – The First Years 1948–1961
Carta
[26]
문서
Morris,2008, pp. 236, 237, 247, 253, 254
[27]
문서
Pollack 2002, pp. 448–57
[28]
서적
Elusive Victory: The Arab–Israeli Wars, 1947–1974
https://archive.org/[...]
Military Book Club
[29]
문서
WPN Tyler, State lands and rural development in mandatory Palestine, 1920–1948, p. 79
[30]
서적
Rivers of Discord: International Water Disputes in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31]
서적
Cooperating Rivals: The Riparian Politics of the Jordan River Basin
https://books.google[...]
SUNY Press
[32]
문서
Water Resources in Jordan
RFF Press
[33]
웹사이트
Jordan River could die by 2011: report
http://www.physorg.c[...]
2017-01-16
[34]
문서
Aqabat Jabr
https://web.archive.[...]
UNRWA
2005-03-01
[35]
서적
Palestinians in the Arab World: Institution Building and the Search for State
Columbia University Press
[36]
서적
The Palestinian Exodus, 1948–1998
University of London, Centre of Islamic and Middle Eastern Law. Garnet & Ithaca Press
[37]
간행물
Population and Demographic Developments in The West Bank and Gaza Strip until 1990
http://unctad.org/en[...]
UNCTAD
1994-06
[38]
서적
Encyclopedia of the Arab-Israeli Conflict, The: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05-05-12
[39]
서적
US Assistance, Development, and Hierarchy in the Middle East: Aid for Allies
https://books.google[...]
[40]
뉴스
Jordan and Israel cooperated during Yom Kippur War, documents reveal
http://www.haaretz.c[...]
2013-09-12
[41]
간행물
The Jordan Valley is Israel’s Only Defensible Eastern Border
https://besacenter.o[...]
BESA Center Perspectives Paper No. 244
2014-04
[42]
서적
Israel in the Middle East: Documents and Readings on Society, Politics, and Foreign Relations, Pre-1948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UPNE
[43]
뉴스
More than the two-state solution: The many possible paths to peace
http://www.jpost.com[...]
2019-11-23
[44]
학술지
Planned Bedouin settlement in Israel— a critique
[45]
웹사이트
Walls going up in Jericho - construction of casino-hotel. Palestinians, Israelis have role in project
https://www.baltimor[...]
1998-07-26
[46]
웹사이트
Annex I
https://www.jewishvi[...]
[47]
뉴스
Jordan MPs: Free man who killed 7 Israeli girls
http://www.jpost.com[...]
2013-04-12
[48]
서적
Israel, the Hashemites, and the Palestinians: the fateful triangl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1-02-15
[49]
뉴스
With condolence visit to Israel, King Hussein spurs talks
http://www.cnn.com/W[...]
CNN
2011-02-22
[50]
뉴스
A Time to Mourn: King Hussein Comforts Israelis
https://www.nytimes.[...]
2011-02-22
[51]
뉴스
House majority call for release of ex-Jordanian soldier
http://en.ammonnews.[...]
Ammon News
2013-04-04
[52]
뉴스
Jordan Frees Soldier Who Killed 7 Israeli Schoolgirls in '97 Rampage
https://www.nytimes.[...]
2018-02-20
[53]
뉴스
HAMAS TO BAR JERICHO CASINO REOPENING
http://www.jpost.com[...]
Jerusalem Post
2006-02-19
[54]
뉴스
A sudden exit, a jail is stormed – and Israel's long wait is over
https://www.theguard[...]
2009-03-21
[55]
뉴스
West Bank jail raid sparks chaos
http://news.bbc.co.u[...]
BBC
2009-03-21
[56]
뉴스
Arab nations condemn Netanyahu's Jordan Valley annexation plan
https://www.bbc.com/[...]
BBC News
2019-09-11
[57]
뉴스
Abbas rejects Israeli claim to Jordan Valley
http://www.timesofis[...]
Times of Israel
2013-09
[58]
서적
Palestinian Politics after Arafat: A Failed National Movemen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0-01-26
[59]
웹사이트
West Bank: enduring the restrictions in the Jordan Valley
https://www.icrc.org[...]
2011-01-26
[60]
뉴스
'Red Cross stops providing emergency tents to Palestinians in Jordan Valley,'
http://www.haaretz.c[...]
2014-02-06
[61]
뉴스
Israeli demolitions leave West Bank Bedouin, U.N. alarmed
https://www.reuters.[...]
Reuters
2016-03
[62]
뉴스
Bedouin vow to stay in contested Jordan Valley
http://www.timesofis[...]
Times of Israel
2014-04
[63]
간행물
HUMANITARIAN FACT SHEET ON THE JORDAN VALLEY AND DEAD SEA AREA
https://web.archive.[...]
UN OHCA
2012-02
[64]
뉴스
Settler group accuses EU envoy of supporting ‘terror state’
http://www.timesofis[...]
Times of Israel
2016-02
[65]
뉴스
Netanyahu pledges to annex occupied Jordan Valley
https://www.bbc.com/[...]
BBC News
2019-09-10
[66]
뉴스
Israel announces largest West Bank land seizure since 1993 during Blinken visit
https://www.washingt[...]
2024-03-22
[67]
웹사이트
The Jordan Valley
http://jafi.org/Jewi[...]
2015-03-21
[68]
뉴스
'A Short Drive From Tel Aviv, Hundreds Live Without Power or Water ,'
https://www.haaretz.[...]
19 August
[69]
뉴스
Joining forces on agriculture
https://www.ynetnews[...]
Ynet
2011-06-03
[70]
웹사이트
ヨルダン渓谷(Kotobank)
https://kotobank.jp/[...]
[71]
저널
The East Jordan Valley Survey, 1975
[72]
서적
The Jordan Valley during the Early Bronze Age
https://openaccess.l[...]
Leiden University Press
2015-03-19
[73]
간행물
Sources of water salinities in the Jordan Valley Area/Jordan
[74]
뉴스
'Israel: Settlement Agriculture Harms Palestinian Children,'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5-04-13
[75]
간행물
'Ripe for Abuse:Palestinian Child Labor in Israeli Agricultural Settlements in the West Bank,'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5-04-13
[76]
웹인용
Touristic Sites: The Jordan Valley
http://www.kinghusse[...]
The Hashemite Kingdom of Jordan
2007-07-10
[77]
웹인용
Jordan
http://www.country-d[...]
Country Data
2007-07-10
[78]
웹인용
High tech may water Jordan Valley, but dry up family farming
http://www.jordanemb[...]
2000-08-31
[79]
간행물
Settling area C: the Jordan Valley Exposed
https://www.alhaq.or[...]
Al haq
[80]
간행물
Background on the Jordan Valley
B'Tselem
2011-05
[81]
웹인용
Israel has de facto annexed the Jordan Valley
http://www.btselem.o[...]
2007-07-05
[82]
간행물
Americans for Peace Now report on Jordan Valley settlements and related issues
http://peacenow.org/[...]
2008-08-07
[83]
저널
Routes of migrating soaring birds
https://www.tau.ac.i[...]
2020-01-17
[84]
간행물
The Jordan River Valley: A Vital Migratory Flyway
http://ecopeaceme.or[...]
Friends of the Earth Middle East
2020-01-17
[85]
웹인용
Birds on the wing over Israel
https://mfa.gov.il/M[...]
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0-01-17
[86]
웹인용
Northern Jordan Valley (North Ghor)
http://datazone.bird[...]
BirdLife International
2021-02-24
[87]
웹인용
Northern lower Jordan valley
http://datazone.bird[...]
BirdLife International
2021-02-24
[88]
간행물
The Levant versus the Horn of Africa: Evidence for Bidirectional Corridors of Human Migrations
http://hpgl.stanford[...]
[89]
서적
The Survey of Western Palestine: Memoirs of the Topography, Orography, Hydrography, and Archaeology
http://archive.org/d[...]
Committee of the Palestine Exploration Fund
1881–1883
[90]
서적
Empires of the Sand: The Struggle for Mastery in the Middle East, 1789–1923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01-01
[91]
웹사이트
The East Bank of the Jordan
https://web.archive.[...]
ZFA website
[92]
웹인용
Welcome to Samakh
http://www.palestine[...]
Palestine Remembered
2007-12-04
[93]
서적
Jerusalem Embattled – A diary of a city under siege.
Cassel
[94]
뉴스
The Power Plant on Two Rivers
http://www.mfa.gov.i[...]
2009-09-03
[95]
서적
Carta's Atlas of Israel – The First Years 1948–1961
Carta
[96]
문서
Morris,2008, pp. 236, 237, 247, 253, 254
[97]
문서
Pollack 2002, pp. 448–57
[98]
서적
Elusive Victory: The Arab–Israeli Wars, 1947–1974
https://archive.org/[...]
Military Book Club
[99]
문서
WPN Tyler, State lands and rural development in mandatory Palestine, 1920–1948, p. 79
[100]
서적
Rivers of Discord: International Water Disputes in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101]
서적
Cooperating Rivals: The Riparian Politics of the Jordan River Basin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02]
서적
Water Resources in Jordan
RFF Press
[103]
웹인용
Jordan River could die by 2011: report
http://www.physorg.c[...]
2017-01-16
[104]
웹사이트
Aqabat Jabr
https://web.archive.[...]
UNRWA
2005-03-01
[105]
서적
Palestinians in the Arab World: Institution Building and the Search for State
Columbia University Press
[106]
서적
The Palestinian Exodus, 1948–1998
University of London, Centre of Islamic and Middle Eastern Law. Garnet & Ithaca Press
[107]
간행물
Population and Demographic Developments in The West Bank and Gaza Strip until 1990
http://unctad.org/en[...]
UNCTAD
1994-06
[108]
서적
Encyclopedia of the Arab-Israeli Conflict, The: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05-05-12
[109]
서적
US Assistance, Development, and Hierarchy in the Middle East: Aid for Allies
https://books.google[...]
[110]
뉴스
Jordan and Israel cooperated during Yom Kippur War, documents reveal
http://www.haaretz.c[...]
2013-09-12
[111]
간행물
The Jordan Valley is Israel’s Only Defensible Eastern Border
https://besacenter.o[...]
BESA Center Perspectives Paper No. 244
2014-04
[112]
서적
Israel in the Middle East: Documents and Readings on Society, Politics, and Foreign Relations, Pre-1948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UPNE
[113]
뉴스
More than the two-state solution: The many possible paths to peace
http://www.jpost.com[...]
2019-11-23
[114]
저널
Planned Bedouin settlement in Israel— a critique
[115]
웹인용
Walls going up in Jericho - construction of casino-hotel. Palestinians, Israelis have role in project
https://www.baltimor[...]
1998-07-26
[116]
웹사이트
Annex I
https://www.jewishvi[...]
[117]
뉴스
Jordan MPs: Free man who killed 7 Israeli girls
http://www.jpost.com[...]
2013-04-12
[118]
서적
Israel, the Hashemites, and the Palestinians: the fateful triangl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1-02-15
[119]
뉴스
With condolence visit to Israel, King Hussein spurs talks
http://www.cnn.com/W[...]
CNN
2011-02-22
[120]
뉴스
A Time to Mourn: King Hussein Comforts Israelis
https://www.nytimes.[...]
2011-02-22
[121]
뉴스
House majority call for release of ex-Jordanian soldier
http://en.ammonnews.[...]
Ammon News
2013-04-04
[122]
뉴스
Jordan Frees Soldier Who Killed 7 Israeli Schoolgirls in '97 Rampage
https://www.nytimes.[...]
2018-02-20
[123]
뉴스
HAMAS TO BAR JERICHO CASINO REOPENING
http://www.jpost.com[...]
Jerusalem Post
2006-02-19
[124]
뉴스
A sudden exit, a jail is stormed – and Israel's long wait is over
https://www.theguard[...]
2009-03-21
[125]
뉴스
West Bank jail raid sparks chaos
http://news.bbc.co.u[...]
BBC
2009-03-21
[126]
뉴스
Arab nations condemn Netanyahu's Jordan Valley annexation plan
https://www.bbc.com/[...]
BBC News
2019-09-11
[127]
웹사이트
Abbas rejects Israeli claim to Jordan Valley
http://www.timesofis[...]
Times of Israel
2013-09
[128]
서적
Palestinian Politics after Arafat: A Failed National Movemen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0-01-26
[129]
웹인용
West Bank: enduring the restrictions in the Jordan Valley
https://www.icrc.org[...]
2011-01-26
[130]
뉴스
'Red Cross stops providing emergency tents to Palestinians in Jordan Valley,'
http://www.haaretz.c[...]
2014-02-06
[131]
웹사이트
Israeli demolitions leave West Bank Bedouin, U.N. alarmed
https://www.reuters.[...]
Reuters
2016-03
[132]
웹사이트
Bedouin vow to stay in contested Jordan Valley
http://www.timesofis[...]
Times of Israel
2014-04
[133]
간행물
HUMANITARIAN FACT SHEET ON THE JORDAN VALLEY AND DEAD SEA AREA
https://www.ochaopt.[...]
UN OHCA
2012-02
[134]
웹사이트
Settler group accuses EU envoy of supporting ‘terror state’
http://www.timesofis[...]
Times of Israel
2016-02
[135]
뉴스
Netanyahu pledges to annex occupied Jordan Valley
https://www.bbc.com/[...]
BBC News
2019-09-10
[136]
웹인용
The Jordan Valley
http://jafi.org/Jewi[...]
2023-11-14
[137]
뉴스
Joining forces on agriculture
https://www.ynetnews[...]
Ynet
2011-06-03
[138]
뉴스
'A Short Drive From Tel Aviv, Hundreds Live Without Power or Water ,'
https://www.haaretz.[...]
19 August
[139]
성경
Joshua 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