귤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귤속은 감귤나무, 오렌지, 레몬, 자몽 등 다양한 과일을 포함하는 식물 속이다. 귤속은 약 1,500만 년 전 남아시아에서 기원하여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현재는 귤속에 속하는 다양한 종과 잡종, 재배 품종이 존재한다. 귤속 식물은 1969년까지 870종이 보고되었으나, 유전자 연구를 통해 잡종임이 밝혀지면서 종의 분류는 복잡하다. 귤속은 식용 외에도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하며, 한국에서는 제주도를 중심으로 귤 산업이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귤속 - 포멜로
포멜로는 동남아시아 원산의 감귤류 과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여러 감귤류 잡종의 조상이고, 신맛이 적고 단맛과 향이 있는 과육은 생과일이나 가공품으로 섭취되지만, 일부 약물과의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 귤속 - 감귤나무
감귤나무는 운향과 감귤속에 속하는 상록 과수로, 다양한 품종의 감귤류 과일을 생산하며, 얇은 껍질과 높은 당도로 생식용으로 널리 소비되고 껍질은 향신료 등으로 활용되며 제주도가 주요 생산지이다. - 분재에 사용되는 식물 - 석류나무
석류나무는 서남아시아와 중동 원산의 부처꽃과 낙엽성 소교목으로, 붉은 꽃과 식용 열매가 특징이며,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고 전통 의학 및 염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분재에 사용되는 식물 -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현존하는 유일한 은행나무목 식물이며, 잎 모양 때문에 압각수, 열매 때문에 은행나무라 불리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가로수 등으로 널리 심어지나 은행은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에 주의해야 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귤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속 정보 | |
![]() | |
학명 | Citrus |
명명자 | L. |
타입 종 | 시트론(C. medica L.) |
로마자 표기 | Citrus |
일본어 | ミカン属 (미칸 속) |
한국어 | 귤속 |
학명 | Citrus |
학명 명명자 | L. |
하위 분류 | |
조상 종 | Citrus maxima – 포멜로 Citrus medica – 시트론 Citrus reticulata – 만다린 오렌지 Citrus micrantha – a 파페다 Citrus hystrix – 카피르 라임 Citrus cavaleriei – 이창 파페다 Citrus japonica – 금귤 |
주요 잡종 | Citrus × aurantiifolia – 키 라임 Citrus × aurantium – 비터 오렌지 Citrus × latifolia – 페르시아 라임 Citrus × limon – 레몬 Citrus × limonia – 랑푸르 Citrus × paradisi – 자몽 Citrus × sinensis – 스위트 오렌지 Citrus × tangerina – 탄제린 감귤류 과일 목록 참고 |
이명 |
2. 역사
미국의 월터 테니슨 스윙글은 귤속을 16종으로 분류했다. 반면, 스윙글에게 가르침을 받은 일본의 감귤류 권위자 다나카 초자부로는 귤속을 160여 종으로 세분했다.[68][69] 다나카는 재배종을 분류하는 "Hort."(Hortulanorum) 제도를 제창했다(1928년 국제원예학회 비엔나).[68]
그러나 현재는 귤속의 대부분이 교배 잡종으로 여겨지며, 원종은 4종 정도라는 것이 일반적인 결론이다.[70] 예를 들어, 다나카가 분류한 ''Citrus clementina''는 실제로는 교배종 ''Citrus × clementina''이다.
분류학에서 다나카와 같이 세분하는 학자를 "스플리터"(splitter), 스윙글처럼 넓게 정의하는 학자를 "럼퍼"(lumper)라고 부른다.[69] 다나카의 분류 체계는 분류학상 유효성은 없지만, 일본 품종 분류에는 편리하여 향미 성분, 재배론 등에서 여전히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유전자 분석 결과에서는 다나카의 분류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68]
2. 1. 기원과 진화
귤속 식물은 약 1,500만 년 전 남아시아에서 기원하여, 히말라야 산맥 기슭, 인도 아삼, 중국 서부 윈난, 미얀마 북부 지역으로 확산되었다.[4] 초기에는 작고 먹을 수 있는 열매였으나, 수백만 년에 걸쳐 진화하여 오늘날과 같은 큰 감귤류 과일이 되었다. 귤속의 조상은 약 700만 년 전 주요 속인 *Citrus*와 삼엽 오렌지와 같은 속인 *Poncirus*로 나뉘었다.[3]
현대 *Citrus* 재배 품종과 관련된 *Citrus* 속의 세 가지 조상 종은 귤, 포멜로, 시트론이다.[7][5][6]
후기 마이오세(1,163만 년 전 ~ 533만 년 전) 동안의 기후 변화는 귤속 식물의 종 분화를 촉진했다.[7][8] 이로 인해 남아시아의 시트론(''Citrus medica''), 동남아시아 본토의 포멜로(''C. maxima''), 중국 남동부의 귤(''C. reticulata''), 금귤(''C. japonica''), 망산이간(''C. mangshanensis'') 및 이창 파페다(''C. cavaleriei''), 동남아시아 섬의 카피르 라임(''C. hystrix''), 필리핀의 바이어송과 사무야오(''C. micrantha'')가 생겨났다.[7][8]
이후 초기 플라이오세(533만 년 전 ~ 360만 년 전)에 감귤류는 대만과 일본으로 퍼져 타치바나 오렌지(''C. tachibana'')가 생겨났고, 월러스 선을 넘어 초기 플라이스토세(250만 년 전 ~ 80만 년 전)에 파푸아뉴기니와 호주로 퍼져나가면서 호주 라임에서 추가적인 종분화가 일어났다.[7][8]
2. 2. 재배화와 전파
귤속 식물의 재배화는 아시아의 아열대 및 열대 지역에서 시작되었지만, 정확한 시기와 장소는 불분명하다.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기원전 3000년에서 1500년 사이에 ''Citrus hystrix'', ''Citrus macroptera'', ''Citrus maxima''를 카누 식물의 하나로 동남아시아 섬, 미크로네시아, 폴리네시아 지역으로 전파했다.[16]시트론( ''Citrus medica'')은 고대 무역로를 통해 인도와 동남아시아에서 지중해 지역으로 전해졌다. 시트론은 페르시아, 레반트, 지중해 섬들을 통과하는 육로와 아라비아 반도와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를 거쳐 북아프리카로 이어지는 해상로, 이 두 경로를 통해 전파되었다. 정확한 최초 도입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가장 초기의 증거는 기원전 1200년경 키프로스의 할라 술탄 테케 유적에서 발견된 씨앗이다.[17][19]
레몬, 폼멜로, 신 오렌지는 서기 10세기경 아랍 상인에 의해 지중해로 도입되었다. 단 오렌지는 15~16세기 동안 제노바 공화국과 포르투갈 제국에 의해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전해졌다. 귤은 19세기에 이르러서야 도입되었다.[17][18][19] 오렌지는 스페인 식민지 개척자들에 의해 플로리다로 도입되었다.[20][21] 유럽의 더 서늘한 지역에서는 17세기부터 오렌지 온실에서 감귤류가 재배되었다.[22]
3. 분류
귤속 식물의 분류는 매우 복잡하며, 자연적인 종의 수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고 학자 간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73][74] 과거에는 수많은 귤속 식물이 보고되었으나, 계통학, 분류학, 유전학 연구를 통해 많은 식물이 교잡종임이 드러났다.[75][76] 귤속 식물은 종 간 교잡이 쉽게 일어나고, 매우 비슷해 보이는 식물도 계통이 크게 다를 수 있으며, 반대로 달라 보이는 식물이 유전적으로 거의 같은 경우도 있다.[77][78]
초기에는 여러 식물분류학자들이 귤속 식물을 분류했으며, 1969년까지 870종이 보고되기도 했다.[79] 이후 월터 테니슨 스윙글의 스윙글 체계와 다나카 조자부로의 다나카 체계로 정리되었다.[79][74] 감귤나무, 시트론, 포멜로 등 몇몇 자연종을 제외하고, 오렌지, 레몬 등 귤속의 많은 재배종 식물은 대부분 자연교잡 또는 인공교잡을 통해 생겨난 잡종이다.
3. 1. 스윙글 체계와 다나카 체계
귤속의 분류는 복잡하며, 학자마다 다른 분류 체계를 제시해 왔다. 월터 테니슨 스윙글은 귤속을 16종으로 분류한 반면, 다나카는 160여 종으로 세분화했다.[79][68][69] 스윙글 체계는 귤속을 귤아속(''Eucitrus'', 후에는 ''Citrus'')과 파페다아속(''Papeda'')으로 나누었으며,[80][81][82] 다나카 체계는 ''Archicitrus''아속과 ''Metacitrus''아속으로 나누었다.[81][85] 현대에는 변형된 스윙글 체계가 널리 쓰이지만,[83] 일본 학자들은 다나카 체계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스윙글은 귤아족(Citrinae) 식물을 "원시감귤류(primitive citrus)", 아탈란티아속 등을 포함하는 "버금감귤류(near citrus)", 그리고 귤속, 금귤속, 사막라임속, 클리메니아속, 탱자나무속, 호주라임속 등을 포함하는 "참감귤류(true citrus)"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스윙글의 분류에서 원시감귤류를 제외한 나머지 두 그룹에 속하는 식물들은 현재 귤속으로 분류된다.
다나카는 각각의 재배종 및 재배품종이 식물학적으로 종인지, 종간·종내 잡종인지에 관계 없이 종소명을 부여했으며, 결과적으로 귤속 안에 원예종 등 식물학적 종의 정의에 들어맞지 않는 것을 포함한 159종이 분류됐다.[79][84]
로버트 윌리어드 호지슨의 1969년 분석연구는 스윙글 체계와 다나카 체계를 통합하려는 시도였으며, 총 36종이 귤속에 분류되었다.[79][82] 이러한 초기 연구는 모두 귤속 재배식물의 대다수가 감귤나무, 시트론, 포멜로 3종의 교잡을 통해 만들어졌다는 인지가 생긴 1970년대 중반 이전에 이루어졌다.[82][85][86]
최근 연구에서는 귤속의 원종을 4종 정도로 보며, 그 외는 대부분 잡종으로 간주한다. 다나카에 의한 종 ''Citrus clementina'' Hort. ex Tanaka[68]는 사실 교배종 ''Citrus × clementina''로 여겨진다.[70]
분류학에서, 다나카처럼 세분하여 종을 나누는 학자는 "스플리터"(splitter), 스윙글처럼 종의 정의를 넓게 잡는 학자는 "럼퍼"(lumper)라고 불린다.[69] 다나카의 분류 시스템은 분류학상 유효성은 없지만, 일본의 많은 품종을 분류하는 데 편리하여 향미 성분, 재배론 등에서 여전히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유전자적 근사성을 비교한 연구에서는 다나카가 분류한 것과 같은 그룹화(클러스터링)를 하지 않는다는 결과도 나오고 있다.[68]
3. 2. 현대 계통 분류
현대 계통학 연구에 따르면 귤속 재배 식물의 대다수는 소수 종을 조상으로 두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다나카의 아속 분류는 현대 계통학적 분류에 근접하지만, 스윙글의 아속 분류는 다계통이라는 점도 확인되었다.[85] 스윙글은 금귤을 금귤속으로, 여러 종의 호주라임을 호주라임속과 사막라임속으로 따로 분류했으나, 유전자 연구를 통해 금귤과 호주라임 종들이 귤속에 속한다는 것이 밝혀졌다.[74][87] 비슷하게, 과거에 클리메니아속, 옥산테라속, 탱자나무속, 페로니엘라속 등 별개의 속으로 여겨지던 속들도 귤속에 병합되었다.[88][89]많은 재배 품종의 ''감귤속''은 시트론, 포멜로, 귤나무를 포함한 소수의 핵심 조상 종의 자연 또는 인공 잡종이다. 자연 및 재배된 감귤 잡종에는 오렌지, 자몽, 레몬, 라임, 일부 밀감과 같은 상업적으로 중요한 과일이 포함된다. 여러 번의 잡종화로 인해 ''감귤속''의 분류가 복잡해졌다.[11][12]
이러한 핵심 종 외에도 오스트레일리아 라임과 최근에 발견된 망산예간이 재배된다. 금귤과 ''클리메니아''속은 현재 일반적으로 ''감귤속''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13] 뉴칼레도니아에서 온 가짜 오렌지인 ''옥산테라''는 계통 발생 증거에 따라 ''감귤속''으로 이전되었다.[14][15]
감귤나무, 시트론, 포멜로 등 몇몇 자연종을 제외하고, 오렌지, 레몬 등 귤속의 많은 재배종 식물은 대부분 자연교잡 또는 인공교잡을 통해 생겨난 잡종이다. 귤속 식물의 계통분류는 복잡하며, 자연적 종의 수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고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73][74] 계통학적, 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과거에 종으로 여겨지던 많은 식물이 교잡종임이 드러났고, 유전학적 연구에 따르면 몇몇 야생종도 교잡을 통해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귤속 식물은 다른 종 간의 교잡이 쉽게 일어나며, 아주 비슷한 식물끼리도 계통이 크게 다를 수 있다.[75][76] 몇몇 식물은 계통에 따른 차이가 내병성 외에는 없어 보이기도 한다.[77] 반대로, 아주 달라 보이는 식물이 유전적으로는 거의 같으며 차이는 단지 변이지에 의한 것인 경우도 있다.[78]
미국의 월터 테니슨 스윙글은 귤속에 16종밖에 발견하지 못했다. 그러나 스윙글에게 사사한 일본의 감귤류 권위자인 다나카 조자부로는 자연계에서 표본을 채취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 재배종으로 길러져 온 종류에 착안하여, 그것들을 분류학자가 종으로 발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Hort."(Hortulanorum) 제도를 제창했다(1928년 국제원예학회 비엔나).[68] 그 결과, 다나카는 다년간의 연구를 통해 귤속을 세분하여 160종 전후로 분류했다.[68][69]
하지만 현재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진정한 종으로 인정되지 않고, 거의 교배 잡종·품종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다나카에 의한 종 ''Citrus clementina'' Hort. ex Tanaka[68]는 사실 교배종 ''Citrus × clementina''로 여겨진다. 최근의 유전자형, 표현형을 비교한 연구에서는, 귤속의 원종은 불과 4종 정도라고 하며,[70] 그 외는 대부분 잡종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결론이다.
분류학에서, 다나카 조자부로처럼 세분하여 종을 나누는 학자는 "스플리터"(splitter), 스윙글처럼 종의 정의를 넓게 잡는 학자는 "럼퍼"(lumper)[69]라고 불린다. 다나카의 분류 시스템은 분류학상의 유효성은 없지만, 특히 일본의 많은 품종을 분류화하는 데 편리성이 있으며, 향미 성분, 재배론 등에서는 여전히 사용되는 예도 있는 듯하지만, 유전자적인 근사성을 비교한 연구에서는, 다나카가 분류한 것과 같은 그룹화(클러스터링)를 하지 않는다는 결과도 나오고 있다.[68]
3. 3. 하위 분류 (종, 잡종, 재배 품종)
감귤나무, 시트론, 포멜로 등 몇몇 자연종을 제외하고, 오렌지, 레몬 등 귤속의 많은 재배종 식물은 대부분 자연교잡 또는 인공교잡을 통해 생겨난 잡종이다. 귤속 식물의 계통분류는 복잡하며, 자연적 종의 수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고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73][74] 계통학적, 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과거에 종으로 여겨지던 많은 식물이 교잡종임이 드러났고, 유전학적 연구에 따르면 몇몇 야생종도 교잡을 통해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귤속 식물은 다른 종 간의 교잡이 쉽게 일어나며, 아주 비슷한 식물끼리도 계통이 크게 다를 수 있다.[75][76] 몇몇 식물은 계통에 따른 차이가 내병성 외에는 없어 보이기도 한다.[77] 반대로, 아주 달라 보이는 식물이 유전적으로는 거의 같으며 차이는 단지 변이지에 의한 것인 경우도 있다.[78]
초기에는 여러 식물분류학자가 각기 수많은 귤속 식물을 보고했는데, 1969년까지 870종이 보고되었을 정도이다.[79] 보고된 식물들은 후에 월터 테니슨 스윙글의 분류체계인 '''스윙글 체계'''(Swingle system)와 다나카 조자부로의 분류체계인 '''다나카 체계'''(Tanaka system)로 정리되었다.[79][74] 스윙글은 귤아족(Citrinae) 식물을 "원시감귤류(primitive citrus)", 아탈란티아속 등을 포함하는 "버금감귤류(near citrus)", 그리고 귤속, 금귤속, 사막라임속, 클리메니아속, 탱자나무속, 호주라임속 등을 포함하는 "참감귤류(true citrus)"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스윙글의 분류에서 원시감귤류를 제외한 나머지 두 그룹에 속하는 식물들은 현재 귤속으로 분류된다. 스윙글 체계에서 귤속은 다시 두 아속으로 나뉘었는데, 시트론, 포멜로, 감귤, 오렌지, 그레이프프루트 등 16종을 포함하는 귤아속(''Eucitrus'', 후에는 ''Citrus'')과 척박한 환경에서 천천히 자라며 식용하기 비교적 어려운 열매가 열리는 파페다아속(''Papeda'')이 그것이다.[80][81][82] 현대 전 세계의 식물분류학계에서는 변형된 스윙글 체계가 널리 쓰인다.[83] 다나카는 각각의 재배종 및 재배품종이 식물학적으로 종인지, 종간·종내 잡종인지에 관계 없이 종소명을 부여했으며, 결과적으로 귤속 안에 원예종 등 식물학적 종의 정의에 들어맞지 않는 것을 포함한 159종이 분류됐다.[79][84] 다나카 또한 귤속을 두 아속으로 나누었는데, ''Archicitrus''아속에는 Papeda절, Limonellus절, Aruntium절, Citrophorum절, Cephalocitrus절이 포함되었으며, ''Metacitrus''아속에는 Osmocitrus절, Acrumen절, Pseudofortunella절이 포함되었다.[81][85] 일본 학자들은 다나카 체계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 로버트 윌리어드 호지슨의 1969년 분석연구는 스윙글 체계와 다나카 체계를 통합하려는 시도였으며, 총 36종이 귤속에 분류되었다.[79][82] 이러한 초기 연구는 모두 귤속 재배식물의 대다수가 감귤나무, 시트론, 포멜로 3종의 교잡을 통해 만들어졌다는 인지가 생긴 1970년대 중반 이전에 이루어졌다.[82][85][86]
현대 계통학 연구로 귤속 재배식물의 대다수가 소수 종을 조상으로 두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다나카의 아속 분류는 현대 계통학적 분류에 근접하지만, 스윙글의 아속 분류는 다계통이라는 점도 확인되었다.[85] 스윙글은 금귤을 금귤속으로, 여러 종의 호주라임을 호주라임속과 사막라임속으로 따로 분류했으나, 유전자 연구를 통해 금귤과 호주라임 종들이 귤속에 속한다는 것이 밝혀졌다.[74][87] 비슷하게, 과거에 클리메니아속, 옥산테라속, 탱자나무속, 페로니엘라속 등 별개의 속으로 여겨지던 속들도 귤속에 병합되었다.[88][89]
4. 특징
귤속 식물은 키가 5m에서 15m에 달하는 큰 관목 또는 중간 크기 정도의 작은 나무로, 가시가 있는 싹과 어긋나게 배열된 가장자리가 밋밋한 상록 잎을 가지고 있다.[24] 꽃은 단독으로 피거나 작은 산방화서를 이루며, 각 꽃의 지름은 2cm에서 4cm이고, 5개(드물게 4개)의 흰 꽃잎과 많은 수의 수술을 가지고 있다. 에센셜 오일 분비선 때문에 종종 매우 강한 향을 낸다.[25]
열매는 헤스페리듐이라 불리는 특수한 형태의 장과이며, 여러 개의 심피를 가지고 있고, 구형에서 길쭉한 모양을 띤다.[25][26] 껍질의 가장 바깥쪽 층은 "플라베도"라고 불리는 "외과피"이며, 제스트라고도 한다. 껍질의 중간 층은 중간과피로, 흰색의 스펀지 같은 알베도 또는 속으로 구성된다. 가장 안쪽 층은 내과피이며, 방사형으로 배열된 여러 심피를 둘러싸고 있다. 각 심피 내부의 공간은 소실이며, 과즙 소포 또는 과육으로 채워져 있다. 내과피에서 끈 모양의 "털"이 소실로 뻗어 나와 과일이 발달함에 따라 영양을 공급한다.[25][27]
감귤류 과일의 향기는 껍질의 플라보노이드와 리모노이드에 의해 결정된다. 심피는 즙이 많으며, 다량의 구연산과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을 포함한 다른 유기산을 함유하여 특유의 신맛을 낸다.[29]
4. 1. 식물학적 특징
귤속 식물은 키가 5m에서 15m에 달하는 큰 관목 또는 중간 크기 정도의 작은 나무로, 가시가 있는 싹과 어긋나게 배열된 가장자리가 밋밋한 상록 잎을 가지고 있다.[24] 꽃은 단독으로 피거나 작은 산방화서를 이루며, 각 꽃의 지름은 2cm에서 4cm이고, 5개(드물게 4개)의 흰 꽃잎과 많은 수의 수술을 가지고 있다. 에센셜 오일 분비선 때문에 종종 매우 강한 향을 낸다.[25]4. 2. 과일의 특징
열매는 전문화된 장과인 헤스페리듐으로, 여러 개의 심피를 가지고 있으며, 구형에서 길쭉한 모양을 띕니다.[25][26] 크기는 4cm~30cm 길이와 4cm~20cm 지름을 가지며, 껍질이라고 불리는 가죽 껍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껍질의 가장 바깥쪽 층은 "플라베도"라고 불리는 "외과피"이며, 일반적으로 제스트라고 불립니다. 껍질의 중간 층은 중간과피로, 감귤류 과일에서는 흰색의 스펀지 같은 알베도 또는 속으로 구성됩니다. 껍질의 가장 안쪽 층은 내과피입니다. 이것은 방사형 분절 모양의 가변적인 수의 심피를 둘러쌉니다. 씨앗이 있는 경우 심피 내부에서 발달합니다. 각 분절 내부의 공간은 소실이며, 과즙 소포 또는 과육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내과피에서 끈 모양의 "털"이 소실로 뻗어 나와 과일이 발달함에 따라 영양을 공급합니다.[25][27]감귤류 과일의 향기는 껍질의 플라보노이드와 리모노이드에 의해 부여됩니다. 플라보노이드에는 다양한 플라바논과 플라본이 포함됩니다.[28] 심피는 즙이 많으며, 다량의 구연산을 포함하고 있으며,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을 포함한 다른 유기산과 함께 특징적인 신맛을 냅니다.[29] 귤속 과일은 크기와 모양뿐만 아니라 색상과 맛에서도 다양하며, 이는 그들의 생화학적 특성을 반영합니다.[30][31] 예를 들어, 자몽은 플라바논인 나린진에 의해 쓴맛을 냅니다.[29]



5. 재배
대부분의 상업적인 귤속 재배는 질병 저항성과 내한성을 위해 선택된 대목에 원하는 열매를 맺는 품종을 접목하여 생산된 나무를 사용한다.[32] 나무는 일반적으로 서리에 강하지 않다. 귤속 식물은 비옥한 토양과 적절한 물 공급이 이루어지는, 햇볕이 잘 들고 습한 환경에서 잘 자란다.[32]
귤속 과일의 색상은 일교차가 있는 서늘한 겨울 기후에서만 나타난다. 겨울이 전혀 없는 열대 지역에서는 귤속 과일이 익을 때까지 녹색을 유지하며, 이것이 열대 지역의 "녹색 오렌지"가 되는 이유이다.[33]
5. 1. 재배 환경

대부분의 상업적인 귤속 재배는 질병 저항성과 내한성을 위해 선택된 대목에 원하는 열매를 맺는 품종을 접목하여 생산된 나무를 사용한다.[32] 일반적으로 나무는 서리에 강하지 않다. 귤속 식물은 비옥한 토양과 적절한 물 공급이 이루어지는, 햇볕이 잘 들고 습한 환경에서 잘 자란다.[32]
귤속 과일의 색상은 일교차가 있는 서늘한 겨울 기후에서만 나타난다. 겨울이 전혀 없는 열대 지역에서는 귤속 과일이 익을 때까지 녹색을 유지하며, 이것이 열대 지역의 "녹색 오렌지"가 되는 이유이다.[33]
5. 2. 병충해
감귤류 질병 목록감귤 농장의 질병에는 감귤 흑점병(곰팡이), 감귤 궤양병(세균), 감귤 황룡병(세균, 해충에 의해 전파됨) 및 스위트 오렌지 겹딱지병(''Elsinöe australis'')이 있다.[40] 감귤 식물은 식물 질병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외부 기생충에 감염되기 쉽다. 예를 들어 진딧물은 피해를 주는 감귤 트리스테자 바이러스를 전파하며,[41] 진딧물과 유사한 아시아 감귤나무 이는 심각한 감귤 황룡병을 유발하는 세균을 옮길 수 있다.[42][43] 이는 플로리다,[44][45] 캘리포니아,[43] 및 전 세계적으로 생산을 위협하고 있다. 감귤 과수원은 감귤 (''Tylenchulus semipenetrans'') 및 초 nematode (''Hemicycliophora'' spp.)를 포함한 기생성 선충의 공격을 받는다.[46][47]
6. 이용
귤속 과일은 식용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된다. 17세기 무렵 유럽의 대저택에는 오랑제리가 추가되었는데, 이는 과일을 현지에서 재배하여 위신을 높이기 위해서였다. 베르사유 오랑제리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64] 현대에는 날씨가 추운 지역에서 금감 잡종과 같이 추위에 강한 난쟁이 감귤류를 용기나 온실에서 재배하기도 한다.[65]
6. 1. 식용
오렌지, 귤, 자몽, 클레멘타인과 같은 많은 귤속 과일은 신선하게 섭취한다.[26] 껍질을 벗겨서 조각으로 쉽게 나눌 수 있다.[26] 자몽은 반으로 잘라 껍질 밖에서 숟가락으로 먹는 경우가 많다.[58] 레모네이드는 주스를 희석하고 설탕을 첨가하여 만드는 인기 있는 음료이다.[59] 레몬즙은 샐러드 드레싱에 섞거나,[60] 과일 샐러드에 뿌려 갈변을 막는 데 사용한다. 레몬의 산도는 폴리페놀 산화 효소 효소에 의한 산화를 억제한다.[61]귤속 과일의 다양한 부분과 처리 방법을 통해 다양한 맛을 얻을 수 있다.[26] 제스트로 알려진 일부 귤속 과일의 껍질은 요리에 향료로 사용된다.[62] 비터 오렌지는 껍질과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여 설탕과 함께 조리하여 마멀레이드를 만든다.[63] 다른 귤속 과일도 때때로 마멀레이드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6. 2. 기타 용도
17세기 무렵, 유럽의 대저택에는 오랑제리가 추가되었는데, 이는 과일을 현지에서 재배할 수 있도록 하고 위신을 높이기 위해서였다. 베르사유 오랑제리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64] 일부 현대 애호가들은 날씨가 너무 추워 야외에서 재배할 수 없는 지역에서 용기나 온실에 난쟁이 감귤류를 재배한다. ''금감'' 잡종은 추위에 강하다.[65]
7. 한국에서의 귤속 식물
한국에서는 귤속 식물이 주로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재배된다.
7. 1. 품종 및 재배 현황
한국에서는 온주밀감을 비롯하여 한라봉, 천혜향, 레드향, 황금향 등 다양한 품종의 감귤이 재배되고 있다.[1] 제주특별자치도는 온난한 기후와 화산회토 토양을 가져 한국 감귤 산업의 중심지이다.[2]참조
[1]
논문
Genomics of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itrus
2017-02-07
[2]
웹사이트
Citrus 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1-09-10
[3]
웹사이트
A phylogenetic analysis of 34 chloroplast genomes elucid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wild and domestic species within the genus Citrus
http://mbe.oxfordjou[...]
2021-05-06
[4]
뉴스
DNA Story of when life first gave us lemons
https://www.bbc.com/[...]
2022-07-19
[5]
논문
A genealogy of the citrus family
[6]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Environmental Science
2019
[7]
논문
Genomics of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itrus
[8]
서적
AGRUMED: Archaeology and history of citrus fruit in the Mediterranean
https://hal.archives[...]
Publications du Centre Jean Bérard
[9]
문서
Citrus meletensis (Rutaceae), a new species from the Pliocene of Valdarno (Italy)
Fischer, T.C. & Butzmann
1998-03
[10]
논문
Citrus linczangensis sp. n., a Leaf Fossil of Rutaceae from the Late Miocene of Yunnan, China
2013-10
[11]
서적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of the Middle-East
[12]
논문
Genomics of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itrus
[13]
학위논문
Organización de la diversidad genética de los cítricos
https://riunet.upv.e[...]
[14]
논문
A molecular phylogeny of the orange subfamily (Rutaceae: Aurantioideae) using nine cpDNA sequences.
https://web.archive.[...]
[15]
웹사이트
Oxanthera Montrouz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1-09-10
[16]
논문
Fruits and arboriculture in the Indo Pacific region
https://www.research[...]
2005
[17]
서적
AGRUMED: Archaeology and history of citrus fruit in the Mediterranean: Acclimatization, diversification, uses
Publications du Centre Jean Bérard
[18]
논문
The Citrus Route Revealed: From Southeast Asia into the Mediterranean
2017-06
[19]
서적
AGRUMED: Archaeology and history of citrus fruit in the Mediterranean
Publications du Centre Jean Bérard
[20]
웹사이트
Exploring Florida Documents: Fruit
http://fcit.usf.edu/[...]
[2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itrus and Citrus Tree Growing in America
https://www.tytyga.c[...]
[22]
문서
Environmental Provisions for Plants in Seventeenth-Century Northern Europe
1974-05
[23]
서적
Biology of Citru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Citrus Pruning
https://crfg.org/wp-[...]
[25]
서적
Citrus: The Genus Citru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2
[26]
웹사이트
Citrus
http://www.hort.purd[...]
Purdue University Tropical Horticulture Lecture 32
2020-02-28
[27]
웹사이트
Citrus fruit diagram
http://www.botgard.u[...]
[28]
웹사이트
Flavonoid Composition of Fruit Tissues of Citrus Species
http://www.jstage.js[...]
2011-07-05
[29]
서적
Value-Addition in Beverages through Enzyme Technology
Elsevier
[30]
웹사이트
Species list in GRIN for genus Citrus
http://www.ars-grin.[...]
USDA, ARS, National Genetic Resources Program
2011-01-06
[31]
서적
AGRUMED: Archaeology and history of citrus fruit in the Mediterranean
Publications du Centre Jean Bérard
2017
[32]
웹사이트
How to grow citrus fruit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24-10-21
[33]
웹사이트
Why is my orange green?
https://plantscienti[...]
2014-12-04
[34]
서적
The Physiology of Flowering Pla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서적
Biology of Citru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7-31
[36]
웹사이트
Citrus fruit, fresh and processed: Statistical Bulletin
http://www.fao.org/3[...]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6
[37]
웹사이트
OEC — The Observer of Economic Complexity, Citrus
https://oec.world/en[...]
[38]
웹사이트
OEC — The Observer of Economic Complexity, Fruit
https://oec.world/en[...]
[39]
웹사이트
Citrus: World Markets and Trade
https://apps.fas.usd[...]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0-01-01
[40]
웹사이트
Citrus diseases
https://www.aphis.us[...]
2024-08-22
[41]
논문
Chapter Five - Control of Virus Diseases of Citrus
2015
[42]
논문
Engineering of citrus to obtain huanglongbing resistance
Elsevier
[43]
웹사이트
About the Asian Citrus Psyllid and Huanglongbing
http://www.californi[...]
2012-11-30
[44]
웹사이트
Florida Citrus Statistics 2015–2016
https://www.nass.usd[...]
2017-10-03
[45]
뉴스
Can Science Save Citrus? Farmers, researchers try to hold off deadly citrus greening long enough to find cure
https://www.ucdavis.[...]
2019-08-27
[46]
웹사이트
Nematodes / Citrus / Agriculture: Pest Management Guidelines / UC Statewide IPM Program
https://ipm.ucanr.ed[...]
[47]
문서
A Sheath Nematode, Hemicycliophora arenaria raski, Pathogenic to Citrus
https://ccmedia.fdac[...]
Florida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Consumer Services
1977-07
[48]
웹사이트
How to Avoid Yellow Leaves on Citrus Trees
http://sumogardener.[...]
2016-07-09
[49]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to Citrus Management (3rd ed.)
http://ucanr.edu/dat[...]
University of California Cooperative Extension
2014-05-24
[50]
논문
Food-drug interactions precipitated by fruit juices other than grapefruit juice: An update review
[51]
논문
Chemistry and health effects of furanocoumarins in grapefruit
[52]
논문
Botanical Dermatology
http://telemedicine.[...]
Internet Dermatology Society
2000
[53]
논문
The Distribution of Coumarins and Furanocoumarins in ''Citrus'' Species Closely Matches ''Citrus'' Phylogeny and Reflects the Organization of Biosynthetic Pathways
2015-11
[54]
논문
Phototoxic coumarins in limes
https://eurekamag.co[...]
[55]
논문
Bullous phytophotodermatitis associated with high natural concentrations of furanocoumarins in limes
2002
[56]
웹사이트
Toxicological Assessment of Furocoumarins in Foodstuffs
https://www.dfg.de/d[...]
DFG Senate Commission on Food Safety (SKLM)
2004
[57]
논문
Citrus fruit intake and breast cancer risk: a quantitative systematic review
2013-03-01
[58]
웹사이트
Foods Indigenous to the Western Hemisphere: Grapefruit
http://www.aihd.ku.e[...]
Aihd.ku.edu
[59]
웹사이트
Lemonade
https://dictionary.c[...]
[60]
웹사이트
Simple green salad with lemon dressing
https://www.jamieoli[...]
Jamie Oliver
[61]
웹사이트
Fruit and vegetables: enzymic browning
https://www.ifst.org[...]
Institute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17-05-15
[62]
서적
Oxford Dictionary of Food and Nutri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63]
뉴스
Legacies: Keiller's: Sticky Success
https://www.bbc.co.u[...]
BBC News
[64]
간행물
"La Manière de montrer les jardins de Versailles," by Louis XIV and others
1972
[65]
서적
Citrus : complete guide to selecting & growing more than 100 varieties for California, Arizona, Texas, the Gulf Coast and Florida
https://archive.org/[...]
Ironwood Press
1996
[66]
뉴스
The king of zing: lemons in art – in pictures
https://www.theguard[...]
2024-03-23
[67]
웹사이트
When Life Gives You Lemons, It's a Status Symbol: On the Evolving Literary and Cultural History of Citrus
https://lithub.com/w[...]
2021-10-01
[68]
서적
Citrus Genetics, Breeding And Biotechnology
https://books.google[...]
CABI
[69]
서적
Growing Citrus: The Essential Gardener's Guide
https://books.google[...]
Timber Press
[70]
문서
Scora and Kumamoto (1983)など。Martinが言及
[71]
간행물
Species Plantarum 2: 782
1753
[72]
논문
Phylogenetic origin of limes and lemons revealed by cytoplasmic and nuclear markers
https://academic.oup[...]
[73]
논문
Oranges and lemons: clues to the taxonomy of ''Citrus'' from molecular markers
https://www.scienced[...]
[74]
논문
Genomics of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itrus''
https://www.nature.c[...]
[75]
논문
A genealogy of the citrus family
http://www.nature.co[...]
[76]
논문
Sequencing of diverse mandarin, pummelo and orange genomes reveals complex history of admixture during citrus domestication
https://www.nature.c[...]
[77]
논문
The Origin of Cultivated Citrus as Inferred from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Chloroplast DNA Sequence and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Fingerprints
http://journal.ashsp[...]
2019-07-10
[78]
논문
The Search for the Authentic Citron (''Citrus medica'' L.): Historic and Genetic Analysis
http://hortsci.ashsp[...]
2019-07-10
[79]
논문
''Citrus halimii'': A New Species from Malaya and Peninsular Thailand
https://www.jstor.or[...]
[80]
논문
Genomic analyses of primitive, wild and cultivated citrus provide insights into asexual reproduction
https://www.nature.c[...]
[81]
서적
Systematics of Fruit Crops
https://books.google[...]
New India Publishing Agency
[82]
서적
Citrus Genetics, Breeding and Biotechnology
CAB International
[83]
서적
Citrus Genetics, Breeding and Biotechnology
CAB International
[84]
서적
Growing Citrus: The Essential Gardener's Guide
https://books.google[...]
Timber Press
[85]
논문
Citrus phylogeny and genetic origin of important species as investigated by molecular markers
http://www.springerl[...]
[86]
논문
Hybrid Origins of Citrus Varieties Inferred from DNA Marker Analysis of Nuclear and Organelle Genomes
https://journals.plo[...]
2020-07-30
[87]
논문
A molecular phylogeny of the orange subfamily(Rutaceae: Aurantioideae) using nine cpDNA sequences
https://bsapubs.onli[...]
2019-07-11
[88]
서적
Flowering plants, Eudicots: Sapindales, Cucurbitales, Myrtaceae
Springer
[89]
논문
The species of ''Citrus'' (''Rutaceae'') with pinnate leaves
http://docserver.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