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그디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그디아는 기원전 10세기경 중앙아시아의 주요 오아시스를 중심으로 농경이 발달하면서 형성된 지역으로, 현재의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에 걸쳐 있었다. 아케메네스 제국, 알렉산드로스 제국, 헬레니즘 시대를 거치며, 실크로드 무역의 중심지로서 번성했다. 소그드인들은 상업, 문화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조로아스터교, 불교, 마니교 등 다양한 종교를 수용했다. 당나라 시대에는 중국 내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며 상인, 군인, 관리 등으로 활동했으나, 안사의 난 이후 쇠퇴했다. 소그드어는 동이란어에 속하며, 소그드 문자는 몽골 문자에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소그디아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일반 정보 | |
공식 명칭 | 소그디아, 소그디아나 |
언어 | 소그드어 |
언어 종류 | 언어 |
종교 | 조로아스터교 마니교 역사적 베다 종교 불교 이슬람교 네스토리우스 기독교 |
수도 | |
수도 | 사마르칸트 부하라 후잔트 케시 |
역사 | |
존속 기간 | 기원전 6세기 ~ 서기 11세기 |
통화 | |
통화 | 사산 제국 주화 모조품 중국 엽전 양쪽 혼합 주화 |
기타 | |
데모님 | 소그드인 |
2. 역사
기원전 10세기경 중앙아시아의 주요 오아시스를 따라 농경이 널리 퍼지면서 박트리아, 호라즘, 소그디아나 등지에 성벽을 갖춘 대규모 도시들이 형성되었다. 기원전 6세기경 아케메네스 조 페르시아의 속국이 되었다가 기원전 4세기경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정복되었다.
기원전 133년에서 129년 사이에는 대월지의 세력하에 들었다가, '쿠샨 세대'가 대두하면서 쿠샨의 영역에 속하게 되었다. 쿠샨 왕조 붕괴 후에는 사산 조 페르시아에 조공을 바쳤다. 5세기에는 몽골 초원에서 발흥하여 알타이 산맥을 넘어 온 에프탈에 강점되었다가, 6세기 중반 사산 조 페르시아와 튀르크(돌궐) 연합군에 의해 에프탈이 멸망하고, 이후 서돌궐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많은 이들이 서쪽으로 이동하였다.
역사적으로 기원전부터 서쪽으로는 페르시아나 알렉산드로스 대왕, 동쪽으로는 대월지, 쿠샨, 에프탈, 서돌궐 등의 지배를 받으며 소그디아나 지역에서는 동서 문화가 공존했고, 동서 교류의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소그드인들은 사마르칸트를 비롯한 여러 도시로 이루어진 연맹 국가 체제를 구축하고 있었다. 수당대 중국에서는 이 지역 사람들을 소무구성(昭武九姓)이라고 불렀으며, 중심 국가는 사마르칸트를 기반으로 하는 강국(康國)이었다.
소무구성은 에프탈의 뒤를 이어 소그디아나가 돌궐과 상생 관계를 형성하면서 동서 교역의 주요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소그드인들은 중국에서 교역에 종사하였고, 중국 기록에서는 이들을 '호상'(胡商)이라고 불렀다.[250]
7세기 중반 아랍의 침공을 받고 8세기 중반 압바스 왕조에 의해 완전히 복속, 이슬람화되었다.[251]
2. 1. 고대
기원전 10세기경, 중앙아시아의 주요 오아시스를 따라 농경이 널리 퍼지면서 박트리아, 호라즘, 소그디아나 등지에 성벽을 갖춘 큰 도시들이 만들어졌다. 기원전 6세기경에는 아케메네스 조 페르시아의 속국이 되었다가 기원전 4세기경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정복되었다.[8][9]
아케메네스 제국의 통치자 키루스 2세는 기원전 546년에서 539년 사이에 중앙 아시아 원정 중 소그디아를 정복했다.[9] 다리우스 1세는 소그디아인을 정규 병사 및 기병으로 자신의 상비군에 편입시키는 것 외에도 아람 문자 체계와 주화 통화를 중앙아시아에 도입했다.[167] 소그디아는 다리우스의 베히스툰 비문에도 기록되어 있다.[10][11][223] 소그디아 병사 부대는 기원전 480년 크세르크세스 1세의 그리스 침공 당시 주력 부대에서 싸웠다.[223][12] 수사의 페르시아 비문에는 그곳의 궁전이 소그디아에서 유래한 청금석과 홍옥수로 장식되었다고 주장한다.[223]

페르시아 통치 기간 동안 소아시아의 서쪽 절반은 그리스 문명의 일부였다. 아케메네스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하면서 끊임없는 저항과 반란에 직면했다. 그들의 해결책 중 하나는 반란 지역을 민족적으로 정화하여 살아남은 사람들을 제국의 먼 변두리로 이주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소그디아는 상당한 그리스인 인구를 갖게 되었다.
역사적 기록에서 소그디아에 대한 명명된 사트라프(아케메네스 제국 지방 총독)가 없다는 점을 감안할 때, 현대 학자들은 소그디아가 인근 박트리아의 사트라피에서 통치되었다고 결론 내렸다.[13] 소그디아는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의 통치 기간인 기원전 400년경까지 페르시아의 지배하에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14] 페르시아 제국의 반란 주들은 약한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를 이용하여 이집트 제28왕조와 같은 일부 주들은 독립을 되찾을 수 있었다. 페르시아의 중앙 아시아 영토 대량 상실은 통치자의 통제 부족에 기인한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페르시아 제국에 의해 즉시 다시 점령된 이집트와는 달리 소그디아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정복될 때까지 독립을 유지했다. 페르시아 제국 침공 당시, 이미 독립적인 호라즘의 왕인 파라스마네스는 마케도니아인과 동맹을 맺고 기원전 329년 흑해 지역의 스키타이인과의 전쟁을 위해 알렉산드로스에게 군대를 보냈다(비록 이 예상된 캠페인이 실제로 이루어지지는 않았지만).[14]
아케메네스 시대(기원전 550~330년) 동안 소그디아인들은 인근의 월지와 마찬가지로 유목민으로 살았는데, 월지족은 소그디아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도이란어족에 속하는 박트리아어를 사용했고,[15] 이미 육상 무역에 종사하고 있었다. 그들 중 일부는 또한 점차적으로 토지에 정착하여 농업에 종사했다.[16] 월지족이 옥을 중국 황제에게 조공으로 바쳤던 것처럼, 소그디아인들은 페르시아 기록에서 페르시아의 만왕의 왕인 다리우스 1세에게 청금석과 홍옥수의 귀중한 선물을 바쳤다고 기록되어 있다.[16] 소그디아인들은 때때로 독립적이었고 대제국의 경계 밖에서 살았지만, 중앙 및 남아시아에 쿠샨 제국(서기 30~375년)을 세운 월지족처럼 자신들만의 위대한 제국을 결성하지는 않았다.[16]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전쟁,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아시아 원정 연대기, 헬레니즘 시기에, 독립적이고 호전적인 소그디아는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를 북쪽과 동쪽의 유목민족인 스키타이로부터 보호하는 국경 지역을 형성했다.[17] 처음에는 박트리아의 아케메네스 왕조 사트라프였던 베소스가 이끌었다. 베소스는 마케도니아 그리스 군대에서 도망가던 중 다리우스 3세를 암살한 후,[18][19] 아케메네스 왕조의 왕위를 주장했다. 소그디아의 요새인 소그디아 바위 또는 아리아마제스 바위는 기원전 327년에 마케도니아 그리스의 ''바실레우스''이자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제국을 정복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20] 박트리아의 소그디아 귀족 옥시아르테스는 딸 록사나를 소그디아 바위 요새에 안전하게 지키려 했지만, 요새가 함락된 후 록사나는 알렉산드로스의 여러 부인 중 한 명으로 그와 곧 결혼했다.[21] ''로샤낙''이라는 이름이 "작은 별"을 의미하는 소그디아 출신 록사나[22][23][24]는 알렉산드로스 4세의 어머니였으며, 알렉산드로스 4세는 기원전 323년에 사망한 아버지의 왕위를 계승했다(하지만 제국은 곧 디아도코이 전쟁으로 분할되었다).[25]
소그디아의 저항을 진압하고 마케도니아 출신 퇴역 군인들이 배치된 군사 전초 기지를 건설하는 장기간의 원정 이후, 알렉산드로스는 소그디아와 박트리아를 하나의 사트라피로 통합했다. 소그디아 귀족이자 군벌인 스피타메네스(기원전 370~328년)는 스키타이 부족과 동맹을 맺고 알렉산드로스의 군대에 반란을 일으켰다. 이 반란은 알렉산드로스와 그의 장군 아민타스, 크라테루스, 코이노스가 박트리아와 소그디아 원주민 군대의 도움을 받아 진압했다.[26] 스키타이와 소그디아 반군이 패배하자 스피타메네스는 그의 아내에게 배신당해 참수되었다고 한다.[27] 록사나와의 결혼에 따라 알렉산드로스는 추가적인 반란을 막기 위해 부하들에게 소그디아 여성과 결혼하도록 장려했다.[21][28] 여기에는 반군 스피타메네스의 딸 아파마가 포함되었는데, 아파마는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결혼하여 셀레우코스 왕조의 왕위 계승자를 낳았다.[29] 로마 역사가 아피아노스에 따르면 셀레우코스 1세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아시아에 세 개의 새로운 헬레니즘 도시의 이름을 지었다(''아파메이아'' 참조).[29][30]
소그디아의 군사력은 회복되지 못했다. 그 후 소그디아는 헬레니즘 그레코-박트리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는데, 이 왕국은 기원전 248년에 디오도토스 1세가 건국한 셀레우코스 제국으로부터 분리된 국가로 약 1세기 동안 존재했다.[31][32] 소그디아의 전 사트라프였던 에우튀데모스 1세는 그레코-박트리아 왕위를 놓고 경쟁하며 소그디아 영토를 장악했던 것으로 보이며, 고대 그리스 주화는 나중에 현지에서 복제되어 아람어 비문을 담고 있었다.[33] 그레코-박트리아 왕 에우크라티데스 1세는 소그디아의 주권을 일시적으로 회복했을 수도 있다.

결국 소그디아는 기원전 145년경 사카족이 그레코-박트리아 왕국을 점령하면서 유목민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곧이어 쿠샨의 선조인 월지족이 뒤따랐다. 그 후 기원전 40년경까지 월지족은 그레코-박트리아 왕 유크라티데스 1세와 헬리오클레스 1세의 이미지를 모방하고 유지한 주화를 주조했다.[37]
기원전 133년에서 129년 사이에는 대월지의 세력하에 들었다가, 월지 중에 이른바 '쿠샨 세대'가 대두하면서 다시 쿠샨의 영역에 속하게 되었다.
월지족은 기원전 126년 장건이 이끄는 중국 사절단의 방문을 트란스옥시아나에서 받았다.[38] 이 사절단은 흉노에 대항하기 위해 월지족과의 군사 동맹을 모색했다. 트란스옥시아나와 박트리아에서 1년을 보낸 장건은 《사기》에 상세한 기록을 남겼으며, 이는 당시 중앙아시아의 상황에 대한 상당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살해된 월지족 왕의 아들은 복수를 추구하기보다는 트란스옥시아나의 평화를 유지하려 했기에 동맹 요청은 거절되었다.

장건은 또한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서기 1세기부터 월지족은 소그디아에서 동인도에 이르는 지역을 포괄하는 강력한 쿠샨 제국으로 변모했다. 쿠샨 제국은 수익성이 높은 중앙아시아 상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통치자들의 얼굴을 새긴 독특한 주화를 주조하기 시작했다.[37] 그들은 특히 84년에 한나라 장군 반초와 동맹하여 카슈가르 왕의 반란을 지원하려던 소그디아에 대항하여 중국과 군사적으로 협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0]
쿠샨 왕조가 붕괴된 뒤에는 사산 조 페르시아에 조공을 바치기도 하였다. 한때 5세기 몽골 초원에서 발흥하여 알타이 산맥을 넘어 온 에프탈에 강점되었다가 6세기 중반 다시금 사산 조 페르시아와 튀르크(돌궐)의 연합군에 의해 567년 에프탈이 멸망하고, 이후 서돌궐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많은 이들이 서쪽으로 이동하였다.
역사적으로 기원전부터 서쪽으로는 페르시아나 알렉산드로스 대왕, 동쪽으로 대월지, 쿠샨, 에프탈, 서돌궐 등의 지배를 받으며 소그디아나 지역에서는 동서의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였고, 동서 교류의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2. 2. 중세
기원전 133년에서 129년 사이 대월지의 세력하에 들어갔다가, 월지 중 '쿠샨 세대'가 대두하면서 다시 쿠샨의 영역에 속하게 되었다. 쿠샨 왕조 붕괴 후에는 사산 조 페르시아에 조공을 바치기도 하였다. 5세기에는 몽골 초원에서 발흥하여 알타이 산맥을 넘어 온 에프탈에 강점되었다가, 6세기 중반 사산 조 페르시아와 튀르크(돌궐) 연합군에 의해 567년 에프탈이 멸망하고, 이후 서돌궐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많은 이들이 서쪽으로 이동하였다.[250]역사적으로 기원전부터 서쪽으로는 페르시아나 알렉산드로스 대왕, 동쪽으로는 대월지, 쿠샨, 에프탈, 서돌궐 등의 지배를 받으며 소그디아나 지역에서는 동서의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였고, 동서 교류의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소그디아나의 중심도시로 가장 발달했던 곳은 사마르칸트인데, 사마르칸트를 비롯한 여러 도시로 이루어진 연맹국가체제를 구축하고 있었다. 수당대 중국에서는 이 지역 사람들을 소무구성(昭武九姓)이라고 불렀으며, 중심 국가는 사마르칸트를 기반으로 하는 강국(康國)이었다. 소무구성 출현 이전부터 소그디아나 지역에 살던 선주민과 서쪽으로 옮겨온 월지국 사람들을 통칭하여 소그드인이라 부르기도 한다.
소무구성은 에프탈의 뒤를 이어 소그디아나가 돌궐과 상생 관계를 형성하면서 동서 교역의 주요 세력으로 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소그드인들은 중국에서 교역에 종사하였고, 중국 기록에서는 이들을 '호상'(胡商)이라고 불렀다.[250]
7세기 중반 아랍의 침공을 받고 8세기 중반 압바스 왕조에 의해 완전히 복속, 이슬람화되었다.[251]

우마이야 왕조는 750년 압바스 혁명으로 멸망하고 압바스 칼리파조가 들어섰다. 압바스 칼리파조는 751년 탈라스 강 (현재 탈라스주, 키르기스스탄)에서 중국 당나라와의 탈라스 전투에서 승리한 후 중앙아시아에서 빠르게 자리를 잡았다. 이 분쟁으로 중국의 제지술이 이슬람 세계에 전파되었다.[61] 이 전투의 문화적 결과와 정치적 파급 효과는 안서도호부가 중앙아시아에서 물러나는 것을 의미했다. 또한 부하라(현재 우즈베키스탄)를 중심으로 한 사만 왕조 (819–999)의 부상을 허용했는데, 사만 왕조는 명목상으로는 압바스 칼리파조를 주군으로 섬겼지만 상당한 자율성을 유지했고 소그드인들의 상업적 유산을 지켰다.[61] 그러나 소그드어는 페르시아어를 구사했던 사만 왕조(현대 타지크어의 조상)에 밀려 점차 쇠퇴했으며, 페르도우시 (940–1020)와 같은 시대의 유명한 시인과 지식인들이 사용했다.[61] 소그드인들의 원래 종교였던 조로아스터교, 불교, 마니교, 네스토리우스파는 사만 왕조 시대 말에 이 지역에서 사라졌다.[61] 사만 왕조는 또한 주변 튀르크족을 이슬람교로 개종시키는 데 책임이 있었다.
사만 왕조는 대략 819년부터 999년까지 소그디아 지역을 점령했으며, 사마르칸트 (819–892)와 부하라 (892–999)에 수도를 두었다.

999년, 사만 왕조는 이슬람화된 튀르크 세력인 카라한 칸국(840–1212)에 정복되었다.[65]
1212년부터 사마르칸트의 카라한 왕조는 호라즘인에게 정복당했다. 그러나 곧 호라즘은 초기 몽골 제국에 의해 침략당했고, 칭기즈 칸은 부하라와 사마르칸트의 한때 번성했던 도시들을 파괴했다.[66] 그러나 1370년, 사마르칸트는 티무르 제국의 수도로서 부흥을 맞이했다. 튀르크-몽골 전통의 통치자 티무르는 아시아 전역에서 장인과 지식인들을 사마르칸트로 강제 이주시킴으로써 이곳을 무역의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이슬람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로 변화시켰다.[67]
당나라 시대의 "구성소무성"(소무구성)에 속하는 도시는 다음과 같다.
도시 |
---|
타라스 |
타슈켄트 (차추; 석국) |
호젠트 |
우스루샤나 (동조국) |
카부단 (조국) |
이슈티칸 (서조국) |
마이물크 (펜지켄트 유적이 유력한 설; 미실) |
사마르칸트 (강국) |
쿠샤니야 (하국) |
키슈 (현 샤흐리사브즈; 사국) |
나사프 (현 카르시; 소사국) |
부하라 (안국) |
잔다나 |
파이칸드 (필국) |
2. 3. 소그드인의 활동과 영향
소그드인들은 역사적으로 기원전부터 서쪽으로는 페르시아나 알렉산드로스 대왕, 동쪽으로는 대월지, 쿠샨, 에프탈, 서돌궐 등의 지배를 받으며 소그디아나 지역에서 동서의 다양한 문화가 공존했고, 동서 교류의 중심지로 발전했다.[250] 소그디아나의 중심도시로 가장 발달했던 곳은 사마르칸트인데, 사마르칸트를 비롯하여 여러 도시로 이루어진 연맹국가체제를 구축하고 있었다. 수당대 중국에서는 이 지역의 사람들을 통칭하여 소무구성이라고 불렀다. 소무구성의 중심국가는 사마르칸트를 기반으로 하는 강국(康國)이었다. 이 소무구성의 출현 이전부터 소그디아나 지역에 살고 있던 선주민과 서쪽으로 옮겨온 월지국 사람들을 통칭하여 소그드인이라 부르기도 한다.소무구성은 에프탈의 뒤를 이어 소그디아나는 돌궐과는 상생 관계를 형성하면서 동서 교역의 주요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소그드인들은 중국에 와서 교역에 종사하였고, 중국 기록에서는 이들을 '호상'(胡商)이라고 불렀다.[250]

고고학적 유물은 투르크인이 소그드인의 주요 무역 파트너가 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데, 이는 소그드 상인 안자의 무덤에서 나타난다.[49] 투르크는 또한 사마르칸트의 아프라시압 벽화에서도 많이 등장하며, 그곳에서 그들은 아마도 7세기경 소그드 지역 통치자 바르후만의 환영을 받는 모습으로 묘사되었을 것이다.[50][51] 이 그림들은 소그디아가 당시 매우 국제적인 환경이었음을 시사하는데, 중국 및 한국 대표를 포함한 다양한 국가의 대표들이 묘사되어 있기 때문이다.[50][52]

트란스옥시아나의 이슬람 정복 이후, 새로운 소그드인 집단, 그중 많은 네스토리우스 기독교 신자들이 동쪽으로 이주했다. 튀르크족이 사산 왕조의 종교 박해 이후 그들의 종교에 더 관대하고 더 환영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특히 세미레치예 지역에 식민지를 건설했으며, 카를루크와 카라한 칸국의 부상과 함께 10세기까지 번성했다. 이 소그드인들은 ''아니코바 접시''와 같은 동방 기독교 도상이 새겨진 아름다운 은판을 생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7][58][59]
대부분의 상인들은 전체 실크로드를 여행하지 않고, 호탄이나 둔황과 같은 오아시스 마을에 기반을 둔 중개인을 통해 상품을 거래했다. 그러나 소그드인들은 소그디아에서 중국까지 1,500마일에 걸쳐 무역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소그드인들은 쿠샨인에게서 전문적인 상인이 되는 법을 배웠고, 쿠샨인과 함께 실크로드의 '탄생' 동안 페르가나 계곡과 강거에서 무역을 통제했다. 나중에, 그들은 쿠샨 제국이 쇠퇴한 후 주요 중개인이 되었다.[69][70]
고대 제국과 달리, 소그드 지역은 고정된 국경 내에 갇힌 영토가 아니라 소그디아를 비잔티움, 인도, 인도차이나 및 중국과 연결하는 한 오아시스에서 다른 오아시스로 이어지는 도시 국가 네트워크였다.[71]
비단 무역 측면에서 소그드인들은 또한 중국 한 제국과 중동 및 서아시아의 파르티아 제국 사이의 중개인 역할을 했다.[89] 소그드인들은 10세기까지 실크로드를 따라 중국과 중앙아시아 간의 무역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들의 언어는 4세기까지 아시아 무역의 ''공용어'' 역할을 했다.[75][76]
알렉산더 대왕의 지배 이후, 사마르칸트의 마라칸다 시 출신의 소그드인들은 여행하는 상인으로 두각을 나타내며 고대 실크로드의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했다.[77] 그들은 마니교, 조로아스터교, 불교와 같은 종교가 실크로드를 따라 퍼지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
오늘날 키르기스스탄의 수야브와 타라즈는 북부의 주요 소그드 중심지였으며, 6세기에서 8세기에 걸쳐 대상 노선을 지배했다.[81]







3. 지리
소그디아는 박트리아 북쪽, 호라즘 동쪽, 캉쥐 남동쪽에 위치했으며, 옥수스강(아무다리야강)과 얄사르테스강(시르다리야강) 사이에 있었다. 비옥한 제라프샨 계곡(고대 그리스인들은 이를 폴리티메투스라고 불렀다)을 포함한다.[157] 소그디아 영토는 오늘날 우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와 부하라 지역, 그리고 오늘날 타지키스탄의 수그드 지역에 해당한다. 중세 성기에는 소그디아 도시들이 이시쿨을 향해 뻗어 있었으며, 예를 들어 수야브의 고고학 유적지가 이에 해당한다.
'''굵은 글씨'''는 당나라 시대의 "구성소무성"(소무구성)에 속하는 도시이다.
도시 | 비고 |
---|---|
타라스 | |
타슈켄트 | 차추; 석국 |
호젠트 | |
우스루샤나 | 동조국 |
카부단 | 조국 |
이슈티칸 | 서조국 |
마이물크 | 펜지켄트 유적이 유력한 설; 미실 |
사마르칸트 | 강국 |
쿠샤니야 | 하국 |
키슈 | 현 샤흐리사브즈; 사국 |
나사프 | 현 카르시; 소사국 |
부하라 | 안국 |
잔다나 | |
파이칸드 | 필국 |
4. 주요 도시
다음은 소무구성에 속하는 도시이다.
5. 문화
6세기는 고도로 발달된 예술 전통을 보여주며, 소그드 문화의 절정기로 여겨진다. 이 시기 소그드인들은 상품, 문화, 종교를 교역하는 중앙아시아의 상인으로서 확고히 자리 잡았다.[156] 중세 시대 사마르칸트 주변 자라프샨 계곡은 소그드어 이름인 사마르칸트를 유지했다.[157]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중세 아랍 지리학자들은 이곳을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네 지역 중 하나로 꼽았다.[157] 소그드인들이 이주한 지역에서는 그들의 언어가 큰 영향을 미쳤다. 중국 한나라 시대 로란의 타림 분지 도시 국가 이름은 "크로라이나"였는데, 이는 그리스의 영향으로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158] 664년, 당나라 승려 현장은 이곳을 "나박보"(納縛溥)라 칭했는데, 이는 소그드어 "Navapa"(새로운 물)를 음역한 것이다.[159]
소그드인들은 소그드어를 사용했으며, 소그드 문자, 시리아 문자, 마니교 문자를 사용했다. 조로아스터교를 믿었으며, 불교, 마니교, 네스토리우스 기독교를 믿기도 했다.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의 아프라시압 벽화(6~7세기)는 소그드 미술의 희귀한 사례이다. 일상생활과 외국 사절의 도착 등을 묘사한 이 벽화는 귀족 가문의 폐허에서 발견되었다. 가장 오래된 소그드 벽화는 5세기에 제작된 타지키스탄 펜지켄트 벽화이다.[161] 소그드 미술은 사회, 정치, 종교적 신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제티수의 소그드 금박 청동 판이 있는 불교 사원에는 남신과 여신 한 쌍이 낙타를 들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사마르칸트와 펜지켄트 그림에서도 발견되는 비불교적 이미지이다.[162]
3~4세기 고대 호라즘 왕도 유적이나 카시갈 지방을 중심으로 7~10세기 소그드인의 미술 활동이 일어났다. 소그드인의 미의식은 이란 고원 사산조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란 고원의 페르시아인처럼 시체를 처리하고, 조장(鳥葬)이나 풍장(風葬) 후 전문적으로 사육한 개에게 시체를 먹이고 남은 뼈를 장골기(오스아리)에 넣었다. 이소(泥塑)로 만든 정사각형 상자 모양 관에 주걱으로 각문(刻文)과 인문(印文) 장식을 새기고 식물문(植物紋) 뚜껑을 붙인 것은 치졸하지만 힘찬 조형을 보여주며, 다른 토우들과 함께 소그드인의 미의식을 보여준다. 피얀지겐트 출토 벽화나 건축 세부는 궁정 미술의 대표 유물처럼 보이며, 채화(彩畵) 기법, 래피스 라즐리 사용, 갑주(甲胄) 형식, 왕후 보관 등에서 사산조 페르시아 미술의 영향을 받았다. 소실(燒失)된 건물 벽면의 고부조(高浮彫) 장식에 연주문(連珠紋), 기마수렵문(騎馬狩獵紋)이 있어 사산조 미술과 같은 경향을 보인다. 벽면 채화법(彩畵法)은 페르시아 세밀화(미니어처)와 유사하여 러시아 학자들은 소그드 회화가 세밀화의 기원이라고 주장한다.
쿠차 근처 키질 석굴은 타림 분지 중간 지점으로, 5~6세기 중앙아시아 상인들의 모습을 기록하고 있다. 이들은 사산 제국과 에프탈 제국이 점령했던 동부 이란의 영향과 소그드 문화 요소를 결합했다.[96][97] 중국, 사산 제국, 비잔틴 제국 사이 실크로드 중심에 있던 소그디아는 번성했다.[98] 키질 양식은 강렬한 이란-소그드 요소가 특징인데, 소그드-토하르 상업 교류로 유입된 것이다. 소그드 직물 디자인이 들어간 중앙아시아 카프탄과 소그드식 장검에서 그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99] 진주 메달 안에 오리 등을 묘사한 것도 전형적인 소그드 디자인이다.[99]
초기 중세 소그드 의상은 에프탈 시대(5~6세기)와 튀르크 시대(7세기 초~8세기)로 나뉜다. 튀르크 시대는 돌궐 지배 이후 서돌궐 카간국 톤-야즈브구 개혁 이후인 620년경 소그드가 튀르크화되고 귀족이 카간국 행정에 포함되면서 일반화되었다.[172] 남녀 모두 몸에 딱 맞는 옷을 입고 좁은 허리와 손목을 선호했다. 성인 남성과 어린 소녀는 넓은 어깨와 좁은 허리를 강조했고, 여성 귀족은 더 복잡한 실루엣을 가졌다. 소그드 의상은 이슬람화 과정에서 원래 요소는 거의 남지 않고 터번, 카프탄, 소매 코트가 흔해졌다.[172]
5. 1. 언어

소그드인들은 동이란어에 속하는 소그드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고대 중앙아시아에서 널리 사용된 동이란어인 박트리아어, 호라즘어, 호탄 사카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43][163] 소그드어는 중국 북서부 타림 분지의 오아시스 도시 국가인 투르판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163] 몽골의 소그드어 부구트 비문(c. 581년)에 따르면, 소그드어는 돌궐이 세운 제1돌궐 카간국의 공용어이기도 했다.[164][163]
소그드어는 주로 소그드 문자, 시리아 문자, 마니교 문자의 세 가지 문자로 쓰였는데, 이들은 각각 고대 이란의 아케메네스 제국과 파르티아 제국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아람 문자에서 파생되었다.[165][166][167][168] 소그드 문자는 8세기 고대 위구르 문자의 기초가 되었고, 이는 13세기 초기 몽골 제국의 몽골 문자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169] 1599년, 여진족 지도자 누르하치는 몽골 문자를 만주족에게 맞게 개조했다.
타지키스탄 수그드 지역의 야그노비족은 여전히 소그드어의 후손인 야그노비어를 사용한다.[44][170] 야그노비어는 서부 페르가나 계곡 오스루샤나 지역에서 사용되던 중세 소그드 방언의 연장선상에 있다.[171] 소그드인 대다수는 박트리아인, 호라즘인, 페르시아인 등 다른 지역 집단과 동화되어 페르시아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819년, 페르시아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이 지역에 사만 왕조를 건국했다. 이들은 현대 타지크인의 조상 중 하나이다. 현대 타지크어에서 수많은 소그드어 동계어를 찾을 수 있지만, 타지크어는 서이란어군에 속한다.
5. 2. 종교
소그디아인들은 다양한 종교를 믿었다. 그중 조로아스터교가 가장 널리 퍼져 있었는데, 사마르칸트, 판지켄트, 에르-쿠르간 등에서 발견된 벽화와 유물들이 이를 뒷받침한다. 벽화에는 불 제단 앞에서 공물을 바치는 숭배자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고, 유물 중에는 죽은 사람의 뼈를 보관하는 골함이 발견되기도 했다.[173] 투르판 지역의 소그디아인 무덤에서는 중국 전통 매장 방식과 함께 조로아스터교 의식의 흔적이 발견되는데, 시신을 탑의 침묵에 안치하기 전에 시체 청소부를 통해 깨끗하게 하는 의식 등이 그 예이다.[173] 이들은 아후라 마즈다를 포함한 조로아스터교 신들에게 동물 희생을 바치기도 했다.[173] 조로아스터교는 초기 이슬람 정복 이후에도 소그디아인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주요 종교로 남아있었지만, 점차 이슬람교로 개종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174]소그디아에서 가장 널리 숭배된 신 중 하나는 나나 여신이었다. 이 여신은 메소포타미아의 여신 나나야에서 유래되었으며, 사자, 태양, 달을 들고 있는 네 개의 팔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된다.[175] 나나 여신과 옥수스 강신은 이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신들이었다.[175] 나나는 도시와 천체를 관장하는 여신으로 여겨졌으며, 판지켄트가 그녀의 신성한 도시였다.
중국에서 발견된 소그디아 종교 텍스트들은 대부분 북조, 수나라, 당나라 시대에 작성된 것으로, 불교, 마니교, 네스토리우스 기독교 관련 내용이 많고, 조로아스터교 관련 텍스트는 적은 편이다.[178] 6세기 후반 중국의 소그디아 상인들의 무덤에서는 조로아스터교 또는 조로아스터교와 마니교가 혼합된 특징이 나타나는 반면, 소그디아나 지역의 고고학적 유물에서는 이란의 전통적인 조로아스터교 신앙이 강하게 나타난다.[178]
소그디아인들은 무역로를 따라 다양한 종교를 접하며 종교적 다원주의를 보여주었다. 소그디아어 텍스트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불교 관련 문헌이며, 소그디아인들은 불교 경전을 중국어로 번역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지만 불교는 소그디아나 지역에 깊이 뿌리내리지 못했다.[179] 투르판 북쪽의 불라익 수도원에서는 소그디아 기독교 텍스트가 발견되었고, 인근 쾨초에서는 많은 마니교 텍스트가 발견되었다.[180] 소그디아인들이 불교에서 조로아스터교로 개종한 것은 사산 제국이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채택한 것과 관련이 있다.[118] 4세기부터 소그디아 불교 순례자들은 인도강과 훈자 계곡의 절벽을 따라 여행하며 부처와 탑의 이미지를 새기고, 부처의 가호를 기원하며 자신의 이름을 새겨 넣었다.[181]
소그디아인들은 마니가 창시한 마니교를 믿기도 했으며, 이를 위구르족에게 전파했다. 위구르 카간국은 안 루산의 난을 진압하는 데 도움을 준 대가로 당나라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비단과 말을 교역했다.[182] 위구르족은 비단을 서쪽으로 판매하기 위해 소그디아 상인들에게 의존했고, 이러한 관계 속에서 많은 위구르족이 소그디아인들로부터 마니교를 받아들였다.[182] 하지만 소그디아 마니교 관련 문헌은 불교 문헌에 비해 적은 편이다.[183] 위구르족은 불교도 믿었는데, 베제클리 불교 벽화에는 부처에게 공물을 바치는 소그디아인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84][185]

푸라나 신앙 외에도 소그디아에서는 브라흐마, 인드라, 마하데바(시바), 나라야나, 바이슈라바나 등 다섯 힌두교 신이 숭배되었다.[186] 브라흐마, 인드라, 시바는 각각 소그디아 이름으로 Zravan, Adbad, Veshparkar로 불렸다.[186] 판지켄트의 8세기 벽화에는 이동식 불 제단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마하데바-베쉬파르카, 브라흐마-즈라반, 인드라-압다브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186]
중국에서는 비문과 텍스트를 통해 소그디아 기독교인들의 존재가 확인된다. 안(Bukhara) 출신의 기독교인 안 예나, 미(Maymurgh) 출신의 기독교인 미 지펀, 강(Samarkand) 출신의 소그디아 기독교 성직자 강 지통 등이 그 예이다.[187][188][189]
베네치아의 탐험가 마르코 폴로는 원나라 시대 장쑤성 전장에 기독교 교회가 많이 세워졌다고 기록했다. 그의 주장은 14세기 중국 문헌에서도 확인되는데, 사마르칸트 출신의 소그디아인 마르-사르기스가 항저우에 6개의 네스토리우스 기독교 교회를 세웠다는 기록이 있다.[190] 네스토리우스 기독교는 당나라 시대에 이미 중국에 전파되었는데, 653년 페르시아 승려 알로펜이 장안에 와서 선교 활동을 한 것이 그 시작이다. 장안에서 발견된 781년의 중국어와 시리아어 비문에는 사제와 승려의 목록이 있는데, 그 중에는 "Xumdan"과 "Sarag"라는 소그디아 이름을 가진 인물도 있다.[191][192] 가장 초기의 기독교 복음서 텍스트는 소그디아어로 번역된 것으로, 야즈데게르드 2세 시대에 시리아 기독교의 ''페쉬타''를 번역한 것이다.[193]
5. 3. 미술
3세기~4세기의 고대 호라즘 왕(王)의 도시 유적이나 카시갈 지방을 중심으로 7세기~10세기에 소그드인의 미술 활동이 일어났다.소그드인의 미의식이나 미적 감각은 이란 고원의 사산조(朝)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듯하다. 그들은 이란 고원의 페르시아인(人)과 같은 시체 처리를 행하며 그 조장(鳥葬)이나 풍장(風葬) 형식에서 힌트를 얻어 전문적으로 사육(飼育)한 개에게 시체를 먹이고 남은 뼈를 장골기(藏骨器, 오스아리)에 넣어 매장하고 있었다.
이소(泥塑)로 정사각형의 상자 모양을 만들어 외면에 주걱(spatula)으로 각문(刻文)과 인문(印文)의 장식 문양을 새긴 관(棺)에 식물문(植物紋)을 넣은 뚜껑이 붙는데, 치졸(稚拙)하지만 힘찬 조형이 보이며, 다른 이상토우(泥象土偶)와 더불어 토착 소그드인의 미의식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피얀지겐트 출토의 벽화나 건축 세부 등을 보면 궁정 미술의 대표 유품처럼 보이며, 채화(彩畵)의 기법이나 또 선청색(鮮靑色)의 래피스 라즐리(청벽색의 돌로 아프가니스탄산)의 사용에 의한 효과, 또는 갑주(甲胄)의 형식, 왕후의 보관 등에 사산조(朝) 페르시아 미술의 영향을 받고 있다.
더욱이 소실(燒失)된 건물의 벽면에 사용했던 고부조(高浮彫) 장식에 연주문(連珠紋), 기마수렵문(騎馬狩獵紋)이 있으며 사산조(朝) 미술과 같은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벽면의 채화법(彩畵法)이 후일의 페르시아 세밀화(細密畵, miniature)와 유사하여 러시아 학자의 일부에서는 소그드 회화가 세밀화의 기원이라고 주장하고 있을 정도이다.
쿠차 근처 키질 석굴은 타림 분지의 중간 지점으로, 5~6세기에 중앙아시아 상인들의 많은 장면을 기록하고 있다. 이들은 당시 사산 제국과 에프탈 제국이 점령했던 동부 이란의 영향과 강력한 소그드 문화 요소를 결합했다.[96][97] 중국과 사산 제국, 비잔틴 제국 사이의 새로운 실크로드 중심에 있던 소그디아는 그 무렵 매우 번성했다.[98]
키질의 이 시대 양식은 강렬한 이란-소그드 요소가 특징인데, 이는 소그드-토하르 상업의 활발한 교류로 인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소그드 직물 디자인이 들어간 중앙아시아 카프탄과 많은 인물들이 소지한 소그드식 장검에서 그 영향을 뚜렷이 확인할 수 있다.[99] 진주 메달 안에 오리 등과 같은 동물을 묘사한 것도 전형적인 소그드 디자인이다.[99]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의 6~7세기에 제작된 아프라시압 벽화는 소그드 미술의 희귀한 현존하는 사례를 보여준다. 일상생활의 모습과 외국 사절의 도착과 같은 사건을 묘사한 이 벽화들은 귀족 가문의 폐허 속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궁궐식 저택 중 어느 곳이 사마르칸트 통치자의 공식 궁전 역할을 했는지는 불분명하다.[160]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소그드 기념비적 벽화는 5세기에 제작되었으며, 타지키스탄 펜지켄트에 위치해 있다.[161] 소그드 미술은 그들의 사회 및 정치 생활의 측면을 드러내는 것 외에도, 역사가들이 그들의 종교적 신념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다. 예를 들어, 불교도 소그드인들이 그들만의 이란 신들을 불교 만신전에 포함시켰다는 것이 분명하다. 제티수에서 소그드 금박 청동 판이 있는 불교 사원은, 손을 뻗어 작은 낙타를 들고 있는 남신과 여신 한 쌍을 보여주는데, 이는 사마르칸트와 펜지켄트의 그림에서도 유사하게 발견되는 비불교적 이미지이다.[162]
5. 4. 복식
초기 중세 소그드 의상은 에프탈 시대(5~6세기)와 튀르크 시대(7세기와 8세기 초)의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다. 후자는 돌궐의 정치적 지배 이후 바로 일반화된 것이 아니라, 서돌궐 카간국의 카간 톤-야즈브구의 개혁 이후인 서기 620년경에 소그드가 튀르크화되고 현지 귀족이 카간국의 행정에 공식적으로 포함되면서 일반화되었다.[172]남녀 모두 옷은 몸에 딱 맞았으며, 좁은 허리와 손목을 선호했다. 성인 남성과 어린 소녀의 실루엣은 넓은 어깨를 강조하고 허리 쪽으로 좁아지는 형태였고, 여성 귀족의 실루엣은 더 복잡했다. 소그드 의상은 그 후 몇 세기 동안 이슬람화 과정을 거치면서 원래 요소는 거의 남지 않았다. 그 대신 터번, 카프탄, 소매 코트가 더 흔해졌다.[172]
6. 소그드인의 디아스포라
고대부터 중국에는 노예제가 존재했다. 한나라 시대에는 전체 인구의 약 1%가 노예였는데,[194] 이는 그레코로만 세계의 추정치(전체 인구의 15%)[195][196]보다 훨씬 낮은 수치였다. 당나라 시대에는 노예가 평민의 딸과 결혼하거나 주인의 가족 중 여성과 성관계를 갖는 것이 금지되었다. 노예 여성이 주인의 아들을 낳으면 해방되어 평민이 될 수 있었지만, 첩으로만 살 수 있었고 이전 주인의 아내가 될 수는 없었다.[198]
당나라 시대에 투르판과 그 주변에서 소그드와 중국 상인들은 정기적으로 노예를 거래했다. 당나라 통치 하의 투르판은 중국 상인과 소그드인 상인 간의 주요 상업 활동의 중심지였다. 투르판에는 많은 여관이 있었고, 일부 여관은 실크로드 상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기회를 소그드 여성에게 제공했다.[200] 아스타나 묘지에서 발견된 소그드어 계약서는 639년에 한 중국인이 소그드 소녀를 샀다는 것을 보여준다.[201] 호탄과 쿠차는 여성들이 흔히 팔리는 곳이었다.[203][204] 당시(唐詩)에서 소그드 소녀들은 수도 장안의 술집과 여관에서 시녀로 자주 등장한다.[205]
소그드 여성 노예와 중국인 남성 주인의 결합이 대부분이었으며, 자유로운 소그드 여성은 소그드 남성의 가장 일반적인 배우자였다. 소수의 중국 여성은 엘리트 소그드인 남성과 짝을 이루었다.[204][206] 731년의 문서에 따르면, 장안의 중국인 탕롱(唐榮)은 11세 소녀를 사기 위해 소그드인 미루산에게 40필의 비단을 지불했다.[204][207]
당나라 시대에 중국인들은 소그드인과 같은 중앙아시아인들을 "후(胡)"라고 불렀다. 중앙아시아 "후" 여성들은 중국의 한족에 의해 술집 종업원이나 댄서로 고정관념화되었다. 한족 남성은 주로 기혼 관계 외의 성관계를 그들과 맺었는데, 이는 중국의 "후" 여성들이 주로 성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에 종사했기 때문이다.[208][209][210][211][212][213] 한족 남성들은 국경이나 망명 상태와 같이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들과 법적으로 결혼하고 싶어하지 않았다.[215][216][217]
6. 1. 중국 내 소그드인
실크로드 무역의 중개인 역할을 했던 중앙아시아의 소그드인 외에도, 다른 소그드인들은 수 세대에 걸쳐 중국에 정착했다. 많은 소그드인들은 진 왕조(266–420)의 수도인 뤄양에 살았지만, 서기 311년에 진 왕조가 중국 북부에 대한 통제력을 잃고 북방 유목 민족이 부상한 이후 도망쳤다.[79]오렐 스타인은 1907년 둔황 근처의 버려진 망루에서 "고대 서한"으로 알려진 5통의 소그드어로 쓰인 편지를 발견했다. 그 중 하나는 샨이라는 딸을 둔 미와이라는 소그드인 여성이 쓴 것으로, 그녀는 소그디아에 있는 어머니 차티스에게 편지를 썼다. 미와이와 그녀의 딸은 남편인 나나이-다트가 버렸는데, 그는 그녀처럼 소그드인이었다. 나나이-다트는 둔황으로 데려간 후 그들을 버리고 한족을 섬기라고 말하며 미와이와 딸을 돕기를 거부했다. 미와이는 남편의 친척 아르티반에게 도움을 요청한 다음, 또 다른 소그드인 남자인 파르크훈드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그들 또한 그들을 버렸다. 미와이와 그녀의 딸 샨은 결국 사제의 자선에 의지해 살다가 한족의 하녀가 되었다. 미와이는 자신을 버린 소그드인 남편을 저주하며, 돼지나 개와 결혼하는 편이 낫겠다고 말했다.[101][102][103][104][105][106][107][108][109] 이 컬렉션에 있는 또 다른 편지는 소그드인 나나이-반다크가 사마르칸드에 있는 고향의 소그드인들에게 보낸 것으로, 흉노족 반군이 서진 왕조의 한족 통치자들에 대항하여 대규모 반란을 일으켰다는 소식을 전하며, 중국 서진의 수도 뤄양에 있는 모든 디아스포라 소그드인과 인도인이 반란을 일으킨 흉노족의 봉기로 인해 굶어 죽었다고 알렸다. 흉노족 반군이 뤄양을 포위하자 한족 황제는 뤄양을 버렸고 그의 궁전은 불탔다. 나나이-반다크는 또한 예시는 흉노족 반란으로 인해 중국에 있는 소그드인 디아스포라에게 재앙이 닥쳤기 때문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110][111] 한족들은 소그드인 노예 소녀들을 성적 관계를 위해 자주 사들였다.[112]
일부 소그드인들은 간쑤성에 계속 살았다.[79] 소그드인 공동체는 북량의 수도인 우웨이에 남아 있었지만, 439년에 북량이 북위에게 패하자 많은 소그드인들이 북위의 수도인 다퉁으로 강제 이주되어 새로운 왕조를 위한 교류와 무역을 촉진했다.[115] 북위 무덤에서 중앙 아시아 물건들이 펑허투의 무덤과 같이 많이 발견되었다.[116]
다른 소그드인들은 서쪽에서 와서 중국 사회에서 지위를 얻었다. ''북사''[117]는 소그드인이 안시(서부 소그디아 또는 파르티아)에서 중국으로 와서 ''사바오''(薩保, 산스크리트어 ''사르타바하'', 즉 대상 리더를 의미)가 되었고, 북위(386–535 AD) 시대에 주취안에 살았으며, 평민 상인에서 시작하여 북제 (550–577 AD)의 최고위 대신이 된 안투겐의 조상에 대해 설명한다.[78][119] 밸러리 핸슨은 이 시기부터 당나라 (618–907 AD)까지 소그드인들이 "중국에 거주하는 비중국 그룹 중 가장 영향력 있는 그룹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두 가지 유형의 소그드인이 중국에 왔는데, 사절과 상인이었다. 소그드인 사절들은 정착하여 중국 여성과 결혼하고, 토지를 구매했으며, 새로운 이민자들은 소그디아의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고 영구적으로 그곳에 살았다.[78] 그들은 뤄양과 창안 주변에 대규모로 집중되어 있었으며, 현재의 후베이성 샹양에도 많은 수가 집중되어 있었으며, 대략 100가구 정도의 문턱에 도달하면 그들의 공동체를 섬기기 위해 조로아스터교 사원을 지었다.[78] 북제부터 당나라 시대까지, 이 공동체의 지도자들인 ''사바오''는 국가 관리의 공식 계층에 통합되었다.[78]
서기 6–7세기 동안 중국에 살던 소그드인 가족들은 그들의 유명한 가문의 역사를 설명하는 장례 묘비가 있는 중요한 무덤을 만들었다. 그들의 매장 관습은 조로아스터교의 감수성과 함께 땅과 물에서 시신을 분리하는 것과 같은 조각된 장례 침대와 같은 중국의 형태를 혼합했다.[120] 중국 내 소그드인 무덤은 이 시대 이 나라에서 가장 호화로운 무덤 중 하나이며 황실 무덤보다 열등할 뿐이므로, 소그드인 ''사바오''가 인구 중 가장 부유한 구성원 중 하나였음을 시사한다.[121]
소그드인들은 상인, 승려, 정부 관리 외에도 당나라 군대에서 군인으로 복무했다.[122] 아버지와 어머니가 각각 소그드인과 투르크인이었던 안녹산은 동북부에서 군사 총독(''절도사'')의 지위에 올랐고, 안사의 난 (755–763 AD)을 일으켜 중국 내 소그드인들의 충성을 분열시켰다.[122] 안사의 난은 많은 소그드인들의 지지를 받았고, 그 여파로 많은 사람들이 살해되거나 소그드인 유산을 피하기 위해 이름을 바꾸었기 때문에 그 이후 중국 북부에서 소그드인의 존재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123] 고구려 출신인 전 연나라 반군 장군 가오주런은 유주의 판양 (베이징)에서 서아시아(중앙 아시아) 소그드인들을 대량 학살하라고 명령했고, 그들을 큰 코로 식별했으며, 반란을 일으켰을 때 그들의 자녀들을 찌르는 데 창이 사용되었다. 그는 연나라 반군 황제 스차오이와 맞서 싸웠고 터키 아시나 쳉칭 휘하의 라이벌 연 왕조 군대를 물리쳤다[124][125] 콧대가 높은 소그드인들은 761년에 유주에서 학살되었다. 유주에는 린저우라는 "보호" 현이 있었고 소그드인들은 그곳에 대규모로 살았다.[126][127] 가오주런은 톈성궁과 마찬가지로 당나라 왕조에 투항하여 그를 지역 군벌로 공개적으로 인정하고 인정해 달라고 요청했고, 영토를 포기하지 않고 그의 충성을 인정하기 위해 당나라 조정에 혈세로 중앙 아시아 후 "야만인"을 학살하는 것을 제안했기 때문이다. 책 "안녹산사기"에 따르면.[128][129] 또 다른 자료에 따르면, 아시나 쳉칭을 섬기는 후 야만인 학살은 가오주런이 그의 지지 기반을 박탈하기 위해 판양에서 한 일이라고 하는데, 톄러, 통뤄, 소그드인, 투르크인 등 모든 후가 터키 아시나 쳉칭을 지지한 반면, 가오주런이 이끄는 모허, 시, 거란, 고구려 출신 군인들은 쳉칭을 반대했다. 가오주런은 나중에 스차오이에게 충성하는 리화이셴에게 살해되었다.[130][131] 안사의 난 동안 전 연나라 반군 장군 톈성궁에 의한 외국 아랍 및 페르시아 무슬림 상인 학살이 양저우 학살 (760)에서 발생했다.[132] 톈성궁이 당나라 왕조에 투항하여 그를 공개적으로 인정하고 인정받기를 원했기 때문에, 그리고 당나라 조정은 전쟁을 연의 후 야만인 반군과 당나라의 한족 사이의 전쟁으로 묘사했기 때문에, 톈성궁은 자신이 한족 당나라 왕조 국가에 충성한다는 것을 증명하고 그가 영토를 포기하지 않고 지역 군벌로 인정받기 위해 외국인을 학살했고, 아랍인과 페르시아인뿐만 아니라 모든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되지 않은 민족 집단의 다른 외국 후 야만인 민족들을 살해했다.[133][134]
소그드인들은 반란이 진압된 후에도 중국에서 활발한 상인으로 활동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민족적 정체성을 숨겨야 했다. 756년에 전쟁부 장관이자 량공이었던 안총장은 당나라 숙종에게 반군 지도자와 같은 성씨를 공유하는 것에 대한 수치심 때문에 자신의 이름을 이보유로 변경하도록 허가해 달라고 요청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였다.[122] 이 성씨 변경은 그의 모든 가족 구성원에게 소급 적용되어 그의 조상 또한 이씨 성을 받게 되었다.[122]
박트리아 사제인 발흐의 네스토리우스교 신자 이시는 곽자의 당나라 장군이 안사의 난을 군사적으로 진압하는 것을 도왔으며, 이시는 개인적으로 군사 지휘관으로 활동했고 이시와 동방 네스토리우스교회는 네스토리우스교 비석에 묘사된 대로 당나라 왕조로부터 칭호와 지위를 보상받았다.[135][136][137][138][139][140]
아모가바지라는 756년에 장안에 머물면서 안녹산에 맞서 자신의 의식을 사용했는데, 당시 당나라 태자와 현종 황제는 쓰촨으로 후퇴했다. 아모가바지라의 의식은 안녹산에게 죽음, 재앙, 질병을 가하기 위한 것이었다.[141] 아모가바지라가 안녹산을 진압하는 데 도움을 준 결과, 밀교 불교는 경전을 쓰고 사찰과 사원을 건설하기 위한 국가 자금 지원과 지원을 받는 "황실 불교"로 당나라가 지원하는 공식 국가 불교 종파가 되었다. 아모가바지라의 제자들은 국가와 황제를 위한 의식을 수행했다.[142] 당나라 숙종 황제는 759년에 안녹산과의 승리 후 아모가바지라에 의해 전륜성왕으로 즉위했으며, 그는 안녹산에 맞서 아칼라 비디야라자를 소환했다. 당나라 태자 이형(후의 숙종)은 또한 아모가바지라가 보낸 비밀 메시지를 통해 안녹산이 점령한 장안으로부터 중요한 전략 군사 정보를 받았다.[143]
뤄양에서 발견된 묘비에는 821년에 사망한 네스토리우스교 신자인 소그드인 여성 안 부인(安氏)과 827년에 사망한 그녀의 네스토리우스교 신자인 한족 남편 화시안(花献)의 당나라 시대의 기독교 부부의 묘비가 있다. 이 한족 기독교인들은 기독교 종교에 속한 한족 여성이 부족하여 동족 내에서 배우자를 선택하는 것을 제한했기 때문에 소그드인 기독교인 여성과 결혼했을 수 있다.[144] 뤄양에서는 또 다른 네스토리우스교 신자인 소그드인 여성 안씨의 묘비가 발견되었는데, 그녀는 815년 1월 22일에 그녀의 군인 아들에 의해 무덤에 안치되었다. 이 소그드인 여성의 남편은 허(和)씨였고, 그는 한족이었으며, 가족은 묘비 기둥에 다민족으로 표시되었다.[145] 뤄양에서 네스토리우스교 신자인 소그드인 여성과 한족 남성의 혼혈 아들은 그들을 위해 많은 직업 경로를 가질 수 있었다. 그들의 혼혈 민족성이나 그들의 신앙은 장벽이 되지 않았고 그들은 문관, 군인이 될 수 있었으며 공개적으로 그들의 기독교 종교를 기념하고 기독교 수도원을 지원했다.[146]
당나라와 그 이후 오대와 송나라 시대에도 소그드인의 대규모 공동체가 불교 학습의 주요 중심지이자 불교 모가오 굴의 고향인 다문화적 ''앙트르포''인 간쑤성 둔황에 존재했다.[147] 둔황과 하서 회랑은 안사의 난 이후 티베트 제국에 점령되었지만, 848년에 한족 출신 장군 장이차오 (799–872)는 티베트인들의 내전 중 이 지역을 티베트인들로부터 빼앗아 당나라 선종 (r. 846–859) 아래 귀의군을 세웠다.[148][149] 이 지역은 가끔 다른 국가의 지배를 받았지만, 중국어, 티베트어뿐만 아니라 소그드어, 사카어 (이 지역의 또 다른 동이란어), 위구르어, 산스크리트어로 된 풍부한 필사본 (종교적 및 세속적)이 증명하듯이 다국어적 특성을 유지했다.[150]
9개의 저명한 소그드인 씨족(昭武九姓)이 있었다. 이 씨족의 이름은 당나라 시대의 둔황 문서 (Pelliot chinois 3319V)에 나열된 중국 성씨에서 추론되었다.[173] 각 "씨족" 이름은 소그드인이 고향의 이름을 중국 성씨로 사용했기 때문에 다른 도시 국가를 지칭한다.[151] 이 중 중국 전역에서 가장 흔한 소그드인 성씨는 스 (石, 일반적으로 현대 타슈켄트의 차흐 출신에게 주어짐)였다. 둔황 문서와 등록부에 자주 나타나는 성씨는 스 (史, 현대 샤흐리사브즈의 케쉬 출신), 안 (安, 부하라 출신), 미 (米, 펜지켄트 출신), 캉 (康, 사마르칸드 출신), 차오 (曹, 제라프샨강 북쪽의 카부단 출신), 허 (何, 쿠샤니야 출신) 등이 있다.[173][152] 공자는 소그드인 공동체를 언급하는 것일 수 있는 "9개 부족" 사이에서 살고 싶다는 소망을 표명했다고 한다.[153]
둔황의 이 ''귀의군''(歸義軍) 시대(서기 850년 ~ 서기 1000년) 동안 한족화되고 다국어를 구사하는 소그드인들의 영향력은 소그드 문자가 읽는 방향을 반영하여 수직이 아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중국어로 쓰여진 많은 필사본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154] 둔황의 소그드인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지역 사회 내에서 평신도 협회를 형성하고 가입했으며, 서신에서 언급된 정기적인 모임에서 소그드인이 소유한 선술집에 소집되었다.[155] 당나라와 고창 왕국 치하의 투르판에 살았던 소그드인들은 농업, 군 복무, 그림, 가죽 세공 및 철 제품 판매와 같은 다양한 직업에 종사했다.[173] 소그드인들은 4세기부터 투르판으로 이주해 왔지만, 651년의 페르시아의 무슬림 정복과 사산 제국의 멸망, 그리고 712년의 사마르칸드의 이슬람 정복으로 이주의 속도가 꾸준히 증가하기 시작했다.[173]
고대부터 중국에는 노예제가 존재했지만, 한나라 시대에는 전체 인구에서 노예의 비율이 약 1%로[194], 동시대 그레코로만 세계의 추정치(전체 인구의 15%로 추정)[195][196]보다 훨씬 낮았다. 당나라 시대에는 노예가 평민의 딸과 결혼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고, 주인의 가족 중 여성과 성관계를 갖는 것도 허용되지 않았으며, 비록 노예 여성과의 간통은 당률에서 금지되었지만, 널리 행해졌다.[197] 노예 여성이 주인의 아들을 낳았을 때 해방이 허용되어 법적으로 평민의 지위로 격상될 수 있었지만, 그녀는 단지 첩으로 살 수 있었을 뿐 이전 주인의 아내가 될 수는 없었다.[198]
소그드와 중국 상인들은 당나라 시대에 투르판과 그 주변에서 정기적으로 노예를 거래했다. 당나라 통치 하의 투르판은 중국 상인과 소그드인 상인 간의 주요 상업 활동의 중심지였다. 투르판에는 많은 여관이 있었고, 일부 여관은 실크로드 상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소그드 여성에게 제공했는데, 공식 역사 기록에 따르면 쿠차와 호탄에 여성 시장이 있었다고 한다.[200] 아스타나 묘지에서 발견된 소그드어 계약서는 적어도 한 중국인이 639년에 소그드 소녀를 샀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스타나 유적 발굴에 참여한 고고학자 우전은, 니야에서 발견된 초기 문서에서 알 수 있듯이 실크로드의 많은 가구들이 개별 노예를 샀지만, 투르판 문서에서는 노예 거래량이 대폭 증가했음을 지적한다.[201] 639년에는 소그드 여성 노예가 중국인에게 팔렸는데, 이는 아스타나 묘지에서 발견된 소그드어로 쓰인 법적 문서에 기록되어 있다.[202] 호탄과 쿠차는 여성들이 흔히 팔리는 곳이었으며, 현존하는 문헌 증거를 통해 투르판에서의 노예 거래에 대한 풍부한 증거를 확인할 수 있다.[203][204] 당시(唐詩)에서 소그드 소녀들은 수도 장안의 술집과 여관에서 시녀로 자주 등장한다.[205]
소그드 여성 노예와 중국인 남성 주인은 소그드 여성-중국인 남성의 결합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자유로운 소그드 여성은 소그드 남성의 가장 일반적인 배우자였다. 소수의 중국 여성은 엘리트 소그드인 남성과 짝을 이루었다. 기존 문서에 따르면 소그드 남녀의 결합은 21번의 결혼 중 18번을 차지했다.[204][206]
731년의 문서에 따르면, 장안의 중국인 탕롱(唐榮)이라는 사람이 11세 소녀를 사기 위해 노예 중개인인 소그드인 미루산에게 정확히 40필의 비단을 지불했다. 당시 서주 출신의 토하라인(즉, 박트리아인) 1명과 소그드인 3명이 소녀의 매매를 증명했다.[204][207]
소그드인과 같은 중앙아시아인들은 당나라 시대에 중국인들에 의해 "후(胡)"라고 불렸다. 중앙아시아 "후" 여성들은 중국의 한족에 의해 술집 종업원이나 댄서로 고정관념화되었다. 한족 남성은 주로 기혼 관계 외의 성관계를 그들과 맺었는데, 중국의 "후" 여성들은 주로 가수, 하녀, 노예, 창녀 등 고객에게 성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에 종사했기 때문이다.[208][209][210][211][212][213] 남부 백월 소녀들은 시에서 이국적으로 묘사되었다.[214] 한족 남성들은 국경이나 망명 상태에 있는 경우처럼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들과 법적으로 결혼하고 싶어하지 않았는데, 한족 남성은 사회적으로 불이익을 받고 비한족과 결혼해야 했기 때문이다.[215][216][217] 양, 소와 같은 가축을 돌보는 일은 중국의 "후" 노예에게 주어졌다.[218]
6. 2. 중앙아시아 내 소그드인
기원전 10세기경부터 중앙아시아의 주요 오아시스를 따라 농경이 발달하면서 박트리아, 호라즘, 소그디아나 등지에 성벽을 갖춘 대규모 도시들이 형성되었다. 기원전 6세기경에는 아케메네스 조 페르시아의 속국이 되었다가 기원전 4세기경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정복되었다.기원전 133년에서 129년 사이에는 대월지의 지배를 받았고, 이후 쿠샨 왕조의 영역에 속하게 되었다. 쿠샨 왕조 붕괴 후에는 사산 조 페르시아에 조공을 바치기도 했다. 5세기에는 에프탈에 강점되었다가, 6세기 중반 사산 조 페르시아와 돌궐(서돌궐) 연합군에 의해 에프탈이 멸망(567년)하고 서돌궐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많은 이들이 서쪽으로 이동하였다.
소그디아나 지역은 역사적으로 서쪽의 페르시아, 알렉산드로스 대왕, 동쪽의 대월지, 쿠샨, 에프탈, 서돌궐 등의 지배를 받으며 동서 문화 교류의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사마르칸트를 중심으로 여러 도시들이 연맹 국가 체제를 구축하였는데, 수·당대 중국에서는 이들을 소무구성이라 불렀다. 소무구성의 중심 국가는 사마르칸트를 기반으로 하는 강국(康國)이었다. 소그디아나 지역 선주민과 서쪽으로 이동해 온 월지국 사람들을 통칭하여 소그드인이라 부르기도 한다.
소무구성은 에프탈의 뒤를 이어 소그디아나 지역에서 돌궐과 상생 관계를 형성하며 동서 교역의 주요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소그드인들은 중국에서 교역에 종사하였고, 중국 기록에서는 이들을 '호상'(胡商)이라 불렀다.[250]
7세기 중반 아랍의 침공을 받아 8세기 중반 압바스 왕조에 의해 완전히 복속되어 이슬람화되었다.[251]
도시 |
---|
타라스 |
타슈켄트 (차추; 석국) |
호젠트 |
우스루샤나 (동조국) |
카부단 (조국) |
이슈티칸 (서조국) |
마이물크 (펜지켄트 유적이 유력한 설; 미실) |
사마르칸트 (강국) |
쿠샤니야 (하국) |
키슈 (현 샤흐리사브즈; 사국) |
나사프 (현 카르시; 소사국) |
부하라 (안국) |
잔다나 |
파이칸드 (필국) |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05-31
[2]
웹사이트
Soghdian Kai Yuans (lectured at the Dutch 1994-ONS meeting)
http://www.charm.ru/[...]
2018-06-08
[3]
웹사이트
Samarqand's Cast Coinage of the Early 7th–Mid-8th Centuries AD: Assessment based on Chinese sources and numismatic evidence.
http://numismatics.o[...]
2018-06-09
[4]
논문
(정보 부족)
[5]
논문
(정보 부족)
[6]
논문
(정보 부족)
[7]
백과사전
SOGDIANA iii. HISTORY AND ARCHEOLOGY
http://www.iranicaon[...]
2016-08-31
[8]
서적
Tajikistan: a Political and Social Histor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Sogdiana
https://www.worldhis[...]
2012-01-08
[10]
서적
Sogdian Painting: the Pictorial Epic in Oriental Ar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
웹사이트
Avesta: Vendidad (English): Fargard 1
http://www.avesta.or[...]
Avesta.org
2016-01-04
[12]
서적
Sogdian Painting: the Pictorial Epic in Oriental Ar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
서적
From Cyrus to Alexander: a History of the Persian Empire
Eisenbrauns
[14]
서적
The History of Central Asia: the Age of the Steppe Warriors
I.B. Tauris
[15]
서적
The Silk Road: A New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Silk Road in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Alexander the Great
[18]
서적
Envy of the Gods: Alexander the Great's Ill-Fated Journey across Asia
Da Capo Press
[19]
문서
Independent Sogdiana
[20]
서적
No Easy Task: Fighting in Afghanistan
Dundurn Press Ltd
[21]
서적
Chaghatai: the Fabulous Cities and People of the Silk Road
Infinity Publishing
[22]
웹사이트
Roxane
https://www.livius.o[...]
2015-08-17
[23]
서적
Russia and Europe in the Nineteenth Century
Sphinx Fine Art
[24]
논문
Hellenes and Romans in Ancient China (240 BC – 1398 AD)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partment of East Asia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25]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Volume 1
John Murray
[26]
서적
Alexander the Great and Bactria: the Formation of a Greek Frontier in Central Asia
E. J. Brill
[27]
서적
Alexander the Great and Bactria: the Formation of a Greek Frontier in Central Asia
E. J. Brill
[28]
서적
Alexander the Great and Bactria: the Formation of a Greek Frontier in Central Asia
E. J. Brill
[29]
서적
The Ancient World: Dictionary of World Biography, Volume 1
Fitzroy Dearborn Publishers, Salem Press
[30]
백과사전
Apamea
[31]
논문
Hellenes and Romans in Ancient China (240 BC – 1398 AD)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partment of East Asia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32]
서적
Sogdian Painting: the Pictorial Epic in Oriental Ar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3]
서적
The Impact of Seleucid Decline on the Eastern Iranian Plateau: the Foundations of Arsacid Parthia and Graeco-Bactria
Steiner
[34]
논문
Nomad Migration in Central Asia (in After Alexander: Central Asia before Islam)
https://www.academia[...]
[35]
백과사전
Greek Art in Central Asia, Afghan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36]
이미지
Also a Saka according to this source
https://i.pinimg.com[...]
[37]
서적
Archaeology and Religion in Early Northwest India: History, Theory, Practice
Routledge
2015
[38]
웹사이트
Silk Road, North China
http://www.megalithi[...]
[39]
논문
Yuezhi on Bactrian Embroidery from Textiles Found at Noyon uul, Mongolia
http://www.silkroadf[...]
2012
[40]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Koninklijke Brill
2007
[41]
서적
Splendeurs des oasis d'Ouzbékistan
Louvre Editions
2022
[42]
서적
Splendeurs des oasis d'Ouzbékistan
Louvre Editions
2022
[43]
서적
Sogdian Painting: the Pictorial Epic in Oriental Ar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1
[4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 III: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45]
서적
The Silk Road: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13
[46]
논문
The Silk Road and the economy of Gaochang: evidence on the Circulation of silver coins
https://religiondocb[...]
2017
[47]
논문
ON THE PORTRAITS OF THE SOGDIAN KINGS (IKHSHĪDS) OF SAMARQAND
https://www.jstor.or[...]
2007
[48]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Age of Attil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9-29
[49]
논문
A Reflection of the Hephthalite Empire: The Biographical Narra- tive in the Reliefs of the Tomb of the Sabao Wirkak (494–579)
https://www.podgorsk[...]
2003
[50]
서적
The Silk Road: Trade, Travel, War and Faith
https://books.google[...]
British Library. Serindia Publications, Inc.
2004
[51]
서적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52]
논문
The Chinese Scene at Afrāsyāb
https://www.research[...]
2007
[53]
서적
History of Central Asia, The: 4-volume se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8-04-18
[54]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Volume III, the Crossroads of Civilizations: A.D. 250–750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1999
[55]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Volume III, the Crossroads of Civilizations: A.D. 250–750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1999
[56]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Volume III, the Crossroads of Civilizations: A.D. 250–750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1999
[57]
서적
Peerless images : Persian painting and its sources
https://archive.org/[...]
New Haven : Yale University Press
2002
[58]
웹사이트
Anikova Plate The Sogdians
https://sogdians.si.[...]
[59]
논문
An Israel of the Seven Rivers
https://sino-platoni[...]
2021
[60]
서적
Splendeurs des oasis d'Ouzbékistan
Louvre Editions
2022
[61]
서적
Global Security Watch: Central Asia
Praeger
2010
[62]
서적
Turko-Mongol rulers, cities and city life
Brill
2013
[63]
서적
Splendeurs des oasis d'Ouzbékistan
Louvre Editions
2022
[64]
서적
Turko-Mongol rulers, cities and city life
Brill
2013
[65]
서적
Global Security Watch: Central Asia
Praeger
2010
[66]
서적
Uzbekistan
Bradt Travel Guides Ltd
2016
[67]
서적
Uzbekistan
Bradt Travel Guides Ltd
2016
[68]
서적
The Silk Road: Two Thousand Years in the Heart of Asi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69]
서적
The Stone Tower: Ptolemy, the Silk Road, and a 2,000-Year-Old Riddle
Penguin Viking
2022
[70]
서적
Sogdian Traders: A History
Brill
2005
[71]
서적
De Kaboul à Samarcande : Les archéologues en Asie centrale
Éditions Gallimard
2001
[72]
서적
Records of the Great Historian, Han Dynasty II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73]
웹사이트
Silk Road, North China [Northern Silk Road, North Silk Road] Ancient Trackway : The Megalithic Portal and Megalith Map
http://www.megalithi[...]
2017-07-25
[74]
문서
Shiji
[75]
서적
Global Security Watch: Central Asia
Praeger
2010
[76]
서적
Sogdian Language and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77]
서적
Chaghatai: the Fabulous Cities and People of the Silk Road
Infinity Publishing
2004
[78]
서적
Transnationalism in Ancient and Medieval Societies, the Role of Cross Border Trade and Travel
McFarland & Company
2012
[79]
서적
Transnationalism in Ancient and Medieval Societies, the Role of Cross Border Trade and Travel
McFarland & Company
2012
[80]
간행물
The Sogdians: Prime Movers between Boundaries
2010
[81]
서적
Archaeology in Soviet Central Asia
E. J. Brill
1970
[82]
서적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Brill Academic Publishers
2002
[83]
백과사전
Sogdian Trade
http://www.iranicaon[...]
2011-11-04
[84]
서적
Die Alttürkenzeit in Mittel- und Zentralasien
Reichert
2008
[85]
서적
Sui-Tang China and Its Turko-Mongol Neighbors: Culture, Power, and Connections, 580–80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86]
서적
Central Asia in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87]
간행물
The Sogdians: Prime Movers between Boundaries
2010
[88]
서적
2002
[89]
서적
Transnationalism in Ancient and Medieval Societies
McFarland & Company
2012
[90]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Koninklijke Brill
2007
[91]
서적
The Persians: An Introduction
Routledge
2006
[92]
서적
When Glass Was Treasured in China
Brepols Publishers
2002
[93]
서적
The Silk Road: A New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94]
서적
Rome in the East: Transformation of an Empire
Routledge
2016
[95]
서적
The Silk Road: A New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96]
서적
Along the Ancient Silk Routes: Central Asian Art from the West Berlin State Museums
https://archive.org/[...]
[97]
서적
History of Central Asia, The: 4-volume se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8-04-18
[98]
간행물
Oxford Handbook of Late Antiquity: 5 Central Asia and the Silk Road
https://www.academia[...]
Oxford University Press
212
[99]
서적
History of Central Asia, The: 4-volume se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8-04-18
[100]
간행물
Central Asians on a Northern Ch'i Gate Shrine
https://doi.org/10.2[...]
1958
[101]
웹사이트
The Sogdian Ancient Letters 1, 2, 3, and 5
https://depts.washin[...]
[102]
웹사이트
Aurel Stein Discovers the Sogdian "Ancient Letters" 313 CE to 314 CE
https://www.historyo[...]
[103]
문서
Sogdian Ancient Letter No. 3
2004
[104]
웹사이트
Ancient Letters
https://sogdians.si.[...]
Freer Gallery of Art and Arthur M. Sackler Gallery, Smithsonian Institution.
[105]
웹사이트
Sogdian Ancient Letter III: Letter to Nanaidhat
https://kimon.hostin[...]
Telling the Sogdian Story: A Freer/Sackler Digital Exhibition Project
2023-04-19
[106]
웹사이트
Sogdian letters
http://ringmar.net/i[...]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2021-03-05
[107]
서적
Sogdian Traders: A History
https://brill.com/do[...]
Brill
2005
[108]
서적
Sogdian Traders
https://brill.com/di[...]
Brill
2005
[109]
서적
Symbola Caelestis: Le symbolisme liturgique et paraliturgique dans le monde chrétien
https://brill.com/do[...]
Gorgias Press
2009
[110]
백과사전
Ancient Letters
https://www.iranicao[...]
1985-12-15
[111]
웹사이트
Sodgian Ancient Letter II
https://kimon.hostin[...]
Telling the Sogdian Story: A Freer/Sackler Digital Exhibition Project
2023-04-19
[112]
서적
Les sogdiens en Chine
https://books.google[...]
École française d'Extrême-Orient
2005
[113]
서적
Rethinking Fashion Globalizatio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1-07-15
[114]
학술지
Revealing lost secrets about Yingpan Man and the Silk Road
2022-01-13
[115]
서적
Studies on the History and Culture Along the Continental Silk Road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0-09-10
[116]
서적
China: Dawn of a Golden Age, 200–750 AD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4
[117]
문서
ch. 92, p. 3047
[118]
서적
The Silk Road: Overland Trade and Cultural Interactions in Eurasia
American Historical Association
2001
[119]
웹사이트
CHINESE-IRANIAN RELATIONS xiii. Eastern Iranian Migrations to China
https://iranicaonlin[...]
[120]
서적
Transnationalism in Ancient and Medieval Societies, the Role of Cross Border Trade and Travel
McFarland & Company
2012
[121]
서적
Histoire et cultures de l'Asie centrale préislamique
https://journals.ope[...]
Collège de France
2020
[122]
서적
Transnationalism in Ancient and Medieval Societies, the Role of Cross Border Trade and Travel
McFarland & Company
2012
[123]
학술지
The Sogdians: Prime Movers between Boundaries
2010
[124]
학술지
New Work on the Sogdians, the Most Important Traders on the Silk Road, A.D. 500–1000
2003
[125]
서적
The Silk Road: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126]
Dissertation Presented to the Faculty of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History of Ideas
Negotiating Belonging: The Church of the East's Contested Identity in Tang China
https://utd-ir.tdl.o[...]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2019-05
[127]
서적
Sogdian Traders: A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2018
[128]
A thesis submitted to the Faculty of Graduate Studies and Research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Arts Department of History and Classics
The An Shi Rebellion and Rejection of the Other in Tang China, 618–763
University of Alberta Libraries
[129]
문서
History of An Lushan (An Lushan Shiji 安祿山史記) "唐鞠仁今城中殺胡者重賞﹐於是羯胡盡殪﹐小兒擲於中空以戈_之。高鼻類胡而濫死者甚眾"
[130]
뉴스
成德军的诞生:为什么说成德军继承了安史集团的主要遗产
https://www.163.com/[...]
时拾史事
2020-02-08
[131]
서적
危机与重构:唐帝国及其地方诸侯
https://books.google[...]
李碧妍
2015-08-01
[132]
서적
The earliest Muslim communities in China
https://www.kfcris.c[...]
King Faisal Center For Research and Islamic Studies
2017
[133]
A thesis submitted to the Faculty of Graduate Studies and Research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Arts Department of History and Classics
The An Shi Rebellion and Rejection of the Other in Tang China, 618–763
https://era.library.[...]
University of Alberta Libraries
[134]
문서
[[Old Tang History]] "至揚州,大掠百姓商人資產,郡內比屋發掘略遍,商胡波斯被殺者數千人" "商胡大食, 波斯等商旅死者數千人波斯等商旅死者數千人."
[135]
학술지
Silk Road Christians and the Translation of Culture in Tang China
https://cambridge.or[...]
Published online b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5-26
[136]
서적
From the Oxus River to the Chinese Shores: Studies on East Syriac Christianity in China and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13
[137]
학술지
The Rhetoric of Antiquity. Politico-Religious Propaganda in the Nestorian Steleof Chang'an 安長
2007
[138]
서적
Persian Christians at the Chinese Court: The Xi'an Stele and the Early Medieval Church of the Eas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8
[139]
학술지
Jingjiao under the Lenses of Chinese Political Theology
2019-09-26
[140]
서적
Rooted in Hope: China – Religion – Christianity Vol 1: Festschrift in Honor of Roman Malek S.V.D. on the Occasion of His 65th Birthda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
[141]
서적
Chinese Esoteric Buddhism: Amoghavajra, the Ruling Elite, and the Emergence of a Traditi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9
[142]
서적
Chinese Esoteric Buddhism: Amoghavajra, the Ruling Elite, and the Emergence of a Traditi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9
[143]
서적
The Spread of Buddhism
BRILL
2007
[144]
Dissertation Presented to the Faculty of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History of Ideas
Negotiating Belonging: The Church of the East's Contested Identity in Tang China
https://utd-ir.tdl.o[...]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2019-05
[145]
Dissertation Presented to the Faculty of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History of Ideas
Negotiating Belonging: The Church of the East's Contested Identity in Tang China
https://utd-ir.tdl.o[...]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2019-05
[146]
Dissertation Presented to the Faculty of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History of Ideas
Negotiating Belonging: The Church of the East's Contested Identity in Tang China
https://utd-ir.tdl.o[...]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2019-05
[147]
서적
''She'' Association Circulars from Dunhuang
Brill
2015
[148]
서적
Changing Relations between Administration, Clergy and Lay People in Eastern Central Asia: a Case Study According to the Dunhuang Manuscripts Referring to the Transition from Tibetan to Local Rule in Dunhuang, 8th–11th Centuries
Brill
2016
[149]
문서
Zizhi Tongjian
:zh:s:資治通鑑/卷249
[150]
서적
''She'' Association Circulars from Dunhuang
Brill
2015
[151]
서적
''She'' Association Circulars from Dunhuang
Brill
2015
[152]
서적
''She'' Association Circulars from Dunhuang
Brill
2015
[153]
학술지
Traces of the Lost 10 Tribes of Israel in Chinese and Korean Sources
https://www.academia[...]
[154]
서적
''She'' Association Circulars from Dunhuang
Brill
2015
[155]
서적
''She'' Association Circulars from Dunhuang
Brill
2015
[156]
서적
Silk Road: Monks, Warriors & Merchants
Odyssey Books
2005
[157]
백과사전
Sogdiana
[158]
서적
Yü-ni-ch'êng and the Site of Lou-Lan, and "The Location of the Capital of Lou-Lan and the Date of the Kharoshthi Inscriptions
Kyu-Shoin
1998
[159]
학술지
Hellenes and Romans in Ancient China (240 BC – 1398 AD)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partment of East Asia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2012-08
[160]
서적
Part One: the Paintings of Sogdia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1
[161]
서적
Part One: the Paintings of Sogdia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1
[162]
서적
Part One: the Paintings of Sogdia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1
[163]
서적
Iranian Languages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2003
[164]
서적
Introductory Not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1
[165]
서적
Iranian Languages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2003
[166]
서적
Introductory Not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1
[167]
서적
The History of Central Asia: the Age of the Steppe Warriors
I.B. Tauris
2012
[168]
서적
Parthian Writings and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169]
서적
Iranian Languages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2003
[170]
서적
The Birth of Tajikistan: National Identity and the Origins of the Republic
https://books.google[...]
I.B.Tauris
2007-06-15
[171]
서적
Introductory Not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1
[172]
학술지
The Late Sogdian Costume (the 5th – 8th centuries)
http://www.transoxia[...]
2003
[173]
서적
The Silk Road: A New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74]
문서
Tobin
[175]
서적
Intangible Spirits and Graven Images: The Iconography of Deities in the Pre-Islamic Iranian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2014-09-08
[176]
뉴스
A Mysterious Stranger in China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6-08-31
[177]
논문
The Funerary Couch of An Jia and the Art of Sogdian Immigrants in Sixth-century China
https://www.academia[...]
2019-01-01
[178]
논문
Religious Diversity among Sogdian Merchants in Sixth-Century China: Zoroastrianism, Buddhism, Manichaeism, and Hinduism
Duke University Press
[179]
서적
Sogdian Painting: the Pictorial Epic in Oriental Ar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0]
논문
The Sogdians: Prime Movers between Boundaries
[181]
서적
The Silk Road in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82]
서적
Agricultural and Pastoral Societies in Ancient and Classical History
Temple University Press
[18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 III: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4]
논문
A Mathematic Expression of Art: Sino-Iranian and Uighur Textile Interactions and the Turfan Textile Collection in Berlin
http://heiup.uni-hei[...]
[185]
논문
A Mathematic Expression of Art: Sino-Iranian and Uighur Textile Interactions and the Turfan Textile Collection in Berlin
http://heiup.uni-hei[...]
2017-07-25
[186]
서적
India and Central Asia: Links and Interactions
Astha Bharati Concept Publishing Company
[187]
서적
From the Oxus River to the Chinese Shores: Studies on East Syriac Christianity in China and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188]
서적
Monumenta Serica: Journal of Oriental Studies, Volume 57
https://books.google[...]
H. Vetch
[189]
서적
La via radiosa per l'Oriente: i testi e la storia del primo incontro del cristianesimo con il mondo culturale e religioso cinese (secoli VII-IX)
https://books.google[...]
Edizioni Qiqajon, Comunità di Bose
[19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 III: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 III: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 III: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 III: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I: the Ch'in and Han Empires, 221 B.C. – A.D. 2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
서적
China's Imperial Past: An Introduction to Chinese History and Cultur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XI: The High Empire, A.D. 70–192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
서적
Chinese Outcasts: Discrimination and Emancipation in Late Imperial China
E.J. Brill
[198]
서적
Chinese Outcasts: Discrimination and Emancipation in Late Imperial China
E.J. Brill
[199]
논문
The Silk Road and the Economy of Gaochang: Evidence on the Circulation of Silver Coins
http://www.silkroadf[...]
[200]
문서
A fictionalized account of a Kuchean courtesan's experiences in the 9th century
[201]
문서
Chinese-language rendering based on Yoshida's Japanese translation of the Sogdian contract of 639
[202]
서적
Sui-Tang China and Its Turko-Mongol Neighbors: Culture, Power, and Connections, 580–800
https://books.google[...]
OUP US
2012-08-23
[203]
서적
Les sogdiens en Chine
https://books.google[...]
École française d'Extrême-Orient
[204]
웹사이트
Les Sogdiens en Chine: The Impact of the Silk Road Trade on a Local Community: The Turfan Oasis, 500–800
http://history.yale.[...]
2017-07-25
[205]
문서
New light on Sogdian Colonies along the Silk Road : Recent Archaeological Finds in Northern China
2009-12-17
[206]
서적
Les sogdiens en Chine
https://books.google[...]
École française d'Extrême-Orient
[207]
서적
Les sogdiens en Chine
https://books.google[...]
École française d'Extrême-Orient
[208]
서적
Ethnic Identity in Tang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9]
서적
Ethnic Identity in Tang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10]
서적
Ethnic Identity in Tang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11]
서적
Slippery Paths: The Performance and Canonization of Turkic Literature and Uyghur Muqam Song in Islam and Modernit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1998
[212]
서적
Islam in China: A Critical Bibliograph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1994
[213]
서적
近三十年中國文史哲論著書目: Studies on Chinese Philosophy, Religion, History, Geography, Biography, Art, and Language an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Liberal Arts Press
1975
[214]
서적
全唐詩
https://zh.wikisourc[...]
[215]
서적
Ethnic Identity in Tang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
[216]
서적
Ethnic Identity in Tang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
[217]
서적
舊唐書
https://zh.wikisourc[...]
[218]
서적
Ethnic Identity in Tang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
[219]
간행물
New light on Sogdian Colonies along the Silk Road : Recent Archaeological Finds in Northern China (Lecture at the BBAW on 20 September 2001)
2009-12-17
[220]
간행물
New light on Sogdian Colonies along the Silk Road : Recent Archaeological Finds in Northern China (Lecture at the BBAW on 20 September 2001)
2009-12-17
[221]
서적
Esoteric Buddhism and the Tantras in East Asia
https://brill.com/ab[...]
Brill
[222]
논문
A Biographical Study on Bukong 不空 (aka. Amoghavajra, 705–774) : Networks, Institutions, and Identities
https://open.librar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23]
서적
Sogdian Language and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224]
서적
O'zbek Mumtoz Adabiyoti Tarixi (Eng qadimgi davrlardan XVI asr oxirigacha)
http://n.ziyouz.com/[...]
O'zbekiston Respublikasi Oliy Va O'rta Maxsus Ta'lim Vazirligi
2006
[225]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05-31
[226]
서적
The History of Buddhism in Vietnam
https://books.google[...]
CRVP
[227]
서적
Collected Studies on Ming History 明史研究论丛
https://www.academia[...]
China Academic Journal Electronic Publishing House
2011
[228]
서적
新中國出土墓誌: 陜西 (no.1-2)
https://books.google[...]
文物出版社
[229]
서적
The Prison Papers of Bozorg Alavi: A Literary Odyssey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230]
서적
Nujum al-zahira fi muluk Misr wa'l-Qahira, Volume II
Dar al-Kutub al-Misriyya
1930
[231]
서적
懐古堂
https://books.google[...]
LIT Verlag
[232]
서적
The Breaking of a Thousand Swords: A History of the Turkish Military of Samarra (A.H. 200-275/815-889 C.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1
[233]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2007
[234]
PhD
Historiography and Narratives of the Later Tang (923–936) and Later Jin (936–947) Dynasties in Tenth- to Eleventh century Sources
https://edoc.ub.uni-[...]
2014
[235]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Columbia University
[236]
서적
A Guide to Eastern Literatures
C. Tinling & Co
[237]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05-31
[238]
학술지
New Work on the Sogdians, the Most Important Traders on the Silk Road, A.D. 500–1000
2003
[239]
서적
The Silk Road: A New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240]
학술지
A Sogdian Colony in Inner Mongolia.
[241]
웹사이트
Soghdian Kai Yuans (lectured at the Dutch 1994-ONS meeting)
http://www.charm.ru/[...]
2018-06-08
[242]
웹사이트
Samarqand's Cast Coinage of the Early 7th–Mid-8th Centuries AD: Assessment based on Chinese sources and numismatic evidence.
http://numismatics.o[...]
2018-06-09
[243]
서적
Introductory Not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1
[244]
웹사이트
Avesta: Vendidad (English): Fargard 1
http://www.avesta.or[...]
Avesta.org
2016-01-04
[245]
서적
Sogdian Language and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246]
백과사전
Sogdiana
[247]
서적
중앙아시아의 소그드 문화
국립중앙박물관
2009
[248]
서적
서역전
[249]
서적
서역전
[250]
문서
호(胡)에 대한 설명
[251]
서적
우즈베키스탄의 문화사
국립중앙박물관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