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카센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카센도는 에도 시대에 에도에서 교토까지 이어진 일본의 주요 간선 도로 중 하나이다. 7세기 율령 시대에 도산도의 일부로 시작되어 센고쿠 시대를 거치며 도로 체계가 정비되었고, 에도 시대에 고카이도 중 하나로 지정되어 쇼군과 다이묘의 이동로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국도 17호선, 18호선 등을 비롯한 여러 도로가 나카센도의 경로를 따르고 있으며, 나가노 현의 쓰마고주쿠와 기후 현의 마고메주쿠를 잇는 구간은 옛 모습을 잘 간직하여 관광 명소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나카센도
지도
기본 정보
다른 이름기소카이도(木曾街道)
로마자 표기Nakasendō
별칭중앙 산악로
일반 정보
총 길이534km
노선일본의 에도 시대의 5개의 주요 도로 중 하나
역사
설명에도와 교토를 연결하는 5개의 주요 도로 중 하나였으며, 해안을 따라가는 도카이도의 대안 노선
산악 지역을 통과했기 때문에 일부 구간은 도카이도보다 험준했음
에도 시대 동안 교통과 상업에 중요한 역할 담당
일부 구간은 국도 17호선과 국도 18호선과 겹침
다이묘들의 참근교대에도 사용됨.
특징
숙박 시설역참 역할을 했던 슈쿠바 마을을 따라 형성
여행자에게 숙박 시설, 음식 및 기타 편의 시설을 제공
관광현재는 하이킹 및 관광 코스로 이용됨
경로를 따라 보존된 여러 슈쿠바 마을이 있음
우키요에 예술가 우타가와 히로시게가 그의 작품에서 나카센도의 풍경을 묘사함
관련 작품
드라마NHK BS 시대극 일로에서 나카센도를 배경으로 참근교대의 여정을 그림

2. 역사

나카센도는 에도 시대 이전에 '산도(山道)' 또는 '도산도'라는 이름으로 존재했던 오래된 길이었다. 7세기 초 율령제가 시작될 무렵에는 도산도에 속했으며, 센고쿠 시대에는 다케다씨(가이국) , 오가사와라씨(시나노국), 가나모리 씨(히다국), 오다씨(미노국) 등이 이 지역을 통치했다.

도쿠가와 막부는 쇼군과 다이묘들이 사용하는 공식 도로로 지정하고 지방 지배권 강화를 위한 통신망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1716년에는 도쿠가와 막부에 의해 中山道일본어로 명칭이 통일되었다. 나카센도는 에도(지금의 도쿄)에서 혼슈 중앙의 산지를 통과해 교토까지 연결되었으며, 현대에도 일부 구간은 옛 모습을 간직하거나 복원되어 있다. 특히 나가노현의 쓰마고주쿠와 기후현의 마고메주쿠를 연결하는 기소 계곡 부분은 시마자키 도손의 소설 동트기 전에 등장하여 유명해졌으며, 보행로로 보존되어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나카센도의 많은 부분은 현대적인 도로로 정비되었는데, 주요 경로는 다음과 같다.

경로현대 도로
도쿄 - 다카사키시(군마현)국도 17호선
다카사키 시 - 가루이자와정(나가노현)국도 18호선
사쿠시 - 시모스와정(나가노현)국도 142호선
시모스와 시 - 시오지리시(나가노현)국도 20호선
시오지리 시 - 에나시(기후현)국도 19호선
미타케정(기후현) - 마이바라시(시가현)국도 21호선
마이바라 시 - 구사쓰시(시가현)국도 8호선
구사쓰 시 - 교토 시국도 1호선



나카센도를 따라 건설된 철도로는 다카사키 선, 신에쓰 본선, 주오 본선, 다이타 선, 도카이도 본선 등이 있다.

2. 1. 율령 시대

7세기 초, 율령제가 시행될 무렵 나카센도가 지나는 지역은 도산도에 속했다. 율령 시대에 '''도산도'''는 관내에서 동일본의 각 중요 지역이 위치한 내륙부를 경유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육오국에 이르는 간선 도로로 정비되었다. 도중에 상노국에서 분기하여 무사시국으로 향하는 동산도무사시로도 있었는데, 이는 후의 나카센도보다 서쪽 경로를 따랐다.

2. 2. 센고쿠 시대

센고쿠 시대에 도산도는 다케다 씨(카이 국), 오가사와라 씨(시나노 국), 가나모리 씨(히다 국), 오다 씨(미노 국) 등 일본 씨족들이 지배하였다. 도카이도와 연결하기 위해 도로망이 개발되었으며, 이 도로는 오늘날 일본의 국도인 52호선, 151호선, 153호선, 22호선과 대체로 일치한다.

2. 3. 에도 시대

1600년(게이초 8년),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군세가 세키가하라 전투로 향하면서 나카센도를 통과했다.[6]

1601년(게이초 6년)부터 7년에 걸쳐 에도 막부는 다른 고카이도와 함께 나카센도를 정비했다. 이전의 도산도를 개량한 구간이 많았지만, 오이슈쿠(기후현 에나시) - 미타케슈쿠(기후현 가니군 미타케정) 구간이나, 가노슈쿠(기후현 기후시) - 아카사카슈쿠(기후현 오가키시) 구간 등 새로 만들어진 구간도 있었다.

전국 시대까지는 '''산길'''이나 '''도산도'''라고도 불렸다. 에도 시대에는 '''나카센도'''나 '''추센도'''라고도 표기되었지만, 1716년(교호 원년)에 아라이 하쿠세키의 의견을 반영한 에도 막부의 통달에 따라 '''나카센도'''로 통일되었다. 한편 서민들에게는 '''기소가도'''나 '''기소지'''와 같은 오래된 명칭, 속칭도 사용되었다. 또한, 몇몇 험준한 고개길이 있었다. 도카이도처럼 장기간에 걸친 뱃길 막힘이 있는 하천은 비교적 적다고 할 수 있지만, 나가라가와의 범람과 뱃길 막힘에 유의하는 등 하천 대책은 어느 정도 필요했다.

'''나카센도는 히메가도'''라고도 불리며, 교토의 궁중에서 쇼군가에 시집갈 때 통과하는 길이었다. 황녀 가즈노미야를 비롯해 도쿠가와 이에사다의 두 번째 정실인 정신인은 63번째 도리이모토슈쿠에서 휴식을 취했다[15]

막말, 분큐 원년(1861년 10월 20일)에 황녀 가즈노미야는 도쿠가와가에 시집가기 위한 에도행 길에 올랐다. 처음에는 도카이도로 계획되었으나 나카센도로 변경되어 이용되었다.

우에노국 우스이고개(군마현 안나카시), 시나노국 후쿠시마슈쿠(나가노현 기소군 기소정), 시나노국 니에카와슈쿠(나가노현 시오지리시)의 3곳에 관소가 설치되었다.

2. 4. 메이지 시대 이후

메이지 시대 중기 이후, 철도망이 발달하면서 도쿄교토를 잇는 주요 교통로로서의 나카센도는 점차 쇠퇴했다. 그러나 나카센도의 각 구간은 여전히 지역 간 중요한 도로로 남아 있었다.[8] 특히, 나가노현기후현에 있는 세 구간은 1987년 중앙 정부에 의해 일본의 국가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여기에는 와다슈쿠(和田宿)와 와다 고개(和田峠) 사이 구간, 시오지리주쿠(塩尻宿)와 미도노주쿠(御野宿) 사이 구간, 그리고 쓰마고주쿠(妻籠宿)와 마고메주쿠(馬籠宿) 사이 구간이 포함된다.[8]

가장 유명한 구간은 기소 계곡(木曽谷)에 있는 쓰마고주쿠와 마고메주쿠 사이 구간이다. 이 지역은 20세기 초 작가 시마자키 도손이 그의 대표작 ''새벽 전''에서 메이지 유신이 계곡에 미친 영향을 기록하면서 유명해졌다. 나카센도의 이 8km 구간은 여전히 도보로 이동할 수 있으며, 쓰마고주쿠와 마고메주쿠 모두 전통 건축물이 잘 보존되고 복원되어 있다. 역사적인 역참 마을 사이의 산책로는 숲, 복원된 포장 도로, 아름다운 폭포 전망을 따라 2~3시간 정도 소요된다.

1869년(메이지 2년), 메이지 정부는 도쿄 - 교토 간 철도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도카이도 본선 루트'''와 '''중앙본선 루트''' 두 가지 안이 있었는데, 초기에는 중앙본선 루트가 적합하다고 결정되었다.[16] 그러나 자금난과 우스이 峠 등의 산길 통과의 어려움,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의견[18] 등으로 인해 1886년에는 도카이도 루트로 변경되었다.[17]

1889년 7월 1일, 도카이도 본선이 완전 개통되면서 나카센도는 그 역할을 크게 바꾸게 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나고야를 중심으로 하는 방사형 교통망이 정비되면서 사람과 물류의 구조가 변화했기 때문이다.

이후 나카센도 루트에는 다카야마 본선, 다이타 선, 주오 본선, 신에쓰 본선, 다카사키 선 등 여러 국철 노선이 정비되었지만, 동서를 잇는 간선 역할은 하지 못하고, 각 지역을 연결하는 역할이나 동서 간선의 보조 루트 역할을 하게 되었다.

와다토게(和田峠)를 넘는 이와무라다슈쿠(岩村田宿) - 시모스와슈쿠(下諏訪宿) 구간에는 철도가 건설되지 않았고,[20] 현재도 고속도로 계획은 없다. 도쿄 - 시모스와마치(下諏訪町) 간의 내륙 루트는 고슈 가도 루트(고후 경유)가 주류가 되었고, 시모스와 이서가 나카센도 루트가 되었다.

1950년대 이후에는 국토 개발 간선 자동차도 계획으로 고슈 가도기후현 도노 지방에서 나카센도와 병주하는 주오 고속도로가 건설되어, 도쿄와 니시노미야를 잇는 동서 간선이 되고 있다.

3. 주요 경로 및 역참

에도의 니혼바시에서 시작하여 교토의 산조오하시까지 이어지는 나카센도는 총 69개의 역참(숙소)이 있었다. 나카센도는 도카이도에 비해 약 40km 더 길고, 역참도 16개 더 많았다.[11]

나카센도는 비교적 험준한 산길이 많고, 겨울에는 추위도 심한 내륙 지방을 지나기 때문에, 눈이 내리면 통행이 어려워 하루 이동 거리가 짧아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카이도에는 배의 사용이 허용되지 않고 가와고시 인부가 배치되었으며, 때로는 장기간 강이 막히는 일도 있었던 오이가와(大井川), 아베가와(安倍川) 등[13]과 험준한 하코네 고개(箱根峠) 등 교통난이 많았고, 에도 막부에 의한 "입철포출녀(入鉄砲出女)" 단속이 엄격했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을 피해 나카센도를 선택하는 사람들도 많았다고 한다. 또한, 나카센도 길의 여관(旅籠) 숙박비는 도카이도보다 약 2할 정도 저렴했다고 한다.[11]

나카센도는 현대에도 일부 구간이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거나 복원되어 있다. 특히 나가노현의 쓰마고주쿠와 기후현의 마고메주쿠를 연결하는 기소 계곡 부분은 20세기 초 작가 시마자키 도손의 소설 동트기 전에 의해 유명해졌으며, 두 역참 사이의 8km 구간은 여전히 보행로로 보존되어 있다.

나카센도의 많은 부분은 옛 모습 그대로 존재하지 않지만, 옛길을 따라 현대적인 도로가 정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국도 17호선은 도쿄에서 다카사키시까지, 국도 18호선은 다카사키 시에서 가루이자와정까지, 국도 19호선은 시오지리시에서 에나시까지 나카센도의 경로를 따른다. 또한, 다카사키 선, 신에쓰 본선, 주오 본선 등 철로도 나카센도를 따라 건설되었다.

오십오리塚 터, 시모스와슈쿠


나카센도의 계단 (후쿠시마슈쿠)


일리塚(기후현 타루이정)


왼쪽이 나카센도 와라비슈쿠, 오른쪽이 국도 17호선(와라비시 키타마치)

3. 1. 주요 역참

板橋宿일본어 이타바시슈쿠는 도쿄도 이타바시구에 위치한 첫 번째 역참이었다. 蕨宿일본어 와라비슈쿠는 사이타마현 와라비시에 위치해 있었다. 高崎宿일본어 다카사키슈쿠는 군마현 다카사키시에 위치했다. 軽井沢宿일본어 가루이자와슈쿠는 나가노현 가루이자와정에 위치했으며, 현재는 유명한 휴양지이다. 下諏訪宿일본어 시모스와슈쿠는 나가노현 시모스와정에 위치했다. 妻籠宿일본어 쓰마고주쿠와 馬籠宿일본어 마고메주쿠는 나가노현기후현에 걸쳐 있는 기소 계곡의 대표적인 역참 마을로, 전통 가옥과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유명하다. 関ヶ原宿일본어 세키가하라슈쿠는 기후현 세키가하라정에 위치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草津宿일본어 구사쓰슈쿠는 시가현 구사쓰시에 위치했으며, 도카이도와 합류하는 지점이다.

나카센도에는 에도의 니혼바시에서 이타바시슈쿠, 와라비슈쿠, 다카사키슈쿠, 가루이자와슈쿠, 시모스와슈쿠, 기소지, 세키가하라슈쿠, 오미의 구사쓰슈쿠까지 67개의 역참이 설치되어 있었다.[11]

아래는 주요 역참을 나타낸 그림이다.

  • -* 일본바시
  • 이타바시슈쿠
  • 와라비슈쿠
  • 우라와슈쿠
  • 오미야슈쿠
  • 아가오슈쿠
  • 오케가와슈쿠
  • 코노스슈쿠
  • 쿠마가야슈쿠
  • 후카야슈쿠
  • 혼죠슈쿠
  • 신마치슈쿠
  • 쿠라가노슈쿠
  • 다카사키슈쿠
  • 이타하나슈쿠
  • 안나카슈쿠
  • 마츠이다슈쿠
  • 사카모토슈쿠
  • 가루이자와슈쿠
  • 쿠츠카케슈쿠
  • 오이와케슈쿠
  • 오다이슈쿠
  • 이와무라다슈쿠
  • 시오나다슈쿠
  • 하치만슈쿠
  • 모치즈키슈쿠
  • 아시다슈쿠
  • 나가쿠보슈쿠
  • 와다슈쿠
  • 시모스와슈쿠
  • 시오지리슈쿠
  • 센바슈쿠
  • 혼잔슈쿠
  • 니에가와슈쿠
  • 나라이슈쿠
  • 야부하라슈쿠
  • 미야노고에슈쿠
  • 후쿠시마슈쿠
  • 아게마츠슈쿠
  • 스하라슈쿠
  • 노지리슈쿠
  • 미토메노슈쿠
  • 쓰마고슈쿠
  • 마고메슈쿠
  • 오치아이슈쿠
  • 나카쓰가와슈쿠
  • 오이슈쿠
  • 오아케슈쿠
  • 호소데슈쿠
  • 미타케슈쿠
  • 후시미슈쿠
  • 오타슈쿠
  • 우누마슈쿠
  • 카나슈쿠
  • 가와타슈쿠
  • 미에지슈쿠
  • 아카사카슈쿠
  • 타루이슈쿠
  • 세키가하라슈쿠
  • 이마스슈쿠
  • 카시와바라슈쿠
  • 사케이슈쿠
  • 반바슈쿠
  • 토리이모토슈쿠
  • 타카미야슈쿠
  • 아이치가와슈쿠
  • 무사슈쿠
  • 모리야마슈쿠
  • 쿠사쓰슈쿠
  • 오쓰슈쿠
  • 산조오하시

]]

3. 2. 주요 고개


  • 우스이 고개 (사카모토 슈쿠 - 가루이자와 슈쿠)
  • 와다 고개 (와다 슈쿠 - 시모스와 슈쿠)
  • 마고메 고개 (쓰마고 슈쿠 - 마고메 슈쿠)
  • 가사토리 고개 (아시다 슈쿠 - 나가쿠보 슈쿠)
  • 시오지리 고개 (시모스와 슈쿠 - 시오지리 슈쿠)
  • 토리이 고개 (나라이 슈쿠 - 야부하라 슈쿠)
  • 쥬큐 고개 (마고메 슈쿠 - 오치아이 슈쿠)
  • 쥬산 고개 (오이 슈쿠 - 오구 슈쿠)
  • 비와 고개 (오구 슈쿠 - 호소쿠데 슈쿠)
  • 모노미 고개 (호소쿠데 슈쿠 - 미타케 슈쿠)
  • 우토 고개 (오타 슈쿠 - 우누마 슈쿠)
  • 이마스 고개 (세키가하라 슈쿠 - 이마스 슈쿠)
  • 스리바리 고개 (반바 슈쿠 - 도리이모토 슈쿠)

4. 현대의 나카센도

나카센도는 현대에 들어 대부분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지 않지만, 그 경로는 현대의 도로와 철도로 이어져 있다. 나가노현의 쓰마고주쿠와 기후현의 마고메주쿠를 연결하는 기소 계곡 부분은 예전 모습을 간직한 유명한 구간으로, 20세기 초 작가 시마자키 도손의 소설 동트기 전에 등장하여 더욱 알려졌다. 쓰마고주쿠와 마고메주쿠 사이의 약 8km 구간은 보행로로 보존되어 있으며, 숲과 폭포 등 수려한 경관을 감상하며 2~3시간 정도 걸을 수 있다.[22][23][24][25][26]

4. 1. 현대 도로

나카센도는 현대에 들어 대부분 그 형태가 남아있지 않지만, 그 경로는 대체로 현대 도로를 따라 이어진다.

  • 국도 17호선: 도쿄에서 다카사키까지
  • 국도 18호선: 다카사키에서 가루이자와까지
  • 국도 142호선: 사쿠에서 시모스와까지
  • 국도 20호선: 시모스와에서 시오지리까지
  • 국도 19호선: 시오지리에서 에나까지
  • 국도 21호선: 미타케에서 마이바라까지
  • 국도 8호선: 마이바라에서 쿠사쓰까지
  • 국도 1호선: 쿠사쓰에서 교토까지[22][23][24][25][26]


다음 철도 노선들은 나카센도의 경로를 일부 따른다.

메이지 중기 이후, 철도망이 발달하면서 도쿄와 교토를 잇는 주요 도로로서의 나카센도는 점차 쇠퇴했다. 그러나 나카센도의 각 구간은 여전히 중요한 도로로 남아 있었다. 예를 들어, 도쿄와 나가노현을 잇는 구간, 나고야와 나가노현을 잇는 구간 등이 그러하다.

다른 에도 5가도가 주로 1~2개의 국도로 계승된 것과 달리, 나카센도는 여러 도로로 분할되어 있다. 현재는 다음 도로들이 나카센도에 해당하며[22][23][24][25][26], 일부 구간은 '나카센도'라는 명칭이나 애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 국도 17호선: 니혼바시 - 다카사키 키미가요바시히가시 교차로
  • 국도 18호선: 키미가요바시히가시 교차로 - 가루이자와 마세구치 교차로
  • 나가노현도 9호 사쿠카루이자와선(長野県道9号佐久軽井沢線): 마세구치 교차로 - 사쿠 아이오이초 교차로
  • 나가노현도 44호 시모니타아사카선(長野県道44号下仁田浅科線): 아이오이초 교차로 - 사쿠시 이와무라다
  • 나가노현도 154호 시오나다사쿠선(長野県道154号塩名田佐久線): 사쿠시 이와무라다 - 아사마병원 서쪽 교차로
  • 사쿠시도(佐久市道): 아사마병원 서쪽 교차로 - 하치만 서쪽 교차로
  • 국도 142호선: 하치만 서쪽 교차로 - 시모스와 타이샤도리 교차로
  • 국도 20호선: 타이샤도리 교차로 - 시오지리 타카데 교차로
  • 국도 19호선: 타카데 교차로 - 미나미키소 미나미키소정 츠마고 교차로
  • 국도 256호선: 미나미키소정 츠마고 교차로 - 미나미키소정 하시바
  • 기후현도·나가노현도 7호 나카츠가와미나미키소선(岐阜県道・長野県道7号中津川南木曽線): 미나미키소정 하시바 - 나카츠가와시(中津川市)오치아이 오키타 교차로
  • 국도 19호선: 오키타 교차로 - 미즈나미 나카오오지마 교차로
  • 기후현도 65호 에나미타케선(岐阜県道65号恵那御嵩線): 나카오오지마 교차로 - 미타케 미사노
  • 국도 21호선: 미타케정 미사노 - 요네하라 요네하라 경찰서 앞 교차로
  • 국도 8호선: 요네하라 경찰서 앞 교차로 - 교토 카라스마고죠 교차로
  • 국도 1호선: 카라스마고죠 교차로 - 토바오하시(鳥羽大橋)


국도 17호선의 니시스가모 교차로에서 사이타마현 경계까지의 구간은 도쿄도에서 '나카센도'(中山道)라는 통칭 도로명으로 불리고 있다.[27][28]

  • 출발점: 도시마구 니시스가모 3정목 니시스가모 교차로
  • 종착점: 이타바시구 후나도 3정목 토다바시 사이타마현 경계
  • 통과하는 자치체: 기타구


교차하는 도로교차로 명칭소재지
국도 17호선 (백산도리)・스가모・혼고・니혼바시 방면
국도 122호선・도쿄도도 305호 시바신주쿠오지선(메이지도리)도쿄도도 305호 시바신주쿠오지선 (메이지도리)니시스가모도시마구
(구 나카센도)이타바시우편국 앞이타바시구
 도쿄도도 317호 환상 6호선 (야마테도리)
도쿄도도 420호 사메스즈오야마선
나카스쿠
도쿄도도 318호 환상 7호선 (칸나나도리)야마토마치 (이타바시구)
(구 나카센도)  
도쿄도도 445호 도키와다이아카바네선 (후쿠주도리·마에노츄오도리)시무라경찰서 앞
도쿄도도 311호 환상 8호선 (칸하다도리)시무라 3쵸메
 도쿄도도 446호 나가토아카츠카선 (타카시마도리)시무라사카시타
도쿄도도 447호 아카바네니시다이선후나도
국도 17호선 (나카센도) 사이타마・쿠마가야・다카사키 방면



군마현 다카사키시의 신고칸마치 교차로에서 이와하나마치 교차로까지 이어지는 군마현도 12호 마에바시다카사키 선, 군마현도 121호 와다타나카쿠라카노 선 및 다카사키시도는 '옛 나카센도'(きゅうなかせんどう)라는 도로 애칭명(번호 28번)으로 불리고 있다.[30]


  • 출발점: 와다타나카정 3-12 신고칸정 교차로(산죠오하시 쪽)
  • 종착점: 이와하나정 247 이와하나정 교차로(니혼바시 쪽)
  • 연장: 6,100m
  • 공식 명칭: 군마현도 12호 마에바시다카사키선(신고칸정 교차로 - 와다타나카정 교차로), 군마현도 121호 와다타나카쿠라가노선(와다타나카정 교차로 - 신야나세바시키타 교차로), 다카사키시도(신야나세바시키타 교차로 - 이와하나정 교차로)


교차하는 도로교차로 명칭
군마현도 71호 다카사키 카미누 칫푸 선군마현도 12호 마에바시 다카사키 선신고칸초
국도 17호 다카사키 바이패스(나카센도)국도 17호 쿠라가노 바이패스(나카센도)와다타나카초
 군마현도 138호 쿠라가노 역전 선쿠라가노 역 입구
군마현도 173호 카나이 쿠라가노 역전 선나카마치
 군마현도 133호 모토시마나 쿠라가노 선 
 (레이헤이시 가도)시타마치
국도 17호 쿠라가노 바이패스(나카센도)신야나세바시키타
군마현도 13호 마에바시 나가토로 선(나가토로 선)이와하나시마치


  • 위쪽이 가루이자와 방향, 아래쪽이 니혼바시 방향. 왼쪽이 가루이자와 방면 차선, 오른쪽이 니혼바시 방면 차선이다.
  • 나카마치 교차로는 쿠라가노 역 방향 진입 금지.

4. 2. 철도

다카사키선, 신에쓰 본선, 주오 본선, 다이타선, 도카이도 본선 등이 나카센도의 경로를 따라 건설되었다.[16]

메이지 시대 중기 이후, 철도망이 발달하면서 도쿄와 교토를 잇는 주요 도로로서의 나카센도는 점차 쇠퇴했다. 그러나 나카센도의 각 구간은 여전히 중요한 도로로 남아 있었다. 예를 들어, 도쿄와 나가노현을 잇는 구간(도쿄-나가노), 나고야와 나가노현을 잇는 구간(나고야-나가노) 등이 그러했다.

1869년, 메이지 정부는 도쿄와 교토를 잇는 철도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이 철도 건설은 국가 발전에 중요한 사업으로 여겨졌으며, 도카이도 본선 루트와 주오 본선 루트가 검토되었다. 여러 차례의 현지 조사 결과, 1876년에 주오 본선 루트가 적합하다는 결론이 내려졌다.[17]

그러나 자금 부족으로 정부의 철도 건설은 지연되었고, 1883년에 다시 노선 검토가 이루어졌다. 이때 주오 본선 루트는 이미 사철인 일본철도에 의해 일부 구간(우에노-구마가야, 우에노-다카사키)이 개통되었거나 개통 예정이었기 때문에 유리한 점이 있었다. 또한, 군부의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해안 방어의 취약성을 이유로 산악 지역에 철도를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18][19]

결국, 주오 본선 철도 건설이 결정되었고, 당시 일본의 주요 수출품이었던 생사의 주요 생산지인 군마현나가노현을 통과함으로써 산업 진흥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 결정에 따라, 관설철도(일본국유철도의 전신)에 의해 주오 본선 본선과 지선 건설이 진행되었다. 주요 개통 내역은 다음과 같다.

  • 1882년 3월 10일: 나가하마-야나가세, 도도구치(가)-가네가사키(현재의 쓰루가항) 간 (동서 간선 루트 결정 전 개통)
  • 1884년 4월 16일: 야나가세-도도니시구치(가) 간
  • 1884년 5월 25일: 오가키-나가하마 간
  • 1885년 10월 15일: 다카사키-요코가와 간
  • 1886년 3월 1일: 무토요-오부-아쓰타
  • 1886년 4월 25일: 아쓰타-오가키 간 (무토요-쓰루가-가네가사키 간 개통)


그러나 1886년 7월 19일, 메이지 정부는 동서 간선 루트를 도카이도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우스이 고개주오 본선 루트의 난공사 구간으로 인해 공사 기간과 비용이 증가하고, 개통 후 수송력 제한이 우려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나고야 시장은 도카이도 루트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며 국가에 활동을 했다.

결국, 1889년 7월 1일, 도카이도 본선 신바시(후의 시오도메)-고베 간이 완전 개통되었다. 주오 본선으로 건설된 구간 중 오가키-구사쓰-교토 간과 오부-오가키 간은 도카이도 본선으로 편입되었다.

도카이도 본선의 완전 개통으로 나카센도는 그 역할을 크게 변화시켰다. 메이지 유신 이후 나고야를 중심으로 하는 교통망이 정비되면서, 사람과 물류의 흐름이 변화했기 때문이다.

기후역 서쪽의 나카센도 루트에는 메이신 고속도로도카이도 신칸센이 설치되어 동서 간선의 주요 경로가 되었다. 기후역 동쪽의 나카센도 루트에는 다카야마 본선, 다이타선, 주오 본선, 신에쓰 본선, 다카사키선 등이 정비되었지만, 이들은 동서를 잇는 간선 역할보다는 지역 간 연결이나 동서 간선의 보조 역할(이도(裏道))을 담당하게 되었다.

나카센도 루트 중 와다 고개(나가노현)를 넘는 구간(이와무라다-시모스와)에는 철도가 건설되지 않았다.[20] 현재도 이 구간에는 고속도로 계획이 없다. 이후 도쿄-시모스와 간의 내륙 루트는 나카센도 루트(다카사키 경유)가 아닌 고슈 가도 루트(고후 경유)가 주류가 되었고, 시모스와 서쪽이 나카센도 루트가 되었다.

전후, 일본 경제는 도쿄 일극 집중이 진행되면서 나카센도 루트는 더욱 쇠퇴했다. 그러나 1950년대 이후 국토 개발 간선 자동차도 계획으로 나카센도 루트에 도로를 건설하려는 구상이 다시 나타났다. 주오 고속도로는 메이신 고속도로를 포함하여 도쿄와 니시노미야를 잇는 동서 간선이 되고 있다. 또한, 도카이도 신칸센의 바이패스 역할을 담당하는 주오 신칸센고슈 가도와 나카센도를 따라 건설될 예정이다.

5. 문화 속의 나카센도

시마자키 도손은 마고메 숙소를 배경으로 자신의 고향에서 일어난 역사 소설 夜明け前|요아케마에일본어를 썼다. 현재 마고메에 있는 그의 생가 터에는 후지무라 기념관이 있다.[21]

6. 관광

나카센도는 역사와 자연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매력적인 관광 코스이다. 특히, 나가노현의 쓰마고주쿠와 기후현의 마고메주쿠를 잇는 기소 계곡 구간은 옛 모습이 잘 보존되어 있어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다.[11] 이 구간은 20세기 초 작가 시마자키 도손의 소설 동트기 전의 배경으로도 유명하다. 쓰마고주쿠와 마고메주쿠 사이의 약 8km 구간은 보행로로 보존되어 있으며, 숲과 폭포를 감상하며 2~3시간 정도 걸을 수 있다.

나카센도 와라비슈쿠(역사 민속 자료관 전시)


중앙 상단 건물이 본진


나카센도 연선에는 중요 전통적 건조물군 보존 지구로 선정된 쓰마고주쿠(1976년 선정)와 나라이주쿠(1978년 선정) 등 에도 시대 이전의 가도와 숙소 마을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나라이주쿠와 야부하라주쿠 사이의 토리이 고개와 쓰마고주쿠와 마고메주쿠 사이의 마고메 고개는 자연 유산책로로 정비되어 있다.

최근에는 중앙선을 따라 연계한 관광 진흥 및 홍보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015년에는 중앙선을 따라 위치한 30개 시정촌이 연계하여 역참 인기 투표 이벤트인 "NSD67 총선거!!"를 실시하여 총 8948표를 얻었다.[31][32][33][34] 투표 결과, 나라이주쿠가 1위를 차지했으며, 쓰마고주쿠가 2위를 차지했다.[35]

참조

[1] 서적 Images from the Floating World Chartwell
[2] 웹사이트 Nakasendou Jouhou https://web.archive.[...] 2007-08-18
[3] 서적 Nakasendō o Aruku Yama to Keikoku Publishing
[4] 서적 Battles of the Samurai Arms and Armour Press
[5] 웹사이트 Nakasendo Way - Hiroshige https://www.nakasend[...]
[6] 웹사이트 Japan Atlas: Nakasendo http://web-japan.org[...] 2007-08-02
[7] 웹사이트 Kisoji Shukuba-machi Series https://web.archive.[...] 2007-07-24
[8] 웹사이트 中山道 http://bunka.nii.ac.[...] Agency for Cultural Affairs
[9] 웹사이트 中山道散策 https://www.ktr.mlit[...]
[10] 웹사이트 これまでにない「参勤交代ロードムービー時代劇」をお楽しみください! ~BS時代劇「一路」~ https://web.archive.[...] 2020-04-18
[11] 웹사이트 五街道―諸道の性格 https://www.mlit.go.[...]
[12] 웹사이트 中山道 三大難所(太田宿中山道会館) https://kaikan.ootaj[...]
[13] 문서 中山道でも太田の渡しなどでの川止めはある。
[14] 웹사이트 日光例幣使道とは https://www.city.toc[...] 栃木市 2022-08-06
[15] 서적
[16] 서적 日本鉄道史 上 鉄道省
[17] 서적 日本鉄道史 上 鉄道省
[18] 기록보관소 山県参議建議幹線鉄道布設ノ件
[19] 기록보관소 記録材料・鉄道局年報(国立公文書館)・両京間鉄道幹線ノ沿革
[20] 문서 大正期に小諸と諏訪を結ぶ佐久諏訪電気鉄道の構想があったが実現には至らなかった。
[21] 웹사이트 中山道蕨宿を歩く https://www.pref.sai[...]
[22] 웹사이트 道の名前はどのようにしてつけるのですか? http://www.ctie.co.j[...] 2016-01-18
[23] 웹사이트 馬瀬口 https://www.google.c[...]
[24] 웹사이트 相生町交差点付近 https://www.google.c[...]
[25] 웹사이트 塩名田交差点付近 https://www.google.c[...]
[26] 웹사이트 八幡西交差点周辺 https://www.google.c[...]
[27] 웹사이트 東京都通称道路名一覧表 https://web.archive.[...]
[28] 웹사이트 東京都通称道路名地図(区部拡大版) https://web.archive.[...]
[29] 웹사이트 板橋警察署速度取締指針 https://web.archive.[...] 2015-12-18
[30] 웹사이트 高崎市道路愛称名一覧 http://www.city.taka[...]
[31] 뉴스 NSD67 総選挙!! https://www.city.kus[...] 草津市 2015-12-18
[32] 뉴스 旧中山道の宿場人気投票イベント 奈良井宿1位、妻籠宿2位 http://www.shinmai.c[...] 信毎Web 2016-01-14
[33] 뉴스 中山道宿場町「総選挙」、滋賀の草津宿は5位に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5-12-29
[34] 뉴스 滋賀・草津宿5位、奈良井宿トップ NSD67総選挙 http://www.kyoto-np.[...] 京都新聞 2015-12-28
[35] 뉴스 中山道宿場町の好きな場所は? 滋賀・草津宿街道交流館がSND67総選挙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5-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