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이트라인 (미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이트라인은 1979년 이란 인질 사건을 배경으로 시작된 미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ABC에서 방송되었으며, 테드 코펠이 앵커를 맡아 심층 인터뷰와 탐사 저널리즘을 통해 신뢰와 권위를 쌓았다. 2005년 코펠의 은퇴 이후 앵커진이 교체되었으며, 현재는 바이런 피츠와 주주 창이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국제 방송 채널을 통해 시청 가능하며, 웹사이트와 팟캐스팅을 통해 다시보기도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 - 지미 카터
    지미 카터는 해군 장교와 땅콩 농장 운영을 거쳐 조지아 주지사를 역임하고 도덕적, 진보적 이미지로 미국의 제39대 대통령을 지냈으며, 퇴임 후 카터 센터 설립과 인도주의 활동으로 200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미국 역대 대통령 중 최장수 기록을 세웠다.
  •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 - 루홀라 호메이니
    루홀라 호메이니는 이란의 종교 지도자이자 정치인으로, 이슬람 혁명을 통해 친미 정권을 무너뜨리고 이란의 최고 지도자가 되어 이슬람 공화국을 수립했다.
  • 미국의 뉴스 텔레비전 프로그램 - 래리 킹 라이브
    래리 킹이 진행한 CNN의 심야 인터뷰 프로그램인 《래리 킹 라이브》는 독특한 진행 스타일과 폭넓은 게스트, 전화 시청자 참여, 상징적인 세트 디자인으로 1985년부터 2010년까지 25년간 방송되며 높은 인기를 얻었다.
  • 미국의 뉴스 텔레비전 프로그램 - USA 투데이
    USA 투데이는 1982년에 창간된 미국의 전국 일간 신문으로, 컬러 그래픽과 간결한 기사로 유명하며, 뉴스, 머니, 스포츠, 라이프 등 네 개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고, 다양한 논란과 정치적 입장을 표명하며 관련 매체를 운영하고 스포츠 분야의 수상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 ABC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미국) - 어글리 베티
    2006년부터 2010년까지 ABC에서 방영된 미국의 코미디 드라마 《어글리 베티》는 콜롬비아 텔레노벨라를 원작으로 패션 잡지 '모드'에서 일하는 베티 수아레스의 이야기를 그리며, 아메리카 페레라의 주연과 작품의 수상에도 불구하고 시청률 하락으로 시즌 4를 끝으로 종영했다.
  • ABC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미국) - 모던 패밀리
    《모던 패밀리》는 크리스토퍼 로이드와 스티븐 레비탄이 제작한 미국 시트콤으로, 로스앤젤레스를 배경으로 세 가족의 삶을 모큐멘터리 형식으로 묘사하며 다양한 가족 형태와 현대 사회의 변화를 코믹하게 보여주어 비평적, 상업적으로 성공했지만 성차별적 요소에 대한 비판도 있다.
나이트라인 (미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프로그램 정보
ABC 뉴스 나이트라인 2018
다른 이름이란 위기 - 미국인 인질 (1979)
ABC 뉴스 나이트라인
장르뉴스 프로그램
제작자룬 알리지
진행자바이런 피츠 (2014–현재)
주주 창 (2014–현재)
(과거 진행자는 출연진 섹션 참고)
테마 음악 작곡가스코어 프로덕션 (1979–1997)
에드 칼레호프 (1997–2005)
비디오헬퍼 (2005–2014)
매튜 카츠젠스키 및 아담 쇤베르크 (2018–현재)
작곡가매튜 카츠젠스키 및 아담 쇤베르크 (2018–현재)
국가미국
언어영어
시즌 수38
총괄 프로듀서에만 바로쿠아 (2021–현재)
촬영 장소ABC 뉴스 워싱턴 지국, 워싱턴 D.C. (1980–2007)
타임스 스퀘어 스튜디오, 뉴욕 시 (2005–2006, 2009–현재)
ABC 뉴스 본사, 뉴욕 시 (2006–2009)
카메라멀티 카메라
상영 시간20분 (1980–1981)
30분 (1981–1983, 2013–현재)
60분 (1983)
31분 (1983–2011)
25분 (2011–2013)
제작사ABC 뉴스 프로덕션
방송사ABC
첫 방송1979년 11월 5일
마지막 방송1980년 3월 21일
첫 방송21980년 3월 24일
마지막 방송2현재
관련 프로그램20/20
추가 정보
슬로건"For a Brighter Take on the Day." (더 밝은 하루를 위하여)
화질480i (SDTV)
720p (HDTV)
웹사이트나이트라인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1979년 이란 미국 대사관 점거 사건 당시 매일 밤 방송되던 특별 보도 프로그램 'The Iran Crisis - America Held Hostage'를 기반으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ABC 월드 뉴스 투나잇'' 앵커 프랭크 레이놀즈(Frank Reynolds)가 진행했으나, 곧 미국 국무부 출입 기자였던 테드 코펠(Ted Koppel)이 대타로 투입되어 능력을 인정받으면서 정식 앵커가 되었다. 이후 프로그램은 '나이트라인'이라는 이름으로 워싱턴 D.C.에서 방송되기 시작했다.

테드 코펠이 진행하는 동안 '나이트라인'은 매일 하나의 주제를 선정해 기자 리포트와 게스트 인터뷰 중심으로 심층 보도하는 형식을 취했으며, 금요일에는 종종 다큐멘터리를 방송했다. 첫 방송은 인질의 어머니와 이란 정부 대변인의 위성 중계 대화였으며, 이후 방송 시간을 30분으로 늘리고 금요일까지 확대 편성했다. 존 레논 사망 소식 보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현지 타운 미팅 등을 통해 보도 프로그램으로서 신뢰도를 높였다. 크리스 뷰리(Chris Bury), 테리 모란(Terry Moran) 등 워싱턴 주재 기자들이 부 앵커로 참여하기도 했다. ABC 내부의 토크쇼 도입 논의로 여러 차례 프로그램 폐지설이 있었으나 유지되었다. 이라크 전쟁 당시 코펠은 직접 종군 취재에 나섰고, 2004년에는 이라크 전쟁 전사자 명단을 호명하는 특집 방송으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2005년 테드 코펠은 25년간 진행해 온 '나이트라인'에서 하차했고, 11월 22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을 떠났다. 후임으로는 신시아 맥퍼든(Cynthia McFadden), 마틴 바시르(Martin Bashir), 테리 모란(Terry Moran) 3명의 앵커가 공동 진행을 맡았다. 방송 제작은 뉴욕 타임스 스퀘어를 거쳐 2006년부터 ABC 본사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형식도 한 방송에서 여러 주제를 다루는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시리즈 기획이나 유명인 인터뷰 등이 추가되었다. 방송 마지막에는 특정 뉴스의 의미를 짚는 '사인 오브 더 타임즈'(Sign of the Times) 코너가 있으며, 아침 뉴스 ''굿모닝 아메리카''에 맞춰 ''"Good Night, America."''라는 인사말로 마무리한다.

2. 1. 테드 코펠의 나이트라인 (1979-2005)

이 프로그램은 이란 인질 사건이 시작된 지 4일 후인 1979년 11월 8일에 시작되었다. 당시 ABC 뉴스 사장 루니 알리지는 NBC의 인기 프로그램 ''조니 카슨의 투나잇 쇼''와 경쟁하기 위해, 이란에서 벌어지고 있는 인질 사건의 최신 소식을 미국 시청자들에게 전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했다. 프로그램의 초기 이름은 ''이란 위기 – 미국 인질: 'xxx'일''이었으며, 'xxx'는 인질들이 억류된 날짜 수를 의미했다. 처음에는 ''ABC 월드 뉴스 투나잇''의 메인 앵커였던 프랭크 레이놀즈가 20분 분량의 특별 보도를 진행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레이놀즈 대신 당시 ABC 뉴스의 국무부 특파원이었던 테드 코펠이 진행을 맡게 되었다. 며칠 후 한 프로듀서의 제안으로 프로그램 제목에 인질 억류 일수를 표시하기 시작했다(예: 15일, 50일, 150일). 1981년 인질 사태가 444일 만에 종료되면서, 전년도에 ''나이트라인''으로 이름을 바꾼 이 프로그램은 ABC의 정규 심야 뉴스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고, 코펠은 전국적인 인물이 되었다.

1982년 테드 코플


''나이트라인''은 원래 1982년까지 주 4일(월요일~목요일) 방송되었으나, 이후 금요일까지 방송하며 30분으로 시간이 확대되었다. 프로그램은 심층적인 탐사보도와 주요 인물과의 심도 깊은 인터뷰를 특징으로 삼았으며, 이는 저녁 메인 뉴스인 ''월드 뉴스 투나잇''과는 차별화되었다. 프로그램 형식은 주로 당일의 특정 주제에 대한 코펠의 소개와 사전 제작된 보도 영상, 그리고 광고 후에 이어지는 관련 인물과의 생방송 인터뷰로 구성되었다. 1983년, ABC는 30분 동안 단일 주제에 집중하는 대신 여러 주제를 다루고 방송 시간을 한 시간으로 늘리려는 시도를 했으나, 시청자들의 호응을 얻지 못해 몇 달 만에 원래의 30분(정확히는 31분) 단일 주제 형식으로 돌아왔다. 이 형식은 코펠이 은퇴할 때까지 유지되었다. 이후 부 앵커로 크리스 뷰리(Chris Bury)를 비롯하여 테리 모란(Terry Moran) 등 워싱턴 주재 기자들도 주 2~3회 출연했다.

코펠이 진행하는 동안 ''나이트라인''은 다양한 국내외 주요 인사들과의 인터뷰 및 현지 특집 방송을 통해 명성을 쌓았다.

  • 1982년: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 의장 야세르 아라파트를 인터뷰했다.[8]
  • 1984년: 미국 연방 대법원장 워렌 버거와의 첫 생방송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D-데이 40주년을 맞아 노르망디 상륙 작전을 현대적 뉴스 형식으로 재구성한 특별 방송을 선보였다.
  • 1985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첫 원격 방송을 진행했다.
  • 1986년: 필리핀의 새 대통령 코라손 아키노와 퇴임하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를 인터뷰했다. 마르코스는 인터뷰에서 아내 이멜다 마르코스의 사치스러운 생활(특히 신발 수집)을 변호하려 했다.[9]
  • 1987년: 대선 출마를 선언했던 민주당 상원의원 게리 하트가 도나 라이스와의 혼외 관계를 인정한 후 ''나이트라인'' 인터뷰를 통해 사퇴를 발표했다. 같은 해 소련에서 처음으로 방송되었고,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주민들이 참여하는 타운 홀 미팅, 미국 내 AIDS 유행을 다룬 타운 홀 미팅을 개최했다.
  • 1988년: 예루살렘에서 현지 특별 보고서를 진행했다.
  • 1990년: 넬슨 만델라와의 타운 홀 미팅을 개최했으며, 마돈나가 출연하여 논란이 된 뮤직비디오 "Justify My Love"의 방영 금지에 대해 인터뷰했다.
  • 1992년: 과학 기자가 남극에서 최초로 생방송을 진행했다.
  • 기타: 에베레스트 산 기슭에서의 생방송, 데이비드 듀크와 같은 논란의 인물 출연(1991), 미국의 교도소 문제를 다룬 "범죄와 처벌" 시리즈(1994), 인종 문제를 다룬 "미국: 흑과 백" 시리즈, 동성애를 다룬 "선택의 문제?" 특집 등을 방송했다.


1996년, 코펠과 프로듀서 카일 깁슨은 프로그램의 역사를 다룬 책 ''Nightline: History in the Making and the Making of Televisioneng''을 출간했으나, 뉴욕 타임스,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보스턴 글로브 등 여러 매체로부터 비판적인 평가를 받았다.[10][11][12]

''나이트라인''은 때때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 1987년 4월 6일, 재키 로빈슨메이저 리그 데뷔 40주년 기념 방송에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오랜 임원이었던 알 캄파니스는 코펠과의 인터뷰 중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감독이나 단장직에 필요한 '자질'이 부족할 수 있다는 인종차별적 발언을 하여 즉각 해고되었다. 코펠은 캄파니스에게 발언을 철회할 기회를 주었으나 그가 입장을 고수하자 공개적으로 질책했다.
  • 1997년, 캄보디아의 독재자 폴 포트의 재판 장면을 담은 영상을 "ABC 독점"으로 방송하면서, 해당 영상을 촬영한 프리랜서 기자 Nate Thayer와의 구두 계약을 위반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Thayer는 이후 ABC 뉴스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 2004년 4월 30일, 코펠은 이라크 전쟁에서 사망한 미국군 장병들의 이름을 모두 호명하는 특집 방송을 진행했다. 이에 대해 보수 성향의 신클레어 방송 그룹은 해당 방송이 전쟁 노력을 폄훼하는 정치적 행위라며 자사 소유의 ABC 계열사들에게 방송 송출을 금지시켜 논란이 되었다.[16][17] ABC 측은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에 대한 경의의 표현"이라고 반박했다.[17] 이 방송은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코펠은 이후 아프가니스탄 전쟁 전사자 명단(2004년 5월)과 두 전쟁의 추가 전사자 명단(2005년 5월)을 낭독하는 방송을 이어갔다.


1998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사용된 로고. 이 로고는 프로그램의 1980~97년 오리지널 로고를 기반으로 한다.


수년에 걸쳐 프로그램 폐지설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특히 2002년, ABC가 CBS의 인기 토크쇼 진행자 데이비드 레터맨을 영입하여 ''나이트라인'' 시간대에 배치하려 시도했으나, 레터맨이 CBS 잔류를 결정하면서 무산되었다. 이후 2003년 ABC는 지미 키멜이 진행하는 ''지미 키멜 라이브!''를 ''나이트라인'' 이후 시간대에 편성했다.

2005년 3월, 테드 코펠은 그해 말 계약 만료와 함께 25년간 진행해 온 ''나이트라인''에서 하차하겠다고 발표했다. 그의 마지막 방송은 2005년 11월 22일에 이루어졌으며, 통상적인 은퇴 방송과 달리 자신의 활동 하이라이트 대신, 1995년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을 앓고 있던 모리 슈워츠 교수와의 인터뷰를 다시 내보냈다. 코펠은 슈워츠 교수의 제자이자 베스트셀러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의 저자인 미치 앨봄과 인터뷰하며 슈워츠 교수와의 인연과 삶의 교훈에 대해 이야기했다.[18]

코펠은 마지막 방송을 다음과 같은 코멘트로 마무리하며 시청자들에게 후임 진행자들에게 기회를 줄 것을 당부했다.[19]

: ''나이트라인''에 처음 온 어린 인턴들에게 제가 내는 퀴즈가 있습니다... "여러분 중 몇 명이나 에릭 세바레이드에 대해 뭐라도 말해줄 수 있습니까?" 멍한 표정입니다. "하워드 K. 스미스나 프랭크 레이놀즈는요?" 알아보는 기색이 없습니다. "체트 헌틀리? 존 챈슬러?" 여전히 아무것도 모릅니다. "데이비드 브링클리?" 간혹 한두 명 손을 들고, 월터 크롱카이트는 많은 젊은이들이 그가 한때 텔레비전 뉴스에서 일했다는 막연한 기억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기뻐할 것입니다.

: 이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젊은 남녀들이 제가 지적하기 전까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그들이 한때 온 국민이 이름을 알 정도로 유명했던 7명의 앵커 또는 해설자들의 이름을 방금 들었다는 것입니다. 모두가요.

: 저를 믿으세요, 앵커가 바뀌는 것은 그렇게 큰 문제가 아닙니다. 크롱카이트는 래더를, 챈슬러는 브로코를, 레이놀즈는 제닝스를 낳았습니다. 그리고 그들 각자는 나름대로 훌륭한 역할을 했습니다. 여러분은 항상 저에게 매우 친절했으니, 이 새로운 ''나이트라인'' 앵커 팀에게 공정한 기회를 주십시오. 그렇지 않으면, 제가 장담하는데, 네트워크는 이 시간에 다른 코미디 쇼를 편성할 것입니다. 그러면 후회하게 될 겁니다. 오늘 밤의 보고는 여기까지입니다. 저는 워싱턴에서 테드 코펠입니다. 그리고 ABC 뉴스에서 함께 일하는 우리 모두, 안녕히 주무세요.

2. 2. 코펠 이후의 나이트라인 (2005-현재)

2005년 11월 28일, 테드 코펠의 뒤를 이어 영국 출신 언론인 제임스 골드스톤이 책임 프로듀서로 임명되면서 프로그램에 변화를 가져왔다.[20] 기존의 단일 주제 심층 분석 형식 대신, 마틴 바시르와 신시아 맥패든이 뉴욕 타임스 스퀘어 스튜디오에서, 테리 모란이 워싱턴 D.C.에서 진행하는 3인 앵커 체제로 전환되었다.[20] 2006년 8월 7일부터는 제작 장소를 맨해튼 링컨 스퀘어의 ABC 뉴스 본사로 옮겼다.

새로운 형식은 매일 밤 생방송으로 진행되며(사전 제작된 일부 코너 제외), 하나의 방송에서 여러 주제를 다루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1983년의 한 시간 확장 시도와 유사했으나 30분 분량에 맞춰 조정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프로그램이 심층적인 뉴스 분석보다 대중 문화 관련 가벼운 주제에 더 집중하게 되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21] 하지만 형식 변경 이후 시청률이 상승하여, 2006년 8월과 2008년에는 데이비드 레터맨의 ''레이트 쇼 위드 데이비드 레터맨''을 일시적으로 앞지르기도 했다. 2009년에는 트위터 등을 활용한 시청자와의 소통 강화를 시도했다.[22]

2008년에는 특파원 밥 우드러프와의 인터뷰에서 존 에드워즈 전 상원의원이 혼외정사 사실을 인정하는 내용을 방송했다.[23] 2009년-2010년 텔레비전 시즌에는 '투나잇 쇼' 갈등 시기와 맞물려 빌 클린턴, 테리 존스, 세라 페일린 등과의 인터뷰에 힘입어 심야 시간대 시청률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24]

앵커진에도 변화가 있었다. 2010년 8월 마틴 바시르가 NBC 뉴스로 이적하면서 빌 웨어가 합류했다. 2013년 10월에는 빌 웨어가 CNN으로 이적하자 댄 해리스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2014년 8월에는 신시아 맥패든이 NBC 뉴스로 이적하고 주주 창이 합류했으며, 같은 해 12월에는 댄 에이브럼스가 하차하고 바이런 피츠가 새로 합류했다.

2011년 1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31분에서 25분으로 축소되었으나, 2013년 1월 8일부터는 지미 키멜 라이브!와 시간대를 맞바꿔 동부 시간 기준 새벽 12시 35분으로 옮겨지고 방송 시간은 다시 30분으로 확대되었다. 이와 함께 ''더 룩아웃''(2013년 5월 첫 방송), ''나이트라인 프라임''(2014년 3월 첫 방송) 등 프라임타임 시간대의 자매 프로그램을 선보이기도 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는 확대 보도를 통해 프로그램의 기원인 이란 인질 사건 당시처럼 위기 상황 속에서 사실과 맥락을 전달하는 역할을 강조했다.[35] 바이런 피츠 앵커는 이 시기 프로그램이 "뿌리에 더욱 의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간 동안(3월 17일~4월 10일) 일시적으로 밤 11시 35분 시간대로 복귀하여 심야 프로그램 시청률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35][36] 2020년 3월 24일에는 프로그램 40주년을 맞아 테드 코펠이 특별 출연했다.[37] 2022년에는 Hulu를 통해 스트리밍되는 자매 뉴스 매거진 ''임팩트 x 나이트라인''을 출시했다.[38]

현재 프로그램은 바이런 피츠와 주주 창이 번갈아 진행하며, 방송 마지막에는 아침 뉴스 쇼 ''굿모닝 아메리카''를 언급하며 ''"Good Night, America."''라는 인사로 마무리한다. 프로그램 말미에는 시대의 흐름을 읽는 '사인 오브 더 타임즈'(Sign of the Times) 코너가 있다.

구분앵커 이름재임 기간
현재 앵커바이런 피츠2014년 ~ 현재
주주 창2014년 ~ 현재
이전 앵커테드 코펠1980년 ~ 2005년
크리스 버리2002년 ~ 2005년
마틴 바시르2005년 ~ 2010년
테리 모란2005년 ~ 2013년
신시아 맥패든2005년 ~ 2014년
빌 웨어2010년 ~ 2013년
댄 에이브럼스2013년 ~ 2014년
댄 해리스2013년 ~ 2019년


3. 한국에의 시사점

'나이트라인'은 미국 사회의 주요 사건과 쟁점을 깊이 있게 다루며 단순한 뉴스 전달을 넘어 언론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프로그램이 보여준 심층 보도와 사회 비판 기능, 그리고 사회적 약자나 소수자와 같이 소외된 이들의 목소리를 담아내려는 노력은 현대 사회에서 언론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특히, 언론 자유와 민주주의의 관계, 그리고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언론의 역할에 대해 한국 사회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3. 1. 언론 자유와 민주주의

''나이트라인''은 단순한 뉴스 전달을 넘어, 미국 사회의 주요 쟁점을 심층적으로 파고들며 언론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이란 인질 사건과 같이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사건 발생 초기부터 꾸준히 관련 소식을 전하며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자 노력했다.[1] 프로그램의 시작 자체가 1979년 이란 인질 사건 발생 직후, ABC 뉴스 사장 루니 알리지가 미국인들에게 이란 관련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데서 비롯되었다.[1] 이는 사건 초기 ''이란 위기 – 미국 인질: 'xxx'일''이라는 제목으로 매일 인질 상황을 알린 것에서도 드러난다.[1]

언론의 사회 비판 및 감시 기능은 1987년 알 캄파니스 인터뷰 사례에서 잘 나타난다. 재키 로빈슨메이저 리그 데뷔 40주년을 맞아 출연한 당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고위 간부 캄파니스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감독이나 단장 같은 고위직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인종차별적 발언을 했다.[14] 앵커 테드 코펠은 여러 차례 해명 기회를 주었음에도 캄파니스가 입장을 고수하자, 그의 발언이 과거 로빈슨을 향했던 비난과 다를 바 없다고 공개적으로 지적했다.[14] 이 방송 이후 캄파니스는 즉시 해고되었으며, 이는 ''나이트라인''이 사회적으로 민감한 문제에 대해 정면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공론화하는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14]

또한, ''나이트라인''은 정치적 압력에 직면하기도 했다. 2004년 4월 30일, 테드 코펠이 이라크 전쟁에서 사망한 미국군 장병들의 이름을 일일이 호명하는 특집 방송을 진행하자, 일부 보수 진영과 방송사로부터 정치적 의도가 있다는 비판과 함께 방송 중단 압력을 받았다.[16][17] 특히 보수 성향으로 알려진 신클레어 방송 그룹은 자사 계열의 ABC 방송국들에게 해당 방송을 송출하지 못하도록 지시하며, 이는 전쟁 수행 노력을 훼손하려는 시도라고 주장했다.[16][17] 그러나 ABC 측은 이 방송이 국가를 위해 희생한 이들에 대한 경의의 표현이라고 반박했으며,[17] 논란에도 불구하고 해당 방송은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17] ''나이트라인''은 이후에도 아프가니스탄 전쟁 전사자 명단을 낭독하는 등 유사한 형식의 추모 방송을 이어갔다.[17] 이러한 사례들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언론이 때로는 외부의 압력 속에서도 독립성을 지키며 중요한 사회적 의제를 설정하고 공론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시사한다.

3. 2.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 대변

''나이트라인''은 사회적으로 소외되기 쉬운 집단의 목소리를 담아내고 관련 문제를 공론화하는 데 기여했다. 특히 미국 내 인종차별 문제를 심도 깊게 다룬 "미국: 흑과 백" 시리즈를 방영했으며, 동성애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선택의 문제?"라는 에피소드를 통해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1987년 4월 6일 방송은 프로그램의 이러한 성격을 보여주는 동시에 큰 논란을 일으킨 사례로 남았다. 메이저 리그 야구에서 재키 로빈슨이 인종 장벽을 깬 지 40주년을 기념하는 방송에서, 오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간부였던 알 캄파니스는 앵커 테드 코펠과의 인터뷰 중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감독이나 단장직을 맡기에 필요한 "필수 요소"가 부족할 수 있다는 인종차별적 발언을 했다. 코펠은 캄파니스에게 여러 차례 해명 기회를 주었으나 그는 입장을 고수했고, 결국 코펠은 그의 발언이 로빈슨을 비판하던 인종차별주의자들의 주장과 다를 바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 인터뷰 직후 캄파니스는 다저스에서 해고되었다. 이 사건은 스포츠계에 만연한 인종차별 문제를 수면 위로 끌어올리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1990년 12월 3일에는 가수 마돈나와의 생방송 인터뷰를 통해 당시 큰 논란이 되었던 그의 뮤직 비디오 "Justify My Love"를 전부 방영했다. 해당 비디오는 가학 피학증, 관음증, 양성애 등을 묘사하여 MTV 등에서 방영이 금지된 상태였다. 마돈나는 인터뷰에서 비디오의 성적인 내용과 검열 문제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밝혔으며, 남성 아티스트의 성차별적이고 폭력적인 영상은 용인되면서 여성의 성적 표현은 억압받는 현실의 위선과 성차별을 지적했다. ''나이트라인''은 이처럼 논쟁적인 주제를 회피하지 않고 공론의 장으로 끌어냄으로써 사회적 담론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4. 방송 형식

초기 형식은 진행자 테드 코펠의 소개, 그날의 특정 주제에 대한 녹화된 부분, 상업 광고 이후 해당 주제와 관련된 생방송 인터뷰로 구성되었다. 매일 한 가지 주제를 심층적으로 다루었으며, 금요일에는 종종 전체 방송을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제작하기도 했다.

1983년, ABC는 30분 동안 단일 주제에 집중하는 대신 여러 주제를 다루고 방송 시간을 한 시간으로 확장하려 시도했으나, 이 변경은 성공하지 못했고 몇 달 후 프로그램은 원래의 31분 단일 주제 형식으로 복귀했다. 이 형식은 코펠이 하차할 때까지 유지되었다.

테드 코펠이 2005년 11월 22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하차한 후,[20] 제임스 골드스톤 책임 프로듀서의 주도로 형식이 변경되었다. 2005년 11월 28일부터 마틴 바시르, 신시아 맥파든, 테리 모란 3명의 앵커가 진행을 맡았으며,[20] 매일 밤 생방송(사전 녹화된 부분 제외)으로 여러 주제(보통 2~3개)를 다루는 형식으로 전환되었다. 이는 1983년에 시도했다가 실패한 다주제 형식과 유사하지만 30분 시간대에 맞게 축약된 형태였다.

새로운 형식에서는 이라크 전쟁 참전 병사와 가족을 다룬 ''War at Home'' 시리즈나 유명인 인터뷰 등의 기획 코너가 신설되었다. 또한 방송 마지막에는 특정 뉴스를 통해 시대의 흐름을 짚어보는 '사인 오브 더 타임즈'(Sign of the Times) 코너가 추가되었고, 아침 뉴스 쇼 굿모닝 아메리카처럼 ''"Good Night, America."''라는 인사말로 마무리한다.

여러 주제를 다루는 형식으로의 전환은 하나의 주제에 할애되는 시간이 줄어들어 심층적인 보도가 어려워졌다는 점, 그리고 대중 문화 관련 이야기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기도 했다.[21]

5. 국제 방송

나이트라인은 미국 외에도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방송되었거나 방송되고 있다. 각 국가별 방송 현황 및 시청 가능 여부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5.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NHK-BS1 채널을 통해 2022년까지 이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었다. NHK-BS1은 매주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오후 시간대에 일본어 통역(주 음성은 보이스 오버)이 포함된 이중 언어 방송 형식으로 나이트라인을 방송했다. 이는 월드 뉴스 아메리카 프로그램의 일부로 편성되었다. 그러나 2023년 12월, BS 채널 재편으로 '월드 뉴스 아메리카'가 폐지되면서 NHK-BS1을 통한 나이트라인 방송도 중단되었다.

한편, 프로그램 공식 웹사이트에서는 방송 일부 및 미방송분을 동영상으로 제공하며, 팟캐스팅을 통해 거의 전체 프로그램의 음성 파일(MP3)과 일부 동영상 파일을 배포하고 있다. 또한, ABC 뉴스의 인터넷 방송 서비스인 "ABC NEWS LIVE"에서도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전체가 수시로 방송된다.

5. 2. 기타 국가

국가방송사주간 방송 시간 (현지 시간)비고
오스트레일리아SBS Viceland오전 8시 10분 (AET)
일본NHK BS1오후 4시 30분 (JST)2022년까지 월드 뉴스 아메리카의 일부로 이중 언어 방송 (일본어 보이스 오버)으로 방송. 2023년 12월 NHK BS 채널 재편으로 폐지.
캐나다ABC
CHCH
미국 국경 지역 등에서 ABC 방송국 직접 수신 가능
CHCH: 오전 12시



일본에서는 NHK BS1 채널을 통해 2022년까지 방송되었으며, 미국 현지 금요일 방송분은 제외되었다. 2023년 12월 NHK의 BS 채널 개편으로 관련 프로그램('월드 뉴스 아메리카')이 폐지되면서 나이트라인의 일본 내 방송도 종료되었다. (월요일에 방송되던 디스 위크는 시간대를 옮겨 계속 방송된다.)

참조

[1] 뉴스 Eman Varoqua Named Executive Producer, ABC News' 'Nightline' https://variety.com/[...] 2014-09-24
[2] 뉴스 Roone Arledge Auditorium And Cinema Dedicated April 25 http://www.columbia.[...] Columbia University 2000-04-26
[3] 웹사이트 TV Guide Names Top 50 Shows https://www.cbsnews.[...] 2002-04-26
[4] 웹사이트 61st Annual Peabody Awards – Award Profile: Nightline http://www.peabodyaw[...] 2002-05-00
[5] 웹사이트 62nd Annual Peabody Awards – Award Profile: Nightline: Heart of Darkness http://www.peabodyaw[...] 2003-05-00
[6] 웹사이트 62nd Annual Peabody Awards – Award Profile: Nightline: The Survivors http://www.peabodyaw[...] 2003-05-00
[7] 웹사이트 82nd Annual Peabody Awards - Award Profile: The Appointment https://peabodyaward[...] 2022-06-00
[8] 뉴스 Arafat Says He Will Never Accept U.S. Conditions for Recognizing PLO http://www.jta.org/1[...] 1982-03-18
[9] 웹사이트 Imelda Marcos' 3,000 Pairs of Shoes https://abcnews.go.c[...] 1986-02-05
[10] 뉴스 BOOKS OF THE TIMES;Starry Eyes Look Back at Koppel and 'Nightline' https://www.nytimes.[...] 1996-07-08
[11] 간행물 Nightline: History in the Making and the Making of Television https://ew.com/artic[...] 1996-06-14
[12] 뉴스 IF YOU WANT TO KNOW ABOUT 'NIGHTLINE,' STICK TO THE TV https://www.chicagot[...] 1996-07-24
[13] 문서 Nightline
[14] 간행물 Madonna Banned https://ew.com/artic[...] EW.com 1998-11-20
[15] 뉴스 Your scoop? Nah. It's ours if we want it. https://www.independ[...] 1998-05-25
[16] 웹사이트 Sinclair known for conservative political tilt http://seattletimes.[...] Seattle Times
[17] 웹사이트 Names of U.S. war dead read on 'Nightline' http://www.today.com[...] Associated Press 2004-04-29
[18] 문서 Tuesdays with Morrie includes three chapters called Audiovisuals which chronicle Ted Koppel's visits with Morrie.
[19] 문서 Nightline ABC News 2005-11-22
[20] 웹사이트 'Nightline' in the Goldston Era https://www.nexttv.c[...] 2007-06-16
[21] 웹사이트 ABC News unveils new 3-anchor 'Nightline' format http://www.redorbit.[...] 2005-10-17
[22] 웹사이트 'Nightline' developing Twitter show http://www.thrfeed.c[...] The Live Feed 2009-05-12
[23] 뉴스 Edwards 'Nightline' interview a ratings bust https://www.hollywoo[...]
[24] 웹사이트 'Nightline' is #1 in Late Night for 2009-2010 http://www.adweek.co[...] 2010-09-23
[25] 뉴스 Jimmy Kimmel to go head-to-head vs. David Letterman, Jay Leno http://www.suntimes.[...] 2012-08-21
[26] 뉴스 It's Jimmy Kimmel vs. Leno and Letterman in January; ABC moves 'Jimmy Kimmel Live' to 11:35, 'Nightline' to 12:35 https://www.washingt[...] 2012-08-21
[27] 뉴스 Jimmy Kimmel takes 'Nightline' slot next year http://www.cnn.com/2[...] 2012-08-21
[28] 뉴스 Jimmy Kimmel faces Leno and Letterman head-on in January https://www.usatoday[...] 2012-08-21
[29] 뉴스 ABC Sees a Contender in Jimmy Kimmel http://mediadecoder.[...] 2012-08-21
[30] 뉴스 ABC moves Jimmy Kimmel to 11:35 p.m., adds 'Nightline' Friday run http://www.latimes.c[...] 2012-08-21
[31] 웹사이트 ABC News' 'Nightline' Primetime Will Be Re-Branded 'The Lookout' http://www.huffingto[...] 2013-05-23
[32] 뉴스 ABC's 'Nightline' Gets Primetime Run Starting This Weekend https://variety.com/[...] 2014-03-13
[33] 뉴스 Dan Harris Named Co-Anchor of "Nightline" https://abcnews.go.c[...] 2013-10-11
[34] 뉴스 Cynthia McFadden Jumps From ABC to NBC News, Juju Chang to Replace Her on 'Nightline' http://www.thewrap.c[...] 2014-03-27
[35] 웹사이트 Coronavirus Prods ABC's 'Nightline' to Return to Roots https://variety.com/[...] 2020-03-16
[36] 웹사이트 "'Jimmy Kimmel Live!' To Remain At 12:05 AM In First Week Back On Television Amid COVID-9 Pandemic" https://deadline.com[...] 2020-03-27
[37] 웹사이트 "Ted Koppel, In a Return To 'Nightline', Warns Of Misinformation During Coronavirus Crisis" https://deadline.com[...] 2020-04-06
[38] 웹사이트 "ABC's Nightline-Branded Streaming Newsmagazine Returns for Season 2 on Hulu" https://www.adweek.c[...] 2023-09-18
[39] 웹사이트 'Fusion to Debut Weekly One-Hour Edition of "Nightline" Hosted by ABC\'s Gio Benitez and Fusion\'s Kimberly Brooks' http://wearefusion.t[...] 2017-05-06
[40] 뉴스 "ABC’s “Nightline” Ranks as the No. 1 Program in Latenight for the 2nd Week in a Row Across all Key Target Demos" http://www.abcnews.c[...] 2012-07-26
[41] 뉴스 "EXCLUSIVE: World News Kicks Off HD Expansion at ABC - World News with Charles Gibson , Nightline to begin broadcasting in 720p HD Aug. 25." http://www.broadcast[...] Broadcasting & Cable 2008-08-25
[42] 뉴스 TV Guide Names Top 50 Shows http://www.cbsnew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