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신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신론은 '신'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최소 하나 이상의 신이 세계를 창조, 유지, 인도한다고 믿는 입장이다. 일신론, 다신론, 범신론, 이신론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며, 일신론은 하나의 신을, 다신론은 여러 신의 존재를 믿는 반면, 범신론은 우주와 신성을 동일시하고, 이신론은 신이 자연 법칙에 관여하지 않는다고 본다. 유신론은 이원론, 자기신론, 악신론, 미신론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분류를 가지며, 내재적/초월적 유신론으로도 구분된다. 무신론, 불가지론, 비신론 등과 대립되는 입장을 가지며, 과학과의 관계에서는 유신진화론과 같이 과학적 사실을 수용하는 유신론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신론 - 애니미즘
    애니미즘은 모든 사물에 영혼이나 정령이 존재한다는 믿음으로, 종교의 초기 형태로 여겨졌으나 현대에는 인간과 비인간 존재 간의 관계성에 초점을 맞춘 신 애니미즘 개념이 등장하여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유신론 - 다신교
    다신교는 여러 신을 숭배하는 신앙 체계로, 신들의 본질과 역할,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포함하며 고대 종교와 현대 종교에서 나타나고, 일신교 내에서도 다신교적 해석이 가능하다.
  • 신학 - 언약신학
    언약신학은 창조, 타락, 구원, 종말에 걸쳐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언약(계약)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는 신학 체계로, 행위 언약, 속죄 언약, 은혜 언약 등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설명하며 개혁파 신학의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
  • 신학 - 성령
    성령은 기독교 삼위일체 중 한 위격으로, 구원의 은총을 사람에게 적용하며, 신자에게 영적 은사와 능력을 부여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하는 역할을 한다.
  • 철학 - 개념
    개념은 사물이나 사상의 추상적인 일반화 또는 표상으로,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명사로 표현되며, 추상적 객체 또는 정신적 표상으로 여겨지는 존재론적 지위와 함께 철학, 심리학, 언어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된다.
  • 철학 - 플라토닉 러브
    플라토닉 러브는 성적 요소 없이 깊은 애정과 우정을 나누는 관계를 뜻하며, 플라톤의 에로스 개념에서 시작되었으나 르네상스 시대 이후 비성적 이성애적 사랑으로 재해석되어 현대에는 깊은 유대감, 특히 퀴어플라토닉 관계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사랑과 우정의 경계가 모호하고 한국 사회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개념이다.
유신론
정의
설명적어도 하나의 신이 존재한다고 믿는 철학적 견해
분류
하위 개념유일신교
다신교
범신론
이신론
다신론
유일신교
단일신교
관련 개념
반대무신론
기타 관련 개념불가지론
무종교
반신론
자연신론
신의 속성 (일반적인 유신론적 관점)
속성전지전능
편재
전선
초월성
내재성
불변성
개인성
필연성
완전성
역사
기원인간 의식의 발생과 함께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발전고대 종교에서 현대 종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
철학적 논증
존재론적 논증신의 개념 자체가 신의 존재를 증명한다는 주장
우주론적 논증세상의 존재 원인을 신에게서 찾는 주장
목적론적 논증세상의 질서와 목적을 신의 지혜의 결과로 보는 주장
도덕적 논증도덕의 근원을 신에게서 찾는 주장
경험적 논증종교적 경험을 통해 신의 존재를 증명하려는 주장
주요 관점
유일신론하나의 신만을 믿는 관점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 등)
다신론여러 신을 믿는 관점 (힌두교, 고대 그리스 종교 등)
범신론신이 세상 모든 곳에 존재한다고 믿는 관점
이신론신이 세상을 창조한 후에는 관여하지 않는다고 믿는 관점
자연신론이성과 자연 법칙을 통해 신을 이해하려는 관점
과정신학신이 세상과 함께 변화하고 발전한다고 보는 관점
비판
무신론적 비판신의 존재 증명의 불가능성, 악의 존재 문제 등을 제기
과학적 비판과학적 방법론과 충돌하는 신화적 요소에 대한 비판
사회적 비판종교로 인한 갈등, 억압 등에 대한 비판
기타
관련 용어신학
종교 철학
비판적 신학

2. 유신론의 어원

"유신론"이라는 용어는 '신' 또는 '신들'을 뜻하는 그리스어 θεός|테오스grk[9]에서 유래되었다. 이 용어는 랄프 커드워스 (1617–1688)가 처음 사용했다.[10] 커드워스는 유신론자를 "영원으로부터 스스로 존재하는 완전한 의식을 가진 이해하는 존재, 즉 정신이 다른 모든 것의 원인이라고 확언하는 자"라고 정의했다.[11]

3. 유신론의 유형

유신론은 최소 하나 이상의 신이 존재하고, 그 신(들)은 세계를 창조하고 유지하며 인도하고 다스린다고 믿는 입장이다. 이신론에서처럼 신이 직접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속성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유신론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유형이 있다.

고전적 유신론은 신을 절대적인 존재로 묘사한다. 고전적 유신론 신학의 핵심 개념에는 유출설과 신의 단순성이 있다.[12][13] 고전적 유신론은 이슬람교의 수피즘, 힌두교의 바이슈나비즘, 시크교, 플라톤주의 등 주요 종교와 철학에서 나타난다.

3. 1. 일신론

일신론(一神論, Monotheism)은 오직 하나의 신만이 존재한다는 믿음이다.[14]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 조로아스터교, 힌두교의 일부 종파 등이 이에 해당하며, 대부분 창조주의를 표방한다. 일신론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할 수 있다.

  • 공존적 일신교: 신은 한 분이지만, 여러 이름과 특징을 가진다. 힌두교의 신들이 이 개념에 해당되는 경우가 많다.
  • 배타적 일신교: 신은 한 분뿐이며, 그 외의 모든 신은 잘못된 것이다.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나 힌두교의 비슈누 숭배의 한 분파 등이 이에 해당한다.


현대 일신교에는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만다교, 드루즈교, 바하이 신앙, 시크교, 조로아스터교, 라스타파리아니즘, 힌두교의 일부 종파, 에카르교 등이 있다.

3. 2. 다신론

다신론(多神論, Polytheism)은 여러 신들이 존재한다는 믿음이다. 그리스 신화와 이집트의 벽화 등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다신론의 대부분은 신들 각각의 능력이 다르거나, 상황에 따라 역할이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다.[15] 힌두교의 일부가 여기에 속하며, 근대에 와서는 몇 명의 신이 숭배받는지에 따라, 그리고 창조주의 방식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로 나뉜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와 같은 아브라함 계통 종교가 발전하고 확산되기 전까지 다신교는 일반적인 형태의 종교였다. 다신교는 선사 시대고대 이집트 종교 및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의 가장 초창기 기록에서부터 고전 고대 시대의 고대 그리스 종교와 고대 로마 종교와 같은 종교, 그리고 게르만 이교, 슬라브 이교, 발트 신화와 같은 민족 종교와 미국 원주민 종교에 이르기까지 역사 전반에 걸쳐 잘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에도 실행되는 주요 다신교에는 도교, 신도 또는 중국 민간 신앙, 일본의 신토, 산테리아, 대부분의 전통 아프리카 종교, 그리고 위카, 드루이드교, 로무바, 헬레니즘과 같은 다양한 신이교 신앙이 있다. 힌두교는 일반적으로 다신교로 여겨지지만, 일부 힌두교 신자는 스스로를 범신론자로 여기고, 다른 신자는 스스로를 일신론자로 여기므로, 힌두교를 배타적으로 이 범주로 분류할 수는 없다. 두 입장 모두 힌두교 경전과 양립할 수 있는데, 이 신앙에는 표준화된 합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힌두교의 철학인 아드바이타 베단타는 브라만이 우주의 유일한 "궁극적 실재"라고 주장하지만, 여러 데바와 데비를 숭배함으로써 그와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믿으므로, 일신교와 다신교를 결합한 형태를 제시한다.

현대 다신교 신앙에서 주요하게 구분되는 것은 "온건한" 다신교와 "강경한" 다신교이다.[16][17]

  • "온건한" 다신교는 여러 신들이 심리학적 원형, 자연력의 의인화, 또는 문화적 맥락에 따라 근본적으로 동일한 신(예: 오딘, 제우스, 인드라가 각각 게르만, 그리스, 인도인들이 해석한 동일한 신이라는 것)일 수 있다는 믿음, 즉 옴니테이즘으로 알려져 있다.[18] 이러한 방식으로 신들은 여러 문화권에서 서로 대체될 수 있다.[17]
  • "강경한" 다신교는 신들이 심리적 원형이나 자연력의 의인화가 아닌, 별개의 실재하는 신성한 존재라는 믿음이다. 강경한 다신교 신자들은 "모든 신은 하나의 본질적인 신이다"라는 생각을 거부하며, 심지어는 자신들의 판테온 밖의 신의 존재 자체를 거부할 수도 있다.[17]


다신교는 개별 신에 대한 관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더 세분화된다.

  • 단일신 숭배: 단일신 숭배는 여러 신이 존재할 수 있지만 그중 오직 한 신만 숭배해야 한다는 믿음이다. 조로아스터교가 그 예시로 간주되기도 한다.
  • 카테노테이즘: 카테노테이즘은 여러 신이 존재하지만 한 번에(또는 영원히) 한 신만 숭배하며, 다른 때나 장소에서는 다른 신이 숭배받을 가치가 있을 수 있다는 믿음이다. 한 번에 한 신씩 숭배된다면, 각 신은 차례로 최고가 된다.
  • 단독신 숭배: 단독신 숭배는 여러 신이 존재할 수 있지만, 오직 한 신만이 숭배받을 가치가 있다는 믿음이다.

3. 3. 범신론

범신론(汎神論, pantheism)은 현실, 우주, 코스모스신성과 동일하며, 최고 존재 또는 개체와 동일하다는 믿음이다.[21] 우주 자체가 내재적인 창조신이라고 지적하며, 신은 여전히 확장, 창조, 영원하다고 이해되거나[21] 만물이 우주로 나타나는, 모든 것을 포괄하는 내재적 신 또는 여신을 구성한다고 이해된다.[22][23] 따라서 심지어 천체조차도 유일한 신의 일부로 간주된다.

범신론적 신념은 명확한 인격신,[25] 의인화된 신 등을 인정하지 않고, 대신 현실과 신성 사이의 다양한 관계 형태에 따라 광범위한 교리를 특징으로 한다.[26] 범신론적 개념은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다양한 종교적 전통에서 범신론적 요소가 확인되었다. '범신론'이라는 용어는 수학자 조지프 랩슨이 1697년에 만들었으며,[27][28] 그 이후로 다양한 개인과 단체의 신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범신론은 17세기 철학자 바뤼흐 스피노자의 저서, 특히 그의 책 ''에티카''를 바탕으로 서구 문화에서 신학과 철학으로 대중화되었다.[29] 범신론적 입장은 16세기 철학자이자 우주론 학자인 조르다노 브루노에 의해서도 표현되었다.[30]

범신론에서 "신과 세계는 동일하다". 물질적인 세계와 신은 동등하며, 나눌 수 없다.

3. 4. 이신론

이신론(Deism)은 신이 세계를 창조했지만, 그 이후에는 세계에 직접 개입하거나 간섭하지 않는다는 믿음이다.[31] 이신론은 초자연적인 현상(예언, 기적, 신성한 계시 등)을 부정하고, 인간의 이성과 관찰된 자연 세계에 기초하여 종교적 믿음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32] 이러한 근원은 최고 존재로서의 창조주의 존재를 드러낸다고 본다.[32] 이신론은 신이 자연의 법칙에 관여하지 않는다고 믿으며, 대부분의 미신적 행위들을 거부한다. 대신 인간의 지성과 이성을 통해 신의 행동이 이루어진다고 믿는다. 이신론 역시 창조주의를 표방한다.

이신론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할 수 있다.

  • 고전적 유신론: 하나의 이 존재하여 세상을 창조했지만, 창조주는 우주의 원래 계획을 변경하지 않는다는 믿음이다.[31]
  • 범신론: 신이 우주에 앞서 존재하여 우주를 창조했지만, 지금은 우주와 동일하다는 믿음이다.
  • 다신론: 여러 신이 존재하지만 우주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믿음이다.

4. 기타 유신론의 유형

이원론은 대립하거나 상호 보완적인 두 신이 존재하며, 이 두 신의 관계가 세계를 지배한다고 믿는 신념 체계이다. 위카의 일부와 아즈텍 신화오메테오틀 숭배 등이 이원론에 해당한다.

자기신론은 신성이 "자신 안에" 있으며, 신과 같은 존재가 될 수 있다는 관점이다. 주관주의 맥락에서 자기신론은 자신의 자아가 신이라는 믿음을 가리킨다. 불이원 베단타 힌두교도는 "아함 브라흐마스미" (나는 브라만이다)라는 구절로 신과의 관계를 묘사한다.[33]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승영 교리는 사후 인간이 신이 되는 것으로, 자기신론의 한 형태이다.[34]

선신론은 신이 전적으로 선하다는 믿음, 악신론은 신이 전적으로 선하지 않다는 믿음이다. 말신론은 신이 악의적이라는 믿음이며, 미신론은 신에 대한 혐오이다.


  • '''내재적 유신론''': 신이 세계 안에 존재한다고 믿는다.
  • 범신론: 신과 세계는 동일하다.
  • 범령론/애니미즘: 세계 모든 부분에 신(영)이 존재한다.
  • 기타 비초월적인 유신론
  • '''초월적 유신론''': 신이 세계 밖에 있는 "초월적" 존재라고 생각한다.
  • 이신론: 신은 세계를 창조했지만, 간섭하지 않는다.[35]
  • 다신론: 다수의 신이 존재하지만, 세계에 개입하지 않는다.
  • 영지주의
  • 기타 초월적인 유신론
  • '''초월적 + 내재적 유신론''': 신이 세계를 초월하면서도 세계 안에 내재한다고 믿는다.
  • 범재신론: 세계는 신 안에 있다.
  • 신플라톤주의
  • 기타 초월과 내재를 아우르는 유신론
  • '''초월적 → 내재적 유신론''': 신이 세계를 창조했고, 지금은 세계와 동일하다고 믿는다.
  • 범리신론: 신은 세계를 창조했고, 지금은 그것과 같다.[35]

4. 1. 이원론

이원론(Ditheism/Bitheism)은 대립하거나 상호 보완적인 두 신이 존재하며, 이 두 신의 관계가 세계를 지배한다고 믿는 신념 체계이다. 위카의 일부와 아즈텍 신화오메테오틀(남신 오메테쿠틀리=여신 오메시와틀) 숭배 등이 이원론에 해당한다.

4. 2. 자기신론

자기신론은 외부적이든 아니든, 신성이 본질적으로 "자신 안에" 있으며, 신과 같은 존재가 될 수 있다는 관점이다.

주관주의의 맥락에서 자기신론은 자신의 자아가 신이라는 믿음을 지칭할 수 있다. 불이원 베단타 힌두교도는 "아함 브라흐마스미" 즉 "나는 브라만이다"라는 구절을 사용하여 신과의 관계를 묘사한다.[33]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승영 교리는 죽음 이후 인간이 신이 되는 것으로, 자기신론의 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34]

4. 3. 가치 판단에 따른 유신론

'''선신론'''은 신이 전적으로 선하다는 믿음이다.

'''악신론'''은 신이 전적으로 선하지 않으며, 어쩌면 악할 수도 있다는 믿음이다.

'''말신론'''은 신이 존재하지만 전적으로 악의적이라는 믿음이다.

'''미신론'''은 신, 신들, 그리고/또는 다른 신성한 존재에 대한 적극적인 혐오이다.

4. 4. 내재적/초월적 유신론


  • '''내재적 유신론''': 신이 세계 안에 존재한다고 믿는다.
  • 범신론: "신과 세계는 동일하다". 물질적인 세계와 신은 동등하며, 나눌 수 없다.
  • 범령론/애니미즘: "세계의 모든 부분에 신(영)이 존재한다."
  • 그 외, 비초월적인 유신론 전반
  • '''초월적 유신론''': 신이 세계 밖에 있는 "초월적" 존재라고 생각한다.
  • 이신론: "신은 세계를 창조했지만, 그 후 간섭하지 않는다"[35]
  • 다신론: "다수의 신이 존재하지만, 세계에 개입하지 않는다"
  • 영지주의
  • 기타, 초월적인 유신론 전반
  • '''초월적 + 내재적 유신론''': 신이 세계를 초월하면서도 세계 안에 내재한다고 믿는다.
  • 범재신론: "세계는 신 안에 있다". 신은 우주보다 크며, 물질적인 세계는 신의 내부에 포함된다.
  • 신플라톤주의
  • 그 외, 초월과 내재를 가로지르는 유신론 전반
  • '''초월적 → 내재적 유신론''': 신이 세계를 창조했고, 지금은 세계와 동일하다고 믿는다.
  • 범리신론: "신은 세계를 창조했고, 지금은 그것과 등가이다." 이신론적 측면과 범신론적 측면을 조합한 것[35]

5. 유신론과 다른 입장들과의 관계

무신론은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입장이고, 불가지론은 신의 존재에 대해 알 수 없다는 입장이다.[1]

5. 1. 무신론

무신론은 신, 여신, 메시아와 같은 초자연적인 힘에 대한 믿음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일부 무신론자들은 그러한 존재의 존재에 대한 적극적인 불신 또는 거부를 표현한다.[1] 비신론은 신이 없다는 믿음이다.[1]

5. 2. 불가지론

불가지론은 신이나 초자연적인 존재가 실제로 묘사된 대로인지, 아니면 단순히 지어낸 것인지 알 수 없다는 믿음이다.[1] 불가지론자들은 신론적 믿음과 이신론적 믿음 모두를 기정사실로 거부하며, 자신의 믿음이나 다른 사람의 믿음에 관계없이 근거 없는 의견으로만 받아들인다.[1]

5. 3. 비신론

비신론은 신의 존재에 대한 믿음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1]

이와 구별되는 신에 대한 다른 입장들은 다음과 같다.

  • 무신론: 신, 여신, 메시아와 같은 초자연적인 힘에 대한 믿음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일부 무신론자들은 그러한 존재에 대한 적극적인 불신 또는 거부를 표현한다.
  • 불가지론: 신이나 초자연적인 존재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만들어진 것인지 알 수 없다는 믿음을 말한다. 불가지론자들은 신에 대한 믿음과 이신론적 믿음 모두 근거 없는 의견으로 간주한다.

6. 유신론과 과학의 관계

유신론의 입장을 취하는 것이 과학과 갈등을 유발한다는 오해가 있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다. 창조주의 입장에서도 유신진화론과 같이 과학적 사실을 모두 인정하는 형태의 유신론이 존재하며, 현대에는 복음주의 계열과 자유주의 계열 모두에서 받아들여지는 창조주의에 관한 해석이기도 하다.[36] 다만 극 보수주의적 근본주의 계열의 유신론은 아직도 과학적 사실을 배척하고 있기에, 일반적으로 과학과 갈등을 유발하는 것은 근본주의라고 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ism http://www.dictionar[...] 2016-10-21
[2] 웹사이트 theism, http://www.merriam-w[...] 2011-03-18
[3] 웹사이트 Dictionary.com Online Dictionary http://www.dictionar[...] 2016-10-21
[4] 웹사이트 Dictionary.com Online Dictionary http://www.dictionar[...] 2016-11-23
[5] 간행물 Atheism http://www.britannic[...] 2011-01-26
[6] 간행물 Atheism MacMillan Reference USA (Gale)
[7] 간행물 Agnosticism MacMillan Reference USA (Gale)
[8] 간행물 Agnosticism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9] 간행물
[10] 서적 Collier's Encyclopedia Crowell-Collier Educational Corporation
[11] 서적 The True Intellectual System of the Universe, Vol. I Gould & Newman
[12] 서적 Five Proofs of the Existence of God IGNATIUS PRESS
[13] 서적 The Experience of God: Being, Consciousness, Bliss Yale University Press 2013-09-24
[14] 문서 Monotheism Britannica
[15] 학술지 The world of spirits and the respect for nature: towards a new appreciation of animism 2006-04-11
[16] 학술지 Modern Pagan religious conversion revisited https://digilib.phil[...] 2019-02-05
[17] 서적 Seeking the mystery : an introduction to Pagan theologies Patheos Press 2012
[18] 학술지 The Igala traditional religious belief system: Between monotheism and polytheism https://www.ajol.inf[...] 2023-02-24
[19] 서적 Pantheism: its story and significance https://archive.org/[...] Archibald Constable & CO LTD.
[20] 문서 Philosophy of Theism William Blackwood and Sons
[21] 서적 The New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Clarendon Press
[22] 서적 Encyclopedia of Philosophy ed. Paul Edwards Macmillan and Free Press
[23] 서적 Goddess as Nature: Towards a Philosophical Thealogy Taylor & Francis 2016-04-15
[24] 웹사이트 Definition of Pantheism https://www.merriam-[...] 2023-02-24
[25] 서적 A Companion to Philosophy of Religion
[26] 서적 Pantheism: A Non-Theistic Concept of Deity Psychology Press 1994
[27]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Nature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7-07-27
[28] 문서 Bodies of Thought: Science, Religion, and the Soul in the Early Enlightenment
[29] 서적 Routledge Philosophy GuideBook to Spinoza and The Ethics Routledge 1996-10-02
[30] 웹사이트 Giordano Bruno http://www.theharbin[...] The Harbinger 2019-02-05
[31] 문서 AskOxford: deism https://web.archive.[...]
[32] 서적 Webster's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G.&C. Merriam
[33] 서적 The Idealistic Philosophy of Swami Vivekananda https://books.google[...] Atlantic
[34] 서적 An Introduction to Mormon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3-16
[35] 서적 There was no Jesus, there is no God: A Scholarly Examination of the Scientific,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Evidence & Arguments for Monotheism
[36] 웹인용 바울의 기독교는 역사적 아담을 필요로 하는가 https://fullerstudio[...] 2017-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