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슈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슈트는 카스피해 남서부 연안에 위치한 이란의 도시로, 682년에 문헌상 처음 등장하며 사산 왕조 시대부터 도시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역사적으로 러시아 제국, 영국군이 주둔했고, 이란 입헌 혁명과 길란 소비에트 공화국 수립의 중심지였다. 현재는 이란 북부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며, 습윤 아열대 기후를 보인다. 주요 산업은 서비스, 무역, 산업이며, 길라키어를 사용한다. 라슈트는 이란 최초의 공공 도서관, 여자 학교, 은행 등이 설립된 곳으로, 다양한 문화 행사와 음식 문화를 즐길 수 있다. 주요 명소로는 역사적 건축물과 공원, 자연 등이 있으며, 아스트라한, 모스크바 등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미르자 쿠치크 칸, 후샹 에브테하지 등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길란주의 도시 - 반다르에안잘리
    반다르에안잘리는 이란 북부 카스피 해 연안의 주요 항구 도시로, 어업과 쌀농업의 역사를 가지며 캐비어 생산의 중심지이자 안잘리 석호와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는 습윤 아열대 기후 지역이며, 말라반 FC의 연고지로 축구가 인기 있는 도시이다.
  • 길란주의 도시 - 마술레
    마술레는 이란 길란 주의 계단식 건축 마을로, 건물 옥상이 아래층 마당 역할을 하는 독특한 구조와 아름다운 폭포, 늦은 청동기 시대 유적 등으로 유명하며, 탈리쉬어를 사용하는 원주민이 거주한다.
  • 이란의 주도 - 반다르아바스
    반다르아바스는 이란 남부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해군 군항으로, 고대 해상 교역 요충지였으나 포르투갈의 지배를 거쳐 사파비 왕조 시대에 탈환되었고, 이후 무역 경쟁과 쇠퇴기를 겪었지만 20세기 이란 정부의 투자로 재개발되어 현재는 농수산물 생산, 우라늄 채굴, 중계 무역의 중심지이며 발달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이란의 주도 - 이스파한
    이스파한은 이란 중부에 위치한 오랜 역사의 도시로, 사파비 왕조 시대에 수도로 지정되어 번성했으며, 현재는 이란의 주요 산업, 문화, 관광 중심지 역할을 한다.
  • 이란의 도시 - 반다르아바스
    반다르아바스는 이란 남부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해군 군항으로, 고대 해상 교역 요충지였으나 포르투갈의 지배를 거쳐 사파비 왕조 시대에 탈환되었고, 이후 무역 경쟁과 쇠퇴기를 겪었지만 20세기 이란 정부의 투자로 재개발되어 현재는 농수산물 생산, 우라늄 채굴, 중계 무역의 중심지이며 발달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이란의 도시 - 이스파한
    이스파한은 이란 중부에 위치한 오랜 역사의 도시로, 사파비 왕조 시대에 수도로 지정되어 번성했으며, 현재는 이란의 주요 산업, 문화, 관광 중심지 역할을 한다.
라슈트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라슈트
현지 명칭(페르시아어)
(길라키어)
별칭비의 도시, 라슈트-천국
이미지
가을 밤의 라슈트 시청
시청 야경, 미르자 코흐 무덤, 성 메스롭 교회, 콜라 파랑기 저택, 길란 농촌 유산 박물관, 굴자르 욕장, 국립 도서관
미르자 쿠착 칸의 무덤
미르자 코흐 무덤
라슈트의 성 메스롭 교회
성 메스롭 교회
콜라 파랑기 저택
콜라 파랑기 저택
길란 농촌 유산 박물관
길란 농촌 유산 박물관
하맘
굴자르 욕장
국립 도서관
국립 도서관
일반 정보
국가이란
길란주
라슈트군
중앙구
시장라힘 쇼기
시의회 의장모하마드 호세인 바세그 카르가르니아
면적 (제곱킬로미터)95
인구 (2016년)679,995명
이란 내 인구 순위11위
시간대이란 표준시 (IRST)
UTC 오프셋+3:30
우편 번호불명
지역 번호013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기타
도시 이름 (음역)Šahr-e Bārān

2. 역사

라슈트는 682년 우마이야 왕조의 역사 문서에 처음 이름이 등장하지만, 실제 도시의 역사는 사산 왕조 시대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6][7] 고대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보이는 이 도시는 역사적으로 여러 중요한 사건의 중심지가 되어왔다.

중세 시기에는 정통 칼리파조의 정복을 겪었으며, 1669년에는 코사크 군벌 스테카 라진에 의해 약탈당하는 등 외세의 침입을 받았다. 또한 1714년에는 큰 지진으로 도시가 파괴되는 자연재해를 겪기도 했다. 18세기 초에는 러시아-페르시아 전쟁의 결과로 1722년부터 약 10년간 표트르 대제가 이끄는 러시아 제국 군대에 의해 점령되기도 했다.

카자르 왕조 시대에 들어서면서 라슈트는 러시아와의 교역 증가와 함께 경제적으로 발전하여 유럽으로 향하는 중요한 관문 역할을 수행했다. 이 시기 라슈트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러시아, 영국, 오스만 제국 등 열강들이 영사관을 설치하기도 했다.[11] 19세기 후반에는 타브리즈, 테헤란과 더불어 이란에서 가장 먼저 산업화가 시작된 도시 중 하나로, 어업, 캐비어 생산, 카스피해 유전 파이프라인 건설 및 섬유 산업 등이 발달했다.

라슈트 시민들은 20세기 초 이란 입헌 혁명 (1905–1907)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혁명의 확산에 기여했다. 특히 라슈트 출신의 미르자 쿠체크 칸이 이끈 정글리 운동은 이 지역을 기반으로 근대적인 개혁을 추구했다. 그러나 20세기 초 라슈트는 1901년 대규모 전염병, 1917년부터 1920년까지 이어진 러시아군영국군의 충돌과 점령 등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

1920년에는 미르자 쿠체크 칸이 이란 공산당과 연대하여 라슈트를 수도로 하는 단명한 길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수립하기도 했으나, 내부 갈등과 소련의 지원 철회 등으로 인해 1921년 레자 샤가 이끄는 이란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후 1937년에는 러시아인에 의한 '도로세' 징수에 반발하는 민중 봉기가 있었으나 진압되었다.

이러한 격동의 역사 속에서도 라슈트는 이란 근대화 과정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이란 최초의 국립 도서관, 이란 최초의 공공 도서관, 세파 은행 지점[9], 24시간 약국, 여자 학교, 소방서 등 수많은 근대 시설이 라슈트에 처음으로 세워졌으며, 입헌 혁명 이후 이란 최초의 현대 신문 중 하나인 나심-에-샤말이 이곳에서 발행되기도 했다. 1974년에는 라슈트 최초의 대학교인 길란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2. 1. 고대 및 중세

라슈트의 다나-예 알리 무덤


라슈트에 대한 문헌 기록은 682년에 처음 등장하지만, 도시의 역사는 그보다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사산 왕조 시대에도 이 지역에 도시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라슈트는 682년 우마이야 왕조의 역사 문서에 처음 언급되었으며,[6][7] 정통 칼리파조의 정복 시기를 거쳤다.

이후 역사에서 라슈트는 여러 사건을 겪었다. 1669년에는 코사크 군벌인 스테카 라진에 의해 약탈당했으며, 1714년에는 큰 지진으로 도시가 파괴되기도 했다. 1722년부터 1732년까지는 러시아-페르시아 전쟁의 결과로 러시아 제국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

2. 2. 근세

682년 문헌에 처음 등장했지만[6][7], 라슈트가 본격적으로 역사 기록에 자주 나타나고 외세의 영향을 받기 시작한 것은 근세 시기부터이다.

1669년에는 코사크 군벌 스테카 라진이 이끄는 군대가 라슈트를 약탈하는 사건이 있었다. 이후 1714년에는 큰 지진으로 도시가 파괴되는 자연재해를 겪기도 했다.

18세기 초, 러시아 제국페르시아 간의 전쟁 결과로 라슈트는 1722년부터 1732년까지 약 10년간 러시아에 의해 점령되었다.

카자르 왕조 시대(1789-1925)에 들어서면서 라슈트는 러시아와의 교역이 활발해지고 경제적으로 발전하면서 유럽으로 향하는 중요한 관문 역할을 하게 되었다. 19세기 후반 라슈트를 방문한 러시아 학자 그리고리 멜구노프는 당시 도시에 5,463채의 집, 1,021개의 상점, 22개의 모스크, 34개의 학교, 17개의 목욕탕이 있었고 인구는 27,314명에 달했다고 기록했다.[10] 이 시기 라슈트의 국제적 중요성은 커져 러시아, 영국, 오스만 제국이 도시에 영사관을 설치할 정도였다.[11]

또한 19세기 말에는 타브리즈, 테헤란과 더불어 이란에서 가장 먼저 산업화가 시작된 도시 중 하나로, 특히 어업, 캐비어 생산, 카스피해 유전 파이프라인 건설 및 섬유 산업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이란 최초의 국립 도서관이 라슈트에 세워졌으며, 이란 최초의 공공 도서관출처, 세파 은행(Bank Sepah)의 첫 지점[9], 24시간 약국, 여학교, 소방서 등 근대적인 시설들이 이 시기 라슈트에 처음으로 들어섰다.

2. 3. 근대

19세기 카자르 왕조 시기, 러시아와의 경제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라슈트는 유럽으로 향하는 중요한 관문으로 부상했다.[11] 이 시기 라슈트에는 러시아, 영국, 오스만 제국의 영사관이 설치되어[11] 국제적 중요성을 나타냈다. 또한 라슈트는 타브리즈, 테헤란 등과 함께 19세기 말 이란의 초기 산업 발전을 이끈 도시 중 하나였다.

라슈트 시민들은 페르시아 입헌 혁명 (1905–1907)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혁명의 확산과 급진화에 기여했다. 라슈트 출신의 미르자 쿠체크 칸은 길란 지역에서 정글리 운동을 이끌었는데, 이 운동은 이슬람 전통 개혁을 포함한 근대적 사회 민주주의 프로그램을 지향했다.

20세기 초 라슈트는 여러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1901년에는 대규모 전염병이 도시를 휩쓸었으며[6][7], 1917년부터 1920년까지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여파 속에서 러시아군영국군이 반다르-에 안잘리와 라슈트에서 충돌하는 등 외세의 각축장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영국군은 철수하고 러시아군이 이 지역을 점령했다.

1920년, 입헌 혁명 세력이 약화된 후 미르자 쿠체크 칸은 이란 공산주의자들과 연대하여 라슈트를 수도로 하는 단명한 길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수립했다. 이 공화국은 초기 소련 붉은 군대의 지원을 받았으나, 소비에트 정부의 정책 변화와 내부 파벌 간의 갈등으로 인해 약화되었고, 결국 1921년 레자 샤가 이끄는 이란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1937년에는 러시아인에 의한 '도로세' 징수에 반발하는 민중 봉기가 발생했으나, 이 역시 진압되었다.

이러한 격동의 시기 속에서도 라슈트는 이란 근대화의 중심지 역할을 이어갔다. 이란 최초의 국립 도서관이 1920년 라슈트에 설립되었고[13], 입헌 혁명 이후 이란 최초의 현대적 신문 중 하나인 나심-에-샤말도 라슈트에서 처음 발행되었다. 또한 1925년에는 이란 최초의 은행인 세파 은행 지점이[12], 그리고 이란 최초의 여자 학교가 이곳에 문을 열었다.[13][14] 이 외에도 라슈트는 이란 최초의 24시간 약국[15], 최초의 버스 도입[17] 등 여러 '이란 최초' 기록을 세우며 근대 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어 나갔다.

2. 4. 현대

라슈트는 다른 이란의 주요 도시들처럼 산업화된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카두스 국제 호텔 등 여러 관광 명소를 갖추고 있어 매년 수천 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방문하며, 주요 방문 국가는 오스트리아, 독일, 네덜란드, 프랑스, 호주, 일본 및 아프리카의 세네갈, 카메룬, 오세아니아의 미크로네시아 등이다.

라슈트 부사르 지역 파노라마


라슈트 시청 광장에 있는 시청 건물은 1900년경 건설된 이래 꾸준히 보수되어 온 도시의 상징 중 하나이다. 그러나 습한 기후로 인해 오래된 건물이 손상되면서, 라슈트 고유의 전통 건축 양식은 점차 현대적인 고층 건물과 아파트로 대체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영국, 러시아, 프랑스와 상업 및 정치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어온 라슈트에서는 소비주의 문화가 시민들 사이에 확산되었다. 이러한 교류를 통해 주민들은 서구의 산업, 문화, 정치 발전에 비교적 익숙해졌으며, 이는 금융 기관들이 라슈트에 지점을 개설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도시가 금융 중심지로 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도시에는 이란 수출개발은행 지점을 비롯해 많은 상업 센터, 쇼핑몰, 금융 기관이 들어서 있으며, 국내외 은행들은 라슈트에 현대적인 사무용 건물을 짓는 데 투자하고 있다.

이란 최초의 버스, 벨기에 상인이 수입하여 라슈트시에 도입되었다.


라슈트는 이란 내에서 여러 '최초'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라슈트의 이란 최초 기록
내용연도/비고
국립 도서관 설립1920년[13]
세파 은행 지점 설립1925년[12]
여자 학교 설립[13][14]
주야간 약국 설립[15]
노인 및 장애인 요양원 설립[16]
버스 도입벨기에 상인이 수입[17]
하수도 시스템 구축
외국 영사관 개설러시아, 영국, 프랑스, 오스만 정부[13]
실크 공장 설립[18]
국립 병원 (푸르시나 병원) 설립[19]
고전 극장 설립[20]



1974년에는 이란과 당시 서독 정부의 협력으로 길란 대학교가 설립되었으며, 이는 도시의 교육 및 국제 교류 발전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또한, IRIB 라슈트 지국 건물은 이란과 벨기에 기술자들이 공동으로 건설했다.

1979년 이슬람 혁명 이후에도 라슈트는 국제 교류의 중심지 역할을 이어갔다. 특히 러시아, 터키, 아제르바이잔 등 주변국 은행들이 지점 개설에 관심을 보여왔으며, 이로 인해 라슈트는 이란 내에서 "유럽의 관문"으로 불리기도 한다. 현재 러시아 연방 영사관이 라슈트에 있으며, 다른 카스피해 연안 국가들도 테헤란의 대사관 외에 라슈트에 대표 사무소 설치를 고려하고 있다.

3. 지리

라슈트는 이란 북부, 카스피해 남서쪽 연안에 자리 잡고 있으며, 세피드루드 강 삼각주 지역에 위치한다.[31] 이 도시는 이란 북부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 중 하나이다.[22][23][24]

3. 1. 기후

라슈트는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Cfa'', 트레와타: ''Cf'')를 보인다. 이 기후는 이란에서 가장 습한 곳 중 하나로, 여름은 덥고 습하며 겨울은 비교적 온화하지만 비가 많이 내리고 때때로 눈이 내리기도 한다.[31] 연평균 습도는 82.8%로 매우 높아, 이란의 다른 많은 도시들과 대조를 이룬다.[32] 이 때문에 라슈트는 "비의 도시"라는 별명으로도 알려져 있다. 연평균 강수량은 1382.8mm에 달하며[32], 연평균 일조 시간은 약 1,648시간으로 이란 대부분 지역이나 같은 위도의 다른 지역들에 비해 낮은 편이다.[32]

라슈트의 기후 (1991년~2020년 평균, 극값 1956년~2020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역대 최고 기온 (°C)27.5°C29.8°C38°C37.4°C38.6°C35.2°C36.6°C38.4°C40°C37.4°C32.3°C29.2°C40°C
평균 최고 기온 (°C)11.6°C11.5°C14.7°C19.1°C24.4°C28.5°C30.5°C30.9°C27.2°C22.8°C17°C13.3°C21°C
일평균 기온 (°C)7.1°C7°C9.7°C14°C19.6°C23.8°C25.7°C25.7°C22.3°C17.9°C12.5°C8.9°C16.2°C
평균 최저 기온 (°C)3.8°C3.9°C6.6°C10.5°C15.9°C19.8°C21.8°C21.7°C19°C14.6°C9.3°C5.6°C12.7°C
역대 최저 기온 (°C)-11.6°C-9°C-2.1°C-0.2°C3.8°C12.1°C14.8°C14.8°C11.5°C7.8°C-3.6°C-3.5°C-11.6°C
평균 강수량 (mm)131.4mm131.6mm108.3mm73.1mm41.5mm41.7mm52.3mm71.8mm159.3mm200.4mm218.2mm153.2mm1382.8mm
평균 강수일수 (≥ 1mm)10.010.210.17.36.24.13.95.98.710.411.39.998.0
평균 적설량 (cm)6.09cm4.46cm0.62cm0cm0cm0cm0cm0cm0cm0cm0.53cm0.6cm12.3cm
평균 상대 습도 (%)85858482807777798487888682.8
월평균 일조 시간979110612819023423421014312498931,648
출처: NOAA[32], IRIMO (적설량 2004년~2023년)[33]


4. 인구

'''연도별 인구 변화'''[52]
연도인구±%
1986290,897
1991340,637+17.1%
1996417,748+22.6%
2006557,366+33.4%
2011639,951+14.8%
2016679,995+6.3%



2016년 인구 조사 결과, 라슈트의 인구는 679,995명으로[52], 이란 북부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4. 1. 언어

라슈트 주민의 대다수(98.2%)는 길락족이며, 주로 길라키어의 서부 방언(비에 파스 방언)을 사용한다. 길라키어이란 길란주를 중심으로 30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로,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의 북서 이란어군에 속한다. 북서 이란어군에는 길라키어 외에 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마잔다란어 등이 포함된다.

길라키어는 크게 두 방언으로 나뉘는데, 세피드 강 서쪽의 라슈트나 푸만 등지에서 사용되는 비에 파스 방언(서부 방언)과 라히잔, 랑루드 등 길란 동부에서 사용되는 비에 피슈 방언(동부 방언)이 있다. 길라키어는 주로 구어로 사용되며, 이란의 공식적인 공용어는 아니다. 라슈트에서는 길라키어 외에도 페르시아어와 탈리쉬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5. 문화



라슈트는 역사적으로 이란러시아유럽과 교류하는 관문 역할을 했으며, 이로 인해 서양 건축 양식의 영향을 받았다.[13] 이러한 개방적인 환경 속에서 이란 최초의 여러 시설들이 라슈트에 들어섰다.

'''라슈트에 설립된 이란 최초의 시설들'''
시설 종류설립 연도 (해당하는 경우)비고
세파 은행 지점1925이란 최초 은행 지점[12]
여자 학교-이란 최초[13][14]
주야간 약국-이란 최초[15]
노인 및 장애인 요양원-이란 최초[16]
국립 도서관1920이란 최초[13]
버스 도입-이란 최초 (벨기에 상인 수입)[17]
하수도 시스템-이란 최초
외국 영사관-러시아, 영국, 프랑스, 오스만 정부[13]
실크 공장-이란 최초[18]
국립 병원 (푸르시나 병원)-이란 최초[19]
고전 극장-이란 최초[20]



라슈트 사람들은 예술, 음식, 의류 등에 관심이 많고 소비를 아끼지 않는 경향이 있다. 여가 시간에는 영화 관람, 미술 전시회, 음악 콘서트 등을 즐기며, 도시에서 자주 열리는 국제 도서전에도 참여한다. 라슈트 시 정부는 젊은이들의 건전한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스포츠, 문화, IT 관련 대회를 개최하기도 하는데, 매년 열리는 블로그 대회는 특히 인기가 높다.

2015년 12월 11일, 라슈트는 유네스코 창의 도시 네트워크에 음식 분야로 가입하여 독창적인 요리 문화를 인정받았다.[35] 또한 라슈트 자수는 이 도시와 길란주를 대표하는 독특한 수공예 예술이다.[36][37]

2015년 1월 4일은 라슈트가 약 4,500년 전 길란 지역의 정치 중심지로 선정된 것을 기념하는 '라슈트의 날'로 지정되어 국가 공식 달력에 포함되었다.

5. 1. 음식

이스파한과 함께 라슈트는 2015년 12월 11일 유네스코 창의 도시 네트워크에 가입되었으며, 특히 독특한 요리법으로 인정받았다.[35] 라슈트 사람들의 주식은 다양한 종류의 생선 요리이다. 대표적인 지역 음식으로는 미르자 가세미, 바비쉬카(일종의 순대), 나르게시, 바갈라 카토그, 그리고 어란의 일종인 아슈팔 등이 있다. 레쉬테 호쉬카르는 잘 알려진 지역 과자이며, 올리브와 석류로 만든 제이툰 파르바르데는 이 도시에서 인기 있는 별미이자 조미료이다.[38]

5. 2. 라슈트 자수

라슈트 자수는 도시와 길란주 특유의 수공예이자 예술이다.[36][37]

5. 3. 스포츠

라슈트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축구이며, 시민들은 열렬한 팬이다. 대표적인 축구 클럽으로는 아자데간 리그에서 활동하는 다마쉬 길란과 페르시아만 프로 리그에서 활동하는 세피드로 라슈트가 있다. 다마쉬 길란은 라슈트 시 소속이었던 페가 축구 클럽을 다마쉬 광천수 공장에서 인수하여 이름을 변경한 팀이다.

다마쉬 길란의 홈 경기장은 약 40년 된 Dr. 아조디 스타디움이며, 수용 인원은 11,000명이다. 도시의 두 번째 경기장으로는 사르다르 장갈 스타디움이 있다.

사르다르 장갈 스타디움


축구 외에도 레슬링, 유도, 역도가 라슈트 청소년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이는 올림픽과 같은 국제 대회에서 이란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거두는 것과 관련이 있다. 특히 역도는 세계적인 선수이자 올림픽 2회 금메달리스트인 호세인 레자자데의 영향으로 많은 젊은이들이 전문적으로 배우고 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당시 이란 역도 대표팀 주장을 맡았던 아스갈 에브라히미 역시 라슈트 출신으로, 호세인 레자자데 이후 이 분야에서 성공한 대표적인 예시이다.

5. 4. 유네스코 창의 도시

이란의 도시인 이스파한과 라슈트는 2015년 12월 11일 유네스코 창의 도시 네트워크에 가입되었다. 이스파한은 창의적인 공예와 민속 예술로, 라슈트는 독특한 요리법으로 등록되었다.[35] 라슈트 자수는 라슈트시와 길란주 특유의 수공예이자 예술이다.[36][37]

6. 교육

길란 대학교


라슈트에는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이 자리 잡고 있다. 대표적인 대학으로는 길란 대학교, 길란 의과대학교, 라슈트 이슬람 아자드 대학교(라슈트 이슬람 자유 대학교) 등이 있다. 특히 길란 대학교는 약 40년 전 이란서독 정부가 공동으로 설립하였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교육 및 연구 기관들이 있다.

  • 자베르 에븐 하얀 고등교육원
  • 페이암 누르 대학교
  • 라슈트 학술 지하드 고등 교육 연구소 (موسسه آموزش عالي غيرانتفاعي جهاد دانشگاهي رشتfas)
  • 길란 기술 및 직업 훈련 기구 ([http://www.guilantvto.ir اداره کل آموزش فنی و حرفه ای استان گیلانfas])[40]
  • 길란 첨단 기술 훈련 센터[41]
  • 라슈트 기술직업 전문학교[42]
  • 길란 응용과학기술 대학교[43]

7. 경제

라슈트는 지리적 위치(중앙 평원과 넓은 폭, 비옥한 토지, 쌀 재배 측면에서 이란과 길란 주의 가장 중요한 지역), 교통의 요지(테헤란-가즈빈-안잘리-아스타라 도로 사이에 위치하며, 길란에서 마잔다란과 길란 동부로 가는 주요 도로에 위치), 그리고 길란 주의 주도라는 정치-행정적 상황 덕분에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이점을 바탕으로 도시는 경제 개발, 도시 확장, 산업 공장 및 농업-상업 활동 증가, 과학 기술 센터의 수 증가를 이루어 왔다. 도시 주민 대부분은 서비스, 무역, 산업 분야에 종사하며, 주변 마을 주민들은 주로 벼농사에 종사한다.[44][45][46]

역사적으로 라슈트는 이란의 주요 상업 및 관세 도시 중 하나였다. 특히 안잘리 항구를 통해 유럽으로 향하는 이란의 주요 통상로 역할을 했다. 사파비 왕조의 샤 아바스 2세 시대부터 카자르 왕조 말기까지 라슈트는 중요한 상업 중심지였으며, 많은 상인들이 비단을 거래하기 위해 이곳에 머물렀고, 상품은 지중해 항구로 보내졌다. 러시아 제국대영 제국 영사관이 라슈트에 주재하면서 도시의 경제적, 사회적 번영이 가속화되었다. 당시 라슈트에는 외무부 대표, 러시아 영사, 프랑스 부영사, 영국 부영사 등이 주재했으며, 중앙 정부를 대리하는 외교 담당관도 있었다. 이 시기 러시아의 토마니안 차관 은행과 여러 무역 회사가 활동하며 라슈트의 대외 무역이 발전했고, 많은 주민들이 부를 축적하여 카자르 시대에 귀족 도시로 변모했다.

현대에 들어 라슈트는 산업화된 도시로 발전했으며, 카두스 국제 호텔 등을 갖추고 매년 수천 명의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주요 방문 국가는 오스트리아, 독일, 네덜란드, 프랑스, 호주, 일본 등이며, 아프리카세네갈, 카메룬이나 오세아니아미크로네시아 연방 등 다양한 국가에서 방문객이 찾는다.

소비주의 문화는 역사적으로 영국, 러시아, 프랑스와 긴밀한 관계를 맺어온 라슈트 시민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덕분에 주민들은 서구 문물에 비교적 익숙하며, 이는 금융 기관들이 라슈트에 지점을 개설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다양한 은행 및 금융 기관의 중심지가 되는 기반이 되었다. 이란 수출을 담당하는 국제 은행인 이란 수출개발은행 지점을 비롯하여 많은 상업 센터, 쇼핑몰, 금융 기관이 들어서 있으며, 국내외 은행들은 라슈트에 현대적인 사무실 건물을 짓기 위해 상당한 예산을 투자하고 있다. 주요 체인 스토어로는 레파 체인 스토어, 이란 하이퍼 스타, 이스파한 시티 센터, 샤흐르반드 체인 스토어, 오포그 코로쉬 체인 스토어 등이 있다.

1979년 이란 혁명 이후에도 라슈트의 경제적 중요성은 계속되었다. 러시아, 터키, 아제르바이잔 등의 은행들이 라슈트에 지점 개설을 지속적으로 요청하면서, 이 도시는 이란에서 "유럽의 관문"으로 불리게 되었다. 현재 러시아 연방 정부의 영사관이 라슈트에 위치해 있으며, 다른 카스피해 연안 국가들도 테헤란의 대사관과 별도로 라슈트에 대표 본부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라슈트는 이란에서 여러 '최초' 기록을 가진 도시이기도 하다.


  • 이란 최초의 은행인 세파 은행 지점 (1925년 설립)[12]
  • 이란 최초의 여자 학교[13][14]
  • 이란 최초의 주야간 약국[15]
  • 이란 최초의 노인 및 장애인 요양원[16]
  • 이란 최초의 국립 도서관 (1920년 설립)[13]
  • 이란 최초의 버스 도입[17]
  • 하수도 시스템이 최초로 설립된 도시
  • 러시아, 영국, 프랑스, 오스만 제국 정부가 영사관을 열고 정치 대표를 둔 최초의 도시[13]
  • 이란 최초의 실크 공장[18]
  • 이란 최초의 국립 병원 (푸르시나 병원)[19]
  • 이란 최초의 고전 극장[20]


7. 1. 제약 산업

라슈트에는 길란 의과대학 산하 약학대학과 여러 제약 생산 시설이 있으며, 그 중 하나는 24개의 펜(pen)을 갖춘 항암 나노 의약품 생산 센터이다.

주요 제약 회사로는 Sobhan Daroo Co.|소반 다루fa와 Sobhan Oncology Pharmaceutical Company|소반 종양 제약 회사fa가 있다. 소반 다루는 100개 이상의 생산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생산량 기준으로 이란 내 두 번째 규모의 제약 회사이다. 소반 종양 제약 회사는 세계에서 가장 현대적이고 진보된 항암 및 화학 요법 제품 생산 시설 중 하나이다.[47]

8. 교통

라슈트는 항공, 철도, 도로 등 다양한 교통망을 통해 이란의 다른 지역 및 국외와 연결된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길란주 유일의 공항인 라슈트 국제공항과 테헤란안잘리 자유 무역 지대를 잇는 라슈트 기차역이 있다. 시내 교통은 택시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8. 1. 항공

라슈트 국제공항은 길란주에 있는 유일한 공항이다. 1969년 약 220ha 면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처음에는 테헤란마슈하드로 가는 국내선 항공편만 운항했다. 2007년에는 사르다르 장갈 국제공항으로 이름이 바뀌면서 추가 노선이 개설되었다.

이 공항은 마한 항공, 이란 항공, 이란 아세만 항공, 키시 항공 등 여러 항공사와 제휴하여 국내외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으며, 연간 2,000편 이상의 항공편을 처리한다.

8. 2. 철도

라슈트는 도시 남쪽에 위치한 지르데, 샤프트로 가는 길 근처에 있는 라슈트 기차역을 이용한다.[48] 철도는 알보르즈 산맥과 세피드루드 강 계곡을 지나 테헤란으로 가는 길에 카라지카즈빈에 연결된다. 북쪽으로는 안잘리 자유 무역 지대로 철도가 이어진다.[48]

8. 3. 도로

1947년, 무자파르 알딘 샤의 딸인 파크롤돌레의 명령으로 영국에서 택시 50대가 구매되어 이란으로 수입되었다. 1948년, 길란주에 대한 그녀의 관심으로 인해 라슈트에 처음으로 택시가 도입되어 주요 거리를 운행하기 시작했다. 현재 라슈트 시 택시 조직은 9,500대 이상의 택시와 자가용을 관리 및 운영하고 있다.

9. 주요 명소

라슈트는 역사적 중요성과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모두 갖춘 도시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주요 명소는 크게 이란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역사적 건축물과 시민들의 휴식처가 되는 공원 및 자연 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역사적으로는 러시아유럽으로 통하는 관문 역할을 하며 서양 건축의 영향을 받은 건물들이 남아 있으며, 이란 입헌 혁명의 지도자 미르자 쿠치크 칸 관련 유적도 중요한 명소이다. 또한, 이란 최초의 국립 도서관, 은행 지점 등이 세워진 역사적인 도시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시청사, 국립 도서관, 미르자 쿠치크 칸의 묘와 생가 등이 있다.

자연 명소로는 잘 가꾸어진 공원과 호수 등이 있어 시민들과 방문객들에게 휴식과 여가를 제공한다. 모흐타샴 정원, 멜라트 공원, 에이나크 석호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9. 1. 역사적 건축물

이란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라슈트는 러시아유럽으로 향하는 관문이었기에 서양 건축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도시의 높은 습도로 인해 오래된 건물들이 손상되고 파괴되면서, 라슈트 고유의 역사적인 건축 양식은 점차 현대적인 건물로 대체되고 있다.

라슈트의 대표적인 역사적 건축물은 다음과 같다.

  • 시청사: 시청 광장에 위치하며, 1900년경 건설되어 매년 보수 공사를 거치고 있다.
  • -
  • 국립 도서관: 이란 최초의 국립 도서관으로 1920년에 설립되었다.[13]
  • 미르자 쿠차크 칸 묘: 이란 입헌 혁명의 지도자 중 한 명인 미르자 쿠치크 칸의 묘이다.
  • 미르자 쿠차크 칸의 집: 미르자 쿠치크 칸이 살았던 집이다.
  • -
  • 콜라 파란기 저택: 카자르 왕조 시대에 지어진 빅글러-베이이 파빌리온이다.
  • -
  • 우체국 건물: 역사적인 우체국 건물이다.
  • -
  • 사피 모스크: 라슈트에 있는 모스크 중 하나이다.
  • 이란 호텔: 라슈트의 오래된 호텔 중 하나이다.


또한 라슈트는 여러 분야에서 '이란 최초'라는 타이틀을 가진 시설들이 세워진 도시이기도 하다.

  • 이란 최초의 은행인 세파 은행 지점이 1925년 라슈트에 설립되었다.[12]
  • 이란 최초의 여자 학교가 라슈트에 설립되었다.[13][14]
  • 이란 최초의 주야간 약국이 라슈트에 설립되었다.[15]
  • 이란 최초의 노인 및 장애인 요양원이 라슈트에 설립되었다.[16]
  • 이란 최초의 실크 공장이 건설되었다.[18]
  • 이란 최초의 국립 병원인 푸르시나 병원이 세워졌다.[19]
  • 이란 최초의 고전 극장이 있었다.[20]
  • 러시아, 영국, 프랑스, 오스만 정부가 영사관을 열고 정치 대표를 둔 최초의 도시였다.[13]


이 외에도 라슈트에는 다음과 같은 역사적 건축물과 장소들이 있다.

  • 하지 사마드 칸 모스크
  • -
  • 하지 사미에 모스크
  • 바디올라 모스크
  • 골샨 모스크
  • 카세 포루샨 모스크
  • 자르가란 모스크
  • 아바네시안의 집
  • -
  • 카디리 하우스
  • 미르자 할릴 하우스
  • 아브리샴치 하우스
  • 아슈쿠리 하우스
  • 세예드 알리 모그히미 하우스
  • 길란 주 청사
  • -
  • 모흐타샴 정원 (모흐타샴 공원)
  • -
  • 모흐타샴 캐러밴서라이
  • 랏 카르반사라이
  • 초마르사라 점토 다리
  • 기세 다메르데 다리
  • 오래된 모스크 (1886년)
  • -

9. 2. 공원 및 자연


  • 사브제 메이단 공원
  • 길란 농촌 유산 박물관
  • 사르반 숲 공원
  • 모흐타샴 정원
  • 마파케르 공원
  • 멜라트 공원
  • 에이나크 석호
  • 케샤바르즈 공원
  • 메쉬카트 공원
  • 토히드 공원

10. 자매 도시

라슈트는 다음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49]

11. 저명한 출신 인물



라슈트 출신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미르자 쿠치크 칸 (1880–1921): 이란 입헌 혁명기의 혁명 지도자. 정글리 운동을 이끌었으며, 길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세웠다. 그의 민족주의적이고 진보적인 면모는 높이 평가받는다.
  • 후샹 에브테하지 (1928–2022): 시인.
  • 마지드 사미이: 신경외과 의사이자 하노버 뇌 및 신경 치료 연구소 소장.
  • 마르잔 사트라피 (1969년 출생): 그래픽 노블 작가, 만화가, 영화 감독. 대표작으로 페르세폴리스가 있다.
  • 아이딘 아그다슐루 (1940년 출생): 화가, 그래픽 아티스트, 미술 큐레이터.
  • 파즐롤라 레자: 전 유니세프 이란 대사, 전 샤리프 공과대학교 총장.
  • 마흐무드 남주 (1918–1989): 역도 선수, 올림픽 메달리스트.
  • 모하마드 모인: 언어학 및 문학 연구자.
  • 호세인 사미이 (1876–1953): 작가, 시인, 외교관, 정치가.
  • 레자 발루치 (1972년 출생): 사이클 선수, 운동선수.
  • 마흐무드 베자드 (1913–2007): 생물학자.
  • 미르 압돌레자 다르야베이기 (1930–2012): 화가.
  • 모하마드 바게르 노바흐트 (1950년 출생): 정치가, 경제학자.
  • 파톨라 칸 아크바르 (1855–1937): 카자르 왕조 총리.
  • 아미르 에프테하리 (1964년 출생): 축구 선수.
  • 샤야 골두스트 (1986년 출생): 이란 출생 캐나다 언론인, 활동가.
  • 호스로 골소르키 (1944–1974): 언론인, 시인, 공산주의자.
  • 하디 젤베 (1919–2011): 이란 대법원 부판사.
  • 알렉산더 카시모비치 카젬베크 (1802–1870): 아제르바이잔계 러시아 동양학자, 역사학자, 언어학자.
  • 모하마드 카탐: 이란 공군 사령관 겸 샤의 고문.
  • 하미데 케이라바디 (1924–2010): 배우.
  • 아르센 미나시안: 이란 최초의 현대식 요양소 설립자.
  • 아르데시르 모하세스 (1938–2008): 일러스트레이터, 만화가.
  • 바흐만 모하세스 (1931–2010): 화가, 조각가.
  • 유세프 나다르카니: 이슬람교에서 배교로 사형 선고를 받은 기독교 목사.
  • 아르데시르 오바네시안: 공산주의 지도자.
  • 모하마드 누리: 가수.
  • 카짐 라시티: 샤이키 학자.
  • 에브라힘 푸르다부드 (1885년 출생): 학자.
  • 다리우시 라메자니: 만화가.
  • 아누시르반 로하니: 음악가.
  • 마수메 세이훈 (1934–2010): 화가.
  • 사데크 사바: BBC 페르시아어 방송 책임자.
  • 수잔 타슬리미 (1950년 출생): 배우.
  • 야흐야 라흐마트-사미이 (1948년 출생): 전기 공학 UCLA 교수.
  • 파리데 라샤이 (1944–2013): 화가.
  • 호마윤 투피기: 체스 그랜드마스터.
  • 후샹 나하반디: 이란 교수, 정치가.
  • 하비브 나피시 (1908–1984): 엔지니어, 교육자.
  • 후만 세예디 (1980년 출생): 배우, 감독.
  • 쇼레 바야트 (1987년 출생): 체스 심판.
  • 아스가르 에브라히미: 이란 역도 선수.
  • 마흐무드 에테마드자데: 작가.
  • 에나야톨라 레자: 이란 역사가.
  • 레자 라메자니 길라니: 이슬람 성직자.
  • 에스마일 엘름카: 이란 역도 선수.
  • 나스롤라 모그타데르 모지데히: 이란 교수.
  • 모하마드 톨루이: 작가.
  • 아스가르 카르두스트: 농구 선수.
  • 모하마드 라흐바리 (1991년 출생): 펜싱 선수.
  • 바바크 자린: 작곡가.
  • 모흐센 포로우잔: 축구 선수.
  • 하디 타바타바에이: 축구 선수.
  • 사에드 하사니푸르: 가라테 선수.
  • 캄부지아 파르토비: 영화 감독.

참조

[1] 웹사이트 خبرگزاری فارس - رحیم شوقی رسماً شهردار رشت شد https://www.farsnews[...] 2023-05-04
[2] 지도 Rasht, Rasht County https://www.openstre[...] 2024-10-14
[3] GEOnet
[4] 보고서 Approval of the organization and chain of citizenship of the elements and units of the national divisions of Gilan province centered on the city of Rasht https://rc.majlis.ir[...] Ministry of the Interior, Defense Political Commission of the Government Board 2015-10-21
[5] 웹사이트 - نام ها و مؤقعیت محلات قدیم و جدید در رشت https://gilan-today.[...]
[6] 웹사이트 "Rasht", a name with 900 years of root in Abgd words https://www.8deynews[...] 8daynews 2015-11-01
[7] 뉴스 Where has the name "Rasht" come from? https://www.isna.ir/[...] Iranian students news agency 2019-02-27
[8] 웹사이트 Risidan - definition and meaning in Abadis dictionery https://abadis.ir/fa[...] Abadis
[9] 웹사이트 http://www.banksepah[...]
[10] 서적 On the south coast of the Caspian Sea http://elib.shpl.ru/[...] Printing Office of the Imperial Academy of Sciences 1863
[11] 문서 The Adventures of a Frenchman in Rasht
[1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first Iranian bank https://www.banksepa[...]
[13] 백과사전 RASHT i. The City
[14] 웹사이트 Rasht city of silver rain https://en.mehrnews.[...] 2019-06-30
[15] 웹사이트 تاریخچه اولین داروخانه شبانه روزی ایران https://afragostarco[...]
[16] 서적 Encyclopedia of Iranian Armenians Hirmand Publisher 2003
[17] 웹사이트 اولین اتوبوس وارد شده به ایران https://www.jahannew[...] 2013-04-24
[18] 문서 History of the Russian presence in Iran
[19] 문서 A Survey of Patients' Satisfaction in Emergency Department of Rasht Poursina Hospital
[20] 웹사이트 گیلان، مهد تئاتر ایران / درباره هنرهای نمایشی سرزمین هنر خیز https://www.honaronl[...] 2024-01-03
[21] 웹사이트 Iran: Provinces, Major Cities & Town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www.citypopul[...]
[22]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85 (2006): Gilan Province http://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3]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0 (2011): Gilan Province https://irandataport[...]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4]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5 (2016): Gilan Province https://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5] 서적 Lahijani Dialect of Gilaki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6] 서적 Foumani Dialect of Gilaki Allameh Tabataba'i University 2006
[27] 서적 Gilaki Culture فرهنگ ایلیا 1953
[28] 서적 Ramsari Dialect پژوهشگاه علوم انسانی و مطالعات فرهنگی 2006
[29] 웹사이트 Glottolog 4.6 - Western Gilaki https://glottolog.or[...]
[30] 웹사이트 Gilaki https://www.ethnolog[...]
[31] 웹사이트 Rasht, Iran Climate Summary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32] 웹사이트 1991-2020 climate normals: Rasht, Iran https://www.nodc.noa[...] NOAA
[33] 웹사이트 Average Extreme Snow Height for Rasht (40719) https://data.irimo.i[...] Iran Meteorological Organization
[3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s of Iran synoptic stations http://chaharmahalme[...]
[35] 웹사이트 Iran attends UNESCO annual assembly on creative cities https://www.tehranti[...] 2017-07-04
[36] 웹사이트 رشتی‌دوزی از لوازم خانه تا لباس http://modefasl.ir/%[...] 2015-11-21
[37] 웹사이트 رشتی دوزی و چموش دوزی هنرهای بومی "استان گیلان" http://www.yjc.news/[...] 2022-03-15
[38] 웹사이트 Gilan food tourism hub http://www.iran-dail[...] 2017-06-16
[39] 웹사이트 History of Rose de Rescht Rose http://scvrs.homeste[...]
[40] 웹사이트 اداره کل آموزش فنی و حرفه ای استان گیلان http://www.guilantvt[...]
[41] 웹사이트 مرکز آموزش مهارتهای پیشرفته گیلان http://www.gilastc.i[...] 2010-05-13
[42] 웹사이트 دانشکده فنی و حرفه ای پسران رشت - شهید چمران http://afr.ac.ir/hom[...] 2014-12-22
[43] 웹사이트 (Dead Link) http://guilan.uast.a[...] 2022-12-01
[44] 웹사이트 Rasht https://en.unesco.or[...]
[45] 문서 Economy Flights to Rasht - TripAdvisor
[46] 웹사이트 Rasht Today http://gilan.rmto.ir[...]
[47] 문서 History of Pharmacy in Iran
[48] 웹사이트 Rasht railway station https://www.openstre[...] OpenStreetMap 2024-05-16
[49] 웹사이트 About city http://www.gums.ac.i[...] Guil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2021-05-25
[50] 웹사이트 Rasht, Iran: Climate, Global Warming, and Daylight Charts and Data http://www.climate-c[...] 2013-06-16
[51]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s of Iran synoptic stations http://chaharmahalme[...] 2011-09-12
[52] 웹사이트 Iran: Provinces and Cities population statistics http://www.citypopul[...]
[53] 웹사이트 Rasht, Iran: Climate, Global Warming, and Daylight Charts and Data http://www.climate-c[...] 2013-06-16
[5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s of Iran synoptic stations http://chaharmahalme[...] 2011-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