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이프치히 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1409년 설립된 독일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대학교이다. 프라하 대학교에서 독일인 교수와 학생들이 이주해 오면서 설립되었으며, 오랜 역사 동안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프리드리히 니체, 앙겔라 메르켈 등 수많은 저명한 학자와 인물을 배출했다. 나치 시대와 동독 시기를 거치면서 어려움을 겪었지만, 독일 재통일 이후 원래의 이름을 되찾고 재건되었다. 현재 14개의 학부와 다양한 부속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국제 교류 및 연구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2024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 479위를 기록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이프치히 대학교 - 빅토어 바이스코프
    빅토어 바이스코프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이론물리학자이며, 양자 전기역학, 핵물리학 연구에 기여하고 CERN 사무총장을 역임하며 국제 과학 협력에 힘썼다.
  • 라이프치히의 대학교 - 라이프치히 음악연극대학교
    라이프치히 음악 연극 대학교는 1843년 펠릭스 멘델스존 바르톨디가 설립한 독일 최초의 주요 음악 대학 중 하나로, 음악과 연극 분야에서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하며 다양한 학부에서 폭넓은 교육을 제공한다.
  • 1409년 설립 - 누르간도지휘사사
    누르간도지휘사사는 1409년 명나라가 흑룡강 하류 지역에 설치한 군사 및 행정 기구로, 여진족 통제와 조공 관계를 수행했으나 명나라 쇠퇴로 1435년 폐지되었으며, 문화적 영향과 함께 현지 주민들의 반발을 야기하기도 했다.
라이프치히 대학교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라이프치히 대학교
로마자 표기Universität Leipzig
모토 (독일어)Aus Tradition Grenzen überschreiten
모토 (한국어)전통에서 벗어나 경계를 넘다
라틴어 이름Alma Mater Lipsiensis
설립일1409년 12월 2일
유형공립 연구 대학
예산4억 890만 유로
총장에바 이네스 오버그펠
교수진3,234명
행정 직원1,962명
학생 수29,459명
위치라이프치히, 작센주, 독일
캠퍼스도시
색상빨간색
밝은 파란색
제휴위트레흐트 네트워크
독일 U15
웹사이트uni-leipzig.de
라이프치히 대학교 문장
라이프치히 대학교 로고
라이프치히 대학교
추가 정보
대학원생 수 (2006/2007 겨울 학기)12,424명
교수진 수 (2005년)3,196명
상징Alma mater Lipsiensis

2. 역사

라이프치히 대학교 설립 기념비


1968년 사회주의 정부에 의해 철거된 라이프치히 대학교 본관 (1917년)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1409년 프라하 대학교를 떠난 독일인 교수와 학생들을 받아들이기 위해 설립되었다. 독일에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다음으로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다.

19세기와 20세기 초 오스만 제국의 쇠퇴 및 오스만 제국의 해체 기간 동안,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다른 여러 독일 대학교와 함께 새로 독립한 발칸 국가들(루마니아, 그리스, 불가리아, 세르비아)의 국가 행정부와 엘리트를 위한 고등 교육의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으며, 1859년부터 1909년까지 이 지역에서 5,500명이 넘는 학생들을 교육하였다.[5]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때까지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많은 저명한 학자들과 후일 노벨상 수상자가 된 폴 에를리히, 펠릭스 블로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도모나가 신이치로를 포함한 많은 인물들을 불러들였다. 대학 졸업생 중 많은 수가 중요한 과학자가 되었다.

이곳에서 교편을 잡았던 유명 인사로는 테오도어 몸젠, 빌헬름 오스트발트,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구스타프 헤르츠, 빌헬름 분트, 펠릭스 클라인, 뫼비우스 등이 있다.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공부했던 유명 인사로는 괴테, 니체, 슈만, 랑케, 레싱, 뒤르켐, 스타인, 앙겔라 메르켈 등이 있다. 의학부는 특히 유명하며, 에르빈 폰 베르츠를 비롯한 많은 인물들이 이곳에서 독일 의학을 배웠다. 일본인 유학생으로는 미원을 발명한 이케다 기쿠나에(오스트발트에게 사사),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도모나가 신이치로(하이젠베르크에게 사사) 등이 있다.

2. 1. 설립과 1900년까지의 발전

신학자 얀 후스(Jan Hus) 등에 의한 체코인 우대 정책에 항의하여 프라하 대학교를 일제히 떠난 독일인 교수와 학생들을 받아들이기 위해 마이센 변경백 프리드리히 4세가 1409년에 설립하였다.[35] 프리드리히는 후스파와 결탁한 보헤미아 국왕 벤체슬라스에게 개인적인 반감을 품고 있었던 것도 대학 설립을 결심한 이유 중 하나였다. 대학 설립을 위해 피사교황 알렉산더 5세로부터 특허장을 얻었다.[36] 교황 칙령으로 알렉산더 5세 교황으로부터 (그 해 9월 9일) 설립 허가장을 받은 후 개교하였다. 초대 총장은 요하네스 오토 폰 뮌스터베르크였다. 개교 당시부터 파울리너 교회가 대학 교회 역할을 하였다. 종교 개혁 이후인 1544년에는 교회와 수도원 건물이 대학교에 기증되었다. 독립적이고 지속 가능한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라이프치히 동쪽의 9개 마을에 대한 영주권을 부여받았으며, 19세기 토지 개혁이 시행될 때까지 약 400년 동안 이 지위를 유지하였다. 독일에서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1386년 설립)에 이어 역사와 전통을 자랑한다.

많은 유럽 대학교들과 마찬가지로,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기숙사와 강의를 조직하는 책임을 맡은 대학(collegia)으로 구성되었다. 라이프치히 대학에는 소 대학, 대 대학, 적색 대학(Rotes Kolleg, 신 대학으로도 알려짐), 성모 대학(Frauenkolleg), 파울리너 대학(Pauliner Kolleg)이 있었다. 또한 사립 기숙사(bursen)도 있었다. 각 대학은 구성원에 대한 사법권을 가지고 있었다.

과거 대학으로 조직되었던 라이프치히 대학교의 적색 대학은 16세기에 설립되었다.


초창기 몇 세기 동안 대학교는 느리게 성장하여 지역적인 기관에 머물렀다. 그러나 19세기에 대학교가 세계적인 고등 교육 및 연구 기관이 되면서 이러한 상황은 변하였다. 19세기 말에는 베르너트 빈트샤이트(독일 민법의 아버지 중 한 명)와 빌헬름 오스트발트(현대 물리화학의 창시자로 여겨짐)와 같은 중요한 학자들이 라이프치히에서 강의를 하였다.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여성이 "객원생"으로 등록하는 것을 허용한 최초의 독일 대학교 중 하나였다.[4] 1873년 총회에서는 여성이 객원생으로 참석할 수 있도록 허용한 라이프치히 대학교와 프라하 대학교에 감사를 표했다. 독일 최초의 여성 법학 박사인 요하나 폰 에브레이노프가 학위를 받은 해이기도 하다.

2. 2. 나치 시대

나치 통치 아래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는 유대인들의 학위가 많이 취소되었다.[6] 일부는 나중에 동독(GDR)에서 카를 마르크스 대학교 학위로 복권되기도 했다. 막스 클라라(해부학과 학과장)와 같은 나치 당원들은 대학교에서 강의하며 큰 권한을 가진 직책에 임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대학 건물이 파괴되었지만, 대학교는 계속 운영되었다. 1945년 5월 11일, 전쟁 중 권한대행 총장이었던 에리히 마슈케는 새로운 총장 선출을 발표하는 각서에서 대학교의 지속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5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라이프치히 대학교가 가장 어려운 시기에도 포기하지 않겠다는 확고한 결의가 1943년 12월 4일 이후 교수들과 학생들을 하나로 묶었습니다. 공습으로 인한 피해 복구라는 특별한 임무는 이제 더 일반적인 의무로 확대되어, 우리 대학교의 연속성을 구하고, 적어도 파괴할 수 없는 핵심을 위기의 절정에 이르렀을 때에도 보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건물과 대부분의 도서관이 파괴된 후, 이 핵심은 교수진만으로 대표됩니다. 이것이 대학의 위대한 가치의 저장소로서 보존되어야 하는 것입니다.[7]

전쟁이 끝날 무렵 대학교 건물의 60%, 도서의 70%가 파괴되었다.

2. 3. 독일 민주 공화국 (동독) 시기

소련 점령 지역의 사회 제도에 따른 획일적인 영향으로, 1946년 2월 5일 재개교한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1948년 자유 선거로 구성된 학생회가 해체되고 자유독일청년 회원들로 대체되었다. 학생회 회장 볼프강 나토넥과 다른 회원들은 체포되어 투옥되었지만, 대학교는 저항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벨터 그룹은 자유 선거를 위한 전단을 배포하였고, 이 그룹의 책임자 허버트 벨터는 1951년 모스크바에서 처형되었다.

1949년 동독 수립 후, 1953년 칼 마르크스 해를 기념하여 대학교의 이름을 '''라이프치히 칼 마르크스 대학교'''(Karl-Marx-Universität Leipzig)로 개명하였다. 1968년에는 요하네움(Johanneum)과 알베르티눔(Albertinum)을 포함한 부분적으로 손상된 아우구스테움과 온전한 폴리너 교회가 1973년부터 1978년까지 진행된 대학교 재개발을 위해 철거되었다. 1968년부터 1972년까지 대학교의 주요 건물은 책 모양으로 지어진 대학 타워(시티 고층건물)였다.

2. 4. 독일 재통일 이후

1991년, 독일의 재통일 이후, 대학교 이름은 원래 이름인 라이프치히 대학교(''Alma mater lipsiensis'')로 복원되었다. 전쟁 중 심하게 피해를 입고 동독 시대에는 간신히 유지되었던 대학 도서관의 재건은 2002년에 완료되었다.

라이프치히의 신고전주의 대학 도서관, 알베르티나 도서관


시티 호흐하우스 라이프치히(University Tower)가 민간 사용자에게 인계됨에 따라, 대학은 여러 학부를 도시의 여러 곳으로 분산시켜야 했다. 대학은 아우구스투스 광장에 있는 역사적인 중심지를 논란의 여지가 있는 방식으로 재설계했다. 2002년, 베헤트 본지오(Behet Bonzio)가 건축 설계 공모전에서 2등을 수상했으며, 심사위원단은 1등을 선정하지 않았다. 지방 정부의 부분적인 지원을 받은 로비 단체는 성 바울 교회와 아우구스테움(Augusteum (Leipzig))의 재건을 요구했다. 이는 라이프치히 대학교 지도부, 대다수 학생들, 그리고 라이프치히 시민들의 반발을 야기했다. 2004년 3월 24일, 심사위원단은 네덜란드 건축가 에릭 판 에게라트(Erick van Egeraat)의 디자인을 선택했는데, 이 디자인은 거의 모든 당사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그의 디자인은 성 바울 교회(오늘날 파울리눔(Paulinum (University of Leipzig))으로 불림)와 아우구스테움의 외형을 상기시키면서, 원래 건물 단지를 추상적으로 재해석했다. 2005년 여름에 개보수 공사가 시작되었다.

2012년 이후 라이프치히 대학교 본관, 아우구스투스 광장의 아우구스테움


2008년,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독일 전국적인 "엑셀런스 이니셔티브(Initiative of Excellence)"에서 승리하여 "BuildMoNa: 라이프치히 자연과학대학 – 분자 및 나노 물질을 이용한 건축" 대학원을 설립할 수 있었다.[8] 또한, 대학은 "라이프(Life)" 프로젝트(흔히 발생하는 질병을 보다 효과적으로 탐구하려는 프로젝트)를 위해 작센 엑셀런스 이니셔티브로부터 지원금을 받았다. 2008년에는 "바흐 아카이브"가 대학과 연계되었다. 2009년,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300여 건의 과학 및 문화 강연과 전시회를 통해 600주년을 기념했으며,[9] 이는 창립 이후 대학의 연구와 교육의 역할을 반영한다.

3. 캠퍼스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프라하 대학교를 모델로 하였는데, 얀 후스 사건과 쿠트나호라 칙령 이후 독일어권 교수진이 프라하에서 라이프치히로 이동하면서 설립되었다. "알마 마테르 립시엔시스(Alma mater Lipsiensis)"는 1409년에 설립 허가장을 알렉산더 5세 교황으로부터 (그 해 9월 9일) 교황 칙령으로 받은 후 개교하였다. 초대 총장은 요하네스 오토 폰 뮌스터베르크였다. 개교 당시부터 파울리너 교회가 대학 교회 역할을 하였다. 종교 개혁 이후인 1544년에는 교회와 수도원 건물이 대학교에 기증되었다. 독립적이고 지속 가능한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라이프치히(라이프치히 대학교 마을) 동쪽의 9개 마을에 대한 영주권을 부여받았으며, 19세기 토지 개혁이 시행될 때까지 약 400년 동안 이 지위를 유지하였다.

많은 유럽 대학교들과 마찬가지로,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기숙사와 강의를 조직하는 책임을 맡은 대학(collegia)으로 구성되었다. 라이프치히 대학에는 소 대학, 대 대학, 적색 대학(Rotes Kolleg, 신 대학으로도 알려짐), 성모 대학(Frauenkolleg), 파울리너 대학(Pauliner Kolleg)이 있었다. 또한 사립 기숙사(bursen)도 있었다. 각 대학은 구성원에 대한 사법권을 가지고 있었다. 대학 구조는 나중에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이름만 남아있다.

초창기 몇 세기 동안 대학교는 느리게 성장하여 지역적인 기관에 머물렀다. 그러나 19세기에 대학교가 세계적인 고등 교육 및 연구 기관이 되면서 이러한 상황은 변하였다. 19세기 말에는 베르너트 빈트샤이트(독일 민법의 아버지 중 한 명)와 빌헬름 오스트발트(현대 물리화학의 창시자로 여겨짐)와 같은 중요한 학자들이 라이프치히에서 강의를 하였다.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여성이 "객원생"으로 등록하는 것을 허용한 최초의 독일 대학교 중 하나였다.[4] 1873년 총회에서 여성이 객원생으로 참석할 수 있도록 허용한 라이프치히 대학교와 프라하 대학교에 감사를 표했다. 독일 최초의 여성 법학 박사인 요하나 폰 에브레이노프가 학위를 받은 해이기도 하다.

1991년, 독일의 재통일 이후, 대학교 이름은 원래 이름인 라이프치히 대학교 (''Alma mater lipsiensis'')로 복원되었다. 전쟁 중 심하게 피해를 입고 동독 시대에는 간신히 유지되었던 대학 도서관의 재건은 2002년에 완료되었다.

시티 호흐하우스 라이프치히(University Tower)가 민간 사용자에게 인계됨에 따라, 대학은 여러 학부를 도시의 여러 곳으로 분산시켜야 했다. 대학은 아우구스투스 광장에 있는 역사적인 중심지를 논란의 여지가 있는 방식으로 재설계했다. 2002년, 베헤트 본지오(Behet Bonzio)가 건축 설계 공모전에서 2등을 수상했으며, 심사위원단은 1등을 선정하지 않았다. 지방 정부의 부분적인 지원을 받은 로비 단체는 성 바울 교회와 아우구스테움(Augusteum (Leipzig))의 재건을 요구했다. 이는 라이프치히 대학교 지도부, 대다수 학생들, 그리고 라이프치히 시민들의 반발을 야기했다. 2004년 3월 24일, 심사위원단은 네덜란드 건축가 에릭 판 에게라트(Erick van Egeraat)의 디자인을 선택했는데, 이 디자인은 거의 모든 당사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그의 디자인은 성 바울 교회(오늘날 파울리눔으로 불림)와 아우구스테움의 외형을 상기시키면서, 원래 건물 단지를 추상적으로 재해석했다. 2005년 여름에 개보수 공사가 시작되었다.

2008년,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독일 전국적인 "엑셀런스 이니셔티브(Initiative of Excellence)"에서 승리하여 "BuildMoNa: 라이프치히 자연과학대학 – 분자 및 나노 물질을 이용한 건축" 대학원을 설립할 수 있었다.[8] 또한, 대학은 "라이프(Life)" 프로젝트(흔히 발생하는 질병을 보다 효과적으로 탐구하려는 프로젝트)를 위해 작센 엑셀런스 이니셔티브로부터 지원금을 받았다. 2008년에는 "바흐 아카이브"가 대학과 연계되었다. 2009년,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300여 건의 과학 및 문화 강연과 전시회를 통해 600주년을 기념했으며,[9] 이는 창립 이후 대학의 연구와 교육의 역할을 반영한다.

3. 1. 주요 시설

라이프치히 대학교의 도심 캠퍼스는 여러 곳에 걸쳐 있으며, 전체적으로 라이프치히의 38개 지역에 위치한다. 시 중심부(미테 지구)의 주요 건물들은 1409년 최초의 대학 건물과 같은 부지에 있다. 2005년부터 대대적인 재건축을 거쳤으며, 새로운 대학 본관은 네덜란드 건축가 에릭 반 에게라트(Erick van Egeraat)가 설계했다. 개조 프로젝트의 추정 총 비용은 1.4억유로였다.

학부 및 기타 교육 기관 외에도 대학 도서관, 대학 문헌보관소, 행정부, 라이프치히 대학교 악기 박물관, 고대 이집트 박물관, 라이프치히 식물원(1542년 설립, 유럽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대학 식물원), 대학 병원 등이 대학을 지원한다.

대학의 주요 중앙 기관[11]은 다음과 같다.

  • 생명공학 및 생의학 센터
  • 취업 지원 센터
  • 독일 문학 연구소
  • 통합 생물다양성 연구 독일 센터 (iDiv) 할레-예나-라이프치히
  • 작센 고등교육 교육학 센터
  • 쿠스토디(미술품 소장)
  • 라이프치히 대학교 음악
  • 라이프치히 글로벌 역동성 연구 센터
  • 라이프치히 연구 아카데미
  • 언어 센터
  • 슈투디엔콜레그 작센 (대학의 진로 및 입학 시험 제공 기관)
  • 라이프치히 재생 의학 번역 센터
  • 대학 문헌보관소
  • 대학 컴퓨터 센터
  • 대학 스포츠 센터
  • 교원 양성 및 학교 연구 센터
  •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 센터


3. 1. 1. 대학 도서관

라이프치히 대학교 도서관은 1543년에 설립되어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 도서관 중 하나이며, 라이프치히 대학교 구성원뿐 아니라 지역 주민들에게도 문헌 및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11] 방대한 역사적 특별 소장품은 국내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도서관은 중앙 건물인 "알베르티나 도서관(Bibliotheca Albertina)"과 각 학문 분야 기관 근처에 위치한 40개의 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소장 자료는 500만 권의 장서와 약 7,700종의 정기 간행물에 달한다. 소장품은 중요한 중세 및 근대 사본부터 인쇄 초기 서적, 파피루스, 친필 서명 문서, 오스트라콘, 그리고 동전까지 다양하다.

16세기 음악 사본인 아펠 코덱스(Apel Codex)와 에베르스 파피루스(Papyrus Ebers)도 라이프치히 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12]

라이프치히 대학교 도서관은 또한 4세기 성경 사본인 시나이 사본(Codex Sinaiticus)의 일부를 소장하고 있는데, 이는 1843년 콘스탄틴 폰 티셴도르프(Constantin von Tischendorf)가 시나이 반도(Sinai Peninsula)에서 가져온 것이다.[13] 에베르스 파피루스는 기원전 16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이집트에서 가장 길고 오래된 의학 사본이다.[14] 시나이 사본은 구약성서의 상당 부분과 완전한 신약성서를 고대 그리스어로 담고 있으며, 그리스어 구약성서와 신약성서의 가장 중요한 사본 중 하나로, 가장 오래된 완전하게 보존된 신약성서 사본이다.

라이프치히에 있는 대학교 도서관 분관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15]

도서관명주소
알베르티나 도서관(Bibliotheca Albertina)베토벤슈트라세 6
캠퍼스 도서관우니베르지테츠슈트라세 3
독일 문학 연구소 도서관벡터슈트라세 34
예술 도서관디트리히링 18-20
음악학 도서관노이마르크트 9-19
법학 도서관부르크슈트라세 27
의학 도서관요하니살레 34
의학 도서관케테 콜비츠슈트라세 82
수의학 도서관티어클리니켄 5
생명과학 도서관탈슈트라세 35
화학 및 물리학 도서관요하니살레 29
지구과학 도서관탈슈트라세 35
지리학 도서관요하니살레 19
고고학, 선사시대 및 고대사 도서관리터슈트라세 14
동양학 도서관실러슈트라세 6
스포츠 과학 도서관야날레 59



대학교 도서관 외에도, 독일 국립도서관(German National Library)의 두 중앙 시설 중 하나가 라이프치히에 있으며, 그 소장 자료는 학술 연구를 위해 이용할 수 있다.

3. 1. 2. 대학 박물관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라이프치히 대학교 악기 박물관, 고대 이집트 박물관 등 여러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라이프치히 식물원은 유럽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대학 식물원으로 1542년에 설립되었다.

라이프치히 대학교 악기 박물관에는 피아노 발명가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Bartolomeo Cristofori)가 제작한 피아노 중 세계에 단 세 대만 남아있는 피아노 한 대가 있다. 박물관에는 크리스토포리의 악기 다섯 대가 더 소장되어 있다.[10]

3. 1. 3. 대학 식물원

라이프치히 대학교의 라이프치히 식물원은 유럽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식물원으로, 1542년에 설립되었다.[10]

4. 학부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14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29,000명이 넘는 학생 수를 자랑하는 작센 주에서 두 번째로 큰 대학교이다. 150개 이상의 연구소가 있으며, 학사, 석사, 국가고시(Staatsexamen), 디플롬(Diplom)(석사 학위와 동등)[23] 및 박사 학위(Ph.D.)를 수여하는 190개의 학위 과정을 제공한다.

영어 및 기타 외국어로 다수의 강좌를 제공하며, 유학생들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여러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애리조나 대학교, 오클라호마 대학교, 휴스턴 대학교, 앨버타 대학교, 오하이오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 등과 파트너 교환 대학 관계를 맺고 있으며, 모스크바의 로모노소프 대학교, 베이징의 인민대학교와 같은 동유럽 및 극동 지역 주요 기관들과도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초기에는 인문학부, 신학부, 의학부, 법학부의 4개 학부로 시작하였으나, 2021년 11월 기준으로 14개의 학부와 각 학부 관련 연구소 및 센터를 두고 있다.[38]


  • 화학 및 광물학부
  • 경제 및 경영 과학부
  • 교육학부
  • 역사, 예술 및 지역 연구부
  • 법학부
  • 생명과학부
  • 수학 및 컴퓨터 과학부
  • 의학부
  • 문헌학부
  • 물리 및 지구 과학부
  • 사회 과학 및 철학부
  • 스포츠 과학부
  • 신학부
  • 수의학부

4. 1. 화학 및 광물학부


  • 분석화학 연구소
  • 생체분석화학 연구소
  • 화학공학 연구소
  • 무기화학 연구소
  • 광물학, 결정학 및 재료과학 연구소
  • 유기화학 연구소
  • 빌헬름 오스트발트 물리 및 이론화학 연구소

4. 2. 경제 및 경영 과학부


  • 회계, 재무 및 세무 연구소 (IUFB)
  • 건축 설계 및 관리 연구소 (IGB)
  • 경영 교육 및 경영 훈련 연구소 (IFW)
  • 경제 정책 연구소 (IWP)
  • 실증 경제 연구소 (IEW)
  • 정보 시스템 연구소
  • 인프라 및 자원 관리 연구소 (IIRM)
  • 보험 과학 연구소 (IVL)
  • 공공 재정 및 공공 관리 연구소 (PFPM)
  • 부동산 관리 연구소 (IIM)
  • 서비스 및 관계 관리 연구소 (ISRM)
  • 이론 경제학 연구소 (ITVWL)
  • 무역 및 금융 연구소 (IHB)
  • 도시 개발 및 건설 관리 연구소 (ISB)

4. 3. 교육학부


  • 교육 과학 연구소
  • 유아 및 초등 교육 연구소
  • 특수 및 포괄 교육 연구소

4. 4. 역사, 예술 및 지역 연구부

역사, 예술 및 지역 연구부에는 다음과 같은 학과들이 있다.


4. 5. 법학부

연구소명
에른스트 예거 기업 구조조정 및 파산법 연구소 (Ernst Jaeger Institute of Corporate Restructuring and Insolvency Law)
방송법 연구소
에너지 및 규제법 연구소
환경 및 계획법 연구소
외국 및 유럽 사법 및 절차법 연구소
독일 및 국제 금융 및 자본 시장법 연구소
국제법 연구소
노동 및 사회법 연구소
법률 및 정치 연구소
공법, 유럽법 및 외국 공법 연구소
조세법 연구소
법의 기초 연구소
법조계 연구소


4. 6. 생명과학부

4. 7. 수학 및 컴퓨터 과학부

연구소
컴퓨터 과학 연구소
수학 연구소


4. 8. 의학부

라이프치히 대학교 의학부에는 다음과 같은 연구소들이 있다.

  • 카를 루트비히 생리학 연구소
  • 라이프치히 임상 시험 센터
  • 환경 의학 및 환경 역학 센터
  • 임상 약리학
  • 의학부 실험 센터
  • 일반 의학 부서
  • 라이프치히 심장 센터 GmbH
  • 컴퓨터 지원 수술 혁신 센터 (ICCAS)
  • 의학 물리 및 생물 물리 연구소
  • 해부학 연구소
  • 생화학 연구소 (의학)
  • 법의학 연구소
  • 의료 정보학, 통계 및 역학 연구소
  • 사회 의학, 직업 보건 및 공중 보건 연구소
  • 통합 연구 및 치료 센터 (IFB) 비만 질환
  • 학제 간 임상 연구 센터
  • 카를-주트호프 의학 및 과학사 연구소
  • 문명 질병 연구 센터 LIFE
  • 신경 재활 센터
  • 파울 플레히지 뇌 연구소
  • 루돌프 뵈름 약리학 및 독성학 연구소


리비히거리 해부학 강의실, 1953년 건설(2007년 촬영)

4. 9. 문헌학부

4. 10. 물리 및 지구 과학부


  • 지리학 연구소
  • 지구물리학 및 지질학 연구소
  • 기상학 연구소
  • 페터 데바이 연성 물질 물리학 연구소 (Peter Debye Institute of Soft Matter Physics)
  • 펠릭스 블로흐 고체 물리학 연구소 (Felix Bloch Institute of Solid State Physics)
  • 이론 물리학 연구소

4. 11. 사회 과학 및 철학부

4. 12. 스포츠 과학부


  • 스포츠 의학 및 예방 연구소
  • 일반 운동학 및 육상 훈련 연구소
  • 스포츠 운동 및 훈련 과학 연구소 I
  • 스포츠 운동 및 훈련 과학 연구소 II
  • 운동 및 공중 보건 연구소
  • 스포츠 심리학 및 체육 연구소

4. 13. 신학부


  • 교회사 연구소
  • 신약학 연구소
  • 구약학 연구소
  • 실천 신학 연구소
  • 종교 교육 연구소
  • 조직 신학 연구소

4. 14. 수의학부

라이프치히 대학교 수의학부 연구소
연구소(한국어)연구소(독일어)
조류 및 파충류 학과Klinik für Vögel und Reptilien
말 학과Klinik für Pferde
반추 동물 및 돼지 학과Klinik für Klauentiere
소동물 학과Klinik für Kleintiere
해부학, 조직학 및 배아학 연구소Institut für Veterinär-Anatomie, -Histologie und -Embryologie
동물 위생 및 수의 공중 보건 연구소Institut für Tierhygiene und Öffentliches Veterinärwesen
동물 영양, 영양 질환 및 영양학 연구소Institut für Tierernährung, Ernährungsschäden und Diätetik
세균학 및 진균학 연구소Institut für Bakteriologie und Mykologie
식품 위생 연구소Institut für Lebensmittelhygiene
면역학 연구소Institut für Immunologie
기생충학 연구소Institut für Parasitologie
병리학 연구소Institut für Pathologie
약리학, 약학 및 독성학 연구소Institut für Pharmakologie, Pharmazie und Toxikologie
생리 화학 연구소Institut für Physiologische Chemie
생리학 연구소Institut für Veterinär-Physiologie
바이러스학 연구소Institut für Virologie
오버홀츠 교육 및 연구 농장Lehr- und Versuchsgut Oberholz


5. 학문적 특징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14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29,000명이 넘는 학생 수를 자랑하는 작센주에서 두 번째로 큰 대학교이다. 150개 이상의 연구소가 있으며, 학사, 석사, 국가고시(Staatsexamen), 디플롬(Diplom, 석사 학위와 동등)[23] 및 박사 학위(Ph.D.)를 수여하는 190개의 학위 과정을 제공한다.

19세기와 20세기 초 오스만 제국의 쇠퇴 및 해체 기간 동안,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다른 여러 독일 대학교와 함께 새로 독립한 발칸 국가들(루마니아, 그리스, 불가리아, 세르비아)의 국가 행정부와 엘리트를 위한 고등 교육의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으며, 1859년부터 1909년까지 이 지역에서 5,500명이 넘는 학생들을 교육하였다.[5]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여성이 "객원생"으로 등록하는 것을 허용한 최초의 독일 대학교 중 하나였다.[4] 1873년 독일여성총회(Allgemeiner Deutscher Frauenverein)는 여성이 객원생으로 참석할 수 있도록 허용한 라이프치히 대학교와 프라하 대학교에 감사를 표했다. 같은 해, 요하나 폰 에브레이노프가 독일 최초로 여성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5. 1. 연구

19세기 말,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세계적인 고등 교육 및 연구 기관으로 성장하였다. 베르너트 빈트샤이트(독일 민법의 아버지 중 한 명)와 빌헬름 오스트발트(현대 물리화학의 창시자로 여겨짐)와 같은 중요한 학자들이 라이프치히에서 강의를 하였다.[4]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때까지 라이프치히 대학교에는 폴 에를리히, 펠릭스 블로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도모나가 신이치로를 포함한 많은 저명한 학자들과 훗날 노벨상 수상자들이 있었다. 대학 졸업생 중 많은 수가 중요한 과학자가 되었다.

5. 2. 국제 교류

본교는 영어 및 기타 외국어로 다수의 강좌를 제공하며, 유학생들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여러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파트너 교환 대학으로는 애리조나 대학교, 오클라호마 대학교, 휴스턴 대학교, 앨버타 대학교, 오하이오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 등이 있다. 전통적으로 동유럽과 극동 지역의 대학들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모스크바의 로모노소프 대학교와 베이징의 인민대학교와 같은 주요 기관들과 협력하고 있다.[23]

국제 석사 프로그램으로는 미국학, 글로벌학, 지속가능발전학, 중소기업 육성 MBA(SEPT)[24] [25], 그리고 영어로 진행되는 학사/석사/박사 프로그램(국제 물리학 연구 프로그램[26])이 있다. 라이프치히 미국학 연구소는 풀브라이트-라이프치히 미국학 석좌교수직, 독일학술교류처(DAAD) 미국 및 국제학 교수직, 피카도르 문학 초빙교수직 등 세 개의 국제 교수직을 수여받았다.[27] 또한 미국학 분야의 대학원생 대상 동료 심사 학술지인 ''Aspeers''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에라스무스 문두스 글로벌학은 라이프치히 대학교, 런던 정경대학교, 빈 대학교, 브로츠와프 대학교, 로스킬데 대학교 등 5개의 유럽 대학교 컨소시엄이 제공하는 학제 간 연구 기반 석사 과정이다. 인류학 분야에서 본교는 막스 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와 협력하고 있다. 1995년에는 시몬 두브노프를 기념하는 라이프니츠 유대인 역사 문화 연구소가 본교와 관련된 연구 기관으로 설립되었다. 2008년부터 본교는 독일에서 몇 안 되는 공자학원 중 하나를 운영하고 있다. 이 학원은 2006년 6월 본교 행정부와 주중 중국대사관 관계자 간의 협정에 따라 인민대학교 및 "중국어 외국어 교육 국가 사무소"와의 협력 하에 설립되었다.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19세기에 독일 최초의 중국어 및 동아시아 언어 교수직을 설립했으며, 이는 현재까지도 존재하는 동아시아 연구소(게오르크 폰 데어 가블렌츠 참조)로 발전했다.

5. 3. 순위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여러 대학 순위 시스템에서 인정받고 있다. 2024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 이 대학교는 세계 479위에 올랐으며, 독일 내에서는 29위에 올랐다.[28] 2023년 세계 대학 학술 순위(ARWU)에서는 세계 201~300위, 독일 내에서는 10~19위에 자리했다.[29]

웹메트릭스 세계 대학 순위에 따르면, 이 대학교는 독일 18위, 유럽 98위, 세계 264위를 기록했다. 이 순위는 대학의 과학 온라인 출판물을 평가한다.[30][31]

6. 학생 생활

라이프치히는 활기찬 학생 생활을 자랑하며, 학생들이 운영하는 많은 바, 스포츠 클럽, 레크리에이션 시설이 있다. 라이프치히 학생들은 대학교의 다양한 전공뿐만 아니라 도시의 다른 고등 교육 기관들 때문에 다양하다. 모리츠바스타이(Moritzbastei)는 독일에서 가장 큰 학생 클럽으로, 라이프치히의 역사적인 도시 성벽의 일부이며 그 분위기와 많은 문화 행사로 유명하다.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라이프치히 학술 오케스트라와 라이프치히 대학교 합창단의 본거지이며, 매 학기 공연 예술 분야에서 다양한 강좌가 제공된다. 학생들은 1년에 한 번 댄스 페스티벌을 개최하며, 스포츠 분야에서는 거의 모든 종목의 훈련 기회와 강좌를 제공한다. 매년 열리는 라이프치히 도서 박람회 기간 동안 대학 도서관 및 기타 대학 기관은 작가들을 위한 공개 행사를 개최한다.

6. 1. 동아리 활동

라이프치히는 활기찬 학생 생활을 자랑하며, 학생들이 운영하는 많은 바, 스포츠 클럽, 레크리에이션 시설이 있다. 라이프치히의 학생들은 대학교의 다양한 전공뿐만 아니라 도시의 다른 고등 교육 기관들 때문에 다양하다. 모리츠바스타이(Moritzbastei)는 독일에서 가장 큰 학생 클럽으로, 라이프치히의 역사적인 도시 성벽의 일부이며 그 분위기와 많은 문화 행사로 유명하다.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라이프치히 학술 오케스트라와 라이프치히 대학교 합창단의 본거지이다. 매 학기 공연 예술 분야에서 수많은 강좌가 제공되며, 학생들은 1년에 한 번 댄스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스포츠 분야에서 대학교는 거의 모든 종목의 훈련 기회와 강좌를 제공한다. 매년 열리는 라이프치히 도서 박람회 기간 동안 대학교 도서관 및 기타 대학교 기관은 작가들을 위한 공개 행사를 개최한다.

6. 2. 캠퍼스 행사

모리츠바스타이(Moritzbastei)는 독일에서 가장 큰 학생 클럽으로, 라이프치히의 역사적인 도시 성벽의 일부이며 그 분위기와 많은 문화 행사로 유명하다.[1]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라이프치히 학술 오케스트라와 라이프치히 대학교 합창단의 본거지이다.[1] 매 학기 공연 예술 분야에서 수많은 강좌가 제공되며, 학생들은 1년에 한 번 댄스 페스티벌을 개최한다.[1] 스포츠 분야에서 대학은 거의 모든 종목에서 훈련 기회와 강좌를 제공한다.[1] 매년 열리는 라이프치히 도서 박람회 기간 동안 대학 도서관 및 기타 대학 기관은 작가들을 위한 공개 행사를 개최한다.[1]

7. 저명한 동문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오랜 역사 동안 수많은 저명인사를 배출했다.

1409년 신학자 얀 후스 등에 의한 체코인 우대 정책에 항의하여 프라하 대학교를 떠난 독일인 교수와 학생들을 위해 마이센 변경백 프리드리히 4세가 설립했다.[35]

이 대학에서 강의했던 주요 인물로는 모멘젠(역사학), 오스트발트(화학), 하이젠베르크헤르츠(물리학), 분트(심리학), 클라인(수학), 뫼비우스(수학) 등이 있다.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공부한 저명한 인물로는 괴테니체(철학, 작가), 슈만바그너(작곡), 랑케(역사), 레싱(극작가), 뒤르켐(사회학), 스타인(탐험가) 등이 있으며, 메르켈 전 독일 총리도 이곳에서 물리학을 전공했다.

의학부는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가장 유명한 학부로 알려져 있으며, 에르빈 폰 베르츠 등 많은 인물들이 이곳에서 독일 의학을 배웠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7. 1. 음악

다음은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공부했거나 관련된 음악가 목록이다.

  • 요한 크리스토프 알트니콜(Johann Christoph Altnickol): 독일 작곡가,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사위
  • 요한 프리드리히 아그리콜라(Johann Friedrich Agricola): 독일 작곡가,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제자
  • 카를 필립 에마누엘 바흐(Carl Philipp Emanuel Bach): 독일 작곡가,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두 번째로 유명한 아들
  • 요한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바흐(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 독일 작곡가,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세 번째로 유명한 아들
  •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Wilhelm Friedemann Bach): 독일 작곡가,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첫 번째로 유명한 아들
  • 로렌츠 크리스토프 미즐러(Lorenz Christoph Mizler): 독일 작곡가이자 음악 이론가,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제자
  • 로베르트 슈만(Robert Schumann): 독일 작곡가
  • 크리스토프 그라우프너(Christoph Graupner): 독일 작곡가
  • 요한 쿠나우(Johann Kuhnau): 독일 작곡가, 토마스칸토어(Thomaskantor)
  • 요한 다비트 하이니헨(Johann David Heinichen): 독일 작곡가이자 음악 이론가, 폴란드 왕국작센 선제후국카펠마이스터(Kapellmeister)
  • 리하르트 바그너(Richard Wagner): 독일 작곡가
  • 게오르크 필립 텔레만(Georg Philipp Telemann): 독일 작곡가

7. 2. 인문학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인문학 분야에서도 깊은 역사와 전통을 자랑한다. 19세기와 20세기 초,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여러 독일 대학교와 함께 새로 독립한 발칸 국가들의 국가 행정부와 엘리트를 위한 고등 교육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5]

분야인물
역사학테오도어 몸젠(독일 역사가, 노벨 문학상 수상자), 미하엘 란프트(독일 역사가), 레오폴트 폰 랑케
신학프란츠 델리츠슈(독일 신학자, 히브리어 학자), 아돌프 폰 하르낙(독일 신학자), 크리스토프 에른스트 루트하르트(독일 신학자), 마르틴 페츠올트(독일 신학자), C. F. W. 발터(루터교회-미주리 시노드의 초대 총재, 신학자)
철학프리드리히 니체,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 크루시우스(독일 철학자, 신학자), 한스-게오르크 가다머, 고틀리프 에프라임 레싱
언어학맥스 뮬러(인도학 권위자, 동양학자), 레너드 블룸필드(미국 구조주의 언어학자, 분포주의 창시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구조주의 창시자), 게르트 예거, 오토 아돌프 벤젤 카데, 알브레히트 노이베르트(라이프치히 학파(번역) 창시자), 린위탕 (중국 작가, 언어학자)
문학요한 볼프강 폰 괴테(독일 시인), 요한 크리스토프 고트셰트(독일 시인, 작가, 비평가),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헨리치(독일 시인), 고틀리프 에프라임 레싱(독일 철학자, 작가), 미하일 프리슈빈(러시아 작가)
기타나탄 쇠더블롬(스웨덴 성직자, 노벨 평화상 수상자)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프라하 대학교를 떠난 독일인 교수와 학생들을 위해 1409년 설립되었다.[35] 이들은 신학자 얀 후스 등에 의한 체코인 우대 정책에 항의하여 학교를 떠났다. 마이센 변경백 프리드리히 4세는 피사교황 알렉산더 5세로부터 대학 설립 특허장을 얻었다.[36]

7. 3. 과학

라이프치히 대학교는 과학 분야에서 많은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으며, 여러 노벨상 수상자들과도 관련이 깊다.

분야인물설명
수학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독일의 철학자이자 수학자로, 미적분을 개발했다.
펠릭스 클라인군론, 복소해석, 비유클리드 기하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긴 독일 수학자이다. 클라인 병으로 유명하다.
소푸스 리리 대수를 개발한 노르웨이 수학자이다.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뫼비우스의 띠로 유명한 독일의 수학자이자 이론 천문학자이다.
카를 몰바이데몰바이데 투영으로 알려진 독일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이다.
펠릭스 하우스도르프현대 위상수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하우스도르프 공간으로 알려져 있다.
주량조대수기하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긴 상하이 출신의 중국 수학자이다.
프리드리히 엥겔엔겔 전개와 엔겔의 정리 등으로 알려진 독일 수학자
물리학요한 하인리히 빈클러독일 물리학자이다.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독일 물리학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이다.
구스타프 헤르츠독일 물리학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이다.
펠릭스 블로흐스위스 물리학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이다.
도모나가 신이치로일본 물리학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이다. 하이젠베르크에게 배웠다.
프리드리히 훈트양자 터널링을 발견하고 훈트 규칙으로 알려진 독일 물리학자이다.
티코 브라헤[33]덴마크 천문학자이다.
화학빌헬름 오스트발트독일 화학자, 노벨 화학상 수상자이다.
피터 데바이네덜란드계 미국인 물리학자이자 화학자, 노벨 화학상 수상자이다.
이케다 기쿠나에"미원(味の素)"을 발명한 일본의 화학자이다. 오스트발트에게 배웠다.
도로시 앤 해헌미국의 유기화학자
의학 및 생리의학파울 에를리히독일 의사,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이다.
스반테 페보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현재 이 대학교에서 분자 진화 생물학을 가르치고 있다.
에밀 크래펠린독일 정신과 의사이다.
빌헬름 분트독일 심리학자, 최초의 공식적인 심리학 연구소를 설립했다.
구스타프 테오도어 페히너독일 심리학자, 정신물리학의 창시자이다.
에른스트 하인리히 베버심리학의 창시를 위한 길을 닦은 독일 의사이자 교수이다.



전 독일 총리 앙겔라 메르켈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전공했다.

7. 4. 정치

이름분야기타
뤄 간정치인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
앙겔라 메르켈정치인독일 최초의 여성 총리
한스-디트리히 겐셔정치인독일 외무장관 겸 부총리
채원배교육인, 정치인베이징 대학교 총장, 초기 중국 공산주의 운동의 주요 사상가
미셸 바첼레트정치인2006년부터 2010년까지 칠레 최초의 여성 칠레 대통령
라이라 아몰로 오딩가정치인케냐 정치인


7. 5. 스포츠

루츠 롱은 독일의 올림픽 장거리 점프 선수이자 스포츠맨십으로 유명한 인물이다.

참조

[1] 웹사이트 Katalog der Deutschen Nationalbibliothek https://portal.dnb.d[...] 2024-11-28
[2] 웹사이트 Jahresbericht 2015 https://www.uni-leip[...] 2017-06-18
[3] 웹사이트 Zahlen und Fakten https://web.archive.[...] 2017-06-18
[4] 서적 Die deutsche Frauenbewegung 1843–1889 Hain 1972
[5] 서적 Ottomans Into Europeans: State and Institution-building in South Eastern Europ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
[6] 웹사이트 A Jewish Palestinian's quest to receive his degree, from Nazi Germany http://article.wn.co[...] wn.com 2013-12-31
[7] 서적 Hans-Georg Gadamer: A Biography Yale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Graduate School BuildMoNa http://www.buildmona[...] Buildmona.de 2013-12-31
[9] 웹사이트 Universität Leipzig 600th Anniversary https://web.archive.[...]
[10] 웹사이트 Museum of Musical Instruments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Universität Leipzig: Central Institutions https://www.uni-leip[...]
[12] 백과사전 The Grove Concise Dictionary of Music
[13] 서적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Critical Editions and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Modern Textual Criticism https://archive.org/[...]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4] 웹사이트 In Pursuit Of Knowledge - An Exhibition of Leipzig University Library - http://www.inpursuit[...]
[15] 웹사이트 Universitätsbibliothek Leipzig: Locations https://www.ub.uni-l[...]
[16] 뉴스 Senat stimmt Umbenennung zu Institut für Psychologie trägt offiziell den Namen Wilhelm Wundt https://magazin.uni-[...] Das Leipziger Universitätsmagazin 2021-11-26
[17] 서적 The SAG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ass Media and Society SAGE Publications
[18] 웹사이트 Graduate School https://www.imprs-mi[...]
[19] 웹사이트 About Us http://imprs-neuroco[...]
[20] 웹사이트 IMPRS "The Leipzig School of Human Origins" – Home http://www.leipzig-s[...]
[21] 웹사이트 Pursuing a Doctorate in Leipzig https://www.uni-leip[...] Universität Leipzig 2020-05-09
[22] 웹사이트 InfAI | Institut für Angewandte Informatik https://infai.org/
[23] 문서 Bachelor's and Master's Degree Programs
[24] 웹사이트 SEPT, the international Program of the University of Leipzig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promotion and training http://www.sept.uni-[...]
[25] 웹사이트 SEPT – MBA program at glance https://web.archive.[...] Sept.uni-leipzig.de 2013-12-31
[26] 웹사이트 Homepage of the International Physics Studies Program at Leipzig https://web.archive.[...] Uni-leipzig.de 2013-12-31
[27] 웹사이트 The Picador Guest Professorship for Literature | American Studies Leipzig http://americanstudi[...] Americanstudies.uni-leipzig.de 2013-12-31
[28]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https://www.topunive[...] 2023-07-16
[29] 웹사이트 2023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https://www.shanghai[...] 2023-08-15
[30] 웹사이트 Germany Ranking Web of Universities: More than 28000 institutions ranked https://www.webometr[...] 2019-07-26
[31] 웹사이트 Europe Ranking Web of Universities: More than 28000 institutions ranked https://www.webometr[...] 2019-07-26
[32] 웹사이트 Statistical Office of Saxony, Statistical data of June 2018 for academic winter term 2017 https://www.statisti[...]
[33] 서적 Tycho Brahe: a Picture of Scientific Life and Work in the Sixteenth Century Cambridge UP
[34] 간행물 Arch Klin Chir
[35] 뉴스 ゲーテや森鴎外も通った、ドイツ・ライプツィヒの名物レストラン「アウアーバッハス・ケラー」 https://gotrip.jp/20[...] 2018-04-28
[36] 서적 世界史新書 ヨーロッパの大学 至文堂 1964
[37] 웹사이트 Neue Prorektoren gewählt http://www.zv.uni-le[...] Uni Leipzig 2011-04-19
[38] 웹사이트 Universität Leipzig: Fakultäten http://www.uni-leipz[...] 2017-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