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니와부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니와부시는 메이지 시대에 도쿄에서 시작되어 대중적인 오락으로 발전한 일본의 전통 공연 예술이다. 낭송가(로쿄쿠시)가 샤미센 연주자의 반주에 맞춰 노래와 이야기체를 섞어 전달하며, 1930년대에는 전성기를 누렸다. 이후 라디오 방송을 통해 인기를 얻었으나, 텔레비전 시대에 적응하지 못하고 쇠퇴했다. 현재는 일부 극장과 공연장에서 정기 공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요 낭곡, 대중 연극, 엔카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전통 음악 - 인간국보
 인간국보는 일본에서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높은 무형 문화유산을 고도로 숙련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주어지는 칭호로, 정부 지원을 받으며 2021년 2월 기준 111명이 생존해 있다.
- 일본의 전통 음악 - 조루리
 조루리는 사미센 반주에 맞춰 이야기를 들려주는 일본 전통 이야기 형식으로, 미나모토노 요시츠네와 정루리히메의 사랑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으며, 에도 시대에 여러 유파로 발전하여 고조루리와 신조루리로 나뉘었고, 현재까지 그 맥을 이어오며 일본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스토리텔링 - 모노가타리
 모노가타리는 9세기부터 15세기까지 일본에서 발달한 이야기 문학 장르이며, 헤이안 시대에 정점을 이루었고, 다양한 하위 장르로 나뉘며 도덕적 교훈이나 비유를 담은 우화도 포함한다.
- 스토리텔링 - 서사학
 서사학은 구조주의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어 화자, 청자, 시점 등의 요소를 분석하여 서사의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고 모든 서사에 적용 가능한 형식 체계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 나니와부시 | 
|---|
2. 역사
메이지 시대 초기에 도쿄의 거리에서 시작된 '''로쿄쿠'''(나니와부시)는 다양한 계층이 관람하는 대중적인 오락으로 발전했다. 메이지 시대 말 무렵에는 일본 전역에서 주목을 받으며 국가 문화의 일부가 되었다. 에도 시대 동안 공연자들은 에타-히닌(穢多非人), 즉 "천민"이라고 불리는 사회적으로 소외된 집단의 일원이었다.
「나니와부시」라는 이름은 도쿄에서 시작되었다. 라쿠고처럼 동서 간의 차이가 크지 않으며, 모모나카 ウン에몬이나 2대 히로사와 토라조처럼 동서를 넘나들며 교류하고, 유랑하며 활동한 것이 나니와부시 역사의 중요한 부분[57][58]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나니와부시가 "전쟁의 노래"로서 선전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2. 1. 기원과 초기 발전
메이지 시대 초기에 도쿄의 거리에서 시작된 '''''로쿄쿠'''''는 다양한 계층이 관람하는 대중적인 오락으로 발전하였다. 에도 시대 동안 공연자들은 에타-히닌(穢多非人), 즉 "천민"이라고 불리는 사회적으로 소외된 집단의 일원이었다. 낭곡의 기원은 8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예로부터 전해지는 조루리, 세키쇼 및 사이몬 이야기 등이 기초가 되어 거리 공연으로 시작되었다. 낭곡은 주로 7·5조로 연주되며 "눈물"과 "웃음"의 감정을 흔드는 것이 특징이다.2. 2. 계층 구조
에도 시대 말기에 공연 계층이 형성되었다.| 명칭 | 설명 | 
|---|---|
| 카도즈케게이 | 문간 공연, 종교적 구걸. | 
| 다이도게이 | 신사나 도시 광장과 같은 야외 장소에서 공연. | 
| 요시즈바리 | 공공 장소의 임시 구조물, 공연자는 정해진 요금을 청구할 수 없었다. | 
| 연극 공연 | 작은 요세에서 대형 극장(가부키자)에 이르기까지 극장에서 공연. | 
2. 3. 전성기와 쇠퇴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로쿄쿠는 전성기를 맞이하여 일본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장르 중 하나가 되었다. 오자키 고요가 쓴 인기 영화 ''[https://tvtropes.org/pmwiki/pmwiki.php/Literature/TheGoldenDemon 금색 야차]'' (金色夜叉)를 비롯하여 시미즈 히로시가 감독한 많은 로쿄쿠 영화가 제작되었다. 로쿄쿠는 일본 전역의 라디오를 통해 방송되었고, 하층 및 중산층 사이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러일 전쟁 승리의 여운이 아직 가시지 않은 1907년 (메이지 40년), 모모치켄 운에몬은 총머리에 문장이 박힌 하카마 차림으로 "무사도 고취"를 기치로 내걸고 새로운 기법[112]을 사용했으며, 겐요샤의 도움으로 대본의 질을 높였다. 그는 연마의 장인 규슈(탄광부, 항만 노동자에게서 시작되어, 그전까지 많이 행해지던 자선 공연(미토 잇초를 답습)으로 상류층, 중류층 부인들에게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113])에서 고베(아리스가와노미야 비의 어전 구연도 있었다), 오사카, 교토로 동상하면서 연이어 흥행을 일으켰다. 결국 6월에는 도쿄의 대극장[114] 혼고자에 진출하여 27일 동안 매일 3시간 이상의 장시간 강연, 2500명을 수용하는 극장을 만원사례로 만들었다[115].
1908년 (메이지 41년) 2월, 오사카의 요시다 나라마루도 이에 대항하듯 "일본 제일"이라는 호칭과 함께 동상하여 신토미자에 출연[117][118], 게다가 11월에는 초대 교야마 코엔도 같은 극장에 출연하는 등, 20년 정도밖에 안 된 신흥 연예인 낭만절은, 손쉽게 천 명 이상의 객석을 채울 수 있는 극장 연예가 된다.
'''나라마루'''의 레코드가 발매되어, 그의 대명사가 된 "일본 제일"의 유려한 어조로, 총 50만 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탄생한 지 얼마 안 된 일본의 레코드·축음기의 전국적인 보급[124]에 큰 기여를 한다[125][126].
1913년 (다이쇼 2년), '고단 클럽'의 임시 증간 '낭만절 십팔번' 간행에 따라, 강사들과 출판사·고단샤의 대립도 일어난다[134][135][136][137].
"낭만절"이 "낭창"이라고 불리기 시작한 것은 신문상에서[140], 그 후 서서히 퍼져나가, 쇼와에 들어서면서 "낭만절"의 호칭을 대신하게 된다[141].
1919년 (다이쇼 8년), 국민 사상 통일을 기치로 고가 렌조 등이 주도하여 "통속 교육 연구회"가 결성되어, 다음 1920년 (다이쇼 9년)의 제1회 국세 조사에서 오사카시·도쿄시의 요청을 받아, 선전과 설명을 담당한다[147][148][149].
1923년 (다이쇼 12년), 관동 대지진 후, 시노다 미노루의 레코드 『고노야 타카오』가 전대미문의 대히트를 기록한다. 요세는, 내용이 비약적으로 충실해지는 활동 사진 (영화)에 흥행적으로 밀리기 시작한다.
1945년 (쇼와 20년) 태평양 전쟁 패전 후에는 정반대로, GHQ에 의해 "전 시대적, 반동적"이라고 다른 연예와 마찬가지로 배척당하는 존재가 되었다[235][236]。그러나 그 체제 하에서도 지방 순회를 중심으로 한 거장들은 농어촌을 중심으로 뿌리 깊은 인기를 유지한다.
1951년 (쇼와 26년) 민영 방송라디오가 등장함과 함께 그 뿌리 깊은 대중적 인기 때문에, 2대 히로사와 토라조의 속칭 "토라조 아워"[238]나, 신진 낭곡사 쿠니토모 타다시의 "젠가타 헤이지"[239], 2대 히로사와 키쿠하루의 "스가타 산시로" 등의 연속 낭곡 방송, 아마추어 낭곡 노래자랑 방송 (라디오 도쿄 '''낭곡 텐구 도장''' 등)이 잇따라 편성되어, 전국 방송의 NHK도 끌어들인 ''라디오 낭곡''의 붐으로 쇼와 30년대 초두에 다시 최성기를 맞이한다.
1955년 (쇼와 30년) 개업의 후나바시 헬스센터를 시작으로, 각지의 헬스랜드에서의 순회 공연이나, "복지 낭만 대회" 등의 지방부에서의 낭만 대회, 노인 홈의 위문 등이 주요 활동 범위가 된다.
민방 라디오 프로그램의 청취율 베스트 텐에 5개나 랭크인한다[242].「낭곡 텐구 도장」은 1957년도 (쇼와 32년)에 압도적인 청취율 23.8%를 기록한다.
| 요일 | 프로그램명 | 방송국 | 청취율 | 
|---|---|---|---|
| 화 | 낭곡 텐구 도장 | 라디오 도쿄 | 23.8% | 
| 목 | 낭곡 학교 | 분카 방송 | 12.8% | 
| 월 | 낭곡 십팔번집 | 라디오 도쿄 | 11.4% | 
| 화 | 노래의 파라다이스 | 라디오 도쿄 | 10.3% | 
| 목 | 가요 베스트 텐 | 분카 방송 | 10.0% | 
쇼와 30년대 중반까지, 어떤 작은 마을에도 극장이 있었고, 대부분은 영화관이었다. 마을에 따라서는 연극 극장도 있었다. 연극 극장이 없더라도 영화관에서 연극이 열리거나 낭화절(낭곡)이나 유행가 공연이 열리기도 했다. 공민관이나 체육관 등에서도 그런 연예 공연이 자주 있었다[244]。
거품 붕괴 후, 약간 부활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 타마가와 후쿠타로의 증언에 따르면, 거품 붕괴 후에 낭만가를 지망하는 젊은이가 급증하여 곡사가 부족한 사태가 되었다고 한다.
2. 4. 현대의 낭곡
텔레비전 시대에 낭곡 자체는 움직임이 밋밋하여 대응하지 못했지만, 타 장르를 블렌드하여[48] 살아남았다.현재, 낭곡의 정석(정기 공연 요세)은 도쿄도타이토구아사쿠사의 "키바테이"와 오사카부오사카시텐노지구의 "잇신지 문전 낭곡 요세", 오사카부 오사카시 미나토구의 "미나토 낭곡 요세"에서 들을 수 있다. 그 외에 도쿄에서는 나가야의 연예장 등에서 낭곡 공연이 매달 열린다.
그중에서도, 도쿄 시부야에서 매달 개최되는 "시부야 라쿠고"(시부라쿠)에 낭곡사가 한 장씩 반드시 추가되어 젊은 세대에게 낭곡이 전해지고 있으며, 최근 긴 침체기에서 벗어났다.
생활 속에서 샤미센의 음색을 들을 수 있는 환경이 언제부터인가 사라져 가는 가운데, 청취자인 낭곡(또는 주제나 세계관이 공통되는 시대극, 엔카 등)에 익숙한 세대적으로 마지막 집단(쇼와 30년대까지 태어나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익숙해진 세대, 즉 대략 단카이 세대까지)의 퇴장이 임박했고, 홀로 융성을 유지하는 라쿠고계에 비해 낭곡 자체의 장래가 위태로워지고 있다. 고단과 마찬가지로 낭곡에서도 점차 여성 입문자가 중심이 되고 있다. 간토에서는 타마가와 후쿠타로[255]에서 다음 쿠니모토 타케하루가 입문하기까지 15년, 그 후에 이어지는 남성 낭곡사로 타마가와 타이후쿠가 후쿠타로에게 입문하기까지 25년이라는 긴 공백 기간이 있었다. 등의 병목 현상 상태가 있었지만 그곳은 벗어났다.
그러나 낭곡의 미래를 생각하는 데 있어 유일한 희망이라고 부르기에 걸맞은 고군분투를 보여주던 쿠니모토 타케하루가 후년에 뇌출혈을 앓았고, 그 영향으로 2015년 12월에 급서[256], 타케하루 이즘을 이어받는 젊은 낭곡사들에게 정념의 시기가 찾아왔다[258]. 그 중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타마가와 타이후쿠[259]이며, 타이후쿠는 기존의 활동과 병행하여 라쿠고가의 슌푸테이 쇼타와 친분을 맺으면서 라쿠고 예술 협회에도 소속하게 되었고, 신주쿠 스에히로테이 등의 라쿠고 정석 기세 출연도 늘어나면서 인지도가 높아졌으며, 같은 예술 협회 소속인 고단사 6대 칸다 하쿠잔과 함께 기대를 모으는 존재가 되었다[260]. 타이후쿠에게도 2022년 이후 제자가 새롭게 여러 명 입문했으며, 가입해 있는 예술 협회의 정석 기세를 중심으로 전좌 수련의 장으로 삼는 등, 더욱 다음 세대의 낭곡사 육성에도 병행하여 힘쓰게 되었다. 또한, 타이후쿠의 예술 협회 입회로 인해, 예술 협회에 소속되지 않은 낭곡사도 부정기적이긴 하지만 예술 협회의 정석 기세 (주로 신주쿠 스에히로테이)에 얼굴을 내밀 기회도 늘어나고 있었는데, 이 중 타마가와 나나후쿠, 3대 히로사와 키쿠하루, 쿠니모토 하루노 3명도 타이후쿠에 이어 2024년 5월에 라쿠고 예술 협회의 정회원 (색물 예인)으로 가입했다[262]. 또한 라쿠고 협회의 정석 흥행에서도, 2024년 4월 상석의 스즈모토 엔게이조 낮 공연 (주임: 11대 킨겐테이 바세이와 킨겐테이 코바세이의 일일 교대)에 하나토야 치토세 (카스가이 바이코 문하, 일본 낭곡 협회 참여)가 출연[263]하는 등, 라쿠고를 중심으로 한 정석으로의 진출도 산견되게 되었다. 2025년 1월에는, 타이후쿠가 라쿠고 예술 협회의 정석 흥행인 신주쿠 스에히로테이·1월 하석 밤 공연의 주임을 맡게 되었다[264]. 도쿄의 라쿠고 정석에서 낭곡사가 주임을 맡는 것은, 과거 예술 협회 (일본 예술 협회) 소속이었던 2대 히로사와 키쿠하루 이후로 여겨진다.
한편, 가미가타의 낭곡계에서는 2024년 7월에 2대 쿄야마 코시에와카가 중요 무형 문화재 보유자 (소위 ''''인간 국보''''')로 인정하도록, 문화 심의회에서 문부과학대신에게 답신되었고, 같은 해 12월에 인정되었다. 낭곡사 (낭곡 이야기꾼) 분야에서는 최초의 '인간 국보' 인정이 된다[265][266]。
또한 최근, 낭곡계 전체의 과제가 되고 있는 심각한 곡사 부족에 대한 대책으로 'iPad 낭곡'을 발안하고, 실연하는 움직임도 있다[267]。
NHK는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본격적인 나니와부시를 다루고 있다.
그 외에 본격적으로 나니와부시를 다룬 프로그램의 수는 극히 적다. 근년에는 연 2회, NHK 초여름의 나니와부시 대회(나니와부시 특선·여름)와 겨울의 스튜디오 녹화(나니와부시 특선·겨울)가 있을 뿐이다. 아사히 방송의 "오하요 나니와부시"는 텔레비전 버전이 있었지만 종료되었다.[391] 과거에는 아사쿠사 키바테이에서 녹화가 진행된 후타바 유리코, 타마가와 료이치 사회의 도쿄 12 채널 "눈물의 나니와부시 극장"이 있었다. 그 이전에는 아마추어 노래자랑으로서 민영 방송 텔레비전 창성기의 KRT 텔레비전(후의 TBS 텔레비전) "나니와부시 텐구 도장"이나 후에 후지 텔레비전 "텔레비전 나니와부시 도장" 등이 있었다.[392] "나니와부시는 움직임이 없기 때문에 텔레비전에 적합하지 않다"는 정평이 났다.[393]
- 키바테이(도쿄도 다이토구 아사쿠사 2초메 7번 5호)
- 잇신지몬젠 낭곡 요세(오사카부 오사카시 덴노지구 아이사카 2초메) ※ 상설이지만, 개연은 월 3일(매월 상순 토, 일, 월요일)만.
- * 이 외에도 도쿄에서는 라쿠고 예술 협회의 정석 흥행에 출연하거나, 일본 낭곡 협회로서 나가타니 상사 소유의 에도 우에노 히로코지정・에도 니혼바시정에서 정기적으로 흥행이 열린다. 또한, 가미가타에서는 텐마 텐진 한죠테이나 고베 신카이치 키라쿠칸의 정석 흥행에 색물로서 출연하는 경우가 있다.
3. 공연 방식
로쿄쿠 공연에서 로쿄쿠시(가수)는 무대 중앙에서 노래와 이야기체를 섞어 전달하는데, 노래 부분(후시)과 구어체(탄카)가 혼합된다. 교쿠시(샤미센 연주자)는 가수를 반주하며 함께 연주한다.
소리를 내어 연기하는 사람을 "낭곡사"(ろうきょくし)라고 부르며, 샤미센 반주자를 "곡사"라고 부른다.
라쿠고는 "이야기하다", 고단은 "읽다", 낭곡은 "이야기하다"는 예능이라고 하며, 듣는 포인트가 다르다. 샤미센이 들어가는 낭곡은 도시를 중심으로 번성한 고단・라쿠고에 비해 철도망의 발달과 궤를 같이 하듯이, 당시 최신 미디어인 레코드와 라디오를 매개로 도시에서 지방에 이르기까지 전국적인 인기를 누렸다.
무심코 따라 하고 싶어지는 가락의 넓이와, 실제로 잘하기 위해서는 단련이 필요한 깊이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인접한 예능을 (향토 예능을 포함하여) 탐욕스럽게 받아들여, 낭곡사가 가락의 운용 등에 각자 고유의 창의적인 궁리를 함으로써 발전했다. 가락의 자유로움, 융통성이 큰 특징이다.
낭곡(나니와부시)의 실연을 나타내는 동사에는 "우나르다", "이야기하다", "읽다", "노래하다", "구연하다" 등이 있으며, 사용하는 국면에 따라 다소 구분되지만 기본적으로 같은 의미이다.
멀리까지 전달되는 큰 소리(大音, 울려 퍼지는 큰 목소리)가 으뜸으로 여겨졌으며, 필연적으로 '''동성'''(胴声) = 백성 (白声) = 적성(寂声) = 이른바 짠 목소리 = 쉰 목소리 = 쉰 소리로 읊조리는 것이 낭곡이었다. 동성은 호미와 같이 배음이 풍부한 발성을 가리킨다. [268] 특징적인 목소리를 만들기 위해 목에서 피가 나는 듯한 수련을 했다는 고생담이 많이 나온다. [269][270][271]
하지만 마이크가 발달한 이후에는 필수적이지 않게 되어, 작은 소리(小音, 마이크 없이는 요세의 뒤편까지 닿지 않는 작은 목소리)라도 그 재능이 발휘되게 되었다. 키무라 와카에처럼 상성(上声)을 사용하는 것이 주류가 되었고, 미카도 히로시처럼 가성을 교묘하게 활용하여 특징으로 삼은 사람도 있다. [274]
같은 연제, 같은 대본이라도 내용을 읽는 것(소독, 素読)으로 할지, 가락을 붙여 노래할지 등 낭곡가의 연출 여하(또는 그날의 목소리 상태, 컨디션)에 따라 크게 바꿀 수도 있다. 연습으로서 샤미센의 음색에 의미 없는 가사를 붙여 낭곡의 연습을 하는 「목소리 점검」(声調べ)을 한다. [275][276][277]
3. 1. 구성 요소
로쿄쿠 공연은 로쿄쿠시(가수)가 무대 중앙에서 노래와 이야기체를 섞어 전달하며, 노래 부분(후시)과 구어체(탄카)가 혼합된다. 샤미센 연주자인 교쿠시는 가수를 반주하며 함께 연주한다. 로쿄쿠시는 청중을 사로잡고 참여시키려 노력한다.하나의 이야기는 '''절'''(ふし)과 '''담가'''(たんか)로 구성된다. 절은 노래하는 부분으로, 이야기의 상황과 등장인물의 심정을 가사로 나타내며, 담가는 등장인물을 연기하여 대사를 한다. 중요시하는 순서를 "'''일성, 이절, 삼담가'''(いちこえ、にふし、さんたんか)"라고 하며, 앞의 두 가지를 "성절(こえふし)"이라고 부르며 특히 중요하게 여긴다.
각본은 존재하지만 악보는 없으며, 낭곡사와 곡사의 호흡이 중요하다. 하루노 케이코는 "낭곡사와 곡사가 무대에서 펼치는 주고받음은 재즈의 세션과 같다고도 하며, 그 라이브감이 낭곡의 매력"이라고 설명한다.
샤미센 반주자 중 주요 상대를 "아이샤미센"이라고 부른다. 낭곡의 샤미센은 굵은 자오를 사용하며, 산사가리로 조현한다. 작은 빗으로 연주한다.
현재 낭곡은 크게 간사이절, 간토절, 주쿄절의 세 가지로 나뉜다. 낭곡사의 절, 곡사의 조현 음고, 곡사가 내는 프레이즈의 기본형 등 모든 것이 다르다.
- 간사이절: 가장 오래되었으며, 우카레절이라고 불렸다. 저조(또는 수조)라고도 하며, 낮다.
- 간토절: 고조라고도 하며, 샤미센의 조가 높고 애절하며 비장한 느낌이다. 샤미센 연주는 단순하다.
- 주쿄절: 간토절과 간사이절을 잘 섞은 형태로, 악센트로 자주 이용된다.
원래 낭곡의 후시는 독자적인 것이어서 원칙적으로 스승의 후시를 계승하지 않는다. 따라서 "한 사람 한 절"이라고 할 정도로 세세한 절 표현은 다르다. 각자 다른 낭곡사나 민요, 전통 예능에서 차용하는 등, 특징적인 "독자적인 기초곡"이라고 할 수 있는 절조(멜리스마)를 곡사와 함께 만들어낸다. 간토절, 간사이절은 어디까지나 기본 절조(후시초), 기준이다.
탄카(啖呵)란 본래 몰아치는 듯한 언어 구사를 가리킨다. 나키(泣き, 울음)는 가락이 주체이고, 탄카는 웃음 부분을 주로 다룬다. 나니와부시적인 주제를 공통으로 가지는 토라상 등 실연판매에서 친숙한 탄카바이와 유사한 용법으로, 지금은 단순히 가락이 없는 부분을 가리킨다.
한 이야기가 완결되는 형식(단물)에서, 호평을 받으면 이야기를 확장하여 여러 단락에 걸쳐 긴 시리즈물도 만들어졌다. 한 이야기는 보통 30분 정도로 정리된다.
요세나 대회 등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먼저 마이크로 연주자를 소개한 후 막이 열리고 낭곡사가 등장한다. 인사가 있은 후에 연제(演題, 연주할 제목)로 들어간다. 박자 나무가 울리고, 곡사(샤미센 연주자)가 연주를 시작한다.
도입 부분은 게다이(外題・解題・下題, 이야기 제목) 또는 효다이(表題・標題, 표제)라 부른다. 관객으로부터 기대감을 담아 "기다렸습니다!", "듬뿍!", "명조(名調子)!" 등의 소리가 나오기도 한다.
3. 2. 사용 악기
낭곡 공연에는 샤미센과 북이 사용된다. 샤미센 연주자는 낭곡사 옆에 앉아 반주를 담당한다.3. 3. 의상 및 무대
낭곡사의 전통적인 의상은 일본 옷(和服)이며, 특히 하카마를 많이 착용한다.[308][309]무대 중앙에는 금병풍을 놓고, 그 앞에 허리 높이의 작은 테이블을 놓아 연단으로 사용한다.[310] 그 위에 화려한 무늬의 특제 테이블 덮개를 덮는다. 바로 뒤에는 등받이가 긴 의자가 있으며, 연주자 대부분은 서서 연기한다.
관객 시선에서 오른쪽에 곡사가 앉는다. 현재 곡사는 정석 등 공식 무대에서는 가림막을 사이에 두고 관객에게 보이지 않게 되어 있으며, 안에서는 정면을 바라보는 낭곡사에게 옆에서 정면으로 앉아 있다. 하지만 '출탄키'라고 부르는, 관객 앞에 나와 연주하는 스타일도 있다.
4. 주요 유파 및 인물
나니와부시는 낭곡사마다 독자적인 가락(후시, 節)을 가지는 것이 원칙이다. 스승의 가락을 그대로 계승하지 않고 각자 다른 낭곡사, 민요, 전통 예능에서 요소를 차용하여 특징적인 "독자적인 기초곡"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한 사람 한 절"이라고 할 정도로 세세한 표현이 다르다.[282][283][36][284]
과거에는 멀리까지 전달되는 큰 소리(大音)와 배음이 풍부한 호미와 같은 발성인 '''동성'''(胴声)이 으뜸으로 여겨졌다.[268] 스즈키 베이쟈쿠나 초대 카스가이 우메우를 좋은 목소리의 전형으로 꼽을 수 있다.[273] 하지만 마이크 발달 이후에는 키무라 와카에처럼 상성(上声)을 사용하는 것이 주류가 되었고, 미카도 히로시처럼 가성을 활용하는 사람도 나타났다.[274] 히로사와 효우에몬과 같이 좋지 않은 목소리를 가졌음에도 다른 부분을 갈고 닦아 성공하는 경우도 있었다.
같은 연제, 같은 대본이라도 내용을 읽는 것(소독, 素読)으로 할지, 가락을 붙여 노래할지 등 낭곡가의 연출이나 그날의 목소리 상태, 컨디션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낭곡 연습으로는 "목소리 점검"(声調べ)을 하는데, 샤미센 음색에 의미 없는 가사를 붙여 낭곡 연습을 한다.[275][276][277]
4. 1. 주요 유파
현재 나니와부시에는 크게 간사이절, 간토절, 주쿄절의 세 가지 유파가 있다. 낭곡사의 절, 곡사(반주자)가 샤미센으로 연주하는 선율, 곡사가 내는 프레이즈의 기본형 등이 모두 다르다.[279]- 간사이절: 가장 오래된 유파로, 우카레절이라고 불렸다. 저조(또는 수조)라고도 하며, 낮고 벤벤거리는 소리가 특징이다.
- 간토절: 고조라고도 하며, 샤미센 소리가 "캉캉캉"하고 높고, 애절하고 비장한 느낌을 준다. 샤미센 연주는 단순하다.
- 주쿄절: 간토절과 간사이절을 혼합한 형태로, 악센트로 자주 이용된다.[280][281]
원래 나니와부시의 후시(節, 가락)는 낭곡사마다 독자적인 것이 원칙이며, 스승의 후시를 그대로 계승하지 않는다.[282][283][36][284] 따라서 "한 사람 한 절"이라고 할 정도로 세세한 표현이 다르다. 각자 다른 낭곡사나 민요, 전통 예능에서 요소를 차용하여 특징적인 "독자적인 기초곡"이라고 할 만한 절조(멜리스마)[285]를 곡사와 함께 만들어낸다. 간토절, 간사이절은 어디까지나 기본적인 절조(후시초)이며 기준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은 유파들이 있다.
- 요네와카절: 스즈키 요네와카가 사도 오케사를 차용하여 만든 유파로, 애조 띤 명작 ''「사도 정화」''를 만들었다.
- 토라조절: 2대 히로사와 토라조가 간토절과 주쿄절을 혼합하여 만든 유파로, 히트작 ''「시미즈 지로쵸덴」''을 연기했다.
- 코시에와카절: 초대 쿄야마 코시에와카가 만든 유파로, 저조가 주류인 간사이절 중에서 고음으로 흥겨운 템포가 특징이다. "카와치 십인 참살"이나 "왼손 징고로"를 연기하며 전후 나니와부시계를 이끌었다.
- 미카도절: 미카도 히로시가 주쿄절에 신나이절을 혼합하여 만든 유파로, "찬송가 관음경"을 연기했다.
- 운게츠절: 초대 텐추켄 운게츠에서 2대 텐추켄 운게츠로 이어진 유파로, 밝고 평이하여 이후 많은 여성 낭곡사들의 절 만들기에 토대가 되었다.[286][287]
대체로 간사이절은 절을 들려주는 것에, 간토절은 탄카(짧은 노래)를 들려주는 것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간토에도 간사이절 계통의 유파가 있으며, 현재 간사이에는 간사이절만, 간토에는 간토절과 간사이절이 있다. 동서 간에 서로의 특징을 차용하는 것도 점차 진행되어, 미나미 하루오에 따르면 주쿄절이 "현재의 주류가 되고" [289] 있으며, 순수 간토절, 순수 간사이절이라고 할 수 있는 존재는 현재는 적다.[290]
4. 2. 대표적인 낭곡사
- 모모치켄 운에몬[110][111] - 1907년(메이지 40년) 총머리에 문장이 박힌 하카마 차림으로 병풍을 뒤에 세우고 "무사도 고취"를 기치로 내걸었다. 겐요샤의 도움으로 대본의 질을 높인 의사전만 공연하는 새로운 기법[112]을 사용했으며, 호흡이 매우 긴 "3단 흐름"을 구사했다. 도쿄 혼고자에서 27일 동안 매일 3시간 이상 장시간 강연하여 2500명을 수용하는 극장을 만원사례로 만들었다[115].
- 텐추켄 운게츠[120] - "천재 소년"으로 전국에서 등장하여 인기를 얻었다.
- 시노다 미노루[121] - "천재 소년"으로 전국에서 등장하여 인기를 얻었다.
- 요시다 나라마루 - 1908년(메이지 41년) 2월, 오사카에서 "일본 제일"이라는 호칭과 함께 신토미자에 출연[117][118]했다. 그의 레코드는 총 50만 장 판매되어 일본 축음기의 전국적인 보급[124]에 크게 기여했다[125][126].
- 토추켄 쿠모에몬
- 미나미 하루오
- 무라타 히데오
- 사츠키 이치로
- 쿠니모토 타케하루 - 전통 낭곡과 현대적 낭곡을 모두 소화하며 TV 출연도 많았으나, 뇌출혈로 2015년 12월 급서[256]했다.
5. 낭곡의 영향
낭곡은 라쿠고, 고단과 함께 일본의 전통 예능으로, 특히 샤미센 반주에 맞춰 이야기를 풀어가는 독특한 형식으로 대중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 낭곡은 단순한 예능을 넘어, 다른 예술 장르와 대중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낭곡은 샤미센 반주와 함께 도시를 중심으로 번성했으며, 철도망 발달과 궤를 같이하며 레코드와 라디오를 통해 전국적인 인기를 얻었다. 이러한 인기는 가요 낭곡에서 엔카로 이어졌지만, "촌스럽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낭곡은 전통적인 서정과 진혼의 힘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도 받는다.
오자키 코요, 나쓰메 소세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등 많은 문학가들이 낭곡을 싫어했지만, 야마구치 히토미, 무라마츠 토모미, 와카타케 치사코 등은 낭곡에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타카다 후미오와 같은 방송 작가나 타나카 민과 같은 무용가도 낭곡을 소재로 활용했다.
낭곡의 특징 중 하나는 가락의 자유로움과 융통성이다. 타케모토 기다유의 기다유부시나 츠루가 신나이의 신나이부시와 달리, 낭곡은 양식을 결정짓는 존재가 없어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낭곡의 실연을 나타내는 동사로는 "우나르다", "이야기하다", "읽다", "노래하다", "구연하다" 등이 있으며, 재즈의 세션과 같은 라이브감이 낭곡의 매력으로 꼽힌다.
낭곡은 남녀 모두 옛날부터 활약하는 예능으로, 전통적인 일본 예능 중 남녀가 대등하게 활약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장르 중 하나이다. 텔레비전 시대에 낭곡은 움직임이 밋밋하여 어려움을 겪었지만, 다른 장르와의 결합을 통해 살아남았다.
이야기의 내용에서 파생되어, 언행이나 사고방식이 의리와 인정을 중시하고 통속적이며 정서적인 것을 "낭곡적"이라고 비유하기도 한다.
낭곡의 영향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난다.
- 라쿠고: 낭곡은 라쿠고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받기도 했다. 3대 산유테이 엔카의 "낭곡 사장"처럼 낭곡에서 라쿠고에 영향을 준 작품도 있으며, 5대 고콘테이 신쇼의 "유다치 칸고로"는 낭곡에 대한 당시의 부정적인 인식을 보여준다. 9대 이리후네테이 센쿄는 2대 히로사와 토라조에게 입문하려 했던 경험이 있으며, 다테가와 단시는 낭곡에서 소재를 얻기도 했다. 2대 카이라쿠테이 블랙의 "영국 밀항"은 히로사와 효우에몬의 낭곡을 각색한 것이다.
- 만화 및 애니메이션: 오다 에이치로의 "원피스"는 2대 히로사와 토라조의 지로초 전기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사쿠라 모모코의 "마루코는 아홉살"에는 낭곡을 좋아하는 주인공이 등장한다. 맨발의 겐에도 낭곡이 자주 등장한다.
5. 1. 가요 낭곡
미나미 하루오, 무라타 히데오 등은 대표적인 가요 낭곡 가수이다.[348] 가요 낭곡은 반주가 샤미센이 아닌 서양 악기이며, 노래를 중시한 낭곡과 가요곡의 중간 형태이다.[349] 낭곡은 자재성, 융통성으로 인해 가요 낭곡이 생겨났으며, 전후 고도 성장기에 크게 팽창하여 주류가 되었다.1957년(쇼와 32년), 젊은 낭곡사였던 미나미 하루오와 무라타 히데오는 같은 해에 서양 악기 반주를 사용하고 노래를 중시한 가요곡(후에 엔카)의 세계로 전향했고, 그 레퍼토리로서 가요 낭곡을 불렀다.[349]
가요 낭곡의 정의는 어렵지만, 낭곡 안에 가요곡을 일부 도입하는 것과, 낭곡을 오케스트라 반주로 "노래하는" 것을 모두 가요 낭곡이라고 부른다.[350]
라디오 낭곡이 전성기를 지나고 극장 수가 줄어든 요세나 통상 순회보다, 일류 거장들만이 경연하는 대회 형식의 흥행이 지방에서 늘어나면서, 젊은이들이 수련할 기회가 급속히 사라졌다.
낭곡은 가요 낭곡을 통해 현재의 엔카에 강한 영향을 주었다. 간사이의 마야마 이치로 일문은 낭곡계 안에서 "엔카 낭곡"이라고 칭하는 가요 낭곡을 전적으로 연기하고 있다.[351]
5. 2. 대중 연극
절과 이야기로 이야기를 풀어가는 나니와부시의 형식은 가부키·분라쿠에서의 기다유 형태의 대용으로 사용되었고, 검극과 함께 현재의 대중 연극의 뿌리 중 하나인 '''나니와부시극'''=「'''절극'''」[360][361]이 오랫동안 상연되었다[362]。 대무대에서의 명수로는 코미디언인 사카이 슌지, 타마가와 료이치, 아시야 간노스케가 있다[363]。 특히 규슈에서 성행하였는데, 오가부키의 배우조차 기다유 대신 나니와부시를 사용하지 않으면 관객이 납득하지 않았다고 한다[361]。 지방 순회극단에 팔리지 않는 나니와부시사가 동반하여 상연되었다[364]。5. 3. 엔카
낭곡은 엔카에 강한 영향을 주었으며, 많은 엔카 가수들이 낭곡의 영향을 받았다. 미나미 하루오, 무라타 히데오 등 젊은 낭곡사들은 낭곡계를 떠났지만, 낭곡을 수시로 다루었다.[348] 특히 미나미 하루오는 극장 한산기인 매년 8월 가부키자에서 좌장 공연을 맡아 20년 연속 공연을 했다.[375][376]1984년 (쇼와 59년), 기무라 토모에(2대)의 엔카 레코드 「난바세츠다 인생은」은 호소카와 타카시나 스이젠지 키요코 등과 경합하여 크게 히트했다. 2009년 (헤이세이 21년)에는, 여행물을 잘하는 히카와 키요시의 「낭만일대」가 히트했다. 또한 낭곡사가 엔카 가수를 겸임, 레코드를 발매하는 경우도 아직 많다. 낭곡사로 여겨지는 사람에게 입문한 엔카 가수로는 나카무라 미츠코 등이 있다.
그 외에 낭곡의 영향이 명확한 중기 이후, 노래를 바꾼 미소라 히바리, 하타케야마 미도리, 어린 시절에 낭곡과 민요의 스파르타 훈련을 받고 독특한 읊조림[377]을 내세운 미야코 하루미, 영향을 공언하는 예로 야시로 아키가 있다. 울보 엔카의 시마쿠라 치요코나 스이젠지 키요코까지 난바세츠의 영향을 지적받고 있다.[378]
5. 4. 만화 및 애니메이션
오다 에이치로가 쓴 인기 만화 "원피스"는 2대 히로사와 토라조의 지로초 전기를 들으며 집필하여, 작품 곳곳에 낭곡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412][413][414]사쿠라 모모코의 자전적 만화 "마루코는 아홉살"에서는 작가가 시미즈시 출신인 관계로, 할아버지 토모조의 영향으로 주인공 마루코가 낭곡과 낙어를 좋아하는 것으로 묘사된다.[415][416]
원폭 피해를 다룬 만화 "맨발의 겐"에서는 작가의 취향으로 인해 작품 내에 낭곡(아야타로, 요네와카, 토라조)이 자주 등장한다.[417][418]
참조
[1] 
뉴스
 
浪曲の魅力 映画で再発見
 
読売新聞
 
2020-06-20
 
[2] 
문서
 
浪曲(浪花節)の[[日本十進分類法|NDC分類]]は最新の10版に於いても、大衆芸能の下にある「779.15」である。
 
[3] 
서적
 
浪曲
 
小学館
 
[4] 
문서
 
公益社団法人浪曲親友協会「浪曲とは」
 
[5] 
문서
 
日本浪曲協会主催で度々開かれる大会等イベントは「笑う浪花節vs. 泣く浪花節」
 
[6] 
잡지
 
東京人
 
[7] 
서적
 
昭和の歌藝人 三波春夫――戦争・抑留・貧困・五輪・万博
 
さくら舎
 
2016-05-14
 
[8] 
문서
 
国本
 
[9] 
문서
 
江戸東京芸能地図大鑑
 
エーピーピーカンパニー
 
[10] 
문서
 
新幹線以前限定である。
 
[11] 
문서
 
稲田
 
2014
 
[12] 
간행물
 
【「歌」の精神史】第3回「浪花節と演歌」
 
中央公論
 
2005-07
 
[13] 
문서
 
「一時期はこの国の大衆演芸のトップを占め、黄金時代とよばれる全盛期を、なんどもくり返しつかんだことの浪花ぶしなのに、この国の知識人からひどくうとまれさげすまれて来た浪花ぶしである」
 
[14] 
문서
 
'教養主義とは、文化の享受を通して人格を高めようという考え方である。当時の日本の教養主義の源流は明治時代の修養主義であり、明治末期(二十世紀初め)から特に高学歴者に普及し、高学歴層が自分たち一般庶民から差別化しようする意識から高学歴層に固有の文化となっていった。差別化というのは自分たちを上に置くわけであるから、特権化という方がわかりやすいであろう。'
 
[15] 
문서
 
稲田
 
2014
 
[16] 
문서
 
定本
 
[17] 
문서
 
定本
 
[18] 
문서
 
定本
 
[19] 
문서
 
「荷風と音楽」
 
季刊芸術
 
[20] 
문서
 
墨東奇譚
 
[21] 
잡지
 
「日本から抹殺すべきもの」アンケートに「浪曲」と回答
 
群像
 
1950-02
 
[22] 
뉴스
 
1942.7.7 聖戦5周年楽壇総動員大演奏会、交響詩曲「皇軍頌歌」作詞三好達治、作曲山田耕筰・諸井三郎・山田和男・尾高直忠・市川都志春
 
[23] 
문서
 
久保田万太郎先生は『私は浪花ぶしといふものが大嫌ひである』と明記。(以下略)
 
[24] 
문서
 
大西
 
[25] 
서적
 
変奇館の主人
 
響文社
 
1999-11
 
[26] 
문서
 
清水みなとの名物は―わが心の劇団ポートシミズ
 
[27] 
웹사이트
 
久米宏 ラジオなんですけど:「おらおらでひとりいぐも」おひとり様老女は何を思う
 
https://www.tbsradio[...] 
2017-11-25
 
[28] 
서적
 
昭和十年生まれのカーテンコール
 
[29] 
서적
 
高田文夫の大衆芸能図鑑
 
[30] 
웹사이트
 
記録2003~2004
 
http://www.min-tanak[...] 
2023-05-13
 
[31] 
문서
 
浪花節の主要なテーマに「義理人情」がある。「義理人情」は、社会生活の喜怒哀楽を生み出す源泉である。(中略)既存の人間関係を保持しようとする〈義理〉と、積極的に他者と関わり、思いやることをすすめる〈人情〉を両立させようとする登場人物の言動は、しばしば感動を引き起こし、涙を誘う。浪花節の物語、特に「義理人情」をテーマとするものには、逃避できない日々の暮らしの中で耐え忍び、なんとかして生きていく人々の姿がえがかれる。なかでも〈義理〉は様々な拘束を生みだす。受動的なきっかけにより生じた〈義理〉は、定着後、人の言動をコントロールしてゆく
 
2017
 
[32] 
웹사이트
 
浪花節的
 
https://kotobank.jp/[...] 
2020-06-22
 
[33] 
뉴스
 
SF作品も本質は意外に浪花節なのではないかと思いました
 
日経MJ
 
2017-01-04
 
[34] 
뉴스
 
考・皇室:憲法と歩む/7
 
毎日新聞
 
2017-01-05
 
[35] 
뉴스
 
破門 ふたりのヤクビョーガミ=松竹ほか 味のある「迷コンビ」
 
読売新聞
 
2017-01-27
 
[36] 
서적
 
日本の放浪芸
 
[37] 
논문
 
一邦楽系作曲家の体験的発言
 
1976-10
 
[38] 
문서
 
語りもの
 
[39] 
서적
 
独習で上達する浪曲の習い方
 
[40] 
웹사이트
 
日本が誇るエンターテイメント「浪曲」を世界へ! 浪曲師・春野恵子がNY公演にチャレンジ!-世界を変えるクラウドファンディングサービスCOUNTDOWN
 
http://www.countdown[...] 
[41] 
서적
 
待ってました名調子!
 
[42] 
서적
 
浪曲家の生活
 
[43] 
서적
 
[44] 
서적
 
まるごと三味線の本
 
[45] 
서적
 
上方伝統芸能あんない
 
[46] 
서적
 
上方演芸大全
 
[47] 
서적
 
2017
 
[48] 
잡지
 
東京人
 
[49] 
문서
 
玉川太福が2015年、シブラク創作大賞を受賞した。
 
[50] 
잡지
 
平成の浪曲時代がやってきた!
 
[51] 
뉴스
 
「落語に続け」浪曲人気復活、自由な表現で活気づく
 
https://style.nikkei[...] 
2017-05-08
 
[52] 
뉴스
 
『浪曲は死んだ』から2年、木馬亭には若い女性客が増加
 
https://www.news-pos[...] 
2017-09-15
 
[53] 
서적
 
2017
 
[54] 
서적
 
浪花節大全
 
[55] 
문서
 
コロニア浪曲
 
[56] 
잡지
 
痴遊雑誌
 
[57] 
서적
 
上方演芸大全
 
[58] 
서적
 
テキヤはどこからやってくるのか?
 
[59] 
서적
 
浪曲家の生活
 
[60] 
서적
 
浪花節繁昌記
 
[61] 
서적
 
歌藝の天地
 
[62] 
서적
 
浪曲家の生活
 
[63] 
문서
 
定本
 
[64] 
서적
 
上方演芸大全
 
[65] 
서적
 
芝居小屋と寄席の近代―「遊芸」から「文化」へ
 
[66] 
문서
 
1983
 
[67] 
잡지
 
上方
 
1943-01
 
[68] 
문서
 
日本吹込み事始 1903年ガイズバーグ・レコーディングス
 
[69] 
서적
 
万有百科大事典 3
 
[70] 
서적
 
大衆芸能
 
[71] 
문서
 
[72] 
서적
 
東京の盛り場
 
1873
 
[73] 
문서
 
1882
 
[74] 
문서
 
[75] 
웹사이트
 
采女橋
 
http://www.viva-edo.[...] 
[76] 
문서
 
[77] 
웹사이트
 
現在の台東区台東
 
http://www.satakesho[...] 
台東区教育委員会文化事業体育課
 
1995
 
[78] 
웹사이트
 
今の墨田区緑図書館の近辺
 
http://www.sumida-gg[...] 
[79] 
문서
 
[80] 
서적
 
1983
 
[81] 
간행물
 
[82] 
서적
 
写真集 昭和の肖像<芸>
 
[83] 
문서
 
[84] 
문서
 
[85] 
논문
 
仇討ちのドラマトゥルギー―浪花節の忠臣蔵をめぐって―
 
[86] 
뉴스
 
雲入道一代
 
二六夕刊
 
1912-08-27
 
[87] 
간행물
 
上方芸能
 
[88] 
문서
 
[89] 
문서
 
浪花節 東京市内・寄席名及び出演者一覧
 
1892
 
[90] 
문서
 
[91] 
뉴스
 
[92] 
서적
 
浪花節一代
 
[93] 
서적
 
江戸っ子だってねえ 浪曲師廣澤虎造一代
 
1998
 
[94] 
간행물
 
太陽
 
博文館
 
1897-10
 
[95] 
서적
 
寄席切絵図
 
[96] 
문서
 
浪花節 東京市内・寄席名及び出演者一覧
 
1885-03
 
[97] 
뉴스
 
萬朝報
 
1900-10-13
 
[98] 
문서
 
[99] 
서적
 
浪花節繁昌記
 
1891
 
[100] 
서적
 
浪花節一代
 
[101] 
서적
 
日本浪曲史
 
[102] 
문서
 
[103] 
문서
 
1896-11-17
 
[104] 
서적
 
歌舞伎座百年史 資料編
 
[105] 
문서
 
美當一調・桃中軒雲右衛門関係新聞資料
 
[106] 
서적
 
日本吹込み事始 1903年ガイズバーグ・レコーディングス
 
グラモフォン社
 
[107] 
뉴스
 
朝日新聞
 
1906-10-02
 
[108] 
웹사이트
 
コトバンク「源氏節」
 
https://kotobank.jp/[...] 
[109] 
문서
 
消えた芸能として挙げた(倉田喜弘などの研究)。
 
[110] 
문서
 
実際には今でいうブレーントラスト的役割を果たした。
 
[111] 
문서
 
この上京の前、佐世保での公演後に二人は別れ、宮崎は「白浪庵滔天」の名を芸名としても使い、後に伊藤痴遊、一心亭辰雄と関西巡業している。
 
[112] 
문서
 
秩父久方によれば「当時の壮士の演説会のようすを模倣し、芸能的にショーアップしたものであろう」
 
日本大百科全書
 
[113] 
서적
 
俺の喉は一声千両
 
[114] 
서적
 
日本映画草創期の興行と観客
 
早稲田大学出版部
 
2012-03-30
 
[115] 
서적
 
浪曲
 
平凡社
 
[116] 
문서
 
正岡容「雲右衛門以前」は『日本浪曲史』のプロトタイプと呼べる作品である。その集成にもある。
 
[117] 
문서
 
派手な宣伝は相当なもので、東京市中に「日本一の奈良丸」とビラなどで告知、関東の浪花節語りは一斉に反発しビラを叩き落として回ったという逸話が残る。
 
[118] 
뉴스
 
1908.2.11 浪花節、吉田奈良丸、新富座、宣伝文句の「日本一」で浪花節界紛糾(~2.25)[二六新報]
 
[119] 
뉴스
 
福岡日日新聞
 
1908-06-15
 
[120] 
뉴스
 
福岡日日新聞
 
1910-06-27
 
[121] 
뉴스
 
河北新報
 
1911-09-29
 
[122] 
문서
 
成人し、後に娘が天津羽衣。
 
[123] 
뉴스
 
活動写真大流行「戦争後は火が消えたような活動写真がにわかに復活し、市内至る所に楽隊の囃子賑わしく、興行場はどこも大入り大繁盛。(中略)芝居に飽き、寄席に飽き、浪花節に飽き果て」た結果である。
 
東京朝日新聞
 
1908-08-24
 
[124] 
서적
 
日本近代歌謡史
 
[125] 
서적
 
日本レコード発達史
 
[126] 
서적
 
日本レコード文化史
 
[127] 
서적
 
日本近代歌謡史
 
[128] 
문서
 
奈良丸は、美しく語り、歌った。大衆はひたすら恍惚と聴き惚れた。その感激が、かの笹やぶしの流行となった。俗にいう奈良丸くずしである。〽笹やささ、ささは要らぬか煤竹を、大高源吾は橋の上浪花節〽あした待たるる宝船」但しこの流行は大正3年。浪花節の流行歌としては、三河家円車のどんどん節に遅れること数年である」
 
[129] 
서적
 
日本近代歌謡史
 
[130] 
뉴스
 
東京のうた.84 奈良丸くずし
 
朝日新聞
 
1968-05-01
 
[131] 
문서
 
三波春夫の歌舞伎座公演2年目の1966年谷屋充作『風流奈良丸くづし』
 
[132] 
문서
 
ものまねの歴史
 
[133] 
서적
 
レコード文化発達史
 
https://dl.ndl.go.jp[...] 
録音文献協会
 
[134] 
뉴스
 
近代日本芸能年表
 
[135] 
서적
 
『講談社の90年』
 
https://iss.ndl.go.j[...] 
[136] 
문서
 
背景には、浪花節がその社会的地位を一足飛びに上げていく中で、そのネタ元として、講釈師の高座やその速記本を大いに利用していたこともある。
 
[137] 
문서
 
これは創立間もない講談社が速記から創作(今に至る路線である)に転じる重要なきっかけとなる
 
[138] 
문서
 
『講談社の90年』には、明治44年「講談倶楽部」創刊号には「浪花亭重松」で速記掲載があったが、問題の大正2年の増刊「浪花節十八番」発売記念の浪花節芸者大会に「木村重松」で出演していることが確認できる。
 
[139] 
뉴스
 
法律新聞
 
[140] 
뉴스
 
都新聞
 
[141] 
서적
 
放送演芸史
 
NHK
 
1957
 
[142] 
서적
 
日本浪曲史
 
[143] 
서적
 
定本
 
[144] 
기타
 
[145] 
논문
 
仇討ちのドラマトゥルギー―浪花節の忠臣蔵をめぐって―
 
[146] 
서적
 
国家と大衆芸能
 
[147] 
뉴스
 
大阪朝日新聞, 都新聞
 
1920-08-21
 
[148] 
음반
 
国勢調査
 
1920-10
 
[149] 
음반
 
大和魂・国勢調査
 
1930-10
 
[150] 
서적
 
浪曲の神髄
 
[151] 
서적
 
遠きにありてつくるもの―日系ブラジル人の思い・ことば・芸能
 
みすず書房
 
2008
 
[152] 
백과사전
 
世界大百科
 
[153] 
뉴스
 
安中草三郎
 
二六新報
 
1912-03-17
 
[154] 
기타
 
[155] 
서적
 
浪曲旅芸人
 
[156] 
서적
 
昭和演歌の歴史
 
[157] 
서적
 
日本近代歌謡史
 
[158] 
서적
 
明治音楽物語
 
[159] 
서적
 
真鍋2017
 
[160] 
서적
 
昭和演歌의 역사
 
1926
 
[161] 
서적
 
昭和演歌の歴史
 
[162] 
웹사이트
 
歴史的音源
 
http://rekion.dl.ndl[...] 
[163] 
뉴스
 
青い眼の人形
 
報知新聞
 
1921-12-04
 
[164]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65] 
음반
 
ミニュウエット
 
1922-12
 
[166] 
뉴스
 
カナダ・パーロウ夫人のヴァイオリン独演会
 
報知新聞
 
1922-10-14
 
[167]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68]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69] 
웹사이트
 
大津絵節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70] 
웹사이트
 
さのさ節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71] 
웹사이트
 
鴬緑江節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72] 
웹사이트
 
潮来節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73] 
웹사이트
 
都々逸坊扇歌(5代目)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74] 
웹사이트
 
大島節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75] 
기타
 
松江・三津島勝子
 
1915-03
 
[176]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77]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78] 
문서
 
1926年4月13日、逓信省聴取者嗜好調査(人数)講談1054、落語1018、浪曲756、義太夫749、ラヂオドラマ707、上記以外の邦楽2550、洋楽338。年表下p.79
 
[179] 
웹사이트
 
http://www.arc.ritsu[...] 
[180] 
간행물
 
オーラル・ナラティブの近代
 
http://id.nii.ac.jp/[...] 
成城大学
 
2023-05-17
 
[181] 
문서
 
国会図書館「れきおん」に多数録音が残されている
 
[182] 
서적
 
悪声伝 広沢瓢右衛門の不思議
 
[183] 
문서
 
「日露戦争後、沸騰的に浪花節が勃興して市中の各席は殆どが浪曲の寄席となった時代から見ると全く夢のようです、現在では市中には浪曲専門の寄席が見られなくなりました、従って語る人々も地方へ地方へと流れ込んで、残された者こそ、全く選り抜きの大看板だけとなりました。この人達はレコードに、放送に、浪曲映画や、浪曲名人会と相当に発展をしております。近く東家楽燕が、九段に浪花節学校を創立して、後進を養成している、その第一回公演が過般、九段小劇場で開催されました、その夜楽燕に逢って抱負を聞きましたが誠に結構なことと思っております。現在一流の浪曲家としては、楽燕、虎丸、重友、大蔵、重勝、武蔵、友衛、虎造、米若、綾太郎、勝太郎、栄楽等であります」出典:青山光太郎編『大東京の魅力』1936年(昭和11年)1月1日発行、東京土産物協会 コレクション・モダン都市文化31 p.259「浪花節」の部分。
 
東京土産物協会
 
1936-01-01
 
[184] 
문서
 
放送演芸史p.7
 
[185] 
문서
 
世界大百科
 
[186] 
문서
 
「この七色の声という歌い文句は、テイチクの専属の時から使われはじめたもので、その第一作が昭和10年の「乃木将軍涙の墓参」。ついで11年に発売した萩原四朗作「銅像を洗う女・杉野兵曹長の妻」が大ヒットし、女性の浪曲レコードはあまり売れないとのジンクスを見事に打ち破った。以来、<七色の声>は一人立ちし、雲月の代名詞となり一世を風靡した」
 
[187] 
문서
 
「浪曲は取って置きの隠し芸だった」
 
[188] 
문서
 
1938年(昭和13年)8月29日から3日間の二代目天中軒雲月の襲名5周年記念独演会や、1940年(昭和15年)8月28日、29日の春日井梅鴬独演会など 出典:『歌舞伎座百年史』p.272,284,289,298
 
[189] 
문서
 
1942年(昭和17年)には欠くこともなく毎月劇場での浪曲大会が続いたという
 
[190] 
문서
 
放送演芸史p.41
 
[191] 
문서
 
講談落語協会が禁止演目を浅草妙本寺のはなし塚に葬ったのは1941年10月30日のことであった。
 
[192] 
문서
 
原本である『日本浪曲史』p.16「昭和十五年晩夏、廣澤虎造興行問題を巡っての、浅草田島町殺傷事件のごとき、以上、説述した浪曲家が伝統生活中の、最も悪質に属する部分の残滓のあらわれと見てよいであろう」
 
[193] 
서적
 
『定本日本浪曲史』p.30
 
[194] 
서적
 
江戸っ子だってねえ 浪曲師廣澤虎造一代
 
日本放送出版協会
 
1998-10-24
 
[195] 
서적
 
興行界の顔役
 
[196] 
문서
 
軍事浪曲の延長で作られた
 
[197] 
문서
 
真鍋p.162-163
 
[198] 
뉴스
 
愛国浪曲
 
読売新聞社
 
[199] 
문서
 
同盟旬報 第4巻 第32号(通号123号)A25_0432_123(065)p.3531
 
同盟通信社
 
[200] 
문서
 
正岡容『日本浪曲史』浪曲史年表に1939年と1940年に分かれて記載(p.426)年譜的信頼性に足りない根拠。1939年分記載は長谷川伸『函館紺血碑』 - 広沢虎造、長田幹彦『涙の船唄』 - 寿々木米若、白井喬二『筑紫の博麻呂』 - 東家楽燕、武田麟太郎『天下の糸平』 - 玉川勝太郎、久米正雄『血を嗣ぐもの』 - 冨士月子、藤森成吉『長英の新出発』 - 春日井梅鶯、子母沢寛『十四日の月』 - 木村友衛、尾崎士郎『村上六等警部』 - 酒井雲、長谷川時雨『桜ふぶき』 - 春野百合子、浜本浩『東天紅』 - 京山幸枝。1940年分記載は佐藤春夫『大場鎮の一夜』 - 梅中軒鶯童、倉田百三『まごころ』 - 宮川松安、三上於菟吉『雲に鳥無常剣』 - 広沢晴海、菊池寛『近衛篤麿』 - 松風軒栄楽、木村毅『シンガポールの白梅』 - 東武蔵。
 
[201] 
문서
 
『新聞集成 昭和編年史』に記載無
 
[202] 
웹사이트
 
戦時ラジオのプロパガンダによる戦争責任を考える論文
 
http://soc.meijigaku[...] 
[203] 
문서
 
戊辰戦争における幕府側の戦死者を弔った柳川熊吉の義憤とそれを容認した官軍の寛大さを語る真鍋p.162
 
[204] 
문서
 
新民謡をつくりだす情話文学者と米若の真鍋p.163
 
[205] 
웹사이트
 
愛国浪曲になった名作小説一覧(国会図書館蔵)
 
https://iss.ndl.go.j[...] 
[206] 
문서
 
筑波山の乱に加わった田中平八の伝記を扱った真鍋p.162
 
[207] 
문서
 
負傷した兵士、落合が看護婦、千代の献身的な介護と輸血により生き延びる物語.真鍋p.177
 
[208] 
문서
 
赤十字社の資料による従軍看護婦の物語
 
[209] 
문서
 
蘭学者高野長英を扱った真鍋p.162
 
[210] 
문서
 
水戸藩士らの尊王攘夷思想に基づいて勃発した天狗党の乱をとりあげた真鍋p.162
 
[211] 
서적
 
神風連の乱をとりあげた
 
[212] 
서적
 
松本上等兵夫妻と一家の大黒柱を戦争で失った板井家との交流を描いた
 
[213] 
서적
 
大場鎮の攻略で、日本兵がある民家に突入すると、中国人の赤ん坊がとりのこされていた。兵士たちが面倒をみていると、その兄の少年がやってきて、日本兵の親切に感激する。そして日本兵を信頼した少年は、そのときの隊長が負傷したと聞くやただちに駆けつけて看護し、少年は後日その隊長にひきとられて立派に成人したという
 
[214] 
서적
 
観音信仰と奇跡譚がからんだ父娘の愛情物語
 
[215] 
서적
 
井伊直弼の家臣でありながら、水戸学を学び、勤王思想を掲げる武士を主人公とする
 
[216] 
서적
 
商家の主従関係を扱った美談
 
[217] 
웹사이트
 
青空文庫
 
https://www.aozora.g[...] 
[218] 
서적
 
ベルリンオリンピックで金メダルを獲得した孫基禎の物語である
 
[219] 
서적
 
紙芝居屋の戦死美談
 
[220] 
웹사이트
 
참고
 
https://www.hiroshim[...] 
[221] 
서적
 
愛国浪曲小説集
 
大衆文芸社
 
[222] 
서적
 
[223] 
서적
 
[224] 
간행물
 
地方娯楽調査資料
 
朝日新聞中央調査会
 
[225] 
서적
 
こんな落語家がいた 戦中・戦後の演芸視
 
[226] 
기사
 
TBSテレビに入局し、スポーツアナウンサーとして活躍した虎造の息子、山田二郎
 
ジャパンタイム스, 문예춘추
 
[227] 
웹사이트
 
帝劇社史ページによれば1940年9月情報局に徴用される
 
https://shashi.shibu[...] 
[228] 
웹사이트
 
1942年3月に帝国劇場は返還される
 
https://shashi.shibu[...] 
[229] 
기타
 
ヨミダス歴史館にて確認
 
1941-01-31
 
[230] 
서적
 
浪曲口三味線
 
[231] 
기타
 
大会の存在自体に疑問符
 
[232] 
서적
 
帝国劇場100年のあゆみ
 
[233] 
서적
 
大衆文化事典 浪曲の項
 
弘文堂
 
[234] 
기타
 
存在自体に疑問符が付く
 
[235] 
기타
 
CCDから禁止演目など具体的な指示通達を受けたことがわかっている
 
[236] 
서적
 
日本はポツダム宣言にもとづいて連合国に占領されることになった。(中略)天皇自ら天皇の人間宣言を行い、平和主義に徹し(中略)昭和20年9月13日、GHQの民間情報教育部(局)からの通達につぎのような内容が含まれていた。『尚演芸放送に関しては地方放送に於ても実施するを認められ居るも之が取扱に付ては当分の間純娯楽的なるものを主とし講談、浪曲、放送劇等に於ても軍事的好戦ものはなさざること』」p.238「この占領政策によって、義理人情や義侠の精神などの日本固有の価値観が否定された。浪曲はこの急速に衰退することになった。だが、戦前、戦中を生き抜いてきた日本人の価値観がそう簡単に消え去るものではなかった。日本人の底に流れる心情の世界を代弁する浪曲・浪花節はやがて、流行歌の形式を借りて新境地を開拓し義理人情の世界を表現するようになる」p.239欄外『昭和演歌の歴史』戦後の民放ラジオによるラジオ浪曲ブームを軽視し、敗戦とともに浪曲は終わった、とする立場
 
[237] 
뉴스
 
芸能人の長者番付 東京財務局調査
 
朝日新聞
 
1949-04-12
 
[238] 
기타
 
TBSテレビに入局し、スポーツアナウンサーとして活躍した虎造の息子、山田二郎(虎造節継承会)
 
[239] 
방송
 
銭形平次
 
TBSラジオ - 文化放送
 
[240] 
방송
 
55年2月『3社共同調査』より
 
[241] 
방송
 
関東全地域・夏期 民放在京3局 高聴取率番組 昭和32年度
 
[242] 
방송
 
NHK調べ
 
[243] 
서적
 
声の国民国家・日本
 
[244] 
서적
 
ヤクザと芸能の世界
 
ちくま新書
 
[245] 
기타
 
放浪芸雑録 トクダシ小屋のトクちゃんの一代記について
 
[246] 
서적
 
浪曲波乱万丈!
 
[247] 
서적
 
日本の放浪芸
 
[248] 
서적
 
上方演芸大全
 
ワッハ上方
 
[249] 
서적
 
歌舞伎座百年史
 
松竹(株)・(株)歌舞伎座
 
1995
 
[250] 
문서
 
NHK調べ
 
[251] 
서적
 
日本浪曲大全集
 
[252] 
문서
 
[253] 
서적
 
浪曲の神髄
 
[254] 
뉴스
 
メロディーとともに (7)「浪曲・次郎長伝」
 
神戸新聞
 
1999-06-04
 
[255] 
서적
 
定本日本浪曲史
 
[256] 
뉴스
 
浪曲の隆盛のため孤軍奮闘 国本武春さんをしのぶ 油井雅和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57] 
웹사이트
 
われら専修人 : 木村 勝千代 木村派 浪曲師
 
http://www.asahi.com[...] 
[258] 
뉴스
 
浪曲人気復活 落語に続け
 
日本経済新聞
 
2017-05-08
 
[259] 
문서
 
平成29年度文化庁芸術祭(大衆芸能部門)新人賞受賞
 
https://www.bunka.go[...] 
[260] 
뉴스
 
講談・浪曲に新星
 
読売新聞
 
2018-01-01
 
[261] 
트윗
 
令和5年7月17日
 
2023-07-17
 
[262] 
웹사이트
 
【新協会員のお知らせ】
 
https://www.geikyo.c[...] 
2024-05-08
 
[263] 
트윗
 
お陰様で鈴本演芸場四月上席昼の部、無事に千秋楽を迎えることが出来ました!
 
2024-04-10
 
[264] 
웹사이트
 
玉川太福
 
https://x.com/tamaga[...] 
2024-12-20
 
[265] 
뉴스
 
人間国宝に6人 浪曲語りの京山幸枝若さん、沈金の西勝広さんら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4-07-20
 
[266] 
뉴스
 
吉本興業所属で史上初、浪曲師でも初の人間国宝認定に京山幸枝若「何でも初めてというのは、うれしいもの」
 
https://hochi.news/a[...] 
スポーツ報知
 
2024-12-02
 
[267] 
문서
 
[268] 
서적
 
[269] 
서적
 
日本浪曲史
 
南北社版
 
[270] 
서적
 
節談説教七十年
 
[271] 
문서
 
[272] 
서적
 
かたい声、やわらかい声
 
日本放送出版協会
 
1976
 
[273] 
문서
 
[274] 
서적
 
[275] 
서적
 
まるごと三味線の本
 
[276] 
서적
 
うなる
 
[277] 
서적
 
昭和の歌藝人
 
[278] 
서적
 
日本浪曲史
 
[279] 
서적
 
うなる
 
[280] 
학술지
 
関東節の浪曲における三味線
 
https://opac-ir.lib.[...] 
大阪教育大学
 
2020-04-28
 
[281] 
논문
 
日本音楽における「間(ま)」概念の検討-浪曲三味線の現場から
 
https://opac-ir.lib.[...] 
大阪教育大学
 
2014-04-26
 
[282] 
서적
 
定本
 
[283] 
서적
 
うなる
 
[284] 
간행물
 
東京人
 
[285] 
서적
 
上方演芸大全
 
[286] 
서적
 
にっぽん芸能史
 
[287] 
서적
 
まるごと三味線の本
 
[288] 
서적
 
定本
 
[289] 
서적
 
歌藝の天地
 
[290] 
서적
 
日本浪曲史
 
남북사
 
[291] 
서적
 
대서
 
[292] 
서적
 
[293] 
서적
 
국본
 
[294] 
서적
 
巷談本牧亭
 
1964
 
[295] 
서적
 
대서
 
[296] 
서적
 
국본
 
[297] 
서적
 
うなる
 
[298] 
서적
 
대서
 
[299] 
서적
 
국본
 
[300] 
문서
 
일화를 한 단이라고 부름
 
[301] 
서적
 
稲田2014
 
[302] 
서적
 
上方演芸大全
 
[303] 
서적
 
浪花節繁昌記
 
[304] 
서적
 
국본
 
[305] 
문서
 
「本日のお外題は」という形で演題名を紹介することも多い
 
[306] 
문서
 
読みのみ一定していて、表記に揺れが見られる場合はカタカナで表記するルールに基づく
 
[307] 
서적
 
국본
 
[308] 
문서
 
もちろん例外もあり、雲右衛門は[[入道]]姿で舞台をこなした例、同様に東武蔵や玉川勝太郎が袈裟姿で高座をこなした例もある
 
[309] 
서적
 
국본
 
[310] 
서적
 
국본
 
[311] 
문서
 
落語家との共演が多い玉川太福がテーブル掛けを座り高座用に畳み、披露している
 
[312] 
서적
 
국본
 
[313] 
간행물
 
東京人
 
[314] 
문서
 
浪曲作家は浪曲史研究家を兼ねるケースが非常に多く、その著作数は多い
 
[315]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の主な浪花節演題
 
https://kotobank.jp/[...] 
[316] 
레코드
 
次郎長と黒駒
 
1928-05
 
[317] 
레코드
 
天保水滸伝・平手造酒
 
1934-08
 
[318] 
레코드
 
1935-10
 
[319] 
레코드
 
唄入り観音経・吉五郎地蔵の由来
 
キング
 
1940-02
 
[320] 
웹사이트
 
文化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https://www2.ntj.jac[...] 
[321] 
서적
 
時代劇ここにあり
 
平凡社
 
2005-10-01
 
[322] 
기타
 
1936-08
 
[323] 
레코드
 
1915-12
 
[324] 
레코드
 
1924-06
 
[325] 
레코드
 
1931-01
 
[326] 
기타
 
[327] 
기타
 
1934-08
 
[328] 
레코드
 
義経安宅落
 
日蓄
 
1911-01
 
[329] 
레코드
 
1912-11
 
[330] 
레코드
 
1922-01
 
[331] 
레코드
 
1933-12
 
[332] 
기타
 
1934-08
 
[333] 
레코드
 
乃木将軍・孝子辻占売り
 
オリエント
 
1924-04
 
[334] 
레코드
 
杉野兵曹長の妻
 
1935
 
[335] 
레코드
 
軍神誉の三勇士
 
タイヘイ
 
1932-03
 
[336] 
레코드
 
太陽
 
1932-05
 
[337] 
레코드
 
ビクター
 
1932-06
 
[338] 
레코드
 
テイチク
 
1939-09
 
[339] 
레코드
 
丸橋の附回し
 
パーロフォン
 
1930-05
 
[340] 
레코드
 
怪僧善達
 
ニットーレコード
 
[341] 
레코드
 
壷阪寺
 
ライオン
 
1925
 
[342] 
기타
 
[343] 
서적
 
江戸・東京娘義太夫の歴史
 
[344] 
레코드
 
灰神楽道中
 
ポリドール
 
1940
 
[345] 
레코드
 
日蓄
 
1926-03
 
[346] 
레코드
 
安中草三郎・久保田の最期
 
日蓄
 
1926-06
 
[347] 
기타
 
夢の鉄兜
 
1940-08-18
 
[348] 
간행물
 
漫才
 
ワッハ上方編
 
[349] 
뉴스
 
[350] 
기타
 
[351] 
문서
 
三門博や玉川勝太郎などがレコードを出している
 
[352] 
서적
 
昭和の演藝二〇講
 
[353] 
서적
 
大衆芸能
 
教育史料出版会
 
1980
 
[354] 
서적
 
ものがたり芸能と社会
 
白水社
 
1998-11
 
[355] 
서적
 
<声>の国民国家・日本
 
[356] 
간행물
 
放送演芸史
 
[357] 
간행물
 
放送演芸史
 
[357] 
간행물
 
放送演芸史
 
[358] 
서적
 
まるごと三味線の本
 
[359] 
문서
 
浪曲の章
 
[360] 
웹사이트
 
コラム:節劇|大衆芸能編・寄席|文化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https://www2.ntj.jac[...] 
[361] 
서적
 
大衆演劇お作法
 
ぴあ株式会社
 
2004-03-06
 
[362] 
문서
 
浪花-節-芝居
 
[363] 
간행물
 
東京人
 
[364] 
논문
 
2014
 
[365] 
서적
 
実録 浪曲史
 
1943
 
[366] 
서적
 
上方笑芸の世界
 
[367] 
서적
 
力道山以前の力道山たち
 
三一書房
 
1983
 
[368]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369] 
PDF
 
同年芸術祭賞受賞
 
http://www.bunka.go.[...] 
[370] 
서적
 
新映画事典
 
美術出版社
 
1980-09-20
 
[371] 
서적
 
増補版日本映画史1
 
岩波書店
 
2006-10-06
 
[372] 
웹사이트
 
戦前はこちらが詳しい
 
http://www.jmdb.ne.j[...] 
[373] 
웹사이트
 
ムービーウォーカー、jmdb日本映画データベース
 
[374] 
논문
 
2014
 
[375] 
서적
 
歌藝人
 
[376] 
서적
 
歌舞伎座百年史
 
[377] 
서적
 
昭和演歌の歴史
 
[378] 
서적
 
昭和演歌の歴史
 
[379] 
웹사이트
 
SPレコードレーベルに見る 日蓄-日本コロムビアの歴史
 
http://w3.kcua.ac.jp[...] 
[380] 
웹사이트
 
浪曲演者一覧
 
http://www.isamidou.[...] 
[381] 
서적
 
日本一あぶない音楽 河内音頭の世界
 
[382] 
문서
 
[383] 
문서
 
[384] 
서적
 
安来節
 
中国新聞社
 
1982
 
[385] 
문서
 
[386] 
간행물
 
座談会・放送事始
 
放送文化
 
1960-03-01
 
[387] 
간행물
 
”浪花節“放送局の実態 草創期のJOCK
 
放送研究と調査
 
1983-10-01
 
[394] 
Youtube
 
スポット
 
https://www.youtube.[...] 
[414] 
웹사이트
 
好きが高じて『次郎長三国志』のDVDのパッケージにイラストが使われた
 
https://www.cinemato[...] 
[417] 
웹사이트
 
マンバ通信
 
https://manba.co.jp/[...] 
[420] 
웹사이트
 
ドラマの友「越路吹雪物語」20回
 
https://dramatm.com/[...] 
[388] 
문서
 
浪花節 ラジオ・テレビ出演者一覧
 
[389] 
서적
 
浪曲家の生活
 
[390] 
문서
 
浪曲歌合戦
 
ABC
 
[391] 
서적
 
浪曲の神髄
 
[392] 
문서
 
いずれも1クール(3ヶ月)程度の短いもので、テレビでも人気が定着したとは言い難い
 
[393] 
간행물
 
昭和三十年代、ギャグの基盤に浪曲があった
 
東京人
 
[395] 
서적
 
あばらかべっそん
 
[396] 
서적
 
古今東西落語家事典
 
[397] 
서적
 
寄席切絵図
 
[398] 
서적
 
ものまねの歴史
 
[399] 
서적
 
東京漫才調査報告及資料控
 
[400] 
서적
 
ものまねの歴史
 
[401] 
서적
 
放送演芸史
 
[402] 
서적
 
ものまねの歴史
 
[403] 
서적
 
ものまねの歴史
 
[404] 
간행물
 
元は浪曲「清水次郎長」の本座村の為五郎のタメゴローである
 
東京人
 
[405] 
간행물
 
東京人
 
[406] 
서적
 
志ん生全席 落語事典
 
2008-01-25
 
[407] 
문서
 
弟子筋に当たる[[古今亭志ん輔]]が継承し現在も[[寄席]]で演じることがある
 
[408] 
서적
 
談志百選
 
[409] 
서적
 
落語を観るならこのDVD
 
팟출판
 
2009-11-07
 
[410] 
서적
 
快楽亭ブラックの毒落語
 
彩流社
 
2009-01-01
 
[411] 
서적
 
上方演芸大全
 
[412] 
서적
 
ワンピース探究王
 
[413] 
서적
 
小池一夫のキャラクター創造論 : 読者が「飽きない」キャラクターを生み出す方法
 
[415] 
서적
 
ちびまる子ちゃん大図鑑DX
 
[416] 
문서
 
言わずもがなだが、地元の清水次郎長伝→虎造→森の石松の連想が強力に働いたと思われる
 
[418] 
서적
 
「はだしのゲン」創作の真実
 
[419] 
서적
 
香具師の旅
 
[421] 
서적
 
浪花節もポップアートの一種として前衛的な演劇活動(例えば劇団「天井桟敷」など)にも結びつくような機運が起こりつつあることは注目に値する
 
万有百貨大事典
 
[422] 
웹사이트
 
http://www.terayamai[...] 
[423] 
웹사이트
 
https://stage.parco.[...] 
[424] 
뉴스
 
舞台制作PLUS+
 
http://seisakuplus.c[...] 
[425] 
블로그
 
http://blog.livedoor[...] 
[426] 
서적
 
まるごと三味線の本
 
[427] 
기타
 
お披露目済でいくと、倍音をキーワードに活動する[[東家孝太郎]]
 
[428] 
웹사이트
 
寺岡呼人×八代亜紀「ブルースはね、私ずっと言い続けてきてるんですけど、浪曲なの。物悲しいリズムと悲しい言葉がね」
 
https://natalie.mu/m[...] 
[429] 
기타
 
[[VOXXX]]に収録
 
[430] 
웹사이트
 
解説
 
http://denki-kouza.m[...] 
[431] 
방송
 
2023年7月2日14:30よりNHK Eテレ放送「NHK 浪曲特選・夏」(公開録画:2023年4月21日17:00より、イイノホールでの「NHK東西浪曲大会」)
 
[432] 
뉴스
 
二人三脚 受け継がれる芸
 
中日新聞
 
2023-07-06
 
[433] 
서적
 
小、坊については修行中を表す意味が強く、その名を持つ浪曲師だけを集めた大会もしばしば開かれた。
 
[434] 
서적
 
定本 日本浪曲史
 
[435] 
기타
 
巡業した浪曲師自身を持ち上げたお手盛りの番付も多く、そこは御愛嬌であるとされる。
 
[436] 
서적
 
浪曲論
 
彩流社
 
[437] 
서적
 
定本
 
[438]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439]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440] 
서적
 
定本
 
[441] 
서적
 
講談・伝統の話芸
 
[442] 
서적
 
定本
 
[443] 
간행물
 
AERA
 
[444] 
서적
 
定本
 
[445] 
서적
 
定本
 
[446] 
서적
 
実録
 
[447] 
서적
 
定本
 
[448] 
서적
 
定本
 
[449] 
서적
 
実録
 
[450] 
서적
 
定本
 
[451] 
서적
 
定本
 
[452] 
웹사이트
 
http://rokyoku.or.jp[...] 
[453] 
서적
 
初代は定本
 
[454] 
서적
 
浪曲事典
 
1975
 
[455] 
서적
 
定本
 
[456] 
서적
 
浪曲旅芸人
 
[457] 
문서
 
=東西の両協会(日本浪曲協会と浪曲親友協会)への名前登録の有無
 
[458] 
웹사이트
 
真鍋昌賢.寛容な客―ニセ物の芸能史に向けて―
 
http://www.minpaku.a[...] 
[459] 
문서
 
真鍋2017
 
[460] 
문서
 
1926.8.2関東浪花節協会の擬名取締り、雲月に似せた天中軒雪月を私文書偽造で告訴、ニセモノの鼈甲齋虎丸は天昇軒錦道と改名
 
国民
 
[461] 
문서
 
ニセ浪曲師と思しき巡業を捉えた稀少な公的記録。NDL所蔵。福島県旧塩川町の町史の記載。「広沢虎造の一門で広沢辰一の公演回数が多く、他に関東節の重鎮で東山小円」系譜に記載が無い
 
[462] 
문서
 
東三光は本来、京山華千代、初代春野百合子の師匠の名前である。
 
[463] 
문서
 
成立期に「都三光」がいた
 
[464] 
간행물
 
月刊浪曲1995年9月号
 
[465] 
웹사이트
 
この人物を題材にして、2016年三谷幸喜脚本で舞台化
 
https://setagaya-pt.[...] 
[466] 
웹사이트
 
wowowにより舞台中継された
 
https://www.wowow.co[...] 
[467] 
뉴스
 
桃中軒雲右衛門、入道館を買収して開館式
 
万朝報
 
1912-10-02
 
[468] 
웹사이트
 
浅草公園の図。明治40年。右下の雷門の位置の左側に新恵比寿亭
 
http://showcase.meij[...] 
[469] 
서적
 
浅草繁昌記
 
実力社
 
1910
 
[470] 
서적
 
写真にみる浅草芸能伝
 
[471] 
서적
 
悪声伝 広沢瓢右衛門の不思議
 
[472] 
서적
 
定本
 
[473] 
뉴스
 
大阪毎日新聞
 
1910-11-29
 
[474] 
뉴스
 
大阪毎日
 
1910-12-21
 
[475] 
뉴스
 
大阪毎日
 
1912-01-29
 
[476] 
문서
 
大大阪
 
[477] 
서적
 
上方芸人誌
 
[478] 
문서
 
浦安町誌上
 
[479] 
서적
 
浦安・海に抱かれた町
 
筑摩書房
 
1995
 
[480] 
서적
 
歌藝人
 
[481] 
문서
 
三谷
 
[482] 
문서
 
江戸東京芸能地図大鑑
 
[483] 
서적
 
歌藝人
 
[484] 
웹사이트
 
https://japanknowled[...] 
[485] 
뉴스
 
조선어 나니와부시, 수용인가 굴종인가? - 1940년대 조선인이 조선어로 부른 일본 전통음악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3-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