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딜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딜문은 기원전 4천년 후반부터 기원전 800년까지 페르시아만 무역로를 통제하며 번성했던 고대 문명이다. 메소포타미아와 인더스 문명 사이의 중개 무역으로 성장했으며, 수메르 설형 문자에 처음 언급되었다. 딜문은 초기에는 독립 왕국으로 발전했지만,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등 외세의 지배를 받으며 쇠퇴했다. 딜문은 신화 속 '생명으로 가득 찬 곳'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쐐기 문자를 사용하고 아카드어를 사용했다. 바레인 섬의 딜문 분묘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 역사

딜문은 기원전 4천년 후반부터 기원전 800년까지 페르시아만 무역로를 통제하며 번성했던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다.[6] 인더스 문명메소포타미아 사이의 해상 무역과 농업을 통해 상업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5]

딜문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우루크시의 여신 이난나 신전에서 발견된 수메르어 설형 문자 점토판이다. 형용사 딜문은 특정 유형의 도끼와 관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고, 딜문과 관련된 사람들에게 발행된 양모 배급 목록도 있었다.[24] 라가시의 왕 우르-난셰의 문틀에서 발견된 비문에는 "딜문의 배가 그에게 외국에서 나무를 조공으로 가져왔다"고 기록되어 있다.[25]

upright


딜문은 중기 아시리아 제국(기원전 1365–1050년)에 정복되었고, 해적 행위로 인해 기원전 1000년에서 기원전 800년 사이에 상업적 힘이 쇠퇴했다. 기원전 8세기와 7세기에는 신아시리아 제국(기원전 911–605년)이 딜문을 정복했고, 기원전 6세기에는 신바빌로니아 제국아케메네스 제국이 딜문을 지배했다.

딜문은 장거리 해상 무역을 통해 다양한 물품을 교역했다. 목재, 상아, 청금석, , 홍옥수, 진주 등은 , 주석, 양모 직물, 올리브 오일, 곡물과 교환하여 메소포타미아로 보내졌다. 구리 잉곳은 오만에서, 역청은 메소포타미아에서, 면 직물과 가금은 인도 지역에서 수입되었다. 딜문에서 사용된 무게와 측정 단위는 인더스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했다.

기원전 2000년기 초부터 유프라테스 강 상류의 개발이 진행되면서 메소포타미아는 다른 지역의 물품을 입수할 수 있게 되었고, 인더스 문명의 쇠퇴로 인해 메소포타미아와 인더스 간의 무역이 감소하면서 딜문은 쇠퇴했다.

2. 1. 딜문 왕국

딜문의 초기 시대에 만들어진 황소 머리, 구리, (기원전 2000년경), 바레인의 바바르 사원에서 덴마크 고고학자들이 발견했다.


기원전 2050년경부터 딜문은 전성기를 맞이한 것으로 보인다. 칼앗 알 바레인은 딜문의 수도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신에서 발견된 기록에 따르면 딜문은 메소포타미아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 왕국이 되었으며, 딜문에 대한 왕실의 선물에 대한 언급도 있다. 북부 레반트아모리 국가인 마리와의 접촉이 확인되었다. 이 시기에 가장 큰 왕실 무덤이 세워졌다.[26] 기원전 1780년경부터 두 명의 딜문 왕, 야글리-엘(아모리 이름) 왕과 그의 아버지 리뭄의 이름을 새긴 여러 개의 아카드어 비문이 석조 용기에서 발견되었다. 이 비문들은 거대한 봉분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분명히 이 왕들의 무덤이었다. 리뭄은 1879년에 발견된 듀런드 석비를 통해 이미 고고학계에 알려져 있었다.[27]

기원전 1720년경부터 쇠퇴가 눈에 띈다. 많은 정착지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고, 왕실 봉분의 건설도 중단되었다. 바바르 사원은 폐허가 되었다.[28] 기원전 1650년경부터 '회복' 기간이 기록되어 있다. 새로운 왕실 무덤이 건설되었고, 칼앗 알 바레인에서는 건축 활동이 증가한 증거가 있다.[26] 이 시기에 파일라카에서 발견된 인장에는 한 왕의 이름이 보존되어 있다. 짧은 문구는 다음과 같다. ''[라]'우-라 파니파, 수무-렐의 딸, 아카룸의 인작의 하인''. 수무-렐은 이 시기 딜문의 세 번째 왕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카룸의 인작의 하인''은 딜문에서 왕의 칭호였다. 이 후기 통치자들의 이름은 아모리 이름이다.[29]

딜문의 이름이 슈메르의 쐐기 문자 기록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기원전 4천 년기 말이다. 그 점토판은 우루크에 있던 여신 이난나의 신전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형용사로서의 "딜문"은 도끼의 형상이나 어떤 특별한 직업을 가리킬 때 사용되었다. 게다가, 딜문과 관계가 있었던 사람들에게 배급된 양모 (울)의 목록도 있다. 오만 반도에서는 Hafit period영어 (기원전 3200년~기원전 2600년경) 시대부터 구리를 채굴하여 수출했다. 메소포타미아의 자료에서는, 구리를 산출하는 곳은 수메르어로 마간, 아카드어로 마칸이라고 불렸다. 기원전 3천 년기에는, 딜문은 마간과 메소포타미아 간의 구리 무역의 중개지였다.

이후 딜문에 대한 기록은 수메르 초기 왕조 시대에 나타났다. 메소포타미아와 딜문의 교역 기록은 5건으로, 초기 왕조 시대의 라가시 출토 문서(기원전 2370년경), 우르 제3왕조 시대의 우르 출토 문서(기원전 2111~기원전 2003년경), 이신·라르사 시대의 우르 출토 문서(기원전 1922년경), 이신·라르사 시대의 라르사 출토 문서와 이신·라르사 시대 후대의 우르 출토 문서(기원전 1822년~기원전 1763년경)가 있다.

오만 반도의 움 안나르 문명은, 하피트 문화의 구리 수출을 이어받아, 메소포타미아, 트랜스 엘람 문명, 인더스 문명 (아마도 아카드어로 Meluhha영어라고 불렸던 지역과 일치한다)과 무역을 했다. 기원전 2000년경에 움 안나르 문명은 쇠퇴하고, 수도는 오만 반도에서 바레인 섬으로 옮겨져 바르바르 문명이 흥했다. 바레인에서 발견된 최초의 정착지 중 하나는, 아시리아 왕 센나케리브가 아라비아 북동부를 공략하고, 바레인의 섬들을 손에 넣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기원전 2000년경부터 해수면 저하로 인해 파일라카 섬이 거주 가능하게 되자, 파일라카 섬에서의 거래가 활발해졌다. Bahrain National Museum영어 (바레인 국립 박물관)은, 딜문의 황금 시대는 기원전 2200년부터 기원전 1600년경 사이였다고 추정하고 있다.

딜문의 이름은, 바빌론카시트인 왕조에 속하는 Burna-Buriash II영어 (부르나 부리아슈 2세)의 치세 무렵(기원전 1370년경)에 쓰여진 2통의 서한에서도 언급되고 있다. 이 서한들은 딜문의 지방 당국자가, 메소포타미아의 상관에게 보낸 것이지만, 거기 언급된 인명은 아카드인의 것이다. 이 서한과 다른 문서들은, 당시 딜문과 바빌론 사이에 행정상의 연관이 있었음을 암시하고 있지만, 카시트 왕조가 무너지자, 메소포타미아의 문서들은 딜문의 이름에 언급하지 않게 되었다. 예외적인 존재는 기원전 1250년의 아시리아어 비문이며, 이는 아카드 왕조의 사르곤이 딜문과 멜루하 등의 왕이기도 하다고 선언한 것이다. 이 비문에는 딜문으로부터의 공물에 대한 언급도 있다. 기원전 1천 년기의 또 다른 아시리아어 비문에서도, 아시리아의 통치권이 딜문에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원전 2000년기 초부터 유프라테스 강 상류의 개발이 진행되면서, 메소포타미아는 키프로스의 구리와 아마누스 산맥의 목재, 적철광 등의 물품을 입수할 수 있게 되었다. 기원전 1900년~기원전 1800년경에는 인더스 문명이 쇠퇴하여 상품이 감소하고, 기원전 1800년경에는 메소포타미아의 기록에서 Meluhha영어 (멜루하)가 소멸한다. 이처럼 메소포타미아와 인더스 간의 무역이 감소함에 따라 딜문은 쇠퇴했다. 딜문에 관한 마지막 언급은, 신 바빌로니아 왕국의 것이다. 기원전 567년의 행정 기록에 의해, 당시 딜문이 바빌론의 왕의 지배하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기원전 538년에 신바빌로니아 왕국이 무너지자, 딜문의 이름은 사용되지 않게 된다.

2. 2. 외세의 지배

적어도 기원전 1500년부터 딜문은 아카드어를 사용하는 메소포타미아의 해안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해안 왕조의 왕 에아-가밀은 칼앗 알-바레인에서 발견된 텍스트에 언급되어 있는데, 그는 해안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였다. 그의 통치 이후 딜문은 바빌로니아 카시트 왕조의 지배를 받게 되었는데, 이는 카시트 왕조가 해안 왕조의 땅을 장악했기 때문이다.[30]

딜문은 부르나-부리아시 2세의 통치 기간(기원전 137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두 통의 편지에서 언급되었으며, 이 편지들은 바빌론의 카시트 왕조 시대에 니푸르에서 발견되었다. 이 편지들은 딜문의 지방 관리인 일리-이파슈라가 그의 친구이자 니푸르의 총독인 엔릴-키디니에게 보낸 것이었다. 언급된 이름들은 아카드어이다. 이 편지들과 다른 문서들은 당시 딜문과 바빌론 사이에 행정적인 관계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딜문의 총독 일리-이파슈라와 니푸르의 총독 엔릴-키디니 사이의 서신(기원전 1350년경)


기원전 1595년 카시트 왕조가 붕괴된 후, 메소포타미아 문서에는 딜문에 대한 언급이 없다가 아시리아 비문(기원전 1250년부터 기원전 1050년까지)에서 아시리아 왕들이 딜문과 멜루하, 그리고 하해와 상해의 통치자라고 선포하면서 다시 등장했다. 아시리아 비문에는 딜문에서 조공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기원전 1천년기 동안 아시리아의 딜문에 대한 주권을 나타내는 다른 아시리아 비문들이 있다.[31]

바레인에서 발견된 초기 유적 중 하나는 센나케리브 (아시리아 왕, 기원전 707-681년)이 북동 아라비아를 공격하여 바레인 섬들을 점령했다는 것을 시사한다.[32] 딜문에 대한 가장 최근의 언급은 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에 나타났다. 기원전 567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신바빌로니아 행정 기록에는 딜문이 바빌론 왕의 통제를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딜문이라는 이름은 기원전 538년 바빌론 멸망 이후 사용이 중단되었고, 이후 이 지역은 헬레니즘 시대에 틸로스로 알려지게 되었다.[31]

3. 메소포타미아 및 인더스 문명과의 교역

딜문은 기원전 4천년 후반부터 기원전 800년까지 페르시아만 무역로를 통제하며 번성했던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다.[6] 초기에는 인더스 계곡과 메소포타미아 사이, 후에는 중국과 지중해 사이의 해상 무역과 농업을 연결하는 상업 활동의 중심지였다.[5]

라가시의 왕 우르-난셰 ()의 문틀에서 발견된 비문에는 "딜문의 배가 그에게 외국에서 나무를 조공으로 가져왔다"는 기록이 있다.[25] 이는 딜문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 중 하나이다.

딜문은 부르나-부리아시 2세의 통치 기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편지에서 언급되는데, 이 편지들은 딜문의 지방 관리인 일리-이파슈라가 니푸르의 총독인 엔릴-키디니에게 보낸 것이다. 이 편지들은 당시 딜문과 바빌론 사이에 행정적인 관계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기원전 1595년 카시트 왕조가 붕괴된 후, 딜문은 아시리아 비문(기원전 1250년부터 기원전 1050년까지)에서 아시리아 왕들이 딜문의 통치자라고 선포하면서 다시 등장한다. 기원전 1천년기 동안 아시리아의 딜문에 대한 주권을 나타내는 비문들이 있다.[31] 센나케리브 왕(기원전 707-681년)은 북동 아라비아를 공격하여 바레인 섬들을 점령했다.[32]

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 행정 기록(기원전 567년)에는 딜문이 바빌론 왕의 통제를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딜문이라는 이름은 기원전 538년 바빌론 멸망 이후 사용이 중단되었고, 이후 이 지역은 헬레니즘 시대에 틸로스로 알려지게 되었다.[31]

딜문에서는 로탈, 구자라트, 인도, 파일라카 등에서 발견된 "아라비아 만" 유형의 원형 봉인이 발견되어 장거리 해상 무역의 증거를 보여준다.

메소포타미아는 , 주석, 양모 직물, 올리브 오일, 곡물 등을 수출하고, 딜문은 목재, 상아, 청금석, , 홍옥수, 진주, 조개 껍질 상감 등을 메소포타미아로 보냈다. 구리 잉곳은 오만에서, 역청은 메소포타미아에서, 면 직물과 가금은 인도 지역에서 교환되었을 수 있다. 딜문에서 사용된 무게와 측정 단위는 인더스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하여 무역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움 알나르 문화와 달마 (아랍에미리트 연합)와 이브리 (오만)는 구리 채굴과 제련에 특히 중요했다.[33] 바레인 국립 박물관은 딜문의 "황금기"가 기원전 2200년부터 기원전 1600년까지 지속되었다고 평가한다.[34]

3. 1. 구리 무역

기원전 4천 년기 말, 슈메르의 쐐기 문자 기록에 딜문이 처음 등장한다. 우루크에 있던 이난나 신전 유적에서 발견된 점토판에는 딜문이 도끼나 특정 직업을 가리키는 형용사로 사용되었고, 딜문과 관련된 사람들에게 배급된 양모 목록도 있었다.[1]

오만 반도에서는 Hafit period영어 (기원전 3200년~기원전 2600년경) 시대부터 구리를 채굴하여 수출했다.[2] 수메르어로 마간, 아카드어로 마칸이라고 불린 이곳에서 생산된 구리는 기원전 3천 년기에 딜문을 통해 메소포타미아로 중개 무역되었다.[3]

이후 딜문에 대한 기록은 수메르 초기 왕조 시대에 나타난다. 메소포타미아와 딜문의 교역 기록은 5건으로, 초기 왕조 시대의 라가시 출토 문서(기원전 2370년경), 우르 제3왕조 시대의 우르 출토 문서(기원전 2111~기원전 2003년경), 이신·라르사 시대의 우르 출토 문서(기원전 1922년경), 이신·라르사 시대의 라르사 출토 문서와 이신·라르사 시대 후대의 우르 출토 문서(기원전 1822년~기원전 1763년경)가 있다.[5]

오만 반도의 움 안나르 문명은 하피트 문화의 구리 수출을 이어받아 메소포타미아, 트랜스 엘람 문명, 인더스 문명과 무역을 했다. 기원전 2000년경 움 안나르 문명이 쇠퇴하고 수도가 오만 반도에서 바레인 섬으로 옮겨지면서 바르바르 문명이 흥했다.[6]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인더스 문명 사이의 무역은 고고학적, 문헌학적 증거로 확인된다. 하라파 유적에서 출토된 점토 인장은 상품 포장에 사용되었으며, 우르 등 메소포타미아 유적에서 이러한 인더스 인장이 많이 발견되었다. 딜문에서 유래한 페르시아 만 형 원형 인장은 모헨조다로, 로탈, 수사 등에서 발견되었다. 바레인 섬, 파일라카 섬, 우르에서는 변칙적인 인더스 문자 비문이 발견되었다.[7] 멜루하에 관한 메소포타미아의 무역 기록, 상품 목록, 공식 비문 등은 하라파의 인장과 고고학적 지견을 보완한다. 멜루하와의 무역은 초기 왕조 시대(기원전 2600년경)에 시작되었지만, 이신-라르사 시대에 딜문이 무역을 독점하게 되었다.[8]

4. 문화

딜문은 "해가 뜨는 곳", "산 자들의 땅"으로 묘사되며, 에리두 창세기의 일부 버전에서 배경이 되는 장소이자, 홍수의 수메르 영웅인 우트나피쉬팀(지우스드라)이 신들에 의해 영원히 살기 위해 데려간 곳이다. 토르킬드 야콥센은 에리두 창세기를 번역하여 그곳을 ''"딜문 산"''이라고 부르며, 이를 ''"아득하고 반신화된 장소"''로 위치를 특정했다.[40]

사냥꾼과 염소가 있는 딜문 도장, 직사각형 펜,


딜문은 엔키와 닌후르상 서사시에서 창조 신화가 일어난 장소로도 묘사된다.[16][41] 후기 바빌론의 ''에누마 엘리쉬''는 창조 장소를 소금물(티아마트)과 담수(압주)가 만나 섞인 곳이라고 말한다. 아랍어로 바레인은 "쌍둥이 물"을 의미하며, 이곳은 아라비아 대수층의 담수가 페르시아 만의 염수와 섞이는 곳이다. 엔키는 닌후르상에게 다음과 같이 약속했다.

내 여신의 마음의 땅인 딜문을 위해, 나는 긴 수로, 강, 운하를 만들 것이며, 이를 통해 물이 흘러 모든 존재의 갈증을 해소하고 모든 생명체에 풍요를 가져다줄 것이다.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길가메시는 딜문에 도달하기 위해 마슈 산을 통과해야 했다. 마슈 산은 레바논 산맥과 안티레바논 산맥을 가리키며, 이 산들 사이의 좁은 틈이 터널을 구성한다.[42]

4. 1. 종교

딜문인들은 쐐기 문자를 사용하여 아카드어로 기록했으며,[35] 메소포타미아의 아카드인, 아시리아인, 바빌로니아인, 에블라인과 마찬가지로, 중앙 셈어가 아닌 아카드어 방언이거나 그와 유사한 동셈어족 언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여겨진다.[36][37] 딜문의 주요 신은 인자크였고 그의 배우자는 파니파였다.[38]

초기 서사시인 ''엔메르카르와 아라타의 영주''에서 엔메르카르우루크에리두지구라트를 건설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주요 사건들은 "딜문이 아직 정착되기 전"에 일어난 일로 묘사된다.

딜문은 때때로 "해가 뜨는 곳"과 "산 자들의 땅"으로 묘사되며, 에리두 창세기의 일부 버전의 배경이며, 홍수의 수메르 영웅인 우트나피쉬팀 (지우스드라)이 신들에 의해 영원히 살기 위해 데려간 곳이다.

딜문은 또한 서사시 이야기인 엔키와 닌후르상에서 창조 신화가 일어난 장소로 묘사된다.[16][41] 후기 바빌론의 ''에누마 엘리쉬''는 창조 장소를 소금물, 즉 티아마트로 의인화된 물과 압주의 담수가 만나 섞인 곳이라고 말한다.

수메르의 공기 및 남풍의 여신인 닌릴은 딜문에 집이 있었다.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길가메시가 딜문에 도달하기 위해 마슈 산을 통과해야 했다는 추측도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전체 레바논 산맥과 안티레바논 산맥을 가리키며, 이 산들 사이의 좁은 틈이 터널을 구성한다.[42]

5. 유적

바레인 사르에 있는 딜문 문명으로 추정되는 정착촌 유적


바레인 매장 고분 위치


1987년, 테레사 하워드-카터는 이 시대의 딜문이 오늘날 이라크의 콰나와 바스라 사이의 아르반드 루드(샤트 알 아랍) 근처에 있는 아직 확인되지 않은 텔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43] 하워드-카터의 제안에 찬성하여 이 지역이 수메르("해가 뜨는 곳")의 동쪽에 위치하고, 딜문의 처녀들이 공격받았다고 하는 강둑이 늪 가운데 있는 샤트 알 아랍과 일치한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딜문이 있었다고 하는 "강들의 입구"는 그녀에게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이 쿠르나에서 합류하는 지점을 의미한다. 많은 학자들은 딜문이 원래 오늘날 사우디 아라비아의 동부 지역을 지칭했으며, 특히 내륙의 움 안 누시와 움 아르 라마드, 해안의 타루트 섬과 같은 주요 딜문 정착지와 관련이 있다고 제안했다.[44]

2022년 현재, 고고학자들은 딜문이 텍스트에 등장하는 기원전 3300년(우루크 IV)부터 기원전 556년(신바빌로니아 시대)까지의 존재했던 유적지를 발견하지 못했다. 홀룬드에 따르면, 기원전 3300년에서 2000년 사이에 걸쳐 걸프 해안에 정착지가 존재하지 않는다.

바레인 섬 서부에 있는 6개의 고분군과 15곳의 왕릉 (13곳의 단독 묘와 2곳의 쌍묘, 모두 지구라트와 같은 2층 구조의 묘탑)으로 구성된 21곳의 유적을 포함하는 Dilmun Burial Mounds|딜문 분묘군영어은 기원전 2200년에서 1750년경에 축조되었으며, 2019년에 기원전 2천년기경의 초기 딜문 문명의 증거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50]

딜문의 세계유산 등록기준은 다음과 같다.

  • (iii) 현재 또는 과거의 살아있는 문명의 드문 증거나 특별한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증거
  • (iv) 인류 역사의 중요한 단계를 보여주는 건축, 기념비적 조형물, 도시 계획, 또는 조경 디자인의 뛰어난 사례

참조

[1] 문서 The former is the reconstructed Sumerian pronunciation; the latter is the reconstructed Semitic.
[2] 웹사이트 CDLI-Found Texts https://cdli.ucla.ed[...]
[3] 웹사이트 CDLI-Found Texts https://cdli.ucla.ed[...]
[4] 뉴스 Bahrain digs unveil one of oldest civilizations https://www.bbc.com/[...] BBC 2013-05-21
[5] 웹사이트 Qal'at al-Bahrain – Ancient Harbour and Capital of Dilmun https://whc.unesco.o[...] UNESCO 2011-08-17
[6] 간행물 Trade or diplomacy? Assyria and Dilmun in the eighteenth century BC 1993
[7] 웹사이트 Dilmun and Its Gulf Neighbors https://books.google[...]
[8] 웹사이트 The Invention of Cuneiform: Writing in Sumer https://books.google[...]
[9] 웹사이트 Kuwait's archaeological sites reflect human history & civilizations (2:50 – 3:02) https://www.youtube.[...] 2013-11-02
[10] 간행물 Failaka and the Northern Part of Dilmun https://www.jstor.or[...]
[11] 웹사이트 The Archaeology of Kuwait http://orca.cf.ac.uk[...]
[12] 웹사이트 Prehistory and Protohistory of the Arabian Peninsula: Bahrain https://books.google[...]
[13] 문서 The Arab world: an illustrated history p.4
[14] 서적 Egypt's Making: The Origins of Ancient Egypt 5000–2000 BC https://books.google[...] Routledge
[15] 서적 Getting Back Into the Garden of Eden https://books.google[...]
[16] 서적 Sumerian Mythology: A Study of Spiritual and Literary Achievement in the Third Millennium B.C.: Revised Edition http://www.sacred-t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7-05-21
[17] 서적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3
[18] 웹사이트 Perforated Relief of King Ur-Nanshe http://www.louvre.fr[...] Louvre Museum
[19] 웹사이트 CDLI Wiki http://cdli.ox.ac.uk[...] University of Oxford 2010-01-14
[20] 서적 Archaeological History Of The Ancient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
[21] 웹사이트 tablet https://research.bri[...]
[22]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https://cdli.ucla.ed[...]
[23] 웹사이트 Dilmun and Its Gulf Neighbours https://books.google[...]
[24] 서적 Dilmun and its Gulf neighbou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서적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https://books.google[...]
[26] 문서 Steffen Terp Laursen (2017)ː The Royal Mounds of A'ali in Bahrain, Aarhus, ISBN 978-87-93423-16-9, pp. 381
[27] 웹사이트 Kings of Dilmun identified by name https://www.academia[...]
[28] 문서 Steffen Terp Laursen (2017)ː The Royal Mounds of A'ali in Bahrain, Aarhus, ISBN 978-87-93423-16-9, pp. 388–390
[29] 문서 Gianni Marchesiː Inscriptions from the Royal Mounds of A'alo (Bahrain) and related Texts, inː Steffen Terp Laursenː The Royal Mounds of A'ali in Bahrain, Aarhus 2017, ISBN 978-87-93423-16-9, pp. 428–430
[30] 문서 Steffen Terp Laursen (2017)ː The Royal Mounds of A'ali in Bahrain, Aarhus, ISBN 978-87-93423-16-9, pp. 390
[31] 서적 Life and land use on the Bahrain Islands: The geoarcheology of an ancient societ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2] 서적 Security and Territoriality in the Arabian Gulf: A Maritime Political Geography Curzon
[33] 웹사이트 Egypt's Making: The Origins of Ancient Egypt 5000–2000 BC https://books.google[...]
[34] 웹사이트 Lost ancient civilisation's ruins lie beneath Gulf, says boffin https://www.theregis[...]
[35]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36] 서적 The Indian Ocean In Antiquity Routledge 2013-10-28
[37] 서적 The prehistory of Asia and Oceania, Forlí: Colloquia of the XIII International congress of prehistoric and protohistoric sciences ABACO Edizioni, Forlì
[38] 서적 The Indian Ocean In Antiquity Routledge 2013-10-28
[39] 간행물 KAPA Stranded mRNA-Seq Kit(KK8420): de novo RNA-seq (stranded mRNA-Seq) from total RNA derived from invertebrates(stranded mRNA-Seq) 2019
[40] 서적 The Harps that once: Sumerian poetry in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1-07-02
[41] 서적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3
[42] 서적 Wine and the Vine: An Historical Geography of Viticulture and the Wine Trad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1-05-31
[43] 간행물 Dilmun: At Sea or Not at Sea? A Review Article
[44] 문서 Roads of Arabia
[45] 간행물 The Location of the Garden of Eden 1922-10
[46] 간행물 Has the Garden of Eden been located at last? http://www.theeffect[...] 2014-01-08
[47] 문서 Legrain, 1922; Cameron, 1936;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Hinz, 1972;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Majidzadeh, 1991; Majidzadeh, 1997.
[48] 웹사이트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ディルムンとは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1-06
[49] 웹사이트 Qal’at al-Bahrain – Ancient Harbour and Capital of Dilmun https://whc.unesco.o[...] 2023-05-13
[50] 웹사이트 Dilmun Burial Mounds https://whc.unesco.o[...] 2023-05-13
[51] 문서 The former is the reconstructed Sumerian pronunciation; the latter is the reconstructed Semitic.
[52] 간행물 Trade or diplomacy? Assyria and Dilmun in the eighteenth century BC 1993
[53] 웹인용 Dilmun and Its Gulf Neighbors https://books.google[...]
[54] 뉴스 Bahrain digs unveil one of oldest civilizations https://www.bbc.com/[...] BBC 2013-05-21
[55] 웹인용 Qal'at al-Bahrain – Ancient Harbour and Capital of Dilmun https://whc.unesco.o[...] UNESCO 2011-08-17
[56] 웹인용 The Invention of Cuneiform: Writing in Sumer https://books.google[...]
[57] 웹인용 Kuwait's archaeological sites reflect human history & civilizations (2:50 – 3:02) https://www.youtube.[...]
[58] 간행물 Failaka and the Northern Part of Dilmun https://www.jstor.or[...]
[59] 웹인용 The Archaeology of Kuwait http://orca.cf.ac.uk[...]
[60] 웹인용 Prehistory and Protohistory of the Arabian Peninsula: Bahrain https://books.google[...]
[61] 문서 The Arab world: an illustrated history
[62] 서적 인류본사
[63] 서적 Egypt's Making: The Origins of Ancient Egypt 5000–2000 BC https://books.google[...] Routledge
[64] 서적 Getting Back Into the Garden of Eden https://books.google[...]
[65] 서적 Sumerian Mythology: A Study of Spiritual and Literary Achievement in the Third Millennium B.C.: Revised Edition http://www.sacred-t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7-05-21
[66] 서적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