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지역국 FM 방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 지역국 FM 방송은 KBS의 지역 방송국에서 운영하는 FM 라디오 방송을 의미한다. 각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로컬 프로그램을 편성하며, 평일 오전과 오후 시간대에 음악 프로그램을 주로 방송한다. 또한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한 다양한 캠페인을 연중 진행하고 있으며, KBS 클래식FM을 통해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청취할 수 있다. 각 지역 방송국의 아나운서들이 직접 시보를 전달한다.
1FM(클래식FM)의 일일 방송 시간은 23시간 54분이며, 방송 시작 전 6분간 방송시작멘트가 포함된다.
한국방송공사(KBS)의 지역 FM 방송은 KBS 클래식FM의 전국 네트워크 프로그램 외에도 각 지역 방송국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하는 로컬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방송한다. 이는 지역 청취자들에게 해당 지역의 소식과 정보를 전달하고 지역 문화를 반영하는 등 지역 밀착형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2. 일일방송시간
3. 지역국 FM 방송 로컬 프로그램
전국적으로 경인, 춘천, 원주, 강릉, 광주, 목포, 청주, 충주, 대구, 제주, 울산, 부산, 창원, 대전 등 주요 도시에 위치한 KBS 지역 방송국들은 각자의 담당 권역(예: KBS춘천방송총국은 강원특별자치도 영서 중북부, KBS광주방송총국은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중북부 등)을 대상으로 특색있는 로컬 프로그램을 송출하고 있다.
이러한 로컬 프로그램은 주로 평일 특정 시간대에 편성되며, 음악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한 공익 캠페인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3. 1. 평일 오전 시간대
wikitext프로그램 지역 방송국 진행자 재즈 & 클래식 (평일) 춘천시, 강원특별자치도 영서 중북부 KBS춘천 안성희 재즈 & 클래식 (평일) 강릉시, 강원특별자치도 영동 KBS강릉 이아인 Kiss the music (평일) 충주시, 충청북도 북부 KBS충주 장예진 11시의 음악실 (평일) 창원시, 경상남도 중부 KBS창원 김민정 팝브런치 (평일)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KBS대전 김연선
3. 2. 평일 오후 시간대
평일 오후 시간대에는 각 지역의 청취자들에게 활력을 불어넣는 다채로운 음악 프로그램들이 방송된다. 주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 | 지역 | 방송국 | 진행자 |
---|---|---|---|
파워대행진 | 원주시, 강원특별자치도 영서 남부 | KBS원주 | 이예린 |
음악이 있는 곳에 | 충청북도 | KBS청주 | 김윤혜 |
오후의 풍경과 음악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 KBS광주 | 정은아 |
아름다운 오후, 네시입니다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 KBS대구 | 진유현 |
3. 3. 지역 방송국 연중 캠페인
각 지역 방송국은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한 다양한 연중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주요 캠페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슬로건 | 지역 | 방송국 | 내레이터 |
---|---|---|---|
일사일촌 문화재 운동 | 춘천시, 강원특별자치도 영서 북부 | KBS춘천 | 김서련 |
함께하는 이웃 | 원주시, 강원특별자치도 영서 남부 | KBS원주 | 이혜린 |
힘내라 강릉 경제 | 강릉시, 강원특별자치도 영동 | KBS강릉 | 황지연 |
희망찬 광주,전남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 KBS광주 | 임정섭 |
이웃에게 사랑을 | 충주시, 충청북도 북부 | KBS충주 | 박은지 |
새롭게 도약하는 대구,경북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남부 | KBS대구 | 손지민 |
위기의 울산 경제 | 울산광역시 | KBS울산 | 조현아 |
내 모습이 부산의 얼굴 | 부산광역시 | KBS부산 | 김평래 |
희귀병 환자돕기 | 창원시, 경상남도 중부 | KBS창원 | 이아롬 |
함께 갑시다 |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 KBS대전 | 전유미 |
4. 주파수
방송국 | 호출부호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송신소 위치 | 비고 |
---|---|---|---|---|---|---|
KBS춘천 클래식FM | HLKM-FM | 화악산 송신소 | FM 91.1㎒ | 5㎾ | 경기도 가평군 북면 화악리 산218-2 | |
KBS원주FM | HLCW-FM | 백운산 송신소 | FM 89.5㎒ | 3㎾ | 강원 원주시 판부면 서곡리 산166 | |
영월 중계소 | FM 97.3㎒ | 100W | 강원 영월군 영월읍 팔괴리 산237 국지산 | |||
KBS강릉FM | HLKR-FM | 괘방산 송신소 | FM 89.1㎒ | 5㎾ | 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1 | |
함백산 중계소 | FM 97.3㎒ | 3㎾ | 강원 태백시 황지동 산176-1 | |||
KBS전주 FM | HLKF-FM | 모악산 송신소 | FM 100.7㎒ | 5㎾ |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산1 | |
노고단 중계소 | FM 104.5㎒ | 3㎾ | 전남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 산110-2 | |||
KBS광주 FM | HLKH-FM | 무등산 송신소 | FM 92.3㎒ | 5㎾ | 광주 동구 용연동 산354-4 | |
망운산 송신소 | FM 94.5㎒ | 3㎾ | 경남 남해군 서면 연죽리 1404 | |||
KBS목포FM | HLKN-FM | 양을산 송신소 | FM 98.3㎒ | 1㎾ | 전남 목포시 상동 산55-12 | |
KBS청주 FM | HLKQ-FM | 우암산 송신소 | FM 94.1㎒ | 1㎾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2-1 | |
금적산 중계소 | 100W | 충북 보은군 보은읍 풍취리 산11-5 | ||||
KBS충주FM | HLCH-FM | 가엽산 송신소 | FM 100.3㎒ | 3㎾ | 충북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산11-4 | |
KBS대구 FM | HLKG-FM | 팔공산 송신소 | FM 89.7㎒ | 5㎾ | 대구 동구 용수동 산1 | |
학가산 송신소 | FM 88.1㎒ | 3㎾ | 경북 안동시 북후면 신전리 산69 | |||
조항산 송신소 | FM 93.5㎒ | 3㎾ | 경북 포항시 동해면 석리 산94-1 | |||
삼각봉 송신소 | FM 89.3㎒ | 250W | 경북 울릉군 울릉읍 사동리 산29-1 | |||
KBS제주 FM | HLKS-FM | 견월악 송신소 | FM 96.3㎒ | 3㎾ | 제주 제주시 봉개동 산78-1 | |
삼매봉 중계소 | FM 99.9㎒ | 3㎾ | 제주 서귀포시 서홍동 822-1 | |||
KBS울산FM | HLQB-FM | 무룡산 송신소 | FM 101.9㎒ | 3㎾ | 울산 북구 화봉동 산1-3 | |
KBS부산FM | HLKB-FM | 황령산 송신소 | FM 92.7㎒ | 5㎾ | 부산 부산진구 전포1동 산50-1 | |
KBS창원 FM | HLAI-FM | 불모산 송신소 | FM 93.9㎒ | 1㎾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 |
망진산 송신소 | FM 89.3㎒ | 1㎾ | 경남 진주시 망경동 631 | |||
감악산 송신소 | FM 92.1㎒ | 3㎾ | 경남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 산13 | |||
KBS대전 FM | HLKI-FM | 계룡산 송신소 | FM 98.5㎒ | 5㎾ | 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산11-5 | |
식장산 중계소 | FM 102.1㎒ | 3㎾ | 대전 동구 대성동 산2-7 |
5. 라디오 시보
KBS 지역국 FM 방송의 시보는 각 지역 방송국 소속 아나운서가 직접 담당하여 지역적 특색을 살린다.
지역 방송국 | 담당 아나운서 |
---|---|
춘천 클래식FM | 김서련 아나운서 |
원주 FM | 김혜정 아나운서 |
강릉 FM | 김경미 아나운서 |
전주 음악FM | 박철규 아나운서 |
광주 FM | 정은아 아나운서 (순천은 광주FM 시보 송출) |
목포 FM | 정윤심 아나운서 |
청주 FM | 김윤혜, 이해수 아나운서 |
충주 FM | 박찬송 아나운서 |
대구 FM | 진유현 아나운서 (안동, 포항은 대구FM 시보 송출) |
제주 FM | 현송희, 한승훈 아나운서 |
울산 FM | 김다은 아나운서 |
부산 FM | 배소빈 아나운서 |
창원 FM | 송지원 아나운서 (진주는 창원FM 시보 송출) |
대전 FM | 김연선, 맹수지 아나운서 |
6. 프로그램을 방송하던 방송국
다음 방송국들은 과거에 KBS 클래식FM 프로그램을 방송했었다.
방송국 | 담당 지역 |
---|---|
KBS경인방송센터 | 경기도, 인천광역시 일원 |
KBS춘천방송총국 | 강원특별자치도 영서 중북부 일원 |
KBS원주방송국 | 강원특별자치도 영서 남부 일원 |
KBS강릉방송국 | 강원특별자치도 영동 일원 |
KBS광주방송총국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중북부, 전라남도 동부권 |
KBS목포방송국 | 전라남도 서남부 |
KBS청주방송총국 | 충청북도 중·남부, 세종특별자치시 일원 |
KBS충주방송국 | 충청북도 북부 일원 |
KBS대구방송총국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
KBS제주방송총국 | 제주특별자치도 일원 |
KBS울산방송국 |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동부 일부 |
KBS부산방송총국 |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동부 일부 |
KBS창원방송총국 | 경상남도 일원 |
KBS대전방송총국 |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일원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