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 (상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旗)는 고대부터 사용된 상징물로, 국가, 민족, 이념, 종교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초기에는 짚, 나무, 가죽 등이 사용되었으며, 전쟁에서 야전 징표로 활용되었다. 깃발은 국기, 종교기, 스포츠기, 정치 깃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형태, 색상, 디자인에 따라 여러 의미를 담고 있다. 깃발은 원거리 통신 수단으로도 활용되었으며, 깃발 게양은 국가에 따라 의식과 규칙을 따른다. 깃발은 깃면, 깃대, 깃봉 등으로 구성되며, 깃발의 구성 요소와 게양 방식, 그리고 상징적 의미를 통해 소속감, 정체성을 표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기 (상징) | |
---|---|
정의 | |
정의 | 깃발은 특유의 디자인과 색상을 가진 천 조각이다. |
용도 | |
용도 |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상징물이다. |
역사 및 어원 | |
어원 (라틴어) | vexillum (벡실룸) |
어원 (아랍어) | لواء (liwa') |
어원 (스페인어) | bandera (반데라) |
어원 (몽골어) | ᡤᡡᠰᠠ (gūsa) |
어원 (문화어) | 기발 (kibal) |
어원 (영어) | flag (플래그) |
설명 | 깃발은 고대부터 군사적, 국가적 상징으로 사용되어 왔다. |
2. 역사
깃발의 기원은 고대 문명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3500년경 선왕조 이집트 도기에는 기장(旗章)을 가진 배가 묘사되어 있고,[3] 고대 이집트나 아시리아에서는 깃발 징표 또는 깃발 형태로 분류될 수 있는 야전 징표가 전쟁에 사용되었다.[4] 사산 제국의 전투 깃발 데라프쉬 카비아니, 로마 군단의 기치 등이 그 예시이다.
발견된 가장 오래된 깃발은 청동으로 만들어진 이란 샤다드의 ''데라프쉬''로, 기원전 24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깃발에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앉아 있는 남자와 무릎을 꿇은 여자가 묘사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별이 있다.[5][6][7][8]
천으로 만든 깃발은 인도 아대륙이나 고대 중국의 주나라에서 발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4] 중국의 깃발에는 붉은 새, 흰 호랑이, 푸른 용과 같은 도상이 있었고, 왕실 깃발은 통치자에게 부여되는 수준의 존경심으로 대해야 했다. 깃발은 무슬림 세계를 통해 유럽으로 전해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슬람의 우상 숭배 금지로 인해 단순한 색상의 깃발이 사용되었다.[4]
유럽에서는 중세 성기에 깃발이 주로 전투에서 문장기로 사용되었으며, 후기 중세 시대에는 도시 국가와 중세 코뮌 등도 야전 징표로 깃발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개별 부대를 위한 연대 깃발은 근세에 들어서면서 보편화되었다.
항해 시대가 절정에 달했던 17세기 초부터 선박은 국적을 나타내는 깃발을 게양하는 것이 관례(나중에는 법적 요건)였다.[10] 이 깃발은 결국 오늘날의 국기와 해상 깃발로 발전했으며, 해상 통신 수단으로도 활용되었다.
18세기 말 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깃발은 군사적 또는 해군적 맥락을 넘어 사용되기 시작했다. 19세기와 20세기에는 정치적 변화와 사회 개혁으로 인해 새로운 국가와 깃발이 만들어졌다.[12]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깃발이 사용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다양한 종류의 깃발이 군사적, 의례적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한국의 깃발 역사' 참조)
2. 1. 한국의 깃발 역사
旗중국어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삼국시대 이전부터 한반도에서 깃발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구려의 경우, 고분 벽화에 깃발이 그려져 있어 당시 깃발의 형태를 짐작할 수 있다.[56] 백제와 신라 역시 깃발을 군사적, 의례적 목적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에는 국가적인 행사나 군사 훈련에 다양한 종류의 깃발이 사용되었다. 고려사에는 깃발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어, 당시 깃발의 종류와 용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조선시대에는 깃발이 군사적, 의례적, 상징적 목적으로 더욱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어재연 장군의 수자기와 같이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된 깃발은 물론,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깃발, 종교적 의례에 사용되는 깃발 등 다양한 종류의 깃발이 존재했다.[57]

일제강점기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태극기를 국기로 사용하며 독립운동의 상징으로 삼았다. 일제는 태극기 사용을 금지했지만, 한국인들은 비밀리에 태극기를 제작하고 사용하며 독립 의지를 불태웠다.
광복 이후 태극기는 대한민국의 국기로 제정되었으며, 현재까지 국가의 상징으로 사용되고 있다.
3. 깃발의 종류
깃발은 용도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국기, 민간기, 군기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군기는 다시 해군기, 선수기, 군함기 등으로 세분화된다.
종교기는 종교적 상징을 담은 깃발을 의미하며, 언어학적 깃발, 스포츠기, 철도 깃발, 정치 깃발 등도 각각 특정한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스포츠기는 수영 깃발과 같이 세분화되기도 한다.
3. 1. 용도별 분류
국기는 국가를 상징하는 깃발로, 태극기가 대표적이다. 종교기는 종교적 상징을 담은 깃발로, 불교의 만(卍)자기나 기독교의 십자가 깃발이 있다. 언어학적 깃발도 존재한다. 스포츠기는 스포츠 경기에서 사용되는 깃발로, 올림픽기나 응원 깃발이 해당된다. 철도 깃발은 철도에서 신호 전달 등을 위해 사용된다. 정치 깃발은 정당이나 정치적 이념을 상징하는 깃발로, 정당 깃발이 대표적이다. 국제기는 국제기구를 상징하는 깃발로, UN기가 있다. 해상기는 선박에서 국적, 신호 등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개인기는 개인이나 가문을 상징하는 깃발로, 조선 왕조의 왕실기가 그 예이다.종류 | 설명 | 예시 |
---|---|---|
국기 | 국가를 상징 | 태극기 |
종교기 | 종교적 상징 | 불교의 만(卍)자기, 기독교의 십자가 깃발 |
언어학적 깃발 | ||
스포츠기 | 스포츠 경기에서 사용 | 올림픽기, 응원 깃발 |
철도 깃발 | 철도 신호 전달 | |
정치 깃발 | 정당이나 정치적 이념 상징 | 정당 깃발 |
국제기 | 국제기구 상징 | UN기 |
해상기 | 선박에서 국적, 신호 등 표시 | |
개인기 | 개인이나 가문 상징 | 조선 왕조의 왕실기 |
3. 2. 형태별 분류
4. 깃발의 구성 요소
- 깃면: 깃발에서 천으로 된 부분을 가리킨다.
- 깃대: 깃발을 지탱하는 막대로, 나무나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깃대를 통해 깃발을 쉽게 게양할 수 있다. 매우 높은 깃대는 더 정교한 지지 구조가 필요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정동에는 세계에서 5번째로 높은 160m 높이의 깃대가 있다.[65]
- 깃봉: 깃대의 꼭대기에 있는 장식이다.
- 깃발 밧줄 (할리어드): 깃발을 올리고 내리는 데 사용되는 줄이다. 깃대 꼭대기의 도르래를 통해 깃발을 올리고 내린 후, 깃대 바닥에 묶어 고정한다.
- 돌쩌귀: 깃대의 하단에 부착된 쇠붙이로, 장식 역할 외에 깃대를 안정시키고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 수관수: 깃발 윗부분에 부착하는 장식으로, 주로 소방 분야에서 사용된다. 소방대나 소방단이 공적을 세웠을 때 상위 조직으로부터 수여받으며, 부대의 실적을 나타낸다.
- 근조장: 조의를 표하는 검은 천이다. 깃대 윗부분이나 깃발 자체를 덮거나, 검은 리본 형태로 깃발 상단에 부착한다.
5. 깃발의 기능 및 상징
깃발은 시각적 정보를 전달하고, 소속 집단을 식별하며, 정체성을 표현하는 기능을 한다. 우승기처럼 단체 경기 대회에서 우승팀에게 수여되는 기념품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조기 게양과 같이 조의를 표하거나, 만국기처럼 세계 평화나 국제 협력을 기원하는 등 다양한 의식에서 사용된다.
항해 시대에는 선박이 국적을 나타내는 깃발을 게양하는 것이 관례이자 법적 요건이었다.[10] 이는 오늘날의 국기와 해상 깃발로 발전했으며, 국제 해상 신호기와 같이 해상 통신 수단으로도 사용되었다.
18세기 말 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깃발은 군사적, 해군적 맥락을 넘어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12] 정치적 변화와 사회 개혁은 민족 의식을 고양시켰고, 19세기와 20세기에는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국가와 깃발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12]
5. 1. 상징적 의미
깃발은 국가, 민족, 이념, 종교 등 특정 집단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자주 사용된다. 깃발의 색상, 문양, 디자인은 특별한 의미를 담고 있다. 예를 들어, 태극기의 태극 문양은 음과 양의 조화를 상징한다.깃발은 때때로 조상이나 수호신의 영혼이 깃든 신성한 존재로 여겨지기도 한다. 불교에서는 타르초가 사용되며, 이슬람교에서는 검은 기를 포함한 여러 깃발과 배너가 사용된다.[32] 많은 국기와 다른 깃발에는 십자가, 별과 초승달 또는 수호 성인에 대한 언급과 같은 종교적 상징이 포함되어 있다.[33]
깃발은 종교 단체에서도 채택하며, 자이나교 깃발, 니샨 사히브(시크교)[34], 사프론 깃발(힌두교)[35] 및 기독교 깃발과 같은 깃발은 전체 종교를 대표하는 데 사용된다.[36]
5. 2. 통신 수단
과거에는 깃발이 원거리 통신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조선시대의 봉수가 그러한 사례이다. 현대에는 국제 신호기를 사용한 기류 신호나, 수기를 이용한 수기 신호 등 특수한 상황에서 깃발을 이용한 통신이 이루어진다.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오사카 - 오쓰 간에 깃발 신호 통신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중간 지점인 교토에서는 오사카와 오쓰의 쌀값을 비교하여 쌀 매입이 이루어졌고, 오쓰에서는 오사카의 쌀값 정보를 빨리 파악한 쌀 상인이 이익을 얻게 되었다. 에도 막부는 깃발을 이용한 통신을 금지하는 금령을 여러 차례 내렸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며, 주술과 같은 방법을 단속하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장거리 통신에도 깃발이 이용되었지만, 점차 다른 통신 수단으로 대체되었다. 에도 시대 오사카 - 오쓰 간 깃발 신호 통신에서도 비둘기(전서구)가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6. 깃발 게양
깃발 게양은 깃발을 깃대에 올리는 행위이다. 특히 국기를 올리거나 내리는 행위에는 대개 국가에 따라 의식과 특정 규칙이 따르며, 보통 국가 연주가 수반된다.[50]
깃발 게양대는 깃발 게양식을 위해 행진하고 깃발을 가져오는 사람들의 집단으로, 대개 군인, 사관 생도 또는 학생들로 구성된다. 깃발 게양대를 동원하는 깃발 게양식은 간단하거나 정교할 수 있으며, 많은 수의 게양대가 참여하기도 한다. 정교한 깃발 게양식은 대개 국경일에 거행된다.
깃발을 깃대에 묶는 끈이나 밧줄을 할리어드(halyard)라고 한다. 깃발은 할리어드가 통과할 수 있도록 깃발의 올리는 쪽을 따라 천 조각을 덧대거나, 할리어드를 꿰맬 수 있는 그로밋 한 쌍을 가질 수 있다. 깃발은 또한 잉글필드 클립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50]
대어기나 백기처럼 게양하는 깃발의 도안에 의미가 있는 경우가 있으며, 조기 게양처럼 깃발의 위치에 의미가 있는 경우도 있다.
6. 1. 조기 게양
조기 게양은 조의를 표하기 위해 깃발을 깃대 중간에 게양하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현충일 등 국가적인 추모일에 조기를 게양한다.7. 깃발 관련 논란 및 사회적 이슈 (한국 중심)
깃발은 특정 집단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때로는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특정 깃발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인식은 사회적 맥락과 역사적 배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한국 사회에서도 특정 깃발의 사용을 둘러싼 논란이 종종 발생한다.
7. 1. 정치적 쟁점
일부 국가에서는 외교 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영국과 태국 왕국 등이 있다.사회주의 운동은 자신들의 대의를 나타내기 위해 붉은 기를 사용한다. 아나키즘 운동은 다양한 기를 사용하지만, 그들과 관련된 주요 기는 검은 기이다. 스페인 내전에서 아나키스트들은 적흑 이분된 기를 사용했다. 20세기에는 무지개 깃발이 LGBT 사회 운동의 상징으로 채택되었다. 이 깃발에서 파생된 것으로는 양성애자 프라이드 깃발과 성전환자 프라이드 깃발이 있다.
이러한 정치적 기 중 일부는 소련의 붉은 기와 나치 독일의 국가 사회주의 배너와 같이 국기로 사용되기도 했다. 현재의 포르투갈의 국기는 1910년 10월 5일 혁명 이전 포르투갈 공화당의 정치적 기를 기반으로 하며, 이 혁명으로 이 당이 권력을 잡게 되었다.
7. 2. 사회적 인식
깃발은 특정 집단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때로는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특정 깃발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인식은 사회적 맥락과 역사적 배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필리핀, 아일랜드, 영국에서는 빨간색과 노란색 깃발 한 쌍을 사용하여 해변의 수영 구역 경계를 표시하며, 일반적으로 인명 구조원이 지킨다. 해변이 폐쇄되면 깃발의 기둥을 교차시킨다. 깃발은 빨간색 삼각형과 노란색 삼각형으로 직사각형 깃발을 만들거나, 노란색 직사각형 위에 빨간색 직사각형으로 칠해진다. 많은 호주 해변에서는 해변 상태 신호에 약간의 변형이 있는데, 빨간색 깃발은 해변 폐쇄(영국에서는 다른 위험도 포함)를 의미하고, 노란색은 강한 조류 또는 어려운 수영 조건을 의미하며, 녹색은 일반 수영에 안전한 해변을 나타낸다. 아일랜드에서는 빨간색과 노란색 깃발은 수영이 안전함을 나타내고, 빨간색 깃발은 안전하지 않음을 나타내며, 깃발이 없으면 인명 구조원이 근무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파란색 깃발은 노란색-빨간색 인명 구조 구역에서 멀리 떨어져 서핑 및 기타 소형 무동력 수상 활동 구역을 지정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해변 폐쇄 이유는 다음과 같다.
서프 플래그는 네 개의 사분면으로 나뉜다. 왼쪽 위와 오른쪽 아래 사분면은 검은색이고 나머지 영역은 흰색이다.
신호기 "인도"(노란색 사각형에 검은색 원)는 서핑 보드를 사용할 수 없지만 다른 수상 활동은 허용되는 "블랙볼" 구역을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된다.
미국은 국제 인명 구조 연맹에서 만들고 미국 인명 구조 협회에서 승인하고 조건부로 승인한 해변 경고 깃발을 사용한다.[37]
8. 깃발과 관련된 국제 관계
국제 행사나 외교 관계에서 깃발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올림픽이나 월드컵과 같은 국제 스포츠 경기에서는 각국의 국기가 게양되어 국가 간 경쟁과 화합을 상징한다. 정상회담 등의 외교 행사에서는 상대국 국기를 게양하여 존중과 우호의 뜻을 나타낸다.
참조
[1]
서적
The World Encyclopedia of Flags: The Definitive Guide to International Flags, Banners, Standards and Ensigns, with Over 1400 Illustration
https://books.google[...]
Lorenz Books
2013
[2]
문서
Inglefield, p. 39.
[3]
서적
Flags through the ages and across the world
http://archive.org/d[...]
New York
1975
[4]
웹사이트
Flag | heraldry
https://www.britanni[...]
2019-02-15
[5]
서적
Susa and Elam. Archaeological, Philological, Historical and Geographical Perspective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Held at Ghent University, December 14–17, 2009.
https://books.google[...]
BRILL
2012-12-07
[6]
서적
Art of the Bronze Age: Southeastern Iran, Western Central Asia, and the Indus Valley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84-12-12
[7]
서적
Leaving No Stones Unturned: Essays on the Ancient Near East and Egypt in Honor of Donald P. Hansen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2017-12-12
[8]
서적
Shahdad: archaeological excavations of a bronze age center in Iran
https://books.google[...]
IsMEO
1997-12-12
[9]
서적
Flags through the ages and across the world
http://archive.org/d[...]
New York
1975
[10]
문서
Articles 90–94 of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11]
문서
Inglefield, p. 48.
[12]
문서
Inglefield, p. 50.
[13]
웹사이트
Oldest continuously used national flag
http://www.guinnessw[...]
2023-11-10
[14]
웹사이트
National Flag -The official website of Denmark
http://denmark.dk/en[...]
[15]
서적
State Religion Relationships and Human Rights Law: Towards a Right to Religiously Neutral Governance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07-12-31
[16]
웹사이트
flag of France
https://www.britanni[...]
2019-02-24
[17]
서적
Nation Shapes: The Story behind the World's Borders
https://books.google[...]
ABC-CLIO
[18]
웹사이트
Flag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s://www.britanni[...]
2019-05-24
[19]
웹사이트
Flag of Liberia
https://www.britanni[...]
2019-05-24
[20]
문서
Cyril Glassé , The New Encyclopedia of Islam (revised ed. 2001), s.v. "Moon" (p. 314).
[21]
웹사이트
Welcome to the Royal Museums Greenwich Blogs - Royal Museums Greenwich Blogs
http://www.rog.nmm.a[...]
2010-05-24
[22]
웹사이트
Pike
http://www.ohiostate[...]
Ohio Statehouse
2019-07-20
[23]
웹사이트
Largest flag flown
http://www.guinnessw[...]
2022-03-28
[24]
뉴스
Qatar breaks record for world's largest flag
https://www.bbc.co.u[...]
BBC
2013-12-17
[25]
웹사이트
The Parts of a Flag
http://www.netstate.[...]
NSTATE
2019-08-02
[26]
웹사이트
Flaggentypen
http://www.flaggenku[...]
German Vexillological Society (Deutsche Gesellschaft für Flaggenkunde e. V., DGF)
2012-02-20
[27]
웹사이트
Hissflagge
http://www.protokoll[...]
"[[Federal Ministry of the Interior (Germany)|German Federal Ministry of the Interior]]"
2012-02-20
[28]
웹사이트
Hochformatflagge
http://www.protokoll[...]
"[[Federal Ministry of the Interior (Germany)|German Federal Ministry of the Interior]]"
2012-02-20
[29]
웹사이트
Auslegerflagge
http://www.protokoll[...]
"[[Federal Ministry of the Interior (Germany)|German Federal Ministry of the Interior]]"
2012-02-20
[30]
웹사이트
Hängeflagge
http://www.protokoll[...]
"[[Federal Ministry of the Interior (Germany)|German Federal Ministry of the Interior]]"
2012-02-20
[31]
웹사이트
Hängeflagge
http://www.protokoll[...]
"[[Federal Ministry of the Interior (Germany)|German Federal Ministry of the Interior]]"
2012-02-20
[32]
서적
Studies in Muslim Apocalyptic
https://archive.org/[...]
Darwin Press
[33]
웹사이트
64 countries have religious symbols on their national flags
http://www.pewresear[...]
2014-11-25
[34]
서적
Sikhism
https://books.google[...]
Heinemann
2024-07-29
[35]
웹사이트
The Bhagwa Dhwaj (Saffron Flag)
https://hssuk.org/th[...]
2023-10-28
[36]
간행물
Resolution
Religious Publicity Service of the Federal Council of the Churches of Christ in America
[37]
웹사이트
USLA Approved Beach Warning Flags
https://www.usla.org[...]
2024-08-31
[38]
웹사이트
Docket No. 79-2597
https://web.archive.[...]
2010-06-27
[39]
웹사이트
Early Railway Signals
http://mysite.du.edu[...]
University of Denver
2004-07-25
[40]
서적
The Cult of Draupadi, Volume 2: On Hindu Ritual and the Goddes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1]
웹사이트
Jeddah Flagpole inaugurated
http://www.arabnews.[...]
arabnews.com
2014-09-23
[42]
웹사이트
Wer baut den hoechsten Fahnenmast
https://web.archive.[...]
Asia Plus
2011-05-24
[43]
웹사이트
Flag of Azerbaijan
https://www.telegrap[...]
Telegraph.co.uk
2008-07-03
[44]
웹사이트
Looking for Afghanistan? Turn Left at the Enormous Flagpole
https://www.national[...]
2017-09-05
[45]
웹사이트
Karnataka's Belgaum is now home to India's tallest flag
https://www.timesnow[...]
2019-07-06
[46]
웹사이트
Tallest flag in India: Country's tallest tricolour to be hoisted in Belagavi
https://timesofindia[...]
2019-07-06
[47]
웹사이트
Timber! Steeplejacks to dismantle Kew Flagpole
https://web.archive.[...]
Kew.org
[48]
뉴스
High-flying: Up in time for Memorial Day, Acuity flag is world's tallest
https://web.archive.[...]
2014-05-26
[49]
웹사이트
Cone Tapered vs. Venetian Entasis Tapered
http://lingoinc.com/[...]
Lingo Flagpoles Inc
[50]
문서
Inglefield, p. 12.
[51]
웹사이트
Semaphore Flag Signalling System
http://www.anbg.gov.[...]
ANBG.gov.au
2017-03-31
[52]
뉴스
Flag Etiquette Do's and Don'ts
http://www.military.[...]
2017-10-05
[53]
간행물
三角表象の話
https://doi.org/10.5[...]
日本オリエント学会
2021-06-01
[54]
문서
『新訂総合国語便覧』([[第一学習社]]、27版1998年)p.323.
[55]
문서
[[関雄二]]『寺社が語る 秦氏の正体』([[祥伝社新書]]、2018年)pp.125-126.
[56]
문서
この時期、日本では[[直刀]]が両手打ちから片手打ちのものに移行し、騎兵戦が意識されていたことがわかっている(詳細は「直刀#直刀の歴史(日本)」の柄の長さの変化を参照)。
[57]
문서
『上泉信綱伝新陰流軍学「訓閲集」』(スキージャーナル株式会社、2008年)pp.102-103.
[58]
문서
[[磯田道史]]『日本史の内幕 戦国女性の素顔から幕末・近代の謎まで』([[中公新書]]、2017年)pp.20-21.
[59]
문서
磯田道史『日本史の探偵手帳』([[文春文庫]]、2019年)p.136.
[60]
문서
『大ナポレオン展 文化の光彩と精神の遺産』(2005年)p.92.
[61]
문서
[[池上俊一]]『図説騎士の世界』([[河出書房新社]]、2012年)p.13.
[62]
문서
この登山による到達旗にちなんだ文化として、[[お子様ランチ]]の「国旗[[爪楊枝]]」が挙げられる(「[[お子様ランチ#料理内容]]」に写真が見られる)。
[63]
간행물
船と旗 : 象徴としての船 (2)
http://www.lib.kobe-[...]
神戸商船大学海事資料館
2021-06-01
[64]
간행물
近世日本における相場情報の伝達 : 米飛脚・旗振り通信
https://iss.ndl.go.j[...]
日本郵政郵政資料館
2021-06-01
[65]
뉴스
Korea's DMZ: 'Scariest place on Earth' - February 20, 2002
http://edition.cn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