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나안 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나안어는 고대 가나안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셈어족 언어들의 총칭으로, 히브리어, 페니키아어, 모압어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북가나안어와 남가나안어로 분류되며, 상호 이해 가능성 스펙트럼을 이루며 문법, 형태, 음운론 등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가나안어는 쐐기 문자가 아닌 알파벳을 사용한 최초의 언어 집단으로 알려져 있으며, 레반트, 메소포타미아, 아나톨리아 등지에서 사용되었다. 오늘날까지 살아남은 가나안어는 히브리어뿐이며, 19~20세기에 언어 부활 운동을 거쳐 현대 히브리어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셈어파 - 티그리냐어
    티그리냐어는 에리트레아의 주요 언어이자 에티오피아에서도 널리 쓰이는 언어로서, 게에즈 문자를 사용하며 기독교 용어에서 게에즈어의 영향을 받았고, 13세기 법률 문서 기록이 있으며, 에리트레아 독립 후 공용어가 되었고, 아스마라 방언이 주로 사용되며, 인두음이 풍부하고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닌다.
  • 셈어파 - 암하라어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이자 암하라족의 모어로, 솔로몬 왕조 이후 제국 공용어로 정치·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현재까지 사용되고, 그으즈어와 관련이 있고 쿠시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부기다 문자 체계를 사용하고 라스타파리 운동에서 신성한 언어로 여겨진다.
  • 고대 언어 - 고대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는 기원전 1200년경 인도유럽어족에서 분기되어 기원전 8세기부터 그리스 문자로 기록된 언어로, 도리아어, 아이올리아어, 이오니아어, 아티카어 등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현대 그리스어의 기원이자 그리스 문학과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교육 및 학술 분야에서 활용된다.
  • 고대 언어 - 팔리어
    팔리어는 상좌부 불교 경전 기록에 사용된 고대 인도 언어로, 마가다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나 여러 인도 아리아어 방언의 혼합과 산스크리트화를 거쳤으며, 《팁피타카》 기록 이후 불교 전파 매개체로서 동남아시아 여러 언어에 영향을 주었고 현재는 사어이지만 불교 연구 및 의례에 사용된다.
가나안 제어
언어 정보
이름가나안어
지역레반트, 카르타고
어족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어파셈어파
분파서셈어군
어군중앙셈어군
하위 어군북서셈어군
글롯토코드cana1267
글롯토코드 참조Canaanite
하위 언어
주요 언어히브리어 (부활)
페니키아어 (incl. 포에니어) †
암몬어 †
모압어 †
에돔어 †

2. 분류

가나안 제어는 크게 북가나안어와 남가나안어로 분류된다.



오늘날에는 히브리어만이 유일하게 남아있다. 히브리어는 구어로서 사실상 사멸했었으나, 19세기~20세기 동안의 언어 부활 운동을 통해 현대 히브리어로 다시 살아났다.[1]

가나안어는 로망스어와 유사하게 서로 간의 상호 이해 가능성이 있는 언어들로, 구문, 형태, 음성, 의미론에서 상당한 공통점을 가진다. 이 언어들은 원시 가나안 문자에서 파생된 알파벳을 사용하여 기록을 남긴 최초의 언어 그룹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쐐기 문자를 사용한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어, 아카드어 등과는 다른 특징이다.[1]

가나안어는 레반트, 메소포타미아, 아나톨리아, 동지중해 전역의 가나안 비문에서 널리 확인되며, 페니키아인이 카르타고를 건설한 후에는 북아프리카와 이베리아 반도 해안 지역에서도 나타났다. 방언은 주로 성경 지리를 참조하여 분류되었으며, 이 방언들은 모두 서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현대 영어의 지역적 차이보다 더 분화되지 않았다.[1]

가나안어 또는 방언 외에, 다른 가능한 가나안 언어는 다음과 같다.

2. 1. 북가나안어

페니키아어는 현재의 레바논이스라엘 북부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그 중심지는 비블로스였다. 페니키아인들은 지중해 연안에 식민지를 건설했으며, 그중 하나인 현재의 튀니지에 있는 카르타고에서 발달한 방언은 '''포에니어'''라고 불린다. 포에니어와 관련된 수천 개의 비문이 남아 있다.[1]

셈조어의 자음은 29개였으나, 페니키아어에서는 자음이 융합되어 수가 줄어들었다. 이 때문에 페니키아 문자에는 22개의 자음자만 존재한다[10]

페니키아 문자는 순수한 압자드로, 자음만 기록되었다. 그러나 후대의 포에니어에서는 반모음 또는 모음 표기가 발달했다. 그리스 문자나 라틴 문자로 쓰인 자료가 소수 있으며, 플라우투스의 희극 "카르타고인"에서는 포에니어 대화가 라틴 문자로 기록되어 있다. 로마에 의해 카르타고가 멸망한 후에도 수 세기 동안 포에니어가 계속 사용되었다. 이 시대의 포에니어를 '''신 포에니어'''(또는 후기 포에니어)라고 부른다.[6]

우가리트어를 가나안어에 포함시키자는 견해도 있으며, 등어선 상에서 가나안어를 남북으로 나누어 우가리트어를 페니키아어와 함께 북가나안어로 분류하자는 안도 있다.[19][20] 그러나 우가리트어는 모음이 표기되지 않아 불분명한 점이 많다. 음성학적으로는 가나안어가 아닌, 북서셈어의 독립적인 분파로 보는 견해도 유력하다.[21]

2. 2. 남가나안어

암몬어는 성경에 언급된 멸망한 암몬 족의 가나안 방언으로, 암만 시타델 비문과 텔 시란 비문이 주요 자료이다.[1] 에돔어는 성경과 이집트 문서에 언급된 멸망한 에돔 족의 가나안 방언이다. 히브리어는 현존 언어인 유일한 가나안어이며, 부활한 사어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이다. 모압어는 성경에 언급된 멸망한 모압 족의 가나안 방언으로, 메사 석비와 엘-케라크 석비가 주요 자료이다.[1]

히브리어는 성경의 언어이며, 가나안어 중 유일하게 잊혀지지 않았다. 히브리어 표기에는 페니키아 문자 계통의 문자를 사용했지만, 고대 히브리어는 자음의 수가 페니키아어보다 많았다.[11]

성경이 쓰인 시대의 히브리어를 성서 히브리어 (또는 고대 히브리어)라고 한다. 성경 중 가장 오래된 부분은 기원전 1000년 이전에 쓰여졌다고 생각된다. 충분한 비문이 나타나는 것은 기원전 800년 이후이다. 유명한 비문으로는 실로암 비문이 있다. 기원전 1000년부터 기원전 6세기의 바빌론 유수까지의 히브리어를 고전 히브리어 또는 표준 성서 히브리어라고 부른다. 유수기부터 기원전 2세기까지의 히브리어를 후기 성서 히브리어라고 부른다.[12] 성서 이후에는 미쉬나 히브리어가 이어진다.

요르단강사해 동부의 비문 언어는 발견된 지역에 따라 모압어, 암몬어, 에돔어라고 불린다. 그 외에 Deir Alla|데이르 알라영어의 비문 언어가 있다. 어느 것도 자료가 적다.[13]

; 모압어

: 모압인은 현재의 요르단 서부에 살았다. 모압어의 주요 자료는 지반 근교에서 1868년에 발견된 메사 석비로, 기원전 9세기의 모압메사 왕(정확히는 모샤)의 비문이다.[14]

; 암몬어

: 암몬인은 모압의 북쪽에 살았으며, 현재 요르단의 수도 암만이 그 중심 도시였다. 암몬어의 자료는 기원전 9세기경의 암만 시타델의 비문 등 3개의 비문이 주요하며, 그 외에 소규모의 인장이나 오스트라콘이 있다.[15] 암몬어를 히브리어와 함께 남 카나안어에 포함시키는 견해도 있다.[16]

; 에돔어

: 에돔인의 땅은 모압의 남쪽, 현재 요르단 남서부에 해당한다. 에돔어의 자료는 소규모이며, 남부 히브리어와 거의 다르지 않다.[17]

; 데이르 알라 비문의 언어

: 발람 비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민수기에 등장하는 브올의 아들 발람의 말을 기록한다. 기원전 800년경의 비문이지만, 작은 조각으로 부서져서 불분명한 점이 많다. 언어는 아람어인지 카나안어인지, 아니면 둘 다 아닌지, 논쟁이 갈린다.[18]

2. 3. 기타

로망스어와 유사하게, 가나안어는 서로 간의 상호 이해 가능성 스펙트럼에서 작동하며, 구문론, 형태론, 음성학 및 의미론에서 상당한 중복이 발생한다. 이 언어 집단은 또한 훨씬 더 오래된 쐐기 문자 표의 문자/음절 문자 기록 대신에 원시 가나안 문자에서 파생된 알파벳을 사용하여 기록을 남긴, 역사적으로 최초로 증명된 언어 그룹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

이 언어들은 가나안 비문에서 레반트, 메소포타미아, 아나톨리아, 동지중해 전역에서 널리 증명되었으며, 페니키아 식민지인에 의해 카르타고가 건립된 후 북아프리카와 이베리아 반도의 해안 지역에서도 나타났다. 방언은 주로 성경 지리를 참조하여 분류되었다.[1]

가나안어 또는 방언 외에, 다른 가능한 가나안 언어는 다음과 같다.

  • 블레셋어 - 이스라엘 남서부 해안을 따라 흩어져 있는 페니키아 문자로 된 수십 개의 비문으로 증명되었으며, 특히 에크론 왕립 헌납 비문이 있다.
  • 우가리트어는 서북 셈어일 가능성이 있지만, 가나안어는 아닐 가능성이 높다.[2][3]
  • 데르 알라 비문은 아람어와 남부 가나안어의 특징을 가진 방언으로 쓰여졌다.
  • 수트어는 셈어이며 가나안어 계통일 가능성이 있다.


우가리트어를 가나안어에 포함시키자는 견해도 있으며, 등어선 상에서 가나안어를 남북으로 나누어 우가리트어를 페니키아어와 함께 북가나안어로 분류하자는 안도 있다.[19][20] 그러나 우가리트어는 모음이 표기되지 않아 불분명한 점이 많다. 음성학적으로는 가나안어가 아닌, 북서셈어의 독립적인 분파로 보는 견해도 유력하다.[21]

블레셋인의 도시인 에크론 (이스라엘 중부)에서 1996년에 페니키아어 또는 페니키아어에 가까운 언어로 쓰인 기원전 7세기의 비문이 출토되었으며[22], 이 언어를 "블레셋어"라고 부르기도 한다.[23]

아모리인은 바빌론 제1왕조의 통치자였다. 아모리어로 쓰인 자료는 존재하지 않지만, 이 시대에 쓰인 아카드어점토판에 등장하는 고유 명사에서 복원한 바에 따르면, 가나안어와 공통된 음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24]

아카드어로 쓰인 기원전 14세기의 아마르나 문서 속에 초기 가나안어의 기층이 보이는 문서가 400여 개 존재한다.[6][9][25]

기원전 17-12세기경의 원 가나안 문자로 쓰인 비문은 거의 해독되지 않았으며, 가령 셈어파 언어가 쓰여 있다고 해도, 셈어파 중 어디에 속하는지는 불분명하다.[26]

3. 특징

가나안어는 레반트, 메소포타미아, 아나톨리아, 동지중해 전역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페니키아인이 카르타고를 건립한 후에는 북아프리카와 이베리아 반도 해안 지역에서도 나타났다. 이 언어들은 원시 가나안 문자에서 파생된 알파벳을 사용하여 기록을 남긴 최초의 언어 그룹으로, 쐐기 문자를 사용한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어, 아카드어 등과는 구별된다.[1]

방언은 주로 성경 지리를 참조하여 히브리어(이스라엘, 유대/성경, 사마리아), 페니키아어/푸니크어, 아모리트어, 암몬어, 모압어, 수테어, 에돔어 등으로 분류된다. 이 방언들은 모두 상호 이해가 가능했으며, 현대 영어의 지리적 변종보다 덜 분화되었다.[1]

3. 1. 음운론적 특징

로망스어와 유사하게, 가나안어는 서로 간의 상호 이해 가능성 스펙트럼에서 작동하며, 구문론, 형태론, 음성학 및 의미론에서 상당한 중복이 발생한다.

가나안어와 아직 사용되는 아람어의 몇 가지 뚜렷한 유형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접두사 ''h-''는 정관사이다(아람어는 후치사 '-a'를 사용). 이는 가나안어의 혁신으로 보인다.
  • 1인칭 대명사는 ''ʼnk''(אנכ|'anok(i)'he)인데, 이는 아카드어, 고대 이집트어, 베르베르어와 유사하며, 아람어의 ''ʾnʾ/ʾny''와는 다릅니다.
  • *''ā'' > ''ō''의 변화는 가나안어 이동이라고 불린다.


잘 알려진 가나안어의 음성적 특징으로는 장모음 가 로 변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페니키아어에서는 더 나아가 로 변한다. 예를 들어 "영원, 세계"를 의미하는 은 히브리어에서 이며, 페니키아어에서는 이 된다[8]. 또한 "평안"은 아랍어에서는 이지만, 대응하는 히브리어는 이다. 다만, 이 특징은 가나안어가 분화된 후에 일어난 변화라는 설도 있다[9]

형태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지적된다[9]

  • 동사의 파생 어간 중 C(사역형, 히브리어의 히필), D(어근 두 번째 자음의 중복형, 히브리어의 피엘)의 첫 번째 자음 뒤의 모음이 a가 아닌 i가 된다.
  • 동사의 1인칭 단수 어미가 -tu가 아닌 -ti가 된다.
  • 1인칭 복수 대명사의 접어 형태가 -nu로 끝난다. 이것은 독립 대명사() 및 동사 활용 어미(-nu)에서 유추된 것이다.


우가리트어를 가나안어에 포함시키자는 견해도 있으며, 등어선 상에서 가나안어를 남북으로 나누어 우가리트어를 페니키아어와 함께 북가나안어로 분류하자는 안도 있다.[19][20] 그러나 우가리트어는 모음이 표기되지 않아 불분명한 점이 많다. 음성학적으로는 가나안어가 아닌, 북서셈어의 독립적인 분파로 보는 견해도 유력하다.[21]

아모리인은 바빌론 제1왕조의 통치자였다. 아모리어로 쓰인 자료는 존재하지 않지만, 이 시대에 쓰인 아카드어점토판에 등장하는 고유 명사에서 복원한 바에 따르면, 어두의 w가 y로, 긴 ā가 ō로 변화하는 등, 가나안어와 공통된 음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24]

3. 2. 형태론적 특징

로망스어와 유사하게, 가나안어는 서로 간의 상호 이해 가능성 스펙트럼에서 작동하며, 구문론, 형태론, 음성학 및 의미론에서 상당한 중복이 발생한다. 이 언어 집단은 또한 훨씬 더 오래된 쐐기 문자 표의 문자/음절 문자 기록 대신에 원시 가나안 문자에서 파생된 알파벳을 사용하여 기록을 기록한 역사적으로 최초로 증명된 언어 그룹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

가나안어와 아직 사용되는 아람어의 몇 가지 뚜렷한 유형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접두사 ''h-''는 정관사이다(아람어는 후치사 '-a'를 사용). 이는 가나안어의 혁신으로 보인다.
  • 1인칭 대명사는 ''ʼnk''(אנכ|'anok(i)'he)인데, 이는 아카드어, 고대 이집트어, 베르베르어와 유사하며, 아람어의 ''ʾnʾ/ʾny''와는 다릅니다.
  • *''ā'' > ''ō''의 변화는 가나안어 이동이라고 불린다.


잘 알려진 가나안어의 음성적 특징으로는 장모음 가 로 변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페니키아어에서는 더 나아가 로 변한다. 예를 들어 "영원, 세계"를 의미하는 은 히브리어에서 이며, 페니키아어에서는 이 된다[8]. 또한 "평안"은 아랍어에서는 이지만, 대응하는 히브리어는 이다. 다만, 이 특징은 가나안어가 분화된 후에 일어난 변화라는 설도 있다[9]

형태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지적된다[9]

  • 동사의 파생 어간 중 C(사역형, 히브리어의 히필), D(어근 두 번째 자음의 중복형, 히브리어의 피엘)의 첫 번째 자음 뒤의 모음이 a가 아닌 i가 된다.
  • 동사의 1인칭 단수 어미가 -tu가 아닌 -ti가 된다.
  • 1인칭 복수 대명사의 접어 형태가 -nu로 끝난다. 이것은 독립 대명사() 및 동사 활용 어미(-nu)에서 유추된 것이다.

4. 역사

페니키아어포에니어를 포함한 북가나안어와 암몬어, 에돔어, 히브리어, 모압어를 포함한 남가나안어가 있었다. 이 중 오늘날까지 살아남은 것은 히브리어뿐인데, 이마저도 구어로서 사실상 사멸했었으나 19세기~20세기 동안의 언어 부활 운동을 통해 현대 히브리어로 다시 살아났다.[1]

가나안어는 서로 간의 상호 이해 가능성 스펙트럼에서 작동하며, 구문론, 형태론, 음성학 및 의미론에서 상당한 중복이 발생한다. 이 언어 집단은 원시 가나안 문자에서 파생된 알파벳을 사용하여 기록을 남긴 역사상 최초로 증명된 언어 그룹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쐐기 문자 표의 문자/음절 문자 기록보다 훨씬 오래된 것이다.[1]

이 언어들은 가나안 비문에서 레반트, 메소포타미아, 아나톨리아, 동지중해 전역에서 널리 증명되었으며, 페니키아 식민지인에 의해 카르타고가 건립된 후 북아프리카와 이베리아 반도의 해안 지역에서도 나타났다. 방언은 주로 성경 지리를 참조하여 히브리어(이스라엘, 유대/성경, 사마리아), 페니키아어/푸니크어, 아모리트어, 암몬어, 모압어, 수테어 및 에돔어로 분류되었으며, 이 방언들은 모두 상호 이해가 가능했고 현대 영어의 지리적 변종보다 더 분화되지 않았다.[1]

고대 히브리어는 고대 이스라엘인의 사멸된 방언을 문학, 시, 전례에서 보존하여 현대에 부활시킨 언어로, 문자로 기록된 언어의 가장 오래된 형태인 고전 히브리어라고도 알려져 있다. 성경 히브리어의 원래 발음은 재구성을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사마리아 히브리어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이전에 사마리아인들이 사용하던 방언이다. 고전 히브리어의 주요 자료는 히브리어 성경과 게제르 달력, 키르베트 케이파 도자기 조각과 같은 비문이다. 다른 모든 가나안어는 푸니 언어를 제외하고는 서기 1천년 초까지 사멸된 것으로 보이며, 푸니 언어는 후기 고대 시대까지(또는 그 이상) 생존했다.[1]

기원전 1천년경부터 현대 시대까지 보존된 약간의 히브리어 변형은 다음과 같다.

종류설명
티베리아 히브리어팔레스타인 지방의 티베리아스 유대인 공동체에 거주하는 마소라 학자 (c. 750–950)
미즈라히 히브리어미즈라히 유대인, 전례용
예멘 히브리어예멘 유대인, 전례용
세파르딕 히브리어세파르딤, 전례용
아슈케나지 히브리어아슈케나짐, 전례용
미쉬나 히브리어유대인, 전례용, 랍비, 탈무드에서 발견되는 모든 히브리어 방언
중세 히브리어유대인, 전례용, 시적, 랍비, 과학적, 문학적; 성경, 미쉬나, 번역가 및 주석가가 만든 신조어를 기반으로 한 공용어
하스칼라 히브리어유대인, 과학, 문학, 저널리즘 언어, 성경을 기반으로 하지만 작가와 저널리스트가 만든 신조어로 풍부하게 사용되었으며, 후대로의 전환점
현대 히브리어오늘날 이스라엘에서 사용
사마리아 히브리어사마리아인, 전례용



페니키아와 푸니의 확장은 한동안 페니키아어와 고대 식민지에서 사용되는 푸니 방언을 서지중해로 확산시켰지만, 페니키아 자체보다 더 오래 생존한 것으로 보이지만, 거기에서도 사멸되었다.

우가리트어를 가나안어에 포함시키자는 견해도 있으며, 등어선 상에서 가나안어를 남북으로 나누어 우가리트어를 페니키아어와 함께 북가나안어로 분류하자는 안도 있다.[19][20] 그러나 우가리트어는 모음이 표기되지 않아 불분명한 점이 많다. 음성학적으로는 가나안어가 아닌, 북서셈어의 독립적인 분파로 보는 견해도 유력하다.[21]

블레셋인의 도시인 에크론 (이스라엘 중부)에서 1996년에 페니키아어 또는 페니키아어에 가까운 언어로 쓰인 기원전 7세기의 비문이 출토되었으며,[22] 이 언어를 "블레셋어"라고 부르기도 한다(Philistine language영어와는 다른 언어).[23]

아모리인은 바빌론 제1왕조의 통치자였다. 아모리어로 쓰인 자료는 존재하지 않지만, 이 시대에 쓰인 아카드어점토판에 등장하는 고유 명사에서 복원한 바에 따르면, 어두의 w가 y로, 긴 ā가 ō로 변화하는 등, 가나안어와 공통된 음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24]

아카드어로 쓰인 기원전 14세기의 아마르나 문서 속에 초기 가나안어의 기층이 보이는 문서가 400여 개 존재한다.[6][9][25]

기원전 17-12세기경의 원 가나안 문자로 쓰인 비문은 거의 해독되지 않았으며, 가령 셈어파 언어가 쓰여 있다고 해도, 셈어파 중 어디에 속하는지는 불분명하다.[26]

5. 현대의 가나안어

오늘날 살아남은 가나안어는 히브리어뿐인데, 본래 히브리어도 구어로서 사실상 사멸한 지 오래였으나 19세기~20세기 동안 이루어진 언어 부활 운동을 거쳐 다시 현대 히브리어로 되살아났다. 고대 히브리어는 고대 이스라엘인의 사멸된 방언을 문학, 시, 전례에서 보존하여 현대에 부활시킨 언어로, 문자로 기록된 언어의 가장 오래된 형태인 고전 히브리어라고도 알려져 있다. 성경 히브리어의 원래 발음은 재구성을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다. 사마리아 히브리어도 고대 히브리어에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이전에 사마리아인들이 사용하던 방언이다. 고전 히브리어의 주요 자료는 히브리어 성경과 게제르 달력, 키르베트 케이파 도자기 조각과 같은 비문이다. 다른 모든 가나안어는 푸니 언어를 제외하고는 서기 1천년 초까지 사멸된 것으로 보이며, 푸니 언어는 후기 고대 시대까지(또는 그 이상) 생존했다.

기원전 1천년경부터 현대 시대까지 보존된 약간의 히브리어 변형은 다음과 같다.

종류설명
티베리아 히브리어팔레스타인 지방의 티베리아스 유대인 공동체에 거주하는 마소라 학자 (c. 750–950)
미즈라히 히브리어미즈라히 유대인 전례용
예멘 히브리어예멘 유대인 전례용
세파르딕 히브리어세파르딤 전례용
아슈케나지 히브리어아슈케나짐 전례용
미쉬나 히브리어유대인 전례용, 랍비, 탈무드에서 발견되는 모든 히브리어 방언
중세 히브리어유대인 전례용, 시적, 랍비, 과학적, 문학적; 성경, 미쉬나, 번역가 및 주석가가 만든 신조어를 기반으로 한 공용어
하스칼라 히브리어유대인 과학, 문학, 저널리즘 언어, 성경을 기반으로 하지만 작가와 저널리스트가 만든 신조어로 풍부하게 사용되었으며, 후대로의 전환점
현대 히브리어오늘날 이스라엘에서 사용
사마리아 히브리어사마리아인 전례용



페니키아푸니의 확장은 한동안 페니키아어와 고대 식민지에서 사용되는 푸니 방언을 서지중해로 확산시켰지만, 페니키아 자체보다 더 오래 생존한 것으로 보이지만, 거기에서도 사멸되었다.

참조

[1] 간행물
[2] 서적 A Grammar of the Ugaritic Language: Second impression with corrections https://books.google[...] Brill
[3] 서적 Semitic Languages: Outline of a Comparative Grammar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4] 문서 Mesha Stele
[5] 문서 『言語学大辞典』では「カナン語群」
[6] 간행물
[7] 논문 Herbert Donner and Wolfgang Röllig, Kanaanäische und aramäische Inschriften. Band 1, 5., erweiterte und überarbeitete Auflage (Wiesbaden: Harrassowiz Verlag, 2002) http://www.jhsonline[...]
[8] 간행물
[9] 간행물
[10] 간행물
[11] 간행물
[12] 간행물
[13] 간행물
[14] 간행물
[15] 간행물
[16] 간행물
[17] 간행물
[18] 간행물
[19] 간행물
[20] 간행물
[21] 간행물
[22] 간행물
[23] 간행물
[24] 간행물
[25] 간행물
[26]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