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국의 최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아는 거대한 선진 경제, 강력한 제조업, 대규모 사치품 시장, 세계 3위의 금 보유량 등을 바탕으로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지중해 지역의 안보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핵 공유 프로그램을 통해 핵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탈리아는 통일 이후 강대국으로 인정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 부흥을 이루고 유럽 통합을 주도했다. 냉전 시기에는 동서 간의 외교를 추진했으며, 1980년대 이후 지중해 지역에서 적극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대외 관계 - 삼국 동맹 조약
1940년 일본, 독일, 이탈리아가 체결한 삼국 동맹 조약은 각국의 제국주의적 야망과 상호 지원을 약속했으나, 실제 협력은 제한적이었고 제2차 세계 대전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 이탈리아의 대외 관계 - 워싱턴 회담
워싱턴 회담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미국 주도로 1921년부터 1922년까지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9개국 국제 회의로, 해군 군비 제한, 태평양 지역 질서 재편, 중국 문제 등을 논의하여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등 일련의 조약을 체결하고 만주사변 이전까지 동아시아 국제 질서를 규정하는 워싱턴 체제를 성립시켰다. - 정치학 용어 - 거버넌스
거버넌스는 사회적 통치 시스템을 의미하며, 정부, 시민사회, 시장의 파트너십을 통해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경제 성장, 부패 감소, 정치적 안정 강화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정치학 용어 - 정치적 스펙트럼
정치적 스펙트럼은 정치적 입장을 분류하는 개념으로, 좌익과 우익의 1차원 모델, 경제적/개인적 자유를 축으로 하는 2차원 모델, 세속주의-전통주의, 생존주의-자기 표현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잉글하트-벨젤 가치관 지도 등 다양한 모델이 존재한다. - 국제 관계 - 국빈 방문
국빈 방문은 한 국가의 원수가 다른 국가를 공식적으로 방문하여 양국 간의 우호 증진과 관계 발전을 목표로 하는 외교 행사이다. - 국제 관계 - 지역 강국
지역 강국은 특정 지역에서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지만 세계적인 규모의 능력은 갖추지 못한 국가를 의미하며, 경제력, 군사력, 인구, 정치력 등을 갖추고 지역 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강대국의 최소 | |
---|---|
국제적 위상 | |
설명 | "최소의 강대국"이라고 불림 |
2. 이탈리아의 강점과 약점
이탈리아는 거대한 선진 경제[15][16] (국부, 1인당 순자산 및 GDP가 높음)와 강력한 제조업(제조업 생산량 순 국가 목록에서 7위),[17] 대규모 사치품 시장,[18] 대규모 국가 예산, 세계 3위의 금 보유량을 보유하고 있다.[19] 또한 SDR 및 IMF 투표권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19] 이탈리아는 문화 강대국이며[20] 기독교 세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교황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이탈리아는 지중해 지역 국제 안보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21] 동맹국을 위해 항공 경찰 임무를 수행하고 해외에서 다국적군을 지휘한다. 2척의 항공모함을 건조하고 일부 해외 군사 기지를 설립하여 상당한 군사 능력을 발전시켰다. 이탈리아 해군은 순양함 ''주세페 가리발디''에서 UGM-27 폴라리스를 해상에서 처음 발사했다. 핵 공유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개의 핵 기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명목상 비핵 보유국임에도 불구하고 핵 능력을 갖추고 있다. 전 이탈리아 대통령 프란체스코 코시가에 따르면, 냉전 시대 이탈리아의 핵 보복 계획은 소련이 NATO에 핵전을 감행할 경우 체코슬로바키아와 헝가리의 핵무기를 겨냥하는 것이었다.[22] 그는 이탈리아에 주둔한 미국의 핵무기 존재를 인정하고 영국과 프랑스의 핵무기 존재 가능성에 대해 추측했다.[23]
이탈리아는 자체 핵무기 프로그램을 개발했으나 핵 공유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중단했다.[24][25] 이 나라는 ABM PAAMS 시스템을 개발했다.[26] 알파와 베가와 같은 여러 발사체를 개발했다. 유럽 우주국의 지원을 받아 대기 재진입 및 우주선 착륙인 중간 실험 차량을 시연했다. 갈릴레오 글로벌 위성 항법 시스템의 두 지상 운영 센터 중 하나가 이탈리아에 있다.
과학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영구 남극 연구 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브롤리오 우주 센터를 소유하고 있으며, 유럽 우주국과 국제 우주 정거장에 주요 기여를 하고 있다.
이탈리아는 국내 정치 불안정, 대규모 공공 부채,[27] 감소하는 경제 생산성,[27] 특히 지난 10년 동안의 낮은 경제 성장,[28] 그리고 상당한 북부-남부 간 사회 경제적 격차[29] 등의 약점과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2. 1. 강점
이탈리아는 거대한 선진 경제[15][16] (국부, 1인당 순자산 및 GDP가 높음)와 강력한 제조업(제조업 생산량 순 국가 목록에서 7위),[17] 대규모 사치품 시장,[18] 대규모 국가 예산, 세계 3위의 금 보유량을 보유하고 있다.[19] 또한 SDR 및 IMF 투표권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19] 이탈리아는 문화 강대국이며[20] 기독교 세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교황의 본거지이기도 하다.이탈리아는 지중해 지역 국제 안보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21] 동맹국을 위해 항공 경찰 임무를 수행하고 해외에서 다국적군을 지휘한다. 2척의 항공모함을 건조하고 일부 해외 군사 기지를 설립하여 상당한 군사 능력을 발전시켰다. 이탈리아 해군은 순양함 ''주세페 가리발디''에서 UGM-27 폴라리스를 해상에서 처음 발사했다. 핵 공유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개의 핵 기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명목상 비핵 보유국임에도 불구하고 핵 능력을 갖추고 있다. 전 이탈리아 대통령 프란체스코 코시가에 따르면, 냉전 시대 이탈리아의 핵 보복 계획은 소련이 NATO에 핵전을 감행할 경우 체코슬로바키아와 헝가리의 핵무기를 겨냥하는 것이었다.[22] 그는 이탈리아에 주둔한 미국의 핵무기 존재를 인정하고 영국과 프랑스의 핵무기 존재 가능성에 대해 추측했다.[23]
이탈리아는 자체 핵무기 프로그램을 개발했으나 핵 공유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중단했다.[24][25] 이 나라는 ABM PAAMS 시스템을 개발했다.[26] 알파와 베가와 같은 여러 발사체를 개발했다. 유럽 우주국의 지원을 받아 대기 재진입 및 우주선 착륙인 중간 실험 차량을 시연했다. 갈릴레오 글로벌 위성 항법 시스템의 두 지상 운영 센터 중 하나가 이탈리아에 있다.
과학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영구 남극 연구 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브롤리오 우주 센터를 소유하고 있으며, 유럽 우주국과 국제 우주 정거장에 주요 기여를 하고 있다.
2. 2. 약점
이탈리아는 국내 정치 불안정, 대규모 공공 부채,[27] 감소하는 경제 생산성,[27] 특히 지난 10년 동안의 낮은 경제 성장,[28] 그리고 상당한 북부-남부 간 사회 경제적 격차[29] 등의 약점과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3. 역사적 배경
리소르지멘토 이후, 새롭게 통일된 이탈리아 왕국은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프랑스, 러시아 제국, 영국에 의해 "여섯 번째 강대국"으로 인정받았다.[30] 이탈리아는 오스트리아와 부르봉 왕가와의 일련의 전쟁을 통해 통일을 이루어 1861년에 국가 통일을 확보했다.[31][32][33] 1870년 보불전쟁의 결과로 프랑스군이 로마에서 철수하자, 이탈리아군은 1870년 9월 20일 로마를 점령하고, 1871년 수도로 선포하였다.[31][32][33] 같은 해 이탈리아는 런던 조약 (1871년)의 서명국으로서 강대국 회의에 가입했다.
1882년 이탈리아는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삼국 동맹 (1882년)을 맺었다. 같은 해, 홍해의 해안 도시인 아삽은 이탈리아 정부에 의해 점령되어 이탈리아 최초의 해외 영토가 되었다.
이탈리아는 1911–1912년에 오스만 제국을 격파했다.[34] 1914년까지 이탈리아는 에리트레아, 이탈리아령 소말리아의 대규모 보호령, 그리고 과거 터키령이었던 이탈리아령 리비아의 행정 권한을 획득했다. 아프리카 외에 이탈리아는 중국에 작은 톈진 조차지를 소유했으며 (의화단 운동 당시 8개국 연합의 개입 이후) 터키 해안의 이탈리아령 도데카네스 제도를 소유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이탈리아는 삼국 동맹의 일원이었으나, 오스트리아가 동맹 조건을 어겼다고 판단하여 프랑스, 영국, 일본과 함께 연합국 (제1차 세계 대전)에 가담했다.[35]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이탈리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에게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남부 알바니아를 점령했다. 1917년, 이탈리아는 알바니아에 보호령을 수립하여 1920년까지 유지했다.[35] 1918년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을 격파하고 국제 연맹 집행 위원회의 상임 이사국이 되었다.
1922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국가 파시스트당이 집권하면서 이탈리아는 파시스트 정권이 수립되었다.[36] 파시스트 정권은 이탈리아 제국의 확장을 추구하며 이탈리아의 미개척지론자들의 주장을 충족시키려 했다. 1935년부터 1936년까지 이어진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서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를 침공하여 점령하고,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에 병합했다.[36] 1939년에는 알바니아를 침공하여 파시스트 국가에 편입시켰다.[36]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이탈리아는 초기(1940-1943)에 독일, 일본과 함께 추축국으로 참전했다.[36] 그러나 연합군과의 휴전 협정을 체결한 후, 독일의 침공과 이탈리아 레지스탕스 운동의 발흥에 따라 연합국의 공동 교전국(1943-1945)으로 전환하여 참전하였다.[36]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이탈리아는 이탈리아 내전과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으나, 경제 기적을 통해 경제 부흥을 이루어냈다.[36] 또한, 유럽 통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유럽 연합(EU)의 주요 회원국이 되었으며,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도 가입하였다.[36] 1950년부터 1960년까지는 국제 연합(UN)의 신탁 통치를 통해 소말리아를 관리하기도 했다.[36]
20세기 후반, 기독교민주당은 이탈리아 정치의 중심에서 동서 간 대화를 강화하는 외교 정책을 추구했다. 자유 세계의 일원이었지만, 아랍 세계 및 소련과의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했다.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아민토레 판파니 총리는 이탈리아 영토 내 유피터 탄도 미사일 철수를 통해 미국과 소련 간의 타협을 지지했다. 1970년대 알도 모로 외무 장관은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와 비밀 협약을 맺기도 했다.
1980년대 베티노 크락시 총리 시절, 이탈리아는 지중해 지역에서 적극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다. 크락시는 1986년 미국의 리비아 폭격에 대해 카다피에게 사전 경고를 보냈고, 1987년 튀니지 쿠데타를 지원하여 지네 엘 아비디네 벤 알리를 대통령으로 옹립하도록 지시했다.
줄리오 안드레오티 총리(1989-1992)는 독일 통일에 반대했지만, 헬무트 콜 독일 총리, 프랑수아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과 함께 마스트리흐트 조약 체결에 기여했다.
3. 1. 통일과 강대국 지위 획득 (1861-1914)
리소르지멘토 이후, 새롭게 통일된 이탈리아 왕국은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프랑스, 러시아 제국, 영국에 의해 "여섯 번째 강대국"으로 인정받았다.[30] 이탈리아는 오스트리아와 부르봉 왕가와의 일련의 전쟁을 통해 통일을 이루어 1861년에 국가 통일을 확보했다.[31][32][33] 1870년 보불전쟁의 결과로 프랑스군이 로마에서 철수하자, 이탈리아군은 1870년 9월 20일 로마를 점령하고, 1871년 수도로 선포하였다.[31][32][33] 같은 해 이탈리아는 런던 조약 (1871년)의 서명국으로서 강대국 회의에 가입했다.1882년 이탈리아는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삼국 동맹 (1882년)을 맺었다. 같은 해, 홍해의 해안 도시인 아삽은 이탈리아 정부에 의해 점령되어 이탈리아 최초의 해외 영토가 되었다.
이탈리아는 1911–1912년에 오스만 제국을 격파했다.[34] 1914년까지 이탈리아는 에리트레아, 이탈리아령 소말리아의 대규모 보호령, 그리고 과거 터키령이었던 이탈리아령 리비아의 행정 권한을 획득했다. 아프리카 외에 이탈리아는 중국에 작은 톈진 조차지를 소유했으며 (의화단 운동 당시 8개국 연합의 개입 이후) 터키 해안의 이탈리아령 도데카네스 제도를 소유했다.
3. 2. 제1차 세계 대전과 국제 연맹 (1914-1922)
이탈리아 왕국은 리소르지멘토 이후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프랑스, 러시아, 대영 제국에 의해 "여섯 번째 강대국"으로 인정받았다.[30] 1871년 런던 조약 서명국으로서 강대국 회의에 가입했고, 1882년에는 독일, 오스트리아와 삼국 동맹 (1882년)을 맺었다.[31][32][33] 같은 해, 홍해 연안 도시 아삽을 점령하여 최초의 해외 영토를 확보했다.1911년에서 1912년 사이에는 이탈리아-터키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을 격파했다.[34] 1914년까지 에리트레아, 이탈리아령 소말리아 보호령, 이탈리아령 리비아를 확보하고, 의화단 운동 이후 톈진 조차지와 이탈리아령 도데카네스 제도를 소유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이탈리아는 삼국 동맹의 일원이었으나, 오스트리아가 동맹 조건을 어겼다고 판단하여 프랑스, 영국, 일본과 함께 연합국 (제1차 세계 대전)에 가담했다.[35]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이탈리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에게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남부 알바니아를 점령했다. 1917년, 이탈리아는 알바니아에 보호령을 수립하여 1920년까지 유지했다.[35] 1918년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을 격파하고 국제 연맹 집행 위원회의 상임 이사국이 되었다.
3. 3. 파시스트 정권과 제2차 세계 대전 (1922-1945)
1922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끄는 국가 파시스트당이 집권하면서 이탈리아는 파시스트 정권이 수립되었다.[36] 파시스트 정권은 이탈리아 제국의 확장을 추구하며 이탈리아의 미개척지론자들의 주장을 충족시키려 했다. 1935년부터 1936년까지 이어진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서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를 침공하여 점령하고,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에 병합했다.[36] 1939년에는 알바니아를 침공하여 파시스트 국가에 편입시켰다.[36]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이탈리아는 초기(1940-1943)에 독일, 일본과 함께 추축국으로 참전했다.[36] 그러나 연합군과의 휴전 협정을 체결한 후, 독일의 침공과 이탈리아 레지스탕스 운동의 발흥에 따라 연합국의 공동 교전국(1943-1945)으로 전환하여 참전하였다.[36]
3. 4. 전후 복구와 유럽 통합 (1945-현재)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이탈리아는 이탈리아 내전과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으나, 경제 기적을 통해 경제 부흥을 이루어냈다.[36] 또한, 유럽 통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유럽 연합(EU)의 주요 회원국이 되었으며,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도 가입하였다.[36] 1950년부터 1960년까지는 국제 연합(UN)의 신탁 통치를 통해 소말리아를 관리하기도 했다.[36]20세기 후반, 기독교민주당은 이탈리아 정치의 중심에서 동서 간 대화를 강화하는 외교 정책을 추구했다. 자유 세계의 일원이었지만, 아랍 세계 및 소련과의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했다.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아민토레 판파니 총리는 이탈리아 영토 내 유피터 탄도 미사일 철수를 통해 미국과 소련 간의 타협을 지지했다. 1970년대 알도 모로 외무 장관은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와 비밀 협약을 맺기도 했다.
1980년대 베티노 크락시 총리 시절, 이탈리아는 지중해 지역에서 적극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다. 크락시는 1986년 미국의 리비아 폭격에 대해 카다피에게 사전 경고를 보냈고, 1987년 튀니지 쿠데타를 지원하여 지네 엘 아비디네 벤 알리를 대통령으로 옹립하도록 지시했다.
줄리오 안드레오티 총리(1989-1992)는 독일 통일에 반대했지만, 헬무트 콜 독일 총리, 프랑수아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과 함께 마스트리흐트 조약 체결에 기여했다.
4. 냉전 시대와 외교 정책
4. 1. 기독교 민주당의 외교 정책
4. 2. 쿠바 미사일 위기 (1962)
4. 3. 알도 모로(Aldo Moro) 외무 장관의 비밀 협약
5. 1980년대 이후의 이탈리아
5. 1. 리비아 및 튀니지 관련 외교
5. 2. 줄리오 안드레오티(Giulio Andreotti) 총리의 외교
6. 이탈리아와 한국의 관계
참조
[1]
서적
Europe Today: A Twenty-first Century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2-03-10
[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Italian Poli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3-10
[3]
서적
Modern Italy
https://books.google[...]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2022-03-10
[4]
서적
Italy and Japan: How Similar Are They?: A Comparative Analysis of Politics, Econom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2-03-10
[5]
서적
Canada Among Nations, 2004: Setting Priorities Straight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2016-06-13
[6]
서적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under international law : "selfistans", secession and the rule of the great powe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6-13
[7]
서적
Transforming Military Power since the Cold War: Britain,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1991–201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6-13
[8]
서적
Why are Pivot States so Pivotal? The Role of Pivot States in Regional and Global Security
http://www.hcss.nl/r[...]
The Hague Centre for Strategic Studies
2016-06-14
[9]
서적
"Great Power, Arms, And Alliances"
https://repository.u[...]
2021-01-25
[10]
뉴스
"Clarifying the nation's role strengthens the impact of a National Security Strategy 2019"
https://www.defencec[...]
2020-01-22
[11]
웹사이트
Italy re-elected to IMO Council
http://www.esteri.it[...]
2017-03-20
[12]
서적
Awkward Powers: Escaping Traditional Great and Middle Power Theory
https://link.springe[...]
Palgrave Macmillan
2024-09-20
[13]
서적
Still Ours to Lead: America, Rising Powers, and the Tension between Rivalry and Restraint
https://books.googl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14-03-17
[14]
웹사이트
Italy: 150 years of a small great power
https://web.archive.[...]
2010-12-21
[15]
서적
Still Ours to Lead: America, Rising Powers, and the Tension between Rivalry and Restraint
https://books.googl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14-03-17
[16]
웹사이트
The global economic balance of power is shifting
https://www.weforum.[...]
[17]
웹사이트
Manufacturing statistics
http://ec.europa.eu/[...]
Eurostat
2015-02-08
[18]
웹사이트
Italy remains the third market for luxury goods
http://s24ore.it/2Gu[...]
2022-03-10
[19]
서적
Political atlas of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2011
[20]
웹사이트
Cultural Influence rankings
https://www.usnews.c[...]
USnews
2021-05-24
[21]
문서
The concept of Mediterraneo Allargato (Enlarged Mediterranean) includes the [[Horn of Africa]], the [[Balkans]] and the [[MENA]] region
[22]
웹사이트
Anche l'Italia coinvolta nel riarmo nucleare da noi settanta testate
https://ricerca.repu[...]
2018-01-17
[23]
웹사이트
Cossiga: "In Italia ci sono bombe atomiche Usa"
http://notizie.tisca[...]
Tiscali
2015-09-18
[24]
웹사이트
SEDUTA POMERIDIANA DI GIOVEDÌ 23 GENNAIO 1969
http://legislature.c[...]
2022-03-10
[25]
서적
A volte ritornano: Il nucleare : La proliferazione nucleare ieri, oggi e soprattutto domani
https://books.google[...]
Editoriale Jaca Book
2005
[26]
웹사이트
Eurosam
https://www.mbda-sys[...]
2022-03-10
[27]
간행물
On the Risk of a Sovereign Debt Crisis in Italy
https://www.intereco[...]
2018
[28]
웹사이트
Why Italy's Economy Stopped Growing
https://www.newswise[...]
2021-05-26
[29]
간행물
The North and South Divide: A Drag on the Italian Economy
http://dx.doi.org/10[...]
2022-11-06
[30]
서적
An Economic History of Liberal Italy (Routledge Revivals): 1850-1918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2-03-10
[31]
문서
Italian Unification 1820–71
2003
[32]
문서
Struggle for Mastery
[33]
서적
Pio Nono: A Study in European Politics and Relig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P.J. Kenedy & Sons
[34]
문서
A Box of Sand: The Italo-Ottoman War 1911–1912: The First Land, Sea and Air War
2014
[35]
서적
Armies in the Balkans 1914–18
Osprey Publishing
2001
[36]
논문
"The roots of a 'statesman': De Gasperi's foreign policy"
2009
[37]
서적
https://books.google[...]
[38]
서적
https://books.google[...]
[39]
서적
https://books.google[...]
[40]
서적
https://books.google[...]
[41]
서적
Canada Among Nations, 2004: Setting Priorities Straight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2016-06-13
[42]
서적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under international law : "selfistans", secession and the rule of the great powe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6-13
[43]
서적
Transforming Military Power since the Cold War: Britain,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1991–201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6-13
[44]
서적
Why are Pivot States so Pivotal? The Role of Pivot States in Regional and Global Security
http://www.hcss.nl/r[...]
The Hague Centre for Strategic Studies
2016-06-14
[45]
웹인용
The Long War Against Corruption
http://www.foreignaf[...]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06-05
[46]
뉴스
"'Clarifying the nation's role strengthens the impact of a National Security Strategy 2019'"
https://www.defencec[...]
2020-01-22
[4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esteri.it[...]
2020-10-07
[48]
서적
A United Nation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 peace, security, and development
https://www.google.i[...]
Kluwer Law International
2016-06-13
[49]
웹사이트
Italy: 150 years of a small great power
https://web.archive.[...]
2010-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