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갈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족은 4세기 중국에서 활동했던 민족으로, 정확한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언어는 튀르크어족, 예니세이어족, 인도유럽어족 등 다양한 가설이 있으며, 6세기 기록에 따르면 갈족은 산시성 위서현 지역에 거주했다. 319년 석륵이 흉노의 전조로부터 독립하여 후조를 건국했으나, 석호의 폭정과 염민의 반란으로 멸망했다. 이후 갈족은 역사에서 거의 사라졌으며, 불교를 숭상하고 조로아스터교의 흔적도 보이는 등 다양한 종교적 특징을 나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흉노 - 훈육
    훈육은 고대 중국 역사서에 등장하는 유목민족 명칭으로, 흉노와의 관계에 대해 학계에서 논쟁이 있으며, 흉노의 다른 이름, 전신 또는 관련 부족, 별개의 민족 등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고, 명칭의 연관성 및 역사적 위치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흉노 - 험윤
    험윤은 서주 시대부터 한나라 시대에 걸쳐 중국 북방에 존재했던 유목 민족으로, 주나라를 위협하며 잦은 충돌을 일으켰고, 진나라 시기에는 북쪽으로 이동했으며, 흉노의 선대 민족으로 여겨지기도 하고, 청동기 문화를 사용하며 전차를 활용한 군사적 움직임을 보였으며, 고조선과 부여를 포함한 한반도 국가에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중국의 고대 민족 - 흉노
    흉노는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동아시아 스텝 지역에서 활동한 유목민족 연맹 또는 제국으로, 묵돌 선우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한나라와의 전쟁과 내분으로 멸망했으며, 민족 및 언어적 기원은 불분명하고 유목 생활에 기반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고대 민족 - 쿠차
    쿠차는 타림 분지의 고대 오아시스 도시 국가로, 실크로드 교역 중심지이자 토하라인 거주지였으며, 다양한 민족 교류와 불교 번성으로 독특한 문화를 이루었으나 13세기 이후 쇠락했고, 현재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속한다.
갈족
개요
민족명갈족 (羯族)
언어갈어
지역후조
역사
주요 활동 시기후조 시대
민족 기원흉노의 일파
강족의 일파
월지
문화
종교조로아스터교, 불교
언어 상태한족에 동화

2. 명칭

갈족이라는 명칭에 관해서는, 『위서』 열전 제83에서 "그 선조는 흉노의 별부이며, 분산되어 상당 무향의 갈실에 살았으므로, '''갈호'''라고 불렀다"라고 기록되어 있고, 『진서』 재기 제4(석륵재기 상)에서는 "그 선조는 흉노의 별부인 흉노의 족속인 강거의 후손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처럼, 과거 남흉노에 속했던 강거족의 자손이 상당군무향현의 갈실이라는 지역으로 이주했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다.[21]

우치다 긴푸는 "갈은 중국인들이 붙인 멸칭이며, 그들이 갈실에 살았기 때문에, 거기에 연유하여 갈(거세한 양)이라는 의미를 포함하여 갈이라고 불렀다"라고 주장했다. E. G. Pulleyblank는 "갈은 예니세이어로 돌을 의미하는 khes, kit의 음역이며, 석씨의 석은 그 의역일 가능성이 높고, 반대로 갈실은 그들이 이주했기 때문에 붙여진 지명이다"라고 주장했다.[23]

이후 갈은 흉노 및 이민족을 가리키는 대명사가 된다(갈고).

3. 역사

갈족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오호 십육국 시대 후조의 건국자인 석륵으로부터 시작한다. 석륵은 흉노계 국가인 전조의 황제 유요 휘하의 장수였으나, 세력이 커지면서 유요의 의심을 받았다. 319년, 석륵은 반란을 일으켜 후조를 건국하고, 동진 군대를 격파하며 화북 대부분을 정복하였다. 그러나 석륵 사후 후조는 혼란에 빠졌고, 350년염민염위를 건국하고 갈족 섬멸을 명령하면서 쇠퇴하였다.[22] 이후 갈족은 중국 역사에 거의 등장하지 않지만, 남북조 시대의 이주영이 '계호', 후경이 '강호'라고 불린 점으로 미루어 갈족과의 관련성이 제기되기도 한다.[22]

3. 1. 후조 건국과 멸망

후조의 건국자인 석륵은 본래 흉노계 국가인 전조 황제 유요 휘하의 장수였다. 그러나 석륵의 세력이 커지면서 유요는 석륵을 의심하게 되었고, 결국 석륵이 보낸 부하를 죽였다. 이에 반발한 석륵은 319년 반란을 일으켜 후조를 건국했다.[14][22]

석륵은 후조 건국 이후 동진 군대를 격파하고 전조를 멸망시키면서 화북 대부분을 정복하였다. 그러나 석륵 사후, 그의 뒤를 이은 석홍은 석륵의 조카 석호에게 폐위당했다. 황위를 찬탈한 석호는 무리한 원정과 폭정으로 민심을 잃었다.[14]

석호 사후 후조는 내부 권력 투쟁으로 혼란에 빠졌고, 결국 한족 장수 염민의 반란으로 멸망했다. 350년 경, 석호의 양손(養孫)이었던 염민은 염위를 건국하고 갈족 섬멸을 명령했다.[22] 그는 예에서 석씨 일족을 학살하고, 이름을 염민으로 바꾼 뒤 스스로 염위 황제라 칭했다.[15]

351년, 후조의 마지막 통치자 석지와 그 가족이 샹궈(襄國)(오늘날 허베이성 싱타이시)에서 학살당하며 왕조는 멸망했다.[15] 이후 갈족은 거의 사서에 등장하지 않으며, 세월이 흐르면서 자연히 한족과 동화된 것으로 추정된다.[14]

3. 2. 이후의 역사

후조의 건국자인 석륵은 본래 흉노계 국가인 전조황제였던 유요 휘하의 장수였다. 그러나 이후 석륵의 세력이 커지면서 유요는 석륵을 의심하게 되었고, 석륵이 보낸 부하 왕수를 죽였다. 이에 반발한 석륵은 반란을 일으켜 후조를 건국하고 동진군대를 격파하고 전조를 멸망시키면서 화북 대부분을 정복하였다. 그러나 석륵이 죽고 그의 뒤를 이은 석홍은 석륵의 조카였던 석호에게 폐위당했고, 석호는 무리한 원정과 폭정으로 민심을 잃었다. 석호가 죽은 이후 후조는 내부 권력 투쟁으로 혼란에 빠졌으며, 결국 한족 장수였던 염민의 반란으로 멸망했다. 이후 갈족은 거의 사서에 등장하지 않으며, 세월이 흐르면서 자연히 한족과 동화한 것으로 추정된다.[22]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대 역사에는 갈족 출신으로 추정되는 인물들이 여럿 있었다. 북위 시대의 반란군 개무는 남제서에 갈호(羯胡)로 묘사되어 있지만, 위서에는 그가 노수호 출신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남북조 시대의 유명한 군벌인 이자유와 후경은 각각 기호(契胡)와 갈호로 확인되었으며, 현대 학자들은 이들이 갈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추정한다.[16] 당나라의 반란군 안록산 역시 갈호로 불렸으며, 후진(936–947)을 통치했던 사타족 출신의 석중귀의 묘지명에 따르면, 석씨는 자신들이 석륵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17]

4. 기원

갈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 갈어가 튀르크어족[2][3] 혹은 예니세이어족[4]에 속했을 가능성이 제시된다. 중국학자 마크 에드워드 루이스는 갈족이 인도유럽어족 계통(아마도 이란어파)이라고 보았다.[13]

6세기 위서에 따르면, '갈(羯)'이라는 명칭은 갈족이 살았던 지에스(Jiéshì, 羯室, 현재 산시성 위서현) 지역에서 유래했다.[5][6]

진서에 따르면, 석륵의 조상은 여러 민족으로 구성된 흉노 부족의 일부인 '강거(羌渠)'였지만, 4세기에는 석륵과 그의 백성은 흉노와는 별개로 "잡호(雜胡; záhú)"로 분류되었다.[7] 에드윈 G. 풀리블랭크는 '강거'가 소그디아나의 강거를 나타낸다고 보았다.[1] 풀리블랭크는 그들이 토하라어족 계통일 가능성을 제기했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강거가 동이란계 민족으로 구성되었다고 본다. 일부는 석(石)과 갈(羯)이라는 이름을 소그드 도시국가인 석국(石國, 차치 차치 '저시' 赭時, 현재 타슈켄트)과 연결시켰다.

투르크-몽골계 바를라스 및 보르지긴 씨족( 징기스칸 및 티무르의 가문)의 씨족 이름은 키야트였는데, 이는 갈(羯)의 중국어 중고음 발음 /ki̯at/과 거의 같다.[1]

다른 학자들은 갈족이 오늘날 오비강예니세이강 사이에 사는 케트족과 관련된 고대 예니세이어족 부족이라고 주장한다. '갈(羯, ''jié'')' 자는 민남어에서는 ''/kiɛt̚/'', 광둥어에서는 ''/kʰiːt̚/'' 또는 ''/kiːt̚/'', 객가어에서는 ''/ciat̚/'', 일본어에서는 ''ketsu''로 발음되는데, 이는 고대 발음이 ''Ket (kʰet)''과 상당히 가까웠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알렉산더 보빈은 흉노가 예니세이어를 사용했으며, 이를 갈족과 연결시킨다고 주장한다.[11] 예니세이어족 중에서 갈어는 펌포콜어일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자료에서는 갈족을 소월지(''샤오 위에즈'' 小月氏)와 연결시키기도 한다.[12]

우치다 긴푸는 "갈은 중국인들이 붙인 멸칭이며, 그들이 갈실에 살았기 때문에 갈(거세한 양)이라는 의미를 포함하여 갈이라고 불렀다"라고 주장했다.[21]

5. 언어

진서』 「예술 열전」에는 후조의 불승 불도징이 말한 것으로 알려진 갈어가 기록되어 있다.

위 발언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즉, 갈어에서 "수지"는 군대, "체려강"은 나오다, "복곡"은 유요(전조의 황제)의 호위, "구독당"은 잡다라는 의미이다. 이 구절의 해석에는 여러 설이 있으며, 시라토리 구라키치(1900년)[27]나 구스타프 라메스테트(1922년)[28] 등은 튀르크어족 계통으로 번역을 제창하고 있다. 한편, 에드윈 풀리블랭크는 예니세이어족 계통이라고 주장했다.[23]

6. 종교

석륵과 석호는 모두 불교를 지지하여 구차 출신의 승려 불도징에게 정부 내에서 특권을 부여했다. 불교는 처음에는 정부 관료들에게만 제한되었지만, 종교가 일반인 사이에서도 점점 인기를 얻자 석호는 종교의 자유를 장려하며 자신의 백성들이 자신과 같은 "외국인"인 부처를 숭배할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 후조 시대에 불도징의 가르침이 퍼져나가 북중국에 많은 불교 사찰이 세워졌다.[18][19][20]

갈족은 화장을 행했는데, 이는 서역차치 시국에서 특히 흔한 풍습이었다. 학자들은 갈족이 소그디아조로아스터교를 믿었을 것이라고 추측하며, 예(鄴)에 "호천"(胡天)이라는 사당이나 제단이 있었는데, 이는 조로아스터교의 신 아후라 마즈다의 중국식 이름이라고 주장한다. 조로아스터교에서 불을 숭배하는 것을 근거로, 그들이 인용하는 또 다른 예는 석호가 천왕으로 즉위하는 의식에서 그의 궁궐에 세워진 거대한 등불이다.[18][19][20]

참조

[1] 학술지 The consonantal system of Old Chinese. Part II http://www2.ihp.sini[...] 2011-02-06
[2] 학술지 The Earliest Attested Turkic Language https://doi.org/10.2[...] 2015
[3] 간행물 ‘Lacuna filling’ in Old Turkic Runiform Inscriptions and Old Uyghur Texts http://dx.doi.org/10[...] De Gruyter 2024-08-27
[4]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5] 서적 魏書
[6] 서적 Nauka (publisher)
[7] 서적 Commercial Press
[8] 웹사이트 East Asian Studies 210 Notes: The Ket http://pandora.cii.w[...] 2009-10-09
[9] 웹사이트 The Ket People http://video.google.[...] 2009-10-09
[10] 문서 Vovin et al. "Who were the *Kjet" (羯) and what language did they speak?" Journal Asiatique 304.1 (2016): 125–144 [126–127]
[11] 학술지 Did the Xiongnu speak a Yeniseian language?
[12] 문서
[13] 학술지 《后赵羯胡为流寓河北之并州杂胡说》 2008
[14] 서적 The Buddhist Conquest of China https://books.google[...]
[15] 서적 The World of the Huns: Studies in Their History and Cultur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5-01-16
[16] 서적 Medieval Chinese Warfare 300–9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12-10
[17] 학술지 Ancestral Sites and Lineages of the Later Tang (923–936) and the Later Jin (936–947) Dynasties According to the Song Sources https://www.jstor.or[...] 2017
[18] 서적 《魏晋南北朝史论丛》 Commercial Press 2010
[19] 학술지 〈石赵政权与西域文化在中原的传播〉 2002
[20] 학술지 A 'Black Cult' in Early Medieval China: Iranian-Zoroastrian Influence in the Northern Dynasties https://www.jstor.or[...] 2017
[21] 문서 『北アジア史研究 匈奴篇』(1988年)
[22] 문서 Medieval Chinese Warfare 300-900 https://books.google[...]
[23] 문서 '"The Consenantal System of Old Chinese"'
[24] 문서
[25] 웹사이트 The Connection between Later Zhao and the West http://www.confucius[...]
[26] 학술지 Vovin et al. "Who were the *Kjet" (羯) and what language did they speak?" Journal Asiatique 304.1 (2016): 125-144. p. 126–127
[27] 문서 ''Uber die Sprache des Hiung-nu Stammes und der Tung-hu-Stdmme''(1900)
[28] 문서 "Zur Frage nach der Stellung des Tschuwassisch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