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팔의 인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팔의 인구는 2019년 기준 2860만 명으로, 1950년 이후 꾸준히 증가했다. 2021년에는 약 2916만 명으로, 1950년대 자연재해와 정부의 재정착 프로그램, 1980년대 서부 치트완 계곡의 발전 등이 인구 변동에 영향을 미쳤다. 2021년 기준 연령별 인구 구조는 0-14세가 28.41%, 15-64세가 65.69%, 65세 이상이 5.90%를 차지하며, 출생률과 사망률은 감소하는 추세다. 네팔은 힌두교가 다수를 차지하며, 다양한 언어와 민족 집단이 공존한다. 해외에는 약 960만 명의 네팔인이 거주하며, 인도, 아랍에미리트, 사우디 아라비아 등에 많은 네팔인이 거주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의 인구 - 네팔인
    네팔인은 체트리족, 바훈족, 마가르족 등 125개 이상의 민족으로 구성된 네팔의 국민을 지칭하며, 행정 구역은 7개의 주와 77개의 군으로 나뉘고 해외 거주자는 네팔계 이민 또는 비거주 네팔인으로 불린다.
네팔의 인구
기본 정보
2020년 네팔 인구 피라미드
2020년 네팔의 인구 피라미드
민족네팔인
공용어네팔어
인구
2021년 추정29,125,600명
성비 (출생 시)1.06 남성/여성
전체 성비 (2022년 추정)0.96 남성/여성
인구 증가율0.92%
출생률1,000명당 17.53명
사망률1,000명당 5.58명
기대 수명72.4년
기대 수명 (남성)71.66년
기대 수명 (여성)73.17년
합계 출산율1.9명
영아 사망률1,000명당 25.13명
순 이동1,000명당 -4.21명
0-14세28.41%
15-64세65.69%
65세 이상5.90%

2. 인구 통계

유엔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네팔의 주요 인구 통계는 다음과 같다.[45]


  • '''총인구''': 2860만 명
  • '''연령 구조'''
  • * 15세 미만: 29.6%
  • * 15~24세: 22.3%
  • * 25~64세: 42.3%
  • * 65세 이상: 5.8%
  • '''노인 부양 가능 인구''': 7.3명 (65세 이상 노인 1명당 25~64세 노동 인구)
  • '''인구 성장률''': 1.8%
  • '''조출생률''': 19.6명 (인구 1000명당)
  • '''합계출산율''': 1.88명
  • '''조사망률''': 6.3명 (인구 1000명당)
  • '''영아 사망률''': 26명 (1살 미만 1000명당)
  • '''유아 사망률''': 32명 (5세 미만 1000명당)
  • '''기대수명''': 70.8세

2. 1. 인구 성장

네팔의 인구는 최근 수십 년 동안 꾸준히 증가해 왔다. 유엔에 따르면 네팔의 인구는 1950년 848만 명에서 2019년 2860만 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주요 시기별 인구는 1970년 1207만 명, 1990년 1890만 명, 2015년 2701만 명이었다. 연간 평균 인구 성장률은 1950년대 초반 1.9%에서 1980년대 후반 2.3%까지 증가했다가, 2010년대 초반에는 0.0%로 잠시 정체된 후 2010년대 후반에는 1.5% 수준을 보였다.[45]

네팔의 역사적 인구
연도인구
01,000,000
10001,500,000
15002,000,000
16002,500,000
17003,000,000
18004,000,000
19115,638,749
19205,573,788
19305,532,574
19416,283,649
19548,256,625
19619,412,996
197111,555,983
198115,022,839
199118,491,097
200123,151,423
201126,494,504
202129,164,578



2001년 6월 인구 조사에서는 네팔 인구가 약 2300만 명으로 집계되었는데,[8] 이는 1991년 조사 때보다 500만 명 증가한 수치이며, 연평균 2.3%의 성장률을 보였다.[8] 현재 인구는 대략 3000만 명으로 추산되며, 이는 5년마다 약 300만 명씩 증가하는 추세이다.

시간이 흐르면서 티베트와 인도에서 온 이주민들이 유입되었고, 이들과 기존 주민들이 섞이면서 60여 개의 카스트 및 언어 하위 그룹이 형성되었다.[9] 네팔 역사 초기에는 일정 규모의 이민이 있었으나, 그 후 100년 이상 인구는 큰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9] 그러나 1950년대에 발생한 자연재해와 이후 정부의 재정착 프로그램은 구릉 지대에서 평야 지대인 테라이 지역으로의 대규모 내부 이주를 촉발했다.[9] 특히 1980년대에는 서부 치트완 계곡이 네팔 전체의 주요 교통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정부 서비스가 크게 확충되고 사업이 확장되었으며, 농업 분야를 중심으로 고용이 늘어났다. 이에 따라 치트완 계곡의 인구는 내부 이주와 자연 증가를 통해 빠르게 성장했다.[9]

2. 2. 연령별 인구 구조 (2021년)

2011년 인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추정한 2021년 7월 1일 기준 성별 및 연령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14]

연령대남성여성총계%
총계14 734 20115 643 85330 378 055100
0–41 575 1741 459 4413 034 6159.99
5–91 515 0511 414 3462 929 3969.64
10–141 364 2701 301 9062 666 1768.78
15–191 549 1161 493 7233 042 83810.02
20–241 646 1481 627 2473 273 39510.78
25–291 437 0921 531 2522 968 3449.77
30–341 002 2001 293 0072 295 2067.56
35–39835 6681 124 1251 959 7936.45
40–44749 759954 4581 704 2175.61
45–49668 244814 4811 482 7264.88
50–54604 753682 3321 287 0854.24
55–59518 686563 3201 082 0063.56
60–64420 366439 121859 4872.83
65-69330 597348 942679 5392.24
70-74241 518272 499514 0181.69
75-79160 174186 318346 4931.14
80+115 385137 335252 7210.83
연령대남성여성총계백분율
0–144 454 4954 175 6938 630 18828.41
15–649 432 03210 523 06619 955 09865.69
65+847 674945 0941 792 7685.90


2. 3. 출생 및 사망 (UN 추정)

유엔에 따르면 네팔의 인구는 2019년 기준 2860만 명으로, 1950년 848만 명, 1970년 1207만 명, 1990년 1890만 명, 2015년 2701만 명으로 증가했다. 연간 평균 인구 성장률은 1950-1955년 1.9%, 1985-1990년 2.3%에서 2010-2015년 0.0%, 2015-2020년 1.5%로 변화했다.[45]

연간 평균 기준, 출처: 유엔[46]

기간출생아 수사망자 수자연 증감조출생률조사망률자연 증감률합계출산율영아 사망률
1975–1980597,000254,000343,00042.219.322.95.80
1980–1985651,000253,000398,00041.216.924.35.62
1985–1990707,000249,000458,00039.614.325.35.33
1990–1995767,000244,000523,00037.211.625.64.97
1995–2000805,000224,000581,00034.39.424.94.41
2000–2005797,000201,000596,00029.77.821.93.64
2005–2010732,000177,000555,00025.27.018.22.96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right"

|+ UN 추정치

! rowspan=2|연도

! colspan=3|해당 연도 수치

! colspan=3|1,000명당 비율

! rowspan=2|합계
출산율


! rowspan=2|영아
사망률
(1,000명당)

! rowspan=2|기대
수명

(년)

|-

! 출생아 수

! 사망자 수

! 자연
증가

! 조출생


! 조사망


! 자연
증가

|-

|1950

|  395,000

|  218,000

|  177,000

|47.1

|26.0

|21.1

|6.00

|226.7

|37.68

|-

|1951

|  404,000

|  222,000

|  181,000

|47.0

|25.9

|21.1

|6.02

|226.0

|37.75

|-

|1952

|  411,000

|  226,000

|  185,000

|46.9

|25.8

|21.1

|6.03

|225.4

|37.84

|-

|1953

|  418,000

|  231,000

|  187,000

|46.7

|25.8

|20.9

|6.04

|225.0

|37.87

|-

|1954

|  424,000

|  235,000

|  189,000

|46.4

|25.7

|20.7

|6.04

|224.6

|37.90

|-

|1955

|  428,000

|  238,000

|  190,000

|46.1

|25.6

|20.5

|6.03

|224.0

|37.98

|-

|1956

|  433,000

|  241,000

|  192,000

|45.8

|25.5

|20.3

|6.02

|223.2

|38.05

|-

|1957

|  438,000

|  244,000

|  194,000

|45.4

|25.3

|20.1

|6.01

|222.2

|38.14

|-

|1958

|  444,000

|  248,000

|  196,000

|45.2

|25.2

|20.0

|6.00

|221.1

|38.19

|-

|1959

|  449,000

|  250,000

|  199,000

|44.9

|25.0

|19.9

|5.99

|219.4

|38.41

|-

|1960

|  458,000

|  253,000

|  206,000

|45.1

|24.9

|20.2

|6.03

|217.1

|38.56

|-

|1961

|  468,000

|  255,000

|  213,000

|45.1

|24.6

|20.5

|6.06

|214.4

|38.86

|-

|1962

|  476,000

|  258,000

|  218,000

|45.0

|24.4

|20.6

|6.08

|211.2

|39.15

|-

|1963

|  483,000

|  260,000

|  223,000

|44.8

|24.1

|20.7

|6.07

|207.5

|39.45

|-

|1964

|  492,000

|  260,000

|  231,000

|44.7

|23.7

|21.0

|6.07

|203.1

|39.99

|-

|1965

|  498,000

|  261,000

|  237,000

|44.3

|23.3

|21.1

|6.03

|198.7

|40.45

|-

|1966

|  505,000

|  262,000

|  243,000

|44.0

|22.9

|21.2

|6.00

|194.2

|40.87

|-

|1967

|  513,000

|  263,000

|  251,000

|43.8

|22.4

|21.4

|5.98

|189.7

|41.40

|-

|1968

|  523,000

|  264,000

|  259,000

|43.7

|22.1

|21.6

|5.97

|185.5

|41.80

|-

|1969

|  529,000

|  264,000

|  265,000

|43.3

|21.6

|21.7

|5.91

|181.1

|42.33

|-

|1970

|  537,000

|  265,000

|  272,000

|43.0

|21.2

|21.8

|5.88

|177.1

|42.83

|-

|1971

|  546,000

|  265,000

|  280,000

|42.7

|20.8

|21.9

|5.84

|172.9

|43.31

|-

|1972

|  551,000

|  267,000

|  284,000

|42.2

|20.4

|21.8

|5.78

|169.1

|43.69

|-

|1973

|  554,000

|  268,000

|  287,000

|41.6

|20.1

|21.5

|5.69

|165.5

|44.04

|-

|1974

|  568,000

|  269,000

|  299,000

|41.7

|19.7

|22.0

|5.74

|161.9

|44.46

|-

|1975

|  579,000

|  269,000

|  310,000

|41.6

|19.3

|22.3

|5.75

|158.2

|45.04

|-

|1976

|  592,000

|  270,000

|  322,000

|41.6

|19.0

|22.6

|5.75

|154.6

|45.54

|-

|1977

|  601,000

|  271,000

|  330,000

|41.3

|18.6

|22.7

|5.73

|150.9

|46.01

|-

|1978

|  614,000

|  270,000

|  344,000

|41.2

|18.1

|23.1

|5.72

|147.0

|46.68

|-

|1979

|  625,000

|  270,000

|  355,000

|41.0

|17.7

|23.3

|5.69

|142.9

|47.27

|-

|1980

|  632,000

|  269,000

|  363,000

|40.5

|17.2

|23.3

|5.64

|139.0

|47.89

|-

|1981

|  645,000

|  269,000

|  375,000

|40.4

|16.9

|23.5

|5.60

|135.4

|48.39

|-

|1982

|  658,000

|  269,000

|  388,000

|40.2

|16.5

|23.7

|5.58

|130.9

|48.94

|-

|1983

|  672,000

|  270,000

|  401,000

|40.1

|16.1

|24.0

|5.56

|126.8

|49.43

|-

|1984

|  686,000

|  268,000

|  418,000

|40.0

|15.6

|24.4

|5.54

|122.7

|50.23

|-

|1985

|  695,000

|  266,000

|  429,000

|39.6

|15.2

|24.4

|5.47

|118.6

|50.88

|-

|1986

|  706,000

|  264,000

|  441,000

|39.3

|14.7

|24.6

|5.42

|114.3

|51.54

|-

|1987

|  717,000

|  259,000

|  457,000

|39.0

|14.1

|24.9

|5.36

|110.2

|52.48

|-

|1988

|  726,000

|  258,000

|  469,000

|38.7

|13.7

|25.0

|5.31

|105.7

|53.07

|-

|1989

|  735,000

|  251,000

|  484,000

|38.3

|13.1

|25.3

|5.25

|101.0

|54.13

|-

|1990

|  748,000

|  248,000

|  499,000

|38.1

|12.7

|25.5

|5.21

|96.5

|54.83

|-

|1991

|  757,000

|  244,000

|  513,000

|37.6

|12.1

|25.5

|5.14

|92.1

|55.71

|-

|1992

|  768,000

|  239,000

|  529,000

|37.1

|11.6

|25.6

|5.04

|87.6

|56.71

|-

|1993

|  791,000

|  236,000

|  555,000

|37.1

|11.1

|26.1

|5.00

|83.8

|57.62

|-

|1994

|  795,000

|  230,000

|  565,000

|36.4

|10.5

|25.9

|4.91

|79.4

|58.55

|-

|1995

|  797,000

|  226,000

|  571,000

|35.6

|10.1

|25.5

|4.79

|75.6

|59.32

|-

|1996

|  787,000

|  222,000

|  565,000

|34.5

|9.7

|24.7

|4.60

|72.1

|59.98

|-

|1997

|  773,000

|  216,000

|  557,000

|33.2

|9.3

|23.9

|4.39

|68.3

|60.77

|-

|1998

|  768,000

|  210,000

|  558,000

|32.3

|8.8

|23.5

|4.24

|65.2

|61.55

|-

|1999

|  760,000

|  207,000

|  553,000

|31.4

|8.5

|22.8

|4.08

|61.8

|62.11

|-

|2000

|  754,000

|  204,000

|  550,000

|30.6

|8.3

|22.3

|3.94

|58.7

|62.61

|-

|2001

|  739,000

|  199,000

|  540,000

|29.5

|7.9

|21.6

|3.76

|55.8

|63.34

|-

|2002

|  724,000

|  202,000

|  522,000

|28.5

|8.0

|20.5

|3.59

|53.2

|63.26

|-

|2003

|  719,000

|  196,000

|  523,000

|27.9

|7.6

|20.3

|3.46

|50.5

|64.20

|-

|2004

|  707,000

|  192,000

|  515,000

|27.1

|7.4

|19.7

|3.31

|48.1

|64.82

|-

|2005

|  687,000

|  188,000

|  499,000

|26.0

|7.1

|18.9

|3.14

|46.0

|65.46

|-

|2006

|  666,000

|  187,000

|  479,000

|25.0

|7.0

|18.0

|2.97

|44.1

|65.87

|-

|2007

|  650,000

|  185,000

|  465,000

|24.2

|6.9

|17.3

|2.84

|42.2

|66.33

|-

|2008

|  637,000

|  188,000

|  449,000

|23.6

|6.9

|16.6

|2.72

|40.1

|66.42

|-

|2009

|  625,000

|  187,000

|  438,000

|23.0

|6.9

|16.1

|2.60

|38.3

|66.76

|-

|2010

|  617,000

|  191,000

|  426,000

|22.6

|7.0

|15.6

|2.51

|36.7

|66.81

|-

|2011

|  614,000

|  189,000

|  425,000

|22.4

|6.9

|15.5

|2.44

|35.1

|67.31

|-

|2012

|  615,000

|  192,000

|  423,000

|22.3

|7.0

|15.4

|2.39

|33.7

|67.47

|-

|2013

|  613,000

|  190,000

|  423,000

|22.2

|6.9

|15.4

|2.33

|32.2

|67.97

|-

|2014

|  614,000

|  193,000

|  421,000

|22.2

|7.0

|15.2

|2.29

|30.6

|68.09

|-

|2015

|  611,000

|  204,000

|  407,000

|22.1

|7.4

|14.7

|2.25

|29.6

|67.46

|-

|2016

|  607,000

|  193,000

|  414,000

|21.8

|6.9

|14.8

|2.20

|27.7

|68.78

|-

|2017

|  603,000

|  197,000

|  407,000

|21.4

|7.0

|14.4

|2.15

|26.6

|68.91

|-

|2018

|  600,000

|  201,000

|  399,000

|21.0

|7.0

|14.0

|2.10

|25.5

|68.98

|-

|2019

|  602,000

|  198,000

|  404,000

|20.9

|6.9

|14.0

|2.08

|24.5

|69.56

|-

|2020

|  603,000

|  210

2. 4. 기대 수명

기대수명은 70.8세이다.

네팔의 기대 수명 역사적 변화


기간기대 수명(년)기간기대 수명(년)
1950–195534.01985–199052.1
1955–196034.61990–199556.4
1960–196536.21995–200060.5
1965–197039.12000–200564.0
1970–197542.02005–201066.7
1975–198044.92010–201568.9
1980–198548.3



출처: ''UN 세계 인구 전망''[15]

2. 5. 기타 인구 통계

다음 인구 통계는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CIA 월드 팩트북 자료이다.

'''인구'''

  • 29,033,914명 (2021년 인구 조사)


'''연령 구조''' (2016년 추정)

  • 0–14세: 30.93% (남성 4,646,048명 / 여성 4,333,105명)
  • 15–24세: 21.86% (남성 3,176,158명 / 여성 3,169,721명)
  • 25–54세: 35.99% (남성 4,707,264명 / 여성 5,740,985명)
  • 55–64세: 6.22% (남성 877,288명 / 여성 927,202명)
  • 65세 이상: 5.02% (남성 723,523명 / 여성 732,620명)


'''중앙 연령''' (2016년 추정)

  • 전체: 23.6세
  • 남성: 22.4세
  • 여성: 24.8세


'''인구 성장률'''

  • 1.24% (2016년 추정)


'''출생률'''

  • 인구 1,000명당 19.9명 (2016년 추정)
  • 인구 1,000명당 20.0명 (2022년)[16]


'''사망률'''

  • 인구 1,000명당 5.7명 (2016년 추정)


'''순이동률'''

  • 인구 1,000명당 1.9명 (2016년 추정)


'''합계 출산율 (TFR)'''

  • 여성 1명당 2.1명 (2022년)[16]
  • 여성 1명당 2.18명 (2016년 추정)


'''합계 출산율(TFR)(희망 출산율)과 조출생률(CBR)'''[16]

연도전체도시농촌
조출생률합계 출산율조출생률합계 출산율조출생률합계 출산율
1996374.64 (2.9)272.85 (1.9)384.83 (3.1)
200133.54.1 (2.5)20.62.1 (1.4)34.94.4 (2.6)
200628.43.1 (2.0)21.92.1 (1.4)29.53.3 (2.1)
201124.32.6 (1.8)16.61.6 (1.2)25.52.8 (1.8)
201622.42.3 (1.7)19.92.0 (1.5)26.32.9 (2.1)
202220.02.1 (1.7)19.32.0 (1.6)21.42.4 (1.8)



'''네팔 인구 및 건강 조사 (NDHS) 기반 통계'''[17]


  • '''중앙 출생 간격 (이전 출생 이후의 중앙 개월 수)''' (2011년)
  • * 전체: 36.2개월
  • * 농촌: 35.9개월
  • * 도시: 40.3개월
  • '''첫 출산의 중앙 연령'''
  • * 20.1세 (2011년)
  • '''출산율 – 과거 추세 및 현재'''
  • * 합계 출산율: 여성 1명당 4.6명 (1996년)
  • * 합계 출산율: 여성 1명당 4.1명 (2001년)
  • * 합계 출산율: 여성 1명당 3.1명 (2006년)
  • * 합계 출산율: 여성 1명당 2.6명 (전체, 2011년)
  • * 농촌 출산율: 여성 1명당 2.8명 (2011년)
  • * 도시 출산율: 여성 1명당 1.6명 (2011년)
  • '''이상적인 가족 규모 – 평균 이상적인 자녀 수''' (2011년)
  • * 전체 (여성/남성): 2.1명 / 2.3명
  • * 현재 결혼한 경우 (여성/남성): 2.2명 / 2.3명
  • * 도시 (여성/남성): 1.9명 / 2.0명
  • * 농촌 (여성/남성): 2.2명 / 2.3명
  • '''성별 및 연령대별 이상적인 가족 규모''' (2011년)

연령여성남성
15–191.92.2
20–241.92.1
25–292.12.1
30–342.22.3
35–392.32.4
40–442.52.4
45–492.62.6



'''도시화'''


  • 도시 인구: 전체 인구의 18.6% (2015년)
  • 도시화율: 연간 3.18% 변화율 (2010–15년 추정)


'''성비''' (2016년 추정)

네팔의 성비 (2021년)

  • 출생 시: 여성 1명당 남성 1.04명
  • 0–14세: 여성 1명당 남성 1.07명
  • 15–24세: 여성 1명당 남성 1명
  • 25–54세: 여성 1명당 남성 0.82명
  • 55–64세: 여성 1명당 남성 0.95명
  • 65세 이상: 여성 1명당 남성 0.86명
  • 전체 인구: 여성 1명당 남성 0.99명


'''기대 수명''' (2016년 추정)

  • 전체 인구: 71세
  • 남성: 70.4세
  • 여성: 71.6세


'''영아 사망률 (IMR)'''

  • 출생 1,000명당 27.9명 사망 (2016년 추정)
  • 남성: 출생 1,000명당 29.2명 사망 (2016년 추정)
  • 여성: 출생 1,000명당 26.6명 사망 (2016년 추정)


'''유아 사망률'''

  • 5세 미만 1,000명당 32명 (출처: 원본 소스 상단, 연도 미상)


'''부양비''' (2016년 추정)

총 부양비61.4
유소년 부양비52.5
노년 부양비8.8


  • 노인 부양 가능 인구 (65세 이상 노인 1명당 25~64세 노동 인구): 7.3명 (출처: 원본 소스 상단, 연도 미상)


'''국적'''

  • 명사: 네팔인
  • 형용사: 네팔의


'''종교'''

'''문맹률'''

네팔의 문맹률 (2021년)

  • 정의: 15세 이상이 읽고 쓸 수 있음
  • 전체 인구: 67.9%
  • 남성: 78.6%
  • 여성: 59.7% (2018년)

3. 언어

네팔의 다양한 언어 유산은 세 가지 주요 언어 집단인 인도-아리아어족, 티베트-버마어족, 그리고 여러 토착 언어 고립어에서 비롯되었다. 2001년 전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네팔에서는 92개의 서로 다른 살아있는 언어가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93번째 범주는 "지정되지 않음"). 2011년 인구 조사를 기준으로 네팔에서 사용되는 주요 언어와 모국어로서의 사용 비율은 다음과 같다.[18]

언어사용 비율 (%)
네팔어44.64
마이틸리어11.67
보즈푸리어5.98
타루어5.77
타망어5.11
네팔 바사3.20
바즈지카어2.99
마가르어2.98
도텔리어2.97
우르두어2.61
아와디어1.89
림부어1.30
구룽어1.23
바이다델리어1.03
기타6.63



네팔어는 인도-아리아어족에 속하며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된다. 18세기 후반 고르카 왕조의 언어였던 네팔어는 네팔의 공식 국어가 되어 다양한 민족 언어 집단 사이에서 공용어 역할을 하고 있다. 남부 테라이 지역에서는 마이틸리어, 보즈푸리어, 바즈지카어, 아와디어 등이 사용된다.

영어를 이해하는 사람들의 수와 비율 또한 급증했는데, 대부분의 도시 학교와 상당수 시골 학교에서 영어를 매개로 수업을 진행한다. 기술, 의학, 과학, 공학 분야의 고등 교육은 전적으로 영어로 이루어진다. 네와르인의 모국어인 네팔 바사카트만두 계곡과 네팔 전역의 주요 네와르족 무역 도시에서 널리 사용된다.

특히 내륙 테라이 언덕 및 산악 지역의 다른 언어들은 네팔 통일 이전, 산과 협곡으로 인해 고립되었던 수십 개의 정치 세력들의 흔적을 보여준다. 이러한 언어들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거리(도보 약 하루 거리) 내에서도 방언 차이가 커 상호 의사소통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 지역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주요 언어로는 서중부 언덕의 마가르어와 구룽어, 동중부의 타망어, 동부의 림부어 등이 있다. 높은 히말라야 지역에서는 보티아어를 포함한 다양한 티베트계 언어가 사용된다.

네팔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 (2021년)


네팔 통일 이후, 정부는 네팔어를 공식 언어로 지정하고 다른 토착 언어 사용을 억제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이로 인해 다양한 토착 언어들이 소외되고 멸종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19] 방시어, 촌카, 롱가바를 포함한 일부 토착 언어는 이미 멸종되었거나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그러나 1990년 민주주의가 회복된 이후, 정부는 이러한 언어들의 소외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트리부반 대학교는 2010년부터 위협받는 언어를 조사하고 기록하기 시작했으며, 정부는 이 정보를 활용하여 다음 네팔 인구 조사에 더 많은 언어를 포함시킬 계획이다.[20]

4. 종교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네팔 인구의 81.19%가 힌두교, 8.21%가 불교, 5.09%가 이슬람교, 3.17%가 키라트교(유마교), 1.76%가 기독교를 믿으며, 0.9%는 기타 종교를 따르거나 무종교인 것으로 나타났다.[22][21] 네팔 헌법은 네팔을 세속 국가로 명시하고 있다.[23]

네팔 힌두교 신랑 신부


네팔에서는 많은 힌두교 신자들이 힌두교 전통과 함께 불교의 신들을 동시에 숭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네팔의 종교 개념은 다른 나라, 특히 서구 국가보다 더 유동적인 특징을 보인다.[24] 네팔 사람들에게 종교 축제는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계기이며, 이는 네팔 내 모든 지역 사회의 핵심적인 부분이다.[23]

네팔 사람들은 힌두교에 신성하고 전능하며 초월적인 '도덕 질서'가 존재한다는 보편적인 믿음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믿음은 물질세계의 끊임없는 혼돈 및 무질서와 공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4] 특히 네팔 북서부 지역에서는 이러한 세상의 무질서 상태가 인간 고통의 원인이며, 종교적 샤먼이 이를 완화할 수 있다고 믿는다.[24]

카트만두 계곡은 네팔의 주요 민족 집단인 네와르족의 본거지이다. 계곡 내에 위치한 박타푸르는 한때 독립적인 힌두 왕국이었다.[24] 네팔의 가정에는 일반적으로 개인적으로 모시는 신을 위한 사당이 최소 하나 이상 있으며, 제단에는 꽃, 과일, 기름 등 신에게 바치는 공물이 놓인다.[23] 카트만두 계곡 주변에는 혼란스러운 사건으로부터 도시를 보호하기 위해 힌두 여신에게 바쳐진 사당들이 줄지어 있다. 카트만두의 대부분 거리에서는 최소 하나 이상의 사당을 찾아볼 수 있다.[23] 네팔 사람들은 종교에 따라 분리되거나 경쟁할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않아, 힌두교 사당과 불교 사당이 같은 지역에 공존하는 경우가 많다.[23] 도시 외곽 지역은 본질적으로 야생적이거나 무질서한 자연 상태로 인식되므로, 도시 경계 내의 네팔 사람들은 공개적인 의식을 통해 정기적으로 힌두 신들을 숭배한다.[24]

힌두교의 신 비슈누는 네와르 사회에서 도덕 질서를 상징하는 존재로 여겨진다. 이 도덕 질서를 유지하는 데 있어 나타나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결함은 힌두교의 신 시바를 통해 표현된다고 본다.[24] 시바의 파괴적인 힘은 보존자인 비슈누에 의해 중화되어 균형을 맞추고 질서를 회복하는 것으로 이해된다.[24] 최근 몇 년간, 특히 마오주의 폭력과 같은 정치적 폭력이 증가했다.[23] 이러한 폭력 증가와 광범위한 빈곤은 네팔 사람들이 종교를 통해 안정과 평화를 찾도록 이끌었다.

네팔 헌법은 다른 종교에 대한 차별과 개종을 금지하는 오랜 법적 조항을 유지하고 있다. 과거 왕정 시대에는 국왕이 힌두교 신 비슈누의 현세적 화신으로 신격화되기도 했다. 2006년 5월 19일, 정부는 헌법 위기 상황에서 이전에 해산되었던 국회를 다시 열고 네팔을 세속 국가로 선언했다.

참고로 2001년 인구 조사에서는 인구의 80.6%가 힌두교, 10.7%가 불교 신자로 나타났다. 당시에도 힌두교나 불교로 분류된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는 힌두교, 불교, 또는 토착 신앙 전통이 혼합된 혼합주의 신앙을 실천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인구의 4.2%는 이슬람교, 3.6%는 토착 키라트 문덤 종교를 따랐으며, 0.45%가 기독교를 믿었다.[25]

대부분의 네팔 사람들은 불교 및 힌두교 사당과 축제를 존중하고 함께 기념한다. 고대 토착 종교의 특정 신앙들은 현대까지도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5. 민족 및 지역 형평성

네팔 지역별 최대 민족/카스트


네팔의 민족 집단 (2023년)[21]
민족비율 (%)
체트리16.45
바훈11.29
마가르6.9
타루6.2
타망5.62
네와르4.6
카미5.04
무슬림4.86
야다브4.21
라이2.2
기타32.63



네팔어가 국어로 지정되고 산스크리트어가 학교 필수 과목이 되면서[26], 네팔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산스크리트어를 배운 아이들이 고등학교 졸업 시험 통과에 훨씬 유리해졌다. 이는 더 나은 취업 기회와 고등 교육 진학으로 이어졌다. 반면, 마데시나 지역의 토착 언어, 또는 고산 지대에서 주로 사용되는 티베트계 방언을 모국어로 사용하는 아이들은 상당한 불이익을 받았다.

이러한 구조적인 배제와 개선 가능성이 낮은 현실은 마데시와 타루 같은 민족 공동체, 타루핫과 마데시 지역, 그리고 중서부 산악 지역의 캄 마가르 주민들 사이에 불만을 키웠다. 이는 네팔 내전 기간과 그 이후에 네팔 연합 공산당 (마오주의)이나 JTMM과 같은 다양한 마오주의 무장 단체에 대한 지지로 이어지는 배경이 되었다. 결국 내전 협상을 통해 2008년 갸넨드라 국왕이 퇴위하게 되었다.

왕정 폐지 이후 수립된 공화 정부에서는 민족 및 지역 간 형평성 문제가 주요 의제로 떠올랐으며, 이는 현재까지도 네팔 사회의 주요 갈등 요인이 되고 있다. 10년간의 마오주의 분쟁이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상위 카스트(주로 체트리, 바훈)가 네팔 사회 전반을 지배하고 있다. 네와르족은 인구는 적지만 주로 도시에 거주하는 이점 덕분에 사회적으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마데시의 카야스타는 인간 개발 지수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한다.[27]

성별 관점에서 보면, 네와르족 여성은 문맹률이 가장 낮고 사회 모든 분야에서 앞서 나가고 있다. 반면 브라만과 체트리 여성은 네와르족 여성에 비해 사회적, 경제적 지위 향상이 더딘 편이다. 특히 브라만 여성은 주로 농촌 지역에 거주하여 교육 및 의료 혜택 접근성이 낮아 상대적으로 불평등한 상황에 놓여 있다.[28][29][30][31][32]

6. 해외 거주 네팔인

구르카 네팔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약 6,000명의 네팔인이 영국에 거주하고 있었다.[33] 국가 통계청의 최신 추정치에 따르면 현재 51,000명의 네팔 출생자가 영국에 거주하고 있다.[34] 특히 교육 분야에서 네팔인들이 영국에서 제공하는 기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01년부터 2006년까지 7,500건의 유학 비자 신청이 있었다.[33]

홍콩에 거주하는 네팔인들은 주로 전직 구르카 용병의 자녀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부모가 영국 육군의 구르카 부대에서 복무하는 동안 홍콩에서 태어났으며, 구르카 부대는 1970년대부터 홍콩 주권 반환 때까지 홍콩에 주둔했다. 많은 수의 네팔인들은 영국군의 주요 기지에서 떨어진 세콩과 위엔롱 구에서 발견된다. 많은 전직 구르카 용병들은 거주권을 가진 홍콩 태생 자녀들의 후원을 받아 복무 종료 후에도 홍콩에 남았다.

홍콩의 중장년층 네팔인들은 주로 경비 분야에 종사하는 반면, 젊은 세대들은 주로 사업 분야에 종사한다.

대부분 키라티 민족 집단 출신 사람들, 예를 들어 라이와 림부 사람들이 홍콩싱가포르, 일본과 같은 인접 국가에 거주하고 있다.

해외 네팔 이주민들은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있으며, 2000년 이후 중동말레이시아에서만 약 7,500명이 사망했고,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약 3,500명이 사망했다.[35]


참조

[1] 웹사이트 Nepal's population is now 29,164,578 https://myrepublica.[...] 2023-03-24
[2] 웹사이트 Nepal's population is now 29,164,578 http://myrepublica.n[...] 2023-03-24
[3] 웹사이트 Nepal makes public final data of 12th national census https://kathmandupos[...] 2023-03-24
[4] 웹사이트 National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1 (National Report) https://web.archive.[...]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Nepal) 2012-11-26
[5]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eb.archive.[...] 2017-04-04
[6] 간행물 Factors associated with infant mortality in Nepal: a comparative analysis of Nepal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s (NDHS) 2006 and 2011 2017-01-01
[7] 웹사이트 Nepalese peoples and nationality law https://www.cia.gov/[...] CIA 2016-09-03
[8] 웹사이트 Population Growth Continues to Hinder Nepal's Economic Progress https://web.archive.[...] 2017-03-28
[9] 간행물 Environmental change and out-migration: evidence from Nepal 2010-08
[10] 간행물 UN WPP 2022
[1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 Demographic and Social Statistics https://web.archive.[...]
[12] 문서 National Report 2011 https://censusnepal.[...]
[13] 웹사이트 UNSD — Demographic and Social Statistics https://unstats.un.o[...] 2022-05-14
[14] 웹사이트 Statistics https://unstats.un.o[...] United Nations 2018-07-24
[15]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 Population Division – United Nations https://esa.un.org/u[...] 2017-07-15
[16] 웹사이트 MEASURE DHS: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s http://microdata.wor[...] 2014-07-16
[17] 웹사이트 Nepal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2011. http://www.measuredh[...] 2011-05-07
[18] 웹사이트 Official Summary of Census https://web.archive.[...]
[19] 간행물 Diversity and Endangerment of Languages in Nepal https://unesdoc.unes[...] 2023-09-06
[20] 간행물 Marginalization of indigenous languages of Nepal
[21] 웹사이트 South Asia ::NEPAL https://www.cia.gov/[...] CIA The World Factbook 2022-05-10
[22] 웹사이트 2011 Nepal Census Report http://cbs.gov.np/wp[...]
[23] 간행물 The Framing of Religion
[24] 간행물 Order, identity, and religion in Nepal
[25] 웹사이트 Nepal in Figures 2006 http://www.cbs.gov.n[...]
[26] 웹사이트 Government decision to introduce Sanskrit in school education draws controversy https://kathmandupos[...] 2020-07-09
[27] 웹사이트 Include whom? – Nepali Times https://archive.nepa[...] 2020-09-17
[28] 간행물 OCHA Nepal – Situation Overview http://www.internal-[...] OCHA 2007-04
[29] 간행물 OCHA Nepal – Situation Overview http://reliefweb.int[...] OCHA 2011-05-07
[30] 간행물 OCHA Nepal – Situation Overview http://www.internal-[...] OCHA 2011-05-07
[31] 뉴스 Body of murder victim found in Gulmi http://www.thehimala[...] The Himalayan Times online 2010-11-18
[32] 웹사이트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s that may explain the recent conflicts in the Terai of Nepal http://www.norway.or[...] Norwegian Embassy 2011-05-08
[33] 서적 Soldiers, Migrants, and Citizens – Nepalese in Britain Runnymede
[34] 웹사이트 Population by Country of birth and nationality Jan10-Dec10 http://www.ons.gov.u[...]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1-09
[35] 웹사이트 'Natural deaths' raise doubts http://www.ekantipur[...] 2014-01-07
[36] 웹사이트 About India Nepal Relations https://www.indembka[...] 2022-09-07
[37] 웹사이트 Saudi Arabia 2022 Census https://portal.saudi[...] 2024-04-28
[38] 웹사이트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https://www.abs.gov.[...] 2020-04-28
[39] 웹사이트 Chinese, Except Taiwanese, Was The Largest Asian Alone or in Any Combination Group; Nepalese Population Grew Fastest https://www.census.g[...] 2024-01-21
[40] 웹사이트 Qatar's population – by nationality https://web.archive.[...]
[41] 웹사이트 令和5年6月末現在における在留外国人数について https://www.moj.go.j[...] 2023-10-29
[42] 뉴스 Nepal government lifts Iraq working ban https://www.bbc.co.u[...] 2010-07-28
[43] 웹사이트 Data tables, 2016 Census https://www12.statca[...] 2019-03-10
[44] 간행물 The Issue of Foreign Born Population in Nepal: A Short Essay in Honor of Dr. Harka Gurung http://www.nepjol.in[...] 2007
[45] 웹인용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9 Revision https://population.u[...] 2021-07-17
[46] 웹인용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2 Revision https://web.archive.[...]
[47] 문서 http://unstats.un.or[...]
[48] 웹인용 Life expectancy at birth for both sexes combined (years) https://data.un.org/[...] 2021-0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