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치 독일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치 독일의 행정 구역은 나치당의 지방 조직인 대관구(Gau)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대관구는 독일 국내외를 선거구에 대응하는 30여 개로 나누어 설치되었으며, 그 아래에는 관구 지도자(Kreis), 지구 지도자(Ortsgruppe) 등의 하위 조직이 있었다. 대관구 지도자(Gauleiter)는 지역 최고 권력자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국방 관리관을 겸임하여 권한이 더욱 강화되었다. 1938년부터는 합병된 영토를 중심으로 제국 대관구(Reichsgau)가 설치되었으며, 1939년에는 폴란드 점령 지역에 총독부가 설치되었다. 나치 독일은 동유럽으로의 영토 확장을 계획하며 새로운 행정 구역을 구상했고, 게르만 국가의 병합 또한 추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치 독일의 행정 구역 - 국가판무관부
    국가판무관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점령한 지역에 설치되어 독일의 점령 통치를 위해 운영되었으며 연합군의 진격 또는 독일의 패배로 소멸되었다.
  • 나치 독일의 행정 구역 - 국가대관구
    국가대관구는 나치 독일이 점령 지역을 효율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설치하거나 계획한 행정 구역으로, 주로 합병된 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벨기에 등에 설치되었으며, 바나트, 베스키덴란트 등 여러 지역에 대한 설치 계획도 존재했다.
  • 나치 대관구 - 슐레지엔 대관구
    슐레지엔 대관구는 1926년 나치당이 만든 독일 행정 구역으로, 대관구지휘자가 당과 정부의 최고위직을 겸하며 강력한 권력을 행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후 연합군 진격과 폴란드-독일 분할로 소멸되었다.
  • 나치 대관구 - 뮌헨-오버바이에른 대관구
    뮌헨-오버바이에른 대관구는 나치 독일 시기 바이에른 자유주에 설치된 행정 구역이자 나치당 지역 조직으로, 1930년 뮌헨과 오버바이에른 대관구가 합쳐져 형성되었으며, 아돌프 바그너가 장기간 지휘했고, 나치 운동 발상지로서 특별한 지위와 다하우 강제 수용소가 위치했다.
나치 독일의 행정 구역
개요
대관구 지도자 견장
대관구 지도자 견장
명칭대관구 지도부
공식 명칭Gauleitung
대관구 지도부 휘장
대관구 지도부 휘장
설립1925년
설립자아돌프 히틀러
해산1945년
종류정치 단체
지위당 정치 지도부
역할전국 당 관구의 통괄 및 지도
본부[[File:DEU München COA.svg|15px]] 뮌헨, 갈색관
위치전국 각 주, 현
최고 책임자[[File:Gauleiter symbol.svg|23px]] 대관구 지도자
기관[[File:Reichsdienstflagge 1935.svg|30px]]
[[File:Kreisleitung symbol.svg|23px]] 관구
대관구 내의 모든 당 조직
소속[[File:NSDAP-Logo.svg|25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상세 정보
독일 역사 박물관 링크독일 역사 박물관 - 대관구
Nizkor 프로젝트 링크Nizkor 프로젝트 - 나치 조직

2. 어원

'''가우'''는 게르만어 용어로, 중세 시대에는 잉글랜드에 해당하는 지역을 가리켰다. 이 용어는 1920년대 나치당이 바이마르 공화국의 당 지역 협회 명칭으로 사용하면서 부활했다.[31]

3. 나치당 조직으로서의 대관구

뮌헨 맥주홀 폭동 실패와 히틀러 투옥 이후, 나치당은 조직을 개편했다. 1925년 가우 지도자(Gauleiter) 직책이 만들어졌다.[31] 1934년에는 나치 독일 정부가 (Land, 복수: Länder)의 기능을 일시 정지함에 따라, 대관구가 국가 행정 구역으로서의 기능을 시작했다.

1939년 가우 기장 목록


전국 대관구 범위


각 가우의 기념 훈장


대관구는 나치당 지방 조직의 최대 단위였다. 독일 국내외(사르 및 오스트리아 등)를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응하는 30여 개로 나누었으며, 그 아래에는 관구(Kreis), 지구(Ortsgruppe), 거점 분구(Stützpunkt, 1939년 폐지), 세포(Zelle), 가구(Block) 등의 단위가 설치되었다. 최소 단위인 가구는 약 50세대의 가구로 구성되었다.[32]

4. 대관구 지도자 (가우라이터)

'''가우라이터'''(독일어: Gauleiter)는 나치당의 지역 구분인 관구(Gau)의 지도자를 가리키는 직책 및 신분이었다.[1] 나치 독일에서는 지역 최고 권력자로 간주되었으며, 후에 설치된 제국 가우에서도 가우라이터가 임명되었다.[3]

가우(Gau)는 나치 시대 독일의 주(Länder) 및 프로이센 주와 병행하여 존재했다. 형식적으로는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의 행정 구역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주(Länder)를 폐지하려는 계획은 히틀러가 지역 당 지도자들을 불안하게 할 것을 우려하여 보류되었다. 같은 이유로 가우(Gau)의 경계는 독일 내에서 변하지 않고 유지되었다. 가우(Gau)는 1938년 이후 점령 지역이 추가되면서 확장되었다.[3]

주(Länder)는 계속 존재했지만, 실질적인 지역 권력은 독일 주의 수상(Ministerpräsident)이 아니라 가우라이터에게 있었다. 가우라이터는 아돌프 히틀러가 직접 임명했으며 그에게만 책임을 졌다. 실제로 상부의 간섭은 드물었고, 가우라이터의 권력은 거의 절대적이었다.[1]

5. 대관구와 주의 관계

바이마르 공화국으로부터 계승한 기존의 주(Länder)는 독일 국가 재건에 관한 법에 따라 주 의회가 해산되었다. 대관구 지도자들 중 다수가 국가 대리인으로 임명되었으나,[33] 나치 독일 시대 동안 주는 폐지되지 않고 대관구와 병존했다. 주를 폐지하려는 계획은 있었지만, 아돌프 히틀러는 지역 정당 지도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구조 개혁을 실행하지 않았다. 대관구의 경계도 변경되지 않고 확장되어 갔다.[3] 실권은 대관구 지도자가 장악했기 때문에, 주총리(Ministerpräsident)는 형식적인 직책이었다. 대관구 지도자는 히틀러에 의해 직접 임명되었고, 그에게만 책임을 졌다.[31]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대관구 지도자는 전국 방위 위원(국방 관리관)을 겸임하며 지역 방위 책임자가 되어 권력이 더욱 커졌다.[34]

6. 제국 대관구

'''제국 대관구'''(Reichsgau)는 1938년부터 1945년까지 나치 독일이 주로 합병된 영토를 중심으로 설치한 행정 구역 명칭이다. 제국 대관구의 대관구 지도자는 모두 국가 대리인을 겸임하여 대관구와 정부 행정이 최대한 근접하였다.[36]

7. 연혁

뮌헨 맥주홀 폭동 실패와 히틀러 투옥 이후, 나치당은 조직을 개편했다. 1925년 가우 지도자(Gauleiter) 직책이 신설되었고, 1928년에는 나치당 내 계급으로 전국 지도자 다음 가는 2인자가 되었다.

나치당의 권력 장악 이후, 많은 가우 지도자들이 제국 총독(Reichsstatthalter)으로 임명되어[31] 전국적인 지배를 실행했다. 1934년 독일 재건에 관한 법 제정으로 기존 행정 구역인 (Land)의 기능이 일시 정지되면서, 가우는 국가 행정 구역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인 1939년 9월, 가우 지도자는 국방 관리관을 겸임하며 지역 방위 책임자로서 권력이 강화되었다. 나치 독일 멸망 시점인 1945년까지 총 43개의 가우가 설치되었으며[32], 여기에는 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프랑스 등 점령 지역에 설치된 10개의 제국 가우와 가우로 취급된 NSDAP/AO|나치당 해외조직부de(약칭: NSDAP/AO)가 포함된다. 가우와 제국 가우의 기능상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일본의 도도부현 명칭 차이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7. 1. 1934년에 설립된 관구

나치당은 1934년에 기존의 주(Länder)와 프로이센 주를 기반으로 관구(Gau)를 설립했다. 다음은 1934년에 설립된 관구 목록이다.[32]

관구 명칭(영어)관구 명칭(독일어)중심지비고
바덴 (Gau Baden)Baden칼스루에 (Karlsruhe)바덴 주에서 형성됨; 1940년부터 1945년까지는 이전 프랑스인 바-랭과 오-랭을 포함하여 바덴-엘자스로 개명됨
바이로이트 (Gau Bayreuth)Bayreuth바이로이트 (Bayreuth)바이에른 주 동부에서 형성됨; 원래 바이에른 동부 변경지역(Bayrische Ostmark)이라 불렸으며, 1942년 가우 바이로이트로 개명됨; 1938년부터 체코슬로바키아 영토 일부도 포함됨
쾰른-아헨 (Gau Cologne-Aachen)Köln-Aachen쾰른 (Cologne)프로이센 라인 주 중북부에서 형성됨
뒤셀도르프 (Gau Düsseldorf)Düsseldorf뒤셀도르프 (Düsseldorf)프로이센 라인 주 북부 절반에서 형성됨
동프로이센 (Gau East Prussia)Ostpreußen쾨니히스베르크 (Königsberg)프로이센 동프로이센 주에서 형성됨; 1939년부터 폴란드에서 합병된 영토도 포함됨
동하노버 (Gau Eastern Hanover)Ost-Hannover뤼네부르크 (Lüneburg)프로이센 하노버 주 북부, 중부, 동부에서 형성됨
쿠어헤센 (Gau Electoral Hesse)Kurhessen카셀 (Kassel)프로이센 헤세-나사우 주 북부 절반에서 형성됨
에센 (Gau Essen)Essen에센 (Essen)프로이센 라인 주 북쪽 끝에서 형성됨
프랑켄 (Gau Franconia)Franken뉘른베르크 (Nuremberg)바이에른 주 중부에서 형성됨
대베를린 (Gau Greater Berlin)Groß-Berlin베를린 (Berlin)프로이센 대베를린 주에서 형성됨
할레-메르제부르크 (Gau Halle-Merseburg)Halle-Merseburg할레 (Halle (Saale))프로이센 작센 주 남부 절반에서 형성됨
함부르크 (Gau Hamburg)Hamburg함부르크 (Hamburg)함부르크 자유한자도시에서 형성됨
헤세-나사우 (Gau Hesse-Nassau)Hessen-Nassau프랑크푸르트 (Frankfurt am Main)헤세 인민국과 프로이센 헤세-나사우 주 남부 절반에서 형성됨
코블렌츠-트리어 (Gau Koblenz-Trier)Koblenz-Trier코블렌츠 (Koblenz)프로이센 라인 주 남부 절반에서 형성됨; 독립국이었던 룩셈부르크가 편입된 후 1942년 가우 모젤란트로 개명됨
마그데부르크-안할트 (Gau Magdeburg-Anhalt)Magdeburg-Anhalt데사우 (Dessau)안할트 자유주와 프로이센 작센 주 북부 절반에서 형성됨
마인프랑켄 (Gau Main-Franconia)Mainfranken뷔르츠부르크 (Würzburg)바이에른 주 북서부에서 형성됨
브란덴부르크 변경령 (Gau March of Brandenburg)Mark Brandenburg베를린 (Berlin)프로이센 브란덴부르크 주에서 형성됨
메클렌부르크 (Gau Mecklenburg)Mecklenburg슈베린 (Schwerin)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자유주와 메클렌부르크-슈베린 자유주에서 형성됨
뮌헨-오베르바이에른 (Gau Munich-Upper Bavaria)München-Oberbayern뮌헨 (Munich)바이에른 주 남동부에서 형성됨
폼머른 (Gau Pomerania)Pommern슈테틴 (Stettin)프로이센 폼머른 주에서 형성됨
자르-팔츠 (Gau Saar-Palatinate)Saarpfalz노이슈타트 안 데어 바인슈트라세 (Neustadt an der Weinstraße)바이에른 팔츠와 프로이센 자를란트에서 형성됨; 로렌 지역 편입 후 1940년 가우 베스트마르크로 개명됨
작센 (Gau Saxony)Sachsen드레스덴 (Dresden)작센 주에서 형성됨
슐레스비히-홀슈타인 (Gau Schleswig-Holstein)Schleswig-Holstein (Kiel)프로이센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 뤼벡 자유시와 올덴부르크 자유주에 속한 영토에서 형성됨
실레지엔 (Gau Silesia)Schlesien브레슬라우 (Breslau)프로이센 상실레지아 주(1939년부터 폴란드에서 합병된 지역 포함)와 하실레지아 주에서 형성됨. 1938년 두 주가 하나로 통합되었고, 1941년 주와 가우 모두 두 개로 분할됨.
남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 (Gau Southern Hanover-Brunswick)Südhannover-Braunschweig하노버 (Hanover)브라운슈바이크 자유주와 하노버 주의 남부와 서부에서 형성됨
슈바벤 (Gau Swabia)Schwaben아우크스부르크 (Augsburg)바이에른 주 남서부에서 형성됨
투링겐 (Gau Thuringia)Thüringen바이마르 (Weimar)투링겐 주와 프로이센 작센 주 인접 지역에서 형성됨
베저-엠스 (Gau Weser-Ems)Weser-Ems올덴부르크 (Oldenburg (city))올덴부르크 자유주(외곽 지역 제외), 브레멘 자유한자도시와 프로이센 하노버 주의 서쪽 끝에서 형성됨
베스트팔렌-노르트 (Gau Westphalia-North)Westfalen-Nord뮌스터 (Münster)리페 자유주, 샤움부르크-리페 자유주와 프로이센 베스트팔렌 주의 북부 절반에서 형성됨
베스트팔렌-쥐트 (Gau Westphalia-South)Westfalen-Süd도르트문트 (Dortmund)프로이센 베스트팔렌 주의 남부 절반에서 형성됨
뷔르템베르크-호헨촐레른 (Gau Württemberg-Hohenzollern)Württemberg-Hohenzollern슈투트가르트 (Stuttgart)뷔르템베르크 자유인민국과 프로이센 호헨촐레른 주에서 형성됨


7. 2. 1930년대에 설립된 국가대관구

오스트리아 합병(안슐루스)과 뮌헨 협정에 따른 주데텐란트 합병 이후 새로운 국가대관구(Reichsgaue)가 설립되었다. 뮌헨 협정으로 얻은 체코슬로바키아의 남부 지역은 수데텐란트에 포함되지 않고 이전 오스트리아의 북부 국가대관구에 통합되었다.[4]

한국어 명칭독일어 명칭행정 중심지설립 시기비고
카린티아Kärnten클라겐푸르트1938년구 오스트리아 연방 주 카린티아와 동티롤로 구성되었으며, 1941년부터는 상카르니올라(Oberkrain|오버크라인de), 슬로베니아가 포함되었다.
하부 다뉴브Niederdonau크렘스 암 다뉴브1938년구 오스트리아 연방 주 니더외스터라이히와 북부 부르겐란트로 구성되었으며, 1939년부터는 남부 모라비아 일부가 포함되었다. 1943년 히틀러는 이 가우를 순회하며 가우라이터 후고 유리에게 수도를 가까운 미래에 브륀(브르노)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잘츠부르크Salzburg잘츠부르크1938년구 오스트리아 연방 주 잘츠부르크로 구성되었다.
슈타이어마르크Steiermark그라츠1938년구 오스트리아 연방 주 슈타이어마르크와 부르겐란트 남부로 구성되었으며, 1941년부터는 하슈타이어마르크, 슬로베니아가 포함되었다.
수데텐란트Sudetenland라이헨베르크1938년뮌헨 협정 이후 독일에 할양된 체코슬로바키아의 주로 독일어를 사용하는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티롤-포어아를베르크Tirol-Vorarlberg인스브루크1938년구 오스트리아 연방 주 포어아를베르크와 북부 티롤로 구성되었다.
상부 다뉴브Oberdonau린츠1938년구 오스트리아 연방 주 오베뢰스터라이히와 슈타이어마르크의 일부인 아우세어란트로 구성되었으며, 1939년부터는 남부 보헤미아 일부가 포함되었다.
Wien1938년구 오스트리아 연방 주 과 주변의 구 니더외스터라이히 일부로 구성되었다.


7. 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설립된 국가대관구

1939년에 폴란드로부터 합병된 영토와 단치히 자유시에는 바르타란트와 단치히-서프로이센이라는 가우가 신설되었다.[31] 이 두 가우에 속하지 않은 전쟁 전 폴란드의 합병 지역은 인접한 가우인 동프로이센실레시아에 통합되었다. 1940년에 전쟁 전 프랑스로부터 합병된 룩셈부르크 대공국과 알자스-로렌은 나치 독일의 남서부 가우에 편입되었다.

영어 명칭독일어 명칭행정 중심지설립비고
단치히-서프로이센 (Danzig–West Prussia)Danzig–Westpreußen단치히19391939년 독일이 점령한 단치히 자유시와 폴란드의 포메라니아 주 지역, 그리고 전쟁 전 동프로이센 내에 있던 독일의 서프로이센 행정구를 합쳐서 형성됨.
바르타란트 (Wartheland)Wartheland포즈난 (Posen)1939주로 폴란드의 포즈난 주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독일이 폴란드를 점령한 후 주변 주 지역을 통합하여 만들어짐. 1940년 1월까지는 Reichsgau Posen이라고 불렸으나, 바르타(바르테) 강의 이름을 따서 개명됨.


8. 작전지역

베니토 무솔리니가 실각한 후, 이탈리아 정부는 제2차 세계 대전연합국 진영으로 비밀리에 편을 바꾸는 협상을 시작했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독일은 아크세 작전을 통해 이탈리아의 상당 부분을 점령하고, 그란 삭소 습격으로 무솔리니를 석방하여 독일군 점령 지역에 새로운 파시스트 국가의 괴뢰 지도자로 복귀시켰다. 공식적으로는 이전 파시스트 이탈리아가 장악했던 모든 지역을 통제하고 있었지만, 스위스와 아드리아 해 사이에 위치한 북동부의 상당 부분은 작전 지역(Operationszonen)으로 재편되었다. 이 지역들은 비공식적으로 독일에 합병되어 인접한 라익의 가우에 편입되었다. 이러한 작전 지역은 두 곳이 있었다.

영어 명칭독일어 명칭본부설립비고
아드리아 해 연안 작전 지역Operationszone Adriatisches Küstenland (OZAK)트리에스테1943년유고슬라비아슬로베니아에 있던 이탈리아 점령 지역, 이스트리아 반도, 리예카(피우메) , 프리울리고리치아 지방으로 구성되었다. 카린티아 가우에 부속되었으나 통합되지는 않았다.
알프스 산록 작전 지역Operationszone Alpenvorland (OZAV)볼차노1943년이전의 남티롤, 이탈리아 트렌티노와 이탈리아 북동부의 인접한 소규모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티롤-포어아르베르크 가우에 부속되었으나 통합되지는 않았다.



1943년 9월 10일자 보충 OKW 명령에서 아돌프 히틀러는 이탈리아 북부에 추가적인 작전 지역을 설립하는 것을 선포했는데, 이 지역은 프랑스 국경까지 뻗어 있었다. 알펜폴란트(Alpenvorland)와 퀴스텐란트(Küstenland)와 달리, 이 지역들은 민간 고문으로서 고등판무관을 즉시 받지 못했지만, 사령관이 B군 사령부를 대신하여 권력을 행사하는 군사 지역이었다. 노르트베스트알펜(Nordwest-Alpen) 또는 슈바이처 그렌체(Schweizer Grenze) 작전 지역은 스텔비오 고개와 몬테 로사 사이에 위치했으며, 이탈리아의 손드리오와 코모 지방 전체와 브레시아, 바레세, 노바라, 베르첼리 지방의 일부를 포함했다. 프랑세지셰 그렌체(Französische Grenze) 지역은 몬테 로사 서쪽 지역을 포함했으며, 아오스타 지방과 토리노 지방의 일부, 그리고 추정컨대 쿠네오와 임페리아 지방도 포함했다.[11] [12]

9. 총독부

독일의 폴란드 침공 및 점령 이후, 아돌프 히틀러는 1939년 10월 12일 독일이 점령한 폴란드 지역이 총독의 행정하에 놓이고, “점령된 폴란드 지역 총독부(General Government)”로 알려지게 될 것이라는 명령에 서명했으며, 이는 10월 26일 발효되었다.[7] 1941년 7월 22일, 독일의 바르바로사 작전에 따른 소비에트 연방 침공과 동갈리치아 점령 이후, 히틀러는 8월 1일부터 폴란드 총독이 해당 지역을 관할하도록 하는 명령에 서명했다.[7]

1941년 8월의 총독부


이론적으로는 독일 제국(Reich)의 경계 밖에 있었지만, 총독부는 나치 관리들에 의해 “자치” 지역(즉, 베를린 정부에 직접 종속되지 않음)으로서 “대독일(Greater Germany)”의 일부로 간주되었다.[8] 총독부는 보호령이 아니라, 제국 및 그 법률 밖에 있는 식민지였다. 폴란드 주민들은 사실상 무국적자였고 권리가 없었다.[9]

총독부는 4개의 디스트리크트(Distrikte, 구역)로 세분되었다.

구역
크라쿠프 구역
바르샤바 구역
루블린 구역
라돔 구역



1941년 소련 침공 이후, 이전 오스트리아의 갈리치아 지역으로부터 만들어진 다섯 번째 구역인 갈리치아 구역(Distrikt Galizien)이 추가되었다.[10]

10. 보헤미아-모라비아 보호령

1939년 3월 15일, 독일군은 뮌헨 협정 이후 독일에 합병된 수데텐 지역 이후 존재했던 체코슬로바키아 잔여 국가를 침공하여 점령했다.[5] 같은 해 3월 16일, 히틀러는 독일이 점령한 보헤미아와 모라비아 지역을 "대독일"에 편입한다는 내용의 법령에 서명했다.[5] 이 지역들은 공식적으로 합병되지는 않았지만, 보헤미아와 모라비아 보호령으로서 독일의 보호 아래 놓였다.[5] 이 지역에 거주하는 독일계 주민들은 독일 시민이 되었다.[5] 별도의 토착 정부가 유지되었지만, 실질적인 행정권을 행사하는 독일의 ''라익스프로테크토르''가 임명되었다.[5]

보호령 내에는 두 가지 별도의 영토 행정 구조가 존재했다.[6] 보호령 정부의 행정은 두 개의 ''랜더''(주)인 보헤미아와 모라비아로 나뉘었고, 다시 여러 개의 더 작은 단위로 세분되었다.[6] 나치당은 이 지역을 네 개의 별도 당 지역으로 나누었지만, 네 개의 새로운 ''가우''를 만들기보다는 주변 당 지역인 바이로이트 가우, 수데텐란트 라익스가우, 하부 다뉴브 라익스가우, 상부 다뉴브 라익스가우에 조직적으로 배속시켰다.[6] 이 두 가지 별도의 정부 및 당 부문은 보호령이 존재하는 동안 계속 공존했다.[6]

보호령 내의 정부 구역.


11. 계획된 미래 지구

프린츠-오이겐 관구 의 예상 영역 .


나치 정부는 이미 크게 확장된 독일 영토를 더욱 넓히려는 공격적인 영토 확장주의를 공공연히 추구하고 실행했다.[13] 이러한 미래의 영토 확장을 예상하여 나치 이데올로그, 정부 관리 및 영토 계획 부서에서는 잠재적인 새로운 행정 구역에 대해 이론화했다. 이러한 확장은 두 가지 독립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질 예정이었다.

11. 1. 동유럽으로의 영토 확장

독일 국민의 생활권을 확장하기 위해, 슬라브계, 발트 및 기타 동유럽 인구는 절멸, 추방, 기아, 그리고 노예화의 복합적인 과정을 통해 제거될 예정이었으며, 장기적으로 이 지역들을 효과적으로 독일화할 계획이었다.[14] 나치 인종 사무소는 정복한 동부 지역에 대한 게르만 민족 식민지화가 소위 세 개의 ''지들룽스마르켄''(정착 변방) 또는 인게르만란드(인그리아), 메멜-나레프 지역, 그리고 남부 우크라이나와 크림 반도의 ''라이히스마르켄''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계획했다.[15] 이 중 후자는 한때 거주했던 크림 고트족을 기념하여 새로운 ''고텐가우''(가우 of the 고트족)로 재편될 예정이었다.[15] 발트 국가 중에서는 ''페이푸스랜드''가 에스토니아의 대체 명칭으로, ''두날랜드''가 라트비아의 대체 명칭으로 제안되었다.[16]

1941년 7월 16일 회의에서 히틀러는 정복된 소비에트 영토의 미래 조직에 대해 논의하면서, 위에서 언급된 지역뿐만 아니라 발트 지역 전체(동부지역 총독부), 볼가 독일인 식민지, 그리고 바쿠 지구를 미래의 ''라이히스게비텐''(라이히 영토)으로 만들겠다는 의도를 밝혔다.[17] 1941년 11월 3일, 그는 동부의 독일화에 대한 지명적 측면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했다.

총독부 내의 중부 및 상류 비스툴라 강 유역은 하나의 ''반달렌가우''(가우 of the 반달족) 또는 3~5개의 다른 새로운 라이히스가우가 될 것으로 다양하게 논의되었다.[19] 1939년의 초기 제안에서는 크라쿠프 서쪽 지역에서 동쪽의 산 강까지 뻗어 있는 ''라이히스가우 베스키덴란트''의 건설을 옹호하기도 했다.[20] 추축국 점령 유고슬라비아에서는 다뉴브 슈바벤의 이익을 대표하는 나치 대표 제프 얀코가 바치카, 바나트, 트란실바니아(''세벤뷔르겐'')의 일부, 그리고 바라냐의 유고슬라비아 영토를 포함하는 ''라이히스가우 바나트'' 또는 ''프린츠-외겐-가우''의 설립을 촉구했다.[21]

11. 2. 게르만 국가의 합병

나치 독일의 인종 정책은 여러 유럽 민족들 중 북유럽인, 특히 독일인(스위스인과 오스트리아인은 기껏해야 하위 지역 정체성으로 여겨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네덜란드인, 플랑드르인, 덴마크인, 노르웨이인, 스웨덴인, 영국인을 우월한 아리아계-노르딕 마스터 레이스(''Herrenrasse'')의 일부로 분류했다.[22][23] 합병을 통해 오스트리아대독일(''Großdeutschland'')에 통합된 후, 히틀러는 자신이 인종적 자격으로 라인강 제국에 "속한다"고 간주하는 다른 모든 국가에도 같은 정책을 따를 것이라고 결정했다.[24] 이는 저지대 국가, 적어도 독일어 사용 지역의 스위스, 리히텐슈타인[25]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이 더 큰 대게르만 제국(''Großgermanisches Reich'')에 병합될 것임을 의미했다.

이후 이들 국가가 독일 제국으로부터 독립적이거나 분리되었다는 개념 자체는 무기한으로 억압될 예정이었다.[28] 이 목표는 신속하게 강제된 새로운 글라이히샬퉁 시대의 개막을 요구했으며, 그 결과 이들 국가는 지역 "방언"을 제외하고 모든 정치적, 사회적 측면에서 국가 사회주의 독일의 완벽한 복제품이 될 것이었다.[29]

11. 3. 벨기에 분할 계획

1940년 독일벨기에 침공 이후 군정이 실시되었다. 1944년 7월, "대독일" 편입의 전 단계로 민정이 시작되었다. 같은 해 12월, 벨기에는 두 개의 제국 대관구와 직할시로 분할될 예정이었으나, 연합군의 진격으로 인해 서류상에만 그쳤다.

  • 플랑드르 제국 대관구(Reichsgau Flandern der NSDAP)
  • 관구청은 안트베르펜(Antwerpen)에 설치될 예정이었다.[41] 현재 플랑드르 지역(Vlaanderen)과 일치한다. 대관구 지도자는 예프 판 데 비엘레(Jef Van de Wiele)였다.
  • 왈롱 제국 대관구(Reichsgau Wallonien der NSDAP)
  • 관구청은 리에주(Liège)에 설치될 예정이었다.[41] 현재 왈롱 지역(Wallonie)과 일치한다. 대관구 지도자는 레옹 드그렐(Léon Degrelle)이었다.


브뤼셀(Bruxelles) 직할시는 제국 위원(Reichskommissar)의 통치하에 놓일 예정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Die NS-Gaue http://www.dhm.de/le[...] 2008-06-25
[2] 웹사이트 The Organization of the Nazi Party & State http://www.nizkor.or[...] 2008-06-25
[3] 웹사이트 Gau (NSDAP) - Kontinuität der Gaugliederung nach 1933 http://www.historisc[...] 2008-06-25
[4] 서적 Prague in black: Nazi rule and Czech nationalism Harvard University Press
[5] 법령 Decree of 16 March 1939 establishing the Protectorate of Bohemia and Moravia https://mzv.gov.cz/f[...]
[6] 서적 Bohemia in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Third Reich Da Capo Press
[8] 서적 Non-Germans under the Third Reich: The Nazi Judicial and Administrative System in Germany and Occupied Eastern Europe with Special Regard to Occupied Poland https://books.google[...] Harold Bold Verlag
[9] 서적 The Third Reich at War Penguin Press
[10] 서적 A History of Ukrain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1] 서적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Volume V/II: Organization and Mobilization in the German Sphere of Power: Wartime Administration, Economy, and Manpower Resources 1942-1944/5
[12] 서적 Nationalsozialistische Besatzungs- und Annexionspolitik in Norditalien 1943 bis 1945 https://books.google[...]
[13] 서적 Fascist Ideology: Territory and Expansionism in Italy and Germany, 1922-1945 https://books.google[...] Routledge
[14] 서적 Poland under Nazi Occupation http://www.dac.neu.e[...] Polonia Pub. House 2014-03-12
[15] 서적 Himmler's Raumplanung im Osten: Der Generalplan Ost im Polen https://books.google[...] Birkhäuser
[16] 서적 Latvia in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Fordham University Press
[17] 문서 Martin Bormann’s Minutes of a Meeting at Hitler’s Headquarters (16 July 1941) http://germanhistory[...]
[18] 서적 Hitler's Table Talk 1941-1944 Enigma Books
[19] 서적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Volume 5 part 2: Organization and Mobilisation in the German Sphere of Power. War Administration, Economy, and Manpower Resources 1942-1944/5 https://books.google[...] Deutsche Verlags-Anstalt GmbH
[20] 서적 Germany Turns Eastwards: A Study of Ostforschung in the Third Reic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Serbien ist judenfrei": militärische Besatzungspolitik und Judenvernichtung in Serbien 1941/42 https://books.google[...] Oldenbourg Wissenschaftsverlag
[22] 서적 Europe: A Tantalizing Romance. Past and Present Europe for Students and the Serious Travell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3] 서적 The Germanic Isle: Nazi Perceptions of Britai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Hitler's War Aims: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Order W.W. Norton & Company Inc.
[25] 서적 Hitler's War Aims: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Order W.W. Norton & Company Inc.
[26] 서적 Resistance fighter: a personal history of the Danish resistance movement, 1940-1945 Gefen Publishing House Ltd
[27] 서적 Het Koninkrijk der Nederlanden in de tweede wereldoorlog: Voorspel https://books.google[...] M. Nijhoff
[28] 서적 Hitler's War Aims: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Order W.W. Norton & Company Inc.
[29] 서적 The Kingdom of the Netherlands in the Second World War: March '41 – July '42. Volume 5 part 1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30] 서적 Borders and territories https://books.google[...]
[31] 웹사이트 Die NS-Gaue http://www.dhm.de/le[...] 2008-06-25
[32] 웹사이트 The Organization of the Nazi Party & State http://www.nizkor.or[...] 2008-06-25
[33] 웹사이트 Gau (NSDAP) - Kontinuität der Gaugliederung nach 1933 http://www.historisc[...] 2008-06-25
[34] 문서 노이만
[35] 문서 노이만
[36] 서적 Neumann
[37] 서적 Miller
[38] 문서 슬로베니아의 지역 행정 구획#전통적인 지역
[39] 문서 대관구는 원래 나치당의 조직이었기 때문에 독일 국내에만 설치된 것이 아니었다.
[40] 서적 Miller
[4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