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전국체육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1년 전국체육대회는 2011년 10월 6일부터 10월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에서 개최된 대한민국의 전국 규모 체육 대회이다. "꿈을 안고 경기로! 손을 잡고 세계로!"를 구호로, 46개의 정식 종목과 3개의 시범 종목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총 18,840명의 선수단이 참가했다. 대회에서는 다수의 한국 신기록이 수립되었고, 개최지인 경기도가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최우수 선수상은 역도 선수 사재혁에게 돌아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2011년 올아프리카 게임
 2011년 올아프리카 게임은 모잠비크 마푸토에서 개최된 10번째 전아프리카 게임으로, 아프리카 여러 국가가 참가하여 20개 종목의 경기가 진행되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메달 순위 1위를 기록했다.
- 2011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2011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2011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는 인도네시아에서 개최된 동남아시아 국가 간의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로, 팔렘방과 자카르타를 중심으로 44개 종목 545개 세부 종목에 걸쳐 진행되었으나, 숙소 부족, 교통 문제 등 조직적인 어려움과 일부 판정 논란이 있었다.
- 연도별 전국체육대회 - 2000년 전국체육대회
 2000년 전국체육대회는 "새천년, 새출발, 한민족 힘찬 도약"이라는 구호 아래 부산광역시에서 개최된 제81회 대회로, 21,887명의 선수단이 참가하여 경기도가 종합 우승을 차지했으며, '부비'를 마스코트로 활용하고 소프트볼과 트라이애슬론이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연도별 전국체육대회 - 2003년 전국체육대회
 2003년 전국체육대회는 "굳센 체력, 알찬 단결, 빛나는 전진"이라는 구호 아래 전라북도에서 개최되어 일반부, 대학부, 고등부의 22,330명이 참가한 가운데 다양한 종목이 진행되었으며 경기도가 종합 우승, 허희선이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했다.
- 2011년 대한민국 - 한진중공업 사태
 한진중공업 사태는 2010년 12월, 400명 규모의 정리해고 발표로 시작되어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고, 노동자 권익 보호와 관련된 전국적인 논의를 촉발한 사건이다.
- 2011년 대한민국 - 아덴만 여명 작전
 아덴만 여명 작전은 2011년 1월 대한민국 해군 특수전여단이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삼호 주얼리호 선원 21명을 구출하는 과정에서 교전 끝에 해적 사살 및 생포에 성공했으나, 석해균 선장이 중상을 입었고 엠바고 위반, 부상 경위 의혹, 과도한 홍보 논란 등이 있었다.
| 2011년 전국체육대회 | |
|---|---|
| 대회 정보 | |
| 연도 | 2011 | 
| 종류 | 하계 | 
| 대회 | 제92회 전국체육대회 | 
| 개최 도시 | 경기도 | 
| 모토 | 꿈을 안고 경기로! 손을 잡고 세계로! | 
| 참가 선수단 | 16 | 
| 참가 선수 | 18,840 | 
| 종목 | 45 | 
| 개막 및 폐막 | |
| 개막식 | 2011년 10월 6일 | 
| 폐막식 | 2011년 10월 12일 | 
| 개회 선언 | 최광식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 
| 폐회 선언 | 김상곤 경기도 교육감 | 
| 선수 선서 | 박민규(수영), 문유라(역도) | 
| 심판 선서 | 김선필(육상) | 
| 성화 점화 | 장미란, 김국영 | 
| 주 경기장 | 고양종합운동장 | 
2. 대회 개요
| 구분 | 내용 | 
|---|---|
| 대회 명칭 | 제92회 전국체육대회 | 
| 개최 기간 | 2011년 10월 6일 ~ 10월 12일 | 
| 개최지 | 경기도 (주개최지 : 고양시) | 
| 구호 | 꿈을 안고 경기로! 손을 잡고 세계로! | 
| 참가 인원 | 18,840명 | 
| 종별 | 일반부, 대학부, 고등부 | 
| 마스코트 | 꿈이와 손이 | 
2. 1. 기본 정보
2011년 10월 6일부터 10월 12일까지 경기도(주개최지: 고양시)에서 제92회 전국체육대회가 개최되었다. 대회 구호는 '꿈을 안고 경기로! 손을 잡고 세계로!'였다. 참가 인원은 18,840명이었으며, 일반부, 대학부, 고등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대회 마스코트는 '꿈이와 손이'였다.| 구분 | 내용 | 
|---|---|
| 대회 명칭 | 제92회 전국체육대회 | 
| 개최 기간 | 2011년 10월 6일 ~ 10월 12일 | 
| 개최지 | 경기도 (주개최지 : 고양시) | 
| 구호 | 꿈을 안고 경기로! 손을 잡고 세계로! | 
| 참가 인원 | 18,840명 | 
| 종별 | 일반부, 대학부, 고등부 | 
| 마스코트 | 꿈이와 손이 | 
2. 2. 정식 종목
| 종목 | 세부 종목 | 
|---|---|
| 검도 | |
| 골프 | |
| 궁도 | |
| 근대5종 | |
| 농구 | |
| 당구 | |
| 럭비 | |
| 레슬링 | |
| 롤러 | |
| 배구 | |
| 배드민턴 | |
| 보디빌딩 | |
| 복싱 | |
| 볼링 | |
| 사격 | |
| 사이클 | |
| 세팍타크로 | |
| 소프트볼 | |
| 수영 | 경영, 다이빙, 수구 | 
| 스쿼시 | |
| 승마 | |
| 씨름 | |
| 야구 | |
| 양궁 | |
| 역도 | |
| 요트 | |
| 우슈 | |
| 유도 | |
| 육상 | |
| 정구 | |
| 조정 | |
| 체조 | |
| 축구 | |
| 카누 | |
| 탁구 | |
| 태권도 | |
| 테니스 | |
| 트라이애슬론 | |
| 펜싱 | |
| 핀수영 | |
| 하키 | |
| 핸드볼 | 
2. 3. 시범 종목
3. 대한민국 신기록
2011년 전국체육대회 기간 동안 역도, 수영, 인라인 롤러 스케이팅, 핀수영 종목에서 대한민국 신기록이 수립되었다.
| 종목 | 세부 종목 | 부문 | 기록 | 선수 | 소속 | 
|---|---|---|---|---|---|
| 역도 | 남자 77kg급 인상 | 일반부 | 165kg | 사재혁 | 강원도 | 
| 역도 | 남자 94kg급 합계 | 일반부 | 393kg | 김민재 | 경상북도 | 
| 수영 | 여자 자유형 400m | 일반부 | 4분 14초 23 | 백일주 | 전라북도 | 
| 수영 | 여자 배영 200m | 고등부 | 2분 12초 51 | 함찬미 | 북원여고 | 
| 수영 | 남자 접영 200m | 일반부 | 1분 57초 82 | 장규철 | 강원도 | 
| 인라인 롤러 스케이팅 남자 타임트라이얼 300m | 일반부 | 24초 382 24초 368 | 강경태 | 대구광역시 | |
| 인라인 롤러 스케이팅 남자 스피드 3000m 계주 | |||||
| 고등부 | 3분 59초대 | 대구 경신고, 충북 서원고, 전주생명과학고 | |||
| 일반부 | 3분 58초~59초대 | 경남도청, 안양시청, 부산선발, 충북대 | |||
| 인라인 롤러 스케이팅 여자 스피드 3000m 계주 | |||||
| 고등부 | 3분 58초 339 | 경기 선발 | |||
| 일반부 | 4분 16초 728 | 충북 선발 | |||
| 핀수영 | 남자 호흡잠영 100m 계주 | 일반부 | 32초 64 | 나경수 | 경남체육회 | 
3. 1. 역도
3. 2. 수영
| # | 날짜 | 종목 | 세부 종목 | 부문 | 기록 | 선수 | 소속 | 장소 | 종전 기록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
| 2 | 11. 07 | -- 수영 | 여자 자유형 400m | 일반부 | 4분 14초 23 | 백일주 | 전라북도 체육회 | 고양 체육관 수영장 | 서연정 : 4분 14초 50 (2010) | ||
| 3 | 11. 07 | -- 수영 | 여자 배영 200m | 고등부 | 2분 12초 51 | 함찬미 | 북원여고 | 고양 체육관 수영장 | 함찬미 : 2분 12초 79 (2010) | ||
| 5 | 11. 08 | -- 수영 | 남자 접영 200m | 일반부 | 1분 57초 82 | 장규철 | 강원도청 | 고양 체육관 수영장 | 유정남 : 1분 57초 91 (2009) | 
3. 3. 인라인 롤러 스케이팅
- - 인라인 롤러 스케이팅은 2011년 11월 6일부터 11월 9일까지 안양 인라인롤러경기장에서 열렸다.
남자 일반부 타임트라이얼 300m에서는 강경태 (대구시 체육회)가 예선에서 24초 382, 결선에서 24초 368을 기록하며 신기록을 세웠다.,
남자 고등부 스피드 3000m 계주에서는 대구 경신고, 충북 서원고, 전주생명과학고가 3분 59초대의 기록을 세웠고,,, 일반부에서는 경남도청, 안양시청, 부산선발, 충북대가 3분 58초~59초대의 기록을 세웠다.,,,
여자 고등부 스피드 3000m 계주에서는 경기 선발이 3분 58초 339, 일반부에서는 충북 선발이 4분 16초 728로 신기록을 세웠다.,
| 종목 | 부문 | 선수 (소속) | 기록 | 비고 | 
|---|---|---|---|---|
| 남자 타임트라이얼 300m | 일반부 | 강경태 (대구시 체육회) | 24초 382 (예선) 24초 368 (결선) | |
| 남자 스피드 3000m 계주 | 고등부 | 대구 경신고, 충북 서원고, 전주생명과학고 | 3분 59초대 | |
| 일반부 | 경남도청, 안양시청, 부산선발, 충북대 | 3분 58초~59초대 | ||
| 여자 스피드 3000m 계주 | 고등부 | 경기 선발 | 3분 58초 339 | |
| 일반부 | 충북 선발 | 4분 16초 728 | 
3. 4. 핀수영
| 종목 | 세부 종목 | 기록 | 선수 | 소속 | 주석 | 
|---|---|---|---|---|---|
| 핀수영 | 남자 호흡잠영 100m 계주 | 32초 64 | 나경수 | 경남체육회 | 종전 김태균 : 32초 68 (2010) | 
4. 종합 순위
| 순위 | 지역 | 점수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 1 | 경기도 | 85,082 | 160 | 155 | 165 | 480 | 
| 2 | 서울특별시 | 52,944 | 99 | 96 | 119 | 314 | 
| 3 | 경상남도 | 44,182 | 59 | 64 | 107 | 230 | 
| 4 | 경상북도 | 40,507 | 79 | 63 | 78 | 220 | 
| 5 | 부산광역시 | 38,943 | 61 | 71 | 96 | 228 | 
| 6 | 인천광역시 | 38,438 | 53 | 48 | 87 | 188 | 
| 7 | 충청남도 | 37,419 | 48 | 71 | 81 | 220 | 
| 8 | 강원도 | 37,268 | 84 | 62 | 80 | 226 | 
| 9 | 전라북도 | 35,395 | 57 | 52 | 83 | 192 | 
| 10 | 대구광역시 | 35,246 | 56 | 47 | 75 | 178 | 
| 11 | 전라남도 | 28,065 | 34 | 42 | 58 | 134 | 
| 12 | 충청북도 | 27,505 | 37 | 39 | 67 | 149 | 
| 13 | 대전광역시 | 23,910 | 41 | 43 | 65 | 149 | 
| 14 | 광주광역시 | 22,662 | 26 | 41 | 51 | 118 | 
| 15 | 울산광역시 | 21,284 | 44 | 37 | 44 | 125 | 
| 16 | 제주특별자치도 | 8,631 | 22 | 19 | 28 | 69 | 
| 총계 | 960 | 950 | 1284 | 3194 | ||
5. 최우수 선수상
최우수 선수상(MVP)은 한국체육기자연맹 기자단의 투표로 결정된다.
- 최우수 선수상(MVP): 사재혁 (강원도/역도)
- 남자 일반부 77kg급에서 인상 3차 시기에 165kg을 들어 올려 한국신기록을 세우며 대회 3관왕을 달성했다.
6. 의미와 영향
(참조할 원본 소스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이전 출력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지침에 따라 수정된 출력을 제공하겠습니다.)
7. 미디어 보도 및 사회적 관심
2011년 전국체육대회 최우수 선수(MVP)는 한국체육기자연맹 기자단의 투표로 결정되었다. 최우수 선수상은 역도 종목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인 사재혁 (강원도) 선수가 받았다. 
                        
사재혁은 남자 일반부 77kg급 인상 3차 시기에서 165kg을 들어 올려 한국 신기록을 세우며 대회 3관왕을 달성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