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길란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길란주는 이란 북부에 위치한 주로,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해 온 유구한 역사를 지닌 지역이다. 길라키인, 아제르바이잔인, 쿠르드족, 탈리쉬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길라키어가 주요 언어로 사용된다. 습윤 아열대 기후로 벼농사가 발달했으며, 카스피해를 통한 해상 교통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길란은 독특한 음식 문화와 계단식 가옥 구조로 유명한 마술레 마을을 비롯한 관광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의 주 - 테헤란주
    테헤란주는 이란 북부에 위치하며, 이란의 수도 테헤란을 포함하고, 오랜 역사를 지닌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풍부한 자원과 많은 인구를 바탕으로 이란 국내총생산의 큰 부분을 차지하지만,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환경 및 사회 문제에 직면하고 있어 정치적 안정과 경제 개혁이 요구된다.
  • 이란의 주 - 후제스탄주
    후제스탄주는 고대 엘람 문명의 중심지이자 이란 남서부에 위치한 주로, 이란 원유 매장량의 57%를 차지하는 주요 석유 생산 지역이며, 고대 유적과 다양한 민족, 언어가 공존하지만, 물 부족, 환경 문제, 민족 갈등과 같은 사회 문제도 겪었다.
길란주
기본 정보
공식 명칭길란주
길라키어 표기, (Gilān-e Ustān)
위치이란
중심 도시라슈트
이란 내 길란주의 위치
이란 내 길란주의 위치
행정 구역
국가이란
지역제3지역
주도라슈트
17개
설립1369년 3월 21일 승인
정부
주지사하디 학셰나스
면적
총 면적14,042 제곱킬로미터
인구 통계
총 인구 (2016년)2,530,696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통계 기준 시점2016년
경제 지표
인간 개발 지수 (2017년)0.805 (매우 높음)
이란 내 순위11위
시간대
시간대IRST
협정 세계시 (UTC)+03:30
식별 코드
지역 번호013
ISO 3166-2IR-01
언어
주요 언어길라키어, 탈리시어
기타 언어페르시아어, 아제르바이잔어,
기타 정보
웹사이트길란 주 공식 웹사이트
루드칸 성
루드칸 성

2. 역사

길란 주의 역사는 구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다르반드 동굴 등에서 초기 인류의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치바니아 시대 후기에 해당하는 석기 유물과 동물 화석이 발견되었다.[13] 약 4만 년에서 7만 년 전에는 네안데르탈인이 거주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중기 구석기 시대 유적지인 야르샬만도 있다.[13]

기원전 10세기경, 카스피해 남부를 중심으로 혹소형 토기로 알려진 암라쉬 문화가 번성하였다.

암라쉬 문화의 혹소형 토기.


기원전 6세기, 길라키인Gilaki people|길란 사람들영어은 키루스 대왕과 동맹을 맺고 메디아 왕국을 무너뜨렸다. 다일람은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에는 히르카니아 지방(사트라프)의 일부였다.

다일람인들은 사산 왕조의 용병으로 활동했지만, 길란은 이란 고원의 왕조에 직접 통치되지 않고 이슬람 시대를 맞이했다. 553년에는 네스토리우스파 주교좌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9세기 말부터 10세기 초, 길란 지역은 점진적으로 이슬람화되었다. 지야르 왕조, 부이 왕조, 셀주크 왕조 등이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길란은 여러 부족의 연합체로서 항구적인 세금을 부과받지 않고 반독립적인 사회를 유지했다.[21] 1306년, 일 칸국의 올제이투가 길란을 침공했지만, 막대한 손해를 보고 종주권만 인정받았다.[21]

사파비 왕조아바스 1세는 칸 아흐마드 칸(길란의 마지막 반독립 통치자)의 통치를 종식시키고 길란을 제국에 직접 병합했다. 사파비 시대에 길란에는 많은 조지아인, 체르케스인, 아르메니아인 등이 정착했고, 그들의 후손들은 아직도 길란에 거주하거나 흩어져 살고 있다. 이들 조지아인체르케스인 대부분은 주류 길락인에게 동화되었다.[24]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길란은 테헤란 중앙 정부의 통제를 벗어나 자체 통치를 했다. 미르자 쿠체크 칸이 이끈 이란 입헌 혁명의 주요 세력인 장갈 운동(장갈은 숲의 사람이라는 뜻)은 카자르 왕조의 모하마드 알리 샤를 몰아내는 데 기여했지만, 혁명은 영국러시아 제국의 침략으로 불안정한 상황에 빠졌다.[26]

미르자 쿠체크 칸의 장갈 운동은 길란과 마잔다란을 오랫동안 실질적으로 지배하며 칭찬받았다. 그러나 1920년 반다르에안잘리를 영국군에게 빼앗기고 붉은 군대의 침략이 시작되었다. 영국과 소비에트 연방의 대립 속에서 장갈리는 소비에트 정부와 제휴하여 길란 공화국(1920년 6월~1921년 11월)을 성립시켰다. 그러나 1921년 소비에트 정부는 소비에트-이란 우호 조약을 체결하고 길란 공화국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다. 장갈리는 저항했지만, 같은 해 9월 굴복하여 길란은 다시 테헤란 중앙 정부의 통치하에 들어갔다.[25]

2. 1. 고대

다르반드 동굴 등 구석기 시대 유적에서 초기 인류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란 고고학자들은 치바니아 시대 후기에 해당하는 석기 유물과 동물 화석을 발견했다.[13] 약 4만 년에서 7만 년 전에는 네안데르탈인이 거주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중기 구석기 시대의 유적지인 야르샬만이 있다.[13]

기원전 10세기경, 카스피해 남부를 중심으로 혹소형 토기로 알려진 암라쉬 문화가 번성하였다.

기원전 6세기, 길라키인Gilaki people|길란 사람들영어은 키루스 대왕과 동맹을 맺고 메디아 왕국을 무너뜨렸다.

다일람은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에는 히르카니아 지방(사트라프)의 일부였다.

다일람인들은 사산 왕조의 용병으로 활동했지만, 길란은 이란 고원의 왕조에 직접적으로 통치되지 않고 이슬람 시대를 맞이했다. 553년에는 네스토리우스파의 주교좌가 존재했다는 언급이 있다.

2. 2. 중세

9세기 말부터 10세기 초, 길란 지역은 점진적으로 이슬람화되었다. 서부 길란은 수니파 한발 학파가, 동부 길란은 시아파 자이드파가 우세하여, 이후 문화적, 정치적 차이를 보였다. 지야르 왕조, 부이 왕조, 셀주크 왕조 등이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길란은 여러 부족의 연합체로서 항구적인 세금을 부과받지 않고 반독립적인 사회를 유지했다.[21] 동 길란은 카스피해 남안 지방(처음에는 타바리스탄)의 자이드파 알리 왕조를 지지했다. 12세기에는 알리 왕조가 부이 왕조의 고향 라히잔(오늘날의 동 길란의 중심지)으로 천도했다.

이러한 독립성은 알보르즈 산맥이 이란 고원과 사이에 솟아 있고, 카스피해에 면한 열린 지형과 풍요로운 자연환경 덕분이었다. 카스피해를 따라 동쪽의 마잔다란(타바리스탄) 지방도 유사한 역사를 가지며, 이란어의 카스피해 방언에 속하는 말을 발전시킨 것처럼 이란사와는 독자적인 지역사를 형성해 왔다.

1306년, 일 칸국의 올제이투가 길란을 침공했지만, 막대한 손해를 입고 종주권만 인정받는 데 그쳤다.[21] 그 결과, 지방 왕조에 의한 반독립적인 부족 사회는 계속되었다.

2. 3. 근대

사파비 왕조아바스 1세는 칸 아흐마드 칸(길란의 마지막 반독립 통치자)의 통치를 종식시키고 길란을 제국에 직접 병합했다. 이 시점부터 길란의 통치자는 페르시아 가 임명했다. 사파비 시대에 길란에는 많은 수의 조지아인, 체르케스인, 아르메니아인, 그리고 다른 코카서스 민족들이 정착했고, 그들의 후손들은 아직도 길란에 거주하거나 흩어져 살고 있다. 이들 조지아인체르케스인의 대부분은 주류 길락인에게 동화되었다.[24]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길란은 테헤란의 중앙 정부 통제를 벗어나 자체 통치를 했다. 이로 인해 길란이 이란으로부터 영구히 독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대전 전, 길란인들은 미르자 쿠체크 칸의 지도 아래 이란 입헌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를 장갈 운동(장갈은 숲의 사람이라는 뜻)이라고 부른다. 카자르 왕조의 모하마드 알리 샤는 제1차 입헌제를 쿠데타로 붕괴시키고 소전제에 들어갔는데, 그의 추방을 위해 장갈리 여단은 반격하는 입헌주의 세력의 한 축을 이루어 테헤란으로 진군했다. 그러나 입헌 혁명은 입헌주의자들이 추진하려던 개혁을 진전시키지 못하고, 영국러시아 제국의 침략을 받아 국내적으로도 매우 불안정한 상황에 빠지게 되었다.[26]

미르자 쿠체크 칸의 장갈 운동은 외국군에 대해 길란 및 마잔다란의 오랫동안 실질적인 지배를 확보한 점과 함께 이란 역사 속에서 칭찬을 받았다. 그러나 1920년에는 반다르에안잘리를 영국군에게 빼앗겼고, 더 나아가 붉은 군대의 침략이 시작되었다. 영국과 소비에트 연방의 대립 상황 속에서 장갈리는 소비에트 정부와의 제휴를 선택하여 길란 공화국(1920년 6월 - 1921년 11월)을 성립시켰다. 그러나 1921년 2월, 소비에트 정부는 소비에트-이란 우호 조약을 체결하고 장갈리의 길란 공화국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다. 장갈리는 저항을 계속했지만, 같은 해 9월까지 굴복하여 길란은 다시 테헤란의 중앙 정부 통치하에 들어가게 되었다.[25]

3. 지리와 기후

길란은 습윤 아열대 기후를 보이며, 이란에서 강수량이 가장 많은 지역이다. 남서부 해안에서는 1900mm에 달하고, 일반적으로 1400mm 정도이다. 이 주의 주도인 라슈트는 국제적으로 "은빛 비의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이란에서는 "비의 도시"로 불린다.[42]

강수량은 시베리아 고기압에서 불어오는 해풍이 가장 강한 9월에서 12월 사이에 가장 많지만, 4월에서 8월까지 가장 적게 내리는 것을 제외하고는 연중 내내 비가 내린다. 해안 평야의 습지 성격 때문에 습도가 매우 높으며, 여름에는 습구 온도가 26°C 이상으로 올라가면 90%에 달할 수 있다. 알보르즈 산맥은 카스피해 해안 외에도 이 지역에 더욱 다양한 지형을 제공한다.

해안선은 더 시원하며 많은 국내 및 국제 관광객을 끌어들인다. 주의 상당 부분이 산악 지형으로 녹지 및 산림이 우거져 있다. 카스피해를 따라 펼쳐진 해안 평야는 마잔다란주와 유사하며 주로 재배에 사용된다. 농부들의 쌀 재배 및 품종 선택으로 인해, Gerdeh, Hashemi, Hasani, Gharib을 포함한 여러 품종이 개발되었다.[42]

길란주의 산림.


카스피해의 석호.

4. 행정 구역

길란 주의 행정 구역


길란 주는 여러 개의 군(샤흐레스탄)으로 구성되어 있다.[38][39][40] 각 군은 다시 여러 개의 시(샤흐르)와 읍(데헤스탄)으로 나뉜다. 2016년 인구 조사 이후 라슈트 군에서 호맘 군이 분리되었다.[41]

길란 주 행정 구역 변화 (2006-2016)
2006년2011년2016년
암라시46,10844,26143,225
아스타네-예 아슈라피예107,801105,526108,130
아스타라79,41686,75791,257
반다르에 안잘리130,851138,004139,016
푸만96,78893,73792,310
호맘
라히잔161,491168,829167,544
랑가루드133,133137,272140,686
마살47,64852,49652,649
라슈트847,680918,445956,971
레즈반샤르64,19366,90969,865
루드바르101,884100,94394,720
루드사르144,576144,366147,399
샤프트63,37558,54354,226
시아칼46,99147,09646,975
소우메에 사라129,629127,757125,074
탈레쉬179,499189,933200,649
총계2,381,0632,480,8742,530,696


4. 1. 주요 도시

2016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길란 주의 인구 63% 이상인 1,598,765명이 여러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도시인구
아흐마드사르구라브2,128
암라쉬15,444
아살람10,720
아스타네-예 아쉬라피예44,941
아스타라51,579
반다르-에 안잘리118,564
바레흐사르1,612
바자르 조메5,729
차복사르8,224
차프와 참칼레8,840
추바르5,554
데일라만1,729
푸만35,841
구라브 자르미크4,840
하쉬트파르54,178
하비크4,261
지란데2,320
켈라차이12,379
호맘20,897
호쉬크-에 비자르7,245
키아샤르14,022
쿠체스파한10,026
쿠멜레6,457
라히잔101,073
랑가루드79,445
라쉬트-에 네샤10,539
라반데빌11,235
리사르3,647
로우샨13,032
룰레만7,426
마클라반1,635
만질라바드15,630
마르자가할6,735
마살17,901
마술레393
오타바르1,938
파레 사르8,016
라힘아바드10,571
랑쿠흐2,154
라슈트679,995
레즈반샤르19,519
로스타마바드13,746
루드바르10,504
루드보네3,441
루드사르37,998
상가르12,583
샤프트8,184
샬만5,102
시아칼19,924
솜에 사라47,083
투트카본1,510
바자르가4,537



길란 주에는 아스타라, 아스타네 아슈라피예, 루드사르, 랑구루드, 솜에 사라, 하쉬트파르(탈레쉬), 푸만, 마살, 라히잔 등의 시(샤흐르)가 있다.

5. 주민

길란주의 주민은 길라키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탈리쉬인, 아제르바이잔인, 쿠르드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주요 언어는 길라키어이며, 이란 북서부 언어의 한 갈래로 길란, 마잔다란, 카즈빈주에서 사용된다.[28][29] 길라키어는 서부, 동부, 갈레시(길란과 마잔다란 산악 지역)의 세 방언으로 나뉘며, 세피드루드 강을 경계로 서부와 동부 방언이 구분된다.[30][31]

탈리쉬어는 마살과 마술레에서 주로 사용되며,[31] 아스타라, 하슈트파르 및 주변 마을에서도 사용된다. 쿠르드어는 암마를루 지역의 쿠르드족이 사용한다.[32][33][34][35] 페르시아어는 이란의 공용어이므로 길란 주에서도 사용된다.[36]

2022년 현재 문화 유산 언어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37]

길란 언어 구성
언어백분율
길라키어65.03%
탈리쉬어19.71%
튀르크어13.38%
쿠르드어1.16%
루르어0.32%
기타0.4%



2022년 현재 모국어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37]

길란 언어 구성
언어백분율
페르시아어59.79%
길라키어25.72%
탈리쉬어8.08%
튀르크어5.82%
쿠르드어0.45%
루르어0.1%


5. 1. 민족

길라키인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며, 탈리쉬인, 아제르바이잔인, 쿠르드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길락족은 아스타라와 하슈트파르를 제외한 이 지역 대부분의 도시와 마을에 거주한다.[27]

아스타라 시와 군은 아제르바이잔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탈리쉬족이 소수 민족을 이룬다.

이 지역에는 기원이 다른 4개의 쿠르드족 집단이 있다. 라슈트와 루드바르 (암마를루, 데일라만, 라흐마타바드 지역), 라슈트의 레슈반드, 랑루드의 잘랄반드, 그리고 하슈트파르의 코르만즈족이다.[27]

탈리쉬 군(하슈트파르)에서는 탈리쉬족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아제르바이잔인도 상당수를 차지한다. 또한, 아르다빌주의 할할에서 이주해 온 쿠르드어를 사용하는 고르만즈족도 탈리쉬 군에 거주한다.

페르시아인라슈트시에 집중되어 있으며, 테헤란과 다른 이란 중부 도시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과 페르시아어를 받아들여 페르시아화된 토착 길락족으로 나뉜다.[27]

길라키어이란 북서부 언어의 한 갈래로, 이란의 길란, 마잔다란, 그리고 카즈빈주에서 사용된다.[28][29] 길라키어는 길란 주에서 사용되는 주요 언어 중 하나이며, 서부 길라키어, 동부 길라키어, 그리고 갈레시 (길란과 마잔다란의 산악 지역)의 세 방언으로 나뉜다.[30] 서부와 동부 방언은 세피드루드 강에 의해 구분된다.[31]

길란에서 길라키어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지만, 탈리쉬어도 이 지역에서 사용된다. 길란에는 탈리쉬어가 전적으로 사용되는 도시가 마살과 마술레 2곳뿐이며 (다른 도시에서는 길라키어와 함께 탈리쉬어를 사용한다), 탈리쉬어는 아스타라, 하슈트파르 및 주변 마을에서 주로 사용된다.

쿠르드어는 암마를루 지역으로 이주한 쿠르드족이 사용한다.[32][33][34][35]

페르시아어[36]는 이란의 공용어이기 때문에 길란 주에서도 사용되며, 모든 사람이 페르시아어를 알아야 한다.

2022년 현재의 문화 유산 언어 데이터:[37]

길란 언어 구성
언어백분율
길라키어65.03%
탈리쉬어19.71%
튀르크어13.38%
쿠르드어1.16%
루르어0.32%
기타0.4%



2022년 현재의 모국어 데이터:[37]

길란 언어 구성
언어백분율
페르시아어59.79%
길라키어25.72%
탈리쉬어8.08%
튀르크어5.82%
쿠르드어0.45%
루르어0.1%


5. 2. 언어

길라키어가 주로 사용되며, 탈리쉬어, 아제르바이잔어, 쿠르드어 등도 사용된다. 공용어인 페르시아어는 교육 및 행정 분야에서 사용된다.[36]

길락족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며, 이들은 길라키어를 모어로 사용한다.[28][29] 길라키어는 이란 북서부 언어의 한 갈래로, 서부 길라키어, 동부 길라키어, 갈레시의 세 방언으로 나뉜다.[30] 서부와 동부 방언은 세피드루드 강을 경계로 나뉜다.[31]

탈리쉬어는 마살과 마술레에서 주로 사용되며,[31] 아스타라, 하슈트파르 및 주변 마을에서도 사용된다.

쿠르드어는 암마를루 지역의 쿠르드족이 사용한다.[32][33][34][35]

2022년 현재 길란 주의 언어 구성은 다음과 같다.[37]

언어비율
길라키어65.03%
탈리쉬어19.71%
튀르크어족13.38%
쿠르드어군1.16%
루르어0.32%
기타0.4%



2022년 현재 모국어별 언어 구성은 다음과 같다.[37]

언어비율
페르시아어59.79%
길라키어25.72%
탈리쉬어8.08%
튀르크어족5.82%
쿠르드어군0.45%
루르어0.1%



최근 도시 지역의 젊은 층을 중심으로 표준 페르시아어 사용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5. 3. 종교

시아파 이슬람교가 주류를 이루며, 수니파, 알레비파 등도 존재한다.

6. 문화

길란은 독특한 음식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해산물 요리와 훈제, 케밥 등이 유명하다. 마수레 마을은 계단식 가옥 구조로 유명하며,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연간 2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길란을 방문하며, 대부분은 국내 관광객이다.[1]

길란에는 전통적인 식문화가 짙게 남아 있다. 길란의 요리 중 이란 전체로 퍼진 것도 있다. 풍요로운 식문화는 다양한 과일, 채소, 견과류를 가져다주는 기후의 다양성에서 길러졌다. 해산물은 길란 요리 및 마잔다란 요리의 특징 중 하나이다. 훈제케밥, 캐비어로 제공되는 철갑상어는 카스피해 연안 지역의 진미이다. "갈리에 마히"라는 생선 스튜와 "갈리에 메이구"라는 새우 스튜도 길란의 전통적인 명물 요리이다.[1]

길란 특유의 것으로는 호두 페이스트와 석류 주스로 만든 소스가 있다. 신맛이 나는 케밥을 마리네이드하거나, 오리고기, 닭고기, 양고기 스튜에 베이스로 사용한다. "미르자 가세미"는 곁들임이나 전채로 하는 스모키한 가지와 계란 요리이다. 그 외에도 마늘 피클, 호두 페이스트 올리브, 생선 훈제 등이 있다. 이 지역의 캐비어와 생선 훈제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귀하게 여겨지며, 미식가가 찾는 식재료이다.[1]

마수레는 라슈트 남동쪽의 구릉지에 있는 작은 마을이다. 마수레는 일반적인 마을이지만, 집과 집의 관계에 특징이 있다. 구릉지의 마을이기 때문에 집이 경사면에 따라 세워져 있으며, 어떤 집의 지붕이 한 단 위의 집의 정원이나 도로가 되어 있다.[1]

자세한 내용은 이란 요리를 참조하십시오.

7. 경제

길란 주는 테헤란바쿠를 잇는 교역로에 위치하여 상업이 발달하였다. 19세기 중반에는 누에의 전염병으로 경제가 어려움을 겪었으나, 생산과 차 농장 도입으로 경제를 재편하였다. 반다르에 안잘리는 이란과 유럽 사이의 주요 무역 항구 역할을 했다.[26]

7. 1. 농업

길란주에서는 주로 쌀이 재배되며, 이란의 많은 벼 품종이 이곳에서 기원했다. 농부들의 벼 재배 및 품종 선택으로 인해, Gerdeh, Hashemi, Hasani, Gharib 등의 품종이 개발되었다.[42],[43]

7. 2. 상업

테헤란바쿠를 잇는 교역로에 위치하여 길란의 상업은 발달했다. 19세기 중반, 누에의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길란의 경제가 마비되기도 했으나, 생산과 차 농장 도입으로 경제를 재편하였다. 반다르에 안잘리는 이란과 유럽 사이의 주요 무역 항구 역할을 했다.[26]

8. 교육

길란 주에는 다음과 같은 고등 교육 기관들이 있다.

교육 기관
길란 대학교
길란 의과대학교
라스트 학술 지하드 고등 교육 기관
반다르안잘리 이슬라미 아자드 대학교
아스타라 이슬라미 아자드 대학교
라히잔 이슬라미 아자드 대학교
탈레시 이슬라미 아자드 대학교
라스트 이슬라미 아자드 대학교
파얌-에-누르 대학교 – 탈레시
길란 기술직업 훈련 기구
길란 모피드 대학교


9. 교통

반다르에 안잘리는 길란 주의 주요 항구이다.[1]

참조

[1] 지도 Gilan Province https://www.openstre[...] 2024-10-12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3] 웹사이트 Guilan Government Province website http://ost.gilan.ir/[...]
[4] 웹사이트 library Great Encyclopedia of Islam – Astara http://library.tebya[...]
[5] 웹사이트 Manjil http://www.iranicaon[...] Encyclopædia Iranica
[6] 웹사이트 تالشی و تاتی بازمانده زبان ماد / بخش دوم http://www.tatha.fag[...] 2015-03-18
[7] 웹사이트 شهر رضوانشهر http://guilan.irib.i[...] 2013-08-12
[8] 웹사이트 TalesHan.com http://www.taleshan.[...] 2018-04-28
[9] 웹사이트 「2022卡塔尔」世界杯买球赛平台 http://www.deilamest[...] 2013-08-12
[10] 웹사이트 University of Guilán http://www.guilan.ac[...]
[11] 보고서 Approval of the organization and chain of citizenship of the elements and units of the national divisions of Gilan province centered on the city of Rasht https://rc.majlis.ir[...] Ministry of the Interior, Defense Political Commission of the Government Board 2015-10-21
[12] 뉴스 همشهری آنلاین-استان‌های کشور به ۵ منطقه تقسیم شدند (Provinces were divided into 5 regions) http://www.hamshahri[...] 2014-06-22
[13] 논문 The Pleistocene Human Settlement in Gilan, Southwest Caspian Sea: Recent Research 2011
[14] 논문 Evidence of Neolithic occupation at Chapalak near Nodeh-e Farab 2006
[15] 논문 Discovery of Two Probable Late Paleolithic Sites at Amarlou, The Gilan Province, Caspian Basin ICHO, Tehran, and MECC, Tokyo 2003
[16] 학술지 Concomitant Replacement of Language and mtDNA in South Caspian Populations of Iran
[17] 문서 The Tati language group in the sociolinguistic context of Northwestern Iran and Transcaucasia
[18] 웹사이트 http://original.brit[...]
[19] 서적 The Martyred Church: A History of the Church of the East East and West Publishing
[20] 문서
[21] 문서 The Ilkhan Öljeitü's conquest of Gilan (1307): rumour and reality Leiden
[22] 웹사이트 Armenia during the Seljuk and Mongol Periods, Armenian History, Turkish History, Mongol History, Georgian History, Armeno-Turcica http://rbedrosian.co[...] 2011-11-23
[23] 서적 An Historical Geography of the Ottoman Empire: From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24] 서적 Viaggi Rome
[2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10-10
[26] 웹사이트 The Caucasus in the System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 Turkmanchay Treaty Was Signed 180 Years Ago Научная библиотека КиберЛенинка http://cyberleninka.[...]
[27] 웹사이트 Welcome to Encyclopaedia Iranica https://www.iranicao[...]
[28] 문서 Iran:Demography and Ethnography E.J. Brill
[29] 문서 Muslim cultures today: a reference guide Greenwood Publishing Group
[30] 웹사이트 Gilaki https://www.ethnolog[...]
[31] 웹사이트 Former Dept. of Linguistics – Northwest Iranian Project http://www.eva.mpg.d[...] 2018-04-28
[32] 웹사이트 Gilan Province https://www.masjed.i[...] 2014-06-29
[33] 웹사이트 A Paradise: Gilan, North of Iran http://www.payvand.c[...] 2023-03-08
[34] 웹사이트 Welcome to Encyclopaedia Iranica https://www.iranicao[...]
[35] 웹사이트 Welcome to Encyclopaedia Iranica https://www.iranicao[...]
[36] 웹사이트 پرتال استان گيلان – جمعيت و نيروي انساني http://ost.gilan.ir/[...] 2011-12-03
[37] 웹사이트 Language distribution: Gilan Province http://iranatlas.net[...] 2022-04-11
[38] 간행물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85 (2006): Gilan Province http://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09-25
[39] 간행물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0 (2011): Gilan Province https://irandataport[...]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12-19
[40] 간행물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5 (2016): Gilan Province https://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12-19
[41] 간행물 Letter of approval regarding the changes and reforms of divisions in Gilan province https://qavanin.ir/L[...] Ministry of the Interior, Council of Ministers 2020
[42] 논문 Phenotypic evaluation of scutellum-derived calluses in 'Indica' rice cultivars
[43] 논문 Phenotypic evaluation of scutellum-derived calluses in ‘Indica’ rice cultivars http://aas.bf.uni-lj[...]
[44] 논문 Phenotypic evaluation of scutellum-derived calluses in ‘Indica’ rice cultivars http://aas.bf.uni-l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