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리아는 기원전 4세기부터 사용된 지리적 개념으로, 로마인들이 이탈리아 북부에 정착한 켈트족을 지칭하면서 시작되었다. 로마의 영토 확장과 함께 알프스 서쪽과 북쪽의 켈트족 거주 지역까지 포함하게 되었으며, 이탈리아 북부는 키살피나 갈리아로 불리며 로마에 편입되었다. 알프스 서쪽과 북쪽의 갈리아는 트란살피나 갈리아로 불리며, 로마의 속주가 되었다. 갈리아는 3세기부터 로마의 지배가 흔들리고 프랑크족 등의 게르만족의 침략을 받았으며, 486년 프랑크족의 승리로 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갈리아인들은 다양한 부족으로 구성되었으며, 애니미즘 형태의 종교를 믿었고, 드루이드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갈리아를 배경으로 한 대표적인 대중문화 작품으로는 아스테릭스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기 시대 - 신아시리아 제국
신아시리아 제국은 기원전 934년부터 기원전 609년까지 존속했던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제국으로, 제국주의와 보편 군주제를 지향하며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근동 지역을 통치하고 넓은 영토를 다스렸으며 후대 제국에 유산을 남겼다. - 철기 시대 - 로마령 갈리아
로마령 갈리아는 기원전 2세기부터 서로마 제국 멸망 시기까지 갈리아 지역이 로마의 지배를 받으며 갈리아로마 문화라는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고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로마의 영향을 받은 시기이다. - 갈리아 - 갈리아 제국
갈리아 제국은 3세기 위기 속에서 260년 포스투무스에 의해 선포된 로마 제국에서 분리된 국가로, 로마 제국의 행정 체계를 모방했으나 내분으로 274년 로마 제국에 재통합되었다. - 갈리아 - 갈리아 전쟁
갈리아 전쟁은 카이사르의 정치적 야망, 갈리아의 불안정, 게르만족 침입이 맞물려 기원전 58년부터 50년까지 벌어진 로마의 갈리아 정복 전쟁으로, 카이사르의 권력 강화와 로마 공화정 몰락의 전환점이 되었으나 기록의 신뢰성 및 잔혹성 비판도 존재한다.
갈리아 | |
---|---|
개요 | |
명칭 | 갈리아 |
로마자 표기 | Gallia |
프랑스어 표기 | Gaule |
그리스어 표기 | Γαλλία (Gallía) |
면적 | 494,000 km² |
설명 | 서유럽의 역사적 지역 켈트족 부족들이 거주 |
역사 | |
시기 | 기원전 58년경 |
관련 사건 | 갈리아인 갈로-로마인 프랑크족 |
관련 국가 역사 | |
선사 시대 | 프랑스 선사 시대 |
고대 | 갈리아인갈로-로마인프랑크족 |
중세 | 프랑크 왕국 메로빙거 왕조: 481–751 카롤링거 왕조: 751–987 서프랑크 왕국 프랑스 왕국 카페 왕조: 987–1328 발루아 왕조: 1328–1498 |
근세 | 발루아-오를레앙 왕조: 1498–1515 발루아-앙굴렘 왕조: 1515–1589 부르봉 왕조: 1589–1792 |
근대 | 프랑스 혁명: 1789 입헌 왕정: 1791–1792 제1공화국: 1792–1804 국민 공회: 1792–1795 총재 정부: 1795–1799 통령 정부: 1799–1804 제1제국: 1804–1814/1815 백일천하: 1815 복고 왕정: 1814–1830 7월 혁명: 1830 7월 왕정: 1830–1848 2월 혁명: 1848 제2공화국: 1848–1852 제2제국: 1852–1870 제3공화국: 1870–1940 파리 코뮌: 1871 |
현대 | 나치 독일의 침공 나치 독일의 점령 비시 정권 자유 프랑스 파리의 해방: 1940–1944 공화국 임시 정부: 1944–1946 제4공화국: 1946–1958 제5공화국: 1958–현재 |
주제별 | 구 주식민사문화사파리사 |
관련 정보 | 연표 |
관련 정보 | |
관련 주제 | 갈리아의 부족들 갈리아 전쟁 로마령 갈리아 갈리아 제국 갈리아 벨기카 갈리아 아퀴타니아 갈리아 루그두넨시스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갈리아 키살피나 갈리아 코마타 |
2. 명칭
그리스어 및 라틴어 이름인 ''갈라티아''(기원전 4세기에 타우로메니움의 티마이오스가 처음 언급)와 ''갈리아''는 켈트족의 민족 용어 ''갈(a)-토-''에서 유래되었다. 갈리아 켈티카의 ''갈리''는 카이사르에 의해 스스로를 ''켈타이''라고 지칭했다고 한다. 헬레니즘 어원은 갈라티아인(Γαλάται, ''갈라타이'')의 이름을 골족의 "우유처럼 흰" 피부(γάλα, ''갈라'' "우유")와 연결시켰다.[4] 현대 연구자들은 이것이 웨일스어 ''gallu''[5] "능력, 권력"[6]과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강력한 사람들"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3세기 무렵부터 로마의 갈리아 지배는 흔들리기 시작했다. 게르만 계통의 프랑크족이나 알라만니족의 세력이 점점 확대되는 가운데, 260년에는 로마의 동방에서 에데사 전투가 발생하여 로마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에 군대를 주둔시킬 수밖에 없게 되었다. 로마는 더 이상 지방을 유지할 힘이 없어, 제국 내에는 여러 개의 반독립 지역이 출현했고, 갈리아에서도 한때 갈리아 제국이 성립되었다. 274년에 일단 로마에 재통합되었지만, 이러한 움직임은 일반 서민에게 혼란을 가져다줄 뿐이었고, 빌라는 버려지고 농민은 보호를 구하며 콜로누스로 전락해 갔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코로나투스를 지배하며 힘을 키운 호족이 훗날의 갈리아 원로원 귀족으로 이어졌다.
지리상의 개념으로서의 "갈리아"의 기원은 기원전 4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탈리아 반도 북부에 밀려와 정착한 부족 집단을 로마인들은 "'''갈리아인'''"(갈리/Gallila)이라고 불렀으며, 갈리아인이 거주하는 이탈리아 반도 북부가 "'''갈리아'''"(갈리아/Galliala)라고 불리게 된 것이 시작이다. 로마인들이 영토를 확장함에 따라, 갈리아인과 같은 계통의 여러 부족이 알프스 산맥 서쪽과 북쪽에도 다수 살고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그 지역들도 "갈리아"에 포함되게 되었다. 이윽고 이탈리아 반도 북부는 로마에 제압되어 속주가 되었다.
중세 시대 이후 ''갈리아''의 일반적인 영어 번역인 ''골''은 라틴어 용어와 다른 기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프랑스어 ''골''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고대 프랑크어 ''*Walholant''(''*Walula''를 거쳐)에서 유래되었으며,[7] 문자 그대로 "외국인/로마인의 땅"을 의미한다. ''*Walho-''는 원시 게르만어 ''*walhaz''의 반사형으로, "외국인, 로마화된 사람"을 의미하며, 게르만어 사용자들이 켈트족과 라틴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무차별적으로 적용한 이명칭이다. 이것은 웨일스, 콘월, 왈롱, 왈라키아의 이름과 동족어이다.[8] 게르만어 ''w-''는 프랑스어에서 ''gu-'' / ''g-''로 변환되며, 역사적인 이중 모음 ''au''는 후행 자음 앞의 ''al''의 결과이다. 프랑스어 ''골'' 또는 ''골르''는 라틴어 ''갈리아''에서 파생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g''가 ''a'' 앞에 ''j''가 되고, 이중 모음 ''au''가 설명되지 않기 때문이다. 라틴어 ''갈리아''의 결과는 프랑스어에서 ''Jaille''이며, 라 자이으-이본 및 생마르라자이으와 같은 여러 서부 지명에서 발견된다.[9][10] 원시 게르만어 ''*walha''는 궁극적으로 볼카이의 이름에서 파생되었다.
이탈리아 반도 북부는 '''키살피나 갈리아'''(키살피나/Gallia Cisalpinala, 알프스 이쪽의 갈리아) 또는 '''시테리오르 갈리아'''(Gallia Citeriorla, 이쪽의 갈리아)라고 불렸다. 로마화가 진행된 후에는 '''토가타 갈리아'''(토가타/Gallia Togatala, 토가를 입은 = "순수한 로마의" 갈리아)라고도 불렸다. 이 지역은 로마 제정 초기에는 본토 "이탈리아"에 편입되어 "갈리아"에서 제외되었다.
이에 반해, 알프스 서쪽・북쪽의 갈리아는 '''트란살피나 갈리아'''(트란살피나/Gallia Transalpinala, 알프스 저쪽의 갈리아) 또는 '''울테리오르 갈리아'''(Gallia Ulteriorla, 저쪽의 갈리아)라고 불렸다. 이 "갈리아"는 공화정 말기부터 제정기에 걸쳐 대략 피레네 산맥・지중해・알프스 산맥・라인강・대서양으로 둘러싸인 지역을 가리키며, 그 대부분은 삼림 지대였다. 좁은 의미로는 "트란살피나 갈리아"는 갈리아 전쟁 이전에 로마의 속주였던 프랑스 남부를 가리킨다. 그보다 북쪽의 로마화되지 않았던 지역은 갈리아인의 장발 습관 때문에 '''코마타 갈리아'''(코마타/Gallia Comatala, 장발의 갈리아)라고 불렸다.
''게일''이라는 이름은 관련이 없다. 아일랜드어 단어 ''갈''은 원래 "골족 사람", 즉 골족의 주민을 의미했지만, 나중에 "외국인"으로 의미가 확대되어 바이킹을 묘사하고, 나중에는 노르만을 묘사했다.[11] 이분법적 단어 ''게일''과 ''갈''은 때때로 대조적으로 함께 사용되며, 예를 들어 12세기 책 ''코가드 가에델 레 갈라입''에서 사용된다.
형용사로, 영어에는 ''골족의''와 ''갈리아의'' 두 가지 변형이 있다. 두 형용사는 "골족 또는 골족에 속하는"이라는 의미로 동의어로 사용되지만, 한때 골족에서 사용되었던 켈트어군은 주로 골어로 알려져 있다.
3. 역사
4세기에는 갈리아 남부에 서고트 왕국이 성립되었다. 서로마 제국도 4세기 중반에는 오도아케르에게 정복되었다.
3. 1. 로마 이전 시대
갈리아 지역에 거주했던 사람들에 대한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아, 동전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전부이다. 따라서 갈리아 초기 역사는 고고학, 고고유전학, 언어학적 연구를 통해 파악해야 하며, 이들 간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다.[12]
기원전 5세기에서 4세기에 라 테네 문화가 급속히 확산되기 전, 프랑스 동부와 남부 지역은 청동기 시대 Urnfield 문화(기원전 12~8세기)의 영향을 받았으며, 여기서 초기 철기 시대 할슈타트 문화(기원전 7~6세기)가 발전했다. 기원전 500년경에는 알프스 산맥과 극서북부를 제외한 프랑스 대부분 지역에 할슈타트 문화가 널리 퍼졌다.
이러한 할슈타트 문화를 바탕으로 기원전 7세기와 6세기에 라 테네 문화가 등장했는데, 이는 초기 대륙 켈트족 문화를 대표하며 고대 그리스, 페니키아, 에트루리아 문명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라 테네 문화는 센 강, 중앙 라인 강, 상부 엘베 강 유역의 초기 중심지에서 확산되어 기원전 5세기 말에는 갈리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라 테네 문화는 철기 시대 후기(기원전 450년~기원전 1세기 로마 정복)에 프랑스뿐 아니라 스위스, 북부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남부 독일, 보헤미아, 모라비아, 슬로바키아, 헝가리에서도 번성했다.
최근 고고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기원전 1300년부터 800년까지 청동기 시대에 남부 영국으로 이주가 있었으며, 이들은 갈리아인들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웠다. 연구자들은 이를 "초기 켈트어가 영국으로 확산된 가능한 매개체"라고 설명한다.[12]
갈리아의 켈트족에 대한 초기 정보는 아파메이아의 포세이도니오스의 저작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티마게네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스트라보 등에 의해 인용되었다.[13]
기원전 4세기와 3세기 초, 갈리아 부족 연합은 로마 갈리아 지역을 넘어 판노니아, 일리리아, 북부 이탈리아, 트란실바니아, 소아시아까지 확장되었다. 기원전 2세기까지 로마인들은 알프스 너머 갈리아와 알프스 이남 갈리아를 구분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 전기''에서 갈리아의 세 민족, 즉 북부의 벨가이, 중앙 및 아르모리카의 켈트족, 남서부의 아키타니족을 구별했다. 일부 학자들은 솜 강 북쪽의 벨가이가 켈트족과 게르만족의 혼합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들의 민족적 소속은 불분명하다.
갈리아인 외에도, 마실리아 등지에 거점을 둔 그리스인, 페니키아인과 같은 다른 민족들도 갈리아에 거주했다.[14] 또한, 프랑스 남동부 지중해 연안의 리구리아인은 켈트족과 융합하여 켈토-리구리아 문화를 형성했다.
3. 2. 로마와의 접촉 및 정복
2세기 기원전 지중해 지역의 갈리아는 광범위한 도시 구조를 갖추고 번성했다. 고고학자들은 아바리쿰(부르주), 케나붐(오를레앙), 아우트리쿰(샤르트르)과 손에루아르의 오텡 근처에서 발굴된 비브락테 유적 등 북부 갈리아의 도시들과 전쟁 시에 사용되었던 여러 언덕 요새(오피둠)들을 발견했다.[15] 지중해 지역 갈리아의 번영은 마실리아 주민들의 도움 요청에 로마가 응답하도록 만들었는데, 마실리아는 리구레스족과 갈리아족의 연합 공격을 받고 있었다.[15] 로마는 기원전 154년과 기원전 125년에 갈리아에 개입했다. 첫 번째 개입에서는 왔다가 갔지만, 두 번째 개입에서는 머물렀다.[15] 기원전 122년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는 알로브로게스족(살루비족의 동맹)을 물리쳤고, 이듬해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는 알로브로게스를 지원하기 위해 온 아르베르니족의 왕 비투이투스가 이끄는 군대를 "파괴"했다.[15] 로마는 마실리아가 영토를 유지하도록 허용했지만, 정복한 부족의 영토를 자국의 영토에 추가했다.[15] 그 결과, 로마는 피레네 산맥에서 하부 론 강까지, 그리고 동쪽으로 론 계곡을 따라 제네바 호수까지 뻗어 있는 지역을 통제하게 되었다.[15] 기원전 121년까지 로마는 "프로빈시아"(나중에 "갈리아 나르보넨시스"로 명명)라고 불리는 지중해 지역을 정복했고, 이는 갈리아 아르베르니족의 우세를 뒤흔들었다.
로마의 집정관이자 장군인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기원전 58년 군대를 갈리아로 이끌었는데, 표면적인 이유는 로마의 갈리아 동맹국들을 이주하는 헬베티족으로부터 돕기 위해서였다. 다양한 갈리아 부족(예: 아에두이족)의 도움으로 그는 갈리아의 거의 전부를 정복하는 데 성공했다. 비록 갈리아 부족들의 군사력은 로마인만큼 강력했지만, 그들 사이의 내부 분열은 카이사르에게 쉬운 승리를 안겨주었다. 베르킨게토릭스가 로마의 침략에 대항하여 갈리아를 통일하려는 시도는 너무 늦었다.[16][17]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 중부에 있는 요새 도시인 게르고비아 포위전에서 베르킨게토릭스에게 제압당했다. 카이사르와 많은 갈리아 부족 간의 동맹은 깨졌다. 심지어 가장 충실한 지지자였던 아에두이족조차 아르베르니족과 운명을 함께했지만, 변함없이 충성스러운 레미족(기병대로 가장 유명)과 린고네스족은 카이사르를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보냈다. 우비족의 게르만족 또한 기병대를 보냈으며, 카이사르는 그들에게 레미족 말을 장비시켰다. 카이사르는 알레시아 전투에서 베르킨게토릭스를 포획했는데, 이 전투로 로마에 대한 갈리아의 대부분의 저항이 종식되었다.
갈리아 전쟁 동안 백만 명(아마도 갈리아인의 5분의 1)이 사망했고, 또 다른 백만 명이 노예로 잡혔으며,[18] 300개 부족이 정복당했고 800개의 도시가 파괴되었다.[19] 아바리쿰(부르주) 시의 전체 인구(총 4만 명)가 학살되었다.[20]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헬베티족(스위스)에 대한 원정 이전에, 헬베티족은 263,000명이었지만, 그 이후에는 100,000명만 남았고, 대부분은 카이사르가 노예로 삼았다.[21]
가장 먼저 로마의 속주가 된 "갈리아"는 '''갈리아 키살피나'''로, 알프스 산맥의 남쪽에서 루비콘 강, 아펜니노 산맥의 북쪽 지역이었다.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갈리아 키살피나는 본토 이탈리아에 편입되어, 이후 "갈리아"라고 불리지 않게 되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지역으로서의 갈리아"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로마가 알프스 서쪽에 설치한 속주는 '''가리아 트란살피나'''였으며, 로마의 속주로서의 "가리아 트란살피나"는 카이사르의 갈리아 원정(갈리아 전쟁) 이전에 로마 지배하에 있던, 지중해 연안의 현재 남프랑스에 해당하는 지역이었다. 나르본을 중심으로 한 이 지역에는 그리스인이 많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히스파니아로 가는 길"이라고 불리는, 로마에게 중요한 지역인 이베리아 반도로 가는 회랑이었다.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이 속주는 '''가리아 나르보넨시스'''로 이름이 바뀌었다. 가리아 키살피나와의 습속의 차이로, '''가리아 브라카타'''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로마의 속주였기 때문에, 현재의 프로방스 지방의 이름이 유래되었다.
기원전 58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프로콘술 (집정관 대리)로서 갈리아 키살피나와 갈리아 트란살피나의 속주 총독으로 임명되었으며, 이후 여러 원정 (갈리아 전쟁, 기원전 58년 - 기원전 51년)에서 북진하여 "갈리아"의 거의 전 지역을 제압하고 로마의 속주로 편입했다. 카이사르가 갈리아 전쟁에 관해 저술한 『갈리아 전기』에 따르면, 갈리아는 "켈트족", "벨가이족", "아키타니아족"의 거주지로 3분된다. 로마 제정기에는 이 생각을 바탕으로 3개의 속주가 설치되었다.
3. 3. 로마 속주 시대
갈리아가 로마의 속주 집합인 ''갈리아''로 흡수된 후, 그 주민들은 점차 로마 문화의 여러 측면을 받아들이고 동화되어 독특한 갈로-로마 문화를 이루었다.[22] 212년 안토니누스 칙령에 의해 모든 사람에게 시민권이 부여되었다. 3세기 위기부터 5세기까지 갈리아는 프랑크족의 침략을 받았다. 갈리아, 브리타니아, 히스파니아의 속주로 구성된 갈리아 제국은 남부의 평화로운 바이티카를 포함하여 260년부터 273년까지 로마에서 이탈했다. 갈리아는 많은 원주민 외에도 일부 다른 지역 출신의 로마 시민들과 알란족과 같은 이주해 온 게르만 및 스키타이 부족들의 고향이 되었다.[23]
주민들의 종교적 관습은 로마와 켈트 관습의 조합이 되었고, 코바누스와 에포나와 같은 켈트 신들은 해석 로마나la에 종속되었다.[24][25] 황제 숭배와 동방의 비밀 종교 또한 추종자를 얻었다. 결국, 기독교가 제국의 공식 종교가 되고 이교가 억압된 후, 서 로마 제국의 황혼기에 기독교가 승리했다. 작지만 주목할 만한 유대교 또한 자리를 잡았다.
갈리아어는 지역의 물질 문화가 상당 부분 로마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에서 6세기까지 살아남았던 것으로 여겨진다.[26]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갈리아어의 마지막 기록[26]은 오베르뉴에서 기독교인들이 "갈리아어로 바소 갈라테라고 불리는" 이교 신전을 파괴한 사건과 관련된 것이다.[27] 라틴어와 공존하면서 갈리아어는 프랑스어로 발전한 속 라틴어 방언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28][29][30][31][32]
갈리아 지역의 속 라틴어는 뚜렷한 지역적 특성을 띠게 되었고, 일부는 낙서에서 증명되었으며,[32] 프랑스어를 포함한 갈로-로망스어 방언으로 발전했다. 기저 언어의 영향은 특히 갈리아어에서 이전에 발생했던 변화와 일치하는 음운 변화를 보여주는 낙서에서 볼 수 있다.[32] 갈리아 북부의 속 라틴어는 오일어와 프랑코-프로방스어로 발전했으며, 남부의 방언은 현대의 옥시탄어와 카탈루냐어로 발전했다. "갈로-로망스어"로 간주되는 다른 언어로는 갈로-이탈리아어와 레토로망스어가 있다.
가장 먼저 로마의 속주가 된 "갈리아"는 '''갈리아 키살피나'''로, 알프스 산맥의 남쪽에서 루비콘 강, 아펜니노 산맥의 북쪽 지역이었다.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갈리아 키살피나는 본토 이탈리아에 편입되어, 이후 "갈리아"라고 불리지 않게 되었다.
로마가 알프스 서쪽에 설치한 속주는 '''가리아 트란살피나'''였으며, 로마의 속주로서의 "가리아 트란살피나"는 카이사르의 갈리아 원정(갈리아 전쟁) 이전에 로마 지배하에 있던, 지중해 연안의 현재 남프랑스에 해당하는 지역이었다. 나르본(나르보)을 중심으로 한 이 지역에는 그리스인이 많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로마에게 중요한 지역인 이베리아 반도로 가는 회랑이었다.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이 속주는 '''가리아 나르보넨시스'''(나르보넨시스)로 이름이 바뀌었다. 로마의 속주였기 때문에, 현재의 프로방스 지방의 이름이 유래되었다.
프랑스 북부와 중부에는 좁은 의미의 "켈트인(갈리아인)"이 거주한다고 하며, '''갈리아 켈티카''' 또는 '''갈리아 코마타'''라고 불렸다. 그 대부분은 로마 제정기에는 리옹(루그두눔)을 중심으로 하는 속주 '''갈리아 루그두넨시스'''(루그두네넨시스)에 편입되어 로마 문명의 수용 중심지가 되었다.
켈트계 및 게르만계 구분이 불분명한 "벨가에인"이 거주했다고 전해지며, 벨기움이라고도 불린 지역에는 로마의 속주 '''갈리아 벨기카'''가 설치되었다. 현재의 프랑스 북부에서 벨기에 주변에 해당한다.
아퀴타니아인이 거주했다고 전해지는 프랑스 남서부는 아키타니아라고 불리며 갈리아의 일부로 여겨졌다. 로마화 이전에는 가론 강의 남부를 가리켰지만, 속주로서의 '''갈리아 아퀴타니아'''는 가론 강보다 북쪽으로 크게 넘어 설치되었다. 현재의 아키텐 지역에 해당한다.
제정 로마 시대의 갈리아는 때때로 로마의 지배에 대한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지만, 대체로 평온을 유지하며 세수 면에서 제국을 지탱했다. 갈리아에는 로마 문명이 침투하여 "로마화"가 가장 침투한 지역 중 하나로 손꼽혔으며, 독자적인 갈로-로마 문화를 형성했다. 갈리아어는 늦어도 4세기까지는 사어가 되었다. 현재 유럽의 도시 중 일부(예: 쾰른)는 이 시기에 건설된 로마식 도시를 기원으로 한다. 그 후 게르만족의 한 파인 프랑크족이 유입되어 갈리아인의 영향을 받아 갈리아화되었다.
3. 4. 프랑크 왕국 시대
486년 수아송 전투, 507년 부예 전투, 532년 오툉 전투에서 프랑크족이 승리한 후, 갈리아(브르타뉴와 셉티마니아 제외)는 최초의 프랑크 왕인 메로빙 왕조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로마 제국 통치 하의 갈리아의 로마화된 문화인 갈로-로마 문화는 옥시타니아, 갈리아 키살피나 지역과 아키텐에서 특히 지속되었다. 한때 프랑크족이 점령했던 갈리아 북부의 로마화된 지역은 대신 메로빙거 문화로 발전했다. ''res publica''의 공공 행사와 도시 생활의 문화적 책임, 그리고 자급자족형 농촌 빌라 시스템의 때로는 호화로운 생활에 초점을 맞춘 로마의 삶은 갈로-로마 지역에서 붕괴되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렸으며, 서고트족은 5세기 초에 대체로 현 상태를 물려받았다. 갈로-로마어는 프랑크족이 북쪽과 동쪽에 위치한 실바 카르보나리아에서 효과적인 문화적 장벽을 형성하고 북서쪽의 루아르 하류 계곡에서 지속되었으며, 그곳에서 갈로-로마 문화는 투르와 같은 도시에서 프랑크 문화와 교류했고, 투르의 그레고리와 같은 갈로-로마 주교가 메로빙거 왕족과 대립했다.
3세기 무렵부터 로마의 갈리아 지배는 흔들리기 시작했다. 게르만 계통의 프랑크족이나 알라만니족의 세력이 점점 확대되는 가운데, 260년에는 로마의 동방에서 에데사 전투가 발생하여 로마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에 군대를 주둔시킬 수밖에 없게 되었다. 로마는 더 이상 지방을 유지할 힘이 없어, 제국 내에는 여러 개의 반독립 지역이 출현했고, 갈리아에서도 한때 갈리아 제국이 성립되었다. 274년에 일단 로마에 재통합되었지만, 이러한 움직임은 일반 서민에게 혼란을 가져다줄 뿐이었고, 빌라는 버려지고 농민은 보호를 구하며 콜로누스로 전락해 갔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코로나투스를 지배하며 힘을 키운 호족이 훗날의 갈리아 원로원 귀족으로 이어졌다.
4세기에는 갈리아 남부에 서고트 왕국이 성립되었다. 서 로마 제국도 4세기 중반에는 오도아케르에게 정복되었다.
4. 지리
지리상의 개념으로서 "갈리아"의 기원은 기원전 4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탈리아 반도 북부에 밀려와 정착한 부족 집단을 로마인들은 "'''갈리아인'''"(갈리/Gallila)이라고 불렀으며, 갈리아인이 거주하는 이탈리아 반도 북부가 "'''갈리아'''"(갈리아/Galliala)라고 불리게 된 것이 시작이다. 로마인들이 영토를 확장함에 따라, 갈리아인과 같은 계통의 여러 부족이 알프스 산맥 서쪽과 북쪽에도 다수 살고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그 지역들도 "갈리아"에 포함되게 되었다. 이윽고 이탈리아 반도 북부는 로마에 제압되어 속주가 되었다.
이탈리아 반도 북부는 '''키살피나 갈리아'''(키살피나/Gallia Cisalpinala, 알프스 이쪽의 갈리아) 또는 '''시테리오르 갈리아'''(Gallia Citeriorla, 이쪽의 갈리아)라고 불렸다. 로마화가 진행된 후에는 '''토가타 갈리아'''(토가타/Gallia Togatala, 토가를 입은 = "순수한 로마의" 갈리아)라고도 불렸다. 이 지역은 로마 제정 초기에는 본토 "이탈리아"에 편입되어 "갈리아"에서 제외되었다.
이에 반해, 알프스 서쪽・북쪽의 갈리아는 '''트란살피나 갈리아'''(트란살피나/Gallia Transalpinala, 알프스 저쪽의 갈리아) 또는 '''울테리오르 갈리아'''(Gallia Ulteriorla, 저쪽의 갈리아)라고 불렸다. 이 "갈리아"는 공화정 말기부터 제정기에 걸쳐 대략 피레네 산맥・지중해・알프스 산맥・라인강・대서양으로 둘러싸인 지역을 가리키며, 그 대부분은 삼림 지대였다. 현재 "갈리아"라고 불리는 것은 이 지역인 경우가 많다. 좁은 의미로는 "트란살피나 갈리아"는 갈리아 전쟁 이전에 로마의 속주였던 프랑스 남부를 가리킨다. 그보다 북쪽의 로마화되지 않았던 지역은 갈리아인의 장발 습관 때문에 '''코마타 갈리아'''(코마타/Gallia Comatala, 장발의 갈리아)라고 불렸다.
5. 갈리아 부족
갈리아에서는 켈트족과 게르만족이 혼거했다고 생각되며, 단순히 "갈리아인"이라고 해도 어느 쪽에 속하는지 엄밀하게 구별하기 어려운 부족도 적지 않다.
6. 종교
갈리아인들은 애니미즘 형태를 실천하여, 호수, 시냇물, 산 및 기타 자연물에 인간의 특성을 부여하고 준 신성한 지위를 부여했다.[34] 동물 숭배도 드물지 않았으며, 갈리아인들에게 가장 신성한 동물은 멧돼지였는데, 이는 로마의 독수리처럼 많은 갈리아 군사 깃발에서 발견된다.[34]
그들의 신과 여신 체계는 느슨했는데, 거의 모든 갈리아인이 숭배하는 특정 신들과 씨족 및 가신이 있었다. 주요 신들의 대부분은 그리스 신들과 관련이 있었는데, 카이사르가 도착했을 당시 숭배된 주요 신은 테우타테스였으며, 이는 헤르메스의 갈리아식 대응 신이었다. 갈리아인들의 "조상신"은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그의 저서 ''갈리아 전기''에서 로마 신 디스 파테르와 동일시했다.[35]
갈리아 종교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드루이드의 수행일 것이다. 드루이드는 숲이나 조잡한 사원에서 행해진 인간 또는 동물 희생을 주재했다. 그들은 또한 연간 농업 달력을 보존하고, 음력-태양력의 주요 시점에 해당하는 계절 축제를 시작할 책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드루이드의 종교적 관행은 혼합적이었으며, 이전 이교도 전통에서 차용되었으며, 아마도 인도유럽어족의 뿌리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그의 갈리아 전쟁에서 드루이드교를 면밀히 연구하려는 켈트족이 이를 위해 브리튼으로 갔다고 언급한다. 그나이우스 율리우스 아그리콜라는 로마 군대가 웨일스의 앵글시에 있는 큰 드루이드 성소를 공격했다고 언급한다.[36] 드루이드의 기원에 대해서는 확실한 것이 없지만, 그들이 격렬하게 그들의 조직의 비밀을 지키고 갈리아 백성을 지배했음은 분명하다. 그들은 전쟁과 평화의 문제를 결정할 권리를 주장했고, 이로써 "국제적인" 지위를 가졌다. 또한, 드루이드는 일반 갈리아인의 종교를 감시하고 귀족 교육을 담당했다. 그들은 또한 고대 갈리아에서 세속 사회로부터의 분리를 의미하는 신자들의 집회로부터의 파문 형태를 실천했다.[36] 고대 갈리아 영토의 대부분에서 브르타뉴를 제외하고 켈트어가 거의 완전히, 그리고 신비하게 사라진 것은 켈트 드루이드가 켈트 구술 문학이나 전통 지혜를 문자로 기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36]
7. 대중문화
1950년대부터 르네 고시니와 알베르 우데르조가 합작하여 만든 아스테릭스는 갈리아 지방을 배경으로 하는 만화이다.
참조
[1]
문서
IPAc-en
[2]
서적
"A Grammar of Ancient Geography: Compiled for the Use of King's College School"
https://archive.org/[...]
Hansard London 1832
2014-09-21
[3]
웹사이트
Gaul
https://www.worldhis[...]
World History Encyclopedia
2011-04-28
[4]
문서
"The Etymologies of Isidore of Sevil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Gerlyver Sempel
http://www.howlsedhe[...]
2016-12-31
[6]
문서
La langue gauloise
éditions Errance
[7]
간행물
"Die Herkunft des Namens La Gaule"
[8]
간행물
Le nom de "Gaule"
[9]
문서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Etymology
OUP
[10]
문서
Nouveau dictionnaire étymologique et historique
Larousse
[11]
서적
The Medieval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
논문
Large-scale migration into Britain during the Middle to Late Bronze Age
2021
[13]
서적
"The Celts: A History"
Caroll & Graf
[14]
서적
Archaeologies of Colonialism: Consumption, Entanglement, and Violence in Ancient Mediterranean France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10
[15]
문서
[16]
웹사이트
France: The Roman conquest
http://global.britan[...]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04-06
[17]
웹사이트
Julius Caesar: The first triumvirate and the conquest of Gaul
http://global.britan[...]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02-15
[18]
문서
Caesar 22
[19]
서적
50 Great Military Leaders of All Time
https://books.google[...]
Vij Books India Pvt Ltd
2016
[20]
웹사이트
Julius Caesar, Romans [The Conquest of Gaul – part 4 of 11] (Photo Archive)
http://sights.seinda[...]
2003-08-28
[21]
서적
Fear of slaves, fear of enslavement in the ancient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Presses Univ. Franche-Comté
2017-01-08
[22]
문서
Becoming Roman: The Origins of Provincial Civilization in Gaul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서적
Merovingian Military Organization, 481–751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1972
[24]
서적
Gallo-Roman Bronzes and the Process of Romanization: The Cobannus Hoard
Brill
[25]
서적
Pagan Gods and Shrines of the Roman Empire
[26]
서적
Histoire de la langue française
Ellipses Edition Marketing S.A.
[27]
문서
Hist. Franc.
[28]
문서
"Sur le substrat gaulois dans la Romania"
[29]
문서
"Vers les sources des langues romanes: Un itinéraire linguistique à travers la Romania"
Acco
[30]
서적
Dictionnaire Français-Gaulois
La Différence
[31]
서적
The Celtic Languages in Contact
Potsdam University Press
[32]
서적
The Regional Diversification of Latin 200 BC – AD 600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33]
서적
The Gallic Wars
http://classics.mit.[...]
Harper
2017-01-08
[34]
서적
The Religion of the Ancient Celts
Clark
2017-01-08
[35]
서적
World of Myths, Vol. 1
https://books.google[...]
British Museum
2017-01-08
[36]
서적
The Druids: A Study in Keltic Prehistory
Barnes & Noble
196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