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급대는 응급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으로, 역사는 고대부터 시작되어 현대에 이르러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초기에는 부상병을 돌보는 형태였으나, 18세기 후반 '플라잉 구급차'의 등장으로 체계화되었고, 19세기에는 자동차의 발달과 함께 현대적인 구급차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현재는 공공 및 민간 기관에서 운영되며, 소방서, 경찰서와 연계되거나 국가 보건 시스템의 일부로 운영되기도 한다. 구급대원은 기본 생명 유지술 제공자부터 고급 생명 유지술 제공자, 의료 전문가까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항공 구급차, 전술 응급 의료, 야외 응급 의료 등 전문 분야도 존재한다. 하지만 구급대원들은 산업재해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안전 관리가 중요하게 다뤄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급대 | |
|---|---|
| 개요 | |
![]() | |
| 유형 | 응급 의료 |
| 전문 분야 | 의료 |
| 서비스 범위 | |
| 제공 서비스 | 응급 치료 구급차 서비스 재난 의료 환자 이송 |
| 인력 및 조직 | |
| 주요 인력 | 응급 구조사 구급대원 응급 의료 기술자 의사 간호사 |
| 조직 유형 | 정부 기관 민간 기업 자원 봉사 단체 병원 |
| 장비 및 기술 | |
| 주요 장비 | 구급차 헬리콥터 의료 장비 통신 장비 |
| 일반 정보 | |
| 관련 항목 | 응급 의학 공공 안전 재난 관리 |
| 추가 정보 | |
| 관련 기관 | 보건복지부 소방청 |
| 관련 법률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
2. 역사
응급 의료 서비스의 역사는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성경에 나오는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나 중세 구호 기사단의 활동에서 그 초기 형태를 찾아볼 수 있다.[12] 본격적인 구급차의 개념은 나폴레옹 시대 프랑스 군의관 도미니크 장 라레이가 고안한 ambulances volantes|앙뷸랑스 볼랑트프랑스어에서 시작되었다.[13][14] 이는 부상병을 전장에서 신속하게 후송하기 위한 혁신적인 시도였다.
19세기에는 콜레라와 같은 전염병 유행에 대응하여 환자 수송을 위한 특수 마차가 등장했으며,[16] 미국에서는 병원을 기반으로 한 구급차 서비스가 시작되었다.[17][15] 유럽에서는 자원봉사 구조 협회가 설립되어 응급 구조 활동의 조직화가 이루어졌고,[19][20] 자동차의 발명은 구급차를 말이 끄는 마차에서 동력 차량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15]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견인 부목 사용,[21] 무선 통신 도입 등 응급 처치 및 이송 기술이 크게 발전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의사가 탑승하는 구급차가 운영되기도 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곳에서 구급차는 단순히 환자를 이송하는 수단에 머물렀고, 영구차와 겸용으로 사용되기도 했다.[22][23]
현대적인 응급 의료 서비스(EMS) 시스템은 1960년대 이후 심폐 소생술(CPR), 제세동과 같은 의료 기술의 발전과 함께 본격적으로 구축되기 시작했다.[24] 특히 1966년 미국에서 발표된 ''우연한 죽음과 장애: 현대 사회의 소홀한 질병'' 보고서(일명 "백서")는 당시 응급 의료 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구급차의 표준화와 응급구조사의 역할 강화 등 시스템 전반의 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25][26] 이러한 변화는 영국, 프랑스 등 다른 여러 나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 오늘날의 응급 의료 체계로 이어졌다.[28][29]
2. 1. 초기 역사
야전 응급 처치는 기록된 역사 초창기부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어 왔다. 신약성경에는 다친 사람을 지나가던 사마리아인이 돌보는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가 등장한다. 중세 시대에는 구호 기사단이 전장에서 부상당한 병사들을 돕는 역할을 수행했다.[12]전장에서 구급차를 특수 차량으로 처음 사용한 것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수석 외과의였던 도미니크 장 라레이(1766–1842)가 고안한 ''ambulances volantes''였다.[13][14] 라레이는 프랑스와 프로이센 사이의 슈파이어 전투에 참전했을 때, 전투가 끝난 뒤에야 부상병을 후송하는 기존 구급차 시스템의 비효율성을 목격하고 새로운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13][14][15] 그는 부상병을 전장에서 응급 처치한 후에 신속하게 이송하기 위해, 말이 끄는 2륜 또는 4륜 마차 형태의 구급차를 고안했다.[14] 라레이의 ''ambulances volantes'' 계획은 1794년 공안 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이후 1796년 이탈리아 원정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집트 원정에서는 낙타가 운반할 수 있는 들것 형태로 개조되는 등 상황에 맞게 발전했다.[14]
2. 2. 근대적 발전
전장에서 구급차를 특수 차량으로 처음 사용한 것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수석 외과의였던 도미니크 장 라레이(1766–1842)가 고안한 ''ambulances volantes'' (플라잉 구급차)였다.[13][14] 라레이는 프랑스와 프로이센 사이의 슈파이어 전투에서, 전투 현장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된 구급차가 전투가 끝난 후에야 부상병을 수송하는 비효율적인 모습을 보고 새로운 구급차 시스템 개발에 나섰다.[13][14][15] 그는 기존의 말 부상병 운반기 대신, 부상병을 전장에서 현장 응급 처치를 받은 후 신속하게 후송할 수 있는 2륜 또는 4륜 마차를 고안했다.[14] 라레이의 '플라잉 구급차' 프로젝트는 1794년 공안위원회의 승인을 받았고, 1796년 이탈리아 원정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그는 이후 이집트 원정에서는 낙타가 운반할 수 있는 들것을 개발하는 등 상황에 맞게 구급차를 개조하기도 했다.[14]1832년 런던에서는 콜레라 환자 수송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마차가 도입되면서 구급차 시스템에 중요한 진전이 이루어졌다. 이는 이후 병원 및 구급차 정책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16] 당시 ''더 타임스''는 이 마차에 대해 "환자를 마차에 태우는 순간 치료 과정이 시작된다... 환자를 병원으로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어 병원 수를 줄이고 서로 더 멀리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고 설명하며, 환자 이송과 동시에 치료를 시작하는 현대적 구급차 개념의 등장을 알렸다.[15]
미국에서는 1865년 오하이오주 신시내티의 커머셜 병원(현재 신시내티 종합 병원)에서 최초의 병원 기반 구급차 서비스가 시작되었다.[17][15] 이후 1869년 뉴욕주의 벨뷰 병원에서도 구급차 서비스를 도입했는데, 이 구급차에는 부목, 위 세척기, 모르핀, 브랜디 등 당시의 의료 수준을 반영하는 장비들이 갖추어져 있었다.[18]
유럽에서는 1881년 링 극장 화재 참사를 계기로 자로미르 V. 문디, 요한 네포무크 빌체크 백작, 에두아르트 라메잔-살린스가 비엔나에서 "비엔나 자원 구조 협회"를 설립했다. 이 협회는 이후 전 세계 유사 단체의 모델이 되었다.[19] 1887년 6월에는 성 요한 구급대가 런던에서 공공 행사 시 응급 처치 및 구급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군대식 지휘 체계를 갖춘 조직으로 설립되었다.[20]

19세기 후반 자동차의 발명은 구급차 발전에 또 다른 전환점을 가져왔다. 20세기 초에는 기존의 말이 끄는 구급차 외에도 증기, 가솔린, 전기 등 다양한 동력 방식의 자동차 구급차가 등장했다. 최초의 자동차 구급차는 1899년 2월 시카고의 마이클 리스 병원(Michael Reese Hospital)에 도입되었으며, 이는 지역 사업가들의 기증으로 마련되었다.[15] 1900년에는 뉴욕시에서도 전기 구동 방식의 자동차 구급차를 도입했는데, 시 당국은 빠른 속도, 환자 안전성 증대, 신속한 제동, 부드러운 승차감 등을 장점으로 내세웠다. 이 처음 두 대의 자동차 구급차는 후방 차축에 2마력 모터가 장착된 전기 구동 방식이었다.[15]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응급 처치 및 이송 기술이 더욱 발전했다. 특히 견인 부목의 도입은 다리 골절 환자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낮추는 데 크게 기여했다.[21] 또한 전쟁 직후 양방향 라디오가 등장하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효율적인 구급차 발송 시스템 운영이 가능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일부 선진 지역에서 의사가 탑승하고 첨단 의료 장비를 갖춘 현대적인 구급차가 운영되기도 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지역에서는 구급차가 영구차와 겸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환자를 눕혀서 이송할 수 있는 유일한 차량이었기 때문에 장례식장에서 운영하는 경우가 흔했으며, 이러한 차량은 결합차로 불렸다.[22][23]
2. 3. 현대 응급 의료 서비스의 등장

1960년대에 심폐 소생술(CPR)과 제세동 기술이 발전하고 새로운 제약 기술이 개발되면서, 병원 밖 심정지 환자를 위한 표준 치료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는 구급차의 역할을 단순한 이송 수단에서 응급 처치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24]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를 현장에서 소생시키는 실험적인 이동 심장 치료 구급차가 세계 최초로 운영되었다. 미국에서는 프리덤 하우스 구급대 서비스(Freedom House Ambulance Service)가 주목받았는데, 이는 미국 최초의 민간 응급 의료 서비스 중 하나로, 모든 대원이 아프리카계 미국인 응급구조사로 구성되어 활동하며 응급 의료 서비스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당시 미국의 응급 의료 시스템의 현실을 보여주는 중요한 보고서로 ''우연한 죽음과 장애: 현대 사회의 소홀한 질병(Accidental Death and Disability: The Neglected Disease of Modern Society)'' (일명 "백서")가 있다. 1966년에 발표된 이 보고서는 미국 내 구급차 서비스의 수준이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며, 많은 경우 체계적인 규제 없이 운영되어 만족스럽지 못한 상태라고 지적했다.[25] 이 연구는 정부가 구급차 서비스의 의료 수준을 포함한 전반적인 응급 의료 체계를 개선하도록 강력한 압력을 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보고서의 결과로, 구급대원이 이송 중에도 환자를 지속적으로 돌볼 수 있도록 구급차 내부 공간의 높이 기준이 마련되었고, 필수 탑재 장비와 그 무게 등 구급차 구조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졌다.
1971년, 미국 외상 학회 회장이었던 사우니 R. 개스턴 박사(Sawnie R. Gaston M.D.)는 이 백서가 "훌륭한 보고서"이며 "조직적인 의료 시스템 전체를 뒤흔들고 깨웠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 보고서가 응급 의료 서비스 개선 노력의 "주요 동인"이 되었으며, "응급 의료 서비스 개선에 가장 큰 기여를 했다"고 강조했다. 이 시점부터 병원 도착 전 단계에서의 응급 의료를 개선하기 위한 집중적인 노력이 시작되었다.[26]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R. 아담스 코울리 박사는 메릴랜드주에 미국 최초의 주 전체 응급 의료 서비스(EMS) 프로그램을 구축하기도 했다.[27]
이러한 응급 의료 시스템의 발전은 다른 나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영국에서는 1973년 관련 법률 제정을 통해 기존의 시립 구급차 서비스들을 더 큰 단위로 통합하고 국가적인 운영 표준을 마련했다.[28] 프랑스에서는 1970년대에 들어 최초의 공식적인 SAMU(Service d'Aide Médicale Urgente) 기관들이 설립되었다.[29]
3. 조직
응급 의료 서비스는 국가, 지역, 또는 임상적 필요에 따라 다양한 조직 형태를 통해 제공된다. 운영 주체가 누구인지에 따라 제공되는 의료 서비스의 수준과 범위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일부 국가는 구급차 인력의 자격 요건 등을 법으로 엄격하게 규제하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운영 주체별로 자격이나 운영 방식에 큰 차이를 두기도 한다. 주요 조직 형태는 공공 기관과 민간 기관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3. 1. 공공 기관
국가, 지역 또는 임상적 필요에 따라 응급 의료 서비스는 다양한 유형의 조직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운영 주체의 차이는 제공되는 의료 수준과 범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부 국가는 구급차에서 활동하는 인력의 자격 요건을 명확히 규정하는 등 엄격하게 관리하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운영 주체 간의 자격이나 운영 방식에 상당한 차이를 허용하기도 한다.
공공 기관이 운영하는 구급 서비스는 크게 몇 가지 모델로 나눌 수 있다.
독립적인 정부 기관 운영 (제3 서비스 모델)해당 지역의 소방서나 경찰서와는 별도로, 지방 정부, 주 정부 또는 국가 정부가 직접 자금을 지원하고 운영하는 방식이다. 미국의 일부 대도시에서 이러한 모델을 찾아볼 수 있는데, 이를 "제3 서비스" EMS(응급 의료 서비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는 소방서, 경찰서와 함께 응급 서비스를 구성하는 세 번째 축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대표적인 예로는 피츠버그 응급 의료 서비스국, 보스턴 EMS, 뉴올리언스 응급 의료 서비스, 클리블랜드 EMS 등이 있다. 정부가 운영하는 구급 서비스는 다른 공무원과 마찬가지로 공무원 시험을 통해 인력을 선발한다. 미국에서는 국립공원관리청이나 연방 교도국과 같은 특정 연방 정부 기관에서도 응급 의료 기술자를 고용하여 자체적인 구급 서비스를 운영한다.

소방 또는 경찰 연계 모델미국, 일본, 프랑스, 대한민국, 인도 일부 지역 등 많은 국가에서 구급 서비스를 지역 소방서나 경찰서에서 함께 운영한다.
- 소방 연계: 미국에서 가장 흔한 모델이며, 거의 모든 도시 소방서가 응급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31] 대도시 응급 환자 이송 구급차 서비스의 대부분이 소방서의 일부로 운영된다. 뉴욕 소방국(FDNY)과 볼티모어 시 소방국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대한민국 역시 소방서에서 구급 업무를 담당하는 대표적인 국가다. 소방공무원이 구급대원으로 활동하며, 이들 중 구급구명사 자격을 취득한 대원은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제한적인 응급 처치 등 의료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 일본의 경우 일본 소방이 구급 이송을 담당하며, 구급대는 전국의 소방본부나 소방서에 설치되어 있다. 구급대는 소방공무원 중 구급 관련 교육을 받고 자격을 취득한 대장, 대원, 기관원(운전수) 3명으로 구성하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2017년부터 낙도나 인구 과소 지역 등에서는 3명 중 1명을 준구급대원(지자체 직원 등으로 기초 강습을 이수한 자)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되었다. 과거에는 법적 제약으로 구급대원이 의료 행위를 할 수 없었으나, 1991년 구급구명사법 제정으로 구급구명사 자격을 취득한 대원은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제한적인 의료 행위를 할 수 있게 되었다.[115] 일본 정부는 전국의 모든 구급대에 소생 처치를 위한 공간과 장비를 갖춘 고규격 구급차를 배치하고 최소 1명의 구급구명사를 탑승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력이 부족한 중소 규모 소방본부의 분서나 출장소 등에서는 구급대원이 소방대나 구조대 업무를 겸임하기도 한다. 상시 소방 조직이 없는 '비상비 소방' 지자체에서는 지자체 직원이 구급 이송만을 담당하는 이른바 '시청 구급' 형태로 운영되기도 하며, 이 경우 구급구명사 자격이 없는 직원은 의료 행위를 할 수 없다. 2015년부터는 민간 기업 소속 구급구명사가 '시청 구급' 차량에 동승하여 의료 행위를 수행하는 '구급구명 업무 위탁' 제도가 미야자키현 미사토정, 도쿠시마현 가쓰우라정, 오키나와현 다케토미정 등에서 시범 시행되고 있다.
- 경찰 연계: 미국에서 경찰서가 직접 구급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많은 경찰관이 날록손 투여나 CPR과 같은 기본적인 응급 처치 훈련을 받는다. 과거 뉴올리언스 응급 의료 서비스는 1947년부터 1985년까지 뉴올리언스 경찰서에서 운영되었던 사례가 있다 (현재는 뉴올리언스 소방국과 별도로 뉴올리언스 보건국 및 국토 안보 비상 대비 사무소에서 운영한다).
국가 보건 시스템영국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응급 구급차가 국가 보건 시스템(NHS)의 일부로 운영된다. 이 경우 거의 모든 응급 구급차가 국가 보건 시스템에 의해 관리된다.[30]
3. 2. 민간 기관

자선 단체나 비영리 단체가 응급 의료 서비스를 운영하기도 한다. 이들은 주로 자원 봉사 인력으로 구성되지만, 유료 인력을 고용하는 경우도 많다. 자원 소방 서비스와 연계될 수 있으며, 일부 자원 봉사자는 두 가지 역할을 모두 수행하기도 한다. 일부 구급차 관련 자선 단체는 스포츠 행사와 같은 공공 행사에 대한 지원을 전문으로 하며, 다른 단체는 더 넓은 지역 사회에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제 적십자 및 적신월 운동은 응급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자선 단체이다.[32] (일부 국가에서는 민간 구급 서비스 형태로 운영되기도 한다). 그 밖에도 성 요한 구급대[32], 몰타 기사단 구급대, 유대인 공동체의 하차라[33] 등이 있으며, 지역 기반의 소규모 자원 봉사 또는 유료 조직들이 활동한다. 미국에서는 자원 봉사 구급차가 상대적으로 드물지만, 대도시와 시골 지역 모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 하차라). BASICS 스코틀랜드와 같은 일부 자선 단체는 심각한 질병이나 부상을 입은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법정 구급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자원하는 의료 전문가 교육을 전문적으로 수행한다.
일부 자선 단체는 병원, 호스피스 또는 요양원에서 장기 치료를 받는 환자가 여행이나 휴가를 갈 수 있도록 구급차를 제공하기도 한다. 영국의 점뷸런스 프로젝트가 대표적인 예이다.[34]
태국에서는 2008년 태국 국립 응급 의료 센터가 설립되기 전까지 정부 기관으로서의 구급대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공적인 구급대가 설립된 이후에도 부상자의 병원 이송이나 재해 구호 활동 등은 선당(善堂)이라고 불리는 불교계 자원 봉사 단체가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저명한 단체로는 화교보덕선당, 태국 의덕선당, 핫야이 동성선당 등이 있다.
3. 3. 기타
국가나 지역, 또는 임상적 필요에 따라 응급 의료 서비스는 다양한 유형의 조직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제공되는 의료 수준과 예상되는 진료 범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부 국가는 구급차에서 일하는 모든 인력이 특정 자격을 갖추도록 요구하는 등 이 분야를 엄격하게 규제하는 반면, 다른 국가는 운영 주체 간에 상당한 차이를 허용하기도 한다.자선 단체나 비영리 단체가 응급 의료 서비스의 일부를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주로 자원 봉사 인력으로 구성되지만, 유급 인력을 고용하는 경우도 많다. 자원 소방 서비스와 연계되어 활동하기도 하며, 일부 자원봉사자는 소방과 구급 활동을 겸하기도 한다. 어떤 자선 단체는 스포츠 행사와 같은 공공 행사에 대한 지원을 전문으로 하고, 다른 단체는 더 넓은 지역 사회에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제 적십자 및 적신월 운동은 응급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자선 단체이다.[32] (일부 국가에서는 민간 구급 서비스 형태로 운영되기도 한다). 그 외에도 성 요한 구급대[32], 몰타 기사단 구급대, 하차라[33] 등이 있으며, 지역 단위의 소규모 자원봉사 또는 유급 조직들도 활동한다. 미국에서는 자원봉사 구급대가 상대적으로 드물지만, 대도시와 시골 지역 모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 하차라). BASICS 스코틀랜드와 같은 일부 자선 단체는 중증 질환이나 부상을 입은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법정 구급 서비스를 지원하는 의료 전문가를 교육하고 이들의 자원 활동을 돕는 데 특화되어 있다.
일부 자선 단체는 병원, 호스피스, 요양원 등에서 장기 치료를 받는 환자들이 여행이나 휴가를 갈 수 있도록 구급차를 지원하기도 한다. 영국의 점뷸런스 프로젝트가 이러한 예시에 해당한다.[34]
4. 인력

응급 의료 서비스(EMS)를 제공하는 인력은 다양한 배경과 훈련 수준을 가지고 있다. 일부 구급차는 유료 직원을 고용하는 상업 회사에서 운영하며, 이들은 주로 지방 정부나 국가 정부, 병원 네트워크, 의료 시설, 보험 회사 등과 계약을 맺고 활동한다.
미국의 경우, 민간 구급차 회사가 지방 정부와 계약하여 대도시나 농촌 지역에서 응급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지방 정부가 자체 응급 서비스를 운영하는 지역에서는 민간 회사가 주로 병원 간 환자 이송이나 퇴원 등 비응급 상황을 담당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역에서 민간 회사는 지방 정부의 비상 재해 계획에 포함되어 응급 상황 대응, 치료, 복구 과정 전반에 참여한다.
지역에 따라 민간 회사는 비응급 환자 수송만 담당하기도 하지만, 응급 치료를 제공하거나 '2단계 대응' 체계를 구축하기도 한다. 2단계 대응은 정규 응급 구급대원이 모두 출동 중일 때 민간 회사가 응급 상황에 대응하는 방식이다. 때로는 정부나 다른 기관이 중증 응급 상황을 담당하는 동안, 민간 회사가 절상이나 타박상 같은 '경미한 부상' 처리나, 넘어져 도움이 필요한 노약자를 돕는 역할을 맡기도 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중증 응급 상황 발생 시 항상 전문 인력이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민간 회사는 산업 현장이나 특별 행사장에서 '대기'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35] 라틴 아메리카 일부 국가에서는 민간 구급차 회사가 유일하게 이용 가능한 응급 의료 서비스인 경우도 있다.
4. 1. 기본 생명 유지술(BLS) 제공자
응급 의료 출동 지휘자(EMD)는 응급 상황 신고를 받고 전화로 응급 처치 지침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은 체계적인 질문을 통해 상황을 파악하고, 신고자나 주변 사람들이 기도 폐쇄, 출혈, 출산, 심정지 등 긴급한 문제에 대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를 통해 응급 처치사가 현장에 도착하기 전, '제로 응답 시간'에 가까운 초기 대응을 가능하게 하여 환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4]응급 처치사(First Responder)는 응급 상황 발생 시 즉각적인 생명 구조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파견될 수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고급 응급 처치, 산소 공급, 심폐 소생술(CPR), 자동 제세동기(AED) 사용 등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응급 호출에 대응하는 인력에게 요구되는 최소한의 자격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에 현장에 먼저 도착하여 환자를 안정시키고 구급대원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53] 영국의 지역 응급 처치사나 프랑스의 유사한 자원봉사 계획처럼, 일부 지역에서는 자원봉사자들이 응급 처치사로 활동하기도 한다. 미국의 구조대와 같은 자율적인 자원봉사 단체나, 경찰관, 소방관 등 다른 응급 서비스 인력도 응급 처치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국가나 기관에서는 의학적 자격 없이 구급차 운전만을 담당하는 인력을 두기도 한다. 이들은 주로 운전 및 통신, 구급차 운용 등에 대한 교육을 받는다. 그러나 점차 응급 처치 능력을 갖춘 인력이 구급차에 탑승하는 추세여서 이러한 형태는 줄어들고 있다.[54]
비응급 환자 이송만을 담당하는 인력도 있다. 이들은 주로 들것이나 휠체어 환자의 병원 간 이송 등을 담당하며, 필요에 따라 응급 처치, 자동 제세동기(AED) 사용, 산소 요법 등의 추가적인 기술을 훈련받기도 한다. 영국에서는 이들을 '구급 간호 보조원'이라고 부른다.[55][56]
응급 처치 보조원은 응급 및 비응급 상황 모두에서 활동하며, 응급 구조사나 구급대원과 같은 전문 의료 인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약물이나 수액 준비, 기본적인 환자 상태 관찰, 심전도(ECG) 측정 보조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응급구조사(Emergency Medical Technician, EMT)는 일반적으로 자동 제세동, 척추 부상 처치 및 산소 요법과 같은 기본적인 응급 치료 기술을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이다.[57][58] 일부 관할 구역에서는 일부 응급구조사가 정맥 주사(IV) 및 골내 주사(IO) 삽입, 제한된 수의 약물(에피네프린, 날록손, 산소, 아스피린, 니트로글리세린 포함, 국가, 주, 의료 지침에 따라 다름) 투여, 더 진보된 기도 시술, 지속적 양압 환기(CPAP) 및 제한적인 심장 모니터링과 같은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59] 대부분의 고급 절차와 기술은 응급구조사의 전국적인 실무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60] 따라서 대부분의 주에서는 전국 커리큘럼 표준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추가 교육 및 자격증을 요구한다.[61][62] 미국에서 응급구조사 자격증은 현장 기술에 대한 집중적인 과정과 교육을 필요로 한다. 자격증은 2년 후에 만료되며 지속적인 교육 학점(CEU) 이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미국에는 응급 의료 대응자(EMR), 응급 의료 기술자(EMT), 고급 응급 의료 기술자(AEMT), 구급대원(Paramedic) 등의 단계가 있다.
4. 2. 고급 생명 유지술(ALS) 제공자

구급대원(Paramedic)은 병원 도착 전 단계에서 높은 수준의 의학적 훈련을 받은 전문가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정맥 삽관을 포함한 다양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통증 완화, 심장 문제 교정 등을 위한 약물을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심전도(ECG) 감시, 12유도 심전도 해석, 초음파 검사, 기관 내 삽관, 심낭 천자, 심율동 전환, 흉관 삽관, 그리고 응급 상황에서의 수술적 윤상 갑상 연골 절개술과 같은 고급 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응급 구조 기술자(Technician)가 수행하지 않는 핵심적인 의료 행위에 해당한다.[63] 구급대원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후 환자의 다른 증상이나 소견을 면밀히 평가하여 추가적인 응급 치료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64] 많은 국가에서 '구급대원'이라는 명칭은 법적으로 보호받는 직함이며, 해당 자격 없이 이 명칭을 사용하는 것은 형사 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65] 미국에서는 구급대원이 병원 전 응급 치료 분야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면허로 인정받는다. 이 외에도 구급대원은 야외 응급 의료, FP-C(Flight Paramedic Certification, 항공 구급대원 자격)[67] 및 중환자 응급 의료 이송 프로그램 인증[68] 등 다양한 전문 분야의 추가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중환자 관리 구급대원(Critical Care Paramedic)은 고급 실무 구급대원 또는 전문 구급대원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위독한 상태의 환자를 전문적으로 다루기 위해 추가적인 훈련을 받은 구급대원을 말한다. 이들은 종종 고급 의료 기술이 요구되는 응급 상황에 더 자주 투입되며, 항공 의료 서비스의 항공 구급차나 특수 육상 구급차 등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중환자 관리 구급대원이 받는 훈련의 내용, 허용되는 의료 기술의 범위, 그리고 인증 요건 등은 각 국가나 지역의 관할 규정에 따라 다르며, 외부 교육기관(대학, 전문 기관 등)에서 훈련을 받는지 또는 소속된 응급 의료 서비스(EMS) 기관 내에서 자체적으로 훈련을 받는지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중환자 관리 구급대원은 복잡한 내과적 또는 외상성 응급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매우 광범위한 의료 기술과 약물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 예를 들어, 도부타민, 도파민, 프로포폴과 같은 특수 약물이나 혈액 및 혈액 제제를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인공호흡기, 내부대동맥 풍선 펌프(IABP), 외부 심박 조율기 모니터링과 같이 일반적으로 병원의 중환자실(ICU)이나 중환자 관리 병동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고급 생명 유지 시스템을 다룰 수 있다. 소속 기관의 의료 지침에 따라서는 제대 정맥 카테터(UVC), 제대 동맥 카테터(UAC), 윤상 갑상 연골 절개술, 중심 정맥 카테터, 동맥 카테터, 흉관의 삽입 및 관리와 같은 침습적인 시술에 대한 훈련을 받고 수행하기도 한다.
응급 의료 실무자(Emergency Care Practitioner, ECP)는 영국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에서 운영되는 직책이다. 일부 현직 구급대원들이 추가적인 대학 교육 과정을 이수하여 독립적인 의료 전문가 자격을 얻은 경우에 해당한다. 이들은 스스로 임상적 판단을 내리고 그에 대한 책임을 지며, 자율적으로 약물을 처방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응급 의료 실무자는 구급차 단계의 응급 치료와 일반의(GP)의 진료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연계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고안되었다. 이들은 응급 의료 분야의 대학 졸업자이거나 추가적인 전문 교육을 받은 자격을 갖춘 구급대원으로서, 일반 구급대원보다 더 전문적인 기술을 수행하도록 승인받는다.[77] 또한, 일부 응급 의료 실무자는 항생제와 같이 장기적인 치료를 위한 약물을 처방할 수 있으며, 특히 영국에서는 매우 광범위한 종류의 약물을 처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1차 의료 환경에서의 역할을 고려하여, 이들은 다양한 진단 기술에 대한 교육도 받는다.
4. 3. 의료 전문가

=== 간호사 ===
응급구조사가 없는 많은 국가에서는 간호사 (RN)가 구급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응급 의료 서비스(EMS)의 주요 인력으로 활동한다. 유럽의 프랑스나 이탈리아 등에서는 간호사가 전문소생술(ALS)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하며, 이들은 대개 의사의 직접적인 감독 하에 일하거나 드물게 독립적으로 활동한다.[78] 노르웨이와 같이 응급구조사가 있는 일부 유럽 국가에서도 간호사가 구급대원이 직면하는 특정 상황에 필요한 고유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인식이 있어 '구급 간호사'의 역할이 계속 발전하고 있다.[78]
북아메리카와 다른 영어권 국가에서는 특별히 훈련된 간호사를 항공 의료 인력이나 중환자 치료 수송 등 특수한 의료 수송 업무에 활용한다. 이들은 주로 응급 환자를 병원 간 이송할 때 기술자, 응급구조사 또는 의사와 협력한다. 미국에서는 중환자 치료, 이동 집중 치료 수송, 항공 의료 EMS 분야에서 간호사가 구급차에 탑승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 이들은 주 간호 면허 외에 추가적인 자격증을 요구받는다. 일부 주에서는 간호사가 응급 의료 서비스 팀의 역할에 따라 응급구조사로도 활동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다른 국가들의 사례를 보면, 에스토니아에서는 구급차 팀의 60%를 간호사가 이끌며, 이들은 병원 도착 전 거의 모든 응급 절차와 약물 투여를 수행할 수 있다. 네덜란드의 모든 구급차에는 응급 간호, 마취 또는 중환자 치료 분야에서 추가 교육을 받은 간호사와 운전사 겸 응급의료기술자(EMT)가 배치된다.[79] 스웨덴에서는 2005년부터 모든 응급 구급차에 최소 1명의 간호사가 배치되어야 하며, 약물 투여는 간호사만 할 수 있다.[80][81] 스페인의 모든 ALS 구급차에도 최소 1명의 간호사가 배치된다.[82] 프랑스에서는 1986년부터 소방서 기반 구조 구급차에서 특별 훈련을 받은 간호사가 프로토콜에 따라 소생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83] SAMU-SMUR 부대에는 의사와 간호사가 함께 배치된다.[84]
=== 의사 ===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 일부 유럽 국가와 브라질, 칠레 등에서는 의사가 주도하는 응급 의료 서비스(EMS) 모델, 이른바 프랑코-독일 모델("현장 치료", "현장 안정화", "지연 및 치료" 모델)을 운영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기본적인 응급 처치 이상의 조치가 필요한 주요 응급 상황 발생 시 의사가 직접 현장에 출동한다. 의사는 현장에서 환자를 치료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며,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만 병원으로 이송한다. 환자가 병원으로 이송되더라도 응급실 대신 일반 병동으로 바로 입원할 가능성이 높다.[85]
이 모델 내에서도 운영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에서는 의사가 전문소생술(ALS)을 직접 수행하므로 응급구조사와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직급이 없다. 의사와 (경우에 따라) 간호사가 모든 의료 처치를 담당하며, 다른 구급차 인력은 운전과 중량물 운반 등 비의료적인 업무만 수행한다. 반면,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 독일어권 국가에서는 응급구조사에 해당하는 직급이 존재하지만, 이들은 구급차 의사(Notarzt|노타르츠트de)의 보조자 역할을 하며 제한된 업무 범위를 갖는다. 이들은 의사의 지시가 있거나, 현장에 의사가 없고 생명이 위급한 상황에서만 제세동이나 약물 투여 같은 ALS 처치를 수행할 수 있다.[85] 이 모델의 구급차는 더 발전된 의료 장비를 갖추고 있어 사실상 응급실 기능을 현장으로 가져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환자를 고속으로 병원에 이송하는 것은 불필요하고 위험한 것으로 간주되며, 현장에서 환자가 안정될 때까지 머물며 치료를 제공한 후 이송하는 것을 선호한다. 의사와 간호사는 운전자와 함께 구급차에 탑승하거나, 별도의 응급 대응 차량을 타고 이동하며 여러 구급차에 의료 지원을 제공할 수도 있다.
EMS가 주로 응급구조사에 의해 운영되는 국가에서도 의사는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영국에서는 의사들이 항공 구급대와 같은 전문 대응 차량에 탑승하여 활동하며,[86][87] 응급 처치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고 의료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데 참여한다. 또한, 의무 책임자로서 구급차 서비스의 최고 의료 고문 역할을 맡기도 한다. 미국에서는 2010년 미국 응급의학 위원회가 EMS를 공식적인 의학 하위 전문 분야로 인정했으며, 2013년에 첫 관련 시험이 시행되었다.[88] 현재 많은 주에서는 새로 임명되는 EMS 기관의 의무 책임자에게 EMS 위원회 자격증 취득을 권장하고 있다.
5. 전문 분야
가장 기본적인 응급 의료 서비스는 환자를 가장 가까운 의료 시설로 이송하는 단순 운송 작업에서 시작되었다. 개발 도상국의 많은 지역에서는 여전히 택시 운전사[10]나 장의사 등이 환자 이송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현대 응급 의료 서비스는 이러한 기본적인 이송 기능을 넘어, 특수한 환경이나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전문 분야로 발전했다. 대표적으로 항공 구급차, 전술 응급 의료, 야외 응급 의료 등이 있으며, 각 분야는 특화된 장비, 훈련, 운영 방식을 갖추고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5. 1. 항공 구급차

항공 구급차(일명 메디백, medevac|메디백eng)는 종종 육상 구급차 서비스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일부 외딴 지역에서는 주요 구급차 서비스를 형성하기도 한다. 응급 의료 서비스(EMS)의 많은 혁신과 마찬가지로, 의료용 항공기는 처음 군대에서 사용되었다. 부상자를 구조한 최초의 기록된 항공기 사용 사례 중 하나는 1917년 터키에서 발생했는데, 낙타 부대의 한 군인이 발목에 총상을 입고 드 하빌랜드 DH9 항공기로 병원으로 이송되었다.[89] 1928년에는 호주에서 최초의 민간 항공 의료 서비스가 설립되어 오지의 외딴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 서비스는 이후 로열 플라잉 닥터 서비스가 되었다.[90] 헬리콥터의 사용은 한국 전쟁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이로 인해 의료 시설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8시간에서 3시간으로, 그리고 베트남 전쟁에서는 2시간으로 단축되었다.[91]
항공기는 육상 구급차보다 더 빠르게 이동하고 더 넓은 지역에서 운행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시골이나 고립된 지역에서 발생하는 중증 외상 부상에 유리하다. 잘 알려진 골든 아워 이론은 중증 외상 환자를 가능한 한 빨리 전문 외상 센터로 이송해야 한다고 제안한다.[92][93] 따라서 헬리콥터를 이용한 의료 응급 구조대는 현장에서 더 높은 수준의 치료를 제공하고, 전문 병원으로 더 빠르게 이송하며,[94] 이동 중에도 응급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95] 그러나 야간이나 악천후에는 비행이 위험하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96][97]
5. 2. 전술(위험 지역) 응급 의료
일부 응급 의료 서비스 기관은 대규모 사고나 위험한 상황에서 부상자를 돕기 위해 전문 팀을 운영한다.[98] 이러한 상황에는 전술 경찰 작전, 총기 난사, 폭탄 테러, 위험 물질 유출, 건물 붕괴, 화재, 자연 재해 등이 포함된다. 미국에서는 이런 팀을 흔히 전술 응급 의료 서비스(Tactical Emergency Medical Service, TEMS) 팀이라고 부르며, 경찰 SWAT 팀과 함께 현장에 투입되는 경우가 많다.[98] 영국 구급차 서비스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팀으로 위험 지역 대응 팀(Hazardous Area Response Team, HART)을 운영하고 있다.5. 3. 야외 응급 의료
야외 응급 의료 서비스(Wilderness EMS|WEMSeng)는 도시 지역과는 상당히 다른 환경적 요구를 가지는 오지에서의 의료 대응을 위해 개발된 전문 분야이다. 예를 들어, 미국의 전국 스키 순찰대나 지역 대응 조직인 아팔라치안 수색 구조 컨퍼런스 같은 기관들이 이러한 시스템을 운영한다.일반적인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자와 마찬가지로, 모든 야외 응급 의료(WEM) 제공자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형태의 의료 감독 하에 활동해야 한다. 의사들이 이러한 감독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야외 의학 학회와 전국 응급 의료 서비스 의사 협회는 2011년에 "야외 EMS 의료 책임자" 자격증 과정을 공동으로 지원했다.[99] 이 과정은 EMS 저널에 의해 2011년의 주요 EMS 혁신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100]
야외 응급 의료 기술자(WEMT) 과정에서 교육하는 기술은 일반적인 응급 구조사(EMT-Basic)의 업무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가 많다. 여기에는 카테터 삽입, 항생제 투여, 킹 후두 튜브와 같은 중급 맹관 삽입 기도 장치 사용, 비위관 삽입, 간단한 봉합 등이 포함될 수 있다.[101] 하지만 WEMT의 업무 범위는 여전히 기본 생명 유지술(BLS) 수준의 의료 처치로 분류된다.
WEM 교육은 다양한 기관에서 제공된다. 사립 학교, 아팔라치안 야외 의학 센터[102]나 야외 EMS 연구소[103]와 같은 비영리 단체, 군 부대, 지역 전문대학 및 대학교,[104][105] 그리고 EMS-대학-병원 협력체[106] 등이 WEM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6. 직업적 위험
구급대원(응급구조사)의 산업재해 발생률은 일반 인구보다 높다.[107] 의료인에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산업적 위험은 구급대(EMS)에도 비슷하게 적용된다. 응급 의료 서비스 분야에서 주로 발생하는 산업 보건 위험으로는 환자를 들어 올리다 생기는 부상, 폭력적인 환자와의 접촉, 운송 중 발생하는 사고, 그리고 유해 물질 노출(소음, 화학 물질, 감염성 질병 등) 등이 있다.[108]
미국의 국립 산업 안전 보건 연구원(NIOSH)에 따르면, 구급대원(EMS 임상의)이 겪는 가장 흔한 부상이나 질병은 염좌 및 좌상(41%)이며, 유해 물질 노출(20%)이 그 뒤를 잇는다.[107] 응급 의료 서비스 분야에서 사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산업 위험은 지상 및 항공 구급차 충돌 사고이다.[109] 하지만 이러한 충돌 사고는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며, 충돌로 인한 부상은 전체 구급대(EMS 임상의) 부상 중 8% 미만을 차지한다.[107]
미국에서는 OSHA와 CDC 산하의 NIOSH가 응급 의료 서비스 종사자들을 직무 관련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지침을 마련했다. 이 지침에는 위생 관리, 개인 보호 장비(PPE) 착용 요건, 피로 관리 규정 등이 포함되어 있다.[108] 위험 감수 행동을 줄이고 안전한 작업 관행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근로자에게 명확한 역할과 기대치를 전달하는 등 안전의 기본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 직업적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필수적이다.[110]
과도한 힘 사용으로 인한 부상은 코어 근육 단련, 유연성 향상, 근지구력 강화를 통해 예방할 수 있다.[111] 또한 안전하게 환자를 들어 올리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권장된다. 화학적, 생물학적, 감각적, 물리적 위험에 대한 노출은 개인 보호 장비(PPE) 사용을 통해 줄일 수 있다.[112] 직무 스트레스, 폭력 또는 외상 경험 노출과 같은 심리 사회적 위험은 정신 건강에 어려움을 겪는 응급 구조 대원을 위한 동료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113] 미국 내 대부분의 주(80%)에서는 심각한 외상 사건 발생 시 작동하는 독립적인 위기 사건 스트레스 관리(CISD/M)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14] 운송 관련 부상 및 사망은 운전자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 규정을 개선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다.[109]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EMS?
https://www.ems.gov/[...]
NHTSA
[2]
웹사이트
Long Hill Township First Aid Squad
https://web.archive.[...]
2007-06-18
[3]
웹사이트
FAST Squad {{!}} Town of Lyme NH
http://www.lymenh.go[...]
2016-06-01
[4]
웹사이트
Hennepin County Emergency Squad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Nottingham Ambulance Squad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Valhalla Volunteer Ambulance Corps
http://members.aol.c[...]
2007-06-18
[7]
웹사이트
Sardinia Life Squad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EU document on European adoption of 112 emergency number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EMS Special Operations
https://web.archive.[...]
Town of Colonie EMS
[10]
뉴스
Motorcycle Ambulance Trailer Project Gets Off The Ground With MAN ERF UK
https://web.archive.[...]
Transport News Network
2006-07-04
[11]
뉴스
Do not take all your patients to hospital, paramedics told
https://www.telegrap[...]
2013-11-10
[12]
웹사이트
Knights Hospitaller's
http://www.medicinen[...]
2008-08-20
[13]
논문
'To afford the wounded speedy assistance': Dominique Jean Larrey and Napoleon
2006-08
[14]
논문
The Revolutionary Flying Ambulance of Napoleon's Surgeon
https://web.archive.[...]
1998-10
[15]
서적
The ambulance: the story of emergency transportation of sick and wounded through the centuries
Exposition Press
[16]
웹사이트
Cholera carriages
https://web.archive.[...]
[17]
웹사이트
How EMS Services Including Ambulances Went from Punishment to Prestige - IA MED
https://www.iamed.co[...]
IA MED
2021-02-22
[18]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https://wvde.state.w[...]
West Virginia Department of Education
[19]
웹사이트
Disasters and Emergency Medicine
https://web.archive.[...]
Medgadget.com
2005-09-02
[20]
웹사이트
St John Ambulance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https://web.archive.[...]
St John Ambulance UK
[21]
논문
Traction splint. An EMS relic?
[22]
간행물
Prehospital Systems and Medical Oversight
National Association of EMS Physicians
[23]
웹사이트
Miller-Meteor History
http://www.miller-me[...]
[24]
논문
Closed-chest cardiac massage
http://cdm15290.cont[...]
1960-07
[25]
서적
Accidental Death and Disability: The Neglected Disease of Modern Society
http://www.nap.edu/o[...]
[26]
논문
'Accidental death and disability: the neglected disease of modern society'. A progress report
[27]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Umm.edu
[28]
웹사이트
Royal Commission on the National Health Service
http://www.sochealth[...]
HMSO
1979-07-17
[29]
서적
La vie entre les mains
1992
[30]
웹사이트
UK NHS Ambulance Service Information
http://www.nhs.uk/nh[...]
NHS Direct
[31]
웹사이트
IAFC Position: Fire-based Emergency Medical Services
https://web.archive.[...]
[32]
웹사이트
BritishRedCross Ambulance Support
https://web.archive.[...]
British Red Cross
[33]
웹사이트
Order of Malta Ambulance Corps
https://web.archive.[...]
Order of Malta Ambulance Corps
[34]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https://web.archive.[...]
Jumbulance Travel Trust
[35]
웹사이트
First Aid Services
https://web.archive.[...]
First Aid Services
[36]
웹사이트
Design, Origin and Meaning of the Star of Life
http://www.ems.gov/v[...]
NHTSA
2008-08-09
[37]
논문
Anglo-American vs. Franco-German emergency medical services system
[38]
논문
Models of International Emergency Medical Service (EMS) Systems
[39]
논문
International comparison of prehospital trauma care systems
[40]
서적
The Emergency Medical Responder: Training and Succeeding as an EMT/EMR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1-01-20
[41]
뉴스
What Does a Super Paramedic Do? (BBC News website)
http://news.bbc.co.u[...]
2005-06-30
[42]
서적
Foundations of EMS systems
2016-09-02
[43]
웹사이트
CT Statewide EMS Protocols 2017.2
http://portal.ct.gov[...]
[44]
웹사이트
Emergency Triage, Treat, and Transport (ET3) Model {{!}} CMS Innovation Center
https://innovation.c[...]
2021-10-04
[45]
간행물
Accidental Death and Disability: The Neglected Disease of Modern Society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46]
논문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versus fibrinolytic therapy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s timing (almost) everything?
2003-10
[47]
논문
Applying the new STEMI guidelines: 1. Reperfusion in acute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2004-10
[48]
웹사이트
UOHI - Heart Attack
http://www.ottawahea[...]
Ottawaheart.ca
2010-07-29
[49]
논문
Guidelines for STEMI
2005-05
[50]
웹사이트
SAMU de France website
http://www.samu-de-f[...]
2008-09-19
[51]
웹사이트
EMTs and Paramedics :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https://www.bls.gov/[...]
2023-05-10
[52]
잡지
Fire/EMS Merger: An Examination of Cultural Differences
https://www.fireengi[...]
1998-09-01
[53]
웹사이트
Free Dictionary
http://medical-dicti[...]
[54]
웹사이트
Union EMS
http://www.unionems.[...]
2008-08-20
[55]
웹사이트
NHS Careers
http://www.nhscareer[...]
2008-08-20
[56]
웹사이트
ACA job description
http://www.health-ca[...]
2008-08-20
[57]
웹사이트
Dept. of Labor EMT Job Description
http://stats.bls.gov[...]
2008-08-20
[58]
웹사이트
NYS EMT-B Job Description
http://www.health.st[...]
2008-08-20
[59]
웹사이트
North Dakota EMT-B Scope of Practice
http://www.medicalal[...]
2008-08-20
[60]
웹사이트
NHTSA EMT-B Scope of Practice
http://www.nhtsa.dot[...]
2008-08-20
[61]
웹사이트
EMT-B additional skills
http://www.health.st[...]
2008-08-20
[62]
웹사이트
Colorado EMT-B IV Certification
http://www.healthone[...]
2008-08-20
[63]
웹사이트
Paramedic: Job description
http://www.prospects[...]
2008-08-20
[64]
서적
Paramedics
http://elibrary.bigc[...]
Salem Press
[65]
웹사이트
HPC - Health Professions Council - Protected titles
http://www.hpc-uk.or[...]
2008-08-20
[66]
논문
Advanced life support in the wilderness: 5-year experience of the Reach and Treat team
1996-08
[67]
웹사이트
Flight Paramedic Certification
http://www.flightpar[...]
2008-08-20
[68]
웹사이트
CCEMTP
http://ehs.umbc.edu/[...]
2008-08-20
[69]
MPH thesis
The Feasibility of the Advanced Practice Paramedic
https://opencommons.[...]
University of Connecticut
[70]
웹사이트
Critical Care Paramedic Position Paper
http://www.flightpar[...]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light Paramedics
2011-09-29
[71]
웹사이트
Report of a National Study of the Certified Critical Care Paramedic
http://www.bcctpc.or[...]
The Board for Critical Care Transport Certification
2011-09-29
[72]
웹사이트
Board Of Critical Care Transport Paramedic
http://www.bcctpc.or[...]
The Board for Critical Care Transport Certification
2011-09-29
[73]
웹사이트
CCEMTP Course
http://ehs.umbc.edu/[...]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County
2011-08-11
[74]
웹사이트
Cleveland Clinic CICP program
http://www.emsacadem[...]
2011-09-29
[75]
웹사이트
Wake County EMS
http://www.wakegov.c[...]
2011-09-29
[76]
웹사이트
MedStar EMS
http://www.medstar91[...]
2011-09-29
[77]
웹사이트
South Western Ambulance Service NHS Trust
http://www.swast.nhs[...]
2008-08-20
[78]
논문
Caring for older people in prehospital emergency care: can nurses make a difference?
2005-10-01
[79]
논문
EMS in the Netherlands: A Dutch Treat?
http://m.jems.com/ar[...]
2005-12-06
[80]
논문
A new profession in the pre-hospital care field: the ambulance nurse
[81]
논문
International EMS system Design: Sweden
http://www.emsnews.c[...]
2012-02-01
[82]
간행물
Real Decreto 836/2012, de 25 de mayo, por el que se establecen las características técnicas, el equipamiento sanitario y la dotación de personal de los vehículos de transporte sanitario por carretera
https://www.boe.es/b[...]
2012-06-08
[83]
웹사이트
Infermier Sapeur-Pompiers (French govt website)
http://www.interieur[...]
[84]
웹사이트
The SMUR of Nice
http://www.samu06.or[...]
[85]
웹사이트
Bundesärztekammer - Notfall: Notkompetenz I (German Federal Board of Physicians: Directives regarding emergency powers for Paramedics)
http://www.bundesaer[...]
Bundesaerztekammer.de
[86]
웹사이트
Londons Air Ambulance
http://www.londonsai[...]
[87]
웹사이트
Surrey Air Ambulance
http://www.surreyair[...]
[88]
웹사이트
EMS officially recognized as an EM subspecialty
https://www.aliem.co[...]
2010-10-05
[89]
논문
The First Recorded Aeromedical Evacuation in the British Army - the True Story
[90]
웹사이트
Royal Flying Doctor Service
http://www.flyingdoc[...]
2010-12-04
[91]
웹사이트
40 Years Retrospective: It's Been a Wild Ride
http://www.aviationt[...]
2007-08-01
[92]
서적
Atls, Advanced Trauma Life Support Program for Doctors
Amer College of Surgeons
[93]
서적
International Trauma Life Support for Emergency Care Providers
Pearson
2018-01-01
[94]
논문
Access to trauma centers in the United States.
[95]
논문
Variation in air medical outcomes by crew composition: a two-year follow-up.
[96]
뉴스
Fatal crashes provoke debate on safety of sky ambulances
New York Times
2005-02-28
[97]
뉴스
Surge in crashes scars air ambulance industry
USA Today
2005-07-18
[98]
웹사이트
Tactical EMS: an overview
https://www.ems1.com[...]
2013-07-31
[99]
논문
Wilderness EMS Medical Director Course
2012-01-21
[100]
웹사이트
Blazing a Trail
http://m.jems.com/ar[...]
Journal of EMS
[101]
웹사이트
WILDERNESS EMT: TO TAKE OR NOT TO TAKE
https://www.remoteme[...]
2013-10-15
[102]
웹사이트
Appalachian Center for Wilderness Medicine
http://www.appwildme[...]
[103]
웹사이트
Wilderness EMS Institute
http://www.wemsi.org
[104]
웹사이트
Roane State Wilderness First Responder
http://www.roanestat[...]
[105]
웹사이트
University of Utah Wilderness and EMS Fellowship
http://www.utahhealt[...]
[106]
웹사이트
Carolina Wilderness EMS Externship
http://www.blueridge[...]
2012-03-30
[107]
논문
Occupational Injuries and Exposures among Emergency Medical Services Workers
https://pubmed.ncbi.[...]
2017-01-01
[108]
웹사이트
About EMS Clinician Safety
https://www.cdc.gov/[...]
2024-11-17
[109]
보고서
Analysis of Ground Ambulance Crash Data From 2012 to 2018
https://rosap.ntl.bt[...]
2023-07-01
[110]
논문
Influence of communication determinants on safety commitment in a high-risk workplac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four communication dimensions
https://pmc.ncbi.nlm[...]
2023-08-08
[111]
웹사이트
EMS Injury Prevention
https://www.hmpgloba[...]
2024-11-17
[112]
간행물
Protecting EMS responders during treatment and transport of victims of hazardous substance releases. Best Practices for Protecting EMS Responders -Transport of Patients Exposed to Hazardous Materials.
https://www.osha.gov[...]
2009-12-27
[113]
웹사이트
Responder Peer Support
https://www.samhsa.g[...]
2024-11-17
[114]
웹사이트
NASEMSO.org NASEMSO Releases 2020 National EMS Assessment
https://nasemso.org/[...]
2024-11-17
[115]
법률
救急救命士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