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팔의 지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팔의 지리는 국토 면적에 비해 매우 다양하며, 해발 59m의 테라이 평원에서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 산(8,848m)까지 이어진다. 국토는 테라이, 파하드, 히말의 세 지역으로 구분되며, 코시 강, 간다키 강, 카르날리 강 등 세 개의 주요 강 시스템으로 나뉜다. 기후는 열대에서 극지방까지 다양하며, 연 강수량은 160mm에서 5,500mm까지 차이를 보인다. 네팔의 지형은 크게 테라이, 힐리, 히말라야 산맥으로 구분된다. 테라이는 저지대로, 갠지스 평원의 일부를 포함하며, 힐리 지역은 산악 지형으로 네팔 면적의 68%를 차지한다. 히말라야 산맥은 네팔 북부에 위치하며,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봉우리들이 자리 잡고 있다. 네팔은 다양한 기후대를 가지고 있으며, 6월부터 9월까지 우기, 10월부터 6월까지 건기로 나뉜다. 네팔의 환경은 다양한 생물군계를 포함하며, 삼림 벌채, 수질 오염, 야생 동물 보호, 기후 변화 등 여러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토지 이용은 경작 가능 토지 16%, 삼림 39% 등으로 구성되며, 네팔의 국경은 인도와 중국과 접하고 있으며, 여러 국경 검문소가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의 지리 - UTC+05:45
    UTC+05:45는 협정 세계시보다 5시간 45분 빠른 시간대로, 1986년부터 네팔 표준시로 채택되어 수도 카트만두의 경도를 기준으로 시간 차이를 최소화하며 일광 절약 시간제를 시행하지 않는다.
  • 네팔의 지리 - 카트만두 계곡
    카트만두 계곡은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네와르족의 역사와 문화가 깊이 깃든 네팔 만달라 연맹의 중심지이며, 파고다 건축 양식 등 독특한 문화유산을 보유하여 197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7개의 주요 유적지로 구성된다.
  • 남아시아의 지리 - 펀자브
    펀자브는 인도와 파키스탄에 걸쳐있는 '다섯 강의 땅'으로 불리는 비옥한 평야 지대로, 인더스 문명의 발상지이자 여러 왕국과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분할 이후 인도와 파키스탄의 곡창지대 역할을 하는 지역이다.
  • 남아시아의 지리 - 발루치스탄
    발루치스탄은 발루치족 거주 지역으로 파키스탄, 이란, 아프가니스탄에 걸쳐 있으며, 구석기 시대부터 인간이 거주했고 인더스 문명의 자원 공급지였으나, 다양한 왕조와 제국, 칼라트 칸국, 영국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파키스탄에 병합되어 자원 수탈과 정부 정책 소홀로 분쟁이 지속되고 있다.
네팔의 지리
지리 정보
네팔 지형
네팔 지형
일반 정보
대륙아시아
지역남아시아
면적 순위93위
총 면적147,516 km²
육지 면적 비율92.94%
해안선 길이0 km
국경총 국경 길이:
국경 인접국중화인민공화국:
인도:
최고점에베레스트산
최저점무키야파티 무샤르니야
가장 긴 강카르날리 강
가장 큰 호수라라 호수
지리
환경 문제
주요 환경 문제대기 오염: 카트만두를 포함한 도시 지역에서 심각한 문제임. WHO 기준치를 초과하는 수준.
수질 오염: 바그마티 강은 오염으로 인해 심각한 상태임.
쓰레기 문제: 에베레스트 산을 포함한 지역에서 쓰레기 과다 발생 문제가 심각함.

2. 지리

네팔은 국토 면적에 비해 지리적으로 매우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갠지스 평원의 북쪽 가장자리인 테라이의 열대 지역에서 해발 59m의 낮은 고도에서 시작하여, 에베레스트 산(사가르마타)을 포함하여 해발 7000m가 넘는 90개의 봉우리까지 솟아 있다.[8] 열대 기후에서 극지방과 유사한 추위까지 이어지는 연속성 외에도, 연평균 강수량은 히말라야 산맥 북쪽의 좁은 우세 지대에서 160mm에 불과한 곳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경사면에서는 5500mm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최대 강수량은 주로 남아시아 몬순의 규모에 달려있다.[8]

네팔은 플로리다주와 위도가 거의 같지만, 해발고도는 100m 미만에서 8000m 이상으로 다양하며 강수량은 160mm에서 5000mm 이상으로 열대에서 영구적인 눈까지 8개의 기후대를 가지고 있다.[11]

고도에 따른 극적인 변화는 인도 국경을 따라 열대 및 아열대 초원, 사바나 및 관목지에서 시작하여 언덕의 아열대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 및 열대 및 아열대 침엽수림, 히말라야 산비탈의 온대 온대 활엽수 및 혼합림 및 온대 침엽수림, 산지 초원 및 관목지, 그리고 최고 고도의 암석과 얼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생물군계를 만들어낸다. 이는 테라이-두아르 사바나 및 초원 생태 지역에 해당한다.

네팔의 총 면적은 147516km2이며, 육지 면적은 143181km2, 수역 면적은 4000km2이다. 네팔은 내륙국으로 해안선은 없다. 고도는 자파 구의 케차나 카왈 (최저 59m)에서 에베레스트 산(최고 8,848m)까지 다양하다.

2. 1. 지형 구분

네팔은 국토 면적에 비해 지형적으로 매우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남쪽에서 북쪽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테라이, 파하드, 히말의 세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8]

  • '''테라이'''(Terai): 저지대 지역으로, 일부 구릉을 포함하며 전체 면적의 17%를 차지한다. 인도 국경에서 시작하여 평평하고 집중적으로 경작되는 갠지스 평원의 최남단 지역인 ''외 테라이''를 포함한다. 황마와 같은 농산물을 기반으로 한 산업화가 1930년대에 시작되었다.[8] 외 테라이는 네팔의 파하드보다 인도의 비하르와 우타르 프라데시 문화와 문화적으로 더 유사하며, 지역 주민들은 대부분 마이틸리, 보즈푸리어 및 타루어를 사용한다.[8]

  • '''파하드'''(Hill): 일반적으로 눈이 없는 산악 지역으로, 히말 지역의 남쪽에 위치해 있다. 로우어 히말라야 산맥에서 시작되며, 네팔 전체 면적의 68%를 차지한다. 파하리족은 주로 논농사가 가능하고 감자를 재배할 수 있을 정도로 따뜻한 강과 하천 바닥에 거주한다. 네와르족은 자체 티베토-버마 언어를 사용하는 토착 민족 집단이다.[8]

  • '''히말'''(Himal): 눈이 덮인 산악 지형을 포함하고 있다. Himal영어 지역은 3000m 이상으로 높이 솟아 아고산대와 고산 지대로 이어지는 높은 산등성이가 시작되는 곳에서부터 시작되며, 이 지역은 주로 계절별 목초지로 사용된다. 지리적으로 네팔 전체 면적의 15%를 차지한다.[8] 에베레스트 산(8848m)와 칸첸중가(8598m)를 포함하여 8000m를 넘는 8개의 봉우리가 있다.[8]

원근법으로 본 히말라야 산맥과 에베레스트산, 티베트 고원 상공에서 남-남동쪽을 바라본 모습 (주석 버전)


'''네팔의 가장 높은 산'''[9]
높이 (m)높이 (ft)구역위치
에베레스트 산
(세계 최고봉)
8,848 m29,029 ft쿰부 마할랑구르쿰부 파상 람후, 솔루쿰부 구,
제1번 주 (네팔-중국 국경)
칸첸중가
(세계 3위)
8,586 m28,169 ft북부 칸첸중가팍탕룽 / 시리정가, 타플레중 구,
제1번 주 (네팔-인도 국경)
로체
(세계 4위)
8,516 m27,940 ft에베레스트 그룹쿰부 파상 람후, 솔루쿰부 구,
제1번 주 (네팔-중국 국경)
마칼루
(세계 5위)
8,462 m27,762 ft마칼루 마할랑구르마칼루, 상쿠와사바 구,
제1번 주 (네팔-중국 국경)
초 오유
(세계 6위)
8,201 m26,906 ft쿰부 마할랑구르쿰부 파상 람후, 솔루쿰부 구,
제1번 주 (네팔-중국 국경)
다울라기리
(세계 7위)
8,167 m26,795 ft다울라기리다울라기리, 먀그디 구,
마나슬루
(세계 8위)
8,163 m26,759 ft만시리 히말Tsum Nubri, 고르카 구 / Nashong, 마낭 구,
안나푸르나
(세계 10위)
8,091 m26,545 ft안나푸르나 산괴안나푸르나, 카스키 구 / 안나푸르나, 먀그디 구,



동쪽에서 서쪽으로는 코시 강, 간다키 강/나라야니 강, 카르날리 강(서부 국경을 따라 흐르는 마하칼리 강 포함)의 세 개의 주요 강 시스템으로 나뉜다. 이 강들은 모두 갠지스 강의 지류이다.[8]

2. 2. 히말라야 산맥

히말라야 산맥은 눈이 덮인 산악 지형을 포함하고 있으며, 네팔의 지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산악 지역은 3000m 이상으로 높이 솟아 아고산대와 고산 지대로 이어지는 높은 산등성이가 시작되는 곳에서부터 시작되며, 주로 계절별 목초지로 사용된다.

주 중앙 단층대 위 5000m~5500m의 설선을 따라 높은 히말라야 산맥이 급격하게 솟아오르며, 네팔에는 에베레스트 산과 칸첸중가를 포함하여 8,000m가 넘는 봉우리들이 존재한다.

브라마푸트라 강(얄룽 장포 강)과 갠지스 강 유역 사이의 주요 분수계는 가장 높은 산맥의 북쪽에 위치한다. 험라 구, 줌라 구, 돌포, 무스탕 구, 마낭 구, 쿰부를 포함한 고산지대 계곡들은 히말라야 산맥 사이에 있거나 그 북쪽에 위치하며, 일부는 역사적으로 네팔보다 티베트에서 접근하기가 더 쉬웠다. 이 지역에는 셰르파족을 포함한 보티야족이 거주하며, 이들은 티베트 문화와 유사성을 보인다. 남쪽 계곡들은 네팔과 티베트 양쪽 문화와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칼리 간다키 협곡의 타칼리족 문화가 대표적이다.

산악 지역의 영구적인 마을은 4500m 높이에 있으며, 여름 야영지는 더 높은 곳에 있다. 보티야족은 야크를 방목하고, 감자, 보리, 메밀과 같은 추위에 강한 작물을 재배하며, 전통적으로 산을 넘어 무역을 했다. 1950년대 이후 무역이 제한되면서, 이들은 관광 및 등산 관련 일자리를 찾고 있다.[10]

2. 2. 1. 주요 산맥 및 봉우리



히말라야 지역은 눈이 덮인 산악 지형을 포함하고 있다. 산악 지역은 3000m 이상으로 높이 솟아 아고산대와 고산 지대로 이어지는 높은 산등성이(네팔어: लेक|lekhne)가 시작되는 곳에서부터 시작되며, 이 지역은 주로 계절별 목초지로 사용된다. 지리적으로 네팔 전체 면적의 15%를 차지한다.

북쪽으로 수십 킬로미터 더 가면 주 중앙 단층대 위 5000m~5500m의 설선을 따라 높은 히말라야 산맥이 급격하게 솟아오른다. 네팔의 산봉우리 중 약 90개가 7000m를 넘고, 8개는 에베레스트 산(8848m)와 칸첸중가(8598m)를 포함하여 8000m를 넘는다.

캉첸중가 산괴와 에베레스트산 주변의 마할랑구르 히말을 포함하여 약 20개의 하위 산맥이 있다. 카트만두 북쪽의 랑탕, 포카라 북쪽의 안나푸르나와 마나슬루, 그 다음 서쪽의 다울라기리, 줌라 구 북쪽의 칸지로바 히말, 그리고 가장 서쪽의 구란스 히말이 있다.

네팔의 가장 높은 산[9]
높이 (m)높이 (ft)구역위치
에베레스트 산
(세계 최고봉)
8848m약 8848.04m쿰부 마할랑구르쿰부 파상 람후, 솔루쿰부 구,
제1번 주 (네팔-중국 국경)
칸첸중가
(세계 3위)
8586m약 8585.91m북부 칸첸중가팍탕룽 / 시리정가, 타플레중 구,
제1번 주 (네팔-인도 국경)
로체
(세계 4위)
8516m약 8516.11m에베레스트 그룹쿰부 파상 람후, 솔루쿰부 구,
제1번 주 (네팔-중국 국경)
마칼루
(세계 5위)
8462m약 8461.86m마칼루 마할랑구르마칼루, 상쿠와사바 구,
제1번 주 (네팔-중국 국경)
초 오유
(세계 6위)
8201m약 8200.95m쿰부 마할랑구르쿰부 파상 람후, 솔루쿰부 구,
제1번 주 (네팔-중국 국경)
다울라기리
(세계 7위)
8167m약 8167.12m다울라기리다울라기리, 먀그디 구, 간다키 주
마나슬루
(세계 8위)
8163m약 8156.14m만시리 히말Tsum Nubri, 고르카 구 / Nashong, 마낭 구, 간다키 주
안나푸르나
(세계 10위)
8091m약 8090.92m안나푸르나 산괴안나푸르나, 카스키 구 / 안나푸르나, 먀그디 구, 간다키 주


2. 2. 2. 트랜스 히말라야

브라마푸트라강(티베트에서는 ''얄룽 장포강''이라고 불림)과 갠지스강 유역(네팔 전체 포함) 사이의 주요 분수계는 실제로 가장 높은 산맥의 북쪽에 있다. 험라구, 줌라구, 돌포, 무스탕구, 마낭, 쿰부를 포함한 고산지대, 종종 반건조한 계곡은 히말라야 산맥의 하위 산맥 사이를 가로지르거나 그 북쪽에 있다.

이러한 계곡 중 일부는 역사적으로 네팔보다 티베트에서 접근하기가 더 쉬웠으며, 티베트인과의 유사성을 가진 ''보티야'' 또는 ''부티아''라고 불리는 사람들로 인구가 형성되었으며, 여기에는 에베레스트산 근처의 쿰부 계곡에 있는 유명한 셰르파족도 포함된다. 티베트 자체의 티베트의 중국화로 인해, 이 계곡들은 전통적인 방식의 보고가 되었다. 남쪽의 언덕 지역에서 접근성이 더 좋은 계곡들은 네팔뿐만 아니라 티베트와도 문화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칼리 간다키 협곡은 타칼리족 문화가 양방향으로 영향을 보여준다.

산악 지역의 영구적인 마을은 4500m 높이에 있으며, 여름 야영지는 이보다 더 높은 곳에 있다. 보티야족은 야크를 방목하고, 감자, 보리, 메밀, 기장과 같은 추위에 강한 작물을 재배한다. 그들은 전통적으로 산을 넘어 무역을 했는데, 예를 들어 티베트 소금을 네팔과 인도의 저지대에서 나는 과 교환했다. 1950년대에 무역이 제한된 이후, 그들은 고산지대 운반인, 안내원, 요리사 및 관광 및 등산의 기타 부속물로 일자리를 찾았다.[10]

2. 3. 강

네팔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테라이, 파하드, 히말의 세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동쪽에서 서쪽으로는 코시 강, 간다키 강/나라야니 강, 카르날리 강(서부 국경을 따라 흐르는 마하칼리 강 포함)의 세 강 시스템으로 나뉜다. 이 강들은 모두 갠지스 강의 지류이며, 갠지스 강 - 얄룽장포 강/브라마푸트라 강 유역은 네팔-티베트 국경과 거의 일치한다. 단, 국경 너머에서 발원하는 특정 지류는 예외이다.[8]

2. 3. 1. 강 관리

네팔에는 세 가지 종류의 강이 있다. 가장 큰 강 시스템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코시, 간다키/나라야니, 카르날리/고그라, 마하칼리이다. 이 강들은 여름 몬순 전 더운 시기, 가뭄으로 고통받는 봄을 지나 눈이 녹아내려 상당한 유량을 유지하는, 높은 히말라야 산맥 안 또는 너머에서 발원하는 여러 지류에서 시작된다.[11] 이 지류들은 깊은 협곡을 통해 가장 높은 산들을 가로지르고, 중간 언덕을 통해 남쪽으로 흐른 다음, 캔들라브라와 같은 형태로 합쳐져 하위 히말라야 산맥을 건너 평원으로 흘러들어가 10000km2가 넘는 충적 부채를 형성한다.

  • 코시는 네팔 동부의 일곱 개의 히말라야 지류 때문에 ''사프타 코시''라고도 불린다. 인드라바티, 선 코시, 타마 코시, 두드 코시, 리쿠, 아룬, 타모르가 이에 해당한다. 아룬은 네팔 북부 국경 너머 약 150km 떨어진 티베트에서 발원한다. 선 코시의 지류인 보테 코시 역시 티베트에서 발원하며, 카트만두와 라사를 연결하는 아르니코 고속도로가 이 강을 따라 이어진다.

  • ''간다키/나라야니''는 네팔 중앙에 일곱 개의 히말라야 지류를 가지고 있는데, 다라우디, 세티 간다키, 마디, 칼리, 마르시앙디, 부디, 그리고 ''사프타 간다키''라고도 불리는 트리술리가 여기에 해당한다. ''칼리 간다키''는 티베트 고원 가장자리에서 발원하여 반독립 무스탕 왕국을 통과한 다음, 세계에서 가장 깊은 계곡의 8,000m 다울라기리와 안나푸르나 산맥 사이를 흐른다. 트리술리는 티베트 내 국제 국경 북쪽에서 발원한다. 일곱 개의 상류 지류가 합류한 후, 강은 네팔 내에서 ''나라야니''가 되며, 치트완 계곡에서 동 라프티 강과 합류한다. 인도로 건너가면 이름이 ''간다크''로 바뀐다.

  • 카르날리는 네팔 서부를 배수하며, 베리와 세티가 주요 지류이다. 상류 베리는 전통적인 티베트 문화와 연관된 다울라기리 히말라야 너머의 외딴 계곡인 돌포를 배수한다. 상류 카르날리는 신성시되는 마나사로바르 호수와 카일라스 산 근처의 티베트 내부에서 발원한다. 이 지역은 남아시아의 수문학적 연결 지점인데, 인더스강과 그 주요 지류인 수틀레지강, 갠지스강 지류인 카르날리, 그리고 얄룽 장보강/브라마푸트라강의 발원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통적 우주론에 따르면, 이곳이 우주의 중심이다. 네팔-인도 국경을 따라 서쪽에 있는 마하칼리 또는 ''칼리''는 인도에서 카르날리에 합류하며, 그곳에서 이 강은 ''고그라'' 또는 ''가그라''로 알려져 있다.


'''두 번째 종류'''의 강들은 중간 언덕과 하위 히말라야 산맥에서 발원하며, 동쪽에서 서쪽으로 코시 남쪽의 메치, 칸카이, 카말라가 있고, 코시와 간다키 시스템 사이의 카트만두 계곡을 배수하는 바그마티, 그리고 간다키와 카르날리 시스템 사이의 서 라프티와 바바이 강이 있다. 빙하의 수원지가 없기 때문에, 이 강들의 연간 유량 체제는 더 가변적이지만 건기에도 제한적인 유량이 지속된다.

'''세 번째 종류'''의 강들은 가장 바깥쪽의 시왈릭 산기슭에서 발원하며 대부분 계절성 강이다.

이러한 강 시스템 중 어느 곳도 상업적 항행을 지원하지 않는다. 대신, 깊은 협곡은 교통 및 통신 네트워크 구축과 경제의 분절화를 방해하는 장애물을 만든다. 산악 지역에서는 아직도 오솔길이 주요 교통로이다.

세 가지 범주의 모든 강은 심각한 홍수를 일으킬 수 있다. 첫 번째 범주에 속하는 코시 강은 네팔 내부의 부실하게 관리된 제방이 무너진 후 2008년 8월 인도 비하르 주에서 대규모 홍수를 일으켰다. 두 번째 범주에 속하는 웨스트 랩티 강은 도시 홍수의 역사 때문에 "고라크푸르의 슬픔"이라고 불린다. 세 번째 범주 테라이 강은 급류와 관련이 있다.[13]

히말라야에서는 융기와 침식이 거의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적어도 기후가 습한 곳에서는,[14] 급격한 융기는 매년 수백만 톤의 퇴적물이 산에서 씻겨 내려가는 것으로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그런 다음 강이 구불구불 흐르고 적어도 수십 년마다 경로를 변경하는 광대한 충적 부채 위에 평원에서 부유물에서 침전되어 일부 전문가들은 인공 제방이 홍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15] 네팔과 비하르의 하류 코시 강을 따라 위치한 전통적인 ''미틸라'' 문화는 비옥한 충적토로 생명을 주는 존재이자, 동시에 파괴적인 홍수로 생명을 앗아가는 존재로 강을 기렸다.[16]

중간 산지의 대규모 저수지는 최고 유량을 포착하고 하류 홍수를 완화하며, 건기 관개용 잉여 몬순 유량을 저장하고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관개용 물은 특히 설득력 있는데, 인도 테라이 지역은 관정의 물에 의존하는 건기 작물이 지속 불가능하게 지하수를 "채굴"하는 식량 거품에 들어간 것으로 의심되기 때문이다.[17]

지속 가능한 대체 수자원으로서 상류 댐 건설 없이 대수층을 고갈시키는 것은 인도의 식량 안보가 불안정한 우타르 프라데시와 비하르 주에서 맬서스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으며,[18] 두 주의 인구는 3억 명이 넘는다. 인도가 이미 나살라이트-마오이스트 반군[19]을 비하르, 자르칸드, 안드라 프라데시에서 겪고 있는 상황에서, 네팔이 수자원 프로젝트에 동의하기를 꺼리는 것은 인도에게 실존적 위협으로 보일 수도 있다.[20]

네팔이 하계 몬순에 앞서 건기 동안 관개용 물을 더 많이 돌리기 위해 댐을 건설함에 따라 방글라데시와 인도의 비하르 및 우타르 프라데시 주 하류 사용자에게 돌아가는 물의 양은 줄어들고 있다. 최선의 해결책은 상류에 대규모 저수지를 건설하여 하계 몬순 동안 잉여 유량을 포착하고 저장하는 것과 동시에 방글라데시와 인도에 홍수 통제 혜택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런 다음 물 공유 협정을 통해 저장된 물의 일부를 다음 건기 동안 인도에 흘려보낼 수 있도록 할당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팔에 댐을 건설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로 논란의 여지가 있다. 첫째, 이 지역은 지진 활동이 활발하다. 지진으로 인한 댐 붕괴는 인구가 밀집된 갠지스 평원을 따라 하류에서 엄청난 사망과 파괴를 초래할 수 있다.[21] 둘째, 지구 온난화로 인해 불안정한 모레인에 의해 댐이 건설된 빙하 호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모레인의 갑작스러운 붕괴는 하류에서 인공 구조물의 연쇄적인 붕괴와 함께 빙하 호 분출 홍수를 일으킬 수 있다.[22]

셋째, 히말라야의 퇴적률은 매우 높아 댐 뒤에 퇴적물이 쌓이면서 저장 용량이 빠르게 감소한다.[23] 넷째, 인도와 네팔이 두 국가 간의 잦은 적대감 속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비용과 혜택을 어떻게 공유할 것인가에 대한 복잡한 국경 간 형평성 문제가 있다.[20]

3. 기후

네팔은 미국의 플로리다주와 거의 동일한 고도에 위치해 있으며 강수량은 160mm에서 5000mm 이상으로, 열대에서 눈에 이르는 8개의 기후대가 나타난다.[33] 6월부터 9월까지는 풍수기, 10월부터 6월까지는 건조기이며, 특히 4월과 5월에는 물 부족 현상을 겪는다.

네팔은 국토 면적에 비해 지리적으로 매우 다양하다. 테라이 열대 지역( 갠지스 평원 북쪽 가장자리, 해발 59m)에서 시작하여, 설선을 넘어 에베레스트 산(사가르마타, 8848m)을 포함, 해발 7000m가 넘는 90개의 봉우리까지 솟아 있다. 열대 기후에서 극지방과 유사한 추위까지 이어지는 연속성 외에도, 연평균 강수량은 히말라야 산맥 북쪽의 좁은 우세 지대에서 160mm에 불과한 곳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경사면에서는 5500mm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최대 강수량은 주로 남아시아 몬순의 규모에 달려 있다.[8]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른 네팔 지도

3. 1. 기후대

네팔은 미국의 플로리다주와 거의 동일한 고도에 위치하며, 강수량은 160mm에서 5,000mm 이상으로 다양하다. 이에 따라 열대에서 눈에 이르는 8개의 기후대가 나타난다.[33]

  • 열대 기후대
  • 아열대 기후대
  • 온대 기후대
  • 아고산대 기후대
  • 고산 기후대
  • 설선 기후대
  • 히말라야 횡단 기후대


6월부터 9월까지는 몬순(풍수)기, 10월부터 6월까지는 건조기이다. 특히 4월과 5월에는 물 부족 현상이 심하게 나타난다. 네팔은 국토 면적에 비해 지리적으로 매우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갠지스 평원의 북쪽 가장자리인 테라이 열대 지역의 해발 59m에서 시작하여, 설선을 넘어 지구에서 가장 높은 8848m의 에베레스트 산(사가르마타)를 포함하여 해발 7000m가 넘는 90개의 봉우리까지 솟아 있다. 열대 기후에서 극지방과 유사한 추위까지 이어지는 연속성 외에도, 연평균 강수량은 히말라야 산맥 북쪽의 좁은 우세 지대에서 160mm에 불과한 곳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경사면에서는 5500mm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최대 강수량은 주로 남아시아 몬순의 규모에 달려 있다.[8]

3. 2. 계절

네팔은 플로리다주와 거의 같은 위도에 있지만, 해발 고도와 강수량의 차이가 커서 다양한 기후대가 나타난다. 6월부터 9월까지는 우기(몬순)이고, 10월부터 6월까지는 건기이다. 특히 4월과 5월에는 물 부족 현상이 심하다.[11]

  • 기후대:
  • 열대 기후대 (해발 1000m 미만): 10년에 한 번 미만의 서리가 내린다. 망고, 파파야, 바나나 등이 재배된다.
  • 아열대 기후대 (1000m 에서 2000m): 연간 최대 53일의 서리가 내린다. , 옥수수, , 감자 등이 재배된다.
  • 온대 기후대 (2000m 에서 3000m): 연간 최대 153일의 서리가 내린다. 추위에 강한 , 옥수수, , 보리, 감자 등이 재배된다.
  • 아고산대 (3000m 에서 4000m): 주로 산악 및 히말라야 지역에 위치하며, 여름철 목초지로 이용된다. 보리, 감자, 양배추 등이 재배된다.
  • 고산대 (4000m 에서 5000m): 영구적인 정착지가 거의 없고, 약용 허브가 채취된다.
  • 설선 (5000m 이상): 인간의 거주나 계절적 이용이 없다.
  • 초히말라야 기후: 높은 산맥의 강수량 감소 지역에 나타나며, 매우 건조하다.


강수량은 벵골만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며, 동부 네팔은 연간 약 2500mm, 카트만두 지역은 약 1400mm, 서부 네팔은 약 1000mm의 강수량을 기록한다. 안나푸르나 히말라야의 바람을 받는 경사면에서는 연간 강수량이 5500mm에 이르지만, 높은 산 너머 강수량 감소 지역에서는 160mm까지 떨어진다.[8]

여름 몬순은 6월 중순경에 시작되지만, 매년 변동이 심하다. 몬순 강우량 부족은 가뭄과 기근을, 과도한 강우량은 홍수와 산사태를 유발한다. 몬순은 교통에도 영향을 미쳐 도로와 산길이 유실되고 비포장 도로와 활주로가 사용 불가능해진다.

9월부터 10월 중순까지는 시원하고 맑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며, 다샤인과 티하르 등 힌두교 축제가 열린다. 몬순 이후에는 겨울 몬순이 시작되어 고산 지역에 눈이 내리고, 히말라야 산맥이 차가운 공기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4월과 5월은 건조하고 더우며, 1200m 아래에서는 기온이 40°C를 넘기도 한다.

4. 환경

네팔은 국토 면적에 비해 지리적 다양성이 매우 크다. 테라이의 열대 지역에서 시작하여, 에베레스트 산을 포함하여 해발 7000m가 넘는 90개의 봉우리까지 솟아 있다. 열대 기후에서 극지방과 유사한 추위까지 이어지는 연속성 외에도, 연평균 강수량은 히말라야 산맥 북쪽의 좁은 우세 지대에서 160mm에 불과한 곳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경사면에서는 5500mm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최대 강수량은 주로 남아시아 몬순의 규모에 달려있다.[8]

남쪽에서 북쪽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네팔은 테라이, 파하드, 히말의 세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동쪽에서 서쪽으로는 코시 강, 간다키 강(나라야니 강), 카르날리 강과 같은 주요 강 시스템으로 나뉜다. 이 강들은 모두 갠지스 강의 지류이며, 갠지스 강 - 브라마푸트라 강 유역은 네팔-티베트 국경과 거의 일치한다.

고도에 따른 극적인 변화는 인도 국경을 따라 열대 및 아열대 초원, 사바나 및 관목지에서 시작하여 언덕의 아열대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 및 열대 및 아열대 침엽수림, 히말라야 산비탈의 온대 온대 활엽수 및 혼합림 및 온대 침엽수림, 산지 초원 및 관목지, 그리고 최고 고도의 암석과 얼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생물군계를 만들어낸다.

; 자연 재해

: 지진, 심각한 뇌우 (토네이도는 드물다[12]), 홍수 및 급격한 홍수, 산사태, 가뭄, 그리고 여름 몬순의 시기, 강도 및 기간에 따라 기근 발생

; 환경 - 현재 문제

: 삼림 벌채 (연료용 목재 과다 사용 및 대체재 부족), 오염된 물 (인간 및 동물 폐기물, 농업 유출수 및 산업 폐수), 야생 동물 보호, 차량 배출 가스

; 환경 - 국제 협정


  • 당사국: 생물 다양성, 기후 변화, 기후 변화 - 교토 의정서, 사막화, 멸종 위기 종, 유해 폐기물, 해양법, 오존층 보호, 열대 목재 83, 열대 목재 94, 습지
  • 서명했지만 비준하지 않음: 해양 생물 보호
  • 홍수 통제, 관개 및 수력 발전을 위한 기존 및 제안된 댐, 방조제 및 운하

4. 1. 생물군계 및 생태계

네팔은 국토 면적에 비해 지리적 다양성이 매우 크다. 테라이의 열대 지역에서 시작하여, 지구에서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 산(8,848m)을 포함하여 해발 7000m가 넘는 90개의 봉우리까지 솟아 있다. 열대 기후에서 극지방과 유사한 추위까지 이어지는 연속성 외에도, 연평균 강수량은 히말라야 산맥 북쪽의 좁은 우세 지대에서 160mm에 불과한 곳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경사면에서는 5500mm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8]

남쪽에서 북쪽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네팔은 테라이, 파하드, 히말의 세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히말라야 지역은 눈이 덮인 산악 지형을 포함하고 있다. 3000m 이상으로 높이 솟아 아고산대와 고산 지대로 이어지는 높은 산등성이가 시작되는 곳에서부터 시작되며, 이 지역은 주로 계절별 목초지로 사용된다. 지리적으로 네팔 전체 면적의 15%를 차지한다. 북쪽으로 수십 킬로미터 더 가면 주 중앙 단층대 위 5000m에서 5500m의 설선을 따라 높은 히말라야 산맥이 급격하게 솟아오른다. 네팔의 산봉우리 중 약 90개가 7000m를 넘고, 8개는 에베레스트 산(8848m)와 칸첸중가(8598m)를 포함하여 8000m를 넘는다.

캉첸중가 산괴와 에베레스트산 주변의 마할랑구르 히말을 포함하여 약 20개의 하위 산맥이 있다.

'''네팔의 가장 높은 산'''[9]
높이 (m)높이 (ft)구역위치
에베레스트 산8848m약 8848.04m쿰부 마할랑구르쿰부 파상 람후, 솔루쿰부 구, 제1번 주 (네팔-중국 국경)
칸첸중가8586m약 8585.91m북부 칸첸중가팍탕룽 / 시리정가, 타플레중 구, 제1번 주 (네팔-인도 국경)
로체8516m약 8516.11m에베레스트 그룹쿰부 파상 람후, 솔루쿰부 구, 제1번 주 (네팔-중국 국경)
마칼루8462m약 8461.86m마칼루 마할랑구르마칼루, 상쿠와사바 구, 제1번 주 (네팔-중국 국경)
초 오유8201m약 8200.95m쿰부 마할랑구르쿰부 파상 람후, 솔루쿰부 구, 제1번 주 (네팔-중국 국경)
다울라기리8167m약 8167.12m다울라기리다울라기리, 먀그디 구, 간다키 주
마나슬루8163m약 8156.14m만시리 히말Tsum Nubri, 고르카 구 / Nashong, 마낭 구, 간다키 주
안나푸르나8091m약 8090.92m안나푸르나 산괴안나푸르나, 카스키 구 / 안나푸르나, 먀그디 구, 간다키 주



험라구, 줌라구, 돌포, 무스탕구, 마낭, 쿰부를 포함한 고산지대 계곡은 히말라야 산맥의 하위 산맥 사이를 가로지르거나 그 북쪽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계곡 중 일부는 역사적으로 네팔보다 티베트에서 접근하기가 더 쉬웠으며, 보티야 또는 부티아라고 불리는 사람들로 인구가 형성되었으며, 여기에는 에베레스트산 근처의 쿰부 계곡에 있는 셰르파족도 포함된다.

산악 지역의 영구적인 마을은 4500m 높이에 위치하며, 여름 야영지는 이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한다. 보티야족은 야크를 방목하고, 감자, 보리, 메밀, 기장과 같은 추위에 강한 작물을 재배한다. 그들은 전통적으로 산을 넘어 무역을 했다.[10]

힐리 지역은 일반적으로 눈이 없는 산악 지역이다. 히말 지역의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로우어 히말라야 산맥에서 시작된다. 네팔 전체 면적의 68%를 차지한다.

파하리족은 주로 강과 하천 바닥에 거주한다. 카트만두와 포카라 계곡이 힐리 지역에 속한다. 네와르족토착 민족 집단이다.

다른 토착 자나자티 민족 집단은 약 2500m까지의 언덕에 거주한다. 이 그룹에는 포카라 서쪽의 마가르족과 캄 마가르족, 안나푸르나 남쪽의 구룽족, 카트만두 계곡 주변의 타망족과 더 동쪽의 라이족, 코인치 수누와르족 및 림부족이 포함된다. 해발 2000m 이상에서 여름 방목을 위해 땅을 사용하고 겨울에 가축을 더 낮은 고도로 이동하는 등 고도에 따른 축산업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고도에 따른 극적인 변화는 인도 국경을 따라 열대 및 아열대 초원, 사바나 및 관목지에서 시작하여 언덕의 아열대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 및 열대 및 아열대 침엽수림, 히말라야 산비탈의 온대 온대 활엽수 및 혼합림 및 온대 침엽수림, 산지 초원 및 관목지, 그리고 최고 고도의 암석과 얼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생물군계를 만들어낸다.

이는 테라이-두아르 사바나 및 초원 생태 지역에 해당한다.

아열대 숲은 구릉 지역의 낮은 고도를 지배한다. 이들은 네팔을 가로질러 동서로 뻗어 있는 모자이크를 형성하며, 500m에서 1000m 사이의 히말라야 아열대 활엽수림과 1000m에서 2000m 사이의 히말라야 아열대 소나무 숲이 있다. 3000m에 이르는 더 높은 고도에는 간다키강 동쪽에 동부 히말라야 활엽수림, 서쪽에 서부 히말라야 활엽수림이 있는 온대 활엽수림이 있다.

산악 지역의 토착림은 강수량이 감소함에 따라 동에서 서로 변한다. 3000m에서 4000m는 동 히말라야 아고산 침엽수림과 서 히말라야 아고산 침엽수림이 있다. 5500m에는 동 히말라야 고산 관목 및 초원과 서 히말라야 고산 관목 및 초원이 있다.

4. 2. 환경 문제

; 자연 재해

: 지진, 심각한 뇌우 (토네이도는 드물다[12]), 홍수 및 급격한 홍수, 산사태, 가뭄, 그리고 여름 몬순의 시기, 강도 및 기간에 따라 기근 발생

; 환경 - 현재 문제

: 삼림 벌채 (연료용 목재 과다 사용 및 대체재 부족), 오염된 물 (인간 및 동물 폐기물, 농업 유출수 및 산업 폐수), 야생 동물 보호, 차량 배출 가스

; 환경 - 국제 협정

  • 당사국: 생물 다양성, 기후 변화, 기후 변화 - 교토 의정서, 사막화, 멸종 위기 종, 유해 폐기물, 해양법, 오존층 보호, 열대 목재 83, 열대 목재 94, 습지
  • 서명했지만 비준하지 않음: 해양 생물 보호
  • 홍수 통제, 관개 및 수력 발전을 위한 기존 및 제안된 댐, 방조제 및 운하


세 가지 범주의 모든 강은 심각한 홍수를 일으킬 수 있다. 코시 강은 네팔 내부의 부실하게 관리된 제방이 무너진 후 2008년 8월 인도 비하르 주에서 대규모 홍수를 일으켰다.[12] 웨스트 랩티 강은 도시 홍수의 역사 때문에 "고라크푸르의 슬픔"이라고 불린다.[13] 테라이 강은 급류와 관련이 있다.

히말라야에서는 융기와 침식이 거의 균형을 이루고 있어, 기후가 습한 곳에서는 급격한 융기는 매년 수백만 톤의 퇴적물이 산에서 씻겨 내려가는 것으로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14] 강이 구불구불 흐르고 적어도 수십 년마다 경로를 변경하는 광대한 충적 부채 위에 평원에서 부유물에서 침전되어 일부 전문가들은 인공 제방이 홍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15] 네팔과 비하르의 하류 코시 강을 따라 위치한 전통적인 ''미틸라'' 문화는 비옥한 충적토로 생명을 주는 존재이자, 동시에 파괴적인 홍수로 생명을 앗아가는 존재로 강을 기렸다.[16]

중간 산지의 대규모 저수지는 최고 유량을 포착하고 하류 홍수를 완화하며, 건기 관개용 잉여 몬순 유량을 저장하고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관개용 물은 특히 설득력 있는데, 인도 테라이 지역은 관정의 물에 의존하는 건기 작물이 지속 불가능하게 지하수를 "채굴"하는 식량 거품에 들어간 것으로 의심되기 때문이다.[17]

지속 가능한 대체 수자원으로서 상류 댐 건설 없이 대수층을 고갈시키는 것은 인도의 식량 안보가 불안정한 우타르 프라데시와 비하르 주에서 맬서스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으며,[18] 두 주의 인구는 3억 명이 넘는다. 인도가 이미 나살라이트-마오이스트 반군[19]을 비하르, 자르칸드 및 안드라 프라데시에서 겪고 있는 상황에서, 네팔이 수자원 프로젝트에 동의하기를 꺼리는 것은 인도에게 실존적 위협으로 보일 수도 있다.[20]

네팔이 하계 몬순에 앞서 건기 동안 관개용 물을 더 많이 돌리기 위해 댐을 건설함에 따라 방글라데시와 인도의 비하르 및 우타르 프라데시 주 하류 사용자에게 돌아가는 물의 양은 줄어들고 있다. 최선의 해결책은 상류에 대규모 저수지를 건설하여 하계 몬순 동안 잉여 유량을 포착하고 저장하는 것과 동시에 방글라데시와 인도에 홍수 통제 혜택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런 다음 물 공유 협정을 통해 저장된 물의 일부를 다음 건기 동안 인도에 흘려보낼 수 있도록 할당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팔에 댐을 건설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로 논란의 여지가 있다. 첫째, 이 지역은 지진 활동이 활발하다. 지진으로 인한 댐 붕괴는 인구가 밀집된 갠지스 평원을 따라 하류에서 엄청난 사망과 파괴를 초래할 수 있다.[21] 둘째, 지구 온난화로 인해 불안정한 모레인에 의해 댐이 건설된 빙하 호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모레인의 갑작스러운 붕괴는 하류에서 인공 구조물의 연쇄적인 붕괴와 함께 빙하 호 분출 홍수를 일으킬 수 있다.[22] 셋째, 히말라야의 퇴적률은 매우 높아 댐 뒤에 퇴적물이 쌓이면서 저장 용량이 빠르게 감소한다.[23] 넷째, 인도와 네팔이 두 국가 간의 잦은 적대감 속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비용과 혜택을 어떻게 공유할 것인가에 대한 복잡한 국경 간 형평성 문제가 있다.[20]

5. 토지 이용

네팔의 천연 자원으로는 석영, 물, 목재, 수력, 경관, 소량의 갈탄, 구리, 코발트, 철광석 등이 있다. 2001년 기준으로 토지 이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구분비율 (%)
경작 가능 토지16.0
영구 작물0.8
기타83.2



2003년 기준 관개 시설 토지는 11680km2로, 경작지의 거의 50%에 해당한다. 2011년 기준 총 재생 가능 수자원은 210.2km3이다.

5. 1. 토지 피복

2010년 토지 피복 지도
랜드샛 30m(2010년) 데이터를 사용한 네팔의 토지 피복 지도


ICIMOD가 공개 도메인 랜드샛 TM 2010년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작한 네팔 최초이자 가장 완벽한 전국 토지 피복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숲은 네팔의 주요 토지 피복 형태로 57538km2 (국가 전체 면적의 39.09%)를 차지한다.[24] 이 산림 피복의 대부분은 활엽수 폐쇄림 및 개방림으로, 21200km2 (전체 면적의 14.4%)이다.

침엽수 개방림은 8267km2 (5.62%)로 숲 면적 중 가장 적다. 농업 지역은 43910km2 (29.83%)로 상당한 면적을 차지한다. 예상대로 높은 산악 지역은 대부분 눈과 빙하, 황무지로 덮여 있다.

네팔의 계단식 농경지
네팔의 계단식 농경지


네팔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구릉 지역은 전체 면적의 29.5%를 차지하며, 경작지 또는 관리 토지 (19783km2), 자연 및 반자연 식생 (22621km2), 인공 표면 (200km2)의 넓은 지역을 가지고 있다. 테라이 지역은 경작지 또는 관리 토지 (14104km2)가 더 많고 자연 및 반자연 식생 (4280km2)은 상대적으로 적다. 테라이에는 자연 수역이 267km2밖에 없다. 고산 지역은 자연 수역이 12062km2, 눈/빙하가 13105km2이며 황무지가 있다.

5. 2. 삼림

국제통합산악개발센터(ICIMOD)가 랜드샛 TM 2010년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작한 네팔 최초이자 가장 완벽한 전국 토지 피복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숲은 네팔의 주요 토지 피복 형태로 57,538 km2를 덮고 있으며, 이는 국가 전체 면적의 39.09%를 차지한다.[24] 이 산림 피복의 대부분은 활엽수 폐쇄림 및 개방림으로, 21,200 km2 또는 전체 면적의 14.4%를 차지한다. 침엽수 개방림은 8267 km2 (5.62%)로 숲 면적 중 가장 흔하지 않다.

유엔 식량 농업 기구(FAO) 자료에 따르면 2005년 네팔 토지 면적의 25.4%에 해당하는 약 36360km2가 삼림으로 덮여 있다. FAO는 네팔 삼림 면적의 약 9.6%가 비교적 훼손되지 않은 ''원시림''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한다. FAO에 따르면 네팔 삼림의 약 12.1%는 ''보호'' 구역, 약 21.4%는 ''보존'' 구역, 약 5.1%는 ''생산림''으로 분류된다. 2000년과 2005년 사이에 네팔은 약 2640km2의 삼림을 잃었다. 네팔의 2000–2005년 총 삼림 벌채율은 연간 약 1.4%로, 연평균 530km2의 삼림이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1990년부터 2000년까지의 총 삼림 벌채율은 연간 920km2 또는 2.1%였다. 2000–2005년 네팔의 실제 삼림 벌채율은 원시림 손실을 기준으로 정의되며, 연간 -0.4% 또는 70km2이다.[25]

국제산악개발센터(ICIMOD)의 2010년 자료에 따르면, 삼림은 네팔에서 가장 지배적인 토지 피복 형태로 57,538 km2를 덮고 있으며, 이는 국가 전체 지리적 면적의 39.09%를 차지한다.[26] 이 삼림 면적의 대부분은 활엽수 폐쇄림과 개방림 (21,200 km2, 지리적 면적의 14.4%)이다. 침엽수 개방림은 삼림 면적 중 가장 희귀하며 8,267 km2 (5.62%)를 차지한다. 국가 차원에서 64.8%의 면적이 500 ha 초과 크기의 핵심 삼림으로 덮여 있으며, 23.8%의 삼림은 패치 및 가장자리 범주에 속한다. 패치 삼림은 국가 차원에서 748 km2를 차지하며, 이 중 494 km2의 패치 삼림이 산악 지역에 존재한다. 중산, 시왈릭, 테라이 지역은 70% 이상의 삼림 면적이 500 ha 초과 크기의 핵심 삼림 범주에 속한다. 가장자리 삼림은 고산 및 산악 지역 삼림 면적의 약 30%를 차지한다.[26] 핀란드 정부의 지원을 받아 2010년과 2014년 사이에 실시된 산림 자원 평가(FRA)에 따르면 네팔 토지의 40.36%가 삼림이며, 4.40%의 토지는 관목과 덤불로 덮여 있다.

삼림 벌채는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27] 과도한 장작 채취, 건축용 목재 채취, 불법 벌목, 재정착 및 농업 확장을 위한 개간, 도시 확장, 인프라 건설 등이 삼림 벌채의 주요 원인이다.[28]

6. 국경

네팔은 인도와 1,690km, 중국과 1,236km의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총 국경 길이는 2,926km이다.[8] 네팔의 주요 강으로는 코시 강, 간다키 강(나라야니 강), 카르날리 강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갠지스 강의 지류이다. 갠지스 강 - 얄룽장포 강/브라마푸트라 강 유역은 네팔과 티베트 (중국) 국경과 거의 일치한다.[8]

인도와의 국경은 개방되어 있어 양국 국민이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지만, 무역을 위해서는 지정된 국경 검문소를 이용해야 한다. 중국과의 국경은 히말라야 산맥을 따라 이어지며, 에베레스트 산을 포함한다.

6. 1. 인도와의 국경

네팔과 인도는 양국 국민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 개방된 국경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무역을 위해서는 23개의 국경 검문소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29]

6. 1. 1. 국경 검문소

네팔과 인도는 양국 국민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 개방된 국경을 가지고 있지만, 무역을 위해 23개의 국경 검문소를 운영하고 있다.[29] 이 중 '''''이탤릭체'''''로 표시된 6개 검문소는 제3국 국민의 출입국에도 사용된다.[29]

네팔 측인도 측
통과 지점
이름
통과 지점
위치
도시도시
파슈파티나가르파슈파티나가르일람제1주수키아포크리다르질링서벵골
'메치'카카르비타자파제1주낙살바리 (파니탕키)다르질링 구서벵골
바드라푸르자파제1주갈갈리아키샨간지비하르
비라트나가르비라트나가르모랑제1주조그바니아리아비하르
순사리순사리제1주빔나가르수파울비하르
라즈비라즈라즈비라즈사파리제2주쿠나울리수파울 구비하르
시라하시라하시라하제2주자야나가르마두바니비하르
타디 지지하다누사제2주라우카하마두바니 구비하르
잘레스와르잘레스와르마호타리제2주수르산드시타마르히비하르
말랑가와사르라히제2주손바르사시타마르히 구비하르
가우르가우르라우타하트제2주바이르가니아시타마르히 구비하르
'비르간지'비르간지파르사제2주락사울이스트 참파란비하르
'파라시'마헤스푸르투티바리마하라지간지우타르프라데시
'바이라하와'시르다르타나가르
(바이라하와)
루판데히룸비니 주나우탄와마하라지간지우타르프라데시
타울리하와-시르다르타나가르타울리하와카필바스투룸비니 주쿤와시르다르타나가르우타르프라데시
크리슈나가르크리슈나가르카필바스투룸비니 주바르히니시르다르타나가르우타르프라데시
코일라바스코일라바스룸비니 주자르와발람푸르우타르프라데시
'네팔간지'네팔간지반케룸비니 주루파이디하바라이치우타르프라데시
라자푸르라자푸르바르디야룸비니 주카테르니야가트바라이치 구우타르프라데시
프리티비푸르 (사티)카일라리수두르파시킴 주티코니아라키푸르 케리우타르프라데시
'당가디'카일라리수두르파시킴 주가우리판타라키푸르 케리우타르프라데시
'빔 다타
(마헨드라나가르)'
칸찬푸르수두르파시킴 주반바사참파와트우타라칸드
마하칼리마하칼리바이타디수두르파시킴 주줄라가트 (피토라가르)피토라가르우타라칸드
다르출라다르출라수두르파시킴 주다르출라피토라가르 구우타라칸드


6. 2. 중국과의 국경

중국-네팔 국경은 히말라야 산맥을 따라 이어지며, 에베레스트 산을 포함한다. 양국 간에는 여러 개의 국경 검문소가 있으며, 교역과 인적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네팔의 주요 강으로는 코시 강, 간다키 강/나라야니 강, 카르날리 강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갠지스 강의 지류이다. 갠지스 강 - 얄룽장포 강/브라마푸트라 강 유역은 네팔-티베트 국경과 거의 일치한다.[8]

6. 2. 1. 국경 검문소

중국-네팔 국경 참조

2012년 조약에 따른 출입국 항구[30]
통과 지점 이름[30]네팔 관할중국 관할상태통과 지점 위치국경 고도
부랑-야리힐사, 훔라 구부랑, 부랑 현운영 중3640m
리즈-네충
(코라 라)
로 만탕, 무스탕 구종바 현계획4620m
지롱-라수와라수와 가디, 라수와 구지롱, 지롱 현운영 중1850m
장무-코다리타토파니, 신두팔촉 구장무, 냐람 현운영 중[32]1760m
첸탕-키마탄카키마탄카, 상쿠와사바 구첸탕, 딩지에 현계획2248m
리오그-올랑충 골라
(팁타 라)
올랑충 골라, 타플레중 구리오그, 딩지에 현계획5095m


참조

[1] 웹사이트 Government unveils new political map including Kalapani, Lipulekh and Limpiyadhura inside Nepal borders https://kathmandupos[...] 2020-05-20
[2] 웹사이트 Nepal's holy Bagmati River choked with black sewage, trash https://apnews.com/a[...] 2022-08-17
[3] 웹사이트 One more report ranks Nepal among most polluted countries in the world https://kathmandupos[...]
[4] 웹사이트 Accra, Ghana https://www.who.int/[...]
[5] 웹사이트 Averting an air pollution disaster in South Asia https://www.eastasia[...] 2023-04-21
[6] 웹사이트 Trash and Overcrowding at the Top of the World https://education.na[...]
[7] 웹사이트 'The very air we breathe | UNICEF Nepal' https://www.unicef.o[...]
[8] 문서 Dahal http://150.217.73.85[...]
[9] 웹사이트 Peaks of Nepal https://web.archive.[...] Himalayan Echo Trek and Travel
[10] 서적 Important Trade Routes in Nepal and Their Importance to the Settlement Process http://himalaya.soca[...] 1992-06
[11] 간행물 The Map of Potential Vegetation of Nepal - a forestry/agroecological/biodiversity classification system https://web.archive.[...]
[12] 뉴스 Nepali scientists record country's first tornado: The team confirmed the rare event using satellite images, social-media posts and a visit to the affected area https://www.nature.c[...] Spring Nature Publishing 2019-04-12
[13] 서적 Water Resources of Nepal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Nepal, Water and Energy Commission Secretariat
[14] 학술 Interpretation of Erosional Topography in Humid Temperate Regions http://earth.geology[...]
[15] 학술 Effect of the barrage and embankments on flooding and channel avulsion, case study Koshi River, Nepal http://resolver.tude[...]
[16] 웹사이트 Floods of Mithila Region: Raising Questions on Survival http://onesstandpoin[...] 2009-05-07
[17] 뉴스 India's dangerous 'food bubble' https://www.latimes.[...] 2013-11-29
[18] 서적 Food Security Atlas of Rural Bihar http://www.indiaenvi[...] Institute for Human Development
[19] 웹사이트 The Naxalite Insurgency in India http://www.geopoliti[...] 2010-05-17
[20] 학술 Water Issues between Nepal, India & Bangladesh, a Review of Literature http://www.ipcs.org/[...] Institute of Peace and Conflict Studies 2010-07
[21] 학술 Revision of the West Seti Dam Design in Nepal http://www.nepjol.in[...] 2010-01
[22] 학술 Glacial Lakes and Glacial Lake Outburst Floods in Nepal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Center for Integrated Mountain Development
[23] 학술 Sediment Transport Studies in Punatsangchu River, Bhutan http://lup.lub.lu.se[...] Lund University, Water Resources Engineering
[24] 학술 Development of 2010 national land cover database for the Nepal 2015-01-15
[25] 학술 The changing land cover and fragmenting forest on the Roof of the World: A case study in Nepal's Kailash Sacred Landscape 2015-09
[26] 학술 Development of 2010 national land cover database for the Nepal 2015-01-15
[27] 서적 Chitwan-Annapurna Landscape Drivers of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http://awsassets.pan[...] World Wildlife Fund Nepal, Hariyo Ban Program
[28] 뉴스 Nepal's forests 'being stripped by Indian timber demand' https://www.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0-09-28
[29] 웹사이트 Nepal-India Open Border: Prospects, Problems and Challenges https://web.archive.[...] Nepal Democracy
[30]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政府和尼泊尔政府关于边境口岸及其管理制度的协定 http://np.chineseemb[...] Chinese Embassy in Nepal 2012-01-14
[31] 잡지 News from China http://in.china-emba[...] 2016-07
[32] 웹사이트 Kodari Checkpoint To Open Today https://www.spotligh[...] 2019-05-29
[33] 인용 The Map of Potential Vegetation of Nepal - a forestry/agroecological/biodiversity classification system http://curis.ku.dk/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