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체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체주의는 한 존재가 다른 존재를 대신하거나 대체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로, 기독교 신학에서 유대교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초기 기독교에서는 예수와 사도 바울을 중심으로 유대교의 율법보다 예수의 가르침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예루살렘 공의회와 바울의 서신에서 주요 쟁점이 되었다. 교부 시대에는 구약이 신약에 의해 성취되고 대체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며, 아우구스티누스는 유대교의 지속적인 존재가 기독교에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현대에는 동방 정교회는 대체주의와 유사한 견해를 따르지만, 로마 가톨릭교회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 유대인과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보였다. 개신교는 성경의 언약에 대한 해석 차이에 따라 대체주의에 대한 다양한 입장을 보이며, 언약 신학은 대체주의와 연관되는 경향이 있다. 몰몬교는 고대 이스라엘과 초기 기독교의 연관성을 강조하지만, 유대인의 메시아 거부를 비판하는 입장을 취한다.

대체주의는 처벌적, 경제적, 구조적 유형으로 분류되며, 유대교는 이를 거부하고 반유대주의로 간주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세 율법 - 모세 언약
    모세 언약은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과 맺은 언약으로, 구약성경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유대교와 기독교에서 각각 다른 관점으로 해석된다.
  • 모세 율법 - 신법
    신법은 신의 계시나 성경에 근거한 법으로, 토마스 아퀴나스는 인간 구원에 필수적인 요소로, 칼뱅주의에서는 신의 주권적 의지가 성경을 통해 나타나는 법으로 여겨진다.
  • 유대교 관련 논란 - 마라노
    마라노는 이베리아 반도에서 국가적 압력이나 사회적 상황으로 기독교로 개종했지만 비밀리에 유대교 신앙을 지킨 유대인 또는 그 후손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알람브라 칙령 이후 종교 재판의 감시와 박해를 받으며 여러 지역으로 이주하거나 신앙을 지켰고, 현대에는 그 후손들이 정체성을 재발견하고 유대교로 복귀하는 움직임도 있다.
  • 유대교 관련 논란 - 얌니아 회의
    얌니아 회의는 서기 70년 예루살렘 멸망 이후 유대교 정경 확립을 위해 진행된 논의 과정으로, 타나크 분류를 확립하고 기독교와의 분리를 결정짓는 계기가 되었으나, 그 존재와 역할에 대한 학문적 논쟁이 있다.
  • 교회당 - 바실리카
    바실리카는 고대 로마 시대에 법정이나 상업 건물로 사용되다가 기독교 교회 건축 양식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가톨릭교회에서 특별한 특권을 가진 교회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 교회당 - 총회
    총회는 종교적, 사회적 목적으로 많은 사람이 모이는 집회를 뜻하는 용어로, 교회나 종교 단체의 최고 의결 기관, 국제 기구의 주요 의사결정 기구, 국가 및 지방 의회의 명칭 등으로 사용되며, 신약성경에서는 신앙 공동체 전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대체주의
개요
명칭대체 신학
다른 명칭대치 신학
대체주의
대치주의
성취 신학
탈유대교화
수정 유대교
슈퍼세셔니즘 (Supersessionism)
신학적 분류
유형기독교 신학
관련언약신학, 종말론
설명
내용교회는 새 이스라엘이며, 예수를 메시아로 거부한 유대 민족에 대한 하나님의 언약은 파기되었다는 신학적 입장
주요 주장
핵심 주장기독교 교회가 이스라엘을 대체했다는 주장
근거예수를 메시아로 인정하지 않음
결과유대인은 더 이상 하나님의 선민이 아님
성경의 약속은 교회에 적용됨
역사적 맥락
기원초기 교부들의 저술
발전유대교기독교의 분리 과정에서 강화
영향반유대주의의 신학적 배경으로 작용
다양한 관점
강한 대체주의이스라엘의 구원은 완전히 교회로 대체되었다고 주장
약한 대체주의이스라엘의 역할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을 뿐이라고 주장
비대체주의이스라엘의 영원한 구원을 인정
논쟁
주요 논쟁점이스라엘의 현재적 지위와 미래, 성경 해석의 문제
비판반유대주의적 요소, 성경의 약속에 대한 자의적 해석
옹호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성경 해석, 교회의 보편성 강조
관련 용어
관련 용어언약 신학
세대주의
반유대주의
시오니즘
새로운 관점
두 언약 신학

2. 용어의 기원

'대체주의'라는 용어는 영어 동사 'to supersede'(대체하다)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라틴어 동사 sedeo, sedere, sedi, sessum|앉다la[11]와 'super'(위에)에서 파생되었다. 따라서 이는 한 가지가 다른 것으로 대체되거나 대체되는 것을 의미한다.[12]

3. 초기 기독교의 대체주의

초기 기독교의 대체주의는 신약성서와 교부들의 가르침을 통해 나타났다.

신약에서 예수와 사도 바울은 유대인에게 우선순위를 두는 사명을 언급했지만,[15][16] 예수의 죽음 이후 이방인의 포함과 모세의 율법 준수 문제가 예루살렘 공의회와 갈라디아서에서 주요 쟁점이 되었다.[17] 바울과 유대교의 관계는 논쟁의 대상이지만, 바울은 예수의 신성을 받아들이지 않는 유대인들이 구원에서 스스로 자격을 잃었다고 주장한 최초의 인물로 여겨진다. 그는 자신의 회심 경험을 통해 예수의 메시아 주장을 받아들였으며, 제임스 캐롤에 따르면, 바울에게 예수의 신성을 받아들이는 것은 유대인으로 사는 것과 양립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러나 N.T. 라이트는 바울이 예수에 대한 믿음을 유대교의 성취로 보았다고 주장한다.

렘브란트 판 레인의 1657년경 작품, ''사도 바울''


기독교 역사 대부분의 기간 동안 대체주의는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개신교에서 주류 해석이었다. 히브리서 8장 13절은 대체주의적 관점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구절이다. '''마태복음 21:43'''도 사용되었다.

순교자 유스티노는 기독교인을 진정한 영적 이스라엘로 여겼다.


교부 시대에 순교자 유스티노는 "진정한 영적 이스라엘"을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께 인도된 사람들이라고 썼다.[1] 이레네오는 신약이 구약을 대체했지만 모세의 율법의 도덕법은 유효하다고 가르쳤다.[2] 테르툴리아누스는 신약이 새로운 율법을 가져왔다고 믿었다.[3]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초기 교부들의 견해를 따르면서도 랍비 유대교 신앙의 지속적인 존재가 기독교에 중요하다고 강조했다.[4] 가톨릭 교회는 그의 신학을 기반으로 종말론 체계를 구축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유대인을 기독교로 개종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그들을 "사랑"해야 한다고 언급했다.[5] 제레미 코헨[6]과 제임스 캐롤[7]은 이것이 중요한 사회적 결과를 낳았다고 보았다.[8]

3. 1. 신약성서

신약에서 예수와 다른 사람들은 그들의 사명에 있어 유대인들에게 반복적으로 우선순위를 부여했다.[15] 예를 들어 예수는 자신을 이방인이 아닌 유대인에게 왔다고 표현했고,[15] 사도 바울은 "먼저 유대인에게, 그리고 이방인에게"라는 공식을 사용했다.[16] 그러나 예수의 죽음 이후, 이 급성장하는 유대교 종파에 이방인들을 동등하게 포함시키는 것은 문제를 야기했다. 특히 이방인들이 모세의 율법을 지키는 문제[17]가 그랬으며, 이는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주요 쟁점이 되었고 바울의 갈라디아서의 주제이기도 했다. 그러나 바울과 유대교의 관계는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바울의 유대인에 대한 견해는 복잡하지만, 그는 일반적으로 예수의 신성에 대한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음으로써 믿지 않는 유대인들이 구원에서 스스로 자격을 잃었다고 주장한 최초의 인물로 여겨진다. 바울 자신은 유대인이었다. 그는 회심 경험 후 훗날 예수의 메시아 주장을 받아들였다. 전 로마 가톨릭 사제인 제임스 캐롤의 견해에 따르면, 바울에게 있어서 예수의 신성을 받아들이는 것은 유대인인 것과 양립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의 개인적인 회심과 유대인으로 사는 것과 예수의 신성을 받아들이는 것 사이의 양립할 수 없음은 그가 당대 다른 유대인들이 채택하기를 바랐던 종교 철학이었다. 그러나 신약학자 N.T. 라이트는 바울이 예수에 대한 자신의 믿음을 유대교의 정확한 성취로 보았으며, 유대인으로 사는 것과 기독교인으로 사는 것 사이에 어떤 긴장도 없었다고 주장한다. 기독교인들은 빠르게 바울의 견해를 받아들였다.

기독교 역사상 대부분의 기간 동안, 대체주의는 기독교 내 세 주요 역사적 전통인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개신교 모두에서 신약에 대한 주류 해석이었다. 대체주의적 관점을 가장 자주 나타내는 텍스트는 히브리서 8:13이다. "그는 '새 언약'에 대해 말하면서 [렘 31:31–32] 첫 번째 것을 낡게 하셨다." 예수의 다른 말씀들도 사용되었는데, 특히 '''마태복음 21:43'''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에게서 빼앗겨서 그것의 열매를 맺는 백성에게 주어지리라."이다.

3. 2. 교부 시대



많은 초기 기독교 주석가들은 구약성경그리스도 안에서 신약성경에 의해 성취되고 대체되었다고 가르쳤다. 예를 들어, 순교자 유스티노는 "진정한 영적 이스라엘"은 "이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께로 인도된" 사람들을 가리킨다고 썼다.[1] 이레네오는 신약이 구약을 대체했지만, 모세의 율법의 근간이 되는 도덕법은 신약에서도 계속 유효하다고 가르쳤다.[2] 반면에, 테르툴리아누스는 신약이 새로운 율법을 가져왔다고 믿으며 다음과 같이 썼다. "그러므로, 새로운 율법에 의해 충분히 가르침을 받고 낡은 율법을 지우고, 그 폐지의 도래를 행위 자체가 증명하는 우리 외에 누구를 이해해야 하는가. ...그러므로, 우리가 위에서 낡은 율법과 육체적인 할례의 종식이 선언되었음을 보여준 것처럼, 새로운 율법의 준수와 영적인 할례 역시 자발적인 평화의 준수로 빛을 발했습니다."[3]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초기 교부들의 견해를 따랐지만, 분리된 랍비 유대교 신앙의 지속적인 존재가 기독교에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유대인들은 ... 그들의 성경을 통해 우리가 그리스도에 대한 예언을 위조하지 않았다는 증거를 우리에게 제시합니다."[4] 가톨릭 교회는 그의 신학을 기반으로 종말론 체계를 구축했으며, 여기서 그리스도는 그의 승리한 교회를 통해 영적으로 땅을 다스린다. 그러나 아우구스티누스는 또한 유대인을 기독교로 개종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그들을 "사랑"하는 것에 대해 언급했다.[5] 제레미 코헨[6]에 이어 존 Y. B. 후드와 제임스 캐롤[7]은 이것이 결정적인 사회적 결과를 낳았다고 보았고, 캐롤은 "이 시점에서 기독교가 아우구스티누스 때문에 유대교의 존속을 '허용'했다고 말하는 것은 과장이 아니다"라고 말했다.[8]

4. 현대의 관점

현대 사회에서 대체주의는 다양한 기독교 교파에서 다르게 해석되고 논의되는 주제이다.

동방 정교회는 대체주의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 않지만, 이와 유사한 관점을 따른다. 로마 가톨릭 교회는 공식적으로 대체주의를 교리로 채택하지 않았으나, 역사적으로 대체주의적 사상을 보여왔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962–1965) 이후, 가톨릭 교회는 기독교와 반유대주의에 대한 강조점을 바꾸면서 "강한" 대체주의에서 "약한" 대체주의로 전환했다.[19]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유대 민족을 "결코 폐지되지 않은 구약의 하나님의 백성"이라고 칭하며 유대 민족의 언약적 지위를 확인했다.[21] 교황 프란치스코는 사도적 권고 Evangelii gaudiumla (2013)에서 "우리는 유대인들을 특별히 존중하는데, 이는 하나님과의 그들의 언약이 결코 철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했다.[24]

개신교는 대체주의에 대해 다양한 입장을 보인다. 홀로코스트 이후, 많은 개신교 교단들이 대체주의를 다시 생각하고 거부하는 경향을 보였다.[30][31] 성경의 언약에 대한 이해에 따라 대체주의에 대한 견해가 달라지는데, 언약 신학은 대체주의와 연관되는 경향이 있고, 세대주의는 대체주의에 반대한다.[32][33][34][35] 기독교 시오니즘 또한 대체주의 거부와 관련이 있다. 미국 성공회,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 연합 감리교회 등 일부 미국 주류 개신교 교단들은 대체주의를 부정하는 성명을 발표했다.[37]

루터교는 역사적으로 대체 신학 교리를 가르쳐 왔으며,[40] 미주리 시노드 루터교회와 같은 고백 루터교 교단에서 지속적으로 가르쳐지고 있다.[41] 개혁교회 (유럽 개혁교회, 장로교, 회중교회, 개혁 성공회) 전통은 언약 신학을 따르며, 역사적으로 "그리스도는 유대 언약 생활의 기대를 충족시키고 구약과 유대교에 뿌리를 둔 하나님의 백성을 새롭게 한다"고 가르쳤다.[43]

몰몬교는 초기 기독교 신앙의 회복을 주장하며, 현대 이스라엘 후손들이 여전히 하나님의 언약 백성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몰몬경은 유대인들이 그리스도를 거부했기 때문에 고난을 받을 것이라고 가르친다.[49]

4. 1. 동방 정교회

동방 정교회는 대체주의와 다소 유사한 견해를 따르지만, 공식적으로 그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는다.

4. 2. 로마 가톨릭 교회

로마 가톨릭 교회는 공식적으로 대체주의를 교리로 채택하지 않았지만, 역사적으로 대체주의적 사상을 반영해 왔다. 특히 20세기 중반 이전에는 가톨릭 전례와 문헌에서 유대교에 대한 반대 신학이 광범위하게 나타났다.[19]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962–1965)는 기독교와 반유대주의에 대한 가톨릭 교리의 강조점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강한" 대체주의에서 "약한" 대체주의로의 전환으로 설명될 수 있다.[19]

교황 비오 12세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 가톨릭 교리는 교회와 새 언약이 유대교와 "구약"을 대신한다는 "대치" 또는 "대체" 신학으로 특징지어졌다. 구약의 무효화는 종종 유대인들이 예수의 십자가형을 통해 하나님과의 언약적 관계를 잃었다는 "유대인 신살해 혐의"로 설명되었다.[19] 1943년, 교황 비오 12세는 회칙 Mystici corporis Christila에서 "우리 구세주의 죽음으로, 신약은 폐지되었던 구약의 자리를 대신했다"라고 언급했다.[19]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홀로코스트 이후 소집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는 유대인 언약의 지위에 대한 다른 틀이 나타났다. 1965년 선언 Nostra Aetatela는 유대인의 언약이 더 이상 인정되지 않는다는 "강한 대체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는 변화를 보였다.[19]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유대 민족의 언약적 지위를 확인하며, 유대인들을 "결코 폐지되지 않은 구약의 하나님의 백성"이라고 불렀다.[21]

이후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된 추기경 요제프 라칭거는 1999년 저서에서 "시나이 [모세] 언약은 실제로 대체되었다"고 썼다.[22]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유대 민족을 언약의 백성으로 인정하는 변화는 선교 활동 문제에 대해 가톨릭 교회 내에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발터 카스퍼 추기경은 유대인의 언약 유효성을 재확인하며, "우상 숭배에서 살아계시고 참되신 하나님께로의 개종에 대한 부르심으로 이해되는 선교는 유대인에게 적용되지 않으며 적용될 수 없다"고 말했다.[23]

교황 프란치스코는 사도적 권고 Evangelii gaudiumla (2013)에서 "우리는 유대인들을 특별히 존중하는데, 이는 하나님과의 그들의 언약이 결코 철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라고 쓰며, 유대교를 이방 종교로 여길 수 없다고 강조했다.[24] 카스퍼 추기경은 유대교를 "구원적"이라고 부르는 점에서 교황 프란치스코와 다르지만, "대체" 신학 개념을 부인하며 "그리스도인을 위한 새 언약은 구약의 대체(대치)가 아니라 완성"이라고 명확히 했다.[25]

이러한 진술은 대체주의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을 지지하는 사람들과 "약한" 대체주의 개념을 유지하는 사람들 사이의 논쟁점을 나타낸다. 전통주의 가톨릭 단체들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발전에 반대하며 "강한" 대체주의적 견해를 유지한다.[26] 주류 가톨릭 단체 및 공식 가톨릭 교리에서도 "약한" 대체주의 요소가 남아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는 유대인의 미래 집단적 회개를 언급한다.[27]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Lumen gentiumla[29] (1964)에서, 교회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민족을 백성으로 선택하셨고" 그들과 "언약을 세우셨다"고 진술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그리스도 안에서 세워지고 비준된 새롭고 완전한 언약의 준비와 비유로서 행해졌다"고 하였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또한 "교회는 유대인, 즉 육신에 따른 이스라엘이 아닌 하나님의 새로운 백성이다"라고 확인했다.

''유대인과 유대교를 올바르게 제시하는 것에 대한 노트'' (1985)에서 교회는 "교회와 유대교는 구원의 두 가지 평행선으로 여겨질 수 없으며 교회는 모든 사람의 구원자로서의 그리스도를 증언해야 한다"고 진술했다.

4. 3. 개신교

개신교는 대체주의에 대해 다양한 입장을 보인다. 홀로코스트 이후, 많은 개신교 교단들이 대체주의를 다시 생각하고 거부하게 되었다.[30][31]

성경의 언약, 특히 구약과 새 언약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따라 대체주의에 대한 견해가 달라진다.[30] 언약 신학은 대체주의와 연관되는 경향이 있으며, 세대주의는 대체주의에 반대한다.[32][33][34][35] 기독교 시오니즘 또한 대체주의 거부와 관련이 있으며, 이중 언약 신학은 모세 언약이 탈무드 유대인에게 유효하다고 주장하여 대체주의와 대조된다.

토지 약속을 문자적으로 해석할 것인지, 비유적으로 해석할 것인지에 따라서도 의견이 나뉜다.[30][36]

미국 성공회,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 연합 감리교회 등 일부 미국 주류 개신교 교단들은 대체주의를 부정하는 성명을 발표했다.[37] 자유주의 기독교에서는 대체주의를 인종차별주의와 연관시키기도 한다.[38]

폴 반 뷰렌은 칼 바르트와 달리 철저한 비대체주의적 입장을 발전시켰다.[32] 그는 "유대 민족의 현실은 그들이 선택받았다는 사실 때문에 역사 속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들의 불성실함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충실함은 이방인 교회의 현실만큼이나 확고하고 확실하다"라고 썼다.[39]

4. 3. 1. 루터교

루터교는 역사적으로 대체 신학 교리를 가르쳐 왔다.[40] 미주리 시노드 루터교회와 같은 고백 루터교 교단에서 지속적으로 가르쳐지고 있으며,[41] 시온주의에 대한 기독교 신학적 근거를 거부하고 있다.[42]

4. 3. 2. 개혁교회

개혁교회 (유럽 개혁교회, 장로교, 회중교회, 개혁 성공회) 전통은 언약 신학을 따르며, 역사적으로 "그리스도는 유대 언약 생활의 기대를 충족시키고 구약과 유대교에 뿌리를 둔 하나님의 백성을 새롭게 한다"고 가르쳤으며, "예수는 새로운 성전, 새로운 이스라엘이다"라고 가르쳤다.[43]

4. 4. 몰몬교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몰몬교는 초기 기독교 신앙의 회복을 주장하며, 현대 이스라엘 후손들이 여전히 하나님의 언약 백성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몰몬경은 유대인들이 그리스도를 거부하고 십자가에 못 박았기 때문에 흩어져 고난을 받을 것이라고 가르친다.[49] 교리와 성약에 따르면, 예수가 유대인에게 자신을 드러낸 후, 그들은 그들의 죄악 때문에 울게 될 것이다.[50]

1982년,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십이사도 정원회 회원인 브루스 알. 맥콩키 장로는 "밀레니엄 메시아"라는 책을 출판했는데, 이 책의 "유대인과 재림" 장은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이 사실을 강철 펜으로 영원한 기록에 새겨 놓으라: 유대인들은 복음을 거부하고, 메시아를 쫓아내고, 그들의 왕을 십자가에 못 박았기 때문에 저주를 받고, 맞고, 다시 저주를 받았다. [...] 유대인들이 [...] 이스라엘의 거룩한 자를 부인하고 거부한 것이 그들을 모든 나라에서 조롱거리와 속담으로 만들었고, 수백만 명의 [...] 아들과 딸들을 때 이른 무덤으로 보냈다. [...] "그들이 이스라엘의 하나님을 십자가에 못 박고, [...] 이스라엘 하나님의 권능과 영광을 거부하기 때문에, 모든 백성에게 채찍질을 받으리라. [...] 그들은 육체로 방황하고 멸망하며, 조롱거리와 속담이 되어 모든 나라에서 미움을 받으리라. (니파이전서 19:13-14; 니파이후서 6:9-11). 이는 니파이의 예언적인 말씀이다."영어[51][52][53]

일부 유대인들은 후기 성도의 죽은 자를 위한 침례 관행을 불경스러운 실행으로 여기며, 교회에 유대인 홀로코스트 희생자들을 침례하는 것을 중단할 것을 반복적으로 요청해 왔다.[54][55][56]

5. 대체주의의 유형

R. 켄달 소울렌은 대체주의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62]


  • '''처벌적 대체주의''': 로마의 히폴리투스, 오리게네스, 마르틴 루터와 같은 기독교 사상가들이 주장한 견해이다. 예수를 유대인의 메시아로 받아들이지 않은 유대인들이 그 결과 하느님께 정죄받고, 언약에 따라 그들에게 돌아가야 할 약속을 상실한다는 것이다.
  • '''경제적 대체주의''': 하느님의 계획에서 이스라엘 민족의 실제적인 목적이 교회의 역할로 대체된다는 견해이다. (여기서 '경제적'은 기능의 기술적인 신학적 의미로 사용된다. 경제적 삼위일체 참조) 순교자 유스티누스, 아우구스티누스, 바르트와 같은 저술가들이 이 견해를 대표한다.
  • '''구조적 대체주의''': 소울렌이 구약을 기독교 사상에 대한 규범으로 간주하는 ''사실상'' 소외에 대해 사용하는 용어이다. 소울렌에 따르면, "구조적 대체주의는 표준 모델의 서사적 논리를 의미하며, 여기서 히브리 성경은 하느님이 만물을 완성하고 구원하는 자로서 어떻게 인류를 보편적이고 지속적인 방식으로 관여시키는가에 대한 기독교적 확신을 형성하는 데 대체로 결정적이지 않게 한다."[62]


이 세 가지 견해는 상호 배타적이지도 않고 논리적으로 종속적이지도 않으며, 이 중 하나를 다른 견해와 함께 또는 없이 모두 가질 수 있다.[63]

6. 비판

대체주의는 근본적으로 반유대주의로 간주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58][59]

6. 1. 유대교의 관점

랍비 유대교는 대체주의를 거부하며, 기독교와 이슬람 신학자들이 지지하는 사상으로만 논의한다. 일부 현대 유대인들은 대체주의에 대한 전통적인 기독교 신념에 불쾌감을 느끼는데, 이는 그들이 이 신념이 자신들의 종교의 역사를 훼손한다고 믿기 때문이다.[57]

대체주의는 근본적으로 반유대주의로 간주될 수 있다.[58][59]

참조

[1] 웹사이트 Various Forms of Replacement Theology https://tms.edu/wp-c[...]
[2] 웹사이트 What is replacement theology / supersessionism / fulfillment theology? https://www.gotquest[...] 2024-11-30
[3] 웹사이트 Supersessionism Hard and Soft https://www.firstthi[...] Novak 2023-04-04
[4] 서적 Is there a Judeo-Christian Tradition?: A European Perspectiv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6-03-21
[5] 서적 Feasting on the Word: Year A, Volume 3: Pentecost and Season after Pentecost 1 (Propers 3-16)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11-01-27
[6] 웹사이트 God's Law in Old and New Covenants https://www.opc.org/[...] Orthodox Presbyterian Church 2018
[7] 웹사이트 Old Testament Law https://wels.net/faq[...]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5-03-09
[8] 간행물 Law and Gospel in the Wesleyan Tradition https://biblicalstud[...] 1991
[9] 웹사이트 Summa Theologiae: The moral precepts of the old law (Prima Secundae Partis, Q. 100) https://www.newadven[...] 2023-05-20
[10] 서적 Dispensational Modern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7-06
[11] 문서 Cassell's Latin Dictionary
[12] 문서 Collins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13] 문서 Jewish Christians, Judaizers, and Christian Anti-Judaism. ''A People's History of Christianity, Volume 2: Late Ancient Christianity'' Fortress Press 2005
[14] 잡지 Christians and Jews: Starting Over, Why the Real Dialogue Has Just Begun http://www.bc.edu/co[...] 2003-01-31
[15] 성경 Mt 15:21-28; Mk 7:23-30; cf. Mt 10:5-6; Acts 3:26
[16] 성경 Rom 1:16; Rom 2:9–10
[17] 성경 Acts 10:28; Acts 11:1–2; Acts 21:17–28; Gal 2
[18] 웹사이트 Is the Orthodox Church "Supersessionist"? http://orthochristia[...] 2024-04-22
[19] 웹사이트 Nostra aetate https://www.vatican.[...] 2023-05-20
[20] 문서 Second Declaration on the Jews and Non-Christians, 28–29 September 1964 Fordham 2007
[21] 웹사이트 The Jewish People and their Sacred Scriptures in the Christian Bible https://www.vatican.[...] 2002
[22] 서적 Many Religions – One Covenant
[23] 웹사이트 Reflections by Card. Walter Kasper https://www.vatican.[...] 2002-11-06
[24] 뉴스 'Evangelii gaudium'' n. 247 https://www.vatican.[...] 2013
[25] 웹사이트 Dominus Iesus https://www.bc.edu/c[...] 2023-05-20
[26] 웹사이트 Judaism & the Church: before & after Vatican II https://sspx.org/en/[...] 2013-01-24
[27] 웹사이트 CCC 674 https://www.vatican.[...]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8] 웹사이트 Guidelines And Suggestions For Implementing The Conciliar Declaration "Nostra aetate" (n. 4) https://www.vatican.[...] Commission for religious relations with the Jews 1974-12-01
[29] 웹사이트 ''Lumen gentium'' https://www.vatican.[...]
[30] 서적 The Real Roots of Supersessionism King's Divinity Press 2013
[31] 서적 'The Protestant-Jewish Conundrum'': Studies in Contemporary Jewry, Volume 24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32] 서적 Supersessionism Baker Academic 2011
[33] 서적 The Church Is Israel Now: The Transfer Of Conditional Privilege. Ross House Books 1987
[34] 서적 Israel and the Church: The Origins and Effects of Replacement Theology InterVarsity Press 2004
[35] 서적 Has the Church Replaced Israel? : A Theological Evaluation. B&H Academic 2010
[36] 서적 Perspectives on Israel and the Church: 4 Views
[37] 웹사이트 The Presbyterians' Judaism problem https://jewishjourna[...] 2014-06-27
[38] 논문 Towards an Anti-Supersessionist Theology: Race, Whiteness, and Covenant 2022-01-29
[39] 간행물 Probing the Jewish-Christian Reality http://www.religion-[...] Christian Century 1981-06-17
[40] 서적 Faithful Teaching: Lutherans and Catholics in Dialogue XII Fortress Press 2023-12-05
[41] 서적 Christian Zionism in the Twenty-First Century: American Evangelical Opinion on Israel Oxford University Press 2024
[42] 웹사이트 Whose Land Is It? https://witness.lcms[...] The Lutheran Witness 2006-11-01
[43] 웹사이트 Why I'm Not a Christian Zionist https://www.thebanne[...] Banner 2019-12-16
[44] 웹사이트 Moses 7 https://www.churchof[...] 2023-05-09
[45] 웹사이트 Abraham 3 https://www.churchof[...] 2023-05-09
[46] 웹사이트 Video: Race, Lineage, and the 1920s–1940s Genealogical Society of Utah https://www.dialogue[...] 2019-03-27
[47] 논문 Presidential Address: In Search of Ephraim: Traditional Mormon Conceptions of Lineage and Race 1999
[48] 웹사이트 Title Page of the Book of Mormon https://www.churchof[...] 2023-05-09
[49] 웹사이트 2 Nephi 25 https://www.churchof[...] 2023-05-09
[50] 웹사이트 Doctrine and Covenants 45 https://www.churchof[...] 2023-05-09
[51] 서적 The millennial Messiah: the second coming of the Son of Man http://archive.org/d[...] Salt Lake City, Utah: Deseret Book Co. 1982
[52] 웹사이트 1 Nephi 19 https://www.churchof[...] 2023-05-09
[53] 웹사이트 2 Nephi 6 https://www.churchof[...] 2023-05-09
[54] 웹사이트 APNewsBreak: Mormon baptisms of Holocaust victims draw ire https://apnews.com/a[...] 2021-04-23
[55] 뉴스 A Twist on Posthumous Baptisms Leaves Jews Miffed at Mormon Rite https://www.nytimes.[...] 2012-03-03
[56] 뉴스 Holocaust Survivors Battle Mormon Ritual https://www.npr.org/[...] 2008-11-11
[57] 뉴스 Us vs. them: Challenging stereotypes about Judaism in the wake of the Pittsburgh shooting https://jewishstudie[...] 2018-11-02
[58] 서적 Mordecai Would Not Bow Down: Anti-Semitism, the Holocaust, and Christian Supersessionism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5-13
[59] 논문 The Cruelty of Supersessionism: The Case of Dietrich Bonhoeffer 2022-01
[60] 서적 Nicholas of Cusa and Islam Brill 2014
[61] 웹사이트 A rage against history http://www.newmandal[...] 2015-01-12
[62] 간행물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2001
[63] 서적 Aquinas on Israel and the Church: A Study of the Question of Supersessionism in the Theology of Thomas Aquinas https://www.academia[...] 2014-08-12
[64] 웹사이트 ティーチングレター 置換神学 http://www.bfpj.org/[...]
[65] 서적 聖書が教えるイスラエルの役割 ゴスペル・ライト出版
[66] 웹사이트 https://www.logos-mi[...]
[67] 웹사이트 https://www.israelna[...]
[68] 서적 Constantine’s Sword: The Church and the Jews Houghton Mifflin 2001
[69] 서적 Has the Church Replaced Israel? : A Theological Evaluation. B&H Academic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