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우르족은 주로 중국 북동부와 내몽골 자치구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거란족의 후예로 추정된다. 다우르어는 몽골어족에 속하며, 거란어의 흔적을 포함하고 있다. 17세기에는 러시아의 침략과 청나라의 지배를 받으며 넨 강 유역으로 이동했고, 1931년에는 일본의 침략에 저항했다. 다우르족은 씨족 사회 구조를 유지하며, 샤머니즘과 티베트 불교를 믿는다. 내몽골 자치구에는 모린다와 다우르족 자치기가, 헤이룽장성에는 메이리스 다우르족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우르족 - 타생오랍총관아문
- 거란 - 캐세이
캐세이는 거란족에서 유래하여 중국을 지칭하는 역사적 명칭으로, 몽골 제국 시대에는 금나라를, 근세 서양에서는 중국을 의미했으며, 현재는 시적 표현이나 기업 명칭으로 사용된다. - 몽골의 민족 - 몽골인
몽골인은 몽골, 중국, 러시아 등에 거주하는 유목민족으로, 몽올실위에서 기원하여 흉노족, 돌궐족과 혼혈되었으며, 칭기즈칸의 몽골 제국을 거쳐 여러 칸국으로 분열 후 청나라 지배를 받았고, 다양한 부족으로 구성되어 몽골어를 사용하며 유목 목축과 라마 불교 중심의 전통 문화를 가지고 있다. - 몽골의 민족 - 만주족
만주족은 중국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는 퉁구스계 민족으로, 후금을 건국하여 청나라를 세우고 중국을 지배했으며, 숙신에서 기원하여 물길, 말갈, 여진 등으로 불리다 만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만주어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한국과도 오랜 역사적 관계를 맺어왔다.
다우르족 | |
---|---|
개요 | |
![]() | |
인구 | 약 131,393명 (2010년 인구 조사) |
거주 지역 |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 헤이룽장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
기타 거주 지역 | 몽골 (약 3,000명) |
종교 | 몽골 샤머니즘, 티베트 불교 |
언어 | 다우르어, 중국어, 몽골어 |
관련 민족 | 부랴트족, 몽골족, 거란족 |
민족 명칭 | |
몽골어 | Дагуур (Daguur) |
중국어 (간체) | 达斡尔族 |
중국어 (정체) | 達斡爾族 |
병음 | Dáwò'ěr zú |
언어 및 문화 | |
언어 | 다우르어 |
문화 | 몽골 문화와 유사 |
역사 | |
기원 | 거란족과 관련 있다는 설이 있음 |
분포 | |
중국 | 내몽골 자치구, 헤이룽장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등에 거주 |
몽골 | 일부 거주 |
2. 유래
다우르족이 거란족의 후예라는 주장은 건륭제의 흠정 요금원삼사어해(欽定 遼金元三史語解)에서도 언급되었는데, 오늘날 유전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17] 특히 다우르어가 거란어의 영향도 받아 형성되었다는 연구가 있다.
2. 1. 거란과의 관계
건륭제의 흠정 요금원삼사어해(欽定 遼金元三史語解)에서도 다우르족이 과거 거란족의 후예라는 주장이 언급되었는데, 오늘날 유전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17] 특히 다우르어가 거란어의 영향도 받아 형성되었다는 연구가 있다.3. 역사
다우르족은 유전적으로 거란의 후손으로 여겨진다.[5] 건륭제는 "요사", "금사", "원사"를 번역하면서 요사에 묘사된 거란 씨족 "대하"를 "다우르"로 번역했는데, 이는 다우르족이 거란의 후손이라는 주장의 가장 오래된 이론이다.
17세기, 다우르족은 실카 강 유역, 아무르 강 상류, 제야 강, 부레야 강 등지에 거주했다. 이 지역은 다우리아라고 불렸다. 17세기 중반, 청나라의 영향을 받아 넨 강 유역으로 이동하여 팔기 제도에 편입되었다.
1931년 일본이 현재의 내몽골 모린 다와 지역을 침략했을 때, 다우르족은 이에 격렬하게 저항했다.[9]
청나라 시대에 다우르족은 에벤키족, 오로촌족 등과 함께 소론 팔기에 포함되었으며, 다른 몽골계 집단과는 다른 독자성을 가지면서도 전통적으로 스스로를 "몽골의 일부"로 인식해 왔다. 중국 정부는 다우르족을 포함한 각 종족을 별개의 민족으로 "식별"하여 독립적인 소수 민족의 지위를 부여했다.
다우르족은 고유어인 다우르어를 사용하지만, 몽골어와의 이중 언어 사용자도 많았다. 이들은 어업, 목축, 수렵, 농경 등에 종사했으며, 과거에는 오로촌족이나 에벤키족 등과 교역을 통해 생활용품, 총, 산탄, 술 등을 얻기도 했다.
3. 1. 러시아와의 관계
17세기 중반, 러시아 탐험가와 약탈자들이 다우리아 지역에 도착하면서 다우르족과 충돌이 발생했다. 러시아인들은 다우르족에게 차르에게 복종하고 ''야사크''(조공)를 바치라고 요구했지만, 다우르족은 이미 청나라 순치제에게 조공을 바치고 있다며 거부했다.[6] 이에 러시아 코사크는 공격을 가해 다우르족 마을을 점령했다. 예를 들어, 예로페이 하바로프는 1651년 다우르족 추장 구이구다르의 마을을 공격하여 코사크 4명만 사망한 반면, 다우르족은 661명이 살해당하고 243명의 여성과 118명의 어린이가 포로로 잡혔다고 보고했다.[6] 점령된 다우르족 마을 야사는 러시아 마을 알바진이 되었다.[6]1650년대 예로페이 하바로프의 아무르 강 유역 침략 당시, 러시아 코사크들은 수백 마리의 소와 말을 약탈하고 243명의 다우르족 소녀와 여성을 강간했다.[7] 블라고베셴스크 학살 및 강 동쪽 64개 마을 학살에서는 러시아 코사크 군인들이 1,266가구, 900명의 다우르족을 학살했다.[8]
3. 2. 청나라와의 관계
1640년, 붐보고르가 이끄는 에벤키-다우르 연합은 청나라에 저항했지만, 청나라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6] 이후 다우르족은 청나라에 조공을 바치게 되었고, 순치제는 다우르족에게서 '샴샤칸'이라는 이름으로 조공을 받았다는 기록이 러시아인들에 의해 남겨졌다.[6]1650년대 초, 러시아 탐험가와 약탈자들이 이 지역에 도착했을 때, 다우르족은 종종 순치제에게 이미 조공을 바쳤다고 말하며 러시아인들에게 조공을 거부했다.[6] 코사크는 무력을 사용하여 다우르족 마을을 점령했는데, 예를 들어 1651년 예로페이 하바로프는 다우르족 추장 구이구다르의 마을을 공격하여 코사크 4명만 사망하고 다우르족 661명을 살해했다.[6] 이 과정에서 많은 다우르족 여성들이 강간당했고,[7] 점령된 다우르족 마을은 러시아 마을 알바진이 되었다가 1680년대에 청나라에 의해 재탈환되었다.[6]
아무르 강 지역에서 러시아의 팽창에 직면하여, 1654년에서 1656년 사이에 다우르족은 남쪽으로 이동하여 넨 강 유역에 정착해야 했고, 그곳에서 팔기 제도에 편입되어 청 황제를 위해 복무했다.[7]
일부 다우르족은 청나라 시대에 만주 팔기에 편입되어 베이징으로 이주하기도 했다. 이들은 만주족과 동화되었는데, 선통제 푸이의 황후 완룽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완룽 황후의 고브로 씨(gobulo hala, 곽보륵씨, 곽포라씨)는 만주족과 동화된 다우르족의 후손이다.
3. 3. 일본과의 관계
나이토 코난은 동명성왕이자 부여의 창시자인 고구려 동명성왕이 태어난 탁리국을 송화강 근처에 살던 다우르족의 국가라고 주장했다.[10]4. 언어
다우르어는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 다우르 원어민 학자가 고안한 라틴 문자 기반 표기법이 있다. 다우르어는 다른 몽골어에는 없는 어휘를 포함하여 일부 거란어 언어 기층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
청나라 통치 기간 동안 일부 다우르족은 만주어를 제2 언어로 사용하며 말하고 썼다.[4] 이들은 몽골의 일부로 자처했기 때문에, 지식인들은 먼저 몽골어 읽고 쓰기를 배웠고, 청나라 시대에는 거주지 행정 용어였던 만주어, 만주 문자를 배웠다.
중화인민공화국 통치 하에 로마자 알파벳을 사용한 다우르어 표기 방식이 고안되었지만, 공용어로 정식 채택되지는 못했다.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몽골어, 만주어를 대신하여 중국어가 사용되는 상황이 오래 지속되었다. 그 결과, 다우르어를 모어로 익히는 사람이 매우 적어져 다우르어는 "소멸 위기에 처한 언어" 중 하나가 되었다.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만주 문자를 사용하여 다우르어 발음을 표기하기도 한다.
4. 1. 방언
다우르어는 Batgan, Hailar, Qiqihar의 세 가지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다.[4]4. 2. 차용어
다우르어는 고유 문자가 없고, 전반적으로 몽골어에서 차용된 단어가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만주어에서 차용된 단어도 많다.[4]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이주한 사람들은 추가로 인접한 카자흐족의 언어를 익히는 것이 기대되었다.5. 문화
다우르족은 '할라'와 '모콘'이라는 독특한 씨족 체계를 가진 씨족 사회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같은 성씨를 가진 사람들은 "할라"라는 집단을 이루며, 두세 개의 마을로 구성된 같은 집단과 함께 생활한다. 각 "할라"는 같은 마을에 사는 다양한 씨족("모콘")으로 나뉜다. 다른 씨족 간에 결혼하면 남편은 재산권을 가지지 않고 아내의 씨족과 함께 생활한다.
다우르족은 전통적으로 어업, 목축, 수렵, 농경에 종사했다. 청나라 시대부터 오로촌족, 에벤키족 등과 교역을 하였으며, 피혁과 교환하여 생활용품, 총과 산탄, 술 등의 기호품을 얻었다.[14][15]
다우르족은 베이커우(Beikou)라는 전통 스포츠를 즐기는데, 이는 필드 하키나 스트리트 하키와 유사하며 약 1,000년 동안 이어져 왔다.[11]
5. 1. 복식
다우르족 여성은 겨울에 주로 파란색 긴 드레스와 가죽 부츠를 착용하며, 여름에는 긴 바지로 갈아입는다. 다우르족 남성은 겨울에 여우 또는 붉은 사슴 가죽으로 만든 오레헤로스 모자를 쓴다. 여름에는 흰색 천이나 밀짚 모자로 머리를 가린다.[11]5. 2. 종교
다우르족은 전통적으로 샤머니즘을 믿으며, 각 씨족마다 샤먼이 있어 다우르족 삶의 중요한 모든 의식을 담당한다.[12] 일부는 티베트 불교를 믿기도 한다.[12]6. 중국 내 자치 지역
중국 내 다우르족은 자치 지역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내몽골 자치구의 모린다와 다우르족 자치기와 헤이룽장성의 메이리스 다우르족구가 있다. 그 외에도 여러 민족향과 민족진이 있다.
6. 1. 자치기
내몽골 자치구의 모린다와 다우르족 자치기6. 2. 민족구
헤이룽장성 메이리스 다우르족구6. 3. 민족진/민족향
행정 구역 | 민족향/민족진 |
---|---|
헤이룽장성 치치하얼시 메이리스 다우르족구 | 워우투 다우르족 진 |
헤이룽장성 치치하얼시 메이리스 다우르족구 | 망거투 다우르족 향 |
헤이룽장성 치치하얼시 푸라얼지 구 | 둬얼먼친 다우르족 향 |
헤이룽장성 푸위 현 | 유이 다우르족 만주족 키르기스족 향 |
내몽골 자치구 자란툰 시 | 다우르족 민족향 |
내몽골 자치구 에벤키족 자치기 | 바옌타라 다우르족 민족향 |
내몽골 자치구 아룬 기 | 인허 다우르족·에벤키족 민족향 |
신장 위구르 자치구 차오차오커 시 | 아시얼 다우르족 향 |
참조
[1]
서적
Multicultural China: A Statistical Yearbook (2014)
[2]
웹사이트
China's Dagur Minority: Society, Shamanism, and Folklore
https://sino-platoni[...]
2018-04-20
[3]
웹사이트
Монгол овог аймгууд
http://ikhmongol.mn/[...]
2021-11-15
[4]
서적
The Last Emperors: A Social History of Qing Imperial Institution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11-15
[5]
뉴스
DNA Match Solves Ancient Mystery
http://china.org.cn/[...]
2001-08-02
[6]
웹사이트
О ХАРАКТЕРЕ КУПЮР В ПУБЛИКАЦИЯХ ДОКУМЕНТОВ РУССКИХ ЗЕМЛЕПРОХОДЦЕВ XVII
http://zab.chita.ru/[...]
[7]
서적
Black Dragon River: A Journey Down the Amur River Between Russia and China
https://books.google[...]
Penguin
2016
[8]
간행물
亚洲地理、地形和统计材料汇编
圣彼得堡
1886
[9]
서적
The Mongols at China's edge: history and the politics of national unit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2
[10]
서적
古代東アジアの民族と国家
岩波書店
1998-03-25
[11]
뉴스
A Chinese Hinterland, Fertile With Field Hockey
https://www.nytimes.[...]
2008-08-22
[12]
서적
Shamans and Elders: Experience, Knowledge, and Power among the Daur Mongols
Clarendon Press
[13]
서적
The Last Emperors: A Social History of Qing Imperial Institut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4]
서적
古代東アジアの民族と国家
岩波書店
1998-03-25
[15]
서적
東北亜細亜諸国の開闢伝説
1919-04
[16]
웹인용
다우르족의 역사
https://korean.cri.c[...]
2022-06-05
[17]
뉴스
DNA Match Solves Ancient Mystery
http://china.org.cn/[...]
2001-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