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전 15세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원전 15세기는 기원전 1500년부터 기원전 1401년까지의 시기를 가리킨다. 이 시기에는 한반도에서 무문 토기 시대가 시작되었고, 벼농사와 고인돌 축조가 이루어졌다. 고대 근동 지역에서는 히타이트인이 철을 발명하여 군사 기술 발전에 기여했고, 이집트는 누비아와 지중해 연안을 정복했다. 또한 하트셉수트 여왕의 푼트 교역과 투트모세 3세의 메기드 전투 등이 일어났다. 유럽에서는 미케네 문명이 크레타 섬을 정복하고 에게 해 지역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했으며, 미케네 시대가 시작되었다. 동아시아에서는 중국 장강 유역에 판룽청 유적이 건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5세기 - 메기도 전투 (기원전 15세기)
메기도 전투는 기원전 15세기 이집트 파라오 투트모세 3세가 가나안 연합군을 상대로 승리한 결정적인 전투로, 이집트의 레반트 지역 지배력 강화와 제국 위상 확립에 기여했으며, 아마겟돈이라는 단어의 유래가 되었다. - 기원전 제2천년기 - 기원전 13세기
기원전 13세기는 동아시아의 상나라 천도, 이집트의 왕조 교체, 중동의 제국 번영과 전투, 유럽의 에게 문명 발전, 그리고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의 시작과 같은 정치적, 문화적 격변이 일어난 시기이다. - 기원전 제2천년기 - 한국의 청동기 시대
한국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20세기경부터 기원전 3세기경까지 한반도에서 지속된 시대로, 독자적인 청동기 문화가 존재했으며 세형동검, 잔무늬 거울, 민무늬 토기 등의 유물과 고인돌 등의 무덤이 발견되었고, 농경 발달과 사회적 잉여 발생으로 초기 신분제 사회가 형성되어 고대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 - 날짜 - 12세기
12세기는 서기 1101년부터 1200년까지의 기간으로, 유럽, 아시아, 중동 등지에서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잉글랜드의 알턴 조약 체결, 십자군 전쟁, 12세기 르네상스, 북송과 남송의 교체, 가마쿠라 막부 성립 등의 주요 사건이 발생했다. - 날짜 - 14세기
14세기는 유럽과 아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변동, 즉 흑사병의 유행, 백년 전쟁, 명나라와 조선의 건국, 티무르 제국의 부상, 일본의 남북조 시대 등의 주요 사건들을 포함하며, 몽골 제국의 쇠퇴와 함께 새로운 지역 강국들이 등장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지형을 재편하고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겪은 시기이다.
기원전 15세기 | |
---|---|
기원전 15세기 | |
기간 | 기원전 1500년 ~ 기원전 1401년 |
주요 사건 | |
기원전 1500년경 | 인도-아리아인들이 펀자브에 정착하다. |
기원전 1500년 ~ 기원전 1400년 | 에게 해의 테라 섬에서 화산 폭발이 일어나다. |
기원전 1500년경 | 북유럽 청동기 시대가 시작되다. 히타이트인들이 아나톨리아에서 세력을 확장하다. 미케네 문명이 그리스 본토를 지배하다. 인더스 문명이 쇠퇴하다. 베다 시대가 시작되다. |
기원전 1487년 | 전설에 따르면, 아테네의 왕 에리크토니오스가 죽고 크라나오스가 왕이 되다. |
기원전 1479년 ~ 기원전 1425년 | 이집트 제18왕조의 하트셉수트 여왕의 통치 기간. |
기원전 1457년 | 메기도 전투: 투트모세 3세가 가나안의 반란군을 격파하다. |
기원전 1446년 | 전통적인 연대에 따르면 유대인들이 이집트를 탈출하다. |
기원전 1400년경 | 선형 문자 B가 미케네에서 사용되기 시작하다. 베다의 가장 오래된 부분이 만들어지다. 이집트인들이 아라미아에 대한 통제를 확립하다. 샹 왕조가 중국에서 시작되다. 크레타의 미노아 문명이 쇠퇴하다. |
주요 인물 | |
기원전 1479년 ~ 기원전 1425년 | 하트셉수트, 이집트 제18왕조의 여왕. |
발명 및 발견 | |
기원전 15세기 | 유리가 발명되다. |
시대적 배경 | |
고대 근동 | 미탄니 왕국 카사이트 왕조 이집트 제18왕조 히타이트 제국 |
유럽 | 미케네 문명 북유럽 청동기 시대 |
아시아 | 베다 시대 인더스 문명 쇠퇴기 샹 왕조 (중국) |
2. 역사적 배경
기원전 15세기에는 여러 지역에서 문명이 발전하고 변화했다.
- 고대 근동
- 이집트 신왕국: 투트모세 3세는 누비아와 레반트 지역을 정복하여 영토를 크게 넓혔으며, 기원전 1469년경 메기도 전투에서 가나안을 격파했다.[6]
- 히타이트: 기원전 1430년에 히타이트 제국이 시작되었다.[11]
- 메소포타미아: 기원전 1460년경 카시트인이 바빌로니아를 점령했고, 후르리인은 미탄니 왕국을 세웠다.[7][8][9][10]
- 키프로스: 투트모세 3세가 키프로스 섬을 지배했고, 당시 키프로스는 구리 생산지로 유명했다.
- 유럽
- 기원전 1500년경, 히타이트가 철(철 정제법)을 발명하여 군사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1]
- 미케네 문명: 기원전 1420년경 크레타가 미케네에 정복되면서[4] 미케네 시대가 시작되었고, 최초의 선문자 B 점토판이 나타났다.
- 동아시아
- 기원전 1500년경 장강 유역에 상의 도시 유적인 우한 판룽청 유적이 건설되었다.
- 한반도: 기원전 1500년 무렵 한반도에서 무문 토기 시대가 시작되었다.
2. 1. 고대 근동
기원전 15세기의 고대 근동 지역은 여러 국가와 문화권이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 '''이집트 신왕국''': 기원전 1504년부터 기원전 1492년 사이에 이집트는 누비아와 레반트 지역을 정복하며 영토를 확장했다.[1] 투트모세 3세 시기에는 제4 나일강 폭포에서 유프라테스강까지 이르는 최대 확장기를 맞이했다.[5] 기원전 1469년경 메기도 전투에서 가나안을 격파했다.[6]
- '''히타이트''': 기원전 1430년 – 기원전 1178년에 히타이트 제국이 시작되었다.[11]
- '''메소포타미아''': 기원전 1460년경 카시트인이 바빌로니아를 점령하고 576년 9개월 동안 지속되는 왕조를 세웠다.[7][8][9][10] 후르리인의 키르타는 와슈칸니를 도읍으로 미탄니 왕국을 건국했고, 이라크 북동부에는 후르리인의 알라푸하 왕국이 성립되었다.
- '''키프로스''': 투트모세 3세가 키프로스 섬을 지배했다. 당시 키프로스는 Alashiya영어라고 불리며 구리 생산지로 유명했고, 이후 키프로스(Cyprus)는 "구리(copper)"의 어원이 되었다.
2. 1. 1. 이집트 신왕국
기원전 1504년부터 기원전 1492년 사이에 이집트는 누비아와 레반트 지역을 정복하며 제국의 영토를 확장했다.[1] 투트모세 2세 사후, 그의 왕비인 하트셉수트와 의붓 아들 투트모세 3세의 공동 통치가 시작되었다. (기원전 1479년경)하트셉수트는 카르나크 신전을 증축하고, 아스완 채석장에 미완의 오벨리스크를 남겼다. 기원전 1470년경, 하트셉수트는 푼트와의 교역을 통해 유향·몰약과 같은 향료 무역로를 개척했다. 푼트는 소말리아에 위치한 향료 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하트셉수트 장제전 벽화에는 푼트 왕 파라후와 왕비 아티의 초상이 남아있다.
기원전 1458년경, 하트셉수트가 사망하고 투트모세 3세의 단독 통치가 시작되었다. 투트모세 3세는 자신의 기념비에서 하트셉수트의 기록을 삭제했다. 기원전 1457년경, 메기도 전투에서 투트모세 3세가 이끄는 이집트 군은 카데시 왕이 이끄는 가나안 연합군을 격파했다.
이후 아멘호테프 2세 (재위: 기원전 1427년경 - 기원전 1401년경)와 투트모세 4세 (재위: 기원전 1401년경 - 기원전 1391년경)의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는 번영을 누렸다. 투트모세 4세는 히타이트에 대항하기 위해 미탄니와 동맹을 맺고, 미탄니 왕 아르타타마 1세의 공주와 결혼했다. 또한 "꿈의 비문"에 따르면, 이 왕의 치세에 모래에 묻혀 있던 기자의 대스핑크스가 발굴되어 복원되었다.
2. 1. 2. 히타이트
히타이트는 기원전 1500년경 아나톨리아에서 인공 철(철 정제법)을 발명하여 군사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1] 테리피누 왕 사후, 후계자 쟁탈전이 일어나 히타이트는 중왕국 시대로 접어들며 기록이 부족한 시기를 겪었다.[11] 기원전 1450년경 투드할리야 1세가 즉위하고 히타이트는 신왕국 시대를 맞이한다.[11] 이 시기 히타이트는 미탄니, 카슈카, 알자와, 아히야와, 아슈와와 싸워 영토를 확장했다.[11]2. 1. 3. 메소포타미아
기원전 1500년경 후르리인은 미탄니 왕국을 건국하여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했다. 미탄니 왕국의 수도 와슈칸니는 정확한 위치가 알려지지 않았으나, 최근 이라크 북부 모술 댐 호수에서 발견된 케무네 궁전이 이 당시 자키쿠(Zakhiku)로 불렸던 곳으로 추정된다.기원전 1460년경 카시트인은 바빌로니아를 점령하고, 576년 9개월 동안 지속되는 왕조를 세웠다.[7][8][9][10] 카시트 왕 부르나부리아쉬 1세는 아시리아 왕 푸주르 아슈르 3세와 국경 확정 조약을 맺기도 했다.
2. 2. 유럽
기원전 1500년경, 아나톨리아 반도의 히타이트인이 인공 철(철의 제련법)을 발명했다.[4] 히타이트 왕 테리피누가 사망하면서 히타이트 고왕국 시대가 끝나고, 후계자 쟁탈전으로 인해 기록이 거의 없는 히타이트 중왕국 시대가 이어졌다.스웨덴 스쿠네 지방의 키비크에는 암각화가 새겨진 왕의 무덤이 만들어졌다.[4] 트라키아의 성지 페르페리콘 유적이 건설되었다.[4]
스파르타 근교의 바피오 원형 분묘에서 출토된 황금 컵(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 소장)이 만들어졌다.[4] 크레타 섬의 아르칼로코리 동굴에 "아르칼로코리 양날 도끼(라브리스)"가 봉납되었다.[4]
2. 2. 1. 미케네 문명
기원전 1420년경 크레타가 미케네에 정복되면서[4] 미케네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 최초의 선문자 B 점토판이 나타났다.2. 3. 동아시아
기원전 1500년경 장강 유역에 상의 도시 유적인 우한 판룽청 유적이 건설되었다. 이는 황허강 유역 얼리강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구리 채굴을 위한 전초 기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시기 일본에서는 조몬 시대 만기의 카메가오카 유적 시대(- 기원전 1000년경)가 있었다. 이 유적에서는 차광기 토우나 토면 등 독특한 문양을 새긴 제사용 토기가 많이 출토되었다.[3]2. 3. 1. 한반도
기원전 1500년 무렵, 한반도에서 무문 토기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무문 토기, 거석묘 축조, 조·콩·쌀 농업 등 여러 문화적 특징들이 융합되었다.[3]2. 3. 2. 중국
기원전 1500년경 장강 유역에서는 은나라의 도시 유적인 반용성 유적이 건설되었다.[3] 이 유적은 황허강 유역의 얼리강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얼리강 문화에 속한 사람들이 구리를 채굴하기 위한 전초 기지로 건설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 주요 인물
4. 년대와 년도
- 기원전 1504년 – 기원전 1492년: 이집트가 누비아와 레반트를 정복하였다.[1]
- 기원전 1500년 – 기원전 1400년: 이 시기 즈음에 십왕 전투가 일어났다.[2]
- 기원전 1500년: 무문 토기, 거석 묘, 조·콩·쌀 농업 등 여러 문화적 특징들이 융합되면서 한반도에서 무문 토기 시대가 시작되었다.[3]
- 기원전 1490년경: 전설적인 아테네의 왕 크라나오스가 10년간의 통치 후, 데우칼리온과 피라의 아들이자 사위인 테살리아의 암피크티온에게 폐위되었다.
- 기원전 1487년: 데우칼리온과 피라의 아들이자 전설적인 아테네의 왕인 암피크티온이 10년간의 통치 후 사망하고, 크라나오스의 손자인 에리크토니우스 1세(Erichthonius I of Athens)가 왕위를 계승하였다.[4]
- 기원전 1480년경: 하트셉수트 여왕이 그녀의 의붓아들이자 조카인 투트모세 3세에게 계승되었다. 이집트의 가장 큰 확장기(제4 나일강 폭포에서 유프라테스강까지).[5]
- 기원전 1469년경: 메기도의 전투에서 이집트가 가나안을 격파하였다(낮은 연대기).[6]
- 기원전 1460년경: 카시트족이 바빌로니아를 점령하고 그곳에 576년 9개월 동안 지속되는 왕조를 세웠다.[7][8][9][10]
- 기원전 1437년: 전설적인 왕 에리크토니우스 1세(Erichthonius I of Athens)가 50년간의 통치 후 사망하고 그의 아들 판디온 1세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 기원전 1430년 – 기원전 1178년: 히타이트 제국 시작.[11]
- 기원전 1420년경: 크레타 섬이 미케네에 정복되었다 — 미케네 시대 시작. 최초의 선문자 B 점토판.
- 기원전 1400년: 크레타 섬에서 청동 투구 사용(크노소스 궁전에서 발견).[12]
- 기원전 1400년: 미노스 궁전이 화재로 파괴되었다.[13]
- 기원전 1409년–기원전 1400년경: 선문자 A가 인기를 최고조로 누렸다.
- 기원전 1409년–기원전 1400년경: 가나안 도시 우가리트의 번성기. 우가리트 왕궁 건설.[14]
- 미케네인이 고대 그리스와 아나톨리아 경계를 정복하였다.
- 고분 문화가 번성하였다.
- 올멕 문명의 가장 초기의 흔적.[15]
- 기원전 1504년 - 1429년 - 이집트가 누비아와 지중해 연안을 정복.
- 기원전 1500년경
- * 아프리카 누비아(수단)에서는 Kerma culture|케르마 문화영어가 쇠퇴하였다(기원전 2500년경 - ).
- * 아나톨리아 반도의 히타이트인이 인공 철 (철의 제련법)을 발명하였다.
- * 지중해 동쪽 해안의 우가리트의 번영(- 기원전 1200년경).
- ** 이 시기에 우가리트 문자가 생겨났다. 이것은 기존의 쐐기 문자를 대폭 간략화하여 표의 문자에서 표음 문자로 전환시킨 것이다.
- * 후르리인의 키르타가 와슈칸니를 도읍으로 미탄니 왕국을 건국하였다.
- ** 와슈칸니의 위치는 미상이나, 이라크 북부의 모술 댐 호수에서 이 시대의 Kemune|케무네영어 궁전이 발견되었다. 이 당시에는 자키쿠(Zakhiku)라고 불렸다.
- * 이라크 북동부에 후르리인의 알라푸하 왕국이 성립되었다.
- ** 티그리스강 북동쪽의 Nuzi|누지영어 유적(요르간 테페)은 이 시대의 유적이다.
- ** 누지 유적에서는 이 시대를 대표하는 "누지 문서"가 다량 출토되었다.
- * 카시트 왕 Burnaburiash I|부르나부리아쉬 1세영어와 아시리아 왕 푸주르 아슈르 3세가 국경 확정 조약을 맺었다.
- * 옥수스강 유역에서는 박트리아-마르기아나 복합 문화(청동기 문화)가 쇠퇴하고, 투르크메니스탄의 바이라마리 근교에서 Yaz culture|야즈 문화영어(초기 철기 문화)가 성립되었다.
- * 파키스탄에서 Gandhara grave culture|간다라 묘장 문화영어(스와트 문화)가 전개되었다.
- * 우크라이나의 드네스트르강 중류 유역에 코말로프 문화가 전개되었다.
- * 시베리아의 볼가강에서 예니세이강 주변에서 카라스크 문화가 전개되었다.
- * 스웨덴의 스쿠네 지방의 Kivik|키비크영어의 암각화가 새겨진 The King's Grave|왕의 무덤영어이 만들어졌다.
- * 장강 유역 유일의 상 시대 도시 유적인 후베이성우한시의 판룽청 유적이 건설되었다.
- ** 황허강 유역의 얼리강 문화의 흐름을 잇는 유적으로, 얼리강 문화에 속한 사람들이 구리를 채굴하기 위한 전초 기지로서 건설했다고 생각된다.
- * 일본에서 조몬 시대 만기의 카메가오카 유적 시대(- 기원전 1000년경)였다.
- ** 이 유적에서 차광기 토우나 토면 등 독특한 장식 문양을 새긴 제사를 목적으로 하는 토기가 다수 출토되었다.
- * 크레타 섬의 아르칼로코리의 동굴에 " Arkalochori Axe|아르칼로코리 양날 도끼영어(라브리스)"가 봉납되었다.
- * 스파르타 근교의 Vaphio|바피오영어 원형 분묘에서 출토된 황금 컵(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 소장)이 만들어졌다.
- * 트라키아의 성지 Perperikon|페르페리콘de 유적이 건설되었다.
- 기원전 1500년 이후 - 히타이트 왕 테리피누가 사망, 히타이트 고왕국 시대가 끝났다.
- * 사후 후계자 쟁탈전이 일어나 히타이트 중왕국 시대라고 불리는 기록이 빈약한 시대가 이어진다.
참조
[1]
서적
The Encyclopedia of Ancient Civilizations of the Near East and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Sharpe Reference
1997
[2]
웹사이트
Dasarajna: Battle of the Ten Kings from Rig Veda
https://www.sanskrit[...]
2015-02-15
[3]
간행물
Archaeology of Early Agriculture in Korea: An Update on Recent Developments
http://journals.lib.[...]
[4]
서적
Newton's Revised History of Ancient Kingdoms: A Complete Chronology
https://books.google[...]
New Leaf Publishing Group
2009-02-20
[5]
문서
[6]
간행물
Military History: The Birthplace of War
http://www.historyne[...]
2006-06-12
[7]
서적
The "higher Criticism" and the Verdict of the Monuments
https://books.google[...]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1894
[8]
서적
The Historians' History of the World Vol.1 (of 25) (Illustrations): Prolegomena; Egypt,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THE TROW PRESS
[9]
서적
Nicea-Tunis
https://books.google[...]
C. A. Nichols Company
1894
[10]
서적
The Historians' History of the World in Twenty-Five Volumes: Prolegomena; Egypt,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Library of Alexandria
2020-09-28
[11]
웹사이트
Old Hittite Kingdom and Hittite Empire (1600 BC - 1200 BC) – Ancient Civilizations
https://anciv.info/m[...]
[12]
간행물
ARCHEOLOGY: Early Greek Armour and Weapons from the End of the Bronze Age to 600 B.C. ANTHONY SNODGRASS
1965
[13]
서적
A Dictionary of the Ancient Greek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14]
서적
Ancient Cities: The Archaeology of Urban Life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Egypt, Greece, and Rome
Routledge
2011
[1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