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황장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황장애는 예기치 않게 반복되는 공황 발작, 이에 대한 불안, 발작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 회피를 특징으로 하는 정신 질환이다. DSM-IV-TR 진단 기준에 따르면, 예상치 못한 공황 발작이 반복되어야 하며, 최소 한 달 이상 행동 변화, 발작에 대한 우려, 결과에 대한 걱정이 동반되어야 한다. 공황 발작은 심계항진, 가슴 통증, 호흡 곤란, 현기증, 비현실감, 죽음에 대한 공포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우울증이 있는 경우 공황장애로 진단하지 않는다. 치료는 인지 행동 치료와 약물 치료를 병행하며, SSRI가 1차 약물 치료 옵션으로 사용된다. 공황장애는 우울증, 알코올 중독, 수면 장애 등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경증성, 스트레스 연관 및 신체형 장애 - 광장공포증
광장공포증은 공황 발작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장소에 대한 과도한 불안과 공포를 느끼고, 그러한 장소를 회피하는 불안 장애로, 심계항진, 맥박 가속, 발한 등의 신체적 증상과 통제력 상실에 대한 공포를 동반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관련이 있고, 인지행동치료나 약물 치료 등의 치료법이 존재하며, 여성에게 더 흔하게 나타난다. - 신경증성, 스트레스 연관 및 신체형 장애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심각한 외상적 사건을 경험한 후 나타나는 정신 의학적 장애로, 사건의 재경험, 회피, 과각성 등의 증상을 보이며 심리적 외상과 회복력이 발병 및 극복에 영향을 미친다. - 불안 장애 - 광장공포증
광장공포증은 공황 발작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장소에 대한 과도한 불안과 공포를 느끼고, 그러한 장소를 회피하는 불안 장애로, 심계항진, 맥박 가속, 발한 등의 신체적 증상과 통제력 상실에 대한 공포를 동반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관련이 있고, 인지행동치료나 약물 치료 등의 치료법이 존재하며, 여성에게 더 흔하게 나타난다. - 불안 장애 - 친밀감에 대한 공포
친밀감에 대한 공포는 친밀한 관계에 대한 불안감이나 두려움으로, 개인 정보 공유, 정서적 반응, 타인에 대한 취약성과 관련되며, 유년기 경험과 학대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고, 여러 관계를 맺거나 감정 표현의 어려움 등의 징후를 보이며, 불확실성 수용, 자기 연민 등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 - 이상심리학 - 망상
망상은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인 내용을 확고하게 믿는 정신 질환의 증상으로, 뇌 기능 장애,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원인이 되어 조현병, 망상장애 등에서 나타나며, 정신 상태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항정신병 약물, 인지 행동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 이상심리학 - 식사장애
식사장애는 체중, 체형, 음식 섭취에 대한 과도한 집착과 비정상적인 식사 행동을 보이는 정신 질환으로,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폭식 장애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유전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심각한 합병증과 높은 사망률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공황장애 | |
---|---|
일반 정보 | |
![]() | |
분야 | 정신 의학, 임상 심리학 |
증상 | 갑작스러운 극심한 공포, 심계항진, 발한, 떨림, 호흡 곤란, 마비 |
발병 | 갑작스럽고 반복적임 |
원인 | 알려지지 않음 |
위험 요인 | 가족력, 흡연, 심리적 스트레스, 아동 학대 병력 |
진단 | 다른 잠재적 원인을 배제한 후 증상에 근거하여 진단 |
감별 진단 | 심장병, 갑상선 기능 항진증, 약물 사용 |
치료 | 상담, 약물 |
약물 | 항우울제, 벤조다이아제핀, 베타 차단제 |
빈도 | 인구의 2.5%가 평생 동안 한 번 이상 경험 |
질병 분류 | |
ICD-9 | , |
OMIM | 167870 |
MedlinePlus | 000924 |
eMedicineSubj | article |
eMedicineTopic | 287913 |
MeshID | D016584 |
2. 정의
공황장애는 예측하지 못하는 공황발작(panic attack)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최소 1개월간 유의미하고 연관된 행동 변화, 향후 발생할 발작에 대한 지속적인 우려, 혹은 발작의 영향에 대한 우려를 최소 하나의 경우 이상 수반하는 정신 질환이다. 광장공포증(agoraphobia)이 수반되거나 수반되지 않는 경우로 나뉜다. 약물이나 질병에 의한 발작, 혹은 다른 정신장애로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 공황발작은 공황장애 진단에서 제외된다.
ICD-10에서 제시하는 진단기준의 핵심 특징은, 심각한 불안(공황)으로 인한 발작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특정 상황이나 환경에 국한되지 않기에 예측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심계항진(palpitation)의 돌발
- 흉통
- 숨막히는 기분
- 현기증 혹은 아찔한 기분
- 비현실감(이인증 혹은 비현실화derealization)
- 죽음, 통제력 상실, 미칠 것 같은 것에 대한 부차적 공포
발작이 시작될 때에 우울장애가 있는 경우, 공황장애는 주요 진단 질병이 되어서는 안 된다. 이 경우, 공황발작은 우울증에 부차적인 것이 된다.
공황장애 심각도 척도(Panic Disorder Severity Scale, PDSS)는 공황장애의 심각도를 측정하는 설문이다.
아래는 공황장애 진단 기준이다.
1. 예측하지 못한 공황발작이 반복된다.
2. 적어도 한번 이상의 발작 후에, 한 달 넘게 다음 중 하나 이상이 해당해야 한다.
- 공황발작이 다시 올 것에 대한 지속적인 걱정 혹은 공황발작의 영향이나 결과에 대한 걱정 (예: 통제력 상실, 심장마비, 미쳐버리면 어떻게 하나 하는 걱정)
- 공황발작과 관련한 현저한 부적합한 행동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 (예: 공황장애를 피하기 위해서 하는 행동들: 운동을 하지 않거나 낯선 장소를 피하는 등의 행동)
3. 공황발작이 약물이나 갑상선 기능장애와 같은 생리적 영향 때문에 생긴 것이 아니어야 한다.
4. 공황발작이 공포증이나 강박장애, 심한 스트레스 장애 때문에 생긴 경우가 아니어야 한다.
3. 증상
공황장애의 핵심 증상은 공황 발작, 예기 불안, 광장 공포증이다.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IV-TR) 2000년판 진단기준에 따르면, 예측하지 못하는 공황 발작이 반복적으로 나타나야 하며, 최소 1개월간 유의미하고 연관된 행동 변화, 향후 발생할 발작에 대한 지속적인 우려, 혹은 발작의 영향에 대한 우려를 최소 하나의 경우 이상 수반해야 한다. 광장공포증 동반 여부에 따라 구분된다. 약물, 질병, 다른 정신장애로 인한 발작은 공황장애 진단에서 제외된다.
ICD-10 진단기준의 핵심 특징은 심각한 불안(공황)으로 인한 발작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특정 상황이나 환경에 국한되지 않아 예측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심계항진(palpitation)의 돌발
- 흉통
- 숨막히는 기분
- 현기증 혹은 아찔한 기분
- 비현실감(이인증 혹은 비현실화)
- 죽음, 통제력 상실, 미칠 것 같은 것에 대한 부차적 공포
발작이 시작될 때 우울장애가 있는 경우, 공황장애는 주요 진단 질병이 되어서는 안 되며, 이 경우 공황 발작은 우울증에 부차적인 것이 된다. 공황장애 심각도 척도(Panic Disorder Severity Scale, PDSS)는 공황장애의 심각도를 측정하는 설문이다.
공황 장애가 있는 개인은 일반적으로 공황 발작 동안 극심한 불안의 일련의 강렬한 에피소드를 경험한다. 공황 장애를 관리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지만, 개인의 증상을 관리하고 사회생활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전략이 있다. 공황 장애의 불안은 특히 심각하며 범불안 장애의 불안과 비교하여 눈에 띄게 에피소드성이다.
전형적인 공황 장애는 갑자기 발생하는 공황 발작으로 시작된다.[124] 본능적인 위험을 감지하는 편도체가 과도하게 활동하여 필요하지 않은데도 전투 태세에 들어가 호흡과 심박수를 증가시킨다.[124] 이어서 그 발작이 재발하지 않을까 두려워하는 예기 불안과 그에 따른 증상의 만성화가 일어난다. 더욱 장기화될수록 증상이 나타났을 때 벗어날 수 없는 장면을 회피하여 생활 범위를 제한하는 광장 공포증이 나타난다.
3. 1. 공황 발작
공황 발작은 일반적으로 약 10분 동안 지속되며, 짧게는 1~5분, 길게는 20분에서 1시간 이상 지속될 수 있다. 도움이 되는 개입이 있으면 더 오래 지속될 수도 있다. 공황 발작의 강도와 증상은 다양하다.[7]공황 발작의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빠른 심박수, 발한, 현기증, 호흡 곤란, 떨림, 통제할 수 없는 공포 등이 있다. 예를 들어 통제력을 잃고 미쳐버릴 것 같은 공포,[8] 죽음에 대한 공포,[9] 과호흡 등이 있다. 다른 증상으로는 질식감, 마비, 흉통, 메스꺼움, 무감각 또는 얼얼함, 오한 또는 열감, 시력 문제, 기절, 울음,[10] 현실이 왜곡된 느낌 등이 있다.[11] 또한, 임박한 재앙에 대한 생각을 하기도 한다.[12] 공황 발작은 특정 자극(예: 쥐)이나 환경(예: 치과)에 노출되어 유발될 수 있으며,[11] 야간 공황 발작도 흔하다.[13] 유발 요인 없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제한적 증상 발작은 공황 발작과 유사하지만 증상이 더 적다. 파킨슨병 환자는 공황 발작과 제한적 증상 발작을 모두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14]
공황 발작은 시간이 지나면 진정된다.[125]
3. 2. 예기 불안
환자는 공황 발작에 강렬한 공포를 느낀다. 이 때문에 발작이 발생한 상황을 두려워하고, 또 발작이 일어나는 것이 아닌가 상상하며 불안감을 키워간다.[124] 이를 '''예기 불안'''이라고 한다. 예기 불안으로 인해 환자는 신경질적이 되어 공황 발작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된다.3. 3. 광장공포증
DSM-5의 변경된 진단 기준에 따라 공황장애가 있어야만 광장공포증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측하지 못한 공황 발작이 반복되고, 탈출이 불가능하거나 도움을 청하기 어려운 장소를 두려워하거나, 그에 대한 불안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적어도 한번 이상 발작을 경험한 후 다음 한 달 넘게 불안을 느끼는 상황을 피하거나, 상당한 고통을 느끼며 견디거나, 혹은 공황 발작이 닥치는 것을 불안해하며 견디거나, 동반자가 옆에 있어야 버틸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다시 공황 발작이 오면 어떻게 하나 하는 걱정을 한다. 단, 이런 불안이나 회피 행동이 다른 장애로 더 잘 설명될 때는 광장공포증이라 붙이지 않는다.[136] 이러한 증상을 '''광장 공포증'''(アゴラフォビア)이라고 한다. 광장 공포증이 진행됨에 따라 환자의 생활에 장애가 심해지고,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이 사회적 기능 장애와 그에 따른 주변과의 갈등이 환자의 스트레스가 되어 증상의 만성화를 추진한다.4. 원인
공황장애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심리 사회적 요인, 생물학적 요인, 유전적 요인, 물질 사용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물질 사용:
- 공황 장애 환자의 약 30%는 알코올을, 17%는 다른 정신 활성 물질을 사용한다.[41] 이는 일반 인구에 비해 낮은 수치이다.[42][43]
- 카페인, 니코틴, 코카인과 같은 흥분제는 심박수 증가 등 공황 증상을 직접적으로 악화시킬 수 있다.[44]
- 알코올은 처음에는 공황 증상을 완화시키지만, 장기적으로는 특히 알코올 중독 중이나 알코올 금단 증후군 동안 공황 장애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48] 이는 뇌 화학 및 기능의 왜곡 때문이다.[49][50][51]
- 벤조디아제핀 중단 후에도 공황 장애를 포함한 장기간의 금단 증상을 경험할 수 있다.[52]
- 신경해부학적 요인:
- 불안 장애와 관련된 뇌 영역인 뇌섬엽, 편도체, 해마, 전대상피질(ACC), 외측 전전두피질, 중앙수도회백질 등이 공황 장애와 관련되어 있다.[59]
- 급성 공황 발작 중에는 혈류량 또는 대사 증가가 관찰되지만, 편도체 과잉 활성은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는다.[59]
- 뇌섬엽 과잉 활성은 비정상적인 내적 과정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신체 감각이 "잘못되었다"는 인식은 여러 불안 장애에서 발견되는 횡단적 소견이다.[59]
- 변연계와 GABA-A의 화학적 불균형이 공황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60]
4. 1. 심리 사회적 요인
스트레스나 과로는 공황장애의 최초 발작 원인이 될 수 있다.[127] 공황 발작이 일어난 상황이 조건화되어, 그 상황을 피하게 되고, 쌓여서 최종적으로 광장 공포증이 형성되기도 한다.어린 시절의 성장 환경 또한 공황장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알코올 의존증, 약물 의존증, 가정 폭력, 공의존, HSP,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같은 환경에서 자란 경우, 이러한 환경에서 벗어나 자립함으로써 증상이 개선되기도 한다. 특히 PTSD를 가지고 있으면서 공황 장애 증상만을 호소하여 병원을 찾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치료자가 근본적인 원인을 알기 어려워 치료가 잘 되지 않을 수 있다.
참을 수 없는 경험이나 공포심을 동반하는 트라우마를 겪은 후 공황 장애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PTSD와 공황 장애는 치료법이 다를 수 있지만, 발작 증상은 비슷할 수 있다. 따라서 성장 환경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치료에 중요하다. 유년기의 발육 환경 요인을 의심함으로써 자신의 발작이 PTSD로 인한 것임을 인식하게 되면, 증상과 치료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 발작이 자연스럽게 개선될 가능성도 있다. 다만, 강한 공포심 등을 동반할 때는 전문가의 지도가 필요하다.
4. 2. 생물학적 요인
내적 감각과 공황 장애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공황 장애 환자는 약물 등으로 자극을 받을 때 심장 박동을 더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파킨슨병이 없는 사람보다 내적 감각 인식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15]공황 장애의 원인에 대한 단 하나의 설명만 있는 것은 아니지만, 연구자들은 이 장애를 설명하기 위해 생물학적 관점 등을 사용한다. 과거 연구에서는 공황 발작을 겪는 사람들에게서 노르에피네프린 활동이 불규칙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했다.[16] 현재 연구는 이러한 관점을 뒷받침하는데, 공황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편도체, 중심 회백질, 시상하부의 복내측 핵, 청반핵으로 구성된 뇌 회로가 제대로 기능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17]
공황 장애는 유전이 발병 여부를 결정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가족력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20] 전펄스 억제가 공황 장애 환자에게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발작이 일어나는 과정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원인에 대해서도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뇌의 불안 신경 기구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공황 발작이나 예상되는 불안, 공포 등도 뇌 기능의 발현으로, 어떤 오작동이 생겨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람의 뇌는 위험을 감지하면 경고를 보내는데, 공황 장애는 이 경보 시스템이 오작동을 일으켜 실제로는 일어나지 않은 위험 정보에 의해 생긴 공포심이 자율 신경으로 전달되어 교감 신경이 잘못 흥분 상태가 됨으로써 발작이 유발된다는 가설이 유력하다. 스트레스를 쉽게 받거나 스트레스 대처에 서투른 사람은 공황 장애를 일으키기 쉽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26]
뇌의 노르에피네프린에 의해 유발되는 불안감을 지나치지 않도록 억제하는 세로토닌이라는 신경 전달 물질이 부족하거나, 수용체가 둔해져 있기 때문이라는 가설도 있다. 또한, 세로토닌 과다에 의한 가설도 있다. 선택적으로 세로토닌 계에 작용하는 새로운 항불안제(SSRI)가 개발되어, 불안 장애의 치료에 중추 세로토닌계가 관여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SSRI는 대부분의 불안 장애에 효과가 있으며, 벤조디아제핀보다 넓은 적응증을 가진다. 세로토닌계 항불안제는 편도체에 투사하는 세로토닌계의 기능을 강화하여 불안과 공포를 완화시킨다고 추정된다.
4. 3. 유전적 요인
공황장애의 유전적 요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유전적 요인이 신경화학적 기능 장애와 관련되어 공황장애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신경화학적 기능 장애에는 자율 신경 불균형, GABA-ergic 톤 감소, 아데노신 수용체 기능 증가, 코르티솔 수치 증가,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호르몬 및 신경 전달 물질의 교란 등이 있다.[57]만성적인 과호흡 상태나 이산화탄소 수용체 과민성이 공황장애의 유전적 원인과 관련될 수 있다는 가설도 제시된다.[57] 염색체 영역 13q, 14q, 22q, 4q31-q34가 공황장애의 유전 가능성과 연관될 수 있다고 보고된다.[58]
최근 연구에서는 공황장애 관련 중재자와 조절자를 밝혀내고 있다. 호흡 훈련을 받는 공황장애 환자의 경우, 이산화탄소 부분 압력이 불안 민감성을 중재한다.[61] 건강 염려증은 불안 민감성과 공황 증상 간의 관계를 중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2]
갈라닌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변이는 공황장애가 있는 여성과 공황장애 증상의 심각도 사이의 관계를 조절한다.[64]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공황장애 발병에 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 4. 물질 사용
물질 사용 장애는 종종 공황 발작과 관련이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공황 장애 환자의 39%가 오락용 물질을 사용한 경험이 있었다.[23] 알코올을 사용한 사람 중 63%는 공황이 시작되기 전에 알코올 사용을 시작했다고 보고했으며, 불법 물질을 사용한 사람 중 59%는 물질 사용이 먼저 시작되었다고 보고했다.[23] 다른 연구에서는 메스암페타민 의존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공존하는 정신 질환을 분석했는데, 그중 7%가 불안 장애를 앓고 있었다.[24]담배 흡연은 광장 공포증 동반 여부와 관계없이 공황 장애 및 공황 발작 발병 위험을 증가시킨다.[25][26][27][28][29] 특히 청소년기 또는 초기 성인기에 흡연을 시작하는 경우 위험이 더 커진다. 흡연이 공황 발작을 증가시키는 메커니즘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호흡기계 기능 변화, 니코틴의 흥분제 효과, 니코틴 금단으로 인한 불안 등이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27][30][31][32][33]
여러 임상 연구에서 카페인 섭취와 공황 장애 및/또는 불안 유발 효과 사이에 긍정적인 연관성이 나타났다.[34][35] 공황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카페인의 불안 유발 효과에 더 민감하며, 주요 불안 유발 효과 중 하나는 심박수 증가이다.[36][37][38][39]
충혈 완화제가 포함된 특정 감기 및 독감 약물에는 슈도에페드린, 에페드린, 페닐에프린, 나파졸린, 옥시메타졸린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약물은 고혈압을 유발하지 않도록 제조된 충혈 완화제를 사용하면 피할 수 있다.[40]
미국 데이터에 따르면, 공황장애 환자의 30%가 알코올을 섭취하고 17%가 기타 정신의약품을 사용하고 있다.[136] 이는 미국 전체 인구의 61%가 알코올을 사용하고[137], 7.9%가 기타 정신의약품을 사용하는 것[138]과 비교된다. 오락용 약물 사용이나 알코올 사용은 증상을 악화시킨다.[139] 카페인, 니코틴, 코카인 등 각성 작용을 하는 약물은 심박수 등 공황 증상을 증가시키므로 증상을 악화시킨다.
알코올은 초기 공황 증상을 완화시키는 반면, 중장기적인 알코올 사용은 공황장애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며, 특히 알코올 금단 증후군에서 현저하다.[140] 만성적인 알코올 남용이 증상을 악화시키는 것은 뇌내 화학 기능의 변화 때문이다.[141][142][143]
벤조디아제핀을 끊을 때 환자의 10%가 지속성 금단 증후군을 경험하며, 여기에는 공황장애도 포함된다.[144] 세계불안협의회는 벤조디아제핀을 이용한 장기적인 불안 치료에 대해 내성, 정신 기능 장애, 인지 및 기억 장애, 신체적 의존, 벤조디아제핀 금단 증후군 때문에 권장하지 않는다.[149]
5. 진단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 또는 국제질병분류(ICD) 기준에 따라 공황장애를 진단한다. 미국 정신의학회의 DSM-IV-TR(2000년판) 진단 기준은 예측하지 못한 공황발작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최소 1개월간 행동 변화, 발작에 대한 지속적인 우려, 발작의 영향에 대한 우려 중 하나 이상을 수반해야 한다. 광장공포증 동반 여부에 따라 구분한다. 약물, 질병, 다른 정신장애로 인한 발작은 제외된다.[150]
ICD-10 진단 기준의 핵심 특징은 심각한 불안(공황)으로 인한 발작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특정 상황이나 환경에 국한되지 않아 예측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심계항진(palpitation)의 돌발
- 흉통
- 숨막히는 기분
- 현기증 혹은 아찔한 기분
- 비현실감(이인증 혹은 비현실화)
- 죽음, 통제력 상실, 미칠 것 같은 것에 대한 부차적 공포
발작이 시작될 때 우울장애가 있는 경우, 공황장애는 주요 진단 질병이 되어서는 안 되며, 이 경우 공황발작은 우울증에 부차적인 것이 된다. 공황장애 심각도 척도(Panic Disorder Severity Scale, PDSS)는 공황장애의 심각도를 측정하는 설문이다.
DSM-IV에서 공황장애 진단 기준 A는 예상치 못한 공황 발작이 반복해서 일어나고, 발작에 대한 걱정이 1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을 요구한다. 진단 기준 B는 광장 공포증의 유무이다. 실제 임상에서는 공황장애를 광장 공포증을 동반하는 만성화된 것과 광장 공포증을 동반하지 않는 경증 사례의 두 가지로 구분한다. 갑작스러운 공황 발작으로 시작되어 예상 불안을 일으키고, 증상이 지속되며, 광장 공포증으로 진행된다는 경과의 확인도 임상 진단에서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진단 기준 C는 다른 약물이나 신체 질환에 의한 것이 아니어야 하고, 진단 기준 D는 다른 정신 장애가 아니어야 한다.[150]
공황 발작의 기준은 심계항진, 심박수 증가, 발한, 떨림, 숨가쁨, 질식감, 가슴의 불쾌감, 구역질이나 복부 불쾌감, 어지럼증, 현실 감각 상실, 자제할 수 없는 공포, 죽음에 대한 공포, 감각 마비나 얼얼함과 같은 이상 감각, 냉감이나 열감과 같은 4가지 이상이 발병하여 10분 이내에 최고조에 달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45세 이후 발병의 경우, 신체 질환이나 약물이 원인일 수 있다.[151] 의학적 질환의 원인으로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나 갈색세포종 등이 있다. 자동차 사고 등 실제 위험에 노출된 경우에는 공황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총을 겨누는 등의 상황에서 일어나는 공황 발작은 정신 장애가 아니다. 이러한 경험을 떠올리는 것으로 공황 증상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급성 스트레스 장애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일 가능성이 있다.
약물의 생리 작용으로 코카인이나 과도한 카페인 섭취는 공황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물질 유발성 불안 장애이다. 또한, 알코올, 항우울제, 항불안제와 같은 의약품의 금단이 증상을 일으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계기가 특정 가능한 경우에는 국한 공포증이며, 그것이 사회적인 상황인 경우에는 사회 불안 장애이다.
6. 치료
공황장애 치료는 심리 치료와 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러 치료법이 효과를 인정받고 있으며[124], 영국 국립 보건 임상 연구소(NICE)의 2011년 가이드라인에서는 약물 남용을 병발하고 있는 경우, 해당 치료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공황장애는 최대한 긍정적 반응을 가져오면서도 재발을 최소화하는 치료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186] 인지 행동 치료(CBT)와 공황 상태에 맞춰진 긍정적 자기 대화[187]는 공황장애의 우선적 치료이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인지 행동 치료로 완치된 환자 85~90%는 12주 내로 완벽하게 회복된다고 한다.[188]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일차 화학 치료 옵션이다.[189][190][191]
6. 1. 심리 치료
정신역동 심리치료와 인지 행동 치료(CBT)는 광장공포증 동반 여부와 관계없이 공황장애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4][193][194]인지 행동 치료(CBT): CBT는 공황장애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심리 치료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무작위 임상실험에서 인지 행동 치료를 받은 환자의 70~90%가 치료 후 2년 동안 공황발작이 나타나지 않는 상태를 보였다.[188] 여러 연구에 따르면, 치료를 받은 환자의 85~90%가 12주 이내에 공황 발작으로부터 완전히 회복된다.[70] 인지 행동 치료는 환자가 불안을 유발하는 원인에 직면하도록 장려하며, 이를 통해 근본적인 문제를 일으키는 비합리적인 두려움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여겨진다.
공황 집중 정신역동 심리치료: 공황 집중 정신역동심리치료는 의존성, 분리불안, 분노 등 공황장애를 일으키는 무의식적 갈등을 탐색하고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치료법은 생화학적 취약성, 유년기 트라우마 경험 등으로 인해 환자가 안전감을 위한 상당한 의존성을 가지며, 이로 인해 분리불안과 방어적 분노를 야기한다는 이론에 기반한다. 치료 과정에는 스트레스 요인 탐색, 공황장애 기저에 깔린 갈등에 관한 정신역동 및 공황발작을 일으키는 방어기제 탐색, 치료사-환자 관계에 있는 전이와 분리불안 문제 집중 등이 포함된다.[196]
기타: 비교임상연구에서는 근육 이완과 호흡 운동이 공황발작 감소에 효과가 없다고 하며, 실제로 호흡운동은 재발 가능성을 높인다.[197] 하지만, 호흡법이나 점진적 근육 이완법 등의 이완법도 유효하며, 이러한 기술을 환자가 습득하도록 도울 수 있다.[169]
숙련된 전문가의 적절한 치료는 공황장애를 막거나 심각도와 빈도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어, 환자의 70-90%에게 유의미한 안정을 가져다준다.[198] 재발하더라도 첫 공황 삽화처럼 치료 효과가 있다.
6. 1. 1. 인지 행동 치료의 구체적인 기법
인지 행동 치료는 공황장애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불안을 유발하는 요인에 환자를 직접 노출시켜 두려움을 극복하도록 돕는 기법들이 활용된다.- 내부 감각 노출: 공황 발작 시 나타나는 신체 감각(두근거림, 호흡 곤란, 어지럼증 등)과 유사한 감각을 의도적으로 유발하여 불안에 대한 내성을 키운다. 예를 들어, 의자에 앉아 빠르게 회전하여 어지럼증을 유발하거나, 빨대를 통해 숨을 쉬어 호흡 곤란과 유사한 느낌을 경험하게 한다.[158][159] 이를 통해 환자는 신체 감각이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사라지고, 스스로 조절 가능하다는 것을 체험하며 공황 발작에 대한 공포를 줄일 수 있다.
- 상황 노출: 공황 발작을 경험했거나 두려워하는 특정 상황(사람이 많은 곳, 대중교통 등)에 점진적으로 노출시켜 불안을 감소시킨다. 환자가 피하는 상황이나 장소에 대한 목록(불안 계층표)을 작성하고, 불안감이 적은 상황부터 시작하여 점차 강도를 높여간다.[160][161] 이 과정을 통해 환자는 불안한 상황에 직면해도 실제로는 위험한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시간이 지나면 불안이 사라진다는 것을 경험한다.[162][163][164]
이러한 노출 기법 외에도, 호흡법이나 점진적 근육 이완법과 같은 이완 기법을 활용하여 불안을 조절하는 훈련을 병행할 수 있다.[169] 하지만 이완 기법은 노출 치료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노출 치료를 방해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170]
6. 2. 약물 치료
적절한 약물 치료는 공황장애에 효과가 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내성, 의존성 및 남용의 우려 때문에 벤조디아제핀보다 우선적으로 사용된다.[210] [90] 약물 치료가 공포증을 직접적으로 바꾸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치료를 더 수월하게 해준다.[211] [91]약물 치료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항우울제'''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MAOI), 삼환계 항우울제(TCA),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등이 사용된다. 이 중 SSRI가 공황 발작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프로작, 루복스, 졸로푸트, 팍실 등이 대표적이다.[92] 삼환계 항우울제 중에서는 토프라닐과 아나프라닐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92]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MAOI)는 2차 또는 3차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지만, 효과가 제한적이고 부작용 및 약물 상호 작용의 위험이 크다.[93]
- '''항불안제''' (벤조디아제핀) : 벤조디아제핀 사용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미국 정신 의학 협회는 벤조디아제핀이 효과적이며, 환자 개인의 상황에 따라 선택해야 한다고 권고한다.[212] [94]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약물 내성과 의존성 위험 때문에 사용을 금지한다.[213] [95] 세계생리정신과협회연합은 치료 저항성 사례에서만 사용 가능하다고 말한다.[214] [96] 영국국립임상연구소(NICE)는 벤조디아제핀의 장기간 효과가 없으며 4주 이상 사용하지 말라는 결론을 내렸다.[218] [100]
이노시톨은 공황장애나 강박 장애 환자의 증상을 완화하는 작용이 보고되었으며, 불안 발생 빈도와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74] [175]
6. 3. 기타 치료법
카페인 섭취를 중단하면 일부 사람들의 불안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102] 다만, 카페인을 끊으면 금단 증상으로 불안이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103][104][105]7. 합병증
공황장애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질병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 우울증: 공황장애 환자 중 30%~70%가 우울증을 경험한다. 우울증 자체가 공황장애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공황장애 환자에게 나타나는 우울증은 공황장애가 지속됨에 따라 이차적으로 생기는 경우가 많다.
- 알코올 중독: 광장공포증이 있는 공황장애 환자 중 24%가 알코올 중독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 여성의 경우 알코올 의존성을 보이는 비율은 4.4%인데 비해, 공황장애 여성의 알코올 의존도는 19%이다.[185] 알코올은 GABA에 작용하여 일시적으로 불안을 완화시키지만, 의존성이 생길 수 있다.
- 질병 공포증: 공황 발작으로 인해 생길 수 있다.
- 성격 변화: 회피적 특성, 의존적 성격 및 '''연극성 성격장애''' 성향이 두드러진다.
공황장애 환자의 50~65%가 평생 우울증을 겪으며, 전반적 불안 장애는 25%, 사회 공포증은 15~30%, 특정 공포증은 10~20%, 강박 장애는 8~10%가 함께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공황장애 초진 환자 100명 중 86명은 수면 장애를 가지고 있다.[152]
8. 역학
공황 장애는 일반적으로 성인 초기에 시작되며, 17세에서 24세 사이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109] 여성은 남성보다 공황 장애에 걸릴 확률이 두 배 높다.
2000년 세계 보건 기구(WHO)는 전 세계적으로 공황 장애의 유병률과 발병률이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인구 10만 명당 연령 표준화된 유병률은 남성의 경우 아프리카 309명, 동아시아 330명, 여성의 경우 아프리카 613명, 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유럽에서 649명이었다.
어떤 형태의 공황 발작(PA)은 인구의 22.7%가 평생 한 번 이상 경험한다.[176] 공황 장애(PD)로 진단받는 사람의 평생 유병률은 1.6% - 2.2%[176]이며, 영국에서는 1.4%[177], 일본에서는 0.8%(World Mental Health Japan Survey, 2002-2006)였다.
광장 공포증(AG)과 관련이 있으며, 공황 장애와 광장공포증이 함께 발병하는 평생 유병률은 1.1%, 공황 발작과 광장공포증이 함께 발병하는 경우는 0.8%로 추정된다.[176]
공황 장애는 우울증, 인격 장애, 알코올 의존증과 함께 발병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본과 구미 모두 약 50 - 60%의 통계가 보고되고 있다.
9. 역사
1968년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 제2판(DSM-II)의 불안 신경증은 1980년 DSM-III에서 공황 발작을 동반하는 공황 장애와 공황 발작이 없고 불안이 지속되는 범불안 장애로 분리되었다.[178]
1964년 도널드 클라인은 공황이 불안과는 별개라는 논문을 발표했다.[179] 클라인은 DSM-III 제작에 참여했다.[179]
1980년 DSM-III가 등장하면서 공황 장애는 강렬한 걱정이 갑자기 시작되고 발한이나 실신과 같은 특징을 가진 독자적인 질환으로 변화했다.[179] 벤조디아제핀계 항불안제는 남용 문제가 발생하여 판매량이 감소하고 있었다.[179] 업존사(Upjohn)는 알프라졸람을 자낙스(Xanax)라는 상품명으로 시장에 출시했고, 이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이 새로운 공황 장애에 연결하려 시험에 자금을 지원했지만 신뢰할 만한 결과는 나오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1990년까지 공황 장애에 대한 최신 약물이 되었다.[179] 내부에서는 농담으로 업존병이라고 불렀다.[179]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인 파록세틴은 1991년 영국에서 세록사트(Seroxat)라는 이름으로, 1992년 미국에서 팍실(Paxil)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어 불안 장애 치료를 목표로 하였고, 의사들은 벤조디아제핀계와 마찬가지로 의존성을 우려했다.[180] 판매 후, 유해 사례 보고 시스템으로부터 금단 증상 보고가 시작되었고, 반감기가 짧다는 점이 고려되었다.[180]
영미의 치료 가이드라인은 현재 SSRI를 1차 선택으로 하고,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2차 선택 이하 또는 단기간 사용으로 제한하는 위치에 놓여 있다.[181]
참조
[1]
서적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Clinical descriptions and diagnostic guideline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2]
웹사이트
Anxiety Disorders
https://www.nimh.nih[...]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16-10-01
[3]
간행물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https://archive.org/[...]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4]
논문
Does this patient have generalized anxiety or panic disorder?: The Rational Clinical Examination systematic review
2014-07
[5]
논문
Anxiety
2016-12
[6]
웹사이트
Panic Disorder: When Fear Overwhelms
https://www.nimh.nih[...]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16-10-01
[7]
웹사이트
Panic disorder
https://www.nhs.uk/m[...]
UK National Heath Service
2021-02-16
[8]
논문
Panic disorder: a review of DSM-IV panic disorder and proposals for DSM-V
2010-02
[9]
논문
Panic Disorder Respiratory Subtype: Psychopathology, Laboratory Challenge Tests, and Response to Treatment
2010-07
[10]
논문
Phenomenology of panic disorder in youth
2004
[11]
서적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Thomson Delmar Learning
2006
[12]
문서
Psychiatric Drugs Explained
2009
[13]
논문
Differences between those who panic by day and those who also panic by night
https://linkinghub.e[...]
2003
[14]
웹사이트
Anxiety
https://www.parkinso[...]
[15]
논문
Can Interoception Improve the Pragmatic Search for Biomarkers in Psychiatry?
2016
[16]
서적
Fundamentals of Abnormal Psychology
Worth Publishers
[17]
서적
Behavioral Neurobiology of Anxiety and Its Treatment
[18]
서적
The Anxiety and Worry Workbook: The Cognitive Behavioral Solution
null
Guilford Press
[19]
논문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raumatic event exposure and panic-relevant biological challenge responding among adolescents
Elsevier Ltd
2011-09
[20]
웹사이트
Panic Disorder and Pharmacological Treatment Options
http://tc.engr.wisc.[...]
2012-05-12
[21]
논문
Comorbidity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alternative explanations and treatment considerations
[22]
논문
Information-processing deficits and cognitive dysfunction in panic disorder
2005-01
[23]
논문
Relationship between substance abuse and panic attacks
[24]
논문
Psychiatric disorders in individuals with methamphetamine dependenc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2014-06
[25]
논문
Panic disorder
2006-09
[26]
논문
Cigarette smoking and panic: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2010-05
[27]
논문
Associ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anxiety disorders during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2000-11
[28]
논문
Smoking increases the risk of panic: findings from a prospective community study
2003-07
[29]
논문
Cigarette smoking and panic attacks among young adults in the community: the role of parental smoking and anxiety disorders
2005-11
[30]
논문
Smoking and panic attacks: an epidemiologic investigation
1999-12
[31]
논문
Differential carbon dioxide sensitivity in childhood anxiety disorders and nonill comparison group
2000-10
[32]
논문
Physiological changes during carbon dioxide inhalation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major depression, an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evidence for a central fear mechanism
2001-02
[33]
논문
The Interaction of Nicotine Withdrawal and Panic Disorder in the Prediction of Panic-relevant Responding to a Biological Challenge
2013-03
[34]
논문
Drugs which Induce Anxiety: Caffeine
http://www.psycholog[...]
1996-06
[35]
논문
Caffeine challenge test and panic disorder: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2011-08
[36]
서적
Varcarolis' Foundations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A Clinical Approach
Elsevier Health Sciences
[37]
논문
Caffeine, mental health, and psychiatric disorders
[38]
논문
Anxiogenic effects of caffeine on panic and depressed patients
http://ajp.psychiatr[...]
1988-05
[39]
논문
Caffeine challenge test in panic disorder and depression with panic attacks
2007-05
[40]
웹사이트
High blood pressure and cold remedies: Which are safe?
http://www.mayoclini[...]
2017-01-21
[41]
웹사이트
Panic Disorder
http://www.mentalhea[...]
Mental Health America
2007-07-02
[42]
웹사이트
FASTSTATS — Alcohol Use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06-28
[43]
웹사이트
FASTSTATS — Illegal Drug Use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06-28
[44]
서적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https://psychiatry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45]
논문
Substance use and non-clinical panic attacks in a young adult sample
[46]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panic attacks and chemical dependencies
[47]
논문
Substance abuse and panic-related anxiety: a critical review
[48]
논문
Impact of alcohol intoxication and withdrawal syndrome on social phobia and panic disorder in alcoholic inpatients
2004-08
[49]
논문
Psychopathology of alcoholics during withdrawal and early abstinence
2000-12
[50]
논문
Alcohol abuse, substance abuse, and panic disorder
1992-01
[51]
논문
Alcohol use disorders and panic disorder: a review of the evidence of a direct relationship
2007-06
[52]
논문
Protracted withdrawal syndromes from benzodiazepines
http://www.benzo.org[...]
[53]
논문
Alcohol and benzodiazepines generate anxiety, panic and phobias
1995-02
[54]
논문
Hypnotic discontinuation in chronic insomnia: impact of psychological distress, readiness to change, and self-efficacy
2008-03
[55]
논문
Benzodiazepine Withdrawal: Outcome in 50 Patients
http://www.benzo.org[...]
[56]
논문
The benzodiazepine withdrawal syndrome and its management
1989-04
[57]
웹사이트
Panic Disorder
https://emedicine.me[...]
2023-02-06
[58]
웹사이트
Anxiety Disorders
https://emedicine.me[...]
2023-02-06
[59]
서적
Charney & Nestler's Neurobiology of Mental Illness
[60]
논문
Reduced γ-Aminobutyric AcidA–Benzodiazepine Binding Sites in Insular Cortex of Individuals With Panic Disorder
2007-07-01
[61]
논문
Changes in respiration mediate changes in fear of bodily sensations in panic disorder
2009-03
[62]
논문
Anxiety sensitivity and panic symptomatology: the mediator role of hypochondriacal concerns
http://revistas.ucm.[...]
2007-05
[63]
논문
Avoidance behavior in panic disorder: the moderating influence of perceived control
2006-01
[64]
논문
Polymorphisms in the galanin gene are associated with symptom-severity in female patients suffering from panic disorder
2008-01
[65]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66]
웹사이트
F41.0 Panic disorder [episodic paroxysmal anxiety]
https://icd.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67]
논문
The Road to Recovery in Panic Disorder: Response, Remission, and Relapse
https://www.psychiat[...]
1998-02-01
[68]
논문
Costs and offset effect in panic disorders
1995-04
[69]
논문
Emotional Intelligence and Positive Psychology: Therapist Tools for Training/Coaching Clients to Move Beyond Emotional Relief
https://link.gale.co[...]
[70]
서적
Abnormal Psychology
McGraw-Hill
2013
[71]
논문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http://www.medscape.[...]
2005-01
[72]
논문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panic disorder with or without agoraphobia: update]"
2007-10
[73]
논문
Short- and long- term efficacy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DSM-IV panic disorder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severe psychiatric comorbidity
2011-09
[74]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75]
논문
Do comorbid personality disorders moderate panic-focused psychotherapy? An exploratory examination of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ractice guideline
2007-06
[76]
논문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mipramine, or their combination for panic disord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ttp://jama.ama-assn[...]
2000-05
[77]
논문
Combined psychotherapy plus benzodiazepines for panic disorder
2009-01-21
[78]
논문
Panic-Focused Psychodynamic Psychotherapy
https://www.psychiat[...]
2008-02-01
[79]
논문
Dismantling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for panic disorder: Questioning the utility of breathing retraining.
2000
[80]
웹사이트
Panic Disorder
http://www.pueblo.g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06-05-12
[81]
논문
Is a combined therapy more effective than either CBT or SSRI alone? Results of a multicenter trial on panic disorder with or without agoraphobia
2008-04
[82]
논문
Psychological treatment for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examine the role of therapist-guided exposure in situ in CBT.
2011
[83]
논문
A randomized trial of sertraline, self-administered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their combination for panic disorder
2011-02
[84]
서적
Abnormal Psychology
McGraw-Hill Education – Europe
2014-01-01
[85]
논문
Causas de fracaso en el tratamiento psicofarmacologico del trastorno por angustia
[86]
논문
Alprazolam and Exposure Alone and Combined in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A Controlled Study in London and Toronto
1993-06
[87]
논문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mipramine, or Their Combination for Panic Disord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000-05-17
[88]
논문
Does Brief Dynamic Psychotherapy Reduce the Relapse Rate of Panic Disorder?
1996-08-01
[89]
논문
Efficacy, cost-effectiveness and acceptability of self-help interventions for anxiety disorders: systematic review
2012-01
[90]
논문
The role of alprazolam for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in Australia
2012-03
[91]
논문
The epidemiology of panic disorder and agoraphobia in Europe
http://tud.qucosa.de[...]
2005-08
[92]
논문
Belcastro
https://link.gale.co[...]
2023-02-06
[93]
논문
Panic disorder: A review of treatment options
https://pubmed.ncbi.[...]
2024-05-27
[94]
웹사이트
Clinical guidelines and evidence review for panic disorder and generalised anxiety disorder
http://www.nice.org.[...]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Primary Care
2009-06-16
[95]
논문
Troubles paniques: du diagnostic différentiel vers une prise en charge urgente
https://www.revmed.c[...]
[96]
논문
World Federation of Societies of Biological Psychiatry (WFSBP) guidelines for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nxiety, obsessive-compulsiv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2002-10
[97]
논문
Are benzodiazepines still the medication of choice for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ith or without agoraphobia?
2003-08
[98]
논문
Benzodiazepines in clinical practice: consideration of their long-term use and alternative agents
[99]
웹사이트
APA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Second Edition
http://www.psychiatr[...]
2009-07-12
[100]
서적
Clinic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nxiety: Management of Anxiety
https://www.ncbi.nlm[...]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Primary Care
[101]
논문
Benzodiazepines versus placebo for panic disorder in adults
2019-03
[102]
논문
Caffeine abstention in the management of anxiety disorders
1989-02
[103]
서적
Nutritional Neuroscience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2-10-07
[104]
서적
Coffee, Tea, Chocolate, and the Brain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2-10-07
[105]
논문
A critical review of caffeine withdrawal: empirical validation of symptoms and signs, incidence, severity, and associated features
2004-10-01
[106]
웹사이트
Facts about Panic Disorder
http://www.nimh.nih.[...]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06-09-30
[107]
학술지
The Impact of Early Life Stress on Anxiety Symptoms in Late Adulthood
2019-03-13
[108]
웹사이트
Global burden of panic disorder in the year 2000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02-27
[109]
학술지
Panic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110]
학술지
Phenomenology of panic disorder in youth
[111]
학술지
Panic disorder in psychiatrically hospitalized children
1988-11
[112]
학술지
Panic disorder and agoraphobia in consecutively referred children and adolescents
1997-02
[113]
학술지
Frequency of panic attacks and panic disorder in adolescents
[114]
학술지
Self-reports of panic attacks and manifest anxiety in adolescents
1993-01
[115]
학술지
Panic and panic attacks in adolescents
[116]
학술지
Comorbidity among the anxiety disorders
[117]
학술지
Panic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118]
서적
Child Anxiety Disorders: A Guide to Research and Treatment.
Routledge
2018
[119]
서적
Handbook of Child and Adolescent Anxiety Disorders
[120]
문서
DSM-IV-TR§パニック発作
[121]
학술지
The Natural History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Review
http://www.medscape.[...]
1997
[122]
문서
精神医学ハンドブック改訂版
創元社
[123]
문서
DSM-IV-TR§パニック障害-鑑別診断
[124]
보고서
Panic Disorder: When Fear Overwhelms
http://www.nimh.nih.[...]
アメリカ国立衛生研究所
2013
[125]
서적
パニック障害ハンドブック:治療ガイドラインと診療の実際
医学書院
[126]
문서
パニック障害の治し方がわかる本
[127]
문서
心の病気
築地サイトウクリニック
[128]
학술지
Panic disorder
2006-09
[129]
학술지
Cigarette smoking and panic: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2010-05
[130]
학술지
Associ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anxiety disorders during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2000-11
[131]
학술지
Smoking increases the risk of panic: findings from a prospective community study
2003-07
[132]
학술지
Cigarette smoking and panic attacks among young adults in the community: the role of parental smoking and anxiety disorders
2005-11-01
[133]
학술지
Smoking and panic attacks: an epidemiologic investigation
1999-12
[134]
학술지
Caffeine challenge test and panic disorder: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135]
학술지
Caffeine, mental health, and psychiatric disorders
[136]
웹사이트
Panic Disorder
http://www.mentalhea[...]
Mental Health America
2007-07-02
[137]
웹사이트
FastStats - Alcohol Use
http://www.cdc.gov/n[...]
CDC
2015-10-22
[138]
웹사이트
FactStats - Illegal Drug Use
http://www.cdc.gov/n[...]
CDC
2015-10-22
[139]
학술지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ork Group on Panic Disorder.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40]
학술지
Impact of alcohol intoxication and withdrawal syndrome on social phobia and panic disorder in alcoholic inpatients
http://www.scielo.br[...]
[141]
논문
Psychopathology of alcoholics during withdrawal and early abstinence
[142]
논문
Alcohol abuse, substance abuse, and panic disorder
1992-01-24
[143]
논문
Alcohol use disorders and panic disorder: a review of the evidence of a direct relationship
[144]
논문
Protracted withdrawal syndromes from benzodiazepines
http://www.benzo.org[...]
benzo.org.uk
[145]
논문
Alcohol and benzodiazepines generate anxiety, panic and phobias
[146]
논문
Hypnotic discontinuation in chronic insomnia: impact of psychological distress, readiness to change, and self-efficacy
[147]
논문
Benzodiazepine Withdrawal: Outcome in 50 Patients
http://www.benzo.org[...]
[148]
논문
The benzodiazepine withdrawal syndrome and its management
[149]
논문
WCA recommendations for the long-term treatmen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150]
문서
『DSM-IV-TR』§パニック障害
[151]
문서
『DSM-IV-TR』§パニック障害-鑑別診断
[152]
웹사이트
不安障害による不眠
http://www.fuanclini[...]
2015-09-17
[153]
서적
現代の認知行動療法--CBTモデルの臨床実践--
診断と治療社
[154]
서적
『パニック障害ハンドブック:治療ガイドラインと診療の実際』
医学書院
[155]
서적
パニック障害ハンドブック:治療ガイドラインと診療の実際
医学書院
[156]
서적
認知行動療法やさしくはじめから
じほう
[157]
논문
パニック症
[158]
서적
『パニック障害ハンドブック:治療ガイドラインと診療の実際』
医学書院
[159]
서적
『認知行動療法やさしくはじめから』
じほう
[160]
서적
『パニック障害ハンドブック:治療ガイドラインと診療の実際』
医学書院
[161]
서적
『認知行動療法やさしくはじめから』
じほう
[162]
서적
パニック障害の認知行動療法 貝谷 久宣・不安・抑うつ臨床研究会(編) パニック障害
日本評論社
[163]
서적
パニック障害の認知行動療法 貝谷 久宣・不安・抑うつ臨床研究会(編) パニック障害
日本評論社
[164]
서적
パニック発作のイメージのグラフ化を用いた認知行動療法の一症例 井上 和臣(編)認知療法ケースブック
星和書店
[165]
서적
服薬アドヒアランスの不良により症状の遷延化をきたしていたパニック障害の一症例 井上 和臣(編)認知療法ケースブック
星和書店
[166]
서적
パニック発作のイメージのグラフ化を用いた認知行動療法の一症例 井上 和臣(編)認知療法ケースブック
星和書店
[167]
서적
パニック障害の認知行動療法 貝谷 久宣・不安・抑うつ臨床研究会(編) パニック障害
日本評論社
[168]
서적
パニック発作のイメージのグラフ化を用いた認知行動療法の一症例 井上 和臣(編)認知療法ケースブック
星和書店
[169]
서적
認知行動療法における事例定式化と治療デザインの作成--問題解決アプローチ--
星和書店
[170]
서적
事例で学ぶ認知行動療法
誠信書房
[171]
서적
『10分でできる認知行動療法入門』
日経BP社
[172]
논문
The Efficacy of Paroxetine and Placebo in Treating Anxiety and Depression: A Meta-Analysis of Change on the Hamilton Rating Scales
http://journals.plos[...]
[173]
논문
Naturalistic manner of benzodiazepine use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utcome in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174]
논문
Inositol treatment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175]
논문
Double-blind, controlled, crossover trial of inositol versus fluvoxamine for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176]
논문
The epidemiology of panic attacks, panic disorder, and agoraphobia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null
[177]
간행물
CG123 - Common mental health disorders: Identification and pathways to care
http://www.nice.org.[...]
영국国立医療技術評価機構
2011-04
[178]
논문
The Natural History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Review
http://www.medscape.[...]
1997
[179]
서적
精神医学の歴史
青土社
1999-10
[180]
서적
抗うつ薬の功罪
みすず書房
2005-08
[181]
논문
不安障害の薬物療法とベンゾジアゼピン依存-特に全般性不安障害とパニック障害に注目して
2013
[182]
웹인용
Anxiety Disorders
https://www.nimh.nih[...]
2016-10-01
[183]
인용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184]
웹인용
서울대학교 임상ㆍ상담 심리학 연구실
http://hosting03.snu[...]
2020-08-06
[185]
문서
Panic Disorder: A Critical Analysis
Guilford Press
1994
[186]
저널 인용
Costs and offset effect in panic disorders
1995-04
[187]
저널 인용
Emotional Intelligence and Positive Psychology: Therapist Tools for Training/Coaching Clients to Move Beyond Emotional Relief
[188]
서적 인용
Abnormal Psychology
McGraw-Hill
2013-12-02
[189]
저널 인용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http://www.medscape.[...]
2005-01
[190]
저널 인용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panic disorder with or without agoraphobia: update]"
2007-10
[191]
저널 인용
Short- and long- term efficacy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DSM-IV panic disorder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severe psychiatric comorbidity
2011-09
[192]
서적 인용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null
[193]
저널 인용
Do comorbid personality disorders moderate panic-focused psychotherapy? An exploratory examination of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ractice guideline
2007-06
[194]
저널 인용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mipramine, or their combination for panic disord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ttp://jama.ama-assn[...]
2000-05
[195]
저널 인용
Combined psychotherapy plus benzodiazepines for panic disorder
2009-01-21
[196]
저널 인용
Panic-Focused Psychodynamic Psychotherapy
https://www.psychiat[...]
2008-02-01
[197]
저널 인용
Dismantling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for panic disorder: Questioning the utility of breathing retraining.
2000
[198]
웹인용
Panic Disorder
http://www.pueblo.g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06-05-12
[199]
저널 인용
Is a combined therapy more effective than either CBT or SSRI alone? Results of a multicenter trial on panic disorder with or without agoraphobia
2008-04
[200]
저널 인용
Psychological treatment for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examine the role of therapist-guided exposure in situ in CBT.
2011
[201]
저널 인용
A randomized trial of sertraline, self-administered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their combination for panic disorder
2011-02
[202]
서적 인용
Abnormal Psychology
https://archive.org/[...]
McGraw-Hill Education – Europe
2014-01-01
[203]
저널 인용
Causas de fracaso en el tratamiento psicofarmacologico del trastorno por angustia
[204]
저널 인용
Alprazolam and Exposure Alone and Combined in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A Controlled Study in London and Toronto
1993-06
[205]
저널 인용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mipramine, or Their Combination for Panic Disord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000-05-17
[206]
저널 인용
Does Brief Dynamic Psychotherapy Reduce the Relapse Rate of Panic Disorder?
1996-08-01
[207]
저널 인용
Efficacy, cost-effectiveness and acceptability of self-help interventions for anxiety disorders: systematic review
2012-01
[208]
저널 인용
Efficacy, cost-effectiveness and acceptability of self-help interventions for anxiety disorders: systematic review
2012-01
[209]
저널 인용
Can Interoception Improve the Pragmatic Search for Biomarkers in Psychiatry?
2016
[210]
저널 인용
The role of alprazolam for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in Australia
2012-03
[211]
논문
The epidemiology of panic disorder and agoraphobia in Europe
http://tud.qucosa.de[...]
2005-08
[212]
웹인용
Clinical guidelines and evidence review for panic disorder and generalised anxiety disorder
http://www.nice.org.[...]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Primary Care
2009-06-16
[213]
논문
Troubles paniques : du diagnostic différentiel vers une prise en charge urgente
https://www.revmed.c[...]
[214]
논문
World Federation of Societies of Biological Psychiatry (WFSBP) guidelines for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nxiety, obsessive-compulsiv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2002-10
[215]
논문
Are benzodiazepines still the medication of choice for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ith or without agoraphobia?
2003-08
[216]
논문
Benzodiazepines in clinical practice: consideration of their long-term use and alternative agents
[217]
웹인용
APA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Second Edition
http://www.psychiatr[...]
2009-01
[218]
서적
Clinic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nxiety: Management of Anxiety
https://www.ncbi.nlm[...]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Primary Care
[219]
논문
Benzodiazepines versus placebo for panic disorder in adults
2019-03
[220]
논문
Caffeine abstention in the management of anxiety disorders
1989-02
[221]
서적
Nutritional Neuroscience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2-10-07
[222]
서적
Coffee, Tea, Chocolate, and the Brain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2-10-07
[223]
논문
A critical review of caffeine withdrawal: empirical validation of symptoms and signs, incidence, severity, and associated features
2004-10-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어떤 ‘이탈’…내 환자에게 가자!
휴가 중 성폭행 시도·흉기 휘두른 군인 징역 30년 구형
불안장애 진료 받는 10대, 4년새 65% 급증…과도한 학습 경쟁·SNS 영향
불안장애 진료받는 10대 4만 2천 명 육박…4년 만에 65% 증가
우울증을 너도나도 고백하는 사회
달리면 마음도 건강해질까? 정신과 의사의 대답은
‘이경규 약물 운전’이 우리에게 알려주는 것 [왜냐면]
이제는 작가의 권리를 말할 때 [.txt]
“민간임대아파트 전세사기 피해자 구제해야”… ‘모두의 광장’ 민원 봇물
경찰, 방송인 이경규 검찰 송치…처방약 복용한 채 운전 혐의
이경규, '약물 운전 혐의'로 검찰에 불구속 송치 | JTBC 뉴스
경찰, 이경규 '약물 운전 혐의' 검찰에 불구속 송치 | JTBC 뉴스
경찰, 이경규 약물운전 혐의 확인…검찰에 불구속 송치
‘약물 운전’ 혐의 이경규 검찰 송치···도로교통법 위반 혐의
정신과 약 먹었다고 이렇게까지 될 수 있나요? / 스브스뉴스
[자막뉴스] "처방약도 안돼요" 음주만큼 위험한 '약물 운전' 어떻게 막나?
원망! 죄책감!…딸과 엄마의 ‘동시 공황장애’ [.txt]
'우울증' 김건희, 조금 전 퇴원…"특검 조사 성실히 임할 것"
[영상] 김건희 여사, 윤 전 대통령이 미는 휠체어 타고 퇴원…11일 만 | JTBC 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