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합 대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합 대수는 가환환 K 위의 대수 구조로, 결합 대수와 대합으로 구성된다. 대합 대수는 정수환 위의 대합환, 복소수 대합 대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환, *-대수, 자기 수반 원소, 반자기 수반 원소, 유니터리 원소, 정규원 등의 개념과 관련된다. 복소수, 체의 확대, 다항식환, 행렬환, 사원수환, C* 대수 등 다양한 예시가 존재하며, 에르미트 원소는 조르당 대수를, 비 에르미트 원소는 리 대수를 형성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수 - 미분 등급 대수
    미분 등급 대수는 체 위의 등급 대수와 미분의 순서쌍으로, 대수적 위상수학 및 호모토피 이론에서 활용되며, 등급 대수에 차수, 라이프니츠 규칙, 멱영성을 만족하는 미분을 추가하여 정의됩니다.
  • 대수 - C* 대수
    C* 대수는 복소수 대합 대수와 복소수 바나흐 대수의 구조를 결합한 복소수 벡터 공간으로, 겔판트-나이마르크 정리에 따라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유계 선형 연산자 대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함수해석학, 수리물리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환론 - 뇌터 환
    뇌터 환은 환론에서 아이디얼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환을 지칭하며, 가환환의 경우 왼쪽, 오른쪽, 양쪽 뇌터 환의 개념이 일치하지만 비가환환의 경우 구별해야 하고, 힐베르트 기저 정리에 따라 뇌터 환 R에 대해 다항식환 R[X] 역시 뇌터 환이 된다.
  • 환론 - 다항식환
    다항식환은 환을 계수로 하는 다항식들의 집합으로, 덧셈과 곱셈 연산에 대해 환을 이루며, 계수환이 체일 경우 유클리드 정역이 되고 대수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합 대수

2. 정의

가환환 K 위의 '''대합 대수'''(algebra with involution영어, *-algebra영어) (A,^*)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지는 대수 구조이다.


  • RK 위의 (항등원을 갖는) 결합 대수이다.
  • ^*\colon A\to A^{\operatorname{op}}K-가군 준동형이자 환 준동형이며, 대합이다. (여기서 A^{\operatorname{op}}는 반대환을 뜻한다.)


즉, 구체적으로 다음이 성립한다.

  • 임의의 k\in Ka\in A에 대하여, (ka)^*=ka^*
  • 임의의 a,b\in A에 대하여, (ab)^*=b^*a^*
  • 임의의 a,b\in A에 대하여, (a+b)^*=a^*+b^*
  • 임의의 a\in A에 대하여, a^{**}=a


정수환 \mathbb Z 위의 결합 대수과 같은 개념이므로, 정수환 \mathbb Z 위의 대합 대수를 '''대합환'''이라고 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가환 대합환 (K,^*) 위의 '''대합 대수''' (A,^*)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지는 대수 구조이다.

  • AK 위의 (항등원을 갖는) 결합 대수이다.
  • ^*\colon A\to A^{\operatorname{op}}는 다음을 만족시킨다.
  • * 임의의 k\in Ka\in A에 대하여, (ka)^*=k^*a^*
  • * 임의의 a,b\in A에 대하여, (ab)^*=b^*a^*
  • * 임의의 a,b\in A에 대하여, (a+b)^*=a^*+b^*

임의의 a\in A에 대하여, a^{}=a

예를 들어, 보통 ‘복소수 대합 대수’라는 것은 (복소수 켤레를 부여한) 복소수체의 가환 대합환 위의 대합 대수를 일컫는다.

2. 1. 대합환

수학에서, '''*-환'''은 이면서, 반 자기 동형 사상이자 대합인 사상 * : ''A'' → ''A''를 갖는 환을 말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는 다음 속성을 만족해야 한다.[1]

  • (''x'' + ''y'')* = ''x''* + ''y''*
  • (''x y'')* = ''y''* ''x''*
  • 1* = 1
  • (''x''*)* = ''x''

: ''A''의 모든 ''x'', ''y''에 대하여.

이를 '''대합환''', '''대합적인 환''', 또는 '''대합을 가진 환'''이라고도 한다. 세 번째 공리는 두 번째 및 네 번째 공리에 의해 암시되므로 중복된다.

''x''* = ''x''인 원소를 '''자기 수반'''이라고 한다.[2]

  • -환의 전형적인 예로는 복소수 체와 대수적 수가 있으며, 복소 켤레가 대합으로 작용한다. 모든 *-환에 대해 반쌍선형 형식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불변이 되는 요구사항과 함께 아이디얼 및 부분환과 같은 대수적 객체의 *-버전을 정의할 수 있다. 즉, ''x'' ∈ ''I'' ⇒ ''x''* ∈ ''I'' 등이다.

  • -환은 계산 이론의 별 반환과는 관련이 없다.

단위적 환 ''R''과 그 위의 antiautomorphism|반자기동형사상영어대합 ''I'': ''R'' → ''R''의 쌍 (''R'', ''I'')가 '''대합환''' 또는 '''대합이 있는 환'''이라고 하는 것은, 대합 ''I''가 ''R''의 곱셈 반군 구조와 양립할 때 (곱셈 반군이 Semigroup with involution|대합 반군영어을 이룰 때)를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쓰면, 사상 ''I''는 다음을 만족한다[6]: ''x'', ''y'' ∈ ''R''는 임의로

# 덧셈 법칙: (''x'' + ''y'')''I'' = ''x''''I'' + ''y''''I'',

# 반곱셈 법칙: (''xy'')''I'' = ''y''''I'' ''x''''I'',

# 단위율: 1''I'' = 1,

# 대합율: (''x''''I'')''I'' = ''x''.

조건 3.은 사실 과잉이다. 실제로, 조건 2., 4.에 따르면 1''I''도 곱셈 단위원이 되어야 하지만, 곱셈 단위원의 유일성에 의해 3.을 얻는다.

대합 ''I''에 대해 원소 ''x''''I''를 원소 ''x''의 (''I''에 관한) '''공액원''' 또는 '''수반원'''이라고 부르며, 특히 ''x''''I'' = ''x''를 만족하는 원소 ''x''는 (''I''에 관해) '''자기 공액''' (self-conjugate) 또는 '''자기 수반''' (self-adjoint)이라고 한다.[7]

  • 대합환의 전형적인 예는, 복소수체나 대수적 수체상에서 복소 공액을 취하는 조작을 대합으로 본 것이다.
  • 임의의 대합환 (''R'', ''I'') 상에서 (대합 ''I''에 관한) 반쌍선형 형식이 정의될 수 있다.
  • 아이디얼이나 부분환 등의 대수적 대상에서, 대합 *에 관해 불변인 것을 생각함으로써, *-아이디얼이나 *-부분환 등의 개념을 생각할 수 있다.

2. 2. 대합 대수

가환환 K 위의 '''대합 대수'''(algebra with involution|영어: algebra with involution영어, *-algebra|영어: *-algebra영어) (A,^*)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지는 대수 구조이다.

  • RK 위의 (항등원을 갖는) 결합 대수이다.
  • ^*\colon A\to A^{\operatorname{op}}K-가군 준동형이자 환 준동형이며, 대합이다. (여기서 A^{\operatorname{op}}는 반대환을 뜻한다.)


즉, 구체적으로 다음이 성립한다.

  • 임의의 k\in Ka\in A에 대하여, (ka)^*=ka^*
  • 임의의 a,b\in A에 대하여, (ab)^*=b^*a^*
  • 임의의 a,b\in A에 대하여, (a+b)^*=a^*+b^*
  • 임의의 a\in A에 대하여, a^{**}=a


정수환 \mathbb Z 위의 결합 대수과 같은 개념이므로, 정수환 \mathbb Z 위의 대합 대수를 '''대합환'''이라고 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가환 대합환 (K,^*) 위의 '''대합 대수''' (A,^*)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지는 대수 구조이다.

  • AK 위의 (항등원을 갖는) 결합 대수이다.
  • ^*\colon A\to A^{\operatorname{op}}는 다음을 만족시킨다.
  • * 임의의 k\in Ka\in A에 대하여, (ka)^*=k^*a^*
  • * 임의의 a,b\in A에 대하여, (ab)^*=b^*a^*
  • * 임의의 a,b\in A에 대하여, (a+b)^*=a^*+b^*

임의의 a\in A에 대하여, a^{}=a

예를 들어, 보통 ‘복소수 대합 대수’라는 것은 (복소수 켤레를 부여한) 복소수체의 가환 대합환 위의 대합 대수를 일컫는다.

'''*-대수'''는 켤레 연산 *가 있는 *-환으로, 켤레 연산이 있는 가환환 *-환 위의 결합 대수이며, (rx)^{*}=r^{*}x^{*} (r\in R,x\in A)를 만족한다.[3]

기저 *-환은 종종 복소수(이 복소 공액으로 작용)이다.

  • -환(ring)에서의 *-연산은 복소수의 켤레 복소수와 유사하다. *-대수(algebra)에서의 *-연산은 복소 행렬 대수에서 수반(adjoint)를 취하는 것과 유사하다.

2. 3. 특별한 원소

가환 대합환 (K,^*)와 그 부분환 K_0=\{\lambda\in K\colon \lambda=\lambda^*\}가 주어졌을 때, (K,^*)-대합 대수 A의 원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특별한 것들을 정의할 수 있다.

대합 대수에서의 특별한 원소
용어정의비고
자기 수반 원소a=a^*a\bullet b=ab+ba 아래 K_0-요르단 대수를 이룸
반자기 수반 원소a=-a^*리 괄호 [x,y]=xy-yx 아래 K_0-리 대수를 이룸
등거리원a^*a=1
유니터리 원소정규원이자 등거리원 (즉, 가역원이며 a^{-1}=a^*)유니터리 변환의 개념을 일반화
정규원aa^*=a^*a정규 작용소의 개념을 일반화
사영원멱등원이자 자기 수반 원소 (즉, a=a^2=a^*)
부분 등거리원a^*a가 사영원
음이 아닌 원소\exists b\colon a=b^*b



각각의 정의는 하위 섹션에서 보다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2. 3. 1. 자기 수반 원소

self-adjoint element영어인 자기 수반 원소는 a=a^*를 만족하는 원소이다.[2] 자기 수반 원소들은 a\bullet b=ab+ba 아래 K_0-요르단 대수를 이룬다. 여기서 K_0=\{\lambda\in K\colon \lambda=\lambda^*\}는 가환 대합환 (K,^*)의 부분환이다.

자기 수반 원소는 에르미트 원소라고도 불리며, 요르단 대수를 형성한다.[7]

2. 3. 2. 반자기 수반 원소

반자기 수반 원소(anti-self-adjoint element영어)는 a=-a^*를 만족한다. 반자기 수반 원소들은 리 괄호 [x,y]=xy-yx 아래 K_0-리 대수를 이룬다.[1]

2. 3. 3. 유니터리 원소

가환 대합환 (K,^*)와 그 부분환 K_0=\{\lambda\in K\colon \lambda=\lambda^*\}가 주어졌을 때, (K,^*)-대합 대수 A의 원소 중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원소를 '유니터리 원소'라고 한다.

  • '''유니터리 원소'''(unitary元素, unitary element영어): 정규원이자 등거리원 (즉, 가역원이며 a^{-1}=a^*인 원소). 유니터리 변환 개념의 일반화이다.[1]


이는 다음 표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용어정의비고
유니터리 원소정규원이자 등거리원 (즉, 가역원이며 a^{-1}=a^*)유니터리 변환의 개념을 일반화


2. 3. 4. 정규원

normal element영어인 정규원은 aa^* = a^*a를 만족하는 원소이다. 이는 정규 작용소의 개념을 일반화한 것이다.[1]

대합 대수에서의 특별한 원소
용어정의비고
정규원aa^*=a^*a정규 작용소의 개념의 일반화


2. 3. 5. 사영원

멱등원이자 자기 수반 원소(즉, a=a^2=a^*)인 원소를 사영원이라고 한다.

2. 3. 6. 부분 등거리원

partial isometry element영어인 부분 등거리원은 a^*a가 사영원인 경우를 말한다.

2. 3. 7. 음이 아닌 원소

nonnegative element영어인 음이 아닌 원소는 어떤 원소 b에 대해 a=b^*b로 표현되는 원소이다.

3. 예시


  • 가장 잘 알려진 *-환 및 실수에 대한 *-대수의 예로는 *가 단순히 복소 켤레인 복소수 체가 있다.
  • 더 일반적으로, 제곱근을 부가하여 만들어진 체 확대 (예: 허수 단위)는 원래 체에 대한 *-대수이며, 이는 자명한 *-환으로 간주된다. *는 해당 제곱근의 부호를 뒤집는다.
  • 이차 정수 환 (어떤 D에 대해)은 *가 유사한 방식으로 정의된 가환 *-환이다; 이차 체는 적절한 이차 정수 환에 대한 *-대수이다.
  • 사원수, 분할 복소수, 이중수, 그리고 아마도 다른 초복소수 시스템은 실수에 대한 *-환 (내장된 켤레 연산 포함)과 *-대수를 형성한다 (여기서 *는 자명). 이 셋 중 어느 것도 복소수 대수가 아니다.
  • 후르비츠 사원수는 사원수 켤레를 가진 비가환 *-환을 형성한다.
  • *가 전치로 주어진 '''R''' 위의 행렬의 행렬 대수.
  • 헤케 대수에서 대합은 Kazhdan–Lusztig 다항식에 중요하다.
  • 타원 곡선의 자기 사상 환은 정수 위의 *-대수가 되며, 여기서 대합은 쌍대 아벨 다양체를 취함으로써 주어진다. 유사한 구조는 아벨 다양체편극에 대해 작동하며, 이 경우 Rosati 대합이라고 한다.
  • 대합 호프 대수는 *-대수의 중요한 예이다 (호환 가능한 공곱의 추가 구조 포함). 군 호프 대수의 경우 군환에서 대합은 g \mapsto g^{-1}로 주어진다.

3. 1. 자명한 대합환

가환환 K 위의 임의의 결합 대수 A 위에 항등 함수를 대합으로 정의하면, 이는 K-대합 대수를 이룬다. 즉,

:a=a^*

이다.

따라서, 모든 가환환은 항등 대합을 갖는 자명한 *-환이 된다.[1]

3. 2. 등급환

\mathbb Z/2-등급 K-단위 결합 대수 구조가 주어진 경우, 다음과 같이 대합을 정의할 수 있다.

:R=R_0\oplus R_1

:(r_0+r_1)^*=r_0-r_1\qquad\forall r_0\in R_0,\;r_1\in R_1

이 역시 K-대합 대수를 이룬다.[1]

3. 3. 체의 확대

복소수체 \mathbb C\mathbb R-대합 대수를 이루며, 대합 연산은 복소켤레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Kn\in K^\times\setminus(K^\times)^2에 대하여, 2차 확대 K(\sqrt n) 위에 다음과 같은 대합을 정의할 수 있다.

:(a+b\sqrt n)^*=a-b\sqrt n\qquad\forall a,b\in K

이는 K-대합 대수를 이룬다.[1]

3. 4. 다항식환

가환환 K 위의 다항식환 K[x]에는 다음과 같은 대합을 정의할 수 있다.

:p^*(x)=p(-x)\qquad\forall p\in K[x]

이 대합은 K-대합 대수를 이룬다.[1]

3. 5. 행렬환

가환환 K 위의 행렬환 \operatorname{Mat}(n;K)에서 대합을 전치행렬로 놓으면 K-대합 대수가 된다.[1]

켤레 전치가 *로 주어진 '''C''' 위의 행렬의 행렬 대수도 *-대수에 해당한다.[3]

3. 6. 사원수환

사원수환 \mathbb{H}는 사원수 켤레에 대하여 \mathbb{R}-대합 대수를 이루지만, \mathbb{C}-대합 대수를 이루지 않는다.

3. 7. C* 대수

모든 C* 대수폰 노이만 대수는 정의에 따라 복소수 대합 대수를 이룬다. 특히,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mathcal H 위의 유계 작용소들의 폰 노이만 대수 \operatorname B(\mathcal H,\mathcal H)에르미트 수반을 대합으로 삼아 복소수 대합 대수를 이룬다.[1]

4. 추가 구조

전치의 많은 속성은 일반적인 *-대수에도 적용된다.


  • 에르미트 원소는 조르당 대수를 형성한다.
  • 비 에르미트 원소는 리 대수를 형성한다.
  • *-환에서 2가 가역적이면, 연산자 ½(1 + *)영어와 ½(1 − *)영어는 '대칭화'와 '반대칭화'라고 불리는 직교 멱등원이다.[2] 따라서 대수는 대칭 및 반대칭 (에르미트 및 비 에르미트) 원소의 가군 (벡터 공간 - *-환이 체인 경우)의 직합으로 분해된다. 이 공간들은 일반적으로 결합 대수를 형성하지 않는데, 멱등원이 대수의 원소가 아닌 선형 연산자이기 때문이다.

4. 1. 왜곡 구조


  • -환에서, 사상 를 생각할 수 있다. 표수가 2인 경우를 제외하면(이 경우 는 원래의 와 동일하다), 이 사상은 *-환 구조를 정의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 되어 반곱셈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른 공리(가법성, 대합성)는 만족하므로, 가 정의하는 *-환과 매우 유사한 성질을 가진다.


이 사상에 의해 불변인 원소, 즉 를 만족하는 원소를 '''왜곡 에르미트'''라고 한다.

복소수 전체에 복소 켤레를 생각한 *-환에서, 실수 전체는 에르미트 원소 전체와 일치하고, 순허수 전체는 왜곡 에르미트 원소 전체와 일치한다.

참조

[1] 웹사이트 C-Star Algebra http://mathworld.wol[...] 2015
[2] 웹사이트 Octonions http://math.ucr.edu/[...]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2015-01-27
[3] nlab
[4] 간행물 Semigroups, Antiautomorphisms, and Involutions: A Computer Solution to an Open Problem, I https://www.jstor.or[...] 1981
[5] 문서 記法について: 対合 {{math|∗}} は後置により表される[[単項演算]]で、そのグリフはミーンライン付近やや上方に中心がくるように右肩にのせて
[6] MathWorld C-Star Algebra
[7] 웹사이트 Octonions https://math.ucr.edu[...] 2015
[8] nlab
[9] 문서 即ち(通常の多元環がそうであるように)、{{mvar|R}} を {{mvar|A}} の中心に埋め込んで考えるとき、{{mvar|R}} の元によるスカラー倍は {{mvar|A}} における乗法として実現できる(例えば[[行列の乗法|行列のスカラー倍]]は[[スカラー行列]]を[[行列の積|掛ける]]ことと同値)が、{{mvar|R}} の元が {{mvar|A}} において中心的(すなわち {{math|''r'' ∈ ''R'', ''x'' ∈ ''A''}} ならば {{math|''rx'' {{=}} ''xr''}})であることに注意すれば、{{math|''r'' ∈ ''R'', ''x'' ∈ ''A''}} について
[10] MathWorld Involutive Algebra
[11] 문서 {{mvar|X}} を環 {{mvar|R}} 上の不定元とすると、二重数環は {{math|''R''[ε] {{=}} ''R''[''X'']/(''X''{{exp|2}})}} と書けて、その[[無限小]] {{math|ε {{=}} ''X'' mod (''X''{{exp|2}})}} の生成する単項イデアル {{math|(ε)}} を取れば、{{math|''R''[ε]/(ε) {{=}} R}} になるのであっ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